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859A - 유동이 개선된 충전 열가소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동이 개선된 충전 열가소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859A
KR20210110859A KR1020217024331A KR20217024331A KR20210110859A KR 20210110859 A KR20210110859 A KR 20210110859A KR 1020217024331 A KR1020217024331 A KR 1020217024331A KR 20217024331 A KR20217024331 A KR 20217024331A KR 20210110859 A KR20210110859 A KR 2021011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
thermoplastic
polyphthalamid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청 꾸오
야친 짱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피피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피피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피피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1011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열가소성 조성물은 다음: (a) 지방족 폴리아미드(PA), 폴리프탈아미드(PPA),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제1 열가소성 중합체; (b)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 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카보네이트(PC),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제2 열가소성 중합체; 및 (c)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충전제 성분;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체적 유동률(MVR)보다 약 10% 이상 더 높은 MVR을 가지거나; 또는 ISO11443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점도(MV)보다 20% 이상 더 낮은 MV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동이 개선된 충전 열가소성 조성물
본 개시내용은 폴리아미드(PA) 및/또는 폴리프탈아미드(PPA) 및 충전제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열가소성 조성물의 유동성은 개선되었다.
높은 충전제 로딩된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유동은 충전제 로딩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상당히 떨어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일부 응용 분야에 필요한 금형을 채우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것은 얇은 벽 금형 도구로 특히 어려울 수 있다. 유동 촉진제를 추가하여 용융 유동(melt flow)을 개선할 수 있지만 너무 많은 유동 촉진제를 추가하면, 기본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화성 부족으로 인해 성형 중에 금형 또는 부품 표면에 도금이 될 수 있다. 또한, 충전제 로딩이 높은 조성물의 컴파운딩은 높은 토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컴파운딩 속도를 늦추고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전제 로딩이 높은 조성물의 유동을 개선하기 위한 한 가지 해결법은 기본 매트릭스로서 저점도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낮은 점도는 일반적으로 저분자량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결점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의해 다루어진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다음: (a) 지방족 폴리아미드(PA), 폴리프탈아미드(PPA),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제1 열가소성 중합체; (b)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 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카보네이트(PC),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제2 열가소성 중합체; 및 (c)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충전제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과 관련된다. 조성물은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체적 유동률(melt volume rate; MVR)보다 약 10% 이상 더 높은 MVR을 가지거나; 또는 ISO11443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점도(MV)보다 20% 이상 더 낮은 MV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은 개시내용의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이에 포함된 실시예를 참조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화합물, 조성물, 물품, 시스템, 장치, 및/또는 방법이 개시되고 기재되기 전에, 이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특별한 합성 방법, 또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시약에 제한되지 않으며, 물론 이와 같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양태만을 기재하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요소의 다양한 조합, 예를 들어, 동일한 독립항에 의존하는 종속항의 요소의 조합이 본 개시내용에 포함된다.
더욱이,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제시된 임의의 방법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그 단계를 명시된 순서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해석되지 않게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법 청구항이 실제로 그 단계를 따라야 하는 순서를 언급하지 않거나 또는 단계가 특별한 순서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것이 청구범위 또는 설명에서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경우, 임의의 양태에서 순서가 추론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는 다음을 포함하여 해석에 대한 임의의 가능한 비표현적 근거를 유지한다: 단계 또는 운영 흐름의 배열과 관련된 논리적 문제; 문법적 구성 또는 구두점에서 유래된 일반적 의미; 및 명세서에 기재된 구현예의 수 또는 유형.
본원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은 간행물이 인용된 것과 관련하여 방법 및/또는 재료를 개시하고 기재하기 위한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다.
정의
또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정 양태만을 기재하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은 "로 이루어진" 및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 및 이어지는 청구범위에서, 본원에 정의될 다수의 용어가 참조될 것이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달리 문맥상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충전제"에 대한 언급은 2 개 이상의 충전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조합"은 블렌드, 혼합물, 합금, 반응 생성물 등을 포함한다.
범위는 본원에서 하나의 값(첫번째 값)에서 또 다른 값(두번째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될 때, 범위는 일부 양태에서 첫번째 값 및 두번째 값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이 근사치로 표현될 때, 선행된 '약'을 사용하여 특정 값이 또 다른 양태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추가로 각 범위의 끝점은 다른 끝점과 관련하여, 그리고 다른 끝점과 독립적으로 모두 유의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원에 다수의 값이 개시되어 있고, 각 값이 또한 값 자체에 더하여 "약" 해당 특정 값을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값 "10"이 개시되면, "약 10"이 또한 개시된다. 또한 2 개의 특정 단위 사이의 각 단위를 또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10 및 15가 개시되면, 11, 12, 13, 및 14가 또한 개시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 및 "에서 또는 약"은 해당 양 또는 값이 지정된 값, 대략적으로 지정된 값, 또는 지정된 값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공칭 값은 달리 표시되거나 추론되지 않는 한 ±10% 변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해된다. 용어는 유사한 값이 청구범위에 인용된 동등한 결과 또는 효과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의도된다. 즉, 양, 크기, 공식 표시, 매개변수, 및 다른 수량 및 특성이 정확하지 않고 정확할 필요는 없지만, 허용오차, 변환 계수, 반올림, 측정 오류 등, 및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요인을 반영하여 근사치이고/이거나 원하는 만큼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양, 크기, 공식 표시, 매개변수 또는 다른 수량 또는 특성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약" 또는 "대략"이다. "약"이 정량적 값 앞에 사용되는 경우, 매개변수는 또한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체적인 정량적 값 자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내에서 사용될 조성물 자체뿐만 아니라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구성요소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및 다른 재료가 본원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재료의 조합, 서브세트, 상호작용, 그룹 등이 개시될 때 이들 화합물의 각각의 다양한 개별적 및 집합적 조합 및 순열에 대한 구체적 참조가 명시적으로 개시될 수 없지만, 각각이 본원에 구체적으로 고려되고 기재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특정 화합물이 개시되고 논의되고 화합물을 포함한 다수의 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변형이 논의되는 경우, 화합물의 각각 및 모든 조합 및 순열 및 달리 구체적으로 반대로 지시되지 않는 한 가능한 변형이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분자 A, B, 및 C의 부류 뿐만 아니라 분자 D, E, 및 F의 부류가 개시되고 조합 분자의 예, A-D가 개시되면, 각각이 개별적으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각각은 개별적으로 및 집합적으로 고려되는 의미 조합, A-E, A-F, B-D, B-E, B-F, C-D, C-E, 및 C-F가 개시된 것으로 간주된다. 마찬가지로, 이들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조합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A-E, B-F, 및 C-E의 하위 그룹이 개시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이 개념은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에서 단계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본 출원의 모든 양태에 적용된다. 따라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추가의 단계가 있다면, 이들 추가의 단계 각각은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임의의 구체적 양태 또는 양태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명세서 및 최종 청구범위에서 조성물 또는 물품의 특정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중량부에 대한 언급은 중량부로 표현된 조성물 또는 물품의 요소 또는 구성요소 및 임의의 다른 요소 또는 구성요소 사이의 중량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2 중량부의 구성요소 X 및 5 중량부의 구성요소 Y를 함유하는 화합물에서, X 및 Y는 2:5의 중량비로 존재하고, 추가의 구성요소가 화합물에 함유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러한 비로 존재한다.
구성요소의 중량 퍼센트는 달리 구체적으로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제형 또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어 "BisA", "BPA" 또는 "비스페놀 A"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Figure pct00001
BisA는 또한 명칭 4,4'-(프로판-2,2-디일)디페놀; p,p'-이소프로필리덴비스페놀; 또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으로 지칭될 수 있다. BisA는 CAS # 80-05-7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는 하나 이상의 디히드록시 화합물, 예를 들어, 카보네이트 결합에 의해 연결된 디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의 잔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를 지칭하며; 또한 호모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중합체의 구성과 관련하여 사용된 용어 "잔기" 및 "구조적 단위"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의어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어 "중량 퍼센트", "wt%", 및 "wt. %"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주어진 구성요소의 중량 퍼센트를 나타낸다. 즉,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wt% 값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개시된 조성물 또는 제형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wt% 값의 합은 100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달리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테스트 표준은 본 출원을 제출할 당시 시행중인 가장 최근의 표준이다.
본원에 개시된 각각의 재료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고/하거나 이의 생산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특정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는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구조적 요건이 개시되어 있고 개시된 구조와 관련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있으며, 이들 구조가 전형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할 것으로 이해된다.
열가소성 조성물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다음: (a) 지방족 폴리아미드(PA), 폴리프탈아미드(PPA),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제1 열가소성 중합체; (b)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 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카보네이트(PC),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제2 열가소성 중합체; 및 (c)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충전제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과 관련된다. 몇몇 양태로서, 조성물은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체적 유동률(MVR)보다 약 10% 이상 더 높은 MVR을 갖는다. 추가의 양태로서, 조성물은 ISO11443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점도(MV)보다 20% 이상 더 낮은 MV를 갖는다.
제1 열가소성 중합체는 지방족 폴리아미드(PA), 폴리프탈아미드(PPA),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PA6), 나일론 66(PA66), 나일론 46(PA46), 나일론 6/12(PA6/12), 나일론 6/10(PA6/10), 나일론 11(PA11),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폴리프탈아미드는 PA6T/66 폴리프탈아미드, PA6T/DT 폴리프탈아미드, PA6T/6I 폴리프탈아미드, PA6T/6I/66 폴리프탈아미드, PA9T 폴리프탈아미드, PA10T 폴리프탈아미드,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열가소성 중합체는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제1 열가소성 중합체는 약 3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제2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 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카보네이트(PC),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1,4-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의 한 유형이다. 폴리(알킬렌 디카르복실레이트), 액정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본 개시내용의 개시된 열가소성 조성물에 유용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부 양태에서 선형 또는 단쇄 분지형 PC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선형 또는 단쇄 분지형 PC는 비스페놀-A(BPA), 세바스산/BPA/파라-쿠밀 페놀(PCP)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실록산 공중합체(예: EXL 폴리카보네이트, SABIC), 1.1.1-트리스-(p-히드록시페닐)에탄(THPE)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4-히드록시벤조니트릴(HBN) 말단캡핑된 폴리카보네이트(예를 들어, SABIC로부터 입수가능한 CFR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단쇄 분지형 PC"는 PC의 탄산염 및/또는 에스테르기에 연결된 3개 미만의 방향족 기를 갖는 분지형 PC이다.
제2 열가소성 중합체는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제2 열가소성 중합체는 조성물에 약 0.5 중량% 내지 약 3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2 중량% 미만, 또는 약 0.1wt% 내지 약 1.5wt%의 양으로 존재한다. 놀랍게도 이러한 비교적 소량의 제2 열가소성 중합체가 제1 열가소성 중합체와 배합되면, 열가소성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의 현저한 감소 없이 열가소성 조성물의 유동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충전제 성분은 일부 양태에서 기능성 충전제 또는 보강성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충전제는 열 전도성 특성과 같은(이에 국한되지 않음) 조성물에 기능적 특성을 기여하는 충전제이다. 기능성 충전제로도 간주될 수 있는 보강성 충전제는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예: 충격 강도)을 향상시킨다.
충전제 성분은 질화알루미늄 AlN, 탄화알루미늄 Al4C3, 산화알루미늄 Al2O3, BN, AlON, MgSiN2, SiC, Si3N4, 흑연, 팽창 흑연, 세라믹-코팅 흑연, ZnS, CaO, MgO, ZnO, TiO2, CaCO3, 운모, BaO, BaSO4, CaSiO3, CaSO4, ZrO2, SiO2, 유리구슬, 유리조각, 속이 빈 유리구슬(hollow glass beads), MgO·xAl2O3, CaMg(CO3)2, 점토, 활석, 규회석, γ-AlOOH(Boehmite),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전도성 카본 블랙,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조성물은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충전제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조성물은 약 4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충전제 성분, 또는 약 5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충전제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열가소성 조성물은 충격 보강제(impact modifier), 제3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충격 보강제는 에틸렌-프로필렌(EP) 고무(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단량체(EPM)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고무, 및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된 EP 공중합체), 아크릴 고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MBS), 에틸렌-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EGMA),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포함된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EMAGMA),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에틸렌/1-부텐-스티렌(SEBS),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폴리에스테르 에테르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조합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3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p-페닐렌 옥사이드)(PPO),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일부 양태에서 0 중량% 초과 내지 약 20 중량%의 충격 보강제, 제3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는 보강제, 난연제, 안료, 유동 촉진제, 이형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자외선(UV) 내성제(ultraviolet resistant agent), UV 흡수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양태에서 보강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리 섬유는 원형 또는 비원형(예: 평평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난연제는 할로겐화 난연제(예를 들어, BC58 및 BC52와 같은 트레타브로모 비스페놀 A 올리고머, 브롬화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디브로모-스티렌), 브롬화 에폭시, 데카브로모디페닐렌 옥사이드, 펜타브롬벤질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펜타브로모벤질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비스(펜타브로모벤질)에탄), 금속 수산화물(예: Mg(OH)2, Al(OH)3),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형광체-기반 난연제(예, 적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Clariant Exolit® OP, 및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와 같은 금속 포스피네이트), 팽창성 흑연, 나트륨 또는 칼륨 퍼플루오로부탄 설페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퍼플루오로옥탄 설페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디페닐설폰 설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N-(p-톨릴술포닐)-p-톨루엔술피미드 칼륨 염, N-(N'-벤질아미노카르보닐)술파닐이미드 칼륨 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양태에서 조성물은 0 중량% 초과 내지 약 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조성물의 특성
열가소성 조성물은 종래의 조성물에 비해 향상된 유동성을 갖는다. 일부 양태에서, 조성물은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것보다 적어도 약 10% 더 높은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된 용융 체적 유동률(MVR)을 갖는다. 추가 양태에서 조성물은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될 경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보다 약 20% 이상, 약 30% 이상, 약 40% 이상, 약 50% 이상, 또는 약 10% 내지 약 200% 더 높거나, 또는 약 20% 내지 약 200% 더 높은 MVR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조성물(substantially identical reference composition)"은 기준 조성물이 인용된 성분(예를 들어, 제2 열가소성 중합체)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예시 조성물과 동일한 성분, 및 성분의 동일한 양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추가 양태에서 열가소성 조성물은 ISO11443에 따라 측정된 용융 점도(MV)가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점도(MV)보다 20% 이상 더 낮다. 또 다른 양태에서, 열가소성 조성물은 ISO11443에 따라 측정된 MV가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보다 25% 이상 더 낮거나, 30% 이상 더 낮거나, 40% 이상 더 낮거나, 20% 내지 75% 미만, 또는 20% 내지 50% 미만이다.
제조 방법
본원에 기재된 하나 또는 임의의 상기 성분은 먼저 서로 건식 블렌딩되거나, 상기 성분의 임의의 조합과 건식 블렌딩된 다음, 하나 또는 다중 공급기로부터 압출기로 공급되거나, 하나 또는 다중 공급기로부터 압출기로 별도로 공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된 충전제는 또한 먼저 마스터배치로 가공된 다음, 압출기로 공급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스로트 호퍼 또는 임의의 측면 공급기에서 압출기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압출기는 단일 나사, 다중 나사, 맞물림 동방향 회전 또는 반대 회전 나사, 비 맞물림 동방향 회전 또는 반대 회전 나사, 왕복 나사, 핀이 있는 나사, 스크린이 있는 나사, 핀이 있는 배럴, 롤, 램, 헬리컬 로터, 공동 반죽기, 디스크 팩 프로세서, 다양한 기타 유형의 압출 장비 또는 전술한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이 있는 것을 가질 수 있다.
성분들은 또한 함께 혼합된 다음 용융 블렌딩되어 열가소성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성분들의 용융 혼합은 전단력, 신장력, 압축력, 초음파 에너지, 전자기 에너지, 열 에너지 또는 전술한 힘 또는 에너지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의 사용을 포함한다.
컴파운딩 동안 압출기 상의 배럴 온도는 수지가 반결정질 유기 중합체인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대략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수지가 비정질 수지인 경우 유동점(예: 유리 전이 온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원하는 경우 다중 블렌딩 및 형성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조성물은 먼저 압출되어 펠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펠릿은 원하는 모양 또는 제품으로 성형될 수 있는 성형기로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 용융 블렌더로부터 나오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시트 또는 스트랜드로 형성될 수 있고 어닐링, 일축 또는 이축 배향과 같은 압출 후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본 공정에서 용융물의 온도는 일부 양태에서 성분들의 과도한 열 분해를 피하기 위해 가능한 한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용융 처리된 조성물은 다이의 작은 출구 구멍을 통해 압출기와 같은 처리 장비를 빠져나간다. 용융 수지의 생성된 가닥은 가닥을 수조에 통과시켜 냉각할 수 있다. 냉각된 가닥은 포장 및 추가 처리를 위해 펠릿으로 잘게 자를 수 있다.
제조 물품
특정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형상, 형성 또는 성형 물품(shaped, formed, or molded articles)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사출 성형, 압출, 회전 성형, 취입 성형 및 열성형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유용한 성형 물품으로 성형되어, 물품, 예를 들어, 개인 또는 상업용 전자 장치의 구조적 구성 부품 또는 기능적 구성 부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자 장치는 셀룰러 전화,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및 휴대용 컴퓨터, 및 기타 이러한 장비, 의료 적용물품(medical applications), RFID 적용물품, 자동차 적용물품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 양태에서, 물품은 압출 성형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물품은 사출 성형된다. 특정 양태에서, 물품은 전자 장치 또는 조명 장치의 구성 부품이다.
본 개시내용의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 예를 들어 동일한 독립항에 의존하는 종속항으로부터의 요소들의 조합이 본 개시내용에 포함된다.
개시내용의 양태
다양한 양태들에서, 본 개시 내용은 적어도 다음 양태들에 속하고 이를 포함한다.
양태 1. 열가소성 조성물로서,
(a) 지방족 폴리아미드(PA), 폴리프탈아미드(PPA),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제1 열가소성 중합체;
(b)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 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카보네이트(PC),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제2 열가소성 중합체; 및
(c)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충전제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체적 유동률(MVR)보다 약 10% 이상 더 높은 MVR을 가지고; 또는
상기 조성물은 ISO11443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점도(MV)보다 20% 이상 더 낮은 MV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2. 양태 1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PA6), 나일론 66(PA66), 나일론 46(PA46), 나일론 6/12(PA6/12), 나일론 6/10(PA6/10), 나일론 11(PA11),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3. 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탈아미드는 PA6T/66 폴리프탈아미드, PA6T/DT 폴리프탈아미드, PA6T/6I 폴리프탈아미드, PA6T/6I/66 폴리프탈아미드, PA9T 폴리프탈아미드, PA10T 폴리프탈아미드,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4.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포함하고, 상기 PC는 선형 또는 단쇄 분지형 PC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5. 양태 4에 있어서, 상기 선형 또는 단쇄 분지형 PC는 비스페놀-A(BPA), 세바스산/BPA/파라-쿠밀 페놀(PCP)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실록산 공중합체, 1.1.1-트리스-(p-히드록시페닐)에탄(THPE)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4-히드록시벤조니트릴(HBN) 말단 캡핑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6.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 성분은 기능성 또는 보강성(functional or reinforcing) 충전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7. 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 성분은 AlN, Al4C3, Al2O3, BN, AlON, MgSiN2, SiC, Si3N4, 흑연, 팽창 흑연, 세라믹-코팅 흑연, ZnS, CaO, MgO, ZnO, TiO2, CaCO3, 운모, BaO, BaSO4, CaSiO3, CaSO4, ZrO2, SiO2, 유리구슬, 유리조각, 속이 빈 유리구슬(hollow glass beads), MgO·xAl2O3, CaMg(CO3)2, 점토, 활석, 규회석, γ-AlOOH(Boehmite),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전도성 카본 블랙,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8. 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0 중량% 초과 내지 약 20 중량%의 충격 보강제, 제3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9. 양태 8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제가 에틸렌-프로필렌(EP) 고무, 아크릴 고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MBS), 에틸렌-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EGMA),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포함된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EMAGMA),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에틸렌/1-부텐-스티렌(SEBS),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폴리에스테르 에테르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10. 양태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제3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p-페닐렌 옥사이드)(PPO),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이들의 공중합체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11. 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0 중량% 초과 내지 약 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12. 양태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는 보강제, 난연제, 안료, 유동 촉진제, 이형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자외선(UV) 내성제, UV 흡수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13. 양태 12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14. 양태 13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원형 또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것인,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15. 양태 12 내지 14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가 할로겐화 난연제, 금속 수산화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형광체-기반(phosphor-based) 난연제, 팽창성 흑연, 나트륨 또는 칼륨 퍼플루오로부탄 설페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퍼플루오로옥탄 설페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디페닐술폰 술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N-(p-톨릴술포닐)-p-톨루엔술피미드 칼륨 염, N-(N'-벤질아미노카르보닐)술파닐이미드 칼륨 염, 또는 이들의 조합인, 열가소성 조성물.
양태 16. 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
양태 17. 양태 16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되는 것인, 물품.
양태 18. 양태 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전자 장치 또는 조명 장치의 부품인, 물품.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원에 청구된 화합물, 조성물, 물품, 장치 및/또는 방법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평가되고, 오직 예시적으로 의도되고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 완전한 개시내용 및 설명을 당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숫자(예를 들어, 양, 온도 등)와 관련하여 정확성을 보장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일부 오류 및 편차가 고려되어야 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부는 중량부이고, 온도는 ℃이거나 또는 주변 온도이고, 압력은 대기 또는 대기 근처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조성물과 관련하여 백분율은 wt%로 나타낸다.
기재된 공정에서 수득된 생성물 순도 및 수율을 최적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응 조건, 예를 들어 구성요소 농도, 원하는 용매, 용매 혼합물, 온도, 압력 및 다른 반응 범위 및 조건의 수많은 변경 및 조합이 있다. 이러한 공정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일상적인 실험만이 필요할 것이다.
비교예(C) 및 실시예(Ex) 조성물은 통상의 폴리아미드 및 폴리프탈아미드 공정 조건하에서 이축 압출기 컴파운딩 공정 및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트윈 스크류 압출기(Toshiba TEM-37BS, L/D=40.5)를 사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압출기 배럴의 온도는 폴리아미드의 경우 240-260℃, 폴리프탈아미드의 경우 280-310℃로 설정되었다. 압출기에서 압출된 펠렛은 다른 표준 기계적 특성 테스트 막대로 사출 성형되었다.
용융 체적 유동률(MVR) 데이터는 ASTM D1238에 따라 얻었다.
용융 점도(MV) 데이터는 ISO11443에 따라 얻었다.
인장 데이터는 ASTM D638에 따라 얻었다.
굴곡 데이터는 ASTM 790에 따라 얻었다.
노치 아이조드 충격(NII) 및 비노치 아이조드 충격(UNI) 데이터는 각각 ASTM D256 및 ASTM D4812에 따라 실온(RT)에서 얻었다.
밀도 데이터는 ASTM D792에 따라 얻었다.
조성물에 사용된 성분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성분들
Figure pct00002
지방족 폴리아미드(PA6) 및 다양한 양의 제2 열가소성 중합체(저점도 및 고점도 PBT)를 사용하여 비교 조성물(C1) 및 실시예 조성물(Ex1.1-1.3)을 제조하고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표 2]: 1차 수지로서의 PA, 2차 수지로서의 PBT
Figure pct00003
데이터로부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조성물에 첨가하면 겉보기 점도가 감소하고 유동률(MVR)이 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예: NII, UNNI)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폴리프탈아미드(PPA) 및 다양한 양의 제2 열가소성 중합체(저점도 및 고점도 PBT, THPE 및 높은 Mw PC)를 사용하는 추가 비교(C2) 및 실시예(Ex2.1-Ex2.4) 조성물을 표 3과 같이 제조하고 시험하였다:
[표 3]: 1차 수지로서의 PPA, 2차 수지로서의 PBT 또는 PC
Figure pct00004
데이터로부터, PPA-기재 조성물에 제2 열가소성 중합체의 첨가가 조성물의 기계적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겉보기 점도의 감소 및 더 높은 유동률(MVR)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비교 및 실시예 조성물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하고 시험하였다:
[표 4]: 1차 수지로서의 PA, 2차 수지로서의 PBT 또는 PC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데이터로부터 PA-기재 조성물에 소량의 제2 열가소성 중합체(0.1 중량% 내지 1.5 중량%)의 첨가가 조성물의 기계적 성능(예: 노치 및 노치 없는 아이조드 충격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겉보기 점도의 감소 및 더 높은 유동률(MVR)을 초래하였다.
여기에 설명된 방법 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계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는 위의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어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구현은 마이크로코드, 어셈블리 언어 코드, 고급 언어 코드 등과 같은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한 예에서, 코드는 실행 중 또는 다른 시간과 같이 하나 이상의 휘발성(volatile), 비일시적 또는 비휘발성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유형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이동식 자기 디스크, 이동식 광 디스크(예: 컴팩트 디스크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자기 카세트, 메모리 카드 또는 스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설명은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인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설명(또는 이의 하나 이상의 양태)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을 검토할 때 예컨대 당업자에 의해 다른 구현예가 사용될 수 있다. 요약서는 37 C.F.R. §1.72(b)를 준수하여 독자가 기술적 개시내용의 속성을 신속하게 이해하도록 제공된다. 이는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또는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와 함께 제출된다. 또한,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내용을 간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특징이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이는 청구되지 않은 개시된 특징이 임의의 청구범위에 필수적이라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의 주제는 특정한 개시된 구현예의 모든 특징보다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청구범위는 예 또는 구현예로서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고, 각각의 청구범위는 개별 구현예로서 그 자체로 존재하며, 이러한 구현예는 다양한 조합 또는 순열로 서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이러한 청구범위가 부여되는 등가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열가소성 조성물로서,
    (a) 지방족 폴리아미드(PA), 폴리프탈아미드(PPA),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제1 열가소성 중합체;
    (b)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 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카보네이트(PC),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제2 열가소성 중합체; 및
    (c) 약 1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충전제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체적 유동률(MVR)보다 약 10% 이상 더 높은 MVR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조성물은 ISO11443에 따라 측정할 경우,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점도(MV)보다 20% 이상 더 낮은 MV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는 나일론 6(PA6), 나일론 66(PA66), 나일론 46(PA46), 나일론 6/12(PA6/12), 나일론 6/10(PA6/10), 나일론 11(PA11),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탈아미드는 PA6T/66 폴리프탈아미드, PA6T/DT 폴리프탈아미드, PA6T/6I 폴리프탈아미드, PA6T/6I/66 폴리프탈아미드, PA9T 폴리프탈아미드, PA10T 폴리프탈아미드,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포함하고, 상기 PC는 선형 또는 단쇄 분지형 PC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또는 단쇄 분지형 PC는 비스페놀-A(BPA), 세바스산/BPA/파라-쿠밀 페놀(PCP)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실록산 공중합체, 1.1.1-트리스-(p-히드록시페닐)에탄(THPE)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4-히드록시벤조니트릴(HBN) 말단 캡핑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 성분은 기능성 또는 보강성(functional or reinforcing) 충전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 성분은 AlN, Al4C3, Al2O3, BN, AlON, MgSiN2, SiC, Si3N4, 흑연, 팽창 흑연, 세라믹-코팅 흑연, ZnS, CaO, MgO, ZnO, TiO2, CaCO3, 운모, BaO, BaSO4, CaSiO3, CaSO4, ZrO2, SiO2, 유리구슬, 유리조각, 속이 빈 유리구슬(hollow glass beads), MgO·xAl2O3, CaMg(CO3)2, 점토, 활석, 규회석, γ-AlOOH(Boehmite),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전도성 카본 블랙,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0 중량% 초과 내지 약 20 중량%의 충격 보강제, 제3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제가 에틸렌-프로필렌(EP) 고무, 아크릴 고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MBS), 에틸렌-코-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EGMA),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포함된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EMAGMA),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에틸렌/1-부텐-스티렌(SEBS),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폴리에스테르 에테르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p-페닐렌 옥사이드)(PPO),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이들의 공중합체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0 중량% 초과 내지 약 50 중량%의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는 보강제, 난연제, 안료, 유동 촉진제, 이형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자외선(UV) 내성제, UV 흡수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원형 또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것인, 열가소성 조성물.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가 할로겐화 난연제, 금속 수산화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형광체-기반(phosphor-based) 난연제, 팽창성 흑연, 나트륨 또는 칼륨 퍼플루오로부탄 설페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퍼플루오로옥탄 설페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디페닐술폰 술포네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2,4,6-트리클로로벤조에이트, N-(p-톨릴술포닐)-p-톨루엔술피미드 칼륨 염, N-(N'-벤질아미노카르보닐)술파닐이미드 칼륨 염, 또는 이들의 조합인, 열가소성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이 전자 장치 또는 조명 장치의 부품인, 물품.
KR1020217024331A 2019-01-15 2020-01-15 유동이 개선된 충전 열가소성 조성물 KR202101108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51859.6A EP3683273A1 (en) 2019-01-15 2019-01-15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flow
EP19151859.6 2019-01-15
PCT/IB2020/050311 WO2020148678A1 (en) 2019-01-15 2020-01-15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f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859A true KR20210110859A (ko) 2021-09-09

Family

ID=6503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331A KR20210110859A (ko) 2019-01-15 2020-01-15 유동이 개선된 충전 열가소성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73742A1 (ko)
EP (2) EP3683273A1 (ko)
KR (1) KR20210110859A (ko)
CN (1) CN113508162A (ko)
WO (1) WO2020148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2567B (zh) * 2022-10-11 2022-12-27 广州海天塑胶有限公司 一种不翘曲变形的增强导热尼龙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2040A1 (en) * 2006-06-05 2007-12-06 Rina Ai Polyester, polycarbonate and polyamide blends and articles having enhanced balance of glow wire ignition temperature, comparative tracking index, and flame retardant properties
JP2012533645A (ja) * 2009-07-17 2012-12-27 アーケ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耐衝撃性が改良さ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エステル又は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アミド組成物
CN101885914B (zh) * 2010-07-13 2012-06-20 东莞市意普万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油底壳专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8440762B2 (en) * 2011-01-14 2013-05-14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m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WO2014195874A1 (en) * 2013-06-04 2014-12-1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Blend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flow
WO2015091416A1 (en) * 2013-12-20 2015-06-25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Polyamide-polyester blends with improved properties
US9284449B2 (en) * 2014-06-19 2016-03-1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und with chemical resistance
PL3006506T3 (pl) * 2014-10-08 2017-06-30 Ems-Patent Ag Poliamidy o podwyższonej plastyczności
WO2017187384A1 (en) * 2016-04-29 2017-11-0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ngineering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high nano molding bonding strength and laser direct structuring function
JP6752065B2 (ja) * 2016-06-27 2020-09-09 テラボウ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自転車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08162A (zh) 2021-10-15
EP3911706A1 (en) 2021-11-24
US20220073742A1 (en) 2022-03-10
WO2020148678A1 (en) 2020-07-23
EP3683273A1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190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전도도 및 연성 증진 폴리머 조성물
TWI389974B (zh)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 molded body
KR102067118B1 (ko) 개선된 충격 강도와 흐름성을 갖는 블렌드된 열가소성 조성물
US9540511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JP5538188B2 (ja)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11643547B2 (en) High stiff thermoplastic compositions for thin-wall structures
KR20210113288A (ko) 재활용된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고열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JP2009046678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22368A (ko) 열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07061038A1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CN111201281A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
KR20200088910A (ko) 충전제 분산을 위한 가공 보조제 및 이의 용도
KR20210110859A (ko) 유동이 개선된 충전 열가소성 조성물
US20230193019A1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Including Natural Fiber Having Good Mechanical Properties and Good Dielectric Properties
JPH07258426A (ja) 高光沢成形品
KR100566507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U2017100888B4 (en) Polycarbonate composition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JP4785398B2 (ja) 射出圧縮成形法
US10364348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CN116194534A (zh) 包括再循环的聚碳酸酯和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共混物的阻燃组合物
WO2017175790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自動車部品
JP2007332308A (ja) 難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