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948A -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948A
KR20210105948A KR1020217022790A KR20217022790A KR20210105948A KR 20210105948 A KR20210105948 A KR 20210105948A KR 1020217022790 A KR1020217022790 A KR 1020217022790A KR 20217022790 A KR20217022790 A KR 20217022790A KR 20210105948 A KR20210105948 A KR 20210105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bsorbent
body panel
bon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171B1 (ko
Inventor
샤오민 리우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10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1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formed from two separated panels
    • A61F2013/4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formed from two separated panels by lateral panels joined at the centreline, i.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with a special transverse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5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 A61F2013/4905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being stretchable in transversal direction or cross machi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on waist pa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 용품(10)은 제1 본체 패널(20), 제2 본체 패널(30), 및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연결하는 흡수 패널(40)을 가질 수 있다. 흡수 패널(40)은 제1 본체 패널(20) 및 제2 본체 패널(30)의 각각보다 폭이 더 좁으며,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 영역(102, 104) 및 제1 접합 강도보다 큰 제2 접합 강도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접합 영역(106, 108)을 가지고 제1 본체 패널(20) 및/또는 제2 본체 패널(30)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합된다. 착용자가 흡수 용품(10)을 사용한 후, 더 약한 접합 강도로 본체 패널(20, 30)에 접합된 흡수 패널(40)의 부분은 본체 패널(20, 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흡수 패널(40)로부터 분리된 본체 패널(20, 30)을 형성하는 물질의 부분이 흡수 용품(10) 위로 뒤집힐 수 있도록 착용 구성으로부터 폐기 구성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 용품
본 발명은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과 같은 제품은, 예를 들어 소변, 대변 물질, 월경 및/또는 혈액을 포함하는 인체 삼출물을 수집하고 보유하는데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사용 후에 더러워지고 위생적인 방식으로 폐기될 필요가 있다. 폐기는 오염된 흡수 용품을 폐기물 수용부 내에 넣기 전에 오염된 흡수 용품을 접거나 마는 것과 같은 다양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된 흡수 용품이 펴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된 흡수 용품 내에 수용된 신체 삼출물을 유지하고, 불쾌한 냄새를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흡수 용품은, 오염된 흡수 용품을 접거나 감긴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테이프 탭 또는 후크 부재와 같은 체결 메커니즘을 갖는다. 그러나, 테이프 탭 및 후크가 개방될 수 있으며, 이는 오염된 흡수 용품이 접히거나 감겨진 구성으로 유지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오염 후에 접히거나 감기고 오염된 흡수 용품의 폐기를 위해 접히거나 감긴 구성으로 유지할 수 있는 흡수 용품과 같은 개선된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용품은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 제1 본체 패널로서,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 및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상기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상기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제1 폭을 가질 수 있는, 상기 제1 본체 패널; 제2 본체 패널로서, 제3 가로방향 말단 에지 및 제4 가로방향 말단 에지; 제3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4 길이방향 측면 에지; 상기 제3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상기 제4 길이방향 측면 에지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제2 폭을 가질 수 있는, 상기 제2 본체 패널; 상기 제1 본체 패널과 상기 제2 본체 패널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각각 연결하는 흡수 패널로서, 제5 가로방향 말단 에지 및 제6 가로방향 말단 에지; 제5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6 길이방향 측면 에지; 상기 제5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상기 제6 길이방향 측면 에지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제3 폭으로서, 상기 제1 폭과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제3 폭; 상면시트층, 배면시트층, 및 상기 상면시트층과 상기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가질 수 있는, 상기 흡수 패널; 상기 흡수 패널의 배면시트층의 제1 부분을 상기 제1 본체 패널의 제1 부분에 접합시키는 제1 부착 영역으로서,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제1 접합 영역을 갖는, 상기 제1 부착 영역; 상기 흡수 패널의 배면시트층의 제2 부분을 상기 제2 본체 패널의 제1 부분에 접합시키는 제2 부착 영역으로서, 상기 제2 부착 영역은 상기 제1 접합 강도와 동일한 제2 접합 강도를 갖는 제2 접합 영역, 제3 접합 강도를 갖는 제3 접합 영역, 및 상기 제3 접합 강도와 동일한 제4 접합 강도를 갖는 제4 접합 영역을 갖는, 상기 제2 부착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3 접합 강도 및 상기 제4 접합 강도는 각각 상기 제1 접합 강도 및 상기 제2 접합 강도보다 크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은 제1 길이방향 측면 솔기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솔기에서 제2 본체 패널에 접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길이방향 측면 솔기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솔기 각각은 취성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패널의 제1 부분을 제1 본체 패널의 제1 부분에 접합하고 흡수 패널의 제2 부분을 제2 본체 패널의 제1 부분에 접합하는 데에 접착제가 사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접합 영역, 제2 접합 영역, 제3 접합 영역, 및 제4 접합 영역 각각에 동일한 접착제가 사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접합 영역과 제2 접합 영역 각각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은 0gsm 내지 3gsm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접합 영역 및 제4 접합 영역 각각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은 5gsm 내지 10gsm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접합 영역과 제2 접합 영역 각각에 제1 접착제가 사용되고, 제3 접합 영역과 제4 접합 영역 각각에 제2 접착제가 사용되며, 여기서 제2 접착제는 제1 접착제와 상이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부착 영역은 접착제가 없는 영역을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패널의 제3 폭은 제1 본체 패널의 제1 폭의 60% 미만 및 제2 본체 패널의 제2 폭의 60% 미만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접합 영역은 흡수 패널의 제3 폭의 적어도 10%인 제4 폭을 가지며, 제4 접합 영역은 흡수 패널의 제3 폭의 적어도 10%인 제5 폭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접착제가 없는 영역은 흡수 패널의 제3 폭의 적어도 10%인 제6 폭을 갖는다.
도 1은 착용 구성에서 흡수 용품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개방되어,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에서 흡수 용품의 일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은 선 3-3을 따라 절취된 도 2의 흡수 용품의 일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개방되어,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에서 흡수 용품의 일 실시예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5는 개방되어,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구성에서 흡수 용품의 일 실시예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6은 감긴 구성에서 흡수 용품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폐기 구성에서 흡수 용품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문자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의도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3개의 패널로 형성되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은 제1 본체 패널, 제2 본체 패널, 및 제1 본체 패널과 제2 본체 패널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연결하는 흡수 패널을 가질 수 있다. 흡수 패널은 제1 본체 패널 및 제2 본체 패널 각각보다 폭이 더 좁으며,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 영역 및 제1 접합 강도보다 큰 제2 접합 강도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접합 영역을 갖는 부착 영역에서 제1 본체 패널 및/또는 제2 본체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합된다. 착용자에 의한 흡수 용품의 사용 후, 부착 영역 내에서, 더 약한 접합 강도로 본체 패널에 접합된 흡수 패널의 부분이 본체 패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이 감긴 구성으로 놓이고 흡수 패널로부터 분리된 본체 패널을 형성하는 물질의 부분이 감긴 흡수 용품 위로 뒤집힐 때, 착용 구성에서 폐기 구성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흡수 용품"은 착용자의 신체와 대면 또는 근접(즉, 신체와 인접) 위치해서, 몸에서 배출된 각종 액체, 고체, 및 반고체 삼출물을 흡수하고 함유할 수도 있는 용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흡수 용품은,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사용 기간 후 폐기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티, 유소년용 팬티, 수영 팬티, 및 실금 팬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일회용 흡수 용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레이드(airlaid)"는 본 명세서에서 에어레잉 공정에 의해 제조된 웹을 지칭한다. 에어레잉 공정에서, 약 3 내지 약 52㎜ 범위의 통상적인 길이를 갖고 있는 작은 섬유들의 다발은 공기 공급원에서 분리되고 내포(entrain)되며, 그후 일반적으로 진공 공급원의 도움으로 포밍 스크린 상에 용착된다. 무작위로 피착된 섬유는 그후, 예를 들어, 바인더 성분 또는 라텍스 접착제를 활성화하도록 핫 에어를 이용하여 서로 접합된다. 에어레잉은,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하여 본 명세서 내에서 전체 내용이 참고로 원용되는 Laursen 등의 미국특허 제4,640,810호에 교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접합된(bonded)"은 본 명세서에서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지칭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요소에 접합될 때와 같이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접착되고, 연결되고, 부착될 때에 함께 접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접합은, 예를 들어 접착제, 압력 접합, 열 접합, 초음파 접합, 바느질, 봉합, 및/또는 용접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본디드 카디드 웹"은, 스테이플 섬유들을 분리하거나 떨어지게 하여 기계 방향으로 정렬하여 대략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성 부직 웹을 형성하는 코밍(combing) 또는 카딩(carding) 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s)로 제조되는 웹을 지칭한다. 이 재료는, 점 접합, 스루 에어 접합, 초음파 접합, 접착제 접합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하여 함께 접합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코폼"은 본원에서 열가소성 섬유와 제2 비-열가소성 물질의 혼합물 또는 안정화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복합 물질을 지칭한다. 한 예로서, 코폼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다이 헤드가 슈트(chute) 가까이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다른 물질이 웹이 형성되는 동안 웹에 첨가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물질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면, 레이온, 재생 종이, 펄프 플러프와 같은 목질계 또는 비목질계 펄프와 같은 섬유성 유기 물질 및 초흡수성 입자, 무기 및/또는 유기 흡수성 물질, 처리된 중합체 스테이플 섬유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폼 물질의 일부분 예가 Anderson 등의 미국특허 제4,100,324호, Lau의 제4,818,464호, Everhart 등의 제5,284,703호 및 Georger 등의 제5,350,624호에 개시되어 있고,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컨쥬게이트(conjugate) 섬유"는 별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되고 함께 방사되어 하나의 섬유를 형성하는 적어도 2종의 고분자 소스로부터 형성된 섬유를 지칭한다. 컨쥬게이트 섬유는 또한 때로는 이성분(bicomponent) 섬유 또는 다성분 섬유라 지칭된다. 고분자는, 컨쥬게이트 섬유들의 단면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위치된 구별되는 영역 내에 배열되고, 컨쥬게이트 섬유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컨쥬게이트 섬유의 구성은, 예를 들어 하나의 고분자가 다른 고분자에 의해 둘러싸인 시스(sheath)/코어 배열일 수도 있고, 또는, 나란한 배열, 파이 배열, 또는 "해상 섬"(island-in-the sea) 배열일 수도 있다. 컨쥬게이트 섬유는 Kaneko 등의 미국특허 제5,108,820호, Krueger 등의 제4,795,668호, Marcher 등의 제5,540,992호, Strack 등의 제5,336,552호, Shawver의 제5,425,987호 및 Pike 등의 제5,382,400호에 교시되어 있으며,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이성분 섬유의 경우, 고분자는 75/25, 50/50, 25/75 또는 임의의 바람직한 비율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가공 보조제와 같은 고분자 첨가제가 각각의 영역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필름"은, 압출 및/또는 성형 공정, 예컨대 주조(cast) 필름 또는 취입 필름 압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필름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배리어 필름, 충전된 필름, 통기성 필름, 배향 필름에 한정되지 않는 유체를 전달하지 않는 필름뿐만 아니라, 액체 전달 필름을 구성하는, 천공화된 필름, 슬릿 필름, 및 기타 다공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친수성"이라는 용어는, 90o 이하의 수접촉각을 갖는 표면을 가리킨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소수성"은 90o 이상의 수접촉각을 갖는 유체를 반발하는 특성을 갖는 표면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액체 불투과성"은 소변과 같은 액체 신체 삼출물이, 정상적인 사용 조건 하에서 액체 접촉 지점에서 상기 층 또는 적층체의 평면에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층 또는 적층체를 통과하지 않게 될 층 또는 다층 적층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용어 " 액체 투과성"은 본원에서 액체 불투과성이 아닌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계 방향"(MD)는, 섬유가 제조되는 방향에 있어서 섬유의 길이를 지칭하며, 이는, 기계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섬유의 폭을 지칭하는 "교차 기계 방향"(CD)에 대조적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멜트블로운 웹"은 본원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용융 섬유로서 다수의 미세한, 대개는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하여 압출되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섬유를 감쇄시키는 수렴하는 고속의 가스(예를 들어, 공기) 흐름 내로 압출되어 그들의 직경을 극세사 직경일 수도 있는 직경으로 감소시키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 부직 웹을 말한다. 이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흐름에 의해 운반되며 수집면 상에 용착(deposit)되어 무작위로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 Butin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운 섬유는 실질적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이고 일반적으로 직경이 10㎛보다 작으며 수집 표면 상으로 용착될 때 일반적으로 접착성(tacky)인 극세사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직포" 또는 "부직 웹"은 본 명세서에서 편물에서처럼 식별 가능한 방식은 아니지만 상호 연결된(interlaid) 개별적인 섬유들이나 실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지칭한다. 부직포 또는 웹은 많은 공정,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공정, 스펀본드 공정,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BCW 및 TABCW로도 알려짐) 공정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부직 웹의 평량은 약 5, 10 또는 20gsm 내지 약 120, 125 또는 150gsm과 같이, 일반적으로 달라질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스펀본드 웹(spunbond web)"은 작은 직경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를 함유하는 웹을 지칭한다. 섬유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복수의 미세하고 일반적으로 원형인 방적돌기(spinnerette)의 모세관들로부터 압출시키고 그후 압출된 섬유의 직경을 예를 들어 추출성 신장 및/또는 기타 공지된 스펀본딩 메커니즘에 의하여 급속히 감소시킴에 의하여 형성된다. 스펀본드 웹의 제조는, 예를 들어 Appel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에 의한 제3,692,618호, Matsuki 등에 의한 제3,802,817호, Kinney에 의한 제3,338,992호, Kinney에 대한 제3,341,394호, Hartman에 의한 제3,502,763호, Levy에 의한 제3,502,538호, Dobo 등에 의한 제3,542,615호 및 Pike 등에 의한 제5,382,400호에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며,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이들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 표면 상에 피착(deposit)될 때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때때로 약 40㎛ 미만, 종종, 약 5 내지 약 20㎛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초흡수성 중합체", "초흡수체" 또는 "SAP"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그들 자신의 중량에 대하여 극도로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중합체를 지칭할 것이다. 가교될 수 있는 하이드로겔로서 분류되는 수분 흡수성 중합체는 물 분자와 수소 결합 및 다른 극성 힘을 통해 수용액을 흡수한다. SAP의 수분 흡수 능력은 부분적으로 이온화도(수용액의 이온 농도의 인자) 및 물에 대해 친화성을 갖는 SAP의 기능성 극성기를 기초로 한다. SAP는 통상적으로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수산화나트륨과 혼합된 아크릴산의 중합화로 제조되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때로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이라 지칭됨)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초흡수성 고분자를 제조하는데,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가교 결합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 가교 결합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전분 접합된 공중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SAP는 입자 또는 섬유 형태로 또는 다른 물질 또는 섬유 상의 코팅층으로서 흡수 용품에 존재할 수도 있다.
흡수 용품: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3개의 패널로 형성되는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품은 제1 본체 패널, 제2 본체 패널, 및 제1 본체 패널과 제2 본체 패널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연결하는 흡수 패널을 가질 수 있다. 흡수 패널은 제1 본체 패널 및 제2 본체 패널 각각보다 폭이 더 좁으며,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 영역 및 제1 접합 강도보다 큰 제2 접합 강도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접합 영역을 갖는 부착 영역에서 제1 본체 패널 및/또는 제2 본체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합된다. 착용자에 의한 흡수 용품의 사용 후, 부착 영역 내에서, 더 약한 접합 강도로 본체 패널에 접합된 흡수 패널의 부분이 본체 패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이 감긴 구성으로 놓이고 흡수 패널로부터 분리된 본체 패널을 형성하는 물질의 부분이 감긴 흡수 용품 위로 뒤집힐 때, 착용 구성에서 폐기 구성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착용 구성에서 흡수 용품(10)의 정면도를 제공하며, 도 2는 개방되고, 펼쳐져, 평평하게 놓인 구성에서 도 1의 흡수 용품(10)의 상부 평면도를 제공한다. 흡수 용품(10)은 길이방향(L) 및 가로방향(T)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3개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은, 제1 본체 패널(20) 및 길이방향(L)으로 제1 본체 패널(20)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이격되는 제2 본체 패널(30)을 가질 수 있다. 흡수 패널(40)은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의 각각의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연결할 수 있다. 착용 구성에서,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은 한 쌍의 길이방향 측면 솔기(12 및 14)에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측면 솔기(12 및 14)는 초음파 에너지, 압력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적용하는 것과 같은, 기계적 수단을 통해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측면 솔기들(12 및 14)은, 흡수 용품(10)의 구성을 착용 구성으로부터 폐기 구성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취성이다.
흡수 용품(10)의 착용 구성은 허리 개구(16) 및 한 쌍의 다리 개구(18)를 제공한다. 착용 구성에서, 본체 패널들(20 또는 30) 중 하나는 착용자의 신체의 전방 영역 상에 착용될 수 있는 반면에, 본체 패널들(20 또는 30) 중 다른 하나는 착용자의 신체의 후방 영역 상에 착용될 수 있고, 흡수 패널(40)은 흡수 용품(10)의 착용자로부터 신체 삼출물을 포착하기 위해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의 사용 후, 착용자는, 본체 패널(20 또는 30) 중 하나로부터 흡수 패널(40)의 일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본체 패널(20 또는 30)을 각각 형성하는 물질과 흡수 패널(40) 사이에 포켓(100)을 형성할 수 있다. 착용자는, 예를 들어, 흡수 용품(10)을 펼쳐지거나 풀려 있는 흡수 용품(10)보다 작은 치수의 구성으로 접거나 감아줌으로써 흡수 용품(10)을 재구성할 수 있고, 포켓(100)을 형성하는 본체 패널 물질은 재구성된 흡수 용품(10) 위로 뒤집혀서 흡수 용품(10)을 폐기 구성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체 패널:
제1 본체 패널(20)은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2), 길이방향(L)으로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2)로부터 이격된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24)를 가질 수 있다. 제1 본체 패널(20)은 또한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26) 및 가로방향(T)으로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26)로부터 이격된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28)를 가질 수 있다.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26, 28) 각각은 상기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22)와 상기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24)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한다. 제1 본체 패널(20)은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26)와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28)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된 가로방향 폭(W1)을 가질 수 있다.
제2 본체 패널(30)은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32), 및 길이방향(L)으로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32)로부터 이격된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34)를 가질 수 있다. 제2 본체 패널(30)은 또한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36) 및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36)로부터 가로방향(T)으로 이격된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38)를 가질 수 있다.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36, 38) 각각은 상기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32)와 상기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34)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한다. 제2 본체 패널(30)은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36)와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38)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된 가로방향 폭(W2)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의 폭(W1)은 제2 본체 패널(30)의 폭(W2)과 동일하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의 폭(W1)은 제2 본체 패널(30)의 폭(W2)보다 크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의 폭(W1)은 제2 본체 패널(30)의 폭(W2)보다 작다.
도면들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은 각각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들(24 및 34)로부터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을 형성하는 물질의 접힘부, 예를 들어 제1 본체 패널 내의 접힘부(70) 및 제2 본체 패널(30) 내의 접힘부(72)까지 각각 연장되는 길이방향(L)으로 길이(L1 및 L2)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을 형성하는 물질 각각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들(22 및 32)은 각각 접힘부들(70 및 72) 각각,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들(24 및 34) 각각 사이에 길이방향(L)으로 위치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을 형성하는 재료를 접는 것은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은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들(24, 34) 각각으로부터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들(22, 32) 각각까지 각각 연장되는 길이방향(L) 길이(L1, L2)를 각각 가질 것이다.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화된 물질이다.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60)가 층들 사이에 끼워져 있는 복수의 물질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선 3-3을 따라 절취한 도 2의 흡수 용품(10)의 일부분의 단면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2 본체 패널(30)과 같은 본체 패널은 다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체 패널(30)은 의복 대향면(64)을 제공하는 의복 대향층(62) 및 흡수 패널 대향면(68)을 제공하는 흡수 패널 대향층(66)을 가질 수 있다. 제2 본체 패널(30)만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본체 패널(20)은, 의복 대향면(64)을 제공하는 의복 대향층(62) 및 흡수 패널 대향면(68)을 제공하는 흡수 패널 대향층(66)을 갖도록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의 의복 대향층은 임의의 적절한 섬유상 부직포 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의 각각의 의복 대향층은, 스테이플 섬유 웹과 같은 부직포 웹, 및 멜트블로운 웹 또는 스펀본드 웹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더많은 연속 섬유 또는 필라멘트 섬유 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기 본디드 카디드 스테이플 섬유 웹은, 시스가 보다 부드러운 느낌과 촉감을 제공하도록 폴리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성분 섬유 같은 섬유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본체 패널(20) 및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의 의복 대향층에 또한 적합할 수 있고, 이성분 섬유들의 코어는 강성 및 압축 탄성과 같은 다른 특성을 제공하도록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PET)와 같은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 및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의 흡수 패널 대향층은 제1 본체 패널(20) 및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의 의복 대향층과 동일한 임의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패널 대향층은 스펀본드 웹 또는 전형적으로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로 만들어진 스펀본드 웹과 멜트블로운 웹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의 평량은 약 10 또는 15 gsm 내지 약 35, 50 또는 100 gsm일 수 있다.
탄성 요소(60)는 의복 대향층(62)과 흡수 패널 대향층(6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탄성 가닥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탄성 요소(60)는 탄성 가닥, 탄성 리본, 탄성 시트, 또는 탄성 필름일 수 있다. 탄성 요소(60)는 스판덱스,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열가소성 탄성 물질, 또는 열 활성화된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탄성 요소(60)는 적어도 약 50%,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약 350% 신장될 수 있고, 적어도 약 250% 이내로,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신장된 후 그의 원래 길이의 적어도 약 150%로 회복될 수 있는 임의의 탄성중합체 물질일 수 있다.
흡수 용품(10)의 제3 패널로서, 흡수 패널(40)은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연결할 수 있다. 흡수 패널(40)은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42), 및 길이방향(L)으로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42)로부터 이격된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44)를 가질 수 있다. 흡수 패널(40)은 또한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46) 및 가로방향(T)으로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46)로부터 이격된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48)를 가질 수 있다.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46, 48) 각각은 상기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42)와 상기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44)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한다. 흡수 패널(40)은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46)와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48)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된 가로방향 폭(W3)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패널(40)의 폭(W3)은 제1 본체 패널(20)의 폭(W1) 및 제2 본체 패널(30)의 폭(W2) 각각보다 작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 패널(40)의 폭(W3)은 제1 본체 패널(20)의 폭(W1) 및 제2 본체 패널(30)의 폭(W2) 각각의 60, 55 또는 52% 미만이다.
일반적으로, 흡수 패널(40)은 착용자 대향,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층(50) 및 의복 대향,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층(54)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56)는 상면시트층(50)과 배면시트층(5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시트층(50)과 배면시트층(54) 모두는, 흡수성 코어(56)의 최외곽 둘레 가장자리들을 벗어나 확장될 수 있고, 밀봉된 둘레 영역을 형성하도록 알려져 있는 결합 기술들을 이용하여 둘레에서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면시트층(50) 및 배면시트층(54)은 접착제 접합, 초음파 접합, 또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접합 방법에 의해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상면시트층(50)은 착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신체 삼출물을 수용하도록 액체 투과성인 흡수 패널(40)의 착용자 대향면을 정의한다. 상면시트층(50)은 바람직하게는 편안함과 순응성을 위해 제공되며, 그 자체 구조를 통해 그리고 흡수성 코어(56)를 향해서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 신체 삼출물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면시트층(50)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구조에 액체를 거의 또는 전혀 보유하지 않아서 흡수 용품(10)의 착용자의 피부 옆에 비교적 편안하고 자극시키지 않는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면시트층(50)은, 상면시트층(50)의 신체 대향면(52)과 접촉할 수 있는 신체 삼출물이 용이하게 관통하는 임의의 직물, 부직포 또는 필름 시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50)은 다양한 부직 웹, 예컨대, 멜트블로운 웹, 스펀본드 웹, 수력엉킴 스펀레이스 웹 또는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상면시트층(50) 물질의 예는 (면과 같은) 천연 섬유 웹, 레이온, 수력엉킴 웹,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이성분 섬유와 같은) 다른 열-접합성 섬유의 본디드 카디드 웹,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락틱 산과 같은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하게 천공된 필름 및 네트(net)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물질의 박층체 또는 조합도 사용될 수 있다. 상면시트층(50)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의 예는 천공된 폴리에틸렌 필름 물질이다. 적절한 상면시트층(50)의 예는 예컨대 독일 소재의 Sandler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것과 같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Datta 등의 미국특허 제4,801,494호, Sukiennik 등의 제4,908,026호 및 Texol의 WO 2009/062998은 상면시트층(50)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다른 물질을 교시하며, 이 문헌 각각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추가적인 상면시트층(50) 물질은 Matthews 등의 미국 특허 제4,397,644호, Curro 등의 제4,629,643호, Van Iten 등의 제5,188,625호, Pike 등의 제5,382,400호, Kirby 등의 제5,533,991호, Daley 등의 제6,410,823호, 그리고 Abuto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2/0289917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문헌 각각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50)은 신체 삼출물이 흡수성 코어(56) 내로 더욱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천공(도시하지 않음)을 함유할 수도 있다. 천공들은 무작위로 또는 균일하게 상면시트층(50) 전체를 통해 배열될 수 있고, 또는 흡수 용품(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배열된 좁은 길이방향 밴드 또는 스트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천공의 크기, 형상, 직경 및 개수는 흡수 용품(10)의 특정 필요에 맞게 달라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50)은 약 5, 10, 15, 20 또는 25gsm 내지 약 50, 100, 120, 125 또는 15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50)은 약 15gsm 내지 약 100gsm 범위의 평량을 갖는 스루 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면시트층(50)은 약 20gsm 내지 약 50gsm의 평량을 갖는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 예컨대 Xiamen Yanjan Industry, Beijing, DaYuan Nonwoven Fabrics 및 기타 등등과 같은 부직 물질 제조자로부터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스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탈리아의 Texol 및 미국의 Tredegar와 같은 필름 공급자로부터 입수 가능한 것과 같은 천공된 필름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50)은 약 15gsm 내지 약 30gsm의 평량을 갖는 천공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50)은 면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약 25gsm 내지 약 35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면시트층(50)은 친수성이다. 상면시트층(50)은 본질적으로 친수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그런 다음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처리와 같은 친수성 코팅으로 처리된 소수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흡수성 코어(56)는 상면시트층(50)과 배면시트층(5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56)는 일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압축성, 순응성을 보여줄 수 있는 임의의 단일층 구조 또는 층 구성요소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적일 수 있고 액체 그리고 다른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56)는 다양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임의의 개수의 원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56)는 셀룰로오스 섬유(예를 들어, 목재 펄프 섬유), 다른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직조 또는 부직 시트, 스크림 편직(scrim netting)이나 기타 안정화 구조체, 초흡수성 물질, 결합 물질, 계면활성제, 선택된 소수성 및 친수성 물질, 안료, 로션, 냄새 억제제 등 및 이들 조합의 흡수성 웹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예를 들어, 2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수성 웹 물질은 셀룰로오스 플러프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초흡수성 물질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플러프는 목재 펄프 플러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목재 펄프 플러프의 예는 Weyerhaeuser Corp.에서 입수 가능한 NB 416이라는 상표로 확인될 수 있으며, 주로 연목재 섬유들을 함유하는 표백된 고흡수성 목재 펄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필요하다면, 흡수성 코어(56)는 선택적인 양의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성 물질의 예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와 α-올레핀을 갖는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모폴리논), 폴리(비닐 알콜) 그리고 염과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초흡수성 물질은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그래프트된 녹말, 아크릴산 그래프트된 녹말, 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알지네이트, 잔탄 검, 로커스 빈 검과 같은 천연 검 등과 같은 미개질된 천연 중합체와 개질된 천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초흡수성 중합체와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합성 초흡수성 물질의 혼합물도 유용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흡수성 코어(56)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56)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질의 조합에 상관없이, 종래의 다양한 방법들과 기술들을 채택함으로써 흡수성 물질은 웹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웹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건식 형성 기술, 공기 형성 기술, 습식 형성 기술, 폼 형성 기술 등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과 같은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코폼 부직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56)의 형상은, 필요시 달라질 수 있으며, 삼각형, 직사각형, 개뼈형, 및 타원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56)는 일반적으로 흡수 패널(40)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코어(56)의 치수는 흡수 패널(40)의 치수와 사실상 유사할 수 있지만; 흡수성 코어(56)의 치수는 유사하지만, 내부에 적절하게 포함되도록 전체 흡수 패널(40)의 치수보다 종종 작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56)에 적절한 물질 및/또는 구조는 Weisman 등의 미국 특허 제4,610,678호, Yahiaoui 등의 제6,060,636호, Latimer 등의 제6,610,903호, Krueger 등의 제7,358,282호 및 Di Luccio 등의 미국특허 출원공개 제2010/0174260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문헌 각각은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서 원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56)는 단일 층 구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플러프 및 초흡수성 물질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56)는 예를 들어 신체 대향층과 의복 대향층과 같은 적어도 2개의 물질층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층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의 층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2개의 층은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상이한 흡수 특성을 흡수 용품(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흡수성 코어(56)의 신체 대향층은 에어레이드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흡수성 코어(56)의 의복 대향층은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에어레이드 물질은 약 40 내지 약 20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으며, 초흡수성 중합체 함유 압축 시트는 티슈 캐리어(tissue carrier)로 둘러싸이면서 약 40 내지 약 400gsm의 평량을 갖는 셀룰로오스 펄프와 SAP의 조합일 수 있는 셀룰로오스 플러프 기반 물질일 수 있다.
배면시트층(54)은 일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고 착용자의 의복을 향하는 흡수 용품(40)의 부분이다. 배면시트층(54)은 액체의 통과는 여전히 차단하면서 흡수 패널(40)을 벗어나는 공기 또는 증기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액체 불투과성 재료를 이용하여 배면시트층(54)을 형성할 수 있다. 배면시트층(54)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층 자체는 유사한 또는 서로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될 수도 있는 적절한 물질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폴리올레핀 필름, 부직 및 부직 박층체 및 필름/부직 박층체같은 미세다공성 중합체 필름일 수도 있다. 배면시트층(54)의 구체적인 구조와 조성은 알려져 있는 다양한 필름들 및/또는 직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때, 구체적인 물질은, 액체 장벽, 강도, 내마모성, 촉각성, 심미성 등의 원하는 수준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약 0.2 내지 0.5밀 내지 약 3.0 또는 5.0밀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배면시트층(54)의 예는, 미국 일리노이주 샴버그의 Pliant Corporation에서 구입가능한 것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탄산칼슘 충전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면시트층(54)은 부직포 적층체 같은 수분 장벽 특성을 갖는 소수성 부직포 재료일 수 있으며, 그 예는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4층 적층체일 수 있다. 따라서, 배면시트층(54)은 다중 필름층 또는 필름의 적층체 및 부직포 섬유상 층의 구성과 같은 단일 또는 다중 층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적합한 배면시트층(54)은 Whitehead 등의 미국 특허 제4,578,069호, Tusim 등의 미국 특허 제4,376,799호, Shawver 등의 미국 특허 제5,695,849호, McCormack 등의 미국 특허 제6,075,179호, 및 Cheung 등의 미국 특허 제6,376,095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흡수 패널(40)은 또한, 흡수 패널(40) 내에 신체 삼출물을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한 쌍의 샘방지 플랩(58)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샘방지 플랩(58)은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샘방지 플랩(58)은 Popp 등의 미국특허 제5,895,382호, Popp 등의 미국특허 제9,168,181호, 및 Popp 등의 미국특허 제9,259,362호에 설명된 샘방지 플랩들과 유사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원용된다. 샘방지 플랩들(58)은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물질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상면시트층(50)을 형성하는 물질과 유사할 수 있는 섬유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층의 필름 및/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다른 종래의 물질들은 샘방지 플랩 물질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들(58)은, 1, 2, 3개 이상의 플랩 탄성 부재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플랩 탄성 부재들(미도시함)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랩 탄성 부재는 플랩 원위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지만, 플랩 근위 부분 및 플랩 내측 부위에 인접하는 것을 포함하여 샘방지 플랩(58)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도 위치될 수 있다.
흡수 패널(40)은, 흡수 패널(4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46 및 48)의 일반적으로 가로방향 내측에 있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예를 들어, 배면시트층(54)에 고정될 수 있는 다리 탄성 부재들(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74)는 신체 삼출물을 흡수 패널(40)에 함유하는 데에 추가로 조력하는 탄성화된 다리 커프스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리 탄성 부재들(74)은 배면시트층(55)의 내부층과 외부층 사이에, 또는 예를 들어, 상면시트층(50)과 배면시트층(54)과 같은 흡수 패널(40)의 다른 층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범위한 탄성 물질들이 다리 탄성 부재들(74)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탄성 물질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 가소성 탄성중합체 물질들의 시트, 가닥 또는 리본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물질들은 신축되고 기재에 고정될 수 있거나, 주름진 기재에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기재에 고정되고 나서 예를 들면 열 인가로 탄성화 또는 수축될 수 있어, 탄성 수축력이 기재에 부여된다.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리 탄성 부재(74)가 샘방지 플랩(58)과 형성된 후 흡수 패널(40)에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리 탄성 부재들(74)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흡수 패널(40)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흡수 용품(10)을 형성하기 위해, 흡수 패널(40)의 제1 부분은 제1 본체 패널(20)의 일부분과 중첩되어 접합될 수 있고, 흡수 패널(40)의 제2 부분은 제2 본체 패널(30)의 일부분에 중첩되어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은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에 접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의 탄성 요소(60)는 흡수 패널(40)의 흡수성 코어(56)와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의 탄성 요소(60)는 흡수 패널(40)의 흡수성 코어(56)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개방되고, 평평하게 놓여, 펼쳐진 구성으로 된 흡수 용품(10)의 실시예의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 패널(20)의 일부분은 제1 부착 영역(80)을 형성하는 흡수 패널(40)의 제1 부분에 중첩되어 접합되고, 제2 본체 패널(30)의 일부분은 제2 부착 영역(90)을 형성하는 흡수 패널(40)의 제2 부분에 중첩되어 접합된다.
제1 부착 영역(80)은 흡수 패널(40)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42)에 대응하는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82), 상기 제1 본체 패널(2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24)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84), 상기 흡수 패널(40)의 상기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46)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86), 및 흡수 패널(40)의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48)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88)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부착 영역(80)에서, 접착제는 흡수 패널(40)의 제1 부분의 배면시트층(54)을 제1 본체 패널(2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의 부분에 접합하기 위해 제1 부착 영역(80) 전체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본체 패널(20)의 일부분에 대한 흡수 패널(40)의 제1 부분의 접합은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제1 접합 영역(102)을 갖는 제1 부착 영역(80)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부착 영역(90)은 흡수 패널(4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44)에 대응하는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92), 상기 제2 본체 패널(3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34)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94), 상기 흡수 패널(40)의 상기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46)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96), 및 흡수 패널(40)의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48)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98)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부착 영역(90)에서, 흡수 패널(40)의 제2 부분의 배면시트층(54)을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의 일부에 접합시키는 데에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본체 패널(30)의 일부분에 대한 흡수 패널(40)의 제2 부분의 접합은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제1 접합 영역(104)을 갖는 제2 부착 영역(90)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접합 영역(104)의 제1 접합 강도는 제1 부착 영역(80)의 제1 접합 영역(102)의 제1 접합 강도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접합 영역(104)은 제2 부착 영역(90)보다 작은 크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접합 영역(104)은 길이방향(L)으로 제2 부착 영역(9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방향(L)으로의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가로방향(T)으로의 제2 부착 영역(90)의 폭보다 작은 가로방향(T)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접합 영역(104)은 상기 제2 부착 영역(90)의 가로방향(T)으로 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92)의 일부분, 상기 제2 부착 영역(90)의 상기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94)의 일부분, 가로방향(T)으로 상기 제2 부착 영역(90)의 상기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96)로부터 안쪽으로 위치하는 길이방향 측면 에지(110), 및 가로방향(T)으로 제2 부착 영역(90)의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98)로부터 내측으로 위치된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1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부착 영역(90)은 가로방향(T)으로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합 영역(106)은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92)의 일부분, 제2 부착 영역(9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94)의 일부분, 제2 부착 영역(9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96) 및 제1 접합 영역(104)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11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접합 영역(108)은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92)의 일부분, 제2 부착 영역(9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94)의 일부분, 제2 부착 영역(90)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98) 및 제1 접합 영역(104)의 길이방향 측면 에지(1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에서,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을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에 접합하는 데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은 제1 접합 영역(104)의 접합 강도보다 큰 접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부착 영역(80)과 제2 부착 영역(90) 각각은 동일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흡수 패널(40)의 제1 및 제2 부분의 배면시트층(54)을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에 접합시킬 수 있다. 제1 부착 영역(80) 및 제2 부착 영역(90) 각각의 다양한 접합 영역에 접합 강도의 차이를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접착제가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 각각에 흡수 패널(20)을 접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접착제는 다양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부착 영역(80)의 제1 접합 영역(102)의 접합 강도 및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접합 영역(104)의 접합 강도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부착 영역(80)의 제1 접합 영역(102) 및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접합 영역(104) 각각에서, 접착제는 약 0 또는 1 gsm 내지 약 2 또는 3 gsm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2 부착 영역(90)의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의 각각에서, 접착제는 약 5, 6 또는 7 gsm 내지 약 8, 9 또는 10 gsm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에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양은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접합 영역(104)에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양보다 많다. 흡수 용품(10)을 착용 구성으로부터 폐기 구성으로 재구성할 때, 제2 부착 영역(90)에서 제1 접합 영역(104) 내 낮은 접착제 존재는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으로부터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의 분리를 허용하여 포켓(10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부착 영역(90)에서 제2 접합 영역(104 및 106) 각각에서 더 높은 접착제 존재는, 흡수 용품(10)이 착용 구성으로부터 폐기 구성으로 재구성될 때,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과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 사이의 접합을 유지할 것이다. 착용 구성으로부터 폐기 구성으로의 흡수 용품(10)의 재구성 동안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과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 사이의 접합을 유지하는 것은 흡수 패널(40)로부터 제2 본체 패널(30)의 완전한 분리를 방지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접착제가 흡수 패널(40)의 제1 및 제2 부분의 배면시트층(54)을 제1 본체 패널(20)과 제2 본체 패널(30)의 각각에 접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접착제는 제1 부착 영역(80)의 제1 접합 영역(102) 및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접합 영역(104)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제는, 의복 접착제- 때때로 의복 부착 접착제 또는 의복 배치 접착제로 명명됨- 같은 저 강도 접착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접착제의 박리 강도는 약 8, 6, 4 또는 2N 미만일 수 있다. 제2 접착제는 제2 부착 영역(90)의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제는 건축용 접착제 또는 탄성 접착제와 같은 고 강도 접착제일 수 있다. 이러한 고강도 접착제는 의복 접착제보다 비교적 더 높은 박리 성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접착제의 박리 강도는 8, 10 또는 12N보다 클 수 있다. 착용 구성으로부터 폐기 구성으로 흡수 용품(10)을 재구성할 때, 제2 부착 영역(90) 내 제1 접합 영역(104) 내에 낮은 박리 강도 접착제가 존재하면,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으로부터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의 분리를 허용하여 포켓(10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부착 영역(90)에서 제2 접합 영역(104 및 106) 각각에 높은 박리 강도 접착제가 존재하면, 흡수 용품(10)이 착용 구성으로부터 폐기 구성으로 재구성될 때,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과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 사이의 접합을 유지할 것이다. 착용 구성으로부터 폐기 구성으로의 흡수 용품(10)의 재구성 동안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과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 사이의 접합을 유지하는 것은 흡수 패널(40)로부터 제2 본체 패널(30)의 완전한 분리를 방지할 것이다.
제2 부착 영역(90)의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 각각은 가로방향(T)으로 폭(W5)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 각각의 폭(W5)은 흡수 패널(40)의 총 폭(W3)의 적어도 10, 12, 또는 14%일 수 있고, 여기서 폭(W3)은 또한 제2 부착 영역(90)의 폭에 대응한다. 함께, 제2 접합 영역들(106 및 108)은 흡수 패널(40)의 총 폭(W3)의 적어도 20, 24 또는 28%의 총 조합 폭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폭(W3)은 또한 제2 부착 영역(90)의 폭에 대응한다.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접합 영역(104)은 흡수 패널(40)의 폭(W3)보다 작을 수 있는 가로방향(T)으로 폭(W4)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폭(W3)은 또한 제2 부착 영역(90)의 폭에 대응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접합 영역(104)의 폭(W4)은 흡수 패널(40)의 총 폭(W3)의 약 80, 76 또는 72% 미만일 수 있고, 여기서 흡수 패널(40)의 폭(W3)은 또한 제2 부착 영역(90)의 폭에 대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제2 부착 영역(90)과 같은 부착 영역은 접착제가 없는 영역(120)을 가질 수 있다. 접착제가 없는 영역(120)은 제2 부착 영역(90)의 제1 접합 영역(10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접착제가 없는 영역(120)은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122), 제2 본체 패널(30)의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34)의 일부분,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124)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126)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가 없는 영역(120)은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과 제2 본체 패널(34)의 흡수 패널 대향층(66) 사이에 접합이 없는 영역을 정의한다. 접착제가 없는 영역(12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정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또는 반구형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제가 없는 영역(120)은,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으로부터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의 분리를 쉽게 시작하기 위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착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접착제가 없는 영역(120)은 흡수 패널(40)의 총 폭(W3)의 약 10 또는 12% 내지 약 14 또는 16%일 수 있는 폭(W6)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폭(W3)은 또한 제2 부착 영역(90)의 폭에 대응한다.
흡수 용품(10)의 사용 후, 착용자는, 제2 부착 영역(90) 내의 제1 접합 영역(104)에서 접착 부착부를 파단함으로써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으로부터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을 분리할 수 있다.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과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 사이의 접착 부착부를 파괴하면 포켓(100)을 형성할 것이다. 제2 본체 패널(30)과 흡수 패널(40) 사이의 접합을 유지하기 위해,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과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 사이의 접착 부착부는 제2 부착 영역(90) 내의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에서 파단되지 않아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착용 구성으로 흡수 용품(10)을 유지하는 측면 솔기들(12 및 14)도 파단될 수 있다. 흡수 패널(40)의 폭(W3)이 제1 본체 패널(20)의 폭(W1)의 60, 55, 또는 52% 미만이고 제2 본체 패널(30)의 폭(W2)의 60, 55, 또는 52% 미만이므로, 측면 솔기(12 및 14)의 파단은 상기 제2 접합 영역(106 및 108)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 상기 흡수 패널(40)과 상기 제2 본체 패널(30) 사이 접합 부착을 유지하거나 상기 제1 접합 영역(102)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상기 흡수 패널(40)과 상기 제1 본체 패널(20) 사이 접합 부착을 유지해야 한다. 그런 다음, 흡수 용품(1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감긴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은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1 접합 영역(104)을 파단하고, 흡수 패널(40)의 배면시트층(54)과 제2 본체 패널(30) 사이에 포켓(100)을 형성한다. 포켓(100)을 형성하는 제2 본체 패널(30)의 물질은 감긴 흡수 용품(10) 위로 뒤집혀서 제2 본체 패널(30)의 흡수 패널 대향층(66)의 흡수 패널 대향면(68)은 이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폐기 구성으로 있는 흡수 용품(10)의 외부에 이제 존재한다.
간략함과 간결함을 위하여, 발명에서 설명하는 값들의 임의의 범위는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고려하며, 문제의 특정 범위 내의 모두 수치 값들인 종말점을 갖는 임의의 부범위를 인용하는 청구범위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가상적인 예로서, 1 내지 5 범위의 개시 내용은 다음과 같은 범위 1 내지 5; 1 내지 4; 1 내지 3; 1 내지 2; 2 내지 5; 2 내지 4; 2 내지 3; 3 내지 5; 3 내지 4; 및 4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청구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들은 인용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밀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대신,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 각각은 인용된 값 및 이 값 주변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범위 모두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40㎜"라고 개시된 치수는 "약 40㎜"를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된 모든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되며; 임의의 문헌 인용이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 내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 원용된 문헌에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모순되는 정도까지 본 명세서 내의 용어에 할당된 의미 또는 정의가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다른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요소들 또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입할 때, "한", "하나", "그", "상기" 라는 구는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이라는 용어들은, 포괄적인 것이며, 열거된 요소들 외의 다른 추가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많은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2)

  1. 흡수 용품으로,
    a.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
    b. 제1 본체 패널로서,
    i. 제1 가로방향 말단 에지 및 제2 가로방향 말단 에지;
    ii.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iii. 상기 제1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상기 제2 길이방향 측면 에지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제1 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본체 패널;
    c. 제2 본체 패널로서,
    i. 제3 가로방향 말단 에지 및 제4 가로방향 말단 에지;
    ii. 제3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4 길이방향 측면 에지;
    iii. 상기 제3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상기 제4 길이방향 측면 에지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제2 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본체 패널;
    d. 상기 제1 본체 패널과 상기 제2 본체 패널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을 각각 연결하는 흡수 패널로서,
    i. 제5 가로방향 말단 에지 및 제6 가로방향 말단 에지;
    ii. 제5 길이방향 측면 에지 및 제6 길이방향 측면 에지;
    iii. 상기 제5 길이방향 측면 에지와 상기 제6 길이방향 측면 에지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의 제3 폭으로서, 상기 제1 폭과 상기 제2 폭보다 작은, 제3 폭;
    iv. 상면시트층, 배면시트층, 및 상기 상면시트층과 상기 배면시트층 사이에 위치한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상기 흡수 패널;
    e. 상기 흡수 패널의 배면시트층의 제1 부분을 상기 제1 본체 패널의 제1 부분에 접합시키는 제1 부착 영역으로서, 제1 접합 강도를 갖는 제1 접합 영역을 갖는, 상기 제1 부착 영역;
    f. 상기 흡수 패널의 배면시트층의 제2 부분을 상기 제2 본체 패널의 제1 부분에 접합시키는 제2 부착 영역으로서, 상기 제2 부착 영역은 상기 제1 접합 강도와 동일한 제2 접합 강도를 갖는 제2 접합 영역, 제3 접합 강도를 갖는 제3 접합 영역, 및 상기 제3 접합 강도와 동일한 제4 접합 강도를 갖는 제4 접합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접합 강도 및 상기 제4 접합 강도는 각각 상기 제1 접합 강도 및 상기 제2 접합 강도보다 큰, 상기 제2 부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패널은 제1 길이방향 측면 솔기 및 제2 길이방향 측면 솔기에서 상기 제2 본체 패널에 접합되는, 흡수 용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방향 측면 솔기 및 상기 제2 길이방향 측면 솔기 각각은 취성인, 흡수 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널의 제1 부분을 상기 제1 본체 패널의 제1 부분에 접합시키고 상기 흡수 패널의 제2 부분을 상기 제2 본체 패널의 제1 부분에 접합시키는 데 접착제가 사용되는, 흡수 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영역, 상기 제2 접합 영역, 상기 제3 접합 영역, 및 상기 제4 접합 영역 각각에 동일한 접착제가 사용되는, 흡수 용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각각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은 0gsm 내지 3gsm인, 흡수 용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합 영역과 상기 제4 접합 영역 각각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은 5gsm 내지 10gsm인, 흡수 용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각각에 제1 접착제가 사용되고, 상기 제3 접합 영역과 상기 제4 접합 영역 각각에 제2 접착제가 사용되며,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제1 접착제와 상이한, 흡수 용품.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착 영역은 접착제가 없는 영역을 더 포함하는, 흡수 용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널의 제3 폭은 상기 제1 본체 패널의 제1 폭의 60% 미만이고 상기 제2 본체 패널의 제2 폭의 60% 미만인, 흡수 용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합 영역은 상기 흡수 패널의 제3 폭의 적어도 10%인 제4 폭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제4 접합 영역은 상기 흡수 패널의 제3 폭의 적어도 10%인 제5 폭을 갖는, 흡수 용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없는 영역은 상기 흡수 패널의 제3 폭의 적어도 10%인 제6 폭을 갖는, 흡수 용품.
KR1020217022790A 2018-12-24 2018-12-24 흡수 용품 KR102596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23118 WO2020132812A1 (en) 2018-12-24 2018-12-24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948A true KR20210105948A (ko) 2021-08-27
KR102596171B1 KR102596171B1 (ko) 2023-11-01

Family

ID=7112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790A KR102596171B1 (ko) 2018-12-24 2018-12-24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54328A1 (ko)
KR (1) KR102596171B1 (ko)
CN (1) CN113164297B (ko)
AU (1) AU2018455485A1 (ko)
BR (1) BR112021010480A2 (ko)
GB (1) GB2594021B (ko)
MX (1) MX2021006221A (ko)
WO (1) WO20201328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375B1 (ko) * 2023-06-12 2024-02-01 주식회사 에이엠씨홀딩스 팬티형 기저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5226A2 (en) * 1997-04-30 1998-11-04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pull-on garment
EP0888766A1 (en) * 1997-06-30 1999-01-07 Ykk Corporation Disposable nappy
JP2003153942A (ja) * 2001-11-21 2003-05-27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WO2006054925A1 (en) * 2004-10-22 2006-05-26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disposal means
CN106038078A (zh) * 2016-07-02 2016-10-26 晋江市海纳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附带丢弃用袋的纸尿裤
CN107405228A (zh) * 2015-05-08 2017-11-28 株式会社瑞光 短裤型穿着物品及其制造方法
CN114727900A (zh) * 2019-09-25 2022-07-08 M·佩吉特 用于释放肌肉张力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9649A (en) * 1984-04-30 1986-10-28 Joan Roberts Disposable toddler training panty
US6384297B1 (en) * 1999-04-03 2002-05-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ter dispersible pantiliner
JP3699328B2 (ja) * 2000-04-27 2005-09-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ATE330571T1 (de) * 2003-10-27 2006-07-15 Sca Hygiene Prod Ab Wegwerfmittel auf einer saugfähigen windel
US20060129119A1 (en) * 2004-12-15 2006-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undergarment with disposal feature
US8162912B2 (en) * 2008-05-30 2012-04-24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Personal wear absorbent article with disposal tab
BR112013016596B1 (pt) * 2010-12-28 2020-09-29 Kao Corporation Artigo de vestuário de puxar e método de produção do mesmo
US9161869B2 (en) * 2012-03-30 2015-10-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decolorizing agents
PL3060183T3 (pl) * 2013-10-23 2018-08-31 Sca Hygiene Products Ab Jednostka opakowaniowa o ulepszonym uszczelnieniu i sposób formowania jednostki opakowaniowej o ulepszonym uszczelnieniu
BR112017004655B1 (pt) * 2014-09-29 2021-1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com um sistema absorvente possuindo uma abertura anular
US10925780B2 (en) * 2014-10-31 2021-0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wipe gripper handle
JP5946581B1 (ja) * 2015-12-28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P3397222B1 (en) * 2015-12-30 2021-11-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side panel method of fastening
WO2017173644A1 (en) * 2016-04-08 2017-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graphics
ES2801925T3 (es) * 2016-12-27 2021-01-14 Ontex Bv Núcleo absorbente, artículos que comprenden dicho núcleo, y métodos para fabricarlo
US11013644B2 (en) * 2018-05-15 2021-05-25 Medline Industries, Inc. Protective underwear including disposal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5226A2 (en) * 1997-04-30 1998-11-04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pull-on garment
EP0888766A1 (en) * 1997-06-30 1999-01-07 Ykk Corporation Disposable nappy
JP2003153942A (ja) * 2001-11-21 2003-05-27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WO2006054925A1 (en) * 2004-10-22 2006-05-26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disposal means
CN107405228A (zh) * 2015-05-08 2017-11-28 株式会社瑞光 短裤型穿着物品及其制造方法
CN106038078A (zh) * 2016-07-02 2016-10-26 晋江市海纳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附带丢弃用袋的纸尿裤
CN114727900A (zh) * 2019-09-25 2022-07-08 M·佩吉特 用于释放肌肉张力的系统和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375B1 (ko) * 2023-06-12 2024-02-01 주식회사 에이엠씨홀딩스 팬티형 기저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4297A (zh) 2021-07-23
AU2018455485A1 (en) 2021-08-05
GB2594021B (en) 2023-02-01
MX2021006221A (es) 2021-08-11
KR102596171B1 (ko) 2023-11-01
CN113164297B (zh) 2023-05-26
GB2594021A (en) 2021-10-13
BR112021010480A2 (pt) 2021-08-24
US20220054328A1 (en) 2022-02-24
GB202110376D0 (en) 2021-09-01
WO2020132812A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7553B2 (en) Diaper pants having a waistband that provides softness and skin comfort
AU2016282667B2 (en) Absorbent article with mechanical garment attachment
US11833017B2 (en) Diaper pants having a partial non-overlapping waist panel structure free of inner material and elastics
KR102604445B1 (ko) 후면 포켓이 있는 허리밴드를 갖는 흡수성 팬티
KR102642861B1 (ko) 구멍을 갖는 흡수 시스템을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557730B1 (ko) 흡수 용품
KR101780171B1 (ko) 다용도 보호층을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648623B1 (ko) 흡수 용품
KR20170046676A (ko) 확장형 흡수 용품
KR102596171B1 (ko) 흡수 용품
KR102106836B1 (ko) 축회전 가능한 날개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574646B1 (ko) 신체 순응 구조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20220115989A (ko) 흡수 용품
RU2776933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KR102664109B1 (ko) 흡수 용품
KR20240004612A (ko) 흡수 용품
KR20240036077A (ko) 흡수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흡수체
KR20220115988A (ko) 흡수 용품
KR20220115970A (ko) 흡수 용품
KR20220115987A (ko) 흡수 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