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620B1 -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 Google Patents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620B1
KR102119620B1 KR1020180132265A KR20180132265A KR102119620B1 KR 102119620 B1 KR102119620 B1 KR 102119620B1 KR 1020180132265 A KR1020180132265 A KR 1020180132265A KR 20180132265 A KR20180132265 A KR 20180132265A KR 102119620 B1 KR102119620 B1 KR 102119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pace
switch
switch body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2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1435A (en
Inventor
강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갭
Priority to CN201980043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384463A/en
Priority to PCT/KR2019/007830 priority patent/WO2020004985A1/en
Publication of KR20200001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6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문과 승강기 벽 사이의 공간으로 스위치 본체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 문이 열리면서 상기 공간으로 승강기 문을 따라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사람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되,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하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31)와, -극의 제2 도전체(132); 및 상기 각 도전체(131, 132)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gap detection switch, specifically by installing a switch body as a space between the elevator door and the elevator wall, so that the elevator door is opened so that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finger, is not sucked into the space along the elevator door. Therefore, it does not injure people, but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it is related to a lift gap detection switch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pace 101 is formed inside, and a protrusion 103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101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pace 101. Separated into the left main body 1021 and the right main body 1022 by the incision part 104 around the protruding portion 103, one side is connected to open and close, and each of the front and rear doors of the elevator 200 A switch body 100 provided in the gap;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the first conductor 131 of the + pole and the second conductor 132 of the-pole; It includes;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levator 200 and the elevator door 210 by sensing when the electric current flows when the respective conductors 131 and 132 are contacted by an external force.

Description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Lift gap detection switch{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문과 승강기 벽 사이의 공간으로 스위치 본체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 문이 열리면서 상기 공간으로 승강기 문을 따라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사람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되,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gap detection switch, specifically by installing a switch body as a space between the elevator door and the elevator wall, so that the elevator door is opened so that parts of the body, such as fingers, are not sucked into the space along the elevator door. Therefore, it does not injure people, but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it is related to a lift gap detection switch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승강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권상기와,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 및 권상기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elevators move passengers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a hoistway formed vertically inside a building while passengers are on the inside, elevator cars that move passengers, motors and hoisters that generate predetermined power, and button manipulation of passengers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traction machine to move the elevator car to the floor.

그리고 상기 승강기 장치에 구비되는 승강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장도어가 설치된다.In addition, an elevator car provided in the elevator device is provided with a door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a platform door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open and close passengers to and from the floor by interlocking with the card door.

이때, 승장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승장프레임과 승장도어 사이에 틈이 존재해 탑승자가 승강기에 탑승하기 위해 승강장에서 대기 시 손을 승장도어의 틈 주위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 승장도어가 열리는 것을 인식하지 못해 승장도어에서 손을 미처 떼지 못하게 되면 승장도어와 승장프레임 사이의 틈으로 손이 끼게 되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주의력이 부족하므로 승장프레임과 승장도어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많았다.At this time, there is a gap between the frame of the platform and the platform doo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atform door can be performed smoothly.When the occupant waits at the platform to board the elevator, the hand is placed around the gap of the platform door. If it is not recognized that it is open, and the hand is not released from the landing d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and is pinched by the gap between the landing door and the landing frame. In particular, there was a lot of concern about safety accidents that could cause injury between children and boarding doors due to lack of attention in childre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939호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승강기의 손 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프레임과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고정부 내에 카도어 및 승장도어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승강기 도어에 탑승객의 손이나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장도어 및 카도어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부 측 내벽면에는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검출광을 발산하는 물체 반사식 센서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 좌측센서 및 상부프레임 우측센서가 각각 한 쌍씩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승장도어 및 카도어의 외면과 대응되는 상기 상부프레임 중앙의 내벽면에는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검출광을 발산하는 물체 반사식 센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상부프레임 중앙센서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승강기 도어의 개폐 동작 시에 승객의 손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0-0010939 has been proposed. This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the hand from being caught in an elevator, and is intended to prevent a passenger's hand or a foreign object from being caught in an elevator door formed by installing a car door and an elevator door in a fixed part composed of an upper frame, a left frame, and a right frame. In the device, the upper frame left sensor and the upper frame right sensor made of an object reflective sensor that vertically emits detection ligh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boarding door and the card door In addition, each pair is installed, and a pair of upper frame central sensors made of an object-reflective sensor that vertically emits detection light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pp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boarding door and the car door. Installed and configu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assenger's hand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door.

그런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검출광의 검출을 통해 손이나 이물질을 감지하는 구조로 예를 들어 도어의 개폐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박스나 가방 등이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를 임의로 제어하게 되므로 특정 상황에서의 강제적인 도어의 개폐 제어가 빈번해져 승객에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센서를 상부프레임 등에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다.However, the public utility model has a structure for detecting a hand or a foreign object through detection of detection light, for example, even when a box or a bag that does not aff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pproaches the door, the door is opened and arbitrarily controlled. Since it is frequently forc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in a specific situation, it is inconvenient for the passenger, and a number of sensors have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etc., and thus has a structurally complicated problem.

한편, 상기 공개실용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제2009-515798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도어패널 또는 리턴패널의 표면 또는 엣지면에는 전기전도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서가 구비되고, 도어 프레임부재에도 동일한 구조의 센서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515798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utility model. This relates to a door assembly, a sensor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door panel or return panel, and the door frame member is also provided with a sensor having the same structure.

따라서 도어패널 또는 리턴패널의 표면 또는 엣지면에 손이 접촉되어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도어패널 또는 리턴패널의 개폐를 강제 제어하여 손이 승강기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단순히 인체가 감지되면 도어를 개폐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도어에 직접 경고나 비상상태 등의 시각적 정보는 제공하지 않아 승강기가 정전으로 인해 등기구가 소등되는 경우에는 승객 자신이 서있는 위치 판별이 어려워 당황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Therefore, when a hand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r the edge of the door panel or the return panel, when the current of the human body is sense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panel or the return panel is forcibly controlled to prevent the hand from being pinched between the elevator door and the frame. However, the public utility model simply prevents injury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and does not provide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warning or emergency state directly to the door. There are problems such as embarrassment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re the person is standing.

한편, 통상의 승강기는 도어에 기대는 것을 방지하고 과적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에 의해 승장도어와 카도어의 하단에서 170~180㎝의 높이에 "손대지 마시오","기대면 추락위험"이 인쇄된 주의사항 스티커를 부착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주의사항 스티커는 제작 후 카도어 뿐 아니라 모든 층의 승장도어에 부착해야 하므로 많은 수의 주의사항 스티커를 부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부착된 주의사항 스티커의 분실 및 훼손 등으로 인한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과 인력 투입으로 인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승강기의 미관 역시 저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leaning on the door and prevent overloading, the normal elevator “do not touch” at the height of 170 to 180 cm from the bottom of the landing door and the car door according to the “Elevation Facility Safety Management Act”, “expected crash” Danger" is being forced to affix the printed caution sticker. However, these precaution stickers need to be attached to the boarding doors on all floors as well as the car door after production, so it takes a lot of money to attach a large number of precaution stickers, and the attached precaution stickers are lost or damaged. As a result, it takes a lot of time due to cost and manpower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aesthetics of the elevator is also inhibited.

이와 같은 도어의 손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등록특허 제10-1238068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승강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에 구비되는 카프레임과 승장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도어 구동용 모터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의 표면에 구비되어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는 도어용 전도성도파로시트와,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인체의 미세전류인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의 테두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상기 도어용 전도성 도파로시트로 빛을 조사하는 제1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도어 또는 승강장 등의 프레임 모서리부분에 손 접촉으로 인해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승강기 도어를 강제 제어하여 승강기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손이 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도성 도파로시트로 빛을 조사하여 이용자에게 시각적 경각심도 줄 수 있다.Patent No. 10-1238068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pinched. This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hand of the elevator door from being pinched, and is located between an elevator car and a car frame provided in a platform and a platform for an elevator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 door driving motor controlled by a control means. It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waveguide sheet for the door to sense the current of the human body, a control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is a micro-current of the human body when the current is sensed through the conductive waveguide sheet for the door,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dge of the conductive waveguide sheet for the d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rst LED that is illumin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to irradiate light with the conductive waveguide sheet for the doo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electric current of the human body is detected due to hand contact with the corner of the frame such as an elevator door or a platform, the elevator door is forcibly controlled to prevent a hand from being injured between the elevator door and the frame, and a conductive waveguide sheet. It can also give a visual awareness to the user by irradiating light.

그런데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238068호는 도어의 표면에 전도성 도파로시트를 설치하여 빛을 도어 표면으로 조사할 수 있지만, 통상 승강기는 사람이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의 폭이 넓어 도어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LED의 빛이 충분히 반대편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도어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양이 적어 조도가 낮음에 따라 시인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 registered patent No. 10-1238068 can install a conductive waveguide sheet on the surface of the door to irradiate light to the door surface, but usually the elevator has a wide door to allow people to pass through without interference. Since the light of the LE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ide did not reach the opposite side sufficiently,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door surface was small, so there was a problem of low visibility due to low illumination.

위에서 살펴본 다수의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승강기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은 비교적 복잡하고, 규모가 비교적 크게 승강기에 설치되기 때문에 승강기 설치비용이 증가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설치 후에 승강기 이용자의 통행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Configurations for preventing the elevator jam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numerous patent documents are relatively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elevator is increased due to the relatively large siz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conomical.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cause interference.

특히, 공지된 기술에 적용된 승강기 끼임 방지 장치들은 센서를 이용하여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감지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센서부,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변환기 등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여 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성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각 구성들이 고장 났을 경우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elevator jam prevention devices applied to the known technology have detected that a finger is caught between the elevator and the wall by using a sensor, and for this purpose, the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are conver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Since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a converter is provided, the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and the configuration is relatively large. Therefore, when each configuration fails,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intenance costs are high.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939호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10-0010939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제2009-515798호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515798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8068호3.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3806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기 문과 승강기 벽 사이의 공간으로 스위치 본체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 문이 열리면서 상기 공간으로 승강기 문을 따라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사람들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되,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install a switch body into the space between the elevator door and the elevator wall, while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d the body part of the finger or the like is sucked along the elevator door into the space. The goal is to provide a lift pinch detection switch that is easy to mount and maintain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but not to injure peopl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하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31)와, -극의 제2 도전체(132); 및 상기 각 도전체(131, 132)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pace 101 is formed on the inside, a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101 at the lower end of the space 101 (103) is formed, separated from the left body 1021 and the right body 1022 by the incision part 104 around the protrusion 103, one side is connected to open and close, and lift 200 ) Switch body 100 provided in each gap of the front and rear door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the first conductor 131 of the + pole and the second conductor 132 of the-pole; It includes;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levator 200 and the elevator door 210 by sensing when the electric current flows when the respective conductors 131 and 132 are contacted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3 도전체(133)와, -극의 제4 도전체(134); 상기 제1 및 제4 도전체(133, 134)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휘어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114) 및 상기 각 도전체(133, 134)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other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pace 101 is formed inside, and protruding parts 103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101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pace 101. Is formed, is separated into the upper body 1023 and the lower body 1024 by the incision part 104 around the protrusion 103, one side is connect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lift 200 And a switch body 100 provided in each gap of the rear door.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the third conductor 133 of the + pole and the fourth conductor 134 of the-pole; Support members 114 and each of the conductors 133 attach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to prevent the first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from bending or bending. , 134) the control uni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200 and the elevator door 210 by detecting when the electric current flows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되, 상부 본체(1023)의 내측에 구비되는 +극의 제5 도전체(135) 및 상기 하부 본체(1024)의 내측에 구비되되, 하부 본체(1024)의 전체영역에 구비되는 -극의 제6 도전체(136); 및 상기 각 도전체(135, 136)이 외력에 의해 서로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pace 101 is formed inside, and protruding parts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space 101 at both ends of the space 101 ( 103) is formed, separated from the upper body 1023 and the lower body 1024 by the incision part 104 around the protrusion 103, one side is connected to open and close, and the lift 200 Switch body 100 provided in each gap of the front and rear doors of th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the fifth conductor 135 of the + pole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1023 and provided inside the lower body 1024, the lower body ( 1024) is provided in the entire area of the six-pole conductor 136; It includes;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levator 200 and the elevator door 210 by sensing the current when each of the conductors (135, 13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external for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도어(210) 단부에는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상기 스위치 본체(1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end of the elevator door 2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body 100 is coupled to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100) 및 각 도전체들은, 복수로 분리형성되되,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witch body 100 and each of the conductors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separ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to manufacture each to match the length of each other.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단순히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에 삽입 결합하고, 제1 및 제4 도전체를 승강기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만 연결하면 되므로 설비가 상당히 간단해져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clearance pinching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learance pinching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inserted into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between the previously installed elevator and the wall, and the first and fourth conductors are controlled to drive the elevator. Since it only needs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equipment is considerably simpler,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기존의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부,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변환기 등의 구성이 필요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비용을 약 1/10로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n existing finger jamming, a configuration such as a sensor unit, a control unit, and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det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 unit was necessary,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is about 1/10. It can be reduced to have an economic effect.

또한,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발생되는 틈, 즉 승강장과 벽체 및 승강카와 승강기 도어 사이에 발생되는 양측 틈새, 상하부 틈새 모두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특히, 기존 설치된 승강기의 경우 부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고장 또는 유지보수 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단순히 떼어내고 새로운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부착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해져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install both the gap between the elevator and the wall, that is, both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wall and the elevator car and the elevator door, and the upper and lower gaps, it is easy to install, especially in the case of an existing installed elevator In case of breakdown or maintenance, simply remove the elevator clearance detection switch and attach the new elevator clearance detection switch, which greatly simplifies maintenance and reduces the number of labors, which is economical.

도 1은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설치된 승강기의 승강장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설치된 승강기 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1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실시예에서 내부 구성물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2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4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복수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3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내부 구성물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4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5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tform of an elevator in which an elevator clearance det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elevator car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gap det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or pinch detection switch.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ssembly process of internal component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3.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jam detection switch.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B.
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onfigured to connect a plurality of lift gap detection switch of FIGS. 3 and 4.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elevator intermittent pinch detec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lift gap detection switch of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elevator clearance detection switch of FIG. 8 is coupled to an elevator door.
12 and 13 are views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vator jam detection switch.
14 to 16 are views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elevator clearance pinch det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indica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specific matter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appeara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hav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ir mean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When a par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be further included o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learance jam det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설치된 승강기의 승강장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설치된 승강기 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1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실시예에서 내부 구성물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2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b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 및 도 4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복수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tform of an elevator with a clearance gap detection switch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n elevator car with a clearance gap detection switch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And FIG. 3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the elevator jammed detection switch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ssembly process of internal component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3, and FIG. 5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levator jam detection switch 2 embodiment,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B, and FIG. 7 is such that the elevator clearance jam detection switches of FIGS. 3 and 4 are connected in plurality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는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101)의 하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03)를 중심으로 절개부(104)에 의해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로 분리되되,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 개폐가 가능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10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이 서로 역방향으로 접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03)는 일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하부 대칭되도록 양측에 형성도 가능한 것이다.Referring to Figures 1 to 7,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gap detection switch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pace 101 is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101 at the lower end of the space 101 A protrusion 103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is formed, and is separated into a left body 1021 and a right body 1022 by an incision part 104 around the protrusion 103, but one side is connected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It is possible, the switch body 100 is provided in each gap of the front and rear doors of the elevator 200 is provided. Here, as shown in FIG. 3, the space 10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rapezoi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reverse direction. Here, although the protrusion 103 is shown to be formed only on one sid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n both sides so as to be symmetrical up and down.

한편, 상기한 스위치 본체(100)는, 일예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이는 승강기(200) 각 틈새에 손가락 등이 끼면 손가락에 상처가 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쉽게 변형되어 내측에 구비되는 도전체가 접촉되어 전류가 쉽게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내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각각의 경사부가 서로 접하여 돌출부(103)가 형성되며, 이러한 돌출부(103)는 완충역할을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해 스위치 본체(100)가 가압될 경우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 후술할 서로 다른 극의 도전체가 접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도전체의 중간부분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스위치 본체(100)는 좌우로 양분되되, 상부는 연결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좌측 본체(1021)와 우측 본체(1022)로 분할형성된다. 또한, 좌측본체(1021)와 우측본체(1022)는 힌지 역할을 하는 제2 돌출부(106)가 신축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 본체는 상기 공간(101)의 하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 상기 공간을 기준으로 양분되도록 상기 스위치 본체를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로 분리하는 절개부(104),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리된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의 일측을 연결하여 내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2 돌출부(106)가 형성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switch body 100 is formed of, for example,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which is easily deformed while minimizing the injuries to the finger when a finger or the like is caught in each gap of the lift 200. It is to make the current flow easily by contacting a conductor provided inside.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switch body 100, the inclined portions of each inclined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protrusion 103, the protrusion 103 is formed to serve as a buffer, for example, the switch body by external force It is intended to be easily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100) is pressed.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allow only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ductor to be in contact so that conductors of different pol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smoothly contacted. Here, the switch body 10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shape to be divided into a left body 1021 and a right body 1022. In addition, the left main body 1021 and the right main body 1022 have a second projecting portion 106 that acts as a hinge, so that it can be extended from side to side as shown in FIG. 4.
In other words, the switch main body is the lower body 1021 of the switch body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pace 101 protrude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101, and the switch body is bisected based on the space.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106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incised portion 104 separated by the right body 1022, the left main body 1021 and the right main body 1022 separated by the incised portion, and allows internal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한편,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31)와, -극의 제2 도전체(13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는 동판과 같이 전도율이 좋은 구리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conductor 131 of the + pole and the second conductor 132 of the-pole are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31 and 132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pper having good conductivity, such as a copper plate.

이와 같은 스위치 본체(100)는 그 단면의 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는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내측의 이격된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상단부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승강기의 제어반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공간(101)의 내부로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를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내재된 스위치 본체(100)는 복수로 구성하여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 도어의 길이에 맞춰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The switch body 10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witch body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31 and 132 face each other on a spaced inner surface inside the switch body 100. Each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as much as possible. As shown in Figure 6,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31 and 132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upper end and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re for preventing moisture or foreign matters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space 101, thereby preventing defective contac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31 and 132.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the switch body 10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31 and 132 are embedded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used. Therefore, it can be used by cutting to an appropriate length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elevator door.

한편, 상기 각 도전체(131, 132)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승강기의 도어 작동 및 승강기의 승하강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서로 접할 시 전류가 도통하게 되면 승강기와 도어 틈새에 손가락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 또는 물건이 끼인 것을 감지하여 승강기 도어의 구동을 멈추게 하거나 또는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승강기와 승강기 도어 상부 및 하부 틈새에 발 등이 끼게 되는 경우에는 승강기의 승하강 작동을 멈추게 하는 등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의 외측에서 외력이 가해서 가압되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스위치 본체(100)의 중심부로 가압되면서 서로 도전되어 스위치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control unit (not shown) is provided to stop driving of the elevator 200 and the elevator door 210 by sensing when the current flows when each of the conductors 131 and 132 contacts the external force. Th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panel that controls the door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the lifting movement of the elevator, and when current is conducted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31 and 132 contact each other, fingers are placed in the gap between the elevator and the door. It detects that a part of the body or an object is caught, such as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door or controlling the elevator door to be opened. Or, if a foot or the like is caught in the upper and lower clearances between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door, operation such as stopping the elevator operation is stopped.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pressed from the outside of the switch body 100,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31 and 132 are pressed to the center of the switch body 100 to be conductive to each other and switched. It will play the role of.

한편,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는 승강기 도어 간의 틈새가 비교적 작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고, 도 3b의 실시예의 경우 승강기 도어 간의 틈새가 비교적 넓은 곳이 설치되는 것이다. 즉, 승강기에 사람이 탑승할 때 신체 중 몸체가 접촉되면 비교적 제1 및 제2 도전체(131, 132)가 서로 접촉이 잘되지만, 손가락과 같이 부피가 작은 신체의 일부분이 도어 사이에 끼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럴 경우를 대비하여 도 3a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 상단부 일부만 도어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 3a the elevator gap jam detection switch is installed in a relatively small gap between the elevator door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ure 3b is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elevator doors is relatively wide. In other words, when a body is in contact with a person when boarding an elevator, relatively first and second conductors 131 and 132 are in good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 part of a small body such as a finger may be caught between the doors. In this case, only the upper part of the switch body 100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end face of the door as shown in FIG. 3A.

한편,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를 일부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가 결합된다.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는 내측면에 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21)와 대응되는 위치의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 외측면에는 결합 홈(102)가 형성되어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삽입된 스위치 본체(100)가 외측으로 이탈되게 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Meanwhile, an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 body 10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witch body 100.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has a protrusion 121 formed on an inner surface, and a coupling groove 102 is formed on a lower outer surface of the switch body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1 to form an elevator door. The switch body 100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120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outside.

한편, 도 5의 제2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한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스위치 본체(100)가 비교적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결합되어 사용될 시 스위치 본체(100)가 원형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부재(105)가 삽입되는 부분만 상이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5, all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Figs. 3 and 4 described above. However, since the switch body 100 is formed of a relatively soft material, a separate reinforcing member 105 for keeping the switch body 100 in its original shape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 Is only the part where it is insert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ft gap det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공간(101)을 기준으로 양분되되, 양측단부 중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104)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각 도전체(131, 132)를 삽입하여 고정한 뒤 절개부(104)를 접합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switch body 100 is divided based on the space 101 of the switch body, one of the two ends are formed incision 104,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pace 101 It is configured by inserting and fixing each conductor 131 and 132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n bonding the incision 104.

이와 같이 각 도전체가 삽입된 스위치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도어(210)에 별도의 부재인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를 접착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승강기 도어(210)의 단부에 결합하여 고정한 뒤 스위치 본체(100)를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결합 홈(102) 및 돌기(121)에 의해 스위치 본체(100)가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switch body 100 into which the respective conductors are inserted is used to attach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which is a separate member to the elevator door 210, by using an adhesive or a screw, etc. It is fixed by being coupled to the end of the switch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At this time, the switch body 100 is firmly inserted into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by the above-described coupling groove 102 and the protrusion 121 so as not to escape to the outside.

이하, 제3 내치 제5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third internal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3 실시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내부 구성물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4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5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elevator niche pinch det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elevator niche pinch detection switch of FIG. 8 , FIG. 1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elevator clearance detection switch of FIG. 8 is coupled to an elevator door, and FIGS. 12 and 13 are views showing fourth embodiments of the elevator clearance det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4 to 16 is a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elevator gap jam det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제3 및 제4 실시예는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공간(101)의 형상 및 스위치 본체(100)가 좌우로 분할된 형태가 아닌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로 구성되어 상하부로 분할된 형태이다.First, referring to FIGS. 8 to 13,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elevator clearance pinching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However, the shape of the space 101 and the switch body 100 are composed of the upper body 1023 and the lower body 1024, rather than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즉, 상기 공간(10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이 서로 역방향으로 접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이 서로 정방향으로 접한 상태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03)는 완충역할을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해 스위치 본체(100)가 가압될 경우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 후술할 서로 다른 극의 도전체가 접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도전체의 중간부분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S. 8 to 10, the space 10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rapezoi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reverse direction. 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9,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rapezoi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orward direction. In addition, the protrusion 103 is formed to serve as a buffer, and is intended to be easi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switch body 100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allow only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ductor to be in contact so that conductors of different pol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smoothly contacted.

또한,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3 도전체(133)와, -극의 제4 도전체(134)가 구비된다.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는 동판과 같이 전도율이 좋은 구리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of the switch body 100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third conductor 133 of the + pole and the fourth conductor 134 of the-pole are provided. The third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are preferably made of a copper-like material having good conductivity, such as a copper plate.

게다가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의 후면에는 지지부재(114)가 부착되는데, 상기 지지부재(114)는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휘어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14)는 비교적 변형이 잘되지 않으면서도 유연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지지부재(114)가 부착된 각 도전체(134, 134)를 삽입한 뒤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support members 114 ar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and the support members 114 ar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The third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are prevented from bending or bending. Therefore, the support member 114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polycarbonate (PC) without being relatively deformed.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10, after inserting each of the conductors 134 and 134 to which the support member 114 is attach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can be joined to facilitate fix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이와 같은 스위치 본체(100)는 그 단면의 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는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내측의 이격된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하부는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개방된 상태에서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상단부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승강기의 제어반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공간(101)의 내부로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를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3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스위치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Such a switch body 10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its cross-section, and the third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face each other on a spaced inner surface inside the switch body 100. Each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as much as possible. 8 to 10, that is,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a closed state, and the third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part to the upper part in the open state, and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re for preventing contact failure of the third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by introducing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space 101.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act as switches.

한편, 본 발명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제5 실시예는 상기한 제3 및 제4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공간(101)의 형상 및 스위치 본체(100)의 외형이 다소 상이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jam detection switch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However, the shape of the space 101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switch body 100 are somewhat different.

즉,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부 본체(1023)의 내측에 구비되는 +극의 제5 도전체(135) 및 상기 하부 본체(1024)의 내측에 구비되되, 하부 본체(1024)의 전체영역에 구비되는 -극의 제6 도전체(136)이 구비된다. 상기 제6 도전체(136)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스위치 본체(100)가 가압되면 제5 도전체(135)가 제6 도전체(136)에 접하면서 도전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는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5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들과 달리 절개구(104) 없이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의 형상 및 제6 도전체(136)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14 to 16,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is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the fifth conductor 135 of the + pole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1023 and the lower body ( 1024), but is provided on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body 1024-a sixth conductor 136 of the pole is provided. The sixth conductor 136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when the switch body 100 is pressed, the fifth conductor 13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xth conductor 136, thereby controlling the elevator It is to stop the driving of the 200 and the elevator door 210. In addition,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fifth embodiment is configured without a cutout 104.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pace and the shape of the sixth conductor 136 may be variously appli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단순히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 삽입 결합하고, 제1 및 제2 도전체를 승강기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만 연결하면 되므로 설비가 상당히 간단해지게 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부,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변환기 등의 구성이 필요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비용을 약 1/10로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vator clearance pinching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learance pinching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inserted into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between the previously installed elevator and the wall,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The equipment needs to be connected only to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operation, which greatly simplifies the installation.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an existing finger jamming, a configuration such as a sensor unit, a control unit, and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 unit is required,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is about 1/10. It can be reduced to the economic effect.

또한, 승강기와 벽체 사이에 발생되는 틈, 즉 승강장(301)과 벽체 및 승강카(302)와 승강기 도어 사이에 발생되는 양측 틈새, 상하부 틈새 모두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특히, 기존 설치된 승강기의 경우 부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고장 또는 유지보수 시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단순히 떼어내고 새로운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를 부착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상당히 간편해지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both the gap between the elevator and the wall, that is, both the gap between the platform 301 and the wall and the elevator car 302 and the elevator door, and the upper and lower clearances. In the case of an elevator, it is installed as an attachment type. In case of failure or maintenance, simply remove the clearance gap detection switch and attach a new elevator clearance detection switch, which greatly simplifies maintenanc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elevator intermittent pinch dete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ve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easy to transform.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100 : 스위치 본체 101 : 공간
1021 : 좌측 본체 1022 : 우측 본체
1023 : 상부 본체 1024 : 하부 본체
102 : 결합 홈 103 : 돌출부
104 : 절개부 105 : 보강부재
113 : 접속 단자 114 : 지지부재
120 :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 121 : 돌기
131 : 제1 도전체 132 : 제2 도전체
133 : 제3 도전체 134 : 제4 도전체
135 : 제5 도전체 136 : 제6 도전체
200 : 승강기
210 : 승강기 도어 301 : 승강장
302 : 승강카
100: switch body 101: space
1021: left main body 1022: right main body
1023: upper body 1024: lower body
102: engaging groove 103: protrusion
104: incision 105: reinforcement member
113: connection terminal 114: support member
120: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1: projection
131: first conductor 132: second conductor
133: 3rd conductor 134: 4th conductor
135: fifth conductor 136: sixth conductor
200: lift
210: elevator door 301: platform
302: lift car

Claims (5)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고,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1 도전체(131)와, -극의 제2 도전체(132);
상기 각 도전체(131, 132)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 본체의 하부를 수용하면서 결합하는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본체는
상기 공간(101)의 하단부에 상기 공간(10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
상기 공간을 기준으로 양분되도록 상기 스위치 본체를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로 분리하는 절개부(104),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리된 좌측 본체(1021) 및 우측 본체(1022)의 일측을 연결하여 내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2 돌출부(106);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본체(100)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는 상기 결합홈(102)에 대응되게 돌기(1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에 삽입된 상기 스위치 본체가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It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pace 101 is formed inside, the switch body 100 is provided in each gap of the front and rear doors of the elevator 200;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the first conductor 131 of the + pole and the second conductor 132 of the-pole;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levator 200 and the elevator door 210 by sensing when the current flows when the conductors 131 and 132 come in contact with an external force; And
It includes; while receiv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 body,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for coupling;
The switch body
A protrusion 103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101 at the lower end of the space 101,
An incision part 104 separating the switch body into a left main body 1021 and a right main body 1022 so as to be bisected based on the space,
A second protrusion 106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left main body 1021 and the right main body 1022 separated by the incision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A coupling groove 102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switch body 100,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21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102,
An elevator clearance pinching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body inserted into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does not deviate.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극의 제3 도전체(133)와, -극의 제4 도전체(134);
상기 제1 및 제4 도전체(133, 134)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4 도전체(133, 134)가 휘어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114);
상기 각 도전체(133, 134)가 외력에 의해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 본체의 하부를 수용하면서 결합하는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본체는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 단부에 상기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
상기 공간을 기준으로 양분되도록 상기 스위치 본체를 하부 본체(1024) 및 상부 본체(1023)로 분리하는 절개부(104),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리된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의 일측을 연결하여 내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2 돌출부(106); 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1024)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에는 상기 결합홈(102)에 대응되게 돌기(1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에 삽입된 상기 스위치 본체가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It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pace 101 is formed inside, the switch body 100 provided in each gap of the front and rear doors of the elevator 200;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the third conductor 133 of the + pole and the fourth conductor 134 of the-pole;
A support member 114 attach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to prevent the first and fourth conductors 133 and 134 from bending or bending;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levator 200 and the elevator door 210 by sensing when the current flows when the conductors 133 and 134 are contacted by an external force; And
It includes; while receiv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 body,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for coupling;
The switch body
Protruding parts 103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at both ends of the middle of the space 101;
The incision part 104 for separating the switch body into a lower body 1024 and an upper body 1023 so as to be divided based on the space,
A second protrusion 106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upper body 1023 and the lower body 1024 separated by the incision to allow internal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A coupling groove 102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24,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is formed by a projection 121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102,
An elevator clearance pinching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body inserted into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does not deviate.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101)이 형성되며, 승강기(200)의 전면 및 후면 도어의 각 틈새에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100);
상기 공간(101)의 내측 표면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되, 상부 본체(1023)의 내측에 구비되는 +극의 제5 도전체(135) 및 하부 본체(1024)의 내측에 구비되되, 하부 본체(1024)의 전체영역에 구비되는 -극의 제6 도전체(136);
상기 각 도전체(135, 136)이 외력에 의해 서로 접하여 전류가 흐를 시 이를 감지하여 승강기(200) 및 승강기 도어(21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 본체의 하부를 수용하면서 결합하는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본체는
상기 공간(101)의 중간 양측 단부에 상기 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03);
상기 공간을 기준으로 양분되도록 상기 스위치 본체를 하부 본체(1024) 및 상부 본체(1023)로 분리하는 절개부(104),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리된 상부 본체(1023) 및 하부 본체(1024)의 일측을 연결하여 내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2 돌출부(106);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1024)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에(120)는 상기 결합홈(102)에 대응되게 돌기(1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승강기 도어 고정부재에 삽입된 상기 스위치 본체가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It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space 101 is formed inside, the switch body 100 provided in each gap of the front and rear doors of the elevator 200;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01,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fth conductor 135 and the lower body 1024 of the + pol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body 1023, the lower body (1024 ) Is provided in the entire area of the sixth conductor 136 of the pole;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lifter 200 and the lifter door 210 by sensing when the current flows when the conductors 135 and 136 contact each other by an external force; And
It includes; while receiv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 body,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for coupling;
The switch body
Protruding parts 103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pace at both ends of the middle of the space 101;
The incision part 104 for separating the switch body into a lower body 1024 and an upper body 1023 so as to be divided based on the space,
A second protrusion 106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upper body 1023 and the lower body 1024 separated by the incision to enable internal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A coupling groove 102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24,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120 is formed by a projection 121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102,
An elevator clearance pinching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body inserted into the elevator door fixing member does not deviate.
삭제delete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100) 및 각 도전체들은,
복수로 분리형성되되,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witch body 100 and each of the conductors,
The lift gap detection switch, which is formed in a plurality, but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length.
KR1020180132265A 2018-06-27 2018-10-31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KR1021196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43349.4A CN112384463A (en) 2018-06-27 2019-06-27 Elevator gap clamping detection switch
PCT/KR2019/007830 WO2020004985A1 (en) 2018-06-27 2019-06-27 Elevator door jamming detection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4119 2018-06-27
KR1020180074119 2018-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35A KR20200001435A (en) 2020-01-06
KR102119620B1 true KR102119620B1 (en) 2020-06-05

Family

ID=6915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265A KR102119620B1 (en) 2018-06-27 2018-10-31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9620B1 (en)
CN (1) CN11238446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0857A (en) * 2008-04-09 2009-10-29 Omron Corp Capacitanc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420U (en) * 1984-01-13 1985-08-05 東光株式会社 tape type switch
US6689970B2 (en) * 2001-10-04 2004-02-10 Lester E. Burgess Pressure actuated switching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same
JP2007137555A (en) 2005-11-16 2007-06-07 Otis Elevator Co Elevator door safety device
JP4933237B2 (en) * 2006-12-06 2012-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door equipment
JP5222618B2 (en) * 2008-04-30 2013-06-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door equipment
KR20100010939U (en) 2009-04-29 2010-11-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a finger from inserting in a door of elevator
KR101238068B1 (en) 2012-10-11 2013-02-27 이호연 Safety device of elevator door for hand protection using plastic optical sheet
KR101732337B1 (en) * 2017-03-28 2017-05-02 윤일식 Safety device of elevator for hand protection
KR101816122B1 (en) * 2017-08-16 2018-01-08 주식회사 평산엔지니어링 Sensors for elevator doors
KR101804536B1 (en) * 2017-10-24 2017-12-14 주식회사 평산엔지니어링 Sensor for elevator do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0857A (en) * 2008-04-09 2009-10-29 Omron Corp Capacitanc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35A (en) 2020-01-06
CN112384463A (en)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51957C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doors
KR101442577B1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for hand protection using tilting function
JP2007326699A (en) Door device for elevator
KR101738308B1 (en) Apparatus for driving emergency door of screen door system
KR100916467B1 (en) Bus auto door for preventing sandwich
JP5257867B2 (en) Passenger conveyor
JP2008169009A (en) Elevator device and elevator system
KR102245816B1 (en)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KR101761160B1 (en) The blocking device for door of right and left opening and shutting type
KR102078672B1 (en) Opening switch apparatus for automatic door
KR102119620B1 (en)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US10023439B2 (en) Method for detecting over connected access cover plate
KR102582252B1 (en) A method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ing emergency door that can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ing emergency door
EP1474582B1 (en) Pinching-prevention device for automatic doors, in particular for lifts and/or elevators
KR101804536B1 (en) Sensor for elevator doors
KR20190011850A (en) Apparatus for finger Protection at Sliding Door
KR101913954B1 (en)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KR20200079777A (en) Protection switch for a elevator
KR200484754Y1 (en) Protection device for a elevator
US6495933B2 (en) Powered trap door device for vehicle
WO2020004985A1 (en) Elevator door jamming detection switch
KR20210109373A (en) Elevator Protection Safety System Using Motion Sensor
CN213536956U (en) Elevator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identifying and preventing clamping system
JP4234465B2 (en)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KR10222599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nsertion of hands for elevat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