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376A - 자기 천공형 리벳의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천공형 리벳의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376A
KR20210106376A KR1020210021865A KR20210021865A KR20210106376A KR 20210106376 A KR20210106376 A KR 20210106376A KR 1020210021865 A KR1020210021865 A KR 1020210021865A KR 20210021865 A KR20210021865 A KR 20210021865A KR 20210106376 A KR20210106376 A KR 20210106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inlet
slot
sp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코 미즈카와
히로요 마키노
다이스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뉴프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프리 엘엘씨 filed Critical 뉴프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106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 B21J15/386Pliers for rive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B21J15/32Devices for inserting or holding rivets in position with or without fee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22Setting rivets by means of swaged-on locking collars, e.g. lock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25Setting self-piercing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16Drives for riveting machine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B21J15/32Devices for inserting or holding rivets in position with or without feeding arrangements
    • B21J15/34Devices for inserting or holding rivets in position with or without feeding arrangements for installing multiple-type tubular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6Rivet sets, i.e. tools for forming heads; Mandrels for expanding parts of hollow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 B21J15/42Special clamping devices for workpieces to be riveted together, e.g. operating through the rivet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6Holding or positioning the article in front of the applying t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23B2231/2089Slits of collets
    • B23B2231/2091Slits of collets extending from both axial ends of the col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2Bolts or sleeves for positioning of machine parts, e.g. notched taper pins, fitting pins, sleeves, eccentric position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짧은 치수의 SPR의 반전을 방지하는 리벳 체결 장치를 제공한다.
리벳을 송급하여 체결하는 것에 이용되는 원통형의 리벳 체결 장치는, 상기 리벳을 받아들여 지지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로부터 이어지는 제1 송급부와, 상기 제1 송급부에 대하여 상기 입구부와는 반대측으로 이어지는 제2 송급부와, 상기 제2 송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송급부와는 반대측으로 이어져, 상기 제2 송급부로부터 송급된 상기 리벳을 지지하는 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제1 송급부는 대각으로 적어도 2개의 제1 슬롯을 갖고 있고, 상기 제2 송급부 및 상기 출구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제1 송급부가 갖는 슬롯보다 많은 수의 제2 슬롯을 갖고 있고, 상기 리벳이 상기 입구부로부터 송급되어 상기 제1 송급부로 진입하면, 상기 제1 슬롯이 열림으로써 상기 제2 슬롯이 닫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기 천공형 리벳의 체결 장치{A DEVICE FOR FASTENING A SELF-PIERCING RIVET}
본 개시는, 자기 천공형 리벳(SPR: self-piercing rivet)을 송급 및 체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SPR을 송급 및 체결하기 위한 콜릿에 관한 것이다.
근년, 스폿 용접 등의 직접 접합 기술을 대체하는 기술로서, SPR을 이용하여 모재를 기계적으로 접합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SPR은, 산형 또는 접시형의 헤드부와, 헤드부 아래에 공동을 형성하는 반통형의 다리부를 갖는, 반통형의 리벳이다.
SPR의 때려 박음은 개략적으로 이하와 같은 수순으로 행해진다. 먼저, 접합 대상의 상판(예를 들어 알루미늄판)과 하판(예를 들어 고장력 강판)이 체결 장치의 다이와 노즈 피스에 의하여 클램프된다. 노즈 피스 내에 제공된 SPR이 펀치에 의하여 때려 박아 넣어지면, SPR의 다리부가 상판을 천공하여 관통한다. 상판을 관통한 SPR의 다리부가 하판 내로 진입하여 하판의 하면이 다이의 저부에 접하면, 다이의 캐비티의 저부가 하판을 되밀어낸다. 이 결과, SPR의 다리부는 하판으로부터 반력을 받아, 하판을 관통하는 일 없이 하판 내에서 환형으로 벌려진다. SPR의 다리부가 벌려짐으로써 기계적 인터로크가 형성되어 상판과 하판이 기계적으로 접합된다. 다이와 노즈 피스가 피접합 부재로부터 떨어져서 접합이 완료된다.
노즈 피스 내에 배치되어 SPR을 송급하는 종래의 콜릿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호 형상 좌우 2매의 콜릿을 맞추고 출구에 O링을 설치하여 고정하고 있다. 콜릿은, 좌우 2매를 맞춘 때 내경이 타원으로 되도록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테이퍼로 되어 있다. 맞춘 콜릿 내를 진원의 리벳이 통과할 때, O링이 리벳 플랜지 직경까지 신장되어 개구되기 때문에 2매 맞춤의 간극이 커져서, 5㎜ 이하의 짧은 SPR(축부 길이가 플랜지 직경보다 짧은 SPR)의 경우, 반전되는 스페이스가 생겨 버린다. 또한 O링에 확장 부하가 걸려서, 일정 횟수 사용하면 O링의 설치용 가공 홈의 에지에서 O링이 열상을 입어 파단되어 버린다. SPR의 동작 중, 콜릿은 노즈 피스 내에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O링이 파단된 것을 알아채기 어려우며, 그대로 사용하면 콜릿 내에서 리벳을 보유 지지할 수 없게 되어 반전되어 버린다.
일본 특허 제4355380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짧은 치수의 SPR의 반전을 방지함과 함께 열상을 입기 어려운 리벳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리벳을 송급하여 체결하는 것에 이용되는 원통형의 리벳 체결 장치이며,
상기 리벳을 받아들여 지지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로부터 이어져, 상기 리벳을 송급하도록 구성된 제1 송급부와,
상기 제1 송급부에 대하여 상기 입구부와는 반대측으로 이어져, 상기 리벳을 송급하도록 구성된 제2 송급부와,
상기 제2 송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송급부와는 반대측으로 이어져, 상기 제2 송급부로부터 송급된 상기 리벳을 지지하는 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제1 송급부는 대각으로 적어도 2개의 제1 슬롯을 갖고 있고,
상기 제2 송급부 및 상기 출구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제1 송급부가 갖는 슬롯보다 많은 수의 제2 슬롯을 갖고 있고,
상기 리벳이 상기 입구부로부터 송급되어 상기 제1 송급부로 진입하면, 상기 제1 슬롯이 열림으로써 상기 제2 슬롯이 닫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벳 체결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2 송급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리벳 체결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송급부의 살 두께는 상기 제1 송급부의 살 두께보다 얇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벳 체결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구부의 살 두께는 상기 제2 송급부의 살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벳 체결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1 슬롯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벳 체결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슬롯의 수는 2개이고, 상기 제2 슬롯의 수는 6개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벳 체결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부는 상기 제1 송급부보다 슬롯 폭이 좁고, 상기 출구부는 상기 제2 송급부보다 슬롯 폭이 좁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벳 체결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부, 제1 송급부, 제2 송급부 및 상기 출구부는 일체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리벳 체결 장치를 내측에 배치하는 케이스이며,
상기 리벳이 상기 출구부에 도달한 때, 상기 출구부의 상기 제2 슬롯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져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치수의 SPR의 송급 시에 반전을 방지함과 함께 열상을 입기 어려운 리벳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리벳을 송급 및 체결하는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리벳을 송급 및 체결하는 시스템(10)의 A-A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콜릿(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콜릿(100)의 정면도(a), 배면도(b), 좌측면도(c), 우측면도(d), 평면도(e), 저면도(f) 및 g-g 선 단면도(g)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관한 콜릿(100)을 이용한 SPR(204)의 송급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의 스케일은 일정하지 않다.
[리벳을 송급 및 체결하는 시스템의 구성]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리벳을 송급 및 체결하는 시스템(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리벳을 송급 및 체결하는 시스템(10)에 의하여 피체결 부재가 보유 지지되어 있는 부분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리벳 공급 장치로부터 하나씩 공급되는 자기 천공형 리벳(SPR)을 수취하는 리시버(101)와, 공급된 SPR을 때려 박기 위한 펀치(102)와, 펀치(102)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펀치 홀더(103)와, 펀치(102)의 때려 박음 시의 직선 운동을 보호하는 노즈 피스(104)와, 피체결 부재의 일부에 맞닿는 다이(105)와, 일단이 다이(105)에 연결된, 다이(105)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C 프레임(106)을 갖는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C 프레임(106)의 타단은, 펀치 홀더(103)를 수용하는,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을 보유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시버(101)는, 리벳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SPR이 통과하는 통로(101b)와, 통로(101b)를 통과하는 SPR의 전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벳 통과 방지벽(101c)을 갖는다. 리벳 공급 장치는 압축 공기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SPR을 공급하며, 리시버(101)에는 그 압축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배기구(101a, 101d)가 구비되어 있다. 리시버(101)의 상부에는 오목부(101e)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101e)에는 펀치 홀더(103)의 선단부가 끼워맞춰진다. 리시버(101)는, 오목부(101e)를 형성하는 벽면의 일부에, 오목부(101e)로 돌출하도록 볼록부(101f)를 가짐과 함께, 볼록부(101f)와 반대측의 벽면에는, 오목부(101e)에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관통 홈(101g)을 갖는다. 리시버(101)의 하부에는 오목부(101h)가 형성되어 있으며, 콜릿(100)이 노즈 피스(104)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즈 피스(104)가 오목부(101h)로 압입된다.
펀치 홀더(103)는 펀치(102)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펀치 홀더(103)를 수용하는,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이 C 프레임(106)의 일단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펀치 홀더(103)의 선단부에는, 리시버(101)의 볼록부(101f)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형성된 오목 홈(103a)과, 펀치 홀더(103)와 리시버(101)를 끼워맞출 때 리시버(101)의 관통 홈(101g)과 대향하도록 형성된 관통 홈(103b)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 홈(103a)은 펀치 홀더(103)의 선단부를 주위 방향으로, 예를 들어 1/4주 연장하고, 또한 펀치 홀더(103)의 선단을 향하여 축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리시버(101)의 볼록부(101f)가 펀치 홀더(103)의 선단 홈으로부터 안내되어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고, 또한 주위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도 2와 같은 상태로 된다. 리시버(101)의 관통 홈(101g)과 펀치 홀더(103)의 관통 홈(103b)은 대향함으로써 일체적으로 관통 구멍을 형성한다. 이 관통 구멍에, 도시되지 않은 봉형의 로크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펀치 홀더(103)와 리시버(101)가 고정된다.
펀치(102)는, 공급된 SPR(204)을 피결합 부재(201, 202)에 때려 박기 위한 봉형 부재이다. SPR(204)이 리벳 통과 방지벽(101c)에 맞닿기까지 송출되어, 리벳 통과 방지벽(101c)과,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한 리벳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하여 보유 지지되면, 펀치(102)는 SPR(204)을 피결합 부재(201, 202)에 때려 박아 넣는다. 펀치(102)의 때려 박음 동작은 리벳 때려 박음 장치에 의하여 행해진다.
노즈 피스(10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근원부가 리시버(101)의 오목부(101h)로 압입됨으로써 리시버(101)에 설치된다. 노즈 피스(104)의 내부는, 콜릿(100)을 수용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되어 있으며, 노즈 피스(104)의 공동에 콜릿(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노즈 피스(104)는 리시버(101)의 오목부(101h)로 압입된다. 노즈 피스(104)는, 그 선단이 상판(201)에 맞닿아서 다이(105)와 함께 상판(201)과 하판(202)을 클램프한다.
리시버(101), 펀치 홀더(103) 및 노즈 피스(104)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노즈 피스(104)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이(105)는, 상판(201), 하판(202)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SPR(204)의 때려 박음 시에 다리부(204b)를 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이(105)는 그 헤드부에, SPR(204)의 다리부(204b)의 외경보다도 큰 직경의 캐비티(105a)를 갖는다.
C 프레임(106)의 일단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105)를 보유 지지한다. 또한 C 프레임(106)의 타단은, 펀치 홀더(103)를 수용하는,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과 고정되어 있다. SPR의 때려 박음에서는, 전형적으로는 20 내지 100kN의 강한 힘이 SPR에 인가되므로, C 프레임(106)은, 그와 같은 강한 힘이 인가되더라도 얼라인먼트가 무너지지 않는 강성을 갖는 재료로 되어 있다.
[리벳 체결 장치(콜릿)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리벳 체결 장치(콜릿(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콜릿(100)의 정면도(a), 배면도(b), 좌측면도(c), 우측면도(d), 평면도(e), 저면도(f) 및 g-g 선 단면도(g)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콜릿(10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SPR이 송급되는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입구부(200), 제1 송급부(220), 제2 송급부(230) 및 출구부(240)를 갖고 있고, 이들은 일체 성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입구부(200) 및 제1 송급부(220)에는 슬롯(212)이 대각으로 2개 들어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12)은 제2 송급부(230)의 제1 송급부(220)측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슬롯(212)의 일례로서 길이는 30㎜, 폭은 1.2㎜이다. 또한 입구부(200)의 슬롯(212)이 들어가 있는 부분은, 드로잉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서 슬롯 폭을 축소시키며, 단면의 리벳 입구 직경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롯(212)은 이 타원형의 장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입구부(200)는 2개로 분리된다. 이 타원형의 단축의 길이는 SPR의 플랜지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SPR을 입구부(200)에서 보유 지지할 수 있어서 콜릿(100) 내로 낙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구부(200)의 개구 형상은, SPR의 플랜지부가 끼워넣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리시버(101)로부터 받아들인 SPR을, 입구부(200)에서 SPR이 반전되는 스페이스를 만들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입구부(200)에서 보유 지지된 SPR이 펀치(102)에 의하여 콜릿(100)의 원통형의 축 방향으로 가압되면, 슬롯(212)의 2매 맞춤의 간극이 커져서 입구부(200)의 개구가 타원형으로부터 단축 방향으로 넓어진다. 그리고 입구부(200)의 단축 방향의 내경이 SPR의 플랜지 직경까지 넓어짐으로써 SPR은, 플랜지 부분이 입구부(200)의 내경을 따라 축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1 송급부(220)는, 입구부(200)에 대하여 SPR이 흐르는 방향의 하류측으로 이어져 있으며, 입구부(200)로부터 삽입된 SPR을 송급한다. 제1 송급부(220)는, 입구부(200)측의 부분에 드로잉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입구부(200)의 슬롯(212)이 열려서 SPR이 통과할 때, 입구부(200)로 이어지는 제1 송급부(220)의 내경은 이에 연동하여 넓어지도록 구성되며, SPR은, 플랜지 부분이 제1 송급부(220)의 내면을 따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제2 송급부(230)는, 제1 송급부(220)에 대하여 입구부(200)과는 반대측으로 이어져 있으며, SPR을 출구부(240)까지 송급한다. 제2 송급부(230)는, 출구부(240)측으로부터 이어지는 슬롯(222)을 원통 6분할로 갖고 있어서 6매의 클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일례에서는, 슬롯의 길이는 39㎜, 폭은 1㎜이다. 또한 입구부(200)로부터 제1 송급부(220)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212)은 제2 송급부(230)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 경우, 제2 송급부(230)에 실시되어 있는 슬롯(212)은, 6매의 슬롯(222)을 3개씩으로 나누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2 송급부(230)의 제1 송급부(220)측의 부분은, 2매의 슬롯(212)과 6매의 슬롯(222)의 양쪽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입구부(200)로부터 SPR이 진입함으로써 상류측의 2분할 부분(슬롯(212))이 열리면, 제2 송급부(230)로부터 출구부(240)까지의 하류측의 6분할 클로 부분(슬롯(222))이 닫히는 작용이 기능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작용은, 하류측의 슬롯(222)의 수를 상류측의 슬롯(212)의 수보다 많게 하는 것 외에, 하류측의 6분할 클로 부분(슬롯(222))의 길이를 상류측의 2분할 부분(슬롯(2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기능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2 송급부(230)는, 입구부(200) 및 제1 송급부(220)보다 살 두께를 얇게 하여 좁힘으로써 탄력성을 갖게 하고 있다.
출구부(240)는, 제2 송급부(230)로부터 송급된 SPR을 체결할 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출구부(240)는, 입구부(200)와 마찬가지로 드로잉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며, SPR이 펀치(102)에 의하여 압박되지 않는 한, SPR이 출구부(240)를 통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출구부(240)는 제2 송급부(230)보다 살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SPR이 통과할 때, 외측을 덮고 있는 노즈 피스(104)의 내경과의 간극을 적게 하여 필요 이상으로 넓어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입구부(200)의 슬롯(212)은, 드로잉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며, 제1 송급부(220)의 슬롯(212)보다 슬롯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출구부(240)의 슬롯(222)도, 드로잉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며, 제2 송급부(230)의 슬롯(222)보다 슬롯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입구부(200) 및 출구부(240)에서는, 입구부(200)를 SPR이 통과할 때 입구부(200)가 넓어지기 때문에 출구부(240)가 좁혀져, SPR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충분한 텐션이 걸려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콜릿(100)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각에 슬롯을 형성해 둠으로써, 콜릿(100) 내를 SPR이 통과할 때,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항시 SPR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정도로 텐션이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SPR의 상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콜릿(100)의 출구부(240)까지 장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재질을, 강성이 높은 것을 상정하여 상류측의 슬롯(212)을 2매로 하고 하류측의 슬롯(222)을 6매로 하였지만, 슬롯(212)을 4매로 하고 슬롯(222)을 8매로 하는 등 슬롯의 수를 늘려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재료를 수지 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슬롯의 수를 늘리는 구조로 함으로써, 종래의 2매의 슬롯에 비해 SPR에 대하여 내측으로 안정된 텐션을 주면서 더 원활히 송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콜릿(100)의 선단 직경이 넓어짐을 억제함으로써 SPR이 반전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콜릿(100)에 형성된 슬롯(212 및 222)의 각각은, 콜릿(100)의 축 방향의 전체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일체 성형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종래 필요하다고 여겨진 O링은 불요로 된다.
[콜릿을 이용한 SPR의 송급 동작]
도 5는, 일 실시예에 관한 콜릿(100)을 이용한 SPR(204)의 송급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리시버(101)로부터 송급된 SPR(204)을 입구부(200)에 있어서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는, 입구부(200)의 내경보다 SPR의 플랜지 부분의 외경이 크기 때문에 입구부(200)에 있어서 SPR(204)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 5의 (b)는, 펀치(102)에 의하여 SPR(204)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제1 송급부(220)에 도달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는, 펀치(102)에 의하여 SPR(204)을 압출하면 콜릿(100)의 상부의 2분할 부분(슬롯(212))이 열려서 하부의 6분할 부분(슬롯(222))이 닫히도록 되어 있다. 도 5의 (b)의 부호 300은, 상부의 2분할 부분(슬롯(212))이 열린 상황을 도시하고 있고, 부호 310은, 하부의 6분할 부분(슬롯(222))이 닫힌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슬롯을 각각 별개로 가짐으로써, 항시 SPR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정도로 텐션이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의 (c)에서는, SPR(204)이 펀치(102)에 의하여 하방으로 더 압박되어, 제1 송급부(220) 및 제2 송급부(230)를 통과하여 출구부(240)에 도달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는, SPR(204)의 통과에 수반하여 출구부(240)의 6분할(슬롯(222))이, 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즈 피스(104)의 내경까지 열려 있으며, SPR(204)의 상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콜릿(100)의 선단인 출구부(240)까지 장전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SPR(204)을 이용한 체결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콜릿(100)의 출구부(240)는, 콜릿(100)의 케이스로서 기능하는 노즈 피스(10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SPR(204)이 출구부(240)에 도달한 때, 출구부(240)의 직경 방향의 외면은 노즈 피스(104)의 내면에 맞닿아, 이를 넘어서서 넓어질 수는 없어서, SPR(204)을 출구부(240) 내에서 반전될 수 없도록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체결 시의 SPR(204)의 센터링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SPR을 송급 및 체결하기 위한 콜릿의 일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해 왔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것에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임은 용이하게 이해된다. 그리고 그것들이 특허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에 기재한 사항, 및 그것과 균등한 사항의 범위 내에 있는 한,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예는, 송급할 대상을 SPR로 하는 것이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이 이 특정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시스템
100: 콜릿
101: 리시버(노즈 피스 지지부)
101a: 배기구
101b: 통로
101c: 리벳 통과 방지벽
101d: 배기구
101e: 오목부
101f: 볼록부
101g: 관통 홈
101h: 오목부
102: 펀치
103: 펀치 홀더
103a: 오목 홈
103b: 관통 홈
104: 노즈 피스
105: 다이
105a: 캐비티
106: C 프레임
200: 입구부
212: 2분할 부분
220: 제1 송급부
222: 6분할 부분
230: 제2 송급부
240: 출구부
201: 상판
202: 하판
204: 자기 천공형 리벳

Claims (9)

  1. 리벳을 송급하여 체결하는 것에 이용되는 원통형의 리벳 체결 장치이며,
    상기 리벳을 받아들여 지지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로부터 이어져, 상기 리벳을 송급하도록 구성된 제1 송급부와,
    상기 제1 송급부에 대하여 상기 입구부와는 반대측으로 이어져, 상기 리벳을 송급하도록 구성된 제2 송급부와,
    상기 제2 송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송급부와는 반대측으로 이어져, 상기 제2 송급부로부터 송급된 상기 리벳을 지지하는 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제1 송급부는 대각으로 적어도 2개의 제1 슬롯을 갖고 있고,
    상기 제2 송급부 및 상기 출구부는,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제1 송급부가 갖는 슬롯보다 많은 수의 제2 슬롯을 갖고 있고,
    상기 리벳이 상기 입구부로부터 송급되어 상기 제1 송급부로 진입하면, 상기 제1 슬롯이 열림으로써 상기 제2 슬롯이 닫히도록 구성되는,
    리벳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2 송급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리벳 체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급부의 살 두께는 상기 제1 송급부의 살 두께보다 얇은, 리벳 체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의 살 두께는 상기 제2 송급부의 살 두께보다 두꺼운, 리벳 체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1 슬롯의 길이보다 긴, 리벳 체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의 수는 2개이고,
    상기 제2 슬롯의 수는 6개인, 리벳 체결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제1 송급부보다 슬롯 폭이 좁고,
    상기 출구부는 상기 제2 송급부보다 슬롯 폭이 좁은, 리벳 체결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제1 송급부, 제2 송급부 및 상기 출구부는 일체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리벳 체결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상기 리벳 체결 장치를 내측에 배치하는 케이스이며,
    상기 리벳이 상기 출구부에 도달한 때, 상기 출구부의 상기 제2 슬롯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져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맞닿는, 케이스.
KR1020210021865A 2020-02-19 2021-02-18 자기 천공형 리벳의 체결 장치 KR20210106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26325A JP7407015B2 (ja) 2020-02-19 2020-02-19 自己穿孔型リベットの締結装置
JPJP-P-2020-026325 2020-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76A true KR20210106376A (ko) 2021-08-30

Family

ID=7466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865A KR20210106376A (ko) 2020-02-19 2021-02-18 자기 천공형 리벳의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07728B2 (ko)
EP (1) EP3868489A1 (ko)
JP (1) JP7407015B2 (ko)
KR (1) KR20210106376A (ko)
CN (1) CN1132754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8207A1 (de) 2022-10-25 2024-04-25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Montageanordnung
CN117733058B (zh) * 2024-01-26 2024-05-28 广州德马威工业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spr自冲刺铆接设备送料装置铆钉防翻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5380B2 (ja) 1997-11-06 2009-10-28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ヘッド及びシャンクを備えた細長い部品のためのコンベ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265A (en) * 1897-03-23 guliok
GB1118828A (en) * 1965-07-01 1968-07-03 Silbert Colin Davie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hucks for high speed rotary tools
SE368917B (ko) * 1969-03-24 1974-07-29 Bofors Ab
DE3344232A1 (de) * 1982-03-20 1985-06-20 Adolf Würth GmbH & Co KG, 7118 Künzelsau Rahmenbefestigungsduebel
EP0746431B1 (en) * 1993-01-07 2003-04-02 Henrob Limited Improved fastening tools
JP3321678B2 (ja) * 1993-03-30 2002-09-03 エヌティーツール株式会社 給油用コレット
DE19607446A1 (de) * 1996-02-28 1997-09-04 Wuerth Adolf Gmbh & Co Kg Schlagdübel
JP3692016B2 (ja) 2000-06-06 2005-09-07 株式会社ミスミ特殊 コアドリルを回転駆動部へ接続するための接続装置
JP4011524B2 (ja) 2003-07-09 2007-11-21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スタッド溶接装置
US7673882B2 (en) * 2005-03-04 2010-03-09 Tanga Robert P Collet holder for a multi-jaw chuck
DE102007031183B4 (de) 2007-07-04 2011-01-20 Zimmer, Günther Dübel für selbsttätigen Deckplattenhintergriff und dessen Setzverfahren
DE102008033371A1 (de) * 2008-07-08 2010-01-14 Newfrey Llc, Newark Bolzenhalteeinrichtung
DE102008051488A1 (de) * 2008-10-13 2010-04-15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Kopfstück für ein Setzgerät
US20100171275A1 (en) * 2009-01-02 2010-07-08 Bill Nguyen Collet with multiple keys way
DE102009024433A1 (de) * 2009-06-05 2010-12-09 Newfrey Llc, Newark Vereinzelungsschieber für eine Vorrichtung zum Zuführen eines Verbindungselements
US20180009041A1 (en) 2016-07-06 2018-01-11 Chin-Chiu Chen Easily detachable collet
US10399150B2 (en) * 2017-06-05 2019-09-03 Kennametal Inc. Sealed collet
GB2569127A (en) * 2017-12-05 2019-06-12 Atlas Copco Ias Uk Ltd Nose arrangements for fastener setting machines, and related methods
US10576551B1 (en) * 2018-09-14 2020-03-03 Shin-Yain Industrial Co., Ltd. Coolant collet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5380B2 (ja) 1997-11-06 2009-10-28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ヘッド及びシャンクを備えた細長い部品のためのコンベ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30122A (ja) 2021-09-09
JP7407015B2 (ja) 2023-12-28
US11207728B2 (en) 2021-12-28
CN113275498A (zh) 2021-08-20
US20210252585A1 (en) 2021-08-19
EP3868489A1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6376A (ko) 자기 천공형 리벳의 체결 장치
JP5687292B2 (ja) プラスチック製のリベット本体をもつブラインド・リベット
KR101278080B1 (ko) 이젝터용 조임 슬리브, 및 장착 방법
JP5175091B2 (ja) 固定装置のための案内装置
US10618100B2 (en) Method of fastening a rivet element and corresponding fastening system
ATE360155T1 (de) Selbststanzende blindniete
US11313498B2 (en) Profiled clamp
EP1225990A1 (en) Rivet, riveted joint structure, riveting apparatus, and riveting method
CN103180066B (zh) 铆钉安装工具
US20230079656A1 (en) Tensioning apparatus for a safety belt component
JP2004074403A (ja) ファスナ打込み工具用安定化マガジンフォロア
JPS5962712A (ja) 片側作業用リベツト組立体
KR102079672B1 (ko) 유체압 실린더
JP2007222885A (ja) リベットを用いた複数の部材の連結方法及び装置
KR20080110362A (ko) 셀프 피어싱 장치용 앤빌유닛
US9109618B2 (en) Blind rivet with a plastic rivet body
JP6122434B2 (ja) プラスチック製のリベット本体をもつブラインド・リベット
KR20170065627A (ko) 수직 전회전 북집
CN111412209B (zh) 连结紧固件
US20220250172A1 (en) Insert holder and cutting too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2022107136A (ja) クリップ
KR20080025890A (ko) 물체를 차체 패널에 리벳팅 장착시 장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핀을 겸용하는 리벳 마운팅 장치
KR20220095639A (ko) 조립대상체 조립용 다기능앵커 및 이를 이용한 조립대상체 조립구조
JP2022041461A (ja) 部材取付け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た排水栓開閉操作装置
KR20040011930A (ko) 패널과 부품의 볼트 결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