KR2021011244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442A
KR20210112442A KR1020200027302A KR20200027302A KR20210112442A KR 20210112442 A KR20210112442 A KR 20210112442A KR 1020200027302 A KR1020200027302 A KR 1020200027302A KR 20200027302 A KR20200027302 A KR 20200027302A KR 20210112442 A KR20210112442 A KR 2021011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voltage level
power saving
driv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양욱
박성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442A/ko
Priority to US17/016,998 priority patent/US11250762B2/en
Priority to CN202110086832.XA priority patent/CN113362778A/zh
Publication of KR2021011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전원 라인을 포함하고, 일반 모드 또는 절전 모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에 소스 구동 전압을 공급하고, 일반 모드에서 전원 라인에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데이터 구동부는 절전 모드에서 전원 라인에 제1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며, 전원 공급부는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제1 전환 기간 중 화소들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제1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켜 출력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의 화소들의 구동 주파수는 표시 모드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영상 표시 모드(일반 모드)에서 화소들은 비교적 고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정보(예를 들어, 시간)만 표시하는 대기 모드(절전 모드)에서 화소들은 상대적으로 저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화소들이 저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대책(solution)이 강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들을 적용하는 경우, 구동 주파수 변경 과정에서 급격한 전압 또는 전류 변화로 인한 휘도 편차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부작용(side effect)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표시 모드가 전환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휘도 편차를 최소화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저전력 표시 모드에서 소비 전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전원 라인을 포함하고, 일반 모드 또는 절전 모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소스 구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전원 라인에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전원 라인에 제1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제1 전환 기간 중 상기 화소들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제1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켜 출력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버터는, 외부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전원 전압이 출력되는 제1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인덕터와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고 가변 저항과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버터는 상기 트랜지스터들을 서로 교번하여 턴-온시켜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는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제공된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상기 제1 컨버터는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제공된 이후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상기 제1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제2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버터는, 외부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단자와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이 출력되는 제2 출력 단자와 상기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공되는 제1 주기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공되는 제2 주기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리플 전압이 제1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또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상기 리플 전압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일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일반 영상의 로드보다 작은 로드를 가지는 절전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화소들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제1 구동 주파수로 상기 일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화소들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보다 작은 제2 구동 주파수로 상기 절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소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소스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 및 게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1 기간 동안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제2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기간보다 짧은 제2 기간 동안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제3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켜 출력하되,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과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의 차이는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은 상기 제1 기간 동안 계단식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소스 구동 전압 및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감소될 때,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슬루율은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슬루율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전환 기간 후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전환 기간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이 감소된 후, 다음 프레임에서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절전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증가시키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진입하는 제2 전환 기간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전환 기간에서 상기 화소들에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전원 라인을 포함하고, 일반 모드 또는 절전 모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소스 구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전원 라인에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외부 입력 전압 및 상기 소스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제1 보조 전원 전압 및 감마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전원 라인에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기간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감마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하며, 상기 일반 모드 및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과 상기 감마 전압의 전압 레벨의 차이는 일정하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 및 상기 감마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감마 전압에 기초하여 계조 전압들을 생성하는 계조 전압 생성부, 및 상기 계조 전압들 및 상기 소스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감마 전압, 상기 제1 전원 전압, 및 기준 전원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감마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는 갭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계조 전압 생성부는 상기 조절된 감마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계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갭 제어부는, 상기 감마 전압 및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비교하여 기준 전압차를 생성하는 제1 구동부, 상기 기준 전압차 및 상기 기준 전원 전압을 합산하여 기준 감마 전압을 생성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기준 감마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조절된 감마 전압을 출력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동부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준 감마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 단자, 상기 감마 전압의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는 제2 입력 단자, 및 상기 조절된 감마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증폭기, 및 상기 출력 단자 및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된 감마 전압의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상기 증폭기의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제공하는 분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 장치는 일반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제1 전원 전압 및 제2 전원 전압을 표시 패널에 인가하고, 절전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를 통해 제1 보조 전원 전압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 및 데이터 구동부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들의 전압 레벨(또는 전압 레벨의 절대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기간 내에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제1 절전 전압 레벨로 빠르게 감소시켜, 전원 전압 레벨 변경에 의한 표시 영상의 휘도 차이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 장치는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제1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보다 긴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의 차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유지하고, 원활하게 전압들을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의 트랜지스터들의 단위 시간 당 스위칭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데이터 구동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전원 공급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의 전원 공급부에 포함된 제1 컨버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전원 공급부에 포함된 제3 컨버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5의 Q1 영역을 확대한 파형도로서, 수직 블랭크 기간 중 제1 전원 전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Q2 영역을 확대한 파형도로서, 소스 구동 전압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절전 모드에서 소스 구동 전압의 리플 전압 및 스위칭 제어 신호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데이터 구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데이터 구동부에 포함된 갭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게이트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타이밍 제어부(400) 및 전원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게이트 라인들(SL1 내지 SLn, n은 2 이상의 자연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m은 2 이상의 자연수). 전원 라인(PL) 및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는 게이트 라인들(SL1 내지 SLn) 및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 소자,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제1 전원 전압(VDD)과 제2 전원 전압(VSS)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원 전압(VDD) 및 제2 전원 전압(VSS)은 화소(PX)의 구동에 필요한 고전위 전압과 저전위 전압일 수 있다. 제1 전원 전압(VDD)은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보다 높은 전압 레벨을 가지며, 전원 라인(PL)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무기 발광 소자 일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들(SL1 내지 SLn) 중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중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 커패시터에 전달할 수 있다. 저장 커패시터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제1 전원 전압(VDD)과 발광 소자 사이에 연결되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를 제1 전원 전압(VDD)으로부터 발광 소자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 패널(10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로 구현되고, 광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의 방출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서, 표시 패널(100)은 일반 모드(또는, 제1 모드) 또는 절전 모드(또는, 제2 모드)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일반 모드에서 일반 영상(예를 들어, 동영상)을 표시하고, 절전 모드에서 절전 영상(예를 들어, 시계 등과 같이 로드가 적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절전 영상은 일반 영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절전 모드는 표시 패널(100)의 최대 휘도를 기 설정된 휘도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전 모드는 간단한 표시 정보를 항상 표시하는 AOD(Always On Display) 모드, 어두운 환경에서 초저휘도로 화면을 표시하는 소정의 표시 모드 등일 수 있다.
일반 모드와 절전 모드에서 표시 패널(100)의 화소(PX)들은 서로 다른 구동 주파수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일반 모드에서 화소(PX)들은 제1 구동 주파수로 일반 영상을 표시하고, 절전 모드에서 화소(PX)들은 제1 구동 주파수보다 작은 제2 구동 주파수로 절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구동 주파수는 20Hz 이상(예를 들어, 60Hz)일 수 있고, 제2 구동 주파수는 20Hz 미만(예를 들어, 1Hz)일 수 있다.
절전 모드에서 표시 장치(10)에 포함되는 일부 구성 요소들의 동작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전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각종 기능 블록들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 또는 최소화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줄어들 수 있다. 일반 모드 및 절전 모드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선택 신호에 의해 결정되거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타이밍 제어부(400)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200)는, 타이밍 제어부(400)로부터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공급받고, 게이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며,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SL1 내지 SLn)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타이밍 제어부(40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영상 데이터(D-RGB)를 공급받고, 영상 데이터(D-RGB)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며,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300)는 전원 공급부(500)로부터 소스 구동 전압(VLIN)을 제공받고, 외부로부터 제공된 제1 외부 입력 전압(VCI) 및 소스 구동 전압(VLIN)에 기초하여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및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을 생성하며,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및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을 게이트 구동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및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 중 하나는 데이터 구동부(300) 및 게이트 구동부(200)에 구비된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는 턴-온 전압 레벨을 가지고,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및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 중 다른 하나는 데이터 구동부(300) 및 게이트 구동부(200)에 구비된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키는 턴-오프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외부 입력 전압(VCI) 및 소스 구동 전압(VLIN)에 기초하여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U_VSS)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은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전압 레벨을 가지고, 제2 보조 전원 전압(U_VSS)은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300)는 부스팅 회로 및 레귤레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변환부를 통해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U_VSS)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300)는 절전 모드에서 생성된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U_VSS)을 표시 패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은 전원 라인(PL)을 통해 화소(PX)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일반 모드에서 표시 패널(100)과의 연결 또는 표시 패널(100)로부터의 전류 이동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U_VSS)을 출력하는 출력단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400)는 게이트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및 전원 공급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예를 들어, 클럭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제어 신호(GCS) 및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400)는 전원 제어 신호(CS)를 생성하여, 전원 공급부(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500)는 전원 제어 신호(CS)에 기초하여 구동 방식(또는, 전압 제어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타이밍 제어부(400)는 전원 제어 신호(CS)를 데이터 구동부(300)에 더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300)는 전원 제어 신호(CS)에 기초하여 구동 방식(또는, 전압 제어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400)는 외부(예를 들어, 그래픽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된 입력 데이터(또는, 원시 영상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영상 데이터(D-RGB)를 생성하고, 영상 데이터(D-RGB)를 데이터 구동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제2 외부 입력 전압(VBAT)에 기초하여 제1 전원 전압(VDD), 제2 전원 전압(VSS) 및 소스 구동 전압(VLIN)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을 데이터 구동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일반 모드에서 제1 전원 전압(VDD) 및 제2 전원 전압(VSS)을 표시 패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원 전압(VDD)은 전원 라인(PL)을 통해 화소(PX)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와 유사하게, 전원 공급부(500)는 절전 모드에서 표시 패널(100)과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고, 표시 패널(100)에 제1 전원 전압(VDD) 및 제2 전원 전압(VSS)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전원 공급부(500)는 일반 모드와 절전 모드에서 서로 다르게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500)가 생성하는 전압들의 전압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절전 모드에서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제1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500)는 절전 모드에서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을 제2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가 생성하는 전압들과 유사하게, 절전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300)가 생성하는 전압들의 전압 레벨도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구동부(300)는 절전 모드에서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을 제3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는 절전 모드에서 생성하는 전압들의 전압 레벨(또는, 전압 레벨의 절대값)을 감소시켜 표시 장치(1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500)는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표시 패널(100)의 모든 화소(PX)들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블랙 기간(또는, 수직 블랭크 기간) 내에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 시, 표시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제1 전원 전압(VDD)의 감소에 따른 영상의 휘도 차이가 인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는 일반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500)를 통해 제1 전원 전압(VDD) 및 제2 전원 전압(VSS)을 표시 패널(100)에 인가하고, 절전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300)를 통해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U_VSS)을 공급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는 절전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들의 전압 레벨(또는 전압 레벨의 절대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데이터 구동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300)는 전원 변환부(310), 계조 전압 생성부(320), 및 데이터 신호 생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변환부(310)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을 수신하고, 소스 구동 전압(VLIN)을 변환함으로써 화소(PX)의 제어에 사용되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및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을 출력 단자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및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은 게이트 구동부(2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1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원 변환부(310)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을 수신하고, 소스 구동 전압(VLIN)을 변환함으로써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U_VSS)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U_VSS)은 표시 패널(100)에 제공될 수 있다.
전원 변환부(310)는 소스 구동 전압(VLIN) 및 제1 외부 입력 전압(VCI)을 수신하고, 소스 구동 전압(VLIN) 및 제1 외부 입력 전압(VCI)에 기초하여, 화소(PX)의 제어에 사용되는 감마 전압(VREG)을 출력단에 제공할 수 있다. 감마 전압(VREG)은 계조 전압 생성부(320)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감마 전압(VREG)의 크기(또는, 전압 레벨)는 표시 모드(예컨대, 일반 모드, 절전 모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모드의 감마 전압(VREG)의 전압 레벨은 절전 모드의 감마 전압(VREG)의 전압 레벨보다 클 수 있다.
전원 변환부(310)는 소스 구동 전압(VLIN) 및 제1 외부 입력 전압(VCI)을 수신하고, 소스 구동 전압(VLIN) 및 제1 외부 입력 전압(VCI)에 기초하여 화소(PX)의 제어에 사용되는 기준 전압(VREF)을 출력단에 제공할 수 있다. 기준 전압(VREF)은 계조 전압 생성부(320)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VREF)의 크기(또는, 전압 레벨)는 표시 모드(예컨대, 일반 모드, 절전 모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계조 전압 생성부(320)는 감마 전압(VREG) 및 기준 전압(VREF)을 이용하여 계조 전압들(GV)을 생성할 수 있다. 계조 전압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계조 전압들(GV)은 영상 프레임의 표시를 위해 사용되므로,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들(GV)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계조 전압 생성부(320)는 제1 색상 계조 전압 생성부, 제2 색상 계조 전압 생성부 및 제3 색상 계조 전압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색상은 예를 들어 적색, 제2 색상은 예를 들어 녹색, 제3 색상은 예를 들어 청색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330)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쉬프트 클록(SSC, source shift clock), 계조값들(GD),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r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 생성부(330)는 쉬프트 레지스터(331), 샘플링 래치(332), 홀딩 래치(33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4) 및 출력 버퍼(335)를 포함할 수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331)는 소스 쉬프트 클록(SSC)의 1 주기마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 시키면서 샘플링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샘플링 신호들의 개수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링 신호들의 개수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가 데이터 구동부(300)와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사이에 디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한다면, 샘플링 신호들의 개수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의 개수보다 작을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에선 디멀티플렉서가 없는 경우를 가정한다.
샘플링 래치(332)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샘플링 래치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고, 타이밍 제어부(400)로부터 영상 프레임에 대한 계조값들(GD)을 순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샘플링 래치(332)는 쉬프트 레지스터(331)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받은 샘플링 신호들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400)로부터 순차적으로 제공받은 계조값들(GD)을 대응하는 샘플링 래치 유닛들에 저장할 수 있다.
홀딩 래치(333)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홀딩 래치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홀딩 래치(333)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가 입력될 때, 샘플링 래치 유닛들에 저장된 계조값들(GD)을 홀딩 래치 유닛들에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34)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유닛들의 개수는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각각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유닛들은 대응하는 홀딩 래치에 저장된 계조값(GD)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GV)을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인가할 수 있다.
출력 버퍼(335)는 버퍼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버퍼 유닛들은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일 수 있다. 각각의 버퍼 유닛들은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 형태로 구성되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유닛의 출력을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버퍼 유닛들의 반전 단자는 자신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비반전 단자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유닛의 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버퍼 유닛들의 출력들은 데이터 전압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 유닛들은 버퍼 전원 전압 및 그라운드 전원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버퍼 전원 전압은 소스 구동 전압(VLIN)일 수 있다. 버퍼 전원 전압은 버퍼 유닛의 출력 전압(즉, 데이터 전압)의 상한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전원 전압은 버퍼 유닛의 출력 전압의 하한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전원 공급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500)는 제2 외부 입력 전압(VBAT)을 제1 전원 전압(VDD), 제2 전원 전압(VSS), 및 소스 구동 전압(VLIN)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전원 제어 신호(CS)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제1 컨버터(510), 제2 컨버터(520), 및 제3 컨버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버터(510)는 제2 외부 입력 전압(VBAT)의 전압을 제1 전원 전압(VDD)으로 변환하고, 제2 컨버터(520)는 제2 외부 입력 전압(VBAT)의 전압을 제2 전원 전압(VSS)으로 변환하며, 제3 컨버터(530)는 제2 외부 입력 전압(VBAT)의 전압을 제3 전원 전압(VLIN)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버터(510) 및 제3 컨버터(530)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이고, 제2 컨버터(520)는 인버팅 벅 부스트 컨버터(inverting buck boost converter)일 수 있다. 제1 컨버터(510) 및 제2 컨버터(520)는 일반 모드에서 동작하며, 제3 컨버터(530)는 일반 모드 및 절전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500)는 제1 컨버터(510), 제2 컨버터(520) 및 제3 컨버터(530)를 포함하고, 일반 모드에서는 제1 컨버터(510), 제2 컨버터(520) 및 제3 컨버터(530)를 구동시키되 절전 모드에서는 제3 컨버터(530)만을 구동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컨버터(510) 및 제3 컨버터(53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a는 도 3의 전원 공급부에 포함된 제1 컨버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컨버터(510)는 제1 스위칭 제어부(511), 제1 스위치부(512) 및 방전부(513)(또는, 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버터(510)는 제2 외부 입력 전압(VBAT)을 변환하여 제1 전원 전압(VDD)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제어부(511)는 제1 제어 신호(G1) 및 제2 제어 신호(G2)를 포함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스위치부(512)에 제공할 수 있다. 도면상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1 제어 신호(G1) 및 제2 제어 신호(G2)는 전원 제어 신호(도 3의 CS)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1 스위치부(512)는 제1 인덕터(L1), 제1 트랜지스터(M1) 및 제2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덕터(L1)는 제2 외부 입력 전압(VBAT)이 인가되는 제1 입력 단자 및 제1 노드(N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덕터(L1)를 통해 흐르는 제1 인덕터 전류(I_IND1)에 기초하여 제1 전원 전압(VDD)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M1)는 제1 노드(N1)와 접지(또는, 그라운드 전압)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M1)는 제1 스위칭 제어부(511)로부터 제1 제어 신호(G1)를 인가받아 턴-온되고, 제1 인덕터(L1)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M2)는 제1 노드(N1)와 제1 전원 전압(VDD)이 출력되는 제1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M2)는 제1 트랜지스터(M1)와 교번하여 턴-온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트랜지스터(M1)가 턴-온되어 제1 인덕터(L1)에 기전력이 발생된 이후, 제2 트랜지스터(M2)가 턴-온됨으로써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전원 전압(VDD)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M2)는 제1 스위칭 제어부(511)로부터 제2 제어 신호(G2)를 인가받아 턴-온 될 수 있다.
방전부(513)는 방전 트랜지스터(M_FD) 및 가변 저항(R_FD)을 포함할 수 있다. 방전 트랜지스터(M_FD) 및 가변 저항(R_FD)은 제1 출력 단자와 접지 사이에서 상호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방전 트랜지스터(M_FD)는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전환 기간에서 방전 제어 신호(FD)를 인가받아 턴-온 될 수 있다. 특히, 방전 제어 신호(FD)는 표시 패널의 모든 화소들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기간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방전 제어 신호(FD)는 전원 제어 신호(도 3의 CS)에 포함되어 타이밍 제어부(4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전 트랜지스터(M_FD)는 턴-온 전압 레벨의 방전 제어 신호(FD)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턴-오프 전압 레벨의 방전 제어 신호(FD)에 응답하여 턴-오프될 수 있다.
제1 컨버터(510)는 전환 기간(특히,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방전 트랜지스터(M_FD)를 턴-온시킴으로써, 절전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제1 절전 전압 레벨로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절전 영상이 표시되기 전에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이 변화에 따른 표시 영상의 휘도 차이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b는 도 3의 전원 공급부에 포함된 제3 컨버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3 컨버터(530)는 제2 스위칭 제어부(531) 및 제2 스위치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컨버터(530)는 제2 외부 입력 전압(VBAT)을 변환하여 소스 구동 전압(VLIN)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제어부(531)는 제3 제어 신호(G3) 및 제4 제어 신호(G4)를 포함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스위치부(532)에 제공할 수 있다. 도면상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3 제어 신호(G3) 및 제4 제어 신호(G4)는 전원 제어 신호(도 3의 CS)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2 스위치부(532)는 제2 인덕터(L2), 제3 트랜지스터(M3) 및 제4 트랜지스터(M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덕터(L2)는 제2 외부 입력 전압(VBAT)이 인가되는 제2 입력 단자 및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인덕터(L2)를 통해 흐르는 제2 인덕터 전류(I_IND2)에 기초하여 소스 구동 전압(VLIN)이 제어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M3)는 제2 노드(N2)와 접지(또는, 그라운드 전압)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M3)는 제2 스위칭 제어부(531)로부터 제3 제어 신호(G3)를 인가받아 턴-온되고, 제2 인덕터(L2)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M4)는 제2 노드(N2)와 소스 구동 전압(VLIN)이 출력되는 제2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M4)는 제3 트랜지스터(M3)와 교번하여 턴-온 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M3)가 턴-온되어 제2 인덕터(L2)에 기전력이 발생된 이후, 제4 트랜지스터(M4)가 턴-온됨으로써 제2 노드(N2)의 전압이 소스 구동 전압(VLIN)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M4)는 제2 스위칭 제어부(531)로부터 제4 제어 신호(G4)를 인가받아 턴-온 될 수 있다.
제3 컨버터(530)는 표시 모드(예컨대, 절전 모드 및 일반 모드)에 따라, 제3 트랜지스터(M3)와 제4 트랜지스터(M4)의 턴-온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컨버터(530)의 제2 스위칭 제어부(531)는 모드 신호(MCS)를 제공 받을 수 있고, 모드 신호(MCS)에 의해 제3 제어 신호(G3) 및 제4 제어 신호(G4)의 제공 주기가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신호(MCS)는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 제어 신호(도 3의 CS)에 포함되어 타이밍 제어부(4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M3)와 제4 트랜지스터(M4)가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내부 구성들(예컨대, 제2 인덕터(L2))에 의해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제3 컨버터(530)는 절전 모드에서 제3 트랜지스터(M3)와 제4 트랜지스터(M4)의 턴-온 주기를 일반 모드에서의 턴-온 주기보다 길게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절전 모드에서 제3 트랜지스터(M3)와 제4 트랜지스터(M4)가 일반 모드 대비 단위 시간 당 더 적은 횟수로 턴-온 되므로, 제3 트랜지스터(M3)와 제4 트랜지스터(M4)의 스위칭에 따른 표시 장치(또는, 전원 공급부)의 전력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절전 모드에서 제3 트랜지스터(M3)와 제4 트랜지스터(M4)의 턴-온 주기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도 5의 Q1 영역을 확대한 파형도로서, 수직 블랭크 기간 중 제1 전원 전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Q2 영역을 확대한 파형도로서, 소스 구동 전압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절전 모드에서 소스 구동 전압의 리플 전압 및 스위칭 제어 신호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일반 모드(MD1, First mode)에서 일반 영상을 표시하고, 절전 모드(MD2, Second mode)에서 로드가 작은 절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모드 제어 신호(MD_SEL)는 일반 모드(MD1)에서 대체적으로 디스에이블 상태일 수 있고, 절전 모드(MD2)에서 대체적으로 인에이블 상태일 수 있다.
일반 모드(MD1)에서 모드 제어 신호(MD_SEL)가 인에이블 상태가 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전환 기간(TP1) 후 절전 모드(MD2)로 전환될 수 있다. 절전 모드(MD2)에서 모드 제어 신호(MD_SEL)는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절전 모드(MD2)에서 모드 제어 신호(MD_SEL)가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면, 표시 패널(100)은 제2 전환 기간(TP2) 후 일반 모드(MD1)로 전환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라, 표시 패널(100)은 제1 전환 기간(TP1) 및 제2 전환 기간(TP2)에서 블랙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전환 기간(TP1) 및 제2 전환 기간(TP2)에서 표시 패널(100)의 화소(PX)들에는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_SYNC)는 표시 패널(100)이 표시하는 영상 프레임들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수직 블랭크 신호(TE)는 수직 동기 신호(V_SYNC)와 중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수직 블랭크 신호(TE)는 수직 블랭크 기간을 정의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블랭크 기간은 표시 패널(100)의 화소(PX)들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기간일 수 있다. 예컨대, 수직 블랭크 신호(TE)는 이전 영상 프레임의 백 더미(Back dummy) 구간 및 현재 영상 프레임의 프론트 더미(Front dummy) 구간을 정의하는 신호일 수 있다. 수직 블랭크 신호(TE)가 하이 레벨(또는, 인에이블) 상태일 때, 표시 패널(100)의 모든 화소(PX)들은 표시 영상(일반 영상 및 절전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는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해 다양한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소스 구동 전압(VLIN), 제1 전원 전압(VDD), 및 제2 전원 전압(VSS)을 생성할 수 있고,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 및 감마 전압(VREG)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구동 전압(VLIN),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감마 전압(VREG), 및 제1 전원 전압(VDD)은 양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전압들일 수 있고, 제2 전원 전압(VSS), 및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은 음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전압들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가 생성하는 전압들은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구동 전압(VLIN)이 가장 큰 전압 레벨을 갖고,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감마 전압(VREG), 제1 전원 전압(VDD), 제2 전원 전압(VSS), 및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 순으로 점차 작은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이 가장 낮은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일반 모드(MD1)에서 모드 제어 신호(MD_SEL)가 인에이블 상태가 된 후, 다음 영상 프레임에서 제1 전환 기간(TP1)이 시작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t1)에서, 제1 전환 기간(TP1)이 시작되며, 표시 패널(100)의 화소(PX)들에는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제2 시점(t2) 내지 제3 시점(t3)에서 수직 블랭크 신호(TE)가 인에이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블랭크 신호(TE)가 인에이블(또는, 하이 레벨) 상태인 경우, 표시 패널(100)의 모든 화소(PX)들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시점(t2) 내지 제3 시점(t3)에서,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는 생성하는 전압들의 전압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는 전원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전압들의 전압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시점(t2) 내지 제3 시점(t3)에서 제1 전원 전압(VDD)의 변화(예컨대, 전압 강하)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이 참조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수직 블랭크 신호(TE)가 인에이블 상태인 수직 블랭크 기간(VBLNK)에서, 전원 공급부(500)는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500)는 제1 전원 전압(VDD)의 생성 및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500)는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제1 기준 전압 레벨(V1)에서 제1 절전 전압 레벨(V2)로 감소(예컨대, 강하)시킬 수 있다.
수직 블랭크 기간(VBLNK) 중, 수직 동기 신호(V_SYNC)가 제공된 후, 방전 시점(tFD)에서 제1 컨버터(510)에는 방전 제어 신호(FD)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 제어 신호(FD)가 입력될 경우, 제1 컨버터(510)의 방전 트랜지스터(M_FD)가 턴-온 되어 제1 전원 전압(VDD)이 빠르게 방전될 수 있다. 방전 제어 신호(FD)는 방전 기간(TS) 동안 인에이블 될 수 있으며, 방전 기간(TS)은 수직 블랭크 기간(VBLNK) 이내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300)는 수직 블랭크 기간(VBLNK)에서,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의 출력은 제1 컨버터(510)의 출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절전 영상의 부하가 일반 영상 대비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제1 전원 전압(VDD)과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이 일부 중첩하더라도, 데이터 구동부(300)의 동작에 의한 제1 컨버터(510)에 대한 영향은 미미할 수 있다.
제3 시점(t3) 이후, 절전 모드(MD2)에서 표시 패널(100)의 전원 라인(PL)에는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1 보조 전원 전압(U_VDD)의 전압 레벨은 제1 절전 전압 레벨(V2)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환 기간(TP1)에서 표시 패널(100)의 화소(PX)들에는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으나,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가 화소행들에 순차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일부의 화소(PX)들에는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다른 일부의 화소(PX)들에는 일반 영상 데이터 신호(예컨대, 일반 영상 또는 절전 영상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화소(PX)들에 일반 영상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중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이 변경(예컨대, 강하)될 경우, 화소(PX)들의 발광 소자에 제공되는 구동 전류량이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부 화소(PX)들이 표시하는 표시 영상에 휘도 차이가 발생하거나, 표시 불량(예컨대, 화면 번쩍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500)는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모든 화소(PX)들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기간(VBLNK)에 변경시키므로 사용자에게 표시 영상의 휘도 차이가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500)는 절전 모드(MD2)에서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제1 기준 전압 레벨(V1)에서 제1 절전 전압 레벨(V2)로 감소시키므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시점(t2) 내지 제3 시점(t3)에서 전원 공급부(500)가 생성하는 다른 전압들의 전압 레벨도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500)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500)는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전원 전압(VSS)은 음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전압일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500)는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의 절대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 및 감마 전압(VREG)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의 전압 레벨의 절대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시점(t3) 이후, 표시 패널(100)은 절전 모드(MD2)로 절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절전 모드(MD2)에서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는 전압 레벨이 변경된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 감마 전압(VREG), 제1 전원 전압(VDD) 및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절전 모드(MD2)에서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이 참조될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500)는 제1 기간(P1) 동안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을 제2 기준 전압 레벨(V3)에서 제2 절전 전압 레벨(V4)로 감소(예컨대, 강하)시킬 수 있다.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제1 기간(P1) 동안 계단식(stepped manner)으로 점진적으로(또는, 순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2 기간(P2) 동안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을 제3 기준 전압 레벨(V5)에서 제3 절전 전압 레벨(V6)로 감소(예컨대, 강하)시킬 수 있다.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 및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은 제1 전환 기간(TP1) 중 동일한 시점에 감소하기 시작할 수 있다.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제1 기간(P1) 동안 감소될 수 있고,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은 제1 기간(P1) 보다 짧은 제2 기간(P2) 동안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의 변화 시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 보다 빠른 시점에 감소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 보다 더 긴 기간 동안 감소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은 제1 전환 기간(TP1) 내에 변경되고, 이후 유지될 수 있으나,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제1 전환 기간(TP1) 및 절전 모드(MD2)의 일부 기간 동안 변경될 수 있다. 소스 구동 전압(VLIN)은 표시 패널(100)의 화소(PX)들에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전압이 아니므로, 표시 패널(100)이 절전 영상을 표시하는 절전 모드(MD2) 중 전압 레벨이 변경되더라도, 휘도 차이가 발생하거나 표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 차이(예컨대, 제2 기준 전압 레벨(V3)과 제2 절전 전압 레벨(V4)의 차이)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 차이(예컨대, 제3 기준 전압 레벨(V5)과 제3 절전 전압 레벨(V6)의 차이)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 차이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압 레벨 변화 후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예컨대, 제2 절전 전압 레벨(V4))은 전압 레벨 변화 전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예컨대, 제3 기준 전압 레벨(V5)) 이하의 전압 레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이 감소될 때,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슬루율은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슬루율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슬루율은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 차이(예컨대, 제2 기준 전압 레벨(V3)과 제2 절전 전압 레벨(V4)의 차이)를 전압 레벨 변경 기간(예컨대, 제1 기간(P1))으로 나눈 값에 비례할 수 있고,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슬루율은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 차이(예컨대, 제3 기준 전압 레벨(V5)과 제3 절전 전압 레벨(V6)의 차이)를 전압 레벨 변경 기간(예컨대, 제2 기간(P2))으로 나눈 값에 비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이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과 동일한 기간 동안 빠르게 감소될 경우,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 사이의 소정의 갭이 유지되지 않거나,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이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 보다 높아지는 전압 역전 형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의 전압 생성 및 공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표시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500)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을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보다 긴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의 차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RV) 이상으로 유지하고, 원활하게 전압들을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반 모드(MD1) 및 절전 모드(MD2)에서 제3 컨버터(530)의 제2 스위칭 제어부(531)는 특정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스위칭 제어 신호(LX)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스위칭 제어 신호(LX)는 제2 스위칭 제어부(531)가 출력하는 제3 제어 신호(G3) 및 제4 제어 신호(G4) 중 하나의 출력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스위칭 제어 신호(LX)는 제4 제어 신호(G4)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제어 신호(G3)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제2 스위칭 제어부(531)는 특정 주기로 턴-온 전압 레벨과 턴-오프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제3 제어 신호(G3)와 제4 제어 신호(G4)를 출력할 수 있다.
제3 제어 신호(G3)와 제4 제어 신호(G4)에 대응하여 제3 트랜지스터(M3) 및 제4 트랜지스터(M4)가 서로 교번하여 턴-온 될 수 있고, 제2 인덕터(L2)를 통해 흐르는 제2 인덕터 전류(I_IND2)에 기초하여 소스 구동 전압(VLIN)이 제어될 수 있다.
일반 모드(MD1)와 절전 모드(MD2)에서 제2 스위칭 제어부(531)는 서로 다른 주기로 스위칭 제어 신호(LX)를 출력할 수 있다. 일반 모드(MD1)와 절전 모드(MD2)에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LX)의 서로 다른 주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 8이 참조될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제3 컨버터(도 4b의 530)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을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다. 제3 컨버터(530)는 일반 모드(MD1)에서 절전 모드(MD2)로 전환 시,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제3 컨버터(530)의 제2 스위칭 제어부(도 4b의 531)는, 일반 모드(MD1)(또는, 제1 전환 기간(TP1))와 절전 모드(MD2)에서 서로 다른 주기를 갖는 스위칭 제어 신호(LX)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모드(MD1)에서 스위칭 제어 신호(LX)는 제1 주기(Ca)를 갖고, 절전 모드(MD2)에서 스위칭 제어 신호(LX)는 제2 주기(Cb)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주기(Cb)는 제1 주기(Ca)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일반 모드(MD1)에서 단위 시간당 제3 트랜지스터(M3) 및 제4 트랜지스터(M4)의 턴-온 횟수는 절전 모드(MD2)에서 단위 시간당 제3 트랜지스터(M3) 및 제4 트랜지스터(M4)의 턴-온 횟수보다 많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칭 제어부(531)는 모드 신호(MCS)에 응답하여 스위칭 제어 신호(LX)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신호(MCS)는 일반 모드(MD1) 및 절전 모드(MD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단위 시간당 제3 트랜지스터(M3) 또는 제4 트랜지스터(M4)의 턴-온 횟수가 감소할 경우, 소스 구동 전압(VLIN)의 리플 전압(Ripple)이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구동 전압(VLIN)의 리플 전압(Ripple)은 소스 구동 전압(VLIN)이 포함하는 교류 전압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절전 모드(MD2)에서는 표시 패널(100)이 로드가 작은 절전 영상을 표시하고, 리플 전압(Ripple)의 크기는 로드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으므로, 리플 전압(Ripple)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시 영상의 로드가 작아지므로, 트랜지스터들(M3, M4)의 턴-온 횟수가 감소하여 리플 전압(Ripple)의 크기가 증가하더라도, 리플 전압(Ripple)의 크기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전 모드(MD2)에서 소스 구동 전압(VLIN)의 리플 전압(Ripple)은 소정의 범위 내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칭 제어부(531)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의 리플 전압(Ripple)이 제1 설정값(RP_L)과 동일해지는 온 시점(t_on)에 턴-온 레벨의 스위칭 제어 신호(LX)를 제공하여 제3 트랜지스터(M3) 또는 제4 트랜지스터(M4)를 턴-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칭 제어부(531)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의 리플 전압(Ripple)이 제2 설정값(RP_H)과 동일해지는 오프 시점(t_off)에 턴-오프 레벨의 스위칭 제어 신호(LX)를 제공하여 제3 트랜지스터(M3) 또는 제4 트랜지스터(M4)를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컨버터(530)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의 리플 전압(Ripple)의 크기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제3 트랜지스터(M3) 또는 제4 트랜지스터(M4)의 턴-온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는 제3 컨버터(530) 내의 트랜지스터들(M3, M4)의 단위 시간당 스위칭 횟수(또는, 턴-온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들(M3, M4)의 단위 시간당 스위칭 횟수가 감소하더라도, 소스 구동 전압의 리플 전압의 크기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제어될 수 있으므로, 표시 품질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절전 모드(MD2) 중 모드 제어 신호(MD_SEL)가 디스에이블 상태(또는, 로우 전압 레벨)로 변경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제어 신호(MD_SEL)가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면, 표시 패널(100)은 제2 전환 기간(TP2) 후 일반 모드(MD1)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전환 기간(TP2)에서 표시 패널(100)의 화소(PX)들에는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제4 시점(t4) 내지 제6 시점(t6)의 제2 전환 기간(TP2)에서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는 생성하는 전압들의 전압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원 공급부(5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는 전원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전압들의 전압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시점(t4) 내지 제5 시점(t5)에서, 수직 블랭크 신호(TE)는 인에이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의 모든 화소(PX)들이 표시 영상(일반 영상 또는 절전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전환 기간(TP2) 중 수직 블랭크 신호(TE)의 인에이블 구간에서 전원 공급부(500)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즉각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변화 기간보다 긴 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500)는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증가시키고, 음의 전압 레벨인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500)는 제1 전원 전압(VDD) 및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의 절대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 변경 시점은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 변경 시점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은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이 변경된 후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은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의 전압 레벨의 변경이 완료된 이후에 변경될 수 있다. 즉,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레벨은 제5 시점(t5) 이후에 변경될 수 있다.
제2 전환 기간(TP2) 중 수직 블랭크 신호(TE)의 인에이블 구간에서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 및 감마 전압(VGL)의 전압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 및 감마 전압(VGL)의 전압 레벨을 증가시키고, 음의 전압 레벨인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 제2 게이트 구동 전압(VGL), 및 감마 전압(VGL)의 전압 레벨의 절대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6 시점(t6) 이후, 제2 전환 기간(TP2)이 종료되고, 표시 패널(100)의 화소(PX)들은 일반 모드(MD1)로 동작하여 일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는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수직 블랭크 신호(TE)가 인에이블 되는 수직 블랭크 기간(VBLNK) 내에 빠르게 변경시키므로 전압 강하에 따른 표시 영상의 휘도 차이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장치(10)는 제1 컨버터(510)에 방전 제어 신호(FD)를 제공하고, 제1 컨버터(510)의 방전부(513)를 통해 제1 전원 전압(VDD)을 빠르게 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 모드(MD1)에서 절전 모드(MD2)로 전환 시, 표시 장치(10)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의 차이가 기준값(RV)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고, 표시 장치(10)의 구동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는 일반 모드(MD1)와 비교하여 절전 모드(MD2)에서, 제3 컨버터(530) 내의 트랜지스터들(M3, M4)의 단위 시간당 스위칭 횟수(또는, 턴-온 횟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 변경 시점이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절전 모드(MD2) 중인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 외의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반 모드(MD1)에서 절전 모드(MD2)로 전환 시 또는 절전 모드(MD2)에서 일반 모드(MD1)로 전환 시,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절전 모드(MD2) 중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모드(MD1)에서 절전 모드(MD2)로 전환 시,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을 제1 전환 기간(TP1) 내에 변경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이 변경된 후, 전원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이 변경되고, 지연 기간(PD) 후의 제1 변경 시점(tc1)에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변경 시점(tc1)은 절전 모드(MD2) 내의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이 변경되고 다음 영상 프레임에서 감소될 수 있다. 즉,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변경 시점과 소스 구동 전압(VLIN)의 변경 시점 사이의 지연 기간(PD)은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대응되는 기간일 수 있다. 다만, 지연 기간(PD)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의 영상 프레임 이상의 기간에 대응되는 기간일 수도 있다.
이후, 절전 모드(MD2)에서 일반 모드(MD1)로 전환 시,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을 제2 전환 기간 내에 변경시킬 수 있다.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은 제2 전환 기간(TP2)에서 변경이 시작되지 않고,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이 변경되기 전, 절전 모드(MD2)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소스 구동 전압(VLIN)은 절전 모드(MD2)에서 모드 제어 신호(MD_SEL)가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는 제2 변경 시점(tc2)에 모드 제어 신호(MD_SEL)와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의 변경 시점이 서로 중첩하지 않으므로, 소스 구동 전압(VLIN)을 짧은 기간 내에 즉각적으로 변경시키더라도 소스 구동 전압(VLIN)의 전압 레벨과 제1 게이트 구동 전압(VGH)의 전압 레벨의 사이에 충분한 갭이 유지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데이터 구동부에 포함된 갭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300')는 상술한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300)와 비교하여, 제1 전원 전압(VDD)과 감마 전압(VREG) 사이의 갭을 유지하기 위한 갭 제어부(34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 외의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부(300')는 갭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갭 제어부(340)는 제1 전원 전압(VDD), 제1 감마 전압(VREG), 및 기준 전원 전압(VDD_REF)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기준 전원 전압(VDD_REF)은 별도로 설정되는 값일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값이 제공되거나, 표시 장치 제조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제공되는 값일 수 있다.
갭 제어부(340)는 제1 전원 전압(VDD), 제1 감마 전압(VREG), 및 기준 전원 전압(VDD_REF)에 기초하여 제2 감마 전압(VREG')(또는, 조절된 제1 감마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감마 전압(VREG')은 제1 전원 전압(VDD)과 일정한 갭(또는 차이)를 유지하는 전압일 수 있다. 갭 제어부(340)는 생성된 제2 감마 전압(VREG')을 계조 전압 생성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계조 전압 생성부(320)는 기준 전압(VREF) 및 갭 제어부(340)로부터 제공된 제2 감마 전압(VREG')에 기초하여 계조 전압들(GV)을 생성할 수 있고, 계조 전압들(GV)을 데이터 신호 생성부(33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갭 제어부(340)는 외부로부터 갭 제어 인에이블 신호(미도시)를 더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 신호에 의해 갭 제어부(340)가 인에이블 상태가 될 경우, 계조 전압 생성부(320)는 제2 감마 전압(VREG')에 기초하여 계조 전압들(GV)을 생성할 수 있고, 제어 신호에 의해 갭 제어부(340)가 디스에이블 상태가 될 경우, 계조 전압 생성부(320)는 제1 감마 전압(VREG)에 기초하여 계조 전압들(GV)을 생성할 수 있다.
갭 제어부(340)는 표시 모드에 따라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이 변경되더라도, 제1 전원 전압(VDD)과 제2 감마 전압(VREG')의 전압 레벨의 차이(VD)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2 감마 전압(VREG')의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갭 제어부(3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341), 제2 구동부(342), 및 제3 구동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341)는 제1 감마 전압(VREG) 및 제1 전원 전압(VDD)을 수신하고, 제1 감마 전압(VREG)과 제1 전원 전압(VDD)의 차이에 비례하는 기준 전압차(VD_REF)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구동부(341)는 비교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산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동부(341)에 제1 감마 전압(VREG) 및 제1 전원 전압(VDD)에 대한 디지털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1 구동부(341)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여, 제1 감마 전압(VREG) 및 제1 전원 전압(VDD)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기준 전압차(VD_REF)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42)는 제1 구동부(341)로부터 수신된 기준 전압차(VD_REF)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기준 전원 전압(VDD_REF)을 합산하여 기준 감마 전압(VREG_REF)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구동부(343)는 제2 구동부(342)로부터 수신된 기준 감마 전압(VREG_REF)에 기초하여 제2 감마 전압(VREG')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구동부(343)에 제공된 기준 감마 전압(VREG_REF)은 전압 제어 과정에서 내부 회로 소자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비율로 축소된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구동부(343)는 기준 감마 전압(VREG_REF)을 축소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증폭하여 제2 감마 전압(VREG')을 생성하고, 계조 전압 생성부(32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구동부(343)는 비반전 증폭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구동부(343)는 증폭기(AMP) 및 분압기(VDV)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AMP)는 기준 감마 전압(VREG_REF)을 수신하는 제1 입력 단자, 제2 감마 전압(VREG')의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는 제2 입력 단자, 및 제2 감마 전압(VREG')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단자는 양의 입력 단자이고, 제2 입력 단자는 음의 입력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압기(VDV)는 복수의 저항들(R1, R2)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 단자로 출력되는 제2 감마 전압(VREG')의 일부를 제2 입력 단자 측으로 피드백 할 수 있다. 즉, 분압기(VDV)는 출력 단자 및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제2 감마 전압(VREG')의 피드백 전압을 증폭기(AMP)의 제2 입력 단자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구동부(343)의 증폭기(AMP) 및 분압기(VDV)는 비반전 증폭기를 구성할 수 있고, 제1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기준 감마 전압(VREG_REF)은 분압기(VDV)가 포함하는 저항들(R1, R2)의 비율에 따라 증폭되어 출력 단자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마 전압(VREG')은 기준 감마 전압(VREG_REF)을 (1+R2/R1)배 증폭하여 출력되는 전압일 수 있다.
도면상 도시되진 않았으나, 전원 공급부(500)는 외부로부터 기준 전원 전압(VDD_REF)을 수신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증폭기(예컨대, 비반전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00)는 기준 전원 전압(VDD_REF)을 증폭하여 조절된 제1 전원 전압(VDD')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이 변경되더라도 갭 제어부(340)에 의해 제2 감마 전압(VREG')과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의 차이(VD)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화소(PX)의 발광 소자에 제공되는 구동 전류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제1 전원 전압(VDD)의 전압 레벨을 변경하더라도 표시 패널(100)이 표시하는 영상에 휘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화소(PX)들에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 별도의 전환 구간 없이 일반 모드와 절전 모드 간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게이트 구동부 300: 데이터 구동부
310: 전원 변환부 320: 계조 전압 생성부
330: 데이터 신호 생성부 340: 갭 제어부
400: 타이밍 제어부 500: 전원 공급부
510: 제1 컨버터 520: 제2 컨버터
530: 제3 컨버터 TE: 수직 블랭크 신호
VLIN: 소스 구동 전압 VDD: 제1 전원 전압
VSS: 제2 전원 전압 VGH: 제1 게이트 구동 전압
VGL: 제2 게이트 구동 전압 VREG: 감마 전압, 제1 감마 전압
VREG': 제2 감마 전압 VREF: 기준 전압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들 및 전원 라인을 포함하고, 일반 모드 또는 절전 모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소스 구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전원 라인에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전원 라인에 제1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제1 전환 기간 중 상기 화소들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제1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켜 출력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버터는,
    외부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전원 전압이 출력되는 제1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인덕터와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고 가변 저항과 방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버터는 상기 트랜지스터들을 서로 교번하여 턴-온시켜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는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제공된 방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상기 제1 컨버터는 상기 방전 제어 신호가 제공된 이후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상기 제1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키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제2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버터는,
    외부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단자와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이 출력되는 제2 출력 단자와 상기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공되는 제1 주기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제공되는 제2 주기와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길게 설정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리플 전압이 제1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또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상기 리플 전압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키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일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일반 영상의 로드보다 작은 로드를 가지는 절전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화소들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제1 구동 주파수로 상기 일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화소들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보다 작은 제2 구동 주파수로 상기 절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소스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 및 게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 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1 기간 동안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제2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기간보다 짧은 제2 기간 동안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제3 절전 전압 레벨로 감소시켜 출력하되,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과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의 차이는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을 유지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은 상기 제1 기간 동안 계단식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구동 전압 및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감소될 때,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슬루율은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슬루율 보다 작은 표시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전환 기간 후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전환 기간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이 감소된 후, 다음 프레임에서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키는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모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증가시키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진입하는 제2 전환 기간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의 전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전환 기간에서 상기 화소들에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표시 장치.
  16. 복수의 화소들 및 전원 라인을 포함하고, 일반 모드 또는 절전 모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소스 구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전원 라인에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외부 입력 전압 및 상기 소스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제1 보조 전원 전압 및 제1 감마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전원 라인에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기간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감마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감소시켜 출력하며,
    상기 일반 모드 및 상기 절전 모드에서 상기 제1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1 감마 전압의 전압 레벨의 차이는 일정한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소스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 및 상기 제1 감마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제1 감마 전압에 기초하여 계조 전압들을 생성하는 계조 전압 생성부; 및
    상기 계조 전압들 및 상기 소스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1 감마 전압, 상기 제1 전원 전압, 및 기준 전원 전압에 기초하여 전압 레벨이 조절된 제2 감마 전압을 생성하는 갭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계조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2 감마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계조 전압들을 생성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갭 제어부는,
    상기 제1 감마 전압 및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비교하여 기준 전압차를 생성하는 제1 구동부;
    상기 기준 전압차 및 상기 기준 전원 전압을 합산하여 기준 감마 전압을 생성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기준 감마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감마 전압을 출력하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부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준 감마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 단자, 상기 제2 감마 전압의 피드백 전압을 수신하는 제2 입력 단자, 및 상기 제2 감마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증폭기; 및
    상기 출력 단자 및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감마 전압의 상기 피드백 전압을 상기 증폭기의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제공하는 분압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027302A 2020-03-04 2020-03-04 표시 장치 KR20210112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02A KR20210112442A (ko) 2020-03-04 2020-03-04 표시 장치
US17/016,998 US11250762B2 (en) 2020-03-04 2020-09-10 Display device
CN202110086832.XA CN113362778A (zh) 2020-03-04 2021-01-2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02A KR20210112442A (ko) 2020-03-04 2020-03-0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442A true KR20210112442A (ko) 2021-09-15

Family

ID=7752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302A KR20210112442A (ko) 2020-03-04 2020-03-0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50762B2 (ko)
KR (1) KR20210112442A (ko)
CN (1) CN1133627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5066B2 (en) 2022-07-27 2024-04-09 Samsung Display Co., Ltd. Source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308A (ko) * 2020-04-21 2021-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870807B (zh) * 2021-09-22 2023-03-10 惠州视维新技术有限公司 显示器、电子设备以及显示器的驱动方法
CN113920957B (zh) * 2021-10-29 2022-07-26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20230067973A (ko) * 2021-11-10 2023-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데이터 구동 회로
CN117008707A (zh) * 2022-04-27 2023-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降低功耗的方法和电子设备
TWI814367B (zh) * 2022-04-29 2023-09-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
CN115331599A (zh) * 2022-07-25 2022-11-1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60B1 (ko) 2005-06-28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작 모드 전환 방법
KR101323390B1 (ko) 2010-09-20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와 그 저전력 구동방법
KR102276185B1 (ko) * 2014-12-29 2021-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334248B1 (ko) * 2015-10-27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39419B1 (ko) * 2015-11-24 2022-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485453B1 (ko) * 2015-11-24 2023-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DE112017001625B4 (de) * 2016-03-31 2021-06-24 Fujifilm Corporation Digitalkamera und Anzeigeverfahren für die Digitalkamera
JP6866584B2 (ja) * 2016-07-21 2021-04-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48467B1 (ko) 2017-12-04 2023-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1858B1 (ko) 2018-01-25 2022-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저전력 모드를 지원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5066B2 (en) 2022-07-27 2024-04-09 Samsung Display Co., Ltd. Source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0121A1 (en) 2021-09-09
CN113362778A (zh) 2021-09-07
US11250762B2 (en)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2442A (ko) 표시 장치
KR102548467B1 (ko)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23602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3974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wer supply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70171169A1 (en)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quickly driving a capacitive load with heat generation reduced and a method therefor
KR20160043627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30051363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08176159A (ja) 表示装置
KR102610428B1 (ko) Dc-dc 컨버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7193336A (ja) 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0755657B2 (en) Energy retrievable data driver,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JP2007179027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210018614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26549B1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07515673A (ja) 表示デバイス駆動回路
KR20060048486A (ko) 컬러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반도체 장치
KR20050020586A (ko)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KR20210147134A (ko) 표시 장치
KR20200080206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310479B2 (en) Display panel drive apparatus and display panel drive method
CN115249455A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9754521B2 (en) Display drive circuit and standby power reduction method thereof
KR20140079044A (ko) 전원 공급부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
KR102151058B1 (ko) 게이트 펄스 변조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097152A1 (en)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