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755A - 통신 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방법,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방법,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755A
KR20210111755A KR1020217019676A KR20217019676A KR20210111755A KR 20210111755 A KR20210111755 A KR 20210111755A KR 1020217019676 A KR1020217019676 A KR 1020217019676A KR 20217019676 A KR20217019676 A KR 20217019676A KR 20210111755 A KR20210111755 A KR 20210111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signal
terminal device
measurement result
base s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다카노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방법,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본 개시는, 통신 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방법,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이동 통신의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이하, 「Long Term Evolution(LTE)」, 「LTE-Advanced(LTE-A)」, 「LTE-Advanced Pro(LTE-A Pro)」, 「5G(제5 세대)」 「New Radio(NR)」, 「New Radio Access Technology(NRAT)」,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또는 「Further EUTRA(FEUTRA)」라고도 칭한다.) 지만,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있어서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LTE는, LTE-A, LTE-A Pro 및 EUTRA를 포함하고, NR은, NRAT 및 FEUTRA를 포함한다. LTE 및 NR에서는, 기지국 장치(기지국)는 LTE에 있어서 eNodeB(evolved NodeB) 및 NR에 있어서 gNodeB라고도 칭해지고, 단말 장치(이동국, 이동국 장치, 단말기)는 UE(User Equipment)라고도 칭해진다. LTE 및 NR은, 기지국이 커버하는 에어리어를 셀 형상으로 복수 배치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다. 단일의 기지국은 복수의 셀을 관리해도 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빔 포밍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빔 포밍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프레임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14-52421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빔 포밍된 동기 신호와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시스템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다(3GPP TS38.211, TS38.213 참조). 따라서, 그대로, 종래의 빔 포밍된 동기 신호와 PBCH를,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빔 포밍으로 송신되는 환경에 적용하면, 단말기의 신호 수신 부하가 증대해 버린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빔 포밍된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 단말기의 수신 부하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도 개량된 통신 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방법,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에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생성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에 기초한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하는, 통신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이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것과,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구비하는,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에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에 기초한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구비하는, 통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컴퓨터에,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것과,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컴퓨터에,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에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에 기초한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BWP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빔 스위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지국과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전형적인 빔 선택 수속 및 CSI 취득 수속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기지국과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전형적인 빔 선택 수속 및 CSI 취득 수속의 흐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단말 장치에 배치되는 안테나 패널의 배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SSB를 시간 방향으로 배치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SS burst reporting configuration이 단말 장치에 복수 설정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리포트의 범위 경계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리소스 사이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4 스텝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업링크의 리소스의 링키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리소스의 링키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리소스의 링키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리소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차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첫머리
1.1. 시스템 구성
1.2. 관련 기술
1.3. 제안 기술의 개요
2. 구성예
2.1. 기지국의 구성예
2.2. 단말 장치의 구성예
3. 제1 실시 형태
4. 제2 실시 형태
5. 응용예
6. 정리
<<1. 첫머리>>
<1.1.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1)은, 기지국(100)(100A 및 100B), 단말 장치(200)(200A 및 200B),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20) 및 PDN(Packet Data Network)(30)을 포함한다.
기지국(100)은, 셀(11)(11A 및 11B)을 운용하고, 셀(11)의 내부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단말 장치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A)는, 단말 장치(200A)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지국(100B)은 단말 장치(200B)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11)은, 예를 들어 LTE 또는 NR(New Radio) 등의 임의의 무선 통신 방식을 따라서 운용될 수 있다. 기지국(100)은, 코어 네트워크(20)에 접속된다. 코어 네트워크(20)는, PDN(30)에 접속된다.
코어 네트워크(20)는, 예를 들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MME은, 제어 플레인의 신호를 취급하는 제어 노드이고, 단말 장치의 이동 상태를 관리한다. S-GW는, 유저 플레인의 신호를 취급하는 제어 노드이고, 유저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전환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이다. P-GW는, 유저 플레인의 신호를 취급하는 제어 노드이고, 코어 네트워크(20)와 PDN(30)의 접속점이 되는 게이트웨이 장치이다. PCRF는, 베어러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 등의 폴리시 및 과금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노드이다. HSS는, 가입자 데이터를 취급하고, 서비스 제어를 행하는 제어 노드이다.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기지국(100)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 장치이다. 단말 장치(200)는, 소위 유저 단말기(User Equipment: UE)여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100)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1.2. 관련 기술>
(1) BWP(Bandwidth Part)
도 2는, BWP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1은, 복수의 BWP(#1 및 #2)를 포함하고, CC#2는, 복수의 BWP(#1 및 #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 후의 숫자는, 인덱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다른 CC에 포함되는 BWP는, 인덱스가 동일해도, 다른 BWP를 나타내고 있다. BWP는, 하나의 오퍼레이션 주파수 대역 폭(operation band width)인 CC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 폭으로 나눈 것이다. 각각의 BWP에 있어서는,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을 설정할 수 있다.
3GPP Rel15의 NR의 기본 프레임 포맷으로서, 이 BWP가 규격화되었다. LTE에 대하여 Rel8로 규격화된 OFDM 변조 방식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kHz에 고정되고 있었다. 한편, Rel15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60kHz, 120kHz 또는 240kHz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브캐리어 간격이 길어지면, 그만큼 OFDM 심볼 길이가 짧아진다. 예를 들어, LTE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이기 때문에, 1ms당 1슬롯 송신 가능하고, 환언하면, 14OFDM 심볼을 송신 가능하였다. 한편, NR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60kHz인 경우에는 2슬롯, 120kHz인 경우에는 4슬롯, 240kHz인 경우에는 8슬롯을 송신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서브캐리어를 길게 함으로써, OFDM 심볼 길이가 짧아진다. 그만큼, 저지연 통신에 적합한 프레임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NR에서는,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이 설정된 BWP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NR에서는, 다른 유스 케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BWP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2) 액티브 BWP의 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BWP는, 액티브 BWP라고도 칭해진다. 그리고, 동시에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BWP의 수는, 액티브 BWP의 수라고도 칭해진다. 기지국(100)의 액티브 BWP의 수는 복수이다. 한편, 단말 장치(200)의 액티브 BWP의 수는 1개인 경우가 있다. 물론, 액티브 BWP의 수가 복수인 단말 장치(200)도, 장래적으로는 등장한다고 생각된다. 이들의 시나리오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또한, 본 개시에 관한 기술에서는, 단말 장치(200)의 액티브 BWP의 수가 1개인 경우가 상정된다.
(3) CC와 BWP의 관계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BWP에 초점을 맞춰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본 개시의 안테나 스위칭의 방법은, 복수의 CC(Component Carrier)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CC란, 오퍼레이션하고 있는 주파수 밴드이다. 실제로는, 인접한 BWP쪽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인접한 BWP쪽이 주파수적으로 가깝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있어서 BWP로서 설명하고 있는 개소는, 기본적으로 CC로 교체해도 된다. 복수의 BWP는 동 시각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CC의 경우도, 복수의 CC를 동 시각에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4) 코드북 베이스 빔 포밍
기지국(100)은, 빔 포밍을 행하여 단말 장치(200)와 통신함으로써, 예를 들어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빔 포밍의 방법으로서는, 단말 장치(200)에 추종하는 것과 같은 빔을 생성하는 방법과, 후보의 빔 중에서 단말 장치(200)에 추종하는 것 같은 빔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빔을 생성할 때마다 계산 비용이 드는 점에서, 장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5G)에 있어서 채용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한편으로, 후자의 방법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릴리스(13)의 FD-MIMO(Full Dimensio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에서도 채용되고 있다. 후자의 방법은, 코드북 베이스 빔 포밍(codebook based beam forming)으로도 칭해진다.
코드북 베이스 빔 포밍에서는, 기지국(100)은 모든 방향을 향한 빔을 사전에 준비(즉, 생성)해 두고, 그 사전에 준비해 둔 빔 중에서 대상의 단말 장치(200)에 적합한 빔을 선택하고, 선택한 빔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20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수평 방향으로 360도에서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예를 들어 1도 간격으로 360종류의 빔을 준비한다. 빔끼리가 절반 쌓이도록 하는 경우, 기지국(100)은, 720종류의 빔을 준비한다. 수직 방향에 대해서는, 기지국(100)은, 예를 들어 -90도로부터 +90도까지의 180도분의 빔을 준비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빔을 관측하는 것뿐이므로, 기지국(100)측의 코드북의 존재를 알아 둘 필요성은 낮다.
기지국(100)이 사전에 준비해 둔 복수의 빔을, 이하에서는 빔 군이라고도 칭한다. 빔 군은,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마다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빔 군은, Rx/Tx 빔마다, 또한 다운링크/업링크마다 정의될 수 있다.
(5) 빔 스위핑
NR에서는, 통신에 사용해야 할 최적의 빔을 선택하기 위해서, 빔 군에 속하는 복수의 빔의 각각을 사용하여, 측정용 신호(기지 신호)를 송신하는 또는 수신하는, 빔 스위핑에 대하여 검토되어 있다. 측정용 신호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라고도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빔 스위핑하면서 송신된 측정용 신호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송신용(이하,Tx 빔이라고도 칭한다)을 선택할 수 있다. 그 일례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빔 스위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기지국(100)이 빔 군(40)을 사용하여 빔 스위핑하면서(즉, Tx 빔을 전환하면서) 측정용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빔 스위핑하면서 송신하는 것을, 이하에서는 빔 스위핑 송신이라고도 칭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빔 스위핑 송신된 측정용 신호를 측정하고, 어느 Tx 빔이 가장 수신하기 쉬운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지국(100)의 최적인 Tx 빔이 선택된다. 또한,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를 교체하여 마찬가지의 수속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200)의 최적인 Tx 빔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측정용 신호를 빔 스위핑하면서 수신함으로써 얻은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수신용 빔(이하, Rx 빔이라고도 칭해진다)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가, 측정용 신호를 업링크로 송신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빔 스위핑하면서(즉, Rx 빔을 전환하면서) 측정용 신호를 수신하고, 어느 Rx 빔이 가장 수신하기 쉬운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지국(100)의 최적인 Rx 빔이 선택된다. 또한,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를 교체하여 마찬가지의 수속을 실행함으로써,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200)의 최적인 Rx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빔 스위핑하면서 수신하는 것을, 이하에서는 빔 스위핑 수신이라고도 칭한다.
빔 스위핑 송신된 측정용 신호를 수신 및 측정하는 측은, 측정 결과를 측정용 신호의 송신측에 보고한다. 측정 결과는, 어느 Tx 빔이 최적인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최적의 Tx 빔이란, 예를 들어 수신 전력이 가장 큰 Tx 빔이다. 측정 결과는, 수신 전력이 가장 큰 1개의 Tx 빔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수신 전력이 큰 상위 K개의 Tx 빔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측정 결과는, 예를 들어 Tx 빔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빔의 인덱스) 및 Tx 빔의 수신 전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대응지어서 포함한다.
빔 스위핑을 위한 빔은, 기지 신호인 레퍼런스 신호에 지향성을 갖게 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레퍼런스 신호라고 하는 리소스에서 빔을 판별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하나의 레퍼런스 신호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하나의 빔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리소스를 10개 준비하면, 기지국(100)은 다른 10 방향에 대응한 빔 스위핑을 행할 수 있다. 10개의 리소스를 통합하여 리소스 세트라고 칭할 수 있다. 10개의 리소스로 구성된 1개의 리소스 세트는, 10 방향에 대응한 빔 스위핑을 제공할 수 있다.
(6) CSI 취득 수속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취득 수속은, 상술한 빔 스위핑을 수반하는 빔 선택 수속에 의해, 최적의 빔이 선택된 후에 실행된다. CSI 취득 수속에 의해, 선택된 빔을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의 채널 품질이 취득된다. 예를 들어, CSI 취득 수속에 있어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가 취득된다.
채널 품질은, 변조 방식 등의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채널의 품질이 좋은데, 적은 비트밖에 보낼 수 없는 변조 방식, 예를 들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가 채용되면, 저스루풋이 되어 버린다. 한편, 채널의 품질이 나쁜데, 많은 비트를 보낼 수 있는 변조 방식, 예를 들어 25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이 채용되면, 수신측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여 저스루풋이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채널 품질을 정확하게 취득하는 것이, 스루풋 향상을 위하여 중요하다.
도 4는, 기지국과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전형적인 빔 선택 수속 및 CSI 취득 수속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빔 선택을 위한 측정용 신호를 빔 스위핑 송신한다(스텝 S11). 이어서, 단말 장치는, 빔 선택을 위한 측정용 신호의 측정을 행하고, 빔의 측정 결과(빔 리포트)를 기지국에 보고한다(스텝 S12). 이러한 측정 결과는, 예를 들어 기지국이 최적의 Tx 빔의 선택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서, 기지국은, 선택된 최적의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 취득을 위한 측정용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3). 이어서, 단말 장치는, 측정용 신호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취득된 채널 품질을 기지국에 보고한다(스텝 S14). 그리고, 기지국은, 보고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유저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스텝 S15).
다운링크의 채널 품질은,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측정용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한편, 다운링크의 채널 품질은, 업링크로 송신되는 측정용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이것은, 업링크의 채널과 다운링크의 채널이 가역성을 갖고 있고, 이들 채널의 품질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역성은, 채널 레시프로시티로도 칭해진다.
다운링크의 측정용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링크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경우, 도 4의 스텝 S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 품질 취득을 위한 측정용 신호의 측정 결과의 보고가 행하여진다. 이 측정 결과의 보고는, 큰 오버헤드가 될 수 있다. 채널은, 송신 안테나 수가 M이고, 수신 안테나 수가 N인 경우에는, N×M의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행렬의 각 요소는, IQ에 대응한 복소수가 된다. 예를 들어, 각 I/Q가 10bit로 표시되고, 송신 안테나 수가 100개이고, 수신 안테나 수가 8개인 경우, 채널 품질의 측정 결과의 보고에는, 8×100×2×10=16000비트가 소비되어, 큰 오버헤드가 된다.
이에 비해, 업링크의 측정용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링크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경우, 측정 주체가 기지국이기 때문에, 측정 결과의 보고는 불필요하다. 그 때문에, 업링크의 측정용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링크의 채널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측정 결과의 보고에 관한 오버헤드를 삭감하고,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업링크의 측정용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링크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기지국과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전형적인 빔 선택 수속 및 CSI 취득 수속의 흐름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는, 빔 선택을 위한 측정용 신호를 빔 스위핑 송신하고, 기지국은 빔 스위핑하면서 측정용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21). 그 때, 기지국은,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의 최적인 Tx 빔 및 기지국의 최적인 Rx 빔을 선택한다. 이어서, 기지국은, 빔의 측정 결과(빔 리포트)를 단말 장치에 보고한다(스텝 S22). 이러한 측정 결과는, 단말 장치의 최적인 Tx 빔의 선택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서, 단말 장치는, 선택된 Tx 빔을 사용하여 채널 품질 취득을 위한 측정용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23). 기지국은,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업링크의 채널 품질을 취득하고, 업링크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다운링크의 채널 품질을 취득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취득한 다운링크의 채널 품질에 기초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유저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스텝 S24). 이상으로부터, 빔 리포트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가 수신한, 빔 선택을 위한 측정용 신호의 측정 결과가, 단말기 또는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된다.
(7)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쳐
안테나의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회로에서 모든 처리를 행하는 아키텍처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아키텍처는, 풀 디지털 아키텍쳐라고도 칭해진다. 풀 디지털 아키텍쳐에서는, 안테나의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안테나(즉, 안테나 소자)와 동일 수만큼의 안테나 가중이 디지털 영역에서(즉, 디지털 회로에 의해) 적용된다. 안테나 가중이란,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중이다. 그러나, 풀 디지털 아키텍쳐에서는, 디지털 회로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풀 디지털 아키텍쳐의 결점을 해소하는 아키텍처로서,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쳐가 있다.
도 6은,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아키텍처는, 디지털 회로(50), 아날로그 회로(60)(60A 및 60B) 및 안테나 패널(70)(70A 및 70B)을 포함한다. 디지털 회로는, 복수의 안테나 가중(51)(51A 및 51B)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아날로그 회로(60) 및 안테나 패널(70)은, 디지털 회로(50)에서 적용 가능한 안테나 가중(51)의 수와 동일 수, 마련된다. 안테나 패널(70)에는, 복수의 안테나(72)(72A 내지 72F) 및 안테나(72)의 수와 동일 수의 페이즈 시프터(71)(71A 내지 71F)가 마련된다. 페이즈 시프터(71)는 아날로그 영역에서, 위상만 제어 가능한 안테나 가중을 적용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영역의 안테나 가중과 아날로그 영역의 안테나 가중의 특성을,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디지털 영역에 있어서의 안테나 가중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적용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영역에 있어서의 안테나 가중은, 송신 시에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전에 적용되고, 수신 시에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후에 적용된다.
디지털 영역의 안테나 가중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적용된다. 그 때문에, 디지털 영역의 안테나 가중을 적용함으로써, 동일 시간 리소스여도, 다른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다른 방향으로 빔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으로, 아날로그 영역의 안테나 가중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적용된다. 그 때문에, 아날로그 영역의 안테나 가중을 적용해도, 동일한 시간 리소스에서는, 모든 주파수 리소스에 걸쳐서 동일 방향으로 밖에 빔을 향할 수 없다.
즉, 안테나 패널(70)마다, 동일한 시간 리소스여도, 다른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다른 방향으로 빔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으로, 하나의 안테나 패널(70)은, 동일한 시간 리소스 및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하나의 방향으로 밖에 빔을 향할 수 없다.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쳐에서는, 동일한 시간 리소스에 있어서 송수신 할 수 있는 빔의 방향은, 안테나 패널(70)의 수에 대응한다. 더 설명하면,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쳐에서는, 동일한 시간 리소스에 있어서 빔 스위핑 송신 또는 빔 스위핑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빔 군의 수는, 안테나 패널(70)의 수에 대응한다.
이러한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쳐는,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의 양쪽에 있어서 채용될 수 있다.
(8) 안테나 패널
도 6에서는, 하나의 디지털 영역의 가중에 3개의 아날로그 영역의 페이즈 시프터가 접속되어 있다. 이 하나의 디지털 영역의 가중과, 3개의 아날로그 영역의 페이즈 시프터의 조를 안테나 패널로서 통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것은, 안테나 소자 3개로 안테나 패널을 구성하고, 이 안테나 패널이 2개 있는 경우의 예가 되고 있다. 표 2에서 설명했지만, 통상은, 하나의 패널에서는, 동일한 시간에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다른 방향의 빔을 만들 수 없다. 그러나, 2개의 패널을 사용하면, 동일한 시간이라도, 다른 방향의 빔을 만들 수 있다. 이 안테나 패널의 구성은, 기지국측과 단말기측의 양쪽에서 사용된다.
도 7은, 단말 장치(200)에 배치되는 안테나 패널의 배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단말 장치(200)에 8개의 안테나 패널(80)이 배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는, 단말 장치(200)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4개, 계 8개의 안테나 패널(80)이 배치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안테나 패널(80)에 탑재되는 안테나 소자의 수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패널(80)에는 4개의 안테나 소자가 탑재되어 있다.
(9) 레퍼런스 신호와 유저 데이터의 리소스
빔 스위핑이나 CSI 취득 수속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 사이에서 레퍼런스 신호의 송수신이 필요해진다. 또한,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도, 레퍼런스 신호의 송수신이 필요해진다. 이들의 레퍼런스 신호는, 기본적으로는, 주파수와 시간의 리소스에서 지정되고, 일부, 직교하는 시퀀스를 사용하여 리소스를 지정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한편, 유저 데이터는,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스케쥴러가 유저 데이터의 주파수와 시간 리소스를 지정한다. 유저 데이터의 경우에는, 직교하는 시퀀스를 리소스로서 할당하는 경우는 없다. 주파수와 시간 리소스만이다.
Figure pct00003
(10) 수신측의 안테나 패널과 빔의 선택
(10-1) 빔 매니지먼트 단계에서의 안테나 패널과 빔의 선택
빔 매니지먼트 중은, 기지국(100)으로부터 도래하는 빔을 단말 장치(200)측으로, 시행 착오하면서, 어느 안테나 패널의 어느 빔에서 수신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다른 안테나 패널은, 기본적으로 동시에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4개의 리소스가 다운링크 빔용의 동일한 빔에 대한 레퍼런스 신호의 리소스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200)는 안테나 패널마다, 다른 4개의 수신 빔을 사용하고, 어느 것이 바람직한 수신 빔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기지국(100)측의 다른 방향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빔의 본 수분 행한다. 다운링크 빔의 개수가 10개인 경우에는, 10×4=40개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단말 장치(200)가 수신 빔을 관측함으로써,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바람직한 빔과 단말 장치(200)측의 안테나 패널과 바람직한 빔을 결정할 수 있다.
(10-2) CSI 수속 단계에서의 안테나 패널과 빔의 선택
CSI 수속 단계는, 기지국(100)에서 송신용의 프리코딩(보다 미세한 안테나 제어)을 사용한 뒤에, 채널의 품질을 보다 상세하게 확인하는 단계이다. CSI 수속 단계에서는, 전번의 빔 매니지먼트 단계에서 동정한 단말 장치(200)의 안테나 패널과, 그 안테나 패널 중에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한 빔에서, CSI 수속용의 레퍼런스 신호의 수신을 행한다.
(11) 멀티 기지국
이상은, 1개의 기지국(100)에 복수의 안테나 패널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단말 장치(200)의 주위에 복수의 기지국(100)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그 복수의 단말 장치(200)(멀티 기지국)의 복수의 안테나 패널 사이에서 동기를 취득할 필요가 있다. 이 동기는, 주파수 동기와 시간 동기의 양쪽의 동기이다. 이 경우의 멀티 기지국은, 셀 ID가 동일한 것을 상정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로부터 보면 동일한 셀이지만, 실제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은, 물리적으로는, 다른 기지국(100)이 된다.
(12) 동기 신호
동기 신호는, SS burst set라고 하는 동기 신호가 연속으로 들어 있는 덩어리가 있고, 그 중에,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가 복수(예를 들어 8개) 들어 있다. 4OFDM Symbol로 구성되는 1슬롯 중에 2개의 SSB를 넣을 수 있고, 그것이 최대 4슬롯까지 설정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SSB의 수가 8개가 된다.
하나의 SSB 중에는, PSS/SSS라고 하는 동기용의 시퀀스와, PBCH라고 하는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이 들어가 있고, SSB마다 다른 방향을 향한 빔에서 보내진다. 즉, 다른 방향에 대응하는 빔 중에 동기용의 신호와, 그 빔 중에 브로드캐스트 되는 시스템 정보가 들어 있다.
SS burst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ms나 20ms와 같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1.3. 제안 기술의 개요>
종래의 빔 포밍된 동기 신호와 PBCH(시스템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의 복수의 안테나 패널로부터 보내져 오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다(3GPP TS38.211, TS38.213 참조). 따라서, 복수의 기지국의 복수의 안테나 패널이라고 하는 환경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빔 포밍된 동기 신호와 PBCH의 송신을 실행하면, 단말 장치는, 수신 시의 부하가 증대해 버린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동기 신호는, 복수의 기지국의 복수의 안테나 패널을 고려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몇 번이나 동기 신호의 취득 수속을 반복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어, N대(N은 예를 들어 3 내지 10 정도)의 기지국이 각각 M개(M은 예를 들어 2 내지 4 정도)의 안테나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는, 최대로 N×M회의 동기 신호 취득 수속을 반복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구체예를 든다. 기지국의 수가 3이고, 각 기지국에 구비되는 안테나 패널의 수가 4인 경우에는, 단말 장치는, 근처에 있는 12군데에서 오는 동기 신호를 모니터하고, 최적의 것을 취득할 필요가 있다. 단말 장치가 이동하면, 모니터하는 동기 신호를 업데이트 할 필요가 있고, 단말 장치가 이동하지 않아도, 차나 사람에 의한 블로킹으로, 최적의 빔이 블록되어 버린 때에 구비하여, 동기 신호 항상 업데이트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매우 큰 부담이다.
단말 장치는, PSS, SSS의 동기용 시퀀스를 사용하여, Cell ID를 취득하기 전에, 단순하게 SSB 중에서, 어느 SSB로부터의 신호가 큰지를 판별하고, 신호가 큰 SSB를 20ms마다의 반복 주기로, 몇 번이나 관측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PSS/SSS의 시퀀스의 조합 중에서 어느 것이 맞는가를 관측한다. 이러한 동작을 복수회 행하는 것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매우 큰 부담이었다.
<<2. 구성예>>
<2.1. 기지국의 구성예>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기억부(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1) 안테나부(110)
안테나부(110)는,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 하여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에 출력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부(11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빔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무선 통신부(120)
무선 통신부(1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단말 장치로의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부(120)는, 안테나부(110)에 의해 복수의 빔을 형성하여 단말기 장치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부(110) 및 무선 통신부(120)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쳐의 안테나 패널(70)을 복수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110)는, 안테나(72)에 상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디지털 회로(50), 아날로그 회로(60) 및 페이즈 시프터(71)에 상당한다.
(3) 네트워크 통신부(130)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다른 노드로의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노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노드는, 다른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4) 기억부(140)
기억부(140)는, 기지국(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5) 제어부(150)
제어부(150)는, 기지국(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여, 기지국(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150)는, 설정부(151)와, 통신 제어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정부(151)는,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 사이의 무선 통신에 관한 여러가지의 설정을 행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부(151)는, 이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동기 신호를 단말 장치(200)에서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설정을 행한다. 통신 제어부(153)는, 설정부(151)의 설정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부(120)로부터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통신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2.2. 단말 장치의 구성예>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기억부(230) 및 제어부(240)를 구비한다.
(1) 안테나부(210)
안테나부(210)는, 무선 통신부(2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에 출력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부(210)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빔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무선 통신부(220)
무선 통신부(2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부(220)는, 안테나부(210)에 의해 복수의 빔을 형성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부(210) 및 무선 통신부(220)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안테나 아키텍쳐의 안테나 패널(70)을 복수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210)는, 안테나(72)에 상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디지털 회로(50), 아날로그 회로(60) 및 페이즈 시프터(71)에 상당한다.
(3) 기억부(230)
기억부(23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여러가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4) 제어부(240)
제어부(240)는, 단말 장치(2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여,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240)는 취득부(241)와, 통신 제어부(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취득부(241)는,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취득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취득부(241)는, 이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동기 신호를 단말 장치(200)로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취득한다. 통신 제어부(243)는, 취득부(241)가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부(220)로부터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통신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240)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3. 제1 실시 형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셀에 속하는 기지국(100)으로부터 동일한 PSS/SSS를 사용하여, SSB를 시간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를 생각한다. 단말 장치(200)로부터 하면, 복수의 기지국(100)의 존재에는 알아차리지 않고, 단순하게 8개의 SSB의 수신 전력을 보아서 큰 것을 리포트하게 된다. 이것은, 다른 기지국(100)이라도 동일한 Cell ID를 할당하여, 단말기측에서는 다른 기지국(100)이 존재하는 것을 의식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유효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말 장치(200)가 복수의 기지국(100)을 의식하여, 2개의 기지국(100)과 접속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2개의 기지국(100)으로부터 각각 리포트하면 좋겠다고 단말 장치(200)에 리포트의 설정을 했다고 해도, 1개만의 기지국(100)의, 2개가 강한 SSB를 선택해 버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한 Cell ID를 갖는 기지국(100)의 SSB(동기 신호)를 하나의 SS burst로서 설정하고, 그 SS burst 중에서, 어느 SSB가 어느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200)에 빔 리포트를 시키기 위한 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한 Cell ID를 갖는 기지국(100) 중에서 최대 몇 개의 기지국(100)의 리포트를 행할지를, 단말 장치(200)가 그 때마다가 판단하여 리포트할 수 있도록, 보고하는 수에 제한을 마련한 설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있어서 구체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8개의 SSB의 어느 것이 어느 기지국(100)으로부터의 것인가를, RRC signaling 등에 의해 네트워크측에서 단말 장치(200)에 설정해 둔다. 종래의 리포트 컨피규레이션은, SS burst reporting configuration(0)에 상당하는 것이고, 단말 장치(200)는, 8개의 SSB 중에서 강한 수신 전력의 것을 선택하여 리포트하고 있었다. 이것에 각 기지국(100)의 안테나 패널에 대응한 SS burst Reporting Configuration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SS burst reporting configuration(1)이나 (2)와 같은 설정이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단말 장치(200)는, 각 기지국(100) 중의 안테나 패널의 품질을 보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컨피규레이션은, 초기 액세스에서, 단말 장치(200)가 어느 하나의 기지국(100)과 접속한 후에, RRC signaling으로 이들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즉, RRC idle로부터의 최초의 셀과의 접속 시에는, 이들의 방법은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GHz대의 통신에서는, 통상의 셀로의 접속 방법으로 매크로 셀을 선택한다. 그 후에, 27GHz대 등의 통신으로 소형의 기지국(100)을 선택할 때에, 단말 장치(200)는, 이 설정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100)과 안테나 패널을 선택한다.
이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단말 장치(200)의 주위에 매우 많은 기지국(100)이 있을 때는, 모든 기지국(100)의 모든 안테나 패널에 리포트해도 되지만, 리포트를 하는 수에 제한이 마련되어도 된다. 즉, 다른 기지국(100)으로부터 도래한다고 하여 설정된 SSB의 리포트를 함에 있어서, 몇 개의 기지국(100)에 대응한 리포트를 행할지가, 단말 장치(200)에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은, 단순히, 리포트의 컨피규레이션을 복수 행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SS burst reporting configuration을 예를 들어, 10개 설정하고, 그 10개 중에서 최대 3개의 기지국(100)에 대응한 리포트를 행한다는 설정이 단말 장치(200)에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10개 중에서 어느 3개를 선택할지는, 단말 장치(200)의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정할 수 있다. 도 11은, SS burst reporting configuration이 단말 장치(200)에 복수 설정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리포트의 설정은, 단말 장치(200)마다 전용의 시그널링에서 설정하는 케이스가 많지만, 기지국(100)은 PBCH 등의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여 리포트의 대상을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SSB 중에는, 도 11과 같이 PBCH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PBCH 중에서, report group 1, report group 2 등의 지시를 포함하고 있으면, 기지국(10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포트의 범위 경계를 단말 장치(200)에 알릴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랜덤 액세스 자체가 컨텐션 베이스여도 논 컨텐션 베이스여도 어느 쪽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는, 리포트에서 비교해야 할 대상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동일한 셀 ID를 갖는, 다른 기지국(100)으로부터 도래하는 복수의 빔을 사용하여, 각각의 기지국(100)이 송신하는 빔 중에서 바람직한 빔을 선택하여 리포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일련의 빔 중에서, 복수의 기지국(100)의 최적의 빔이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 장치(200)의 동작률을 낮출 수 있고, 단말 장치(200)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제2 실시 형태>>
통상적으로는, 단말 장치(200)는, X개의 SSB의 설정에 대하여, 1개의 랜덤 액세스가 설정된다. 랜덤 액세스는, 단말 장치(200)가 접속 베이스에서 기지국(100)에 대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수속이고, 단말 장치(200)와 기지국(100) 사이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접속 베이스에서 단말 장치(200)로부터 프리앰블이라고 불리는 시퀀스를 스케줄링 없이 보내는 수순이다.
단말 장치(200)의 주위에 많은 기지국(100)이 배치되고, 단말 장치(200)가 동시에 복수의 기지국(100)과 접속하는 환경에 있어서는, 이 설정은 문제가 있다. 1개의 SSB의 설정 중에 복수의 기지국(100)의 리소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1개의 랜덤 액세스의 리소스밖에 없기 때문이다. 1개의 SSB의 설정 중에 복수의 기지국(100)으로부터의 SSB가 포함되어 있는 이유는,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이들의 복수의 기지국은, 동일한 Cell ID를 갖는 기지국이고, 단말 장치(200)로부터는, 동일한 셀로 간주하기 때문에 1개의 SSB의 설정으로 취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SS burst 중의 SSB가 복수의 기지국(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의 기지국(100)용에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를 설정한다. 또한 SS burst 중의 SSB가 복수의 기지국(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의 기지국(100)용에 공통의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를 설정한다. 공통의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에서 보내지는, 프리앰블 시퀀스에 계속되는 메시지부에 의해, 어느 기지국(100)에 대한 랜덤 액세스인가를 네트워크측이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공통의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에서 보내지는,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어느 기지국(100)에 대한 랜덤 액세스인가를 네트워크측이 판별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한 Cell ID를 갖는 복수의 기지국(100)용의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를 기지국(100)의 수만큼 준비하고, 그 링키지는, 단말 장치(200)마다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단말 장치(200)가 랜덤 액세스에 실패한 경우에는, 2회째의 시행을 실행하는 영역을 상기의 업링크의 리소스 중에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구체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SS burst set 안을 복수의 부분으로 나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지국(100)에 대응하는 SSB를 설정에서 명시하고, 그 내용을 단말 장치(200)에 설정한다. 그것들의 복수의 SSB의 영역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를 실시하는 업링크의 리소스는, 그 SSB의 영역의 수만큼 준비함과 함께, 그 리소스 사이의 링키지를 명시하고, 그 내용을 단말 장치(200)에 설정한다.
도 14는, 4 스텝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2 스텝으로 랜덤 액세스가 완료하는 시퀀스를 상정하고 있다. 먼저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200)에 대하여 SS burst의 컨피규레이션, SS burst part의 컨피규레이션,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 컨피규레이션 및 SS burst part와 리소스 사이의 링키지 컨피규레이션을 송신한다(스텝 S101).
계속하여 기지국(100)은 SSB를 송신한다(스텝 S102). SSB를 수신한 단말 장치(200)는,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의 0번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의 스텝 1을 실행한다(스텝 S103).
기지국(100)은, 이 스텝 S103의 랜덤 액세스에 대한 리스폰스를 단말 장치(200)에 송신한다(스텝 S104). 리스폰스를 수신한 단말 장치(200)는 계속해서,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의 1번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의 스텝 1을 실행한다(스텝 S105). 기지국(100)은, 이 스텝 S104의 랜덤 액세스에 대한 리스폰스를 단말 장치(200)에 송신한다(스텝 S106).
셀 ID가 동일한 기지국(100)이어도, 단말 장치(200)로부터의 리포트를 위한 리소스를 각각의 기지국(100)용으로 준비함으로써, 단말 장치(200)로부터의 리포트의 충돌의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는, 컨텐션 베이스의 랜덤 액세스에 효과가 있다.
랜덤 액세스는 컨텐션 베이스에서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단말 장치(200)의 업링크 랜덤 액세스 신호와 충돌하고, 단말 장치(200)의 랜덤 액세스 신호가 네트워크측에서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동일한 Cell ID의 복수의 기지국(100)이 4개 있었다고 해서, 2개의 기지국(100)과 접속하면 좋겠다는 설정이 단말 장치(200)에 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4개의 업링크의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용으로 준비되고, 각각의 업링크의 리소스는, 4개의 기지국(100)과 링키지되어 있다. 제1 기지국(100)과 제2 기지국(100)에 랜덤 액세스를 하고 싶다고 정한 단말 장치(200)는, 그 제1 기지국(100)과 제2 기지국(100)의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시도한다. 그러나, 다른 단말 장치(200)의 랜덤 액세스와 충돌을 일으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4개의 리소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말 장치(200)는, 2개의 기지국(100)과 밖에 랜덤 액세스를 계속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기지국(100)의 각각에 링키지하는 것이 아니고, 4개의 업링크의 리소스의 어디에서 랜덤 액세스를 행해도 된다고 한다. 즉, 4개의 업링크의 리소스를 1개의 그룹으로 하여, 그 그룹에 링키지를 설정한다. 도 15는, 업링크의 리소스 링키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4개의 업링크의 리소스를 1개의 그룹으로 하여, 그 그룹에 링키지를 설정한 예이다.
도 16은, 리소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것은, 4개의 기지국(100)이 존재하고, 랜덤 액세스를 행해도 되는 수가 2로 단말 장치(200)에 설정되어 있었을 경우에 있어서, 4개의 기지국(100) 중에서 가장 품질이 좋다고 단말 장치(200)가 동정한 기지국(100)을 first base station, 2번째로 품질이 좋다고 단말 장치(200)가 동정한 기지국(100)을 second base station으로 한 케이스이다. 각각의 기지국(100)에 대하여, 단말 장치(200)에는 2회의 랜덤 액세스의 찬스가 할당된다. 단말 장치(200)는, 1회째의 랜덤 액세스에서 실패한 경우에는, 2회째의 랜덤 액세스의 리소스에서 시행을 행할 수 있다.
도 17은, 리소스의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것은, 4개의 기지국(100)이 존재하고, 랜덤 액세스를 행해도 되는 수가 1로 단말 장치(200)에 설정되어 있었을 경우의 예이다. 이 경우에는, 4회의 랜덤 액세스의 찬스가 할당된다. 물론, 단말 장치(200)는, 랜덤 액세스를 4회 모두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은 아니고, 2스텝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의, step2의 네트워크측으로부터의 리스폰스가 있었을 경우에는, 나머지의 트라이는 하지 않아도 된다.
URLLC와 같이 고신뢰, 저지연을 요구하는 트래픽의 경우에는, 랜덤 액세스 시에 업링크가 충돌하고, 수속이 지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랜덤 액세스 시의 컨텐션에 의한 충돌 시에 의한 수속의 지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는, 컨텐션 베이스의 랜덤 액세스에 효과가 있다.
도 18은, 업링크의 리소스를 1개로 한 경우의 리소스 링키지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과 같은 링키지의 경우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먼저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200)에 대하여, SS burst의 컨피규레이션, SS burst part의 컨피규레이션,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의 컨피규레이션 및 SS burst part와 리소스 사이의 링키지 컨피규레이션을 송신한다(스텝 S111).
계속하여 기지국(100)은 SSB를 송신한다(스텝 S112). SSB를 수신한 단말 장치(200)는,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의 리소스 0번 및 1번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의 스텝 1을 실행한다(스텝 S113).
기지국(100)은, 이 스텝 S113의 랜덤 액세스에 대한 리스폰스를 단말 장치(200)에 송신한다(스텝 S114, S115).
도 19의 시퀀스 경우에는, 단말 장치(200)는, 업링크의 리소스를 사용한 랜덤 액세스의 Step1로, 어느 SS burst의 부분에 대해 행하고 있는지를, 랜덤 액세스의 프리앰블에 계속되는 메시지나, 랜덤 액세스의 프리앰블 시퀀스에서 네트워크측에 통지한다. 단말 장치(200)가 예기하고 있지 않은 수의 리스폰스를 수취하는 것이나, 예기하고 있지 않은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리스폰스를 수취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Step1의 랜덤 액세스 시퀀스에서 대응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방법은, 예를 들어 그 단말기가 사용하는 시퀀스 번호가 X라고 하면, 기지국(0)만에 대응하는 것은, X+0의 시퀀스를 사용하고, 기지국(1)에 대응하는 것은, X+1의 시퀀스를 사용한다. 기지국(0)과 기지국(1)을 동시에 행하는 것은, X+2의 시퀀스를 사용하는 등의 약속한 것을 네트워크측과 단말기에서 행해 둔다.
Figure pct00004
실제로는, 랜덤 액세스의 프리앰블에 계속되는 메시지 부분에서 통지하는 것이 간단한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은, 다른 단말 장치(200)가 송신한 랜덤 액세스 메시지와의 충돌 시에, 보다 내성이 있다. 물론, 내성은 낮아지지만, 프리앰블에 계속되는 부분인 메시지 부분에서 통지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기지국(100)의 수가 많고, 단말 장치(200)로부터의 리포트의 수가 기지국(100)의 수보다도 적어도 되는 경우에는, 이 방법이 유효하다.
<<5. 응용예>>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등의 어느 하나의 종류의 eNB(evolved Node B)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스몰 eNB는, 피코 eNB, 마이크로 eNB 또는 홈(펨토) eNB 등의, 매크로 셀보다도 작은 셀을 커버하는 eNB이면 된다. 그 대신에, 기지국(100)은, NodeB 또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의 다른 종류의 기지국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본체(기지국 장치라고도 한다)와, 본체와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RRH(Remote Radio Head)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여러 다양한 단말기가 일시적으로 또는 반영속적으로 기지국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100)으로서 동작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형의 모바일 라우터 혹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량 탑재 단말기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한다)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이들 단말기에 탑재되는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1개의 다이로 구성되는 집적 회로 모듈)이어도 된다.
<5.1. 기지국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20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800)는, 1개 이상의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를 갖는다. 각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는, RF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1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기지국 장치(82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eNB(800)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10)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0에는 eNB(800)가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는 예를 도시했지만, eNB(800)는 단일의 안테나(81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20)는,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이면 되고, 기지국 장치(820)의 상위 레이어의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8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해 전송한다. 컨트롤러(821)는, 복수의 기저 대역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함으로써 번들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번들 패킷을 전송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821)는,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유입 제어(Admission Control) 또는 스케줄링(Scheduling)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논리적인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당해 제어는, 주변의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연계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메모리(8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컨트롤러(8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단말기 리스트,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 등)를 기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기지국 장치(820)를 코어 네트워크(8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컨트롤러(8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해도 된다. 그 경우에, eNB(800)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또는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도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에 사용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등의 어느 하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안테나(810)를 통해, eNB(800)의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전형적으로는, 기저 대역(BB) 프로세서(826) 및 RF 회로(8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각 레이어(예를 들어, L1,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다양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BB 프로세서(826)는, 컨트롤러(821) 대신에, 상술한 논리적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BB 프로세서(8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이어도 되고, BB 프로세서(826)의 기능은, 상기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에 의해 변경 가능해도 된다. 또한, 상기 모듈은, 기지국 장치(820)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혹은 블레이드여도 되고, 또는 상기 카드 혹은 상기 블레이드에 탑재되는 칩이어도 된다. 한편, RF 회로(827)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81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27)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0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26) 및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26) 또는 단일의 RF 회로(827)를 포함해도 된다.
도 20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150)에 포함되는 1개 이상의 구성 요소(설정부(151), 및/또는 통신 제어부(15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2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혹은 전부, 및/또는 컨트롤러(8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00)에 인스톨되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및/또는 컨트롤러(8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00), 기지국 장치(8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RF 회로(827))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10)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2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140)는, 메모리(82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21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830)는, 1개 이상의 안테나(840),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를 갖는다. 각 안테나(840) 및 RRH(86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는, 광섬유 케이블 등의 고속 회선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4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RRH(86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eNB(83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40)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1에는 eNB(830)가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eNB(830)는 단일의 안테나(84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50)는,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는,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어느 하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RRH(860) 및 안테나(840)를 통해, RRH(860)에 대응하는 섹터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8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56)는,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통해 RRH(860)의 RF 회로(864)와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BB 프로세서(826)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1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해도 된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를 RRH(86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와 RRH(860)를 접속하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또한, RRH(860)는, 접속 인터페이스(8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구비한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RRH(8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기지국 장치(85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안테나(8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전형적으로는, RF 회로(8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86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8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64)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21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가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단일의 RF 회로(864)를 포함해도 된다.
도 21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150)에 포함되는 1개 이상의 구성 요소(설정부(151), 및/또는 통신 제어부(15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5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3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혹은 전부, 및/또는 컨트롤러(85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30)에 인스톨되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및/또는 컨트롤러(85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30), 기지국 장치(85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예를 들어, RF 회로(864))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40)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5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140)는, 메모리(85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5.2. 단말 장치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22는,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1개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15), 1개 이상의 안테나(916), 버스(917), 배터리(918)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Chip)이면 되고, 스마트폰(900)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그 밖의 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903)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장형 디바이스를 스마트폰(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906)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화상을 생성한다. 센서(907)는, 예를 들어 측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 군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8)은, 스마트폰(900)에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90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10)의 화면 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스마트폰(900)의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11)는, 스마트폰(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어느 하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13)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1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916)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22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13) 또는 단일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첨가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15)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916)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16)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스마트폰(900)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22에는 스마트폰(900)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갖는 예를 도시했지만, 스마트폰(900)은 단일의 안테나(916)을 가져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16)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15)는, 스마트폰(9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버스(917)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91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해, 도 22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컨트롤러(919)는,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 있어서, 스마트폰(900)의 필요 최저한의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22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240)에 포함되는 1개 이상의 구성 요소(취득부(241) 및/또는 통신 제어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01) 또는 보조 컨트롤러(919)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의 일부(예를 들어, BB프로세서(913)) 혹은 전부,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스마트폰(900)에 인스톨되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90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RF 회로(914))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16)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230)는, 메모리(90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23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924), 센서(925), 데이터 인터페이스(926), 콘텐츠 플레이어(927),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 입력 디바이스(929), 표시 디바이스(930), 스피커(9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1개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36), 1개 이상의 안테나(937) 및 배터리(938)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이면 되고,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그 밖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GPS 모듈(9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측정한다. 센서(925)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압 센서 등의 센서 군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926)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통해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접속되고, 차속 데이터 등의 차량측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927)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에 삽입되는 기억 매체(예를 들어, CD 또는 DVD)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92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30)의 화면 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어느 하나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34)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35)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937)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23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34) 또는 단일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첨가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36)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937)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37)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23에는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가 복수의 안테나(937)를 갖는 예를 도시했지만,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단일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37)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36)는,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배터리(93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해, 도 23에 도시한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938)는, 차량측에서 급전되는 전력을 축적한다.
도 23에 도시한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240)에 포함되는 1개 이상의 구성 요소(취득부(241) 및/또는 통신 제어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2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혹은 전부 및/또는 프로세서(9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인스톨되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및/또는 프로세서(9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1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RF 회로(935))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37)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230)는, 메모리(92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술한 차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1개 이상의 블록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와, 차량측 모듈(942)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차량측 모듈(942)은 차속, 엔진 회전수 또는 고장 정보 등의 차량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출력한다.
<<6.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동일한 셀 ID를 갖는, 다른 기지국(100)으로부터 도래하는 복수의 빔을 사용하여, 각각의 기지국(100)이 송신하는 빔 중에서 바람직한 빔을 선택하여 리포트하는 것이 가능한 단말 장치(200)가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일련의 빔 중에서, 복수의 기지국(100)의 최적의 빔이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 장치(200)의 동작율을 낮출 수 있고, 단말 장치(200)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의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에 있어서의 각 스텝은, 반드시 시퀀스도 또는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에 있어서의 각 스텝은, 흐름도로서 기재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처리되어도, 병렬적으로 처리되어도 된다.
또한, 각 장치에 내장되는 CPU, ROM 및 RAM 등의 하드웨어를, 상술한 각 장치의 구성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작 가능하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기억 매체도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능 블록도에서 도시한 각각의 기능 블록을 하드웨어로 구성함으로써, 일련의 처리를 하드웨어에서 실현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이지 않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기의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의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기지국의 수의 제한에 기초하여,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상기 기지국 중에서, 상기 빔의 측정 결과의 송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의 최대수를 판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 군에 포함되는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복수의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상기 기지국용에 설정된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는, 모든 상기 기지국에 공통의 리소스인, 상기 (3)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통신 제어부는, 공통의 상기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에서 송신하는 메시지의 프리앰블부에 계속되는 메시지부에 판별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판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인가를 각 상기 기지국이 판별할 수 있기 위한 정보인, 상기 (5)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상기 통신 제어부는, 공통의 상기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에서 송신하는 메시지의 프리앰블부에 판별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통신 장치.
(8)
상기 판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인가를 각 상기 기지국이 판별할 수 있기 위한 정보인, 상기 (7)에 기재된 통신 장치.
(9)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기지국의 수만큼 준비된, 해당 기지국용의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와 각 상기 기지국의 링크를 독자적으로 설정하는, 상기 (3)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상기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한 랜덤 액세스에 실패한 경우에는, 2번째의 랜덤 액세스를 실행하는 영역을 상기 업링크 리소스 중에서 설정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통신 장치.
(11)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에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생성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에 기초한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하는, 통신 제어 장치.
(12)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는 기지국의 수를 제한하는 설정을 행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통신 제어 장치.
(13)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 군에 포함되는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복수의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상기 기지국용에 설정된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를 설정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통신 제어 장치.
(14)
상기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는, 모든 상기 기지국에 공통의 리소스인, 상기 (13)에 기재된 통신 제어 장치.
(15)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것과,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구비하는, 통신 방법.
(16)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에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에 기초한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구비하는, 통신 제어 방법.
(17)
컴퓨터에,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것과,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컴퓨터에,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에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에 기초한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100: 기지국
200: 단말 장치

Claims (18)

  1.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기지국의 수의 제한에 기초하여,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상기 기지국 중에서, 상기 빔의 측정 결과의 송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의 최대수를 판단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 군에 포함되는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복수의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상기 기지국용에 설정된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는, 모든 상기 기지국에 공통의 리소스인,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공통의 상기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에서 송신하는 메시지의 프리앰블부에 계속되는 메시지부에 판별 정보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인가를 각 상기 기지국이 판별할 수 있기 위한 정보인, 통신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공통의 상기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에서 송신하는 메시지의 프리앰블부에 판별 정보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인가를 각 상기 기지국이 판별할 수 있기 위한 정보인, 통신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복수의 기지국의 수만큼 준비된, 해당 기지국용의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와 각 상기 기지국의 링크를 독자적으로 설정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한 랜덤 액세스에 실패한 경우에는, 2번째의 랜덤 액세스를 실행하는 영역을 상기 업링크 리소스 중에서 설정하는, 통신 장치.
  11.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에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생성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에 기초한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하는, 통신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는 기지국의 수를 제한하는 설정을 행하는, 통신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 군에 포함되는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복수의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상기 기지국용에 설정된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를 설정하는, 통신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용의 업링크 리소스는, 모든 상기 기지국에 공통의 리소스인, 통신 제어 장치.
  15.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것과,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구비하는, 통신 방법.
  16.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에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에 기초한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구비하는, 통신 제어 방법.
  17. 컴퓨터에,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는 것과,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컴퓨터에,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하나의 동기 신호 군으로서 설정되고, 상기 동기 신호 군 중에서, 어느 상기 동기 신호 블록이 어느 상기 기지국의 것인가를 명시하여 단말 장치에 빔의 측정 결과를 송신시키기 위한 설정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설정에 기초한 상기 빔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19676A 2019-01-09 2019-12-11 통신 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방법,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117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02219 2019-01-09
JP2019002219 2019-01-09
PCT/JP2019/048483 WO2020145007A1 (ja) 2019-01-09 2019-12-11 通信装置、通信制御装置、通信方法、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755A true KR20210111755A (ko) 2021-09-13

Family

ID=7152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676A KR20210111755A (ko) 2019-01-09 2019-12-11 통신 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방법,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78847A1 (ko)
EP (1) EP3910982A4 (ko)
KR (1) KR20210111755A (ko)
CN (1) CN113287338A (ko)
WO (1) WO202014500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4217A (ja) 2011-07-28 2014-09-1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フォーミング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01715B2 (en) * 2008-10-30 2015-04-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Radio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093736B2 (ja) * 2014-08-08 2017-03-0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7211289B (zh) * 2015-01-29 2022-03-01 索尼公司 装置和方法
CN109155948A (zh) * 2016-03-30 2019-01-04 Idac控股公司 用于执行物理层移动过程的方法及设备
WO2018008212A1 (ja) * 2016-07-06 2018-01-11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基地局、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AR109501A1 (es) * 2016-08-11 2018-12-19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y aparato para la sincronización de dispositivos inalámbric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basado en haces
WO2018128977A1 (en) * 2017-01-06 2018-07-1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radio system
US10673552B2 (en) * 2017-04-14 2020-06-02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desig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18203673A1 (ko) * 2017-05-03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의 접속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4217A (ja) 2011-07-28 2014-09-1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フォーミング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007A1 (ja) 2020-07-16
EP3910982A1 (en) 2021-11-17
EP3910982A4 (en) 2022-03-23
CN113287338A (zh) 2021-08-20
US20220078847A1 (en)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2585B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for
US10383125B2 (en)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862564B2 (en) Base station, terminal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7314945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WO2021205921A1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TW201906337A (zh) 通訊裝置、通訊控制方法及電腦程式
WO2020196279A1 (ja) 通信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基地局装置の制御方法
JP202401267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装置
US11387874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20196280A1 (ja) 通信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基地局装置の制御方法
US11979215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device control method
US1128427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10111755A (ko) 통신 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방법,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468364B2 (ja) 通信装置、通信制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