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985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985A
KR20210109985A KR1020200025337A KR20200025337A KR20210109985A KR 20210109985 A KR20210109985 A KR 20210109985A KR 1020200025337 A KR1020200025337 A KR 1020200025337A KR 20200025337 A KR20200025337 A KR 20200025337A KR 20210109985 A KR20210109985 A KR 20210109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 transfer
power generation
transfer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관
곽기곤
김현수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985A/ko
Publication of KR2021010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from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from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01N5/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from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the device being thermoelectric generators
    • H01L35/0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Abstract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배기부, 및 상기 배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는 열전소자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 및 각종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에 대한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조선 및 해운업계에서는 기존 연료인 중유, 디젤유의 이용을 대신하여 청정 에너지원인 천연가스를 선박의 연료가스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연료가스 중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천연가스(Natural Gas)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며, 통상적으로 그 부피를 1/600로 줄인 액화가스(Liquefied Gas) 상태로 변환되어 저장 및 운반되고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는 선체에 단열 처리되어 설치되는 저장탱크에 수용되어 저장 및 수송되며, 선박의 엔진은 액화가스 또는 증발 가스(Boiled Off Gas) 등을 연료가스로 공급받아 구동된다. 여기서 증발 가스는 저장탱크 내부에 수용된 액화가스가 자연적으로 기화하여 발생되는 자연증발 가스 및 강제적으로 기화하여 발생되는 강제증발 가스를 포함한다. 액화가스 또는 증발 가스는 압축 및 기화 등의 처리과정을 거쳐 엔진이 요구하는 조건에 맞추어 공급된다.
액화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선박에는 증발 가스를 재액화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재액화 설비가 마련될 수 있다. 재액화 설비는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증발 가스를 압축한 후 액화시키고, 이를 엔진으로 공급하거나 저장탱크에 저장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4373호 (2019.06.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 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배기부, 및 상기 배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는 열전소자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부는, 상기 배기부에 연결되고, 이동하는 배기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열 전달부와, 상기 열 전달부의 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열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 플레이트는, 상기 열 전달부의 표면에 일면이 결합되는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의 타면에 결합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 전달부는, 인접한 열전소자 간의 전력 전달을 위한 전력선, 및 인접한 냉각부 간의 냉매 전달을 위한 냉매 순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 플레이트가 상기 열 전달부의 표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상기 전력선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부에 상기 냉매 순환관이 연결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유체 라인을 통하여 유체가 순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전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전부가 배기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발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열 전달부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열 전달부에 발전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유체 라인을 통하여 유체가 순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0)은 저장 탱크(100), 엔진(210, 220), 압축기(300), 열교환기(400), 재액화부(500), 배기부(600) 및 발전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 탱크(100)는 액화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탱크(100)에 저장되는 액화 가스는 예를 들어 LNG(Liquefied Natural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DME(Dimethyl ether) 및 에탄(Etha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엔진(210, 220)은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엔진(210, 220)은 제1 엔진(210) 및 제2 엔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엔진(210)은 추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엔진(210)의 회전력으로 인하여 추진기(미도시)가 선박(10)의 추진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엔진(210)은 저장 탱크(10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엔진(210)은 압축기(300)에서 압축된 증발 가스를 연료로서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엔진(210)은 ME-GI(Main engine Electronic control Gas Injection) 엔진과 같은 고압의 분사 엔진일 수 있다.
제2 엔진(220)은 발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엔진(220)의 회전력으로 인하여 발전기(미도시)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엔진(220)은 DFDE(Dual Fuel Diesel Electric) 엔진과 같은 저압의 분사 엔진일 수 있다. 제2 엔진(220)은 저장 탱크(10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압축기(300)는 제1 엔진(210)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 탱크(100)에 저장된 액화 가스는 자연 기화하면서 증발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압축기(300)는 저장 탱크(100)로부터 증발 가스를 공급받고, 증발 가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된 증발 가스(이하, 압축 가스라 한다)는 제1 엔진(2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엔진(210)은 압축기(300)로부터 공급된 압축 가스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압축기(300)에서 배출된 압축 가스 중 일부는 제1 엔진(210)으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저장 탱크(100)로 회수될 수 있다. 이하, 저장 탱크(100)로 회수되는 가스를 회수 유체라 한다.
열교환기(400)는 압축기(300)에 의해 압축된 증발 가스 중 저장 탱크(100)로 회수되는 회수 유체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열교환기(400)는 저장 탱크(100)에서 발생된 증발 가스와 회수 유체 간의 열 교환을 통하여 회수 유체를 냉각할 수 있다.
재액화부(500)는 회수 유체를 액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액화된 회수 유체는 저장 탱크(100)로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액화되지 않은 회수 유체는 저장 탱크(100)에서 배출되는 증발 가스에 혼합되어 제1 엔진(210) 또는 제2 엔진(2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 탱크(100)에서 배출된 증발 가스는 제1 엔진(210) 및 제2 엔진(2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300)에서 배출된 압축 가스 중 일부는 저장 탱크(100)로 회수될 수 있다.
저장 탱크(100)는 증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증발 가스는 열교환기(4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400)에서 열 교환된 증발 가스는 압축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압축기(300)로 공급된 증발 가스는 압축되고, 압축기(300)에서 배출된 압축 가스는 제1 엔진(2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엔진(210)은 압축 가스를 연료로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압축기(300)에서 배출된 압축 가스 중 일부는 저장 탱크(100)로 회수될 수 있다. 열교환기(400)는 저장 탱크(100)에서 배출된 증발 가스와 압축기(300)에서 배출된 압축 가스 즉, 회수 유체 간의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재액화부(500)는 회수 유체를 재액화하여 저장 탱크(100)로 공급할 수 있다.
열교환기(400)에서 열 교환된 회수 유체는 재액화부(500)로 공급될 수 있다. 재액화부(500)는 회수 유체를 액화시킬 수 있다. 액화된 회수 유체는 저장 탱크(100)로 주입될 수 있다. 한편, 액화되지 않은 회수 유체는 증발 가스와 함께 열교환기(400)로 공급될 수 있다.
배기부(600)는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부(600)는 유체를 관통시키는 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기부(600)는 배기가스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팬(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엔진(210) 및 제2 엔진(220)은 배기부(6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엔진(210) 및 제2 엔진(22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배기부(600)를 통해 선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발전부(700)는 배기부(600)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전부(700)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발전부(700)는 열전소자(721)(도 6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발전부(700)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은 배터리(800)에 저장될 수 있다. 배터리(800)는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할 수 있다. 배터리(800)는 발전부(700)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으로 충전하거나 선박(10)에 구비된 다른 발전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으로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800)에서 방전된 전력은 선박(10)에 구비된 전력 설비(미도시)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통하여 발전부(700)의 세부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전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전부가 배기부(600)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전부(700)는 열 전달부(710) 및 발전 플레이트(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 전달부(710)는 배기부(600)에 연결되고, 이동하는 배기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공홀을 구비한 관의 형태를 갖는 열 전달부(710)는 배기부(6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원기둥의 형태를 갖는 배기부(600)와 사각기둥의 형태를 갖는 열 전달부(710)가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서로 다른 형태의 열 전달부(710) 및 배기부(600)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관(610)이 이용될 수 있다. 연결관(610)의 일측에는 원형 개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사각형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관(610)을 통해 열 전달부(710) 및 배기부(600)는 연통될 수 있다. 즉, 배기부(600)를 통하여 이동하는 배기가스는 모두 열 전달부(710)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배기부(600)의 말단에 열 전달부(71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열 전달부(710)는 배기부(600)의 중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배기부(600)의 일측 부분을 통해 이동하는 배기가스는 열 전달부(710)를 거친 이후에 배기부(600)의 타측 부분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배기부(600)의 말단에 열 전달부(710)가 구비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4를 설명하면, 열 전달부(710)는 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열 전달부(710)가 제공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열 전달부(710)는 삼각기둥, 오각기둥 또는 육각기둥과 같은 다각기둥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열 전달부(7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이 다각기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발전 플레이트(720)와의 결합을 위하여 열 전달부(710)를 구성하는 각 패널은 평면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 전달부(710)는 배기가스의 열을 발전 플레이트(7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열 전달부(710)는 상대적으로 높은 열 전달율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가스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열 전달부(710)의 내부 표면에는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흡열핀(fin)(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흡열핀은 예를 들어 주름진 판의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하나의 큰 판에 작은 판이 나란히 배치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흡열핀에 의한 배기가스와의 접촉 면접이 확장되고, 흡열핀은 배기가스의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발전 플레이트(720)는 열 전달부(710)로부터 전달된 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열 전달을 위하여 발전 플레이트(720)는 열 전달부(710)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발전 플레이트(720)의 일측 표면이 열 전달부(710)의 외측 표면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전 플레이트(720)는 열전소자(721) 및 냉각부(7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전소자(721)는 열기 및 냉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열기는 열 전달부(710)로부터 공급되고, 냉기는 냉각부(722)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열전소자(721)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은 직류 전력일 수 있다.
열전소자(721)는 패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열전소자(721)의 일면은 열 전달부(710)의 표면에 밀착하고, 타면은 냉각부(722)에 밀착할 수 있다. 이에, 열전소자(721)는 열 전달부(710)를 통한 열기 및 냉각부(722)를 통한 냉기를 효과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열전소자(721)는 접착제에 의하거나 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열 전달부(710) 및 냉각부(7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열기 및 냉기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열전소자(721)와 열 전달부(710)의 사이 및 열전소자(721)와 냉각부(722)의 사이에는 열 전달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열 전달 물질로는 열 그리스(thermal grease), 열 컴파운드(thermal compound) 및 열 패드(thermal pad)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전소자(721)는 열 전달부(710)에 끼움 결합되거나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냉각부(722)는 열전소자(721)로 냉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냉각부(722)는 열전소자(721)의 일면에 접촉하기 위한 넓은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소자(721)의 일면과 이에 접하는 냉각부(722)의 일면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냉각부(722)는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통하여 냉각되어 열전소자(721)로 냉기를 전달하거나 순환하는 냉매를 통하여 냉각되어 열전소자(721)로 냉기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발전부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열 전달부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열 전달부에 발전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열 전달부(710)에는 복수의 발전 플레이트(72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전달부(710)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각 패널에 복수의 발전 플레이트(720)가 결합될 수 있다.
열 전달부(710)는 전력선(730) 및 냉매 순환관(7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선(730)은 인접한 열전소자(721) 간의 전력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선(730)을 통하여 복수의 열전소자(721)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열전소자(721) 중 하나는 전력 출력선(731)을 구비할 수 있다. 전력 출력선(731)은 배터리(800)에 연결되거나 다른 패널의 발전 플레이트(720)에 구비된 열전소자(7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열 전달부(710)에 구비된 모든 열전소자(721)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냉매 순환관(740)은 인접한 냉각부(722) 간의 냉매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매는 기체일수 있고 액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 부동액, 액화 가스, 청수 또는 해수가 냉매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냉매는 공기, 부동액, 액화 가스, 청수 또는 해수와 열 교환을 수행한 유체일 수도 있다. 냉매 순환관(740)에 의해 복수의 냉각부(722)가 일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냉각부(722) 중 하나는 배출관(741)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냉각부(722)를 순환한 냉매는 배출관(74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741)은 다른 발전 플레이트(720)에 구비된 냉각부(7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열 전달부(710)에 구비된 모든 냉각부(722)가 일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선(730) 및 냉매 순환관(740)은 열 전달부(710)에 고정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발전 플레이트(720)가 열 전달부(710)의 표면에 결합됨에 따라 열전소자(721)에 전력선(730)이 연결되고, 냉각부(722)에 냉매 순환관(740)이 연결될 수 있다. 발전 플레이트(720)를 열 전달부(710)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복수의 열전소자(721)가 직렬로 연결되고, 복수의 냉각부(722)가 일렬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발전부(700)를 조립하는 것 및 손상된 발전 플레이트(720)를 정상적인 발전 플레이트(720)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열 전달부(710)의 표면에는 복수의 결합 홈(G)이 구비될 수 있다. 발전 플레이트(720)는 결합 홈(G)을 통해 열 전달부(71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홈(G)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를 갖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함몰된 이후에 또 다른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발전 플레이트(720)는 열 전달부(7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열 전달부(710)를 향하는 발전 플레이트(720)의 일면에는 결합 돌기(P1)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돌기(P1)가 결합 홈(G1)에 삽입됨에 따라 열 전달부(710)와 발전 플레이트(720) 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발전 플레이트(720)는 열 전달부(71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홈(G2)은 열 전달부(710)의 표면에서 내측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함몰된 이후에 열 전달부(710)의 내부에서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직각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열 전달부(710)를 향하는 발전 플레이트(720)의 일면에는 걸림 돌기(P2)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 돌기(P2)가 결합 홈(G2)에 삽입된 이후에 제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열 전달부(710)와 발전 플레이트(720) 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선박 100: 저장 탱크
210: 제1 엔진 220: 제2 엔진
300: 압축기 400: 열교환기
500: 재액화부 600: 배기부
700: 발전부 710: 열 전달부
720: 발전 플레이트 721: 열전소자
722: 냉각부 730: 전력선
731: 전력 출력선 740: 냉매 순환관
741: 배출관 800: 배터리
G, G1, G2: 결합 홈 P1: 결합 돌기
P2: 걸림 돌기

Claims (4)

  1.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배기부; 및
    상기 배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는 열전소자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배기부에 연결되고, 이동하는 배기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열 전달부;
    상기 열 전달부의 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열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플레이트는,
    상기 열 전달부의 표면에 일면이 결합되는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소자의 타면에 결합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선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부는,
    인접한 열전소자 간의 전력 전달을 위한 전력선; 및
    인접한 냉각부 간의 냉매 전달을 위한 냉매 순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 플레이트가 상기 열 전달부의 표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상기 전력선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부에 상기 냉매 순환관이 연결되는 선박.
KR1020200025337A 2020-02-28 2020-02-28 선박 KR20210109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37A KR20210109985A (ko) 2020-02-28 2020-02-28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37A KR20210109985A (ko) 2020-02-28 2020-02-28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85A true KR20210109985A (ko) 2021-09-07

Family

ID=7779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337A KR20210109985A (ko) 2020-02-28 2020-02-28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9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373A (ko) 2017-12-20 2019-06-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기관에 설치되는 열전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373A (ko) 2017-12-20 2019-06-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기관에 설치되는 열전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8621C2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для судна
US10767921B2 (en) Liquefied gas treatment system
US9239186B2 (en) Method for operating fuel supply system for marine structure having reliquefaction apparatus and high-pressure natural gas injection engine
US20140069117A1 (en) Non-explosive mixed refrigerant for re-liquefying device in system for supplying fuel to high-pressure natural gas injection engine
US20130340474A1 (en) Fuel supply method for high-pressure natural gas injection engine
US20140053600A1 (en) System for supplying fuel to high-pressure natural gas injection engine having excess evaporation gas consumption means
US201400691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fuel to high-pressure natural gas injection engine
KR101567856B1 (ko) 냉동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컨테이너 운반선
KR20120103408A (ko)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을 위한 연료 공급 방법
KR20200121934A (ko) 수소-액화가스 운반선
WO2022092200A1 (ja) 浮体
KR20210023540A (ko) 선박의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9985A (ko) 선박
KR102253379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46896B1 (ko) 선박의 연료공급-폐열이용발전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040003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KR20110128079A (ko) 냉동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컨테이너 운반선
KR101623092B1 (ko) 냉열발전을 이용한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18366A (ko)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046600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20200011307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2452821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28221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102542459B1 (ko) 선박의 연소용 공기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2561803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