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417A - 전기 기기 장치 및 전기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 장치 및 전기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417A
KR20210108417A KR1020217022586A KR20217022586A KR20210108417A KR 20210108417 A KR20210108417 A KR 20210108417A KR 1020217022586 A KR1020217022586 A KR 1020217022586A KR 20217022586 A KR20217022586 A KR 20217022586A KR 20210108417 A KR20210108417 A KR 20210108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contact piece
contac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젱 쉬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리딩 커넥션 메카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앙쑤 루오카이 메카니컬 앤드 일렉트리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리딩 커넥션 메카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앙쑤 루오카이 메카니컬 앤드 일렉트리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리딩 커넥션 메카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01R4/40Pivotable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365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005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requiring successive relative motions to complete the coupling, e.g. bayone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04Isolating-contacts, e.g. mountings or shie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01R4/42Clamping area to one side of screw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인출 장치(pull-out apparatus)와 본체 사이에 연결되는 전기 연결 장치(200)로서,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 클램핑 기구를 갖는 접점 피스(241, 441, 541)를 포함하는 본체 연결 조립체(204)로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접점 피스(241, 441, 541)를 본체 버스바(208, 408, 508)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204); 및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와 본체 연결 조립체(204)를 연결하여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는 가요성 조립체(206)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200).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204)의 접촉 피스(241, 441, 541)는 본체 버스바(208, 408, 508)의 위치 쉬프트에 적응하여 오프셋됨으로써, 접촉 피스(241, 441, 541)가 본체 버스바(208, 408, 508)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클램핑하고, 가요성 조립체(206)는 그 자체 변형을 이용하여 접촉 피스(241, 441, 541)의 쉬프트를 흡수하며, 그 쉬프트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에 전달되지 않는다. 동시에, 기술된 전기 연결 장치(200)뿐만 아니라 기술된 전기 연결 장치(200) 또는 전기 연결 조립체를 사용하는 전기 기기에 의해 형성된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가 더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 기기 장치 및 전기 연결 조립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 기기의 분야, 보다 구체적으로 인출 구조(draw-out structure)를 갖는 전기 기기의 전기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는 범용 회로 차단기, 몰드 케이스 회로 차단기, 인출 장치를 갖는 자동 변환 스위치, 중간 전압 회로 차단기, 스위치 캐비넷 등을 구비한다. 인출 구조를 갖는 장치는 본체 및 인출 장치를 구비한다. 본체는 본체 버스바(main body busbar)로서 브릿지형 접점을 이용하고, 인출 장치는 본체 버스바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접촉 브릿지를 구비한다. 인출 장치 상의 접촉 브릿지는 외부 입구 및 출구 단자와 연결된다. 본체가 인출 장치 내로 푸시되면, 본체 버스바는 접촉 브릿지와 접촉하여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고, 본체는 외부 입구 및 출구 단자와 연결된다. 본체가 인출 장치 외부로 끌어당겨지면, 본체 버스바는 접촉 브릿지로부터 분리되어 전도성 경로를 차단하여 격리를 성취함으로써, 시험 또는 유지보수에 편리하다. 본체 버스바와 접촉 브릿지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장치를 위한 전기 연결 장치를 구성한다. 일부 제품에서, 접촉 브릿지는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장치의 전기 연결 장치는 버스바 및 접촉 브릿지에 의해 여전히 형성되고, 그 기본 원리는 전술한 구조와 동일하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전기 연결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인출 장치 상에 장착된 접촉 브릿지는, 접촉 피스(101), 샤프트(102), 인장 스프링(103) 및 브래킷(104)를 구비한다. 몇 개의 접촉 피스(101)가 있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2개의 접촉 피스(101)는 대향하여 배치되어 그룹을 형성한다. 접촉 피스의 몇 개의 그룹은 중첩되어 중첩된 접촉 피스의 2개의 대칭적인 열로 조립된다. 각 접촉 피스(101)의 외측 중간 근방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샤프트(102)는 그루브 내에 배치된다. 인장 스프링(103)의 중간부는 2개 열의 접촉 피스(101)들 사이에 위치되고, 인장 스프링(103)의 양단부는 한 쌍의 샤프트(102)에 각각 고정된다. 브래킷(104)은 접촉 피스(101)의 각 그룹 사이에 삽입되고, 브래킷(104)은 접촉 피스들 사이의 상호 마찰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어 구획부로서 작용한다. 브래킷(104)은 양단부 및 2개 열의 접촉 피스의 중간에 배치된다. 접촉 시트(101), 샤프트(102), 인장 스프링(103) 및 브래킷(104)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브릿지를 함께 형성한다. 접촉 브릿지의 일단부(도 1a에 도시된 좌측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 열의 접촉 피스의 단부들은 본체 버스바(105)를 클램핑하기 위한 척을 함께 형성한다. 접촉 브릿지의 다른 단부(도 1a에 도시된 우측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 열의 접촉 피스의 단부들은 인출 장치의 외부 입구 및 출구 단자(106)에 연결된다.
각각의 접촉 피스(101)는 본체 버스바(105)와 접촉하는 접점을 형성한다. 2개 열의 접촉 피스는 다중-접촉 영역을 함께 형성한다. 본체 버스바(105)의 배치를 위해 2개 열의 접촉 피스들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본체 버스바(105)가 갭 내로 삽입될 때 효과적인 접점을 형성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갭의 폭은 본체 버스바(105)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본체가 인출 장치 내로 푸시될 때, 본체 버스바(105)는 2개 열의 접촉 피스들 사이의 갭에 삽입된다. 본체 버스바(105)의 두께가 갭보다 더 크므로, 본체 버스바(105)는 2개 열의 접촉 피스를 분산시킬 것이고, 분산된 접촉 피스는 인장 스프링(103)이 변형되게 할 것이다. 인장 스프링(103)의 변형에 의해 발생된 스프링력은 접촉 피스에 작용하여 2개 열의 접촉 피스를 내측방향으로 클램핑한다. 이러한 작용 하에서, 본체 버스바의 연속적인 전진에 의해, 2개 열의 접촉 피스는 버스바를 더욱더 클램핑할 것이다. 이로써, 점점 더 많은 접촉 피스가 버스바와 접촉하여 접점을 형성한다. 접점의 수가 클수록, 접촉 저항은 더 작아진다. 동작 프로세스 동안 접점의 신뢰성 있는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증가되어, 본체 버스바에 대한 접촉 피스의 클램핑력이 증가되고, 접점의 수 및 접촉 안정성이 보장되고, 접촉 저항이 감소될 것이다. 그러나,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증가시키는 단점은 매우 명백한데, 본체가 인출 장치 내로 푸시되면, 극복되어야 할 주요 저항은 본체 버스바와 접촉 피스 사이의 마찰과, 2개 열의 접촉 피스를 분산시키도록 본체 버스바에 요구되는 힘을 포함한다.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증가하면, 접폭 피스를 분산시키는데 요구되는 힘 및 본체 버스바와 접촉 피스 사이의 마찰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일 접촉 브릿지에 의해 제공되는 클램핑력은 약 800N이다. 3-극 회로 차단기는 3개의 입구 전기 연결 장치 및 3개의 출구 전기 연결 장치를 구비하는 적어도 6개의 전기 연결 장치를 갖는다. 따라서, 클램핑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본체 버스바를 접촉 브릿지에 삽입하기 위한 저항을 증대시킬 것이고, 이는 최종적으로 본체를 전기 연결 장치에 삽입하는 것을 너무 어려울 것인데, 그 이유는 전체의 인출 장치의 구동 장치의 작동력이 견디기에 너무 클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접촉 피스(101), 샤프트(102), 인장 스프링(103) 및 브래킷(104)으로 구성된 접촉 브릿지는 접촉 피스가 위치되는 평면에서 접촉 피스가 작은 범위로 회전하게만 하고, 접촉 피스의 운동 자유도는 극히 작다. 본체 버스바의 각도 편차가 있는 경우, 이러한 구조의 접촉 브릿지는 본체 버스바에 적응하거나 또는 본체 버스바의 위치 또는 각도 편차를 제거할 수 없다. 이러한 편차는 본체 버스바와 효과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피스의 수를 감소시킬 것이고, 접점 및 접촉 영역의 수가 감소될 것이으로, 성능과 서비스 수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더욱이, 이러한 편차는 본체 버스바가 갭 내로 직접 삽입될 수 없게 하여 편향을 형성하므로, 2개 열의 접촉 피스의 팽창력 및 본체 버스바와 접촉 피스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4000A 이상의 제품과 같은 일부 대형 하우징에서는, 넓은 측면 폭으로 인해, 각각의 전기 연결 장치의 위치 편차가 상당히 크고, 단일 입구 또는 출구에 2개 또는 3개의 전기 연결 장치가 제공되므로, 인출 장치의 작동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요약하면,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전기 연결 장치는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는데, 조립의 어려움과 성능 사이에 명백한 모순이 있다. 성능의 관점에서 볼 때, 클램핑력이 클수록 접점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접촉 면적을 늘리며 접촉 저항을 줄이는 것이 더 양호한 것으로 기대된다. 접촉 면적이 클수록 사용 중 열 발생을 줄이고 전기 연결 장치의 전체 서비스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핑력의 증가는 설치 저항을 크게 증가시켜, 설치 난이도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켜 장비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매우 불리하다.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클램핑력이 감소되는 경우, 불충분한 클램핑력은 본체 버스바와 접촉 피스 사이의 불충분한 결합, 적은 수의 접점, 및 접점의 가상 연결과 같은 일부 문제를 유발한다. 적은 수의 접점은 접촉 면적을 줄이고 접촉 저항을 증가시키며, 가상 접점은 많은 열을 발생시켜 사용 중에 접점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심지어는 타버릴 것이다. 접촉 브릿지는 높은 설치 정확도가 필요하며, 본체 버스바의 각도 또는 위치 편차에 적응하거나 제거할 수 없다. 본체 버스바의 각도 또는 위치 편차는 접점 성능이 저하되어, 성능 및 서비스 수명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본체 버스바의 각도 및 위치 정확도를 개선하면 설치의 어려움이 증가할 것이다.
종래 기술의 전기 연결 장치의 구조는 조립과 사용 성능 사이의 모순을 해소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고, 양자 간에 절충 해결책만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절충 해결책은 최상의 성능을 성취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삽입 및 클램핑 작동을 분리하고,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본체 버스바를 가능한 한 많이 피팅할 수 있는 전기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 연결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와, 전기 연결 장치 또는 전기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는 전기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인출 장치와 본체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본체 연결 조립체 및 가요성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상기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는 클램핑 기구를 갖는 접촉 피스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접촉 피스를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와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를 연결한다.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 상기 가요성 조립체 및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에 적응하여 오프셋되어, 상기 접촉 피스가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그 자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접촉 피스의 오프셋을 흡수하고, 상기 오프셋은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로 전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기기는 본체 및 인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인출 장치는 분리 위치 및 삽입 위치를 갖는다. 상기 본체 및 상기 인출 장치는 전술한 전기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출 장치를 빠져나가고,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접촉 피스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삽입 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출 장치 내로 푸시되고,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에 삽입되고, 상기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와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를 연결하는 연동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인출 장치와 본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의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본체 연결 조립체 및 가요성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상기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는 클램핑 기구를 갖는 접촉 피스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접촉 피스를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와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를 연결한다.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 상기 가요성 조립체 및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에 적응하여 오프셋되어, 상기 접촉 피스가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그 자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접촉 피스의 오프셋을 흡수하고, 상기 오프셋은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로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기구를 연결하고,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기구가 동기화되어 작용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는 전기 연결 장치 및 연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인출 장치와 본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기 기기는 다중 위상을 갖고,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 및 가요성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상기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 중 각각의 본체 연결 조립체는 상기 전기 기기의 위상 중 하나에 대응한다. 각각의 본체 연결 조립체는 클램핑 기구를 갖는 접촉 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접점 피스를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와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를 연결한다.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 상기 가요성 조립체 및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에 적응하여 오프셋되어, 상기 접촉 피스가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그 자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접촉 피스의 오프셋을 흡수하고, 상기 오프셋은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로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의 클램핑 기구를 연결하고,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의 클램핑 기구가 동기화되어 작용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가 제공된다. 인출 구조를 갖는 상기 전기 기기는 본체 및 인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인출 장치는 분리 위치 및 삽입 위치를 갖는다. 상기 본체 및 상기 인출 장치는 전술한 전기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출 장치를 빠져나가고,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접촉 피스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삽입 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출 장치 내로 푸시되고,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에 삽입되고, 상기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는 삽입 및 클램핑 작동 간의 모순을 구조적으로 해결한다. 상기 클램핑 작동은 상기 본체 버스바가 상기 접촉 피스에 삽입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충분한 클램핑력이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클램핑력은 상기 본체 버스바의 조립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가요성 조립체를 구비하여, 그 자체의 변형을 통해 소정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를 따름으로써 소정의 편차를 생성하므로, 상기 접촉 피스가 상기 본체 버스바에 충분히 부착하여 접촉 면적 및 접촉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연동 기구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기구를 연결하여, 전형적으로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동 기구는 복수 세트의 전기 연결 장치가 각각의 본체 부스바를 동기화하여 클램핑할 수 있게 하여, 작동 모드를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 버스바가 상기 전기 연결 장치에 삽입될 때, 상기 본체 버스바와 상기 전기 연결 장치 사이에, 종래기술에서의 접촉 피스를 확장시키는 확장력 및 본체 버스바와 접촉 피스 간의 마찰력과 같은 상호작용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인출 장치의 구동 기구는 매우 작은 힘으로 전기 기기의 본체를 푸시할 수 있어, 상기 본체 버스바를 상기 전기 연결 장치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요건에 따라 상기 본체 버스바를 클램핑하는 큰 클램핑력으로 구성될 수 있어, 전체 전기 장치의 전체 접촉 저항이 감소되고, 특히 장시간 사용 시에, 전력 소모가 감소되어, 사용 비용이 절약된다. 정격 전류가 높을수록, 이러한 이점이 더욱 두드러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접촉 저항의 감소가 제품의 온도 상승 및 전기 장치의 열 발생을 감소시킨다. 큰 방열 공간을 고려할 필요가 더 이상 없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장시간 사용의 신뢰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더 큰 클램핑력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탄성 부재의 존재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들 사이의 클램핑 스트로크의 편차가 흡수됨으로써, 동기화 작용 후에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력의 차이가 매우 작아, 큰 클램핑력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특징 및 다른 특징, 특성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와 함께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항상 동일한 특징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전기 연결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평면 베어링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백킹 플레이트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변형 실시예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각종 변형 실시예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 본체 버스바에 적응하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 본체 연결 조립체를 구비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에 의해 와전류 손실을 제거하는 원리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구조도이다.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는 제1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로 구성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에 적응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분리 위치 및 삽입 위치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삽입 및 클램핑 작동을 분리하고,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본체 버스바를 가능한 한 많이 피팅할 수 있는 전기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 연결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와, 전기 연결 장치 또는 전기 연결 조립체를 이용하는 전기 기기를 제공한다.
전기 연결 장치가 앞서 기술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도 2a는 전기 연결 장치의 3차원 구조도이고, 도 2b는 전기 연결 장치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 본체 연결 조립체(204) 및 가요성 조립체(206)를 포함한다.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는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 연결 조립체(204)는 클램핑 기구를 갖는 접촉 피스를 구비한다. 클램핑 기구는 접촉 피스를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시킨다. 가요성 조립체(206)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와 본체 연결 조립체(204)를 연결한다. 본체 연결 조립체(204), 가요성 조립체(206) 및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한다. 본체 연결 조립체(204)의 접촉 피스는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를 적응하도록 오프셋되어, 접촉 피스가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여 클램핑한다. 가요성 조립체(206)는 그 자체의 변형에 의해 접폭 피스의 오프셋을 흡수한 다음, 그 오프셋은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에 전달되지 않는다. 본체 버스바의 설치 프로세스 동안, 위치, 각도 또는 형상에 대한 약간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는 가요성 조립체(206)를 통해 본체 버스바의 이러한 편차를 흡수한다.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는 본체 버스바의 실제 상태를 따르고,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여 클램핑할 수 있다. 본체 버스바가 위치 또는 각도 편차를 갖는 경우, 본체 연결 조립체(204)의 접촉 피스는 대응하는 위치 또는 각도 편차를 발생시킬 것이다. 이로써, 본체 버스바의 위치 또는 각도 편차는 접촉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고,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는 본체 버스바에 접촉 영역 및 접촉 안정성을 보장할 것이다. 가요성 조립체(206)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형하는 능력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조립체(206)는 다층 구리 호일, 다층 구리 테이프 또는 구리 편조된 와이어로 형성된다. 본체 연결 조립체(204)의 접촉 피스가 본체 버스바의 위치 또는 각도 편차에 따라 오프셋되면, 가요성 조립체(206)는 그 자체의 변형에 의해 접촉 피스의 오프셋을 흡수하여, 그 오프셋은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로 전달되지 않는다.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는 인출 장치 상에 고정되고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연결된다.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는 위치 및 설치 각도가 변경될 수 없는 강성 구조이다. 가요성 조립체(206)의 변형을 이용함으로써, 본체 연결 조립체(204)의 접촉 피스의 위치 또는 각도 편차가 흡수되어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에 전달되지 않을 것이다.
계속해서 도 2a 및 도 2b에서, 본체 연결 조립체(204)는 접촉 피스(241), 클램핑 기구 및 리셋 기구를 포함한다. 2개의 접촉 피스(241)가 있으며, 2개의 접촉 피스(2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에서 본체 버스바(208)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접촉 피스는 가요성 조립체와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요성 조립체(206)는 또한 2개의 피스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접촉 피스(241)는 가요성 조립체(206)의 한 피스와 각각 연결된다. 클램핑 기구는 2개의 접점 피스(241)의 외측으로부터 클램핑력을 가하여 2개의 접점 피스가 내측방향으로 수축하여 본체 버스바(208)를 견고하게 접촉하고 클램핑한다. 리셋 기구는 2개의 접점 피스(241)의 내측으로부터 리셋력을 가하여, 2개의 접촉 피스(241)가 리셋하도록 외측방향으로 확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클램핑 기구는 패스너, 베어링 부재, 탄성 부재 및 힘 인가 부재를 포함한다. 패스너는 2개의 접촉 피스(241)에 설치되고, 2개의 접촉 피스는 패스너가 조여지면 내측방향으로 수축한다. 탄성 부재와 힘 인가 부재는 2개의 접촉 피스(241)에 클램핑력을 가한다. 베어링 부재는 패스너와 탄성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베어링 부재는 패스너의 작용에 의한 회전을 흡수하여, 탄성 부재와 힘 인가 부재에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패스너는 볼트(242) 및 너트(243)이고, 베어링 부재는 평면 베어링(244)이고, 탄성 부재는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245)이고, 힘 인가 부재는 압력 플레이트(246)이다. 접촉 피스(241)에는 볼트(242)가 통과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제공된다. 볼트(242)는 제1 접촉 피스의 외측(위)로부터 제1 접촉 피스(상부 접촉 피스)와 제2 접촉 피스(하부 접촉 피스)를 통과하며, 너트(243)는 제2 접촉 피스의 외측(아래)으로부터 볼트의 제2 단부에 설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 볼트(242)는 단일 헤드 볼트이다. 볼트(242)의 헤드는 크고, 헤드는 제1 접촉 부재의 외측에 위치한다. 볼트(242)의 샤프트는 제1 접촉 피스과 제2 접촉 피스를 통과하고, 너트(243)는 볼트(242)의 샤프트에 조여진다. 평면 베어링(244),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245) 및 압력 플레이트(246)는 볼트(242)의 제1 단부(헤드)와 제1 접촉 피스(상부 접촉 피스) 사이에 장착된다.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245)는 복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구비한다.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245) 내의 디스크 스프링의 수는 요구되는 클램핑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큰 클램핑력이 필요한 경우 디스크 스프링의 수를 늘릴 수 있고, 작은 클램핑력만이 필요한 경우 더 적은 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실제 사용 시에는, 단일 전기 연결 장치가 1500N 이상의 클램핑력을 생성하도록 적절한 수의 디스크 스프링이 구성되며, 그 유효 클램핑력은 종래의 전기 연결 장치에서 생성된 800N 클램핑력보다 훨씬 크다. 디스크 스프링에 의해 생성 된 클램핑력을 접촉 피스(241)에 고르게 분배하기 위해, 압력 플레이트(246)가 사용된다. 압력 플레이트(246)는 본체 버스바를 클램핑하기 위해 클램핑력을 접촉 피스에 균일하게 분포시킨다. 고르게 분포된 클램핑력은 접촉 피스와 본체 버스바 사이의 접촉 영역이 더 커지고 접촉이 더 안정적이다. 클램핑 작동 중에 볼트(242)와 너트(243)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수축되고, 2개의 접촉 피스(241)가 내측방향으로 수축하고,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245) 및 압력 플레이트(246)가 접촉 피스(241)에 클램핑력을 가하여 본체 버스바를 클램핑한다. 한편으로, 평면 베어링(244)은 볼트와 너트의 상대적인 회전을 흡수하여, 전술한 회전이 디스크 스프링과 압력 플레이트에 전달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평면 베어링(244)은 볼트(242)와 너트(243)의 상대 회전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자체의 회전에 의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평면 베어링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평면 베어링의 분해 구조도를 나타내고, 도 3b는 평면 베어링의 조립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평면 베어링은 롤러 평면 베어링으로 구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볼 평면 베어링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로 돌아가서, 리셋 기구는 리셋 스프링(247)이고, 리셋 스프링(247)은 볼트(242)에 장착된다. 리셋 스프링(247)은 2개의 접촉 피스(241)들 사이에 위치한다. 클램핑 작동 동안, 볼트와 너트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수축하고, 리셋 스프링(247)은 압축된다. 리셋 작동 동안, 볼트와 너트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확장하고, 리셋 스프링(247)이 복원되고, 리셋 스프링(247)이 2개의 접촉 피스(241)의 내측에 스프링력을 가하여 2개의 접촉 피스(241)를 외측방향으로 확장하여 복원한다. 리셋 스프링(247)의 작용 하에서, 볼트와 너트가 풀린 후, 2개의 접촉 피스(241)이 더 먼 거리를 두고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본체 버스바가 쉽게 꺼내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202)는 연결 피스(221) 및 방열 기구를 구비한다. 연결 피스(221)는 인출 장치에 고정되며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연결 피스(221)가 있고, 2개의 연결 피스(221)가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2개의 연결 피스(221)가 각각 가요성 조립체(206)의 한 피스에 연결된다. 즉, 각각의 접촉 피스(241)는 가요성 조립체(206)의 한 피스를 통해 한 피스의 연결 피스(221)에 연결되고, 2개 세트의 접촉 피스, 연결 피스 및 가요성 조립 피스, 상부 세트 및 하부 세트가 있다. 방열 기구는 연결 피스에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열 구조체는 백킹 플레이트(222) 및 고정 브래킷(223)을 구비한다. 백킹 플레이트(222)에는 중공형 지지 구조가 제공되고, 백킹 플레이트(222)는 2개의 연결 피스(221)들 사이에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백킹 플레이트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백킹 플레이트(222)의 중공형 지지 구조는 방열을 용이하게 한다. 2개의 고정 브라켓(223)은 2개의 연결 피스(221)의 외측으로부터 백킹 플레이트(222)를 고정하고, 2개의 연결 피스(221)들 사이에 백킹 플레이트(222)를 간격을 형성하여 고정하여, 입구 또는 출구 단부에 버스바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를 이용한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는 범용 회로 차단기, 몰드 케이스 회로 차단기, 인출 장치를 갖는 자동 전환 스위치, 중간 전압 회로 차단기, 스위치 캐비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는 본체 및 인출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구의 인출 장치와 본체 사이에 연결된다.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 연결 조립체의 클램핑 기구는 접촉 피스를 본체 버스바(208)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의 전기적 연결 장치에서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및 가요성 조립체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본체 연결 조립체 내의 접촉 피스 및 리셋 기구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2가지 실시예의 차이점은 클램핑 기구가 다르다는 것이다. 간결함을 위해, 이러한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에서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가요성 조립체,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 및 리셋 기구는 다시 설명하지 않을 것이며, 이러한 조립체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기구는 또한 2개의 접점 피스의 외측으로부터 클램핑력을 가하는 기능을 하여, 2개의 접점 피스가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도록 내측방향으로 수축한다. 클램핑 기구는 패스너, 베어링 부재, 탄성 부재 및 힘 인가 부재를 구비한다. 패스너는 2개의 접촉 피스에 설치되고. 2개의 접촉 피스는 패스너를 조일 때 내측방향으로 수축한다. 탄성 부재 및 힘 인가 부재는 2개의 접촉 피스에 클램핑력을 가한다. 베어링 부재는 파스너와 탄성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베어링 부재는 파스너가 작용할 때 파스너의 회전을 흡수하여, 회전이 탄성 부재와 힘 인가 부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패스너는 스터드 볼트(342)이고, 베어링 부재는 평탄한 베어링(344)이고, 탄성 부재는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345)이고, 힘 인가 부재는 압력 플레이트(346)이다. 도 6b는 스터드 볼트(342)의 구조를 나타낸다. 스터드 볼트(342)의 중간 부분은 연결부(301)이고, 2개의 나사산 영역(302)이 연결부의 양측에 위치된다. 2개의 나사산 영역(302)의 나사산은 서로 대향한다. 하나가 정방향 나사산으로 정의되면, 다른 하나는 역방향 나사산이다. 나사산 영역(302)의 외측에는, 스터드 볼트(342)의 각 단부에 수용부(303)가 제공된다. 도 6a로 돌아가서, 스터드 볼트(342)가 통과하도록 접촉 피스에 나사 구멍이 제공된다. 스터드 볼트(342)는 제1 접촉 피스(상부 접촉 피스) 및 제2 접촉 피스(하부 접촉 피스)를 제1 접촉 부재의 외측(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제2 실시예의 압력 플레이트(346)에는 나사 구멍이 제공된다. 스터드 볼트(342)의 2개의 나사산 영역을 각각 끼워맞추기 위해 2개의 압력 플레이트(346)가 사용된다. 상부 압력 플레이트(346)는 상부 나사산 영역에 장착되며, 상부 나사산 영역은 전방 나사산으로 정의된다. 하부 압력 플레이트(346)는 하부 나사산 영역에 장착되며, 하부 나사산 영역은 역 나사산으로 정의된다. 스터드 볼트(342)의 상부 나사산 영역은 제1 접촉 부재의 외측 (제1 접촉 피스의 위)에 위치되는 한편, 스터드 볼트(342)의 하부 나사 영역은 제2 접촉 피스(제2 접촉 피스의 아래)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압력 플레이트(346)는 각각 제1 접촉 피스의 위와 제2 접촉 피스의 아래에 위치되고, 외측으로부터 2개의 접촉 피스에 근접하게 부착된다. 스터드 볼트(342)에는, 상부 압력 플레이트(346)와 제1 접촉 피스(상부 접촉 피스) 사이에 평면 베어링(344)과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345)가 설치된다.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345)는 복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구비한다.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345) 내의 디스크 스프링의 수는 요구되는 클램핑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압력 플레이트(346)는 접촉 피스에 클램핑력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스터드 볼트(342)와 연동하여 조이거나 풀리는 제1 실시예에서 너트의 역할을 대체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리셋 기구는 여전히 리셋 스프링(347)이고, 리셋 스프링(347)은 스터드 볼트(342)에 장착된다. 리셋 스프링(347)은 2개의 접촉 피스들 사이에 위치한다. 클램핑 동작 동안, 스터드 볼트(342)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된다. 스터드 볼트의 정방향 및 역방향 나사산 영역의 조합된 작용 하에서, 상부 및 하부 압력 플레이트(346)는 동시에 수축하여 접촉 피스에 작용함으로써, 접촉 피스가 본체 버스바를 클램핑한다. 나사를 푸는 동안, 상부 및 하부 압력 플레이트는 마찬가지로 동시에 버스바를 해제한다. 스터드 볼트와 2개의 압력 플레이트가 동시에 작동하여 조이거나 풀리기 때문에, 2배의 속도와 같은 작동 속도가 빨라진다. 인출 장치의 작동 시간과 작동 공간을 절약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제3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는 제1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의 단순화로 간주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접촉 피스(241), 가요성 조립체 및 연결 피스(221)는 모두 원피스로 제공된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측의 접촉 피스(241), 가요성 조립체 및 연결 피스(221)는 유지되는 반면, 하측의 접촉 피스, 가요성 조립체 및 연결 피스는 제거되고,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246)만이 유지된다. 클램핑 기구의 작용 하에서, 상부 접촉 피스와 하부 압력 플레이트가 본체 버스바를 함께 고정하고, 상부 접촉 피스가 본체 버스바에 근접한다.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7a의 실시예와 달리, 하측의 접촉 피스(241), 가요성 조립체 및 연결 피스(221)는 유지되는 반면, 상측의 접촉 피스, 가요성 조립체 및 연결 피스는 제거되고,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246)만이 유지된다. 2개의 접촉 피스 대신에 단일 접촉 피스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3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 내의 다른 조립체는 제1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의 것과 유사하다.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에는 범용 회로 차단기, 몰드 케이스 회로 차단기, 인출 장치를 갖는 자동 전환 스위치, 중간 전압 회로 차단기, 스위치 캐비닛 등을 구비하는 많은 유형의 전기 기기가 상술되어 있다. 다른 전기 장치의 본체 버스바는 구조가 다를 수 있다. 상이한 구조의 본체 버스바에 적응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을 제안한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에서, 상이한 구조를 갖는 본체 버스바에 적응하기 위해 상이한 구조를 갖는 본체 연결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변형된 실시예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간결함을 위해, 변형된 실시예의 설명 및 예시는 주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본체 버스바 및 이들과 일치하는 본체 연결 조립체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가요성 조립체 및 본체 연결 조립체의 동일한 구조와 같은 다른 범용 구조에 대해서는, 명세서에서 중복된 설명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내용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범용 구조는 도면에서도 단순화된다. 예시된 구조는 이전 2가지의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상이 할 수 있지만, 이는 단지 표현의 단순화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대응하는 구성요소의 구조는 또한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에서, 본체 버스바(408)는 더 넓은 크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접촉 피스(441)도 더 넓은 크기를 갖는다. 접촉 피스(441)와 본체 버스바(408)가 넓을 때, 볼트와 너트의 단일 세트만이 전체 접촉 피스와 본체 버스바에 클램핑력이 효과적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서, 2세트의 볼트(442) 및 너트(443)가 접촉 피스(441)에 사용된다. 2세트의 볼트(442)및 너트(443)는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의 세트의 볼트 및 너트, 및 대응하는 베어링 부재, 탄성 부재 및 힘 인가 부재의 구조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2개의 볼트(442)가 통과할 수 있도록 2개의 나사 구멍이 접촉 피스(441)에 나란히 배치되고, 2개의 너트(443)는 각각 2개의 볼트(442)에 나사로 조여진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리셋 스프링은 도 8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서 볼트에 여전히 장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 버스바(408)에는 2개의 U-자형 그루브(481)가 있다. U-자형 그루브(481)의 위치는 볼트(442)의 위치에 대응한다. U-자형 그루브는 본체 버스바가 접촉 피스에 삽입될 때 안내 및 위치설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U-자형 그루브가 본체 버스바에 제공되는지 여부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U-자형 그루브는 본체 버스바의 범용 구조임을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서, 2세트의 볼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2개의 절연 전달 부재가 그에 따라 구성되고, 각각의 절연 전달 부재는 한 세트의 볼트에 대응한다.
도 9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에서, 볼트는 더 이상 접촉 피스(541)를 통과하지 않고, 측면으로부터 접촉 피스(541)를 가로 지르며, 압력 플레이트(546)가 접촉 피스(541)에 클램핑력을 가하는데 사용된다. 도 9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의 클램핑 기구는 패스너, 베어링 부재, 탄성 부재 및 힘 인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패스너는 볼트와 너트이고, 베어링 부재는 평면 베어링이고, 탄성 부재는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이고, 힘 인가 부재는 압력 플레이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2개의 압력 플레이트(546)는 2개의 접촉 피스(541)의 외측에 각각 부착되고, 각각의 접촉 피스(541)에 고정된다. 압력 플레이트(546)는 볼트가 통과하기 위한 나사 구멍을 갖는다. 볼트(542)는 제1 압력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순차적으로 제1 압력 플레이트와 제2 압력 플레이트를 통과하고, 너트는 제2 압력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볼트의 제2 단부에 장착된다. 도 9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서, 볼트는 압력 플레이트만을 통과하지만, 접촉 피스 자체를 통과하지 않으며, 볼트(542)는 접촉 피스의 측면에서 접촉 피스(541)를 가로지른다. 볼트의 제1 단부와 제1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는 평면 베어링 및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가 배치되고,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는 복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구비한다. 볼트와 너트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수축하고, 2개의 압력 플레이트는 내측방향으로 수축하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는 압력 플레이트를 통해 접촉 피스에 클램핑력을 가한다. 평면 베어링은 볼트와 너트의 상대 회전을 흡수하므로 디스크 스프링과 압력 플레이트이 회전하지 않는다. 리셋 스프링은 도 9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의 볼트에 장착될 수도 있다. 리셋 스프링은 2개의 압력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한다. 볼트와 너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확장되면, 리셋 스프링이 복원되고, 리셋 스프링이 2개의 압력 플레이트의 내측에 스프링력을 가한다. 그 다음, 2개의 접촉 플레이트가 2개의 압력 플레이트를 통해 펼쳐진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트가 접촉 피스의 외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U-자형 그루브가 더 이상 본체 버스바(508)에 제공되지 않는다. 볼트가 접촉 피스를 통과하지 않을 때, 본체 버스바(508)는 (볼트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접촉 피스들 사이의 더 깊은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본체 버스바가 접촉 피스에 더 먼 거리로 삽입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본체 버스바의 길이가 더 길 경우, 도 9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9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서, 2개의 볼트 세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2개의 절연 전달 부재가 그에 따라 구성되고, 각각의 절연 전달 부재는 한 세트의 볼트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의 작동 환경에는 교류(AC) 자기장이 존재한다. 강한 자기 전도성을 가진 재료가 AC 자기장에 위치하면 내부에 와전류가 유도된다. 특히 폐쇄형 자기 루프를 형성하는 경우, 강한 자기 전도성을 가진 재료의 내부 와전류 손실이 매우 커서, 발열이 매우 심해 전기 장비의 안전 위험이 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에 의해 와전류 손실을 제거하는 원리도를 도시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같이, 교류 자기장 루프(B)(즉, AC 자기장)가 통과하는 AC 전류(I) 주위에 생성된다.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와 본체 연결 조립체가 모두 강한 자기 전도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되면, 교류 자기장의 작용 하에서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와 본체 연결 조립체에 형성되는 외류-형상의 유도 전류(i)가 형성된다. 유도 전류(i)는 큰 와전류 손실을 생성하여, 심각한 가열을 초래한다. 따라서, 큰 전류가 통과하는 경우, 생성될 자기 루프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 비자성 재료를 사용하여, 폐쇄 자기 루프의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전원 주파수 AC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 전류(i)를 회피하거나 크게 줄이고, 와전류 손실 및 발열을 줄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및 본체 연결 조립체는 폐쇄형 자기 루프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비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비자성 재료를 사용하여 백킹 플레이트, 고정 브래킷, 압력 플레이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 회로 차단기 또는 스위치 조립체가 일반적으로 입구 및 출구 와이어를 위한 2개의 단부를 가지는 것을 고려하면, 전기 연결 장치는 쌍으로 사용된다. 동일한 회로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적용된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경우, 본체 버스바를 클램핑하거나 느슨하게 하는 동기화에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200) 및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를 연결하는 연동 기구(210)를 구비한다. 2개의 전기 연결 장치(200)는 전기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유형의 적용에서, 연동 기구(210)는 단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들 사이에 전도성 경로가 형성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연동 기구(210)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가 동기화되어 작동하도록 기계적으로 보장해야 한다. 도 11에 도시된 연결된 전기 연결 조립체의 실시예에서, 전기 연결 장치(2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이다. 전기 연결 장치의 특정 구조는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에 대해, 연동 기구(210)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본체 연결 조립체의 클램핑 기구에 연결된다. 연동 기구(210)는 절연되고 2개의 전기 연결 장치(20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연동 기구(210)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기구를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2개의 클램핑 기구가 동시화하여 작동하도록 한다. 연동 기구(210)의 구조는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기구의 구조와 호환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전기 연결 장치의 경우, 연동 기구(210)는 절연 전달 부재이고, 절연 전달 부재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패스너를 연결하여,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패스너가 동기화하여 작용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전기 연결 장치의 경우, 패스너는 단일 헤드 볼트(242)와 너트(243)이고, 절연 전달 부재(210)는 주로 2개의 단일 헤드 볼트(242)로 연결된다. 절연 전달 부재(210)의 2개의 단부는 계면부를 가지며, 그 계면부의 양단부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볼트(242)에 각각 연결되어,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볼트(242)가 동기화되어 회전함으로써, 본체 버스바를 동시에 클램핑하거나 느슨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볼트(242)가 단일 헤드 볼트이기 때문에, 볼트의 양단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조립하는 동안, 도 11의 상부 전기 연결 장치의 볼트(242)의 헤드는 위로 향하는 한편, 도 11의 하부 전기 연결 장치의 볼트(242)의 헤드는 아래로 향하여, 절연 전달 부재(210)의 양단부가 볼트의 나사 부분과 연결된다. 절연 전달 부재(210)의 양단부에는 나사의 형상에 맞는 계면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볼트의 나사 부분이 계면부에 삽입되어 연동을 구현한다. 나사와 계면부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다. 다각형은 나사가 계면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달 과정에서 토크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로서 기능하는 디스크 스프링은 클램핑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스트로크의 편차를 흡수한다. 클램핑 작동이 하나의 전기 연결 장치에 의해 수행 될 때, 다른 전기 연결 장치가 연동 기구(210)를 통해 동시에 작동된다. 디스크 스프링(탄성 부재)이 압축 스트로크를 가지기 때문에,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스트로크의 편차가 탄성 부재에 의해 흡수된다. 복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더 큰 압축 스트로크와 클램핑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력은 1500N 내지 2000N에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더 많은 디스크 스프링을 추가하여 더 큰 클램핑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상태도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에는 범용 회로 차단기, 몰드 케이스 회로 차단기, 입출 장치를 갖는 자동 전환 스위치, 중간 전압 회로 차단기, 스위치 캐비닛 등이 포함된다. 인출 구조를 갖는 장치에는 본체와 인출 장치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 차단기 또는 스위치 조립체에는 일반적으로 입구 및 출구 와이어를 위한 2개의 단부가 있으므로, 전기 연결 장치는 쌍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200) 및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를 연결하는 연동 기구(210)를 구비한다. 2개의 전기 연결 장치(200)는 동일한 회로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인출 장치와 본체 사이에 연결된다.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 연결 조립체의 클램핑 기구는 접촉 피스를 본체 버스바(208)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연동 기구(210)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200)를 연결하고, 연동 기구(210)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200)가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의 본체 버스바를 동기화하여 클램핑하거나 느슨하게 한다. 또한, 연동 기구(210)가 절연되어, 전도로 인한 전기 연결 장치들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는 또한 다른 실시예에 개시된 전기 연결 장치,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전기적 연결 장치에 대해, 도 11에 도시된 절연 전달 부재(210)는 여전히 연동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에서 단일 헤드 볼트의 헤드는 외측에 위치되고, 나사 부분은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연동 기구(210)에 연결된다. 그러나,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전기 연결 장치에서 스터드 볼트의 양단부는 나사 구조이다. 제2 실시예에서 연동 기구에 연결된 구성요소는 또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나사 구조이다. 유사하게,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절연 전달 부재(210)의 양단부는 볼트의 나사 부분과 연결된다. 절연 전달 부재(210)의 양단부에는 나사의 형상에 맞는 계면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볼트의 나사 부분이 계면부에 삽입되어 연동을 구현한다. 나사와 계면부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이다. 다각형은 나사가 계면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달 과정에서 토크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회로 차단기 및 스위치 캐비닛과 같은 전기 기기는 실제 적용에서 다상 형태로 구성될 것이며, 다상 배선은 전기 기기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설정될 필요가 있다. 다상 구성의 경우, 본 발명은 또한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를 제안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는 전기 연결 장치와 연동 기구를 구비한다.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인출 장치와 본체 사이에 연결된다. 전기 기기는 다중 위상을 가지며,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602),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604) 및 가요성 조립체(606)를 구비한다.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602)는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본체 연결 조립체(604)는 전기 기기의 위상 중 하나에 대응한다. 각각의 본체 연결 조립체(604)는 클램핑 기구를 갖는 접촉 피스를 구비한다. 클램핑 기구는 접촉 피스를 해당 위상의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가요성 조립체(606)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602)와 본체 연결 조립체(604)를 연결하고, 본체 연결 조립체(604), 가요성 조립체(606) 및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602)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몇 개의 본체 연결 조립체(604)와 연동하기 위해, 복수의 가요성 조립체(606)가 상응하게 구성되고, 각각의 가요성 조립체(606)는 하나의 본체 연결 조립체(604)에 대응한다. 각각의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는 해당하는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에 적응하여 오프셋됨으로써, 접촉 피스가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여 클램핑한다. 가요성 조립체(606)는 그 자체의 변형으로 접촉 피스의 편차를 흡수하므로, 그 오프셋이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602)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본체 연결 조립체는 접촉 피스, 클램핑 기구 및 리셋 기구를 구비한다. 클램핑 기구는 단일 헤드 볼트 및 너트이다. 본체 연결 조립체의 구조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연동 기구(610)은 몇 개의 본체 연결 조립체의 클램핑 기구를 연결하고, 연동 기구는 몇 개의 본체 연결 조립체의 클램핑 기구가 동기화되어 작동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본체 연결 조립체가 동일한 단자의 다상 단부 중 하나이기 때문에, 서로 간의 절연에 대한 요구조건이 없고, 연동 기구(610)는 절연이 필요하지 않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동 기구(610)는 하기의 발식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는데, 긴 나사를 갖는 단일 헤드 볼트를 사용하고, 2개의 본체 연결 조립체를 통과하여 연결하는 나사를 사용하고, 나사에 의한 연동을 구현한다. 또는, 2개의 단일 헤드 볼트들 사이에 전달 부재를 추가하는 경우, 전달 부재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의 절연 전달 부재와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 부재는 절연 요건이 없으며 전도성 또는 절연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전달 부재의 주요 기능이 기계적 연동이므로, 나사 부분이 전기 전도로 인해 우연히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된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3의 실시예의 조합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700) 및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를 연결하는 연동 기구(710)를 구비한다. 2개의 전기 연결 장치(700)는 전기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각각의 전기 연결 장치(700) 자체는 다상 전기 연결 장치이고, 다상 구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704)가 제공된다. 각각의 전기 연결 장치의 내부에는, 몇 개의 본체 연결 조립체(704)들 사이에 연동 기구(708)가 제공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동 기구(710)는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 사이의 연동 기구이며, 이는 절연을 요구하고,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절연 전달 부재(210)에 의해 구현될 필요가 있다. 연동 기구(708)은 동일한 단자의 다중 위상 사이의 연결 기구이며, 절연 요건이 없다. 이는 절연되거나 절연되지 않을 수 있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연동 기구(6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는 도 11에 도시된 연결된 전기 연결 조립체의 단순화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연 전달 부재(21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는 모두 접촉 피스(241), 가요성 조립체(206) 및 연결 피스(221)의 원피스만으로 제공된다. 도 15a에 도시된 예에서, 양자의 전기 연결 장치는 상측에서 접촉 피스(241), 가요성 조립체(206) 및 연결 피스(221)를 유지하는 한편, 하측에서 접촉 피스, 가요성 조립체 및 연결 피스가 제거되고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246)만이 유지된다. 클램핑 기구의 작용 하에서, 상부 접촉 피스와 하부 압력 플레이트가 본체 버스바를 함께 고정하고, 상부 접촉 피스가 본체 버스바에 근접한다. 도 15a의 것과 반대인 도 15b에 도시된 예에서, 양자의 전기 연결 장치는 하측에 접촉 피스(241), 가요성 조립체(206) 및 연결 피스(221)를 하부에 유지하는 한편, 상측에 접촉 피스, 가요성 조립체 및 연결 피스가 제거되고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246)만이 유지된다. 2개의 접촉 피스 대신에 단일 접촉 피스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이러한 실시예의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다른 구성요소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의 중요한 기능은 삽입과 클램핑 작업 사이의 모순을 해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동형 전기 접속 조립체에 적용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본체 및 인출 장치는 2가지의 연결 상태, 즉 분리 상태와 삽입 상태를 갖는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에 적용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분리 위치 및 삽입 위치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본체(601) 및 인출 장치(602)는 분리 위치와 삽입 위치를 갖는다. 도 16a를 참조하면, 분리 위치에서, 본체(601)는 인출 장치(602)를 빠져나가고, 본체 버스바(608)는 본체 연결 조립체(604)로부터 분리되며, 본체 버스바는 접촉 피스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 16b를 참조하면, 삽입 위치에서, 본체(601)가 인출 장치(602)로 푸시되고, 본체 버스바(608)가 본체 연결 조립체(604)에 삽입된 다음, 클램핑 기구가 접촉 피스를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한다.
본 발명의 전기 연결 장치는 삽입 및 클램핑 작동 사이의 모순을 구조적으로 해결한다. 클램핑 작동은 본체 버스바가 접점 피스에 삽입된 후 수행될 수 있으며, 충분한 클램핑력이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클램핑력은 본체 버스바의 조립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전기 연결 장치에는 그 자체 변형을 통해 소정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는 가요성 조립체가 제공되어, 접촉 피스가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를 따라 소정의 편차 자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본체 버스바에 완전히 부착하고 충분한 접촉 영역과 접촉 안정성을 보장한다. 연동 기구는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기구를 연결한다.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는 일반적으로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 각각에 연결된다. 연동 기구는 다수 세트의 전기 연결 장치가 각각의 본체 버스바를 동기화하여 클램핑하여 작동 모드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버스바가 전기적 연결 장치에 삽입될 때, 접촉 피스의 확장력 및 본체와 접촉 피스 간의 마찰력과 같은 본체 버스바와 전기적 연결 장치 사이의 상호 힘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인출 장치의 구동 장치는 매우 작은 힘으로 전기 기기의 본체를 푸시하여, 본체 버스바를 전기 연결 장치에 삽입할 수 있다.
전기 연결 장치는 요구조건에 따라 본체 버스바를 클램핑하기 위해 큰 클램핑력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전기 기기의 전체 접촉 저항이 크게 감소된다. 특히 장시간 사용시 전력 소비가 크게 줄어들고,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정격 전류가 높을수록, 이러한 이점이 더 커진다. 반면, 접촉 저항의 감소는 제품의 온도 상승과 전기 장치의 발열을 감소시킨다. 큰 방열 공간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이고 장기 사용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더 큰 클램핑력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탄성 부재의 존재는 또한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들 사이의 클램핑 스트로크의 편차를 흡수하므로, 동기 작용 후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력의 차이는 매우 작고, 양자는 큰 클램핑력을 유지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이 가해지는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을 구현 또는 사용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청구범위에 언급 된 혁신적인 특징의 최대 범위에 부합해야 한다.

Claims (24)

  1.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인출 장치(draw-out device)와 본체 사이에 연결된 전기 연결 장치(electrical connection device)에 있어서,
    상기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클램핑 기구를 갖는 접촉 피스를 구비하는 본체 연결 조립체로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접촉 피스를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 및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와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를 연결하는 가요성 조립체로서,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 상기 가요성 조립체 및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가요성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에 적응하여 오프셋되어, 상기 접촉 피스가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그 자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접촉 피스의 오프셋을 흡수하고, 상기 오프셋은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로 전달되지 않는,
    전기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는,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요성 조립체에 연결되는 접촉 피스;
    상기 접촉 피스의 외측으로부터 클램핑력을 가하여, 상기 접촉 피스가 내측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본체 버스바에 밀착되어 클램핑하는 클램핑 기구; 및
    상기 접촉 피스의 내측으로부터 리셋력을 가하여, 상기 접촉 피스가 리셋하도록 외측방향으로 확장하는 리셋 기구
    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패스너, 베어링 부재, 탄성 부재 및 힘 인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접촉 피스에 설치되고, 상기 패스너가 조여지면 상기 접촉 피스가 내측방향으로 수축되고,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힘 인가 부재는 상기 접촉 피스에 클램핑력을 가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패스너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패스너의 작용에 의한 회전을 흡수하여,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힘 인가 부재에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
    전기 연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접촉 피스가 있고,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양측에서 클램핑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2개의 접촉 피스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는 상기 패스너가 조여지면 내측방향으로 수축하고, 상기 리셋 기구는 상기 2개의 접점 피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리셋 기구는 2개의 접점 피스를 리셋하도록 외측방향으로 확장하는,
    전기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평면 베어링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이고, 상기 힘 인가 부재는 압력 플레이트이고,
    상기 볼트가 통과하도록 상기 접촉 피스에 나사 구멍이 제공되고, 제1 접촉 피스의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볼트가 상기 제1 접촉 피스 및 제2 접촉 피스를 통과하며, 상기 제2 접촉 피스의 외측에서 상기 볼트의 제2 단부에 너트가 장착되고,
    상기 평면 베어링,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 및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상기 볼트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접촉 피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는 복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수축할 때,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는 내측방향으로 수축하고,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상기 접촉 피스에 클램핑력을 가하고,
    상기 평면 베어링은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상대 회전을 흡수하여, 상기 디스크 스프링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회전하지 않는,
    전기 연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평면 베어링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이고, 상기 힘 인가 부재는 압력 플레이트이고,
    2개의 압력 플레이트가 상기 2개의 접촉 피스의 외측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로 각각 고정되고, 나사 구멍이 압력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상기 볼트가 통과하고, 제1 압력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볼트가 제1 압력 플레이트 및 제2 압력 플레이트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볼트의 제2 단부에 너트가 장착되고,
    상기 평면 베어링 및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는 상기 볼트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접촉 피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는 복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수축할 때, 2개의 압력 피스가 내측방향으로 수축하고,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접촉 피스에 클램핑력을 가하고,
    상기 평면 베어링은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상대 회전을 흡수하여, 상기 디스크 스프링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회전하지 않는,
    전기 연결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기구는 리셋 스프링이고, 상기 리셋 스프링은 상기 볼트에 장착되고, 상기 리셋 스프링은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들 또는 상기 2개의 압력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수축할 때, 상기 리셋 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확장될 때, 상기 리셋 스프링이 복원되고, 상기 리셋 스프링은 상기 2개의 접촉 피스 또는 상기 2개의 압력 플레이트의 내측에 스프링력을 가하여, 상기 2개의 접촉 피스가 외측방향으로 확장하게 하는,
    전기 연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다층 구리 호일, 다층 구리 테이프 또는 구리 편조 와이어로 형성되는,
    전기 연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상기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피스, 및
    상기 연결 피스에 설치되는 방열 기구
    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2개의 연결 피스가 있고, 상기 2개의 연결 피스가 개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방열 기구는,
    중공형 지지 구조를 갖고, 2개의 연결 피스들 사이에 배치되는 백킹 플레이트, 및
    상기 2개의 연결 피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백킹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을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및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는 폐쇄된 자기 루프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비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장치.
  12.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로서, 본체 및 인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인출 장치는 분리 위치 및 삽입 위치를 가지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인출 장치는 제1항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전기 기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출 장치를 빠져나가고,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접촉 피스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삽입 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출 장치 내로 푸시되고,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에 삽입되고, 상기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는,
    전기 기기.
  13.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와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를 연결하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인출 장치와 본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전기 기기의 입구 단부와 출구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상기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클램핑 기구를 갖는 접촉 피스를 구비하는 본체 연결 조립체로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접촉 피스를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 및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와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를 연결하는 가요성 조립체로서,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 상기 가요성 조립체 및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가요성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에 적응하여 오프셋되어, 상기 접촉 피스가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그 자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접촉 피스의 오프셋을 흡수하고, 상기 오프셋은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기구를 연결하고,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클램핑 기구가 동기화되어 작용하게 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는,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요성 조립체에 연결되는 접촉 피스;
    상기 접촉 피스의 외측으로부터 클램핑력을 가하여, 상기 접촉 피스가 내측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본체 버스바에 밀착되어 클램핑하는 클램핑 기구; 및
    상기 접촉 피스의 내측으로부터 리셋력을 가하여, 상기 접촉 피스가 리셋하도록 외측방향으로 확장하는 리셋 기구
    를 포함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패스너, 베어링 부재, 탄성 부재 및 힘 인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접촉 피스에 설치되고, 상기 패스너가 조여지면 상기 접촉 피스가 내측방향으로 수축되고,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힘 인가 부재는 상기 접촉 피스에 클램핑력을 가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패스너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패스너의 작용에 의한 회전을 흡수하여,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힘 인가 부재에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2개의 접촉 피스가 있고,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양측에서 클램핑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2개의 접촉 피스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는 상기 패스너가 조여지면 내측방향으로 수축하고, 상기 리셋 기구는 상기 2개의 접점 피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리셋 기구는 2개의 접점 피스를 리셋하도록 외측방향으로 확장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절연 전달 부재이고, 상기 절연 전달 부재는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패스너를 연결하여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패스너가 동기화되어 작용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평면 베어링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이고, 상기 힘 인가 부재는 압력 플레이트이고,
    상기 볼트가 통과하도록 상기 접촉 피스에 나사 구멍이 제공되고, 제1 접촉 피스의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볼트가 상기 제1 접촉 피스 및 제2 접촉 피스를 통과하며, 상기 제2 접촉 피스의 외측에서 상기 볼트의 제2 단부에 너트가 장착되고,
    상기 평면 베어링,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 및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상기 볼트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접촉 피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는 복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수축할 때,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는 내측방향으로 수축하고,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상기 접촉 피스에 클램핑력을 가하고,
    상기 평면 베어링은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상대 회전을 흡수하여, 상기 디스크 스프링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회전하지 않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절연 전달 부재이고, 상기 절연 전달 부재의 양단부는 계면부를 구비하고, 양단부에 있는 상기 계면부는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볼트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볼트가 동기화되어 작용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평면 베어링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이고, 상기 힘 인가 부재는 압력 플레이트이고,
    2개의 압력 플레이트가 상기 2개의 접촉 피스의 외측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로 각각 고정되고, 나사 구멍이 압력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상기 볼트가 통과하고, 제1 압력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볼트가 제1 압력 플레이트 및 제2 압력 플레이트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볼트의 제2 단부에 너트가 장착되고,
    상기 평면 베어링 및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는 상기 볼트의 제1 단부와 상기 제1 접촉 피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는 복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수축할 때, 2개의 압력 피스가 내측방향으로 수축하고, 상기 디스크 스프링 조립체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접촉 피스에 클램핑력을 가하고,
    상기 평면 베어링은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상대 회전을 흡수하여, 상기 디스크 스프링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회전하지 않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절연 전달 부재이고, 상기 절연 전달 부재의 양단부는 계면부를 구비하고, 양단부에 있는 상기 계면부는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볼트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2개의 전기 연결 장치의 볼트가 동기화되어 작용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22.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기구는 리셋 스프링이고, 상기 리셋 스프링은 상기 볼트에 장착되고, 상기 리셋 스프링은 상기 2개의 접촉 피스들 또는 상기 2개의 압력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수축할 때, 상기 리셋 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확장될 때, 상기 리셋 스프링이 복원되고, 상기 리셋 스프링은 상기 2개의 접촉 피스 또는 상기 2개의 압력 플레이트의 내측에 스프링력을 가하여, 상기 2개의 접촉 피스가 외측방향으로 확장하게 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23. 전기 연결 장치 및 연동 기구를 포함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인출 장치와 본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기 기기는 다중 위상을 갖고,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상기 인출 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 장치의 입구 단부 및 출구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로서, 각각의 본체 연결 조립체는 상기 전기 기기의 위상 중 하나에 대응하고, 각각의 본체 연결 조립체는 클램핑 기구를 갖는 접촉 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접점 피스를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는, 상기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 및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와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를 연결하는 가요성 조립체로서,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 상기 가요성 조립체 및 상기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가요성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의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의 위치 편차에 적응하여 오프셋되어, 상기 접촉 피스가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가요성 조립체는 그 자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접촉 피스의 오프셋을 흡수하고, 상기 오프셋은 인출 장치 연결 조립체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의 클램핑 기구를 연결하고,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복수의 본체 연결 조립체의 클램핑 기구가 동기화되어 작용하게 하는,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
  24. 인출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로서, 본체 및 인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인출 장치는 분리 위치 및 삽입 위치를 가지며, 상기 본체 및 상기 인출 장치는 제13항 또는 제23항에 따른 연동형 전기 연결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전기 기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출 장치를 빠져나가고,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접촉 피스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삽입 위치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출 장치 내로 푸시되고, 상기 본체 버스바는 상기 본체 연결 조립체에 삽입되고, 상기 접촉 피스는 상기 본체 버스바에 근접하게 하여 클램핑하는,
    전기 기기.
KR1020217022586A 2019-01-02 2019-12-31 전기 기기 장치 및 전기 연결 조립체 KR202101084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03024 2019-01-02
CN201910003024.5 2019-01-02
PCT/CN2019/130243 WO2020140883A1 (zh) 2019-01-02 2019-12-31 电器装置及电连接组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417A true KR20210108417A (ko) 2021-09-02

Family

ID=7140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586A KR20210108417A (ko) 2019-01-02 2019-12-31 전기 기기 장치 및 전기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15609B2 (ko)
EP (1) EP3907828A4 (ko)
JP (1) JP7289919B2 (ko)
KR (1) KR20210108417A (ko)
CN (4) CN111403938A (ko)
WO (1) WO2020140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750765U (zh) 2019-08-15 2021-03-19 上海量乘机电科技有限公司 电开关装置
CN112053799B (zh) * 2020-09-10 2022-04-19 承德保瓦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配电柜铜排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4884B (en) * 1979-12-04 1983-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ical contact device
US4531174A (en) * 1981-10-27 1985-07-23 Square D Company Draw-out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external connectors
FR2693843B1 (fr) * 1992-07-16 1994-08-19 Alsthom Gec Pince d'embrochage.
JPH06131937A (ja) * 1992-10-19 1994-05-13 Takaoka Electric Mfg Co Ltd 断路器開閉接触部の構造
US5753875A (en) * 1996-10-15 1998-05-19 Eaton Corporation Heat sink for contact stems of a vacuum interrupter and a vacuum interrupter therewith
US6024589A (en) 1997-05-14 2000-02-15 Hewlett-Packard Company Power bus bar for providing a low impedance connection between a first and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FR2772978B1 (fr) * 1997-12-18 2000-01-21 Schneider Electric Sa Borne de fixation et module de connexion electrique pour disjoncteur debrochable
US5929410A (en) * 1998-01-26 1999-07-27 Lg Industrial Systems Co., Ltd. Terminal structure for vacuum circuit breaker
JP4172615B2 (ja) 2001-05-28 2008-10-29 東光電気株式会社 開閉接点および開閉器
JP4294930B2 (ja) 2001-10-15 2009-07-15 寺崎電気産業株式会社 引出型回路遮断器
CN200959373Y (zh) 2006-09-20 2007-10-10 钱家桢 挂接短路接地线用的夹持线夹
KR100924431B1 (ko) * 2007-12-13 2009-10-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크레들
CN101465529A (zh) 2009-01-14 2009-06-24 梁波 母线软联接的方法及装置
JP5003922B2 (ja) 2010-07-09 2012-08-22 日新電機株式会社 受変電設備
KR101309040B1 (ko) * 2012-07-26 2013-09-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KR101768405B1 (ko) * 2013-03-21 2017-08-14 히타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스티어링 가부시키가이샤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564991B1 (ko) * 2013-11-18 2015-1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자가발전 온도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진공회로차단기 주회로부
CN103624590A (zh) * 2013-11-19 2014-03-12 重庆风过旗扬科技发展有限公司 联动夹紧装置
US9356435B2 (en) * 2014-07-30 2016-05-31 Eaton Corporation Switchgear enclosure housing assembly including an extendable conductor assembly
CN105305108B (zh) * 2015-11-24 2019-01-22 广州供电局有限公司 集束型母线的插接装置
US9843170B2 (en) * 2015-12-09 2017-12-12 Schneider Electric USA, Inc. Frame assembly for a front mounted primary bus connector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827118B1 (ko) * 2016-05-23 2018-0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CN106207518B (zh) * 2016-08-19 2018-08-17 宝亨新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高压树脂母线接头的活动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7828A1 (en) 2021-11-10
JP7289919B2 (ja) 2023-06-12
WO2020140883A1 (zh) 2020-07-09
US20220115188A1 (en) 2022-04-14
CN211017487U (zh) 2020-07-14
JP2022523288A (ja) 2022-04-22
CN211045800U (zh) 2020-07-17
CN111403939A (zh) 2020-07-10
US11715609B2 (en) 2023-08-01
EP3907828A4 (en) 2022-09-21
CN111403938A (zh) 2020-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8417A (ko) 전기 기기 장치 및 전기 연결 조립체
CN204230168U (zh) 电接触器及用于电接触器的可动电触点装置
CN101562102B (zh) 断路器的接触组件
RU2504855C2 (ru) Гибкий шунт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RU2564397C2 (ru) Элемент соедините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узел 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ие такой элемент соединителя
CN109637885B (zh) 一种开关主轴传动装置
EP3624153B1 (en) Gripping group for a switch having an internal compact structure
KR101239741B1 (ko) 공동주택용 나이프블레이드의 가동접점장치
KR101044288B1 (ko)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CN101752139B (zh) 一种隔离开关及安装有该隔离开关的开关柜
CN208173431U (zh) 一种大电流导电结构
CN213781964U (zh) 抽出式结构的电器装置
CN207116240U (zh) 一种适用于高压设备大电流开关触头
CN108321004B (zh) 一种极柱
CN105869942A (zh) 一种开关柜三工位隔离开关
CN108597915B (zh) 一种大电流导电结构
CN116865104B (zh) 一种主塑壳抽屉内的母排结构
JP7242905B2 (ja) バイパススイッチ
CN215644276U (zh) 动触头结构及具有其的隔离开关
CN215869100U (zh) 一种触头组件及隔离开关
KR200492092Y1 (ko) 부스바 지지장치
US20150118878A1 (en) Bus Connector with Reduced Insertion Force
EP3234975B1 (en) Improved contact for disconnector
CN115763138A (zh) 一种触头组件及隔离开关
CN116469713A (zh) 旋转式电器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