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861A -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861A
KR20210109861A KR1020200024985A KR20200024985A KR20210109861A KR 20210109861 A KR20210109861 A KR 20210109861A KR 1020200024985 A KR1020200024985 A KR 1020200024985A KR 20200024985 A KR20200024985 A KR 20200024985A KR 20210109861 A KR20210109861 A KR 20210109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mol
phenyl
synthesis
errγ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936B1 (ko
Inventor
조원제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9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강력하며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Estrogen-related receptor; ERR)γ 역작용제로서 우수한 선택성 및 친화도를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대사성 질환에 대한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Novel carboxamide compound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Estrogen-related receptor; ERR)는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고아 핵 수용체(orphan nuclear receptor)이다. 이들은 ER과 구조적 상동성 및 서열 유사성을 공유하지만 ERR은 ER 리간드에 반응하지 않는다.
ERRα, ERRβ 및 ERRγ의 세 가지 하위 유형 중에서 ERRγ는 가장 최근에 확인된 이소형(isoform)이다. 다른 핵 수용체(nuclear receptors; NR)와 마찬가지로, ERRγ는 일반적으로 12α-나선(H1-H12)과 작은 β-시트로 구성된 표준 역 평행(canonical antiparallel) α-나선 샌드위치 접힘을 채택한다.
작용제는 H12가 H3 및 H4와 함께 리간드 결합 도메인(ligand binding domain; LBD) 바디에 패킹되어 결과적으로 소수성으로 함께 활성화되는 결합 표면을 생성하는 한정된 형태를 안정화시킴으로써,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활성화 기능 (activation function; AF2)을 일으킨다. 역작용제는 일반적으로 LBD와 H12로부터 돌출된 부피가 큰 리간드 확장 간의 입체 간섭을 통해 공동 활성화 동원(recruitment)을 방해한다.
ERRγ는 심장, 뇌, 췌장, 신장 및 간에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고도로 발현된다. ERRγ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이 설명되었지만 간 포도당 생성(hepatic gluconeogenesis)의 신규한 전사 조절 인자로서의 ERRγ의 역할이 최근 입증되었다. 금식 중 손상된 인슐린 신호 및 간 포도당 생성의 유도에 대한 ERRγ의 기여는, ERRγ의 선택적 역작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제2 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itus; T2DM)의 치료에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제2 형 당뇨병은 가장 흔한 당뇨병 유형이다. 전세계적으로 T2DM을 앓고 있는 환자의 수는 2019년까지 3억 8천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불행히도, 현재의 치료제의 효과는 36% 미만의 환자들에게만 충분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에 그친다. 또한 기존의 의약품에는 많은 부작용이 관련되어 있다.
최근 T2DM은 간 포도당 생산의 비정상적인 조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검증된 많은 핵 수용체(NR) 중에서, ERRγ는 당뇨병 상태에서 고혈당증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간 포도당 생산을 조절함으로써, T2DM의 치료에서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서 ERRγ를 강력히 제안한다.
도 1과 같이 여러 합성 리간드가 ERRγ의 전사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리간드는 다양한 유전자 생성물과의 비특이적 상호 작용 및 ER을 포함하는 다른 NR의 비정상적인 기능을 나타낸다. ERRγ의 전사 활성을 억제하는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ylstilbestrol; DES) 및 4-하이드록시타목시펜(4-hydroxytamoxifen; 4-OHT)은 각각 ERα의 효현제 및 길항제로 알려져 있다.
4-OHT의 구조적 유사체인 GSK5182는 ERRγ의 첫번째 선택적 역작용제이다. 이는 ERRγ에 리간드로 작용하여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고혈당과 인슐린 저항성을 완화하는 등 T2DM의 치료에 대한 치료 잠재력이 최근에 보고되어오고 있다. 그러나 GSK5182에는 4-OHT의 동일한 화학 구조가 포함되어 있어서 더 나은 약물 후보를 개발하기 위한 추가적인 최적화를 방해한다. ERRγ에 대한 제한된 선택성 및 특이성과 함께, 보고된 리간드의 구조적 유사성은 새로운 종류의 화학 물질의 발견에 있어서 상당한 관심을 촉발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신규하고 강력하며 선택적인 ERRγ 역작용제를 확인하고 개발하고자 하였고, ERRγ의 선택적 역작용제로서 신규한 피라졸아마이드(pyrazolamide)의 발견을 설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이 강력하며 선택적인 ERRγ 역작용제로서 선택성 및 친화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1
R1은 H, 3-OMe, 3,4-(OMe)2 또는 4-Me이고,
R2는 H, CF3 또는 NH2이고,
OR3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또는
Figure pat00006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의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인 ERRγ 역작용제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강력하며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Estrogen-related receptor; ERR)γ 역작용제로서 우수한 선택성 및 친화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이 ERRγ에 대한 선택성이 높고, ERRγ 역작용제로서의 대사성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7
R1은 H, 3-OMe, 3,4-(OMe)2 또는 4-Me이고,
R2는 H, CF3 또는 NH2이고,
OR3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또는
Figure pat00012
.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3-OMe인 것일 수 있고, R2는 H 또는 NH2인 것일 수 있으며, 또한 OR3
Figure pat00013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6>
Figure pat00014
,
<화합물 7>
Figure pat00015
,
<화합물 12>
Figure pat00016
,
<화합물 13>
Figure pat00017
,
<화합물 14>
Figure pat00018
,
<화합물 15>
Figure pat00019
,
<화합물 16>
Figure pat00020
,
<화합물 19>
Figure pat00021
,
<화합물 21>
Figure pat00022
,
<화합물 25>
Figure pat00023
,
<화합물 27>
Figure pat00024
, 및
<화합물 28>
Figure pat0002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6, 7, 19 및 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합물 19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다:
R1은 H, 3-OMe, 3,4-(OMe)2 또는 4-Me이고,
R2는 H, CF3 또는 NH2이고,
OR3
Figure pat00026
,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
Figure pat00029
또는
Figure pat00030
.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3-OMe인 것일 수 있고, R2는 H 또는 NH2인 것일 수 있으며, 또한 OR3
Figure pat00031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6, 7, 12, 13, 14, 15, 16, 19, 21, 25, 27 및 2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6, 7, 19 및 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합물 19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제2 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itus; T2DM), 고혈당증 및 고섬유소원혈증(hyperfibrinogenemi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화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다:
R1은 H, 3-OMe, 3,4-(OMe)2 또는 4-Me이고,
R2는 H, CF3 또는 NH2이고,
OR3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또는
Figure pat00036
.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3-OMe인 것일 수 있고, R2는 H 또는 NH2인 것일 수 있으며, 또한 OR3
Figure pat00037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6, 7, 12, 13, 14, 15, 16, 19, 21, 25, 27 및 2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6, 7, 19 및 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합물 19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제2 형 당뇨병, 고혈당증 및 고섬유소원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강력하며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Estrogen-related receptor; ERR)γ 역작용제로서 우수한 선택성 및 친화도를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대사성 질환에 대한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ERRγ 역작용제 및 유효 화합물(hit compound)로 알려진 피라졸아마이드(pyrazolamide)의 구조식이다.
도 2a는 (A) ERRγ-GSK5182의 결합 모드(PDB ID: 2EWP)의 가상 결합 모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b는 ERRγ- 유효 화합물(피라졸아마이드 7)의 가상 결합 모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10 uM 농도에서 피라졸(pyrazole)에 의한 ERRγ의 전사 활성 억제 정도를 나타낸 세포 기반 리포터 유전자 분석 그래프이다.
도 4a는 (A) 구성 안드로스탄 수용체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에 대한 피라졸아마이드 6, 7, 19 및 21의 특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간세포 핵 인자 4α (hepatocyte nuclear factor 4α; HNF-4α)에 대한 피라졸아마이드 6, 7, 19 및 21의 특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c는 핵 수용체 관련 1 (nuclear receptor-related 1; NURR1)에 대한 피라졸아마이드 6, 7, 19 및 21의 특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d는 스테로이드성 인자 1 (steroidogenic factor 1; SF-1) 핵 수용체에 대한 피라졸아마이드 6, 7, 19 및 21의 특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에스트라디올 (estradiol; E2)-매개 ERα의 활성화에 대한 화합물 19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화합물 19의 ERR 서브 타입 선택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c는 가상의 ERRγ-19 복합체의 아미노산 및 ERα-4-OHT의 3D 구조 (PDB ID: 3ERT)를 겹친 그림이다.
도 5d는 가상의 ERRγ-19 복합체의 아미노산 및 ERRα-디아릴 에테르(diaryl ether) 리간드 (PDB ID: 3K6P)를 겹친 그림이다.
도 6은 Y326A, N346A 또는 E275A 돌연변이에서 ERRγ에 대한 GSK5182 및 화합물 19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등온 적정 열량 측정법(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 ITC)을 사용하여 ERRγ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과 GSK5182 및 화합물 19의 결합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는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된 AML12 세포에서 ERRγ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화합물 1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b는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된 AML12 세포에서 헵시딘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화합물 1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c는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된 AML12 세포에서 피브리노겐 γ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화합물 1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는 포스콜린 (forskolin; FSK)에 의해 활성화되고 촉발된 글루코겐성 유전자 발현에 대한 화합물 1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b는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촉발된 글루코겐성 유전자 발현에 대한 화합물 1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모든 화학 물질은 Aldrich Chemical Co. 또는 Tokyo Chemical Industry Co.에서 구입하였고, 추가 정제없이 사용되었다. 사용 전에 용매를 증류시켰다. 안톤 파 마이크로파 합성 원자로 모노웨이브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파 조사를 수행하였다. 융점은 a MEL-TEMP® 모세관 융점 장치를 이용하여 결정되었고, 수정되지 않았다. IR 스펙트럼은 KBr 펠릿을 사용하여 JASCO FT/IR-300E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계에 기록되었다.
H-NMR 스펙트럼은 다음 순서로 표로 표시된다: 화학적 이동, 다중성 (s = singlet, d = doublet, t = triplet, q = quartet, m = multiplet and bs = broad singlet), 헤르츠(Hz) 안에서의 결합 상수(J), 그리고 양성자의 수. 전자-분무 이온화 (electron-spray ionization; ESI) 방법을 통해 시마즈 LCMS-2010 EV로 질량 스펙트럼 (Mass spectra; MS)을 수득하였다. 전자 충격 (electron-impact; EI) 방법을 사용하여 JEOL JNS-DX 303으로 질량 스펙트럼을 수득하였다.
머크 (Merck)로부터 구입 한 실리카 겔 60 F254로 코팅된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Thin-layer chromatography; TLC)를 수행하였다. 머크 실리카 겔 60 (70-230 메쉬)으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시마즈 HPLC 시스템에서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최종 화합물의 순도를 측정하였다. HPLC 분석 사양은 다음과 같다: 기둥, (A): 시마즈 심 팩 VP-ODS 250 x 2.0 mm or (B): ACE C18-HL, 250 ⅹ 2.1 mm, 유량, 0.2 mL/분; 파장, 254nm; 이동상; 아세토 니트릴-물 (90:10, v/v). 순도는 각각의 최종 화합물에 대해 검출되고 보고된 모든 피크에 대한 면적의 통합에 의해 확립되었다. 생물학적 분석에서 시험된 모든 화합물은 95% 초과의 순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1: 컴퓨터 지원 접근법을 통한 화학 물질의 스크리닝
컴퓨터 지원 접근법(Computer-aided approaches)은 약물 후보의 감소율을 완화하고 지속적인 약물 발견을 위한 새로운 화학 물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우리는 새롭고 선택적인 ERRγ 역작용제를 식별하기 위해 구조 기반 가상 심사(structure-based virtual screening; SBVS)을 적용하였다. ERRγ-4OHT 복합체(PDB ID: 2EWP)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ligand binding domain; LBD)에 기초하여 Asinex의 화학 라이브러리로부터 200,000 개 이상의 화합물을 스크리닝하였다. 가상 스크리닝을 통해 얻은 최고 득점 화합물 중 최적의 후보는, 3-(3-메톡시페닐)-1-페닐-N-(3-(피리딘-3-일옥시)페닐)-1H-피라졸-4-카복사마이드(7)로서 유효 화합물(hit compound)로 선정되었다.
H- 본드는 갈색 불연속 선으로 표시되었고, 관심 원자 간의 거리는 녹색 불연속 선으로 표시되었다. 수치는 Benchware 3D Explorer를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도 2a 및 2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RRγ와 유효 화합물의 계산적인 결합 모드는 화합물의 디아릴 에테르의 부분이 리간드 결합 포켓의 베이스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피리딘 N은 GSK5182와 유사한 H- 결합을 통해 Tyr326과 상호 작용하고 Asn346(4.59 Å)에서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고 있다.
피라졸 고리는 포켓의 목에 위치하며 이러한 3-아니솔(anisole) 고리는 LBP쪽으로 향하고, 반면에 1-페닐 고리는 나선 12을 밀어내기 위해 링을 벗어나서 돌출된다. GSK5182와 달리, 유효 화합물은 Glu275와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리 C의 C5에서 적절한 H-결합 공여체/수용체의 도입은 Glu275와의 상호 작용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에 의하여, 유효 화합물의 여러 유도체가 합성되었다.
실시예 2: 피라졸아마이드의 합성
피라졸아마이드 6 내지 48은 반응식 1에 요약된 바와 같이 합성되었다( a 시약 및 조건: (i) NaOAc, EtOH, 80℃; 또는 NaHCO3/water, EtOH, r.t. to -40℃; 또는 AcOH, EtOH, 80℃; (ii) DMF-POCl3, 80℃; sat. K2CO3 (for 4f: DMF-POCl3, 80℃; sat. NaHCO3; c-HCl); (iii) MeOH, SOCl2, r.t.; (iv) SOCl2, 80℃; NHEt2, CH2C2, r.t.; (v) KMnO4, KOH-H2O, dioxane, r.t.; 또는 KMnO4, H2O-pyridine (1:1 v/v), r.t.; (vi) EDC·HCl, NEt3, CH2Cl2, r.t. w/ 또는 w/out DMAP.).
<반응식 1>
Figure pat00038
시판되는 아세토페논(acetophenone)/아세토나프타논(acetonaphthanone) 1 및 히드라진 2는 방향족 히드라존(aromatic hydrazone) 3으로 응축되었다. 히드라존은 이중 빌스마이어-하크(Vilsmeier-Haack) 반응을 통해 4-포르밀피라졸(formylpyrazole) 4를 생성하였다. 벤조산(benzoic acid) 4f의 에스테르화 및 아미드화는 각각 에스테르 4g 및 아미드 4h를 제공하였다. 4-포르밀피라존 화합물 4를 카르복실산 5로 추가로 환원시켰고, 그것은 카르보디이마이드의 존재하에 원하는 피라졸아마이드 6 내지 42를 얻기 위해서, 아닐린과 결합되었다.
반응식 2와 같이, 화합물 19의 아닐린은 아세트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화합물 43으로 아세틸화되었다. 메틸 에스테르 28, 29 및 34는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레이트염 44 내지 47로 가수분해되었다. 에스테르 34는 LiAlH4에 의해 알코올 48로 환원되었다( a 시약 및 조건: (i) Ac2O, CH2Cl2, r.t.; (ii) LiOH, EtOH, THF, H2O; (iii) NaOH, n-BuOH, reflux; (iv) NaOH, n-BuOH, reflux; c-HCl, H2O; (v) LiAlH4, dry THF, 80℃.).
<반응식 2>
Figure pat0003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라졸아마이드 6 내지 48은 하기 표 1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pat00040
S. No. 화합물 R1 R2 R3 OR4
1. 6 H H H
Figure pat00041
2. 7 3-OMe H H
Figure pat00042
3. 8 H H H
Figure pat00043
4. 9 4-Me H H
Figure pat00044
5. 10 3-OMe H H
Figure pat00045
6. 11 4-Me H H
Figure pat00046
7. 12 3,4-(OMe)2 H H
Figure pat00047
8. 13 H H H
Figure pat00048
9. 14 4-Me H H
Figure pat00049
10. 15 3,4-(OMe)2 H H
Figure pat00050
11. 16 H H CF3
Figure pat00051
12. 17 4-Me H CF3
Figure pat00052
13. 18
Figure pat00053
H CF3
Figure pat00054
14. 19 H H NH2
Figure pat00055
15. 20 4-Me H NH2
Figure pat00056
16. 21 3-OMe H NH2
Figure pat00057
17. 22
Figure pat00058
H NH2
Figure pat00059
18. 23 H H NH2
Figure pat00060
19. 24 4-Me H NH2
Figure pat00061
20. 25 H H NH2
Figure pat00062
21. 26 4-Me H NH2
Figure pat00063
22. 27 3-OMe H NH2
Figure pat00064
23. 28 H H NH2
Figure pat00065
24. 29 4-Me H NH2
Figure pat00066
25. 30 3-OMe H NH2
Figure pat00067
26. 31
Figure pat00068
H NH2
Figure pat00069
27. 32 H H NH2
Figure pat00070
28. 33 4-Me H NH2
Figure pat00071
29. 34 H 4-COOMe NH2
Figure pat00072
30. 35 H 4-CONEt2 NH2
Figure pat00073
31. 36 H H CF3
Figure pat00074
32. 37 3-OMe H CF3
Figure pat00075
33. 38 H H CF3
Figure pat00076
34. 39 3-OMe H CF3
Figure pat00077
35. 40 3-OMe H NH2
Figure pat00078
36. 41 H H NH2
Figure pat00079
37. 42 3-OMe H NH2
Figure pat00080
38. 43 H H NHCOMe
Figure pat00081
39. 44 H H NH2
Figure pat00082
40. 45 4-Me H NH2
Figure pat00083
41. 46 H 4-COONa NH2
Figure pat00084
42. 47 H 4-COOH NH2
Figure pat00085
43. 48 H 4-CH2OH NH2
Figure pat00086
2-1. 1-페닐-2-(1-페닐에틸리덴)히드라진(3a)의 합성
아세토페논 1a (5.00 g, 41.6 mmol)의 혼합물, NaOAc (3.41g, 41.6 mmol), 페닐 히드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6.00 g, 41.6 mmol) EtOH를 8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r.t.)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했다. 얼음으로 식힌 EtOH를 생성된 덩어리에 첨가하고 냉장시켰다. 이렇게 얻은 고체를 여과하여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백색 고체(4.57 g, 52%)의 화합물 3a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7.81-7.77 (m, 2H), 7.41-7.25 (m, 5H), 7.29-7.17 (m, 2H), 6.88 (t, J = 7.5 Hz, 1H), 2.25 (s, 3H).
2-2. 1-페닐-2-(1-(p-톨릴)에틸리덴)히드라진(3b)의 합성
4-메틸 아세토페논 1b (500 mg, 3.70 mmol) 및 페닐 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555 mg, 3.84 mmol)의 EtOH(5 mL) 현탁액에, 물(5 mL)에 NaHCO3(311 mg, 3.70 mmol) 용액을 떨어뜨려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한 후, 2시간 동안 -40℃로 냉각시켰다.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황색 고체(756 mg, 91 %)의 화합물 3b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7.87-7.84 (m, 1H), 7.70 (d, J = 8.1 Hz, 3H), 7.30-7.24 (m, 2H), 7.20-7.15 (m, 3H), 2.41 (s, 3H), 2.25 (s, 3H).
2-3. 1-(1-(3-메톡시페닐)에틸리덴)-2-페닐히드라진(3c)의 합성
화합물 3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97% 3-메톡시아세토페논 1c (1.50 g, 9.99 mmol)를 페닐 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2.17 g, 14.98 mmol), NaOAc (1.64 g, 19.97 mmol) 및 EtOH (20 mL)와 반응시켜 적색 액체(2.00 g, 83 %)로서 화합물 3c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7.40-7.39 (m, 1H), 7.36-7.30 (m, 2H), 7.28- 7.24 (m, 2H), 7.19-7.16 (m, 2H), 6.90-6.84 (m, 2H), 3.86 (s, 3H), 2.22 (s, 3H).
2-4. 1-(1-(3,4-다이메톡시페닐)에틸리덴)-2-페닐하이드라진(3d)의 합성
화합물 3b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98% 3,4-다이메톡시 아세토페논 1d (500 mg, 2.77 mmol)를 페닐 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413 mg, 2.86 mmol), NaHCO3 (233 mg, 2.77 mmol)/물(5 mL)과 EtOH(5 mL)를 반응시켜 백색 고체(387 mg, 52%)로서 화합물 3d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7.53 (d, J = 2.1 Hz, 1H), 7.31-7.26 (m, 2H), 7.23-7.15 (m, 3H), 6.98-6.79 (m, 2H), 3.97 (s, 3H), 3.91 (s, 3H), 2.23 (s, 3H).
2-5. 1-(1-(나프탈렌-2-일)에틸리덴)-2-페닐히드라진(3e)의 합성
화합물 3b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2-아세토나프톤 1e(1.13 g, 6.64 mmol)의 페닐 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1.00 g, 6.92 mmol), NaHCO3(0.56 g, 6.67 mmol)/물(10 mL) 및 EtOH(5 mL)를 반응시켜 백색 고체(1.66 g, 95%)인 화합물 3e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21 (dd, J = 8.7, 2.1 Hz, 1H), 8.00 (s, 1H), 7.88-7.81 (m, 3H), 7.51-7.42 (m, 2H), 7.36-7.29 (m, 2H), 7.28-7.22 (m, 2H), 6.92-6.87 (m, 1H), 2.36 (s, 3H).
2-6. 4-(2-(1-페닐에틸리덴)히드라지닐)벤조산(3f)의 합성
아세토페논 1a (1.5 g, 12.48 mmol)의 혼합물, 97% 4-히드라지노벤조산 2b(1.95 g, 12.48 mmol), 아세트산 (10 방울) 및 EtOH (20 mL)을 80℃에서 설정된 오일 수조를 사용하여 39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과량의 용매 및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얼음으로 식힌 EtOH가 추가되었고, 불용성 분획을 여과하여 담황색 고체를 수득하고, EtOH로부터 추가로 재결정화하여 반짝이는 황색 고체(2.24 g, 70 %)로서 화합물 3f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9.74 (s, 1H), 7.83-7.80 (m, 4H), 7.43-7.26 (m, 5H), 2.29 (s, 3H).
2-7. 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브알데히드(4a)의 합성
POCl3 (8.31 g, 54.2 mmol)이 무수의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DMF, 3.95 g, 54.2 mmol)에 적가되고, 얼음통에서 식혀준 후에,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DMF (5 mL)에 용해된 화합물 3a (3.80g, 18.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이어서 밤새 80℃로 가열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부어서, 얼음에 식혀진 포화 K2CO3 용액에 염기화시켰다.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EtOH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고체(3.80 g, 84 %)인 화합물 4a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06 (s, 1H), 8.54 (s, 1H), 7.84-7.78 (m, 4H), 7.54-7.47 (m, 5H), 7.42-7.36 (m, 1H).
2-8. 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브알데히드(4b)의 합성
화합물 4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3b (0.75 g, 3.34 mmol)를 POCl3 (1.54 g, 10.0 mmol) 및 DMF (0.73 g, 10.0 mmol)와 반응시켜 상아색 고체(566 mg, 65%)인 화합물 4b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05 (s, 1H), 8.53 (s, 1H), 7.81-7.70 (m, 4H), 7.54-7.48 (m, 2H), 7.42-7.36 (m, 1H), 7.31 (d, J = 7.8 Hz, 2H), 2.43 (s, 3H).
2-9. 3-(3-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브알데히드(4c)의 합성
화합물 4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3c (1.50 g, 6.24 mmol)를 POCl3 (2.80 g, 18.7 mmol) 및 DMF (1.40 g, 18.7 mmol)와 반응시켜 갈색 고체(1.17 g, 67 %)의 화합물 4c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06 (s, 1H), 8.54 (s, 1H), 7.80 (d, J = 8.4 Hz, 2H), 7.52 (d, J = 8.4 Hz, 2H), 7.45-7.38 (m, 4H), 7.04-7.00 (m, 1H), 3.89 (s, 3H).
2-10. 3-(3,4-다이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브알데하이드(4d)의 합성
화합물 4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2d (384 mg, 1.42 mmol)를 POCl3 (653 mg, 4.26 mmol) 및 DMF (312 mg, 4.26 mmol)와 반응시켜 황색 액체의 미정제된 화합물 3d를 얻었다. 이 미정제 생성물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11. 3-(나프탈렌-2-일)-1-페닐-1H-피라졸-4-카르브알데히드(4e)의 합성
화합물 4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3e (1.66 g, 6.38 mmol)를 POCl3 (3.10 g, 20.2 mmol) 및 DMF (1.50 g, 20.5 mmol)와 반응시켜 백색 고체(1.52 g, 76%)의 화합물 4e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10.15 (s, 1H), 8.59 (d, J = 0.6 Hz, 1H), 8.33 (d, J = 0.9 Hz, 1H), 7.97-7.89 (m, 4H), 7.85-7.82 (m, 2H), 7.57-7.51 (m, 4H), 7.44-7.41 (m, 1H).
2-12. 4-(4-포르밀-3-페닐-1H-피라졸-1-일)벤조산(4f)의 합성
POCl3 (3.46 g, 22.59 mmol)를 DMF (5 mL)에 적가하고 얼음통에서 식혔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DMF (13 mL) 중 화합물 3f (1.91 g, 7.53 mmol)를 함유하는 용액은 적가되고, 그 반응 혼합물을 80℃로 설정된 오일수조에서 40시간 동안 열을 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얼음통에서 식히고 sat. NaHCO3 용액 (50 mL)으로 중성화시켜 갈색 용액 (pH: 8)을 얻었다. c-HCl을 적가하여 황색 침전물 (pH: 2)을 수득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물로 세척하고 MeOH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백색 고체(1.19 g, 54 %)로서 화합물 4f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0.00 (s, 1H), 9.45 (s, 1H), 8.16-8.09 (m, 4H), 7.95-7.92 (m, 2H), 7.56-7.50 (m, 3H).
2-13. 메틸 4-(4-포르밀-3-페닐-1H-피라졸-1-일)벤조에이트(4g)의 합성
SOCl2 (2.25 g, 18.93 mmol)를 화합물 4f (1.1 g, 3.78 mmol) 및 MeOH(25 mL)의 혼합물에 적가한 후에 얼음수조를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이후 얼음수조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고, 반응이 완료되면, 추가적인 MeOH, SOCl2 및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잔기를 MPLC (n-hexane:EtOAc = 5:1, n-hexane:CH2Cl2: EtOAc = 4:1:1) 을 통해 정제한 후, 황색 고체 (843 mg, 72 %)로서 화합물 4g을, 백색 고체 (206 mg, 15 %)로서 화합물 4g'을 수득하였다. Rf = 0.51 (n-hexane:EtOAc = 2:1). 1H NMR (300 MHz, CDCl3) δ: 10.07 (s, 1H), 8.63 (s, 1H), 8.22-8.17 (m, 2H), 7.93-7.88 (m, 2H), 7.84-7.80 (m, 2H), 7.56-7.46 (m, 3H), 3.96 (s, 3H).
2-14. 1-(4-(((디에틸아미노)옥시)카르보닐)페닐)-3-페닐-1H-피라졸-4-카르브알데히드(4h)의 합성
화합물 4f (200 mg, 0.68 mmol) 및 SOCl2 (5 mL)의 용액을 80℃에서 설정한 오일수조를 사용하여 밤새 가열하였다. 과량의 SOCl2 및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CH2Cl2 (5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얼음수조를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NHEt2 (249 mg, 3.41 mmol)를 플라스크의 내벽을 따라 적가하였다. 얼음수조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용매 및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잔사를 MPLC (n-hexane:EtOAc = 5:1, 4:1, 3:1, 1:1)로 정제하여 점성 액체로서 화합물 4h를 얻었고, 이는 가열 및 진공 펌핑 연장시 연황색 고체로 고체화된다. Rf = 0.15 (n-hexane:EtOAc = 1:1). 1H NMR (300 MHz, CDCl3): δ 10.07 (s, 1H), 8.58 (s, 1H), 7.87-7.80 (m, 4H), 7.56-7.48 (m, 5H), 3.57 (bs, 2H), 3.29 (bs, 2H), 1.26 (bs,
Figure pat00087
3H, overlapped), 1.15 (bs,
Figure pat00088
3H, overlapped).
2-15. 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실산(5a)의 합성
디옥산 (20 mL)에 화합물 4a (3.58 g, 14.4 mmol)가 교반된 용액과 물 (5 ml)을 3 mL의 물에 녹인 KOH (1.21 g, 21.6 mmol)에 첨가하고, 추가로 KMnO4 (3.42 g, 21.6 mmol)을 넣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TLC로 모니터하였다. 과량의 KMnO4는 희석된 H2O2 (물 5 mL 중 1 mL)에 의해 분해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셀 라이트(celite)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 HCl 용액으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EtOH로부터 재결정 화하여 백색 고체(3.36g, 88%)로서 화합물 5a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59 (s, 1H), 7.90-7.86 (m, 2H), 7.80-7.77 (m, 2H), 7.53-7.35 (m, 6H).
2-16. 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실산(5b)의 합성
화합물 5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디옥산 (20 mL)에 녹인 화합물 4b (390 mg, 1.48 mmol)와 물 (5 ml), 물 (3 mL)에 녹인 KOH (125 mg, 2.23 mmol), KMnO4 (352 mg, 2.23 mmol)를 사용하여 백색 고체 (405 mg, 98%)로서 화합물 5b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8.61 (s, 1H), 7.84-7.80 (m, 4H), 7.56-7.51 (m, 2H), 7.44-7.38 (m, 1H), 7.30 (d, J = 7.8 Hz, 2H), 2.45 (s, 3H). MS (ESI): m/z 277 (M-H)-.
2-17. 3-(3-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실산(5c)의 합성
화합물 5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디옥산 (20 ml)에 녹인 화합물 4c (400 mg, 1.43 mmol)와 물 (5 ml), 물 (3 ml)에 녹인 KOH (121 mg, 2.15 mmol) 및 KMnO4 (340 mg, 2.15 mmol)를 사용하여 갈색, 잿빛의 고체(342 mg, 81%)인 화합물 5c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8.58 (s, 1H), 7.79 (d, J = 7.8 Hz, 2H), 7.53-7.46 (m, 4H), 7.41-7.34 (m, 2H), 7.04-6.95 (m, 1H), 3.87 (s, 3H). MS (ESI): m/z 293 (M-H)-.
2-18. 3-(3,4-다이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복실산(5d)의 합성
화합물 5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디옥산 (20 ml)에 녹인 화합물 4d (438 mg)와 물 (5 ml), 물 (3 ml)에 녹인 KOH (240 mg, 4.28 mmol) 및 KMnO4 (673 mg, 4.26 mmol)를 사용하여 상아색의 고체(330 mg, 72%)인 화합물 5d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8.58 (s, 1H), 7.79 (d, J = 7.5 Hz, 2H), 7.55-7.48 (m, 5H), 7.40-7.35 (m, 1H), 3.96 (s, 3H), 3.95 (s, 3H).
2-19. 3-(나프탈렌-2-일)-1-페닐-1H-피라졸-4-카르복실산(5e)의 합성
50% 수성 피리딘 (20 mL) 중 화합물 4e (580 mg, 1.94 mmol)의 현탁액을 1 시간 이내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20-22℃로 유지하면서 KMnO4 (307 mg, 1.94 mmol)에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보라색이 사라지면, 5% 수성 NaOH (30 mL)를 첨가하였다. 이산화망간 침전물을 여과하고, 희석한 HCl을 격렬히 교반하면서 여액에 첨가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고체를 여과 제거하고 빙초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베이지색, 회색 고체 (260 mg, 43%)인 화합물 5e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 6 ) δ: 9.12 (s, 1H), 8.41 (s, 1H), 8.06-7.93 (m, 6H), 7.59-7.53 (m, 4H), 7.40 (t, J = 7.2 Hz, 1H).
2-20. 1-(4-(메톡시카르보닐)페닐)-3-페닐-1H-피라졸-4-카르복실산(5f)의 합성
화합물 5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디옥산 (30 ml)에 녹인 화합물 5f (1.44 g, 4.72 mmol)와 물 (5 ml), 물 (3 ml)에 녹인 KOH (398 mg, 7.09 mmol) 및 KMnO4 (1.12 g, 7.09 mmol)를 사용하여 백색의 고체(1.35 g, 89%)인 화합물 5f를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 δ: 9.21 (s, 1H), 8.17-8.06 (m, 4H), 7.85-7.81 (m, 2H), 7.49-7.43 (m, 3H), 3.88 (s, 3H).
2-21. 1-(4-(((디에틸아미노)옥시)카르보닐)페닐)-3-페닐-1H-피라졸-4-카르복실산(5g)의 합성
화합물 5a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디옥산 (10 ml)에 녹인 화합물 4h (1.13 g, 3.25 mmol)와 물 (5 ml), 물 (7 ml)에 녹인 KOH (273 mg, 4.87 mmol) 및 KMnO4 (770 mg, 4.87 mmol)를 사용하여 백색의 고체(1.17 g, 99%)인 화합물 5g를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8.58 (s, 1H), 7.88-7.86 (m, 2H), 7.82 (d, J = 8.4 Hz, 2H), 7.52 (d, J = 8.4 Hz, 2H), 7.45-7.42 (m, 3H), 3.56 (bs, 2H), 3.29 (bs, 2H), 1.25 (bs,
Figure pat00089
3H, overlapped), 1.15 (bs,
Figure pat00090
3H, overlapped).
2-22. 1,3-디페닐-N-(3-(피리딘-3-일옥시)페닐)-1H-피라졸-4-카르복시산(6)의 합성
화합물 5a (569 mg, 2.15 mmo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다이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EDC·HCl, 495 mg, 2.58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16 mg, 0.13 mmol) 및 CH2Cl2의 혼합물을 얼음수조에 식힌 후 NEt3 (719 mg, 7.10 mmol)을 첨가하였다. 얼음수조를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용매 및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생성된 덩어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CH2Cl2)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304 mg, 32%)로서 화합물 6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60 (s, 1H), 8.40-8.38 (m, 2H), 7.79-7.75 (m, 2H), 7.74-7.70 (m, 2H), 7.57-7.47 (m, 5H), 7.43 (s, 1H), 7.39-7.34 (m, 1H), 7.32-7.26 (m, 2H), 7.22 (t, J = 8.2 Hz, 1H), 7.16 (t, J = 2.2 Hz, 1H), 6.91-6.88 (m, 1H), 6.73-6.70 (m,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4, 157.0, 153.4, 150.7, 144.6, 141.7, 139.3, 139.1, 131.8, 131.5, 130.2, 129.8, 129.6, 129.5, 129.2, 127.6, 125.8, 124.0, 119.4, 118.2, 114.7, 114.2, 110.1. (MS (ESI): m/z 485 (M+Na)+, 461 (M-H)-. HPLC (column A): tr: 3.55 min, purity 44.2%.)
2-23. 3-(3-메톡시페닐)-1-페닐-N-(3-(피리딘-3-일옥시)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7)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c (70 mg, 0.23 mmol) NEt3 (719 mg, 7.10 mmol), EDC·HCl (54 mg, 0.28 mmol) 및 CH2Cl2를 사용하여 황색 액체 (59 mg, 59%)로서 화합물 7을 얻었다. Mp: 86.5-88.2℃. 1H NMR (400 MHz, CDCl3) δ: 8.60 (s, 1H), 8.40-8.38 (m, 2H), 7.79-7.76 (m, 2H), 7.56 (s, 1H), 7.52-7.47 (m, 3H), 7.39-7.35 (m, 1H), 7.32-7.27 (m, 3H), 7.25-7.21 (m, 2H), 7.19 (t, J = 2.2 Hz, 1H), 7.08-7.05 (m, 1H), 6.93-6.90 (m, 1H), 6.74-6.71 (m, 1H), 3.85 (s, 3H). 13C NMR (100 MHz, CDCl3) δ: 160.4, 160.2, 156.9, 153.5, 150.5, 144.5, 141.6, 139.3, 139.1, 133.1, 131.6, 130.3, 130.2, 129.6, 127.6, 125.7, 124.1, 121.6, 119.4, 118.2, 115.9, 114.7, 114.6, 114.3, 110.1, 55.4. MS (ESI): m/z 485 (M+Na)+, 461 (M-H)-. HPLC (column A): tr: 4.03 min.
2-24. N-(3-(2-메톡시-4-메틸페녹시)페닐)-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8)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60 mg, 0.23 mmol), NEt3 (27 mg, 0.27 mmol), EDC·HCl (52 mg, 0.27 mmol) 및 CH2Cl2를 사용하여 상아색 고체(29 mg, 27%)로서 화합물 8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21 (s, 1H), 9.03 (s, 1H), 7.92 (d, J = 7.8 Hz, 2H), 7.82-7.79 (m, 2H), 7.57 (t, J = 7.8 Hz, 1H), 7.45-7.39 (m, 2H), 6.99-6.72 (m, 6H), 6.19-6.16 (m, 1H), 6.16-5.94 (m, 3H), 3.72 (s, 3H), 2.32 (s, 3H). MS (ESI): m/z 498 (M+Na)+. HPLC (column A): tr 2.93 min, purity 78.4%.
2-25. N-(3-(2-메톡시-4-메틸페녹시)페닐)-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9)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b (69 mg, 0.25 mmol), NEt3 (31 mg, 0.31 mmol), EDC·HCl (59 mg, 0.31 mmol) 및 CH2Cl2를 사용하여 갈색 액체(9 mg, 7%)로 화합물 9를 얻었다.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19 (s, 1H), 9.01 (s, 1H), 7.92 (d, J = 7.5 Hz, 2H), 7.70 (d, J = 8.1 Hz, 2H), 7.56 (t, J = 7.2 Hz, 1H), 7.26-7.21 (m, 2H), 7.00-6.86 (m, 5H), 6.84-6.72 (m, 2H), 6.19-6.16 (m, 1H), 5.97-5.94 (m, 1H), 3.71 (s, 3H), 2.32 (s, 3H), 2.30 (s, 3H). MS (ESI): m/z 512 (M+Na)+, 528 (M+K)+. HPLC (column A): tr 4.93 min, purity 97.4%.
2-26. N-(3-(2-메톡시-4-메틸페녹시)페닐)-3-(3-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10)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c (70 mg, 0.24 mmol), NEt3 (29 mg, 0.29 mmol), EDC·HCl (55 mg, 0.29 mmol) 및 CH2Cl2를 사용하여 아이보리색 고체(32 mg, 26%)로서 화합물 10을 수득하였다. Mp: 109.9-113.4℃.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22 (s, 1H), 9.02 (s, 1H), 7.92 (d, J = 7.5 Hz, 2H), 7.56 (t, J = 8.4 Hz, 1H), 7.41-7.31 (m, 4H), 6.99-6.72 (m, 7H), 6.18-6.16 (m, 1H), 5.97-5.94 (m, 1H), 3.76 (s, 3H), 3.72 (s, 3H) 2.32 (s, 3H). MS (ESI) m/z 528 (M+Na)+, 544 (M+K)+. HPLC (column A): tr 2.77 min, purity 84.5%.
2-27. N-(4-(4-이소 프로필 페녹시)페닐)-1-페닐-3-(p-톨릴)-1H-피라-4-카르 복사마이드(11)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b (80 mg, 0.29 mmol), NEt3 (35 mg, 0.35 mmol), EDC·HCl (67 mg, 0.35 mmol), 및 CH2Cl2를 사용하여 백색 고체(53 mg, 37%)로서 화합물 11을 수득하였다. Mp: 164.9-166.3℃.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22 (s, 1H), 9.03 (s, 1H), 7.93 (d, J = 7.8 Hz, 2H), 7.76-7.67 (m, 4H), 7.57 (t, J = 7.5 Hz, 2H), 7.39 (t, J = 7.5 Hz, 1H), 7.25-7.22 (m, 4H), 7.00 (d, J = 9.0 Hz, 2H), 6.90 (d, J = 8.4 Hz, 2H), 2.87 (septet, J = 6.9 Hz, 1H), 2.35 (s, 3H), 1.19 (d, J = 6.9 Hz, 6H). MS (ESI): m/z. HPLC (column A): tr 4.77 min, purity 97.7%.
2-28. 3-(3,4-다이메톡시페닐)-N-(4-(4-이소프로필페녹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12)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d (60 mg, 0.18 mmol), NEt3 (22 mg, 0.22 mmol), EDC·HCl (42 mg, 0.22 mmol) 및 CH2Cl2를 사용하여 백색 고체(31 mg, 32%)로서 화합물 12를 수득하였다. Mp: 81.2-83.5℃.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22 (s, 1H), 9.03 (s, 1H), 7.96-7.92 (m, 2H), 7.69 (d, J = 9.1 Hz, 2H), 7.60-7.52 (m, 3H), 7.46-7.36 (m, 2H), 7.25-7.22 (m, 2H), 7.03-6.99 (m, 3H), 6.93-6.89 (m, 2H), 3.79 (s, 3H), 3.77 (s, 3H), 2.87 (septet, J = 6.9 Hz, 1H), 1.19 (d, J = 6.9 Hz, 6H). MS (ESI): m/z 534 (M+H)+, 532 (M-H)-. HPLC (column A): tr 3.28 min, purity 90.4%.
2-29. N-(4-(2-메톡시-4-메틸페녹시)페닐)-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13)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100 mg, 0.38 mmol), NEt3 (45 mg, 0.45 mmol), EDC·HCl (86 mg, 0.45 mmol), 및 CH2Cl2를 백색 고체(39 mg, 22%)로서 화합물 13을 수득하였다. Mp: 193.2-194.4℃.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16 (s, 1H), 9.05 (s, 1H), 7.93 (d, J = 7.8 Hz, 2H), 7.85-7.82 (m, 2H), 7.60-7.55 (m, 4H), 7.46-7.31 (m, 4H), 6.98 (s, 1H), 6.90 (d, J = 8.1 Hz, 1H), 6.82-6.75 (m, 3H), 3.72 (s, 3H), 2.32 (s, 3H). MS (ESI) m/z 498 (M+Na)+, 514 (M+K)+. HPLC (column A): tr 2.80 min, purity 95.1%.
2-30. N-(4-(2-메톡시-4-메틸페녹시)페닐)-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14)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b (100 mg, 0.36 mmol), NEt3 (44 mg, 0.43 mmol), EDC·HCl (82 mg, 0.43 mmol) 및 CH2Cl2를 사용하여 백색 고체(36 mg, 20%)로서 화합물 14를 수득하였다. Mp: 167.1-168.2℃.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13 (s, 1H), 9.02 (s, 1H), 7.92 (d, J = 7.5 Hz, 2H), 7.74 (d, J = 8.1 Hz, 2H), 7.60-7.54 (m, 4H), 7.38 (t, J = 7.2 Hz, 1H), 7.24 (d, J = 8.1 Hz, 2H), 6.99-6.98 (m, 1H), 6.90 (d, J = 8.1 Hz, 1H), 6.82-6.75 (m, 3H), 3.72 (s, 3H), 2.34 (s, 3H), 2.32 (s, 3H). MS (ESI): m/z 512 (M+Na)+, 528 (M+K)+. HPLC (column A): tr 2.10 min, purity 93.2%.
2-31. 3-(3,4-다이메톡시페닐)-N-(4-(2-메톡시-4-메틸페녹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15)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d (100 mg, 0.31 mmol), NEt3 (37 mg, 0.37 mmol), EDC·HCl (71 mg, 0.37 mmol) 및 CH2Cl2를 아이보리색 고체(33 mg, 20%)로 화합물 15를 수득하였다. Mp: 152.1-154.2℃.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13 (s, 1H), 9.00 (s, 1H), 7.93 (d, J = 7.8 Hz, 2H), 7.60-7.51 (m, 5H), 7.50-7.35 (m, 2H), 7.03-6.98 (m, 2H), 6.90 (d, J = 8.1 Hz, 1H), 6.82-6.75 (m, 3H), 3.79 (s, 3H), 3.76 (s, 3H), 3.72 (s, 3H) 2.32 (s, 3H). MS (ESI): m/z 558 (M+Na)+, 574 (M+K)+. HPLC (column A): tr 2.50 min, purity 94.7%.
2-32. 1,3-다이페닐-N-(3-(피리딘-3-일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16)의 합성
NEt3 (140 mg, 1.39 mmol)을 얼음수조에서 식힌 화합물 5a (306 mg, 1.16 mmol), EDC·HCl (266 mg, 1.39 mmol), DMAP (7 mg, 0.058 mmol) 및 CH2Cl2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 (50 mL)을 첨가하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무수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킨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2:1, 1:1)를 통하여 백색 고체(274 mg, 47%)의 화합물 16을 수득하였다. Mp: 175.4-177.0℃. 1H NMR (300 MHz, CDCl3) δ: 8.60 (s, 1H), 8.47 (t, J = 2.7 Hz, 1H), 8.42 (t, J = 1.5 Hz, 1H), 7.79-7.75 (m, 2H), 7.73-7.69 (m, 2H), 7.57-7.48 (m, 6H), 7.41-7.33 (m, 3H), 7.21-7.20 (m, 2H), 6.94 (t, J = 1.5 Hz, 1H). MS (ESI): m/z 499 (M-H)-. HRMS (ESI): m/z 500.14554 (M)+ (calcd for C28H19F3N4O2, 500.14601). HPLC (column B): tr 2.60 min, purity 99.7%.
2-33. 1-페닐-N-(3-(피리딘-3-일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17)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b (184 mg, 0.66 mmol), EDC·HCl (151 mg, 0.79 mmol), DMAP (4 mg, 0.33 mmol), NEt3 (80 mg, 0.79 mmol) 및 CH2Cl2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2:1, 1:1)를 통하여 백색 고체(106 mg, 31%)인 화합물 17을 수득하였다. Mp: 174.5-176.7℃. 1H NMR (300 MHz, CDCl3) δ: 8.60 (s, 1H), 8.45 (s, 2H), 7.79-7.74 (m, 2H), 7.60-7.56 (m, 3H), 7.52-7.46 (m, 2H), 7.40-7.32 (m, 6H), 7.12 (s, 1H), 6.94 (s, 1H), 2.45 (s, 3H). MS (ESI): m/z 513 (M-H)-. HPLC (column B): tr 2.87 min, purity 98.4%.
2-34. 3-(나프탈렌-2-일)-1-페닐-N-(3-(피리딘-3-일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18)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e (260 mg, 1.02 mmol), EDC·HCl (216 mg, 1.12 mmol), DMAP (6 mg, 0.05 mmol), NEt3 (340 mg, 3.37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3:1, 1:1)를 통하여 아이보리색 고체(16 mg, 3%)로서 화합물 18을 수득하였다. Mp: 176.4-178.0℃. 1H NMR (300 MHz, CDCl3) δ: 8.63 (s, 1H), 8.42-8.37 (m, 2H) 8.24 (s, 1H), 8.02 (d, J = 8.7 Hz, 1H), 7.95-7.86 (m, 2H), 7.82-7.76 (m, 3H), 7.69 (s, 1H), 7.63-7.57 (m, 2H), 7.54-7.47 (m, 3H), 7.42-7.27 (m, 2H), 7.23-7.21 (m, 1H), 7.12 (s, 1H), 6.91 (s, 1H). MS (ESI): m/z 549 (M-H)-. HPLC (column B): tr 2.93 min, purity 97.2%.
2-35. N-(3-아미노-5-(피리딘-3-일옥시)페닐)-1,3-다이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19)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793 mg, 3.00 mmol), EDC·HCl (690 mg, 3.60 mmol), DMAP (18 mg, 0.15 mmol), NEt3 (1.00 g, 9.90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백색 고체(510 mg, 36%)인 화합물 19를 수득하였다. Mp: 148.2-151.5℃ (dec). 1H NMR (300 MHz, CDCl3) δ: 10.01 (s, 1H), 9.04 (s, 1H), 8.38-8.36 (m, 2H), 7.94 (d, J = 8.1 Hz, 2H), 7.84 (d, J = 7.8 Hz, 2H), 7.58 (t, J = 7.8 Hz, 2H), 7.48-7.38 (m, 6H), 6.94 (t, J = 1.8 Hz, 1H), 6.50 (t, J = 1.8 Hz, 1H), 5.99 (t, J = 1.8 Hz, 1H), 5.39 (bs, 2H). 13C NMR (75 MHz, CDCl3) δ: 161.3, 157.2, 153.2, 150.9, 150.6, 144.3, 141.1, 141.0, 139.0, 132.2, 130.4, 129.7, 128.3, 128.1, 127.0, 125.9, 124.6, 118.6, 118.0, 100.8, 99.1, 91.46. MS (ESI): m/z 446 (M-H)-. HRMS (ESI): m/z 447.16840 (M)+ (calcd. for C27H21N5O2, 447.16952). HPLC (column B): tr 2.03 min, purity 98.3%.
2-36. N-(3-아미노-5-(피리딘-3-일옥시)페닐)-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20)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b (100 mg, 0.36 mmol), EDC·HCl (72 mg, 0.376 mmol), DMAP (2 mg, 0.015 mmol), NEt3 (114 mg, 1.13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1:1)에 의해 백색 고체(63 mg, 40%)로서 화합물 20을 수득하였다. Mp: 172.3-175.5℃ (dec). 1H NMR (300 MHz, DMSO-d 6 ) δ: 9.97 (s, 1H), 8.99 (s, 1H), 8.36 (s, 2H), 7.97-7.89 (m, 2H), 7.76-7.70 (m, 2H), 7.58-7.50 (m, 2H), 7.46-7.35 (m, 3H), 7.23 (d, J = 7.8 Hz, 2H), 6.91 (t, J = 1.8 Hz, 1H), 6.48 (t, J = 2.1 Hz, 1H), 5.97 (t, J = 2.1 Hz, 1H), 5.37 (bs, 2H), 2.34 (s, 3H). MS (ESI): m/z 558 (M-H)-. HPLC (column B): tr 1.97 min, purity 97.9 %.
2-37. N-(3-아미노-5-(피리딘-3-일옥시)페닐)-3-(3-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21)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c (100 mg, 0.34 mmol), EDC·HCl (71 mg, 0.37 mmol), DMAP (2 mg, 0.017 mmol), NEt3 (113 mg, 1.12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1:1)에 의하여 백색 고체(41 mg, 25%)로서 화합물 21을 수득하였다. Mp: 187.2-189.1℃.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01 (s, 1H), 9.00 (s, 1H), 8.36-8.33 (m, 2H), 7.93-7.89 (m, 2H), 7.56 (t, J = 7.8 Hz, 2H), 7.44-7.31 (m, 6H), 6.98-6.95 (m, 1H), 6.91 (t, J = 1.8 Hz, 1H), 6.49 (t, J = 1.8 Hz, 1H), 5.97 (t, J = 2.1 Hz, 1H), 5.38 (bs, 2H), 3.77 (s, 3H). MS (ESI): m/z 476 (M-H)-. HRMS (ESI): m/z 477.18024 (M)+ (calcd for C28H23N5O3, 477.18009). HPLC (column B): tr 1.90 min, purity 99.3 %.
2-38. N-(3-아미노-5-(피리딘-3-일옥시)페닐)-3-(나프탈렌-2-일)-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22)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e (94 mg, 0.298 mmol), EDC·HCl (63 mg, 0.33 mmol), DMAP (2 mg, 0.015 mmol), NEt3 (99 mg, 0.98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1:1, EtOAc)에 의하여 화합물 22를 얻었다. 미정제물로부터 EtOAc-불용성 분획물을 여과하여 백색 고체 (39 mg, 26%)로서 화합물 22를 수득하였다. Mp: 213.0-214.4℃.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04 (s, 1H), 9.08 (s, 1H), 8.37-8.34 (m, 3H), 7.98-7.93 (m, 6H), 7.61-7.53 (m, 4H), 7.43-7.38 (m, 3H), 6.93 (s, 1H), 6.50 (s, 1H), 5.98 (s, 1H), 5.37 (s, 2H). MS (ESI): m/z 498 (M+H)+, 496 (M-H)-. HPLC (column B): tr 2.09 min, purity 99.3 %.
2-39. N-(3-아미노-5-(3-이소프로필페녹시)페닐)-1,3-다이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23)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144 mg, 0.55 mmol), EDC·HCl (115 mg, 0.61 mmol), DMAP (3 mg, 0.025 mmol), NEt3 (183 mg, 1.81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상아색 고체(121 mg, 45%)로서 화합물 23을 수득하였다. Mp: 136.7-138.3℃. 1H NMR (300 MHz, DMSO-d 6 ) δ: 9.95 (s, 1H), 9.02 (s, 1H), 7.92 (dd, J = 8.4, 1.2 Hz, 2H), 7.82 (dd, J = 7.8, 1.5 Hz, 2H), 7.57 (t, J = 7.8 Hz, 2H), 7.46-7.36 (m, 4H), 7.27 (t, J = 7.8 Hz, 2H), 7.00-6.76 (m, 4H), 6.48 (t, J = 2.1 Hz, 1H), 5.94 (t, J = 2.1 Hz, 1H), 5.29 (bs, 2H), 2.87 (septet, J = 6.9 Hz, 1H), 1.19 (d, J = 6.9 Hz, 6H). MS (ESI): m/z 487 (M-H)-. HPLC (column B): tr 2.61 min, purity 98.6%.
2-40. N-(3-아미노-5-(3-이소프로필페녹시)페닐)-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24)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b (150 mg, 0.54 mmol), EDC·HCl (114 mg, 0.59 mmol), DMAP (3 mg, 0.027 mmol), NEt3 (180 mg, 1.78 mmol) 및 CH2Cl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3:1, 2:1, 1:1)를 통하여 상아색 고체(100 mg, 37%)로서 화합물 24를 수득하였다. Mp: 132.5-138.3℃. 1H NMR (300 MHz, CDCl3) δ: 8.57 (s, 1H), 7.78-7.73 (m, 2H), 7.60-7.56 (m, 2H), 7.51-7.45 (m, 2H), 7.37-7.21 (m, 5H), 7.00-6.97 (m, 1H), 6.89 (t, J = 2.1 Hz, 1H), 6.86 (t, J = 2.1 Hz, 1H), 6.79 (ddd, J = 5.7, 2.4, 0.9 Hz, 1H), 6.03 (t, J = 2.1 Hz, 1H), 5.99 (t, J = 2.1 Hz, 1H), 3.71 (bs, 2H) 2.89 (septet, J = 6.9 Hz, 1H) , 2.39 (s, 3H), 1.24 (d, J = 6.9 Hz, 6H). MS (ESI): m/z 501 (M-H)-. HPLC (column B): tr 3.03 min, purity 99.7%.
2-41. N-(3-아미노-5-(3-메톡시페녹시)페닐)-1,3-다이페닐-1H-피라졸-4-카르 복스아마이드(25)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66 mg, 0.25 mmol), EDC·HCl (53 mg, 0.27 mmol), DMAP (2 mg, 0.0125 mmol), NEt3 (83 mg, 0.82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2:1, 1:1, EtOAc)에 의하여 갈색 고체(36 mg, 30%)로서 화합물 25를 수득하였다. Mp: 83.7-85.2℃. 1H NMR (300 MHz, CDCl3) δ: 8.57 (s, 1H), 7.78-7.74 (m, 2H), 7.71-7.68 (m, 2H), 7.53-7.45 (m, 5H), 7.38-7.31 (m, 2H), 7.25-7.20 (m, 1H), 6.81 (t, J = 2.1 Hz, 1H), 6.70-6.66 (m, 1H), 6.60-6.55 (m, 2H), 6.04 (t, J = 2.1 Hz, 1H), 5.96 (t, J = 2.1 Hz, 1H), 3.78 (s, 3H), 3.71 (bs, 2H). MS (ESI): m/z 475 (M-H)-. HPLC (column B): tr 2.30 min, purity 95.4%.
2-42. N-(3-아미노-5-(3-메톡시페녹시)페닐)-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26)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b (190 mg, 0.69 mmol), EDC·HCl (146 mg, 0.76 mmol), DMAP (4 mg, 0.034 mmol), NEt3 (234 mg, 2.28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2:1, 1:1)에 의하여 황색 결정(162 mg, 48%)으로서 화합물 26을 수득하였다. Mp: 123.8-128.1℃. 1H NMR (300 MHz, CDCl3) δ: 8.57 (s, 1H), 7.78-7.74 (m, 2H), 7.60-7.57 (m, 2H), 7.52-7.45 (m, 2H), 7.38-7.28 (m, 4H), 7.25-7.19 (m, 1H), 6.85 (t, J = 1.8 Hz, 1H), .6.69-6.65 (m, 1H), 6.61-6.56 (m, 2H), 6.05 (t, J = 2.1 Hz, 1H), 6.01 (t, J = 2.1 Hz, 1H), 3.78 (s, 3H), 3.72 (bs, 2H), 2.40 (s, 3H). MS (ESI): m/z 489 (M-H)-. HPLC (column B): tr 2.33 min, purity 98.5%.
2-43. N-(3-아미노-5-(3-메톡시페녹시)페닐)-3-(3-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27)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c (130 mg, 0.44 mmol), EDC·HCl (93 mg, 0.48 mmol), DMAP (5 mg, 0.041 mmol), NEt3 (133 mg, 1.32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3:1)에 의하여 갈색 고체(69 mg, 31%)로서 화합물 27을 수득하였다. Rf = 0.53 (n-hexane:EtOAc = 1:1). Mp: 73.1-75.1℃. 1H NMR (300 MHz, CDCl3) δ: 8.58 (s, 1H), 7.78-7.75 (m, 2H), 7.51-7.46 (m, 2H), 7.42-7.33 (m, 3H), 7.02-6.98 (m, 1H), 6.81 (t, J = 1.8 Hz, 1H), 6.69-6.66 (m, 1H), 6.60-6.55 (m, 2H), 6.05-6.00 (m, 2H), 3.82 (s, 3H), 3.78 (s, 3H), 3.72 (bs, 2H), 2.40 (s, 3H). MS (ESI): m/z 505 (M-H)-. HPLC (column B): tr 2.18 min, purity 93.0%.
2-44. 메틸3-(3-아미노-5-(1,3-다이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도)페녹시)벤조에이트(28)의 합성
화합물 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29 mg, 0.14 mmol), NEt3 (17 mg, 0.17 mmol), EDC·HCl (32 mg, 0.17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3:1)에 의해 주황색 고체(44 mg, 7%)로서 화합물 28을 수득하였다. Mp: 82.9-85.2℃. 1H NMR (300 MHz, CDCl3) δ: 8.58 (s, 1H), 7.82-7.76 (m, 3H), 7.71-7.68 (m, 2H), 7.65-7.63 (m, 1H), 7.52-7.44 (m, 6H), 7.41-7.34 (m, 2H), 7.22-7.18 (m, 1H), 6.77 (t, J = 2.1 Hz, 1H), 6.03 (t, J = 2.1 Hz, 1H), 5.98 (t, J = 2.1 Hz, 1H), 3.91 (s, 3H), 3.73 (bs, 2H). MS (ESI) m/z 503 (M-H)-. HPLC (column B): tr 2.10 min, purity 99.1%.
2-45. 메틸3-(3-아미노-5-(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도)페녹시)벤조에이트(29)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b (197 mg, 0.71 mmol), EDC·HCl (163 mg, 0.85 mmol), DMAP (4 mg, 0.033 mmol), NEt3 (86 mg, 0.85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4:1, 3:1, 1:1)에 의해서 백색 고체(152 mg, 41%)로서 화합물 29를 수득하였다. Mp: 157.9-159.7℃. 1H NMR (300 MHz, CDCl3) δ: 8.57 (s, 1H), 7.80-7.74 (m, 3H), 7.65-7.64 (m, 1H), 7.60-7.57 (m, 2H), 7.51-7.46 (m, 2H), 7.43-7.28 (m, 5H), 7.22-7.18 (m, 1H), 6.06-6.03 (m, 2H), 3.90 (s, 3H), 3.73 (bs, 2H), 2.38 (s, 3H). MS (ESI) m/z 541 (M+Na)+, 517 (M-H)-. HPLC (column B): tr 2.27 min, purity 98.7%.
2-46. 메틸3-(3-아미노-5-(3-(3-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도)페녹시)벤조에이트(30)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c (168 mg, 0.57 mmol), EDC·HCl (120 mg, 0.63 mmol), DMAP (4 mg, 0.030 mmol), NEt3 (193 mg, 1.90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4:1)에 의하여 갈색 고체(82 mg, 27%)로서 화합물 30을 수득하였다. Rf = 0.63 (n-hexane:EtOAc = 1:1). Mp: 86.8-90.6℃.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00 (s, 1H), 9.01 (s, 1H), 7.93-7.91 (m, 2H), 7.71-7.68 (m, 1H), 7.59-7.51 (m, 3H), 7.47-7.32 (m, 6H), 7.00-6.93 (m, 2H), 6.51 (t, J = 1.8 Hz, 1H), 5.99 (t, J = 1.8 Hz, 1H), 5.37 (bs, 2H), 3.83 (s, 3H), 3.77 (s, 3H). MS (ESI) m/z 557 (M+Na)+, 533 (M-H)-. HPLC (column B): tr 2.10 min, purity 97.4%.
2-47. 메틸3-(3-아미노-5-(3-(나프탈렌-2-일)-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도)페녹시)벤조에이트(31)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e (69 mg, 0.22 mmol), EDC·HCl (46 mg, 0.24 mmol), DMAP (1 mg, 0.01 mmol), NEt3 (72 mg, 0.72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2:1, 1:1)에 의하여 백색 재 (19 mg, 16%)로서 화합물 31을 수득하였다. Mp: 91.4-93.0℃. 1H NMR (300 MHz, CDCl3) δ: 8.59 (s, 1H), 8.23 (s, 1H), 7.97-7.94 (m, 1H), 7.89-7.85 (m, 2H), 7.82-7.74 (m, 4H), 7.59-7.57 (m, 1H), 7.55-7.46 (m, 5H), 7.40-7.31 (m, 2H), 7.12 (ddd, J = 8.1, 2.4, 1.2 Hz, 1H), 6.62 (t, J = 2.1 Hz, 1H), 6.08 (t, J = 2.1 Hz, 1H), 6.00 (t, J = 2.1 Hz, 1H), 3.89 (s, 3H), 3.67 (bs, 2H). MS (ESI) m/z 553 (M-H)-. HPLC (column B): tr 2.43 min, purity 99.2%.
2-48. 메틸4-(3-아미노-5-(1,3-다이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도)페녹시)벤조에이트(32)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121 mg, 0.46 mmol), EDC·HCl (105 mg, 0.55 mmol), DMAP (4 mg, 0.033 mmol), NEt3 (55 mg, 0.55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MPLC (n-hexane:EtOAc = 7:1, 1:1)를 통하여 백색 고체(57 mg, 25%)로서 화합물 32를 수득하였다. Mp: 93.2-95.2℃. 1H NMR (300 MHz, CDCl3) δ: 8.58 (s, 1H), 8.02-7.98 (m, 2H), 7.79-7.75 (m, 2H), 7.72-7.69 (m, 2H), 7.55-7.47 (m, 5H), 7.40-7.34 (m, 1H), 7.30 (s, 1H), 7.01-6.97 (m, 2H), 6.75 (t, J = 2.1 Hz, 1H), 6.11 (t, J = 2.1 Hz, 1H), 6.08 (t, J = 2.1 Hz, 1H), 3.91 (s, 3H), 3.76 (bs, 2H). MS (ESI) m/z 503 (M-H)-. HPLC (column B): tr 2.07 min, purity 99.7%.
2-49. 메틸4-(3-아미노-5-(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도)페녹시)벤조에이트(33)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b (101 mg, 0.36 mmol), EDC·HCl (83 mg, 0.44 mmol), DMAP (4 mg, 0.030 mmol), NEt3 (44 mg, 0.44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3:1, 2:1)에 의하여 갈색 고체(20 mg, 11%)로서 화합물 33을 수득하였다. Mp: 116.9-119.7℃. 1H NMR (300 MHz, DMSO-d 6 ) δ: 9.98 (s, 1H), 9.00 (s, 1H), 7.99-7.89 (m, 4H), 7.75-7.70 (m, 2H), 7.58-7.53 (m, 2H), 7.38 (t, J = 7.5 Hz, 1H), 7.23 (d, J = 7.8 Hz, 2H), 7.09-7.04 (m, 2H), 6.94 (t, J = 1.8 Hz, 1H), 6.55 (t, J = 1.8 Hz, 1H), 6.03 (t, J = 1.8 Hz, 1H), 5.40 (bs, 2H), 3.82 (s, 3H), 2.34 (s, 3H). MS (ESI) m/z 517 (M-H)-. HPLC (column B): tr 2.23 min, purity 92.5%.
2-50. 메틸4-(4-((3-아미노-5-(피리딘-3-일옥시)페닐)카바모일)-3-페닐-1H-피라졸-1-일)벤조에이트(34)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f (4.14 g, 12.86 mmol), EDC·HCl (3.2 g, 16.72 mmol), DMAP (47 mg, 0.38 mmol), NEt3 (4.29 g, 42.46 mmol) 및 CH2Cl2 (35 mL)를 반응시켜, MPLC (n-hexane:EtOAc = 5:1, CH2Cl2 : EtOAc = 3:1, 1:1)를 통하여 회백색(off-white) 고체(3.28 mg, 50 %)로서 화합물 34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0.05 (s, 1H), 9.16 (s, 1H), 8.37-8.33 (m, 2H), 8.16-8.07 (m, 4H), 7.84-7.81 (m, 2H), 7.48-7.38 (m, 5H), 6.92 (t, J = 1.8 Hz, 1H), 6.47 (t, J = 1.9 Hz, 1H), 5.98 (t, J = 2.1 Hz, 1H), 5.38 (s, 2H), 3.88 (s, 3H).
2-51. N-(3-아미노-5-(피리딘-3-일옥시)페닐)-1-(4-(디에틸카르바모일)페닐)-3-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35)의 합성
상기 2-50의 제조방법으로부터 화합물 35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59 (s, 1H), 8.34 (d, J = 2.4 Hz, 2 H), 7.82-7.78 (m, 2H), 7.71-7.68 (m, 2H), 7.55-7.48 (m, 5H), 7.35 (s, 1H), 7.29-7.26 (m,
Figure pat00091
2H, overlapped with CHCl3 peak), 6.73 (t, J = 1.9 Hz, 1H), 6.07 (t, J = 1.9 Hz, 1H), 6.04 (t, J = 2.1 Hz, 1H), 3.76 (s, 2H), 3.55 (bs, 2H), 3.29 (bs, 2H), 1.23 (bs,
Figure pat00092
3H, overlapped), 1.15 (bs,
Figure pat00093
3H, overlapped).
2-52. N-(3-(2-(디메틸아미노)에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36)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602 mg, 2.28 mmol), EDC·HCl (522 mg, 2.73 mmol), DMAP (14 mg, 0.11 mmol), NEt3 (276 mg, 2.73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에 의하여 백색 고체(343 mg, 30%)로서 화합물 37을 수득하였다. 아세톤 (5 mL)에 녹인 유리 아민 화합물 36 (30 mg)의 혼합물에 c-HCl (1 mL)을 첨가하였고 실온에서 한시간 저어주었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여 황색 고체(30 mg)로서 화합물 36·HCl을 수득하였다. Mp: 156.3-157.5℃.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48 (s, 1H), 9.13 (s, 1H), 7.96-7.92 (m, 2H), 7.84-7.81 (m, 2H), 7.68 (s, 1H), 7.61-7.56 (m, 3H), 7.48-7.39 (m, 3H), 6.99 (s, 1H), 4.11 (t, J = 2.7 Hz, 2H), 2.64 (t, J = 2.7 Hz, 2H), 2.22 (s, 6H). MS (ESI): m/z 495 (M+H)+, 493 (M-H)-. HPLC (column B): tr 3.91 min, purity 96.5%.
2-53. N-(3-(2-(디메틸아미노)에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36·HCl)의 합성
Mp: 132.8-141.2℃.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61 (s, 1H), 9.84 (s, 1H), 9.21 (s, 1H), 7.95-7.93 (m, 2H), 7.86-7.80 (m, 3H), 7.64 (s, 1H), 7.59 (t, J = 7.8 Hz, 2H), 7.48-7.39 (m, 4H), 7.06 (s, 1H), 4.40 (t, J = 8.1 Hz, 2H), 3.56-3.50 (m, 2H), 2.86 (s, 6H). MS (ESI): m/z 495 (M+H)+, 493 (M-H)-. HPLC (column B): tr 4.07 min, purity 98.8%.
2-54. N-(3-(2-(디메틸아미노)에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메 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37)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c (676 mg, 2.30 mmol), EDC·HCl (485 mg, 2.53 mmol), DMAP (15 mg, 0.12 mmol), NEt3 (770 mg, 7.60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MeOH = 9:1)에 의하여 상아색 고체(623 mg, 70%)로서 화합물 37을 수득하였다. Mp: 70.8-73.8℃.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49 (s, 1H), 9.12 (s, 1H), 7.97-7.93 (m, 2H), 7.67 (s, 1H), 7.61-7.56 (m, 3H), 7.44-7.34 (m, 4H), 7.01-6.97 (m, 2H), 4.11 (t, J = 3.0 Hz, 2H), 3.78 (s, 3H), 2.64 (t, J = 3.0 Hz, 2H), 2.21 (s, 6H). MS (ESI): m/z 525 (M+H)+, 523 (M-H)-. HPLC (column B): tr 2.57 min, purity 98.7%.
2-55. N-(3-(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38)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146 mg, 0.55 mmol), EDC·HCl (127 mg, 0.66 mmol), DMAP (3 mg, 0.028 mmol), NEt3 (67 mg, 0.66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에 의하여 상아색 고체(84 mg, 30%)로서 화합물 38을 수득하였다. Mp: 122.3-124.2℃.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48 (s, 1H), 9.14 (s, 1H), 7.96-7.93 (m, 2H), 7.84-7.81 (m, 2H), 7.68 (s, 1H), 7.61-7.56 (m, 3H), 7.48-7.38 (m, 4H), 6.91 (s, 1H), 4.04 (t, J = 6.6 Hz, 2H), 2.36 (t, J = 6.9 Hz, 2H), 2.14 (s, 6H), 1.87 (pentet, J = 6.6 Hz, 2H). MS (ESI): m/z 509 (M+H)+, 507 (M-H)-. HPLC (column B): tr 3.84 min, purity 96.2%.
2-56. N-(3-(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3-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39)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c (162 mg, 0.55 mmol), EDC·HCl (116 mg, 0.60 mmol), DMAP (3 mg, 0.030 mmol), NEt3 (182 mg, 1.80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MeOH = 4:1)에 의해 황색 액체(153 mg, 52%)로서 화합물 39를 수득하였다. Rf = 0.21 (EtOAc:MeOH = 2:1).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50 (s, 1H), 9.13 (s, 1H), 8.00-7.89 (m, 2H), 7.67 (s, 1H), 7.61-7.52 (m, 3H), 7.44-7.34 (m, 4H), 7.01-6.96 (m, 2H), 4.06 (t, J = 6.6 Hz, 2H), 3.78 (s, 3H), 2.35 (t, J = 6.9 Hz, 2H), 2.14 (s, 6H), 1.86 (pentet, J = 6.6 Hz, 2H). MS (ESI): m/z 539 (M+H)+, 537 (M-H)-. HPLC (column B): tr 2.49 min, purity 95.3%.
2-57. N-(3-아미노-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3-(3-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40)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c (164 mg, 0.56 mmol), EDC·HCl (120 mg, 0.61 mmol), DMAP (3 mg, 0.030 mmol), NEt3 (203 mg, 2.00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갈색 액체(31 mg, 20%)로서 화합물 40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 6 ) δ: 10.01 (s, 1H), 9.12 (s, 1H), 7.97-7.92 (m, 3H), 7.60-7.53 (m, 2H), 7.44-7.33 (m, 4H), 7.00-6.96 (m, 1H),6.82 (bs, 1H), 6.70 (s, 1H), 6.59 (s, 1H), 5.96-5.95 (m, 1H), 4.07 (t, J = 5.4 Hz, 2H), 3.78 (s, 3H), 3.00 (t, J = 5.4 Hz, 2H), 2.49 (s, 6H). MS (ESI) m/z 472 (M+H)+, 470 (M-H)-. HPLC (column B): tr 3.07 min, purity 98.9%.
2-58. N-(3-아미노-5-(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41)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a (72 mg, 0.27 mmol), EDC·HCl (57 mg, 0.30 mmol), DMAP (2 mg, 0.013 mmol), NEt3 (91 mg, 0.89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갈색 액체(31 mg, 24%)로서 화합물 41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 6 ) δ: 8.99 (s, 1H), 8.79 (s, 1H), 7.97-7.84 (m, 3H), 7.69-7.66 (m, 2H), 7.58-7.53 (m, 3H), 7.46-7.36 (m, 5H), 3.64 (t, J = 2.1 Hz, 2H), 3.09-3.00 (m, 2H), 2.03 (s, 6H), 0.95 (t, J = 7.2 Hz, 2H). MS (ESI): m/z. HPLC (column B): tr 2.50 min, purity 95.6%.
2-59. N-(3-아미노-5-(3-(디메틸아미노)프로폭시)페닐)-3-(3-메톡시페닐)-1-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42)의 합성
화합물 16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5c (130 mg, 0.44 mmol), EDC·HCl (93 mg, 0.48 mmol), DMAP (3 mg, 0.022 mmol), NEt3 (147 mg, 1.50 mmol) 및 CH2Cl2를 반응시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MeOH = 4:1)에 의하여 황색 액체(100 mg, 47%)로서 화합물 42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 6 ) δ: 9.87 (s, 1H), 9.25 (s, 1H), 8,16 (d, J = 7.2 Hz, 1H), 7.95-7.92 (m, 1H), 7.57 (t, J = 7.5 Hz, 2H), 7.43-7.32 (m, 4H), 6.99-6.95 (m, 1H), 6.84-6.82 (m, 2H), 6.61-6.57 (m, 2H), 5.91-5.90 (m, 1H), 3.90 (t, J = 6.0 Hz, 2H), 3.77 (s, 3H), 3.03-2.97 (m, 2H), 2.64 (s, 6H), 1.42-1.41 (m, 2H). MS (ESI): m/z 486 (M+H)+, 484 (M-H)-. HPLC: tr 6.39 min, purity 98.5%.
2-60. N-(3-아세트아마이도-5-(피리딘-3-일옥시)페닐)-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43)의 합성
화합물 19 (15 mg, 0.030 mmol) 및 CH2Cl2 중의 피리딘 (4 mg, 0.040 mmol)의 혼합물에 무수 아세트산 (5 mg, 0.04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밤새 교반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이어서 희석된 HCl로 세척한 후에, NaHCO3에 순차적으로 포화시켰다. 유기추출물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킨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베이지색 고체(8 mg, 54%)로서 화합물 43을 수득하였다. Mp: 207.8-209.3℃. 1H NMR (300 MHz, CDCl3) δ: 8.56 (s, 1H), 8.38 (s, 2H), 7.77-7.73 (m, 2H), 7.72-7.67 (m, 2H), 7.55-7.46 (m, 7H), 7.39-7.28 (m, 4H), 7.12 (s, 1H), 6.60 (t, J = 2.1 Hz, 1H), 2.12 (s, 3H). MS (ESI): m/z 512 (M+Na)+, 528 (M+K)+. HPLC (column B): tr 1.87 min, purity 99.7%.
2-61. 3-(3-아미노-5-(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도)페녹시)벤조산(44)의 합성
THF (2 mL) 중 화합물 28 (20 mg, 0.04 mmol)의 용액, EtOH (1 mL) 및 물 (2 mL)에 리튬 히드록사이드 (5 mg, 0.1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백색 고체(4 mg, 20 %)로서 화합물 44를 수득하였다. Rf = 0.08 (n-hexane:EtOAc = 1:1). Mp: 207.0-210.2℃. 1H NMR (300 MHz, DMSO-d 6 ) δ: 9.98 (s, 1H), 9.05 (s, 1H), 7.93-7.91 (m, 2H), 7.84-7.81 (m, 2H), 7.55 (t, J = 8.1 Hz, 3H), 7.46-7.35 (m, 5H), 7.23 (t, J = 7.8 Hz, 1H), 6.94-6.92 (m, 2H), 6.42 (t, J = 2.1 Hz, 1H), 5.93 (t, J = 2.1 Hz, 1H), 5.26 (bs, 2H). MS (ESI): m/z 489 (M-H)-. HPLC (column B): tr 1.20 min, purity 99.0%.
2-62. 3-(3-아미노-5-(1-페닐-3-(p-톨릴)-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도)페녹시)벤조산(45)의 합성
화합물 44의 합성에 대하여 기재된 과정에 따라 화합물 29 (92 mg, 0.18 mmol)와 리튬 히드록사이드 (23 mg, 0.53 mmol)로부터 백색 고체(45 mg, 50%)로서 화합물 45를 수득하였다. Mp: 208.7-210.5℃. 1H NMR (300 MHz, DMSO-d 6 ) δ: 9.96 (s, 1H), 9.01 (s, 1H), 7.90 (d, J = 7.5 Hz, 2H), 7.72 (d, J = 8.1 Hz, 2H), 7.57-7.52 (m, 3H), 7.40-7.34 (m, 2H), 7.25-7.20 (m, 3H), 6.94-6.91 (m, 2H), 6.42 (t, J = 2.1 Hz, 1H), 5.93 (t, J = 2.1 Hz, 1H), 5.26 (bs, 2H), 2.34 (s, 3H). MS (ESI): m/z 503 (M-H)-. HPLC (column B): tr 1.23 min, purity 94.4%.
2-63. 소듐4-(4-((3-아미노-5-(피리딘-3-일옥시)페닐)카바모일)-3-페닐-1H-피라졸-1-일)벤조에이트(46)의 합성
1-부탄올 (5 mL) 중 화합물 34 (73 mg, 0.14 mmol)의 혼합물에 NaOH (23 mg, 0.5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4분 동안 120℃로 설정된 오일수조를 사용하여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수조를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여 백색 고체(67 mg, 90%)로서 화합물 46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0.05 (s, 1H), 9.03 (s, 1H), 8.37-8.33 (m, 2H), 7.98 (d, J = 8.7 Hz, 2H), 7.84-7.77 (m, 4H), 7.47-7.38 (m, 5H), 6.93 (t, J = 1.6 Hz, 1H), 6.51 (t, J = 1.9 Hz, 1H), 5.97 (t, J = 2.1 Hz, 1H), 5.36 (s, 2H).
2-64. 4-(4-((3-아미노-5-(피리딘-3-일옥시)페닐)카바모일)-3-페닐-1H-피라졸-1-일)벤조산(47)의 합성
1-부탄올 (8 mL) 중 화합물 34 (400 mg, 0.79 mmol)의 혼합물에 NaOH (126 mg, 3.1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1분 동안 120℃로 설정된 오일수조를 사용하여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수조를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물 (5 mL)에 용해시켰다. c-HCl (30 방울)을 첨가하였다 (pH = 1).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여과지에 남은 점착성 잔류물을 MeOH로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갈색 고체(180 mg, 46%)로서 화합물 47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0.05 (s, 1H), 9.14 (s, 1H), 8.37-8.34 (m, 2H), 8.13-8.04 (m, 4H), 7.84-7.81 (m, 2H), 7.48-7.40 (m, 5H), 6.93 (t, J = 1.6 Hz, 1H), 6.48 (t, J = 1.9 Hz, 1H), 5.98 (t, J = 2.1 Hz, 1H).
2-65. N-(3-아미노-5-(피리딘-3-일옥시)페닐)-1-(4-(히드록시메틸)페닐)-3-페닐-1H-피라졸-4-카르복스아마이드(48)의 합성
얼음수조에서 식힌 건조한 THF (15 mL) 중의 화합물 34 (452 mg, 0.89 mmol)를 격렬히 저어가면서 LiAlH4 (119 mg, 3.13 mmol)를 첨가하였다. 얼음수조에서 꺼낸 후 반응 혼합물을 밤새 80℃로 설정된 오일수조를 사용하여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수조를 사용하여 냉각시킨 후 30 NaOH (3 mL)를 적가하였다. 황색 혼합물은 풍부하고 전투적인 녹색으로 변했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MPLC(n-hexane:EtOAc = 4:1, CH2Cl2:EtOAc = 3:1, 1:1) 를 통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184 mg, 43%)로서 화합물 48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피라졸아마이드의 스크리닝
세포 기반 리포터 유전자 분석을 통한 ERRγ 전사 활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총 43 개의 합성 피라졸아마이드 6-48이 10 uM 농도에서 스크리닝되었다.
고리 B(33, 35 그리고 46-48)안에서의 에스테르의 유도체, 카르복실산, 그리고 카르복실레이트 그룹은 덜 강력하다. 아미노 알킬 사슬 (36-42)을 갖는 에테르는 일반적으로 디아릴 에테르보다 활성이 낮다. 이러한 결과는 방향족 고리가 소수성 LBP와 화합물의 결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제 조건임을 보여준다. 유효 화합물 (7)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11개 화합물(6, 12-16, 19, 21, 25, 27 및 28)은 ERRγ의 전사 활성에 대해 유사하거나 더 강한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IC50 값을 결정하기 위해 화합물을 여러 농도에서 추가로 분석하여 데이터를 화학식 2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94
S. No. 화합물 R1 R2 OR3 IC50 (uM)
1. 6 H H
Figure pat00095
1.33
2. 7 3-OMe H
Figure pat00096
2.11
3. 12 3,4-(OMe)2 H
Figure pat00097
9.95
4. 13 H H
Figure pat00098
9.48
5. 14 4-Me H
Figure pat00099
5.48
6. 15 3,4-(OMe)2 H
Figure pat00100
10.42
7. 16 H CF3
Figure pat00101
6.75
8. 19 H NH2
Figure pat00102
5.12
9. 21 3-OMe NH2
Figure pat00103
2.91
10. 25 H NH2
Figure pat00104
13.52
11. 27 3-OMe NH2
Figure pat00105
8.47
12. 28 H NH2
Figure pat00106
8.42
13. GSK5182 - - - 7.92 nM
메타-치환된 O-피리딘 고리(OR4)는 역작용 활성화에 최적이었다. O-피리딘 고리를 3-아니솔(anisole) 고리로 교체하면 2.5배 (화합물 19 vs 화합물 25) 및 약 3배 (화합물 21 vs 화합물 27)의 효능이 감소되었다. 3-아니솔 고리를 3-메틸벤조에이트 (화합물 25 vs 화합물 28)로 치환하면 활성이 약간 향상되었다.
파라-치환된 O-페닐 고리는 적절한 선택이 아니었다. 기능적 그룹을 가진 화합물 12-15는 덜 강력하다. (IC50: 10.42-5.48 uM). 고리 C에서 CF3 (R2)기를 갖는 화합물 16의 효능은 -NH2기에 대한 대안일 수 있음을 제시하고, 화합물 19의 것과 유사하였다. 유효 화합물 7 및 비치환 유도체 6은 가장 강력한 역작용을 나타냈다(IC50: 2.1 and 1.33 uM, respectively).
실시예 4: 피라졸아마이드의 다른 핵 수용체에 대한 선택성 조사
ERRγ에 대한 4개의 강력한 피라졸아마이드 (6, 7, 19 및 21)의 선택성을, 구성적 안드로스탠 수용체(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간세포 핵 인자 4α(hepatocyte nuclear factor 4α; HNF-4α), 핵 수용체 관련 1(nuclear receptor related 1; NURR1) 및 스테로이드 생성인자 1(steroidogenic factor 1; SF-1)과 같은 다른 핵 수용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도 4a 내지 4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험된 유도체 중, 화합물 19는 CAR, HNF-4α 및 NURR1에 대해 가장 적은 효과를 나타냈다. 유도체는 SF-1의 활성 또한 크게 억제하지 않았다. 이들 결과를 기반으로, 추가 조사를 위해 선택적으로 활성 및 ERRγ에 대한 현저한 효능을 나타내는 유도체 19가 선택되었다.
실시예 5: 피라졸아마이드의 ERα 및 ERRα에 대한 선택성 및 ERRγ에 대한 친화도 조사
ERα 및 ERR은 높은 수준의 4-OHT가 ERα와 ERRγ 사이의 시스템 상의 혼선을 매개함으로서 리간드-결합 도메인을 수반하는 구조적 유사성을 나타낸다.
도 5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예상대로 ERα 및 ERRγ의 길항제/역작용제인 4-OHT는 ERα의 에스트라디올 (E2)-매개 활성화를 상당히 억제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ERα의 전사 활성은 화합물 19(CNU2945)에 의해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ERRγ의 ERα에 대한 선택성이 제안되었다.
도 5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더 흥미로운 것은, ERRα 및 ERRβ에 대한 억제 효과는 ERR 서브 패밀리에 대한 그의 선택성을 강조하면서 미미하게 약해졌다는 점이다.
ERRγ 과 ERα 및 ERRα의 선택도에 대한 화합물 19의 친화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도킹 스터디(docking study)가 수행되었다. 도킹 스터디는 Surflex Doc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Sybyl-X 2.1.1 (winnt_os5x)에서 수행되었다.
ERRγ-GSK5182의 구조는 Protein Data Bank (PDB: 2EWP)에서 다운로드하였다. 리간드(GSK5182)를 추출하였다. 수소를 첨가하였고 적절한 매개 변수의 최소화는 MMFF94의 힘의 영역에서 MMFF94 전하를 사용하며 수행되었고, 결합 구배(conjugate gradient) 방법 및 거리 의존 유전 상수를 사용하였고, 0.01 kcal/mol·Å으로 수렴하였다. 프로토몰(Protomol), 결합 부위와의 모든 잠재적인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리간드의 이상화된 표현으로서, 리간드 모드에 따라 생성되었다.
피라졸아마이드 19 및 GSK5182는 Sybyl에서 제작되었다. 그 에너지는 MMFF94의 힘의 영역과 MMFF94의 전하에 의해 최소화되고 Syby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다. Sybyl 데이터베이스의 화합물은 앞서 구성된 프로토몰에 기초하여 Surflex Dock에 의해 결합 부위에 도킹되었다. 추출된 GSK5182는 기준 분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도킹 프로토몰은 GSK5182(수동으로 Sybyl 데이터베이스에서 구성되고 저장된)과 결합부위에서 0.76 Å 제곱 평균 편차 (rmsd)의 추출된 GSK5182의 무거운 원자로 재생산되었다.
도킹 후 ERRγ-19 복합체 및 ERRγ의 3D 구조 (apo 형식, PDB ID: 2ZBS)가 생성되고, ERα-4-OHT (PDB ID: 3ERT), ERα-DES (PDB ID: 3ERD), ERRα- 디아릴 에테르 리간드 (PDB ID: 3K6P)는 Benchware 3D Explorer를 사용하여 알파 탄소 원자에 따라 정렬되었다. 가상의 ERRγ-19 구조는 주형으로 고정되었고, 나머지 복합체는 주형과 정렬되었다.
H- 본드 및 관심있는 원자 간의 거리는 각각 갈색 및 녹색 불연속 선으로 표시된다. ERRγ-19의 아미노산 및 리간드는 회색으로 표시되는 반면, ERα는 분홍색으로, ERRα는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도면은 Benchware 3D Explorer를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도 5c 및 5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화합물 19의 피리딘 N은 Tyr326 OH와 H- 결합을 형성하고 Asn346의 NH2로부터 근접한 거리에(4.49 Å) 이르게 된다. 예상대로, 화합물 19의 아미노 치환기와 Glu275 사이에 추가적인 수소 결합이 검출되었다.
또한, apoERRγ (PDB ID: 2ZBS)와 ERRγ의 LBP에서 화합물 19의 추정된 결합 입체 형태의 중첩은 강력한 ERRγ 역작용제로서의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ERRγ가 리간드 부재 하에서 전사적 활성 형태를 채택하기 때문에, apoLBD는 작용제 효과를 나타낸다.
화합물 19는 수소 결합에 의해 포켓 내부에 깊숙히 고정되기 때문에, 피라 졸의 C3에서 페닐 고리는 결국 Phe435가 차지하는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적인 입체 갈등은 Phe435가 LBP에서 뒤집히도록 유도하고, 이는 H12의 Leu454를 추가로 방해하여, 활성 입체 형태의 표준 전사를 배제한다. 또한, 화합물 19의 N-페닐 고리와 Phe450 사이의 입체 장애는 LBP의 입구로부터 H12의 위치를 바꿀 동일한 책임이 있다.
도 5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Rα 대비 ERRγ에 관한 피라졸린아마이드 19의 선택성은 피라졸린아미드 19와 아미노산 Tyr326 사이의 H-결합 상호 작용에 기인하고, 아미노산으로서 ERRγ의 Asn346이 Phe404 및 Phe425로 거의 대체되었다.
피라졸 C3- 페닐 고리에서의 H-결합 공여체의 부족은 His434/His524의 상호 작용을 저해한다. 피라졸린아마이드 19는 ERRα에 대해서 불활성화되는데, 핵 인자 내의 아미노산 잔기와의 H-결합 형성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도 5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RRγ의 Tyr326 및 Asn346 아미노산은 ERRα안에서 각각 Phe382 및 Gly402로 교체된다. 또한, ERRγ의 Glu275에 상응하는 Glu331의 COOH 부분은 H-결합 형성을 저해하기 위해 LBP로부터 멀어진다.
예측된 분자 도킹은 돌연변이 유발 연구를 통해서 확인되었다. Glu275, Tyr326 및 Asn346의 세 가지 아미노산은 알라닌으로 돌연변이 되었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275A 및 N346A 돌연변이와 상관없이, GSK5182는 ERRγ 활성에 대한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그 화합물은 Y326A 돌연변이의 경우에는 불활성화되었고, Tyr326과의 상호 작용이 Asn346 및 Glu275보다 결정적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GSK5182와 달리, 모든 돌연변이는 화합물 19의 효능에 해를 끼쳤다. Y326A 돌연변이는 효율의 완전한 손실을 초래하였고, N326A 및 E275A 돌연변이는 효능이 크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관찰은 도킹 모델에 의해 예측된 바와 같이, H-결합을 통한 Tyr326 및 Glu275와 화합물 19의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입증한다.
실시예 6: 피라졸아마이드의 ERRγ 역작용제로서의 치료효과 확인
화합물 19의 ERRγ 역작용제로서의 치료 가능성을 조사하기 전에, 등온 적정 열량 측정(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 ITC)을 수행하여 ERRγ에 대한 그의 결합 친화도를 측정하였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화합물 19는 GSK5182보다 두배 더 큰 친화도로 수용체를 단단히 결합시켰다(해리 상수 (K d): GSK5182 = 13.6 uM, 19 = 6.5 uM).
다음으로, 아데노 바이러스-발현 ERRγ(Ad-ERRγ)로 감염된 AML12(alpha mouse liver 12) 세포에서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화합물 19의 능력을 조사하였다.
도 8a 내지 8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 화합물은 ERRγ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반면에 헵시딘과 피브리노겐(fibrinogen)γ의 ERRγ- 매개 발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헵시딘은 간세포에서 미생물 감염 후 합성된 디펜신과 유사한 펩타이드이고, 이는 대식세포로부터의 철 분비를 감소시킨다.
화합물 19에 의한 헵시딘의 ERRγ- 매개 발현의 억제는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엄(마크로파지 박테리아)으로 매개된 저체온증을 개선하고 강력한 항균 효과를 발휘한다. 혈액 응고를 담당하는 응고인자인 피브리노겐은 간세포에서 합성된다. ERRγ는 인간 피브리노겐 유전자 발현의 전사 조절 인자로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19에 의한 섬유소원 mRNA의 하향 조절은 아마도 고섬유소원혈증(hyperfibrinogenemia)의 관리에 있어서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ERRγ는 글루코겐 생성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따라서, Pck1 및 G6PC와 같은 당 생성 유전자의 전사에 대한 화합물 19의 효과가 조사되었다.
도 9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0 uM의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레이즈(adenylate cyclase) 활성화제인 포스콜린(forskolin; FSK)에 의한 표적 유전자의 발현 증가는, AML12 세포에서 화합물 19의 처리에 의해 상당히 감소되었다.
도 9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마찬가지로 아데노 바이러스-발현 ERRγ (Ad-ERRγ) 감염에 의한 Pck1 및 G6PC의 유도 수준은 GSK5182과 유사한 효과로 화합물 19를 처리함으로써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19의 간에서의 포도당 생산을 조절하는 능력이 T2DM을 포함한 대사 장애에 대한 신규 치료제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종류의 소분자 피라졸아마이드(pyrazolamide)는 ERRγ 역작용제로서 성공적으로 확인되고 개발되고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이는 수용체 기반 가상 스크리닝을 적용하려는 첫 번째 연구이다.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1,3-디페닐-1H-피라졸-4-카르복실산[3-amino-5-(pyridin-3-yloxy)-phenyl]-아미드(화합물 19)는 매우 선택적이고 강력한 ERRγ의 역작용제로 입증되었다.
CAR, HNF-4α, NURR1, SF-1, ERα 및 ERR 서브패밀리(subfamily)를 포함하는 다른 NR에 대한 탁월한 선택성은, 헵시딘(hepcidin), 피브리노겐 및 당생성(gluconeogenic)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강한 억제는 화합물 19가 잠재적 치료제임을 시사한다. 또한, ERα 및 ERRγ의 LBD에 결합된 4-OHT 및 화합물 19의 비교 연구는 이에 의한 ERRγ 억제 메커니즘에 대한 구조적 통찰과 더불어서, 미생물 감염, 항응고 제제 그리고 당뇨병을 포함한 대사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이고 선택적인 ERRγ 역 작용제, 작용제 및 약물의 개발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at00107

    R1은 H, 3-OMe, 3,4-(OMe)2 또는 4-Me이고,
    R2는 H, CF3 또는 NH2이고,
    OR3
    Figure pat00108
    ,
    Figure pat00109
    ,
    Figure pat00110
    ,
    Figure pat00111
    또는
    Figure pat00112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6>
    Figure pat00113
    ,
    <화합물 7>
    Figure pat00114
    ,
    <화합물 12>
    Figure pat00115
    ,
    <화합물 13>
    Figure pat00116
    ,
    <화합물 14>
    Figure pat00117
    ,
    <화합물 15>
    Figure pat00118
    ,
    <화합물 16>
    Figure pat00119
    ,
    <화합물 19>
    Figure pat00120
    ,
    <화합물 21>
    Figure pat00121
    ,
    <화합물 25>
    Figure pat00122
    ,
    <화합물 27>
    Figure pat00123
    , 및
    <화합물 28>
    Figure pat00124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신규 화합물.
  3.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125

    R1은 H, 3-OMe, 3,4-(OMe)2 또는 4-Me이고,
    R2는 H, CF3 또는 NH2이고,
    OR3
    Figure pat00126
    ,
    Figure pat00127
    ,
    Figure pat00128
    ,
    Figure pat00129
    또는
    Figure pat00130
    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6>
    Figure pat00131
    ,
    <화합물 7>
    Figure pat00132
    ,
    <화합물 12>
    Figure pat00133
    ,
    <화합물 13>
    Figure pat00134
    ,
    <화합물 14>
    Figure pat00135
    ,
    <화합물 15>
    Figure pat00136
    ,
    <화합물 16>
    Figure pat00137
    ,
    <화합물 19>
    Figure pat00138
    ,
    <화합물 21>
    Figure pat00139
    ,
    <화합물 25>
    Figure pat00140
    ,
    <화합물 27>
    Figure pat00141
    , 및
    <화합물 28>
    Figure pat0014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대사성 질환은 제2 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itus; T2DM), 고혈당증 및 고섬유소원혈증(hyperfibrinogenemi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143

    R1은 H, 3-OMe, 3,4-(OMe)2 또는 4-Me이고,
    R2는 H, CF3 또는 NH2이고,
    OR3
    Figure pat00144
    ,
    Figure pat00145
    ,
    Figure pat00146
    ,
    Figure pat00147
    또는
    Figure pat00148
    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합물 6>
    Figure pat00149
    ,
    <화합물 7>
    Figure pat00150
    ,
    <화합물 12>
    Figure pat00151
    ,
    <화합물 13>
    Figure pat00152
    ,
    <화합물 14>
    Figure pat00153
    ,
    <화합물 15>
    Figure pat00154
    ,
    <화합물 16>
    Figure pat00155
    ,
    <화합물 19>
    Figure pat00156
    ,
    <화합물 21>
    Figure pat00157
    ,
    <화합물 25>
    Figure pat00158
    ,
    <화합물 27>
    Figure pat00159
    , 및
    <화합물 28>
    Figure pat0016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대사성 질환은 제2 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itus; T2DM), 고혈당증 및 고섬유소원혈증(hyperfibrinogenemi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00024985A 2020-02-28 2020-02-28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85A KR102343936B1 (ko) 2020-02-28 2020-02-28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85A KR102343936B1 (ko) 2020-02-28 2020-02-28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861A true KR20210109861A (ko) 2021-09-07
KR102343936B1 KR102343936B1 (ko) 2021-12-24

Family

ID=7779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985A KR102343936B1 (ko) 2020-02-28 2020-02-28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9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731A (ko) * 2014-05-22 2015-12-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로라 키나아제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트리아졸일살리실아마이드 유도체
US20180230084A1 (en) * 2017-02-10 2018-08-16 Southern Research Institute Benzo Annulenes as Antiviral Ag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731A (ko) * 2014-05-22 2015-12-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로라 키나아제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트리아졸일살리실아마이드 유도체
US20180230084A1 (en) * 2017-02-10 2018-08-16 Southern Research Institute Benzo Annulenes as Antiviral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936B1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0876B (en) Therapeutic drug for diabetes
RU2424227C2 (ru) Антагонист рецептора s1p3
JP2718830B2 (ja) アニリド誘導体
JP4660674B2 (ja) 抗アレルギー薬
WO2003072532A1 (fr) Compose d&#39;esters et ses utilisation en medecine
WO2003103647A1 (ja) Ap−1及びnfat活性化阻害剤
EP2891649B1 (en) Prolylhydroxyl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JP2003534327A (ja) IL−1βおよびTNF−αの抑制剤としてのベンゾフェノン
EP2907805B1 (en) Novel pyrazole derivative
WO2003103654A1 (ja) NF−κB活性化阻害剤
JP2003535900A (ja) ベンズアミド誘導体の治療薬としての使用
JPH05213877A (ja) 血小板活性化因子のアリール、アミド、イミド及びカルバメートピリジン拮抗剤
KR20040030668A (ko) 헤테로아릴설포닐 측쇄를 갖는 안트라닐산 아미드, 이의제조방법, 약제 또는 진단제로서의 이의 용도 및 당해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제
WO2008006257A1 (fr) Composés de thiazole 2,4,5-trisubstitués, méthodes de préparation,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leurs utilisations à des fins médicales
US20140114068A1 (en) Indanone derivativ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r optical isomers thereof, preparation method for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viral diseases
JP4885393B2 (ja) 医薬として活性なスルホニル・ヒドラジド誘導体
JP5331953B2 (ja) 代謝性障害の治療のための3−アミノ−ピリジン誘導体
Song et al. Discovery of bazedoxifene analogues targeting glycoprotein 130
JP6228667B2 (ja) 新規な抗真菌性オキソジヒドロピリジンカルボヒドラジド誘導体
KR102343936B1 (ko) 신규한 카르복스아마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00395A1 (zh) 新型苯甲酰胺类组蛋白去乙酰化酶抑制剂及其应用
US20170029404A1 (en) Polysubstituted pyridine compound, preparation method,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W201602089A (zh) 多環性herg活化劑
JP2023545677A (ja) Fxr小分子アゴニストとその調製方法および用途
AU2018265148A1 (en) Diarylureas as CB1 allosteric modul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