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598B1 -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598B1
KR101852598B1 KR1020170024464A KR20170024464A KR101852598B1 KR 101852598 B1 KR101852598 B1 KR 101852598B1 KR 1020170024464 A KR1020170024464 A KR 1020170024464A KR 20170024464 A KR20170024464 A KR 20170024464A KR 101852598 B1 KR101852598 B1 KR 101852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search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영석
Original Assignee
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영석 filed Critical 설영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F17/30047
    • G06F17/30247
    • G06F17/3086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서버에 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사물 관련 정보를 기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물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물 인식만으로 상품의 검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데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고,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요청한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 받으면,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SYSTEM FOR SEARCHING PRODUCT USING OBJECT RECOGNI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웹 상에서 얻으려는 정보에 쉽게 접근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검색 사이트에서는 메인 페이지상의 임의로 구분된 카테고리를 통하지 않고 검색 창을 이용하여 정보를 검색할 경우, 웹 페이지에 검색주제와 상관없는 다수의 배너광고를 링크하고 있으며, 검색된 결과들도 단순한 자료의 나열에 그치고 만다.
또한, 인터넷 웹 상에서 상품을 검색 시 상품의 기본 정보를 토대로 텍스트 및 음성으로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상품을 인터넷 웹 상에서 검색하려면 상품명이나 최소한의 기본적인 상품정보를 알아야 검색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47255호 (공고: 2015.08.25) 공개특허공보 특2001-0084487 (공개: 2001.09.06)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서버에 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사물 관련 정보를 기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물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물 인식만으로 상품의 검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고,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요청한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 받으면,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품 이미지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에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상품 검색 요청부;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 받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리스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 및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와 상기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와 함께 표시되며, 이전에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검색 내역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품 이미지 또는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특정하기 위한 검색 영역을 지정하는 검색 영역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될 상품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카메라 뷰; 및 상기 카메라 뷰를 통해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는,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의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전송된 상품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리스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품 이미지를 재 촬영하기 위한 재 촬영 버튼부; 및 상기 재 촬영 버튼부를 통해 촬영된 상품 이미지를 상기 서버에 재 전송하기 위한 재 전송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내역 버튼부가 선택되는 경우, 이전에 검색된 상품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 내역 출력부; 이전에 검색된 상품 이미지의 총 개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 개수 정보 출력부; 및 이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이전 실행 화면 버튼부가 표시되고, 상기 검색 이미지 내역 출력부를 통해 이전에 검색된 상품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팝업 창이 출력되고, 상기 팝업 창은, 이전에 검색된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 동일한 상품 이미지로 재 검색하기 위한 재 검색 버튼부; 해당 검색 결과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부; 및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검색 결과를 SNS에 등록하기 위한 SNS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는,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의 검색 요청에 사용될 상품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중 제1 영역 상에 표시하기 위한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리스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 상에 표시하기 위한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3 영역 상에 표시되고, 특정 웹 사이트로의 접속, 상기 웹 사이트 내 관련 상품의 추가 검색 및 해당 상품의 재 검색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는, 해당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리스트 블록; 및 유사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리스트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스트 블록 내에는 검색된 해당 상품 이미지, 상품명 및 상품 간략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리스트 블록 내에는 검색된 유사 상품 이미지, 상품명 및 상품 간략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고, 상기 상품 간략 정보는 해시태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웹 사이트로 접속하기 위한 홈 페이지 접속부; 상기 웹 사이트 내에 관련 상품에 대한 키워드 검색 또는 게시글 검색을 위한 키워드 검색부; 및 해당 상품의 재 검색을 위한 재 검색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 검색 실행부를 선택하는 경우, 촬영 모드를 실행하거나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를 불러 오기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등록 받기 위한 정보 등록부;
상기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객체의 분류에 대한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기계 학습부; 상기 기계 학습부의 기계학습을 통해 분류된 객체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 받고, 피처 매칭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해당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제공하기 위한 검색 엔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서버에 다른 사용자가 등록한 사물 관련 정보를 기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물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물 인식만으로 상품의 검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이미지에서 검색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 검색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구성과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이미지 매칭 방식과 학습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이미지를 찾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상품 검색 요청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검색 내역 버튼부의 선택 시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검색 이미지 선택 시 표시되는 팝업 창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검색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이미지에서 검색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 검색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구성과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이미지 매칭 방식과 학습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이미지를 찾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1000)은 어플리케이션(1100)과 서버(1200)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고,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정보 검색을 웹 사이트(20)를 통해 서버(1200)로 요청하고, 요청한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서버(1200)로부터 전달 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유/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1100)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웹 카메라가 구비되고 어플리케이션(1100)의 설치가 가능하다면 데스크 탑 PC(desktop PC)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이 데스크 탑의 경우 어플리케이션(1100)은 모바일 버전이 아닌 웹 브라우저나 특정 응용 프로그램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100)은 상품 검색 요청부(1110), 검색 영역 선택부(1120) 및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1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1110)는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품 이미지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서버(1200)에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1110)는 사용자 단말(110)의 카메라와 연동하여 상품(1)을 촬영하고 대상물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1)은 사용자가 해당 상품(1)에 대한 정보를 전혀 알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가방인 것은 인지하고 있으나 어느 브랜드인지, 가격이 얼마인지, 비슷한 스타일의 유사 상품이 있는지, 관련된 다른 상품들이 있는지에 관한 상품 정보를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의 대상물인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1110)는 예를 들어 촬영 명령, 사진 바로 적용, 사진 저장, 사진 불러오기, 검색 요청 기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촬영 명령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 또는 사물(이하 대상물이라고 함)에 대하여 검색하고자 할 경우 해당 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활성화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사진 바로 적용 인터페이스는 촬영 명령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촬영된 대상물 촬영 이미지 검색을 위한 데이터로 바로 적용할 것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촬영 명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대상물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면, 생성된 촬영 이미지를 검색어로서 바로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진 저장 인터페이스는 촬영 명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대상물 촬영 이미지를 바로 이용하지 않고 추후에 이용하고자 할 경우 어플리케이션(1100)에 의해 할당된 사용자 단말(100)의 메모리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사진 불러오기 인터페이스는 사진 저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저장된 대상물 촬영 이미지를 검색어로서 이용하고자 할 경우 원하는 이미지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검색 요청 인터페이스는 사진 불러오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딩된 이미지 파일들을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영역 선택부(11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품 이미지 또는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특정하기 위한 검색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영역 선택부(1120)는 촬영 이미지 내에서 배경적인 요소와 주체적인 요소를 구분하여 주체적인 요소를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물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이미지에서 다수의 객체(사람, 나무, 옷, 가방 등)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버(1200)가 해당 촬영 이미지에서 무엇을 검색해야 하는지 특정하여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서버(1200)가 촬영 이미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검색 영역 선택부(1120)를 통해 다수의 객체 중 하나를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물로서 지정할 수 있다. 검색 영역을 지정하는 방식은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10)을 통해 출력되는 촬영 이미지에서 드래그 방식으로 대상물이 포함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검색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서버(1200)는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바탕으로 객체 분류에 대한 기계 학습이 되어 있으므로, 촬영 이미지 내에서 학습된 객체에 대한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저장된 이미지와의 피처 매칭을 통해 대상물을 분류 및 인식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검색 영역 선택부(1120)의 사용을 생략할 수도 있다. 다만, 가령 사용자가 어떠한 가방이라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촬영을 했을 때, 해당 촬영 이미지에 원치 않은 다른 상품의 가방이나 기타 다양한 사물들이 복잡하게 얽힌 상태로 포함되어 촬영될 경우, 검색할 대상물을 특정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검색 영역 선택부(1120)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대상물만을 촬영 이미지에 담기도록 촬영하여 검색 요청을 할 수 있으나, 제3자가 소지한 물품을 찍는 상황 등 촬영 환경에 대한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상황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검색 영역 선택부(1120)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1110)는 촬영된 상품 이미지나 사용자 단말(100)의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 또는 해당 상품 이미지에서 검색 영역 선택부(1120)를 통해 대상물이 지정된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웹 사이트(20)를 통해 서버(1200)에 접속하여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1130)는 서버(1200)로부터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 받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리스트화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1130)는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1131),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113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1131)는 상품 검색 요청부(1110)의 검색 요청에 사용될 상품 이미지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10) 중 제1 영역(1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11)은 상품 검색 요청부(1110)를 이용한 촬영 모드 시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외부 환경이 실시간 표시될 수 있으며, 촬영 명령 시 촬영된 정지 이미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영역(11)은 상품 검색 요청부(1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기 저장된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역(11)은 상품 검색에 사용될 이미지 촬영 및 이미지 선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역(11)은 화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에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11)의 배치 구성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1132)는 서버(1200)로부터 제공 받은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리스트화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10) 중 제2 영역(1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12)은 화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 영역에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영역(12)의 배치 구성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영역(12)에는 제1 리스트 블록(1132a)과 제2 리스트 블록(1132b)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역(12)은 상품 검색 결과가 제공되기 이전에는 화면(10) 상에 표시되지 않으며, 그 상태에서는 화면(10) 상에 제1 영역(11)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3 영역(13)도 하단에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리스트 블록(1132a)은 해당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리스트 블록(1132a) 내에는 검색된 해당 상품 이미지(A1), 상품명(또는 해당 상품 관련 게시글의 제목)(B1), 및 관련 상품 정보(C1)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해당 상품 이미지(A1)는 검색 결과의 메인 정보로서 사용자가 요청한 상품 이미지로 인식된 서버(1200)에 기 등록되어 있는 상품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해당 상품 이미지(A1)를 통해 원하는 상품에 대한 검색 결과가 정확한지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다.
상기 상품명(또는 해당 상품 관련 게시글의 제목)(B1)은 해당 상품에 대한 정식 명칭에 대한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해당 상품 이미지(A1)나 상품명(해당 상품 관련 게시글의 제목)(B1)을 선택하는 경우 웹 사이트(20)로 이동하여 해당 상품의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20)는 서버(1200)의 본 시스템(1000)의 홈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품 검색, 구매, 결제, 관련 게시글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간략 정보(C1)는 해당 상품 특징과 연관된 검색어와 같은 키워드를 제공하며, 해시태그(Hash tag)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간략 정보(C1)은 '내셔널 지오그래픽 NG 2345'(B1)라는 이름의 상품과 관련된 '카메라용', '가방', '솔더형', '탈부착 칸막이', '지퍼형 잠금'과 같은 해당 상품의 연관 특징들을 해시태그와 같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해당 해시태그를 선택하는 경우 웹 페이지(20)로 이동하여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상품 검색, 구매, 결제, 관련 게시글 열람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스트 블록(1132b)은 유사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리스트 블록(1132b) 내에는 검색된 해당 상품과 유사한 상품 이미지(A2), 상품명(또는 해당 상품 관련 게시글의 제목)(B2), 및 관련 상품 정보(C2)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유사 상품 이미지(A2)는 검색 결과의 서브 정보로서 서버(1200)에 기 등록되어 있는 상품 이미지 중 사용자가 요청한 상품 이미지와 유사한 상품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상품명(또는 해당 상품 관련 게시글의 제목)(B2)은 유사 상품에 대한 정식 명칭에 대한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유사 상품 이미지(A2)나 상품명(해당 상품 관련 게시글의 제목)(B2)을 선택하는 경우 웹 페이지(20)로 이동하여 해당 유사 상품의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간략 정보(C2)는 해당 상품 특징과 연관된 검색어와 같은 키워드를 제공하며, 해시태그(Hash tag)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간략 정보(C2)은 '내셔널 지오그래픽 NG 2476'(B2)라는 이름의 유사 상품과 관련된 '카메라용', '가방', '솔더형', '노트북 수납 가능', '탈부착 칸막이'와 같은 해당 유사 상품의 연관 특징들을 해시태그와 같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해당 해시태그를 선택하는 경우 웹 페이지(20)로 이동하여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상품 검색, 구매, 결제, 관련 게시글 열람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33)는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 사이의 제3 영역(13) 상에 표시되고, 특정 웹 사이트(20)로의 접속, 웹 사이트(20) 내 관련 상품의 추가 검색 및 해당 상품의 재 검색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33)는 홈 페이지 접속부(1133a), 키워드 검색부(1133b) 및 재 검색 실행부(1133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페이지 접속부(1133a)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20)로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20)는 서버(1200)의 본 시스템(1000)의 홈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품 검색, 구매, 결제, 관련 게시글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검색부(1133b)는 웹 사이트(20) 내에 관련 상품에 대한 키워드 검색 또는 게시글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키워드 검색부(1133b)는 웹 사이트(20)로 페이지 이동을 하지 않고도 본 실시예의 어플리케이션(1100)을 통해 직접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검색 결과는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1130)를 통해서 출력되거나, 별도의 웹 페이지와 연동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재 검색 실행부(1133c)는 해당 상품의 재 검색 시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해당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3 영역(13)을 구성하는 레이어가 화면(10)의 최하단으로 내려가고, 상품 검색 요청부를 활성화시켜 촬영 모드가 실행되거나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를 불러 오기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서버(1200)는 어플리케이션(1100)으로부터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 받으면,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어플리케이션(1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200)는 정보 등록부(1210), 기계 학습부(1220), 데이터베이스부(1230) 및 검색 엔진부(1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등록부(1210)는 웹 사이트(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서버(1200)에 각종 유익한 정보를 등록하는 자를 의미하며, 각종 유익한 정보는 다양한 종류의 사물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식물, 동물, 기기, 장비 등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등록부(1210)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최초 등록하고자 할 경우 회원가입 및 로그인 절차를 거칠 수 있다. 회원가입 시 사용자 정보가 등록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에는 입금 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입금 계좌는 사용자에게 정보 등록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1100)으로 제공되는 정보가 해당 사용자가 등록한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정보와 함께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수익의 일부를 보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현금 이체를 통해 광고 수익의 일부를 분배할 수 있으나, 웹 사이트(20)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또는 사이버 머니와 같은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인트 또는 사이버 머니는 웹 사이트(20)와 연동하여 운영되는 쇼핑몰에서 상품 구매 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계 학습부(1220)는 정보 등록부(1210)를 통해 등록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물의 분류에 대한 기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계 학습부(1220)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이용하여 객체의 분류를 학습한 후 데이터베이스부(1230)에 저장하고, 검색 엔진부(1240)와 연동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관련된 분류를 데이터베이스부(1230)에서 학습된 관련 정보를 찾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30)는 기계 학습부(1220)를 통해 학습된 대상물(또는 객체)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대상물의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다는 것은 상품의 카테고리, 디자인이나 구조, 브랜드 등 다양한 분류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저장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엔진부(1240)는 어플리케이션(1100)으로부터 대상물의 정보 검색을 요청 받고, 피처 매칭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30)로부터 해당 대상물의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 엔진부(1240)는 기계 학습부(122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분류 및 인지하고, 피처 매칭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30)로부터 해당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피처 매칭 방식은 기계 학습이 가능한 FERNs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계 학습은 예를 들어 버클리대학의 카페(Caffe)에서 공개한 딥 러닝 솔루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서버(1200)의 동작 구성과 그 순서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버(1200)는 일반 개인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상품 또는 특정 객체에 대한 자료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1). 물론, 본 시스템(1000)의 관리자도 다양한 상품과 특정 객체들에 대한 자료나 정보를 서버(1200)에 지속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S3). 일반 개인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자료나 정보가 등록될 때, 해당 자료나 정보에 광고 콘텐츠가 자동으로 매칭되어 삽입될 수 있다(S3). 광고 콘텐츠가 해당 자료나 정보에 최초 지정되는 경우 별도의 매칭 기준을 없으나 많이 검색되는 자료나 정보를 파악하여 검색 횟수에 따라 광고료가 높은 광고 콘텐츠가 재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서버(1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개인 사용자나 관리자로부터 다양한 자료나 정보를 등록 받으면(S1, S2), 해당 자료나 정보의 분류에 대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한 후, 분류된 자료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4). 좀 더 구체적으로, 등록되는 자료나 정보가 가방인 경우, 해당 대상물이 가방임을 1차적으로 분류한 후 해당 가방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한 후, 해당 특징 정보 별로 해당 자료나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내셔널 지오그래픽 NG2345'의 경우, 우선 가방임을 인지한 후 해당 가방의 손잡이, 주머니, 지퍼, 고리, 전체적인 모양이나 형태, 색상 등과 관련된 세부적인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들을 기반으로 해당 가방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를 학습할 수 있다.
상기 서버(1200)는 사용자에 의해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정보 검색 요청을 받으면(S5),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이미지 내의 객체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여 1차적인 분류를 실행할 수 있다(S6). 여기서 1차적인 분류는 해당 객체에 대한 카테고리에 대한 분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객체가 가방인지, 옷인지 또는 신발인지를 분류할 수 있다. 이렇게 분류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매칭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피처 매칭을 이용하여 기 등록된 이미지와의 매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8). 이러한 경우, 보다 상세한 특징점 비교를 통한 피처 매칭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제공한 객체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상품 이미지를 찾아서 검색된 정보를 반환할 수 있다(S9).
상기 서버(1200)는 검색된 상품 정보를 웹 또는 푸시 서버와 같은 응용 서버의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S10).
사용자는 서버(1200)로부터 전달받은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110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상품 정보와 함께 해당 정보와 매칭된 관련 광고 콘텐츠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이미지 매칭 방식과 학습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물 이미지를 찾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엔진부(1240)는 사용자가 제공한 촬영 이미지 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계 학습부(1220)를 통해 학습된 객체 이미지의 특징점과의 피처 매칭 과정을 수행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즉, 특징점이 가장 많이 추출된 객체 이미지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촬영 이미지 내 객체 즉, 가방과 비교하여 가방에 로고나 텍스트 등이 추가된 경우로, 도 7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공한 촬영 이미지 내의 로고나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특징점을 추가로 추출(특징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계 학습부(1220)를 통해 학습된 객체 이미지의 특징점과의 피처 매칭 과정을 수행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즉, 특징점이 가장 많이 추출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9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촬영 이미지와 다른 각도에서 해당 객체를 촬영한 것으로, 대상물에 대한 촬영 각도가 상이하더라도 특징점을 기반으로 학습된 각체 이미지와의 피처 매칭을 수행하여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촬영 이미지에서 대상물의 이미지가 차지하는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더 많은 특징점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정확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어플리케이션(1100)의 검색 영역 선택부(1120)를 통한 대상물의 이미지 영역을 지정하거나, 딥 러닝에 기반하여 특정 객체의 이미지에 대한 기계 학습을 수행함에 따라, 촬영 이미지에서 대상물의 이미지 크기가 작더라도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쉽게 특정될 수 있으므로, 대상물의 이미지 촬영에 대한 제약적 요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 엔진부(1240)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해당 정보와 매칭된 광고 콘텐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100)을 통해 검색 결과를 확인하는 경우 해당 대상물 정보와 함께 광고 콘텐츠가 함께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20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고 콘텐츠 등록부, 광고 및 정보 콘텐츠 매칭부, 검색 횟수 파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 콘텐츠 등록부는 웹 사이트(20)를 통해 광고주부터 각종 광고 콘텐츠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여기서 광고주는 서버(1200)에 각종 광고 콘텐츠를 등록하는 자를 의미하며, 광고 콘텐츠는 광고 이미지나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 광고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 등록부는 광고주가 광고 콘텐츠를 최초 등록하고자 할 경우 광고 콘텐츠의 종류나 특정 사항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광고료를 각각 납부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 D, E라는 광고 콘텐츠가 있다고 가정하면, 콘텐츠 A는 10만원, B는 20만원, C는 30만원, D는 40만원, E는 50만원과 같이 각기 다른 광고료가 책정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콘텐츠 등록부는 광고주가 광고 콘텐츠를 최초 등록하고자 할 경우 등록할 광고 콘텐츠 노출에 따른 광고료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료는 회당 100원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2)가 등록한 정보와 함께 다른 사용자들에게 10회 노출되었다고 가정하면, 총 1000원이 결제될 수 있다. 이렇게 결제된 1000원 중 일부는 각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현금 또는 그에 상응하는 포인트나 사이버 머니 등으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고 및 정보 콘텐츠 매칭부는 정보 등록부(1210)를 통해 등록된 정보에 광고 콘텐츠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광고 콘텐츠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30)에 저장할 수 있다. 광고 및 정보 콘텐츠 매칭부는 각 정보에 광고 콘텐츠를 최초로 삽입하는 경우 임의로 매칭하여 정보와 광고 콘텐츠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되는 정보와 광고 콘텐츠 순으로 서로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부(12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및 정보 콘텐츠 매칭부는 많이 검색되는 정보에 광고료가 높은 광고 콘텐츠가 삽입되도록 등록 정보와 광고 콘텐츠 간의 매칭을 변경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부(1230)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검색 횟수 파악부는 데이터베이스부(1230)에 저장된 정보를 대상으로 검색 엔진부(1240)를 통해 검색되는 횟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 D, E라는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230)에 저장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1100)의 검색 요청에 따라 정보 A는 총 10회, 정보 B는 총 1회, 정보 C는 총 20회, 정보 D는 총 0회, 정보 E는 총 6회라는 검색 횟수를 파악할 수 있다. 검색 횟수는 주기적으로 리셋될 수 있으며 리셋되는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실시간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 횟수 파악부는 각각의 정보가 얼마나 많이 검색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파악된 검색 횟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230)에 저장된 정보와 광고 콘텐츠 간의 매칭 변경을 위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상품 검색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상품 검색 요청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검색 내역 버튼부의 선택 시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검색 이미지 선택 시 표시되는 팝업 창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상품 검색 시스템은 상품 검색 요청부(1110'),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1130'), 검색 내역 버튼부(1140) 및 팝업 창(1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상품 검색 시스템은 본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품 검색 요청부(1110)와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1120)의 UI(User Interface)에 대한 기능 구성에 대한 변형이 적용되며, 검색 내역 버튼부(1140)와 검색 내역 버튼부(1140)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검색 내역 제공 관련 UI, 그에 따라 팝업 창(1150)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1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뷰(1111')와 촬영 버튼부(1112')를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뷰(1111')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될 상품 이미지 즉 인식 대상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뷰(1111')는 상품 검색 요청부(111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촬영 버튼부(1112')는 카메라 뷰(1111')를 통해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뷰(1111')를 통해 화면 상에 상품 이미지가 위치되면 촬영 버튼부(1112')를 선택할 경우 해당 상품 이미지가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버튼부(1112')를 통해 상품 이미지가 촬영됨과 동시에 해당 상품 이미지가 서버(1200)가 전송되거나, 별도의 전송 버튼을 구비하고, 해당 전송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상품 이미지에 대한 상품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11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1131'),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1132'), 재 촬영 버튼부(1133') 및 재 전송 버튼부(1134)를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1131')는 상품 검색 요청부의 검색 요청에 따라 서버(1200)에 전송된 상품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1132')는 서버(1200)로부터 제공 받은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리스트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결과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품 등록 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해당 웹 페이지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재 촬영 버튼부(1133')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품 이미지를 재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재 촬영 버튼(1133')을 선택하여 인식 대상물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다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재 전송 버튼부(1134)는 재 촬영 버튼부(1133')를 통해 촬영된 상품 이미지를 서버(1200)에 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검색 내역 버튼부(1140)는 이전에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검색 요청부(1110')와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1130')를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품 검색 요청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이나 상품 검색 결과를 확인 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내역 버튼부(1140)가 선택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이미지 내역 출력부(1141), 검색 개수 정보 출력부(1142) 및 이전 실행 화면 버튼부(1143)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검색 이미지 내역 출력부(1141)는 이전에 검색된 다양한 상품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는 미리 보기 형태의 파일로 표시되며 선택 가능하다.
상기 검색 개수 정보 출력부(1142)는 이전에 검색된 상품 이미지의 총 개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검색 이미지 내역 출력부(1141)를 통해 표시되는 검색 상품 이미지의 총 개수를 수치화하여 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전 실행 화면 버튼부(1143)는 선택 시 이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화면에서 검색 결과 출력 화면으로 온 경우 촬영 모드로 되돌아 갈 수 있고, 검색 결과 출력 화면에서 온 경우 다시 검색 결과 출력 화면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한편, 검색 이미지 내역 출력부(1141)를 통해 이전에 검색된 상품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창(1150)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팝업 창(1150)은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1151), 재 검색 버튼부(1152), 삭제 버튼부(1153) 및 SNS 연동부(1154)를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1151)는 이전에 검색된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한 상품 이미지,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 리스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재 검색 버튼부(1152)는 동일한 상품 이미지로 재 검색할 수 있다. 즉,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1151)를 통해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로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을 다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삭제 버튼부(1153)는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1151)를 통해 표시되는 상품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즉, 현재 팝업 창(1150)을 통해 표시되는 이전 검색 결과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상기 SNS 연동부(1154)는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1151)를 통해 제공되는 상품 정보를 사용자 자신의 계정의 SNS에 등록할 수 있다.
기존에 나와 있는 카메라와 이미지를 이용한 상품 검색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모든 사이트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자료 검색 시 속도가 느리며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인이 등록하는 모델로서 본인 회사의 사이트에서만 검색이 되므로 속도가 빠르며, 특정 사물군으로만 한정하여 검색이 되므로 보다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스마트폰 카메라로 사물을 인식하여 하나의 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매치하여 관련 정보를 다시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퇴근길에 마음에 드는 타인의 가방을 봤는데, 어떤 브랜드이고, 가격이 얼마인지 등 해당 가방에 대한 정보 알고자 한다면,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카메라로 식물을 찍으면 관련 정보를 하나의 서버에서 찾아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장점은 사물에 관한 어떠한 정보를 모를지라도 신속하게 관련 정보의 습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물에 관한 어떠한 정보를 모른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사물 관련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상품 검색 시스템 1100: 어플리케이션
1110: 상품 검색 요청부 1120: 검색 영역 선택부
1130: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 1131: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
1132: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 1132a: 제1 리스트 블록
1132b: 제2 리스트 블록 113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33a: 홈 페이지 접속부 1133b: 키워드 검색부
1110': 상품 검색 요청부 1111': 카메라 뷰
1112': 촬영 버튼부 1130':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
1131':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 1132':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
1133': 재 촬영 버튼부 1134': 재 전송 버튼부
1140: 검색 내역 버튼부 1141: 검색 이미지 내역 출력부
1142: 검색 개수 정보 출력부 1143: 이전 실행 화면 버튼부
1150: 팝업 창 1151: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
1152: 재 검색 버튼부 1153: 삭제 버튼부
1154: SNS 연동부 1133c: 재 검색 실행부
1200: 서버 1210: 정보 등록부
1220: 기계 학습부 1230: 데이터베이스부
1240: 검색 엔진부 100: 사용자 단말
10: 화면 11: 제1 영역
12: 제2 영역 13: 제3 영역
20: 웹 사이트(홈 페이지) A1: 해당 상품 이미지
A2: 유사 상품 이미지
B1, B2: 상품명 또는 해당 상품 관련 게시글의 제목
C1, C2: 관련 상품 정보(해시태그)

Claims (8)

  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고,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요청한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 받으면,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이전에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 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검색 내역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내역 제공부는,
    이전에 검색된 상품 이미지를 미리 보기 형태의 파일로 표시하기 위한 검색 이미지 내역 출력부; 및
    이전에 검색된 상품 이미지의 총 개수 정보를 수치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검색 개수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이미지 내역 출력부를 통해 이전에 검색된 상품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팝업 창이 출력되고,
    상기 팝업 창은,
    이전에 검색된 상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
    동일한 상품 이미지로 재 검색하기 위한 재 검색 버튼부;
    해당 검색 결과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부; 및
    상기 이전 검색 결과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검색 결과를 SNS에 등록하기 위한 SNS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등록 받기 위한 정보 등록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정보 검색을 요청 받아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기 위한 검색 엔진부;
    웹 사이트를 통해 광고주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등록 받되, 광고 콘텐츠의 최초 등록 시 해당 광고 콘텐츠의 종류 및 특정 사항에 따라 미리 설정된 광고료를 각각 납부 받아 등록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광고료를 각각 책정하는 광고 콘텐츠 등록부;
    상기 광고 콘텐츠 등록부를 통해 최초 등록된 광고 콘텐츠와 상기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되는 정보를 매칭하되, 최초 매칭의 경우 상기 정보 등록부의 정보 등록 순서와 상기 광고 콘텐츠 등록부의 광고 콘텐츠 등록 순서에 따라 해당 정보에 광고 콘텐츠를 자동으로 매칭시켜 삽입하는 광고 및 정보 콘텐츠 매칭부; 및
    상기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검색 엔진부를 통해 검색되는 횟수를 주기적으로 파악하는 검색 횟수 파악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및 정보 콘텐츠 매칭부는, 상기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정보에 대한 검색 횟수를 각각 파악하고, 상기 검색 횟수 파악부를 통해 파악된 각 정보의 검색 횟수에 따라 해당 정보의 사용자 검색 횟수가 높을수록 광고료가 높게 책정된 광고 콘텐츠를 재 매칭시키고, 사용자의 검색 횟수가 낮을수록 광고료가 낮게 책정된 광고 콘텐츠를 재 매칭시키고,
    상기 검색 엔진부는 검색된 정보 및 해당 정보와 매칭된 광고 콘텐츠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에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하기 위한 상품 검색 요청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 받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리스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 내역 버튼부는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와 상기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품 이미지 또는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특정하기 위한 검색 영역을 지정하는 검색 영역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될 상품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카메라 뷰; 및
    상기 카메라 뷰를 통해 표시되는 상품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는,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의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에 전송된 상품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리스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상품 이미지를 재 촬영하기 위한 재 촬영 버튼부; 및
    상기 재 촬영 버튼부를 통해 촬영된 상품 이미지를 상기 서버에 재 전송하기 위한 재 전송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내역 버튼부는, 이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이전 실행 화면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검색 결과 출력부는,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의 검색 요청에 사용될 상품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중 제1 영역 상에 표시하기 위한 검색 요청 상품 이미지 표시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해당 상품 정보, 유사 상품 정보 및 관련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리스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 상에 표시하기 위한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3 영역 상에 표시되고, 특정 웹 사이트로의 접속, 상기 웹 사이트 내 관련 상품의 추가 검색 및 해당 상품의 재 검색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 표시부는,
    해당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리스트 블록; 및
    유사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리스트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스트 블록 내에는 검색된 해당 상품 이미지, 상품명 및 상품 간략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리스트 블록 내에는 검색된 유사 상품 이미지, 상품명 및 상품 간략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고,
    상기 상품 간략 정보는 해시태그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웹 사이트로 접속하기 위한 홈 페이지 접속부;
    상기 웹 사이트 내에 관련 상품에 대한 키워드 검색 또는 게시글 검색을 위한 키워드 검색부; 및
    해당 상품의 재 검색을 위한 재 검색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 검색 실행부를 선택하는 경우, 촬영 모드를 실행하거나 기 저장된 상품 이미지를 불러 오기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상품 검색 요청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객체의 분류에 대한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기계 학습부; 및
    상기 기계 학습부의 기계학습을 통해 분류된 객체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 엔진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품 정보 검색을 요청 받은 이미지 내의 객체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객체의 이미지 정보의 특징점 간을 비교하는 피처 매칭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해당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KR1020170024464A 2016-11-18 2017-02-24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KR101852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71 2016-11-18
KR20160154171 2016-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598B1 true KR101852598B1 (ko) 2018-04-26

Family

ID=6208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64A KR101852598B1 (ko) 2016-11-18 2017-02-24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59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411B1 (ko) * 2018-09-07 2019-08-05 대한민국 언어재활을 위한 이미지 콘텐츠 제작 방법
WO2020138656A1 (ko)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딥엑스 상품 별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KR20200103182A (ko) 2019-02-14 2020-09-0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유사상품 제공방법
KR102190315B1 (ko) 2020-01-07 2020-12-11 주식회사 에이아이스튜디오 제품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판매 시스템
KR102284676B1 (ko) * 2021-02-02 2021-08-03 주식회사 문구야놀자 라벨 단말을 이용한 상품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11007A (ko) * 2020-03-02 2021-09-10 손준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WO2021261686A1 (ko) * 2020-06-25 2021-12-30 주식회사 딥엑스 휴대인공신경망장치
KR20220026880A (ko) 2020-08-26 2022-03-07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이미지 기반 상품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36768A (ko) 2020-09-16 2022-03-23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이미지 복원에 기반한 상품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41319A (ko) 2020-09-25 2022-04-01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상품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6730A (ko) 2021-02-15 2022-08-23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이미지 복원 기반 상품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8095A (ko) 2021-02-18 2022-08-25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의 의류 가상 착용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411B1 (ko) * 2018-09-07 2019-08-05 대한민국 언어재활을 위한 이미지 콘텐츠 제작 방법
WO2020138656A1 (ko) *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딥엑스 상품 별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KR20200087332A (ko) * 2018-12-28 2020-07-21 주식회사 딥엑스 상품 별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KR102151006B1 (ko) * 2018-12-28 2020-09-02 주식회사 딥엑스 상품 별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CN113316799A (zh) * 2018-12-28 2021-08-27 蒂普爱可斯有限公司 按单个产品提供购物信息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电子设备
KR20200103182A (ko) 2019-02-14 2020-09-0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유사상품 제공방법
US11544759B2 (en) 2019-02-14 2023-01-03 Nhn Cloud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ilar or related products based on deep-learning
KR102190315B1 (ko) 2020-01-07 2020-12-11 주식회사 에이아이스튜디오 제품 식별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판매 시스템
KR20210111007A (ko) * 2020-03-02 2021-09-10 손준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KR102348179B1 (ko) * 2020-03-02 2022-01-06 손준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저장 방법
WO2021261686A1 (ko) * 2020-06-25 2021-12-30 주식회사 딥엑스 휴대인공신경망장치
KR20220026880A (ko) 2020-08-26 2022-03-07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이미지 기반 상품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36768A (ko) 2020-09-16 2022-03-23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이미지 복원에 기반한 상품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2467010B1 (ko) 2020-09-16 2022-11-14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이미지 복원에 기반한 상품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41319A (ko) 2020-09-25 2022-04-01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상품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2284676B1 (ko) * 2021-02-02 2021-08-03 주식회사 문구야놀자 라벨 단말을 이용한 상품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16730A (ko) 2021-02-15 2022-08-23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이미지 복원 기반 상품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8095A (ko) 2021-02-18 2022-08-25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의 의류 가상 착용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598B1 (ko) 사물 인식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KR101511050B1 (ko)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표시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697558B2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said program
CN104239408B (zh) 基于由移动设备记录的图像的内容的数据访问
US20180197220A1 (en) System and method of image-based product genre identification
CN103369049B (zh) 移动终端和服务器交互方法及其系统
US201300516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s along with augmented reality data
US201500261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retail shopping experience online
US200700817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images with recognition analysis
CN107122380A (zh) 增强实时视图的计算机实施方法和计算机系统
JP5395920B2 (ja) 検索装置、検索方法、検索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BRPI0614864A2 (pt) uso de informação derivada de imagem como critérios de busca para internet e outros agentes de busca
US2017013268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search information
US20160337275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user reviews
KR102674189B1 (ko) 오프라인 경험을 반영한 온라인 트랜잭션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CN105022773B (zh) 包括图像优先级的图像处理系统
CN105005982B (zh) 包括对象选择的图像处理
CN110352427A (zh) 用于收集与网络化环境中的欺诈性内容相关联的数据的系统和方法
KR20160128191A (ko) 정보 검색방법과 정보 검색장치
CN105183739B (zh) 图像处理方法
US20180074671A1 (en) Minimally invasive user metadata
US9569465B2 (en) Image processing
KR20170013369A (ko) 검색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7033157A (ja)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商品情報提供方法、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管理サーバ
JPWO2007004521A1 (ja) マーカ特定装置及びマーカ特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