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52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521A
KR20140074521A KR1020120142557A KR20120142557A KR20140074521A KR 20140074521 A KR20140074521 A KR 20140074521A KR 1020120142557 A KR1020120142557 A KR 1020120142557A KR 20120142557 A KR20120142557 A KR 20120142557A KR 20140074521 A KR20140074521 A KR 20140074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filler
rota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446B1 (ko
Inventor
정용기
박진홍
장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446B1/ko
Priority to EP13194432.4A priority patent/EP2741034B1/en
Priority to US14/091,564 priority patent/US9134062B2/en
Priority to CN201310647953.2A priority patent/CN103868314B/zh
Publication of KR20140074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는 필러; 상기 저장실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필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홀더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필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하방에 구비되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는 제1냉장실 도어와 상기 제1냉장실 도어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냉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에는 상기 각 냉장실 도어가 상기 냉장실을 닫았을 때, 상기 각 냉장실 도어 사이로 상기 냉장실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러(pillar)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필러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는 홀더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펼쳐지고, 상기 제1냉장실 도어가 열릴 때, 상기 홀더에서 빠지는 과정에서 접힌다.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상기 필러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필러 내에는 상기 필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냉장실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필러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를 세게 열 경우, 상기 필러가 반동에 의해서 접혔다가 다시 펼쳐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필러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를 닫는 경우 상기 필러가 상기 홀더에 부딪혀 상기 필러가 손상되거나 상기 제1냉장실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지 않아, 냉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필러가 펼쳐진 상태에고, 제2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를 닫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냉장실 도어를 먼저 닫은 후에 상기 제2냉장실 도어를 닫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냉장실 도어가 열렸을 때, 필러의 펼쳐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실 도어의 닫힘 순서에 관계없이 냉장실 도어가 원활히 닫힐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는 필러; 상기 저장실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필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홀더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필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제1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필러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필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 및
상기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필러의 회전에 의한 필러의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잠금 해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제1도어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는 힌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힌지 바디와 상기 회전축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힌지 바디에 형성되는 제2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바디는 상기 제1도어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필러 내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축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 중 어느 하나는 잠금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잠금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잠금 해제 장치는, 상기 필러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가압할 수 있는 작동기와, 상기 홀더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기를 가압하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기는 상기 회전축과 별도의 구성이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기는, 상기 필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출부가 초기에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서 절곡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수용부를 지나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돌출부가 제1수용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기가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여,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작동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필러가 접힌 상태가 되고, 필러가 접힌 상태에서는 회전이 방지되므로, 필러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도어가 닫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필러가 접힌 상태가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1도어를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제1도어가 열고 닫힐 때 작동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회전제한수단을 별도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냉장실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부분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러를 구성하는 필러 바디에서 필러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러의 상측 부분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
도 8은 제1힌지 어셈블리의 잠금이 해제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1힌지 어셈블리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냉장실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일 예로 제2냉장실 도어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냉장실(11)과 냉동실(13)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힌지 어셈블리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는, 상기 본체(10)의 좌측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냉장실 도어(20)와, 상기 본체(10)의 우측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냉장실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와 제2냉장실 도어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는 두 개의 도어 외에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동실 도어(23)는 일 예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할 수 있다. 즉, 상기 냉동실 도어는 일 예로 서랍형 도어이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와 제2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에는 필러(Pillar: 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가 상기 냉장실(11)을 닫았을 때,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 사이로 냉장실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일 예로 제1냉장실 도어(20)에 필러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는, 아우터 케이스(2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21)와 연결되는 도어 라이너(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30)는 상기 도어 라이너(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1)에는 상기 필러(30)의 상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홀더(13)가 구비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홀더(13)는 상기 냉장실(11)의 상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홀더(13)가 상기 냉장실(11)의 하측벽에 배치되고, 상기 필러(30)의 하단부가 상기 홀더(13)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가 닫힐 때, 상기 필러(30)는 상기 홀더(1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러(30)가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 사이 틈새와 냉장실(20)이 연통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상기 홀더(13)는 상기 필러(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한다.
반면,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가 열릴 때, 상기 필러(30)는 상기 홀더(1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접힌다.
본 명세서에서, 도 1과 같은 상기 필러(30)의 상태를 상기 필러(30)가 펼쳐진 상태라 할 수 있고, 도 2와 같은 상기 필러(30)의 상태를 상기 필러(30)가 접혀진 상태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 2와 같이 상기 필러(30)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가 닫히기 전까지는 상기 필러(30)는 잠금장치(후술함)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되어 펼쳐지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필러(30)의 구조에 의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러를 구성하는 필러 바디에서 필러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는 제1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제1힌지 어셈블리의 상태가 도시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필러(30)는, 필러 바디(310)와, 상기 필러 바디(310)에 결합되는 필러 커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30)는, 상기 필러 바디(310)에 수용되는 단열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 커버(330)에는 상기 필러(30)에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33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러 커버(330)가 상기 필러 바디(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332)는 상기 단열재(32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320)와 상기 필러 커버(330) 사이에 상기 히터(332)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320)는 상기 히터(332)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냉장실(1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러(30)는, 다수의 힌지 어셈블리(340, 360, 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힌지 어셈블리(340, 360, 370)는 상기 필러(30)의 상측부에 구비되는 제1힌지 어셈블리(340)와, 상기 필러(30)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제2힌지 어셈블리(360)와, 상기 필러(30)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제3힌지 어셈블리(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필러(30)가 3개의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만, 필러(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필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힌지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힌지 어셈블리는, 힌지 바디(372)와, 힌지 커버(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바디(372)의 일부는 상기 도어 라이너(22)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바디(372)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이 상기 필러 바디(3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커버(374)가 상기 힌지축을 커버한다.
상기 히터(332)에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제2힌지 어셈블리(360)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 어셈블리(340)(간략히 "힌지"라고 할 수 있음)는, 힌지 바디(355)와, 상기 힌지 바디(3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350)과, 상기 회전축(3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기(3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0)은 상기 필러(30)와 함께 상기 힌지 바디(356)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바디(355)는, 상기 도어 라이너(22)에 체결되는 체결부(356)와, 상기 회전축(350)이 연결되는 축 연결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56)는 상기 도어 라이너(22)의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 어셈블리(340)는, 상기 회전축(350)과 상기 작동기(346)가 설치되는 설치부(3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341)는 일 예로 상기 필러 바디(3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설치부(341)가 상기 필러 바디(3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설치부(341)에는 상기 축 연결부(357)와 상기 체결부(356)의 연결 부위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3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기(346)는, 상기 설치부(341)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설치부(34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기(436)는 외력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기(346)는 상기 필러(3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작동기(346)는, 상기 홀더(13)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347)와, 상기 돌출부(347)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압부(3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48)의 하방에 상기 회전축(350)이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348)는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축(35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7)는 제1탄성부재(S1)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설치부(341)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347)를 지지한다. 일 예로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상기 돌출부(347)의 하측에서 상기 돌출부(347)를 상방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S1)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상기 가압부(348)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341)에는 상기 돌출부(347)가 관통하기 위한 홀(342)과, 상기 제1탄성부재(S1)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0)은, 상기 축 연결부(357)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0)은 상기 축 연결부(357)를 관통하는 축 바디(35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50)과 상기 힌지 바디(355)는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 어셈블리(340)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50)과 상기 힌지 바디(355)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축 바디(351)에서 돌출되는 제1잠금부(352)와, 상기 제1잠금부(352)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축 연결부(357)에 형성되는 제2잠금부(3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352)는, 상기 축 바디(351)의 직경 보다 직경이 큰 부분이다. 상기 제1잠금부(352)는 상기 축 바디(351)의 전체 둘레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축 바디(351)의 일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353)는 잠금 돌기(35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잠금부(358)는 잠금홈(35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돌기(353)는 상기 잠금홈(35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홈(359)과 접촉하는 제1접촉면(3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홈(359)은 상기 제1접촉면(354)과 접촉할 수 있는 제2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접촉면(354)은 수직면이거나 경사면이거나 라운드면일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352)는 제2탄성부재(S2)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341)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S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축(360)의 회전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회전축(360)은 상기 지지부(343)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S2)는 상기 잠금 돌기(353)가 상기 잠금홈(358)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잠금부(352)를 탄성지지한다. 일 예로, 상기 제2탄성부재(S2)는 상기 제1잠금부(352)의 하측에서 상기 제1잠금부(352)를 상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S2)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탄성부재(S2)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축(35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50)은 상기 힌지 바디(355)와 수평 방향으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0)과 상기 힌지 바디(355)의 수평 방향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잠금 돌기(353)는 상기 회전축(350)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잠금홈(359)에 삽입되거나 상기 잠금홈(359)에서 빠질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잠금부(352)가 잠금 돌기(35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부(358)가 상기 잠금홈(359)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1잠금부(352)가 잠금홈(359)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부(358)가 잠금 돌기(35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1잠금부(352)가 잠금 돌기와 잠금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잠금부(358)가 잠금 돌기와 잠금홈 중 다른 하나 인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러의 상측 부분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작동기(346)의 돌출부(347)는 경사면(347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47)의 두께는 일 부분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홀더(13)는 상기 돌출부(347)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131)와, 상기 개구(131)를 통과한 돌출부(347)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2)는 상기 돌출부(347)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용부(132A)와, 상기 제1수용부(132A)에서 절곡되어 상기 돌출부(347)의 이동 방향이 변화되도록 하는 제2수용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2)는, 측면(133)과, 상면(134)과, 상기 측면(133)과 상면(134)을 연결하는 연결면(13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면(135)은 상기 돌출부(347)의 경사면(347A)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2)의 연결면(135)은 실질적으로 상기 수용부(132)에서 돌출된 부분의 면으로서, 경사면이다. 즉, 상기 측면(133)과 상기 상면(134)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132)에서 돌출된 부분의 연결면(135)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2)의 연결면(135)이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수용부(132)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347)를 하방으로 누른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면(135)을 상기 돌출부를 누르는 푸시부라고 이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가 개폐될 때의 상기 필러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제1힌지 어셈블리의 잠금이 해제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힌지 어셈블리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기(346)로 가해지는 외력이 없다.
따라서, 상기 작동기(346)의 돌출부(347)는 제1탄성부재(S1)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필러(3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잠금부(352)는 상기 제2탄성부재(S2)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잠금부(352)와 상기 제2잠금부(358)가 잠금 상태가 된다. 즉, 잠금장치에 의해서 상기 제1힌지 어셈블리(340)는 잠금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힌지 어셈블리(340)가 잠금된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필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필러(30)는 상기 작동기(346)로 하방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회전이 방지된다. 즉, 상기 필러(30)는 접힌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를 회전시키면, 상기 필러(30)는 접힌 상태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기(346)의 돌출부(347)는 상기 홀더(13)의 개구(131)를 통하여 상기 제1수용부(132A)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1수용부(132A)에 삽입되기 시작할 때의 상기 돌출부(347)의 최고점은 상기 수용부(132)의 측면(133)과 상면(134)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1수용부(132A)에 삽입되는 초기에 상기 수용부(132)의 푸시부가 상기 돌출부(347)의 경사면(347A)과 접촉하게 되어 도 8과 같이 상기 돌출부(347)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돌출부(347)가 하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수축되고, 상기 가압부(348)가 상기 회전축(35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35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축(350)은 상기 제1잠금부(352)의 잠금 돌기(353)가 상기 제2잠금부(358)의 잠금홈(359)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S2)는 수축된다.
그 다음,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1수용부(132A)에 지속적으로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347) 및 회전축(350)은 하방으로 더 이동하게 되어 도 9와 같이 상기 제1잠금부(352)의 잠금 돌기(353)가 상기 제2잠금부(358)의 잠금홈(359)에서 완전하게 빠지게 되어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1수용부(132A)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다.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1수용부(132A)에서 제2수용부(132B)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돌출부(347)의 이동 방향이 바뀌어야 하는데, 상기 돌출부(347)의 이동 방향이 바뀌기 위해서는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회전축(350)의 회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1수용부(132A)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 또는 완전하게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2수용부(132B)로 이동하기 전에는 상기 필러(30)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축(350)과 상기 힌지 바디(355)는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2수용부(132B)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347)로 회전력이 가해진다. 이 때, 상기 힌지 바디(355)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350)의 회전과 함께 상기 필러(3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2수용부(132B)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필러(30)는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가 된다.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2수용부(132B)에 완전하게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는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작동기(346)와 상기 홀더(13)의 푸시부는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작동기(346)와 상기 푸시부를 잠금 해제 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 해제 장치를 통칭하여 상기 필러(또는 회전축)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이라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를 열기 위하여 상기 제1냉장실 도어(20)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347)는 상기 제2수용부(132B)에서 상기 제1수용부(132A)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1수용부(132A)에서 빠진다. 이 때,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2수용부(132B)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는 유지되고, 상기 돌출부(347)가 제1수용부(132A)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1수용부(132A)에서 빠지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장치는 잠금 상태가 된다.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2수용부(132B)에서 상기 제1수용부(132A)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러(30)는 접히게 되고,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2수용부(132B)에서 상기 제1수용부(132A)로 이동하면, 상기 잠금장치는 잠금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제1수용부(132A)에서 완전하게 빠지면, 상기 필러(30)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잠금장치는 잠금 상태가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냉장실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필러가 접힌 상태가 되고, 필러가 접힌 상태에서 잠금장치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되므로, 필러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냉장실 도어가 닫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냉장실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필러가 접힌 상태가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제2냉장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1냉장실 도어를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되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잠금장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용부(132)에 푸시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홀더(13)의 외측에 푸시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347)가 상기 홀더(13)의 수용부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푸시부에 의해서 가압되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필러에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작동기와 회전축이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작동기와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제1냉장실 도어에 필러가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냉동실을 개폐하는 다수의 냉동실 도어 중 어느 하나에 필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통칭하여 저장실이라 이름하고,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제1도어 및 제2도어라 이름할 수 있다.
10: 본체 30: 필러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는 필러; 및
    상기 저장실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필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홀더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필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제1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필러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필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 및
    상기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필러의 회전에 의한 필러의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잠금 해제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도어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는 힌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힌지 바디와 상기 회전축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힌지 바디에 형성되는 제2잠금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바디는 상기 제1도어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필러 내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축 연결부에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 중 어느 하나는 잠금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잠금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홈인 냉장고.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장치는, 상기 필러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가압할 수 있는 작동기와,
    상기 홀더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기를 가압하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상기 회전축과 별도의 구성이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상기 필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인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출부가 초기에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서 절곡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수용부를 지나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돌출부가 제1수용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기가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여,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냉장고.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20142557A 2012-12-10 2012-12-10 냉장고 KR10200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57A KR102004446B1 (ko) 2012-12-10 2012-12-10 냉장고
EP13194432.4A EP2741034B1 (en) 2012-12-10 2013-11-26 Refrigerator
US14/091,564 US9134062B2 (en) 2012-12-10 2013-11-27 Refrigerator
CN201310647953.2A CN103868314B (zh) 2012-12-10 2013-12-04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57A KR102004446B1 (ko) 2012-12-10 2012-12-1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21A true KR20140074521A (ko) 2014-06-18
KR102004446B1 KR102004446B1 (ko) 2019-07-26

Family

ID=5112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557A KR102004446B1 (ko) 2012-12-10 2012-12-1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844A (ko) * 2018-01-15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58698B2 (en) 2017-01-23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3281A1 (en) * 2001-05-21 2002-11-21 Nec Corporation Folding portable telephone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free stop function and one touch open function
JP2004176941A (ja) * 2002-11-25 2004-06-24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US20050046319A1 (en) * 2003-08-29 2005-03-03 Chekal Raymond J.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KR20100035095A (ko) * 2008-09-25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3281A1 (en) * 2001-05-21 2002-11-21 Nec Corporation Folding portable telephone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free stop function and one touch open function
JP2004176941A (ja) * 2002-11-25 2004-06-24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US20050046319A1 (en) * 2003-08-29 2005-03-03 Chekal Raymond J.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KR20100035095A (ko) * 2008-09-25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8698B2 (en) 2017-01-23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753672B2 (en) 2017-01-23 2020-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90086844A (ko) * 2018-01-15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446B1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4062B2 (en) Refrigerator
CN108286860B (zh) 冰箱
AU2014277716B2 (en) Refrigerator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1424554B1 (ko) 양방향 개폐 가능한 도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9151534B2 (en) Latch assembly and refrigerator or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CN108106312B (zh) 冰箱
KR20170072750A (ko) 냉장고
EP3935331B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isplay module
US11499771B2 (en) Refrigerator
US9506685B2 (en) Refrigerator
KR102059573B1 (ko) 냉장고
US11435129B2 (en) Refrigerator
KR20080090214A (ko) 냉장고용 홈바
KR102004428B1 (ko) 냉장고
CN108266953B (zh) 冰箱
KR102004446B1 (ko) 냉장고
KR102004434B1 (ko) 냉장고
KR20190015968A (ko) 2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108286861B (zh) 冰箱
KR102179342B1 (ko) 냉장고
KR102093448B1 (ko) 냉장고
KR102036106B1 (ko) 냉장고
KR102093456B1 (ko) 냉장고
KR2020013279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