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438A - 연삭 디스크 및 이러한 연삭 디스크의 용도 - Google Patents

연삭 디스크 및 이러한 연삭 디스크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438A
KR20210108438A KR1020217023364A KR20217023364A KR20210108438A KR 20210108438 A KR20210108438 A KR 20210108438A KR 1020217023364 A KR1020217023364 A KR 1020217023364A KR 20217023364 A KR20217023364 A KR 20217023364A KR 20210108438 A KR20210108438 A KR 20210108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rinding
grinding disc
reinforc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904B1 (ko
Inventor
슈테판 게르만
프랑크 헨
아힘 슈미츠
파비앙 슈마허
Original Assignee
아우구스트 뤼게베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구스트 뤼게베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아우구스트 뤼게베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10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5/02Wheels in one piece
    • B24D5/04Wheels in one piece with reinfor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2Wheels in one piece
    • B24D7/04Wheels in one piece with reinfor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제(3)에 의해 함께 결합된 연삭 입자(4)로 제조된 연삭 층(2)을 포함하는 연삭 디스크(1)에 관한 것이다. 연삭 층(2)의 외부면(5, 7)에서 강화 패브릭(6, 8)이 연삭 층(2)에 내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패브릭(W1 내지 W4)이 강화 패브릭(6, 8)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각각의 추가 패브릭은 강화 패브릭(6, 8)의 지름보다 작은 각각의 지름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패브릭(W1 내지 W4)은 중심 개구(9) 부근의 영역에서 연삭 디스크(1)를 강화하고 거친 절삭 및/또는 분리 공정 동안의 연삭 디스크(1)의 특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연삭 디스크 및 이러한 연삭 디스크의 용도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삭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친 절삭(rough machining) 및/또는 절단(cutting off)을 위해 이러한 연삭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EP 1 543 923 A1에서 핸드-가이드 앵글 연삭기를 이용하여 거친 절삭에 사용되는 연삭 디스크가 개시되었다. 연삭 디스크는 결합제에 의해서 결합되고 내부 및 외부 강화 패브릭에 의해서 강화된 연마 입자로 형성된 연삭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갖는 연삭 디스크를 생성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삭 디스크는 더 높은 회전 속도 및 더 높은 절단 속도에서 사용가능할 수 있으며 더 높은 연삭 성능 및/또는 절단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 절단에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연삭 디스크에 의해 해결된다. 연삭 디스크는 연삭기를 부착하기 위한 중심 개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패브릭 또는 적어도 하나의 경직화 패브릭을 강화 패브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함으로써, 이들 각각은 강화 패브릭보다 지름(Di)이 더 작으며, 연삭 디스크는 중심 개구 둘레의 영역에서 경직화 및 안정화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패브릭으로 인해, 연삭 층에 놓인 내부 강화 패브릭의 수 및/또는 중량, 특히 유리 중량은 연삭 디스크의 강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감소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연삭 층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패브릭의 면 및/또는 연삭 층을 향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패브릭의 면에 배치된다. 만약 여러 개의 패브릭이 강화 패브릭 중 하나 또는 각각의 강화 패브릭 상에 배치되는 경우, 이러한 패브릭은 따라서 강화 패브릭 또는 연삭 층을 향하는 각각의 강화 패브릭의 면에 및/또는 연삭 층을 마주하지 않는 강화 패브릭의 면에 배치된다. 강화 패브릭과 연관된 패브릭은 그에 따라서 연삭 층을 향하는 면 및/또는 연삭 층을 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특히 연삭 디스크의 회전축 및/또는 중심 개구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적어도 하나의 강화 패브릭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적어도 하나의 강화 패브릭에 접한다. 연삭 층 및/또는 연삭 디스크의 작업 영역에서 강화 패브릭의 수 및/또는 중량, 특히 유리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연삭 성능 및/또는 절단 성능이 향상되었다. 또한,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에 연삭 성능 및/또는 절단 성능이 추가로 향상되도록 비교적 더 높은 회전 속도에서 연삭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삭 디스크는 직선 또는 크랭크 방식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패브릭은 연삭 층 지름(DS)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패브릭 지름을 갖는 강화 패브릭의 수가 감소되도록 중심 개구 주위의 중심 영역을 강화한다. 연삭 디스크의 작업 영역에서 강화 패브릭의 감소된 비율 또는 수는 거친 절삭 가공 및/또는 절단 동안의 연삭 디스크의 특성, 특히 연삭 성능 및/또는 절단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 1 강화 패브릭 및/또는 제 2 강화 패브릭은 특히 유리 섬유 패브릭로 해석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패브릭 지름(DA1)에 대해: DA1 ≥ 0.9·DS, 특히 DA1 ≥ 0.95·DS, 그리고 특히 DA1 ≥ 0.99·DS가 적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패브릭 지름(DA2)에 대해: DA2 ≥ 0.9·DS, 특히 DA2 ≥ 0.95·DS, 그리고 특히 DA2 ≥ 0.99·DS가 적용된다. 특히, DA1 = DA2 = DS이 적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제 1 강화 패브릭 및/또는 제 2 강화 패브릭과 동일하게 및/또는 다르게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제 1 강화 패브릭 및/또는 제 2 강화 패브릭보다 더 작은 메쉬 크기, 더 큰 메쉬 크기 및/또는 동일한 메쉬 크기를 갖는다. 복수의 패브릭이 동일하게 및/또는 다르게 형성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유리 섬유 패브릭로서 형성된다. 지수 i는 각각의 패브릭을 나타내고 Di는 각 패브릭의 지름을 나타낸다. 제 1 강화 패브릭 상에 배치된 패브릭의 수는 제 2 강화 패브릭 상에 배치된 패브릭의 수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연삭 층에 놓인 강화 패브릭의 감소된 수 및/또는 감소된 중량, 특히 유리 중량으로 인해, 특히 거친 절삭 가공을 위한 연삭 디스크는 이것이 또한 절단에 적합하고 우수한 절단 성능을 갖도록 비교적 더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패브릭 및 더 높은 강성으로 인해, 연삭 디스크의 진동 또는 플러터링 및 따라서 특히 절단을 위한 연삭 디스크의 경우 불균일한 절단이 방지된다. 이것과 비교적 더 높은 회전 속도에서의 이용은 절단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패브릭이 강화 패브릭 중 적어도 하나를 앵글 연삭기의 고정 수단(예를 들어 너트)에서의 구부러짐으로 인한 중심 개구의 영역에서의 과도한 변형으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에 연삭 디스크는 곡선형 절단을 가능하게 한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연삭 층이 연삭 층 내에 놓인 강화 패브릭을 갖지 않기 때문에, 즉 외부면 상에 배치된 강화 패브릭 사이에 중심 강화 패브릭이 없기 때문에, 연삭 디스크의 작업 영역 내의 강화 패브릭의 비율은 낮다. 내부 강화 패브릭은 제 1 강화 패브릭과 제 2 강화 패브릭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0.8·DS의 패브릭 지름을 갖는 강화 패브릭인 것으로 이해된다. 적어도 하나의 연삭 층에서, 지름(Di)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강화 패브릭로부터 거리를 두고, 특히 그에 대해 중심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강화 패브릭 사이의 연삭 층에는 패브릭이 없으므로, 강화 패브릭 또는 추가 패브릭이 제 1 강화 패브릭과 제 2 강화 패브릭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 3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이 연삭 층을 마주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패브릭의 면에 배치된다는 사실로 인해, 연삭 디스크는 한편으로 경직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패브릭이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에 의해서 보호된다.
청구범위 제 4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제 1 강화 패브릭 및 제 2 강화 패브릭 상에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을 배치함으로써, 연삭 디스크는 양쪽 외부면 상에서 강화 및 경직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연삭 층을 마주하지 않는 면 및/또는 제 1 강화 패브릭 또는 제 2 강화 패브릭의 연삭 층을 마주하는 면에 배치된다.
청구범위 제 5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패브릭이 제 1 강화 패브릭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패브릭이 제 2 강화 패브릭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패브릭은 연삭 층을 마주하지 않는 제 1 강화 패브릭 및/또는 제 2 강화 패브릭의 면에 독점적으로 배치된다.
청구범위 제 6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각각의 지름(Di)은 각각의 패브릭이 클램핑 영역 또는 중심 개구 주위의 중심 영역을 강화시키고 실질적으로 외부 작업 영역으로 연장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패브릭은 동일한 지름(Di)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7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이 클램핑 영역에 배치되고 중심 개구 주변을 강화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특히 절단에 사용가능한 외부 작업 영역에 배치되지 않는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거친 절삭 가공에 사용가능한 내부 작업 영역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삭 디스크는 클램핑 영역, 내부 작업 영역 및 외부 작업 영역을 포함한다. 내부 작업 영역은 클램핑 영역과 외부 작업 영역 사이의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영역에서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작업 영역에서 연장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은 외부 작업 영역에서 연장하지 않는다. 이는 클램핑 영역을 경직시킨다. 거친 절삭 가공은 내부 작업 영역 및/또는 높은 연삭 성능을 가진 외부 작업 영역으로 수행된다. 절단은 높은 절단 성능을 가진 외부 작업 영역에서 수행된다. 내부 작업 영역 및 외부 작업 영역은, 예를 들어 앵글 연삭기의 앵글 헤드에 의해서 사전결정되며, 이는 연삭 디스크가 내부 작업 영역에서 절단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청구범위 제 8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전체 연삭 층 지름(DS)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d)를 갖는 연삭 디스크에 의해서, 연삭 디스크의 작업 영역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d1 = d2 = d이고, 여기서 d는 작업 영역에서 연삭 층의 균일한 두께를 나타낸다.
청구범위 제 9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작업 영역의 연삭 디스크의 두께(d)로 인해, 거친 절삭을 위한 연삭 디스크가 절단에도 적합하다. 따라서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중에 높은 연삭 성능 및 절단 중에 높은 절단 성능을 갖는다. 따라서 거친 절삭 연삭 디스크는 절단에도 사용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10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절단을 위한 연삭 디스크는 비교적 높은 회전 속도 및 따라서 높은 절단 속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절단 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연삭 디스크는 특히 절단 연삭 디스크로서 사용된다. 연삭 디스크는 또한 거친 절삭 가공에도 사용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11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의 더 높은 단위면적당 중량(Gj)은 연삭 디스크의 안정성 및 강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중량(Gj)은 패브릭 함량으로 인한 연삭 성능 또는 절단 성능의 저하를 피하기에 충분히 낮다. 단위면적당 중량(Gj)은 면, 즉 강화 패브릭마다 결정되며, 각각의 강화 패브릭 상에 배치된 패브릭에 대해 결정된다. 만약 하나의 패브릭이 강화 패브릭 중 하나에 또는 한 면에 배치되는 경우, 단위면적당 중량(Gj)은 이러한 패브릭의 단위면적당 중량에 해당한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강화 패브릭 중 하나에 복수의 패브릭이 배치된 경우, 단위면적당 중량(Gj)은 이들 패브릭의 단위면적당 중량의 합이다. 예를 들어, 만약 제 1 강화 패브릭 상에 2개의 패브릭이 배치되고 제 2 강화 패브릭 상에 2개의 패브릭이 배치되는 경우, 단위면적당 제 1 중량은 제 1 강화 패브릭 상에 배치된 패브릭의 단위면적당 중량의 합으로서 결정되고 단위면적당 제 2 중량은 제 2 강화 패브릭 상에 배치된 패브릭의 단위면적당 중량의 합으로서 결정된다. 단위면적당 각각의 합산된 중량은 스트레스 영역에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강화 패브릭 또는 제 2 강화 패브릭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의 단위면적당 각각의 합산된 중량(Gj)에 대해: 150g/m2 ≤ Gj ≤ 350g/m2, 특히 250g/m2 ≤ Gj ≤ 300g/m2 mm가 적용된다. 지수 j는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이 연관된 각각의 강화 패브릭을 지정한다.
청구범위 제 12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의 더 높은 실 폭(bi)은 연삭 디스크의 안정성 및 강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스레드 폭은 각각의 패브릭이 연관된 강화 패브릭에서 연삭 층 또는 연삭 디스크에 내장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낮다. 지수 i는 각각의 패브릭을 지정한다.
청구범위 제 13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값(Ri)은 각각의 패브릭의 개방성의 측정값이다. 지수 i는 각 패브릭을 지정한다. 값(Ri)이 높을수록 연삭 디스크의 안정성 및 강성이 증가한다. 그러나 값(Ri)은 각 패브릭이 연삭 디스크에 내장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낮다. 연삭 성능 또는 절단 성능은 연삭 디스크의 작업 영역에 있는 패브릭의 양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값(Ri)에 대해 다음이 적용된다:
Ri = Rxi + Ryi
Rxi = bxi·nxi/lxi
Ryi = byi·nyi/lyi 이고, 여기서
bxi, byi는 각각 x-방향 및 y-방향에서의 실 폭 또는 웹 폭이고,
nxi, nyi는 각각 x-방향 및 y-방향에서의 실의 수 또는 웹의 수이며,
lxi, lyi는 x-방향 및 y-방향에서의 길이이다.
청구범위 제 14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동안의 개선된 특성을 보장한다. 클램핑 링은 중심 개구를 형성한다. 클램핑 링 또는 관련된 홀은 결합제, 특히 수지의 흐름 중에 토치 스탠드의 볼트에 의해 생성된다. 클램핑 링은 클램핑 영역 및/또는 중심 개구를 추가로 강화 및 경직시킨다. 클램핑 링은 특히 강철 고리로서 해석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다른 목적은 거친 절삭 가공 및/또는 절단 동안 개선된 특성을 갖는 연삭 디스크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 15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삭 디스크는 거친 절삭 및 절단에 사용된다. 향상된 안정성으로 인해, 연삭 디스크가 더 높은 회전 속도 및 더 높은 절단 속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연삭 성능 또는 절단 성능을 향상시킨다. 연삭 디스크의 사용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장점과 관련하여, 이미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연삭 디스크의 장점이 참조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장점 및 세부사항은 이어지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강화 패브릭 및 추가 패브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 디스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연삭 디스크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추가 패브릭의 확대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연삭 디스크(1)는 휴대용 앵글 그라인더 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연삭 디스크(1)는 결합제(3)에 의해 결합된 연삭 입자(4)로 형성된 연삭 층(2)을 포함한다. 결합제(3)는 예를 들어 페놀 수지이다. 연삭 층(2)은 연삭 디스크(1)의 공칭 지름에 상응하는 연삭 층 지름(DS)을 갖는다.
제 1 강화 패브릭(6)은 제 1 외부면(5) 상의 연삭 층(2)에 내장된다. 상응하게, 제 2 강화 패브릭(8)은 제 2 외부면(7) 상의 연삭 층(2)에 내장된다. 제 1 강화 패브릭(6)은 연삭 층 지름(DS)에 상응하는 제 1 패브릭 지름(DA1)을 갖는다. 상응하게, 제 2 강화 패브릭(8)은 연삭 층 지름(DS)에 상응하는 제 2 패브릭 지름(DA2)을 갖는다. 강화 패브릭(6, 8)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 패브릭로서 해석된다.
연삭 디스크(1)는 추가 패브릭(W1, W2, W3, W4)을 포함한다. 패브릭(W1, W2)은 연삭 층(2)을 마주하지 않는 제 1 강화 패브릭(6)의 면에 배치되고 연삭 층(2)에 내장되는 반면, 패브릭(W3, W4)은 연삭 층(2)을 마주하지 않는 제 2 강화 패브릭(8)의 면에 배치되고 연삭 층(2)에 내장된다.
연삭 디스크(1)는 앵글 연삭기로의 부착을 위한 중심 개구(9)를 포함한다. 중심 개구(9)는 연삭 디스크(1)의 회전 축(M)을 정의한다. 앵글 연삭기에 클램핑하기 위해, 연삭 디스크(1)는 중심 개구(9)에 배치된 클램핑 링(10)을 갖는다. 클램핑 링(10)은 예를 들어 강철 고리로 해석된다. 클램핑 링(10)은 제 1 외부면(5) 상에서 패브릭(W1)과 접하고 연삭 층(2)에 연결된다.
연삭 디스크(1)는 원형이다. 강화 패브릭(6, 8) 및/또는 패브릭(W1 내지 W4)은 회전축(M)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다. 강화 패브릭(6, 8) 및/또는 패브릭(W1 내지 W4)은 환형이다.
패브릭(W1 내지 W4)은 각각의 지름(D1 내지 D4)을 갖는다. 패브릭은 일반적으로 Wi 및 i = 1, 2, 3, 4인 상응하는 지름(Di)으로 지정된다. 지수 i는 각각의 패브릭(Wi)을 명시한다. 각각의 지름(Di)에 대해: Di < DA1 및 Di < DA2가 적용된다. 특히, 각각의 지름(Di)에 대해: 0.25·DS ≤ Di ≤ 0.75·DS, 특히, 0.3·DS ≤ Di ≤ 0.7·DS, 그리고 특히 0.35·DS ≤ Di ≤ 0.65·DS가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D1 = D2 = D3 = D4이다.
특히 연삭 층(2) 중심에 배치된 강화 패브릭이 연삭 층(2)에 없도록 연삭 층(2)에는 강화 패브릭(6, 8) 사이에 추가 강화 패브릭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연삭 층(2)은 또한 강화 패브릭(6, 8) 사이에 다른 추가 패브릭이 없다.
연삭 디스크(1)는 회전축(M)에 대해 반지름 방향으로 클램핑 영역(11) 및 클램핑 영역(11)을 둘러싸는 작업 영역(12)을 형성한다. 작업 영역(12)은 회전축(M)에 대한 반지름 방향에서 내부 작업 영역(13) 및 이를 둘러싸는 외부 작업 영역(14)으로 분할된다. 작업 영역(12), 즉 내부 작업 영역(13) 및 외부 작업 영역(14)은 환형이다. 내부 작업 영역(13)은 패브릭(W1 내지 W4)이 연장하는 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한다. 클램핑 영역(11) 및 내부 작업 영역(13)은 따라서 패브릭(W1 내지 W4)이 배치된 강화 영역(15)을 형성한다. 다른 한 편으로, 외부 작업 영역(14)은 추가 패브릭(W1 내지 W4)이 없는 비강화 영역(16)을 형성한다. 외부 작업 영역(14)은 바람직하게는 작업물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내부 작업 영역(13) 및 외부 작업 영역(14)은 작업물을 거친 절삭 가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강화 영역(15)은 두께(d1)를 갖는 반면, 비강화 영역(16)은 두께(d2)를 갖는다. 연삭 디스크(1)는 회전축(M)에 대해 반지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여기서: 0.95 ≤ d1/d2 ≤ 1.05, 특히 0.99 ≤ d1/d2 ≤ 1.01, 그리고 특히 0.995 ≤ d1/d2 ≤ 1.005이다. 연삭 디스크(1)의 두께(d)는 최대 두께(d1 및 d2)로부터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d = d1 = d2이 적용된다.
작업물을 거친 절삭하기 위한 연삭 디스크(1)의 바람직한 이용에서, 바람직하게는 두께(d)에 대해: 2mm ≤ d ≤ 7mm, 특히 3mm ≤ d ≤ 6mm, 그리고 특히 4mm ≤ d ≤ 5mm가 적용된다. 작업물 절단을 위한 연삭 디스크(1)의 바람직한 이용에서, 바람직하게는 두께(d)에 대해: 0.8mm ≤ d ≤ 4mm, 특히 1.2mm ≤ d ≤ 3.2mm, 그리고 특히 1.6mm ≤ d ≤ 2.5mm가 적용된다.
도 3은 일반적으로 패브릭(Wi)의 구조를 도시한다. 패브릭(Wi)은 y-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씨실(17) 및 이를 가로지르게 x-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날실(18)을 갖는다. 각각의 패브릭(Wi)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 패브릭로서 해석된다.
씨실(17)은 실 폭(bxi)을 갖는 반면, 날실(18)은 실 폭(byi)을 갖는다. 실 폭(bxi) 또는 실 폭(byi)은 웹 너비(web width)로도 지칭된다. 실 폭(bxi)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0.1mm ≤ bxi ≤ 1.8mm, 특히 0.3mm ≤ bxi ≤ 1.5mm, 그리고 특히 1mm ≤ bxi ≤ 1.2mm가 적용된다. 실 폭(byi)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0.1mm ≤ byi ≤ 1.8mm, 특히 0.3mm ≤ byi ≤ 1.5mm, 그리고 특히 1mm ≤ byi ≤ 1.2mm가 적용된다. 실 폭(bxi) 및 실 폭(byi) 일반적으로 실 폭 bi라고한다. 각각의 패브릭(Wi)의 스레드 폭(bxi 및 byi)은 동일 및/또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패브릭(Wi)의 스레드 폭(bxi 및 byi)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있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패브릭(Wi)은 패브릭(Wi)의 개방성을 특징짓는 값(Ri)을 갖는다. 각각의 값(Ri)에 대해 다음이 적용된다:
Ri = Rxi + Ryi (1)
Rxi = bxi·nxi/lxi (2)
Ryi = byi·nyi/lyi (3).
식 (2) 및 (3)에서:
bxi는 씨실(17)의 실 폭을 지칭하고,
nxi/lxi는 x-방향의 길이(lxi)에 대한 씨실(17)의 수를 지칭하고,
byi는 날실(18)의 실 폭을 지칭하고,
nyi/lyi는 y-방향의 길이(lyi)에 대한 날실(18)의 수를 지칭한다.
각각의 패브릭(Wi)의 값(Rxi 및 Ryi)은 동일 및/또는 상이할 수 있다. 패브릭(Wi)의 값(Rxi 및 Ryi)은 서로 동일 및/또는 상이할 수 있다. 패브릭(Wi)의 값(Ri)은 동일 및/또는 상이할 수 있다. 값(Ri)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2 ≤ Ri ≤ 1.2, 특히 0.3 ≤ Ri ≤ 1이 적용된다.
패브릭(W1 및 W2)은 제 1 강화 패브릭(6)과 연관되고 단위면적당 총 제 1 중량(G1)을 갖는다. 상응하게, 패브릭(W3 및 W4)은 제 2 강화 패브릭(8)과 연관되고 단위면적당 총 제 2 중량(G2)을 갖는다. 단위면적당 각각의 중량은 일반적으로 Gj로 표시되며, 여기서 지수 j는 각각의 강화 패브릭(6, 8) 또는 패브릭(W1, W2 또는 W3, W4)이 연관된 연삭 층(2)의 각각의 외부면을 지칭한다. 지수 j에 있어서, j = 1, 2이 적용된다. 단위면적당 각각의 총 중량(Gj)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0g/m2 ≤ Gj ≤ 500g/m2, 특히 75g/m2 ≤ Gj ≤ 450g/m2 mm, 그리고 특히 100g/m2 ≤ Gj ≤ 400g/m2가 적용된다. 단위면적당 중량(Gj)은 동일 및/또는 상이할 수 있다. 개별적인 패브릭(Wi)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동일 및/또는 상이할 수 있다.
동작 모드 및 연삭 디스크(1)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추가 패브릭(W1 내지 W4)은 연삭 디스크(1)가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 중에 비교적 더 높은 회전 속도 및 더 높은 절단 속도(v)로 동작될 수 있도록 연삭 디스크(1)를 강화 및 경직시킨다. 절단 속도(v)는 연삭 디스크(1)의 외부 원주 또는 연삭 층 지름(DS)에서 적어도 80m/s, 특히 적어도 90m/s, 그리고 특히 적어도 100m/s이다. 이것은 연삭 성능 및/또는 절단 성능을 증가시킨다.
연삭 디스크(1)가 절단 연삭 디스크로서 설계된 경우, 추가 패브릭(W1 내지 W4)은 높은 회전 속도 또는 높은 절단 속도(v)에서의 진동 또는 플러터링을 방지한다. 연삭 디스크(1)가 절단 연삭 디스크로서 설계된 경우, 앵글 연삭기의 고정 수단에서 구부러질 때 강화 패브릭(6)이 패브릭(W1 및 W2)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특히 이것은 곡선형 절단 또한 허용한다.
연삭 디스크(1)가 거친 연삭 디스크로서 설계될 때, 추가 패브릭(W1 내지 W4)은 연삭 층(2) 내의 추가 강화 패브릭의 수가 강화 패브릭(6, 8) 사이에서 감소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작업 영역(12) 내의 추가 강화 패브릭이 연삭 특성 또는 연삭 성능에 악영향을 갖도록 하기 때문에, 유사한 안정성 및 강성을 가지고 연삭 성능을 증가시킨다. 또한, 절단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거친 연삭 디스크를 비교적 얇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 작업 영역(14)은 절단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내부 작업 영역(13) 및 추가로 외부 작업 영역(14)은 거친 절삭 가공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삭 디스크(1)의 바람직한 구조는 라벨/N-패브릭(Wi)/강화 패브릭(6)/연삭 층(2)/강화 패브릭(8)/N-패브릭(Wi)/라벨/클램핑 링(10)이다. 연삭 디스크(1)는 크랭크 방식으로 클램핑 영역(11)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추가 패브릭(Wi)은 제 1 강화 패브릭(6) 및/또는 제 2 강화 패브릭(8)보다 더 미세한 메쉬 및/또는 더 거친 메쉬 및/또는 동일한 메쉬 크기일 수 있다.

Claims (15)

  1. 연삭 디스크에 있어서,
    - 연삭 층(2)으로서,
    -- 결합제(3)에 의해 결합된 연삭 입자(4)로 형성되고,
    -- 연삭 층 지름(DS)을 가지고,
    -- 제 1 외부면(5) 및 제 2 외부면(7)을 형성하는, 연삭 층(2),
    - 제 1 강화 패브릭(6)로서,
    -- 상기 제 1 외부면(5) 상의 연삭 층(2)에 내장되고,
    -- DA1 ≥ 0.8·DS인 제 1 패브릭 지름(DA1)을 갖는, 제 1 강화 패브릭(6),
    - 제 2 강화 패브릭(8)로서,
    -- 상기 제 2 외부면(7) 상의 연삭 층(2)에 내장되고,
    -- DA2 ≥ 0.8·DS인 제 2 패브릭 지름(DA2)을 갖는, 제 2 강화 패브릭(8)을 포함하고,
    상기 연삭 디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1 내지 W4)이 강화 패브릭(6, 8)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1 내지 W4)이 Di < DA1이고 Di < DA2인 각각의 지름(Di)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패브릭(6, 8) 사이의 연삭 층(2)에는 강화 패브릭이 없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1 내지 W4)이 상기 연삭 층(2)과 마주하지 않는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강화 패브릭(6, 8)에 대해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1, W2)이 상기 제 1 강화 패브릭(6)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3, W4)이 상기 제 2 강화 패브릭(8)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패브릭(W1 내지 W4)이 상기 강화 패브릭(6, 8)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름(Di)에 대해서: 0.25·DS ≤ Di ≤ 0.75·DS, 특히, 0.3·DS ≤ Di ≤ 0.7·DS, 특히 0.35·DS ≤ Di ≤ 0.65·DS가 적용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1 내지 W4)이 연삭 디스크(2)의 클램핑 영역(11) 내에 및/또는 절단에 사용가능한 외부 작업 영역(14)의 외부측에 및/또는 거친 절삭에 사용가능한 내부 작업 영역(13)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1 내지 W4)은 두께(d1)를 갖는 연삭 디스크(2)의 강화 영역(15) 및 두께(d2)를 갖는 연삭 디스크(2)의 비강화 영역(16)을 한정하고, 0.95 ≤ d1/d2 ≤ 1.05, 특히 0.99 ≤ d1/d2 ≤ 1.01, 그리고 특히 0.995 ≤ d1/d2 ≤ 1.005가 적용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mm ≤ d ≤ 7mm, 특히 3mm ≤ d ≤ 6mm, 그리고 특히 4mm ≤ d ≤ 5mm가 적용되는 두께(d)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8mm ≤ d ≤ 4mm, 특히 1.2mm ≤ d ≤ 3.2mm, 그리고 특히 1.6mm ≤ d ≤ 2.5mm가 적용되는 두께(d)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패브릭(6, 8) 중 하나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1, W2 및 W3, W4)은 50g/m2 ≤ Gj ≤ 500g/m2, 특히 75g/m2 ≤ Gj ≤ 450g/m2 mm, 그리고 특히 100g/m2 ≤ Gj ≤ 400g/m2이 적용되는 단위면적당 각각의 총 중량(Gj)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1 내지 W4)은 0.1mm ≤ bi ≤ 1.8mm, 특히 0.3mm ≤ bi ≤ 1.5mm, 그리고 특히 1mm ≤ bi ≤ 1.2mm이 적용되는 각각의 스레드 폭(bi)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W1 내지 W4)은 0.2 ≤ Ri ≤ 1.2, 특히 0.3 ≤ Ri ≤ 1이 적용되는 각각의 값(Ri)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디스크(2)를 연삭기 상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링(10)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
  15. 거친 절삭 및/또는 절단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삭 디스크(1)의 용도로서, 절단 속도(v)는 적어도 80m/s, 특히 적어도 90m/s, 그리고 특히 적어도 100 m/s인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연삭 디스크의 용도.
KR1020217023364A 2019-01-14 2019-01-14 연삭 디스크 및 이러한 연삭 디스크의 용도 KR102558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9/050836 WO2020147922A1 (de) 2019-01-14 2019-01-14 Schleifscheibe und verwendung einer derartigen schleifschei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438A true KR20210108438A (ko) 2021-09-02
KR102558904B1 KR102558904B1 (ko) 2023-07-21

Family

ID=6503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364A KR102558904B1 (ko) 2019-01-14 2019-01-14 연삭 디스크 및 이러한 연삭 디스크의 용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20220088747A1 (ko)
EP (1) EP3700712B1 (ko)
JP (1) JP2022518206A (ko)
KR (1) KR102558904B1 (ko)
CN (1) CN113302022B (ko)
AU (1) AU2019422740A1 (ko)
CA (1) CA3126177A1 (ko)
CO (1) CO2021009001A2 (ko)
EA (1) EA202191479A1 (ko)
ES (1) ES2878400T3 (ko)
IL (1) IL284708A (ko)
MX (1) MX2021008309A (ko)
NZ (1) NZ777496A (ko)
PE (1) PE20211931A1 (ko)
PH (1) PH12021551698A1 (ko)
PL (1) PL3700712T3 (ko)
SG (1) SG11202106475WA (ko)
UA (1) UA126730C2 (ko)
WO (1) WO2020147922A1 (ko)
ZA (1) ZA20210486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063A (ja) * 2000-05-10 2001-11-13 Nitto Boseki Co Ltd 回転砥石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94274B (de) * 1956-05-25 1958-01-10 Swarovski Tyrolit Schleif Trennschleifscheibe
GB1251770A (ko) * 1969-06-19 1971-10-27
JPS5233191A (en) * 1975-09-10 1977-03-14 Yozo Shimizu Applying methd of label material to rotatable grinder plate
JPS56152584A (en) * 1980-04-21 1981-11-26 Tokyo Kensaku Toishi Kk Method of mounting rotary grindstone disc on cut off machine
US5496209A (en) * 1993-12-28 1996-03-05 Gaebe; Jonathan P. Blade grinding wheel
DE19800250A1 (de) * 1997-01-13 1998-08-06 Winter Cvd Technik Gmbh Schleifkörper
JP2002154052A (ja) * 2000-11-20 2002-05-28 Daikin Ind Ltd 研磨材
JP2004142029A (ja) * 2002-10-24 2004-05-20 Noritake Co Ltd ビトリファイド研削砥石
DE10359747A1 (de) 2003-12-19 2005-07-14 August Rüggeberg Gmbh & Co. Kg Schrupp-Schleifscheibe
AT9124U1 (de) * 2004-08-31 2007-05-15 Rappold Winterthur Technologie Trennscheiben
US7252694B2 (en) * 2005-08-05 2007-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03878706A (zh) * 2008-12-30 2014-06-25 圣戈班磨料磨具有限公司 生产粘结的磨轮的方法
DE102010035839A1 (de) * 2010-08-30 2012-03-01 Rhodius Schleifwerkzeuge Gmbh & Co. Kg Schleifwerkzeuge mit dreidimensionalen Verstärkungsstrukturen
US9782872B2 (en) * 2012-04-26 2017-10-10 Saint-Gobain Abrasives, Inc. Tool
CN104290042B (zh) * 2013-07-16 2017-02-08 宁波大华砂轮有限公司 一种防裂抗爆的树脂砂轮
DE102013110237A1 (de) * 2013-09-17 2015-03-19 Rhodius Schleifwerkzeuge Gmbh & Co. Kg Harzgebundene Trennscheibe
ITRE20130086A1 (it) * 2013-11-15 2015-05-16 Giovanni Ficai Mola da taglio a centro depresso
CN204686678U (zh) * 2015-05-22 2015-10-07 王云 一种新型切磨砂轮片
RU2702668C1 (ru) * 2015-12-30 2019-10-09 Сен-Гобен Абразивс, Инк. Абразивные инструменты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ITUA20162031A1 (it) * 2016-03-25 2017-09-25 Paolo Ficai Mola abrasiva
KR101836435B1 (ko) * 2016-05-30 2018-03-08 주식회사동서산업롤 산업용 고무롤의 홈 가공용 연마휠
TWM558155U (zh) * 2017-12-26 2018-04-11 Fan zhong ming 具中心強化結構之切割砂輪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063A (ja) * 2000-05-10 2001-11-13 Nitto Boseki Co Ltd 回転砥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0712B1 (de) 2021-04-14
CO2021009001A2 (es) 2021-08-30
JP2022518206A (ja) 2022-03-14
PL3700712T3 (pl) 2021-10-25
ZA202104866B (en) 2023-01-25
EA202191479A1 (ru) 2021-08-27
PH12021551698A1 (en) 2022-02-28
MX2021008309A (es) 2021-08-11
US20220088747A1 (en) 2022-03-24
WO2020147922A1 (de) 2020-07-23
CA3126177A1 (en) 2020-07-23
UA126730C2 (uk) 2023-01-11
CN113302022B (zh) 2023-11-17
BR112021013572A2 (pt) 2021-09-21
KR102558904B1 (ko) 2023-07-21
PE20211931A1 (es) 2021-09-28
IL284708A (en) 2021-08-31
SG11202106475WA (en) 2021-07-29
NZ777496A (en) 2024-01-26
CN113302022A (zh) 2021-08-24
ES2878400T3 (es) 2021-11-18
AU2019422740A1 (en) 2021-07-15
EP3700712A1 (de)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4509B1 (en) Reinforced abrasive wheels
PL202922B1 (pl) Tarcza ścierna do roboczego obracania się dookoła jej osi
US5647263A (en) Saw tooth attack face and edge structure
KR102558904B1 (ko) 연삭 디스크 및 이러한 연삭 디스크의 용도
JP6608905B2 (ja) 遠心力風力分級機のための分級ロータ
US6786812B2 (en) Supporting disk for a surface grinding wheel and surface grinding wheel
ITMO20100053A1 (it) Inserto ventilante per utensili abrasivi.
US5584755A (en) Abrasive wheel for hand-guided grinding machines, in particular abrasive cutting-off wheel
US20220331892A1 (en) Multilayer grindstone for gear grinding
EP1082195B1 (en) Cutting disk with vibration damping sheet
BR112021013572B1 (pt) Disco de esmerilhamento e uso de tal disco de esmerilhamento
EA041801B1 (ru) Шлифовальный диск и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шлифовального диска
US6521096B1 (en)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element for a screen plate
US20190061108A1 (en) Grinding wheel with a vibration-damping support body
KR20010021537A (ko) 복합 호닝 링
JP3247885B2 (ja) 刈り払い機の刃材
JP2018502002A (ja) 航空機タイヤの保護クラウン補強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