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323A -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323A
KR20210106323A KR1020200141136A KR20200141136A KR20210106323A KR 20210106323 A KR20210106323 A KR 20210106323A KR 1020200141136 A KR1020200141136 A KR 1020200141136A KR 20200141136 A KR20200141136 A KR 20200141136A KR 20210106323 A KR20210106323 A KR 20210106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tation
unit
sensing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172B1 (ko
Inventor
여주희
정경환
Original Assignee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094,12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49656B2/en
Publication of KR20210106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05B17/042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using toothed wheels or geared s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2063/0082Locking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썸턴과, 키뭉치와, 상기 썸턴과 상기 키뭉치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를 구비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샤프트에 외삽하는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상태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정도에 관한 회전정보를 생성하는 회전정보생성부;를 구비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썸턴과, 키뭉치와, 상기 썸턴과 상기 키뭉치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와, 상기 연결샤프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상기 연결샤프트의 움직임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이전 움직임 정보와 현재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움직임 정보에 대한 변동정보를 생성하는 변동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비교모듈; 및 상기 비교모듈에서 생성한 상기 변동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변동정보의 저장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의하면, 센서를 사용하여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데드락의 구동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Smart deadlock system}
본 발명은 데드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에 설치하는 도어락은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한 후에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한 출입 레버를 당겨서 출입문을 여는 것이 일반적이다.
출입문에 설치하는 도어락은 도어락 자체에 잠금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도어락은 출입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서 파손등과 같은 외부의 충격에 약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도어락은 순수한 잠금기능만을 가지는 데드락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데드락은 출입문 내부는 썸턴(thumb-turn)을 돌려서 문을 열고, 출입문 외부는 열쇠를 사용하여 문을 여는 방식이다.
데드락은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열쇠를 사용한 수동개폐를 방식이다. 따라서 외부의 물리력을 동원하지 않으면 열쇠 없이는 잠겨있는 출입문을 개방할 수 없다. 또한 열쇠는 일반적으로 복재가 번거롭기 때문에 분실하지만 않는다면 출입문의 폐쇄가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수동개폐 방식만을 사용하는 것는 열쇠를 항상 소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열쇠를 분실했을 때 데드락에 맡는 열쇠를 새로 만들거나, 출입문을 부셔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또한,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신속한 대처가 어려워 피해가 가중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열쇠를 사용한 출입문의 물리적 개폐를 유지하여 보안성을 가지면서, 스마트폰과 같은 ICT 기술을 활용한 자동개폐를 적용하여 편리함을 높인 데드락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등록공보 제10-1329600호 (공개 2013.11.14.)
본 발명의 목적은 본래 데드락이 가지는 물리적인 수동개폐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자동개폐를 동시에 적용하여 높은 보안성과 편리함을 동시에 가지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ICT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등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나, 진동/화재와 같은 외부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내부에 장착하여 외부에서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를 할 수 있고, 돌발상황에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왔을 때에는 자동개폐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수동개폐와 자동개폐의 선택을 통해 편의성을 높인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썸턴과, 키뭉치와, 상기 썸턴과 상기 키뭉치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를 구비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샤프트에 외삽하는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상태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정도에 관한 회전정보를 생성하는 회전정보생성부;를 구비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썸턴과, 키뭉치와, 상기 썸턴과 상기 키뭉치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와, 상기 연결샤프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상기 연결샤프트의 움직임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이전 움직임 정보와 현재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움직임 정보에 대한 변동정보를 생성하는 변동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비교모듈; 및 상기 비교모듈에서 생성한 상기 변동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변동정보의 저장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은 센서를 사용하여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데드락의 구동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래 데드락이 가지는 물리적인 수동개폐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자동개폐를 동시에 적용하여 높은 보안성과 편리함을 동시에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ICT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 등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나, 진동/화재와 같은 외부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내부에 장착하여 외부에서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를 할 수 있고, 돌발상황에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왔을 때에는 자동개폐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수동개폐와 자동개폐의 선택을 통해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에 대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재가 구동기어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신부가 발생부의 광원을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재가 구동기어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신부가 발생부의 광원을 수신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재가 감지회전판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신부가 발생부의 광원을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재가 감지회전판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신부가 발생부의 광원을 수신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에 대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재가 구동기어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신부가 발생부의 광원을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재가 구동기어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신부가 발생부의 광원을 수신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재가 감지회전판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신부가 발생부의 광원을 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감지부재가 감지회전판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수신부가 발생부의 광원을 수신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은, 썸턴(151)과, 키뭉치(241)와, 썸턴(151)과 키뭉치(241)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152)를 구비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샤프트(152)에 외삽하는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상태에 관한 감지정보(id)를 생성하는 감지부(410); 및 감지부(410)로부터 감지정보(id)를 수신하고, 감지정보(id)에 기초하여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정도에 관한 회전정보(ir)를 생성하는 회전정보생성부(420);를 구비하는 센서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은, 썸턴(151)과, 키뭉치(241)와, 썸턴(151)과 키뭉치(241)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152)를 구비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이며, 특히 연결샤프트(152)에 외삽하는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센서모듈(400)은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상태에 관한 감지정보(id)를 생성하는 감지부(410); 및 감지정보(id)에 기초하여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정도에 관한 회전정보(ir)를 생성하는 회전정보생성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감지부(410)는 연결샤프트(152)에 외삽하는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상태에 관한 감지정보(id)를 생성한다.
회전감지부재(900)는 연결샤프트(152)에 외삽되어 연결샤프트(152)와 함께 회전하며, 이에 따라 감지부(410)에 의해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연결샤프트(152)의 움직임(회전 정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감지부(410)는 회전감지부재(900)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회전감지부재(900) 방향으로 소정의 광원(L)을 발생시키는 발생부(411); 및 회전감지부재(900)의 타측에 위치하여 회전감지부재(900)를 통과한 광원(L)을 수신하는 수신부(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발생부(411)는 연결샤프트(152)에 외삽되어 있는 회전감지부재(900)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회전감지부재(900) 방향으로 소정의 광원(L)을 발생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발생부(411)는 회전감지부재(900)가 삽입된 연결샤프트(152) 중심부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외측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발생부(411)가 발생시키는 광원(L)은 일예로 레이저(laser) 광선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감지부재(900)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수신부(412)에 도달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광원이 발생부(411)가 발생시키는 광원(L)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수신부(412)는 회전감지부재(900)의 타측에 위치하여 회전감지부재(900)를 통과한 광원(L)을 수신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수신부(412)는 회전감지부재(900)가 삽입된 연결샤프트(152) 중심부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외측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수신부(412)는 발생부(411)에 대향하는 곳에 위치하여 회전감지부재(900)를 통과한 광원(L)을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10)는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감지정보(id)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감지정보(id)에는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한 것에 관한 정보 및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지 못한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감지부재(900)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이(tooth)를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하는 구동기어(163)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구동기어(163)의 회전 상태에 따라, 발생부(411)에서 발생시킨 광원(L)이 구동기어(163)의 외측부분을 통과하여 수신부(412)에 수신되거나,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연결샤프트(152)에 외삽된 구동기어(163)의 회전 상태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 발생부(411)에서 발생한 광원(L)은 기어의 이 사이를 통과하여 수신부(412)에 수신될 수 있다.
반대로, 연결샤프트(152)에 외삽된 구동기어(163)의 회전 상태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 발생부(411)에서 발생한 광원(L)은 기어의 이에 의해 차단되어 수신부(412)에 수신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부(410)는 감지정보(id)로서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한 것에 관한 정보 또는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지 못한 것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감지부재(900)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광원통과홀(164-1)을 외측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회전감지판(164)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회전감지판(164)의 회전 상태에 따라, 발생부(411)에서 발생시킨 광원(L)이 회전감지판(164)의 광원통과홀(164-1)을 통과하여 수신부(412)에 수신되거나,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연결샤프트(152)에 외삽된 회전감지판(164)의 회전 상태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 발생부(411)에서 발생한 광원(L)은 회전감지판(164)의 광원통과홀(164-1)을 통과하여 수신부(412)에 수신될 수 있다.
반대로, 연결샤프트(152)에 외삽된 회전감지판(164)의 회전 상태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 발생부(411)에서 발생한 광원(L)은 회전감지판(164)의 외측부분에 의해 차단되어 수신부(412)에 수신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감지부재(900)를 회전감지판(164)으로 구비시키는 경우, 구동기어(163)의 이 마모에 의해 구동기어(163)의 회전 상태가 오감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감지부(410)는 감지정보(id)로서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한 것에 관한 정보 또는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지 못한 것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410)는 감지정보(id)를 생성하여 센서모듈(400)의 회전정보생성부(420)에 전송한다.
회전정보생성부(420)는 감지부(410)로부터 감지정보(id)를 수신하고, 감지정보(id)에 기초하여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정도에 관한 회전정보(ir)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정보(id)는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한 것에 관한 정보 또는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지 못한 것에 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정보생성부(420)는 감지부(410)로부터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한 것에 관한 정보 또는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지 못한 것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회전정보생성부(420)는 감지부(410)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id)를 기초로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정도에 관한 회전정보(ir)를 생성한다.
예컨대, 회전정보생성부(420)는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한 것에 관한 정보 및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지 못한 것에 관한 정보가 교번되어 수신된 횟수에 따라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정도에 관한 회전정보(ir)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회전감지부재(900)가 회전하는 경우, 감지부(410)는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한 것에 관한 정보 및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지 못한 것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교번되게 형성하게 되므로,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한 것에 관한 정보 및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지 못한 것에 관한 정보가 교번되어 생성된 횟수에 따라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감지부재(900)의 회전 정도가 커질수록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한 것에 관한 정보 및 수신부(412)가 광원(L)을 수신하지 못한 것에 관한 정보가 교번되어 생성된 횟수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회전정보생성부(420)는 감지부(410)로부터 감지정보(id)를 수신하여 회전정보(ir)를 생성할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 생성된 회전정보(ir)로부터 회전감지부재(900)를 외삽한 연결샤프트(152)의 움직임(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은, 썸턴(151)과, 키뭉치(241)와, 썸턴(151)과 키뭉치(241)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152)와, 연결샤프트(152)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400)을 구비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모듈(400)로부터 연결샤프트(152)의 움직임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이전 움직임 정보와 현재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510)와, 움직임 정보에 대한 변동정보(is)를 생성하는 변동정보생성부(520)를 포함하는 비교모듈(500); 및 비교모듈(500)에서 생성한 변동정보(is)를 수신하여 변동정보(is)의 저장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400)은 전술한 센서모듈(400)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모듈(4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교모듈(500)은 센서모듈(400)로부터 연결샤프트(152)의 움직임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이전 움직임 정보와 현재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510)와, 움직임 정보에 대한 변동정보(is)를 생성하는 변동정보생성부(520)를 포함한다.
먼저, 비교부(510)는 센서모듈(400)로부터 연결샤프트(152)의 움직임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이전 움직임 정보와 현재 움직임 정보를 비교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회전정보생성부(420)가 생성한 회전정보(ir)로부터 회전감지부재(900)를 외삽한 연결샤프트(152)의 움직임(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연결샤프트(152)의 움직임 정보는 전술한 회전정보(ir)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연결샤프트(152)의 움직임 정보는 회전정보생성부(420)가 생성하는 회전정보(ir)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회전정보(ir)는 순차적으로 비교부(510)에 전달된다. 즉,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회전정보(ir)가 회전정보생성부(420)에서 비교부(510)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전 회전정보(ir)는 현재 회전정보(ir) 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회전정보생성부(420)에서 생성되어 비교부(510)로 전달된 것이다.
비교부(510)는 이전 회전정보(ir)와 현재 회전정보(ir)를 비교하여, 변동정보생성부(520)에 전달한다.
여기서, 비교부(510)는 이전 회전정보(ir)와 현재 회전정보(ir)의 동일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변동정보생성부(520)는, 현재 회전정보(ir)를 변동정보(is)로 생성한다.
비교부(510)는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이전 회전정보(ir)와 현재 회전정보(ir)를 비교하여, 이전 회전정보(ir)와 현재 회전정보(ir)의 동일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이전 회전정보(ir)와 현재 회전정보(ir)의 비교 결과가 동일한 것으로 판정되면, 변동정보생성부(520)는 변동정보(is)를 생성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전 회전정보(ir)와 현재 회전정보(ir)의 비교 결과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변동정보생성부(520)는 현재 회전정보(ir)를 변동정보(is)로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연결샤프트(152)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인 경우에는 변동정보(is)를 생성하지 않고, 연결샤프트(152)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변동정보(is)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어서, 제어모듈(600)은 비교모듈(500)에서 생성한 변동정보(is)를 수신하여 변동정보(is)의 저장위치를 제어한다.
제어모듈(600)은 비교모듈(500)에서 생성한 변동정보(is)를 전달받아 변동정보(is)의 저장위치를 제어한다.
제어모듈(600)은 비교모듈(500)의 생성부(520)에서 생성된 변동정보(is)를 전달받고, 변동정보(is)의 저장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모듈(600)에서 전달받은 변동정보(is)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700); 제어모듈(600)에서 전달받은 변동정보(is)를 전송하는 통신모듈(800); 변동정보(is)를 저장하는 저장부(11)와, 구동명령(io)을 전송하는 전달부(12)를 포함하고,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10)를 포함한다.
메모리모듈(700)은 데드락 내부에 구성한 것으로 제어모듈(600)에서 전달받은 변동정보(is)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모듈(800)은 제어모듈(600)에서 전달받은 변동정보(is)를 후술할 외부의 휴대용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는 변동정보(is)를 저장하는 저장부(11)와 구동명령(io)을 전송하는 전달부(12)를 포함하며,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거나 NFC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제어모듈(600)은 변동정보(is)를 메모리모듈(70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되, 휴대용 단말기(10)가 통신모듈(800)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변동정보(is)를 메모리모듈(700)을 거치지 않고 통신모듈(800)로 휴대용 단말기(10)에 전달하여 저장부(11)에 저장한다.
제어모듈(600)은 변동정보(is)의 저장위치를 결정한다. 휴대용 단말기(10)가 통신모듈(800)에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면 변동정보(is)를 메모리모듈(700)에 저장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10)에 저장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가 통신모듈(80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변동정보(is)를 메모리모듈(700)에 저장하는 것이다.
구동기어(163)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는 휴대용 단말기(10)의 구동명령(io)을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아 구동기어(163)를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은 통신모듈(800)에서 변동정보(is)를 전달받아 서버(20)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브릿지; 무선통신 브릿지에서 전달받은 변동정보(is)를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기(10)로 전달하는 서버(20); 서버(20)에서 변동정보(is)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13)와, 구동명령(io)을 전송하는 전달부(12)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모듈(500)에서 생성한 변동정보(is)는 제어모듈(600)을 거쳐 통신모듈(800)로 전달된다. 변동정보(is)는 통신모듈(800)에서 무선통신브릿지(30)로 전달되고, 무선통신브릿지(30)는 다시 서버(20)로 전달한다. 변동정보(is)는 서버(20)에 저장되며, 서버(20)는 휴대용 단말기(10)에 변동정보(is)를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10)는 전달받은 변동정보(is)를 표시부(13)에 표시한다.
즉, 변동정보(is)는 통신모듈(800), 무선통신브릿지(30), 서버(20)를 거쳐 휴대용 단말기(10)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가 구동명령(io)을 서버(20)에 전달하면, 서버(20)는 무선통신 브릿지로 전달하고, 무선통신 브릿지는 통신부로 전달하고, 구동부는 통신부에서 전달받은 구동명령(io)으로 구동기어(163)를 움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데드락 하드웨어의 상세 구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데드락은 썸턴(151)과 썸턴(151)에서 연장하여 단부에 삽입홈(153)을 가지는 연결샤프트(152)를 형성한 썸턴부(150)를 포함하고, 내면에 내측기판(130)을 구비하는 내측플레이트(120)와, 내측플레이트(120)를 외면에서 감싸는 내측커버(110)를 구비하여, 문의 내측에 설치하는 내측어셈블리(100); 일단에 키뭉치(241)를 형성하고 타단에서 연장하여 사각축(242)을 형성하는 키부(240)를 포함하고, 내면에 외측기판(230)을 구비하는 외측플레이트(220)와, 외측플레이트(220)를 외면에서 감싸는 외측커버(210)를 구비하여, 문의 외측에 설치하는 외측어셈블리(200); 내측어셈블리(100)에 위치하되, 썸턴부(150)의 연결샤프트(152)에 결합하는 구동기어(163)와 구동기어(163)에 치합하여 구동기어(163)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162)를 가지는 모터(161)를 구비하고, 썸턴(151)을 개폐하는 구동부(160); 및 내측어셈블리(100)와 외측어셈블리(200)의 사이에 위치하되, 키부(240)의 사각축(242)과 썸턴부(150)의 삽입홈(153)이 결합하여 서로 연동한 상태에서, 썸턴부(150)의 연결샤프트(152)에 결합한 데드볼트부(300); 를 포함하되, 내측 어셈블리는 측면에,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내측기판(130)에 접속하여 수동조작만을 가능하도록, 구동부(160)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잠금버튼(140)을 더 포함하고, 외측 어셈블리의 외측기판(230)은, 외부에서 구동부(160)를 원격으로 조절하는 통신부와, 외부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어셈블리(100)는 문의 내측에 설치하는데, 내면에 내측기판(130)을 구비하는 내측플레이트(120)와, 내측플레이트(120)를 외면에서 감싸는 내측커버(110)를 구비하고, 썸턴(151)과 썸턴(151)에서 연장하여 단부에 삽입홈(153)을 가지는 연결샤프트(152)를 형성한 썸턴부(150)를 포함한다.
내측어셈블리(100)는 문의 내측에 설치한다.
문은 외부에서 내부로 출입하도록 설치된 잠금장치가 필요한 현관문과 같은 출입문을 말한다.
문의 내측은 문을 설치한 공간의 내부에서 보이는 문을 말한다.
내측어셈블리(100)는 후술하는 외측어셈블리(200)와 문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설치한다. 이때 내측어셈블리(100)는 내부 공간인 문의 내측에 위치하고, 외측어셈블리(200)는 외부 공간인 문의 외측에 위치한다.
내측어셈블리(100)는 내면에 내측기판(130)을 구비하는 내측플레이트(120)와, 내측플레이트(120)를 외면에서 감싸는 내측커버(110)를 포함한다.
내측기판(130)은 PCB기판으로 후술하는 구동부(160)와 잠금버튼(140)에 연결하여 구동부(160)와 잠금버튼(140)의 동작에 관여한다.
내측플레이트(120)는 내면에 내측기판(130)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내측플레이트(120)는 후술하는 썸턴부(150)가 설치되는 관통홀(101)이 중심부에 형성하고, 후술하는 외측플레이트(220)와 체결부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가이드를 형성한다.
내측플레이트(120)에는 내측커버(110)가 내측플레이트(1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된다.
내측커버(110)는 내측플레이트(120)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내측플레이트(120)의 관통홀(101)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가진다.
또한, 내측어셈블리(100)는 썸턴부(150)를 포함한다.
썸턴부(150)는 썸턴(151)과 썸턴(151)에서 연장하여 단부에 삽입홈(153)을 가지는 연결샤프트(152)를 형성한다.
썸턴(151)은 집안 내부에서 데드락을 잠그거나 열기위해 돌리는 것으로 집안 내부 방향으로 돌출하여 내측어셈블리(100)에 설치된다.
연결샤프트(152)는 썸턴(151)에서 연장하여 형성하며, 단부에는 삽입홈(153)을 가진다.
연결샤프트(152)는 내측커버(110)와 내측플레이트(120)의 관통홀(101)에 삽입하며, 단부의 삽입홈(153)에 후술하는 키부(240)가 결합한다.
외측어셈블리(200)는 문의 외측에 설치하는데, 내면에 외측기판(230)을 구비하는 외측플레이트(220)와, 외측플레이트(220)를 외면에서 감싸는 외측커버(210)를 구비하고, 일단에 키뭉치(241)를 형성하고 타단에서 연장하여 사각축(242)을 형성하는 키부(240)를 포함한다.
외측어셈블리(200)는 문의 외측에 설치한다.
외측어셈블리(2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내측어셈블리(100)와 문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설치한다. 이때 외측어셈블리(200)는 외부 공간인 문의 외측에 위치하고, 내측어셈블리(100)는 내부 공간인 문의 내측에 위치한다.
외측어셈블리(200)는 내면에 외측기판(230)을 구비하는 외측플레이트(220)와, 외측플레이트(220)를 외면에서 감싸는 외측커버(210)를 포함한다.
외측기판(230)은 PCB기판으로 후술하는 통신부와 센서부를 구비하며, 통신부가 구동부(160)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부(160)를 조작한다.
외측플레이트(220)는 내면에 외측기판(230)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외측플레이트(220)는 후술하는 키부(240)가 설치되는 홀(201)이 중심부에 형성하고, 내측플레이트(120)와 체결부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가이드를 형성한다.
외측플레이트(220)에는 외측커버(210)가 외측플레이트(2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된다.
외측커버(210)는 외측플레이트(220)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외측플레이트(220)의 홀(201)에 대응하는 홀을 가진다.
또한, 내측어셈블리(100)는 키부(240)를 포함한다.
키부(240)는 일단에 키뭉치(241)를 형성하고 타단에서 연장하여 사각축(242)을 형성한다.
키뭉치(241)는 집안 외부에서 데드락을 잠그거나 열기위해 열쇠를 삽입하는 것으로 외측어셈블리(200)에 설치된다.
사각축(242)은 키뭉치(241)에서 연장하여 형성하고, 연결샤프트(152)의 단부에 형성한 삽입홈(153)에 결합한다.
사각축(242)과 연결샤프트(152)가 서로 결합으로 썸턴부(150)와 키부(240)는 서로 연동하여 후술하는 데드볼트부(300)를 동작한다.
구동부(160)는 내측어셈블리(100)에 위치하는데, 썸턴부(150)의 연결샤프트(152)에 결합하는 구동기어(163)와 구동기어(163)에 치합하여 구동기어(163)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162)를 가지는 모터(161)를 구비하고, 썸턴(151)을 개폐한다.
구동부(160)는 내측어셈블리(100)에 위치한다. 구동부(160)는 내측어셈블리(100)의 내측플레이트(120)에 체결부재로 고정된다.
구동부(160)는 썸턴부(150)의 연결샤프트(152)에 결합하는 구동기어(163)와 구동기어(163)에 치합하여 구동기어(163)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162)를 가지는 모터(161)를 구비한다.
모터(161)에는 전달기어(162)가 설치되고, 전달기어(162)는 구동기어(163)와 치합하여 모터(161)의 동력을 구동기어(163)에 전달한다.
데드볼트부(300)는 내측어셈블리(100)와 외측어셈블리(200)의 사이에 위치하는데, 키부(240)의 사각축(242)과 썸턴부(150)의 삽입홈(153)이 결합하여 서로 연동한 상태에서, 썸턴부(150)의 연결샤프트(152)에 결합한다.
데드볼트부(300)는 내측어셈블리(100)와 외측어셈블리(200)의 사이에 위치한다.
데드볼트부(300)는 데드볼트와 허브(320)를 형성한 데드레치(310)로 구성한다.
데드볼트(330)는 돌출하여 잠금이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허브(320)는 회전하면서 데드볼트(33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키부(240)의 사각축(242)과 썸턴부(150)의 삽입홈(153)이 결합하여 서로 연동한 상태에서 허브(320)는 썸턴부(150)의 연결샤프트(152)에 결합한다.
즉, 키부(240)의 사각축(242)과 썸턴부(150)의 삽입홈(153)이 결합하고, 썸턴부(150)의 연결샤프트(152)가 데드레치(310)의 허브(320)에 결합한다. 그러면 데드레치(310)가 동작하여 데드볼트(330)를 작동하는 것이다.
외측에서 열쇠를 이용하여 키부(240)의 키뭉치(241)를 작동하거나 또는 내측에서 썸턴부(150)의 썸턴(151)을 작동하면 데드볼트부(300)의 허브(320)가 회전하여 데드볼트(330)를 출몰작동시켜 수동에 의한 데드락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데드레치(310)의 허브(320)에 의해 데드볼트(330)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잠금버튼(140)은 내측어셈블리(100)의 측면에 위치하는데,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내측기판(130)에 접속하여 수동조작만을 가능하도록, 구동부(160)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한다.
잠금버튼(140)은 내측어셈블리(10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내측어셈블리(100)의 내측커버(110)와 내측플레이트(120) 측면은 잠금버튼(140)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한다.
잠금버튼(140)은 구동부(160)를 제어하는 내측기판(130)에 접속한다. 상세하게는 내측기판(130)은 구동부(160)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버튼을 구성하고, 잠금버튼(140)이 버튼을 누르면 구동부(160)의 동작은 멈춘다.
잠금버튼(140)을 사용하면, 데드락은 수동조작만으로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집안으로 들어와서 잠금버튼(140)을 누르면, 데드락은 열쇠(외부) 또는 썸턴(151)(내부)에 의해서만 개방할 수 있다.
외측 어셈블리의 외측기판(230)은, 외부에서 구동부(160)를 원격으로 조절하는 통신부와, 외부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는 RF카드, 리모콘 및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등에서 신호를 전달받는다. 신호는 내측어셈블리(100)의 내측기판(130)에 전달되어 구동부(160)의 모터(161)를 통하여 데드볼트부(300)를 작동시켜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수행한다.
센서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이력 저장부, 카메라, 진동/화재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입이력관리, 방문자 확인, 침입 또는 화재 등에 대한 대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드락은 썸턴(151)의 조작 또는 열쇠를 통한 키뭉치(241)에 의한 수동개폐와, 휴대용 단말기 등을 사용한 통신부 또는 센서부를 통한 구동부(160)에 의한 자동개폐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환경에 따라서 데드락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회전감지판(164)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152)에 외삽되어, 구동기어(163)에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센서모듈(4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감지부재(900)가 구동기어(163)인 경우에는, 발생부(411) 및 수신부(412)가 각각 구동기어(163)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4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감지부재(900)가 회전감지판(164)인 경우에는, 발생부(411) 및 수신부(412)가 각각 회전감지판(164)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휴대용 단말기 11 : 저장부
12 : 전달부 13 : 표시부
20 : 서버 30 : 무선통신브릿지
100 : 내측어셈블리 110 : 내측커버
120 : 내측플레이트 130 : 내측기판
140 : 잠금버튼 150 : 썸턴부
151 : 썸턴 152 : 연결샤프트
153 : 삽입홈 160 : 구동부
161 : 모터 162 : 전달기어
163 : 구동기어 164 : 회전감지판
200 : 외측어셈블리 210 : 외측커버
220 : 외측플레이트 230 : 외측기판
240 : 키부 241 : 키뭉치
242 : 사각축 300 : 데드볼트부
310 : 데드레치 320 : 허브
330 : 데드볼트 400 : 센서모듈
410 : 감지부 420 : 회전정보생성부
500 : 비교모듈 510 : 비교부
520 : 변동정보생성부 600 : 제어모듈
700 : 메모리모듈 800 : 통신모듈
900 : 회전감지부재
id : 감지정보 ir : 회전정보
is : 변동정보 io : 구동명령

Claims (9)

  1. 썸턴과, 키뭉치와, 상기 썸턴과 상기 키뭉치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를 구비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샤프트에 외삽하는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상태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감지부재의 회전 정도에 관한 회전정보를 생성하는 회전정보생성부;를 구비하는 센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감지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회전감지부재 방향으로 소정의 광원을 발생시키는 발생부; 및
    상기 회전감지부재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감지부재를 통과한 상기 광원을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지부재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이(tooth)를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하는 구동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지부재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개의 광원통과홀을 외측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회전감지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5. 썸턴과, 키뭉치와, 상기 썸턴과 상기 키뭉치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와, 상기 연결샤프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상기 연결샤프트의 움직임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이전 움직임 정보와 현재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움직임 정보에 대한 변동정보를 생성하는 변동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비교모듈; 및
    상기 비교모듈에서 생성한 상기 변동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변동정보의 저장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에서 전달받은 상기 변동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모듈;
    상기 제어모듈에서 전달받은 상기 변동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변동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구동명령을 전송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변동정보를 상기 메모리모듈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듈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변동정보를 상기 메모리모듈을 거치지 않고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이전 움직임 정보와 상기 현재 움직임 정보의 동일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변동정보생성부는, 상기 현재 움직임 정보를 상기 변동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에서 상기 변동정보를 전달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브릿지(30);
    상기 무선통신 브릿지에서 전달받은 상기 변동정보를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변동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표시부와, 구동명령을 전송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KR1020200141136A 2020-02-20 2020-10-28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KR10238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94,126 US11649656B2 (en) 2020-02-20 2020-11-10 Smart deadloc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868 2020-02-20
KR20200020868 2020-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323A true KR20210106323A (ko) 2021-08-30
KR102380172B1 KR102380172B1 (ko) 2022-03-29

Family

ID=7750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136A KR102380172B1 (ko) 2020-02-20 2020-10-28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1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309U (ko) * 2010-04-26 2011-11-02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의 손잡이 작동 감지장치
KR20130006122U (ko) * 2012-04-12 2013-10-23 이창석 손잡이를 갖는 데드락용 하우징
KR101329600B1 (ko) 2012-06-19 2013-1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데드락
KR101470747B1 (ko) * 2013-07-23 2014-12-08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구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309U (ko) * 2010-04-26 2011-11-02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의 손잡이 작동 감지장치
KR20130006122U (ko) * 2012-04-12 2013-10-23 이창석 손잡이를 갖는 데드락용 하우징
KR101329600B1 (ko) 2012-06-19 2013-11-14 주식회사 정화테크 데드락
KR101470747B1 (ko) * 2013-07-23 2014-12-08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구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172B1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7158B2 (en) Access control device commissioning
CN109312576A (zh) 具有整合的到达角度(aoa)检测的无线锁具
US20080136585A1 (en) Wireless control of security system with key-operated key FOB
WO2010046677A1 (en) Door or window security system for mounting at a door or window frame
KR102380172B1 (ko) 스마트 데드락 시스템
SE1550929A1 (en) An electronic lock device
JP6494500B2 (ja) 錠装置のベース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錠装置
JP2016000916A (ja) 施解錠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施解錠確認システム
JP4487458B2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US11649656B2 (en) Smart deadlock system
EP1951975A2 (en) Improved locking system
KR20210028553A (ko) 문 손잡이 잠금장치
JP5106873B2 (ja) 建物用電気錠及び建物用電気錠システム
JP2007177390A (ja) デッドボルトの制御機構及びオプティカルロック
WO2020086045A2 (en) A device for operating existing door locks automatically
KR100996111B1 (ko) 도어록 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0376172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2463903B1 (ko)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KR102163599B1 (ko) 잠금 장치
US12026998B2 (en) Electronic door lock
CN113167086B (zh) 具有钥匙式机械优先的机电式把手锁定的凸轮锁
JP2017206924A (ja) 電気錠
KR102251387B1 (ko)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JP2024030744A (ja) 施解錠装置
CN117321279A (zh) 电子锁具的不充分锁定行为的检测和校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