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007A -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007A
KR20210111007A KR1020200025991A KR20200025991A KR20210111007A KR 20210111007 A KR20210111007 A KR 20210111007A KR 1020200025991 A KR1020200025991 A KR 1020200025991A KR 20200025991 A KR20200025991 A KR 20200025991A KR 20210111007 A KR20210111007 A KR 20210111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rminal
offline
server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179B1 (ko
Inventor
손준
Original Assignee
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준 filed Critical 손준
Priority to KR102020002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17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를 이미지화하여 저장하는 방법의 일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오브젝트를 촬영한 제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촬영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이미지 전송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이미지와 매칭되는 제2 이미지에 대한 패키지 정보인 온라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매칭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오브젝트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Image saving method for offline objects}
본 발명은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를 촬영하고, 서버에서 촬영 이미지에 대한 대표 이미지가 포함된 패키지 정보인 온라인 오브젝트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예인이나 아티스트의 경우 방송에 출연하거나 음원을 제공하는 시장뿐만 아니라, 연예인이나 아티스트의 이름, 얼굴 등을 이용한 상품을 판매하는 시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연예인이나 아티스트를 전담으로 취재하면서, 개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해당 연예인 등에 대한 영상이나 사진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연예인 등에 대한 굿즈(Goods)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마스터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연예인에 대한 팬 수요층이 증가하면서, 특정 연예인에 대한 굿즈를 수집하는 수집 욕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예인 캐릭터 굿즈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따라, 연예인 캐릭터 등을 수집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를 촬영하고, 서버에서 촬영 이미지에 대한 대표 이미지가 포함된 패키지 정보인 온라인 오브젝트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를 이미지화하여 저장하는 방법의 일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오브젝트를 촬영한 제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촬영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이미지 전송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이미지와 매칭되는 제2 이미지에 대한 패키지 정보인 온라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매칭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오브젝트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는 상기 제2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에 연결된 링크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이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이미지 전송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링크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링크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데이터가 선택되고, 상기 링크데이터에 기초한 링크를 제공하는 링크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오브젝트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대한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부분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 단계; 및 상기 유사도 판단 단계에 의해 매칭된 상기 제2 이미지의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오브젝트는 머리 부분과 몸통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오프라인 오브젝트의 몸통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유사도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각각의 몸통 부분에 대해 유사도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전송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촬영될 때의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매칭 단계 이후,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에 상기 위치 정보를 연결하여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에 연결된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함께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중 상기 위치 정보의 위치 근처에서 촬영된 사진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매칭 단계 이후,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는 연락처 정보를 연결하여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에 연결된 연락처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함께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이미지와 함께 상기 연락처 정보에 대한 연락 버튼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연락 버튼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연락처로 전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를 촬영하고, 서버에서 촬영 이미지에 대한 대표 이미지가 포함된 패키지 정보인 온라인 오브젝트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요자의 다양한 수집 욕구와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하여, 단말기에 온라인 객체가 표시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 어떤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정 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어떤 제1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다른 제2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와 비교하여, 10%의 오차 범위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단말기(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서버(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113)이 설치된 단말기(100) 및 단말기(100)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이미지화하여,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가 컵 캐리어(1)에 구비된 연예인 캐릭터를 표현한 페이퍼 토이(paper toy)를 조립하여, 입체 형상의 조형물인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제작하고, 단말기(10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113)을 통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촬영한 후, 서버(200)로 전송하면, 서버(200)는 해당 오프라인 오브젝트(10)와 매칭되는 온라인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해당 연예인에 대한 캐릭터가 표현된 온라인 오브젝트를 단말기(10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제작한 후, 입체 형상의 페이퍼 토이인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수집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페이퍼 토이가 구겨지거나 훼손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온라인 오브젝트로 변환하여 단말기(100)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연예인의 팬이 해당 연예인의 캐릭터 굿즈를 수집 및 관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연예인의 대한 굿즈에 대한 수집 욕구가 충족될 수 있다.
앞에서는 페이퍼 토이가 컵 캐리어(1)로부터 분리하여 조립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페이퍼 토이는 반드시 컵 캐리어(1)로부터 분리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페이퍼 토이를 제작하기에 적절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있는 청첩장, 관광 팜플렛 또는 관광 지도 등으로부터 분리되어 조립된 페이퍼 토이도 가능하다.
또한, 페이퍼 토이는 연예인이 캐릭터화되어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페이퍼 토이가 연예인 캐릭터뿐만 아니라, 에니메이션 캐릭터 또는 다른 캐릭터 등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오브젝트(10)는 컵 캐리어(1)로부터 분리하여 조립된 페이퍼 토이, 청첩장의 이미지, 관광 팜플렛 등으로부터 분리 조립된 페이퍼 토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온라인 오브젝트는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해 서버(200)가 제공하는 대표 이미지, 대표 이미지에 연동되는 링크 정보, 대표 이미지에 연동되는 위치 정보, 대표 이미지에 연동되는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온라인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대표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제어부(110), 단말기 저장부(120), 카메라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위치 정보 수집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10)는 단말기(100) 내에 프로세서와 같은 칩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113)을 통하여 페이퍼 토이와 같은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촬영한 후, 오프라인 오브젝트(10)의 촬영 이미지인 제1 이미지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단말기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온라인 오프젝트를 단말기(100)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 제어부(110)에는 통신 모듈(111) 및 어플리케이션(113)이 구비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1)은 관리 서버(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113)은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해 촬영된 제1 이미지를 통신 모듈(111)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서버(200)로부터 온라인 오브젝트가 수신되면, 온라인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113)은 온라인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수집 사진첩과 같은 디자인된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120)는 단말기(100) 내에 메모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해 촬영된 제1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저장부(120) 내에는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할 때, 단말기(100) 위치 정보가 제1 이미지와 결합되어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13)을 통해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113)과 연동되어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된 온라인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13)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온라인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15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13)을 통해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가 생성될 때,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 정보를 제1 이미지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정보 수집부(150)에는 GPS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이미지를 수신받아, 제1 이미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대표 이미지(이하, 제2 이미지라 함)를 매칭하여, 온라인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온라인 오브젝트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제어부(210) 및 서버 데이터 베이스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버(200)는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버 제어부(210)는 프로세서와 같은 칩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서버 데이터 베이스부(210)는 메모리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10)는 통신 모듈(211), 추출 모듈(212), 유사도 판단 모듈(213) 및 선택 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1)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211)을 통해 단말기(100)의 제1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서버(200)에서 선택된 온라인 오브젝트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추출 모듈(212), 유사도 판단 모듈(213) 및 선택 모듈(214)은 서버(200)에 저장된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중 제1 이미지와 매칭되는 제2 이미지를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출 모듈(212)은 제1 이미지로부터 오프라인 객체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대한 부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고, 유사도 판단 모듈(213)은 제1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부분 이미지를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과 유사도 판단을 수행하고, 선택 모듈(214)은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중 유사도 값이 가장 높은 제2 이미지에 대한 패키지 정보인 온라인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 데이터 베이스부(210)에는 제2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래퍼런스 이미지들과 결합 또는 연결되는 링크데이터, 연락처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동작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한 이미지 저장하여, 단말기(100)에 온라인 객체가 표시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 방법의 제1 실시예는 촬영 단계(S1), 제1 이미지 전송 단계(S2), 매칭 단계(S3),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S4) 및 오브젝트 표시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단계(S1)에서는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13)을 통해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촬영한 제1 이미지가 생성되거나 취득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오브젝트(10)는 컵 캐리어(1)로부터 분리하여 조립된 페이퍼 토이거나, 청첩장의 이미지, 또는 관광 팜플렛으로부터 분리 조립된 페이퍼 토이 등 다양한 형태와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오프라인 오브젝트(10)는 머리 부분과 몸통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오프라인 오브젝트(10)가 컵 캐리어(1)로부터 분리 조립된 페이퍼 토이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제1 이미지 전송 단계(S2)에서는 단말기(100)가 제1 이미지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매칭 단계(S3)에서는 서버(200)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저장된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중 제1 이미지와 매칭되는 제2 이미지(30)가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칭 단계(S3)는 추출 단계(S3a), 유사도 판단 단계(S3b) 및 선택 단계(S3c)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 단계(S3a)는 제1 이미지로부터 오프라인 오브젝트(10)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대한 부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 단계(S3a)에서 추출되는 부분 이미지는 오프라인 오브젝트(10)의 몸통 부분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컵 캐리어(1)로부터 종이를 분리하여 페이퍼 토이를 형성하는 경우, 종이의 특성상 특히 머리 부분이 쉽게 구겨지거나 훼손될 수 있고,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몸통 부분은 상대적으로 덜 구겨지고, 훼손 정도가 약하여, 단말기(100)로 촬영해도, 본래의 페이퍼 토이 원본의 형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유사도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출 단계(S3a)에서는 오프라인 오브젝트(10)의 몸통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유사도 판단 단계(S3b)에서는 부분 이미지와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부분을 비교하여 유사도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사도 판단 단계(S3b)는 부분 이미지와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각각의 몸통 부분에 대해 유사도 판단을 수행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유사도 값이 가장 높은 이미지를 제2 이미지(30)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이미지(30)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표시되는 온라인 오브젝트의 대표 이미지일 수 있다.
선택 단계(S3c)에서는 유사도 판단 단계(S3b)에 의해 매칭된 제2 이미지(30)에 대한 패키지 정보인 온라인 오브젝트가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오브젝트는 제2 이미지(30)와 제2 이미지(30)에 연결된 링크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미지(30)는 사용자가 조립한 페이퍼 토이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사전에 디지털화되어 말끔하게 표현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링크데이터는 페이퍼 토이와 관련된 웹 페이지와 연동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링크데이터에 연동되는 웹 페이지에는 페이퍼 토이로 캐릭터화된 특정 연예인에 대한 정보를 게시되거나 연예인 굿즈를 판매하는 ? 정보, 가게의 위치 정보 등이 게시될 수 있다.
온라인 오브젝트에는 이와 같은 제2 이미지(30)와 링크데이터가 하나로 결합되거나 연결된 패키지된 정보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온라인 오브젝트에 제2 이미지(30)와 링크데이터만 포함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온라인 오브젝트는 제2 이미지(30)와 링크데이터 이외에도 위치 정보, 연락처 정보 등 그 밖의 필요한 정보를 패키지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S4)에서는 서버(200)가 온라인 오브젝트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S4)는 제2 이미지(30)를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제2 이미지 전송 단계(S4a)와 링크데이터를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링크데이터 전송 단계(S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이미지 전송 단계(S4a)와 링크데이터 전송 단계(S4b)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각각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오브젝트 표시단계(S5)에서, 단말기(100)는 수신받은 온라인 오브젝트를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13)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위치 정보와 연락처 정보에 대해서도 함께 표시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오브젝트 표시단계(S5)에서는,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113)을 통해 단말기(100)의 화면에 온라인 오브젝트에서는 제2 이미지(30)가 대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이미지로 표시되는 제2 이미지(30)는 오프라인 오브젝트(10)가 3차원 입체 형상인 경우,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고, 오프라인 오브젝트(10)가 2차원 이미지인 경우, 2차원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링크데이터(40)는 제2 이미지(30)와 별도의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링크데이터(40)가 표시된 선택 영역을 선택하여, 링크데이터가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링크데이터에 기초한 링크를 제공하여, 링크에 따른 해당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링크데이터(40)가 표시된 도면상의 “대표 SNS”를 클릭하면, 일례로, 해당 온라인 오브젝트로 캐릭터화된 연예인 A의 홍보 웹페이지, 또는 연예인 A에 대한 웹페이지 마스터의 SNS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함께 찍은 사진 보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수신 받은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위치 정보 근처에서 함께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100)는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할 때, 제1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수집 모듈로부터 입력받아 제1 이미지와 연결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전송 단계(S2)에서, 단말기(100)가 제1 이미지를 서버(200)로 전송할 때, 제1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이미지와 제1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선택 단계(S3c)에서, 제1 이미지와 매칭되는 제2 이미지(30)에 대한 온라인 오브젝트가 선택된 이후, 선택된 온라인 오브젝트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온라인 오브제트 전송 단계에서, 서버(200)는 제2 이미지(30) 및 링크데이터와 함께, 제1 이미지가 촬영될 때의 제1 이미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함께 단말기(100)로 전송(S4c)할 수 있다.
이후, 오브젝트 표시 단계(S5)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온라인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에 관련된 영역(60), 즉 “함께 찍은 사진 보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중 해당 위치 근처에서 촬영된 사진을 어플리케이션(113)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연락처 정보(50)로 표시된 도 7의 “굿즈? 연락하기”를 선택하면, 단말기(100)는 연락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연락처로 전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단계(S3c)에서, 서버(200)는 제1 이미지와 매칭되는 제2 이미지(30)에 대한 온라인 오브젝트가 선택된 이후, 선택된 온라인 오브젝트에 연락처 정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락처 정보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전에 서버(200)에 제2 이미지(30)와 함께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이후,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S4)에서, 서버(200)는 온라인 오브젝트에 연결된 연락처 정보를 단말기(100)에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 표시 단계(S5)에서 단말기(100)는 제2 이미지(30)와 함께 연락처 정보로 연락 버튼 이미지(60)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연락 버튼 이미지(60)가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연락처로 전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서는 오프라인 오브젝트(10)가 컵 게리어로부터 분리 제작된 페이퍼 토이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오프라인 오브젝트(10)가 청첩장인 경우, 온라인 오브젝트에는 신랑 또는 신부의 연락처 정보가 연결 또는 결합되어, 단말기(100)에 신랑 또는 신부의 연락처 정보가 표시되고, 연락 버튼 이미지가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신랑 또는 신부의 연락처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오브젝트(10)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10)를 촬영하고, 서버(200)에서 촬영 이미지에 대한 대표 이미지가 포함된 패키지 정보인 온라인 오브젝트를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요자의 다양한 수집 욕구와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오프라인 오브젝트 100: 단말기
110: 단말기 제어부 120: 단말기 저장부
130: 카메라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위치정보 수집부 200: 서버
210: 서버 제어부 220: 서버 데이터 베이스부

Claims (10)

  1.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오브젝트를 이미지화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오프라인 오브젝트를 촬영한 제1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촬영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이미지 전송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중 상기 제1 이미지와 매칭되는 제2 이미지에 대한 패키지 정보인 온라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매칭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오브젝트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는 상기 제2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에 연결된 링크데이터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이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이미지 전송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링크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링크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데이터가 선택되고, 상기 링크데이터에 기초한 링크를 제공하는 링크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오브젝트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 대한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부분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 단계; 및
    상기 유사도 판단 단계에 의해 매칭된 상기 제2 이미지의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오브젝트는 머리 부분과 몸통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오프라인 오브젝트의 몸통 부분인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이미지들 각각의 몸통 부분에 대해 유사도 판단을 수행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전송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촬영될 때의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단계 이후,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에 상기 위치 정보를 연결하여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에 연결된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함께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중 상기 위치 정보의 위치 근처에서 촬영된 사진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단계 이후,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는 연락처 정보를 연결하여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 전송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온라인 오브젝트에 연결된 연락처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함께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이미지와 함께 상기 연락처 정보에 대한 연락 버튼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연락 버튼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연락처로 전화 연결을 수행하는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KR1020200025991A 2020-03-02 2020-03-02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KR10234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991A KR102348179B1 (ko) 2020-03-02 2020-03-02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991A KR102348179B1 (ko) 2020-03-02 2020-03-02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007A true KR20210111007A (ko) 2021-09-10
KR102348179B1 KR102348179B1 (ko) 2022-01-06

Family

ID=7777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991A KR102348179B1 (ko) 2020-03-02 2020-03-02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1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665A (ko) * 2015-06-09 2016-12-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인식 및 데이터베이스 매칭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70304732A1 (en) * 2014-11-10 2017-10-26 Lego A/S System and method for toy recognition
JP2017532672A (ja) * 2014-09-29 2017-11-0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拡張現実及び物体認識を用いた実世界物体でのコンテンツ項目の検索及び関連付けスキーム
KR101852598B1 (ko) * 2016-11-18 2018-04-26 설영석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2672A (ja) * 2014-09-29 2017-11-0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拡張現実及び物体認識を用いた実世界物体でのコンテンツ項目の検索及び関連付けスキーム
US20170304732A1 (en) * 2014-11-10 2017-10-26 Lego A/S System and method for toy recognition
KR20160144665A (ko) * 2015-06-09 2016-12-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객체 인식 및 데이터베이스 매칭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852598B1 (ko) * 2016-11-18 2018-04-26 설영석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179B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35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reating a photo-based project based on photo analysis and image metadata
US7876352B2 (en) Sporting event image capture, processing and publication
US9076069B2 (en) Registering metadata apparatus
US9418482B1 (en) Discovering visited travel destinations from a set of digital images
US9336442B2 (en) Selecting images using relationship weights
JP2017531950A (ja) 撮影テンプレートデータベースを構築し、且つ撮影推薦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5735229A (zh) 在消息收发系统中更新化身服装
KR20200091639A (ko) 3d vr 포트폴리오 기반 인테리어 업체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11521489A (ja) 近接検出に基づいてメディアを拡張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US113929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avigable path between pages of a network platform based on linking database entries of the network platform
KR101782590B1 (ko) 이미지 분석기반의 관계형 태그생성 및 추천 방법
US11680814B2 (en) Augmented reality-based translations associated with travel
US20150242405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ontext-sensitive organization of media files
KR101715708B1 (ko) 이미지 분석기반의 자동화된 관계형 태그 생성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US10762676B2 (en) Proactive creation of personalized products
US20190114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levant advertisements in pictures on real time dynamic basis
KR102348179B1 (ko)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US10860876B2 (en) Image presentation system, image presenta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422259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US20130100296A1 (en) Media content distribution
WO2019052374A1 (zh) 信息展示方法及装置
CN104978389A (zh) 方法、系统、服务器和客户端
US10552888B1 (en) System for determining resources from image data
CN113609319A (zh) 商品搜索方法、装置和设备
JP202114461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