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914B1 -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원형 편파 안테나 - Google Patents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원형 편파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914B1
KR101470914B1 KR20130073062A KR20130073062A KR101470914B1 KR 101470914 B1 KR101470914 B1 KR 101470914B1 KR 20130073062 A KR20130073062 A KR 20130073062A KR 20130073062 A KR20130073062 A KR 20130073062A KR 101470914 B1 KR101470914 B1 KR 10147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ng element
radiator
parasitic element
open loop
loop sl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국
윤종환
문병필
윤소정
Original Assignee
(주)알판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판트 filed Critical (주)알판트
Priority to KR20130073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9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1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interrogator/reader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8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가 개시된다. 이러한 안테나는 선형 및 원형 편파 신호를 수신 혹은 원형 편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사체, 상기 방사체의 하부에 상기 방사체와 수직 방향으로 공기층을 형성하며 이격되어 위치하는 반사판, 그리고 상기 방사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방사 소자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 수단을 통해 포인트 급전(Point Feeding)으로 직접 연결되어 상기 방사 소자로 간접 급전하는 기생 소자를 포함하며, 방사 소자는 축비 개선 대각선 개루프 슬롯 구조, 임피던스 개선 절곡개루프 슬롯 구조 및 방사소자의 크기를 조절 하는 전기적 위상 지연 절곡개루프 슬롯 구조, 광대역 특성을 구현하는 스텁(Stub)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원형 편파 안테나{PARASITIC ELEMENT COUPLING FEEDER RFID CIRCULAR POLARIZED ANTENNA }
본 발명은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용 원형 편파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로 통칭함)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 주요 수단의 하나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RFID는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태그 및 태그의 정보를 읽는 리더로 구성된다. 태그와 리더는 각각 구비하는 안테나를 통해 전자기파를 매개로 정보를 교환한다.
RFID는 HF(High Frequency, 고주파) 대역(13.56 MHz), UHF(Ultra High Frequency, 극초단파) 대역(860 MHz ~ 960 M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대역(2.4 GHz) 등과 같이 여러 대역에서 실현되고 있다. 여기서, HF 대역의 RFID는 주로 자계 결합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안테나의 인식 영역이 매우 협소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ISM 대역의 RFID의 경우에는 주변 환경에 민감하여 전체 RFID 시스템의 성능이 가변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반면, UHF 대역의 RFID는 수동 태그의 인식률 및 인식거리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전자파 방사 방식을 사용해서 다량의 태그를 동시에 빠른 속도로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주변 환경에도 매우 안정적이고 태그와 태그 칩의 저가 생산이 가능하여 현재 RFID의 사용 대역 중 가장 각광받고 있는 대역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동향에 따르면 전파 특성이 우수한 UHF 대역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UHF 대역의 RFID 시스템에서는 리더와 태그를 연결하는 안테나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전원을 리더 안테나의 전파로 공급받는 수동형 RFID는 리더 안테나의 특성에 따라 시스템의 통신 효율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효과적인 RFID 리더의 안테나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거의 없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태그는 선형 편파를 사용하므로 리더안테나를 원형편파로 구현하여 태그의 방향성과 무관하게 리더기와 태그의 원활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리더안테나의 원형 편파 특성 중 우수한 축비(Axial Ratio)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원거리 인식과 다중 태그 인식이 가능하도록 높은 방사 이득과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방사 패턴을 가져야 하며, 주어진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현재, 원형 편파를 방사하는 송수신용 안테나는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그대로 RFID 리더용 안테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측면이 있다. 즉, RFID에 적합한 안테나 특성을 갖는 송수신용 리더 안테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상용화 중인 종래의 RFID 원형 편파 리더 안테나는 패치 안테나가 일반적이며, 이러한 패치 안테나는 반사손실 대역폭과 원형 편파의 주요한 특성인 축비 대역폭이 협소하다는 문제와, 리더 안테나의 중요한 특성인 안테나 방사패턴의 지향성성에 따른 태그의 인식영역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RFID 리더용 안테나가 필요로 하는 안테나 특성, 즉 양질의 원형 편파의 방사 특성과, 고 이득과, 광대역 특성과, 빔 폭의 조절, 및 소형의 안테나 제작 등이 우수한 RFID 리더용 안테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패치 원형 편파 안테나의 급전은 원형 편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접지면과 방사 패치의 어느 한 지점에 적정하게 선택된다. 만약, 두 개의 직교하는 패치 모드가 서로 같은 크기와 서로 다른 90도의 위상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여기 된다면 원형 편파가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사소자에 직접 급전하는 방식의 원형 편파용 안테나는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의 단점인 협대역 특성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원형 편파 안테나는 축비와 임피던스를 같이 고려하야 하므로 튜닝(turning)부위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를 개선하면 축비 특성이 나빠지고 축비를 개선하면 임피던스 특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생 소자의 간접 급전(Coupling Feeding) 방식을 사용하고 원형편파 안테나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축비와 임피던스 정합을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케 하는 UHF(Ultra High Frequency, 극초단파) 대역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용 원형 편파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형 및 원형 편파 신호를 수신 혹은 원형 편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사체, 상기 방사체의 하부에 상기 방사체와 수직 방향으로 공기층을 형성하며 이격되어 위치하는 반사판, 그리고 상기 방사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방사 소자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 수단을 통해 포인트 급전(Point Feeding)으로 직접 연결되어 상기 방사 소자로 간접 급전하는 기생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 소자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일측 대각선 방향의 양 모서리 부분은 모서리가 없는 코너(truncated corner) 구조로 형성되며, 타측 대각선 방향의 양 모서리 부분은 축비 개선 대각선 개루프 슬롯 구조로 형성되며, 정중앙에는 단락핀(short pin)을 삽입하기 위한 비아 홀(via hole)이 형성되고, 상기 비아 홀로부터 측면 방향을 항하여 이격된 위치에 상기 기생 소자에 전원 공급하기 위한 연결 수단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 소자는, 양측면에 각각 임피던스 개선 절곡개루프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 소자는, 양측면에 각각 가상적인 전기적 경로 위상 지연을 가지므로 방사소자의 크기를 조절 하는 전기적 위상 지연 절곡 개루프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측면에 스텁(Stub)이 형성되되, 상기 방사 소자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축비 개선 대각선 개루프 슬롯의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사 소자의 면적이 상기 기생 소자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생 소자는, 상기 방사 소자의 리액턴스 성분을 상쇄하여 대역폭을 증대하기 위하여 원형, 사각 및 다각 구조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사각 형태의 금속체 구조물의 금속벽을 구비하여 금속벽 간격 및 높이의 조정에 따라 방사 패턴의 빔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방사체의 하부에 상기 방사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8mm ~ 22mm 범위에 포함되는 공기층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편파 안테나는 임피던스와 축비 특성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나 임피던스를 개선하면 축비 특성이 저하되거나 축비 특성을 개선하면 임피던스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아서 임피던스 특성과 축비 특성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개별로 튜닝 가능한 독립적인 매칭(matching)포인트 및 하나의 안테나로 광범위한 범위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광대역 안테나 구현이 필요한데, 간접 급전(Coupling Feeding)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RFID 리더용 원형 편파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급전된 기생 소자 만으로 임피던스 튜닝(turning)이 가능하며, 방사 소자에는 축비 튜닝용 개루프 슬롯과 임피던스 튜닝용 슬롯을 구비하여 독립적인 매칭(matching)포인트 튜닝이 가능한 RFID 리더용 원형 편파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텁(Stub)의 적용 위치에 따라 축비는 변화 없이 임피던스만 변화시킬 수 있어 광대역 특성을 구현하기 용이하다.
또한, 대량 양산시 전기적 특성 불량 시 튜닝을 많이 가져가면 불량제품 수리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생 소자 간접 급전 UHF(Ultra High Frequency, 극초단파) 대역 원형 편파 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하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생 소자가 포함된 방사체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생 소자가 포함된 방사체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생 소자가 포함된 방사체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생 소자 간접 급전 UHF(Ultra High Frequency; 극초단파)대역 원형 편파 안테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용 원형 편파 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형 편파 안테나(1)는 방사체(100), 반사판(200) 및 전력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방사체(100)는 선형 및 원형 편파 신호를 수신 혹은 원형 편파 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사체(100)는 유전체 층이 포함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로 통칭함) 타입과 다양한 소재의 금속체, 특히, 도금 처리된 Al, Cu 금속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 1의 방사체(100)는 PCB(101)의 하부면에 방사 소자(radiating element)(103)가 위치하고, 상부면에 기생 소자(parasitic element)(105)가 위치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소자(103) 및 기생 소자(105)는 PCB(101) 상에 식각 방식 또는 전자 잉크로 프린팅되거나 전도체 필름 부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PCB 동박(Copper Foil)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방사 소자(103)의 면적이 기생 소자(105)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기생 소자 만으로 임피던스 튜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튜닝이 용이하다.
반사판(200)은 방사체(100)의 하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방사체(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 공간(P1)을 형성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이격 공간(P1)의 높이 또는 길이는 임피던스 정합 및 축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방사체(100)의 + 전하와 그라운드(GND)의 - 전하가 끌어당기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라운드(GND)와 방사체(100) 사이의 높이 또는 거리 조절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 및 축비 향상을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의 유지가 필요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판(200)은 방사체(100)의 하부면으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8mm ~ 22mm 범위 내에 속하는 이격 거리를 가지는 이격 공간(P1)을 형성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300)는 연결 수단(400)을 통해 방사체(100)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력 공급부(300)는 RF 커넥터일 수 있으며, 연결 수단(400)은 커넥터 케이블 혹은 커넥터 (+) 역할을 하는 금속체의 커넥터 속심 일 수 있다.
이때, 방사 소자(103)로의 급전 방식은 반사판(200) 하단에 위치한 전력 공급부(300)를 이용하여 포인트 급전(Foint Feeding)으로 기생 소자(105)에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기생 소자(105)가 하단의 방사 소자(103)를 간접 급전(Coupling Feeding) 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간접 급전 방식은 전자기적인 커플링에 의해 방사 소자(103)를 급전시킨다.
또한, 반사판(200)에는 사각 형태의 금속체 구조물의 금속벽을 구비하여 금속벽 간격 및 높이의 조정에 따라 방사 패턴의 빔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하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사체(100)의 방사 소자(103)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측 대각선 방향의 양측 모서리 부분(107, 109)은 모서리가 없는 코너(truncated corner) 구조이다. 오른쪽 위 모서리 부분(107)과 왼쪽 아래 모서리 부분(109)은 모서리가 없는 코너 형태로 형성된다. 이처럼 모서리가 없는 코너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거시적 원형 편파의 축비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소자(103)는 정사각형으로 전체적인 크기는 120mm ~ 155mm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 모서리 부분(107, 109)의 모서리가 없는 코너의 대각선 길이는 30mm ~ 50mm 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 모서리 부분(107, 109)의 잘린 부분의 길이와 기생 소자(105)의 X축과 Y축의 전계(Electric Field) 및 자계(Magnetic Field) 성분의 조화로 90°의 위상차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방사 소자(103)의 타측 대각선 방향의 양측 모서리 부분 및 양측면은 축비 개선 대각선 개루프 슬롯(Open-loop slot) 구조이다.
이때, 왼쪽 위 모서리 부분 및 오른쪽 아래 모서리 부분에는 내측으로 파인 직사각형 형태의 개루프 슬롯(111, 1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루프 슬롯(111, 113)은 미시적 원형 편파의 축비 특성을 개선한다.
그리고 방사 소자(103)의 좌우 양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 홈 형태의 임피던스 개선 절곡개루프 슬롯(115, 1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루프 슬롯(115, 117)은 가상적인 전기적 경로 위상 지연을 가지므로 방사소자의 크기를 조절 하는 전기적 위상 지연 절곡개루프 슬롯일 수 있다. 그리고 임피던스 미시적 튜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방사 소자(103)의 일측에는 스텁(stub)(119)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텁(119)은 축비 개선 대각선 개루프 슬롯(111)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스텁(119)을 축비 개선 대각선 개루프 슬롯(111)쪽으로 치우쳐 형성하면, 임피던스 거시적 튜닝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스텁(119)의 위치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용 위치를 달리하여 축비는 변화가 없이 임피던스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광대역 특성의 구현이 용이하다.
또한, 방사 소자(103)의 정중앙에는 단락핀(short pin)을 삽입하기 위한 비아홀(via hole)(121)이 형성된다. 이처럼 정중앙에 형성한 비아 홀(121)에 단락핀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반사판(200)과 방사체(100) 사이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성분과 단락핀의 인덕턴스(Inductance) 성분을 조화하여 광대역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방사 소자(103)의 중앙에서 내측면 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는 전원공급부(300)의 전원을 기생소자에 전원 공급하기 위한 연결 수단 홀(Hole)(1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PCB(101)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PCB(101)를 지지하는 지지 홀(Support Hole)(125)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생 소자가 포함된 방사체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생 소자가 포함된 방사체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생 소자가 포함된 방사체의 상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즉, 도 3, 도 4, 도 5는 기생 소자(105)의 여러 가지 형태의 실시예 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을 위한 연결 수단 홀(Hole)(123)은 연결 수단(400)이 지나가는 부분으로서, 기생 소자(105)에 납땜으로 전기적 단락(short)되어 위치한다.
기생 소자(105)는 방사 소자(103)의 리액턴스 성분을 상쇄하여 대역폭을 증대하기 위한 형태로서, 도 3과 같이 원형 구조물, 도 4와 같이 사각 구조물, 도 5와 같이 다각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간접 급전 방식을 사용하고, 스텁의 적용으로 광대역 특성의 구현이 용이하여 UHF(Ultra High Frequency, 극초단파) 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방사체 101 : PCB
103 : 방사소자 105 : 기생소자
107, 109 : 모서리 부분 111, 113 : 개루프 슬롯
115, 117 : 절곡개루프 슬롯 119 : 스텁
121 : 비아홀 123 : 연결 수단 홀
200 : 반사판 300 : 전력공급부
400 : 연결수단

Claims (9)

  1. 선형 및 원형 편파 신호를 수신 혹은 원형 편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하기 방사체,
    상기 방사체의 하부에 상기 방사체와 수직 방향으로 공기층을 형성하며 이격되어 위치하는 반사판, 그리고
    상기 방사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방사 소자,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 수단을 통해 포인트 급전(Point Feeding)으로 직접 연결되어 상기 방사 소자로 간접 급전하는 기생 소자,
    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 소자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일측 대각선 방향의 양 모서리 부분은 모서리가 없는 코너(truncated corner) 구조로 형성되며, 타측 대각선 방향의 양 모서리 부분은 축비 개선 대각선 개루프 슬롯 구조로 형성되고, 정중앙에는 단락핀(short pin)을 삽입하기 위한 비아 홀(via hole)이 형성되고, 상기 비아 홀로부터 측면 방향을 항하여 이격된 위치에 상기 기생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수단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생 소자는, 상기 방사소자와 간접급전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 소자의 리액턴스 성분을 상쇄하여 대역폭을 증대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소자는,
    양측면에 각각 임피던스 개선 절곡개루프 슬롯이 형성되는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소자는,
    양측면에 각각 가상적인 전기적 경로 위상 지연을 가지므로 방사소자의 크기를 조절 하는 전기적 위상 지연 절곡 개루프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일측면에 스텁(Stub)이 형성되되, 상기 방사 소자의 정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축비 개선 대각선 개루프 슬롯의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소자의 면적이 상기 기생 소자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생 소자는,
    원형, 사각 및 다각 구조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사각 형태의 금속체 구조물의 금속벽을 구비하여 금속벽 간격 및 높이의 조정에 따라 방사 패턴의 빔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방사체의 하부에 상기 방사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8mm ~ 22mm 범위에 포함되는 공기층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 원형 편파 안테나.
KR20130073062A 2013-06-25 2013-06-25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원형 편파 안테나 Active KR101470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062A KR101470914B1 (ko) 2013-06-25 2013-06-25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원형 편파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062A KR101470914B1 (ko) 2013-06-25 2013-06-25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원형 편파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914B1 true KR101470914B1 (ko) 2014-12-10

Family

ID=5267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3062A Active KR101470914B1 (ko) 2013-06-25 2013-06-25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원형 편파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9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0437A (zh) * 2017-12-18 2018-06-01 东莞市合康电子有限公司 小型化可调谐gps天线装置及其生产工艺
CN109286071A (zh) * 2018-10-25 2019-01-29 广东曼克维通信科技有限公司 小型化双频射频识别圆极化天线
CN111786078A (zh) * 2020-08-04 2020-10-16 大连海事大学 一种圆极化波束宽的宽带射频识别读写器天线
CN112310609A (zh) * 2020-11-25 2021-02-02 福州大学 一种应用于rfid的低剖面宽波束圆极化阅读器天线
KR102247170B1 (ko) 2020-05-06 2021-05-11 (주)에스피에스 Uhf rfid를 위한 편파 다이버시티 안테나
CN115603042A (zh) * 2022-09-28 2023-01-13 东莞理工学院(Cn) 一种三频点圆极化贴片天线
US12183996B2 (en) 2022-01-12 2024-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396A (ko) * 2001-01-20 2002-07-26 한현길 기지국용 광대역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및 그 설계방법
KR20090012093U (ko) * 2008-05-23 2009-11-26 장용웅 고 이득 원형편파 고정형 rfid 안테나
KR20120015554A (ko) *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패치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396A (ko) * 2001-01-20 2002-07-26 한현길 기지국용 광대역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및 그 설계방법
KR20090012093U (ko) * 2008-05-23 2009-11-26 장용웅 고 이득 원형편파 고정형 rfid 안테나
KR20120015554A (ko) *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패치 안테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0437A (zh) * 2017-12-18 2018-06-01 东莞市合康电子有限公司 小型化可调谐gps天线装置及其生产工艺
CN109286071A (zh) * 2018-10-25 2019-01-29 广东曼克维通信科技有限公司 小型化双频射频识别圆极化天线
KR102247170B1 (ko) 2020-05-06 2021-05-11 (주)에스피에스 Uhf rfid를 위한 편파 다이버시티 안테나
CN111786078A (zh) * 2020-08-04 2020-10-16 大连海事大学 一种圆极化波束宽的宽带射频识别读写器天线
CN111786078B (zh) * 2020-08-04 2021-06-25 大连海事大学 一种圆极化波束宽的宽带射频识别读写器天线
CN112310609A (zh) * 2020-11-25 2021-02-02 福州大学 一种应用于rfid的低剖面宽波束圆极化阅读器天线
US12183996B2 (en) 2022-01-12 2024-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CN115603042A (zh) * 2022-09-28 2023-01-13 东莞理工学院(Cn) 一种三频点圆极化贴片天线
CN115603042B (zh) * 2022-09-28 2023-11-21 东莞理工学院 一种三频点圆极化贴片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914B1 (ko) 기생소자 간접 급전 rfid원형 편파 안테나
US9590304B2 (en) Broadband antenna
KR100848237B1 (ko) 무선 태그 및 무선 태그용 안테나
US8736507B2 (en) Antenna apparatus provided with dipole antenna and parasitic element pairs as arranged at intervals
US8279125B2 (en) Compact circular polarized monopole and slot UHF RFID antenna systems and methods
JP5205455B2 (ja) スロットアンテナ及びその操作方法
US20080143620A1 (en) Increasing the bandwidth of a RFID dipole tag
US20060017620A1 (en) Ultra-wide band meanderline fed monopole antenna
JP2007243296A (ja) Rfid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127595A1 (zh) 无线射频识别rfid标签天线
US20060181475A1 (en) UWB antenna with u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US10804609B1 (en) 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array
CN103474764B (zh) Rfid高增益圆极化微带天线阵
JP2002330024A (ja) スロットアンテナ
CN103367879A (zh) 一种小型端射定向天线
KR101064418B1 (ko) 접지면을 가지는 원형편파 태그 안테나
US7598912B2 (en) Planar antenna structure
CN110718742A (zh) 一种小型化高增益rfid读写器天线
WO2018163695A1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014624B1 (ko) 다중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모듈 및 상기 안테나 모듈을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US20130082894A1 (en) Integrated antenna and method for operating integrated antenna device
US20090079659A1 (en) Multi-mode resonant wideband antenna
US7375697B2 (en) Meandered slit antenna
JP2004328067A (ja) 平面アンテナ
Miswadi et al. Embedded inductance folded-patch antenna with inclined slots for on-metal tag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