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373A - 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 - Google Patents

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373A
KR20210109373A KR1020200024606A KR20200024606A KR20210109373A KR 20210109373 A KR20210109373 A KR 20210109373A KR 1020200024606 A KR1020200024606 A KR 1020200024606A KR 20200024606 A KR20200024606 A KR 20200024606A KR 20210109373 A KR20210109373 A KR 20210109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jamming
elevator
un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갭
Priority to KR1020200024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373A/en
Publication of KR2021010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3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which is to re-open a platform door when a motion of a person and object is detected at an opening/closing point of a door when the platform door and an elevator door are opened/closed, and allows a safety measure to be performed by stopping opening/closing of the platform door and the elevator door when detecting jamming of a person in a gap between the platform door and a platform frame or the platform door and an elevato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comprises: a jamming sensing unit provided linearl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a platform door on one side of a platform frame to sense body jamming between the platform frame and the platform door; an upper end fixing uni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jamming sensing unit to protect the jamming sensing unit, and connected to a control unit of an elevator; a lower end fixing uni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jamming sensing unit to protect the jamming sensing unit, and having a rotating shaft penetrating from a front surface to a rear surface of one side of a central part; and a motion sensing unit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fixing unit, and having a motion sensor provided to face a front surface of the platform and sensing a motion to sense movement of a person or object. The motion sensing unit can be adjusted with a position thereof by being rotated and moved along an edge of the lower end fixing unit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Also, the motion sens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can transmit a motion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when a movement is sensed.

Description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

본 발명은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장 도어 및 승강기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개폐 지점에 사람 및 물체의 동작이 감지되면 승강장 도어를 리오픈 되도록 하며, 또한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프레임 사이 또는 승강기 도어와 승강기 벽체 사이 틈새에 신체의 끼임이 감지되면 승강장 도어 및 승강기 도어의 개폐를 멈추고 안전조치가 이뤄지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jamming in an elevator using a motion sensor, and when a platform door and elevator door are opened and closed, when a motion of a person or an object is detected at the opening and closing point of the door, the platform door is reopened, and also the platform door and the platform It relates to a device that stop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and the elevator door when a body jamming is detected between the frames or in the gap between the elevator door and the elevator wall, and safety measures are taken.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는 승강장 프레임의 일측에 승강장 도어와 인접한 종 방향으로 선형 구비되며,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프레임 사이에 신체가 끼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끼임감지부가 종 방향으로 선형으로 구비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되어 승강장 도어를 향하는 일측에는 끼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전류감지부 또는 레이저감지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끼임감지부를 승강장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성되며, 사람 및 물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센서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안전장치 하단에 동작감지부로서 구비되어 승강장을 향하여 센싱 동작함으로써, 승강장 도어가 닫힐 때에는 모션센서가 사람 및 물체의 동작 여부를 체크하여 동작이 감지될 경우 제어부에 동작 감지신호를 송신하여 승강장 도어를 리오픈 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조치가 이뤄질 수 있게 하며, 승강장 도어가 열릴 때에는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프레임 사이 틈새로 신체가 끼워지는지를 끼임감지부의 변형을 통한 전류 통전 또는 레이저 수광 차단의 방법으로 끼임 감지를 인지하여 제어부에 송신함으로써 승강기의 동작을 멈추어 안전조치가 이뤄질 수 있게 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early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the platform door on one side of the platform frame,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body is caught between the platform door and the platform frame. The presence detection unit is provided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vid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urrent sensing unit or laser sensing unit capable of detecting jamming is provided on one side facing the platform door, and the jamming detecting unit is provided on the platform frame on the other side. A support part that can be fixed is configured, and a mo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tion of a person or an object is provided as a motion detection part at the bottom of the safety device in a rotatable form as a motion sensing part to sense a movement toward the platform. Checks whether a person or object is moving and, if a motion is detected, sends a mo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o open the platform door so that safety measures can be taken. Elevator trapping prevention using motion sensor that detects jamming by means of current passing through the deformation of the jamming sensing part or blocking the laser light recep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take safety measures It's about safety.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승강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권상기와,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 및 권상기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an elevator includes an elevator car that moves passengers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a hoistwa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a building while a passenger is on board, a motor and a hoisting machine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power, and a button operation of the passenger according to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hoisting machine to move the elevator car to the corresponding floor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승강기 장치에 구비되는 승강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 도어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elevator car provided in the elevator device is provided with a car door that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a platform door that opens and closes in conjunction with the car door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allow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the floor is installed.

이때, 승강장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승강장 프레임과 승강장 도어 사이에 틈이 존재해 탑승자가 승강기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에서 대기 시 손을 승강장 도어의 틈 주위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 승강장 도어가 열리는 것을 인식하지 못해 승강장 도어에서 손을 미처 떼지 못하게 되면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프레임 사이의 틈으로 손이 끼게 되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t this time, there is a gap between the platform frame and the platform door so that the platform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smooth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f you could not take your hand off the platform door without recognizing that it was opened, the hand could be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door and the platform frame, resulting in injury.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주의력이 부족하므로 승장프레임과 승강장 도어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많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hild, there was a lot of concern about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hand was caught between the platform frame and the platform door because of lack of atten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939호가 제시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0-0010939 has been proposed.

이는 승강기의 손 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프레임과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내에 카도어 및 승강장 도어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승강장 카도어에 탑승객의 손이나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 및 카도어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부 측 내벽면에는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검출광을 발산하는 물체 반사식 센서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 좌측센서 및 상부프레임 우측센서가 각각 한 쌍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장 도어 및 카도어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 중앙의 내벽면에는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검출광을 발산하는 물체 반사식 센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상부프레임 중앙센서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승강장 카도어의 개폐 동작 시에 승객의 손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relates to a hand jamming prevention device of an elevator, and a car door and a landing door are installed in a fixing part consisting of an upper frame, a left frame, and a right frame to prevent a passenger's hand or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in the platform car door. An upper frame left sensor and an upper frame right sensor comprising an object reflective sensor emitting detection light vertically downwards on the inner wal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landing door and the car door is installed in pairs, an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latform door and the car door, a pair of upper frame central sensors comprising an object-reflecting sensor that emits detection light vertically downward is installed and configu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ssenger's hand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during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platform car door.

그런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검출광의 검출을 통해 손이나 이물질을 감지하는 구조로 예를 들어 도어의 개폐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박스나 가방 등이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를 임의로 제어하게 되므로 특정 상황에서의 강제적인 도어의 개폐 제어가 빈번해져 승객에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센서를 상부프레임 등에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다.However, the open utility model has a structure that detects a hand or a foreign substance through detection of a detection light. For example, even when a box or bag that does not aff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pproaches the door, it detects this and arbitrarily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refore, it is not only inconvenient for passengers as the forced door opening/closing control is frequently performed in a specific situation, but also has a structurally complicated problem because a number of sensors must be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and the like.

또한 다른 방안으로써 등록특허 제10-1238068호가 제안된 바 있다. Also, as another method, Patent Registration No. 10-1238068 has been proposed.

이는 승강장 카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에 구비되는 카프레임과 승장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 구동용 모터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승강장 카도어의 표면에 구비되어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는 도어용 전도성도파로시트와,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인체의 미세전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의 테두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로 빛을 조사하는 제1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hand jamming of a platform car door,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elevator car and the car frame provided in the platform and the platform car door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oor driving mo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A conductive waveguide sheet for a door that is provided on the surface to sense the current of the human body, a control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is a microcurrent of the human body when the current is sensed through the conductive waveguide sheet for the door, and one edge of the conductive waveguide sheet for the d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rst LED that is installed in the control means to illuminate the light to the conductive waveguide sheet for the door to be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승강장 등의 프레임 모서리부분에 손 접촉으로 인해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승강장 카도어를 강제 제어하여 승강장 카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도성 도파로시트로 빛을 조사하여 이용자에게 시각적 경각심도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electric current of the human body is sensed by touching the edge of the frame of the elevator door or platform, etc., the platform car door is forcibly controlled to prevent injury from getting caught between the platform car door and the fram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ductive waveguide By irradiating light with the sheet, it can also give the user a sense of visual alertness.

그런데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238068호는 도어의 표면에 전도성 도파로시트를 설치하여 빛을 도어 표면으로 조사할 수 있지만, 통상 승강기는 사람이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의 폭이 넓어 도어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LED의 빛이 충분히 반대편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도어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양이 적어 조도가 낮음에 따라 시인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 No. 10-1238068, light can be irradiated to the door surface by installing a conductive waveguide sheet on the surface of the door. The light of the LE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door did not reach the other side enough, so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door surface was low, so there was a problem of low visibility due to low illuminance.

위에서 살펴본 다수의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승강기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은 비교적 복잡하고, 규모가 비교적 크게 승강기에 설치되기 때문에 승강기 설치비용이 증가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설치 후에 승강기 이용자의 통행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figurations for preventing elevator jamming disclosed in the numerous patent documents reviewed above are relatively complex, and since they are installed in a relatively large elevator, the elevator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which is not economical. There were problems that could cause interference.

특히, 공지된 기술에 적용된 승강기 끼임 방지 장치들은 센서를 이용하여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감지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센서부,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변환기 등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여 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성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각 구성들이 고장날 경우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devices applied to the known technology detect that a finger is caught between the elevator and the wall using a sensor. Since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a converter is provided, not only the installation cost increases, but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high when each configuration fails because there are relatively many configuration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3806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3806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승강장 도어 및 승강기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개폐 지점에 사람 및 물체의 동작이 감지되면 승강장 도어를 리오픈 되도록 하며, 또한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프레임 사이 또는 승강기 도어와 승강기 벽체 사이 틈새에 신체의 끼임이 감지되면 승강장 도어 및 승강기 도어의 개폐를 멈추고 안전조치가 이뤄지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When a platform door and an elevator door are opened or closed, the platform door is reopened when a motion of a person or an object is detected at the opening and closing point of the door. It relates to a device that stop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atform door and elevator door and safety measures are taken when a body jamming is detected in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platform frame or between the elevator door and the elevator wall.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는 승강장 프레임의 일측에 승강장 도어와 인접한 종 방향으로 선형 구비되며,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프레임 사이에 신체가 끼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끼임감지부가 종 방향으로 선형으로 구비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되어 승강장 도어를 향하는 일측에는 끼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전류감지부 또는 레이저감지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끼임감지부를 승강장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성되고, 사람 및 물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센서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안전장치 하단에 동작감지부로서 구비되어 승강장을 향하여 센싱 동작됨으로써, 승강장 도어가 닫힐 때에는 모션센서가 사람 및 물체의 동작 여부를 체크하여 동작이 감지될 경우 제어부에 동작 감지신호를 송신하여 승강장 도어를 리오픈 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조치가 이뤄질 수 있게 하며, 승강장 도어가 열릴 때에는 승강장 도어와 승강장 프레임 사이 틈새로 신체가 끼워지는지를 끼임감지부의 변형을 통한 전류 통전 또는 레이저 수광 차단의 방법으로 끼임 감지를 인지하여 제어부에 송신함으로써 승강기의 동작을 멈추어 안전조치가 이뤄질 수 있게 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early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the platform door on one side of the platform frame,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body is caught between the platform door and the platform frame. The presence detection unit is provided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vid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urrent sensing unit or laser sensing unit capable of detecting jamming is provided on one side facing the platform door, and the jamming detecting unit is provided on the platform frame on the other side. A support part that can be fixed is constituted, and a mo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tion of a person or an object is provided as a motion detection part at the bottom of the safety device in a rotatable form as a sensing operation toward the platform, so that when the platform door is closed, the motion sensor Checks whether a person or object is moving and, if a motion is detected, sends a mo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o open the platform door so that safety measures can be taken. Elevator trapping prevention using motion sensor that detects jamming by means of current passing through the deformation of the jamming sensing part or blocking the laser light recep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take safety measur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afety devic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는, 승강장 프레임의 일측에 승강장 도어와 인접한 종 방향으로 선형 구비되어 승강장 프레임과 승강장 도어 사이의 신체 끼임을 감지하는 끼임감지부; 끼임감지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끼임감지부를 보호하고 승강기의 제어부와 연결하는 상단고정부; 끼임감지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끼임감지부를 보호하고 중앙부 일측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하단고정부; 및 회전축에 결합되며 하단고정부에 연장 형성되고 승강장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센서가 구비되어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를 포함하되, 동작감지부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단고정부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모션센서는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에 동작 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the platform door on one side of the platform frame, the jamm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body jamming between the platform frame and the platform door; an upper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jamming detection unit to protect the jamming sensing unit and connecting to the control unit of the elevator; a lower fixing par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jamming sensing unit to protect the jamming sensing unit and having a rotating shaft penetrat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one side of the central part; and a motion senso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extending from the lower fixed part, facing the front of the platform, provided with a mo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motion, and detecting the movement of a person or object; including, but the motion sensing unit is a rotating shaf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by rotating along the edge of the lower fixing part based on the motion sensor, and the motion sens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 or wirelessly to transmit a mo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motion is detected. do it with

일 실시예에 따르면, 끼임감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승강장 도어를 향하는 일측에 구성되는 전류감지부;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타측에 구성되는 강성 재질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전류감지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도전공간; 도전공간의 주위를 감싸며 보호하고 전류감지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연성 및 탄성 재질의 감지외피부; 도전공간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양극 또는 음극의 제1도전체; 도전공간의 타 측면에 배치되며 제1도전체와 반대 전극으로 구성되는 제2도전체; 및 도전공간의 제1도전체 및 제2도전체 사이 양측면 각각의 중앙부에서 내부 공간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제1도전체 및 제2도전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변형되어 상호 통전되면 끼임 감지신호가 상단고정부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jamming detection unit, the current sensing unit is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figured on one side facing the landing door; A support part made of a rigid material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the current sensing unit may include: a conductive space forming an internal 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nsing outer skin made of a soft and elastic material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periphery of the conductive space and forms an external shape of the current sensing unit; a first conductor of an anode or a cath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ductive space; a second conducto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uctive space and composed of an electrode opposite to the first conductor; and protrusions formed to face each other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er of each of both sid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of the conductive space toward the inner space, and further comprising: Whe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body is deformed and mutually energized, the jamming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upper fixing par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끼임감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승강장 도어를 향하는 일측에 구성되는 레이저감지부;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타측에 구성되는 강성 재질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레이저감지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광감지공간; 도전공간의 주위를 감싸며 보호하고 레이저감지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연성 및 탄성 재질의 감지외피부; 상단고정부에 매립 설치되며 광감지공간의 하단고정부 방향으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발광부; 및 하단고정부에 발광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어 방출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광감지공간이 변형되어 발광부의 방출 레이저가 수광부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단고정부를 통해 제어부에 끼임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jamming detection unit, the laser sensing unit is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figured on one side facing the landing door; A support part made of a rigid material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laser sensing unit includes: a light sensing space forming an inner 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nsing outer skin made of soft and elastic material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periphery of the conductive space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laser sensing unit; a light emitting unit embedded in the upper fixed portion and emitting a laser toward the lower fixed portion of the light sensing space; and a light receiving unit embedded in the lower fixing unit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ight emitting unit to receive the emitted laser, and further comprising, when the light sensing space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emitted laser of the light emitting unit does not reach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upper fixed unit Including that the jamming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는 승강장 프레임에 접하는 일면을 따라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지지부를 승강장 프레임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member provided alo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latform frame to attach and fix the support to the platform fr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고정부 및 하단고정부는 고정부재가 표면으로부터 승강장 프레임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승강장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further include so that the fixing member can be fixed to the platform frame by being inserted and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platform frame from the surfac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jam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승강장 프레임과 승강장 도어 사이의 틈새가 각 승강장 마다 상이할 수 있으나 본 안전장치는 타측의 지지부로 고정하고 일측의 끼임감지부가 끼임을 감지하는 분할 구조로 이뤄져 있어 틈새의 폭에 맞춰 끼임감지부가 승강장 도어와 인접하여 최상의 감지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위치를 설정한 뒤 지지부를 통해 벽체에 고정함으로써 승강장의 구조와 상관없이 추가 장비 없이 포용성 있게 다양한 상황에 맞춰 설치될 수 있다.First,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frame and the platform door may be different for each platform, but this safety device is fixed with the support part of the other side and has a split structure that detects jamming by the jamming detection part on one side. By setting the location so that the branch is adjacent to the platform door and exhibiting the best detection effect, and fixing it to the wall through the support part, it can be installed inclusively in various situations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regardless of the platform structure.

둘째, 사람 및 물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센서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안전장치 하단에 동작감지부로서 구비되어 승강장을 향하여 센싱 동작됨으로써, 승강장 도어의 동작 시 움직임이 포착되면 즉각 승강장 도어를 리오픈 되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끼임 외에 동작 감지를 통한 안전조치가 이뤄지는 이중 안전장치로서 매우 높은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다.Second, a mo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motion of people and objects is provided as a motion detection unit at the bottom of the safety device in a rotatable form and is sensed toward the platform. By making it open, it is possible to secure a very high degree of safety as a double safety device that performs safety measures through motion detection in addition to being caught in the body.

셋째, 모션센서가 구비된 동작감지부는 끼임감지부의 하단을 따라 회전할 수 있어 승강장 프레임의 높이가 길면 동작감지부를 하단으로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고 승강장 프레임의 높이가 짧으면 동작감지부를 측면 또는 상부로 회전시켜 바닥에 닿지 않도록 활용할 수 있으며, 승강장의 좌측과 우측 설치 방향에 상관없이 동작감지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하여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Third, the motion sensing unit equipped with the motion sensor can rotate along the lower end of the jamming sensing unit, so if the height of the platform frame is long, the motion sensing unit can be extended to the bottom and if the height of the platform frame is short, the motion sensing unit is moved to the side or upper It can be rotated so that it does not touch the floor, and it can be used by changing the direction to maximize the motion detection effect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platform.

넷째, 기존의 승강장 도어에 구비된 안전장치와 달리 승강장 도어가 열릴 때는 끼임감지부가, 도어가 닫힐 때는 동작감지부가 작동함으로써 이중 안전장치로써 승강장 도어 개폐 상황에 모두 활용될 수 있다. Fourth, unlike the safety device provided in the existing platform door, the jamming detection unit operates when the platform door is opened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operates when the door is clos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double safety device in both opening and closing situations of the platform door.

다섯째, 끼임감지부는 연성 및 탄성 재질로써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어 신체가 승강장 틈새에 끼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체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Fifth, the pinch detection unit can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as a soft and elastic material, so that even if an accident occurs in which the body is caught in the gap of the platform, it is possible to minimize bodily injury.

여섯째,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기 설치된 승강장과 승강기에 있어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모션 센서를 이용한 이중 안전장치가 구축될 수 있어 기술, 관리, 비용적 측면에서 최상의 경제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Sixth, a double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can be built just by attaching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reviously installed platform and elevator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so it can have the best economic effect in terms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cost.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전류감지부가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전류감지부가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전류감지부 방향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감지부가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감지부가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레이저감지부 방향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지지부 방향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form in which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rom the top of the platform installed with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jam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equipped with a current sens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vator jam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provided with a current sens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sensing uni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equipped with a laser sens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jam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equipped with a laser sens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laser sensing unit.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전류감지부가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전류감지부가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전류감지부 방향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감지부가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감지부가 구비된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레이저감지부 방향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를 지지부 방향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form installed with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tform installed with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front of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equipped with a current sens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xampl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provided with a current sensing unit from th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sensing unit, and FIG. 5 is a motion sensor provided with a laser sens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from the front,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equipped with a laser sens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laser sensing unit.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jam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세로 종 방향으로 길게 선형을 형성하는 외형을 지닐 수 있으며, 승강장(11)의 측면 벽체에 구비된 승강장 프레임(13)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elevator trapp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xternal shape that forms a long linear shape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ttached to the platform frame 13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platform 11 . can be composed of

승강장 프레임(13)은 승강장(11)에서 승강장 도어(14)의 좌, 우, 상부에 위치하는 승강장 벽체(12)에 있어 승강장 도어(14)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승강장 도어(14)의 좌, 우 벽체에 구비되어 몰딩 처리되는 것으로써 일반적으로는 금속과 같은 강성 재질의 틀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platform frame 13 has a shape surrounding the platform door 14 in the platform wall 12 located on the left, right, and upper portions of the platform door 14 in the platform 11, and the left side of the platform door 14, As it is provided on the right wall and molded, it can be generally formed as a frame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metal.

그런데 승강장 프레임(13)과 승강장 도어(14)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가 형성되어 종종 신체의 끼임으로 인한 상해, 물건의 삽입으로 승강기(20) 오작동 유발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곤 한다.However, a certain gap is formed between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platform door 14, which often causes safety accidents such as injury due to body jamming or malfunction of the elevator 20 due to insertion of an object.

특히 승강기 도어(21)에는 안전감지장치가 구비되어 도어가 닫힐 때 무언가에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면 즉각 도어의 닫힘이 중단되고 열리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것에 반해, 승강장 도어(14)에는 승강기 도어(21)와 같은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않고 승강기 도어(21)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것으로만 구성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elevator door 21 is equipped with a safety detection device so that when a contact with something is sense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closing of the door is immediately stopped and the ope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ereas the elevator door 14 has the elevator door ( 21), it is not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nd is configured only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or door 21.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승강장 프레임(13)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직선형의 외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승강장 도어(14)의 개폐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도에서 최대한 밀접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straight shap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latform frame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rfer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platform door 14 . It can be mounted as closely as possible without giving it away.

따라서 승강장(11)에서 승강기(20)에 사람이 탑승하고 하차한 후 승강장 도어(14)가 닫히는 중에 승강장 도어(14) 앞 또는 승강기 도어(21) 앞에서 사람이나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도어 끼임 사고 방지를 위하여 승강기 도어(21)에 신체나 물체가 접촉되기 전이라도 미리 승강장 도어(14)의 닫힘 동작을 중지하고 열림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person or an object is detected in front of the platform door 14 or in front of the elevator door 21 while the platform door 14 is closed after a person gets on and off the elevator 20 at the platform 11, a door jamming accident To prevent this, even before a body or an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vator door 21,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door 14 may be stopped in advance and the open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또한 승강장 도어(14)가 열리면서 승강장 프레임(13) 사이 틈새로 인입될 때 승강장 프레임(13)과 승강장 도어(14) 사이에 신체 또는 물체의 끼임이 감지되면 즉각 열림 동작이 중단되고 닫힘 동작이 수행되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하며 후속 조치를 대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atform door 14 is opened and the body or object is caught between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platform door 14 when it enters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frames 13, the opening operation is immediately stopped and the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or may remain stationary and await follow-up.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끼임감지부(100), 동작감지부(200), 상단고정부(300), 하단고정부(400) 및 제어모듈(미도시), 통신모듈(미도시), 전원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amming detecting unit 100, a motion detecting unit 200, an upper fixing part 300, and a lower fixing part 400. and a control module (not shown),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power module (not shown).

끼임감지부(100)는 승강장 프레임(13)의 일측에 종 방향으로 구비되되 승강장 도어(14)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직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may be formed in a linear structure provi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platform frame 13 and provid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platform door 14 .

끼임감지부(1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직선형 구조이며 상단에는 캡과 같은 형상의 보호장치로써 상단고정부(300)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하단고정부(400)가 구비되며, 하단고정부(400)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동작감지부(200)가 하단고정부(400)와 결합 상태를 이루면서 구성될 수 있다.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has a straight structure formed long in the top and bottom, and an upper fixing part 300 is provided as a protective device in the shape of a cap at the top, and a lower fixing part 400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a lower fixing part ( 400 ), the motion sensing unit 20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figured while forming a coupled state with the lower fixing unit 400 .

끼임감지부(100)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정면에서 목측 시 좌, 우로 분할될 수 있다.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when viewed from the front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즉 끼임감지부(100)를 정면에서 목측 시 좌,우로 분할되어 각각 길게 형성된 직선형의 분할 영역이 나란히 세로로 형성되어 접해있는 형상이 구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is viewed from the front, it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a shape in which straight divided regions formed to be long are vertically formed side by sid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끼임감지부(100)에서 승강장 도어(14)를 향하는 일측에는 연성 재질의 전류감지부(110) 또는 레이저감지부(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강성 재질의 지지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A current sensing unit 110 or a laser sensing unit 12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y be provided on one side facing the platform door 14 from the jamming sensing unit 100, and a rigid support unit 13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can

지지부(130)는 끼임감지부(100)의 타측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강성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지지부(130)가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승강장 프레임(13)의 종 방향으로 세워져 부착되면서 그 형태를 견고하게 지탱하고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30 is formed vertic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jamming detection part 100 and is made of a rigid material, so that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upport part 130 serving as a pill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frame 13 .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irmly supported and maintained in its shape as it is erected and attached.

따라서 지지부(130)는 알루미늄과 같이 견고하고 내부식성이 좋으면서 동시에 가벼운 성질의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용도에 목적에 부합되는 한 어떠한 종류의 재질도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pport 1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is strong and has good corrosion resistance and light properties such as aluminum, and any kind of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suitable for its purpose.

지지부(130)는 승강장 프레임(13)에 접하는 일면, 즉 정면에서 목측 시 지지부(130)의 뒷면을 따라 스티커,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13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30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member 131 such as a sticker or an adhesive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30 when viewed from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platform frame 13, that is, from the front.

지지부(130)는 접착부재(131)에 의해 승강장 프레임(13)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정장치 전체는 승강장 프레임(13)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부착되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upport 130 may b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platform frame 13 by the adhesive member 131, and thus the entire stabil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and firmly attached to the platform frame 13 to maintain its shape. have.

끼임감지부(100)에서 승강장 도어(14)를 향하는 일측에는 신체 끼임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전류감지부(110) 또는 레이저감지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A current sensing unit 110 or a laser sensing unit 120 having a function of directly detecting body jamming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jamming sensing unit 100 toward the platform door 14 .

끼임감지부(100)는 지지부(130)에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강장 도어(14)에 최대한 밀착되어 구성될 수 있어야 한다.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b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upport unit 130 , and should b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form door 14 as much as possible.

끼임감지부(100)가 승강장 도어(14)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승강장 도어(14)에 최대한 밀착되어야 승강장 프레임(13)과 승강장 도어(14) 사이에 틈새가 최소화 될 수 있다.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platform door 14 can be minimized when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form door 14 as much as possible in a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door 14 .

또한 끼임감지부(100)가 승강장 도어(14)에 최대한 밀착되어야 틈새에 신체가 끼이더라도 끼임감지부(100)가 높은 민감도로 즉시 인지할 수 있고, 안전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form door 14 as much as possible, even if a body is caught in the gap,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with high sensitivity, and an immediate response can be made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

따라서 끼임감지부(100)는 이와 같이 민감하게 신체의 끼임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끼임 감지를 위해 구성된 장치가 훼손 또는 고장 없이 잘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should be able to detect the jamming of the body sensitively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configured so that the device configured to detect the jamming can be well protected without damage or failure.

이를 위해 끼임감지부(100)는 다양한 실시예로써 신체 끼임을 인지하는 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전류 통전 감지에 의한 방법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전류감지부(110), 또는 레이저 송수신 차단에 의한 방법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레이저감지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for recognizing body jamming in various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rent sensing unit 110 configured to recognize by a method by sensing current flow, or a laser transmission/reception block. It may be composed of a laser sensing unit 120 configured to recognize by the method.

따라서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끼임감지부(100)가 지지부(130)와 전류감지부(110)로 구성되는 제 1 실시예와 지지부(130)와 레이저감지부(120)로 구성되는 제 2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jamming detecting unit 100 is composed of the supporting unit 130 and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and the supporting unit 130 and laser sensing. It may be configured in the second embodiment consisting of the unit 120 .

끼임감지부(100)의 두 가지 구성 중 우선 제 1 실시예로써 전류감지부(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Among the two configurations of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will be described as a first embodiment.

전류감지부(110)는 도전공간(112), 감지외피부(111), 제1도전체(113), 제2도전체(114), 및 돌출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urrent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 conductive space 112 , a sensing outer skin 111 , a first conductor 113 , a second conductor 114 , and a protrusion 115 .

도전공간(112)은 전류감지부(1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공간으로써 정의될 수 잇다. The conductive space 112 may be defined as a spac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

감지외피부(111)는 전류감지부(110)의 외표면을 형성하며 도전공간(112)의 주위를 감싸며 도전공간(112)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sensing outer skin 111 forms an outer surface of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 surrounds the conductive space 112 , and may function to protect the conductive space 112 .

감지외피부(111)는 승강장 프레임(13)과 승강장 도어(14) 사이에 신체가 끼이게 될 때 신체에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를 의미한다. The sensing outer skin 111 refers to a portion that directly touches the body when the body is caught between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landing door 14 .

따라서 강성 재질의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하게 될 감지외피부(111)는 손가락 등 신체 일부가 끼었을 때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프레임(13) 사이에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연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sensing outer skin 111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latform door 14 of a rigid material and the platform frame 13 holds the body between the platform door 14 and the platform frame 13 when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finger is pinched.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a soft and ductile material to protect it.

즉 감지외피부(111)와 승강장 도어(14) 사이 틈새에 신체가 끼었을 때 감지외피부(111)가 신체의 끼임에 의한 눌림을 수용하면서 밀려들어가는 변형이 일어나야 신체의 훼손 등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when a body is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sensing outer skin 111 and the landing door 14, the sensing outer skin 111 must undergo a deformation that pushes in while accommodating the pressure caused by the body's being caught in order to minimize injuries such as body damage. can

그리고 신체를 끼임감지부(100)와 승강장 도어(14) 사이에서 빼고 나면 감지외피부(111)는 즉시 본 형태로 복원되어야 승강장 도어(14)와 끼임감지부(100) 사이 틈새를 최대한 메우고 본래의 끼임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nd after the body is removed between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and the platform door 14, the sensing outer skin 111 must be immediately restored to its present shape to fill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door 14 and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as much as possible and to restore the original shape.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the jamming detection function of

감지외피부(111)는 따라서 부드러운 촉감에 연성 및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어 신체의 끼임에 의한 변형과 끼임 해제 후 본 상태로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outer skin 11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elasticity with a soft touch, so that deformation due to body jamming and restoration to the present state can be smoothly performed after releasing the pinching.

감지외피부(1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실리콘, 합성고무 등과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ensing outer skin 111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synthetic rubb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전체(113) 및 제2도전체(114)는 전극을 가지며 상호 접촉되었을 때 통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도율이 높은 도전체로써 도전공간(112)의 내부에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마주하도록 구성되며 상호 반대 극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have electrodes and are high-conductivity conductors provided to conduct electricity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conductive space 112 . and may be configured with mutually opposite polarities.

제1도전체(113)는 도전공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지외피부(111)의 외측 표면 방향인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제2도전체(114)는 승강장 프레임(13)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or 11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ing outer skin 1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ductive space 112 ,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is the platform frame 13 . I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direction toward.

즉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는 끼임감지부(100)를 정면에서 목측 시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과 후면에 어느 도전체가 위치하든 상관없으나 상호 대향되도록 마주하는 위치로 구비될 수 있어야 한다. That is,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when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is viewed from the front, and it does not matter which conductor is loca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but It should be able to be provided in opposing positions to be opposed.

반면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는 끼임감지부(100)를 정면에서 목측 시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호 대향되도록 마주하는 위치로 구비될 수 있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when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is viewed from the front. do.

다만 신체가 승강장(11) 틈새에 끼었을 때 신체에 의해 끼임감지부(100)에 외력이 가해지면서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가 상호 접촉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가 전면과 후면에 구비된 경우에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일치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좀 더 바람직한 구성이 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body is caught in the gap of the platform 11,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must be able to contact each other 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by the body. In general, when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probability that they coincid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ncreases, so that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may be obtained.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는 상호 반대되는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이 이뤄지면 전류가 흘러 통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may be configured as mutually opposite electrodes, so that when a contact is made, a current flows and conducts.

가령 제1도전체(113)가 양극으로 구성되고 제2도전체(114)가 음극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평상시 각 도전체는 도전공간(112)의 중심 공간을 사이에 두고 소정 거리 이격된 채 마주하는 형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ductor 113 may be composed of an anode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may be composed of a cathode. Normally, the conductors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the central space of the conducting space 112 interposed therebetween. It can be positioned in the shape of

돌출부(115)는 정면에서 목측 시 도전공간(112)의 양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15 may be configur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onductive space 112 when viewed from the front.

돌출부(115)는 제1도전체(113) 및 제2도전체(114) 사이 양 측면 각각의 중심부에서 내부 공간을 향해 사면체의 형상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구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protrusion 115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hape of a tetrahedron toward the inner space from the center of each of both side surfaces between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

결국 돌출부(115)에 의해 제1도전체(113) 및 제2도전체(114)의 양단 소정 부분은 상호 접할 수 없도록 차단되고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의 중심부가 상호 대향되어 접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As a result, predetermined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are blocked by the protrusion 115 so that they can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are closed. It can be a structure that can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돌출부(115)는 제1도전체(113) 및 제2도전체(114) 사이에서 제1도전체(113) 및 제2도전체(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되 그 형태는 종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인 사면체일수도 있고 반구형, 원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115 is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and the shape ha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It may be a tetrahedron, which is a triangular shape, o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emispherical shape and a cylindrical shape.

전류감지부(110)는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라 신체의 끼임을 전류 통전의 방법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may recognize the pinching of the body as a method of conducting curr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the principle is as follows.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끼임감지부(100)의 표면에는 제1도전체(113)가 양극으로써 배치되고 후면에는 제2도전체(114)가 음극으로써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He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conductor 113 is disposed as an anode on the surface of the pinch detection unit 100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is disposed as a cathode on the rear surface.

먼저 끼임감지부(100)와 승강장 도어(14) 사이 틈새에 신체 끼임이 발생하면 해당 신체 부위는 감지외피부(111)에 외력을 가하게 되고 감지외피부(111)는 연성 및 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 즉 신체가 누르는 방향에 따라 표면이 눌려지는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First, when a body jam occurs in the gap between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and the platform door 14, the corresponding body part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sensing outer skin 111, and the sensing outer skin 111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ductility and elasticity. Since it is constructed, the surfac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is pressed.

감지외피부(111)가 눌려지는 변형이 되면 그 내부에도 유사한 변형이 수반되며 제1도전체(113)는 감지외피부(111)의 변형 형태대로 도전 공간 내부로 휘어지게 된다. When the sensing outer skin 111 is deformed by being pressed, a similar deformation is accompanied therein, and the first conductor 113 is bent into the conductive space in the same manner as the deformation of the sensing outer skin 111 .

따라서 양극인 제1도전체(113)는 음극인 제2도전체(114)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로써 전류가 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conductor 113 serving as the positive electrod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or 114 serving as the negative electrode, thereby allowing current to pass therethrough.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의 접촉으로 통전되어 형성된 전류는 신체 끼임 감지신호로써 상단고정부(300)에 구비된 통신모듈을 통해 승강기(20)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즉시 승강장 도어(14)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원상태로의 복원 또는 멈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urrent formed by being energiz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vator 20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upper fixing unit 300 as a body jamming detection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immediately stop the operation of the landing door 14 and restore it to its original state or maintain the stopped state.

이후 틈새에 끼어진 신체를 빼내면 전류감지부(110)는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또 다른 사고 예방을 위한 준비가 될 수 있어야 한다. After that, when the body caught in the gap is removed,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so that it can be prepared to prevent another accident.

이때 돌출부(115)는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써 외력에 의해 변형된 제1도전체(113)가 감지외피부(111)의 탄성에 의한 복원에 따라 원상태로 복귀함에 있어 보다 쉽게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15 is provided to serve as a buffer between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 and the first conductor 113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is the sensing outer skin 111 . It can function to make it easier to restore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

또한 돌출부(115)는 소정 길이에 국한되어 돌출됨으로써 제1도전체(113) 또는 제2도전체(114)가 변형되었을 때 수월하게 상호 접촉이 이뤄져 통전될 수 있도록 지장을 주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115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trudes, so that when the first conductor 113 or the second conductor 114 is deformed, the protrusion 115 can be easily made to contact each oth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duction. .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류감지부(110)의 제작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a brief look 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전류감지부(110)를 도전공간(112)을 기준으로 양분하는데 양측단부 중 일측에 구성된 돌출부(115)의 돌출 방향을 따라 절개부(1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부(116)를 기준으로 하여 전류감지부(110)가 양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The current sensing unit 110 is bisected based on the conductive space 112, and a cutout 116 may be formed along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15 configured on one side of both ends, and the cutout 116 may be the reference. Thus,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may be spread to both sides.

가령 좌측면 돌출부(115)에 절개부(116)가 형성되었다면 좌측면은 절개부(116)를 따라 양분되고 우측면은 절개부(116)가 없으므로 이어진 형태가 되어 우측면이 연결되어 펼쳐진 전류감지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cutout 116 is formed on the left side protrusion 115, the left side is bisected along the cutout 116, and the right side has no cutout 116, so it becomes a continuous form, and the right side is connected to the unfolded current sensing unit ( 110) may be provided.

이에 절개부(116)는 절개되고 우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도전공간(112)의 내측 표면에 각 도전체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Accordingly, the cutout 116 is cut and the right side surfa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ixed by inserting each conductor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uctive space 112 in an unfolded state.

가령 도전공간(112)의 일 측면에는 제1도전체(113)를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타 측면에는 제2도전체(114)를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For example, a first conductor 113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nductive space 112 to be fixed, and a second conductor 114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to be fixed.

이후 절개부(116)를 접하면서 돌출부(115)가 형성되도록 절개된 양단을 상호 맞닿도록 접합시키면 전류감지부(110) 내에 도전공간(112)이 형성된 상태에서 일측과 타측에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가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cut ends are joined so as to abut each other so that the protrusion 115 is formed while contacting the cutout 116, the first conductor (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may be at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다음으로 끼임감지부(100)의 두 가지 구성 중 제 2 실시예로써 레이저감지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laser sens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two configurations of the jamming sensing unit 100 .

레이저감지부(120)는 광감지공간(122), 감지외피부(121), 발광부(123), 및 수광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aser sensing unit 120 may include a light sensing space 122 , a sensing outer skin 121 , a light emitting unit 123 , and a light receiving unit 124 .

레이저감지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끼임감지부(100)를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며 지지부(130)와 나란히 구성될 수 있고 레이저감지부(120)의 형상과 기능은 전류감지부(110)가 사용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laser sensing unit 120 divides the jamming sensing uni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configured side by side with the support unit 130 , and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laser sensing unit 120 is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is used.

감지외피부(121) 또한 상술한 전류감지부(110)에서의 기능과 형상, 재질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sensing outer skin 121 may also have the same function, shape, and material in the above-described current sensing unit 110 .

감지외피부(121)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내부 공간으로써 광감지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도전공간(112)과 유사할 수 있다. The light sensing space 122 may be formed as an inner spac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nsing outer skin 121 , and the shape may be similar to the conductive space 112 .

발광부(123)는 상단고정부(300)에 광감지 공간을 향하여 매립 설치되며 하단고정부(400) 방향으로 레이저를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part 123 may be embedded in the upper fixing part 300 toward the light sensing space and may be provided to emit a laser in the lower fixing part 400 direction.

수광부(124)는 하단고정부(400)에 광감지 공간을 향하여 매립 설치되며 발광부(123)에서 발출된 레이저를 수신하도록 발광부(123)와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unit 124 is installed in the lower fixing unit 400 toward the light sensing space, and may be provid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unit 123 to receive the laser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3 .

결국 발광부(123)와 수광부(124)는 광감지공간(122)을 매개로 하여 레이저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상단고정부(300)와 하단고정부(400)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light emitting unit 12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are provid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xing units 300 and 400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lasers through the light sensing space 122 . can

발광부(123)와 수광부(124)가 광감지공간(12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단고정부(300)와 하단고정부(400)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발광부(123)에서 방출된 레이저 광이 직선상에 위치한 수광부(124)로 도달이 가능하다.The light emitting part 123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124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the light sensing space 122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by emitting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123 . The laser light can reach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located on a straight line.

만약 발광부(123)와 수광부(124)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캡을 씌워야 하는 경우라면 발광부(123)와 수광부(124)의 위치를 정밀하게 잡아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발광부(123)와 수광부(124)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끼임 방지 안전장치로써 끼임감지부(100)의 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다.If the light emitting unit 12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are not fixed and installed separately and capped, the installation is not easy because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12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must be precisely positioned. If the positio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12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function of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may not function as a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이러한 이유로 발광부(123)와 수광부(124)가 상단고정부(300) 및 하단고정부(400)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위치해 있고 상단고정부(300) 및 하단고정부(400)를 끼임감지부(100)의 상단과 하단에 씌워 결합하는 것으로 설치를 완료하면 발광부(123)와 수광부(124)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아도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제품 제조 시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light emitting unit 12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are located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respectively, and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are pinched. W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by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ranch 100, the light emitting unit 123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are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ints without adjusting the positions, so that there is no defect during product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is easy. It can have a simple effect.

레이저감지부(120)는 전류감지부(110)와 마찬가지로 신체 끼임 등의 이유로 감지외피부(121)에 외력이 작용하면 광감지공간(122)의 내부 공간이 밀려 찌그러지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Like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nsing outer skin 121 due to body jamming or the like, the laser sensing unit 120 may be deformed such that the inner space of the light sensing space 122 is pushed and crushed.

즉 신체 일부가 승강장 도어(14)와 감지외피부(121) 사이에 끼이면 신체에 의해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감지외피부(121)가 눌리면서 변형이 일어나고 광감지공간(122)을 형성하는 감지외피부(121) 내측면도 마찬가지로 광감지공간(122) 양 측면이 닿는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한다. That is, when a part of the body is caught between the platform door 14 and the sensing outer skin 121, the sensing outer skin 121 is press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body and deformation occurs, and the light sensing space 122 is formed. Similarly, the inner surface of the skin 121 is also de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both sides of the light sensing space 122 touch.

그러면 발광부(123)에서 발광한 레이저는 광감지공간(122)으로 찌그러져 튀어나오는 감지외피부(121)의 내측면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124)에 닿지 못하게 된다. Then, the laser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3 is block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ing outer skin 121 that is crushed and protruded into the light sensing space 122 so as not to touch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

정상적인 상황, 즉 끼임감지부(100)에 어떠한 외력도 작용하지 않아 신체 끼임이 없다고 인지되는 상황에서는 수광부(124)에서 레이저를 끊김이 없이 수신하여야 하나, 신체 끼임 등으로 인한 비정상 상황에서는 수광부(124)에서 레이저를 수신하지 못함으로써 신체 끼임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In a normal situation, that is, in a situation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and thus no body jamming is recognized,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should receive the laser without interruption. ),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ituation of body jamming by not receiving the laser.

수광부(124)는 레이저를 수신하지 못하는 즉시 신체 끼임 감지신호를 하단고정부(400)에 구비된 통신모듈을 통해 승강기(20)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즉시 승강장 도어(14)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원상태로의 복원 또는 멈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s soon as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fails to receive the laser, it can transmit a body jamming detection signal to the elevator 20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lower fixing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immediat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door 14. It can be stopp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or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상술한 끼임감지부(100)의 두 가지 구성, 즉 제 1 실시예로써 전류감지부(110)와 제 2 실시예로써 레이저감지부(120)는 상술한 구성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승강장 프레임(13)과 승강장 도어(14) 사이 틈새에 신체 또는 물체의 끼임을 감지하고 즉각적인 안전조치가 시행되도록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The two components of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aser sensing unit 120 as the second embodiment,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safe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detects that a body or an object is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landing door 14 and can generate a signal so that an immediate safety action is taken.

한편 상단고정부(300)는 끼임감지부(100)의 상단에 덮개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끼임감지부(10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fixing part 30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in the same shape as a cover to perform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하단고정부(400)는 상단고정부(300)와 유사하게 끼임감지부(100)의 하단에 덮개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끼임감지부(10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lower fixing part 400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a cover at the lower end of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similarly to the upper fixing part 300 to protect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

상단고정부(300) 및 하단고정부(400)는 끼임감지부(100)의 상단과 하단에서 끼임감지부(100)의 상단과 하단을 통해 가해질 수 있는 외력을 차단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전류감지부(110) 및 레이저감지부(120)가 오작동 되거나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위한 외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block the external force that can be applied through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pinch detection part 100 at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pinch detection part 100 and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and the laser sens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in an external shape for a function of protecting them from malfunction or damage.

또한 상단고정부(300)와 하단고정부(400)의 내부에는 통신모듈, 제어모듈 및 전원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mmunication module, a control module, and a power module may be built in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

따라서 전원모듈은 끼임감지부(100)에서 신체 끼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전극의 생성 및 레이저 생성에 필요한 전원 공급 기능을 하고, 제어모듈은 신체 끼임 감지를 포착했을 때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승강기(20) 제어부로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ower module functions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generation of electrodes and laser generation that can detect body jamming in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and the control module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when detecting body jamming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module. It can be performed includ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elevator 20 control unit through the.

통신모듈, 제어모듈 및 전원모듈은 상단고정부(300) 및 하단고정부(400) 양 고정부에 모두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양단의 고정부에 분산 내장되거나 또는 일단의 고정부에 집중되어 내장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module and the power module may be configured by being built-in in both fixing parts of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or dispersedly embedded in the fixing parts of both ends, or concentrated on one fixed part may be built-in.

통신모듈은 승강기(20) 제어부와 무선통신으로 통신망이 연계될 수 있으며 상단고정부(300)와 하단고정부(400) 상호 간에도 무선 통신망이 구축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vator 20 control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also be established between the upper fixed unit 300 and the lower fixed unit 400 .

다만 무선 통신망의 구축이 바람직하나 설치 환경 또는 기능 보완을 위해 필요시 유선통신망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유선과 무선을 혼합한 형태의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t if necessary for an installation environment or to supplement functions, it may be provided a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be configur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in a form in which wired and wireless are mixed.

전원모듈은 배터리를 이용한 내장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원의 지속적 공급을 위해 유선으로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ower module is preferably provided as a built-in type using a battery, but may also be configured by being connected to a power supply by wire for continuous supply of power.

한편 상단고정부(300)와 하단고정부(400)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승강장 프레임(13)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may function to fix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latform frame 13 .

상단고정부(300) 및 하단고정부(400)는 고정부재(310,420)가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승강장 프레임(13)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승강장 프레임(13)이 고정될 수 있다. As for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the fixing members 310 and 420 are inserted and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platform 13 from their respective surfaces, so that the platform frame 13 can be fixed.

고정부재(310,420)는 볼트, 못과 같이 단단한 결합과 고정 유지를 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단고정부(300) 및 하단고정부(400)의 표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관통하며 승강장 프레임(13)까지 이어져 고정될 수도 있고, 상단고정부(300) 및 하단고정부(400)의 뒷면 승강장 프레임(13)에 접하는 부위에 통공이 형성되어 승강장 프레임(13)에 결합된 후 덮개가 씌워지는 형태의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fixing members 310 and 420 may be used with a device capable of solid coupling and fixed maintenance, such as bolts and nails, and are inserted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and penetrated through the platform frame (13). It can also be fixed by continuing up to,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ear platform frame 13 of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to be coupled to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n covered with a cover. It may be configured in a detachable manner.

또는 상단고정부(300) 및 하단고정부(40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단차가 형성된 후 두께를 얇게 한 후 고정부재(310,420)가 삽입되는 형태 변환도 적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shape change in which the fixing members 310 and 420 are inserted after thinning the thickness after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ar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tep may also be applied.

고정부재(310,420)의 종류 및 결합형태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한 그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The types and coupling forms of the fixing members 310 and 420 are not limited in the method as long as they can maintain a high coupling force without impairing the function of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모션센서(210)가 구비되어 사람 및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승강장 도어(14)의 안전 동작을 유도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tion sensor 210 to induce the safe operation of the platform door 14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people and objects. have.

이를 위해 동작감지부(200)가 하단고정부(400)에 연장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tion sensing unit 200 may be provided extending from the lower fixing unit 400 .

동작감지부(200)의 일단은 하단고정부(400)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모션센서(210)가 승강장(11)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승강장(11)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One end of the motion detecting unit 200 is coupled to the lower fixing unit 400 , and the other end of the motion sensor 210 is provided to face the front of the platform 11 to detect a motion occurring in the platform 11 .

특히 동작감지부(200)는 본 발명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낮은 위치에서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어린이, 유모차, 반려동물과 같이 주의가 더 필요하면서 키가 낮은 사람 및 물체 등에 대하여 동작 감지를 더욱 잘 포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motion sensing unit 200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detect the motion at a low position. Motion detection can be better captured.

동작감지부(200)와 하단고정부(400)는 회전축(4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동작감지부(200)는 회전축(410)을 기준으로 하단고정부(400)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이동 하여 위치 조절을 할 수 있다. The motion sensing unit 200 and the lower fixing unit 400 may be coupled by a rotating shaft 410 , and the motion sensing unit 200 rotates along the edge of the lower fixing unit 400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410 . You can move it to adjust its position.

가령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의 전체 길이가 승강장 프레임(13)에 상대적으로 길어서 설치 시 동작감지부(200)가 바닥에 닿는다면 동작감지부(200)를 측면으로 회전이동 시켜 바닥에 닿지 않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overall length of the elevator trapp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long to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motion sensing unit 200 touches the floor during installation, the motion sensing unit 200 is placed on the side. It can be rotated and moved so that it does not touch the floor, and it can be maintained in its shape.

가령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승강장(11)의 좌측면에 설치하는데 바닥에 동작감지부(200)가 닿는 경우 동작감지부(200)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바닥 및 승강장 도어(14)에 닿지 않도록 위치시킨 후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승강장(11)의 우측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동작감지부(200)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platform 11 and the motion sensing unit 200 touches the floor, the motion sensing unit 200 is rotated to the left so that it does not touch the floor and the platform door 14. It can be used after making it, and on the contrary, when it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platform 11, it can be used by rotating the motion detection unit 200 to the right.

또한 동작감지부(200)를 하단고정부(400)에 연장 형성하되 하단고정부(400) 대비 높은 단차로써 돌출되도록 구성한 후 회전축(410)으로 결합시켜 동작감지부(200)를 상단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sensing unit 200 is extended to the lower fixing part 400, but configured to protrude with a higher step than the lower fixing part 400, and then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410 to rotate the motion sensing unit 200 in the upper direction. may do it

따라서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기 설치된 승강장(11) 구조의 다양한 형태에 있어 어떠한 경우에도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Therefore,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mounted and used in any case in various forms of the pre-installed platform 11 structure.

동작감지부(200)에 구비되는 모션센서(210)는 승강장 도어(14)의 개폐 시 승강장(11)에 위치한 사람 및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승강장(11)을 향하여 센싱하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motion sensor 210 provided in the motion detection unit 200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sensing toward the platform 11 so as to detect the movement of people and objects located in the platform 11 when the platform door 14 is opened and closed. can be

특히 동작감지부(200)는 승강장 도어(14)가 닫히는 순간에 승강장(11)의 도어의 개폐 지점에서 포착되는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모션센서(210)로 감지하게 되면 이를 즉각 하단고정부(400) 또는 상단고정부(300)에 구비된 제어모듈에 전달하여 승강장 도어(14)가 리오픈 되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motion detection unit 200 detects the movement of a person or an object captured at the opening and closing point of the door of the platform 11 at the moment when the platform door 14 is closed with the motion sensor 210, which is 400) or the control module provided in the upper fixing part 300, so that the platform door 14 is reopened.

승강장 도어(14)가 닫히는 순간에는 승강기(20)에 사람이 모두 탑승하거나 또는 승강기(20)에서 사람이 모두 하차한 이후로 간주되기 때문에 승강장(11)에서 어떠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승강기 도어(21)에 끼임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승강기 도어(21)의 움직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At the moment when the platform door 14 is closed, it is regarded as after all people board the elevator 20 or all people get off the elevator 20. When any movement is detected in the platform 11, the elevator door 21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door 21 in advance before a jamming accident occurs.

본 발명의 동작감지부(200)는 상기와 같이 승강장 도어(14)가 닫히는 순간 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리 파악하여 선제적으로 조치하도록 하는 예방 안전장치로써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motion detection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as a preventive safety device that detect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in advance and takes preemptive measures when the platform door 14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또한 동작감지부(200)는 하단고정부(400)에 결합된 채 회전이동하여 위치가 변경 설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설치한 후 모션센서(210)에 의한 센싱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적용되어 예방 안전조치가 이뤄질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motion detec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lower fixing unit 400 and the position can be changed and set, the direction of sensing by the motion sensor 210 after installing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It is also applied to the case where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preventive safety measures can be implemented.

특히 동작감지부(200)는 승강장 도어(14)가 닫히는 순간에 끼임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로써 기능을 할 수 있고, 끼임감지부(100)는 승강장 도어(14)가 열리는 순간에 신체 끼임이 발생하는 즉시 안전장치로써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승강장(11)이 열리고 닫히는 순간 모두에 기능할 수 있는 이중 안전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otion detection unit 200 may function as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jamming at the moment the platform door 14 is closed, and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may cause body jamming at the moment the platform door 14 is opened. As soon as it functions as a safety device, it can be utilized as a double safety device that can function both at the moment when the platform 11 is opened and closed.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an example of use of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기존에 승강기(20)가 설치되어 운영되는 승강장(11)에 별도의 장비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손쉽게 장착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equipment or devices in the elevator platform 11 where the elevator 20 is installed and operated.

우선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승강장(11)의 일측 벽체에 구성된 승강장 프레임(13)에 부착시킨다. First,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platform frame 13 configured on one wall of the platform 11 .

우선 승강장(11)의 좌측에 구비된 승강장 프레임(13)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가정한다.First, it is assumed that it is attached to the platform frame 13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latform 11 .

사용자는 끼임감지부(100)를 정면에서 목측 시 좌측에 지지부(130)가 구성되고 우측에 전류감지부(110) 또는 레이저감지부(120)가 위치하도록 하여 승강장 프레임(13)에 부착될 위치를 설정한다. When the user sees the jamming sensing unit 100 from the front, the support unit 130 is configured on the left side and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or the laser sensing unit 12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to be attached to the platform frame 13. to set

이때 승강장 프레임(13)과 승강장 도어(14) 사이 틈새에 상관없이 전류감지부(110) 또는 레이저감지부(120)가 승강장 도어(14)에 최대한 밀착되어 틈새를 줄임으로써 신체 또는 물체가 틈새에 끼이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승강장 도어(14) 및 기타 승강기(20)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위치되어야 한다. At this time, regardless of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platform door 14,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or the laser sensing unit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form door 14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 gap, so that the body or object is placed in the gap. It is preferable not to be pinched, but it should be locat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door 14 and other elevators 20 .

만일 승강장 프레임(13)과 승강장 도어(14) 사이 틈새가 좁다면 끼임감지부(100)는 후면 전체를 승강장 프레임(13)에 접하며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다. If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landing door 14 is narrow,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may be installed with the entire rea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latform frame 13, which is shown in (a) of FIG. .

반면 승강장 프레임(13)과 승강장 도어(14) 사이 틈새가 넓다면 끼임감지부(100)는 지지부(130)만 승강장 프레임(13)에 접한 채 전류감지부(110) 또는 레이저감지부(120)는 틈새 사이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platform door 14 is wide,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has only the support unit 130 in contact with the platform frame 13 while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or the laser sensing unit 120. may be installed in an exposed state between the gaps, which is shown in FIG. 2(b).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새의 폭에 맞춰 끼임방지부(100)를 승강장 도어(14) 또는 승강기 도어(21)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부(130)를 접착부재(131)를 이용하여 승강장 프레임(13)에 부착시킴으로써 틈새 크기에 맞게 틈새 폭을 조절한 설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in a state in which the jamming prevention part 100 is position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form door 14 or the elevator door 21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gap, the support part 13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member 131. By attaching it to the platform frame 13 using a

따라서 상기 틈새의 상황에 따른 어느 경우에나 사용자는 지지부(130)의 후면에 구비된 접착부재(131)를 이용하여 승강장 프레임(13)에 끼임감지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틈새의 크기가 상이한 어떤 경우라도 그에 맞춰 적용될 수 있는 높은 활용도와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any case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gap, the user can fix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to the platform frame 13 using the adhesive member 131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30, and a stable fixing state is maintained. By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it is possible to expect high utilization and practical effect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ly in any case where the size of the gap is differ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승강장(11) 틈새와 승강장 도어(14)의 틈새의 폭에 상관없이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mprehensively applicable regardless of the width of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11 and the platform door 14 .

이후 사용자는 상단고정부(300)와 하단고정부(400)에 고정부재(310,420)를 각각 삽입하여 승강장 프레임(13)에 결합시킴으로써 설치 고정상태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can further strengthen the installation fixing state by inserting the fixing members 310 and 420 into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 respectively, and coupling them to the platform frame 13 .

상기 설치과정에서 승강장 프레임(13)의 설치 가능 길이보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더 길어서 동작감지부(200)가 바닥에 닿는다면 동작감지부(200)를 좌측으로 회전 이동시켜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다. In the installation process, if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nger than the installable length of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motion sensing unit 200 touches the floor, the motion sensing unit 200 is rotated to the left and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can

또는 특정한 필요에 의해서 동작감지부(200)의 모션센서(210)의 위치를 높이고 싶다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최대한 높게 설치한 후 동작감지부(200)를 좌측으로 회전 이동시켜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고 또는 상부까지 회전시켜 더 높은 위치에서 모션센서(210)가 센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f the user wants to increase the position of the motion sensor 210 of the motion sensing unit 200 according to specific needs, the user installs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high as possible and then rotates the motion sensing unit 200 to the left to increase the height. It can also be rotated to the top or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motion sensor 210 senses at a higher position.

반면 본 발명의 안전장치와 승강장 도어(14)가 멀어서 모션센서(210)를 승강장 도어(14)에 보다 인접시킨 후 센싱하고 싶다면 동작감지부(200)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latform door 14 are far away, so that the motion sensor 210 is closer to the platform door 14 and then wants to sense it, the motion detection unit 200 may be installed by rotating it to the right.

이와 같이 동작감지부(200)의 회전 이동을 통해 승강장(11)의 형태와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따라 다양한 위치 설정을 통해 범용성 있는 사용을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tion sensing unit 200, it is possible to use the platform 11 for general purpose through setting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latform 11 and the intention of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승강장(11) 우측 프레임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by attaching it to the right frame of the platform 11.

이 경우에는 상술한 좌측 프레임 설치 과정과 반대로 우측에 지지부(130)가 구성되고 좌측에 전류감지부(110) 또는 레이저감지부(120)가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opposed to the above-described left frame installation process, the support unit 130 may be configured on the right side and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or the laser sensing unit 120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즉 좌측 승강장 프레임(13)에 설치하는 경우에 설치된 형태에서 전면과 후면을 뒤집어서 사용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That is, when installed on the left platform frame 13,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installed form may be inverted and used.

그리고 지지부(130) 후면의 방향도 바뀌므로 접착부재(131)를 새롭게 설정되는 지지부(130) 후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승강장 프레임(13)에 부착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30 is also changed, the adhesive member 131 may be attached to the platform frame 13 by being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30 which is newly set.

동작감지부(200)는 하단고정부(400)로부터 회전축(410)을 분리하여 전,후 방향을 뒤집고 모션센서(210)가 승강장(11)을 향하도록 설치한 후 회전축(410)을 다시 삽입하여 동작감지부(200)를 구성할 수 있다. The motion sensing unit 200 separates the rotating shaft 410 from the lower fixing unit 400, reverse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stalls the motion sensor 210 to face the platform 11, and then inserts the rotating shaft 410 again. Thus, the motion detection unit 200 may be configured.

이제 동작감지부(200)는 좌측 승강장 프레임(13)에 설치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바닥과의 높이, 승강장(11)과의 거리, 사용목적 등에 따라 좌측, 우측,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Now, the motion detection unit 200 is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by rotating it in the left, right, and upper directions according to the height from the floor, the distance from the platform 11, the purpose of use, etc., as in the case of being installed on the left platform frame 13 . can be

이렇듯 좌측과 우측의 승강장 프레임(13) 어느 방향에나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동작감지부(200)와 하단고정부(400)는 회전축(410)이 분리될 수 있고, 동작감지부(200)는 하단고정부(400)의 전면과 후면 어느 방향에서도 회전축(4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사용 환경에 따라 별도 형태로 제작되거나 사용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을 보유하지 않는 범용성을 장점으로 보유하게 된다. As such, in order to be installed in either direction of the platform frame 13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motion sensing unit 200 and the lower fix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rotating shaft 410 separated, and the motion sensing unit ( 2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coupled by the rotation shaft 410 in either direction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fixing part 400, so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 has the advantage of versatility that does not have problems such as being manufactured in a separate form or limited in us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use.

이후 상단고정부(300)와 하단고정부(400)에 고정부재(310,42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설치가 완료될 수 있으며, 승강장 프레임(13)의 어느 방향에든 동일한 방식과 동일한 장치로써 사용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by inserting and combining the fixing members 310 and 420 in the upper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fixing part 400, and it can be used in the same way and as the same device in any direction of the platform frame 13. .

이상의 절차로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승강장 프레임(13)에 설치 완료되면 승강장 도어(14)의 열림과 닫힘 시 안전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When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platform frame 13 through the above procedure, the safety device can be driven when the platform door 14 is opened and closed.

우선 승강기(20)가 승강장(11)에 도착한 후 승강기 도어(21)와 승강장 도어(14)가 열리는 순간에 승강장 도어(14)의 측면 틈새에 신체의 일부 가령 손이 끼이게 되면 손은 감지외피부(111,121)를 누르게 된다. First, after the elevator 20 arrives at the platform 11, at the moment the elevator door 21 and the platform door 14 are opened, if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hand, is caught in the gap on the side of the platform door 14, the hand is not detected. The skin 111 and 121 are pressed.

끼임감지부(100)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전류감지부(110)로 구성이 되었다면 손에 의해 눌려진 감지외피부(111)가 변형이 되면서 제1도전체(113)가 도전공간(112) 중심부로 찌그려져 밀려들어가고 맞은편 제2도전체(114)에 접촉이 이뤄진다. If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is configured as the current sensing unit 110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outer skin 111 pressed by the hand is deformed and the first conductor 113 is formed in the conductive space ( 112) It is squashed and pushed into the center, and contact is made with the second conductor 114 on the opposite side.

제1도전체(113)와 제2도전체(114)가 맞닿아 통전되면 제어모듈이 즉시 끼임 감지신호를 발생시켜 통신모듈을 통해 승강기(20) 제어부로 송신하여 승강기(20) 및 승강장 도어(14)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When the first conductor 113 and the second conductor 114 come into contact and energized, the control module immediately generates a jamming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elevator 20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elevator 20 and the elevator door ( 14) can be stopped.

만약 끼임감지부(100)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레이저감지부(120)로 구성이 되었다면 상기 손 끼임 순간에 눌려진 감지외피부(121)가 변형이 되면서 내부에 형성된 광감지공간(122)의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발광부(123)에서 발광된 레이저는 차단되어 수광부(124)에서 레이저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If the pinch detection unit 100 is configured with the laser detection unit 120 a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outer skin 121 pressed at the moment of the hand pinch is deformed and the light sensing space 122 formed therein. ), and the laser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23 is blocked, so that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cannot receive the laser.

수광부(124)에 레이저가 끊기는 즉시 제어모듈이 끼임 감지신호를 발생시켜 통신모듈을 통해 승강기(20) 제어부로 송신하여 승강기(20) 및 승강장 도어(14)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As soon as the laser is cut off in the light receiving unit 124 , the control module generates a jamming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elevator 20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20 and the elevator door 14 .

한편 승강기(20)의 사람이 하차하고 탑승이 완료된 후에 승강기 도어(21)와 승강장 도어(14)가 닫히는 순간에는 승강장 도어(14) 앞 승강장(11)의 도어의 개폐 지점에는 사람이 없거나 탑승 또는 하차를 위한 동작이 없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moment when the elevator door 21 and the platform door 14 are closed after a person in the elevator 20 gets off and boarding is completed, there is no person at the opening or closing point of the door of the platform 11 in front of the platform door 14 There should be no movement for getting off.

그러나 승강장 도어(14)가 닫히는 순간 모션센서(210)가 승강장(11) 도어의 개폐 지점에서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그 즉시 제어부가 동작 감지신호를 발생시켜 승강기(20) 제어부에 송신하여 승강기 도어(21) 및 승강장 도어(14)의 닫힘을 중지하고 다시 열릴 수 있게 하며 정상여부가 판단될 때까지 승강기(20) 운행을 보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latform door 14 is closed, the motion sensor 210 detects the movement of a person or an object at the opening and closing point of the platform 11 door, immediately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motion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elevator 20 control unit. The elevator door 21 and the landing door 14 can be controlled to stop closing and reopen, and to suspend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20 until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normal.

한편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승강기(20) 안에 설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elevator 20 .

승강기(20) 안에서 승강기 도어(21)가 열리고 닫히면서 승강기(20) 전면 양측으로 인입과 인출되는 부위에 소정 너비의 틈새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승강기(20) 내부 벽체에 부착되되 승강기 도어(21)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As the elevator door 21 opens and closes in the elevator 20, a gap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in the entrance and exit parts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elevator 20.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interior wall of the elevator 20. It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elevator door 21 .

따라서 승강기(20) 내부에서 승강기 도어(21)가 열리고 닫힐 때 승강기 도어(21)와 승강기(20) 내부 벽체 사이에 손가락 등 신체 일부가 끼이는 돌발 상황 시 이를 즉각 인지하고 동작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levator door 21 is opened and closed inside the elevator 20, when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finger is caught between the elevator door 21 and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20, it is immediately recognized and the operation can be stopped. have.

한편 승강기의 상부에는 승강기통신유닛(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으며, 승강기통신유닛은 건물 각 층 승강장(11)에 설치된 본 발명의 안전장치에 내장된 통신모듈과 상호 연동되도록 구비되어 경제적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elevator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to interoperate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platform 11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achieve economic efficiency. can be promoted

즉 승강기(20)가 이동하다가 정차를 위해 특정 층에 멈추게 되면 승강기통신유닛은 승강기(20)가 해당 층에 정차 이동 중임을 해당 승강장 프레임(13)에 설치된 본 발명의 통신모듈에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이에 본 발명의 끼임감지부(100)는 작동대기 상태에 있다가 통신모듈에서 승강기통신유닛의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어모듈이 끼임감지부(100)를 활성화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levator 20 is moving and stops at a specific floor for a stop, the elevator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platform frame 13 indicating that the elevator 20 is stopping and moving on the corresponding floor. Accordingly,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n operation standby state, and at the same time receiving a signal from the elevator communication unit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module may activate the jamming detection unit 100 .

따라서 각 층 승강장(11)에 설치된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는 승강기(20)의 운행과 무관하게 상시 작동 상태로 에너지원을 소비하면서 대기하지 않을 수 있으며, 승강기(20)의 운행 시 즉시 기동되어 끼임 방지 안전장치로써 기능할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최상의 안전장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platform 11 of each floor can not wait while consuming energy sources in a normal operation state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20, (20) can be started immediately during operation and can function as a jam-preventing safety device, thereby preventing economic loss and performing the best safety device function.

승강기(20) 내부 벽체에 부착되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승강장 프레임(13)에 부착되는 경우와 동일한 구성 및 방법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별도의 장비나 추가 장치 없이 간단히 안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20 can be made in the same configuration and method as when it is attached to the platform frame 13, and the safety device can be provided simply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or additional devic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승강기(20) 내부 또는 승강장 프레임(13)의 벽체에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단순히 부착하고 고정시킨 후 통신모듈 및 제어모듈을 승강기(20)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만 해주면 되므로 설비가 상당히 간단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attach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previously installed elevator 20 or to the wall of the elevator frame 13, and then communication Since it is only necessary to connect the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to th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20, the installation is considerably simplified.

이상의 절차로써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가 설치되고 운영될 수 있으며 이로써 승강장 도어(14)의 열림과 닫힘 시 틈새 끼임과 문틈 끼임에 의한 안전사고를 이중으로 감지하며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10)를 구축하는 데 있어 기존 승강설비에 별도의 장비나 인프라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추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승강장(11)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자유자재로 적용될 수 있는데다가, 승강장(11)의 높이와 승강장 도어(14) 틈새의 폭, 사용용도 등 다양한 상황에 맞춰 모션센서(210)의 위치를 변형해가며 활용도 높은 안전장치를 적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With the above procedure,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thereby double detec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gap jamming and door jamming when the platform door 14 is opened and closed. Accidents can be prevented, and in constructing th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10 using the mo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a simple way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or infrastructure in the existing elevator facility, and A highly useful safety device that can be freely applied to the left or right, an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motion sensor 210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such as the height of the platform 11, the width of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door 14, and the purpose of use. can have an economic effect that can be built at a low cost.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11 : 승강장
12 : 승강장 벽체
13 : 승강장 프레임
14 : 승강장 도어
20 : 승강기
21 : 승강기 도어
100 : 끼임감지부
110 : 전류감지부
111, 121 : 감지외피부
113 : 제1도전체
114 : 제2도전체
115 : 돌출부
116 : 절개부
120 : 레이저감지부
122 : 광감지공간
123 : 발광부
124 : 수광부
130 : 지지부
131 : 접착부재
200 : 동작감지부
210 : 모션센서
300 : 상단고정부
310, 420 : 고정부재
400 : 하단고정부
410 : 회전축
10: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motion sensor
11: Platform
12: Platform wall
13: platform frame
14: platform door
20: elevator
21 : elevator door
100: jamming detection unit
110: current sensing unit
111, 121: sensing outer skin
113: first conductor
114: second conductor
115: protrusion
116: cutout
120: laser detection unit
122: light sensing space
123: light emitting part
124: light receiving unit
130: support
131: adhesive member
200: motion detection unit
210: motion sensor
300: upper fixing part
310, 420: fixing member
400: bottom fixing part
410: rotation axis

Claims (5)

승강장 프레임의 일측에 승강장 도어와 인접한 종 방향으로 선형 구비되어 승강장 프레임과 승강장 도어 사이의 신체 끼임을 감지하는 끼임감지부;
끼임감지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끼임감지부를 보호하고 승강기의 제어부와 연결하는 상단고정부;
끼임감지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끼임감지부를 보호하고 중앙부 일측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하단고정부; 및
회전축에 결합되며 하단고정부에 연장 형성되고 승강장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센서가 구비되어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를 포함하되,
동작감지부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단고정부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모션센서는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에 동작 감지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a jamming detection unit provided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the platform door on one side of the platform frame to detect body jamming between the platform frame and the platform door;
an upper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jamming detection unit to protect the jamming sensing unit and connecting to the control unit of the elevator;
a lower fixing par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jamming sensing unit to protect the jamming sensing unit and having a rotating shaft penetrat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one side of the central part; and
It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fixed part, is provided to face the front of the platform, is provided with a mo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motion, and a motion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 person or an object; including,
The motion sensing unit can rotate and move along the rim of the lower fixing part based on the rotation axis to adjust the position. Elevator jam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끼임감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승강장 도어를 향하는 일측에 구성되는 전류감지부;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타측에 구성되는 강성 재질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전류감지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도전공간;
도전공간의 주위를 감싸며 보호하고 전류감지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연성 및 탄성 재질의 감지외피부;
도전공간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양극 또는 음극의 제1도전체;
도전공간의 타 측면에 배치되며 제1도전체와 반대 전극으로 구성되는 제2도전체; 및
도전공간의 제1도전체 및 제2도전체 사이 양측면 각각의 중앙부에서 내부 공간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제1도전체 및 제2도전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변형되어 상호 통전되면 끼임 감지신호가 상단고정부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되는 것을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jamming detection unit,
a current sensing unit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figured on one side facing the platform door;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made of a rigid material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urrent sensing unit,
a conductive space forming an inner 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nsing outer skin made of a soft and elastic material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periphery of the conductive space and forms an external shape of the current sensing unit;
a first conductor of an anode or a cathod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ductive space;
a second conducto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uctive space and composed of an electrode opposite to the first conductor; and
It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enter of each of both sides betwee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of the conductive space toward the inner space,
Elevator jamm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comprising: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is energized with each other, the jamming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upper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끼임감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승강장 도어를 향하는 일측에 구성되는 레이저감지부;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타측에 구성되는 강성 재질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레이저감지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광감지공간;
도전공간의 주위를 감싸며 보호하고 레이저감지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연성 및 탄성 재질의 감지외피부;
상단고정부에 매립 설치되며 광감지공간의 하단고정부 방향으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발광부; 및
하단고정부에 발광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매립 설치되어 방출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광감지공간이 변형되어 발광부의 방출 레이저가 수광부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단고정부를 통해 제어부에 끼임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jamming detection unit,
a laser sensing unit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figured on one side facing the platform door;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made of a rigid material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di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aser detection unit,
a light sensing space forming an inner 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nsing outer skin made of soft and elastic material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periphery of the conductive space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laser sensing unit;
a light emitting unit embedded in the upper fixed portion and emitting a laser toward the lower fixed portion of the light sensing space; and
It further comprises;
When the light sensing space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laser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does not reach the light receiving unit, a jamming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upper fixing unit.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승강장 프레임에 접하는 일면을 따라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지지부를 승강장 프레임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Elevator trapping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further comprising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member alo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latform frame, which can be fixed by attaching the support to the platform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단고정부 및 하단고정부는 고정부재가 표면으로부터 승강장 프레임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승강장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끼임 방지 안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Elevator jam prevention safety device using a motion sensor further comprising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to be fixed to the platform frame by being inserted and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platform frame from th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KR1020200024606A 2020-02-27 2020-02-27 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 KR202101093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06A KR20210109373A (en) 2020-02-27 2020-02-27 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06A KR20210109373A (en) 2020-02-27 2020-02-27 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373A true KR20210109373A (en) 2021-09-06

Family

ID=7778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606A KR20210109373A (en) 2020-02-27 2020-02-27 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37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9390A1 (en) * 2018-10-23 2021-06-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oor-pinch detection device and elevator door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68B1 (en) 2012-10-11 2013-02-27 이호연 Safety device of elevator door for hand protection using plastic optical she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068B1 (en) 2012-10-11 2013-02-27 이호연 Safety device of elevator door for hand protection using plastic optical she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9390A1 (en) * 2018-10-23 2021-06-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oor-pinch detection device and elevator door device
US11745984B2 (en) * 2018-10-23 2023-09-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oor-pinch detection device and elevator do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690B1 (en) Door excess weight alarm
KR101238068B1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door for hand protection using plastic optical sheet
CN107973207B (en) Handrail system for a people conveyor and method for preventing injuries on a handrail system of a people conveyor
KR20210109373A (en) 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
JP2020041410A (en) Dragging detection device and sliding door device
JP5257867B2 (en) Passenger conveyor
KR101761160B1 (en) The blocking device for door of right and left opening and shutting type
KR102245816B1 (en)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EP3159295B1 (en) Service alarm device for an elevator system
KR101804536B1 (en) Sensor for elevator doors
JP5855440B2 (en) Door clamp detection system
JP2009107769A (en) Door control device for elevator
KR102119620B1 (en)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JP2008184287A (en) Voice type attention calling device
KR101913954B1 (en)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KR101805569B1 (en) Sensor for elevator doors
KR200484754Y1 (en) Protection device for a elevator
JP2000025610A (en) Foreign matter detection method and device of automatic open/close door
KR20200079777A (en)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CN215047842U (en) Elevator retinue cable safety arrangement
CN218522594U (en) Automatic safety protection system for roller shutter door
KR102534316B1 (en)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technical performance of safety and convenience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when boarding and using elevators
CN109928282A (en) A kind of elevator faults detection security system
CN216302981U (en) Elevator system
JP2010037015A (en) Door safety device for elev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