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335A - 유저장치, 및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및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335A
KR20210112335A KR1020217023168A KR20217023168A KR20210112335A KR 20210112335 A KR20210112335 A KR 20210112335A KR 1020217023168 A KR1020217023168 A KR 1020217023168A KR 20217023168 A KR20217023168 A KR 20217023168A KR 20210112335 A KR20210112335 A KR 20210112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user
harq
user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헤이 요시오카
사토시 나가타
후안 왕
시아오린 호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10112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저장치에 있어서,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한다.

Description

유저장치, 및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LTE-A(LTE Advanced), NR(New Radio)(5G라고도 한다.))에서는, 유저장치끼리가 기지국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D2D(Device to Device)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D2D는, 유저장치와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트래픽을 경감시키고, 재해 시 등에 기지국장치가 통신 불가능해진 경우라도 유저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3GPP(3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D2D를 '사이드링크(sidelink)'라 칭하고 있다.
D2D 통신은, 통신 가능한 다른 유저장치를 발견하기 위한 D2D 디스커버리(D2D discovery, D2D 발견이라고도 한다.)와, 유저장치 사이에서 직접 통신하기 위한 D2D 커뮤니케이션(D2D direct communication, D2D 통신, 단말 간 직접 통신 등이라고 한다.)로 크게 나뉜다. 이하에서는, D2D 커뮤니케이션, D2D 디스커버리 등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을 때는, 단순히 D2D(혹은 사이드링크)라고 부른다. 또, D2D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D2D 신호(혹은 사이드링크 신호)라고 부른다. NR에 있어서의 V2X(Vehicle to Everything)에 따른 서비스의 다양한 유스 케이스가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1 V15.3.0(2018-09) 비특허문헌 2: 3GPP TR 22.886 V15.1.0(2017-03)
V2X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통신에 있어서, 재송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유저장치 사이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이 실행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V2X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의 종래 기술에서는, HARQ 동작의 구체적인 수법은 제안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사이드링크에서는, 적절하게 HARQ 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유저장치로부터 같은 리소스로 HARQ-ACK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 어느 HARQ-ACK 정보를 수신한 유저장치는, 수신한 HARQ-ACK 정보가, 자신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 유저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없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ACK를 수신해야 하는데, NACK를 수신해 버려서, 데이터의 송신에 실패했다는 오해(misunderstand)를 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이드링크에 있어서, HARQ 동작을 적절하게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장치가 제공된다.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사이드링크에 있어서, HARQ 동작을 적절하게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도 1은 V2X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V2X의 송신 모드의 예(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V2X의 송신 모드의 예(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V2X의 송신 모드의 예(3)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V2X의 송신 모드의 예(4)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V2X의 송신 모드의 예(5)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V2X의 통신 타입의 예(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V2X의 통신 타입의 예(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V2X의 통신 타입의 예(3)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시나리오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오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오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시나리오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오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실시 예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실시 예 1에 있어서의 리소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Case 1(Intra-UE Collis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은 Case 2(Inter-UE Collision)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는 실시 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2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 또는 유저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일 예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는, 적절하게, 기존 기술이 사용된다. 단, 해당 기존 기술은, 예를 들면 기존의 LTE이지만, 기존의 LTE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LTE'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LTE-Advanced, 및, LTE-Advanced 이후의 방식(예: NR),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현재 LTE의 규격서에 기재되어 있는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등의 채널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NR에 있어서는, 이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채널이 이들과는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좋다. 또한, PSSCH을 사이드링크용 데이터 채널이라 부르고, PSCCH을 사이드링크용 제어 채널이라 불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중통신(Duplex) 방식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어도 좋으며,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어도 좋으며, 또는 그 이외(예를 들면, Flexible Duplex 등)의 방식이어도 좋다.
도 1은, V2X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3GPP에서는, D2D 기능을 확장함으로써 V2X(Vehicle to Everything) 혹은 eV2X(enhanced V2X)를 실현하는 것이 검토되고, 사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V2X란,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일부이며, 차량 간에 수행되는 통신 형태를 의미하는 V2V(Vehicle to Vehicle), 차량과 도로변에 설치되는 노변장치(RSU: Road-Side Unit)와의 사이에서 수행되는 통신 형태를 의미하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과 ITS 서버와의 사이에서 수행되는 통신 형태를 의미하는 V2N(Vehicle to Network), 및, 차량과 보행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과의 사이에서 수행되는 통신 형태를 의미하는 V2P(Vehicle to Pedestrian)의 총칭이다.
또, 3GPP에서는, LTE 또는 NR의 셀룰러 통신 및 단말 간 통신을 이용한 V2X가 검토되고 있다. 셀룰러 통신을 이용한 V2X를 셀룰러 V2X라고도 한다. NR의 V2X에 있어서는, 대용량화, 저지연, 고신뢰성, QoS(Quality of Service) 제어를 실현하는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LTE 또는 NR의 V2X에 대해, 향후 3GPP 사양으로 한정되지 않는 검토도 진행되고 있는 것이 상정된다. 예를 들면,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의 확보, 상위 레이어의 실장에 의한 비용의 저감, 복수 RAT(Radio Access Technology)의 병용 또는 전환 방법, 각국에 있어서의 레귤레이션 대응, LTE 또는 NR의 V2X 플랫폼의 데이터 취득, 분배(distribution; 配信),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이용 방법이 검토되는 것이 상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저장치가 차량에 탑재되는 형태를 주로 상정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해당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는 사람이 보유하는 단말이어도 좋으며, 유저장치가 드론 혹은 항공기에 탑재되는 장치이어도 좋으며, 유저장치가 기지국의 능력을 갖는 장치, RSU, 중계국(릴레이 노드), 스케줄링 능력을 갖는 유저장치 등이어도 좋다.
또한, SL(Sidelink)은, UL(Uplink) 또는 DL(Downlink)과 이하 1)-4)의 어느 것 또는 조합에 기초하여 구별되어도 좋다. 또, SL은, 다른 명칭이어도 좋다.
1) 시간 영역의 리소스 배치
2)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배치
3) 참조하는 동기 신호(SLSS(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한다)
4)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패스로스 측정에 이용하는 참조 신호
또, SL 또는 UL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관해, CP-OFDM(Cyclic-Prefix OFDM),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Transform precoding되어 있지 않은 OFDM 또는 Transform precoding되어 있는 OFDM의 어느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LTE의 SL에 있어서, 유저장치(20)로의 SL의 리소스 할당에 관해 Mode3과 Mode4가 규정되어 있다. Mode3에서는, 기지국장치(10)로부터 유저장치(20)로 송신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의해 다이나믹하게 송신 리소스가 할당된다. 또, Mode3에서는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도 가능하다. Mode4에서는, 유저장치(20)는 리소스 풀로부터 자율적으로 송신 리소스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롯은, 심벌, 미니 슬롯, 서브 프레임, 무선 프레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로 대체되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셀은, 셀 그룹, 캐리어 컴포넌트, BWP, 리소스 풀, 리소스, RAT(Radio Access Technology), 시스템(무선 LAN을 포함) 등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도 2는, V2X의 송신 모드의 예(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에서는, 단계 1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가 사이드링크의 스케줄링을 유저장치(20A)로 송신한다. 이어서, 유저장치(20A)는, 수신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및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을 유저장치(20B)로 송신한다(단계 2). 도 2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를, LTE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3이라 불러도 좋다. LTE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3에서는, Uu 베이스의 사이드링크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Uu이란,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UE(User Equipment)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를, NR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1이라 불러도 좋다.
도 3은, V2X의 송신 모드의 예(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에서는, 단계 1에 있어서, 유저장치(20A)는, 자율적으로 선택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PSCCH 및 PSSCH을 유저장치(20B)로 송신한다. 도 3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를, LTE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4라 불러도 좋다. LTE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4에서는, UE 자신이 리소스 선택을 실행한다.
도 4는, V2X의 송신 모드의 예(3)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에서는, 단계 1에 있어서, 유저장치(20A)는, 자율적으로 선택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PSCCH 및 PSSCH을 유저장치(20B)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유저장치(20B)는, 자율적으로 선택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PSCCH 및 PSSCH을 유저장치(20A)로 송신한다(단계 1). 도 4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를, NR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2a라 불러도 좋다. NR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2에서는, UE 자신이 리소스 선택을 실행한다.
도 5는, V2X의 송신 모드의 예(4)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에서는, 단계 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가 사이드링크의 스케줄링 그랜트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설정을 통해 유저장치(20A)로 송신한다. 이어서, 유저장치(20A)는, 수신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PSSCH을 유저장치(20B)로 송신한다(단계 1). 도 5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를, NR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2c라 불러도 좋다.
도 6은, V2X의 송신 모드의 예(5)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에서는, 단계 1에 있어서, 유저장치(20A)가 사이드링크의 스케줄링을 PSCCH을 통해 유저장치(20B)로 송신한다. 이어서, 유저장치(20B)는, 수신한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PSSCH을 유저장치(20A)로 송신한다(단계 2). 도 6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송신 모드를, NR에 있어서의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2d라 불러도 좋다. 또한, 도 2의 구성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를 유저장치(20)로 치환한 구성(이 경우, 단계 1의 정보 송신은 PSCCH에 의해 실행되는)에 대해서도, 사이드링크 송신 모드 2d라 불러도 좋다.
도 7은, V2X의 통신 타입의 예(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의 통신 타입은, 유니캐스트이다. 유저장치(20A)는, PSCCH 및 PSSCH을 유저장치(20)로 송신한다. 도 7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유저장치(20A)는, 유저장치(20B)에 유니캐스트를 수행하고, 또, 유저장치(20C)에 유니캐스트를 수행한다.
도 8은, V2X의 통신 타입의 예(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의 통신 타입은, 그룹캐스트이다. 유저장치(20A)는, PSCCH 및 PSSCH을 하나 또는 복수의 유저장치(20)가 속하는 그룹으로 송신한다. 도 8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그룹은 유저장치(20B) 및 유저장치(20C)를 포함하고, 유저장치(20A)는, 그룹으로 그룹캐스트를 수행한다.
도 9는, V2X의 통신 타입의 예(3)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에 도시되는 사이드링크의 통신 타입은, 브로드캐스트이다. 유저장치(20A)는, PSCCH 및 PSSCH을 하나 또는 복수의 유저장치(20)로 송신한다. 도 9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유저장치(20A)는, 유저장치(20B), 유저장치(20C) 및 유저장치(20D)에 브로드캐스트를 수행한다. 또한, 도 7∼도 9에 도시한 유저장치(20A)를 헤더 UE(header-UE)라 칭해도 좋다.
또, NR-V2X에 있어서, 사이드링크의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로 HARQ가 서포트되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NR-V2X에 있어서, HARQ 응답을 포함하는 SFCI(Sidelink Feedback Control Information)(사이드링크 피드백 제어 정보)가 정의된다. 또한, PSFCH(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을 통해, SFCI가 송신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이드링크에서의 HARQ-ACK(혹은,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SR(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에 있어서, PSFCH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일 예이다. 예를 들면, PSCCH을 사용하여 사이드링크에서의 HARQ-ACK(혹은, CSI, SR)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으며, PSSCH을 사용하여 사이드링크에서의 HARQ-ACK(혹은, CSI, SR)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으며, 그 외의 채널을 사용하여 사이드링크에서의 HARQ-ACK(혹은, CSI, SR)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사이드링크 통신의 시나리오 예에 대해)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기술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관련된 사이드링크 통신의 시나리오의 예를 도 10∼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유저장치(20A)가 유저장치(20B)에 패킷 1을 송신하지만, 송신에 실패하여, 유저장치(20B)는 올바르게 패킷 1을 수신할 수 없다. 한편, 유저장치(20D)는 패킷 2를 유저장치(20C)로 송신하고, 송신에 성공하여, 유저장치(20C)는 패킷 2를 수신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저장치(20A)와 유저장치(20D)가, HARQ-ACK용 리소스로서 같은 리소스를 패킷 송신처로 통지함으로써, 유저장치(20B)와 유저장치(20C)는 각각, 같은 리소스를 사용하여 HARQ-ACK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같은 리소스를 사용하여, 유저장치(20B)는 NACK를 송신하고, 유저장치(20C)는 ACK를 송신한다.
HARQ-ACK 정보의 송신에, 유저장치(20B)와 유저장치(20C)가 같은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20C)로부터 송신된 ACK를 유저장치(20A)가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유저장치(20A)는, ACK를 수신했음으로 인해, 패킷 1이 정상적으로 송신되었다고 오해(misunderstand)할 가능성이 있다.
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20B)로부터 송신된 NACK를 유저장치(20D)가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유저장치(20D)는, NACK를 수신했음으로 인해, 패킷 2의 송신에 실패했다고 오해(misunderstand)할 가능성이 있다.
다른 예를 도 13, 도 14에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장치(20A)와 유저장치(20B)가 같은 데이터 송신 리소스를 선택했기 때문에, 유저장치(20A)가 유저장치(20C)에 패킷 1을 송신하지만, 송신에 실패하여, 유저장치(20C)는 올바르게 패킷 1을 수신할 수 없다. 한편, 유저장치(20B)는 패킷 2를 유저장치(20C)로 송신하고, 송신에 성공하여, 유저장치(20C)는 패킷 2를 수신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저장치(20A)와 유저장치(20B)가, HARQ-ACK용 리소스로서 같은 리소스를 패킷 송신처로 통지함으로써, 유저장치(20C)는, 유저장치(20A)와 유저장치(20B)에서 HARQ-ACK 정보 송신을 위해 같은 리소스를 선택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20C)로부터 유저장치(20B)를 향해 송신된 ACK를 유저장치(20A)가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유저장치(20A)는, ACK를 수신했음으로 인해, 패킷 1이 정상적으로 송신되었다고 오해(misunderstand)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HARQ-ACK 정보의 오해가 생긴다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HARQ-ACK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장치(20)는, HARQ-ACK 정보와 함께, 송신 ID(transmitter-ID(identifier))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암묵적으로(implicitly) 혹은 명시적으로(explicitly)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HARQ-ACK 정보를 피드백 정보라고 칭해도 좋다. 또, 'ID'를 식별자, 혹은 식별 정보라 칭해도 좋다.
송신 ID는, HARQ-ACK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PSSCH)를 송신하는 유저장치(20)에 관한 ID라고 한다. 송신 ID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RNTI, UE-ID, 그룹(캐스트)-ID이다. 송신 ID로서의 그룹-ID는, 예를 들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유저장치(20)가 속하는 그룹의 ID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 ID 대신에(혹은, 송신 ID에 더해), 수신 ID(receiver-ID)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신 ID는, HARQ-ACK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PSSCH)를 수신하는 유저장치(20)에 관한 ID라고 한다. 수신 ID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RNTI, UE-ID, 그룹(캐스트)-ID이다. 수신 ID로서의 그룹-ID는, 예를 들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저장치(20)가 속하는 그룹의 ID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에 대해, 실시 예 1∼4를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 1∼3 중 어느 2개 또는 3개 전부는,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예 4는, 이와 같이 조합된 실시 예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 예 1)
〈실시 예 1의 구성 예〉
도 15는, 실시 예 1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및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구성(및 신호의 흐름,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저장치(20), 기지국장치(10)의 설명)은 실시 예 2, 3에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도 15는, 실시 예 2, 3, 및 4에 있어서도 사용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 예 1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기지국장치(10), 유저장치(20A), 및 유저장치(20B)를 갖는다. 또한, 실제로는 다수의 유저장치가 존재하지만, 도 15는 예로서 유저장치(20A), 및 유저장치(20B)를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적절하게, 유저장치(20A), 및 유저장치(20B)에 더해, 유저장치(20C), 유저장치(20D) 등을 나타내고 있다. 유저장치(20A, 20B) 등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 단순히 '유저장치(20)' 혹은 '유저장치'라고 기술한다.
또, 도 15의 예에서는, 기지국장치(10)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장치(10)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 즉, 유저장치(20A), 및 유저장치(20B)가 셀의 커버리지 밖이어도 좋다.
유저장치(20A)가 셀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장치(20A)가 기지국장치(10)로부터 SL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SL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장치(20A)로부터 유저장치(20B)로의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저장치(20)는,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된 장치이며, LTE 혹은 NR에 있어서의 UE로서의 셀룰러 통신의 기능, 및, 사이드링크 기능을 갖고 있다. 유저장치(20)가, 일반적인 휴대단말(스마트폰 등)이어도 좋다. 또, 유저장치(20)가, RSU이어도 좋다. 해당 RSU는, UE의 기능을 갖는 UE 타입 RSU이어도 좋으며, 기지국장치의 기능을 갖는 gNB 타입 RSU이어도 좋다.
또한, 유저장치(20)는 하나의 본체의 장치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각종 센서가 차량 내에 분산하여 배치되는 경우라도, 해당 각종 센서를 포함시킨 장치가 유저장치(20)이다.
또, 유저장치(20)의 사이드링크의 송신 데이터의 처리 내용은 기본적으로는, LTE 혹은 NR에서의 UL 송신의 처리 내용과 동일하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20)는, 송신 데이터의 코드워드를 스크램블하고, 변조하여 complex-valued symbols를 생성하고, 해당 complex-valued symbols(송신 신호)를 1 또는 2 레이어에 맵핑하고, 프리코딩을 수행한다. 그리고, precoded complex-valued symbols를 리소스 엘리먼트로 맵핑하여, 송신 신호(예: complex-valued time-domain SC-FDMA signal)를 생성하고, 각 안테나 포트로부터 송신한다.
또, 기지국장치(10)에 대해서는, LTE 혹은 NR에 있어서의 기지국으로서의 셀루러 통신의 기능, 및,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20)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능(예: 리소스 풀 설정, 리소스 할당 등)을 갖고 있다. 또, 기지국장치(10)는, RSU(gNB 타입 RSU)이어도 좋다.
또, 실시 예 1(다른 실시 예에서도 동일)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장치(20)가 SL 혹은 UL에 사용하는 신호 파형은, OFDMA이어도 좋으며, SC-FDMA이어도 좋으며, 그 외의 신호 파형이어도 좋다.
〈실시 예 1의 동작 예〉
실시 예 1에서는, HARQ-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PSFCH의 리소스가, 송신 ID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즉, 도 1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S101, S102에 있어서, 유저장치(20A)는, PSCCH에 의해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함과 동시에, PSSCH에 의해 SL 데이터를 송신한다.
유저장치(20B)는, 유저장치(20A)로부터 송신된 SCI(PSCCH)와 SL 데이터(PSSCH)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PSCCH에 의해 수신한 SCI 중에 유저장치(20A)의 송신 ID가 포힘되어 있다.
유저장치(20B)는, 수신한 SCI에 포함되는 송신 ID에 기초하여, HARQ-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리소스를 결정하고, 해당 리소스를 사용하여 HARQ-ACK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유저장치(20A)가, 송신 ID에 기초하여 HARQ-ACK 정보 송신을 위한 리소스를 결정하고, 해당 리소스의 정보를 SCI로 유저장치(20B)에 통지해도 좋다.
유저장치(20A)는, 해당 송신 ID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소스로 HARQ-ACK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HARQ-ACK 정보를 감시하고 있다). 만약, 유저장치(20A)가, 해당 리소스로 ACK를 수신하면, S102에서 송신한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유저장치(20B)로 송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유저장치(20A)가, 해당 리소스로 NACK를 수신하거나, 혹은, 아무 것도 수신하지 않은 경우, S102의 데이터 송신은 실패였다고 인식하고, 재송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 ID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리소스는, 계열, 코드, 시간,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이어도 좋으며, 어느 2개의 조합이어도 좋으며, 어느 3개의 조합이어도 좋으며, 4개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송신 ID에 기초하여 리소스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송신 ID로부터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예: 시간 리소스라면 슬롯 번호 혹은 심벌 번호 등)를 출력하는 함수가 정의되어 있으며, 그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 송신 ID와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지은 테이블이 정의되어 있으며, 그 테이블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송신 ID에 의해 결정되는 리소스가, 시간·주파수 리소스라고 하여, 다른 송신 ID에는 다른 시간·주파수 리소스(직교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가 규정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어느 타이밍에서의 1회의 PSFCH 리소스에서의 정보 송신(수신측은 수신)에 있어서, 10개의 직교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할당 가능하다고 하면, HARQ-ACK의 수신측의 유저장치(20A)는, 10대의 다른 유저장치(20)로부터의 HARQ-ACK 정보를 기대할 수 있다.
또, PSFCH의 시간·주파수 리소스가, 데이터의 송신측의 유저장치(20A)로부터 유저장치(20B)에 SCI로 지정되고, 데이터의 수신측의 유저장치(20B)가 송신하는 HARQ-ACK 정보의 계열이 송신 ID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도 15의 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저장치(20A)는, S101에서, 송신 ID와 함께 PSFCH의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SCI를 송신한다.
혹은, 유저장치(20A)가 S101 및 S102에서 송신하는 PSCCH의 리소스와 PSSCH의 리소스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PSFCH의 시간·주파수 리소스가 대응지어져 있어도 좋다.
도 16은, PSFCH의 시간·주파수 리소스가, 데이터의 송신측의 유저장치(20A)로부터 지정되고, 데이터의 수신측의 유저장치(20B)가 송신하는 HARQ-ACK 정보의 계열이 송신 ID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리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20A)가, PSCCH과 PSSCH의 리소스로 SCI와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SCI에 의해, 도 16에 도시되는 PSFCH의 시간·주파수 리소스가 지정된다. 또, SCI에는 송신 ID가 포함된다.
유저장치(20B)는, 해당 PSFCH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 ID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계열(sequence)을 갖는 HARQ-ACK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송신 ID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계열에 대해, 그 계열이 송신 ID에 대응됨과 동시에, ACK 혹은 NACK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도 좋으며, 계열 자체는 송신 ID에 대응되고, ACK 혹은 NACK의 구별은 다른 정보(예를 들면, 계열에 적용되는 사이클릭 시프트, 혹은 코드)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실시 예 1에 의해, HARQ-ACK 정보의 수신에 관한 오해(misunderstand)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실시 예 1에서는, 명시적으로 송신 ID를 송신하기 않기 때문에, 송신 ID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 1의 리소스 충돌에 대한 대책 예: Case 1〉
CSI, SR 등이 PSFCH 리소스로 SFCI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송신되어도 좋다. 또, 실시 예 1에 있어서의 PSFCH 리소스의 결정 방법은, HARQ-ACK 정보뿐 아니라, CSI, SR 등에도 적용해도 좋다, 이하, HARQ-ACK 정보, CSI, SR을 총칭하여 피드백 정보라 부른다.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 송신을 위한 각각의 PSFCH 리소스가 같은 송신 ID(편의 상 ID-A라고 한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SFCH 리소스(도 17의 예에서는, 시간 리소스)가 중복(충돌)한다. 도 17의 예에서는, 같은 시간 리소스에 있어서, 주파수 방향으로 ACK, SCI, SR이 다중되어 있다.
이 경우, 유저장치(20B)는, 해당 복수의 정보(ACK, CSI, SR)를 다중하여 송신하기 위한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ID-A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해당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사용하여 해당 다중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이 경우의 다중 정보는, 예를 들면, ACK, CSI, 및 SR를 묶어 하나의 정보 계열(비트열)로 나타낸 정보이다. 또, 다중하는 정보는 ACK, CSI, 및 SR의 3개라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 중 어느 2개의 정보를 다중하는 경우도 있다(이 점은 다른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다).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 송신을 위한 각각의 PSFCH 리소스가, 각각 다른 ID(예를 들면, 송신측의 UE-ID, 그룹 ID)로 결정되고, 그리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SFCH 리소스(도 17의 예에서는, 시간 리소스)가 중복(충돌)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7의 예에서는, 같은 시간 리소스에 있어서, 주파수 방향으로 ACK, SCI, SR이 다중되어 있다.
이 경우, 유저장치(20B)는, 이들의 정보(ACK, SCI, SR)를 다중하여 송신하기 위한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다음의 Alt1 또는 Alt2 또는 Alt3의 방법으로 결정하고, 해당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사용하여 다중 정보를 송신한다.
Alt1: 유저장치(20B)는, 임의의 방법으로 다른 복수의 ID 중에서 하나의 ID를 선택하고, 해당 ID에 기초하여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결정한다.
Alt2: 유저장치(20B)는, 미리 규정된 ID, 또는, 기지국장치(10)로부터 설정(configure)된 ID, 또는, 사전 설정(preconfigure)된 ID를 사용하여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결정한다. 해당 ID는,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ID 중의 하나의 ID이어도 좋으며, 이들 이외의 ID이어도 좋다.
Alt3: 유저장치(20B)는,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ID에 기초하여 새로운 ID를 계산하고, 해당 ID에 기초하여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결정한다.
〈실시 예 1의 리소스 충돌에 대한 대책 예: Case 2〉
실시 예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어느 유저장치(20)가, 다른 복수의 유저장치(2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HARQ-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PSFCH 리소스를, 다른 송신 ID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경우라도, 이들 복수의 PSFCH 리소스가 중복(충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20B)가 유저장치(20A)로 송신하고자 하는 HARQ-ACK 정보를 위한 PSFCH 리소스와, 유저장치(20B)가 유저장치(20C)로 송신하고자 하는 HARQ-ACK 정보를 위한 PSFCH 리소스가 중복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유저장치(20B)는, 하기의 Alt1 또는 Alt2의 방법으로, HARQ-ACK 정보를 송신한다.
Alt1: 복수의 HARQ-ACK 정보 중, 하나만이 NACK인 경우, 유저장치(20B)는, 그 NACK를 해당 PSFCH 리소스로 송신한다. 만약, 복수의 HARQ-ACK 정보 중에 복수의 NACK가 포함되는 경우, 유저장치(20B)는, 복수의 NACK에서 하나의 NACK를 선택해서 송신한다. 하나의 NACK를 선택하는 방법은 임의이다. 일 예로서, 복수의 NACK 중, 대응되는 송신 ID가 최대인 것(혹은 최소인 것)을 송신한다.
Alt2: 유저장치(20B)는, 복수의 HARQ-ACK 정보로부터 임의로 하나 또는 복수 또는 전부의 HARQ-ACK 정보를 선택하여 송신한다.
(실시 예 2)
실시 예 2에서는, PSFCH에 의해 송신되는 SFCI(보다 구체적으로는 HARQ-ACK 정보)가 송신 ID(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의해 스크램블된다. 또한, SFCI를 '사이드링크 피드백 제어 정보'라 칭해도 좋으며, '피드백 정보'라 칭해도 좋다.
스크램블의 방법은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HARQ-ACK 정보의 비트열의 각 비트와 송신 ID(의 전부 또는 일부)의 비트열의 각 비트와의 사이에서 배타적 논리합을 취하고, 얻어진 비트열을 스크램블 후의 HARQ-ACK 정보로서 송신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S101, S102에 있어서, 유저장치(20A)는, PSCCH에 의해 SCI를 송신함과 동시에, PSSCH에 의해 SL 데이터를 송신한다.
유저장치(20B)는, 유저장치(20A)로부터 송신된 SCI(PSCCH)와 SL 데이터(PSSCH)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PSCCH에 의해 수신한 SCI 중에 유저장치(20A)의 송신 ID와, 해당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HARQ-ACK를 송신하기 위한 PSFCH의 리소스(예: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정보가 포함된다.
유저장치(20B)는, 수신한 SCI에 포함되는 송신 ID에 기초하여, HARQ-ACK 정보를 스크램블하고, S103에 있어서, 스크램블한 HARQ-ACK 정보를 상기의 PSFCH의 리소스로 송신한다.
유저장치(20A)는, 해당 리소스로 수신하는 정보를, 송신 ID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한다. 디스크램블 후의 정보가 ACK라면, 유저장치(20A)는, S102에서 송신한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유저장치(20B)로 송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디스크램블 후의 정보가 NACK, 혹은, 아무 것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유저장치(20A)는, S102의 데이터 송신은 실패였다고 인식하고, 재송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 2에 의해, HARQ-ACK 정보의 수신에 관한 오해(misunderstand)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실시 예 2에서도, 명시적으로 송신 ID를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송신 ID의 송신을 위한 리소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 2의 리소스 충돌에 대한 대책 예: Case 1〉
실시 예 1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CSI, SR 등이 PSFCH 리소스로 SFCI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송신되어도 좋다. 또, 실시 예 2에 있어서의 HARQ-ACK 정보에 대한 스크램블은, HARQ-ACK 정보뿐 아니라, CSI, SR 등에도 적용해도 좋다,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가 같은 송신 ID(편의 상 ID-A라고 한다)에 의해 스크램블되고, 그리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SFCH 리소스(도 17의 예에서는, 시간 리소스)가 중복(충돌)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한, 이 경우의 상태는, 실제로 스크램블이 실시되기 전의 상태이다.
이 경우, 유저장치(20B)는,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결정하고, 이들의 정보(ACK, SCI, SR)를 다중한 정보를 ID-A에 의해 스크램블하고, 해당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다중 정보를 송신한다.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가, 각각 다른 ID로 스크램블되고, 그리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SFCH 리소스(도 17의 예에서는, 시간 리소스)가 중복(충돌)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상태는, 실제로 스크램블이 실시되기 전의 상태이다.
이 경우, 유저장치(20B)는, 이들의 정보(ACK, SCI, SR)를 다중하여 송신하기 위한 새로운 PSFCH 리소스를 결정함과 동시에, 다음의 Alt1 또는 Alt2 또는 Alt3의 방법으로 다중 정보를 스크램블한다.
Alt1: 유저장치(20B)는, 임의의 방법으로 복수의 ID 중에서 하나의 ID를 선택하고, 해당 ID를 이용하여 다중 정보를 스크램블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ID 중에 group-ID와 UE-ID가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 유저장치(20B)는, group-ID를 선택하고, 해당 group-ID를 이용하여 다중 정보를 스크램블해도 좋다.
Alt2: 유저장치(20B)는, 미리 규정된 ID, 또는, 기지국장치(10)로부터 설정(configure)된 ID, 또는, 사전 설정(preconfigure)된 ID를 사용하여 다중 정보를 스크램블한다. 해당 ID는,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의 스크램블을 위한 복수의 ID 중의 하나의 ID이어도 좋으며, 이들 이외의 ID이어도 좋다.
Alt3: 유저장치(20B)는,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의 각각의 스크램블을 위한 복수의 ID에 기초하여 새로운 ID를 계산하고, 해당 ID를 이용하여 다중 정보를 스크램블한다.
〈실시 예 2의 리소스 충돌에 대한 대책 예: Case 2〉
실시 예 2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어느 유저장치(20)가, 다른 복수의 유저장치(2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HARQ-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PSFCH 리소스가 중복(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20B)가 유저장치(20A)로 송신하는 HARQ-ACK 정보를 위한 PSFCH 리소스와, 유저장치(20B)가 유저장치(20C)로 송신하는 HARQ-ACK 정보를 위한 PSFCH 리소스가 중복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유저장치(20B)는, 하기의 Alt1 또는 Alt2의 방법으로, HARQ-ACK 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유저장치(20B)는, 선택한 HARQ-ACK 정보에 대응되는 송신 ID로 해당 HARQ-ACK 정보를 스크램블하여 송신한다.
Alt1: 복수의 HARQ-ACK 정보 중, 하나만이 NACK인 경우, 유저장치(20B)는, 그 NACK를 해당 PSFCH 리소스로 송신한다. 만약, 복수의 HARQ-ACK 정보 중에 복수의 NACK가 포함되는 경우, 유저장치(20B)는, 복수의 NACK에서 하나의 NACK를 선택해서 송신한다. 하나의 NACK를 선택하는 방법은 임의이다. 일 예로서, 복수의 NACK 중, 대응되는 송신 ID가 최대인 것(혹은 최소인 것)을 송신한다.
Alt2: 유저장치(20B)는, 복수의 HARQ-ACK 정보로부터 임의로 하나 또는 복수 또는 전부의 HARQ-ACK 정보를 선택하여 송신한다.
(실시 예 3)
실시 예 3에서는, PSFCH에 의해 송신되는 SFCI에 명시적으로 송신 ID(transmitter-ID)를 포함시킨다.
도 15에 도시하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S101, S102에 있어서, 유저장치(20A)는, PSCCH에 의해 SCI를 송신함과 동시에, PSSCH에 의해 SL 데이터를 송신한다.
유저장치(20B)는, 유저장치(20A)로부터 송신된 SCI(PSCCH)와 SL 데이터(PSSCH)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PSCCH에 의해 수신한 SCI 중에 유저장치(20A)의 송신 ID와, 해당 데이터의 수신에 대한 HARQ-ACK를 송신하기 위한 PSFCH의 리소스(예: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정보가 포함된다.
유저장치(20B)는, 수신한 SCI에 포함되는 송신 ID와 HARQ-ACK 정보를 SFCI에 포함시키고, S103에 있어서, SFCI를 상기의 PSFCH의 리소스로 송신한다.
유저장치(20A)는, 해당 리소스로 수신하는 SFCI에 자신의 송신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해당 SFCI에 포함되는 HARQ-ACK 정보가 유저장치(20A)에 대한 HARQ-ACK 정보라고 결정할 수 있다.
HARQ-ACK 정보가 ACK라면, 유저장치(20A)는, S102에서 송신한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유저장치(20B)로 송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HARQ-ACK 정보가 NACK, 혹은, 아무 것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유저장치(20A)는, S102의 데이터 송신은 실패였다고 인식하고, 재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송신 ID와 HARQ-ACK 정보를 포함하는 SFCI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SFCI를 S 비트 길이, 송신 ID를 M 비트 길이, HARQ-ACK 정보를 L 비트 길이로 하면, S≤M+L이다. 단, 이와 같은 비트 길이의 관계는 일 예에 불과하다.
〈채널 부호화(channel coding)에 대해〉
실시 예 1, 2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HARQ-ACK 정보 외에, CSI, SR 등이 PSFCH 리소스로 SFCI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송신되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유저장치(20B)가 SFCI의 송신측인 것으로 한다.
즉, 유저장치(20B)가 어느 타이밍에서 송신하는 SFCI에는, 송신 ID와 함께, HARQ-ACK 정보와 SR와 CSI 중 어느 하나, 어느 둘, 또는, 셋 전부가 포함될 수 있다. 'HARQ-ACK 정보와 SR과 CSI 중 어느 하나, 어느 둘, 또는, 셋 전부'를 'HARQ-ACK/SR/CSI'라고 표현한다.
이 경우, 유저장치(20B)는, 송신 ID를 HARQ-ACK/SR/CSI와는 별도로(separately) 부호화해도 좋으며, 송신 ID를 HARQ-ACK/SR/CSI와 함께(jointly) 부호화해도 좋다.
또, 유저장치(20B)는, 레이트 매칭 등에 의해, 송신 ID와 HARQ-ACK/SR/CSI를 전부 송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유저장치(20B)는, 송신 ID를 최우선으로 PSFCH 리소스로 맵핑함으로써, 최우선으로 송신 ID를 송신한다.
또, SFCI의 비트 길이를, 송신 가능한 비트 길이에 맞추기 위해, 송신 ID와 HARQ-ACK/SR/CSI 중 어느 비트를 드롭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저장치(20B)는, 예를 들면, 'CSI part2->CSI part1->HARQ-ACK/SR->transmitter-ID'로 나타내는 순서로 드롭을 실시한다. 또한, HARQ-ACK/SR은, HARQ-ACK 또는 SR, 혹은 HARQ-ACK 및 SR을 의미한다.
실시 예 3에 의해, HARQ-ACK 정보의 수신에 관한 오해(misunderstand)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실시 예 3에서는, 명시적으로 송신 ID를 송신하기 때문에, 수신측은, 송신 ID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 예 3의 리소스 충돌에 대한 대책 예: Case 1〉
실시 예 1, 2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CSI, SR 등이 PSFCH 리소스로 SFCI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송신되어도 좋다. 또, 실시 예 3에 있어서, SFCI에 송신 ID를 포함시키는 것은, HARQ-ACK 정보뿐 아니라, CSI, SR의 각각에 적용해도 좋다,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의 각각에 같은 송신 ID(편의 상 ID-A라고 한다)가 포함되고, 그리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SFCH 리소스(도 17의 예에서는, 시간 리소스)가 중복(충돌)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한, 이 경우는, 실제로 송신 ID를 포함시키는 것이 실시되기 전의 상태이다.
이 경우, 유저장치(20B)는, 이들의 정보(ACK, SCI, SR)를 다중하고, 다중 정보를 송신하는 SFCI에 하나의 ID-A를 포함시키고, 해당 ID-A를 포함하는 SFCI를 송신한다.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SFCI)가, 각각 다른 ID(복수의 ID)를 포함하고, 그리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SFCH 리소스(도 17의 예에서는, 시간 리소스)가 중복(충돌)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장치(20B)는, 이들의 정보(ACK, SCI, SR)를 다중하고, 다중 정보를 SFCI에 포함시킴과 동시에, 다음의 Alt1 또는 Alt2 또는 Alt3의 방법으로, 해당 SFCI에 ID를 포함시켜 송신한다.
Alt1: 유저장치(20B)는, 임의의 방법으로 상기 복수의 ID 중에서 하나의 ID를 선택하고, 해당 ID를 SFCI에 포함시킨다.
Alt2: 유저장치(20B)는, 미리 규정된 ID, 또는, 기지국장치(10)로부터 설정(configure)된 ID, 또는, 사전 설정(preconfigure)된 ID를 SFCI에 포함시킨다. 해당 ID는, 상기 복수의 ID 중의 하나의 ID이어도 좋으며, 이들 이외의 ID이어도 좋다.
Alt3: 유저장치(20B)는, HARQ-ACK 정보, CSI, SR 등의 복수의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ID 중 전부(혹은 어느 복수)를 SFCI에 포함시킨다.
〈실시 예 3의 리소스 충돌에 대한 대책 예: Case 2〉
실시 예 3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어느 유저장치(20)가, 다른 복수의 유저장치(2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HARQ-ACK 정보(SFCI)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PSFCH 리소스가 중복(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20B)가 유저장치(20A)로 송신하는 HARQ-ACK 정보를 위한 PSFCH 리소스와, 유저장치(20B)가 유저장치(20C)로 송신하는 HARQ-ACK 정보를 위한 PSFCH 리소스가 중복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유저장치(20B)는, 예를 들면, 각각의 HARQ-ACK 정보에 대응되는 모든 ID를, PSFCH 리소스가 중복되어 있는 복수의 SFCI가 다중된 SFCI 안에 포함시켜 송신해도 좋으며, 하기의 Alt1 또는 Alt2의 방법으로, 하나의 유저장치에 대한 HARQ-ACK 정보를 선택하고, 해당 HARQ-ACK 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송신 ID를 포함하는 SFCI를 송신해도 좋다.
Alt1: 복수의 HARQ-ACK 정보 중, 하나만이 NACK인 경우, 유저장치(20B)는, 그 NACK와, 해당 NACK에 대응되는 송신 ID를 포함하는 SFCI를 송신한다. 만약, 복수의 HARQ-ACK 정보 중에 복수의 NACK가 포함되는 경우, 유저장치(20B)는, 복수의 NACK에서 하나의 NACK를 선택하고, 그에 대응되는 송신 ID를 SFCI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하나의 NACK를 선택하는 방법은 임의이다. 일 예로서, 복수의 NACK 중, 대응되는 송신 ID가 최대인 것(혹은 최소인 것)을 송신한다.
Alt2: 유저장치(20B)는, 복수의 HARQ-ACK 정보로부터 임의로 하나 또는 복수 또는 전부의 HARQ-ACK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HARQ-ACK 정보에 대응되는 각각의 송신 ID를 SFCI(다중된 SFCI)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실시 예 4)
실시 예 1∼3의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 변형 예를 실시 예 4로서 설명한다. 실시 예 1∼3에서 설명한 '송신 ID'는, '수신 ID' 또는 '송신 ID와 수신 ID'로 치환되어도 좋다. 일 예로서, 실시 예 1에 있어서, '송신 ID'를 '수신 ID'로 치환한 경우의 예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101, S102에 있어서, 유저장치(20A)는, PSCCH에 의해 SCI를 송신함과 동시에, PSSCH에 의해 SL 데이터를 송신한다. SCI에는, 수신 ID와, HARQ-ACK를 송신하기 위한 PSFCH의 시간·주파수 리소스의 정보가 포함된다.
유저장치(20B)는, 유저장치(20A)로부터 송신된 SCI(PSCCH)와 SL 데이터(PSSCH)를 수신한다.
유저장치(20B)는, 수신한 SCI에 포함되는 수신 ID에 기초하여, HARQ-ACK 정보의 리소스(여기서는 '계열'로 한다)를 결정하고, 해당 계열을 갖는 HARQ-ACK 정보를 상기 PSFCH의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송신한다(S103).
유저장치(20A)는, 해당 수신 ID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계열의 HARQ-ACK 정보를 상기 시간·주파수 리소스로 수신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HARQ-ACK 정보를 감시하고 있다). 만약, 유저장치(20A)가, 기대하는 계열의 ACK를 수신하면, S102에서 송신한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유저장치(20B)로 송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유저장치(20A)가, 기대하는 계열의 NACK를 수신하거나, 혹은, 아무 것도 수신하지 않는 경우, S102의 데이터 송신은 실패였다고 인식하고, 재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는 예이며, 수신 ID에 의해 결정되는 리소스는, 계열, 코드, 시간,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이어도 좋으며, 어느 2개의 조합이어도 좋으며, 어느 3개의 조합이어도 좋으며, 4개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 ID에 의해 결정되는 리소스가, 시간·주파수 리소스라고 하여, 다른 수신 ID에는 다른 시간·주파수 리소스(직교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가 규정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어느 타이밍에서의 1회의 PSFCH 리소스에서의 정보 송신(수신측은 수신)에 있어서, 10개의 직교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할당 가능하다고 하면, HARQ-ACK의 수신측의 유저장치(20A)는, 10대의 다른 유저장치(20)로부터의 HARQ-ACK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1∼4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유저장치(20A)는, 송신 모드 2d에 있어서의, 스케줄링 기능을 갖는 유저장치(20)이어도 좋으며, hearder-UE이어도 좋으며, 로컬 매니저이어도 좋다. 송신 ID 혹은 수신 ID로서, 클러스터 ID가 사용되어도 좋다.
(장치 구성)
다음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처리 및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장치(10) 및 유저장치(20)의 기능 구성 예를 설명한다. 기지국장치(10) 및 유저장치(20)는 상술한 모든 실시 예를 실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단, 기지국장치(10) 및 유저장치(20)는 각각, 모든 실시 예 중의 일부의 기능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기지국장치(10)〉
도 20은, 기지국장치(1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는, 송신부(110)와, 수신부(120)와, 설정부(130)와, 제어부(140)를 갖는다. 도 20에 도시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송신부(110)는, 유저장치(20) 측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수신부(120)는, 유저장치(20)로부터 송신된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예를 들면 보다 상위의 레이어의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 송신부(110)는, 유저장치(20)로 NR-PSS, NR-SSS, NR-PBCH, DL/UL 제어 신호, DL 참조 신호 등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송신부(110), 수신부(120)를 각각 송신기, 수신기라 칭해도 좋다.
설정부(1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 및, 유저장치(20)로 송신하는 각종 설정 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기억장치로부터 독출한다. 설정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사이드링크 통신의 설정에 관한 정보 등이다.
제어부(140)는, 유저장치(20)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또, 제어부(140)는, 사이드링크 통신의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부(110)를 통해 유저장치(20)로 송신한다. 제어부(140)에 있어서의 신호 송신에 관한 기능부를 송신부(110)에 포함시키고, 제어부(140)에 있어서의 신호 수신에 관한 기능부를 수신부(120)에 포함시켜도 좋다.
〈유저장치(20)〉
도 21은, 유저장치(2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20)는, 송신부(210)와, 수신부(220)와, 설정부(230)와, 제어부(240)를 갖는다. 도 20에 도시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송신부(210)는, 송신 데이터로부터 송신 신호를 작성하고, 해당 송신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수신부(220)는, 각종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수신한 물리 레이어의 신호로부터 보다 상위의 레이어의 신호를 취득한다. 또, 수신부(220)는, 기지국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NR-PSS, NR-SSS, NR-PBCH, DL/UL/SL 제어 신호 또는 참조 신호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예를 들면, 송신부(210)는, 사이드링크 통신으로서, 다른 유저장치(20)에,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등을 송신하고, 수신부(120)는, 다른 유저장치(20)로부터, PSCCH, PSSCH, PSDCH 또는 PSBCH 등을 수신한다. 송신부(210), 수신부(220)를 각각 송신기, 수신기라 칭해도 좋다.
설정부(230)는, 수신부(220)에 의해 기지국장치(10) 또는 유저장치(20)로부터 수신한 각종 설정 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기억장치로부터 독출한다. 또, 설정부(2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도 저장한다. 설정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사이드링크 통신의 설정에 관한 정보 등이다.
제어부(240)는, 다른 유저장치(20)와의 사이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240)는, 다른 유저장치(20)에 사이드링크 통신의 스케줄링을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신호 송신에 관한 기능부를 송신부(210)에 포함시키고,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신호 수신에 관한 기능부를 수신부(220)에 포함시켜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도 20 및 도 21)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면, 유선, 무선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은, 상기 하나의 장치 또는 상기 복수의 장치에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기능에는, 판단, 결정, 판정, 계산, 산출, 처리, 도출, 조사, 탐색, 확인, 수신, 송신, 출력, 액세스, 해결, 선택, 선정, 확립, 비교, 상정, 기대, 간주, 알림(broadcasting), 통지(notifying), 통신(communicating), 전송(forwarding), 구성(configuring), 재구성(reconfiguring), 할당(allocating, mapping), 배정(assigning)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신을 기능시키는 기능 블록(구성부)은, 송신부(transmitting unit)나 송신기(transmitter)라 호칭된다.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 유저장치(20) 등은, 본 개시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10) 및 유저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기지국장치(10) 및 유저장치(20)는,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기억장치(1002), 보조기억장치(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10) 및 유저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기지국장치(10) 및 유저장치(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기억장치(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기억장치(1002) 및 보조기억장치(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 쓰기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부(140), 제어부(240) 등은,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데이터 등을, 보조기억장치(1003) 및 통신장치(1004)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기억장치(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기지국장치(10)의 제어부(140)는, 기억장치(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유저장치(20)의 제어부(240)는, 기억장치(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행되는 취지를 설명했지만, 2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에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에 의해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기억장치(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기억장치(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기억장치(100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OM) 등의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렉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 스트라이프 등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기억장치(1002) 및 보조기억장치(1003)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이어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의 적어도 하나를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송수신 안테나, 앰프부, 송수신부, 전송로 인터페이스 등은, 통신장치(1004)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송수신부는, 송신부와 수신부에서,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된 실장이 이루어져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및 기억장치(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에 의해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마다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 기지국장치(10) 및 유저장치(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의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는, 일 예로서, 하기의 제 1항∼제 6항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 1항)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장치.
(제 2항)
상기 송신부는, 상기 리소스인 계열을 갖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통지된 시간 주파수 리소스로 송신하는 제 1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3항)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을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스크램블하고, 스크램블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장치.
(제 4항)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과 함께,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장치.
(제 5항)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 ID, 또는, 상기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과, 상기 피드백 정보와의 전부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송신 ID, 또는, 상기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을 우선적으로 송신하는 제 4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6항)
유저장치가 실행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제 1항, 제 3항, 제 5항, 제 6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사이드링크에 있어서, HARQ 동작을 적절하게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HARQ-ACK 정보의 수신에 따른 오해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제 2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ID에 기초하여 송신해야 하는 계열을 결정하기 때문에, ID만을 위한 리소스를 이용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 제 5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최소한, ID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ID의 수신측은, 예를 들면, 자신이 송신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개시되는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2 이상의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서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어느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다른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모순되지 않은 한) 적용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도에 있어서의 기능부 또는 처리부의 경계는 반드시 물리적인 부품의 경계에 대응된다고는 할 수 없다. 복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부품으로 수행되어도 좋으며, 혹은 하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처리 수순에 대해서는, 모순이 없는 한 처리의 순서를 바꿔도 좋다. 처리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장치(10) 및 유저장치(20)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기지국장치(10)가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유저장치(20)가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는 각각,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HDD), 리무버블 디스크, CD-ROM,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어떠한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도 좋다.
또, 정보의 통지는, 본 개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고,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R(new Radio),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 복수의 시스템이 조합되어(예를 들면, LTE 및 LTE-A의 적어도 하나와 5G와의 조합 등)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에 의해 수행된다고 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장치(10)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유저장치(20)와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장치(10) 및 기지국장치(1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다른 네트워크 노드는,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또는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또는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위 값(Boolean: true 또는 false)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 무선 기술의 적어도 하나는,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기장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용어 및 본 개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 심벌의 적어도 하나는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이어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캐리어 주파수, 셀, 주파수 캐리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파라미터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또한,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것과 다른 경우도 있다. 다양한 채널(예를 들면, PUCCH, PDCCH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적절한 명칭에 의해 식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기지국장치',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gNodeB(g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수신 포인트(reception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컴포넌트 캐리어'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매크로 셀, 스몰 셀, 펨토 셀, 피코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단말'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송신장치, 수신장치, 통신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이동체에 탑재된 디바이스, 이동체 자체 등이어도 좋다. 해당 이동체는, 탈것(예를 들면, 자동차, 비행기 등)이어도 좋으며, 무인으로 움직이는 이동체(예를 들면, 드론, 자동 운전차 등)이어도 좋으며, 로봇(유인형 또는 무인형)이어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통신 동작 시에 이동하지 않는 장치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센서 등의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이어도 좋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유저단말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유저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장치(20) 간 통신(예를 들면, D2D(Device-to-Device), V2X(Vehicle-to-Everything) 등이라 불려도 좋다)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개시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기지국장치(10)가 갖는 기능을 유저장치(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 및 '하향' 등의 문언은, 단말 간 통신에 대응되는 문언(예를 들면, '사이드(side)')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 하향 채널 등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은, 기지국으로 대체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단말이 갖는 기능을 기지국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판단(determining)', '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 '결정'은, 예를 들면, 판정(judging),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 search, inquiry)(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 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 '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결정)'은, '상정하는(assuming)', '기대하는(expecting)', '간주하는(considering)' 등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 프린트 전기 접속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라 약칭할 수도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따라 파일럿(Pilot)이라 불려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에 대한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상기 각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의 '수단'을, '부', '회로', '디바이스' 등으로 치환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고 있는(includ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은,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각 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더욱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numerology)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이어도 좋다.
수비학은, 어느 신호 또는 채널의 송신 및 수신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이어도 좋다. 수비학은,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SCS: SubCarrier Spacing), 대역폭,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당 심벌 수, 무선 프레임 구성, 송수신기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필터링 처리, 송수신기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윈도잉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도 좋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등)로 구성되어도 좋다.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이어도 좋다.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은, 슬롯보다도 적은 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미니 슬롯보다 큰 시간 단위로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또는 PUSCH) 맵핑 타입 A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또는 PUSCH) 맵핑 타입 B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은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 TTI의 적어도 하나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각 유저장치(20)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장치(20)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송신전력 등)를,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의 송신 시간 단위이어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이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는, 통상 TTI(LTE Rel. 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롱 서브 프레임,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서브 슬롯,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상관없이 같아도 좋으며, 예를 들면 12이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또, RB의 시간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 TTI의 길이어도 좋다. 1 TTI, 1 서브 프레임 등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부분 대역폭 등이라 불려도 좋다)은, 어느 캐리어에 있어서, 어느 수비학용의 연속하는 공통 RB(common resource blocks)의 서브 세트를 나타내도 좋다. 여기서, 공통 RB는, 해당 캐리어의 공통 참조 포인트를 기준으로 한 RB의 인덱스에 의해 특정되어도 좋다. PRB는, 어느 BWP에서 정의되고, 해당 BWP 내에서 번호가 부여되어도 좋다.
BWP에는, UL용 BWP(UL BWP)와, DL용 BWP(DL BWP)가 포함되어도 좋다. UE에 대해, 1 캐리어 내에 하나 또는 복수의 BWP가 설정되어도 좋다.
설정된 BWP의 적어도 하나가 액티브이어도 좋으며, UE는, 액티브한 BWP 밖에서 소정의 신호/채널을 송수신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 '캐리어' 등은, 'BWP'로 대체되어도 좋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당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어로의 a, an 및 the와 같이, 번역으로 인해 관사가 추가된 경우, 본 개시는, 이들의 관사 뒤에 이어지는 명사가 복수형인 것을 포함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또한, 해당 용어는, 'A와 B가 각각 C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된다' 등의 용어도, '다르다'와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묵적으로(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통신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의 일 예이다.
이상,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개시가 본 개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규정되는 본 개시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개시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10 기지국장치
110 송신부
120 수신부
130 설정부
140 제어부
20 유저장치
210 송신부
220 수신부
230 설정부
240 제어부
1001 프로세서
1002 기억장치
1003 보조기억장치
1004 통신장치
1005 입력장치
1006 출력장치

Claims (6)

  1.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리소스인 계열을 갖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통지된 시간 주파수 리소스로 송신하는 유저장치.
  3.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을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스크램블하고, 스크램블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장치.
  4.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과 함께, 상기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유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 ID, 또는, 상기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과, 상기 피드백 정보와의 전부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송신 ID, 또는, 상기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을 우선적으로 송신하는 유저장치.
  6. 유저장치가 실행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유저장치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송신 ID, 또는, 상기 유저장치에 관한 ID인 수신 ID, 또는, 상기 송신 ID와 상기 수신 ID의 양방에 기초하여 결정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갖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KR1020217023168A 2019-01-09 2019-01-09 유저장치, 및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KR20210112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00416 WO2020144787A1 (ja) 2019-01-09 2019-01-09 ユーザ装置、及びフィードバック情報送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335A true KR20210112335A (ko) 2021-09-14

Family

ID=7152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168A KR20210112335A (ko) 2019-01-09 2019-01-09 유저장치, 및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70847A1 (ko)
EP (1) EP3911003A4 (ko)
JP (2) JPWO2020144787A1 (ko)
KR (1) KR20210112335A (ko)
CN (1) CN113273243A (ko)
WO (1) WO2020144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3311B1 (en) * 2018-10-04 2022-12-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delink harq feedback in nr v2x
US11108507B2 (en) 2018-10-04 2021-08-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delink HARQ feedback in NR V2X
WO2020220290A1 (zh) * 2019-04-30 2020-11-05 富士通株式会社 边链路数据的发送和接收方法以及装置
US11888628B2 (en) * 2019-09-26 2024-01-30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transmission timeline for 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
EP3911091A1 (en) * 2020-05-14 2021-11-17 Robert Bosch GmbH Resource conflict indicator transmission for device-to-device mobile communications
US20220070906A1 (en) * 2020-08-27 2022-03-03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pping for a scheduling request on a 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
US20230180211A1 (en) * 2021-12-07 2023-06-08 Qualcomm Incorporated Compact scheduling requests in sidelink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503A1 (ja) * 2012-07-27 2014-01-30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システムで用いる移動通信方法
JP5548254B2 (ja) * 2012-12-25 2014-07-16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WO2015113214A1 (en) * 2014-01-28 2015-08-06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for enhanced harq mechanism
WO2015122629A1 (ko) * 2014-02-11 2015-08-20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118078B (zh) * 2014-11-14 2024-02-27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通信系统以及反馈方法
CN104486049A (zh) * 2014-12-30 2015-04-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接收状态的反馈方法、数据重传方法、装置和终端
WO2016167703A1 (en) * 2015-04-13 2016-10-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Joint wan and sidelink transmission methods for device-to-device capable user equipment
US10602488B2 (en) * 2015-10-22 2020-03-24 Qualocmm Incorporated HARQ and control channel timing fo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s (EMTC)
JP6848305B2 (ja) * 2016-09-29 2021-03-2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12640346A (zh) * 2018-08-09 2021-04-09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用于5g ev2x的侧链路上的广播、多播和单播
US11963207B2 (en) * 2018-09-26 2024-04-16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communication
EP3832919A4 (en) * 2018-09-28 2022-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DISTINGUISH A US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X2021004815A (es) * 2018-11-02 2021-06-08 Ericsson Telefon Ab L M Se?alizacion de retroalimentacion para enlace lateral.
KR2020005084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아이티엘 Nr v2x 시스템에서 harq 피드백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3GPP TS 36.211 V15.3.0(2018-09)
비특허문헌 2: 3GPP TR 22.886 V15.1.0(2017-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54089A (ja) 2023-10-18
CN113273243A (zh) 2021-08-17
EP3911003A4 (en) 2022-10-26
JPWO2020144787A1 (ja) 2021-11-18
EP3911003A1 (en) 2021-11-17
WO2020144787A1 (ja) 2020-07-16
US20220070847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1773B2 (ja) 端末、システム、及びフィードバック方法
JP7325447B2 (ja) 端末及び通信方法
KR20210112335A (ko) 유저장치, 및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JP7273838B2 (ja) 端末及び基地局
JP7300467B2 (ja) 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22160010A (ja) 端末及び通信方法
CN114600553B (zh) 终端及通信方法
JP7213893B2 (ja) 端末及び通信方法
US20230007628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JP7300499B2 (ja) 端末及び通信方法
JP7453986B2 (ja) 端末、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5443680A (zh) 终端以及通信方法
WO2021090459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US20220279484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10154186A (ko) 유저장치, 및 통신 방법
JP7420824B2 (ja) 端末、端末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7394861B2 (ja) 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15280835A (zh) 终端以及通信方法
CN115280834A (zh) 终端以及通信方法
JP2022153676A (ja) 端末及び通信方法
EP4250850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1124418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CN115699995A (zh) 终端、通信方法以及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