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733A -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 - Google Patents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733A
KR20210105733A KR1020200020570A KR20200020570A KR20210105733A KR 20210105733 A KR20210105733 A KR 20210105733A KR 1020200020570 A KR1020200020570 A KR 1020200020570A KR 20200020570 A KR20200020570 A KR 20200020570A KR 20210105733 A KR20210105733 A KR 20210105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de
electric field
antenna element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344B1 (ko
Inventor
장도영
임태흥
장병준
추호성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34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이 서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인접한 배열 안테나 구조가 개시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는 각 안테나 소자가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각 안테나 소자 사이에 전계 격벽을 삽입하여 각 안테나 소자간의 상호 결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안테나 소자를 근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고, 안테나 소자의 집적도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DIELECTRIC ANTENNA FOR REDUCING MUTUAL COUPLING}
하기의 실시예들은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소자 사이에 PEC(Perfect Electric Conductor) 격벽(wall)을 삽입하여 상호 결합 특성을 개선한 유전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의료기기, IoT 기기 등에서는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안테나를 이용해 외부의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Wi-Fi, 블루투스, GPS 등을 위해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내부 및 외부의 신호 간섭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여 간섭 신호를 널링(NULLING)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수의 배열 안테나 소자들로 구성된 배열 안테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갈수록 소형화 되고 있는 디바이스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만약 배열 안테나 소자들을 무리하여 인접하게 배열한다면, 배열 안테나 소자들간 상호 간섭이 발생하고 널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열 안테나 소자들을 인접하게 배열하면서도 상호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안테나 소자들을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열하여 크기가 작은 배열 안테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안테나 소자들간에 전계 격벽을 삽입하여 안테나 소자들간의 상호 간섭(mutuial coupling)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제1 안테나,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간의 전기적 결합을 감소시키는 전계 격벽(Electric Wall)을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1 안테나 주위를 둘러싼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모드의 전기장과 상기 제2 모드의 전기장은 서로 직교(orthogonal)하거나, 상기 제1 모드의 자기장과 상기 제2 모드의 자기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는 기본 모드(fundamental mode)이고, 상기 제2 모드는 고차 모드(higher order mode)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계 격벽은 금속 재질의 박막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의 중심점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중심점은 동일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의 전기장과 상기 제2 모드의 전기장 간의 상관도(correlation)는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 이하이거나, 상기 제1 모드의 자기장과 상기 제2 모드의 자기장 간의 상관도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 이하일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소자들을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열하여 크기가 작은 배열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소자들간에 전계 격벽을 삽입하여 안테나 소자들간의 상호 간섭(mutuial coupling)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의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직교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설계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격리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계 격벽의 높이를 최적화하는 것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의 반사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격리도(Isolation) 및 반사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의 이득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다른 배열 안테나를 대각선 윗쪽 방향에서 관찰한 도면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110, 120)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배열 안테나의 각 안테나 소자들(110, 120)은 유전체 기판 위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안테나 소자들(110, 12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선을 구비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안테나 소자(110)는 블록 형상의 안테나일 수 있으며, 또한 유전체 안테나 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안테나 소자(120)는 루프 형상의 안테나일 수 있으며, 또한 유전체 안테나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안테나 소자(110)는 패치 안테나 또는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또는 제2 안테나 소자(120)는 제1 안테나 소자(110)를 둘러싼 형상의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안테나 소자(110)의 중심점과 제2 안테나 소자(120)의 중심점은 동일한 지점 또는 전기적으로 동일한 지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인접한 지점일 수 있다. 여기서, 각 안테나의 중심점은 전기적인 중심점일 수도 있고, 기하학적 형태의 중심점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안테나 소자(110)와 제2 안테나 소자(120)는 서로 상이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잇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소자(110)는 기본 모드(fundamental mode)로 동작하고, 제2 안테나 소자(120)는 고차 모드(higher order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제1 모드의 전기장과 제2 모드의 전기장은 서로 직교(orthogonal)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모드의 자기장과 제2 모드의 자기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의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직교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안테나(211, 231)가 배치된 기판(210)은 동일한 기판(210)일 수 있다.
도 2의 (a)는 제1 안테나(211) 및 제1 안테나(211)가 배치된 기판(21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제1 안테나(211)가 생성하는 전기장(221, 222)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안테나(211)는 기판(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모노폴 안테나(211)이고, 모노폴 안테나(211)가 생성하는 전기장(211, 222)은 모노폴 안테나(211)와 동일한 방향인, 기판(210)에 수직인 방향(221, 222)으로 형성된다. 일측에 따르면, 모노폴 안테나(211)가 형성하는 전기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윗 방향과 아랫 방향으로 방향을 변경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테나(211)는 TM 전파(TM wave propagation) 모드로 동작하여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c)는 제2 안테나(231) 및 제2 안테나(231)가 배치된 기판(23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d)는 제2 안테나(231)가 생성하는 전기장(242, 243) 및 자기장(244)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안테나(231)는 기판(230)과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된 루프 형상의 패치 안테나이고, 루프 형상의 패치 안테나(231)가 형성하는 전기장은 기판(231)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특정 방향으로 집중된다. 제2 안테나(231)는 TE 전파(TE wave propagation) 모드로 동작하여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패치 안테나(231)가 유전체 위에 배치된 경우, 루프 형상의 패치 안테나(231)가 형성하는 전기장은 유전체 측면에서 아래 방향(243)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패치 안테나(231)가 형성하는 자기장은 유전체 측면에서 패치 안테나(231)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와 (d)에 도시된 자기장을 비교하면, 제1 안테나(211)가 형성하는 전기장(221, 222)은 기판(210, 230)을 포함하는 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안테나(231)가 형성하는 전기장(242)은 기판(210, 2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안테나(211)가 형성하는 전기장(221, 222)과 제2 안테나(231)가 형성하는 전기장(242)는 서로 직교하며, 서로 간의 영향이 최소화된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안테나(211)가 형성하는 자기장과 제2 안테나(231)가 형성하는 자기장이 서로 직교할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안테나(211)가 형성하는 전기장과 제2 안테나가 형성하는 전기장 간의 상관도(correlation)는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제1 안테나(211)가 형성하는 자기장과 제2 안테나(231)가 형성하는 자기장 간의 상관도는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 이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배열 안테나는 각 안테나 소자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매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지만,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거나,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서로 직교하여 임계치 이하의 낮은 상호 결합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안테나 소자(110)와 제2 안테나 소자(120) 사이에 전계 격벽(Electric Wall, 130)이 위치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계 격벽(130)은 제1 안테나 소자(110)와 제2 안테나 소자(120)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전계 격벽은 금속과 같은 도체로 구성되어 제1 안테나 소자(110)와 제2 안테나 소자(120)간의 전기적 결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전계 격벽이 금속으로 구성된 경우 이를 PEC(Perfect Electric Conductor)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계 격벽은 금속 재질의 박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배열 안테나는 제1 안테나 소자(110)와 제2 안테나 소자(120) 사이에 전계 격벽이 배치되어 안테나 소자(110, 120)간의 전기적 결합을 차단하므로, 각 안테나 소자간의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되며, 각 안테나 소자(110, 120)는 다른 안테나 소자(120, 110)로부터의 전기적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으며, 격리도(isolation)이 향상된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설계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왼쪽 상단의 도면은 배열 안테나를 대각선 상단에서 관찰한 도면이고, 오른쪽 하단의 도면은 배열 안테나를 상단에서 관찰한 도면이다.
도 3에서,
Figure pat00001
(310)은 제1 안테나 소자의 높이이고,
Figure pat00002
(311)은 제1 안테나 소자의 급전선의 높이이다.
Figure pat00003
(321)은 전계 격벽(320)의 높이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331)는 제2 안테나 소자의 높이이고,
Figure pat00005
는 제2 안테나 소자의 급전선(330)의 높이이다.
또한,
Figure pat00006
(341)은 제1 안테나 소자의 두께이고,
Figure pat00007
(342)는 제2 안테나의 외측의 길이일 수 있다.
Figure pat00008
(352)는 제1 안테나 소자로부터 제2 안테나 소자의 내측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9
(351)은 제1 안테나 소자로부터 전계 격벽(320)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일측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각 파라미터는 하기 표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각 파라미터들의 값들(values)의 단위는 mm이다.
[표 1]
Figure pat00010
도 3에 도시된 배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는 1.575GHz 일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안테나 소자의 특성은 특정 안테나 소자에 대해서는 급전하고, 다른 안테나 소자에 대해서는 급전하지 않은 채 측정한 것이다. 안테나 소자 사이에는 전계 격벽이 배치되었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실선으로 표시된 제1 안테나 소자의 반사계수는 1.575GHz 부근에서 최소값을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된 제2 안테나 소자의 반사계수도 그 근방에서 최소값을 나타낸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실선으로 표시된 제1 안테나 소자의 이득값은 배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인 1.575GHz 부근에서 최대값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표시된 제2 안테나 소자의 이득값도 그 근방에서 최대값을 나타낸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격리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511, 512)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배열된 좌측의 도면과 예시적 실시예와 같이 특정 안테나 소자(522)가 다른 안테나 소자(521)를 둘러싼 형태로 배열된 우측의 도면으로 구성된다.
도 5의 (a)에서, 좌측의 도면과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안테나 소자(511, 512)들이 배열된 경우, 안테나 소자들간의 간격은 d(51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우측의 도면과 같이 특정 안테나 소자(522)가 다른 안테나 소자(521)를 둘러싼 형태로 배열된 경우 안테나 소자들 간의 간격은 d(52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좌측과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배열된 경우와 도 5의 (a)의 우측과 같이 특정 안테나 소자(522)가 다른 안테나 소자(521)를 둘러싼 형태로 배열된 경우 안테나간의 거리에 따른 안테나 소자들간의 격리도(isolation)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b)의 가로축은 안테나 소자들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격리도를 dB 단위로 나타낸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안테나 소자간의 격리도를 16dB 확보하려면 일반적인 방법으로 배열된 경우 안테나 소자들은 0.5
Figure pat00011
이상 이격되어야 하나, 특정 안테나 소자(522)가 다른 안테나 소자(521)를 둘러싼 형태로 배열되고, 각 안테나 소자(521, 522)들이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격리도를 16dB 확보하기 위해 안테나 소자들이 0.2
Figure pat00012
만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계 격벽의 높이를 최적화하는 것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안테나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전계 격벽(610)의 높이(620)가 다양한 요구 사항에 맞춰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6의 (b)는 전계 격벽의 높이 변화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지향성(directivity)과 안테나 소자간의 격리도(isolation)를 나타낸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배열 안테나의 지향성은 대체로 전계 격벽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반비례하여 감소하고, 안테나 소자간의 격리도는 전계 격벽의 높이가 증가할 수록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배열 안테나의 지향성과 안테나 소자간의 격리도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관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배열 안테나의 요구사항에 따라 전계 격벽의 적절한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Figure pat00013
은 제1 안테나 소자의 높이이고,
Figure pat00014
는 제2 안테나 소자의 높이이다. 전계 격벽의 높이
Figure pat00015
은 제1 안테나 소자의 높이
Figure pat00016
과 제2 안테나 소자의 높이
Figure pat00017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안테나 소자의 반사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제2 안테나 소자의 유전율이 변경되는 경우, 주파수 대역에 따른 제1 안테나 소자의 반사계수를 도시한 것이다. 가로축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반사계수를 dB 단위로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제2 안테나 소자의 유전율이 변경되어도 제1 안테나 소자의 반사계수가 최소값을 가지는 주파수 대역 등은 크게 영향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안테나 소자와 제2 안테나 소자간의 상호 결합의 영향이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제1 안테나 소자의 유전율이 변경되는 경우, 주파수 대역에 따른 제2 안테나 소자의 반사계수를 도시한 것이다. 가로축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반사계수를 dB 단위로 나타낸다. 도 7의 (b)를 참고하면, 제1 안테나 소자의 유전율이 변경되어도 제2 안테나 소자의 반사계수가 최소값을 가지는 주파수 대역 등은 크게 영향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안테나 소자와 제2 안테나 소자간의 상호 결합의 영향이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격리도(Isolation) 및 반사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전계 장벽으로 사용되는 PEC 격벽(Perfect Electric Conductor wall)이 안테나 소자 사이에 위치한 경우와 위치하지 않은 경우 각각에 대하여 격리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로축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격리도를 dB 단위로 나타낸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전계 격벽이 배치된 경우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격리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8의 (b)는 전계 장벽으로 사용되는 PEC 격벽(Perfect Electric Conductor wall)이 안테나 소자 사이에 위치한 경우와 위치하지 않은 경우 각각에 대하여 배열 안테나의 반사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로축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반사계수를 dB 단위로 나타낸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전계 격벽이 배치된 경우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전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계수의 값이 좀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의 방향에 따른 이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제2 안테나 소자에 급전되는 전력의 위상은 0으로 고정하고, 제1 안테나 소자에 급전되는 전력의 위상을 변경한 경우에, 배열 안테나의 방향에 따른 이득을 도시한 도면으로 가로축은 제1 안테나 소자에 급전되는 전력의 위상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배열안테나의 정규화된 이득을 나타낸다.
도 9의 (a)를 참고하면, 제1 안테나 소자에 급전되는 전력의 위상을 적절히 제어하여, 배열 안테나가 최대의 이득을 가지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의 (b)는 제1 안테나 소자에 급전되는 전력의 위상은 0으로 고정하고, 제2 안테나 소자에 급전되는 전력의 위상을 변경한 경우에, 배열 안테나의 방향에 따른 이득을 도시한 도면으로 가로축은 제1 안테나 소자에 급전되는 전력의 위상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배열안테나의 정규화된 이득을 나타낸다.
도 9의 (b)를 참고하면, 제2 안테나 소자에 급전되는 전력의 위상을 적절히 제어하여, 배열 안테나가 최대의 이득을 가지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내지 도 9에서 설명된 배열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거의 동일한 위치라고 볼 수 있을 정도까지 배치할 수 있어 안테나 소자의 집적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안테나 소자를 다른 모드로 동작하게 하거나, 각 안테나 소자 사이에 PEC 격벽(PEC wall) 등을 이용한 전계 격벽을 배치함으로써, 각 안테나 소자간의 상호 결합을 방지하거나 상호 결합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내지 도 9에서 설명된 배열 안테나는 안테나 소자 상호간의 상호 결합의 영향이 적고 지향성이 우수하며, 안테나 소자에 공급되는 전력의 위상을 제어하여 배열 안테나가 최대 이득을 가지는 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도 있어 방향탐지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제1 안테나;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간의 전기적 결합을 감소시키는 전계 격벽(Electric Wall)
    을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블록 형상의 안테나이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1 안테나 주위를 둘러싼 루프 안테나인 배열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유전체 안테나인 배열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의 전기장과 상기 제2 모드의 전기장은 서로 직교(orthogonal)하거나, 상기 제1 모드의 자기장과 상기 제2 모드의 자기장은 서로 직교하는 배열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기본 모드(fundamental mode)이고,
    상기 제2 모드는 고차 모드(higher order mode)인 배열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격벽은 금속 재질의 박막으로 구성된 배열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의 중심점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중심점은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는 배열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의 전기장과 상기 제2 모드의 전기장 간의 상관도(correlation)는 미리 결정된 제1 임계치 이하이거나, 상기 제1 모드의 자기장과 상기 제2 모드의 자기장 간의 상관도는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임계치 이하인 배열 안테나.

KR1020200020570A 2020-02-19 2020-02-19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 KR10230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570A KR102308344B1 (ko) 2020-02-19 2020-02-19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570A KR102308344B1 (ko) 2020-02-19 2020-02-19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733A true KR20210105733A (ko) 2021-08-27
KR102308344B1 KR102308344B1 (ko) 2021-10-05

Family

ID=7750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570A KR102308344B1 (ko) 2020-02-19 2020-02-19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3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788A (ko) * 2008-08-11 2010-02-19 (주)에이스안테나 디커플링 소자를 가지는 안테나
KR20190041389A (ko) * 2017-10-12 2019-04-22 스카이크로스 주식회사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안테나 구조물
KR20190143312A (ko) * 2018-06-20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788A (ko) * 2008-08-11 2010-02-19 (주)에이스안테나 디커플링 소자를 가지는 안테나
KR20190041389A (ko) * 2017-10-12 2019-04-22 스카이크로스 주식회사 다중 대역을 지원하는 안테나 구조물
KR20190143312A (ko) * 2018-06-20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344B1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7963B1 (en) Dual polarization current loop radiator with integrated balun
EP2595243B1 (en) Wideband antenna
US10276943B2 (en) Antenna device including patch array antenna and conductive metal member
JP3866273B2 (ja) アンテ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245197B2 (en) Wireless transceiv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KR101803208B1 (ko) 단일 방사체 다중 급전을 이용한 빔조향 안테나
KR101470914B1 (ko)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원형 편파 안테나
JP5523992B2 (ja) 無指向性アンテナ装置及びアレーアンテナ装置
KR101891562B1 (ko) 이중대역 루프 안테나를 이용한 배열 안테나
RU2629906C1 (ru) Зеркальная антенна с двойной поляризацией и широким углом сканирования
KR102308344B1 (ko)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
KR102465297B1 (ko) 단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장치
CN209804892U (zh) 一种加载寄生贴片的微带天线
US10622714B2 (en) Linear slot array antenna for broadly scanning frequency
KR102597567B1 (ko) 메시 구조를 가지는 공통개구면 안테나 시스템
KR101971823B1 (ko) 배열 안테나
JP2007124346A (ja) アンテナ素子及びアレイ型アンテナ
KR101812315B1 (ko) 비접촉 접지 구조를 기반으로 안테나의 격리도를 개선하는 방법 및 비접촉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CN114245954B (zh) 介质谐振器天线和介质谐振器天线阵列
CN109841951B (zh) 单馈电轴比带宽增强圆极化微带天线
JP2000201014A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KR102454942B1 (ko) 프랙탈 안테나를 이용한 배열 안테나
US20230076815A1 (en) Antenna apparatus
US11916315B2 (en) Circular disk with first and second edge openings
US20230136183A1 (en) Antenna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uch 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