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422A -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system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pparatu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system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422A
KR20210111422A KR1020200026310A KR20200026310A KR20210111422A KR 20210111422 A KR20210111422 A KR 20210111422A KR 1020200026310 A KR1020200026310 A KR 1020200026310A KR 20200026310 A KR20200026310 A KR 20200026310A KR 20210111422 A KR20210111422 A KR 20210111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jet head
unit
ink
pip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8129B1 (en
Inventor
강한림
황경석
황보연
장석원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129B1/en
Publication of KR2021011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1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002/1656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ultrasonic or v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002/16594Pumps or valves for cleaning

Abstract

Provided are an inkjet head cleaning device for removing ink agglomerated in a nozzle by using microbubbles, and a substrate treatment system with the same. The inkjet head cleaning device includes an ink storage unit for storing ink, an inkjet head unit for discharging ink onto a substrate using a nozzle, and a microbubbl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microbubbles to the nozzle; and cleans the nozzle using the microbubbles.

Description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system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pparatus}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기판을 인쇄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젯 헤드를 세정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system for printing a substrate using an inkjet hea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system having an apparatus for cleaning an inkjet head.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투명 기판 상에 인쇄 공정(printing process)을 수행하는 경우, 잉크젯 헤드(inkjet head)를 구비하는 인쇄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When a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to manufacture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rinting equipment including an inkjet head may be us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18008호 (공개일: 2019.10.1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18008 (published date: 2019.10.17.)

잉크젯 헤드는 기판을 인쇄하기 위해 기판 상에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그런데 잉크의 내부에 포함된 나노 입자는 잉크젯 헤드의 노즐 내에서 잉크가 뭉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의 뭉침 현상으로 인해 노즐이 막힐 수 있으며, 잉크의 미토출 및 오탄착이 유발될 수 있고, 픽셀 인쇄의 불량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의 노즐을 세정하는 것은 픽셀 프린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inkjet head may eject ink onto the substrate to print the substrate. However, nanoparticles contained in the ink may cause ink agglomeration in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Such agglomeration of ink may clog the nozzles, may cause ink non-ejection and/or erroneous contact, and may act as a cause of poor pixel printing. Therefore, cleaning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may act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ixel printing.

잉크젯 헤드의 노즐을 세정하는 경우, 종래에는 잉크를 강한 압력으로 토출하여 노즐 내에 뭉쳐져 있는 잉크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세정 효과가 미비하며, 잉크의 소모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cleaning the nozzles of the inkjet head, conventionally, ink that has accumulated in the nozzles is removed by discharging the ink with a strong pressure. However, this method has problems in that the cleaning effect is insufficient and the consumption of ink is large.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노즐 내에 뭉쳐져 있는 잉크를 제거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for removing ink agglomerated in a nozzle by using microbubbles.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노즐 내에 뭉쳐져 있는 잉크를 제거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for removing ink agglomerated in a nozzle by using microbubble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일 면(aspect)은,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저장부;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잉크를 기판 상에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 유닛; 및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노즐로 제공하는 미세 기포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을 세정한다.One aspect of 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nk storage unit for storing ink; an inkjet head unit for discharging the ink onto a substrate using a nozzle; and a microbubble generator that generates microbubbles and provides them to the nozzle, wherein the nozzle is cleaned using the microbubbles.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는 상기 잉크가 상기 기판 상에 토출되지 않거나, 상기 잉크의 토출량이 기준량 이하인 경우, 상기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노즐로 제공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the microbubbles and provide the microbubbles to the nozzle when the ink is not discharged on the substrate or the discharge amount of the ink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amount.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는 상기 잉크 저장부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으로 이동하는 상기 잉크에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로에 연결되거나,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에서 상기 잉크 저장부로 이동하는 상기 잉크에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is connected to a first flow path providing a path for the ink moving from the ink storage unit to the inkjet head unit, or providing a path for the ink moving from the inkjet head unit to the ink storage unit. The second flow path and the first flow path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는, 상기 노즐을 세정하는 초음파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for cleaning the nozzle.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는 상기 노즐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초음파 생성부는 상기 노즐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or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ozzle,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nozzle.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잉크 저장부에 연결되는 제1 배관; 일단부가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배관과 결합되는 제2 배관; 및 일단부가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3 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은 Y자 형태로 형성되거나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may include: a firs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k storage unit; a second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kjet head uni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pipe; and a third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wherein the first pipe, the second pipe, and the second pipe 3 The pipe may be formed in a Y-shape or a T-shape.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는, 상기 제1 배관 상에 설치되는 제1 밸브; 상기 제3 배관 상에 설치되는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 제어부는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가 작동할 때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may include a first valve installed on the first pipe; a second valve installed on the third pipe; and a first val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wherein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when the microbubble generator operates can be controlled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는 솔벤트를 포함하는 세정액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the microbubbles using a cleaning solution containing a solvent.

상기 잉크 저장부는 상기 잉크가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으로부터 회귀할 때 상기 잉크와 함께 이동하는 상기 미세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The ink storage unit may remove the microbubbles that move together with the ink when the ink returns from the inkjet head uni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시스템의 일 면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 유닛;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저장부,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잉크를 기판 상에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 유닛, 및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노즐로 제공하는 미세 기포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을 세정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상기 잉크가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으로부터 회귀할 수 있도록 상기 잉크 저장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펌핑부를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substrate process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a substrate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base and supporting a substrate; An ink storage unit for storing ink, an inkjet head unit for discharging the ink onto a substrate by using a nozzle, and a fine bubbl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fine bubbles and providing them to the nozzles, wherein the nozzles are used to generate fine bubbles. an inkjet head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nd a pumping unit that applies pressure to the ink reservoir so that the ink moves to or returns from the inkjet head uni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1은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구성하는 미세 기포 생성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pr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pr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role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of FIG. 3 .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irst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ond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ublish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Reference to an element or layer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ncludes not only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layer, but also with intervening other layers or elements. include all On the other hand, reference to an element "directly on" or "immediately on" indicates that no intervening element or layer is interpos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The device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or sections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element, or the second section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미세 기포(예를 들어,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를 이용하여 잉크젯 헤드의 노즐 내에 뭉쳐져 있는 잉크를 제거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for removing ink agglomerated in a nozzle of an inkjet head using microbubbles (eg, microbubbles), and a substrate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and the like.

도 1은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pr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pr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인쇄 장비(100)는 베이스(110), 기판 지지 유닛(120), 갠트리 유닛(130), 갠트리 이동 유닛(140), 잉크젯 헤드 유닛(150), 헤드 이동 유닛(160), 액적 토출량 측정 유닛(170) 및 노즐 검사 유닛(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printing equipment 100 includes a base 110, a substrate support unit 120, a gantry unit 130, a gantry movement unit 140, an inkjet head unit 150, a head movement unit ( 160 ), a droplet discharge amount measurement unit 170 , and a nozzle inspection unit 180 .

베이스(1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기판 지지 유닛(120)이 배치된다.The base 11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 substrate support unit 12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

기판 지지 유닛(120)은 기판(S)이 놓이는 지지판(121)을 가진다. 지지판(121)은 사각형 형상의 판일 수 있다. 지지판(121)의 하면에는 회전 구동 부재(122)가 연결된다. 회전 구동 부재(122)는 회전 모터일 수 있다. 회전 구동 부재(122)는 지지판(121)에 수직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지지판(121)을 회전시킨다.The substrate support unit 120 has a support plate 121 on which the substrate S is placed. The support plate 121 may be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shape. A rotation driving member 122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1 . The rotation driving member 122 may be a rotation motor. The rotation driving member 122 rotates the support plate 121 about a central axis of rota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late 121 .

지지판(121)이 회전 구동 부재(122)에 의해 회전되면, 기판(S)은 지지판(12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액적이 도포될 기판(S)에 형성된 셀의 장변 방향이 제2 방향(20)을 향하는 경우, 회전 구동 부재(122)는 셀의 장변 방향이 제1 방향(10)을 향하도록 기판을 회전시킬 수 있다.When the support plate 121 is rotated by the rotation driving member 122 , the substrate S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late 121 . Whe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ell formed on the substrate S to which the droplet is applied faces the second direction 20 , the rotation driving member 122 rotates the substrate so that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cell faces the first direction 10 . can

지지판(121)과 회전 구동 부재(122)는 직선 구동 부재(123)에 의해 제1 방향(10)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직선 구동 부재(123)는 슬라이더(124)와 가이드 부재(125)를 포함한다. 회전 구동 부재(122)는 슬라이더(124)의 상면에 설치된다.The support plate 121 and the rotation driving member 122 may be linear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10 by the linear driving member 123 . The linear driving member 123 includes a slider 124 and a guide member 125 . The rotation driving member 12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r 124 .

가이드 부재(125)는 베이스(110)의 상면 중심부에 제1 방향(10)으로 길게 연장된다. 슬라이더(124)에는 리니어 모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124)는 리니어 모터(미도시)에 의해 가이드 부재(125)를 따라 제1 방향(10)으로 직선 이동된다.The guide member 125 extends long in the first direction 10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 A linear motor (not shown) may be built in the slider 124 , and the slider 124 is linear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10 along the guide member 125 by the linear motor (not shown).

갠트리 유닛(130)은 지지판(121)이 이동되는 경로의 상부에 제공된다. 갠트리 유닛(130)은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갠트리 유닛(130)은 길이 방향이 제2 방향(2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The gantry unit 130 is provided on the path along which the support plate 121 moves. The gantry unit 13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gantry unit 130 is dispos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es the second direction 20 .

갠트리 이동 유닛(140)은 갠트리 유닛(130)을 제1 방향(10)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갠트리 이동 유닛(140)은 제1 이동 유닛(141)과 제2 이동 유닛(142)을 포함한다.The gantry moving unit 140 linearly moves the gantry unit 130 in the first direction 10 . The gantry moving unit 140 includes a first moving unit 141 and a second moving unit 142 .

제1 이동 유닛(141)은 갠트리 유닛(130)의 일단에 제공되고, 제2 이동 유닛(142)은 갠트리 유닛(130)의 타단에 제공된다. 제1 이동 유닛(141)은 베이스(110)의 일측에 제공된 가이드 레일(2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2 이동 유닛(142)은 베이스(110)의 타측에 제공된 가이드 레일(2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갠트리 유닛(130)를 제1 방향(10)으로 직선 이동시킨다.The first moving unit 14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gantry unit 130 , and the second moving unit 14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gantry unit 130 . The first moving unit 141 slides along the guide rail 22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110 , and the second moving unit 142 moves along the guide rail 22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110 . The sliding movement moves the gantry unit 130 in a straight line in the first direction 10 .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헤드 이동 유닛(160)에 의해 갠트리 유닛(130)에 결합된다.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헤드 이동 유닛(160)에 의해 갠트리 유닛(130)의 길이 방향, 즉 제2 방향(20)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으며, 제3 방향(30)으로 직선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헤드 이동 유닛(160)에 대해 제3 방향(30)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inkjet head unit 150 is coupled to the gantry unit 130 by the head moving unit 160 . The inkjet head unit 150 may move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ntry unit 130 , that is, in the second direction 20 , or in the third direction 30 by the head moving unit 160 . Also, the inkjet head unit 150 may rotate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30 with respect to the head moving unit 160 .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기판(S)에 액적을 토출한다.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예를 들어, 제1 헤드 유닛(151), 제2 헤드 유닛(152), 제3 헤드 유닛(153) 등 세 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제2 방향(20)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갠트리 유닛(130)에 결합된다.The inkjet head unit 150 discharges droplets to the substrate S. A plurality of inkjet head units 15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ree inkjet head units 150 such as a first head unit 151 , a second head unit 152 , and a third head unit 153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inkjet head units 150 are coupled to the gantry unit 130 in parallel in a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20 .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액적을 토출하는 복수 개의 노즐(미도시) 및 복수 개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는 예를 들어, 128개의 노즐 또는 256개의 노즐이 제공될 수 있다.The inkjet head unit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not shown) for discharging droplets and a nozzle plate (not shown) on which the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The inkjet head unit 150 may be provided with, for example, 128 nozzles or 256 nozzles.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는 복수 개의 노즐에 대응하는 수만큼의 압전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즐의 액적 토출량은 압전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number of piezoelectric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nozzles may be provided in the inkjet head unit 150 . A droplet discharge amount of the plurality of nozzles may be independently adjusted by controlling a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헤드 이동 유닛(160)은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세 개의 잉크젯 헤드 유닛(151, 152, 153)이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헤드 이동 유닛(160) 또한 헤드의 수에 대응하도록 세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헤드 이동 유닛(160)은 단일 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개별 이동이 아니라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The head moving unit 16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inkjet head units 150 .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ree inkjet head units 151, 152, and 153 are provided as an example, three head moving units 160 may also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heads. Alternatively, a single head moving unit 160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the inkjet head unit 150 may be moved integrally rather than individually.

액적 토출량 측정 유닛(170)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액적 토출량을 측정한다. 액적 토출량 측정 유닛(170)은 베이스(110) 상의 기판 지지 유닛(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oplet discharge amount measuring unit 170 measures the droplet discharge amount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The droplet discharge amount measuring unit 17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120 on the base 110 .

액적 토출량 측정 유닛(170)은 잉크젯 헤드 유닛(150)마다 전체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액적량을 측정한다.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액적 토출량 측정을 통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전체 노즐의 이상 유무를 거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액적 토출량이 기준치를 벗어나면, 잉크젯 헤드 유닛(150)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The droplet discharge amount measurement unit 170 measures the droplet amount discharged from all nozzles for each inkjet head unit 150 . By measuring the droplet discharge amount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it is possible to macroscopically check whether all nozzles of the inkjet head unit 150 are abnormal. That is, when the droplet discharge amount of the inkjet head unit 150 deviates from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recognized that at least one of the inkjet head units 150 is abnormal.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갠트리 이동 유닛(140)과 헤드 이동 유닛(160)에 의해 제1 방향(10)과 제2 방향(20)으로 이동되어 액적 토출량 측정 유닛(17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 이동 유닛(160)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제3 방향(30)으로 이동시켜 잉크젯 헤드 유닛(150)과 액적 토출량 측정 유닛(170) 간 상하 방향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e inkjet head unit 15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10 and the second direction 20 by the gantry moving unit 140 and the head moving unit 160 to be positioned above the droplet discharge amount measuring unit 170 . can The head moving unit 160 may move the inkjet head unit 150 in the third direction 30 to adjust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inkjet head unit 150 and the droplet discharge amount measuring unit 170 .

노즐 검사 유닛(180)은 광학 검사를 통해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제공된 개별 노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액적 토출량 측정 유닛(170)에서 거시적인 노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불특정의 노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노즐 검사 유닛(180)은 개별 노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면서 노즐에 대한 전수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The nozzle inspection unit 180 checks whether individual nozzles provided in the inkjet head unit 150 are abnormal through an optical inspection.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macroscopic nozzle is abnormal in the droplet discharge amount measuring unit 17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unspecified nozzle, the nozzle inspection unit 180 performs a complete inspection of the nozzle while checking whether the individual nozzle is abnormal can proceed.

노즐 검사 유닛(180)은 베이스(110) 상의 기판 지지 유닛(12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갠트리 이동 유닛(140)과 헤드 이동 유닛(160)에 의해 제1 방향(10)과 제2 방향(20)으로 이동되어 노즐 검사 유닛(18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 이동 유닛(160)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제3 방향(30)으로 이동시켜 잉크젯 헤드 유닛(150)과 노즐 검사 유닛(180)과의 상하 방향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e nozzle inspection unit 18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120 on the base 110 . The inkjet head unit 150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10 and the second direction 20 by the gantry moving unit 140 and the head moving unit 160 to be positioned above the nozzle inspection unit 180 . have. The head moving unit 160 may move the inkjet head unit 150 in the third direction 30 to adjust a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inkjet head unit 150 and the nozzle inspection unit 180 .

한편, 인쇄 장비(100)는 액적 공급 장치(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inting equipment 100 may further include a droplet supply device 210 .

액적 공급 장치(210)는 갠트리 유닛(130)의 상부 및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적 공급 장치(210)는 액적 공급 모듈(211)과 압력 조절 모듈(212)을 포함한다.The droplet supply device 2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gantry unit 130 . The droplet supply device 210 includes a droplet supply module 211 and a pressure control module 212 .

액적 공급 모듈(211)과 압력 조절 모듈(212)은 갠트리 유닛(130)에 결합될 수 있다. 액적 공급 모듈(211)은 액적 공급 장치(210)로부터 액적을 공급받고, 액적을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공급한다. 압력 조절 모듈(212)은 액적 공급 모듈(211)에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여 액적 공급 모듈(211)의 압력을 조절한다.The droplet supply module 211 and the pressure control module 212 may be coupled to the gantry unit 130 . The droplet supply module 211 receives droplets from the droplet supply device 210 and supplies the droplets to the inkjet head unit 150 . The pressure control module 212 regulates the pressure of the droplet supply module 211 by providing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to the droplet supply module 211 .

다음으로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복수 개의 노즐 내에 축적되어 있는 잉크를 제거하기 위한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는 미세 기포(예를 들어,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노즐 내에 축적되어 있는 잉크를 제거할 수 있다.Next,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for removing ink accumulated in a plurality of nozzles of the inkjet head unit 150 will be described. 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may use microbubbles (eg, microbubbles) to remove ink accumulated in a plurality of nozzles.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따르면,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300)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 잉크 저장부(310), 펌핑부(320) 및 미세 기포 생성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an inkjet head unit 150 , an ink storage unit 310 , a pumping unit 320 , and a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

잉크 저장부(310)는 기판 상에 토출되는 잉크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잉크 저장부(310)는 상호 결합되어 있는 제1 배관(341) 및 제2 배관(342)을 통해 잉크젯 헤드 유닛(150)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액적 공급 모듈(211)이 잉크 저장부(310)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k storage unit 310 stores ink discharged onto the substrate. The ink storage unit 310 may be connected to the inkjet head unit 150 through a first pipe 341 and a second pipe 342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droplet supply module 211 of FIG. 2 may be implemented as the ink storage unit 310 .

펌핑부(320)는 잉크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를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잉크 저장부(310)에 압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압력 조절 모듈(212)이 펌핑부(320)로 구현될 수 있다.The pumping unit 320 applies pressure to the ink storage unit 310 to move the ink stored in the ink storage unit 310 to the inkjet head unit 150 .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control module 212 of FIG. 2 may be implemented as the pumping unit 320 .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제공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구성하는 미세 기포 생성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4를 참조한다.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generates microbubbles and provides them to the inkjet head unit 150 .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role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of FIG. 3 .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FIG. 4 .

잉크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가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하는 경우, 잉크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몇몇 나노 입자(410)는 뭉쳐져 있는 상태로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노즐(4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뭉쳐져 있는 상태로 노즐(430)로 이동된 나노 입자(410)는 잉크의 토출이 어렵도록 노즐(430)을 폐쇄시키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When the ink stored in the ink storage unit 310 moves to the inkjet head unit 150 , some nanoparticles 410 included in the ink are agglomerated and the nozzles 430 of the inkjet head unit 150 are agglomerated. ) can be moved to Nanoparticles 410 moved to the nozzle 430 in the agglomerated state may cause a problem of closing the nozzle 430 to make it difficult to eject the ink.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 기포 생성부(330)가 미세 기포(420)를 생성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세 기포(420)는 노즐(430) 내에서 뭉쳐져 있는 나노 입자(410)에 흡착된 후 이들을 분해시켜 노즐(430)이 폐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may generate the microbubble 420 and provide it to the inkjet head unit 150 . After the microbubbles 420 are adsorbed to the nanoparticles 410 aggregated in the nozzle 430 , they are decompos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nozzle 430 is closed.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3 .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미세 기포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버블 즉, 마이크로 버블(micro bubble)을 생성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노즐(4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미세 기포로 나노미터(nm) 크기의 나노 버블(nano bubble)을 생성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노즐(430)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may generate micro-bubbles, that is, micro bubbles, of micro-bubbles, and supply them to the nozzles 430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In this case,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bubble generator.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may generate nano-bubbles having a size of nanometers (nm) as micro-bubbles and supply them to the nozzle 430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세정액을 이용하여 미세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미세 기포 생성에 이용되는 세정액은 솔벤트(solvent)를 기반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may generate microbubbles using a cleaning solution. A cleaning solution used to generate microbubbles may be prepared based on a solvent.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미세 기포를 제공하기 위해, 상호 결합되어 있는 제2 배관(342) 및 제3 배관(343)을 통해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배관(341), 제2 배관(342) 및 제3 배관(343)은 Y자 형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may be connected to the inkjet head unit 150 through a second pipe 342 and a third pipe 343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rovide microbubbles to the inkjet head unit 150 . have. In this case, the first pipe 341 , the second pipe 342 , and the third pipe 34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Y-shape.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제1 배관(341), 제2 배관(342) 및 제3 배관(343)이 하나로 결합된 Y자 배관에 연결되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미세 기포를 직접 토출할 수 있다. 이때 미세 기포 생성부(330)로부터 공급된 미세 기포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내부로 이동하여 뭉쳐져 있는 나노 입자를 분해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is connected to a Y-shaped pipe in which the first pipe 341 , the second pipe 342 , and the third pipe 343 are combined into one to directly discharge the microbubbles to the inkjet head unit 150 . can do. At this time, the microbubbles supplied from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may move into the inkjet head unit 150 to decompose the agglomerated nanoparticles.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배관(341), 제2 배관(342) 및 제3 배관(3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태로 상호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pipe 341 , the second pipe 342 , and the third pipe 34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T-shape as shown in FIG. 5 .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3 .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제2 배관(342) 및 제3 배관(343)을 통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노즐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kjet head unit 150 through the second pipe 342 and the third pipe 343 .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kjet head unit 150 to which the nozzle is exposed to the outside.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노즐이 막혔을 때에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이용하여 테스트용 기판 상에 잉크를 토출시킨 후, 잉크가 토출되지 않는 노즐을 불량 노즐로 판단하여, 미세 기포 생성부(330)를 이용하여 해당 노즐을 세정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may operate when the nozzles of the inkjet head unit 150 are clogg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ink is discharged onto the test substrate by using the inkjet head unit 150 , a nozzle from which ink is not discharged is determined as a defective nozzle, and the corresponding nozzle is formed us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 can be cleaned.

한편,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토출되는 잉크의 양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이 노즐을 불량 노즐로 판단하여, 미세 기포 생성부(330)를 이용하여 해당 노즐을 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노즐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the ejected ink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may determine that the nozzle is a defective nozzle and use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to clean the nozzle. Also,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may periodically clean the inkjet head unit 150 even if the nozzle clogging problem does not occur.

필요한 시기(예를 들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노즐(430)이 막혔을 때)에 미세 기포를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공급하기 위해, 잉크 저장부(310), 미세 기포 생성부(330) 및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연결하는 배관 상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ly microbubbles to the inkjet head unit 150 at a necessary time (eg, when the nozzle 430 of the inkjet head unit 150 is clogged), the ink storage unit 310 and the microbubble generation unit 330 ) and a valve may be installed on a pipe connecting the inkjet head unit 150 .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은 도 6을 참조한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FIG. 6 .

제1 밸브(351)는 잉크 저장부(310)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연결하는 배관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밸브(351)는 잉크 저장부(310)와 제2 배관(342)을 상호 연결하는 제1 배관(34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밸브(351)는 이와 같이 설치되어, 제1 배관(341)을 개폐시킬 수 있다.The first valve 351 is installed on a pipe connecting the ink storage unit 310 and the inkjet head unit 150 . Specifically, the first valve 351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pipe 341 interconnecting the ink storage unit 310 and the second pipe 342 . The first valve 351 may be installed in this way to open and close the first pipe 341 .

제2 밸브(352)는 미세 기포 생성부(330)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연결하는 배관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 밸브(352)는 미세 기포 생성부(330)와 제2 배관(342)을 상호 연결하는 제3 배관(34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밸브(352)는 이와 같이 설치되어, 제3 배관(343)을 개폐시킬 수 있다.The second valve 352 is installed on a pipe connec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and the inkjet head unit 150 . Specifically, the second valve 352 may be installed on the third pipe 343 interconnec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and the second pipe 342 . The second valve 352 may be installed in this way to open and close the third pipe 343 .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제1 밸브(351)와 제2 밸브(352)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온/오프(ON/OFF) 스위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351 and the second valve 352 .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N/OFF switch.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제1 밸브(351)와 제2 밸브(352) 중 적어도 하나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액적을 토출하려는 경우,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제1 밸브(351)를 개방시키고(ON), 제2 밸브(352)를 폐쇄시킬 수 있다(OFF). 반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세정하려는 경우,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제1 밸브(351)를 폐쇄시키고(OFF), 제2 밸브(352)를 개방시킬 수 있다(ON).The first valve controller 353 may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valve 351 and the second valve 352 according to whether the inkjet head unit 150 is operated. For example, when the inkjet head unit 150 is used to discharge droplets on the substrate,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opens (ON) the first valve 351 and closes the second valve 352 . Can be closed (OFF). On the other hand, when cleaning the inkjet head unit 150 ,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may close the first valve 351 (OFF) and open the second valve 352 (ON).

한편,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이용하여 기판을 인쇄하는 경우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세정하는 경우에 각기 다른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밸브 제어부(353)는 기판을 인쇄할 때와 다른 잉크를 이용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세정하는 경우, 제1 밸브(351)와 제2 밸브(352)를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different inks may be used when printing a substrate using the inkjet head unit 150 and when cleaning the inkjet head unit 150 .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may open both the first valve 351 and the second valve 352 when the inkjet head unit 150 is cleaned using a different ink than when printing the substrat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밸브(352)만 설치되고,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제2 밸브(352)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second valve 352 is installed, and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valve 352 .

잉크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는 기판 상에 액적으로 토출되기 위해 잉크 저장부(310)에서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잉크 일부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통해 기판 상에 액적으로 토출되며, 그 나머지는 잉크 저장부(310)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이를 위해 주입단과 배출단을 구비할 수 있다.Ink stored in the ink storage unit 310 may be moved from the ink storage unit 310 to the inkjet head unit 150 to be discharged as droplets on the substrate.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ink may be discharged as droplets on the substrate through the inkjet head unit 150 , and the remainder may be moved back to the ink storage unit 310 . The inkjet head unit 150 may include an injection end and an exhaust end for this purpose.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주입단과 배출단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세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주입단과 배출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미세 기포 생성부(330)를 설치할 수 있다.The injection end and the discharge end of the inkjet head unit 150 may have different flow paths formed inside the inkjet head unit 150 .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aximize the cleaning effect of the inkjet head unit 150,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may be installed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jection end and the discharge end.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은 도 7을 참조한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FIG. 7 .

이하 설명에서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주입단(361)에 연결되어 있는 미세 기포 생성부(330)를 제1 미세 기포 생성부(331)로 정의하고,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배출단(362)에 연결되어 있는 미세 기포 생성부(330)를 제2 미세 기포 생성부(332)로 정의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ne bubble generating unit 330 connected to the injection end 361 of the inkjet head unit 150 is defined as the first fine bubble generating unit 331 , and the discharge end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The fine bubble generating unit 330 connected to 362 is defined as a second fine bubble generating unit 332 .

제1 미세 기포 생성부(331)는 잉크가 잉크 저장부(310)에서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 상에 연결되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주입단(361)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미세 기포 생성부(331)는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제2 배관(342) 및 제3 배관(343)을 통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주입단(36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미세 기포 생성부(331)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주입단(361)에 미세 기포를 공급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이 세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1 is connected to a pipe that provides a path so that ink can move from the ink storage unit 310 to the inkjet head unit 150 , and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end 361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 can be connected to Specifically, the first microbubble generator 331 may be connected to the injection end 361 of the inkjet head unit 150 through the second pipe 342 and the third pipe 343 that are interconnected. The first microbubble generator 331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may supply microbubbles to the injection end 361 of the inkjet head unit 150 to clean the nozzles formed in the inkjet head unit 150 . .

제2 미세 기포 생성부(332)는 잉크가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서 잉크 저장부(3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 상에 연결되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배출단(362)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미세 기포 생성부(332)는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제5 배관(345) 및 제6 배관(346)을 통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배출단(36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미세 기포 생성부(332)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배출단(362)에 미세 기포를 공급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이 세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2 is connected to a pipe providing a path so that ink can move from the inkjet head unit 150 to the ink storage unit 310 , and the discharge end 362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 can be connected to Specifically, the second microbubble generator 332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362 of the inkjet head unit 150 through the fifth pipe 345 and the sixth pipe 346 that are interconnected. The second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2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o supply microbubbles to the discharge end 362 of the inkjet head unit 150 to clean the nozzles formed in the inkjet head unit 150 . .

잉크 저장부(310), 제1 미세 기포 생성부(331) 및 잉크젯 헤드 유닛(150)이 Y자형 배관(또는 T자형 배관)으로 연결되는 경우, 잉크 저장부(310)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제1 배관(341)을 통해 제2 배관(34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저장부(310), 제2 미세 기포 생성부(332) 및 잉크젯 헤드 유닛(150)이 Y자형 배관(또는 T자형 배관)으로 연결되는 경우, 잉크 저장부(310)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부터 배출되는 잉크를 수거하기 위해 제4 배관(344)을 통해 제5 배관(345)과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ink storage unit 310 , the first microbubble generator 331 , and the inkjet head unit 150 are connected by a Y-shaped pipe (or T-shaped pipe), the ink storage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inkjet head unit 150 . )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342 through the first pipe 341 to supply the ink. In addition, when the ink storage unit 310 , the second microbubble generator 332 , and the inkjet head unit 150 are connected by a Y-shaped pipe (or T-shaped pipe), the ink storage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inkjet head unit. In order to collect the ink discharged from the 150 ,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fth pipe 345 through the fourth pipe 344 .

이 경우, 잉크나 미세 기포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관(341), 제3 배관(343), 제4 배관(344) 및 제6 배관(346) 상에 제1 밸브(351), 제2 밸브(352), 제3 밸브(354) 및 제4 밸브(355)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control the flow of ink or microbubbles, as shown in FIG. 8 , on the first pipe 341 , the third pipe 343 , the fourth pipe 344 , and the sixth pipe 346 . A first valve 351 , a second valve 352 , a third valve 354 , and a fourth valve 355 may be installed, respectively.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은 도 8을 참조한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FIG. 8 .

제1 밸브(351)는 잉크 저장부(310)와 제2 배관(342)을 연결하는 제1 배관(341) 상에 설치되어, 제1 배관(341)을 통해 잉크 저장부(310)에서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하는 잉크의 흐름을 제어한다.The first valve 351 is installed on the first pipe 341 connecting the ink storage unit 310 and the second pipe 342 , and the ink jet is discharged from the ink storage unit 310 through the first pipe 341 . The flow of ink moving to the head unit 150 is controlled.

제2 밸브(352)는 제1 미세 기포 생성부(331)와 제2 배관(342)을 연결하는 제3 배관(343) 상에 설치되어, 제3 배관(343)을 통해 제1 미세 기포 생성부(331)에서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하는 미세 기포의 흐름을 제어한다.The second valve 352 is installed on the third pipe 343 connecting the first microbubble generator 331 and the second pipe 342 , and generates the first microbubbles through the third pipe 343 . The flow of microbubbles moving from the unit 331 to the inkjet head unit 150 is controlled.

제3 밸브(354)는 잉크 저장부(310)와 제5 배관(345)을 연결하는 제4 배관(344) 상에 설치되어, 제4 배관(344)을 통해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서 잉크 저장부(310)로 이동하는 잉크의 흐름을 제어한다.The third valve 354 is installed on the fourth pipe 344 connecting the ink storage unit 310 and the fifth pipe 345 , and the ink is discharged from the inkjet head unit 150 through the fourth pipe 344 . The flow of ink moving to the storage unit 310 is controlled.

제4 밸브(355)는 제2 미세 기포 생성부(332)와 제5 배관(345)을 연결하는 제6 배관(346) 상에 설치되어, 제6 배관(346)을 통해 제2 미세 기포 생성부(332)에서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하는 미세 기포의 흐름을 제어한다.The fourth valve 355 is installed on the sixth pipe 346 connecting the second microbubble generator 332 and the fifth pipe 345 to generate second microbubbles through the sixth pipe 346 . The flow of microbubbles moving from the unit 332 to the inkjet head unit 150 is controlled.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제1 밸브(351) 및 제2 밸브(352)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제1 배관(341), 제2 배관(342) 및 제3 배관(343)이 만나는 지점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밸브 제어부(353)는 본 실시예에서 제1 밸브(351) 및 제2 밸브(35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면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351 and the second valve 352 .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may be install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pipe 341 , the second pipe 342 , and the third pipe 343 meet.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may be installed anywhere as long as it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351 and the second valve 352 in this embodiment.

제2 밸브 제어부(356)는 제3 밸브(354) 및 제4 밸브(355)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밸브 제어부(356)는 제4 배관(344), 제5 배관(345) 및 제6 배관(346)이 만나는 지점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밸브 제어부(356)는 본 실시예에서 제3 밸브(354) 및 제4 밸브(35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면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The second valve control unit 356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valve 354 and the fourth valve 355 . The second valve control unit 356 may be installed on a point where the fourth pipe 344 , the fifth pipe 345 , and the sixth pipe 346 meet.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valve control unit 356 may be installed anywhere as long as it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valve 354 and the fourth valve 355 in this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밸브 제어부(353)와 제2 밸브 제어부(356) 중 어느 하나의 밸브 제어부만 구비되어, 이 밸브 제어부가 제1 밸브(351), 제2 밸브(352), 제3 밸브(354) 및 제4 밸브(355)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of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and the second valve control unit 356 is provided, and the valve control unit includes the first valve 351 , the second valve 352 , and the second valve control unit.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valve 354 and the fourth valve 355 .

다음으로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3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method of 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300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9 is a first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for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FIGS. 9 and 10 .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기판을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잉크 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를 기판 상에 토출하기 위해,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제1 밸브(351)를 개방시키고, 제2 밸브(352)를 폐쇄시킨다. 그러면 잉크가 잉크 저장부(310)에서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주입단(361)으로 이동되며, 잉크젯 헤드 유닛(150)는 잉크를 기판 상에 토출시킨다.First, referring to FIG. 9 , when printing a substrate,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opens the first valve 351 to discharge the ink stored in the ink storage unit 310 onto the substrate, and , to close the second valve 352 . Then, the ink moves from the ink storage unit 310 to the injection end 361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and the inkjet head unit 150 discharges the ink onto the substrate.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된 잉크는 기판 상에 모두 토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잉크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 상에 잔존할 수 있다. 펌핑부(320)는 압력을 제공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되었으나 기판 상으로 토출되지 않은 잉크를 잉크 저장부(310)로 수거한다. 이때 제2 밸브 제어부(356)는 제3 밸브(354)를 개방시키고, 제4 밸브(355)를 폐쇄시켜, 잉크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배출단(362)에서 잉크 저장부(3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The ink that has moved to the inkjet head unit 150 is not all discharged on the substrate, and accordingly, the ink may remain on the inkjet head unit 150 . The pumping unit 320 provides pressure to collect ink that has been moved to the inkjet head unit 150 but is not discharged onto the substrate to the ink storage unit 310 . At this time, the second valve control unit 356 opens the third valve 354 and closes the fourth valve 355 so that ink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end 362 of the inkjet head unit 150 to the ink storage unit 310 . to be able to move to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었거나, 잉크가 기판 상에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는 경우, 제1 밸브 제어부(353)는 제1 밸브(351)를 폐쇄시키고, 제2 밸브(352)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제1 미세 기포 생성부(331)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 기포가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되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 내의 노즐을 세정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0 , when printing on the substrate is finished or ink is not normally discharged on the substrate,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353 closes the first valve 351 and the second valve 352 ) is opened. Then, the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first microbubble generator 331 may be moved to the inkjet head unit 150 to clean the nozzles in the inkjet head unit 150 .

마찬가지로, 제2 밸브 제어부(356)는 제3 밸브(354)를 폐쇄시키고, 제4 밸브(355)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제2 미세 기포 생성부(332)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 기포가 잉크젯 헤드 유닛(150)으로 이동되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 내의 노즐을 세정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valve control unit 356 closes the third valve 354 and opens the fourth valve 355 . Then, the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second microbubble generator 332 may be moved to the inkjet head unit 150 to clean the nozzles in the inkjet head unit 150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는 노즐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1 미세 기포 생성부(331)와 제2 미세 기포 생성부(332) 중 어느 하나의 미세 기포 생성부만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only one of the first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1 and the second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2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nozzle from which ink is not normally discharged. do.

한편, 펌핑부(320)에 의해 잉크젯 헤드 유닛(150)에 잔존하는 잉크가 잉크 저장부(310)로 이동하는 경우, 미세 기포도 잉크와 함께 잉크 저장부(310)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 저장부(310)에 미세 기포 제거부를 설치하여, 잉크 저장부(310) 내에서 미세 기포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when the ink remaining in the inkjet head unit 150 moves to the ink storage unit 310 by the pumping unit 320 , the microbubbles may also move to the ink storage unit 310 together with the ink.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icrobubble removal unit in the ink storage unit 310 so that the microbubbles can be removed from the ink storage unit 310 .

한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300)는 미세 기포 생성부(330) 외에 초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300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in addition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은 도 11을 참조한다.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FIG. 11 .

초음파 생성부(370)는 미세 기포 생성부(330)와 더불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노즐을 세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초음파 생성부(370)는 짧은 펄스를 생성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노즐을 세정할 수 있다.The ultrasonic generator 370 cleans the nozzles of the inkjet head unit 150 together with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 The ultrasonic generator 370 may generate a short pulse to clean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초음파 생성부(370)는 노즐이 외부로 노출되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하부에서 노즐의 일단부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상부에서 노즐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초음파 생성부(370)와 미세 기포 생성부(330)가 노즐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세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ultrasonic generator 370 may be disposed to be close to one end of the nozzle under the inkjet head unit 150 to which the nozzle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nozzle at the top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ultrasonic generating unit 370 and the fine bubble generating unit 33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nozzle and operate at the same time, thereby maximizing the cleaning effect.

한편, 초음파 생성부(370)는 세정 효과가 우수한 측면이 있으나, 노즐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 기포 생성부(330)를 이용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세정한 후, 여전히 잉크가 기판 상에 토출되지 않으면, 초음파 생성부(370)를 이용하여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ultrasonic generator 370 has an excellent cleaning effect, but may damage the nozzl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cleaning the inkjet head unit 150 us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 if ink is still not discharged on the substrate, the inkjet head unit 150 is used using the ultrasonic generator 370 . ) can also be cleaned.

또한, 미세 기포 생성부(330)와 초음파 생성부(370)를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미세 기포 생성부(330)보다 짧은 시간동안 초음파 생성부(370)를 작동시켜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370 are used at the same time, the ultrasonic generator 370 is operated for a shorter time than the microbubble generator 330 to clean the inkjet head unit 150 . It is also possible

이상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1 .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미세 기포, 특히 마이크로 버블을 적용한다. 마이크로 버블은 자체 미세한 진동과 세정 표면적 증가 그리고 버블 표면의 라디칼로 인하여 세정력이 우수함이 입증되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하면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노즐에 끼인 나노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microbubbles, particularly microbubbles, are applied to maximize the cleaning effect. Microbubbles have proven to have excellent cleaning power due to their minute vibrations, increased cleaning surface area, and radicals on the bubble surface. As described above, if the microbubbles are used, nanoparticles trapped in the nozzles of the inkjet head unit 150 can be effectively removed.

잉크젯 헤드 유닛(150)은 주입단(361)과 배출단(362)이 있다. 주입단(361)과 배출단(362)은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다르기 때문에 세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미세 기포 생성부(330)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The inkjet head unit 150 has an injection end 361 and a discharge end 362 . Since the injection end 361 and the discharge end 362 have different flow paths formed inside the inkjet head unit 150 ,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may be installed to maximize the cleaning effect.

또한 잉크 저장부(310), 미세 기포 생성부(330) 및 잉크젯 헤드 유닛(150)을 연결하는 Y자 배관은 프린팅 동작할 때와 세정할 때 각각 다른 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ON/OFF가 가능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Y-shaped pipe connecting the ink storage unit 310, the microbubble generation unit 330, and the inkjet head unit 150 automatically turns ON/OFF because different inks are used for printing and cleaning. Possible devices can be applied.

또한 미세 기포 생성부(330)는 버블 사이즈에 국한되지 않으며, 잉크젯 헤드 유닛(150)의 주입/배출 혹은 하단부(노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저장부(310)에 결합되어 입자의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30 is not limited to the bubble size, and may be coupled to the injection/discharge or the lower end (nozzle) of the inkjet head unit 150 . In addition, it is coupled to the ink storage unit 310 to maximize the effect of movement of the particles.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인쇄 장비 150: 잉크젯 헤드 유닛
300: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310: 잉크 저장부
320: 펌핑부 330, 331, 332: 미세 기포 생성부
341, 342, 343, 344, 345, 346: 배관
351, 352, 354, 355: 밸브 353, 356: 밸브 제어부
361: 주입단 362: 배출단
370: 초음파 생성부 410: 나노 입자
420: 미세 기포 430: 노즐
100: printing equipment 150: inkjet head unit
300: inkjet head cleaning device 310: ink storage unit
320: pumping unit 330, 331, 332: micro-bubble generating unit
341, 342, 343, 344, 345, 346: piping
351, 352, 354, 355: valves 353, 356: valve control
361: inlet end 362: outlet end
370: ultrasonic generator 410: nanoparticles
420: microbubbles 430: nozzle

Claims (10)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저장부;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잉크를 기판 상에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 유닛; 및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노즐로 제공하는 미세 기포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을 세정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an ink storage unit for storing ink;
an inkjet head unit for discharging the ink onto a substrate using a nozzle; and
and a microbubble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microbubbles and provides them to the nozzle,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the nozzle using the microbubb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는 상기 잉크가 상기 기판 상에 토출되지 않거나, 상기 잉크의 토출량이 기준량 이하인 경우, 상기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노즐로 제공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micro-bubbles and provides the micro-bubbles to the nozzle when the ink is not discharged on the substrate or the discharge amount of the ink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amou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는 상기 잉크 저장부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으로 이동하는 상기 잉크에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로에 연결되거나,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에서 상기 잉크 저장부로 이동하는 상기 잉크에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is connected to a first flow path providing a path for the ink moving from the ink storage unit to the inkjet head unit, or providing a path for the ink moving from the inkjet head unit to the ink storage unit. 2 and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세정하는 초음파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n ultrasonic generator for cleaning the nozz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는 상기 노즐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초음파 생성부는 상기 노즐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ozzle,
The ultrasonic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잉크 저장부에 연결되는 제1 배관;
일단부가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배관과 결합되는 제2 배관; 및
일단부가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3 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은 Y자 형태로 형성되거나 T자 형태로 형성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k storage unit;
a second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kjet head uni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pipe; and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The first pipe,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are formed in a Y-shape or a T-shap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 상에 설치되는 제1 밸브;
상기 제3 배관 상에 설치되는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 제어부는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가 작동할 때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first valve installed on the first pipe;
a second valve installed on the third pipe;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val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The first valv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when the microbubble generator opera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생성부는 솔벤트를 포함하는 세정액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 기포를 생성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is a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micro-bubbles by using a cleaning solution containing a solv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저장부는 상기 잉크가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으로부터 회귀할 때 상기 잉크와 함께 이동하는 상기 미세 기포를 제거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k storage unit removes the microbubbles moving together with the ink when the ink returns from the inkjet head unit.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 유닛;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저장부,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잉크를 기판 상에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 유닛, 및 미세 기포를 생성하여 상기 노즐로 제공하는 미세 기포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 기포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을 세정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상기 잉크가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잉크젯 헤드 유닛으로부터 회귀할 수 있도록 상기 잉크 저장부에 압력을 제공하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
Base;
a substrate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base and supporting a substrate;
An ink storage unit for storing ink, an inkjet head unit for discharging the ink onto a substrate using a nozzle, and a fine bubbl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fine bubbles and providing them to the nozzles, wherein the nozzles are used to generate fine bubbles. an inkjet head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nd
and a pumping unit that applies pressure to the ink reservoir so that the ink moves to or returns from the inkjet head unit.
KR1020200026310A 2020-03-03 2020-03-03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system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pparatus KR1024081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310A KR102408129B1 (en) 2020-03-03 2020-03-03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system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310A KR102408129B1 (en) 2020-03-03 2020-03-03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system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422A true KR20210111422A (en) 2021-09-13
KR102408129B1 KR102408129B1 (en) 2022-06-10

Family

ID=7779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310A KR102408129B1 (en) 2020-03-03 2020-03-03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system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12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297A (en) * 2009-03-27 2010-10-14 Brother Ind Ltd Cleaner unit, printing apparatus therewith, and method of cleaning the printing apparatus
KR20110025767A (en) * 2008-06-24 2011-03-11 마스터마인드 컴퍼니, 리미티드 Printing device
KR20130015612A (en) * 2011-08-04 2013-02-14 세메스 주식회사 Array method for inkjet head
KR20150125048A (en) * 2014-04-29 2015-11-09 세메스 주식회사 Discharging head cleanig method and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KR20190118008A (en) 2018-04-09 2019-10-17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767A (en) * 2008-06-24 2011-03-11 마스터마인드 컴퍼니, 리미티드 Printing device
JP2010228297A (en) * 2009-03-27 2010-10-14 Brother Ind Ltd Cleaner unit, printing apparatus therewith, and method of cleaning the printing apparatus
KR20130015612A (en) * 2011-08-04 2013-02-14 세메스 주식회사 Array method for inkjet head
KR20150125048A (en) * 2014-04-29 2015-11-09 세메스 주식회사 Discharging head cleanig method and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KR20190118008A (en) 2018-04-09 2019-10-17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129B1 (en)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8287B2 (en) Droplet discharg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1806615B1 (en) Head module,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US7891762B2 (en) Device for feeding liquid to inkjet heads and device for wiping inkjet heads
CN103021810A (en) Method for cleaning substrate
JP4723398B2 (en) Spin cleaning device
JP4710673B2 (en) Droplet discharge device
KR102408129B1 (en) 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system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apparatus
US11148433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4746305B2 (en) Head module
CN104051301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tus and standby method for ejection head
JP2010005544A (en) Inkjet head cleaning method and device using the method
JP2009195776A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5434024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droplet coating apparatus
JP5169120B2 (en) Droplet applicator
CN114590034B (en) Ink separating device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700848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residual chemical,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JP7309297B2 (en) Liquid supply device, coating device, aging device, liquid supply method, and aging method
KR20150136217A (en) Chemical discharging unit,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with the unit
JP2010000443A (en) Discharge defective nozzle recovering method of droplet discharge device
EP4176976A1 (en) Painting robot
US20240109107A1 (en) Coating material supply device and coating machine
KR20190066903A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78802B1 (en) Ink-jet head unit and coating method thereof
KR101885566B1 (en) Vibration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including the same
KR20230062262A (en) System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method for cleaning inkjet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