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282A -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모기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모기류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282A
KR20210111282A KR1020217024547A KR20217024547A KR20210111282A KR 20210111282 A KR20210111282 A KR 20210111282A KR 1020217024547 A KR1020217024547 A KR 1020217024547A KR 20217024547 A KR20217024547 A KR 20217024547A KR 20210111282 A KR20210111282 A KR 2021011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mosquitoes
injection
controlling mosquitoes
pes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390B1 (ko
Inventor
료스케 다카바야시
요코 고바야시
유미 가와지리
고지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7/00Pest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반복 사용 후의 정량(定量) 분사 밸브의 작동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모기류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과를 장시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고, 인체나 애완동물에 대한 영향을 저감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제공한다. 해충 방제 성분인 트랜스플루트린 및/또는 메토플루트린과 유기용제인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원액 및 분사제가 봉입(封入)되는 내압(耐壓) 용기와, 스템(11)과 스템 러버(12)와 스프링(13)을 포함하는 밸브 기구(10) 및 하우징(20)을 가지는 정량 분사 밸브(100)와, 분사구가 설치된 분사 버튼을 구비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로서, 에어로졸 원액과 분사제의 용량비율은, 6/94∼50/50이며, 스템 러버(12)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이며, 스프링(13)은, 강화 스프링이다.

Description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모기류 방제 방법
본 발명은, 해충 방제(防除) 성분과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원액, 및 분사제가 봉입(封入)되는 내압(耐壓) 용기와, 내압 용기의 주둥이부에 조립되는 정량(定量) 분사 밸브와, 정량 분사 밸브에 접속되는 분사구가 설치된 분사 버튼을 구비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이것을 사용한 모기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상(飛翔) 해충을 구제(驅除)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살충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를 함침(含浸)시킨 담체(擔體)로부터 약제를 증산(蒸散)시켜 처리 공간에 휘산시키는 방법, 비상 해충에 약제를 직접 분무하는 방법, 비상 해충이 나타나기 쉬운 장소에 미리 약제를 분무해 두는 방법 등이 있다. 이들 방법에 관하여, 실내에 침입하는 비상 해충을 구제하는 제품으로서, 살충 성분을 함유하는 에어로졸 살충제가 개발되어 있다. 에어로졸 살충제는 처리 공간에 살충 성분을 간단히 분무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한 제품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에어로졸 살충제에 관하여, 실내의 기중(氣中)에서의 약제의 잔존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약제를 방출한 후, 그 약제를 공기 중에 남겨서 기중 농도의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보이지 않는 곳에 숨는 모기에 대하여 충분한 구제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또한, 약제를 실내에 분무한 경우의 입자 직경을 특허문헌 1보다 크게 설정한 에어로졸 살충제가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과 동일한 기술 사상에 기초한 에어로졸 살충제이며, 약제를 실내의 기중에 될 수 있는 한 오래 잔존시켜, 모기에 대한 살충 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이다.
한편, 에어로졸 살충제에 관하여, 실내의 구조물 또는 비품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 실내에서의 비상성 해충의 구제 방법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을 참조). 특허문헌 3에 의하면, 실내의 구조물 등에 부착시킨 특정한 화합물이 증산(蒸散)하므로, 반복 분무나, 전기 기구 등의 계속적인 운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편한 수단에 의해 가옥내 비상성 해충을 효율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정량 분사 타입의 에어로졸 살충제가 보급되어 있는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메토플루트린(metofluthrin),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 및 트랜스플루트린(transfluthri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해충 방제 성분을 사용하고, 용제로서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고 또한 분사력, 분무 입자의 입자 직경 분포, 및 분무 입자의 실내의 바닥면이나 벽면으로의 부착 효율을 특정하고, 처리 공간을 5∼12 시간에 걸쳐 비상 해충 및 포복(匍匐) 해충 모두 방제 가능한, 정량 분사 타입의 에어로졸에 의한 해충 방제 방법을 개발했다(특허문헌 4를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01-1705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3-99336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1-328913호 공보 일본특허 제5517496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에어로졸 살충제는, 실내에 확산하는 약제의 입자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약제가 기중에 잔존하는 시간을 길게 하고, 약제의 지속 시간을 장시간으로 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처리 개시로부터 12시간 이상에서의 약제 입자의 기중 잔존율은 0.5% 이상이며, 기중 잔존율의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특허문헌 1의 에어로졸 살충제에서는, 지속 시간에 한도가 있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도, 약제 입자의 기중 잔존율은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이며, 장기의 지속 시간을 기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살충제가 아니다.
여기서, 방제 대상인 모기류(통상의 모기인 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 등뿐만 아니라, 모기아목에 속하는 깔따구류나 나방파리류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중, 특히, 빨간집모기나 흰줄숲모기는, 흡혈할뿐만 아니라 감염증을 매개하는 모기이므로, 이들 모기로부터 몸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며, 종래에 더해 효과적인 구제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모기류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실내에 침입하는 비상 해충이므로, 하루종일, 즉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지속 시간이 24시간인 살충제가 이상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에어로졸 살충제에서는, 12시간 정도밖에 효과가 지속하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약제의 입자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기중에 적극적으로 약제를 잔존시키는 것이지만, 약제 입자가 기중에 잔존하고 있다는 것은, 처리 공간 내에 있는 사람이나 애완동물이 상기 약제를 흡입하는 환경에 장시간 놓여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인체나 애완동물에 대한 영향이라는 점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에어로졸 살충제라고는 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3의 구제 방법에 있어서도, 안정된 효과를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공기 중에 분사된 약제 입자는, (A) 공기 중에 부유하여 잔존하거나, (B) 바닥이나 벽에 부착하거나, (C) (B)의 후에 다시 휘산하거나, 혹은 (D) 광 등에 의해 분해하여 소실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거동(擧動)에 이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것에 비추어 볼 경우, 특허문헌 3의 구제 방법은, (C)의 타입에 해당한다. 그러나, 실내의 구조물 등에 부착한 약제가 다시 공기 중에 휘산하는 경우, 온도나 풍량 등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특허문헌 3의 구제 방법에서는, 비상 해충의 구제에 대하여 안정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특허문헌 4의 해충 방제 방법에 있어서 용제로서 사용하는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은,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다른 용제에 비교하면 속건성(速乾性)이 높고, 분사 후 신속하게 휘발함으로써 분사 입자 중의 해충 방제 성분 농도가 높아져 방제 효과가 향상하므로, 정량 분사 타입의 에어로졸에 있어서 유용성이 높은 용제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4의 해충 방제 방법에서 사용되는 에어로졸 살충제에 대해서도, 해충 방제 효과는 12시간 정도밖에 지속하지 않는다. 또한, 용제로서 2∼3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한 정량 분사 타입의 에어로졸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이 다양한 검토를 행한 바, 정량 분사 타입의 에어로졸의 반복 사용 후에,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 안정성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것이 판명되어, 특허문헌 4의 에어로졸 살충제에 있어서도,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반복 사용 후의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비상 해충 중에서도, 특히, 모기류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과를 장시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고, 그 위에, 인체나 애완동물에 대한 영향을 저감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상기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사용한 모기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의 특징적 구성은,
해충 방제 성분인 트랜스플루트린 및/또는 메토플루트린과 유기용제인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원액, 및 분사제가 봉입되는 내압 용기와,
스템과 스템 러버와 스프링을 포함하는 밸브 기구, 및 상기 밸브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내압 용기의 주둥이부에 조립되는 정량 분사 밸브와,
상기 정량 분사 밸브에 접속되는 분사구가 설치된 분사 버튼
을 구비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로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a)과 상기 분사제(b)의 용량비율(a/b)은, 6/94∼50/50이며,
상기 스템 러버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이며,
상기 스프링은, 강화 스프링이며,
상기 분사 버튼을 1회 압하(押下)했을 때의 분사 용량이 0.1∼1.0 mL이며,
상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분사 입자의 입자 직경은, 25℃, 분사 거리 15cm에서의 체적 적산 분포에서의 90% 입자 직경이 10∼80 μm인 것에 있다.
「해결하려는 과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로졸 살충제는, 처리 공간에 적극적으로 약제 입자를 확산시키고, 기중에 잔존하는 시간을 될 수 있는 한 장기화시키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처리 공간에 부유하고 있는 약제 입자의 체류 시간이 장시간으로 되면, 처리 공간 내에 인간이나 애완동물이 출입한 경우, 약제 입자를 흡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건강에 대한 영향이 우려된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해, 모기를 대표로 하는 모기류(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간단히 「모기류」라고 칭한다.)는 날고 있는 시간보다, 벽면 등에 머물고 있는 시간이 긴 것으로 판명되었다. 즉, 실내에 침입한 모기류의 태반은 벽면 등에 머물고, 인간을 흡혈할 기회를 노리고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처리 공간 내의 약제 입자가 부유하는 시간을 장기화시키는 방법은, 비상 중의 모기류의 방제에 대해서는 일정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벽면 등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에 대해서는 약제의 효과를 충분히 미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모기류의 방제가 불완전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연구 결과로부터, 벽면 등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에 대한 방제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 사람이나 애완동물이 약제를 흡입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실내에 침입해 오는 모기류 전체의 방제의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했다.
이에,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서는, 에어로졸 원액이 처리 공간에 분사되면, 그 분사 입자가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예를 들면, 처리 공간 내에 존재하는 바닥면이나 벽면, 가구 등의 구조물의 표면 등)에 이동하여, 노출부에 부착되도록 했다. 이로써,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 및 처리 공간을 날고 있는 모기류의 양쪽의 모기류를 효과적으로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어, 모기류 전체의 방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의 분사 입자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銳意) 검토한 끝에, 해충 방제 성분으로서 트랜스플루트린 및/또는 메토플루트린을 사용하고, 유기용제로서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를 사용하는 에어로졸 원액을 사용하면, 모기류의 방제에 적합한 입자의 형성이 유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밝혀 냈다. 이 경우에, 분사 입자에 포함되는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를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원액의 조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에어로졸 원액(a)과 분사제(b)의 용량비율(a/b)이 6/94∼50/50, 분사 버튼을 1회 압하했을 때의 분사 용량이 0.1∼1.0 mL로 되도록 조정한 경우, 분사 입자는 신속하게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이동하여 부착한다. 그 결과,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해충 방제 성분에 의해 확실하게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분사 입자의 입자 직경은, 25℃, 분사 거리 15cm에서의 체적 적산 분포에서의 90% 입자 직경이 10∼80 μm의 범위로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해충 방제 성분에 의해 확실하게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의 정량 분사 밸브는, 스템과 스템 러버와 스프링을 포함하는 밸브 기구, 및 밸브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가지지만, 스템 러버의 재질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로 하고, 스프링으로서 강화 스프링을 채용함으로써,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하여,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반복 사용한 후에도 압하한 분사 버튼의 리턴 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상기 강화 스프링은, 스프링상수가 3.3N/mm 이상인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하면, 스프링으로서 스프링상수가 3.3N/mm 이상인 스프링을 채용함으로써,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 안정성이 더욱 향상하고,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의 분사 버튼을 반복적으로 다수회 압하해도 확실하게 원래 상태로 리턴하므로, 에어로졸로서의 품질 및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상기 해충 방제 성분은, 트랜스플루트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하면, 해충 방제 성분이, 트랜스플루트린인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모기류를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1회 분사한 경우, 상기 해충 방제 성분의 2시간 경과 후의 기중 잔존율이 0.05∼5 %이며, 또한 상기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지속 시간이 33.3m3 이하의 공간에 대하여 18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하면,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1회 분사한 경우, 해충 방제 성분의 2시간 경과 후의 기중(처리 공간 내) 잔존율이 0.05∼5 %이며, 또한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 지속 시간이 33.3m3 이하의 공간에 대하여 18시간 이상이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처리 공간에 분사된 분사 입자는,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신속하게 이동하여 부착한다. 한편, 처리 공간 중에 떠도는 분사 입자는, 노출부에 부착된 분사 입자만큼 저감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종래품과 같이 처리 공간 전체에 에어로졸 원액이 확산하는 것은 아니므로, 종래품보다 인체나 애완동물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현격하게 저감된 것이 된다. 그리고, 처리 공간 중에 떠도는 분사 입자의 해충 방제 성분에 의해, 처리 공간 중을 날고 있는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이라면,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단 1회 분사하는 것만으로, 33.3m3 이하의 공간에 대하여 18시간 이상에 걸쳐 해충 방제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으므로, 하루의 태반에 걸쳐 해충을 접근시키지 하는 쾌적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분사 입자의 입자 직경은, 25℃, 분사 거리 15cm에서의 체적 적산 분포에서의 90% 입자 직경이 25∼7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하면, 분사 입자가 상기한 최적 범위에 조정되는 것에 의해, 분사 입자가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보다 신속하게 이동하여 부착한다. 이 때문에,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을 더욱 확실하게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상기 분사 버튼을 1회 압하했을 때의 분사 용량이 0.1∼0.2 m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하면, 분사 용량이 상기와 같은 최적 범위에 조정됨으로써, 분사된 분사 입자가 보다 적합한 상태로 존재하여,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상기 분사 버튼을 1회 압하했을 때의 상기 해충 방제 성분의 분사량이 18.8∼33.3 m3인 처리 공간당 5.0∼30 m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하면, 분사 버튼을 1회 압하했을 때의 해충 방제 성분의 분사량이, 상기한 최적 범위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으므로, 분사 입자는 신속하게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이동하여 부착한다.
그 결과,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해충 방제 성분에 의해 확실하게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하면, 유기용제가,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인 경우,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를 보다 양호한 효율로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트랜스플루트린의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助劑)로서, 탄소수의 총수가 13∼20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탄소수가 3∼6인 글리콜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하면, 탄소수의 총수가 13∼20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탄소수가 3∼6인 글리콜류는, 트랜스플루트린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로서 작용하므로, 트랜스플루트린에 대하여 감수성이 저하한 모기류에 대해서도 높은 방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 방법의 특징적 구성은,
상기한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사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분사하여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키는 것에 있다.
본 구성의 모기류 방제 방법은,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것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모기류 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이 구비하는 정량 분사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처리 공간에 에어로졸 원액을 분사했을 때의 분사 입자의 거동을 나타낸 모델도이다.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해충 방제 성분인 트랜스플루트린 및/또는 메토플루트린과 유기용제로서 사용되는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원액, 및 분사제가 봉입되는 내압 용기와, 내압 용기의 주둥이부에 조립되는 정량 분사 밸브와, 정량 분사 밸브에 접속되는 분사구가 설치된 분사 버튼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나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에어로졸 원액>
[해충 방제 성분]
에어로졸 원액의 주성분의 하나인 해충 방제 성분으로서는,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에 해당하는 트랜스플루트린 및/또는 메토플루트린을 사용한다. 또한, 트랜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에는, 부제탄소에 기초한 광학이성체나 기하이성체가 존재하지만, 이들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해충 방제 성분은, 트랜스플루트린이다. 트랜스플루트린은,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한 비상 해충에 대해서도, 메토플루트린이나 프로플루트린에 비교하여 유리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해충 방제 성분으로서 트랜스플루트린을 사용한 경우,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피레드로이드 저항성 계통의 비상 해충에 대해서도, 그 방제 효과의 저하는 비교적 작은 것이 된다.
에어로졸 원액중의 해충 방제 성분의 함유량은, 유기용제로서 사용되는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에 용해시킨 후, 처리 공간에 분사되는 것을 고려하여, 1.0∼6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해충 방제 성분이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유기용제)에 용해하고 쉽고, 또한, 에어로졸 원액이 분사되었을 때, 분사 입자가 최적인 상태로 형성되어,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에어로졸 원액 중의 해충 방제 성분의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해충 방제 성분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어, 모기류의 방제 효과가 불충분하게 된다. 한편, 에어로졸 원액 중의 해충 방제 성분의 함유량이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해충 방제 성분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에어로졸 원액을 적절하게 조제하기 어려워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함유되는 해충 방제 성분은, 트랜스플루트린 및/또는 메토플루트린이지만, 이것에 더하여, 프로플루트린, 메파플루트린, 엠펜트린, 디메플루트린, 몸플루오로트린, 헵타플루트린, 프탈트린, 레스메트린, 사이플루트린, 페노트린, 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사이퍼메트린, 알레트린, 프랄레트린, 프라메트린, 이미프로트린, 에토펜프록스 등의 다른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 실라플루오펜 등의 규소계 화합물, 디클로르보스, 페니트로티온 등의 유기 인계 화합물, 프로폭서(propoxur) 등의 카르바메이트계 화합물 등을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해충 방제 성분은,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1회 분사한 경우, 2시간 경과 후의 기중(처리 공간 중) 잔존율이 0.05∼5 %로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중 잔존율은, 분사 직후에 처리 공간에 존재하는 입자의 수(P)에 대한 소정시간 경과 후의 처리 공간에 존재하는 입자의 수(Q)의 비율, 즉 Q/P × 100 (%)로 표시되지만, 간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론 상의 해충 방제 성분의 기중 농도(중량 베이스), 및 소정 시간 경과 후에서의 해충 방제 성분의 기중 농도(중량 베이스)로부터 구할 수 있다. 에어로졸 원액의 분사량은, 트랜스플루트린의 분사량으로서, 18.8∼33.3 m3의 처리 공간(면적 7.5∼13.3 m2, 높이 2.2∼3.0 m의 4.5∼8 조(疊)의 방에 상당함)당 5.0∼30 mg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에어로졸 원액으로부터 분사 입자가 최적으로 형성되어, 해충 방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비교적 낮은 기중 잔존율이라도, 모기류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 공간 내에 있는 사람이나 애완동물이 흡입해도 인체나 애완동물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없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용제]
에어로졸 원액의 주성분에는, 상기한 해충 방제 성분의 이외에 유기용제가 포함된다. 유기용제는, 상기한 해충 방제 성분을 용해하여 에어로졸 원액을 조제할 수 있고, 또한 조제한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분사했을 때, 최적인 분사 입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는, 유기용제로서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가 사용된다. 저급 알코올은, 탄소수가 2∼3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로서는, 에탄올, 노르말 프로판올이나 이소프로판올(IPA)을 예로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용제로서는, 노르말 파라핀이나 이소파라핀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며, 에탄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은, 속건성이 높고 분사 후 신속하게 휘발하므로, 분사 입자 중의 해충 방제 성분 농도가 높아지고, 모기류의 방제에 적합한 입자를 형성하고, 분사 입자에 포함되는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를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원액의 조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는,, 유기용제로서, 나아가서는,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
에어로졸 원액에는,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의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로서, 탄소수의 총수가 13∼20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탄소수가 3∼6인 글리콜류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의 총수가 13∼20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PM), 미리스트산 메틸, 라우르산 헥실, 라우르산 이소프로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탄소수가 3∼6인 글리콜류로서는,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탄소수의 총수가 13∼20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나 탄소수가 3∼6인 글리콜류가,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한 해충, 특히 모기류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유효하며, 그 작용을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로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을 에어로졸 원액 중에 2.0∼20 중량% 배합하는 것은 특히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 피레드로이드 감수성의 해충에 대하여, 그 본래의 살충 효과를 증강시키는 화합물을 「효력 증강제」로 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감수성이 저하한 해충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 방제 효과의 저하 정도를 경감하는 화합물을, 종래의 「효력 증강제」와 구별하여,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로 정의한다. 양자의 작용 메커니즘은 명확히 해명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효력 증강제」가 반드시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에 해당한다고는 할 수 없다.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의 배합량이 2.0중량% 미만이면, 해충 방제 효과의 저하 정도를 작게 하는 효과가 부족하게 된다. 한편, 2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해충 방제 효과가 한계에 도달할 뿐만아니라, 에어로졸 원액의 성상(性狀)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상기 성분에 더하여, 에어로졸 원액에 가용화 조제로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미노에테르류 등의 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스티렌화 페놀, 지방산의 폴리알카롤아미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들 중, 에테르류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살진드기제, 곰팡이류나 균류 등을 대상으로 한 곰팡이 방지제, 항균제, 살균제, 방향제, 탈취제, 안정화제, 대전(帶電)방지제, 소포제(消泡劑), 부형제(賦形劑), 공력제(共力劑) 등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도 있다. 살진드기제로서는, 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아미드벤조산 메틸, 살리실산 페닐, 3-요오드-2-프로피닐부틸카르바메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곰팡이 방지제, 항균제, 및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2-머캅토벤조티아졸, 2-(4-티아졸릴)벤즈이미다졸,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트리포린, 3-메틸-4-이소프로필페놀, 오르토-페닐페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방향제로서는, 오렌지 오일, 레몬 오일,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유칼리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라임 오일, 유자 오일, 쟈스민 오일, 노송나무 오일, 녹차 정유(精油), 리모넨, α-피넨, 리날로올(linalool), 게라니올, 페닐에틸알코올, 아밀신나믹 알데히드, 쿠민알데히드, 벤질아세테이트 등의 방향 성분, 「녹색의 향기」로 불리우는 청엽 알코올이나 청엽 알데히드 배합의 향료 성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공력제로서는, 피페로닐부톡사이드, 옥틸비시클로헵텐디카르복시아미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분사제>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로 사용하는 분사제로서는, 액화 석유가스(LPG), 디메틸에테르(DME),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등의 액화 가스, 질소 가스, 탄산 가스, 산화 질소, 압축공기등의 압축 가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분사제는, 단독 또는 혼합 상태로 사용할 수 있지만, LPG를 주성분으로 한 것이 사용하기 쉽다.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원액(a)과 분사제(b)의 용량비율(a/b)이, 6/94∼50/50이 되도록 조정된다. 이와 같은 범위로 조정하면, 내압 용기에 설치되는 정량 분사 밸브에 접속된 분사구로부터 분사 입자를 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일단 분사된 분사 입자는, 신속하게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이동하여,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분사 입자 중 노출부에 부착하지 않은 분사 입자는, 처리 공간 중에 떠돌게 되지만, 인체나 애완동물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분사 입자는 처리 공간 중에 최적인 상태로 존재하고, 해충 방제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용량비율(a/b)이 6/94에 대하여, 분사제(b)의 비율을 크게 하는, 즉 내압 용기 내에 봉입하는 분사제를 다량으로 하면, 분사되는 에어로졸 원액으로부터 형성되는 분사 입자가 필요 이상으로 미세화되므로,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부착하는 분사 입자의 양이 감소한다. 이로써,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확실하게 방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용량비율(a/b)이 50/50에 대하여, 분사제(b)의 비율을 작게 하는, 즉 내압 용기 내에 봉입하는 분사제를 소량으로 하면, 분사되는 에어로졸 원액으로부터 상기한 최적 범위의 분사 입자로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분사된 분사 입자는 즉시 침강한다. 그 때문에, 분사 입자는 양적으로 불충분하게 되어, 모기류를 조기에 녹다운 또는 사멸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주로, 내압 용기(에어로졸 용기), 정량 분사 밸브, 및 분사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해충 방제 성분, 유기용제, 분사제, 그 외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성분을 선택하고, 이들을 주둥이부에 정량 분사 밸브를 조립한 내압 용기에 봉입하고, 분사구가 설치된 분사 버튼을 정량 분사 밸브에 접속함으로써, 에어로졸 제품이 완성된다. 이 에어로졸 제품은,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이며, 처리 공간에 에어로졸 원액을 분사 입자로서 분사하는 것이다. 에어로졸 원액은, 주로, 해충 방제 성분과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것이며, 엄밀하게는 분사제와는 다른 것이지만, 에어로졸 원액은 분사제와 동시에 내압 용기의 외부에 방출되므로, 이후의 설명에서는, 에어로졸 원액 및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내용물을 「에어로졸 원액」으로서 취급하는 경우가 있다.
<정량 분사 밸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이 구비하는 정량 분사 밸브(100)의 단면도이다. 정량 분사 밸브(100)는, 내압 용기의 주둥이부에 고착되고, 분사 버튼에 접속한다. 분사 버튼은, 에어로졸 원액을 분사하기 위한 작동부이며, 이 분사 버튼에는, 에어로졸 원액이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외부(처리 공간)에 분출하는 분사구가 설치되어 있다. 정량 분사 밸브(100)는, 스템(11)과 스템 러버(12)와 스프링(13)을 포함하는 밸브 기구(10)와, 밸브 기구(10)를 수용하는 하우징(20)을 가진다. 스프링(13)에는, 강화 스프링을 채용한다. 또한, 스템 러버(12)의 재질로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유기용제로서 사용하는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은,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다른 용제에 비교하면 속건성이며 분사 후 신속하게 휘발하므로, 분사 입자 중의 해충 방제 성분 농도가 업한다. 이 점에서는, 정량 분사 타입의 에어로졸에 있어서 유용성이 높은 용제이지만, 에어로졸의 반복 사용 후에,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 안정성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반복 사용 후의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스템 러버의 재료의 개질(改質)을 고려할 수 있지만, 용제와 스템 러버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팩터가 존재한다. 이 점을 고려하여, (1) 스템 러버의 재료의 개질에 더하여, (2) 구조 사양의 변경에도 착안하여, 스템 러버의 재질로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하고, 또한 스프링으로서 강화 스프링을 채용함으로써,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지견(知見)하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강화 스프링은, 스프링상수가 3.3N/mm 이상인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프링상수는, 이하의 식 (1):
스프링상수(N/mm)=(횡탄성 계수×선직경의 4승)/(8×유효 권취수×중심 직경의 3승)… (1)
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스프링상수가 3.3N/mm 이상인 스프링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밸브제의 강화 스프링(일련번호: SP-C321) 등이 있다. 가부시키가이샤 미타니밸브 발행의 카탈로그에 의하면, 종래 스프링(일련번호: SP-C314)은, 재질이 스테인레스(SUS304)이며, 선직경이 φ0.55mm이며, 권취수가 9와 3/4(39/4)인 것에 대하여, 강화 스프링은, 그 선직경을 φ0.55mm로부터 φ0.6mm로 굵게 하여, 스프링압이 높여져 있다.
정량 분사 밸브(100)에 있어서, 정량실(21)에는, 내압 용기로부터 소정량의 에어로졸 원액이 도입되고,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의 분사 버튼을 1회 압하한 경우,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정량 분사 밸브(100)가 작동하고, 정량실(21) 내의 에어로졸 원액이 분사구에 상승하고, 처리 공간에 분사된다. 이 때의 에어로졸 원액의 분사 용량은, 0.1∼1.0 mL로 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0.1∼0.2 mL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하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제의 스템 러버와, 강화 스프링이 협동함으로써,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안정성이 향상하고, 에어로졸 원액의 분사 용량이 한층 안정화된다. 에어로졸 원액의 분사 용량이 상기한 범위이면, 분사된 에어로졸 원액으로부터 형성되는 분사 입자는, 처리 공간에 있어서 최적으로 방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분사 용량이 0.1mL 미만인 경우, 분사 용량이 지나치게 적어서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이동하는 분사 입자가 소량이 되므로, 노출부에 부착하는 분사 입자의 양이 불충분하게 되고,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분사 입자의 전체적인 양이 소량으로 되므로, 처리 공간 중에 떠도는 분사 입자도 소량이 되어, 처리 공간을 날고 있는 모기류에 대해서도 녹다운 또는 사멸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분사 용량이 1.0mL를 초과하면, 처리 공간에 필요 이상의 양의 에어로졸 원액이 분사 입자로서 방출되므로, 사람이나 애완동물에 대한 영향이 우려된다. 또한, 에어로졸 원액의 사용량도 과대하게 되므로,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또한, 해충 방제 성분의 분사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18.8∼33.3 m3의 처리 공간당 5.0∼30 mg으로 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6.1∼25 mg으로 조정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18.8∼33.3 m3의 공간은, 4.5∼8 조의 방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해충 방제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어, 처리 공간 중의 모기류를 확실하게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해충 방제 성분의 분사량이 5.0mg보다 적은 경우,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부착하는 분사 입자가 소량으로 되므로,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가 뒤떨어져서,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해충 방제 성분의 분사량이 30mg을 초과하면, 처리 공간에 필요 이상의 양의 해충 방제 성분이 방출되므로, 사람이나 애완동물에 대한 영향이 우려된다. 또한, 해충 방제 성분의 사용량도 과대하게 되므로,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분사구로부터의 거리가 20cm인 개소에 있어서, 분사력이 25℃에 있어서 0.3∼20.0 g·f, 바람직하게는 0.3∼10.0 g·f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1회의 분사에 의해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분사 입자를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신속하게 도달시킬 수 있고,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사력은, 에어로졸 원액의 조성, 에어로졸 용기의 내압, 분구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의 분사력을, 디지털포스게이지(FGC-0.5, 일본전산(日本電産)심포가부시키가이샤 제조)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분사구의 분구경은 0.2∼1.0 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상기한 입자 직경, 및 분사력으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처리 공간에 분사된 에어로졸 원액으로부터 분사 입자가 최적으로 형성되고, 해충 방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처리 공간 내의 모기류를 확실하게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도 2는, 처리 공간에 에어로졸 원액을 분사했을 때의 에어로졸 원액으로부터 형성된 분사 입자의 거동을 나타낸 모델도이다. 도 2의 (a)는, 종래 제품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처리 공간에 분사한 경우의 모델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처리 공간에 분사한 경우의 모델도이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제품(간단히 「종래품」으로 함)은, 에어로졸 원액이 처리 공간에 분사되면, 입자 직경 10μm 미만의 입자 M이 되어 처리 공간 중에 확산한다. 분사하여 잠시 경과하면, 입자 M은 처리 공간 전체에 더욱 확산하고, 해충 방제 성분이 처리 공간에 고루 퍼진다. 이로써, 처리 공간 중을 날고 있는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모기류는 날고 있는 시간보다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멈추고 있는 시간이 길므로, 종래품에서는 이와 같은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멈추고 있는 모기류까지 확실하게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없다. 또한, 처리 공간의 창문을 여는 등을 하여 바람이 불어 들어왔을 경우, 처리 공간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 M의 일부는 바람에 휩쓸려서,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가 큰 폭으로 감소한다. 또한, 입자 M이 처리 공간에 부유하고 있는 시간이 장시간으로 되면, 처리 공간 내에 있는 사람이나 애완동물이 입자 M을 흡입하는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인체나 애완동물에게 악영향을 끼칠 우려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는 신규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제품을 개발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제품에 있어서 특징적인 분사 입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사 입자]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1회 분사하면, 에어로졸 원액으로부터 분사 입자 R이 형성된다. 분사된 분사 입자 R은,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신속하게 이동하여 부착한다. 여기서, 분사 입자 R 중 노출부에 부착된 상태의 분사 입자 R을 입자 X로 한다(도 2의 (b)에 있어서 백색 원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하, 입자 X는, 「분사 입자 R 중 노출부에 부착된 분사 입자 R」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노출부에 부착하지 않고, 처리 공간 중에 떠돌고 있는 상태의 분사 입자 R을 입자 Y로 한다(도 2의 (b)에 있어서 흑색 원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하, 입자 Y는, 「분사 입자 R 중 노출부에 부착하지 않고, 처리 공간 중에 떠돌고 있는 분사 입자 R」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분사 입자 R이 노출부에 이동하여 부착하기(즉, 입자 X로서 존재하기) 위한 바람직한 입자 직경은, 25℃, 분사 거리 15cm에서의 체적 적산 분포에서의 90% 입자 직경이 10∼80 μm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처리 공간에 분사된 분사 입자 R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확실하게 이동하여 부착하고, 입자 X가 된다. 그 결과,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분사 입자의 해충 방제 성분에 의해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 공간 내에 침입하고, 노출부에 머물고자 하고 있는 모기류에 대해서도 해충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처리 공간 밖으로 내쫓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분사 입자 R의 입자 직경이 10μm 미만이면,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작아서 노출부까지 도달하는 분사 입자 R의 양이 저감하게 된다. 이 때문에,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혹은, 머물고자 하고 있는 모기류를 방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입자 직경이 80μm를 초과하면,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커서 분사 입자 R의 거동을 컨트롤하기 어려워져, 노출부에 적절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분사 입자 R의 보다 바람직한 입자 직경은, 25℃, 분사 거리 15cm에서의 체적 적산 분포에서의 90% 입자 직경 25∼70 μm이다. 그리고, 도 2의 (b)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입자 X와 입자 Y를 구별하기 위해 입자 X를 백색 원, 입자 Y를 흑색 원으로 나타내었으나, 어느 쪽 입자도 동일한 입자이며, 분사 입자 R에 유래하는 입자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의 분사 입자의 25℃, 분사 거리 15cm에서의 체적 적산 분포에서의 90% 입자 직경을, 스프레이테크(STP5321, Malvern사 제조)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로의 분사 입자 R의 바람직한 부착량은, 상기 노출부 1m2당 0.01∼0.4 mg이며, 바람직하게는, 1m2당 0.05∼0.2 mg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효과적으로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부착량이 1m2당 0.01mg 미만이면,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에 대하여 충분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부착량이 1m2당 0.4mg을 초과해도, 해충 방제 효과는 크게 향상하지 않으며, 또한, 에어로졸 원액의 사용량도 과대하게 되므로,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그리고, 입자 Y도 상기한 입자 X와 마찬가지로, 모기류에 대하여 해충 방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입자 Y는,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없지만, 처리 공간 중을 날고 있는 모기류를 효과적으로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 공간 내에 침입하려고 하는 모기류에 대해서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처리 공간 내로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처리 공간에 분사된 분사 입자 R은, 입자 X 혹은 입자 Y의 상태로 되어 존재하고, 각각의 상태를 살려서 처리 공간 내의 모기류를 효과적으로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1회 분사한 직후에 있어서, 분사 입자 R은,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빠르게 이동하고, 부착한 상태의 입자 X, 및 노출부에 부착하지 않고 처리 공간 중을 떠도는 상태의 입자 Y가 된다. 1회 분사하고 나서 잠시 경과해도, 입자 X는 노출부에 부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해충 방제 성분에 의해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한편, 입자 Y는, 처리 공간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이 진행하고, 해충 방제 성분이 서서히 휘산해 가고, 처리 공간 중을 날고 있는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 공간 내에 침입하려고 하는 모기류에 대해서는, 침입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처리 공간 내에 침입해 온 경우라도,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상기 모기류가 머무르거나, 노출부 부근에 가까워져 온 경우, 상기 노출부에 부착하고 있는 입자 X의 해충 방제 성분에 의해, 확실하게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분사 입자 R이 최적인 상태(입자 X, 및 입자 Y의 상태)로 존재하고, 해충 방제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처리 공간 중에 존재하는 모기류, 및 처리 공간 내에 침입하려고 하는 모기류의 어느 쪽에도 우수한 방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한 유용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처리 공간에 바람이 불어 들어 온 경우, 입자 Y의 일부가 바람에 휩쓸리더라도, 노출부에 부착하고 있는 입자 X가 존재한다. 상기와 같이, 처리 공간 중에 존재하는 모기류의 태반은 노출부에 머물고 있는 시간이 길므로, 입자 X가 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면, 입자 Y의 양이 감소해도, 모기류로의 방제 효과가 뒤떨어질 걱정은 없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종래품과 같이, 분사된 에어로졸 원액의 거의 전부가 처리 공간 중에 확산하는 것은 아니다. 처리 공간 중에 확산하고 있는 해충 방제 성분(즉, 입자 Y에 의한 해충 방제 성분)의 농도는, 입자 X의 분만큼 저감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품과 비교하여 처리 공간의 농도는 낮은 것이 되어, 해충 방제 성분의 흡입에 의한 인체나 애완동물에 대한 영향은 저감되어, 안전한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의해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1회 분사했을 때의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 지속 시간은, 33.3 m3 이하의 공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8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시간 이상이다. 33.3m3 이하의 공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4.5∼8 조의 거실(천정 높이 2.5m)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이라면, 일반 주택 등의 통상의 거주 공간에 있어서, 거의 하루종일 해충 방제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모기류는 밤낮을 막론하고 실내에 침입하고, 특히, 취침 중에 흡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이라면, 20시간 이상에 걸쳐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가 지속하므로, 예를 들면, 야간의 취침 전에 1회 분사해 두면, 다음날 오후까지 효과가 지속하여, 안심하고 취침할 수 있다.
<모기류 방제 방법>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 방법은, 상기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먼저, 해충 방제 성분인 트랜스플루트린 및/또는 메토플루트린과, 유기용제로서 사용하는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원액, 및 분사제를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정량 분사 밸브가 설치된 내압 용기에 있어서, 정량 분사 밸브에 접속되는 분사구가 설치된 분사 버튼을 1회 누르면, 에어로졸 원액이 분사구로부터 분사 입자 R로서 처리 공간으로 분사된다(분사 공정). 이 때,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 입자 R은, 신속하게 처리 공간 내의 노출부에 이동하고, 부착한 상태가 되는 입자 X, 및 노출부에 부착하지 않고 처리 공간 중을 떠도는 상태의 입자 Y가 된다. 분사 입자 R 중 입자 X는, 처리 공간 내의 벽면이나 바닥면, 구조물 등의 표면에 머물고 있는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키고, 혹은, 이러한 장소에 머물고자 하는 모기류에 대해서도 효과를 나타내어, 처리 공간 밖으로 내쫓는다. 한편, 분사 입자 R 중 입자 Y는, 처리 공간을 날고 있는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고, 또한, 처리 공간 내에 침입하려고 하는 모기류에 대해서도 효과를 나타내어, 처리 공간 내로의 침입을 억제한다. 상기와 같은 분사 입자 R의 해충 방제 효과는, 33.3m3 이하의 공간에 대하여 18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시간 이상의 장시간에 걸쳐 지속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재차,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분사하면 되며, 이로써, 계속적으로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은, 상기와 같이,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 지속 시간이 33.3m3 이하의 공간에 대하여 18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시간 이상, 즉 거의 1일이다. 이 때문에, 이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모기류 방제 방법이라면, 1일 1회 매일 결정된 시각에 분사하는 분사 공정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조작을 완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누구나 간단하게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분사할 수 있고, 또한 분사하는 타이밍을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대하여, 반복 사용 후의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 안정성, 및 모기류 방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비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실시예 1∼13)을 준비하고,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 있는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비교예 1∼6, 참고예 1∼2)을 준비하고,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1∼13으로서,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조건에 의해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조제하고, 하기에 나타낸 시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에는,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로서 IPM(15중량%)을 배합하고, 실시예 3에는,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로서 1,3-부틸렌글리콜(15중량%)을 배합하고, 실시예 5에는,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로서 IPM(10중량%)을 배합했다. 비교예 1∼6, 및 참고예 1∼2에 대해서도,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조건에 의해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조제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어느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도, 정량 분사 밸브의 스템 러버의 재질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했다. 또한, 스프링에는, 비교예 1∼2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종래 스프링(표 1 중의 「A」, 선직경 0.55mm, 횡탄성계수 6.85×104, 중심직경 3.15mm, 유효권취수 7.75, 스프링상수 3.24N/mm)을 사용하고, 실시예 1∼13, 비교예 3∼6, 및 참고예 1∼2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있어서, 강화 스프링(표 1 중의 「B」, 선직경 0.6mm, 횡탄성계수 6.85×104, 중심직경 3.2mm, 유효권취수 8, 스프링상수 4.23N/mm)을 사용했다.
[표 1]
Figure pct00001
(1) 반복 사용 후의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 안정성
시험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에 대하여, 반복 사용하여 분사 버튼의 리턴 상태를 조사하여, 반복 사용 후의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안정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a: 20회 이상 사용 후에도 분사 버튼의 리턴 상태에 변화없음
b: 3∼7 회 사용 후에 분사 버튼의 리턴 상태가 악화
c: 1∼2 회 사용 후에 분사 버튼의 리턴 상태가 매우 악화
(2) 모기 성충에 대한 방제 효과
완전히 닫은 25m3의 방의 중앙에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경사 위쪽을 향하여 1회 분사하고, 이 직후, 빨간집모기 암컷 성충 50마리를 풀어놓고, 2시간 폭로시킨 후, 모든 시험 모기를 회수했다. 그 동안, 시간 경과에 따라 낙하하여 위로 보고 쓰러진 빨간집모기 암컷 성충을 카운트하여, KT50값(분)을 구했다. 동일한 방에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1회 분사하고 나서, 12시간 후, 및 18시간 후에 대하여 동일한 조작을 행하였다. 실시예 1∼10, 비교예 1∼6 및 참고예 1∼2에서는, 빨간집모기 암컷 성충은, 피레드로이드 감수성 계통 및 피레드로이드 저항성 계통의 2종류를 사용했다. 실시예 11∼13에서는, 빨간집모기 암컷 성충은, 피레드로이드 감수성 계통만을 사용했다.
(3) 분사 입자의 기중 잔존율
완전히 닫은 25m3의 방의 중앙을 향하여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경사 위쪽을 향해 1회 분사했다. 방의 중앙보다 50cm 후방(벽면으로부터 130cm), 마루 위 120cm의 위치에 공기 포집관(유리관에 실리카겔을 충전하고, 양단을 탈지면으로 채운 것)을 설치하고, 진공펌프에 접속하여 분사 처리로부터 2시간 경과한 후에 소정량의 공기를 흡인했다. 공기 포집관을 아세톤으로 세정하고, 포집된 해충 방제 성분량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제작소(島津製作所) 제조, 형식 GC1700)에 의해 분석했다. 얻어진 분석값에 기초하여, 해충 방제 성분의 기중 농도(중량 베이스)를 산출하고, 이론 상의 기중 농도에 대한 비율을 기중 잔존율로서 구했다.
상기 (1)∼(3)의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2
정량 분사 밸브에 스프링상수가 3.3N/mm 이상인 강화 스프링을 사용한 실시예 1∼13에서는, 모두 20회 이상 사용 후에도 분사 버튼의 리턴 상태에 변화가 없고, 반복 사용 후의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안정성이 양호했다. 한편, 정량 분사 밸브에 스프링상수가 3.3N/mm 미만인 종래 스프링을 사용한 비교예 1∼2에 있어서는, 3∼7 회 사용 후에 분사 버튼의 리턴 상태가 악화되어 있어, 반복 사용 후의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안정성이 특별히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3과 같이, 스프링상수가 3.3N/mm 이상인 강화 스프링을 사용하더라도, 유기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한 경우에는, 1∼2 회 사용 후에 분사 버튼의 리턴 상태가 매우 악화하고, 분사 불량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상태로 되었다. 이는, 메틸에틸케톤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열화시켜, 스템 러버의 탄성이 저하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이, 스템 러버의 재질과 유기용제의 적합성은 극히 중요한 검토 항목이며, 스프링상수가 3.3N/mm 이상인 강화 스프링을 사용해도, 유기용제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면, 반복 사용 후의 정량 분사 밸브의 작동안정성을 향상할 수는 없는 것을 알았다.
모기 성충에 대한 방제 효과에 대해서는, 실시예 1∼13은, 해충 방제 성분으로서 트랜스플루트린 및/또는 메토플루트린을 함유하는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1회 분사하고 나서 18시간 후에도 KT50값이 유의한 수치로 유지되어 있어, 우수한 모기류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기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한 실시예 1과, 유기용매로서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한 실시예 4와, 유기용매로서 네오티오졸를 사용한 실시예 10은, 트랜스플루트린의 배합량이 동일하지만, 실시예 1 및 4의 모기류 방제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실시예 1의 모기류 방제 효과가 보다 우수하므로, 해충 방제 성분의 트랜스플루트린과 조합하는 유기용제로서는,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 중,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이 효과적이며, 이 중, 에탄올이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나아가서는,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를 배합하고 있지 않은 실시예 1과,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를 배합한 실시예 2∼3은, 트랜스플루트린의 배합량이 동일하지만, 실시예 2∼3에서는,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한 피레드로이드 저항성 계통의 빨간집모기에 대해서도, 피레드로이드 감수성 계통을 대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방제 효력의 저하 정도가 실시예 1보다 작았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와 같은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나 1,3-부틸렌글리콜와 같은 탄소수가 3∼6인 글리콜류를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로서 배합하는 것은, 피레드로이드 저항성 계통의 모기류를 방제하는 점에서 극히 유효한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해충 방제 성분으로서 프로플루트린을 사용한 참고예 1∼2에서는, 피레드로이드 저항성 계통의 빨간집모기에 대한 방제 효과가, 피레드로이드 감수성 계통을 대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뒤떨어지고, 이 저하 정도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를 배합해도 개선되지 않았다. 따라서, 피레드로이드 저항성 계통의 모기류에 대해서는 트랜스플루트린이 여전히 유효하며, 또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와 같은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나 1,3-부틸렌글리콜과 같은 탄소수가 3∼6인 글리콜류는, 해충 방제 성분으로서 트랜스플루트린과 조합한 경우,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로서 특이적으로 유용하게 되는 것도 판명되었다.
한편, 유기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한 비교예 3에 있어서는,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1회 분사하고 나서 18시간 후에는 KT50값이 120분 이상으로 되어, 모기류에 대한 방제 효과를 장시간에 걸쳐 발휘하는 것은 아니었다. 에어로졸 원액(a)과 분사제(b)의 용량비율(a/b)이 6/94∼50/50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비교예 4∼5나, 분사 버튼을 1회 압하했을 때의 분사 용량이 0.1∼1.0 mL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비교예 6은,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1회 분사하고 나서 12시간 후에는 KT50값이 120분 이상이 되어, 모기류에 대한 방제 효과를 장시간에 걸쳐 발휘하는 것은 아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모기류에 대하여 높은 방제 효과을 가지는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이것을 사용한 모기류 방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0: 밸브 기구
11: 스템
12: 스템 러버
13: 스프링(강화 스프링)
20: 하우징
21: 정량실
100: 정량 분사 밸브
R: 분사 입자
X: 노출부에 부착한 분사 입자
Y: 처리 공간 중에 떠돌고 있는 분사 입자

Claims (10)

  1. 해충 방제 성분인 트랜스플루트린 및/또는 메토플루트린과 유기용제인 저급 알코올 및/또는 탄화 수소계 용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원액, 및 분사제가 봉입(封入)되는 내압(耐壓) 용기와,
    스템과 스템 러버와 스프링을 포함하는 밸브 기구, 및 상기 밸브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내압 용기의 주둥이부에 조립되는 정량 분사 밸브와,
    상기 정량 분사 밸브에 접속되는 분사구가 설치된 분사 버튼
    을 구비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로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a)과 상기 분사제(b)의 용량비율(a/b)은, 6/94∼50/50이며,
    상기 스템 러버의 재질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이며,
    상기 스프링은, 강화 스프링이며,
    상기 분사 버튼을 1회 압하(押下)했을 때의 분사 용량이 0.1∼1.0 mL이며,
    상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분사 입자의 입자 직경은, 25℃, 분사 거리 15cm에서의 체적 적산 분포에서의 90% 입자 직경이 10∼80 μm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스프링은, 스프링상수가 3.3N/mm 이상인 스프링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방제 성분은, 트랜스플루트린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1회 분사한 경우, 상기 해충 방제 성분의 2시간 경과 후의 기중(氣中) 잔존율이 0.05∼5 %이며, 또한 상기 해충 방제 성분의 효과 지속 시간이 33.3m3 이하의 공간에 대하여 18시간 이상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분사 입자의 입자 직경은, 25℃, 분사 거리 15cm에서의 체적 적산 분포에서의 90% 입자 직경이 25∼70 μm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버튼을 1회 압하했을 때의 분사 용량이 0.1∼0.2 mL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버튼을 1회 압하했을 때의 상기 해충 방제 성분의 분사량이 18.8∼33.3 m3의 처리 공간당 5.0∼30 mg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는, 탄소수가 2∼3인 저급 알코올인,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원액은, 트랜스플루트린의 감수성 저하 대처 조제(助劑)로서, 탄소수의 총수가 13∼20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탄소수가 3∼6인 글리콜류를 함유하는,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을 사용하여 상기 에어로졸 원액을 처리 공간에 분사하여 모기류를 녹다운 또는 사멸시키는, 모기류 방제 방법.
KR1020217024547A 2019-02-15 2020-02-07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모기류 방제 방법 KR102667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5647 2019-02-15
JP2019025647 2019-02-15
PCT/JP2020/004980 WO2020166535A1 (ja) 2019-02-15 2020-02-07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蚊類防除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282A true KR20210111282A (ko) 2021-09-10
KR102667390B1 KR102667390B1 (ko) 2024-05-17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496B2 (ko) 1973-02-03 1980-05-12
JP2001017055A (ja) 1999-07-12 2001-01-23 Fumakilla Ltd 害虫の駆除方法
JP2001328913A (ja) 2000-05-19 2001-11-27 Sumitomo Chem Co Ltd 家屋室内における飛翔性害虫の駆除方法
JP2013099336A (ja) 2012-12-25 2013-05-23 Fumakilla Ltd 蚊成虫の駆除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496B2 (ko) 1973-02-03 1980-05-12
JP2001017055A (ja) 1999-07-12 2001-01-23 Fumakilla Ltd 害虫の駆除方法
JP2001328913A (ja) 2000-05-19 2001-11-27 Sumitomo Chem Co Ltd 家屋室内における飛翔性害虫の駆除方法
JP2013099336A (ja) 2012-12-25 2013-05-23 Fumakilla Ltd 蚊成虫の駆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82635A (zh) 2021-09-10
TW202031128A (zh) 2020-09-01
WO2020166535A1 (ja) 2020-08-20
AU2020220658A1 (en) 2021-09-30
AU2020220658B2 (en) 2022-09-08
JP7230069B2 (ja) 2023-02-28
TWI744793B (zh) 2021-11-01
JP2023053349A (ja) 2023-04-12
JPWO2020166535A1 (ja)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87878B (zh) 蚊类防除用气溶胶及蚊类防除方法
JP6774482B2 (ja)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蚊類防除方法
JP6517984B2 (ja)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蚊類防除方法
JP7324887B2 (ja)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蚊類防除方法
JP6490847B2 (ja) 害虫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KR102655095B1 (ko) 해충, 진드기 방제 방법, 및 해충, 진드기 방제용 에어로졸
KR102667390B1 (ko)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모기류 방제 방법
KR20210111282A (ko)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모기류 방제 방법
JP2018138531A (ja) ハチ、アブ類の刺咬被害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