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044A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044A
KR20210112044A KR1020200027119A KR20200027119A KR20210112044A KR 20210112044 A KR20210112044 A KR 20210112044A KR 1020200027119 A KR1020200027119 A KR 1020200027119A KR 20200027119 A KR20200027119 A KR 20200027119A KR 20210112044 A KR20210112044 A KR 2021011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unit
tray
bundled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166B1 (ko
Inventor
장문
곽재훈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16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와 카세트 내의 묶음지폐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계수 및 표시할 수 있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로부터 전달되거나 상기 트레이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카세트; 상기 트레이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하여 상기 카세트로 이송하거나, 상기 카세트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의한 묶음지폐의 픽업에 따른 상기 트레이와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및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트레이와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을 표시하는 주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for teller}
본 발명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이와 카세트 내의 묶음지폐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계수 및 표시할 수 있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 또는 무인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기기이다.
근래에는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 내부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업무 종료 후 정산 작업 등을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금융기관의 직원 또는 계원 등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가 도입되고 있다.
종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경우, 출납 계원이 수동으로 카세트에 입금시, 입금하고자 하는 시재(논리적 시재)와 실제로 입금된 시재(물리적 시재)가 불일치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지폐의 정산시 시재를 수동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업무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정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91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87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레이와 카세트 내의 묶음지폐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계수 및 표시할 수 있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로부터 전달되거나 상기 트레이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카세트; 상기 트레이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하여 상기 카세트로 이송하거나, 상기 카세트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의한 묶음지폐의 픽업에 따른 상기 트레이와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및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트레이와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을 표시하는 주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묶음지폐를 1소속 단위씩 픽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픽업된 묶음지폐가 1소속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송유닛의 구동 및 상기 주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 및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량을 저장하는 무게 변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 및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 변화를 카운팅하는 소속 매수 카운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는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권종별로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주표시부에는 상기 트레이 및 권종별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소속 수량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표시부에는 상기 권종별 카세트의 보유 금액과, 상기 권종별 카세트의 보유 금액의 합계 금액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는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권종별로 복수로 구비되고, 각 카세트 마다 해당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을 표시하는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및 카세트는 적재된 묶음지폐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푸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 측정부는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게 측정부는 상기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에 따른 저항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셀(Load ce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상기 로드셀이 수납되는 안착홈이 내부에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안착홈에 수납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묶음지폐를 지지하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유닛 본체와, 묶음지폐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와, 상기 그립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그립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승강이동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를 서로 오므려지거나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그립부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는, 묶음지폐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마주보는 내측면에 요철 형상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의 하단과 상단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묶음지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단 가이드편과 상단 가이드편, 상기 묶음지폐의 상면 가장자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판 스프링, 및 상기 묶음지폐의 상면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의하면, 무게 측정부를 이용하여 트레이와 카세트 내의 소속 수량을 실시간으로 계수 및 표시함으로써 입금 소속 매수의 오류 검증이 가능하고, 정산시 별도의 시재 확인이 불필요하여 업무 간소화 및 업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카세트에 구비된 보조 표시부에도 해당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 변화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므로, 주표시부를 확인하지 않고도 보충/회수 업무가 가능하다.
또한, 이송유닛의 그립부재에 쿠션부재와, 상단/하단 가이드편, 판 스프링 및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묶음지폐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투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주표시부에 카세트별 묶음지폐의 수량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구비된 입출금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 구비된 입출금부에서 트레이와 카세트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 구비된 트레이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트레이의 승강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트레이에 구비된 푸쉬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의 (a), (b)는 도 9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 구비된 카세트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카세트의 승강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 구비된 이송유닛과 이송유닛 구동부를 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 구비된 이송유닛과 이송유닛 구동부를 배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 구비된 이송유닛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이송유닛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주요부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좌측면도,
도 18은 도 16을 저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 블록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는,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트레이(100), 상기 트레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100)로부터 전달되거나 상기 트레이(100)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카세트(200), 상기 트레이(100)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하여 상기 카세트(200)로 이송하거나, 상기 카세트(200)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100)로 이송하는 이송유닛(300), 상기 이송유닛(300)에 의한 묶음지폐의 픽업에 따른 상기 트레이(100)와 카세트(200)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123), 및 상기 무게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트레이(100)와 카세트(200)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을 표시하는 주표시부(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100매의 지폐를 묶어서 하나의 묶음지폐를 만들게 되며, 이와 같은 100매 지폐의 한 묶음을‘소속’이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입출금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계원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미도시), 계원의 신분증을 인식하는 카드인식부(미도시), 입력된 계원의 정보 또는 수행하고자 하는 입출금 내역 등을 보여주는 주표시부(30), 및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묶음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시키는 입출금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200)는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권종별로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주표시부(30)에는 상기 트레이(100) 및 권종별 카세트(200;200-1,200-2,200-3,200-4,200-5)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소속 수량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카세트(200)에 여러 종류의 묶음지폐가 적재되면, 계원들이 정산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금액 계산이 부정확해질 수 있으며, 원하는 금액에 해당하는 묶음지폐를 이송하기 위해 이송유닛(300)이 구동되어야 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카세트(200)에는 한 종류의 묶음지폐만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천원권 묶음지폐 카세트, 오천원권 묶음지폐 카세트, 만원권 묶음지폐 카세트, 및 오만원권 묶음지폐 카세트 등을 각각 마련하고, 각각의 카세트에는 해당 묶음지폐만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주표시부(30)에는 상기 권종별 카세트(200)의 보유 금액과, 상기 권종별 카세트(200)의 보유 금액의 합계 금액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표시부(30)에는 입금 또는 출금 선택 화면과, 관리모드 선택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리모드의 선택 시, 지폐의 보충, 회수, 시재마감(정산), 장애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선택 화면(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200)는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권종별로 복수로 구비되고, 각 카세트(200-1,200-2,200-3,200-4,200-5) 마다 해당 카세트(200-1,200-2,200-3,200-4,200-5)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을 표시하는 보조 표시부(201,202,203,204,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카세트(200-1,200-2,200-3,200-4,200-5)에 구비된 보조 표시부(201,202,203,204,205)에도 해당 카세트(200-1,200-2,200-3,200-4,200-5)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 변화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므로, 주표시부(30)를 확인하지 않고도 보충/회수 업무가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입출금부(20)는, 외곽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21), 상기 메인 프레임(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입금 또는 출금하고자 하는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트레이(100), 상기 트레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트레이(100)로부터 전달 받은 묶음지폐 또는 트레이(100)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카세트(200), 및 상기 트레이(100)와 카세트(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100)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pick up)하여 상기 카세트(200)로 이송하거나, 상기 카세트(200)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100)로 이송하는 이송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금융기관의 고객이 입금한 많은 량의 지폐를 묶음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금융기관의 업무 종료 후에 각 계원마다 정산 등을 하는 경우에 낱장 단위로 계산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계산 오류를 줄일 수 있어 계원들의 업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1)의 내부에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22)이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트레이(100)와 복수의 카세트(200)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트레이(100)는 메인 프레임(21)의 일측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카세트(200)는 메인 프레임(21)의 내측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00)가 메인 프레임(21)의 일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계원은 트레이(100)에 묶음지폐를 투입하거나 트레이(100)로부터 묶음지폐를 수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22)에는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수평 프레임(23)이 구비되어 트레이(100)와 복수의 카세트(200;200-1,200-2,200-3,200-4,200-5)를 지지한다.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22)의 하단은 메인 프레임(21)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22)의 상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수평 프레임(23)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1가이드레일(24)과 제2가이드레일(25)이 결합되어 이송유닛(30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24) 및 제2가이드레일(25)과 메인 프레임(21)의 상면 사이에는 이송유닛(30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S)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1)의 상부에는 이송유닛(300)을 구동하기 위한 이송유닛 구동부(400)가 구비되고, 메인 프레임(21)의 상면에는 트레이(100)와 카세트(200-1)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권종을 인식하기 위한 권종 인식 카메라(500;500-1,500-2)가 구비된다. 상기 권종 인식 카메라(500;500-1,500-2)는 묶음지폐 표면의 색상, 문양 또는 고유번호 등을 인식함으로써 권종을 식별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1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본체(110)와, 상기 트레이 본체(110)의 내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를 지지하며 승강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120)와, 상기 푸쉬플레이트(120)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구동부(130), 및 상기 승강구동부(130)의 구동을 제어를 위한 피씨비(PCB)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본체(110)의 상부에는 묶음지폐의 투입 또는 반출을 위한 출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112)의 하측으로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적재공간(112)이 마련되며, 트레이 본체(110)의 일측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 본체(110)의 일측에 개구부(113)를 형성함으로써 적재된 묶음지폐의 대략적인 수량을 파악할 수 있고, 묶음지폐의 적재 상태를 볼 수 있으며, 이송유닛(300)이 묶음지폐를 잡고 승강 이동할 때 이송유닛(300)과 트레이 본체(11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30)는, 모터(131)와, 그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131a)와, 상기 피니언 기어(131a)에 기어결합되는 연결기어(132)와, 상기 연결기어(132)가 일측에 결합된 샤프트(133)와, 상기 샤프트(133)의 양측부에 결합된 제1풀리(134)와 제2풀리(135), 상기 제1풀리(134)와 제2풀리(135)에 각각 대응되도록 트레이(10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된 제3풀리(136)와 제4풀리(137), 상기 제1풀리(134)와 제3풀리(136)에 연결된 제1벨트(138), 및 상기 제2풀리(135)와 제4풀리(137)에 연결된 제2벨트(1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벨트(138)와 제2벨트(139)에는 푸쉬플레이트(120)의 양측부(124,125; 도 8 참조)에 구비된 벨트 결합부(124a)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110)의 내부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가이드봉(114)과 제2가이드봉(115)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봉(114)과 제2가이드봉(115)은 푸쉬플레이트(120)의 양측부(124,125)에 형성된 가이드홀(125a,125b; 도 9 참조)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31)의 구동력은 제1 내지 제4풀리(134,135,136,137)와 제1 내지 제2벨트(138,139)를 통해 전달되어 모터(131)의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의 구동에 의해 푸쉬플레이트(120)는 그 양측부(124,125)가 상기 제1가이드봉(114)과 제2가이드봉(115)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100)의 후방측에는 입출금부(20)의 메인프레임(21)에 잠금되는 잠금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푸쉬플레이트(120)는, 그 상면에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123)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푸쉬플레이트(120)는, 안착홈(121a)이 내부에 형성된 베이스부재(121)와, 상기 안착홈(121a)에 안착되는 무게 측정부(123), 및 상기 무게 측정부(123)의 상면에 결합되어 묶음지폐를 지지하는 상판(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무게 측정부(123)는 상기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에 따른 저항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셀(Load ce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120)에 무게 측정부(123)를 구비함으로써, 이송유닛(300)에 의해 트레이(100) 내에 적재된 묶음지폐가 상측으로 픽업되거나 트레이(100) 내로 적재되는 경우에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무게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트레이(100)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은 주표시부(30)에 표시되어 계원이 소속의 수량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폐 1장의 무게는 약 1g이므로 1소속의 묶음지폐의 무게는 대략 100g 정도이며, 지폐의 사용 상태에 따라 2g 정도의 오차 범위 내에 있게 되며, 상기 무게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1소속의 무게 변화량이 98g~102g에 해당하는 것으로 측정되면, 이송유닛(300)에 의해 1소속의 묶음지폐가 이동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2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카세트 본체(210)와, 상기 카세트 본체(210)의 내부에 적재되는 묶음지폐를 지지하며 승강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220)와, 상기 푸쉬플레이트(220)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구동부(230), 및 상기 승강구동부(230)의 구동을 제어를 위한 피씨비(PCB) 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본체(210)의 상부에는 묶음지폐의 투입 또는 반출을 위한 출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211)의 하측으로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적재공간(212)이 마련되며, 카세트 본체(210)의 일측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본체(210)의 일측에 개구부(213)를 형성함으로써 적재된 묶음지폐의 대략적인 수량을 파악할 수 있고, 묶음지폐의 적재 상태를 볼 수 있으며, 이송유닛(300)이 묶음지폐를 잡고 승강이동할 때 이송유닛(300)과 카세트 본체(21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230)는, 모터(231)와, 그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231a)와, 상기 피니언 기어(231a)에 기어결합되는 연결기어(232)와, 상기 연결기어(232)가 일측에 결합된 샤프트(233)와, 상기 샤프트(233)의 양측부에 결합된 제5풀리(234)와 제6풀리(235), 상기 제5풀리(234)와 제6풀리(235)에 각각 대응되도록 카세트(20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된 제7풀리(236)와 제8풀리(237), 상기 제5풀리(234)와 제7풀리(236)에 연결된 제3벨트(238), 및 상기 제6풀리(235)와 제8풀리(237)에 연결된 제4벨트(2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200)에 구비된 푸쉬플레이트(220)는, 전술한 트레이(100)에 구비된 푸쉬플레이트(1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본체(210)의 내부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3가이드봉(214)과 제4가이드봉(215)이 구비되어 푸쉬플레이트(220)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트레이(100)에는 20소속의 묶음지폐가 적재 가능하고, 상기 카세트(200)에는 45소속의 묶음지폐가 적재 가능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유닛 구동부(400)는, 트레이(100)와 카세트(200)의 상측에서 이송유닛(30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메인프레임(2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모터(410)와, 그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411)와, 상기 피니언 기어(411)에 기어결합되는 연결기어(412)와, 상기 연결기어(412)와 동일한 축에 결합된 일측의 풀리(420)와, 상기 메인프레임(21)의 상부 타측에 구비된 풀리(430)와, 상기 양측에 구비된 풀리(420,430)에 연결된 벨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이송유닛 본체(31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 본체(3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벨트(311)에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311)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유닛 본체(310)의 전면 하부에는 제1가이드레일(24)에 안착되는 제1가이드롤러(312)가 구비되고, 이송유닛 본체(310)의 전면 상부에는 메인프레임(21)의 상부 저면과 접촉되는 제2가이드롤러(3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 본체(310)의 후면 하부에는 제2가이드레일(25) 상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부재(314)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410)의 구동력은 상기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풀리(420,430)와 벨트(440)를 통해 전달되어 모터(410)의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의 구동에 의해 이송유닛(300)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묶음지폐를 픽업한 이송유닛(30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레이(100)와 카세트(200) 간에 묶음지폐를 인수인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유닛(300)은, 이송유닛 본체(310)와, 묶음지폐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320;320-1,320-2)와, 상기 그립부재(3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330)와, 상기 그립부재(320)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구동부(330)의 구동에 의해 승강이동하는 지지부재(340), 및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320;320-1,320-2)를 서로 오므려지거나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그립부재 구동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320;320-1,320-2)는, 폭이 긴 묶음지폐의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구성되고, 묶음지폐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그립부재(320;320-1,320-2)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요철 형상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쿠션부재(321)가 구비되고, 상기 쿠션부재(321)의 하단과 상단에는 묶음지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단 가이드편(322)과 상단 가이드편(323)이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며, 묶음지폐의 상면 가장자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판 스프링(324)과, 묶음지폐의 상면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해 탄성부재(326)에 의해 지지된 댐퍼(3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묶음지폐는 그립부재(320;320-1,320-2)에 안정적으로 파지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330)는, 이송유닛 본체(310)의 후면 상부에 구비된 모터(331)와, 그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331a)와, 상기 피니언 기어(331a)에 기어결합되는 연결기어(332)와, 상기 연결기어(332)가 일측에 결합된 샤프트(333)와, 상기 샤프트(333)의 양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풀리(334,335)와, 상기 한 쌍의 풀리(334,335)에 각각 대응되도록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풀리(337)와, 상부 일측에 구비된 풀리(334)와 하부 일측에 구비된 풀리(미도시)를 연결하는 벨트(338)와, 상부 타측에 구비된 풀리(335)와 하부 타측에 구비된 풀리(337)를 연결하는 벨트(3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40)는, 그립부재(320;320-1,320-2)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이스부(341)와, 상기 베이스부(341)의 양측단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된 측면부(342,343)와, 상기 양측의 측면부(342,343)를 연결하며 지지하는 연결축(344)과, 상기 양측의 측면부(342,343)에 각각 결합된 가이드블록(345,346)과 벨트 결합부(3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록(345,346)에는 각각 이송유닛 본체(310)에 고정되며 수직으로 구비된 가이드봉(315,316)이 관통되고, 상기 벨트 결합부(347)에는 벨트(338,339)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31)의 구동력은 풀리(334,335,337)와 벨트(338,339)를 통해 전달되어 모터(331)의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의 구동에 의해 지지부재(340)와 그립부재(320) 및 그립부재 구동부(350)는 함께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 구동부(350)는, 상기 일측에 위치한 측면부(343)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이동축(352)에 고정된 모터(351)와, 그 회전축에 결합된 웜(353)과, 상기 웜(35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기어결합되는 웜기어(354)와, 상기 웜기어(354)와 동일한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355)와, 상기 피니언 기어(355)의 양측에 각각 기어결합되는 제1랙기어(356)와 제2랙기어(35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 본체(310)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축(352)이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홀(3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랙기어(356)는 제1그립부재(320-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랙기어(357)는 제2그립부재(320-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351)의 구동력은 웜(353)과 웜기어(354)와 피니언기어(355) 및 제1랙기어(356)와 제2랙기어(357)를 통해 전달되어 모터(351)의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의 구동에 의해 제1그립부재(320-1)와 제2그립부재(320-2)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오므려지거나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그립부재(320-1)와 제2그립부재(320-2)가 서로 오므려지는 경우 묶음지폐의 양측면을 파지하게 되고, 제1그립부재(320-1)와 제2그립부재(320-2)가 서로 벌어지는 경우에는 묶음지폐의 양측면을 파지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300)는, 이송유닛 구동부(40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승강구동부(330)에 의해 그립부재(320;320-1,320-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립부재 구동부(350)에 의해 그립부재(320;320-1,320-2)를 서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300)은 묶음지폐를 1소속 단위씩 픽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유닛(300)은, 입금 시에는 트레이(100)에 적재되어 있는 묶음지폐를 1소속 단위씩 픽업하여 카세트(200)로 이동시키고, 출금 시에는 카세트(200)에 적재되어 있는 묶음지폐를 1소속 단위씩 픽업하여 트레이(100)로 이동시킨다.
상기 트레이(100) 또는 카세트(200)에 적재된 묶음지폐가 상기 이송유닛(300)에 의해 픽업되면, 트레이(100) 또는 카세트(200)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무게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묶음지폐 무게는 전술한 트레이(100)와 카세트(200)의 푸쉬플레이트(120,220)에 구비된 무게 측정부(123)에 의해 측정되며, 무게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트레이(100)와 카세트(200)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은 주표시부(30)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는, 상기 무게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유닛(300)에 의해 픽업된 묶음지폐가 1소속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송유닛(300)의 구동 및 상기 주표시부(30)에 표시되는 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에는, 계원이 명령 입력부(31)를 통해 입력한 입금 또는 출금 명령 신호와, 무게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묶음지폐의 무게 데이터가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무게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100) 및 카세트(200)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량을 저장하는 무게 변화 데이터 저장부(610)와, 상기 트레이(100) 및 카세트(200)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 변화를 카운팅하는 소속 매수 카운팅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무게 변화 데이터 저장부(61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량으로부터 1소속의 묶음지폐가 정상적으로 픽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1소속의 묶음지폐가 정상적으로 픽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이송유닛(300)이 픽업된 1소속의 묶음지폐를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주표시부(30)에는 트레이(100) 및 권종별 카세트(200)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소속 수량과, 권종별 카세트(200)의 보유 금액, 및 상기 권종별 카세트(200)의 보유 금액의 합계 금액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게 측정부(123)를 이용하여 트레이(100)와 카세트(200) 내의 소속 수량을 실시간으로 계수 및 표시함으로써 입금 소속 매수의 오류 검증이 가능하고, 지폐의 정산시 별도의 시재 확인이 불필요하여 업무 간소화 및 업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0 : 본체
20 : 입출금부 21 : 메인 프리임
22 : 수직 프레임 23 : 수평 프레임
24 : 제1가이드레일 25 : 제2가이드레일
30 : 주표시부 31 : 명령 입력부
100 : 트레이 110 : 트레이 본체
111 : 출입구 112 : 적재공간
113 : 개구부 114 : 제1가이드봉
115 : 제2가이드봉 120 : 푸쉬플레이트
121 : 베이스부재 121a : 안착홈
122 : 상판 123 : 무게 측정부(로드셀)
124,125 : 푸쉬플레이트의 양측부 124a,125a : 벨트 결합부
124b,125b : 가이드홀 130 : 승강구동부
131 : 모터 132 : 연결기어
133 : 샤프트 134 : 제1풀리
135 : 제2풀리 136 : 제3풀리
137 : 제4풀리 138 : 제1벨트
139 : 제2벨트 140 : 피씨비(PCB) 모듈
150 : 잠금부재
200,200-1,200-2,200-3,200-4,200-5 : 카세트
201,202,203,204,205 : 보조 표시부
210 : 카세트 본체 211 : 출입구
212 : 적재공간 213 : 개구부
214 : 제3가이드봉 215 : 제4가이드봉
220 : 푸쉬플레이트 230 : 승강구동부
240 : PCB 모듈 231 : 모터
232 : 연결부재 233 : 샤프트
234 : 제5풀리 235 : 제6풀리
236 : 제7풀리 237 : 제8풀리
238 : 제3벨트 239 : 제4벨트
240 : 피씨비(PCB) 모듈 300 : 이송유닛
310 : 이송유닛 본체 310a : 홀
311 : 벨트 결합부 312 : 제1가이드롤러
313 : 제2가이드롤러 314 : 슬라이딩부재
315,316 : 가이드봉 320,320-1,320-2 : 그립부재
321 : 쿠션부재 322 : 하단 가이드편
323 : 상단 가이드편 324 : 판 스프링
325 : 댐퍼 326 : 탄성부재
330 : 승강구동부 331 : 모터
332 : 연결기어 333 : 샤프트
334,335,337 : 풀리 338,339 : 벨트
340 : 지지부재 341 : 베이스부
342,343 : 측면부 344 : 연결축
345,346 : 가이드블록 347 : 벨트 결합부
350 : 그립부재 구동부 351 : 모터
352 : 이동축 353 : 웜
354 : 웜기어 355 : 피니언기어
356 : 제1랙기어 357 : 제2랙기어
400 : 이송유닛 구동부 410 : 모터
420,430 : 풀리 440 : 벨트
500,500-1,500-2 : 권종인식 카메라 600 : 제어부
610 : 무게 변화 데이터 저장부 620 : 소속 매수 카운팅부

Claims (13)

  1.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로부터 전달되거나 상기 트레이로 전달될 묶음지폐가 적재되는 카세트;
    상기 트레이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하여 상기 카세트로 이송하거나, 상기 카세트로부터 묶음지폐를 픽업하여 상기 트레이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의한 묶음지폐의 픽업에 따른 상기 트레이와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 및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트레이와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을 표시하는 주표시부;
    를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묶음지폐를 1소속 단위씩 픽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픽업된 묶음지폐가 1소속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송유닛의 구동 및 상기 주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 및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량을 저장하는 무게 변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 및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 변화를 카운팅하는 소속 매수 카운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권종별로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주표시부에는 상기 트레이 및 권종별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소속 수량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표시부에는 상기 권종별 카세트의 보유 금액과, 상기 권종별 카세트의 보유 금액의 합계 금액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적재되는 묶음지폐의 권종별로 복수로 구비되고,
    각 카세트 마다 해당 카세트에 적재된 묶음지폐의 수량을 표시하는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및 카세트는 적재된 묶음지폐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푸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 측정부는 상기 푸쉬플레이트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측정부는 상기 묶음지폐의 무게 변화에 따른 저항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셀(Load cel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는, 상기 로드셀이 수납되는 안착홈이 내부에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안착홈에 수납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묶음지폐를 지지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유닛 본체와, 묶음지폐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와, 상기 그립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그립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승강이동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를 서로 오므려지거나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그립부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묶음지폐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마주보는 내측면에 요철 형상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의 하단과 상단에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묶음지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단 가이드편과 상단 가이드편, 상기 묶음지폐의 상면 가장자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판 스프링, 및 상기 묶음지폐의 상면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0200027119A 2020-03-04 2020-03-04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31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119A KR102312166B1 (ko) 2020-03-04 2020-03-04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119A KR102312166B1 (ko) 2020-03-04 2020-03-04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44A true KR20210112044A (ko) 2021-09-14
KR102312166B1 KR102312166B1 (ko) 2021-10-12

Family

ID=7777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119A KR102312166B1 (ko) 2020-03-04 2020-03-04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1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743Y1 (ko) * 1999-11-12 2000-04-15 정재현 시재(時在)관리금고시스템
KR20090093701A (ko) * 2008-02-29 2009-09-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2015049874A (ja) * 2013-09-04 2015-03-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JP2018116386A (ja) * 2017-01-17 2018-07-26 株式会社東芝 紙幣集積装置、紙幣包装システム、および紙幣集積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743Y1 (ko) * 1999-11-12 2000-04-15 정재현 시재(時在)관리금고시스템
KR20090093701A (ko) * 2008-02-29 2009-09-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2015049874A (ja) * 2013-09-04 2015-03-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JP2018116386A (ja) * 2017-01-17 2018-07-26 株式会社東芝 紙幣集積装置、紙幣包装システム、および紙幣集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166B1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87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090093699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 및 묶음지폐 적재 방법
US6516998B2 (en) Self-service terminal
JP5821588B2 (ja) 紙幣処理装置
JP7317996B2 (ja) 自動カジノ会計のための金庫データ読み取り機アレイを備えたドロップカートおよび自律型ドロップカート処理システム
KR100973875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312166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6051060B2 (ja) 紙幣取扱装置
WO1992002903A1 (en) Paper currency handling apparatus
KR102299227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한 묶음지폐 정산 방법 및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2312171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한 묶음지폐 픽업 오동작 알람 장치
KR102347518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한 묶음지폐 계수 방법
KR940003024B1 (ko) 자동인출장치
KR10146758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2312669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운용방법
KR102312680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110078203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묶음지폐 로딩 감지장치
KR101499090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15204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1009172B1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작동 방법
KR20100052101A (ko)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픽업장치
KR101035190B1 (ko) 묶음지폐 입출금기
KR101049311B1 (ko) 묶음지폐 입출금용 트레이
KR0175306B1 (ko) 지폐입출금장치
KR20220079292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