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737A - 필터모듈 - Google Patents

필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737A
KR20210105737A KR1020200020576A KR20200020576A KR20210105737A KR 20210105737 A KR20210105737 A KR 20210105737A KR 1020200020576 A KR1020200020576 A KR 1020200020576A KR 20200020576 A KR20200020576 A KR 20200020576A KR 20210105737 A KR20210105737 A KR 2021010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heet
filter medium
present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정유석
Original Assignee
김동환
정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정유석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20002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5737A/ko
Publication of KR2021010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01D39/2031Metallic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5Deodorising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시트 및 필터 시트가 결합된 상황 하에서, 필터 시트에 구비된 필터매체를 종래의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에서,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로 변화시켜, 필터매체의 전체적인 점유밀도 증가를 유연하게 유도하고, 이를 통해, 필터 시트의 내부가 별도의 빈 틈 없이 그 점유밀도가 증가한 필터매체에 의해 타이트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기기 사용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을 필터매체를 통해 보다 완벽하게 필터링시키면서, 예컨대,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에 기인한 각종 심각한 피해를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모듈{The filter module}
본 발명은 필터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시트 및 필터 시트가 결합된 상황 하에서, 필터 시트에 구비된 필터매체를 종래의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에서,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로 변화시켜, 필터매체의 전체적인 점유밀도 증가를 유연하게 유도하고, 이를 통해, 필터 시트의 내부가 별도의 빈 틈 없이 그 점유밀도가 증가한 필터매체에 의해 타이트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기기 사용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을 필터매체를 통해 보다 완벽하게 필터링시키면서, 예컨대,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에 기인한 각종 심각한 피해를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필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에 채용되는 필터모듈 또한 폭 넓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84358호(명칭: 자동차 에어컨 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2008.09.1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100008호(명칭: 공기 청정기용 필터)(2009.09.23.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52851호(명칭: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2011.05.1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90385호(명칭: 공기 청정기의 필터유닛)(2015.08.06.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118335호(명칭: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2018.10.31.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모듈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모듈(4)은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에 채용된 상태에서, 상부 베이스 시트(1), 하부 베이스 시트(3), 상부 베이스 시트(1) 및 하부 베이스 시트(3)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 시트(2)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상부 베이스 시트(1)(예컨대, 부직포) 및 하부 베이스 시트(3)(예컨대, 부직포) 측에서는 필터모듈(4)을 채용한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필터 시트(2) 측에서는 자가 구비된 필터매체(2a)(예컨대, 황동 알갱이, 활성탄 알갱이 등)를 통해 필터모듈(4)을 채용한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매연,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시트(2) 측에서는 자가 구비된 필터매체(2a)(예컨대, 황동 알갱이, 활성탄 알갱이 등)를 통해 외기 내에 존재하는 매연,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시트(2)를 채우고 있는 필터매체(2a)(예컨대, 황동 알갱이, 활성탄 알갱이 등)는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필터 시트(2)를 타이트하게 채우지 못한 체, 많은 빈틈을 허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처럼, 필터 시트(2)를 채우고 있는 필터매체(2a)(예컨대, 황동 알갱이, 활성탄 알갱이 등) 측에서,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을 유지하여, 해당 필터 시트(2)를 타이트하게 채우지 못한 체, 많은 빈틈을 허용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모듈(4)을 채용한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매연,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 등은 완벽한 필터링 절차 없이 그 일부가 기기의 내부로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일으킬 수밖에 없게 되며(화살표 참조), 결국, 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필터모듈(4)의 정상채용에도 불구하고, 매연,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 등에 기인한 각종 심각한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84358호(명칭: 자동차 에어컨 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2008.09.1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100008호(명칭: 공기 청정기용 필터)(2009.09.23.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52851호(명칭: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2011.05.1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90385호(명칭: 공기 청정기의 필터유닛)(2015.08.06.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118335호(명칭: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2018.10.31.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시트 및 필터 시트가 결합된 상황 하에서, 필터 시트에 구비된 필터매체를 종래의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에서,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로 변화시켜, 필터매체의 전체적인 점유밀도 증가를 유연하게 유도하고, 이를 통해, 필터 시트의 내부가 별도의 빈 틈 없이 그 점유밀도가 증가한 필터매체에 의해 타이트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기기 사용주체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을 필터매체를 통해 보다 완벽하게 필터링시키면서, 예컨대,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에 기인한 각종 심각한 피해를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부 베이스 시트와; 상기 하부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되면서, 필터매체를 구비하는 필터 시트와; 상기 필터 시트 상에 배치되는 상부 베이스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매체는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되면서, 필터매체를 구비하는 필터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매체는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시트 및 필터 시트가 결합된 상황 하에서, 필터 시트에 구비된 필터매체를 종래의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에서,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로 변화시켜, 필터매체의 전체적인 점유밀도 증가를 유연하게 유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필터 시트의 내부는 별도의 빈 틈 없이 그 점유밀도가 증가한 필터매체에 의해 타이트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되며, 결국, 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을 필터매체를 통해 보다 완벽하게 필터링시키면서, 예컨대,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에 기인한 각종 심각한 피해를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필터 시트에 구비된 필터매체의 형상을 확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촬영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필터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시트에 구비된 필터매체의 형상을 확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촬영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매체 초박막화 기술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볼 밀에 의한 필터매체 초박막화 기술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비드 밀에 의한 필터매체 초박막화 기술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플러드 베드 에어 젯 밀(Fluid Bed Air Jet Mill)에 의한 필터매체 초박막화 기술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필터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필터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모듈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필터모듈(14)은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에 채용된 상태에서, 상부 베이스 시트(11), 하부 베이스 시트(13), 상부 베이스 시트(11) 및 하부 베이스 시트(13)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 시트(12)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상부 베이스 시트(11)(예컨대, 부직포) 및 하부 베이스 시트(13)(예컨대, 부직포) 측에서는 필터모듈(4)을 채용한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필터 시트(12) 측에서는 자가 구비된 필터매체(12a)를 통해 필터모듈(14)을 채용한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매연,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만약, 필터 시트(12)를 채우고 있는 필터매체(12a)가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을 유지하게 될 경우, 해당 필터매체(12a)는 필터 시트(12)의 내부를 타이트하게 채우지 못한 체, 많은 빈틈을 허용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필터모듈(14)을 채용한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매연, 악취, 휘발성 유기화합물,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 등은 완벽한 필터링 절차 없이 그 일부가 기기의 내부로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일으킬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필터 시트(12)에 구비된 필터매체(12a)를 종래의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에서,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로 변화시켜, 필터매체(12a)의 전체적인 점유밀도 증가를 유연하게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매체(12a)로써, 강력한 항균 기능(예컨대, 곰팡이 살균 기능, 세균 살균 기능, 박테리아 살균 기능 등)을 보유한 황동 파우더 알갱이를 채용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필터 시트(12)에 구비된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가 종래의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에서,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로 변화되어, 해당 필터매체(12a)의 전체적인 점유밀도가 증가하게 되는 경우(도 4 참조), 필터 시트(12)의 내부는 별도의 빈 틈 없이 그 점유밀도가 증가한 필터매체(12a)에 의해 타이트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되며, 결국, 필터모듈(14)을 채용한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 등은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에 의한 좀더 완벽한 필터링 절차에 의해 무분별한 기기 내 유입 문제점을 전혀 일으키지 않게 된다(도 3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의 장축 길이를 1㎛~70㎛로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 시트(12) 내에, 상기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와 함께, 활성탄 파우더(12b) 알갱이를 추가 혼합시키는 조치를 취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이처럼, 필터 시트(12) 내에, 상기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와 함께, 활성탄 파우더 알갱이(12b)가 추가 혼합되는 경우, 필터 시트(12) 측에서는 상기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에 의한 강력한 항균 기능(예컨대, 곰팡이 살균 기능, 세균 살균 기능, 박테리아 살균 기능 등) 이외에도, 활성탄 파우더 알갱이(12b)에 의한 매연 제거기능, 악취 제거기능,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기능 등까지도 유연하게 복합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시트(11,13) 및 필터 시트(12)가 결합된 상황 하에서, 필터 시트(12)에 구비된 필터매체(12a)를 종래의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에서,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로 변화시켜, 필터매체(12a)의 전체적인 점유밀도 증가를 유연하게 유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필터 시트(12)의 내부는 별도의 빈 틈 없이 그 점유밀도가 증가한 필터매체(12a)에 의해 타이트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되며, 결국, 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을 필터매체(12a)를 통해 보다 완벽하게 필터링시키면서, 예컨대,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에 기인한 각종 심각한 피해를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밀 장치(Mill apparatus)를 활용한 초박막화 기술을 이용하여,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를 가지는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를 형성/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 밀(Ball mill)을 활용한 초박막화 기술을 이용하여,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를 가지는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를 형성/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볼 밀은 수평축 상에서 회전하는 원통형의 용기 내에 분쇄하고자 하는 원료와 강철구 또는 자기로 만든 구를 넣고 원통을 회전시킴으로써, 볼이 낙하할 때의 강한 충격작용과 볼 사이의 마쇄 작용에 의해서 분쇄하는 기계이다. 원통 안에 넣은 구의 지름을 변화시킴으로써, 거친 가루에서 고운 가루까지 분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드 밀(Bead mill)을 활용한 초박막화 기술을 이용하여,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를 가지는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를 형성/획득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비드 밀은 바셀 사이즈(Vessel size)의 최적화로, 비드의 운동성이 좋고, 슬러리 인입 방향으로 비드가 군집되는 구조의 디스크로 인해, 한정된 공간에서 가장 효율적인 분쇄 및 분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분쇄력과 분산력이 모두 우수하여, 최종 얻어지는 입자는 조밀한 형태의 입도 분포도를 가지며, 다양한 형태의 밀링 디스크(Milling disk) 구조에 의하여, 대부분의 목적에 부합한 가공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드 베드 에어 젯 밀(Fluid Bed Air Jet Mill)을 활용한 초박막화 기술을 이용하여,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를 가지는 필터매체(1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를 형성/획득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플러드 베드 에어 젯 밀은 공기의 압력에 의한 노즐에서의 분사에너지로 분쇄물의 상호충돌을 유발시켜, 분쇄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투입된 원재료는 원하는 입자의 크기가 될 때까지 분쇄실에서 분쇄가 진행되며, 분쇄가 이루어진 입자는 분쇄실로부터 분급실을 거쳐 포집되기 때문에, 입자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플러드 베드 에어 젯 밀은 분쇄 과정에서 오염 요인이 없고,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으므로, 고순도의 제품을 얻는데 탁월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필터모듈(24) 체제 하에서, 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하부 베이스(23) 시트 또는 상부 베이스 시트(2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하부 베이스(23) 시트 및 상부 베이스 시트(21) 모두를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로 채용하는 변화된 조치를 취할 수도 있게 된다. 참고로, 도 9에는 하부 베이스 시트(23)가 HEPA 필터로 채용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HEPA 필터는 미세먼지를 거의 95%~97% 정도 제거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변화된 환경 하에서, 하부 베이스(23) 시트 또는 상부 베이스 시트(2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하부 베이스(23) 시트 및 상부 베이스 시트(21) 모두가 HEPA 필터로 채용되는 경우, 필터모듈(24) 측에서는 좀더 획기적인 유해물질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필터 시트(22)에 구비된 필터매체(22a)를 종래의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에서,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로 변화시켜, 필터매체(22a)의 전체적인 점유밀도 증가를 유연하게 유도하기 때문에, 필터 시트(22)의 내부는 별도의 빈 틈 없이 그 점유밀도가 증가한 필터매체(22a)에 의해 타이트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되며, 결국, 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을 필터매체(22a)를 통해 보다 완벽하게 필터링시키면서, 예컨대,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에 기인한 각종 심각한 피해를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필터 시트(22) 내에, 상기 필터매체(2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와 함께, 활성탄 파우더 알갱이(22b)를 추가 혼합시키기 때문에, 필터 시트(22) 측에서는 상기 필터매체(2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에 의한 강력한 항균 기능(예컨대, 곰팡이 살균 기능, 세균 살균 기능, 박테리아 살균 기능 등) 이외에도, 활성탄 파우더 알갱이(22b)에 의한 매연 제거기능, 악취 제거기능,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기능 등까지도 유연하게 복합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필터모듈(34)은 베이스 시트(33)와, 이 베이스 시트(33) 상에 배치되면서, 필터매체(33a)를 구비하는 필터 시트(32)가 조합된 변화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필터 시트(32)에 구비된 필터매체(32a)를 종래의 둥근 구형의 알갱이 형상에서,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로 변화시켜, 필터매체(32a)의 전체적인 점유밀도 증가를 유연하게 유도하기 때문에, 필터 시트(32)의 내부는 별도의 빈 틈 없이 그 점유밀도가 증가한 필터매체(32a)에 의해 타이트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되며, 결국, 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기기(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등)로 유입되는 외기 내에 존재하는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을 필터매체(32a)를 통해 보다 완벽하게 필터링시키면서, 예컨대, 유해 균(예컨대, 세균, 곰팜이, 바이러스 등)에 기인한 각종 심각한 피해를 안정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필터 시트(32) 내에, 상기 필터매체(3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와 함께, 활성탄 파우더 알갱이(32b)를 추가 혼합시키기 때문에, 필터 시트(32) 측에서는 상기 필터매체(32a)(예컨대, 황동 파우더 알갱이)에 의한 강력한 항균 기능(예컨대, 곰팡이 살균 기능, 세균 살균 기능, 박테리아 살균 기능 등) 이외에도, 활성탄 파우더 알갱이(32b)에 의한 매연 제거기능, 악취 제거기능,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기능 등까지도 유연하게 복합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베이스 시트(33)를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로 채용하는 변화된 조치를 취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필터모듈(34) 측에서는 좀더 획기적인 유해물질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필터모듈이 필요한 여러 분야(예를 들어, 휴먼 마스크 분야, 생리대 분야, 곰팡이 제거용 신발 깔창 분야 등)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1,21: 상부 베이스 시트
3,13,23: 하부 베이스 시트
2,12,22,32: 필터 시트
2a,12a,22a,32a: 필터매체
12b,22b,32b: 활성탄 파우더 알갱이
4,14,24,34: 필터모듈
33: 베이스 시트

Claims (7)

  1. 하부 베이스 시트와;
    상기 하부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되면서, 필터매체를 구비하는 필터 시트와;
    상기 필터 시트 상에 배치되는 상부 베이스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매체는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 시트 또는 상부 베이스 시트는 부직포 또는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3.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되면서, 필터매체를 구비하는 필터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매체는 무정형의 초박막 판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부직포 또는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매체는 황동 파우더 알갱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시트 내에는, 상기 황동 파우더 알갱이와 함께, 활성탄 파우더 알갱이가 추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매체는 1㎛~70㎛의 장축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모듈.
KR1020200020576A 2020-02-19 2020-02-19 필터모듈 KR20210105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576A KR20210105737A (ko) 2020-02-19 2020-02-19 필터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576A KR20210105737A (ko) 2020-02-19 2020-02-19 필터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737A true KR20210105737A (ko) 2021-08-27

Family

ID=7750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576A KR20210105737A (ko) 2020-02-19 2020-02-19 필터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573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358A (ko) 2007-03-16 2008-09-19 (주)두람 자동차 에어컨 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90100008A (ko) 2008-03-19 2009-09-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용 필터
KR20110052851A (ko) 2009-11-13 2011-05-1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KR20150090385A (ko) 2014-01-28 2015-08-06 자동차부품연구원 공기 청정기의 필터유닛
KR20180118335A (ko) 2017-04-21 2018-10-31 유장호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358A (ko) 2007-03-16 2008-09-19 (주)두람 자동차 에어컨 필터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90100008A (ko) 2008-03-19 2009-09-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용 필터
KR20110052851A (ko) 2009-11-13 2011-05-1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KR20150090385A (ko) 2014-01-28 2015-08-06 자동차부품연구원 공기 청정기의 필터유닛
KR20180118335A (ko) 2017-04-21 2018-10-31 유장호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524B1 (ko) 유기물을 열 분해하기 위한 촉매와 방법 및 이러한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
EP2327485B1 (en) Method of decomposing waste plastic/organic material using titanium oxide granule with optimal particle property
Miaskiewicz-Peska et al. Comparison of aerosol and bioaerosol collection on air filters
CN102202780A (zh) 气流中的干法成粒
RU2394627C1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включающий ультрамелкие или наноразмерные порошки
CA1041914A (en) Fluid treating apparatus
TW201130563A (en) Preparation method for stainless steel slags and steelworks slags for recovery of metal
EP3703863B1 (en) Vortex mill and method of vortex milling for obtaining powder with customizable particle size distribution
GB2048110A (en) Air filter element
US7303691B2 (en) Polishing method for semiconductor wafer
WO2008055208A1 (en) Aerogel-based filtration of gas phase systems
CN107198906A (zh) 一种空气过滤材料
KR20210105737A (ko) 필터모듈
KR100777955B1 (ko) 정수 필터 재료 및 정수 필터의 제조 방법
CN108884600B (zh) 用于处理过滤材料的方法和装置及其获得的产品
Gabites et al. Design of baghouses for fines collection in milk powder plants
JP2008272629A (ja) 抗アレルゲンフィルタ
KR20170009378A (ko) 실내공기 내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광물 및 em 필터장치 이를 이용한 필터링 방법
KR102379055B1 (ko) 필터 타입 마스크
CN210215776U (zh) 一种艾草抑菌熔喷非织造材料
JP2006326405A (ja) 浄水フィルター
EP1584605B1 (en) Method of adding active carbon in water purification and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CA2406957C (en) High-speed filtering apparatus and high-speed filtering method using thesame
JP3540839B2 (ja) 流動層風篩装置
JPH0768164A (ja) 二酸化炭素固定材および二酸化炭素固定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