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587A - 냉장고의 도어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587A
KR20210108587A KR1020200023351A KR20200023351A KR20210108587A KR 20210108587 A KR20210108587 A KR 20210108587A KR 1020200023351 A KR1020200023351 A KR 1020200023351A KR 20200023351 A KR20200023351 A KR 20200023351A KR 20210108587 A KR20210108587 A KR 20210108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frigerator
door
front panel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으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587A/ko
Priority to CN202180016561.9A priority patent/CN115244349B/zh
Priority to PCT/KR2021/002479 priority patent/WO2021172947A1/ko
Priority to US17/802,633 priority patent/US20230012438A1/en
Priority to CN202311719814.6A priority patent/CN117490328A/zh
Priority to EP21760390.1A priority patent/EP4113041A4/en
Priority to CN202311722786.3A priority patent/CN117469908A/zh
Priority to US17/802,624 priority patent/US20230108392A1/en
Priority to PCT/KR2021/002481 priority patent/WO2021172948A2/ko
Priority to EP21761471.8A priority patent/EP4113042A4/en
Publication of KR2021010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냉장고의 도어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는 후크; 및 상기 전면 프레임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양측면으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돌출되는 경사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와 상기 후크결합부는 가압에 의해 락킹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Door for a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도어는 냉장고의 전면을 구성한다.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여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을 취출하며, 상기 도어를 폐쇄하여 냉장고에 식품을 냉각 보관한다.
이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는 사용자가 주로 조작하는 부품으로서 개방 또는 폐쇄가 용이하게 구성되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에 다른 가전기기들과 함께 빌트인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방의 가구 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서 냉장고를 주방이 아닌 거실이나 방에 놓아 사용하는 등 냉장고의 설치 위치가 다양해짐으로써, 상기 냉장고의 외관이 상기 냉장고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상기 냉장고의 외관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사나 인테리어 교체 등의 이유로 냉장고를 교체하지 않고도 냉장고의 외관을 교체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선행문헌인 일본등록특허공보 제 6460832호에는 냉장고 문의 전면을 덮는 패널의 교체가 용이한 냉장고용 도어가 개시된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경우, 패널이 결합되는 구성인 지지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삽입부에 의해 패널의 무게가 지지되어 상기 패널의 무게의 분산을 고려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상기 삽입부의 구성이 패널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이어야 하고 패널에 구비되는 설치부가 상기 하방으로 함몰된 삽입부에 삽입되는 형태를 가지게 되어 조립성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실시 예는, 공간의 제약 없이 전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한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된 전면 패널이 외력에 의해서 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대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의 이동 과정이나 설치 과정에서 전면 패널이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분리되는 방지되는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전면 패널의 분리 시에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된 전면 패널의 슬라이딩을 통해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의 도어는, 전면 패널을 손쉽게 결합/분리하기 위하여 복수의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면 패널의 결합 시에는 가압을 통해 후크결합을 하고, 전면 패널의 분리 시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후크결합이 손쉽게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는 후크; 및 상기 전면 프레임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양측면으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돌출되는 경사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와 상기 후크결합부는 가압에 의해 락킹될 수 있다.
상기 경사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의 하면과 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편향되어 구비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경사돌출부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가압에 의해 락킹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와 상기 경사돌출부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전면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홀을 둘러싸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배면에 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패널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지지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제 1 면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지지부와 상기 상부고정부는 스크류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전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하부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함몰부에 삽입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함몰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 1 함몰부에서 절곡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1 함몰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함몰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외관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니즈에 맞춰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냉장고의 외관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면 패널의 하중을 상, 하부 프레임에서만 지지하고, 전면 프레임에서는 전면 패널과 프레임 어셈블리와의 앞뒤 간격만 잡아주어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면 프레임에서 전면 패널의 자중을 버티지 않아 고정부의 형합위치에 의한 자중 분산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출성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프레임에 의해 전면 패널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면 패널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가구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과 전면패널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과 전면패널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과 전면패널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패널과 프레임 어셈블리가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패널과 전면 프레임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가구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12)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냉장고(5)와 함께 주방이나 거실 등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주방이나 거실 등에는 냉장고(5, 1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가구장(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1) 내부의 수용 공간의 높이는 상기 냉장고(5, 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5, 10)의 상면과 상기 가구장(1)의 상측벽 사이 갭이 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5, 10)의 상면과 상기 가구장(1)의 상측벽 사이의 갭이 크지 않으면, 외부에서 상기 냉장고(5, 10)의 상측 구조물이 보이지 않게 되며, 상기 가구장(1)과 냉장고(5, 10)의 일체감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도어(13, 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13, 14)의 일부 또는 전부는 슬라이딩 방식 또는 회전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2)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20)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0)은 적어도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전면 외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전면 외관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장고(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0)의 앞쪽에서 사용자는 상기 전면 패널(100)의 전면을 볼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0)의 전면은 상기 냉장고(10)가 설치된 장소에서 장식 패널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100)을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100)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고(10)가 상기 가구장(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공간 제약 없이 상기 전면 패널(100)의 교체가 가능한 상기 냉장고 도어(12)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 도어(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어셈블리(20)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 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전면 프레임(110)과,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후방에 위치되는 도어 라이너(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0)은, 냉장고(10)의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틸 또는 글래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디자인을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손쉽게 외관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100)이 교체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면 패널(100)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로부터 탈착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00)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와 탈착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면 패널(100)의 배면부(100b)에 형성되는 제 1 고정부(110), 제 2 고정부(120) 및 제 3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고정부(110)는, 상기 전면 패널(10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하는 상부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120)는, 상기 전면 패널(100)의 배면부(100b)에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전면프레임(3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고정부(130)는, 상기 전면 패널(100)의 배면부(100b)의 하단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하부프레임(4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600)의 일부는 상기 전면 패널(110)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어 라이너(600)가 상기 전면 프레임(30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프레임(300)과 상기 도어 라이너(600) 사이에는 단열재가 수용되기 위한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600)는, 상기 도어(12)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캐비닛(11)의 오픈된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는, 상부프레임(200), 하부프레임(400) 및 사이드 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00)은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상단에 상기 하부프레임(400)은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00)은 상기 단열 공간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상기 단열 공간의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500)은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양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500)은, 상기 전면프레임(300) 측단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 1 사이드프레임(510)과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 2 사이드프레임(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사이드 프레임(500)은 상기 전면 프레임(300)과 상기 도어 라이너(600)를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전면 프레임(300)과 상기 도어 라이너(600)의 연결 부위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 패널(100)의 고정부(110, 120, 130)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패널(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부(110, 120, 130)는, 상기 전면 패널(100)의 배면부(100b)에 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전면 패널(100)이 스틸 또는 글래스로 형성되는 것과 관계없이 탈부착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110)는, 사출성형되어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의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110)는, 상부고정부라고 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고정부(110)는, 상기 상부프레임(200)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돌출되는 안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1)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에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11)의 상하로 복수 개의 지지리브(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112)는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와 상기 안착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11)에는 후술하는 상부프레임(200)의 상부결합홀(223, 도 7 참조)과 대응되어 위치하는 결합홀(11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결합홀(223)과 상기 결합홀(111a)을 관통하여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00)과 상기 제 1 고정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111a)은 상기 안착부(111)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안착부(111)의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와 가장 먼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120)는, 사출성형되어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에 부착될 수 있고,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120)는 후크라 이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고정부(120)는 후크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전면 패널(100)의 배면부(100b)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120)는,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의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쌍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고정부(120)는,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에 부착되는 플레이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21)에 후크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21)는, 후술하는 전면프레임(300)의 후크결합부(320)와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부재(122)는 상기 플레이트(121)의 한쪽에 치우쳐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크형태에 따른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크부재(122)는, 상기 플레이트(12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장부(123)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3)와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와 평행으로 상기 연장부(123)로부터 연장되는 걸림부(124)를 포함하여 후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4)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크부재(122)는,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화살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24)는, 상기 연장부(123)의 연장방향에 따른 단면이 직각삼각형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걸림부(124)의 일면이 후술하는 경사돌출부(322)의 일면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고정부(130)는, 사출성형되어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고정부(130)는, 하부고정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고정부(130)는,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좌우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고정부(130)는, 후술하는 하부프레임(400)의 하부함몰부(430)에 삽입되는 삽입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1)는,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에서 돌출될 수 있고, 일 예로, 상기 전면 패널 배면부(100b)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131a)와 상기 제 1 연장부(131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131b)는, 상기 전면 패널(10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고정부(130)는, 상기 삽입부(131)를 둘러싸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는, 상기 도어 라이너(6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프레임(300)과,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200) 및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4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300)과 상기 도어 라이너(600)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를 통해 단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 공간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과 전면패널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상부프레임(200) 및 상기 상부프레임(200)과 상기 제 1 고정부(110)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부프레임(200)은,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 고정부(110)의 안착부(111)가 안착될 수 있는 패널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양측에는 도어(12)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나 자석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양단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양단부(240) 중 하나에는 힌지부 다른 하나에는 자석부가 구비될 수 있고, 이는 도어(12)가 냉장고의 좌우 중 어느 쪽에 결합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지지부(220)는,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상면(210)으로부터 함몰된 형태일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제 1 고정부(110)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널지지부(220)는, 좌우대칭으로 배열되는 상기 제 1 고정부(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좌우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널지지부(220)는,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상면(210)에 평행하도록 함몰되는 제 1 면(221)과 상기 제 1 면(22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상면(210)에 수직인 제 2 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면(221)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상면(210)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될 수 있고, 상기 제 2 면(22)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되어 형성되는 패널지지부(220)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부(110)와 결합될 때, 외부 구성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면(221)에는 상기 제 1 고정부(110)의 결합홀(111a)과 대응되는 상부결합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지지부(220)는, 함몰되는 상기 제 1 면(221)과 상기 제 2 면(222)를 감싸는 내면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면부(224)는, 상면과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일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제 1 면(221)과 상기 제 2 면(22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00)은, 상기 전면프레임(300)과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레임결합부(230)는, 상기 패널지지부(220)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복수의 프레임결합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결합부(230)의 전면에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후술하는 상부결합부(311)가 위치되어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되어 형성되는 패널지지부(2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커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고정부(110)의 안착부(111)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패널지지부(220)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110)의 결합홀(111a)과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상부결합홀(223)을 관통하는 스크류(S)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부(110)와 상부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과 전면패널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전면프레임(300) 및 상기 전면프레임(300)과 상기 제 2 고정부(120)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면프레임(300)은, 상기 전면 패널(100)의 크기의 대부분을 커버하는 전면플레이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플레이트(310)와 상기 도어라이너(600)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고, 상기 전면플레이트(310)가 단열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본래 상기 전면 패널과 도어라이너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어 전면 패널을 교체할 수 없었던 것과 달리 전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해진다.
상기 전면플레이트(310)는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의 중앙함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함몰부(313)는 요철을 형성하여 단열재가 상기 단열 공간에 골고루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310)는, 상기 상부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상부결합부(311)와 상기 하부프레임(400)과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310)는, 후술하는 후크결합부(320)가 구비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홀(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플레이트(310)와 상기 후크결합부(320)는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후크결합부(320)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3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300)은, 상기 제 2 고정부(120)와 결합되는 후크결합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결합부(320)는, 상기 제 2 고정부(120)와 대응되어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고정부(120)의 위치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크결합부(32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310)의 후측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후크결합부(32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310)의 홀(314)을 감싸며 부착되는 접착부(323)와, 상기 접착부(323)로부터 함몰되는 함몰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321)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일 수 있고, 상기 개방된 일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접착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방된 일면이 상기 전면플레이트(310)의 홀(314)과 대응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321)의 내부가 상기 홀(314)을 통해 상기 전면플레이트(31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결합부(320)가 상기 전면 플레이트(310)의 홀(314)을 커버하면서 부착됨에 따라 상기 홀(314)을 통해 단열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310)의 홀(314)의 크기는 상기 함몰부(321)의 개방된 일면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홀(314)의 가장자리로 상기 접착부(323)와 접하는 접착함몰부(314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착함몰부(314a)의 배면과 상기 접착부(323)가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될 수 있고, 상기 접착함몰부(314a)는 후측을 향해 소정간격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접착함몰부(314a)는 상기 제 2 고정부(120)와 상기 후크결합부(320)가 분리될 때 상기 제 2 고정부(1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접착함몰부(314a)가 형성된 부분까지만 상기 제 2 고정부(12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결합부(320)는, 상기 함몰부(321) 내부에 구비되는 경사돌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돌출부(322)는, 상기 함몰부(321)의 양측면(321a)에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일 수 있고, 상기 함몰부(321)의 양측면(321a)에서 경사를 포함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돌출부(322)는 측면(322a)과 하면(322b)이 상기 함몰부(321)의 내부면에 접할 수 있고,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돌출부(322)의 상면은 상기 함몰부(321)의 내부면에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돌출부(322)의 연장된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직각삼각형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돌출부(322)의 측면(322a)과 하면(322b)은 상기 함몰부(321)의 측면(321a) 및 하면(321b)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돌출부(32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돌출부(322)는,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삼각기둥일 수 있고,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대응되는 빗면(322c)이 상기 함몰부(321)의 전방에 노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돌출부(322)의 빗면(322c)은 상기 제 2 고정부(120)의 상기 걸림부(124)의 외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120)가 상기 후크결합부(320)에 결합될 때는 상기 경사돌출부(322)의 빗면(322c)을 따라 약간의 힘을 가하여 후크결합이 되고, 상기 제 2 고정부(120)가 상기 후크결합부(320)에서 분리될 때는 상기 제 2 고정부(120)를 상기 경사돌출부(3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함몰부(321)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손쉽게 후크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고정부(120)가 상기 후크결합부(32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일 때는 상기 제 2 고정부(120)의 후크부재(122)가 상기 후크결합부(3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00)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부재(122)의 걸림부(124)가 상기 후크결합부(320)의 경사돌출부(322)에 걸려 상기 제 2 고정부(120)와 상기 전면프레임(300)이 분리될 수 없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과 전면패널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하부프레임(400) 및 상기 하부프레임(400)과 상기 제 3 고정부(130)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하부프레임(400)은,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3 고정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프레임(400)은, 도어(12)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함몰되는 하부함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함몰부(430)는, 전면(420)에 좌우로 연장되는 하부함몰부입구(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함몰부입구(431)는,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하면(41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함몰부(430)는, 상기 하부함몰부입구(431)에서부터 후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함몰부(432)와 상기 제 1 함몰부(432)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 함몰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함몰부(433)는, 상기 하부함몰부입구(431)에서 후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43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함몰부(433)는, 상기 제 1 함몰부(433)의 측면(432a)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하면(4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함몰부(433)는,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하면(410)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부면(43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432)에는, 상기 제 3 고정부(130)의 제 1 연장부(131a)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함몰부(433)에는, 상기 제 3 고정부(130)의 제 2 연장부(131b)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함몰부(430)는, 상기 제 3 고정부(1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고정부(130)의 제 1 연장부(131a)를 지지하는 하부안착면(4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안착면(434)은 상기 제 3 고정부(130)의 제 1 연장부(131a)를 지지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서 절곡되어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400)은, 상기 전면프레임(300)과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양측에는 도어(12)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나 자석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양단부(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양단부(440) 중 하나에는 힌지부 다른 하나에는 자석부가 구비될 수 있고, 이는 도어(12)가 냉장고의 좌우 중 어느 쪽에 결합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 패널(100)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3 고정부(130)는, 상기 하부프레임(400)에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제 3 고정부(130)의 제 1 연장부(131a)가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하부안착면(434)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고정부(130)의 제 1 연장부(131a)는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제 1 함몰부(432)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고정부(130)의 제 2 연장부(131b)는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제 2 함몰부(43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패널과 프레임 어셈블리가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패널과 전면 프레임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 패널(100)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의 결합 및 분리를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면 패널(100)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의 결합을 설명한다.
상기 전면 패널(100)의 제 3 고정부(130)는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하부함몰부(4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고정부(130) 및 하부함몰부(430)는 절곡을 포함하는 형상이므로, 상기 전면 패널(100)은, 일정간격 상부가 전면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0)의 제 3 고정부(130)를 먼저 상기 하부함몰부(430)에 삽입한 후, 상기 제 3 고정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전면 패널(10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전면 패널(100)의 상단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에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고정부(130)가 상기 후크결합부(320)에 후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패널(100)의 전면에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13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결합부(320)의 경사돌출부(322)의 빗면(322c)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고정부(130)의 걸림부(124)와 상기 경사돌출부(322)가 락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24)와 상기 경사돌출부(322)가 결합될 때에는 상기 걸림부(124)와 상기 경사돌출부(322)의 경사에 의해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락킹이 가능하나, 상기 걸림부(124)가 상기 함몰부(321)와 상기 경사돌출부(322)의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124)와 상기 경사돌출부(322)의 간섭에 의해 전후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고정부(130)와 상기 경사돌출부(322)는 스냅핏(Snap-fit)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0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후크결합을 시행하면, 상기 제 1 고정부(110)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전면 패널지지부(220)에 안착될 수 있다. 그 후, 스크류(S)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10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 패널(100)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100)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고정부(110)와 상부프레임(200)을 고정하는 스크류를 제거한 후, 사용자는 상기 전면 패널(100)을 상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전면 패널(100)을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 상기 제 2 고정부(120)가 상기 후크결합부(32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후크결합부(32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경사돌출부(322)와의 락이 해제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고정부(120)의 플레이트(121)의 상단이 상기 전면프레임(300)의 접착함몰부(314a)의 상단까지 슬라이딩되고, 상기 접착함몰부(314a)의 턱에 걸리게 되면, 상기 제 2 고정부(120)와 상기 후크결합부(320)의 락이 해제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전면 패널(100)을 전면으로 이동시키면, 후크결합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면 패널(100)을 결합할 때는 손쉽게 고정하고, 후크결합을 통해 단단하게 고정을 유지할 수 있고, 전면 패널(100)을 분리할 때는 후크결합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12: 도어 20: 프레임 어셈블리
100: 전면패널 200: 상부 프레임
300: 전면프레임 400: 하부 프레임

Claims (15)

  1.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는 후크; 및
    상기 전면 프레임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양측면으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돌출되는 경사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와 상기 후크결합부는 가압에 의해 락킹되는 냉장고의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의 하면과 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냉장고의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편향되어 구비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경사돌출부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가압에 의해 락킹되는 냉장고의 도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부와 상기 경사돌출부의 락킹이 해제되는 냉장고의 도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전면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결합부는 상기 홀을 둘러싸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배면에 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도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패널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지지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제 1 면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지지부와 상기 상부고정부는 스크류결합되는 냉장고의 도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전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하부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함몰부에 삽입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좌우로 연장되는 냉장고의 도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에서 절곡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함몰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함몰부와 상기 제 1 함몰부에서 절곡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2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1 함몰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함몰부에 위치되는 냉장고의 도어.


KR1020200023351A 2020-02-26 2020-02-26 냉장고의 도어 KR20210108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51A KR20210108587A (ko) 2020-02-26 2020-02-26 냉장고의 도어
CN202180016561.9A CN115244349B (zh) 2020-02-26 2021-02-26 冰箱
PCT/KR2021/002479 WO2021172947A1 (ko) 2020-02-26 2021-02-26 냉장고
US17/802,633 US20230012438A1 (en) 2020-02-26 2021-02-26 Refrigerator
CN202311719814.6A CN117490328A (zh) 2020-02-26 2021-02-26 冰箱
EP21760390.1A EP4113041A4 (en) 2020-02-26 2021-02-26 REFRIGERATOR
CN202311722786.3A CN117469908A (zh) 2020-02-26 2021-02-26 冰箱
US17/802,624 US20230108392A1 (en) 2020-02-26 2021-02-26 Refrigerator
PCT/KR2021/002481 WO2021172948A2 (ko) 2020-02-26 2021-02-26 냉장고
EP21761471.8A EP4113042A4 (en) 2020-02-26 2021-02-26 F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51A KR20210108587A (ko) 2020-02-26 2020-02-26 냉장고의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87A true KR20210108587A (ko) 2021-09-03

Family

ID=7778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351A KR20210108587A (ko) 2020-02-26 2020-02-26 냉장고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85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6764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comprising hinge assembly
US11906238B2 (en) Refrigerator
US20210396456A1 (en) Refrigerator
US20230108392A1 (en) Refrigerator
KR101666514B1 (ko) 차량의 인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구조
CN113074485B (zh) 一种嵌入式冰箱
KR20200045751A (ko) 냉장고 도어의 조립구조
KR20180106734A (ko) 냉장고
JP3597993B2 (ja) 冷蔵庫
US20230012438A1 (en) Refrigerator
KR20210108587A (ko) 냉장고의 도어
EP3982067A1 (en) Refrigerator
KR20180022234A (ko) 냉장고
KR200441299Y1 (ko) 미닫이 장롱
JP6838019B2 (ja) 冷蔵庫
JP2012042180A (ja) 冷蔵庫
JP7377972B2 (ja) 冷蔵庫
KR20210156160A (ko)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40074521A (ko) 냉장고
CN220550995U (zh) 铰链结构及柜体
KR102609650B1 (ko) 미닫이식 도어 개폐장치
KR20210147270A (ko) 냉장고 및 도어
EP4206592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101985483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KR2021014858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