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838A -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838A
KR20210107838A KR1020217023994A KR20217023994A KR20210107838A KR 20210107838 A KR20210107838 A KR 20210107838A KR 1020217023994 A KR1020217023994 A KR 1020217023994A KR 20217023994 A KR20217023994 A KR 20217023994A KR 20210107838 A KR20210107838 A KR 2021010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resource
sequence
occupi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타오 런
루이 자오
팡천 청
스레이 정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28Inverse Fourier transform modulators, e.g.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차량 투 임의의 사물(V2X) 시스템에 응용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기기에서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및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월 9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021159.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중의 장기 진화(LTE)의 차량 투 임의의 사물(Vehicle-to-Everything, V2X) 기술(Rel-14/Rel-15 LTE V2X 기술)에서, 기기(UE)는 자동 게인 제어(automatic gain control)에 사용되거나 또는 보호 간격의 시간 길이를 하나의 심볼로 고정시켜, 아날로그-디지털 전환(ADC)으로 진입한 신호 파워의 조정을 완성하기 위한 것이고, 및 송수신 사이의 전환을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디지털 변조에 사용되는 모뎀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내에서 4개의 심볼을 점용하기에, 참조 신호의 오버헤드가 비교적 크다. 5G의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NR)의 출현에 따라,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차량 네트워킹 기술은 진일보하여 발전해야 한다.
5G NR은 영활한 서브 반송파 간격의 배치를 지원하고, 이는 NR V2X 물리 층 구조의 설계에 새로운 도전을 가져오며, 하나의 심볼을 고정적으로 점용한 자동 게인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및 보호 간격(Guard Period, GP)은, 수요를 만족하지 못할 수 있고, 설계를 다시 진행하여야 한다. LTE V2X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통신 모드이고, 유니캐스트 모드가 없다. NR V2X 유니캐스트 통신의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NR V2X에서 사용자를 토대로 한 자원 점용 상황 센싱, 주파수 오프셋 추정, 채널 측정 및 채널 추정 등을 진행하여야 하고, 즉, 각 사용자는 구분할 수 있는 신호 또는 채널을 사용하여 자원 점용 상황 센싱,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및 채널 검측 등 기능을 완성하여야 하고, 동시에 사용자 간의 이러한 신호 또는 채널들의 충돌로 의한 성능 저하를 피해야 한다. 이로서, 아주 많은 새로운 신호 또는 채널을 인입하여 상기 수요를 만족하여야 하기에, 시스템 설계의 복잡성 및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3GPP의 R15 버전에서 V2X 사이드링크(Sidelink)의 서브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고, 도 1의 횡좌표는 시간 영역을 나타내고, 각 열은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을 나타내며; 종좌표는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AGC는 서브 프레임중의 첫번째 OFDM 심볼을 고정적으로 점용하고, GP는 마지막 하나의 OFDM 심볼을 고정적으로 점용하며, 중간은 데이터이거나 또는 DMRS이다. 보다시피,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14개의 심볼에서, AGC, GP 및 DMRS는 총 6개의 심볼을 점용하고, 데이터 전송에 단지 8개의 심볼만 남겨준다. 그러나, NR V2X에서, 새로 인입한 UE와 UE 사이의 유니캐스트 통신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자원 점용 상황 센싱, 주파수 오프셋 추정, 채널 측정 및 채널 추정 등을 진행하여야 하는데, 아주 많은 새로운 신호 또는 채널을 인입하여 이상의 수요를 만족하여야 하기에, 시스템 설계의 복잡성 및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은 참조 신호의 전송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싱글 신호를 사용하여 자원 점용 상황 센싱, 자동 게인 제어 측정, 주파수 오프셋 추정,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채널 추정 등 기능 중 적어도 2개의 항을 완성할 수 있으며, V2X 시스템 설계의 복잡성을 간소화하고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차량 투 임의의 사물(V2X) 시스템에 응용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기기에서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차량 투 임의의 사물(V2X) 시스템중의 제1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제1 기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제1 기기는,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유닛; 및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 유닛;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명령은 컴퓨터가 실행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은, 참조 신호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고, V2X 시스템 설계의 복잡성을 간소화하고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그 외, 본 개시의 실시예는 시간 주파수 자원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고, Sidelink 데이터 전송의 에러 레이트(error rate) 성능 및 자원 이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관련기술의 V2X Sidelink 서브 프레임을 나타내는 구조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 분산 매핑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 집중 매핑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분산 매핑을 채용한 참조 신호의 또 다른 송신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분산 매핑을 채용한 참조 신호의 또 다른 송신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분산 매핑을 채용한 참조 신호의 또 다른 송신 예시도이다.
도 8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분산 매핑을 채용한 참조 신호의 또 다른 송신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집중 매핑을 채용한 참조 신호의 또 다른 송신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집중 매핑을 채용한 참조 신호의 또 다른 송신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기기의 또 다른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도면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본 개시를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들을 제공하는 것은 더 명확하게 본 개시에 대해 이해하고, 또한 본 개시의 범위를 완전하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설명과 청구항에서 "제1", "제2" 등은 특정 순서의 설명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적절한 경우 교체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내용 또는 설명한 내용 이외의 순서를 포함할 수 있게 한다. 이외, 용어 "포함" 및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및/또는" 은 연결 대상의 적어도 하나임을 나타낸다.
본문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장기 진화형(Long Time Evolution, LTE)/LTE의 진화(LTE-Advanced, LTE-A) 및 NR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코드 분할 멀티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간 분할 멀티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멀티 액세스(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싱글 반송파 주파수 분할 멀티 액세스(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통상적으로 상호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예컨대 CDMA2000, 범용 지상 무선 전기 액세스(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등과 같은 무선 전기 기술들을 실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및 기타 CDMA 변체를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예컨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과 같은 무선 전기 기술들을 실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예컨대 울트라 이동 광대역(Ultra Mobile Broadband, UMB), 진화형 UTRA(Evolution-UTRA, E-UTRA), IEEE 1102.11(Wi-Fi), IEEE 1102.16(WiMAX), IEEE 11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전기 기술을 실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이동 전기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의 일부분이다. LTE 및 더 높은 레벨의 LTE(예컨대 LTE-A)는 E-UTRA의 뉴 UMTS 버전을 사용한 것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제3 대 파트너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로 불리는 그룹의 문헌에서 설명된 것들이다. CDMA2000 및 UMB는 "제3 대 파트너 프로젝트 2"(3GPP2)로 불리는 그룹의 문헌에서 설명된 것들이다. 본문에서 설명된 기술은 위에서 제기된 시스템 및 무선 전기 기술에 사용될 수 있고, 기타 시스템 및 무선 전기 기술에도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아래 설명은 예시 목적으로 NR 시스템을 설명하였고, 아래의 대부분 설명에서는 용어 NR을 사용할 것이며, 이러한 기술들은 NR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에 응용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 기술될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범위, 적용성 또는 배치에 제한될 것이 아니라, 토론하는 요소들의 기능 및 배치에 대해 본 개시의 정신 및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개변을 진행할 수 있다. 각종 실시예들은 적당하게 각종 규칙 또는 컴포넌트들을 생략,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설명한 순차적인 순서와 상이한 순서로 설명한 방법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또한, 각종 단계들을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특징들을 참조하여 기타 실시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이드링크(Sidelink)에 사용될 다용도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을 제기하였으며, 관련기술에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자원 스케줄링 할당 정보(Scheduling Assignment, SA) 또는 데이터(Data)를 송신하기 전에 다용도 참조 신호(MP-RS)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참조 신호는 영활한 지속 시간과 서브 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을 갖고, 싱글 신호를 사용하여 자원 점용 상황 센싱(Sensing), 자동 게인 제어 측정(AGC), 주파수 오프셋 추정(FOE), 채널 상태 정보 측정(CSI-RS), 채널 추정(DMRS) 등 기능을 완성할 수 있고, 따라서 시간 주파수 자원의 낭비를 피하고, Sidelink 데이터 전송의 에러 레이트 성능 및 자원 이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참조 신호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참조 신호는, 동시에 자원 점용 상황 센싱(Sensing), 자동 게인 제어 측정(AGC), 주파수 오프셋 추정(FOE), 채널 상태 정보 측정(CSI-RS), 채널 추정(DMRS) 중 적어도 두가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V2X 시스템에 응용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 제1 기기에서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기타 기기는 V2X 시스템에서 제1 기기를 제외한 임의의 기기이다. 제1 기기는 유니캐스트의 Sidelink를 통해 상기 기타 기기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기기는 유니캐스트의 Sidelink를 통해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1 기기는 유니캐스트의 Sidelink를 통해 기타 기기에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22: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한다.
시스템 설계의 복잡성을 간소화하고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며, 구체적으로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더 많은 실시예들을 통해 상술한 각각의 기능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상술한 단계로부터 보다시피, 본 개시의 실시예는 관련기술 V2X 시스템중의 참조 신호의 기능을 확장하고, 상기 기능 중 적어도 2개의 항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기기 간의 유니캐스트 통신 모드를 지원하는 것을 만족하기 위해 시스템에 과다한 새로운 신호 또는 채널을 인입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시스템은 시스템 설계의 복잡성을 감소하고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는 Sidelink를 통해 기타 기기가 송신한 단계 21에서 기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Sidelink를 통해 어느 기타 기기(제2 기기로 가설)에 참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은,
단계 23: 제1 기기가 제2 기기에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제2 기기로 하여금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단계 23과 단계 21~22 사이에는 엄격한 실행 순서의 선후 관계가 없다.
선택적으로, 단계 23에서 기술한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제1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의 기기 특징에 따라,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를 확정할 수 있고, 그중, 상기 기기 특징은, 기기 식별자 및/또는 기기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1 시퀀스, 상기 제1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매핑된 주파수 영역 위치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그 외,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IFFT에 의한 처리를 거치고,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어, 시간 영역상에서 복수 개의 중복 신호로 되고, 그중, 상기 제2 참조 신호중의 적어도 하나의 중복 신호는 제2 기기로 하여금 자동 게인 제어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복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중복 신호는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기기는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할 경우, 상기 제2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SCS에 따라, 상기 제2 참조 신호중 자동 게인 제어에 사용되는 제1 타입 심볼의 제1 수량을 확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퀀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이산 매핑 처리 및 역방향 신속 푸리에 변환(IFFT) 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획득하고 송신한다.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채용한 참조 신호(예컨대, 상술한 제1 참조 신호 및 제2 참조 신호)의 특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려 하는데, 특별한 설명 없이, 본문에서 참조 신호는 모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채용한 상술한 적어도 두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참조 신호이다.
(1)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일종 기설정된 길이의 M 시퀀스 또는 ZC 시퀀스이고, 주파수 영역상에서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 또는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점용하며, 시간 영역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점용한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시퀀스 길이는 주파수 영역상에서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 또는 그중의 부분 대역폭을 점용하고, 시간 영역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점용하며; 상기 전체 작업 대역폭은 미리 배치한 BWP(부분 대역폭)일 수 있다.
(2)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와 기기 그룹 또는 기기 사이에 대응관계가 존재하고, 그중,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시퀀스, 상기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 및 주파수 영역 위치를 포함하며; 및, 동일한 하나의 제1 참조 신호는 복수 개의 기기에 의해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상이한 시퀀스, 동일한 시퀀스하의 상이한 순환 시프트, 또는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를 통해 기기(사용자) 또는 기기 그룹(사용자 그룹)을 구분하며; 복수 개의 기기(사용자)는 동일한 하나의 참조 신호를 멀티플렉싱할 수 있다.
(3) 분산 매핑: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콤보 타입(comb type) 매핑을 통해 주파수 영역 매핑을 진행할 수 있고,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에 매핑되며, 상이한 기기는 상이한 콤보 투스(comb tooth) 위치를 점용한다.
도 3은 참조 신호 분산 매핑의 하나의 예시를 나타내며, 그중 사용자 1의 참조 신호 MP1은,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에 매핑되며; 사용자 2의 참조 신호 MP2도,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에 매핑되며; 사용자 3의 참조 신호 MP3도,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에 매핑된다. 또한, 사용자의 참조 신호는 각각 상이한 콤보 투스 위치를 점용한다.
도 3에서 참조 신호의 SCS가 30KHz인 것으로 예를 들고, 도 3은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3에서 하나의 작은 사각형은, 시간 영역이 하나의 심볼을 지속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주파수 영역은 하나의 서브 반송파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반송파 간격은 30KHz이고, 심볼 지속 시간은 비교적 길기에, 단지 하나의 심볼의 참조 신호로 AGC의 기능을 완성할 수 있다. 첫번째 심볼에 위치한 참조 신호(예컨대, MP1~MP3)는 모두 콤보 타입 매핑 방식을 채용하여,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에 매핑된다. 참조 신호는 AGC 기능을 완성할 수 있는 외에, 유니캐스트 통신 링크에 대해 통신하기 전에 채널 상태 측정 및 자원 점용 상황 센싱을 진행할 수 있으며, 통신에서 심볼 #1 및 #2상의 SA와 Data의 채널 추정 및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진행할 수 있고, 이로서, 참조 신호가 복수 개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Sidelink 데이터 전송의 에러 레이트 성능 및 자원 이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집중 매핑: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연속 매핑 방식을 채용하여 주파수 영역 매핑을 진행할 수 있고, 부분 작업 대역폭에 매핑되며, 또한, 상이한 기기(사용자)는 상이한 부분 대역폭 위치를 점용할 수 있다.
도 4는 참조 신호 집중 매핑의 하나의 예시를 제시하였고, 그중, 사용자 1의 참조 신호 MP1은,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의 하나의 주파수 영역이 연속적인 부분 작업 대역폭에 매핑되고; 사용자 2의 참조 신호 MP2도,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의 하나의 주파수 영역이 연속적인 부분 작업 대역폭에 매핑되고; 사용자 3의 참조 신호 MP3도,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의 하나의 주파수 영역이 연속적인 부분 작업 대역폭에 매핑된다. 각 사용자의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대역폭 위치는 상이하다.
(5)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의 서브 반송파 간격(제1 SCS)은 그 뒤에 송신한 SA 또는 Data의 서브 반송파 간격(제2 SCS)과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 신호의 제1 SCS의 크기는,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한 기기의 작업 대역폭중의 서브 반송파 수량이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수요를 수용하는 것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제1 SCS의 크기는, 작업 대역폭중의 서브 반송파 수량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참조 신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SA 또는 Data에 의해 배치된 제2 SCS가 비교적 크고 기기 작업 대역폭이 비교적 작을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비교적 작은 SCS를 채용하여, 참조 신호의 시퀀스를 수용할 충분한 서브 반송파를 보장할 수 있으며;
예를 더 들면, SA 또는 Data에 의해 배치된 제2 SCS가 비교적 작고 기기 작업 대역폭이 비교적 클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비교적 큰 SCS를 채용하여, 참조 신호의 시퀀스가 전체 작업 대역폭을 커버리지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6)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심볼 수량은, 상기 참조 신호에 채용된 SCS에 따라 확정되며, 상기 참조 신호로 하여금 자동 게인 제어 처리에 필요한 시간 길이 요구를 만족하도록 하고, 충분한 시간으로 AGC 측정을 완성하도록 보장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참조 신호는 하나의 심볼 또는 복수 개의 심볼을 점용할 수 있다.
(7)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상기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내의 첫번째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참조 신호가 단지 하나의 심볼을 점용할 경우, 상기 참조 신호는 소재하는 슬롯내의 첫번째 심볼상에 위치한다. 상기 참조 신호가 복수 개의 심볼을 점용할 경우, 상기 참조 신호는 소재하는 슬롯내의 첫번째 심볼로부터 시작한 복수 개의 심볼상에 위치한다.
(8)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상기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내의 첫번째 심볼이 아닌 심볼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참조 신호는 단지 하나의 심볼만 점용할 경우, 상기 참조 신호는 상기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내의 어느 중간 심볼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한 소재하는 슬롯내의 마지막 하나의 심볼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참조 신호가 복수 개의 심볼을 점용할 경우, 상기 참조 신호는 소재하는 슬롯내의 어느 중간 심볼로부터 시작한 복수 개의 심볼상에 위치한다.
(9) 본 개시의 실시예의 참조 신호는 시간 영역상에서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의 모든 심볼을 완전히 점용하거나, 또는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의 부분 심볼을 간격을 두고 점용하며, 또한, 상기 참조 신호는 주파수 영역상에서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점용하며, 구체적으로, 각 N개의 자원 블록(RB)은 하나의 상기 참조 신호를 매핑하고,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정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는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복수 개의 실시예들을 통해 이러한 처리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실시예 1: 참조 신호의 SCS는 그 뒤에 송신한 SA 또는 Data의 SCS와 상이하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기기는 제2 기기에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2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3 SCS는, 상기 제1 SA 및 상기 제1 Data가 채용하는 제4 SCS와 상이하며, 상기 제3 SCS의 크기는, 상기 제1 기기의 작업 대역폭중의 서브 반송파 수량이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수요를 수용하는 것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중, 상기 제3 SCS의 크기는 시스템 작업 대역폭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참조 신호의 시퀀스 길이는 고정된 것일 수 있고, 예컨대, 길이가 255이지만, 참조 신호의 SCS는 그 뒤에 송신한 SA 또는 Data의 SCS과 상이할 수 있으며, 참조 신호가 마침 전체 대역폭을 커버할 수 있게 한다.
a) SA 또는 Data에 의해 배치된 SCS가 비교적 크고 작업 대역폭이 비교적 작을 경우, 참조 신호는 비교적 작은 SCS를 채용하여, 참조 신호 시퀀스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서브 반송파를 보장하며;
예컨대, V2X의 작업 대역폭은 5MHz이고, SA 또는 Data에 의해 배치된 SCS는 15KHz일 경우, 25개의 RB가 있고, 각 RB는 12개의 서브 반송파를 갖고, 길이가 255인 참조 신호 시퀀스를 수용할 수 있지만, SA 또는 Data에 의해 배치된 SCS는 30KHz일 경우, 5MHz의 작업 대역폭은 단지 12개의 RB가 있으며, 길이가 255인 참조 신호 시퀀스를 수용할 수 없기에, 이때 참조 신호는 비교적 작은 SCS를 채용할 필요가 있으며, 예컨대, 15KHz의 SCS를 채용하여, 5MHz 대역폭에서 길이가 255인 참조 신호 시퀀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b) SA 또는 Data에 의해 배치된 SCS는 비교적 작고, 작업 대역폭은 비교적 클 경우, 참조 신호는 비교적 큰 SCS를 채용하여, 참조 신호 시퀀스가 전체 대역폭을 커버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예컨대, V2X의 작업 대역폭은 20MHz이고, SA 또는 Data에 의해 배치된 SCS는 60KHz일 경우, 25개의 RB가 있고, 각 RB는 12개의 서브 반송파를 갖고, 길이가 255인 참조 신호 시퀀스는 전체 20MHz 대역폭을 커버할 수 있으며, 그러나, SA 또는 Data에 의해 배치된 SCS는 15KHz일 경우, 20MHz의 작업 대역폭은 100개의 RB가 있으며, 길이가 255인 참조 신호 시퀀스는 전체 대역폭을 커버할 수 없기에, 참조 신호는 비교적 큰 SCS를 채용할 필요가 있으며, 예컨대, 60KHz의 SCS를 채용하여, 길이가 255인 참조 신호 시퀀스가 전체 20MHz 대역폭을 커버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참조 신호 시퀀스의 SCS의 크기는 영활하게 배치될 수 있고, 다양한 SA/Data의 SCS 상황과 대역폭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SCS 크기의 배치는, 기기에 관련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을 통해, 기기를 위해 구체적인 SCS 크기를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2: 참조 신호가 자원 점용 상황 센싱에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1 기기는 단계 22중의 자원 점용 센싱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즉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1 기기는 시스템 작업 대역폭의 각각의 자원 섹션(resource section)상에서 수신한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고, 신호 강도가 기설정 도어 임계치를 초과한 제1 참조 신호가 소재한 자원 섹션에 따라,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한다.
예를 더 들면, 상기 제1 기기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며, 그중, 상기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는, 제1 참조 신호와 SA 사이의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 및 SA와 Data 사이의 제2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참조 신호와 SA 사이의 바인딩 관계는, 참조 신호의 시퀀스 ID 및/또는 순환 시프트 정보와, SA의 자원 위치 사이의 바인딩 관계일 수 있다. 상술한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는 기설정되거나,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된다.
예를 더 들면, 상기 제1 기기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1 순환 중복 검사 코드(CRC) 시퀀스를 획득하고, CRC 시퀀스와 자원 배치 모드 사이의 기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CRC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1 자원 배치 모드를 확정하며, 및, 상기 제1 자원 배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한다.
예를 더 들면, 상기 제1 기기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시퀀스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을 확정하고, 기타 기기와 해당 제1 기기의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며, 그중, 상기 시퀀스 파라미터와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 사이에는 기설정된 대응관계가 구비되고, 상기 시퀀스 파라미터는 시퀀스 인덱스(ID) 및/또는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비교적 높은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을 갖는 기기는, 우선적으로 자원을 점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송신측 UE A 및 수신측 UE B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참조 신호가 "자원 점용 센싱 처리"에 사용될 경우, 송신측의 UE A는 SA 또는 Data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는 수신측 UE B을 도와 자원 점용 상황 센싱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a) 에너지 검측: UE B는 수신된 작업 대역폭상의 각 자원 섹션상의 참조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자원 섹션이 점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음 스텝 SA 또는 Data 송신에 사용되는 자원을 결정한다.
b) 콘텐츠 검측 방식 1: 참조 신호는 SA와 바인딩 관계를 갖고, 참조 신호를 통해 SA의 시간 주파수 자원 점용 위치를 지시할 수 있으며, 그리고, 디코딩 SA를 통해 Data의 시간 주파수 자원 점용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간의 SA의 충돌 및 사용자 간의 Data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참조 신호는 SA와 바인딩 관계를 갖고, SA는 Data와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이로서, 참조 신호는 SA의 시간 주파수 자원 점용 위치를 지시할 수 있고, SA는 Data의 시간 주파수 자원 점용 위치를 지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참조 신호 검측을 통해, 사용자 간의 SA의 충돌 및 사용자 간의 Data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c) 콘텐츠 검측 방식 2: 자원 점용 상황을 암시적으로 시퀀스에 포함시키고, 상이한 CRC를 채용하여 상이한 자원 배치 상황을 지시하며, UE B는 시퀀스를 통해 자원 사용 상황을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d) 우선 순위 레벨 또는 사용자 그룹 판단: 참조 신호 시퀀스 ID 또는 순환 시프트는 상이한 우선 순위 레벨 설정을 갖고, 비교적 높은 우선 순위 레벨이 배치된 참조 신호 시퀀스는, 우선적으로 자원을 점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참조 신호가 "자원 점용 상황 센싱"에 사용될 경우, 참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자원 점용 상황 센싱을 진행하고, 현재 Sidelink 유니캐스트 통신의 자원 점용 상황을 획득할 수 있으며, Sensing의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절약하고, 자원 이용율을 향상시킨다.
그 외,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기기는 SA 또는 Data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도 SA 또는 Data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참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를 통해 이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실시예 3: 참조 신호가 자동 게인 제어 처리에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1 기기는 단계 22중의 자동 게인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즉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의 스케일링 계수를 조정하고, 상기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에 의해 스케일링 처리를 거친 후의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로 하여금 기설정 범위에 처해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고, 시간 영역상에서 복수 개의 중복 신호로 된다. 이로서, 제1 기기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중의 적어도 하나의 중복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의 스케일링 계수를 조정하고, 및, 나머지 중복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수행한다.
송신측 UE A 및 수신측 UE B를 예로 들면:
송신측 UE A는 SA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참조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신호는 수신측 UE B을 도와 자동 게인 측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신호 강도의 과도한 파동은 ADC 양자화의 과도한 오차를 초래하여, 초래되는 후속의 SA 및 데이터 수신의 에러 레이트가 상승하는 문제를 피한다.
a) SCS가 비교적 작을 경우, 이때는, 하나의 심볼 또는 절반(half)의 심볼의 참조 신호를 사용하면 AGC 측정을 완성할 수 있다고 가설하고;
예컨대: SCS=15KHz일 경우, 심볼에 대응하는 지속 시간 길이는 비교적 큰데 67us이고, AGC 시간 길이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것이며, 대략 10~15us이고, 이때는, 절반의 심볼의 참조 신호를 사용하면 AGC 측정을 완성할 수 있다. SCS=60KHz일 경우, 심볼에 대응하는 지속 시간 길이는 비교적 큰데 17us이고, 이때는, 하나의 심볼의 참조 신호를 사용하면 AGC 측정을 완성할 수 있다.
b) SCS가 비교적 클 경우, 2개 이상의 심볼의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야 AGC 측정을 완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SCS=120KHz일 경우, 심볼에 대응하는 지속 시간 길이는 비교적 큰데 8us이고, AGC 시간 길이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것이며, 대략 10~15us이고, 이때는, 2개의 심볼의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야 AGC 측정을 완성할 수 있다.
C) 나머지 시간 길이의 참조 신호는 기타 기능에 사용된다.
주파수 영역 이산 매핑을 통해, 시간 영역이 중복된 참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절반의 심볼이 AGC로 사용될 경우, 나머지 절반의 심볼의 참조 신호는 기타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의 좌측 절반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단에서 참조 신호에 대해 주파수 영역 콤보 타입 매핑을 진행하고, 송신하기 전에 IFFT에 의한 변환을 거친 후,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고, 도 5의 우측 부분은 그중의 하나의 심볼에 대해 확대한 것이며, 보다시피, 참조 신호는 하나의 심볼내에서 시간 영역이 중복된 신호로 되고, 앞으로 절반의 심볼과 뒤로 절반의 심볼의 정보는 완전히 동일하며, 이로서, 수신단은 수신한 후, 앞으로 절반의 심볼의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AGC 측정을 진행할 수 있고, 뒤로 절반의 심볼의 참조 신호로 기타 기능에 사용될 수 있는바, 예컨대, 자원 점용 상태 센싱을 진행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 게인 제어 처리를 진행할 경우, 참조 신호는 SCS의 배치 상황에 따라 어댑티브(adaptive)하게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자원의 낭비를 조성하지 않고, ADC 게인 조정에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길이를 보장한다.
실시예 4: 참조 신호가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에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참조 신호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에 사용되며, 송신측 UE A 및 수신측 UE B를 예로 들면:
송신측 UE A는 SA 또는 Data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는 수신측 UE B를 도와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이한 사용자의 참조 신호는 각각 상이한 사용자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추정 방안은,
a)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시퀀스와 로컬 시퀀스에 대해 관련 처리를 진행하고, 관련 처리를 거친 후의 수신 시퀀스를 제1 부분 시퀀스 및 제2 부분 시퀀스로 분할하며; 상기 제1 부분 시퀀스 및 제2 부분 시퀀스를 이용하여 관련 처리를 진행하여, 초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을 획득한다.
b) 초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의 기초상에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조정량을 추가하여,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test values)을 획득하며;
c) 상기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각각 사용하여 수신 시퀀스에 대해 위상 보상을 진행하고, 위상 보상 후의 수신 시퀀스를 이용하여 로컬 시퀀스와 관련 연산을 진행하여, 관련 피크를 획득하고,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련 피크의 최대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취하여, 최종적인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으로 확정한다.
d) 상이한 참조 신호를 사용하는 상이한 사용자에 대해, 각자 검측한 관련 피크의 최대치에 따라,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참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주파수 오프셋 추정을 진행하고, 현재 송신한 데이터의 주파수 오프셋을 획득할 수 있으며, 후속으로의 데이터 모뎀 디코딩에 용이하다.
실시예 5: 참조 신호가 채널 상태 정보 측정에 사용된다.
상술한 단계 22에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채널 상태 측정을 진행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며, 그중,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에서 간격을 두고 분포되거나, 또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에서 연속적으로 분포되며, 상기 기타 기기에서 여러 차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커버한다.
송신측 UE A 및 수신측 UE B를 예로 들면:
예컨대, 송신측 UE A는 SA 또는 Data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참조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신호는 수신측 UE B를 도와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a) UE A는 풀 대역폭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UE B는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전체 작업 대역폭상의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며, 그리고, 그중에서 채널 상태가 비교적 바람직한 자원을 선택하여, 다음 스텝의 데이터 전송 자원으로 결정하며;
b) 분산 매핑 방식에 대해: UE B는 전체 작업 대역폭을 커버한 콤보 투스형 참조 신호를 직접 사용하여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을 진행하며;
c) 집중 매핑 방식에 대해: UE A는 참조 신호를 여러 차례 송신하고, 매번마다 부분 대역폭을 커버하며, UE B는 복수 개의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전체 작업 대역폭상의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참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을 진행하고, 현재 Sidelink 유니캐스트 통신의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CSI-RS의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절약하고, 자원 이용율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6: 참조 신호가 채널 추정 처리에 사용된다.
상술한 단계 22에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채널 추정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 및 모뎀 참조 신호(DMRS)에 따라, 채널 추정을 진행한다.
송신측 UE A 및 수신측 UE B를 예로 들면:
송신측 UE A는 SA 또는 Data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참조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신호는 수신측 UE B를 도와 채널 추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a) SCS가 비교적 작을 경우, AGC를 위한 시간 길이는 비교적 짧고, 참조 신호는 채널 추정을 위한 충분한 시간 길이를 갖고, 이때, 채널 추정의 정밀도는 비교적 높으며;
b) SCS가 비교적 클 경우, AGC를 위한 시간 길이는 비교적 길고, 채널 추정을 위한 참조 신호의 시간 길이는 비교적 짧거나 또는 채널 추정을 진행할 수 없으며, 이때, DMRS를 새로 추가하여 채널 추정을 완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예는 참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채널 추정을 진행하고, 현재 Sidelink 유니캐스트 통신의 채널 H 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DMRS의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절약하고, 자원 이용율을 향상시킨다. 그 외, 상기 실시예의 DMRS가 SA 또는 Data에 분포되기 전에, 만약 SA 또는 Data가 복수 개의 심볼을 점용한다면, 그 뒤의 심볼에 기타 DMRS를 더 삽입시켜야 한다.
실시예 7: 참조 신호가 자원 점용 센싱 처리에 사용되고, SA와 Data 사이의 바인딩 관계 1은, SA와 Dat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가 동일한 것인 경우,
참조 신호와 S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갖고, SA와 Dat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이로서, 특정된 참조 신호를 통해 S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SA를 통해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SA의 자원 충돌 및 Data의 자원 충돌을 피한다.
예컨대,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동일하고, 상이한 SA에 대응하는 Dat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단계 22중의 자원 점용 센싱 처리를 진행할 경우, 상기 제1 기기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하며; 및,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자원 위치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 및 Data에 의해 점용되지 않은 자원을 확정하여, 상기 제1 기기의 SA 및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을 획득한다.
도 6은 집중 매핑 방안을 채용한 참조 신호의 송신 예시도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A의 자원 위치와 Data의 자원 위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완전히 동일하다. MP1은 S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1는 Dat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한다. SA의 자원 위치와 Data의 자원 위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완전히 정렬되기 때문에, SA에 대응하는 Data의 자원 위치는 중첩되지 않으며, UE는 SA의 콘텐츠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고, 단지 SA가 상이하면, Data의 자원 위치가 충돌이 없도록 보장한다.
여기서, 연관과 바인딩 관계는, MP1은 SA1와 연관되고, SA1은 Data1과 연관되는 것이다. MP2 및 MP3도 유사하다. 그 외, Data1은 사용자 1에 의해 점용된 데이터 자원이고; SA1은 사용자 1에 의해 점용된 제어 자원이다. Data2/3과 SA2/3도 유사하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도 모두 유사하다.
실시예 8: 참조 신호가 자원 점용 센싱 처리에 사용되고, SA와 Data 사이의 바인딩 관계 2는, SA와 Data의 주파수 영역 시작 자원의 위치가 동일한 것인 경우:
상기 실시예에서,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상기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의 시작 위치는 동일하고, 종료 위치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및, 상이한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중첩된다. 상술한 단계 22에서, 상기 제1 기기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할 수 있고, 상기 기타 기기의 SA를 해석하여,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하며; 및,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와 중첩이 존재하지 않는 Data 자원 위치를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 및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SA의 사용가능한 자원을 확정한다.
참조 신호와 S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갖고, SA와 Dat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갖는다. 이로서, 특정된 참조 신호를 통해 S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SA를 통해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SA의 자원 충돌 및 Data의 자원 충돌을 피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A의 시작 자원 위치와 Data의 시작 자원 위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하지만, 종료 위치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SA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MP1은 S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1은 Dat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한다. MP2는 SA2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2는 Data2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며, 또한 Data2는 Data1의 일부분에 속한다. 이때, UE3은 먼저 MP1을 수신하는 것을 통해, SA1에 연관시킨 후, SA1의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것을 통해, SA1은 Data1과 연관된다는 것을 알고, 그리고, Data1의 위치를 통해, Data1과 Data2를 모두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확정하고, 따라서 UE3은 Data3을 사용하도록 확정하고, 그리고, Data3으로부터 SA3에 연관시키고, 따라서, UE3은 최종적으로 Data3 및 SA3을 사용하도록 확정함으로써, UE3에 의해 선택된 SA3과 Data3이 모두 기타 SA 또는 Data와 자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실시예 9: 참조 신호가 자원 점용 센싱 처리에 사용되고, SA와 Data 사이의 바인딩 관계 3은, SA와 Data의 자원이 주파수 영역에서 정렬된 관계가 없는 것인 경우:
상기 실시예에서,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상기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는 모두 상이하고, 및, 상이한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중첩된다. 유사하게, 상술한 단계 22에서, 상기 제1 기기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할 수 있고, 상기 기타 기기의 SA를 해석하여,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하며; 및,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와 중첩이 존재하지 않는 Data 자원 위치를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 및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SA의 사용가능한 자원을 확정한다.
참조 신호와 S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갖고, SA와 Dat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갖는다. 이로서, 특정된 참조 신호를 통해 S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SA를 통해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SA의 자원 충돌 및 Data의 자원 충돌을 피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A의 시작 자원 위치는 Data의 시작 자원 위치 및 종료 자원 위치와 주파수 영역상에서 모두 정렬 관계가 없으며, 복수 개의 SA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MP1은 S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1은 Dat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한다. MP2는 SA2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2는 Data2의 자원 위치를 지시한다. MP3은 SA3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3은 Data3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며, 또한 Data3은 Data2의 일부분에 속한다. 이때, UE3은 먼저 MP1을 수신하는 것을 통해, SA1에 연관시킨 후, SA1을 통해 Data1에 연관시키고, 그리고, Data1의 위치를 통해, Data1과 Data2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정하고, 따라서 UE3은 Data3을 사용하도록 확정하고, 그리고, Data3으로부터 SA3에 연관시키고, 따라서, UE3은 최종적으로 Data3 및 SA3을 사용하도록 확정함으로써, UE3에 의해 선택된 SA3과 Data3이 모두 기타 SA 또는 Data와 자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실시예 10: 참조 신호는 소재하는 슬롯의 첫번째 심볼 위치에 위치한 것이 아니고, AGC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참조 신호와 S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갖고, SA와 Dat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갖는다. 이로서, 특정된 참조 신호를 통해 S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SA를 통해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SA의 자원 충돌 및 Data의 자원 충돌을 피한다.
여기서, 참조 신호는 상기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의 첫번째 심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슬롯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며,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에 대해 비교적 정밀한 추정을 진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A의 시작 자원 위치는 Data의 시작 자원 위치 및 종료 자원 위치와 주파수 영역상에서 모두 정렬 관계가 없으며, 복수 개의 SA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MP1은 S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1은 Dat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한다. MP2는 SA2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2는 Data2의 자원 위치를 지시한다. MP3은 SA3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3은 Data3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며, 또한 Data1과 Data2는 중첩 관계를 갖는다. 이때, UE3은 먼저 MP1을 수신하는 것을 통해, SA1에 연관시킨 후, SA1을 통해 Data1에 연관시키고, 그리고, Data1의 위치를 통해, Data3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정하고, 따라서 UE3은 Data3을 사용하도록 확정하고, 그리고, Data3으로부터 SA3에 연관시키고, 따라서, UE3은 최종적으로 Data3 및 SA3을 사용하도록 확정함으로써, UE3에 의해 선택된 SA3과 Data3이 모두 기타 SA 또는 Data와 자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실시예 11: 참조 신호는 하나의 심볼을 점용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심볼을 점용하는 경우:
참조 신호와 S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갖고, SA와 Data의 자원 위치는 바인딩 관계를 갖는다. 이로서, 특정된 참조 신호를 통해 S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SA를 통해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SA의 자원 충돌 및 Data의 자원 충돌을 피한다.
여기서, 참조 신호는 상기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의 첫번째 심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슬롯의 복수 개의 심볼에 위치하며, 참조 신호를 사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에 대해 비교적 정밀한 추정을 진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 신호는 시간 영역에서 모든 심볼을 점용할 수 있거나,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심볼 간격마다 하나의 참조 신호를 배치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주파수 영역에서 희소하고, 각 자원 블록(RB)상에 하나의 참조 신호를 배치할 수 있고, 또는 각 복수 개의 RB상에 하나의 참조 신호를 배치할 수 있다. 참조 신호의 밀도가 높을수록, 주파수 오프셋 추정은 더욱 정확하지만, 자원의 오버헤드가 더욱 크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SA의 시작 자원 위치는 Data의 시작 자원 위치 및 종료 자원 위치와 주파수 영역상에서 모두 정렬 관계가 없다. MP1은 S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1은 Data1의 자원 위치를 지시한다. MP2는 SA2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2는 Data2의 자원 위치를 지시한다. MP3은 SA3의 자원 위치를 지시하고, SA3은 Data3의 자원 위치를 지시한다. 이때, UE3은 먼저 MP1을 수신하는 것을 통해, SA1에 연관시킨 후, SA1을 통해 Data1에 연관시키고, 그리고, Data1의 위치를 통해, Data3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정하고, 따라서 UE3은 Data3을 사용하도록 확정하고, 그리고, Data3으로부터 SA3에 연관시키고, 따라서, UE3은 최종적으로 Data3 및 SA3을 사용하도록 확정함으로써, UE3에 의해 선택된 SA3과 Data3이 모두 기타 SA 또는 Data와 자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이상의 방법들을 토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상술한 방법을 실시하는 기기를 더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V2X 시스템중의 제1 기기(1100)의 구조 예시도이고, 상기 제1 기기는, 프로세서(1101), 송수신기(1102), 메모리(11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그중,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1100)는, 메모리(1103)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101)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1102)는,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1101)는,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11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1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102)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1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1103)는 프로세서(11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기설정된 길이의 M 시퀀스 또는 ZC 시퀀스이고, 주파수 영역상에서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 또는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점용하며, 시간 영역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점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와 기기 그룹 또는 기기 사이에 대응관계가 존재하고, 그중,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시퀀스, 상기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 및 주파수 영역 위치를 포함하며; 및, 동일한 하나의 제1 참조 신호는 복수 개의 기기에 의해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콤보 타입 매핑 방식을 통해,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에 매핑되며, 상이한 기기는 상이한 콤보 투스 위치를 점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연속 매핑 방식을 통해, 시스템 작업 대역폭의 연속적인 부분 대역폭에 매핑되고, 상이한 기기는 상이한 부분 대역폭을 점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제1 서브 반송파 간격(SCS)은 기타 기기가 후속으로 송신한 자원 스케줄링 할당 정보(SA) 또는 데이터(Data)의 제2 SCS와 상이하며; 상기 제1 SCS의 크기는, 상기 기타 기기의 작업 대역폭중의 서브 반송파 수량이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수요를 수용하는 것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심볼의 수량은,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SCS에 따라 확정되며, 상기 제1 참조 신호로 하여금 자동 게인 제어 처리에 필요한 시간 길이 요구를 만족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제1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내의 첫번째 심볼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내의 첫번째 심볼이 아닌 심볼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시간 영역상에서 제1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의 모든 심볼을 완전히 점용하거나, 또는 제1 참조 신호가 소재하는 슬롯의 부분 심볼을 간격을 두고 점용하며, 또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주파수 영역상에서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점용하며, 그중, 각 N개의 자원 블록(RB)은 하나의 제1 참조 신호를 매핑하고, 여기서,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시스템 작업 대역폭의 각각의 자원 섹션상에서 수신한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신호 강도가 기설정 도어 임계치를 초과한 제1 참조 신호가 소재한 자원 섹션에 따라,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는, 제1 참조 신호와 SA 사이의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 및 SA와 Data 사이의 제2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는 기설정되거나,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1 순환 중복 검사 코드(CRC)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CRC 시퀀스와 자원 배치 모드 사이의 기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CRC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1 자원 배치 모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및, 상기 제1 자원 배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시퀀스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기타 기기와 해당 제1 기기의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시퀀스 파라미터와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 사이에는 기설정된 대응관계가 구비되고, 상기 시퀀스 파라미터는 시퀀스 인덱스(ID) 및/또는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동일하고, 상이한 SA에 대응하는 Dat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및,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자원 위치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 및 Data에 의해 점용되지 않은 자원을 확정하여, 상기 제1 기기의 SA 및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상기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의 시작 위치는 동일하고, 종료 위치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및, 상이한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중첩되며;
또는,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상기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는 모두 상이하고, 및, 상이한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중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기타 기기의 SA를 해석하여,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및,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와 중첩이 존재하지 않는 Data 자원 위치를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 및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SA의 사용가능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의 스케일링 계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에 의해 스케일링 처리를 거친 후의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로 하여금 기설정 범위에 처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고, 시간 영역상에서 복수 개의 중복 신호로 되며;
상기 프로세서(1101)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중의 적어도 하나의 중복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의 스케일링 계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및, 나머지 중복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시퀀스와 로컬 시퀀스에 대해 관련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고, 관련 처리를 거친 후의 수신 시퀀스를 제1 부분 시퀀스 및 제2 부분 시퀀스로 분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부분 시퀀스 및 제2 부분 시퀀스를 이용하여 관련 처리를 진행하여, 초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상기 초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의 기초상에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조정량을 추가하여,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각각 사용하여 수신 시퀀스에 대해 위상 보상을 진행하고, 위상 보상 후의 수신 시퀀스를 이용하여 로컬 시퀀스와 관련 연산을 진행하여, 관련 피크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련 피크의 최대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취하여, 최종적인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채널 상태 측정을 진행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에서 간격을 두고 분포되거나, 또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에서 연속적으로 분포되며, 상기 기타 기기에서 여러 차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커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채널 추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기타 기기에서 송신한 제1 참조 신호 및 모뎀 참조 신호(DMRS)에 따라, 채널 추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102)는, 제2 기기에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제2 기기로 하여금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1 기기의 기기 특징에 따라,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기기 특징은, 기기 식별자 및/또는 기기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1 시퀀스, 상기 제1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매핑된 주파수 영역 위치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102)는, 상기 제2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SCS에 따라, 상기 제2 참조 신호중 자동 게인 제어에 사용되는 제1 타입 심볼의 제1 수량을 확정하고,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퀀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이산 매핑 처리 및 역방향 신속 푸리에 변환(IFFT) 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획득하고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IFFT에 의한 처리를 거치고,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어, 시간 영역상에서 복수 개의 중복 신호로 되고, 그중, 적어도 하나의 중복 신호는 제2 기기로 하여금 자동 게인 제어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중복 신호는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3 SCS는, 상기 제1 SA 및 상기 제1 Data가 채용하는 제4 SCS와 상이하며, 상기 제3 SCS의 크기는, 상기 제1 기기의 작업 대역폭중의 서브 반송파 수량이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수요를 수용하는 것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그중, 상기 제3 SCS의 크기는 시스템 작업 대역폭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V2X 시스템중의 제1 기기(120)의 또 다른 구조를 제공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기(120)는,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유닛(121); 및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 유닛(122); 을 포함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로 실행할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할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인원은 각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명확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에 대해 간단 명료한 설명을 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고하면 되고,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은 응당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전술한 장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컨대, 상기 유닛들의 분할은 단지 하나의 논리 기능으로만 분할되는 것일 뿐이며, 실제 실현할 때, 이외의 분할방식이 있을 수 있고, 예컨대,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들이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들이 무시되거나 또는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상호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 기계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접속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 컴포넌트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컴포넌트는 물리 유닛이거나, 또는 물리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장소에 위치될 수도 있고, 다수의 네트워크 요소에 분포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각의 유닛은 분리되어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두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개별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확인 코드북의 전송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 하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본 개시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특정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또는 교체될 수 있으며, 이는 응당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51)

  1. 차량 투 임의의 사물(V2X) 시스템에 응용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기기에서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기설정된 길이의 M 시퀀스 또는 ZC 시퀀스이고, 주파수 영역상에서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 또는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점용하며, 시간 영역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점용하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와 기기 그룹 또는 기기 사이에 대응관계가 존재하고, 그중,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시퀀스, 상기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 및 주파수 영역 위치를 포함하며; 동일한 하나의 제1 참조 신호는 복수 개의 기기에 의해 멀티플렉싱될 수 있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콤보 타입 매핑 방식을 통해,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에 매핑되며, 상이한 기기는 상이한 콤보 투스 위치를 점용하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연속 매핑 방식을 통해, 시스템 작업 대역폭의 연속적인 부분 대역폭에 매핑되고, 상이한 기기는 상이한 부분 대역폭을 점용하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제1 서브 반송파 간격(SCS)은 상기 기타 기기가 후속으로 송신한 자원 스케줄링 할당 정보(SA)/데이터(Data)의 제2 SCS와 상이하며; 상기 제1 SCS의 크기는, 상기 기타 기기의 작업 대역폭중의 서브 반송파 수량이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수요를 수용하는 것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심볼의 수량은,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SCS에 따라 확정되어, 상기 제1 참조 신호로 하여금 자동 게인 제어 처리에 필요한 시간 길이 요구를 만족하도록 하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소재하는 슬롯내의 첫번째 심볼에 위치하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소재하는 슬롯내의 첫번째 심볼이 아닌 심볼에 위치하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시간 영역상에서 소재하는 슬롯의 모든 심볼을 완전히 점용하거나, 또는 소재하는 슬롯의 부분 심볼을 간격을 두고 점용하며, 또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주파수 영역상에서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점용하며, 그중, 각 N개의 자원 블록(RB)은 하나의 제1 참조 신호를 매핑하고,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정수인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점용 센싱 처리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시스템 작업 대역폭의 각각의 자원 섹션상에서 수신한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고, 신호 강도가 기설정 도어 임계치를 초과한 제1 참조 신호가 소재한 자원 섹션에 따라,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에서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로서, 그중, 상기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는, 제1 참조 신호와 SA 사이의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 및 SA와 Data 사이의 제2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를 포함하는 것인,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는 기설정되거나,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되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에서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1 순환 중복 검사 코드(CRC) 시퀀스를 획득하고, CRC 시퀀스와 자원 배치 모드 사이의 기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CRC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1 자원 배치 모드를 확정하고, 상기 제1 자원 배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에서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시퀀스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을 확정하고, 기타 기기와 해당 제1 기기의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로서, 그중, 상기 시퀀스 파라미터와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 사이에는 기설정된 대응관계가 구비되고, 상기 시퀀스 파라미터는 시퀀스 인덱스(ID) 및/또는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는 것인,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해당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동일하고, 상이한 SA에 대응하는 Dat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에서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자원 위치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 및 Data에 의해 점용되지 않은 자원을 확정하여, 상기 제1 기기의 SA 및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상기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의 시작 위치는 동일하고, 종료 위치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또한, 상이한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중첩되며;
    또는,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상기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는 모두 상이하고, 및, 상이한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중첩되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에서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기타 기기의 SA를 해석하여,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와 중첩이 존재하지 않는 Data 자원 위치를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 및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SA의 사용가능한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게인 제어 처리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의 스케일링 계수를 조정하고, 상기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에 의해 스케일링 처리를 거친 후의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로 하여금 기설정 범위에 처해 있도록 하는 것인;
    것을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고, 시간 영역상에서 복수 개의 중복 신호로 되며;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의 스케일링 계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중의 적어도 하나의 중복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의 스케일링 계수를 조정하는 단계; 및
    나머지 중복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시퀀스와 로컬 시퀀스에 대해 관련 처리를 진행하고, 관련 처리를 거친 후의 수신 시퀀스를 제1 부분 시퀀스 및 제2 부분 시퀀스로 분할하는 것; 및
    상기 제1 부분 시퀀스 및 제2 부분 시퀀스를 이용하여 관련 처리를 진행하여, 초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을 획득하는 것,
    을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는,
    상기 초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의 기초상에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조정량을 추가하여,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획득하는 것; 및
    상기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각각 사용하여 수신 시퀀스에 대해 위상 보상을 진행하고, 위상 보상 후의 수신 시퀀스를 이용하여 로컬 시퀀스와 관련 연산을 진행하여, 관련 피크를 획득하고,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련 피크의 최대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취하여, 최종적인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으로 확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기타 기기에서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채널 상태 측정을 진행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것; 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에서 간격을 두고 분포되거나, 또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에서 연속적으로 분포되며, 상기 기타 기기에서 여러 차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커버하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 처리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기타 기기에서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채널 추정을 진행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기타 기기에서 송신한 제1 참조 신호 및 모뎀 참조 신호(DMRS)에 따라, 채널 추정을 진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7.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제2 기기에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제2 기기로 하여금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기의 기기 특징에 따라,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로서, 그중, 상기 기기 특징은, 기기 식별자 및/또는 기기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1 시퀀스, 상기 제1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매핑된 주파수 영역 위치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SCS에 따라, 상기 제2 참조 신호중 자동 게인 제어에 사용되는 제1 타입 심볼의 제1 수량을 확정하고,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퀀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이산 매핑 처리 및 역방향 신속 푸리에 변환(IFFT) 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획득하고 송신하는 단계로서, 그중,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IFFT에 의한 처리를 거치고,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어, 시간 영역상에서 복수 개의 중복 신호로 되고, 그중, 적어도 하나의 중복 신호는 제2 기기로 하여금 자동 게인 제어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중복 신호는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3 SCS는, 상기 제1 SA 및 제1 Data가 채용하는 제4 SCS와 상이하며, 상기 제3 SCS의 크기는, 상기 제1 기기의 작업 대역폭중의 서브 반송파 수량이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수요를 수용하는 것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그중, 상기 제3 SCS의 크기는 시스템 작업 대역폭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인,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31. 차량 투 임의의 사물(V2X) 시스템중의 제1 기기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스템 작업 대역폭의 각각의 자원 섹션상에서 수신한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신호 강도가 기설정 도어 임계치를 초과한 제1 참조 신호가 소재한 자원 섹션에 따라,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는, 제1 참조 신호와 SA 사이의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 및 SA와 Data 사이의 제2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1 기기.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1 순환 중복 검사 코드(CRC) 시퀀스를 획득하고, CRC 시퀀스와 자원 배치 모드 사이의 기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CRC 시퀀스에 대응하는 제1 자원 배치 모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상기 제1 자원 배치 모드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시퀀스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을 확정하고, 기타 기기와 해당 제1 기기의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기타 기기에 의해 점용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시퀀스 파라미터와 자원 점용 우선 순위 레벨 사이에는 기설정된 대응관계가 구비되고, 상기 시퀀스 파라미터는 시퀀스 인덱스(ID) 및/또는 순환 시프트 값을 포함하는 것인,
    제1 기기.
  37. 제34항에 있어서,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상기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동일하고, 상이한 SA에 대응하는 Dat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인,
    제1 기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및,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자원 위치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 및 Data에 의해 점용되지 않은 자원을 확정하여, 상기 제1 기기의 SA 및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39. 제34항에 있어서,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상기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의 시작 위치는 동일하고, 종료 위치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상이한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중첩되며;
    또는, S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와 상기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는 모두 상이하고, 상이한 SA가 바인딩한 Data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는 서로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중첩되는 것인,
    제1 기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에 따라, 상기 기타 기기의 SA의 주파수 영역 자원 위치를 확정하고, 상기 기타 기기의 SA를 해석하여,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및,
    상기 기타 기기의 Data의 자원 위치와 중첩이 존재하지 않는 Data 자원 위치를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자원 위치 바인딩 관계 및 상기 제1 기기의 Data의 사용가능한 자원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SA의 사용가능한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의 스케일링 계수를 조정하여, 상기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에 의해 스케일링 처리를 거친 후의 상기 제1 참조 신호의 신호 강도로 하여금 기설정 범위에 처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 신호는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고, 시간 영역상에서 복수 개의 중복 신호로 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중의 적어도 하나의 중복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로컬 신호 수신기중의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의 스케일링 계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및, 나머지 중복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4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시퀀스와 로컬 시퀀스에 대해 관련 처리를 진행하고, 관련 처리를 거친 후의 수신 시퀀스를 제1 부분 시퀀스 및 제2 부분 시퀀스로 분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부분 시퀀스 및 제2 부분 시퀀스를 이용하여 관련 처리를 진행하여, 초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초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의 기초상에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조정량을 추가하여,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각각 사용하여 수신 시퀀스에 대해 위상 보상을 진행하고, 위상 보상 후의 수신 시퀀스를 이용하여 로컬 시퀀스와 관련 연산을 진행하여, 관련 피크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관련 피크의 최대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오프셋 시도 값을 취하여, 최종적인 주파수 오프셋 추정 값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채널 상태 측정을 진행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에서 간격을 두고 분포되거나, 또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부분 시스템 작업 대역폭중에서 연속적으로 분포되며, 상기 기타 기기에서 여러 차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점용된 주파수 영역 자원은 전체 시스템 작업 대역폭을 커버하는 것인,
    제1 기기.
  4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채널 추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기타 기기에서 송신한 제1 참조 신호 및 모뎀 참조 신호(DMRS)에 따라, 채널 추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4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제2 기기에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제2 기기로 하여금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1 기기의 기기 특징에 따라,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기기 특징은, 기기 식별자 및/또는 기기가 속하는 사용자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제1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제1 시퀀스, 상기 제1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 상기 제1 참조 신호에 의해 매핑된 주파수 영역 위치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1 기기.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2 참조 신호가 채용하는 SCS에 따라, 상기 제2 참조 신호중 자동 게인 제어에 사용되는 제1 타입 심볼의 제1 수량을 확정하고, 상기 제2 참조 신호의 시퀀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이산 매핑 처리 및 역방향 신속 푸리에 변환(IFFT) 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제2 참조 신호를 획득하고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제2 참조 신호는 상기 IFFT에 의한 처리를 거치고,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시간 영역으로 전환되어, 시간 영역상에서 복수 개의 중복 신호로 되고, 그중, 적어도 하나의 중복 신호는 제2 기기로 하여금 자동 게인 제어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중복 신호는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제1 기기.
  50. 제1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기타 기기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송신한 제1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유닛; 및
    상기 기타 기기가 송신한 제1 참조 신호에 따라, 자원 점용 센싱 처리, 자동 게인 제어 처리, 주파수 오프셋 추정 처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처리 및 채널 추정 처리 중 적어도 두가지 처리를 진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제1 기기.
  5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명령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명령은 컴퓨터가 실행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3994A 2019-01-09 2019-12-26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및 기기 KR20210107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21159.4A CN111431678B (zh) 2019-01-09 2019-01-09 一种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设备
CN201910021159.4 2019-01-09
PCT/CN2019/128530 WO2020143457A1 (zh) 2019-01-09 2019-12-26 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838A true KR20210107838A (ko) 2021-09-01

Family

ID=7152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994A KR20210107838A (ko) 2019-01-09 2019-12-26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77983A1 (ko)
EP (1) EP3910826A4 (ko)
JP (1) JP7457028B2 (ko)
KR (1) KR20210107838A (ko)
CN (1) CN111431678B (ko)
TW (1) TWI762850B (ko)
WO (1) WO2020143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50937A1 (en) * 2019-03-13 2022-05-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antenna remote units in sidelink-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11865533B (zh) * 2019-04-30 2022-04-1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2151490A1 (zh) * 2021-01-18 2022-07-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856534B2 (en) * 2021-06-25 2023-12-2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ing sidelink reference signals for joint channel estimation and automatic gain control
CN115765941A (zh) * 2021-09-03 2023-03-0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通信设备
US11916851B2 (en) 2021-12-22 2024-02-2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automatic gain control (AGC) reference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8340B2 (ja) * 2013-07-12 2017-10-0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10587366B2 (en) * 2015-09-24 2020-03-10 Apple Inc. V2X performance enhancements in high speed environments
WO2017057987A1 (ko) * 2015-10-01 201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D2d 통신에서의 참조신호 송신 방법 및 단말
TWI575890B (zh) * 2015-10-19 2017-03-2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通訊接收端及其自動增益控制方法
CN107659965B (zh) * 2016-07-26 2023-05-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资源选择的方法及设备
US10389502B2 (en) * 2016-08-24 2019-08-20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equence selec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8307535B (zh) * 2016-08-25 2021-05-0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及设备
US10425264B2 (en) * 2017-01-09 2019-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1356310B2 (en) * 2017-02-06 2022-06-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izing performance impact from known signal distortions
CN108631912B (zh) * 2017-03-23 2021-09-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传输方法和装置
CN108631973B (zh) * 2017-03-23 2021-08-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指示的方法及设备
CN111434165B (zh) * 2017-06-16 2024-01-05 苹果公司 新无线电(nr)频域资源分配技术
CN109391403B (zh) * 2017-08-10 2021-07-06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信号的发送和接收的方法和装置
CN110999166B (zh) * 2017-09-07 2022-07-01 南通朗恒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12640542B (zh) * 2018-09-27 2024-02-20 富士通株式会社 参考信号的发送和接收方法以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27522A (zh) 2020-07-16
EP3910826A1 (en) 2021-11-17
TWI762850B (zh) 2022-05-01
JP2022516670A (ja) 2022-03-01
CN111431678B (zh) 2021-07-30
CN111431678A (zh) 2020-07-17
US20220077983A1 (en) 2022-03-10
JP7457028B2 (ja) 2024-03-27
WO2020143457A1 (zh) 2020-07-16
EP3910826A4 (en)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7838A (ko) 참조 신호의 전송 방법 및 기기
EP363390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CN113692059B (zh) 无线通信系统中的方法和设备
EP3042534B1 (en) Robust transmission on downlink discontinuous transmission carrier
JP5065389B2 (ja) Ofdm通信環境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アクセス要求
TWI772312B (zh) 基於無線網絡的通信方法、終端設備和網絡設備
US11258557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20110205995A1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for extended bandwidth systems
KR102180830B1 (ko) 채널 상태의 측정을 기반으로 기계 타입 통신을 위한 가상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장치
CN113812107A (zh) 用于波束故障恢复的装置和方法
US11206679B2 (en) Resour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403481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ing
KR20190053233A (ko)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057794B2 (en)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selecting a virtual carrier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s based on measurements of channel conditions
CN109120388B (zh) 参考信号配置、接收方法、基站、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003601A (ko) 신호 처리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
KR20180105683A (ko) 참고 신호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8702789B (zh) 用户设备、网络节点及其方法
EP3562070B1 (en) Data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device
KR20190054088A (ko)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92551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用于未授权带的有效子帧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装置
CN111585733A (zh) 用于数据传输的资源元素数量确定方法和装置
CN110890953A (zh) 使用免授权频段的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15089745A1 (zh) 一种获取、配置子帧结构的方法及网络设备
CN112584480A (zh) 旁路控制信息的处理方法、旁路传输方法及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