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280A -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 Google Patents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280A
KR20210112280A KR1020210116122A KR20210116122A KR20210112280A KR 20210112280 A KR20210112280 A KR 20210112280A KR 1020210116122 A KR1020210116122 A KR 1020210116122A KR 20210116122 A KR20210116122 A KR 20210116122A KR 20210112280 A KR20210112280 A KR 20210112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ight
lighting
electronic component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인보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21011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280A/ko
Publication of KR2021011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6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에 구비된 바코드를 읽어 확인할 수 있는 바코드 확인용 촬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는 식별코드를 확인해야 할 대상물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있는 식별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대상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일면에 수직한 조사 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동축 조명; 상기 동축 조명과 대상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동축 조명을 보조하는 보조 조명; 상기 일면에 대하여 상기 일면과 0도보다는 크고 90도보다는 작은 각의 범위 내의 조사 각도로 상기 일면에 빛을 조사하는 경사 조명들;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 식별코드를 정확히 읽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PHOTOGRAPH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은 물품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읽어서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촬영기로서, 특히 전자부품에 있는 바코드와 같은 식별코드를 읽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은 소정의 제조 공정을 거쳐 생산된 후 다양한 처리(테스트, 분류 등)를 거쳐 출하되는데, 전자부품의 다양한 처리를 위해서는 전자부품들을 다룰 수 있는 핸들러라는 장비가 요구된다.
핸들러는 생산된 후 일련의 처리 과정을 거치는 전자부품들을 개개별로 인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에 있는 식별코드를 읽어서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핸들러는 카메라와 조명기를 구비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46918호나 10-2017-0068174호에 제시된 촬영기는 각종 핸들러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위의 선출원된 문헌에 있는 촬영기들은 에어리어 카메라보다 상대적으로 고가인 라이스캔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핸들러에 대한 생산단가를 높이고, 또한 라인스캔 카메라가 전자부품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양한 기구물 및 구조들을 함께 촬영하는 데서 오는 소프트웨적인 이미지의 처리가 복잡하며, 라인스캔 카메라의 적용에 따른 핸들러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조명기의 전력 소모가 커서 운용비가 상승된다. 더군다나 조명의 색상을 달리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조명을 이루는 조명소자의 종류와 그 개수도 많이 필요하고, 그만큼 조명을 설치할 공간도 충족되어야 하기에 생산단가의 급격한 상승과 장비가 비대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선출원된 문헌에 따른 기술은 전자부품이 정지와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속도의 저하와 전자부품의 위치 틀어짐의 문제, 조명의 수명과 전력의 문제 등도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대상물에 있는 식별코드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식별코드를 읽을 수 있으면서 생산 단가와 운용비용을 줄일 수 있는 촬영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는 식별코드를 확인해야 할 대상물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있는 식별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대상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일면에 수직한 조사 각도로 빛을 조사하는 동축 조명; 상기 동축 조명과 대상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동축 조명을 보조하는 보조 조명; 상기 일면에 대하여 상기 일면과 0도보다는 크고 90도보다는 작은 각의 범위 내의 조사 각도로 상기 일면에 빛을 조사하는 경사 조명들; 을 포함한다.
상기 동축 조명과 상기 보조 조명은 함께 점등 또는 소등되고, 상기 동축 조명과 상기 경사 조명은 상호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된다.
상기 보조 조명은 광원이 원형 고리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경사 조명들은 직선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경사 조명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 조절기는 상기 경사 조명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 구멍과 상기 힌지 구멍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서 상기 경사 조명에 있는 조절 돌기가 끼이는 구조로 삽입되는 조절 구멍을 가지는 조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구멍은 상기 경사 조명이 상기 힌지 구멍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때 상기 조절 돌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의 형태이면서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상기 동축 조명, 상기 보조 조명, 상기 경사 조명들은 하나의 촬영 세트를 이루어서 하나의 대상물을 촬영하며, 상기 촬영 세트는 대상물의 열 수만큼 구비된다.
상기 촬영 세트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촬영 세트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축 조명, 상기 보조 조명, 상기 경사 조명들은 상기 일면이 상기 카메라에 대면하는 시점에 점등된 후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끝나면 소등되는 스트로브 조명으로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동축 조명 또는 상기 경사 조명이 점등된 시점에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동축 조명을 보조하는 보조 조명에 의해 동축 조명에 의한 조명이 보강되고, 경사 조명에 의해 음각이나 양각된 요철 구조의 식별코드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등 식별코드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식별코드들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저가의 에어리어 카메라를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기 때문에 생산 단가를 떨어트릴 수 있다.
셋째, 에어리어 카메라의 수직 하방에 대상물이 위치할 때만 점등되는 스트로브 조명의 적용에 의해, 소비 전력의 감소 및 저전력으로 최고 조명도를 가질 수 있게 되어서 운용비용이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영기에 적용된 동축 조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촬영기에 적용된 보조 조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 및 6은 도 1의 촬영기에 적용된 경사 조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촬영기에 적용된 각도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9는 도 1의 촬영기에 적용된 이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촬영기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촬영기에 적용된 간격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100, 이하 '촬영기'라 약칭함)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100)는 카메라(110), 동축 조명(120), 보조 조명(130), 경사 조명(140)들, 각도 조절기(150)들, 결합판(160), 이동기(170)를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식별코드를 확인해야 할 대상물인 전자부품(D)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자부품(D)의 상면에 있는 식별코드를 촬영한다. 이러한 카메라(110)는 하나의 전자부품(D)을 촬영할 수 있으며, 고가의 라인스캔 카메라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저가의 에어리어 카메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용적 측면만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로브 조명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 라인스캔 카메라는 사용될 여지가 없을뿐더러 적합하지도 않다.
동축 조명(120)은 카메라(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카메라(110)와 전자부품(D)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부품(D)의 상면에 수직한 조사 각도로 빛을 조사한다. 이러한 동축 조명(120)은 도 2의 참조도에서와 같이 제1 광원(121)과 조사된 빛을 수직으로 꺾어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12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동축 조명(120)은 식별코드(C)가 전자부품(D)에 인쇄되게 구비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보조 조명(130)은 동축 조명(120)과 전자부품(D) 사이에 위치하며, 동축 조명(120)의 광량을 보조한다. 동축 조명(120)의 경우 제1 광원(121)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하프 미러(122)를 2번 거치면서 상당 부분 줄어서 카메라(110)로 입사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광량이 부족할 수 있는데, 이를 보강하기 위해 카메라(110)의 시야각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자부품(D)의 일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 조명(130)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래서 보조 조명(130)은 도 3의 참조도에서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다수의 제2 광원(131, 예를 들면 LED소자)들이 원형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제2 광원이 고리 형태의 형광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보조 조명(130)이 전자부품(D)의 상면이 포함된 평면에 대하여 0도 보다는 크고 90도 보다는 작은 제1 조사 각도(θ1)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보조 조명(130)은 동축 조명(120)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동축 조명(120)과 함께 점등되거나 소등된다.
경사 조명(140)들은 4개가 전후좌우에 배치되며, 직선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경사 조명(140)들은 정면에서 볼 때 보조 조명(130)과 전자부품(D) 사이에 배치된다. 경사 조명(140)은 도 5의 참조도에서와 같이 여러개의 제3 광원(141, 예를 들면 LED소자)들이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늘어서는 배열을 가진다. 물론, 제3 광원이 직선 형태의 형광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경사 조명(140)들은 전자부품(D)의 상면이 포함된 평면에 대하여 0도 보다는 크고 90도 보다는 작은 제2 조사 각도(θ2)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물론, 제3 광원(141)들이 제2 광원(131)들보다 전자부품(D)에 더 가깝기 때문에 제2 조사 각도(θ2)는 제1 조사 각도(θ1)보다 더 작은(θ2 < θ1) 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전자부품(D)에 있는 식별코드가 박막의 인쇄형태가 아닌 음각 또는 양각 등 많은 요철이 존재하는 형태로 구비된 경우에 동축 조명(120)으로는 관측이 어렵기 때문에, 경사 조명(140)들은 식별코드가 요철이 존재하는 형태 구비되는 경우의 촬영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경사 조명(140)들은 동축 조명(120)과는 반대로 점등과 소등이 이루어진다. 즉, 동축 조명(120)을 활용해 촬영이 이루어질 때는 동축 조명(120)이 점등되고 경사 조명(140)은 소등되며, 경사 조명(140)을 활용해 촬영이 이루어질 때는 동축 조명(120)이 소등되고 경사 조명(140)이 점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3가지의 조명(120, 130, 140)을 조합하거나 어느 하나를 생략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각도 조절기(150)들은 도 7의 참조도에서와 같이 각각 대응하는 경사 조명(14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식별코드가 음각으로 형성된 경우에, 음각의 패인 깊이에 따라 경사 조명(140)의 조사각을 변경함으로써 경사 조명(140)들이 카메라(110)에 의해 가장 명확히 촬영될 수 있는 조사 각도를 가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각도 조절기(150)는 한 쌍의 조절 프레임(151)을 포함한다.
조절 프레임(151)에는 힌지 구멍(HH)과 조절 구멍(CH)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구멍(HH)에는 경사 조명(140)에 있는 힌지 돌기(HP)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경사 조명(140)이 힌지 구멍(HH)과 힌지 돌기(HP)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조절 구멍(CH)은 힌지 구멍(HH)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며, 경사 조명(140)에 있는 조절 돌기(CP)가 꽉 끼이는 구조로 삽입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 구멍(CH)은 경사 조명(140)의 힌지 돌기(HP)가 힌지 구멍(HH)에 의해 위치 이동은 금지된 상태로 제 자리에서 각 회전을 할 때 조절 돌기(CP)가 원호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이면서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경사 조명(140)이 회전함으로써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경사 조명(140)의 조사 각도는 조절 구멍(CH)이 허락 하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각도 조절기(150)에 조절 프레임(151) 대신 모터 등을 적용하여 관리자에 의한 데이터 입력에 의해 경사 조명(140)의 조사각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선출원된 문헌에 따르면 조사 각도가 다른 경사 조명들이 구비되고 있기 때문에 식별코드의 색상에 맞는 조사각을 가진 경사 조명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선출원된 문헌에 따른 기술에서의 경사 조명은 고정형 링형태의 구조이기 때문에 그 종류가 다양할 수 있는 식별코드에 모두 대응하기는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선출원된 문헌에 따른 기술에서는 음각 또는 양각의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곤란한 점이 있다. 즉, 음각이나 양각의 식별코드는 전자부품의 종류마다 그 패인 깊이나 높이가 다를 수 있는데, 그 깊이나 높이에 따라서는 경사 조명들에 의한 식별코드의 인식이 불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경사 조명(14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특히 음각 또는 양각으로 구비되는 식별코드의 인식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결합판(160)은 위의 카메라(110), 동축 조명(120), 보조 조명(130), 경사 조명(140), 각도 조절기(150)가 상호 일체화 된 하나의 촬영 세트(P.S)를 이루도록 한다. 즉, 카메라(110), 동축 조명(120), 보조 조명(130), 경사 조명(140), 각도 조절기(150)는 결합판(16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모두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촬영 세트(P.S)를 이룬다. 여기서 카메라(110) 및 동축 조명(120)은 직접 결합판(160)에 결합되고, 보조 조명(130)과 각도 조절기(150)는 동축 조명을 게재하여 간접적으로 결합판(160)에 결합되며, 경사 조명(140)은 각도조절기(150)의 조절 프레임(151)에 의해 간접적으로 동축 조명(120)에 결합된다.
이동기(170)는 결합판(160)을 이동시킴으로써 도 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촬영 세트(P.S)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D)은 적재요소(LE)에 적재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데, 촬영기(100)는 그렇게 이동 가능한 적재요소(LE)에 실린 전자부품(D)을 촬영하게 된다. 그런데, 촬영기(100)가 장착되는 핸들러에 따라서는 적재요소(LE)가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본 예에서와 같이 이동기(170)에 의해 촬영 세트(P.S)는 복수개의 적재요소(LE)가 있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어야만 한다. 물론, 복수개의 촬영기를 구비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나, 처리 속도가 충분히 허락되는 경우라면 생산 단가의 절감 면에서 이동기(170)를 사용하여 촬영기(100)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축 조명(120), 보조 조명(130), 경사 조명(140)은 동축 조명(120)이 전자부품(D)의 상면에 대면하는 시점에 점등된 후 소등되는 스트로브 조명으로 구비되며, 카메라(110)는 동축 조명(120) 또는 경사 조명(140)이 점등된 시점에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라이스캔 카메라의 경우 연속 촬영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조명이 항상 점등되어 있을 필요가 있지만, 에어리어 카메라의 경우 전자부품(D)의 상면이 동축 조명(120)에 대면하는 시점에만 촬영이 이루어지면 족하다. 따라서 각 조명(120, 130, 140)들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고, 전자부품(D)의 상면이 동축 조명(120)과 대면된 시점에서 각 조명(120, 130, 140)의 점등이 이루어질 때만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어서 운용비용이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동축 조명(120)이 활용될 때는 동축 조명(120)과 보조 조명(130)만 점등과 소등이 반복되고 경사 조명(140)은 항시 소등된 상태에 있으며, 경사 조명(140)이 활용될 때는 경사 조명(140)만 점등과 소등이 반복되고 동축 조명(120)과 보조 조명(130)은 항시 소등된 상태에 있다.
한편, 스트로브 조명이 점등되면 그 조도가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값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면 저전력으로 충분한 밝기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전력의 사용량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트로브 조명과 다른 조명들을 좀 더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조명이라는 것은 전력을 소모하기 마련인데, 전자부품과 대면되어 촬영될 수 있는 순간에만 점등되고, 촬영이 끝나면 소등되면 지속적으로 점등하는 것에 비해 많은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장비라는 것이 1일 24시간 동안 365일 내내 가동되는 것이 바람직한 점을 고려하면, 스트로부 조명을 사용함에 따른 전력의 감소량은 막대할 것이다.
둘째, 조명을 특성을 살펴보면, 조명을 계속 켜 놓은 경우와 소등되었다가 점등되는 경우 그 밝기의 차이가 있다. 즉, 소등되었다가 점등되는 경우 최고 밝기까지 도달하는데 시간이 필요하고, 이 때문에 조도가 낮아 영상 습득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동일한 조명을 계속 켜 놓았을 때의 밝기와 소등 후 점등 시점에서의 밝기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소등과 점등을 반복하면서도 점등된 밝기가 어느 수준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조도가 더 높은 제품인 다소 고가의 조명을 사야만 한다. 이 점에서 동일 조명을 사용할 경우 소등과 점등의 반복을 통한 전력의 절감이라는 측면에서는 좋으나, 고가의 조명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불이익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스트로브 조명은 동일 조명이라 할지라도 점등과 소등 사이의 시간이 매우 짧아 기존 조명을 점등과 소등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하고, 동일 조명 수준을 적용하더라도 점등 순간의 밝기가 더 밝아 보다 저렴한 조명을 써도 되는 것이다.
물론, 전자부품의 이동성 측면에서 보면, 라인스캔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에어리어카메라와 달리 전자부품의 정지 없이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할 수 있어서 전자부품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이점은 있지만, 조명의 수명, 전력의 낭비, 라인스캔 카메라가 고가인 점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예와 같은 에어리어 카메라와 스트로브 조명의 조합은 물류의 속도는 높이고, 조명의 수명 연장과 더불어 전력의 소비를 낮추며, 동일 비용 대비 더 높은 밝기로 최적의 촬영 상화까지 구현해 내는 이점을 지닌다.
참고로, 전자부품(D)이 적재된 적재요소(LE)는 카메라(110)에 의한 촬영 시점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나, 그 이동 속도가 느리고 상대적으로 카메라(110)의 노출시간은 매우 짧게 구현된 경우에는 적재요소(LE)가 정지하지 않고 이동하면서 카메라(110)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적재요소(LE)가 지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촬영이 이루어진다면, 각 조명(120, 130, 140)의 점등과 소등 적재요소(LE)의 이동에 동기화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위의 동축 조명(120), 보조 조명(130) 및 경사 조명(140)은 빛의 고른 조사를 위해 확산판을 추가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200)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200)는 두 개의 촬영 세트(P.S)를 가지며, 각각의 촬영 세트(P.S)는 카메라(210), 동축 조명(220), 보조 조명(230), 경사 조명(240)들 및 각도 조절기(250)들을 가진다.
위의 카메라(210), 동축 조명(220), 보조 조명(230) 및 각도 조절기(250)들은 앞선 제1 실시예에서의 카메라(110), 동축 조명(120), 보조 조명(130) 및 각도 조절기(150)들과 그 역할과 배치 또는 구비 형태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에서는 양 카메라(210) 사이에는 경사 조명(240)들이 배치되지 않고, 전후방의 경사 조명(240)들이 양 카메라(210)를 모두 담당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로 구비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양 카메라(210) 사이에 경사 조명(240)들이 더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11에서와 같이 전후방의 경사 조명(240)들도 각각의 카메라(210)에 대응되도록 분할되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결합판(260)에 두 개의 촬영 세트(P.S)가 모두 결합됨으로써 이동기(270)에 의해 함께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적재요소(LE)에 전자부품(D)이 2열로 적재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적재요소(LE)에 전자부품들이 3열 이상으로 적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촬영 세트(P.S)도 대응하는 전자부품(D)의 열수만큼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전자부품(D)의 크기에 따라서 적재요소(LE)에 적재되어 있는 전자부품(D)들의 열 간 간격이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양 촬영 세트(P.S) 간의 간격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1에 따른 촬영기(200)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양 촬영 세트(P.S)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기(28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양 촬영 세트(P.S)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결합판(260)에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하나의 카메라(210)가 한 열씩 볼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카메라(210)가 다수의 열을 볼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카메라가 하나의 열을 보거나 또는 다수의 열을 볼지라도 그 한계가 있을 수 있기에, 하나의 카메라가 복수의 열을 봐야 하는 경우 하나의 카메라가 한열과 다른 한 열을 오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각각 해당 열만을 담당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부품의 열과 열 사이의 거리가 바뀌는 경우를 고려하여, 앞선 설명과 같이 카메라(210)와 카메라(2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설명은 카메라(210)를 위주로 이루어졌으나, 카메라(210)와 함께 하는 조명도 같은 상황에 따라 운영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촬영기
110 : 카메라
120 : 동축 조명
130 : 보조 조명
140 : 경사 조명
HH : 힌지 구멍 CH : 조절 구멍
150 : 각도 조절기
HP : 힌지 돌기 CP : 조절 돌기
160 : 결합판
170 : 이동기
280 : 간격 조절기

Claims (7)

  1. 식별코드를 확인해야 할 전자부품의 상면에 있는 식별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한 촬영을 위해 전자부품의 상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1 조명; 및
    상기 제1 조명의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조명과 전자부품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부품의 상면이 포함된 평면에 대하여 0도 보다는 크고 90도보다는 작은 각의 범위 내의 조사 각도로 전자부품의 상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2 조명; 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에 있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핸들러용 촬영기.
  2. 제1 항에 있어서,
    전자부품은 적재요소에 적재된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적재요소에 적재된 상태로 이동하는 전자부품의 상면을 촬영하는
    전자부품에 있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핸들러용 촬영기.
  3.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에어리어 카메라인
    전자부품에 있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핸들러용 촬영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기; 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에 있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핸들러용 촬영기.
  5. 상기 제1 조명은 전자부품의 상면이 포함된 평면에 대하여 0도 보다는 크고 90도 보다는 작은 조사 각도로 전자부품의 상면에 빛을 조사하며,
    상기 제2 조명은 상기 제1 조명과 전자부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조명의 조사 각도는 상기 제1 조명의 조사 각도보다 더 작은 각을 가지는
    전자부품에 있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핸들러용 촬영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은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전자부품에 있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핸들러용 촬영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요소는 복수개이며, 상기 카메라, 제1 조명, 제2 조명은 결합판을 게재하여 서로 결합되어서 있어서 촬영 세트를 이루며,
    상기 결합판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촬영 세트가 복수개의 적재요소가 있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전자부품에 있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핸들러용 촬영기.











KR1020210116122A 2019-08-14 2021-09-01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KR20210112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22A KR20210112280A (ko) 2019-08-14 2021-09-01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76A KR20210020259A (ko) 2019-08-14 2019-08-14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KR1020210116122A KR20210112280A (ko) 2019-08-14 2021-09-01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76A Division KR20210020259A (ko) 2019-08-14 2019-08-14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280A true KR20210112280A (ko) 2021-09-14

Family

ID=746892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76A KR20210020259A (ko) 2019-08-14 2019-08-14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KR1020210116122A KR20210112280A (ko) 2019-08-14 2021-09-01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76A KR20210020259A (ko) 2019-08-14 2019-08-14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202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767A (ko) 2021-08-26 2023-03-07 (주)테크윙 전자부품 테스터용 핸들러 및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서의 전자부품 촬영방법
CN116484891B (zh) * 2023-04-17 2024-01-26 笃准机器人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针对电泳后工件表面二维码和字符码错码排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59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2280A (ko) 식별코드 확인용 촬영기
AU2003226932B2 (en) Light modulating engine
JP6631007B2 (ja) 画像投影装置
KR102333949B1 (ko) 묘화 장치
US9170474B2 (en) Efficient spatially modulated illumination system
CN100402974C (zh) 检查装置
US20140232850A1 (en) Vision testing device with enhanced image clarity
US8714455B2 (en) External illumination apparatus for optical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CN1278190C (zh) 投影曝光装置、位置对准装置以及位置对准方法
CN111357008B (zh) 生物计量成像系统以及用于控制该系统的方法
WO2016155184A1 (zh) 光源装置及对位标记照相识别系统
KR20160010364A (ko) 이음새없이 형성된 텔레센트릭 명시야 및 환형 암시야 조명
US20120262567A1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lluminating apparatus used in imaging and illuminating method
JP2009109550A (ja) 直描露光装置
WO2014002312A1 (ja) パターン描画装置、パターン描画方法
JP2017183667A (ja) 照明装置、光学装置、インプリント装置、投影装置、及び物品の製造方法
CN108368978B (zh) 光源装置
CN105008852B (zh) 检查装置
JP2007235490A (ja) 自動撮影装置
JP2011222239A (ja) 照明装置および検査装置
JP2009135266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TW554230B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WO2020213341A1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のレンズユニットを備える光照射装置
GB2540001A (en) An imaging system and method
CN210891167U (zh) 可调整光型的发光二极管投射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