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397A - 라파마이신 유도체 - Google Patents

라파마이신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397A
KR20210105397A KR1020217022532A KR20217022532A KR20210105397A KR 20210105397 A KR20210105397 A KR 20210105397A KR 1020217022532 A KR1020217022532 A KR 1020217022532A KR 20217022532 A KR20217022532 A KR 20217022532A KR 20210105397 A KR20210105397 A KR 20210105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und
formula
diseas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먼 보나지
마이클 코널리
데이비드 제이. 글래스
마누엘 미할릭
앤드류 더블유. 패터슨
실비오 로고
테아 샤블라카제
파트리크 쥐거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10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8/18Bridg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the ring forming part of a bridged ring system, e.g. quinucl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의 32-데옥소-라파마이신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이용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화학식 I]

Description

라파마이신 유도체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8년 12월 18일자로 출원된 U.S.S.N. 62/781,242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이의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32-데옥소-라파마이신 유도체, 이의 제조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포유류 세포에서, 라파마이신 표적(mTOR) 키나제는 mTORC1 복합체 및 mTORC2 복합체로서 기재되는 2가지의 별개의 다중단백질 복합체로 존재하는데, 이들 둘 다 영양소와 에너지의 이용 가능성을 감지하며, 성장 인자 및 스트레스 신호전달로부터의 유입물을 통합한다. mTORC1은 성장 인자 및 영양소로부터의 신호를 통합하며, 세포 성장 및 대사를 제어하고(Laplante M. et al. Cell. (2012) 149(2):274-93), 단백질 번역 및 자가포식의 중요한 조절자이다. mTORC1 복합체는 다른자리 입체성 mTOR 저해제, 예컨대 라파마이신 및 라파마이신 유사체(소위 '라팔로그(rapalog)')에 민감하다. 라파마이신 및 이전에 생성된 라팔로그의 작용 방식은 FK506 결합 단백질, 예컨대, FKBP12, FKBP12.6, FKBP13, FKBP25, FKBP51 또는 FKBP52(이들 FKBP는 본 명세서에서 "FKBP" 또는 "FKBP"로서 언급될 것임)와의 그리고 이들의 세포내 복합체 형성, 다음에 mTOR의 FRB(FK506-라파마이신 결합) 도메인에 대한 FKBP-라팔로그 복합체의 결합을 수반한다. 문헌[
Figure pct00001
A.M. et al. Mol Cell Biol. (2013) 33(7):1357-1367]. FKBP-라팔로그 복합체와 mTORC1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복합체의 다른자리 입체성 저해를 초래한다. 라파마이신 및 라팔로그, 예컨대 RAD001(에베롤리무스; Afinitor®)은 양성 장애와 악성 증식 장애 둘 다와 관련되는 mTORC1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임상적 타당성을 획득하였다. 문헌[Royce M.E. et al. Breast Cancer (Auckl). (2015) 9:73-79; Pleniceanu O. et al. Kidney Int Rep. (2018) 3(1):155-159].
라파마이신은 스트렙토마이세스 하이고스코피우스(Streptomyces hygoscopius)에 의해 생성되는 공지되어 있는 매크로라이드(macrolide) 항생제이다, 예를 들어, 문헌[McAlpine, J.B., et al., J. Antibiotics (1991) 44:688; Schreiber, S.L.; et al., J. Am. Chem. Soc. (1991) 113:7433]; 미국 특허 제3,929,992호 참조. 본 문헌에서 사용되는 라파마이신 및 그의 유도체에 대한 다음의 넘버링 체계는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라파마이신은 강력한 면역저해제이고, 또한 항종양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신 홍반 루프스, 폐 염증, 인슐린 의존성 진성 당뇨병, 피부 장애, 예컨대 건선, 평활근 세포 증식 및 혈관 손상 후 혈관내막 비후, 성인 T-세포 백혈병/림프종, 악성 암종, 심장 염증 질환, 빈혈 및 증가된 축삭생성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약제로서의 이의 효용은 매우 낮고 가변적인 생체 이용 가능성에 의해 제한된다. 게다가, 라파마이신은 제형화하는 데 문제가 있어서, 안정한 생약(galenic) 조성물을 만드는 것을 어렵게 한다.
동물 모델에서, 라팔로그는 수명을 연장시키고, 연령-관련 질환의 개시를 지연시킨다. 다른 생물학적 과정과 같이 노화는 신호전달 경로, 예컨대 TOR 경로(이 경우에 효모 및 예쁜꼬마선충(C elegans) 시스템을 포함하기 위해 "TOR"로 명명함), 포유류에서, mTORC1 경로에 의해 조절된다. TOR 및 mTORC1 신호전달의 조절은 수명을 연장시키며, 파리로부터 포유류까지의 다수의 유기체에서 연령-관련 질환의 개시를 지연시킨다. 예를 들어,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TOR에 의한 TOR 경로의 저해는 효모, 예쁜꼬마선충 및 초파리에서의 수명을 연장시켰고, mTORC1 경로의 저해는 마우스에서의 수명을 연장시켰다(문헌[Kaeberlein et al., Science (2005) 310:1193-1196]; 문헌[Kapahi et al., Curr Biol (2004) 14:885-890]; 문헌[Selman et al., Science (2009) 326:140-144]; 문헌[Vellai et al., Nature (2003) 426:620]). 추가로, mTORC1 저해제 라파마이신은 생애의 후기에 주어질 때조차 마우스의 수명을 연장시켰다(문헌[Harrison et al., Nature (2009) 460(7253):392-395]). 이들 데이터는 포유류 TOR(mTOR) 경로를 표적화하는 약물이 인간에서의 노화 및 연령 관련 질환에서 치료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능성을 상승시킨다. 노인에서 라파마이신을 이용하는 임상시험의 보고는 문헌[M. Leslie in Science, 2013, 342.]에 의해 기재되었다. J. Mannick 등은 문헌[Sci Transl Med. (2014) 6(268): 268ra179]에서 mTOR 저해가 노인에서의 면역 기능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기재한다. 그러나, 연구자는 현재 입수 가능한 mTOR 저해제를 인간 노화 시험에 이용하는 것을 그들의 부작용(면역억제, 혈구감소증, 구내염, GI 고통 및 간질성 폐렴을 포함) 때문에 경계하였다.
신경학적 손상 전에 또는 직후에 mTOR 경로의 약학적 저해는 동물 뇌의 병리학적 변화에서의 병리학적 변화 및 후천적 뇌전증 모델에서의 자발적 재발 발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문헌[Zeng et al.,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signaling pathway mediates epileptogenesis in a model of temporal lobe epilepsy]; 문헌[J. Neurosci., (2009) pp. 6964-6972]). 따라서 라파마이신 및 라팔로그는 또한 이러한 적응증에서 잠재적 가치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라팔로그는 간 섬유증 상황의 인간에서 효능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문헌[Liver Int. (2014) 34(10):1513-21] 참조.
미토콘드리아 근병증(MM)은 성인발병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가장 통상적인 징후이며, 다면적 조직-특이적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낸다: (1) 대사 사이토카인 FGF21 및 GDF15를 비롯한 전사 반응; (2) 1-탄소 대사의 리모델링; 및 (3) 미토콘드리아 비접힘 단백질 반응(unfolded protein response). 문헌[Cell Metabolism 26, 419-428, August 1, 2017]에서, Khan 등에 의해 이들 과정이 골격근에서 mTORC1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로 통합된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반응(ISRmt)의 부분이라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mtDNA 복제 결함은 mTORC1을 활성화시키는데, 이는 드노보 뉴클레오티드 및 세린 합성, 1C-주기, 및 FGF21 및 GDF15 생성을 유도하는 ATF4 활성화를 통해 통합된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한다. 라파마이신에 의한 mTORC1 저해는 미토콘드리아 생물발생설을 유도하지 않고, ISRmt(통합된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반응)의 모든 성분을 하향조절하고, 모든 MM 특징을 개선시키며, 심지어 후기 MM의 진행을 반전시켰다. 따라서 라파마이신 및 라팔로그는 또한 이러한 적응증에서 잠재적 가치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양호한 효능, 안정성 및 생체 이용 가능성의 균형을 나타내는 양호한 약물 후보인 새로운 mTOR 저해제를 제공할 필요가 남아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mTORC1 저해제이고, 장애, 특히 연령-관련 장애, 또는 라팔로그를 이용하는 치료에 대해 현재 승인되어 있는 질환 및 장애의 치료에서 유용하다. C32에서 케톤의 완전한 환원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C16 메톡시기의 대체는 양호한 효능의 균형, 안정성 및 생체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임의의 이론으로 구속되는 일 없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FKBP12 수준이 mTORC1을 저해하기에 충분한 상황에서 FKBP12에 결합함으로써 mTORC1을 저해하는 데 효과적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FKBP12 수준이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하지만,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가 mTORC1을 저해하는 데 충분한 상황에서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에 결합함으로써 mTORC1을 저해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세포 유형에서(예를 들어, 따라서 상이한 잠재적 적응증,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질환 및 장애에서), FKBP 수준은 다를 수 있다. 그 결과, RAD001은 충분한 수준의 FKBP12를 갖는 이러한 세포 유형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충분한 또는 불충분한 수준의 FKBP12를 갖는 특정 세포 유형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3
식 중,
R1은 -ORa 및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ORb,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4는 -OR5, C1-6알킬, C1-6할로알킬, 헤테로C1-6알킬, C1-6하이드록시알킬,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이고;
R5는 H 또는 C1-6알킬이며;
Ra는 H, -P(O)(Rb)2, -C(O)Rc, -C(O)ORc, C1-6알킬 및 C1-6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b는 H 및 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의 Rc는 H, C1-6알킬 및 C1-6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1종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mTOR 경로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질환 또는 장애의 병리와 관련된 표적 조직, 기관 또는 세포는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한 FKBP12 수준을 갖고,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합물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에 비해, mTORC1을 저해하는 데 충분한, FKBP12, FKBP51 및/또는 FKBP52에 대한 보다 높은 친화도 결합을 가진다.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에 비해 더 강하게 mTORC1에 결합하고 이를 저해하도록 FKBP12,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와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FKBP12,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에 대해 보다 높은 친화도 결합은,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에 비해 더 큰 효능을 초래한다.
실시형태에서, 치료 효능은,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과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결정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한 FKBP12 수준을 갖고 있거나 갖는 것으로 결정된 대상체에서의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합물을 상기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상기 대상체는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한 질환 또는 장애의 병리와 관련된 표적 조직, 기관 또는 세포에서 FKBP12 수준을 갖거나, 갖는 것으로 결정된다.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에 비해, mTORC1을 저해하는 데 충분한, FKBP12,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에 대한 보다 높은 친화도 결합을 가진다.
실시형태에서, 치료 효능은,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과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결정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mTORC1을 저해하는 데 충분한 FKBP12 수준을 갖고 있거나 갖는 것으로 이전에 결정된 대상체에서의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합물을 상기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연령-관련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질환 또는 장애는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치매로도 지칭됨),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예를 들어, 노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II형 당뇨병(당뇨병으로부터 생기는 합병증, 예컨대 신부전, 실명 및 신경병증을 포함함)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 이러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이의 조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은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 급성 또는 만성 기관 또는 조직 이식 거부;
- 이식 혈관염;
- 혈관내막 비후, 혈관 폐색, 폐쇄성 관상동맥 죽상동맥경화증, 재협착증을 야기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 및 이동;
-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병태;
- 천식;
- 다제내성(multi-drug resistance: MDR);
- 진균 감염;
- 염증;
- 감염;
- 연령-관련 질환;
- 신경퇴행성 질환;
- 증식성 장애, 예를 들어, 암;
- 발작 및 발작 관련 장애; 및
-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암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PD-1/PDL-1 저해제를 더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암은 신장암, 신세포암종, 결장직장암, 자궁 육종, 자궁내막 자궁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위암, 섬유육종, 췌장암, 간암, 흑색종,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비인두암, 전립선암, 폐암, 교모세포종, 방광암, 중피종, 두부암, 횡문근육종, 육종, 림프종 및 경부암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섬유증 및/또는 염증의 과정을 포함하는 간 장애, 예를 들어, 말기 간 질환에서 생기는 간 섬유증; 간경변증; 독성으로 인한 간부전; 비알코올-연관 간 지방증 또는 NASH; 및 알코올-연관 지방증이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신장에서의 섬유증 또는 염증 과정을 포함하는 신장 장애, 예를 들어, 급성 신장 손상의 결과로서 생겨서, 만성 신장병 및 당뇨병성 신증을 야기하는 신장 섬유증이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심장 기능장애, 예를 들어, 심근경색증 또는 심비대이다. 실시형태에서, 심장 기능장애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이다. 실시형태에서, 심장 기능장애는 고혈압이다. 실시형태에서, 심장 기능장애는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한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면역감시의 감소에 기인하는 암을 야기하는 면역노화이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면역요법에 의해 치료되는 종양, 및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 또는 다른 라팔로그 중 하나에 의해 이전에 치료된 적이 있는 종양을 비롯한 암이다. 실시형태에서, 암은 Tsc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또는 종양 미세환경이 라팔로그에 의해 적절하게 치료되는 경우를 비롯한, mTOR 경로가 활성화될 것으로 나타난 종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실시예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FKBP12와 화합물 2의 x-선 공결정 구조를 도시한다. C16 치환체는 (S)-입체배치이다.
도 2는 FKBP12와 화합물 29의 x-선 공결정 구조를 도시한다. C16 치환체는 (R)-입체배치이다.
도 3a는 정맥내(i.v.) 및 경구(p.o) 투약 후 랫트에서 RAD001의 혈액 농도를 나타내는 선 그래프를 도시한다. Y 축 - RAD001의 혈액 농도(nM). X 축 - RAD001 투여 후 혈액 수집 동안의 시간(hr). 데이터는 3마리의 랫트로부터의 평균 ± 표준 편차이다.
도 3b는 정맥내(i.v.) 및 경구(p.o) 투약 후 랫트에서 화합물 2의 혈액 농도를 나타내는 선 그래프를 도시한다. Y 축 - 화합물 2의 혈액 농도(nM). X 축 - 화합물 2 투여 후 혈액 수집 동안의 시간(hr). 데이터는 3마리의 랫트로부터의 평균 ± 표준 편차이다.
도 4a 4b는 화합물 2가 랫트 간에서 mTORC1 경로를 저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랫트에 1, 3 또는 10 ㎎/㎏의 화합물 2의 단일 경구 용량을 제공하고, 투약 후 3시간에 간 샘플을 수집하였다. 비히클로 처리한 랫트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도 4a는 비히클 또는 1, 3 또는 10㎎/㎏의 화합물 2로 처리하고, 치료 후 3시간에 분석한 랫트 간에서의 인산화(p-) 및 총(t-) S6 단백질의 면역블롯 영상을 나타낸다. 단백질 부하를 제어하기 위해 GAPDH(글리세르알데히드 3-인산염 탈수소효소)를 사용하였다. 도 4b의 히스토그램은 p-S6 내지 t-S6의 농도계측 정량화를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히스토그램에서, p-S6/t-S6 비를 나타내는 평균 임의의 값을 각 막대 위에 나타낸다. X 축은 경구로 제공된 용량(1, 3 또는 10㎎/㎏)을 나타낸다. Y-축은 임의의 단위를 나타낸다. 각각의 실험군에서 6마리의 랫트를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평균±표준 편차이다. 일원 ANOVA 다음에 던넷(Dunnett) 다중 비교 검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모든 그룹으로부터의 평균을 비히클 처리군과 비교하였다. **** P < 0.001.
도 5a 내지 도 5d는 화합물 2(실선) 또는 RAD001(점선)을 이용하는 치료 후 야생형(도 5a), FKBP12 넉아웃(도 5b), FKBP12/12.6/13/52/51 넉아웃(도 5c) 및 FKBP12/12.6/25/52/51 넉아웃(도 5d) 293T 세포에서 S6K1(Thr389)의 저해를 나타내는 선 그래프를 도시한다. 세포를 3회 중복하여 처리하였다. Y 축은 배지 + DMSO로 처리한 세포에서의 S6K1(Thr389) 수준에 대한 저해%를 나타낸다. X 축은 화합물 2 또는 RAD001에 대한 농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은 장애, 특히 연령-관련 장애 또는 현재 라팔로그, 예컨대 RAD001을 이용하는 치료에 대해 승인된 장애의 치료에서 유용한 mTORC1 저해제이다.
정의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본 발명의 화합물들", "본 발명의 화합물",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은 화학식 I의 화합물, 하위 화학식 I-A, I-B, I-C, I-D, I-E, I-F, 예시된 화합물 및 이들의 염뿐만 아니라 모든 입체이성질체(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함), 회전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및 동위원소 표지 화합물(중수소 치환을 포함함) 및 고유하게 형성된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이란 용어는 대상체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 예를 들어, 효소 또는 단백질 활성의 감소 또는 저해를 유발하거나,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병태를 완화시키거나, 질환의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질환을 예방하는 등의 본 개시 내용의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실시형태에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대상체에 투여될 때 (1) (i) mTOR 경로에 의해 매개되거나, 또는(ii) mTOR 활성과 관련되거나, 또는 (iii) mTOR의 활성(정상 또는 비정상)을 특징으로 하는 병태 또는 장애 또는 질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 또는 개선하거나; 또는 (2) mTOR의 활성을 감소 또는 저해하거나; 또는 (3) mTOR의 발현을 감소 또는 저해하는데 효과적인 본 개시 내용의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실시형태에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세포, 또는 조직, 또는 비-세포 생물학적 물질 또는 배지에 투여될 때, mTOR의 활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저해하거나; mTOR의 발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저해하는 데 효과적인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상체"는 영장류(예를 들어, 인간, 남성 또는 여성), 개, 토끼, 기니피그, 돼지, 랫트 및 마우스를 지칭한다. 소정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영장류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하다", "투여하는" 또는 "투여"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이식하거나, 흡수시키거나, 섭취시키거나, 주사하거나, 흡입하거나 또는 달리 도입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저해하다", "저해" 또는 "저해하는"은 주어진 병태, 증상, 또는 장애, 또는 질환의 감소 또는 저해, 또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과정의 기저 활성의 유의미한 감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라는 용어는 질환 또는 장애를 완화하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개시를 지연시키거나, 질환 또는 장애를 개선시키거나(즉, 질환 또는 이의 임상 증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을 늦추거나 저지하거나); 환자가 인식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질환 또는 장애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체 매개변수 또는 생체지표를 완화하거나 개선하는 것을 지칭한다. 실시형태에서, "치료", "치료하다" 및 "치료하는"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징후 또는 증상이 발생되거나 또는 관찰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는 질환 또는 병태의 징후 또는 증상의 부재 하에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는 증상의 개시 전에(예를 들어, 증상의 병력에 비추어 그리고/또는 유전적 또는 다른 감수성 인자에 비추어) 민감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치료는 또한, 예를 들어, 재발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예방하기 위해 증상이 해결된 후에 지속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병태 또는 장애를 "예방하다", "예방하는" 또는 "예방"이라는 용어는 병태 또는 장애의 예방적 처치; 또는 병태 또는 장애의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연령-관련 질환 또는 장애"는 집단 내 발생률 또는 개체에서의 중증도가 나이를 먹는 것과 상관관계가 있는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연령-관련 질환 또는 장애는 25 내지 35세 사이의 인간 개체에 비해 65세 초과의 인간 개체 중에서 발생률이 적어도 1.5배 더 높은 질환 또는 장애이다. 연령-관련 장애의 예는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치매로도 지칭됨),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예를 들어, 노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II형 당뇨병(당뇨병으로부터 생기는 합병증, 예컨대 신부전, 실명 및 신경병증을 포함함)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대상체가 생물학적으로, 의학적으로 또는 삶의 질에 있어서 치료에서 이익을 얻는 경우 이러한 대상체는 치료를 "필요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맥락에서(특히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 및 유사한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또는 맥락에 의해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형 및 복수형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알킬"이라는 용어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포화 탄화수소기의 라디칼("C1-6 알킬")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5 알킬").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4 알킬").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3 알킬").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2 알킬").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킬기는 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 알킬").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킬기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2-6 알킬"). C1-6 알킬기의 예는 메틸(C1), 에틸(C2), 프로필(C3)(예를 들어,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C4)(예를 들어, n-부틸, tert-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펜틸(C5)(예를 들어, n-펜틸, 3-펜타닐, 아밀, 네오펜틸, 3-메틸-2-부타닐, 3차 아밀) 및 헥실 (C6)(예를 들어, n-헥실)을 포함한다.
"알킬렌"은 알킬기의 2가 라디칼, 예를 들어, -CH2-, -CH2CH2- 및 -CH2CH2CH2-을 지칭한다.
"헤테로알킬"은 모 사슬의 하나 이상의 말단 위치(들)에 위치하고/하거나 내부에(즉, 모 사슬의 인접 탄소 원자들 사이에 삽입된) 산소, 질소, 또는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알킬기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알킬기는 모 사슬 내에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및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포화기("헤테로C1-6 알킬")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알킬기는 모 사슬 내에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 및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포화기("헤테로C1-5 알킬")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알킬기는 모 사슬 내에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 및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기("헤테로C1-4 알킬")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알킬기는 모 사슬 내에 1개 내지 3개의 탄소 원자 및 1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포화기("헤테로C1-3 알킬")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알킬기는 모 사슬 내에 1개 내지 2개의 탄소 원자 및 1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포화기("헤테로C1-2 알킬")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알킬기는 1개의 탄소 원자 및 1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포화기("헤테로C1 알킬")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알킬기는 모 사슬 내에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및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기("헤테로C2-6 알킬")이다.
"할로알킬"은 수소 원자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할로겐, 예를 들어, 플루오로,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로 대체된 치환 알킬기를 지칭하며, 모든 수소가 할로로 대체된 알킬 모이어티(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할로알킬 모이어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6 할로알킬"). 일부 실시형태에서, 할로알킬 모이어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4 할로알킬"). 일부 실시형태에서, 할로알킬 모이어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3 할로알킬"). 일부 실시형태에서, 할로알킬 모이어티는 1 내지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2 할로알킬"). 할로알킬기의 예는 -CF3, -CF2CF3, -CF2CF2CF3, -CCl3, -CH2CH2Cl, -CH2CH2CH2Cl, -CFCl2, -CF2Cl 등을 포함한다.
"하이드록시C1-6알킬"은 하나 이상의 -OH 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하이드록시C1-6알킬기의 예는 HO-CH2-, HO-CH2CH2- 및 -CH2-CH(OH)CH3을 포함한다.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12개의 탄소를 갖는 환식, 이환식, 삼환식 또는 다환식 비방향족 탄화수소기를 지칭한다. 실시형태에서,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6개의 탄소를 갖는 단환식이다. 사이클로알킬기은 축합 또는 스피로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축합 고리는 공통 고리 원자를 공유하는 고리이다. 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아다만틸 및 노르보닐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이클로알킬알킬"은 (사이클로알킬)-알킬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서 사이클로알킬 및 알킬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다. "사이클로알킬알킬"은 알킬기를 통해 모 분자 구조에 결합된다. 실시형태에서, 사이클로알킬알킬 모이어티는 C3사이클로알킬C1-6알킬기이다. 실시형태에서, 사이클로알킬알킬 모이어티는 C4사이클로알킬C1-6알킬기이다. 실시형태에서, 사이클로알킬알킬은 C5사이클로알킬C1-6알킬기이다. 실시형태에서, 사이클로알킬알킬은 C6사이클로알킬C1-6알킬기이다. 실시형태에서, 사이클로알킬알킬 모이어티는 C3사이클로알킬C1-3알킬기이다. 실시형태에서, 사이클로알킬알킬 모이어티는 C4사이클로알킬C1-3알킬기이다. 실시형태에서, 사이클로알킬알킬은 C5사이클로알킬C1-3알킬기이다. 실시형태에서, 사이클로알킬알킬은 C6사이클로알킬C1-3알킬기이다.
"헤테로아릴"은 명시된 수의 고리 원자를 갖고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개개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안정한, 방향족, 단환식 또는 이환식 고리 라디칼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 라디칼은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원자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아릴은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이다.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아릴은 5-원 헤테로아릴이다.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아릴은 6-원 헤테로아릴이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푸릴, 피롤릴, 티에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라지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딜, 피리딜,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인돌릴, 인다졸릴, 옥사디아졸릴, 벤조티아졸릴, 퀴녹살리닐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실"은 -OH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각 표현, 예를 들어, 알킬, m, n 등의 정의는, 임의의 구조에서 1회 초과로 생기는 경우에, 동일한 구조의 다른 곳에서의 이의 정의와 독립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특정한 작용기 및 화학 용어의 정의가 하기에 더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화학 원소는 문헌[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5th Ed.] 표지 내부의 CAS 버전의 원소 주기율표에 따라 확인되며, 특정 작용기는 일반적으로 그 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추가적으로, 유기 화학의 일반 원리와, 특정한 작용성 모이어티 및 반응성은 문헌[Thomas Sorrell, Organic Chemistry, University Science Books, Sausalito, 1999]; 문헌[Smith and March,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5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2001]; 문헌[Larock,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Publishers, Inc., New York, 1989]; 및 문헌[Carruthers, Some Modern Methods of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87]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특정 기하학적 또는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정 거울상이성질체가 요망된다면, 비대칭 합성에 의해, 또는 키랄 보조제에 의한 유도체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얻어진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은 분리되고, 보조기는 순수한 목적하는 이성질체를 제공하도록 절단된다. 대안적으로, 분자가 염기성 작용기, 예컨대, 아미노 또는 산성 작용기, 예컨대, 카복실을 포함하는 경우, 부분입체이성질체염은 적절한 광학적으로 활성인 산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된 후에, 당업계에 잘 공지된 분별결정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수단에 의한 이렇게 형성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분할, 및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의 후속적 회수가 이어진다.
달리 진술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도시된 구조는 또한 그 구조의 기하 이성질체(또는 형태(conformational) 이성질체) 형태; 예를 들어, 각각의 비대칭 중심에 있어서 R 및 S 배열, Z 및 E 이중 결합 이성질체, 및 Z 및 E 형태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단일 입체화학 이성질체와,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기하 이성질체(또는 형태 이성질체) 혼합물은 개시된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 이내이다. 부가적으로, 달리 진술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도시된 구조는 또한 하나 이상의 동위원소 풍부 원자가 존재한다는 점만이 다른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중수소 또는 삼중수소에 의한 수소의 대체, 또는 13C- 또는 14C-풍부 탄소에 의한 탄소의 대체를 포함하는 개시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분석 도구로서, 생물학적 분석에서의 프로브로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조성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또는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는 이하에 나타내는 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 조성물은 90%의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 예를 들어, S 거울상이성질체, 및 10%의 다른 거울상이성질체, 즉, R 거울상이성질체를 함유한다.
ee = (90-10)/100*100%=80%.
따라서, 90%의 거울상이성질체 및 10%의 다른 거울상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80%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을 갖는 것으로 언급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화합물의 한 가지 형태, 예를 들어, S-거울상이성질체의 적어도 50%, 75%, 90%, 95% 또는 99%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을 함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R 거울상이성질체 이상으로 S 거울상이성질체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을 함유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특정한 거울상 이성질체가 바람직한 경우, 이것은 대응하는 거울상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이 제공될 수 있으며, "광학적으로 풍부한" 것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광학적으로-풍부한"은 화합물이 유의하게 더 큰 비율의 한 가지 거울상이성질체를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화합물은 적어도 약 90 중량%의 바람직한 거울상 이성질체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화합물은 적어도 약 95 중량%, 98 중량%, 또는 99 중량%의 바람직한 거울상 이성질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거울상 이성질체는 키랄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및 키랄 염의 형성 및 결정화를 포함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라세미 혼합물로부터 단리되거나 비대칭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Jacques et al., Enantiomers, Racemates and Resolution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1981); Wilen, et al., Tetrahedron 33:2725 (1977)]; 문헌[Eliel, E.L. Stereo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McGraw-Hill, NY, 1962)]; 문헌[Wilen, S.H. Tables of Resolving Agents and Optical Resolutions p. 268 (E.L. Eliel, Ed., Univ. of Notre Dame Press, Notre Dame, IN 1972)]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또는 달리 맥락에 의해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일체의 예 또는 예시적인 표현(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고자 한 것으로, 달리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성질체들의 임의의 생성되는 혼합물은 구성성분의 물리화학적 차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분별 결정화에 의해, 순수하거나 실질적으로 순수한 기하 또는 광학 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라세미체로 분리될 수 있다.
최종 생성물 또는 중간체의 임의의 생성되는 라세미체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활성인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이들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을 분리하고, 광학적으로 활성인 산성 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유리시킴으로써 광학 거울상체로 분해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활성인 산, 예를 들어, 타르타르산, 디벤조일 타르타르산,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디-O,O'-p-톨루오일 타르타르산, 만델산, 말산 또는 캄포-10-술폰산으로 형성된 염의 분별 결정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들의 광학적 거울상체로 분할하기 위해 염기성 모이어티가 이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라세믹 생성물은 또한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키랄 흡착제를 사용하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원자에서 원자의 동위원소의 비천연 비율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방사성 동위원소, 예를 들어, 중수소(2H), 삼중수소(3H), 탄소-13(13C) 또는 탄소-14(14C)로 방사성표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의 모든 동위원소 변화는, 방사성이든 아니든, 본 발명의 범주 이내에 포괄되는 것으로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의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 이내인 것으로 하고자 한다.
용어 "호변이성질체"는 특정 화합물 구조의 상호 호환 가능하며, 수소 원자 및 전자의 변위가 변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두 구조는 π 전자 및 원자(보통 H)의 이동을 통해 평형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올 및 케톤은 산 또는 염기에 의한 처리에 의해 빠르게 상호 전환되기 때문에 호변이성질체이다. 호변이성질현상의 다른 예는 마찬가지로 산 또는 염기에 의한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페닐니트로메탄의 아시 및 니트로 형태이다. 호변이성질체 형태는 관심대상의 화합물의 최적의 화학적 반응성 및 생물학적 활성의 달성에 적절할 수 있다.
화합물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4
식 중,
R1은 -ORa 및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ORb,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4는 -OR5, C1-6알킬, C1-6할로알킬, 헤테로C1-6알킬, C1-6하이드록시알킬,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이고;
R5는 H 또는 C1-6알킬이며;
Ra는 H, -P(O)(Rb)2, -C(O)Rc, -C(O)ORc, C1-6알킬 및 C1-6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b는 H 및 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의 Rc는 H, C1-6알킬 및 C1-6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R1은 -ORa이다. 실시형태에서, R1은 5 내지 6 헤테로아릴, 예를 들어, 5-원 헤테로아릴이다. 실시형태에서, R1은 하이드록시,
Figure pct0000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OR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및 -C0-6알킬렌-SO2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하이드록실,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R1은 하이드록시,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하이드록실,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OR5, C1-6알킬, C1-6할로알킬, C1-6하이드록시알킬,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이고; 그리고
R5는 H 또는 C1-6알킬이다. 실시형태에서, R2는 H, 하이드록실, 또는 C1-6알킬이고; R3은 -C0-6알킬렌-SO2R4 또는 -C(O)OR5이다.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식 중,
R1은 하이드록실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0-6알킬렌-SO2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R4는 C1-6알킬이다. 실시형태에서, R2 및 R3 중 하나는 H이고, 다른 하나는 -C0-6알킬렌-SO2R4이다.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구조식 I-A 또는 I-B를 갖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08
[화학식 I-B]
Figure pct00009
.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구조식 I-C 또는 I-D를 갖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I-C]
Figure pct00010
[화학식 I-D]
Figure pct00011
.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구조식 I-E 또는 I-F를 갖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I-E]
Figure pct00012
[화학식 I-F]
Figure pct00013
.
실시형태에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표 1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들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도에 대해 상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염" 또는 "염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산 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을 지칭한다. "염"은 특히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보유하고 전형적으로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바람직한 염을 지칭한다. 다수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은 아미노 및/또는 카복실기 또는 그와 유사한 기의 존재에 의해 산 및/또는 염기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 산은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을 포함한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유기 산에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톨루엔설폰산, 설포살리실산 등이 포함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은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무기 염기는 예를 들어, 암모늄 염 및 주기율표의 I 내지 XII족으로부터의 금속을 포함한다. 소정 실시형태에서, 염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은, 아연, 및 구리로부터 유도되고; 특히 적합한 염은 암모늄, 칼륨, 나트륨, 칼슘 및 마그네슘 염을 포함한다.
염이 유도될 수 있는 유기 염기는, 예를 들어, 1차, 2차, 및 3차 아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치환된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 환형 아민,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등을 포함한다. 소정 유기 아민은 이소프로필아민, 벤자틴, 콜리네이트,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리신, 메글루민, 피페라진 및 트로메타민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아디페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브로마이드/하이드로브로마이드, 비카보네이트/카보네이트, 비설페이트/설페이트, 캄포르설포네이트, 카프레이트, 클로라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르테오필로네이트, 시트레이트, 에탄디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글루타메이트, 글루타레이트, 글리콜레이트, 히푸레이트, 하이드로요오다이드/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뮤케이트, 나프토에이트, 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옥타데카노에이트, 올레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폴리갈락투로네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세바케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설포살리실레이트, 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페나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또는 크시나포에이트 염 형태의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약제학적 조성물
다른 양상에서,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임의의 대상 조성물 또는 이의 성분을 운반하거나 수송하는 데 관련되는 약제학적으로-허용 가능한 물질, 조성물 또는 비히클, 예컨대, 액체 또는 고체 충전제, 희석제, 부형제, 용매 또는 캡슐화 물질을 지칭한다. 각 담체는 대상 조성물 및 이의 성분에 적합하고, 환자에 손상을 주지 않는 의미에서 "허용 가능"하여야 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의 일부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1) 당, 예컨대 락토스, 글루코스 및 수크로스; (2)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 (3)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카복시메틸 셀룰로스나트륨, 에틸 셀룰로스 및 아세트산셀룰로스; (4) 분말 트래거캔스; (5) 맥아; (6) 젤라틴; (7) 활석; (8) 부형제, 예컨대 코코아 버터 및 좌약 왁스; (9) 오일, 예컨대 땅콩유, 면실유, 홍화유, 참깨유,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대두유; (10) 글리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11) 폴리올, 예컨대 글리세린, 솔비톨, 만니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12)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올레이트 및 에틸라우레이트; (13) 한천; (14) 완충제,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 (15) 알긴산; (16) 무발열원 수; (17) 등장성 식염수; (18) 링거액; (19) 에틸 알코올; (20) 인산염 완충제 용액; 및 (21)약제학적 제형에서 사용되는 다른 비독성의 적합한 물질.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로, 비경구로, 흡입 스프레이에 의해, 국소로, 직장으로, 비강으로, 협측으로, 질내로, 또는 이식 저장소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비경구"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내, 흉골내, 척추 강내, 간내, 병변내 및 두개내 주사 또는 주입 기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로, 복강내 또는 정맥내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멸균 주사 형태는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일 수 있다. 이들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이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멸균 주사 제제는 또한 비독성의 비경구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으로서의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허용가능한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추가로, 멸균 고정유는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배합 고정유가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는, 천연 약제학적으로-허용 가능한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특히 이들의 폴리옥시에틸화 형태와 같은 주사용 제제에서 유용하다. 이들 오일 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장쇄 알코올 희석제 또는 분산제, 예컨대,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또는 에멀션 및 현탁액을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투약 형태의 제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사한 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고체, 액체, 또는 다른 투약 형태(dosage form)의 제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예컨대, Tween®, Spans 및 기타 유화제 또는 생체 이용 가능성 향상제가 또한 제형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은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또는 용액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경구로 허용 가능한 투약 형태로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는 락토스 및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윤활제,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이 또한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캡슐 형태의 경구 투여를 위해, 유용한 희석제는 락토스 및 건조된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경구 사용을 위해 수성 현탁액이 필요할 때, 활성 성분은 유화제 및 현탁제와 조합된다. 원한다면, 특정 감미제, 향미제 또는 착색제가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은 직장 투여를 위한 좌약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은 실온에서 고체이지만 직장 온도에서 액체인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제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직장에서 용융되어 약물을 방출할 것이다. 이러한 물질은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은 또한, 특히 치료 표적이 눈, 피부 또는 하부장관의 질환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영역 또는 기관을 포함할 때, 국소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국소 제형은 이들 면적 또는 기관 각각에 대해 용이하게 제조된다. 하부장관에 대한 국소 적용은 직장 좌약 제형(상기 참조)으로 또는 적합한 관장 제형으로 달성될 수 있다. 국소-경피 패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적용을 위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담체에서 현탁되거나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합한 연고에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투여를 위한 담체는 광유, 액체 페트롤라툼, 백색 페트롤라툼,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화 왁스 및 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에 현탁되거나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합한 로션 또는 크림에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는 광유,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솔베이트 60, 세틸 에스테르 왁스, 세트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벤질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은 또한 비강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의 업계에 잘 공지된 기법에 따라 제조되고, 벤질 알코올 또는 다른 적합한 보존제, 생체 이용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다른 통상적인 가용화제 또는 분화제를 사용하여 식염수 중의 용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단일 투약 제형의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치료되는 숙주,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다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저해제의 0.01 내지 100 ㎎/㎏ 체중/일의 투약량이 이들 조성물을 받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도록, 조성물이 제형화되어야 한다.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또한 화합물의 비표지 형태뿐만 아니라 동위원소 표지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1개 이상의 원자가 선택된 원자 질량 또는 질량 수를 갖는 원자에 의해 대체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명세서에 주어진 화학식에 의해 도시된 구조를 갖는다. 본 개시 내용의 화합물 내로 혼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불소, 및 염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각각 2H, 3H, 11C, 13C, 14C, 15N, 18F 31P, 32P, 35S, 36Cl, 123I, 124I, 125I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다양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 예를 들어, 그 내부에 방사성 동위원소, 예컨대 3H 및 14C가 존재하는 화합물 또는 그 내부에 비방사성 동위원소, 예컨대 2H 및 13C가 존재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은 약물 또는 기질 조직 분포 분석을 비롯하여, 대사 연구(14C 사용), 반응 동역학 연구(예를 들어, 2H 또는 3H 사용), 검출 또는 영상화 기술, 예를 들어,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또는 단일-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촬영(SPECT)에, 또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유용하다. 특히, 18F 또는 표지 화합물이 PET 또는 SPECT 연구에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화학식 I, Ia 또는 Ib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동위원소-표지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또는 이전에 이용된 비-표지된 시약 대신 적절한 동위원소-표지된 시약을 사용하여 수반하는 실시예 및 제조에 기재하는 것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보다 무거운 동위원소, 특히 중수소(즉, 2H 또는 D)에 의한 치환은 더 큰 대사 안정성, 예를 들어, 증가된 생체 내 반감기 또는 감소된 투여량 요건 또는 치료 지수의 향상으로 인한 특정한 치료적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수소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환체로서 간주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러한 보다 무거운 동위원소, 특히 중수소의 농축은 동위원소 농축 인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동위원소 농축 계수"는 동위원소 존재비와 특정 동위원소의 자연 존재비 사이의 비를 의미한다. 본 개시 내용의 화합물 내 치환체가 중수소로 표시되는 경우, 그러한 화합물은 각각의 지정된 중수소 원자에 대해 적어도 3500(각각의 지정된 중수소 원자에서 52.5% 중수소 혼입), 적어도 4000(60% 중수소 혼입), 적어도 4500(67.5% 중수소 혼입), 적어도 5000(75% 중수소 혼입), 적어도 5500(82.5% 중수소 혼입), 적어도 6000(90% 중수소 혼입), 적어도 6333.3(95% 중수소 혼입), 적어도 6466.7(97% 중수소 혼입), 적어도 6600(99% 중수소 혼입), 또는 적어도 6633.3(99.5% 중수소 혼입)의 동위원소 농축 계수를 갖는다.
투약량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중수소화된 변이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독성 및 치료 효능은 세포 배양물 또는 실험 동물에서 표준 약제학적 절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LD50는 집단의 50%에 대해 치명적인 용량이다. ED50은 집단의 50%에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용량이다. 독성과 치료 효과(LD50/ED50) 간의 용량 비는 치료 지수이다. 높은 치료 지수를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독성 부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지만,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 대한 잠재적 손상을 최소화하고, 이에 의해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환된 조직 부위로 이러한 화합물을 표적화하는 전달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세포 배양 검정 및 동물 연구로부터 얻어진 데이터가 인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투여량 범위를 제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투여량은 독성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ED50을 포함하는 순환 농도 범위 내에 있다. 투여량은 이용되는 투여량 형태 및 이용되는 투여 경로에 따라 이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임의의 화합물에 있어서, 치료 유효 용량은 처음에 세포 배양 검정으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세포 배양에서 결정되는 IC50(즉, 증상의 최대-절반 저해를 달성하는 평가 화합물의 농도)을 포함하는 순환 혈장 농도 범위를 달성하는 용량이 동물 모델에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인간에서 유용한 용량을 보다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혈장에서의 수준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 투약량 및 치료 요법은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 건강상태, 성별, 식이요법, 투여 시간, 배설 속도, 약물 조합 및 치료하는 의사의 판단 및 치료 중인 특정 질환의 중증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다를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조성물 중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또한 조성물 중의 특정 화합물에 따라 다를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또는 달리 맥락에 의해 명백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일체의 예 또는 예시적인 표현(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고자 한 것으로, 달리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임의의 비대칭 원자(예를 들어, 탄소 등)는 라세미체로, 또는 거울상이성질체가 풍부한, 예를 들어, (R)-, (S)- 또는 (R,S)- 입체배치로 존재할 수 있다. 소정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비대칭 원자는 (R)- 또는 (S)- 입체배치에서 적어도 50%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률, 적어도 60%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률, 적어도 70%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률, 적어도 80%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률, 적어도 90%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률, 적어도 95%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률, 또는 적어도 99%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률을 갖는다.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원자에서의 치환체는, 가능하다면, 시스-(Z)- 또는 트랜스-(E)-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능한 입체이성질체, 회전이성질체, 회전장애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중 하나의 형태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순수한 기하(시스 또는 트랜스) 입체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거울상체), 라세미체 또는 이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입체이성질체의 임의의 생성된 혼합물은 구성성분의 물리화학적 차이에 기반하여,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분별 결정에 의해 순수하거나 실질적으로 순수한 기하 또는 광학 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라세미체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중간체의 임의의 생성된 라세미체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활성인 산 또는 염기로 얻어진 이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의 분리, 및 광학적으로 활성인 산 또는 염기 화합물을 유리시키는 것에 의해 광학적 거울상체로 분할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활성인 산, 예를 들어, 타르타르산, 디벤조일 타르타르산,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디-O,O'-p-톨루오일 타르타르산, 만델산, 말산 또는 캄포-10-술폰산으로 형성된 염의 분별 결정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들의 광학적 거울상체로 분할하기 위해 염기성 모이어티가 이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세미 화합물 또는 라세미 중간체는 또한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키랄 흡착제를 이용하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질환 및 장애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은 하기로부너 선택된 연령-관련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서 유용하다:
급성 또는 만성 기관 또는 조직 이식 거부;
이식 혈관염;
혈관내막 비후, 혈관 폐색, 폐쇄성 관상동맥 죽상동맥경화증, 재협착증을 야기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 및 이동;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병태;
천식;
다제내성(MDR);
진균 감염;
염증;
감염;
연령-관련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증식성 장애, 예를 들어, 암;
발작 및 발작 관련 장애; 및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다른 양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은 연령-관련 질환을 만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치료 가능한 병태, 예컨대 사이토카인(예를 들어, IL6)을 유도하는 노쇠의 증가가 있는 경우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은 섬유증 및/또는 염증 과정을 포함하는 장애, 예를 들어, 간 및 신장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는 말기 간 질환에서 생기는 간 섬유증; 간경변증; 독성으로 인한 간부전; 비알코올-연관 간 지방증 또는 NASH; 및 알코올-연관 지방증을 포함한다. 다른 예는 만성 신장병을 야기하는 급성 신장 손상의 결과로서 생기는 신장 섬유증이다. 당뇨병성 신증은 신장 섬유증 및 염증을 유도할 수 있다. 종종 신장 질환은 심부전을 야기하며, 혈압 증가의 결과로서, 이는 또한 심장 섬유증과 연관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심부전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문헌[Buss, S.J. et al. Beneficial effects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inhibition on left ventricular remodeling after myocardial infarction. J Am Coll Cardiol. (2009) 54(25): 2435-46]; 문헌[Buss, S.J. et al. Augmentation of autophagy by mTOR-inhibition in myocardial infarction: When size matters. Autophagy. (2010) 6(2):304-6].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간 이식을 받은 적이 있는 환자에서 간 섬유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Villamil, F.G. et al. Fibrosis progression in maintenance liver transplant patients with hepatitis C recurrence: a randomized study of RAD001 vs. calcineurin inhibitors. Liver Int. (2014) 34(10):1513-21).
급성 또는 만성 기관 또는 조직 이식 거부의 치료는, 예를 들어, 심장, 폐, 조합된 심장-폐, 간, 신장, 췌장, 피부 또는 각막 이식 수용자의 치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예컨대 골수 이식 후 이식편대숙주병의 예방을 위해 지시된다.
이식 혈관염은 죽상동맥경화증을 포함한다.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병태는 특히 자가면역 요소, 예컨대 관절염(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선행 만성 관절염 및 변형성 관절염) 및 류마티스성 질환을 비롯한 병인을 갖는 염증성 병태를 포함한다.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자가면역 질환은 자가면역 혈액장애(예를 들어, 용혈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순적혈구 빈혈 및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을 포함), 전신 홍반 루프스, 다발연골염, 경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피부근육염, 만성 활동성 간염, 중증근무력증, 건선, 스티븐-존슨 증후군, 특발 스프루(sprue), 자가면역 염증성 장 질환(예를 들어,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을 포함) 내분비 눈병증, 그레이브즈병, 사르코이드증, 다발성 경화증, 원발성 담즙성 경변증, 소아 당뇨병(I형 진성 당뇨병), 포도막염(전측 및 후측), 건성각결막염 및 봄철 각결막염, 간질성 폐 섬유증, 건선 관절염, 사구체신염(예를 들어, 특발성 신증후군 또는 최소 변화 신증을 비롯한, 신증후군을 동반하는 사구체 신염 및 이들을 동반하지 않는 사구체신염) 및 청소년 피부근육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다제내성 병태, 예컨대 다제내성암 또는 다제내성 AIDS의 치료 및 제어에서 다른 화학치료제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제내성(MDR) 치료에서 유용할 수 있다. MDR은 의약은 Pgp에 의해 세포 밖으로 펌핑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화학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암 환자 및 AIDS 환자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Mip 또는 Mip-유사 인자를 갖는 병원균에 의한 감염을 포함하는 감염 치료에서 유용할 수 있다.
연령-관련 질환은 또한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치매로도 지칭됨),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예를 들어, 노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당뇨병으로부터 생기는 합병증, 예컨대 신부전, 실명 및 신경병증)을 포함한다.
신경퇴행성 질환은 헌팅턴병, 파킨슨병, 3형 척수소뇌변성증, 알츠하이머병, 운동신경세포병 및 말초신경병증을 포함한다.
증식성 장애는 암을 포함한다. 이러한 병태는 미국 특허 제9,669,032호에 열거된 것, 예를 들어, 신장암, 신세포암종, 결장직장암, 자궁 육종, 자궁내막 자궁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위암, 섬유육종, 췌장암, 간암, 흑색종,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비인두암, 전립선암, 폐암, 교모세포종, 방광암, 중피종, 두부암, 횡문근육종, 육종, 림프종 또는 경부암을 포함한다.
발작 및 발작 관련 장애는 웨스트 증후군, 국소 피질 이형성증(FCD), 결절성 경화증 복합증(TSC), 소아 소발작 뇌전증, 소아의 양성 국소 근위축증, 청소년 근간대 뇌전증(JME), 측두엽 뇌전증, 전두엽 뇌전증, 난치성 뇌전증,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후두엽 뇌전증, 프로테우스 증후군, 반쪽 대뇌증 증후군(hemi-megalencephaly syndrome: HMEG), 거대뇌증 증후군(MEG), 대뇌증-모세혈관기형(MCAP) 및 대뇌증-다소뇌회증-다지증-수두증 증후군(MPPH)을 포함한다.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는 문헌[Chinnery, P.F. (2015); EMBO Mol. Med. 7,1503-1512]; 문헌[Koopman, W.J. et al., (2016)]; 문헌[EMBO Mol. Med. 8, 311-327] 및 문헌[Young, M.J., and Yound and Copeland, W.C. (2016); Curr. Opin. Genet. Dev. 38, 52-62]에 기재된 미토콘드리아 장애이다.
연령-관련 질환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난 치료 가능한 병태는 노쇠, 예를 들어, 면역성 노화를 포함할 가능성이 더 있다. 이는 (i) 사이토카인, 예컨대 IL-6 순환의 증가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ii) 근육, 신장, 간, 뇌, 뉴런, 간, 췌장 또는 심장에서 발견되는 노쇠 세포; 또한 (iii) 트랜스포존-암호화된 유전자를 포함하는 반복 요소의 전사 증가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DNA-수선의 효율 감소에 의해 진단된다.
치료 방법
본 개시내용은 라팔로그, 예컨대, RAD001을 이용하는 치료용으로 현재 승인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질환 및 장애, 예를 들어, 연령-관련 장애 또는 질환 및 장애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mTOR 경로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의 이러한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질환 또는 장애의 병리와 관련된 표적 조직, 기관 또는 세포는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한 FKBP12 수준을 갖고,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에 비해, FKBP12,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에 대해 보다 높은 친화도 결합을 가진다.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mTORC1을 저해하는 데 충분한 FKBP12,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에 대한 높은 친화도 결합을 가진다.
실시형태에서, 치료 효능은,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과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결정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한 FKBP12 수준을 갖거나 또는 갖는 것으로 결정된 대상체에서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에 비해, FKBP12,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에 대해 보다 높은 친화도 결합을 가진다.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한 표적 조직, 기관 또는 세포에서 FKBP12 수준을 갖거나, 갖는 것으로 결정된다.
실시형태에서, 치료 효능은, 예를 들어,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과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결정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mTORC1을 저해하는 데 충분한 FKBP12 수준을 갖고 있거나 갖는 것으로 이전에 결정된 대상체에서의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합물을 상기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질환 또는 장애는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당뇨병으로부터 생기는 합병증, 예컨대 신부전, 실명 및 신경병증을 포함하는 II형 당뇨병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간 섬유증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은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 급성 또는 만성 기관 또는 조직 이식 거부;
- 이식 혈관염;
- 혈관내막 비후, 혈관 폐색, 폐쇄성 관상동맥 죽상동맥경화증, 재협착증을 야기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 및 이동;
-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병태;
- 천식;
- 다제내성(MDR);
- 진균 감염;
- 염증;
- 감염;
- 연령-관련 질환;
- 신경퇴행성 질환;
- 증식성 장애, 특히 암;
- 발작 및 발작 관련 장애; 및
-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섬유증 및/또는 염증 과정을 포함하는 장애이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간 및 신장 장애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간 장애는 말기 간 질환에서 생기는 간 섬유증; 간경변증; 독성으로 인한 간부전; 비알코올-연관 간 지방증 또는 NASH; 및 알코올-연관 지방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장애는 신장 섬유증이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섬유증은 급성 신장 손상의 결과로서 생긴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장애는 만성 신장 장애이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장애는 당뇨병성 신증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연령-관련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 연령-관련 장애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은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당뇨병으로부터 생기는 합병증을 포함하는 II형 당뇨병, 예컨대 신부전, 실명 및 신경병증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PD-1/PDL-1 저해제를 더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암은 신장암, 신세포암종, 결장직장암, 자궁 육종, 자궁내막 자궁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위암, 섬유육종, 췌장암, 간암, 흑색종,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비인두암, 전립선암, 폐암, 교모세포종, 방광암, 중피종, 두부암, 횡문근육종, 육종, 림프종 및 경부암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mTOR 경로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을 제공한다:
- 급성 또는 만성 기관 또는 조직 이식 거부;
- 이식 혈관염;
- 혈관내막 비후, 혈관 폐색, 폐쇄성 관상동맥 죽상동맥경화증, 재협착증을 야기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 및 이동;
-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병태;
- 천식;
- 다제내성(MDR);
- 진균 감염;
- 염증;
- 감염;
- 연령-관련 질환;
- 신경퇴행성 질환;
- 증식성 장애, 특히 암;
- 발작 및 발작 관련 장애; 및
-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섬유증 및/또는 염증 과정을 포함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을 제공한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간 및 신장 장애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간 장애는 말기 간 질환에서 생기는 간 섬유증; 간경변증; 독성으로 인한 간부전; 비알코올-연관 간 지방증 또는 NASH; 및 알코올-연관 지방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장애는 급성 신장 손상의 결과로서 생기는 신장 섬유증이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장애는 만성 신장 장애이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장애는 당뇨병성 신증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치매로도 지칭됨),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예를 들어, 노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당뇨병으로부터 생기는 합병증, 예컨대 신부전, 실명 및 신경병증)로부터 선택된 연령-관련 장애 또는 질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신장암, 신세포암종, 결장직장암, 자궁 육종, 자궁내막 자궁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위암, 섬유육종, 췌장암, 간암, 흑색종,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비인두암, 전립선암, 폐암, 교모세포종, 방광암, 중피종, 두부암, 횡문근육종, 육종, 림프종 또는 경부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mTOR 경로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 급성 또는 만성 기관 또는 조직 이식 거부;
- 이식 혈관염;
- 혈관내막 비후, 혈관 폐색, 폐쇄성 관상동맥 죽상동맥경화증, 재협착증을 야기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 및 이동;
-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병태;
- 천식;
- 다제내성(MDR);
- 진균 감염;
- 염증;
- 감염;
- 연령-관련 질환;
- 신경퇴행성 질환;
- 증식성 장애, 예를 들어, 암;
- 발작 및 발작 관련 장애; 및
-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섬유증 또는 염증 과정을 포함하는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에서, 장애는 간 및 신장 장애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간 장애는 말기 간 질환에서 생기는 간 섬유증; 간경변증; 독성으로 인한 간부전; 비알코올-연관 간 지방증 또는 NASH; 및 알코올-연관 지방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장애는 급성 신장 손상의 결과로서 생기는 신장 섬유증이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장애는 만성 신장 장애이다.
실시형태에서, 신장 장애는 당뇨병성 신증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치매로도 지칭됨),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II형 당뇨병(당뇨병으로부터 생기는 합병증, 예컨대 신부전, 실명 및 신경병증을 포함)으로부터 선택되는 연령-관련 장애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신장암, 신세포암종, 결장직장암, 자궁 육종, 자궁내막 자궁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위암, 섬유육종, 췌장암, 간암, 흑색종,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비인두암, 전립선암, 폐암, 교모세포종, 방광암, 중피종, 두부암, 횡문근육종, 육종, 림프종 또는 경부암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D,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반응식 1, 2 3에 따른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29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치환 반응을 위한 적합한 시약, 예를 들어, 염화아연(II)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의 존재 하에, C32-데옥시 라파마이신(중간체 1)을 (R2)(R3)NH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이때 R2 및 R3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R2 및 R3은 화학식 I에 정의한 바와 같다. 적합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R2)(R3)NH, p-톨루엔설폰산-H2O, 디클로로메탄, 실온
2) (R2)(R3)NH,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40℃, 디클로로메탄(유럽 특허 제1212331B1호 참조)
3) (R2)(R3)NH, 5M LiClO4, Et2O(0.1M), 실온(TL, 1995, 43, 7823 참조)
4) (R2)(R3)NH, Cp2HfCl2-AgClO4(스즈키 촉매), 4AMS, 디클로로메탄, 실온(TL, 1995, 43, 7823 참조)
5) (R2)(R3)NH, BF3-OEt2 또는 Zn(OTf)2, THF, 0℃(TL, 1994, 37, 6835 참조)
6) (R2)(R3)NH, ZnCl2, 디클로로메탄, 0℃(JOC, 1994, 59, 6512 참조).
7) (R2)(R3)NH, 메탄설폰산, 디클로로메탄, 실온
8) (R2)(R3)NH, 인산, 디클로로메탄, 실온
9) (R2)(R3)NH, 폴리인산, 디클로로메탄, 실온.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는 C32-데옥시 라파마이신은 당업계에 공지된, 예를 들어, WO2007/085400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30
화학식 I의 화합물-A는 중간체 1을 R1-H 또는 R1-X와 반응시킨 후에 (R2)(R3)NH와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되, R1은 -ORa이며; Ra는 H, P(O)(Rb)2, C1-6알킬 및 C1-6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 및 R3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실시형태에서, 중간체 1은 알킬화, 포스핀화 또는 에스테르화 조건 하에 R1-H 또는 R1-X와 반응되어 중간체 1-A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에서, 중간체 1-A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치환 반응 조건 하에 (R2)(R3)NH와 반응되어,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얻는다. 화학식 I의 화합물-C 및 화학식 I-D는 또한 반응식 2에 나타낸 합성 경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31
화학식 I의 화합물-B는 중간체 1-B를 R1-H와 반응시킨 후에 (R2)(R3)NH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되, R1
Figure pct00032
이고; R2 및 R3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실시형태에서, 중간체 1-B는 활성화되고, 중간체 1-B를 제공하는 친핵성 조건 하에 반응된다. 실시형태에서, 중간체 1-B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치환 반응 조건 하에 (R2)(R3)NH와 반응되어,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얻는다. 화학식 I-E 및 화학식 I-F의 화합물은 또한 반응식 3에 나타낸 합성 경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본 개시내용은 다음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본 출원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 및 생물학적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며, 그들의 범주를 제한하는 임의의 방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제공하는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는 이하에 제시하는 구체적 합성 프로토콜에 대한 변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용 가능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전형적인 또는 바람직한 공정 조건(즉, 반응 온도, 시간, 반응물의 몰 비, 용매, 압력 등)이 주어지는 경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공정 조건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최적의 반응 조건은 사용되는 특정 반응물 또는 용매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이러한 조건은 일상적인 최적화 절차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추가로, 당업자에게 명백할 바와 같이, 특정 작용기가 원치않는 반응을 겪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인 보호기가 필요할 수 있다. 특정 작용기에 대한 적합한 보호기뿐만 아니라 보호 및 탈보호를 위한 적합한 조건의 선택은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많은 보호기 및 그들의 도입 및 제거는 문헌[Greene et al.,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Second Edition, Wiley, New York, 1991] 및 이에 인용된 참고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라파마이신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용매로서 그리고 E 및 F(반응식 4 및 5)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6-원 및 7-원 헤미-케탈 형태의 pH 의존적 평형상태로서 존재한다. 문헌[The Journal of Antibiotics (Tokyo) (1991) 44(6):688-90]; 및 문헌[Tetrahedron Letters (1992) 33(33):4139-4142] 참조. 라파마이신 및 이의 유도체는 또한 이하에 E, H, JK로서 나타내는 시스- 및 트랜스-아미드의 혼합물로서 존재한다(반응식 4 및 5). 문헌[Mierke, D. F., Schmieder, P., Karuso, P. and Kessler, H. (1991), Conformational Analysis of the cis- and trans-Isomers of FK506 by NMR and Molecular Dynamics. Helvetica Chimica Acta, 74: 1027-1047.] 실시예에 나타낸 NMR 특성규명 데이터는 보고된 중수소 용매 조건 하에 관찰된 주요 평형상태 형태에만 대응한다.
Figure pct00033
식 중,
R1은 -ORa이고;
Ra는 H, P(O)(Rb)2, C1-6알킬 및 C1-6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ORb,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b는 H 및 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4는 -OR5, C1-6알킬, C1-6할로알킬, 헤테로C1-6알킬, C1-6하이드록시알킬,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이고; 그리고
R5는 H 또는 C1-6알킬이다.
Figure pct00034
식 중,
R1은 헤테로아릴, 예를 들어, 5-원 헤테로아릴, 예를 들어,
Figure pct00035
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ORb,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b는 H 및 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4는 -OR5, C1-6알킬, C1-6할로알킬, 헤테로C1-6알킬, C1-6하이드록시알킬,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이고; 그리고
R5는 H 또는 C1-6알킬이다.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 화학식 I-A 및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용매로서 그리고 E-1F-1(반응식 6)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6-원 및 7-원 헤미-케탈 형태의 pH 의존적 평형상태로서 존재한다.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 화학식 I-A 및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시스-아미드와 트랜스-아미드 E-1H-1의 혼합물로서 존재한다.
Figure pct00036
R1은 -ORa이고;
Ra는 H, P(O)(Rb)2, C1-6알킬 및 C1-6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ORb,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b는 H 및 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4는 -OR5, C1-6알킬, C1-6할로알킬, 헤테로C1-6알킬, C1-6하이드록시알킬,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이고; 그리고
R5는 H 또는 C1-6알킬이다.
화합물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의 실시예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약어 목록
본 명세서에서 아래에 사용되는 다음 약어는 대응하는 의미를 갖는다:
A 옹스트롬
d 이중선
dd 이중선의 이중선
DCM 디클로로메탄
DMSO 메틸설폭시드
ESIMS 원자 분무 이온화 질량 분석법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q 당량
FA 포름산
HSQC NMR 이핵종 단일 양자 결맞음 핵 자기 공명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 헤르츠
MeCN 아세토니트릴
MeOH 메탄올
M 몰
m 다중선
㎎ 밀리그램
MHz 메가헤르츠
㎖ 밀리리터(들)
m㏖ 밀리몰
NMR 핵 자기 공명
PEI 폴리에틸렌이민
PPU 프로필-피리딜-우레아
q 사중선
㎕ 마이크로리터(들)
μM 마이크로몰
s 단일선
SFC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t 삼중선
실시예의 정제에 사용되는 방법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의 정제는 순상 또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순상 크로마토그래피는 적절한 용매 시스템(예컨대,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DCM 및 MeOH; 또는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사전포장된 SiO2 카트리지(예컨대, Teledyne Isco, Inc.의 RediSep® Rf 칼럼)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적절한 용매 시스템(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및 물; 또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의 구배로 용리하는 사전 패킹된 C18 카트리지(예를 들어, Teledyne Isco, Inc.로부터의 RediSep® Rf 칼럼)를 이용하여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SFC를 수행하였다:
방법 1: Reprospher PEI 5 ㎛(100A) 칼럼(30×250 ㎜); CO2/MeOH
방법 2: Princeton PPU5 ㎛(100A) 칼럼(30×250 ㎜); CO2/MeOH
방법3: Kinetex BiPhenyl 5 ㎛ (100A) 칼럼(30×250 ㎜); CO2/MeOH
분석 분리에 기반하여 구배를 선택하였다.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역상 분취 HPLC를 수행하였다:
방법 1: Phenomenex Luna C18; 5 ㎛ 칼럼(30×250 ㎜);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포름산 및 5% 물; 수 중의 0.1% 포름산 및 5% 아세토니트릴. 분석 분리에 기반하여 구배를 선택하였다.
방법 2: YMC Actus Triart C18; 5 ㎛ 칼럼(20×150 ㎜); 아세토니트릴/물. 분석 분리에 기반하여 구배를 선택하였다.
방법3: YMC Actus Triart C18ExRS; 5 ㎛ 칼럼(20×150 ㎜);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포름산 및 5% 물; 수 중의 0.1% 포름산 및 5% 아세토니트릴. 분석 분리에 기반하여 구배를 선택하였다.
방법 4: YMC Actus Triart C8; 5 ㎛ 칼럼(20×150 ㎜);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포름산 및 5% 물; 수 중의 0.1% 포름산 및 5% 아세토니트릴. 분석 분리에 기반하여 구배를 선택하였다.
중간체의 제조
중간체 1 내지 9의 제조
중간체 1: C32-데옥소-라파마이신
Figure pct00037
각각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되는 WO2007/085400 A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문헌에 공지된 절차에 따라 중간체 1을 제조하였다.
중간체 2:
Figure pct00038
중간체 1(4.37 g, 4.86 m㏖)을 무수 디클로로메탄(20 ㎖)에 용해시켰다. 무수 톨루엔(20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회전증발기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이런 공비 건조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였다.
건조시킨 출발 물질을 무수 디클로로메탄(58 ㎖)에서 2,6-루티딘(1.39 ㎖, 11.9 m㏖)과 합쳤다. 플라스크의 뚜껑을 덮고, 혼합물을 질소로 2회 진공 퍼지시켰다. 혼합물을 아세토니트릴/드라이아이스 욕에서 -30℃까지 냉각시켰다.
트리플릭산 무수물(1.20 ㎖, 7.16 m㏖)을 4분의 기간에 걸쳐 주사기를 통해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얼음-물 욕에 옮기고 나서, 20분 동안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회전증발기에 넣고 가열 없이 농축시켰다.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22 ㎖)를 첨가하였다. 테트라졸(1.17 g, 16.7 m㏖)을 한 번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의 뚜껑을 빠르게 덮고, 질소로 2회 진공 퍼지시켰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4.18 ㎖, 23.9 m㏖)을 1분의 기간에 걸쳐 주사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회전증발기에서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순상 실리카겔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0 내지 40% 아세톤-헵탄 구배 용리, 80 g 실리카 칼럼, TLC 40% 아세톤-헵탄, UV 하에 시각화)에 의해 정제하였다.
제2 용리 피크 분획(279 ㎚에서의 UV 흡광도에 의해 결정한 바와 같음)을 모으고 나서, 농축시켜 중간체 2(2.19 g, 2.30 m㏖, 47.4%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중간체 2: ESIMS [M+NH4]+ 969.8, ESIMS [M-H]- 950.8.
1H NMR (400 MHz, DMSO-d 6) δ 9.33 (d, J = 6.4 Hz, 1H), 6.58 - 6.41 (m, 2H), 6.35 - 6.14 (m, 2H), 6.09 - 5.98 (m, 1H), 5.55 - 5.43 (m, 1H), 5.19 (m, 1H), 5.05 (m, 1H), 5.00 - 4.93 (m, 1H), 4.87 - 4.79 (m, 1H), 4.67 - 4.56 (m, 1H), 3.98 - 3.87 (m, 1H), 3.87 (d, J = 6.9 Hz, 1H), 3.61 (m, 2H), 3.55 (dd, J = 11.8, 1.9 Hz, 1H), 3.49 - 3.38 (m, 1H), 3.31 - 3.17 (m, 4H), 3.10 (m, 4H), 3.04 (s, 3H), 2.88 - 2.75 (m, 1H), 2.29 - 2.09 (m, 3H), 2.07 - 1.86 (m, 3H), 1.88 - 1.60 (m, 9H), 1.59 - 1.44 (m, 7H), 1.43 - 1.01 (m, 11H), 0.96 (t, J = 7.1 Hz, 5H), 0.95 - 0.77 (m, 7H), 0.72 (m, 4H).
중간체 3:
Figure pct00039
중간체 1(0.233 g, 0.259 m㏖)을 무수 디클로로메탄(2.6 ㎖)에서 2,6-디-tert-부틸-4-메틸피리딘(0.424 g, 2.07 m㏖)과 합쳤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1회 진공 퍼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빙욕에서 0℃로 냉각시켰다. 고체 디메틸포스핀 클로라이드(0.145 g, 1.29 m㏖)를 한 번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8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희석시키고 나서, EtOAc로 여러 번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디캔팅시키고 나서, 농축시켜 무색의 타르 조질 생성물(0.77 g)을 제공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0 내지 80% 아세톤-헵탄 구배 용리, 24 g 실리카 칼럼, 80% EtOAc-헵탄에서 TLC, UV 하에 시각화)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모으고 나서, 농축시켜 중간체 3(0.09 g, 0.09 m㏖, 34.4%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중간체 3: ESIMS [M+NH4]+ 993.7, ESIMS [M-H]- 974.7.
HRMS: 계산치: 999.5812 (Na+ 부가물). 실측치: 999.5807.
1H NMR (600 MHz, 클로로포름-d) δ 6.47 - 6.26 (m, 2H), 6.22 - 6.08 (m, 1H), 6.02 - 5.83 (m, 1H), 5.54 (m, 1H), 5.35 - 5.26 (m, 1H), 5.21 (m, 1H), 4.85 - 4.76 (m, 1H), 4.12 (m, 2H), 3.93 - 3.81 (m, 1H), 3.67 (t, J = 7.7 Hz, 1H), 3.62 (d, J = 6.7 Hz, 1H), 3.60 - 3.53 (m, 1H), 3.53 - 3.44 (m, 1H), 3.42 - 3.36 (m, 3H), 3.32 (m, 3H), 3.28 - 3.18 (m, 1H), 3.13 (m, 3H), 3.05 (m, 1H), 2.82 (m, 1H), 2.42 - 2.21 (m, 3H), 2.16 - 2.08 (m, 3H), 1.99 (m, 1H), 1.95 - 1.83 (m, 1H), 1.83 - 1.72 (m, 4H), 1.71 - 1.57 (m, 9H), 1.57 - 1.43 (m, 12H), 1.39 (m, 1H), 1.34 - 1.20 (m, 4H), 1.20 - 1.10 (m, 1H), 1.05 (m, 4H), 1.00 (d, J = 6.5 Hz, 3H), 0.95 (dd, J = 6.6, 2.1 Hz, 3H), 0.92 (d, J = 6.6 Hz, 3H), 0.91 - 0.84 (m, 4H), 0.77 (q, J = 12.1 Hz, 1H).
중간체 4:
Figure pct00040
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탄올(0.471 g, 2.67 m㏖)을 반응 바이알에서 무수 톨루엔(0.95 ㎖)에 용해시켰다. 바이알의 뚜껑을 덮고, 이어서, 질소로 진공 퍼지시켰다. 주사기를 통해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0.490 ㎖, 2.81 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빙욕에서 0℃까지 냉각시켰다. 트리플릭산 무수물(Tf2O)(0.438 ㎖, 2.59 m㏖)을 0℃에서 약 2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바이알을 빙욕 밖으로 꺼냈다. 주사기를 통해 DIPEA(0.490 ㎖, 2.81 m㏖)을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열고, 고체 중간체 1(0.600 g, 0.667 m㏖)을 한 번에 빠르게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빠르게 다시 뚜껑을 덮고, 혼합물을 질소로 진공 퍼지시켰다. 톨루엔(0.5 ㎖)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40℃에서 질소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희석시켰다. 퀀칭한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5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진공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왁스 같은 백색 고체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다.
조질의 생성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0 내지 35% 아세톤-헵탄, 구배 용리, 40g 실리카 칼럼, 35% 아세톤-헵탄에서 TLC, UV 하에 시각화)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하는 중간체 4(0.245 g, 0.231 m㏖, 34.7% 수율)를 유리로서 제공하여 다음의 단계에서 "있는 그대로" 직접 사용하였다.
중간체 4: ESIMS [M+NH4]+ 1076.1, ESIMS [M-H]- 1056.0.
중간체 5: C16-(1,1-디옥시도-1,2-티아제티딘-2-일)-C32-데옥소-라파마이신(부분입체이성질체 1)
중간체 6: C16-(1,1-디옥시도-1,2-티아제티딘-2-일)-C32-데옥소-라파마이신(부분입체이성질체 2)
Figure pct00041
DCM(3 ㎖) 중 중간체 1(150 ㎎, 0.167 m㏖) 및 1,2-티아제티딘 1,1-다이옥사이드(891 ㎎, 0.833 m㏖)의 용액에 0℃에서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5 ㎖, 0.5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의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100:0)에 의해 분리시켰다.
분취 HPLC(방법 2)에 의한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최종 정제로 중간체 5(18 ㎎, 1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5: ESIMS [M+NH4]+ 992.6, [M+FA-H]- 1019.6.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6.39 (dd, J = 14.8, 9.8 Hz, 1H), 6.34 (dd, J = 14.8, 10.3 Hz, 1H), 6.18 - 6.10 (m, 1H), 6.02 (d, J = 10.3, 1.5 Hz, 1H), 5.66 (dd, J = 15.1, 8.6 Hz, 1H), 5.38 (s, 1H), 5.32 (dd, J = 6.4, 1.8 Hz, 1H), 5.23 (d, J = 9.6 Hz, 1H), 4.87 - 4.76 (m, 1H), 4.12 - 4.06 (m, 1H), 3.99 (ddd, J = 12.0, 8.2, 6.2 Hz, 1H), 3.92 - 3.86 (m, 1H), 3.84 (dd, J = 10.7, 4.4 Hz, 1H), 3.81 - 3.74 (m, 1H), 3.63 - 3.59 (m, 2H), 3.59 (d, J = 3.6 Hz, 1H), 3.46 (d, J = 7.6 Hz, 1H), 3.43 (s, 3H), 3.40 - 3.37 (m, 1H), 3.32 (s, 3H), 3.04 (ddd, J = 8.2, 5.8, 3.8 Hz, 1H), 3.00 - 2.94 (m, 1H), 2.94 - 2.89 (m, 1H), 2.88 - 2.84 (m, 1H), 2.64 (d, J = 6.7 Hz, 1H), 2.47 - 2.38 (m, 1H), 2.36 - 2.27 (m, 2H), 2.21 - 2.12 (m, 1H), 2.03 - 1.97 (m, 1H), 1.95 - 1.77 (m, 7H), 1.76 - 1.67 (m, 5H), 1.65 (s, 3H), 1.60 - 1.50 (m, 6H), 1.47 - 1.39 (m, 2H), 1.38 - 1.27 (m, 4H), 1.25 - 1.10 (m, 3H), 1.08 - 1.04 (m, 1H), 1.03 - 1.01 (m, 3H), 1.00 (d, J = 1.4 Hz, 3H), 0.99 - 0.97 (m, 3H), 0.97 (d, J = 6.6 Hz, 3H), 0.93 (d, J = 6.8 Hz, 3H), 0.75 - 0.66 (m,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2)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최종 정제로 중간체 6(16 ㎎, 9.2%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6: ESIMS [M+NH4]+ 992.7, [M+FA-H]- 1019.6.
1H NMR (400 MHz, 클로로폼-d) δ 6.46 (dd, J = 14.2, 10.9 Hz, 1H), 6.22 (dd, J = 14.2, 10.6 Hz, 1H), 6.14 (dd, J = 14.5, 10.6 Hz, 1H), 6.00 (d, J = 10.9 Hz, 1H), 5.38 (dd, J = 14.5, 9.6 Hz, 1H), 5.27 - 5.19 (m, 1H), 5.12 - 5.05 (m, 1H), 4.66 - 4.59 (m, 1H), 4.59 - 4.53 (m, 1H), 4.25 (d, J = 1.8 Hz, 1H), 4.17 - 4.06 (m, 3H), 4.02 (ddd, J = 11.8, 8.0, 3.5 Hz, 1H), 3.66 (d, J = 7.0 Hz, 1H), 3.60 - 3.52 (m, 2H), 3.43 - 3.34 (m, 4H), 3.28 (s, 3H), 3.17 - 3.07 (m, 1H), 3.03 - 2.95 (m, 1H), 2.95 - 2.89 (m, 1H), 2.84 - 2.73 (m, 1H), 2.65 - 2.62 (m, 1H), 2.35 - 2.26 (m, 1H), 2.27 - 2.21 (m, 1H), 2.21 - 2.12 (m, 3H), 2.12 - 2.05 (m, 1H), 2.02 - 1.98 (m, 1H), 1.97 - 1.95 (m, 3H), 1.91 - 1.83 (m, 1H), 1.82 - 1.70 (m, 3H), 1.70 - 1.51 (m, 10H), 1.50 - 1.17 (m, 10H), 1.11 - 1.06 (m, 1H), 1.06 - 1.02 (m, 6H), 1.01 - 0.96 (m, 1H), 0.93 (d, J = 6.8 Hz, 4H), 0.89 (d, J = 6.6 Hz, 3H), 0.86 (d, J = 6.8 Hz, 3H), 0.64 (q, J = 11.9 Hz, 1H).
중간체 7 및 8:
Figure pct00042
DCM(4 ㎖) 중 중간체 1(500 ㎎, 0.555 m㏖)과 tert-부틸 카바메이트(976 ㎎, 8.33 m㏖)의 혼합물에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5.3 ㎎, 0.028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전체 반응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25:75)에 의해 직접 분리시켰다. 단리된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로 중간체 7(105 ㎎, 15.4%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중간체 7: ESIMS [M+Na]+ 1008.0, ESIMS [M-H]- 984.0.
단리된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로 중간체 8(220 ㎎, 36.2%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중간체 8: ESIMS [M+Na]+ 1008.1, ESIMS [M-H]- 984.7.
HRMS: C55H89N2O13에 대한 계산치 - 985.6365. 실측치 - 985.6379.
중간체 9 및 중간체 10 :
Figure pct00043
DCM(4 ㎖) 중 중간체 4(120 ㎎, 0.113 m㏖) 및 1,2-티아제티딘 1,1-다이옥사이드(121 ㎎, 1.13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57 ㎖, 0.57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NaHCO3으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40:6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2)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중간체 9(18.3 ㎎, 13.5%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중간체 9: ESIMS [M+NH4]+ 1151.1, [M+FA-H]- 1178.2
1H NMR (400 MHz, DMSO-d 6) δ: 6.57 - 6.37 (m, 2H), 6.32 - 6.12 (m, 2H), 6.04 (dd, J = 22.7, 10.9 Hz, 1H), 5.60 - 5.48 (m, 1H), 5.06 (d, J = 9.1 Hz, 1H), 4.98 - 4.91 (m, 1H), 4.90 - 4.83 (m, 1H), 4.68 - 4.59 (m, 1H), 4.17 - 3.99 (m, 3H), 3.92 - 3.86 (m, 1H), 3.69 - 3.61 (m, 3H), 3.59 - 3.49 (m, 3H), 3.49 - 3.41 (m, 1H), 3.34 (s, 3H), 3.28 (d, J = 8.9 Hz, 1H), 3.17 - 3.09 (m, 4H), 3.09 - 3.03 (m, 1H), 3.01 - 2.93 (m, 2H), 2.91 - 2.80 (m, 1H), 2.29 - 2.12 (m, 2H), 2.12 - 2.00 (m, 2H), 1.99 - 1.88 (m, 3H), 1.82 (s, 3H), 1.78 - 1.62 (m, 6H), 1.58 - 1.54 (m, 1H), 1.53 - 1.32 (m, 10H), 1.34 - 1.20 (m, 3H), 1.18 - 1.09 (m, 3H), 1.06 - 0.94 (m, 7H), 0.92 - 0.83 (m, 13H), 0.80 (d, J = 6.7 Hz, 3H), 0.77 - 0.68 (m, 4H), 0.68 - 0.59 (m, 1H), 0.03 (s, 6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2)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중간체 10(7.3 ㎎, 5.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중간체 10: ESIMS [M+NH4]+ 1151.3, [M+FA-H]- 1178.4
1H NMR (400 MHz, DMSO-d 6) δ: 6.44 (dd, J = 13.9, 11.0 Hz, 1H), 6.26 - 6.12 (m, 2H), 6.10 - 6.05 (m, 1H), 5.98 (s, 1H), 5.52 (dd, J = 14.1, 9.4 Hz, 1H), 5.15 - 5.04 (m, 1H), 5.04 - 5.00 (m, 1H), 4.96 (d, J = 9.7 Hz, 1H), 4.67 - 4.57 (m, 1H), 4.20 - 4.00 (m, 4H), 3.98 - 3.89 (m, 1H), 3.65 (t, J = 5.2 Hz, 2H), 3.58 - 3.49 (m, 4H), 3.42 - 3.35 (m, 1H), 3.33 (s, 3H), 3.22 - 3.16 (m, 1H), 3.16 - 3.09 (m, 4H), 3.09 - 3.03 (m, 1H), 3.00 - 2.92 (m, 1H), 2.75 - 2.65 (m, 1H), 2.27 - 2.12 (m, 2H), 2.12 - 2.01 (m, 2H), 2.00 - 1.88 (m, 3H), 1.83 (s, 3H), 1.78 - 1.66 (m, 2H), 1.64 - 1.57 (m, 3H), 1.56 - 1.48 (m, 7H), 1.48 - 1.34 (m, 3H), 1.32 - 1.23 (m, 3H), 1.22 - 1.03 (m, 5H), 1.01 - 0.95 (m, 4H), 0.93 - 0.88 (m, 4H), 0.87 - 0.84 (m, 12H), 0.83 - 0.77 (m, 4H), 0.75 (d, J = 6.7 Hz, 3H), 0.62 (q, J = 11.9 Hz, 1H), 0.03 (s, 6H).
실시예 1. 화합물 1 및 화합물 2의 합성
Figure pct00044
DCM(8 ㎖) 중의 중간체 1(125 ㎎, 0.139 m㏖) 및 메탄설폰아미드(264 ㎎, 2.78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69 ㎖, 0.69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역상 분취 HPL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에 의해 분리시켰다.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단리시켜 화합물 1(6.5 ㎎, 4.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 ESIMS [M-H]- 961.6
1H NMR (400 MHz, DMSO-d 6) δ: 7.30 (d, J = 7.9 Hz, 1H), 6.47 (s, 1H), 6.39 (dd, J = 13.7, 11.2 Hz, 1H), 6.22 - 6.08 (m, 2H), 6.05 (d, J = 11.0 Hz, 1H), 5.54 (dd, J = 14.2, 8.8 Hz, 1H), 5.07 - 4.98 (m, 3H), 4.69 - 4.62 (m, 1H), 4.59 (d, J = 4.6 Hz, 1H), 4.00 - 3.96 (m, 1H), 3.96 - 3.87 (m, 1H), 3.80 - 3.69 (m, 2H), 3.62 (d, J = 14.5 Hz, 1H), 3.31 (d, J = 1.7 Hz, 3H), 3.23 - 3.10 (m, 5H), 2.89 (s, 3H), 2.86 - 2.76 (m, 1H), 2.58 - 2.52 (m, 1H), 2.28 - 2.19 (m, 1H), 2.19 - 1.98 (m, 3H), 1.94 - 1.86 (m, 1H), 1.82 - 1.70 (m, 5H), 1.70 - 1.34 (m, 17H), 1.34 - 1.11 (m, 6H), 1.10 - 0.88 (m, 6H), 0.87 - 0.81 (m, 6H), 0.79 (d, J = 6.7 Hz, 3H), 0.75 (d, J = 6.6 Hz, 3H), 0.54 (q, J = 11.8 Hz,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2(7.5 ㎎, 5.3%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 ESIMS [M-H]- 961.7
1H NMR (400 MHz, DMSO-d 6) δ: 7.49 (d, J = 9.3 Hz, 1H), 6.60 (s, 1H), 6.44 (dd, J = 14.3, 11.0 Hz, 1H), 6.31 - 6.11 (m, 2H), 5.98 (d, J = 11.0 Hz, 1H), 5.51 (dd, J = 14.5, 9.5 Hz, 1H), 5.05 (s, 1H), 4.99 - 4.92 (m, 1H), 4.87 - 4.77 (m, 1H), 4.66 - 4.53 (m, 2H), 3.95 - 3.85 (m, 2H), 3.77 - 3.68 (m, 1H), 3.68 - 3.57 (m, 1H), 3.49 - 3.39 (m, 1H), 3.39 - 3.28 (m, 3H), 3.26 - 3.14 (m, 2H), 3.12 (s, 3H), 2.91 - 2.78 (m, 2H), 2.71 (s, 3H), 2.22 (s, 1H), 2.17 - 1.83 (m, 6H), 1.81 (s, 3H), 1.79 - 1.57 (m, 5H), 1.56 - 1.08 (m, 17H), 1.06 - 0.89 (m, 8H), 0.86 (d, J = 6.6 Hz, 4H), 0.79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65 - 0.54 (m, 2H).
화합물 2에서 C16 치환체의 절대 입체배치를 FKBP12를 이용하는 X-선 결정학 공결정에 의해 결정하였다. 문헌[Stuart L. Schrieber and Jon Clardy, et al., Atomic Structure of the Rapamycin Humano Immunophilin FKBP-12 Complex, J. Am. Chem. Soc., 1991, 113, 7433-7434.] 참조. 결정 구조를 도 1에 도시한다.
순수 FKBP12(1-108) 단백질을 50 mM 트리스 pH 8.0, 150 mM NaCl, 1 mM EDTA, 1 mM TCEP에서 9 ㎎/㎖로 농축시켰다. 단백질을 3mM의 화합물과 (90%dDMSO, 10% D2O에서 제조한 50mM 저장액으로부터) 혼합함으로써 공동결정화를 위한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복합체를 2시간 동안 4℃에서 인큐베이션시키고, 이어서, 10000rpm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시켜 결정화 전에 임의의 잠재적 펠릿을 제거하였다. 20℃에서 미세종자 기질 선별을 이용하는 점적 증기 확산(drop vapor diffusion)을 이용하여 위치시킴으로써 공결정을 얻었다[Allan D'Arcy et al., An automated microseed matrix-screening method for protein crystallization, Acta Cryst., (2007) D63, 550-554] 점적은 200 nL의 단백질 용액, 160 nL의 웰 용액 및 40 nL의 종자-저장액으로 구성되었다. 결정은 Qiage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황산암모늄" 선별의 A1 조건에서 며칠 이내에 나타났다. 저장조 용액은 2.2M 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졌다. 결정을 20%의 에틸렌글리콜로 보충한 저장조 용액에서 동결보존시키고 나서,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급속 냉동시켰다. Swiss Light Source Facility(SLS, 스위스 빌리겐에 소재)에서 빔라인 X10SA 상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XDS로 처리하였다(Kabsch, W. (2010), XDS. Acta Cryst. D, 66: 125-132). 검색 모델로서 이전의 FKBP12 X-선 구조를 이용하여 분자 대체에 의해 구조를 결정하였다(Collaborative Computational Project, Number 4 (1994). Acta Cryst. D50, 760-763). 프로그램 REFMAC(Murshudov GN,
Figure pct00045
P, Lebedev AA, et al., REFMAC5 for the refinement of macromolecular crystal structures.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D: Biological Crystallography. 2011;67(Pt 4):355-367) 및 COOT(Emsley P, Lohkamp B, Scott WG, Cowtan K. Features and development of Coot,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D: Biological Crystallography. 2010;66(Pt 4):486-501)를 정제 및 모델(재)구성을 위해 사용하였다.
X-선 공결정 구조에 기반하여, 화합물 2에서 C16 치환체는 (S)-입체배치이다. 결정 구조를 도 1에 도시한다.
실시예 2. 화합물 3 및 화합물 4
Figure pct00046
DCM(7 ㎖) 중 중간체 1(120 ㎎, 0.133 m㏖) 및 에탄설폰아미드(218 ㎎, 2.00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67 ㎖, 0.67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50:5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3(13.4 ㎎, 10.1%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 ESIMS [M+NH4]+ 994.7, [M+FA-H]- 1021.7
1H NMR (400 MHz, DMSO-d 6) δ: 7.52 (d, J = 9.3 Hz, 1H), 6.59 (s, 1H), 6.43 (dd, J = 14.2, 11.0 Hz, 1H), 6.24 (dd, J = 14.2, 10.6 Hz, 1H), 6.17 (dd, J = 14.2, 10.7 Hz, 1H), 5.96 (d, J = 10.9, 1.6 Hz, 1H), 5.50 (dd, J = 14.4, 9.6 Hz, 1H), 5.04 (d, J = 4.7 Hz, 1H), 4.96 - 4.89 (m, 1H), 4.87 - 4.78 (m, 1H), 4.69 - 4.54 (m, 2H), 4.00 - 3.91 (m, 1H), 3.88 (dd, J = 9.3, 4.7 Hz, 1H), 3.76 - 3.67 (m, 1H), 3.67 - 3.58 (m, 1H), 3.50 - 3.40 (m, 1H), 3.31 (s, 3H), 3.25 - 3.15 (m, 2H), 3.12 (s, 3H), 2.92 - 2.79 (m, 3H), 2.77 - 2.65 (m, 1H), 2.29 - 2.17 (m, 1H), 2.17 - 2.10 (m, 1H), 2.10 - 1.98 (m, 2H), 1.97 - 1.86 (m, 3H), 1.82 (s, 3H), 1.80 - 1.76 (m, 1H), 1.74 - 1.68 (m, 2H), 1.67 - 1.60 (m, 2H), 1.55 - 1.49 (m, 3H), 1.48 (s, 3H), 1.46 - 1.33 (m, 4H), 1.32 - 1.24 (m, 1H), 1.22 - 1.11 (m, 6H), 1.09 (t, J = 7.3 Hz, 3H), 1.07 - 1.01 (m, 1H), 1.01 - 0.94 (m, 7H), 0.89 - 0.82 (m, 4H), 0.79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70 - 0.63 (m, 1H), 0.63 - 0.54 (m,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4(28.6 ㎎, 21.5%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4: ESIMS [M+NH4]+ 994.8, [M-H]- 976.0
1H NMR (400 MHz, DMSO-d 6) δ: 7.30 (d, J = 7.9 Hz, 1H), 6.42 (s, 1H), 6.41 - 6.34 (m, 1H), 6.19 - 6.10 (m, 2H), 6.10 - 6.04 (m, 1H), 5.54 (dd, J = 14.2, 8.9 Hz, 1H), 5.06 - 5.00 (m, 3H), 4.66 (ddd, J = 9.4, 6.0, 2.5 Hz, 1H), 4.59 (d, J = 4.5 Hz, 1H), 4.03 - 3.96 (m, 1H), 3.96 - 3.85 (m, 1H), 3.75 (d, J = 5.3 Hz, 1H), 3.74 - 3.68 (m, 1H), 3.62 (dd, J = 9.9, 6.3 Hz, 1H), 3.31 (s, 3H), 3.23 - 3.10 (m, 5H), 3.03 - 2.90 (m, 2H), 2.82 (ddd, J = 11.0, 8.7, 4.3 Hz, 1H), 2.52 - 2.48 (m, 1H), 2.29 - 2.19 (m, 1H), 2.19 - 2.12 (m, 1H), 2.12 - 2.07 (m, 1H), 2.06 - 1.98 (m, 1H), 1.97 - 1.86 (m, 1H), 1.80 - 1.70 (m, 5H), 1.69 - 1.64 (m, 1H), 1.64 - 1.56 (m, 4H), 1.56 - 1.50 (m, 6H), 1.50 - 1.43 (m, 2H), 1.43 - 1.33 (m, 3H), 1.30 - 1.23 (m, 2H), 1.21 - 1.12 (m, 7H), 1.11 - 1.01 (m, 1H), 0.98 (d, J = 6.4 Hz, 3H), 0.96 - 0.87 (m, 2H), 0.87 - 0.81 (m, 7H), 0.79 (d, J = 6.7 Hz, 3H), 0.75 (d, J = 6.6 Hz, 3H), 0.54 (q, J = 11.8 Hz, 1H).
실시예 3. 화합물 5 및 화합물 6의 합성
Figure pct00047
DCM(7 ㎖) 중 중간체 1(120 ㎎, 0.133 m㏖) 및 프로판-1-설폰아미드(328 ㎎, 2.67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67 ㎖, 0.67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100:0 내지 50:50)에 의해 분리시켰다.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40:60) 다음에 역상 분취 HPLC(방법 2)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5 (2.5 ㎎, 1.8%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5: ESIMS [M+NH4]+ 1008.8, [M+FA-H]- 1035.8
1H NMR (400 MHz, DMSO-d 6) δ: 7.53 (d, J = 9.4 Hz, 1H), 6.59 (s, 1H), 6.43 (dd, J = 14.2, 11.0 Hz, 1H), 6.25 (dd, J = 14.2, 10.5 Hz, 1H), 6.18 (dd, J = 14.4, 10.6 Hz, 1H), 6.01 - 5.92 (m, 1H), 5.50 (dd, J = 14.5, 9.6 Hz, 1H), 5.05 (d, J = 4.7 Hz, 1H), 4.97 - 4.91 (m, 1H), 4.86 - 4.78 (m, 1H), 4.66 - 4.53 (m, 2H), 3.99 - 3.90 (m, 1H), 3.87 (dd, J = 9.3, 4.6 Hz, 1H), 3.75 - 3.67 (m, 1H), 3.67 - 3.59 (m, 1H), 3.49 - 3.40 (m, 1H), 3.31 (s, 3H), 3.22 (d, J = 9.2 Hz, 1H), 3.20 - 3.14 (m, 1H), 3.12 (s, 3H), 2.89 - 2.78 (m, 3H), 2.73 - 2.63 (m, 1H), 2.28 - 2.17 (m, 1H), 2.17 - 2.09 (m, 1H), 2.09 - 2.01 (m, 2H), 1.96 - 1.86 (m, 3H), 1.81 (s, 3H), 1.78 - 1.69 (m, 3H), 1.69 - 1.60 (m, 2H), 1.60 - 1.53 (m, 2H), 1.53 - 1.49 (m, 3H), 1.48 (s, 3H), 1.45 - 1.35 (m, 3H), 1.35 - 1.25 (m, 2H), 1.23 - 1.09 (m, 6H), 1.07 - 1.01 (m, 2H), 0.98 (d, J = 3.3 Hz, 3H), 0.97 (d, J = 3.4 Hz, 3H), 0.89 - 0.84 (m, 7H), 0.79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70 - 0.65 (m, 1H), 0.64 - 0.54 (m, 1H).
역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C18; MeCN/물 10:90 내지 100:0)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6(3 ㎎, 2.2%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6: ESIMS [M+NH4]+ 1008.8, [M+FA-H]- 1035.8
1H NMR (400 MHz, DMSO-d 6) δ: 7.53 - 7.06 (m, 1H), 6.51 - 6.30 (m, 2H), 6.19 - 6.09 (m, 2H), 6.06 (d, J = 11.4 Hz, 1H), 5.53 (dd, J = 14.3, 8.7 Hz, 1H), 5.15 - 4.95 (m, 3H), 4.66 (td, J = 7.5, 6.0, 2.4 Hz, 1H), 4.62 - 4.52 (m, 1H), 4.05 - 3.95 (m, 1H), 3.95 - 3.84 (m, 1H), 3.77 (d, J = 5.1 Hz, 1H), 3.75 - 3.68 (m, 1H), 3.68 - 3.58 (m, 1H), 3.31 (s, 3H), 3.24 - 3.09 (m, 5H), 3.03 - 2.95 (m, 1H), 2.95 - 2.87 (m, 1H), 2.84 - 2.78 (m, 1H), 2.57 - 2.43 (m, 1H), 2.35 - 2.21 (m, 1H), 2.20 - 2.11 (m, 1H), 2.11 - 1.96 (m, 2H), 1.96 - 1.85 (m, 1H), 1.82 - 1.70 (m, 5H), 1.70 - 1.56 (m, 8H), 1.56 - 1.48 (m, 6H), 1.48 - 1.32 (m, 4H), 1.32 - 1.09 (m, 6H), 1.08 - 1.00 (m, 1H), 1.00 - 0.92 (m, 6H), 0.92 - 0.86 (m, 3H), 0.86 - 0.80 (m, 6H), 0.78 (d, J = 6.7 Hz, 3H), 0.75 (d, J = 6.6 Hz, 3H), 0.53 (q, J = 11.8 Hz, 1H).
실시예 4. 화합물 7 및 화합물 8의 합성
Figure pct00048
DCM(6 ㎖) 중 중간체 1(120 ㎎, 0.133 m㏖) 및 프로판-2-설폰아미드(164 ㎎, 1.33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67 ㎖, 0.67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40:6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7(9.1 ㎎, 6.7%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7: ESIMS [M+NH4]+ 1008.8, [M+FA-H]+ 1035.9
1H NMR (400 MHz, DMSO-d 6) δ: 7.47 (d, J = 9.3 Hz, 1H), 6.59 (s, 1H), 6.42 (dd, J = 14.0, 11.0 Hz, 1H), 6.29 - 6.19 (m, 1H), 6.16 (dd, J = 13.7, 10.1 Hz, 1H), 5.97 - 5.89 (m, 1H), 5.49 (dd, J = 14.2, 9.6 Hz, 1H), 5.04 (d, J = 4.7 Hz, 1H), 4.98 - 4.88 (m, 1H), 4.87 - 4.77 (m, 1H), 4.66 - 4.55 (m, 2H), 4.03 - 3.90 (m, 1H), 3.87 (dd, J = 9.2, 4.6 Hz, 1H), 3.75 - 3.68 (m, 1H), 3.68 - 3.58 (m, 1H), 3.50 - 3.39 (m, 1H), 3.32 (s, 3H), 3.25 - 3.15 (m, 2H), 3.12 (s, 3H), 2.94 - 2.76 (m, 3H), 2.29 - 2.17 (m, 1H), 2.17 - 2.00 (m, 3H), 2.00 - 1.87 (m, 3H), 1.82 (s, 3H), 1.81 - 1.70 (m, 2H), 1.70 - 1.59 (m, 3H), 1.59 - 1.45 (m, 6H), 1.45 - 1.34 (m, 3H), 1.34 - 1.22 (m, 2H), 1.22 - 1.14 (m, 7H), 1.15 - 1.12 (m, 2H), 1.10 (d, J = 6.7 Hz, 3H), 1.07 - 0.99 (m, 2H), 1.00 - 0.93 (m, 6H), 0.89 - 0.82 (m, 4H), 0.79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72 - 0.64 (m, 1H), 0.64 - 0.52 (m,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8(19.8 ㎎, 14.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8: ESIMS [M+NH4]+ 1008.7, [M-H]- 989.7
1H NMR (400 MHz, DMSO-d 6) δ: 7.26 (d, J = 8.1 Hz, 1H), 6.43 - 6.37 (m, 1H), 6.36 (s, 1H), 6.18 - 6.04 (m, 3H), 5.54 (dd, J = 14.0, 8.9 Hz, 1H), 5.08 - 4.98 (m, 3H), 4.71 - 4.62 (m, 1H), 4.59 (d, J = 4.4 Hz, 1H), 4.08 - 3.97 (m, 1H), 3.96 - 3.89 (m, 1H), 3.77 (d, J = 5.0 Hz, 1H), 3.74 - 3.67 (m, 1H), 3.66 - 3.58 (m, 1H), 3.31 (s, 3H), 3.21 - 3.09 (m, 6H), 2.86 - 2.77 (m, 1H), 2.54 - 2.45 (m, 1H), 2.28 - 2.20 (m, 1H), 2.19 - 2.13 (m, 1H), 2.12 - 2.06 (m, 1H), 2.06 - 1.99 (m, 1H), 1.95 - 1.86 (m, 1H), 1.81 - 1.68 (m, 5H), 1.68 - 1.56 (m, 4H), 1.56 - 1.49 (m, 6H), 1.49 - 1.32 (m, 6H), 1.32 - 1.25 (m, 1H), 1.25 - 1.10 (m, 11H), 1.09 - 1.01 (m, 1H), 0.98 (d, J = 6.6 Hz, 3H), 0.94 - 0.88 (m, 2H), 0.88 - 0.81 (m, 7H), 0.79 (d, J = 6.7 Hz, 3H), 0.75 (d, J = 6.7 Hz, 3H), 0.53 (q, J = 11.8 Hz, 1H).
실시예 5. 화합물 9 및 화합물 10의 합성
Figure pct00049
DCM(7 ㎖) 중 중간체 1(120 ㎎, 0.133 m㏖) 및 2-메틸프로판-1-설폰아미드(274 ㎎, 2.00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67 ㎖, 0.67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50:5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9(13.9 ㎎, 10.2%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9: ESIMS [M+NH4]+ 1022.8, [M-H]- 1003.8
1H NMR (400 MHz, DMSO-d 6) δ: 7.54 (d, J = 9.3 Hz, 1H), 6.58 (s, 1H), 6.43 (dd, J = 14.2, 11.0 Hz, 1H), 6.25 (dd, J = 14.3, 10.6 Hz, 1H), 6.18 (dd, J = 14.4, 10.5 Hz, 1H), 6.01 - 5.91 (m, 1H), 5.50 (dd, J = 14.4, 9.6 Hz, 1H), 5.05 (d, J = 4.5 Hz, 1H), 4.97 - 4.90 (m, 1H), 4.86 - 4.78 (m, 1H), 4.67 - 4.54 (m, 2H), 3.98 - 3.89 (m, 1H), 3.89 - 3.79 (m, 1H), 3.76 - 3.68 (m, 1H), 3.67 - 3.58 (m, 1H), 3.50 - 3.41 (m, 1H), 3.31 (s, 3H), 3.25 - 3.15 (m, 2H), 3.12 (s, 3H), 2.89 - 2.77 (m, 2H), 2.74 - 2.61 (m, 2H), 2.28 - 2.17 (m, 1H), 2.17 - 2.09 (m, 1H), 2.09 - 2.00 (m, 2H), 2.00 - 1.95 (m, 1H), 1.95 - 1.86 (m, 3H), 1.81 (s, 3H), 1.78 - 1.59 (m, 5H), 1.58 - 1.50 (m, 3H), 1.48 (s, 3H), 1.45 - 1.35 (m, 3H), 1.35 - 1.24 (m, 2H), 1.23 - 1.08 (m, 6H), 1.05 - 1.00 (m, 2H), 1.00 - 0.96 (m, 9H), 0.91 - 0.87 (m, 4H), 0.85 (d, J = 6.4 Hz, 3H), 0.79 (d, J = 6.7 Hz, 3H), 0.76 (d, J = 6.7 Hz, 3H), 0.70 - 0.63 (m, 1H), 0.63 - 0.54 (m,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0(24.6 ㎎, 18.0%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0: ESIMS [M+NH4]+ 1022.9, [M-H]- 1004.0
1H NMR (400 MHz, DMSO-d 6) δ: 7.32 (d, J = 8.2 Hz, 1H), 6.47 - 6.33 (m, 2H), 6.20 - 6.10 (m, 2H), 6.09 - 6.03 (m, 1H), 5.53 (dd, J = 14.2, 8.8 Hz, 1H), 5.10 - 4.97 (m, 3H), 4.73 - 4.62 (m, 1H), 4.59 (d, J = 4.5 Hz, 1H), 4.04 - 3.96 (m, 1H), 3.95 - 3.87 (m, 1H), 3.78 (d, J = 4.8 Hz, 1H), 3.76 - 3.69 (m, 1H), 3.68 - 3.58 (m, 1H), 3.31 (s, 3H), 3.22 - 3.09 (m, 5H), 2.94 - 2.84 (m, 2H), 2.83 - 2.76 (m, 1H), 2.56 - 2.42 (m, 1H), 2.29 - 2.20 (m, 1H), 2.20 - 2.13 (m, 1H), 2.11 - 2.00 (m, 3H), 1.95 - 1.87 (m, 1H), 1.81 - 1.70 (m, 5H), 1.68 - 1.56 (m, 5H), 1.56 - 1.50 (m, 5H), 1.50 - 1.43 (m, 3H), 1.43 - 1.33 (m, 3H), 1.31 - 1.11 (m, 6H), 1.09 - 0.95 (m, 10H), 0.95 - 0.87 (m, 2H), 0.87 - 0.81 (m, 7H), 0.79 (d, J = 6.7 Hz, 3H), 0.75 (d, J = 6.6 Hz, 3H), 0.53 (q, J = 11.8 Hz, 1H).
실시예 6. 화합물 11 및 화합물 12의 합성
Figure pct00050
DCM(7 ㎖) 중 중간체 1(120 ㎎, 0.133 m㏖) 및 사이클로프로판설폰아미드(323 ㎎, 2.67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67 ㎖, 0.67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100: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1(4.4 ㎎, 3.2%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1: ESIMS [M+NH4]+ 1006.7, [M+FA-H] -- 1033.7
1H NMR (400 MHz, DMSO-d 6) δ: 7.51 (d, J = 8.5 Hz, 1H), 6.59 (s, 1H), 6.43 (dd, J = 14.1, 11.0 Hz, 1H), 6.22 (dd, J = 14.2, 10.5 Hz, 1H), 6.17 (dd, J = 14.4, 10.8 Hz, 1H), 6.00 - 5.91 (m, 1H), 5.50 (dd, J = 14.3, 9.6 Hz, 1H), 5.05 (d, J = 4.5 Hz, 1H), 4.99 - 4.90 (m, 1H), 4.87 - 4.79 (m, 1H), 4.69 - 4.54 (m, 2H), 4.00 - 3.90 (m, 1H), 3.90 - 3.80 (m, 1H), 3.78 - 3.68 (m, 1H), 3.68 - 3.56 (m, 1H), 3.50 - 3.40 (m, 1H), 3.31 (s, 3H), 3.23 (d, J = 9.2 Hz, 1H), 3.19 - 3.15 (m, 1H), 3.12 (s, 3H), 2.91 - 2.78 (m, 2H), 2.29 - 2.17 (m, 2H), 2.17 - 2.09 (m, 1H), 2.06 - 1.98 (m, 2H), 1.98 - 1.86 (m, 3H), 1.83 (s, 3H), 1.79 - 1.74 (m, 1H), 1.73 - 1.67 (m, 2H), 1.67 - 1.58 (m, 2H), 1.58 - 1.49 (m, 3H), 1.48 (s, 3H), 1.46 - 1.27 (m, 5H), 1.24 - 1.09 (m, 6H), 1.09 - 1.00 (m, 2H), 1.00 - 0.94 (m, 6H), 0.89 - 0.85 (m, 4H), 0.85 - 0.81 (m, 4H), 0.79 (d, J = 6.8 Hz, 3H), 0.74 (d, J = 6.7 Hz, 3H), 0.73 - 0.66 (m, 1H), 0.60 (q, J = 11.8 Hz,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2(16.7 ㎎, 12.4%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2: ESIMS [M+NH4]+ 1006.4, [M-H]- 987.5
1H NMR (400 MHz, DMSO-d 6) δ: 7.28 (d, J = 7.6 Hz, 1H), 6.47 - 6.37 (m, 1H), 6.36 (s, 1H), 6.20 - 6.09 (m, 2H), 6.05 (d, J = 11.1 Hz, 1H), 5.54 (dd, J = 14.3, 8.7 Hz, 1H), 5.10 - 4.96 (m, 3H), 4.70 - 4.63 (m, 1H), 4.59 (d, J = 4.4 Hz, 1H), 4.05 - 3.94 (m, 2H), 3.84 - 3.76 (m, 1H), 3.71 (d, J = 5.4 Hz, 1H), 3.66 - 3.57 (m, 1H), 3.31 (s, 3H), 3.23 - 3.17 (m, 1H), 3.17 - 3.10 (m, 4H), 2.82 (ddd, J = 11.0, 8.7, 4.3 Hz, 1H), 2.63 - 2.53 (m, 2H), 2.31 - 2.19 (m, 1H), 2.19 - 2.09 (m, 2H), 2.06 - 1.99 (m, 1H), 1.96 - 1.87 (m, 1H), 1.80 - 1.72 (m, 5H), 1.69 - 1.57 (m, 5H), 1.57 - 1.50 (m, 7H), 1.50 - 1.44 (m, 2H), 1.44 - 1.33 (m, 2H), 1.32 - 1.12 (m, 6H), 1.12 - 1.01 (m, 1H), 0.98 (d, J = 6.4 Hz, 3H), 0.94 - 0.88 (m, 6H), 0.88 - 0.82 (m, 7H), 0.79 (d, J = 6.7 Hz, 3H), 0.75 (d, J = 6.7 Hz, 3H), 0.54 (q, J = 11.8 Hz, 1H).
실시예 7. 화합물 13 및 화합물 14의 합성
Figure pct00051
DCM(7 ㎖) 중 중간체 1(120 ㎎, 0.133 m㏖) 및 사이클로부탄설폰아미드(270 ㎎, 2.00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67 ㎖, 0.67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1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80:2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3(12.3 ㎎, 9.19%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3: ESIMS [M+NH4]+ 1020.8, [M+FA-H]- 1047.9
1H NMR (400 MHz, DMSO-d 6) δ: 7.46 (d, J = 9.3 Hz, 1H), 6.59 (s, 1H), 6.43 (dd, J = 13.9, 11.0 Hz, 1H), 6.29 - 6.21 (m, 1H), 6.21 - 6.13 (m, 1H), 5.92 (dd, J = 11.0, 1.5 Hz, 1H), 5.50 (dd, J = 14.2, 9.6 Hz, 1H), 5.05 (d, J = 4.7 Hz, 1H), 4.97 - 4.90 (m, 1H), 4.86 - 4.78 (m, 1H), 4.65 - 4.56 (m, 2H), 3.97 - 3.90 (m, 1H), 3.89 - 3.84 (m, 1H), 3.71 - 3.65 (m, 1H), 3.65 - 3.58 (m, 1H), 3.55 - 3.49 (m, 1H), 3.47 - 3.40 (m, 1H), 3.31 (s, 3H), 3.22 (d, J = 9.2 Hz, 1H), 3.20 - 3.14 (m, 1H), 3.12 (s, 3H), 2.91 - 2.79 (m, 2H), 2.26 - 2.17 (m, 3H), 2.17 - 2.09 (m, 2H), 2.09 - 1.99 (m, 3H), 1.96 - 1.87 (m, 3H), 1.86 - 1.80 (m, 2H), 1.80 - 1.71 (m, 5H), 1.69 - 1.59 (m, 3H), 1.57 - 1.50 (m, 3H), 1.48 (s, 3H), 1.45 - 1.35 (m, 3H), 1.35 - 1.25 (m, 2H), 1.22 - 1.08 (m, 6H), 1.07 - 1.00 (m, 1H), 1.00 - 0.93 (m, 7H), 0.89 - 0.82 (m, 4H), 0.78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71 - 0.63 (m, 1H), 0.63 - 0.54 (m,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4(26.6 ㎎, 19.5%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4: ESIMS [M+NH4]+ 1020.9, [M-H]- 1002.0
1H NMR (400 MHz, DMSO-d 6) δ: 7.27 (d, J = 8.2 Hz, 1H), 6.47 (s, 1H), 6.44 - 6.34 (m, 1H), 6.17 - 6.09 (m, 2H), 6.04 (dd, J = 11.1, 1.6 Hz, 1H), 5.58 - 5.47 (m, 1H), 5.07 - 4.98 (m, 3H), 4.70 - 4.62 (m, 1H), 4.59 (s, 1H), 4.03 - 3.96 (m, 1H), 3.93 - 3.86 (m, 1H), 3.85 - 3.81 (m, 1H), 3.77 (d, J = 4.9 Hz, 1H), 3.68 - 3.63 (m, 2H), 3.31 (s, 3H), 3.20 - 3.09 (m, 5H), 2.81 (ddd, J = 11.2, 8.6, 4.3 Hz, 1H), 2.54 - 2.45 (m, 1H), 2.27 - 2.14 (m, 6H), 2.10 - 2.00 (m, 2H), 1.95 - 1.82 (m, 3H), 1.77 - 1.70 (m, 5H), 1.64 - 1.58 (m, 5H), 1.58 - 1.53 (m, 3H), 1.53 (s, 3H), 1.49 - 1.43 (m, 2H), 1.43 - 1.33 (m, 3H), 1.33 - 1.23 (m, 1H), 1.23 - 1.11 (m, 5H), 1.09 - 1.01 (m, 1H), 0.98 (d, J = 6.5 Hz, 3H), 0.94 - 0.88 (m, 2H), 0.87 - 0.81 (m, 7H), 0.80 - 0.74 (m, 6H), 0.53 (q, J = 11.8 Hz, 1H).
실시예 8. 화합물 15 및 화합물 16의 합성
Figure pct00052
DCM(7 ㎖) 중 중간체 1(120 ㎎, 0.133 m㏖) 및 사이클로펜탄설폰아미드(298 ㎎, 2.00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67 ㎖, 0.67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1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50:5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 다음에 분취 HPLC(방법 2)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5(4.8 ㎎, 3.4%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5: ESIMS [M+NH4]+ 1034.9, [M-H]- 1015.9
1H NMR (400 MHz, DMSO-d 6) δ: 7.48 (d, J = 9.2 Hz, 1H), 6.54 (s, 1H), 6.43 (dd, J = 14.1, 11.0 Hz, 1H), 6.23 (dd, J = 14.3, 10.7 Hz, 1H), 6.20 - 6.11 (m, 1H), 5.95 (dd, J = 10.9, 1.6 Hz, 1H), 5.49 (dd, J = 14.2, 9.6 Hz, 1H), 5.05 (s, 1H), 4.97 - 4.89 (m, 1H), 4.86 - 4.77 (m, 1H), 4.71 - 4.51 (m, 2H), 4.00 - 3.90 (m, 1H), 3.90 - 3.83 (m, 1H), 3.78 - 3.68 (m, 1H), 3.68 - 3.59 (m, 1H), 3.50 - 3.40 (m, 1H), 3.32 (s, 3H), 3.24 - 3.20 (m, 1H), 3.20 - 3.14 (m, 2H), 3.12 (s, 3H), 2.92 - 2.80 (m, 2H), 2.28 - 2.17 (m, 1H), 2.16 - 2.08 (m, 1H), 2.08 - 1.99 (m, 2H), 1.96 - 1.87 (m, 3H), 1.85 - 1.78 (m, 7H), 1.76 - 1.72 (m, 1H), 1.69 - 1.59 (m, 6H), 1.53 - 1.46 (m, 8H), 1.44 - 1.36 (m, 3H), 1.34 - 1.26 (m, 2H), 1.22 - 1.09 (m, 6H), 1.02 - 0.93 (m, 8H), 0.88 - 0.83 (m, 4H), 0.79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70 - 0.63 (m, 1H), 0.63 - 0.53 (m,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6(22.8 ㎎, 16.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6: ESIMS [M+NH4]+ 1034.5, [M-H]- 1015.5
1H NMR (400 MHz, DMSO-d 6) δ: 7.53 - 7.11 (m, 1H), 6.47 - 6.30 (m, 2H), 6.19 - 6.09 (m, 2H), 6.09 - 6.02 (m, 1H), 5.53 (dd, J = 14.1, 8.9 Hz, 1H), 5.18 - 4.90 (m, 3H), 4.66 (ddd, J = 9.5, 6.2, 2.5 Hz, 1H), 4.63 - 4.52 (m, 1H), 4.04 - 3.96 (m, 1H), 3.96 - 3.87 (m, 1H), 3.79 (d, J = 4.8 Hz, 1H), 3.72 - 3.65 (m, 1H), 3.65 - 3.60 (m, 1H), 3.60 - 3.51 (m, 1H), 3.31 (s, 3H), 3.20 - 3.10 (m, 5H), 2.87 - 2.76 (m, 1H), 2.57 - 2.45 (m, 1H), 2.28 - 2.20 (m, 1H), 2.20 - 2.14 (m, 1H), 2.11 - 2.00 (m, 2H), 1.92 - 1.80 (m, 5H), 1.79 - 1.69 (m, 5H), 1.69 - 1.61 (m, 5H), 1.60 - 1.53 (m, 7H), 1.51 (s, 3H), 1.50 - 1.43 (m, 2H), 1.43 - 1.33 (m, 3H), 1.31 - 1.27 (m, 1H), 1.24 - 1.13 (m, 5H), 1.09 - 1.01 (m, 1H), 0.98 (d, J = 6.5 Hz, 3H), 0.94 - 0.87 (m, 3H), 0.86 - 0.80 (m, 6H), 0.78 (d, J = 6.7 Hz, 3H), 0.75 (d, J = 6.6 Hz, 3H), 0.53 (q, J = 11.9 Hz, 1H).
실시예 9. 화합물 17 및 화합물 18의 합성
Figure pct00053
DCM(3 ㎖) 중 중간체 1(100 ㎎, 0.111 m㏖) 및 3-클로로프로판-1-설폰아미드(263 ㎎, 1.67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56 ㎖, 0.56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40:6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을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7(8.0 ㎎, 6.8%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7: ESIMS [M+NH4]+ 1042.4, [M-H]- 1023.3
1H NMR (400 MHz, DMSO-d 6) δ: 7.69 (d, J = 9.0 Hz, 1H), 6.60 (s, 1H), 6.41 (dd, J = 14.1, 11.0 Hz, 1H), 6.23 (dd, J = 14.1, 10.5 Hz, 1H), 6.17 (dd, J = 14.4, 10.5 Hz, 1H), 6.03 - 5.91 (m, 1H), 5.49 (dd, J = 14.4, 9.6 Hz, 1H), 5.05 (d, J = 4.6 Hz, 1H), 4.98 - 4.90 (m, 1H), 4.86 - 4.77 (m, 1H), 4.68 - 4.55 (m, 2H), 3.99 - 3.90 (m, 1H), 3.88 (dd, J = 9.2, 3.8 Hz, 1H), 3.77 - 3.56 (m, 4H), 3.51 - 3.40 (m, 1H), 3.31 (s, 3H), 3.25 - 3.16 (m, 2H), 3.12 (s, 3H), 3.05 - 2.94 (m, 1H), 2.92 - 2.80 (m, 3H), 2.29 - 2.17 (m, 1H), 2.17 - 2.08 (m, 1H), 2.08 - 1.98 (m, 4H), 1.96 - 1.87 (m, 3H), 1.82 (s, 3H), 1.78 - 1.60 (m, 5H), 1.55 - 1.45 (m, 6H), 1.44 - 1.34 (m, 4H), 1.32 - 1.25 (m, 1H), 1.23 - 1.08 (m, 6H), 1.04 - 0.94 (m, 8H), 0.88 - 0.82 (m, 4H), 0.79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65 (d, J = 9.5 Hz, 1H), 0.63 - 0.51 (m,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8(15.0 ㎎, 12.9%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8 ESIMS [M+NH4]+ 1042.4, [M-H]- 1023.4
1H NMR (400 MHz, DMSO-d 6) δ: 7.48 (d, J = 7.9 Hz, 1H), 6.45 (s, 1H), 6.43 - 6.35 (m, 1H), 6.20 - 6.10 (m, 2H), 6.09 - 6.03 (m, 1H), 5.53 (dd, J = 14.2, 8.9 Hz, 1H), 5.09 - 4.97 (m, 3H), 4.71 - 4.62 (m, 1H), 4.59 (d, J = 4.4 Hz, 1H), 4.03 - 3.96 (m, 1H), 3.93 - 3.83 (m, 1H), 3.80 - 3.69 (m, 4H), 3.68 - 3.58 (m, 1H), 3.31 (s, 3H), 3.20 - 3.11 (m, 6H), 3.08 - 3.02 (m, 1H), 2.81 (ddd, J = 11.1, 8.6, 4.3 Hz, 1H), 2.55 - 2.50 (m, 1H), 2.29 - 2.19 (m, 1H), 2.16 - 2.02 (m, 5H), 1.96 - 1.85 (m, 1H), 1.80 - 1.70 (m, 5H), 1.69 - 1.34 (m, 16H), 1.33 - 1.10 (m, 6H), 1.09 - 1.02 (m, 1H), 1.00 - 0.97 (m, 3H), 0.94 - 0.89 (m, 2H), 0.88 - 0.81 (m, 7H), 0.79 (d, J = 6.6 Hz, 3H), 0.75 (d, J = 6.6 Hz, 3H), 0.54 (q, J = 11.9 Hz, 1H).
실시예 10. 화합물 19 및 화합물 20의 합성
Figure pct00054
DCM(7 ㎖) 중 중간체 1(100 ㎎, 0.111m㏖) 및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아미드(139 ㎎, 1.11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55 ㎖, 0.55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70:3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19(2.2 ㎎, 1.8%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19: ESIMS [M-H]- 991.9
1H NMR (400 MHz, DMSO-d 6) δ: 6.44 (dd, J = 14.0, 10.9 Hz, 1H), 6.29 - 6.13 (m, 2H), 5.96 (d, J = 10.6 Hz, 1H), 5.50 (dd, J = 14.2, 9.6 Hz, 1H), 4.96 - 4.90 (m, 1H), 4.82 (d, J = 9.9 Hz, 1H), 4.68 - 4.56 (m, 1H), 3.97 - 3.84 (m, 2H), 3.78 - 3.68 (m, 1H), 3.68 - 3.58 (m, 3H), 3.48 - 3.40 (m, 1H), 3.39 - 3.26 (m, 3H), 3.24 - 3.13 (m, 2H), 3.12 (s, 3H), 3.05 - 2.79 (m, 4H), 2.28 - 2.18 (m, 1H), 2.18 - 1.99 (m, 3H), 1.99 - 1.83 (m, 3H), 1.81 (s, 3H), 1.79 - 1.58 (m, 5H), 1.57 - 1.08 (m, 17H), 1.06 - 0.89 (m, 8H), 0.89 - 0.82 (m, 4H), 0.79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70 - 0.53 (m, 2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20(9.0 ㎎, 7.8%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0: ESIMS [M-H]- 991.9
1H NMR (400 MHz, DMSO-d 6) δ: 7.32 (d, J = 7.8 Hz, 1H), 6.50 - 6.32 (m, 2H), 6.21 - 6.08 (m, 2H), 6.08 - 6.03 (m, 1H), 5.56 (dd, J = 14.1, 8.7 Hz, 1H), 5.06 - 4.99 (m, 3H), 4.85 (s, 1H), 4.71 - 4.62 (m, 1H), 4.61 - 4.54 (m, 1H), 4.02 - 3.88 (m, 2H), 3.81 - 3.67 (m, 4H), 3.65 - 3.58 (m, 1H), 3.37 - 3.25 (m, 3H), 3.20 - 3.09 (m, 7H), 2.85 - 2.77 (m, 1H), 2.60 - 2.53 (m, 1H), 2.28 - 2.19 (m, 1H), 2.19 - 1.96 (m, 3H), 1.95 - 1.87 (m, 1H), 1.82 - 1.70 (m, 5H), 1.69 - 1.35 (m, 16H), 1.33 - 1.11 (m, 6H), 1.11 - 0.96 (m, 4H), 0.95 - 0.81 (m, 9H), 0.79 (d, J = 6.6 Hz, 3H), 0.75 (d, J = 6.6 Hz, 3H), 0.54 (q, J = 11.8 Hz, 1H).
실시예 11. 화합물 21 및 화합물 22의 합성
Figure pct00055
DCM(25 ㎖) 중 중간체 2(100 ㎎, 0.105 m㏖) 및 메탄설폰아미드(100 ㎎, 1.05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53 ㎖, 0.53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역상 분취 HPL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21(4.5 ㎎, 4.0%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1: ESIMS [M-H]- 1014.0
1H NMR (400 MHz, DMSO-d 6) δ: 9.28 (s, 1H), 7.27 (s, 1H), 6.58 - 6.34 (m, 2H), 6.26 - 6.08 (m, 2H), 6.09 - 6.00 (m, 1H), 5.53 (dd, J = 14.1, 8.8 Hz, 1H), 5.24 - 5.12 (m, 1H), 5.09 - 4.97 (m, 3H), 4.76 - 4.64 (m, 1H), 3.99 - 3.96 (m, 1H), 3.95 - 3.85 (m, 1H), 3.84 - 3.75 (m, 1H), 3.67 (d, J = 5.7 Hz, 1H), 3.64 - 3.56 (m, 2H), 3.45 - 3.17 (m, 4H), 3.14 (s, 3H), 2.88 (s, 3H), 2.62 - 2.54 (m, 1H), 2.30 - 2.08 (m, 4H), 2.08 - 1.99 (m, 1H), 1.98 - 1.87 (m, 1H), 1.83 - 1.34 (m, 22H), 1.33 - 1.14 (m, 5H), 1.12 - 0.79 (m, 16H), 0.69 (d, J = 6.7 Hz, 3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22(5.5 ㎎, 4.8%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2: ESIMS [M-H]- 1014.1
1H NMR (400 MHz, DMSO-d 6) δ: 9.32 (s, 1H), 7.48 (s, 1H), 6.72 - 6.38 (m, 2H), 6.33 - 6.12 (m, 2H), 5.98 (d, J = 10.9 Hz, 1H), 5.50 (dd, J = 14.2, 9.6 Hz, 1H), 5.26 - 5.15 (m, 1H), 5.05 (s, 1H), 4.99 - 4.92 (m, 1H), 4.83 (d, J = 9.8 Hz, 1H), 4.64 - 4.54 (m, 1H), 3.97 - 3.80 (m, 2H), 3.79 - 3.70 (m, 1H), 3.68 - 3.57 (m, 2H), 3.48 - 3.41 (m, 1H), 3.26 (s, 3H), 3.21 (d, J = 9.2 Hz, 1H), 3.09 (s, 3H), 2.91 - 2.78 (m, 1H), 2.71 (s, 3H), 2.30 - 1.85 (m, 7H), 1.80 (s, 3H), 1.77 - 1.61 (m, 5H), 1.61 - 1.35 (m, 13H), 1.33 - 0.89 (m, 14H), 0.86 (d, J = 6.5 Hz, 3H), 0.81 (d, J = 6.7 Hz, 3H), 0.77 - 0.55 (m, 4H).
실시예 12. 화합물 23 및 화합물 24의 합성
Figure pct00056
DCM(7 ㎖) 중 중간체 3(100 ㎎, 0.102 m㏖) 및 메탄설폰아미드(97 ㎎, 1.0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51 ㎖, 0.51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역상 분취 HPL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에 의해 분리시켰다.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단리시켜 화합물 23(5.6 ㎎, 4.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3: ESIMS [M-H]- 1037.4
1H NMR (400 MHz, DMSO-d 6) δ: 7.30 (d, J = 7.7 Hz, 1H), 6.48 (s, 1H), 6.46 - 6.33 (m, 1H), 6.23 - 6.08 (m, 2H), 6.05 (d, J = 11.0 Hz, 1H), 5.54 (dd, J = 14.2, 8.8 Hz, 1H), 5.11 - 4.97 (m, 3H), 4.73 - 4.62 (m, 1H), 4.06 - 3.84 (m, 3H), 3.81 - 3.70 (m, 2H), 3.68 - 3.59 (m, 1H), 3.37 - 3.26 (m, 3H), 3.21 - 3.11 (m, 4H), 3.11 - 2.99 (m, 1H), 2.89 (s, 3H), 2.59 - 2.51 (m, 1H), 2.30 - 1.86 (m, 6H), 1.80 - 1.68 (m, 4H), 1.66 - 1.46 (m, 14H), 1.46 - 1.11 (m, 14H), 1.10 - 0.87 (m, 7H), 0.88 - 0.82 (m, 6H), 0.79 (d, J = 6.6 Hz, 3H), 0.75 (d, J = 6.6 Hz, 3H), 0.69 - 0.52 (m,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 다음에 역상 HPL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3)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24(5.3 ㎎, 4.7%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4: ESIMS [M-H]- 1037.9
1H NMR (400 MHz, DMSO-d 6) δ: 7.49 (d, J = 9.3 Hz, 1H), 6.60 (s, 1H), 6.45 (dd, J = 14.1, 11.1 Hz, 1H), 6.31 - 6.11 (m, 2H), 5.98 (d, J = 10.9 Hz, 1H), 5.50 (dd, J = 14.3, 9.6 Hz, 1H), 5.06 (d, J = 4.6 Hz, 1H), 5.01 - 4.91 (m, 1H), 4.82 (d, J = 9.8 Hz, 1H), 4.62 - 4.52 (m, 1H), 4.06 - 3.80 (m, 3H), 3.78 - 3.68 (m, 1H), 3.68 - 3.56 (m, 1H), 3.50 - 3.40 (m, 1H), 3.29 (s, 3H), 3.23 (d, J = 9.1 Hz, 1H), 3.12 (s, 3H), 3.08 - 2.98 (m, 1H), 2.91 - 2.77 (m, 1H), 2.71 (s, 3H), 2.30 - 1.84 (m, 8H), 1.81 (s, 3H), 1.78 - 1.59 (m, 4H), 1.58 - 1.27 (m, 19H), 1.26 - 1.09 (m, 4H), 1.08 - 0.90 (m, 10H), 0.86 (d, J = 6.4 Hz, 3H), 0.80 (d, J = 6.7 Hz, 3H), 0.76 - 0.60 (m, 4H).
실시예 13. 중간체 3의 합성-A, 중간체 4-B 및 화합물 25
Figure pct00057
DCM(10 ㎖) 중 중간체 4(100 ㎎, 0.094m㏖) 및 메탄설폰아미드(180 ㎎, 1.88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M 용액, 0.47 ㎖, 0.47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의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사이클로헥산/EtOAc 100:0 내지 0:100)에 의해 분리시켰다.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1 용리 피크를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분리시켜 중간체 4-A(6.0 ㎎, 5.4%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중간체 4-A: ESIMS [M-H]- 1119.9
1H NMR (400 MHz, DMSO-d 6) δ: 7.49 (d, J = 9.4 Hz, 1H), 6.59 (s, 1H), 6.43 (dd, J = 14.4, 11.1 Hz, 1H), 6.30 - 6.11 (m, 2H), 5.98 (d, J = 11.2, 1.5 Hz, 1H), 5.51 (dd, J = 14.6, 9.5 Hz, 1H), 5.05 (d, J = 4.7 Hz, 1H), 4.97 - 4.90 (m, 1H), 4.86 - 4.77 (m, 1H), 4.65 - 4.56 (m, 1H), 3.99 - 3.80 (m, 2H), 3.78 - 3.69 (m, 1H), 3.68 - 3.58 (m, 3H), 3.57 - 3.50 (m, 2H), 3.48 - 3.40 (m, 1H), 3.31 (s, 3H), 3.22 (d, J = 9.2 Hz, 1H), 3.16 - 3.05 (m, 4H), 3.04 - 2.93 (m, 1H), 2.90 - 2.76 (m, 1H), 2.70 (s, 3H), 2.27 - 2.18 (m, 1H), 2.17 - 1.84 (m, 7H), 1.81 (s, 3H), 1.77 - 1.59 (m, 3H), 1.59 - 1.45 (m, 6H), 1.44 - 1.08 (m, 12H), 1.07 - 0.91 (m, 8H), 0.90 - 0.81 (m, 14H), 0.79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70 - 0.57 (m, 1H), 0.03 (s, 6H).
제2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는 SFC 정제의 분획을 역상 분취 HPL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4)에 의해 정제하여 중간체 4-B(5.0 ㎎, 4.2%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중간체 4-B: ESIMS [M-H]- 1119.6
1H NMR (400 MHz, DMSO-d 6) δ: 7.29 (d, J = 7.6 Hz, 1H), 6.46 (s, 1H), 6.44 - 6.33 (m, 1H), 6.23 - 6.08 (m, 2H), 6.05 (d, J = 11.1 Hz, 1H), 5.54 (dd, J = 14.2, 9.0 Hz, 1H), 5.07 - 4.96 (m, 3H), 4.74 - 4.62 (m, 1H), 4.01 - 3.96 (m, 1H), 3.95 - 3.87 (m, 1H), 3.81 - 3.69 (m, 2H), 3.68 - 3.58 (m, 3H), 3.56 - 3.50 (m, 2H), 3.38 - 3.25 (m, 3H), 3.23 - 3.11 (m, 4H), 3.10 - 3.00 (m, 1H), 3.00 - 2.91 (m, 1H), 2.89 (s, 3H), 2.60 - 2.52 (m, 1H), 2.28 - 2.18 (m, 1H), 2.18 - 2.01 (m, 3H), 2.00 - 1.84 (m, 2H), 1.80 - 1.70 (m, 4H), 1.70 - 1.46 (m, 17H), 1.46 - 1.00 (m, 6H), 1.00 - 0.91 (m, 4H), 0.91 - 0.81 (m, 16H), 0.80 - 0.69 (m, 7H), 0.65 - 0.51 (m, 1H), 0.03 (s, 6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제2 용리 피크를 정제하여 화합물 25(5.5 ㎎, 5.5%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5: ESIMS [M-H]- 1005.4
1H NMR (400 MHz, DMSO-d 6) δ: 7.30 (d, J = 7.8 Hz, 1H), 6.47 (s, 1H), 6.40 (dd, J = 13.7, 11.2 Hz, 1H), 6.20 - 6.08 (m, 2H), 6.05 (d, J = 11.0 Hz, 1H), 5.54 (dd, J = 14.3, 8.8 Hz, 1H), 5.08 - 4.97 (m, 3H), 4.70 - 4.62 (m, 1H), 4.49 - 4.38 (m, 1H), 4.02 - 3.96 (m, 1H), 3.95 - 3.87 (m, 1H), 3.80 - 3.70 (m, 2H), 3.67 - 3.58 (m, 1H), 3.55 - 3.41 (m, 4H), 3.37 - 3.24 (m, 3H), 3.22 - 3.10 (m, 4H), 3.04 - 2.92 (m, 2H), 2.89 (s, 3H), 2.60 - 2.49 (m, 1H), 2.27 - 2.19 (m, 1H), 2.18 - 1.99 (m, 3H), 1.98 - 1.87 (m, 2H), 1.83 - 1.71 (m, 4H), 1.70 - 1.34 (m, 15H), 1.32 - 1.00 (m, 7H), 1.00 - 0.88 (m, 5H), 0.88 - 0.81 (m, 8H), 0.81 - 0.69 (m, 6H), 0.59 (q, J = 11.7 Hz, 1H).
실시예 14. 화합물 26의 합성
Figure pct00058
헥산(1 ㎖) 중 중간체 4-B(30 ㎎, 0.027 m㏖), EtOAc(1 ㎖) 및 H2O(1 ㎖)의 혼합물에 아세트산(0.1 ㎖)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에 의해 조질의 생성물을 정제하여 화합물 26(4.5 ㎎, 1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6: ESIMS [M-H]- 1005.9
1H NMR (400 MHz, DMSO-d 6) δ: 7.49 (d, J = 9.3 Hz, 1H), 6.59 (s, 1H), 6.44 (dd, J = 14.3, 11.0 Hz, 1H), 6.30 - 6.11 (m, 2H), 6.02 - 5.94 (m, 1H), 5.50 (dd, J = 14.5, 9.5 Hz, 1H), 5.05 (d, J = 4.6 Hz, 1H), 4.98 - 4.89 (m, 1H), 4.82 (d, J = 9.8 Hz, 1H), 4.64 - 4.54 (m, 1H), 4.46 (s, 1H), 3.99 - 3.78 (m, 2H), 3.77 - 3.68 (m, 1H), 3.68 - 3.58 (m, 1H), 3.57 - 3.41 (m, 5H), 3.40 - 3.26 (m, 3H), 3.22 (d, J = 9.2 Hz, 1H), 3.12 (s, 3H), 3.10 - 2.93 (m, 2H), 2.91 - 2.77 (m, 1H), 2.70 (s, 3H), 2.28 - 1.83 (m, 8H), 1.81 (s, 3H), 1.77 - 1.46 (m, 10H), 1.45 - 1.07 (m, 12H), 1.07 - 0.89 (m, 8H), 0.89 - 0.82 (m, 4H), 0.79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71 - 0.55 (m, 1H).
실시예 15. 화합물 27의 합성
Figure pct00059
DCM(7 ㎖) 중 중간체 3(100 ㎎, 0.102 m㏖) 및 N-메틸메탄설폰아미드(112 ㎎, 1.02 m㏖)의 용액에 염화아연(II)(디에틸 에테르 중 1 M 용액, 0.51 ㎖, 0.51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H2O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를 이용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정제하여 화합물 27(25 ㎎, 22%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7: ESIMS [M-H]- 1051.4
1H NMR (400 MHz, DMSO-d 6) δ: 6.49 (dd, J = 14.1, 10.9 Hz, 1H), 6.35 (s, 1H), 6.30 - 6.12 (m, 2H), 5.99 (d, J = 10.9 Hz, 1H), 5.46 (dd, J = 14.4, 9.7 Hz, 1H), 5.07 (d, J = 4.9 Hz, 1H), 4.98 - 4.87 (m, 2H), 4.75 - 4.63 (m, 1H), 4.60 - 4.48 (m, 1H), 4.02 - 3.90 (m, 2H), 3.80 - 3.69 (m, 1H), 3.68 - 3.55 (m, 1H), 3.53 - 3.26 (m, 5H), 3.22 - 2.97 (m, 7H), 2.84 - 2.72 (m, 1H), 2.51 (s, 3H), 2.29 - 2.13 (m, 2H), 2.13 - 1.89 (m, 4H), 1.80 (s, 3H), 1.76 - 1.06 (m, 30H), 1.04 - 0.90 (m, 8H), 0.88 (d, J = 6.3 Hz, 3H), 0.83 - 0.59 (m, 8H).
실시예 16. 화합물 28 및 화합물 29의 합성
Figure pct00060
부분입체이성질체 1: HCl(디옥산 중의 4M 용액, 1.35 ㎖, 5.52 m㏖) 중의 중간체 7(68 ㎎, 0.069 m㏖)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직접 냉동 건조시켜 조질의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조질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취 HPLC(방법 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8(4.4 ㎎, 6.7%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8: ESIMS [M+H]+ 885.6, [M+FA-H]- 929.6
1H NMR (400 MHz, DMSO-d 6) δ: 6.47 - 6.40 (m, 1H), 6.21 - 6.12 (m, 2H), 5.96 - 5.87 (m, 1H), 5.46 (dd, J = 14.0, 9.2 Hz, 1H), 4.98 - 4.93 (m, 1H), 4.89 - 4.81 (m, 1H), 4.66 - 4.59 (m, 1H), 4.02 - 3.94 (m, 1H), 3.91 - 3.86 (m, 1H), 3.64 - 3.55 (m, 1H), 3.48 - 3.40 (m, 1H), 3.31 (s, 3H), 3.29 - 3.24 (m, 2H), 3.21 - 3.16 (m, 1H), 3.12 (s, 3H), 2.88 - 2.80 (m, 2H), 2.24 - 2.17 (m, 1H), 2.17 - 2.10 (m, 1H), 2.09 - 2.01 (m, 1H), 1.97 - 1.90 (m, 2H), 1.88 - 1.82 (m, 1H), 1.81 - 1.74 (m, 5H), 1.74 - 1.70 (m, 2H), 1.68 - 1.61 (m, 2H), 1.54 - 1.47 (m, 6H), 1.44 - 1.37 (m, 3H), 1.34 - 1.27 (m, 2H), 1.25 - 1.09 (m, 6H), 1.07 - 1.00 (m, 2H), 0.98 - 0.95 (m, 6H), 0.88 - 0.83 (m, 4H), 0.79 (d, J = 6.7 Hz, 3H), 0.75 - 0.69 (m, 4H), 0.59 (q, J = 11.9 Hz, 1H).
부분입체이성질체 2: HCl(디옥산 중의 4M 용액, 0.95 ㎖, 3.8 m㏖) 중의 중간체 8(75 ㎎, 0.076 m㏖)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직접 냉동 건조시켜 조질의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조질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취 HPLC(방법 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9(10.9 ㎎, 15.8%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29: ESIMS [M+H]+ 885.9, [M+FA-H]- 930.2
1H NMR (400 MHz, DMSO-d6) δ: 6.50 - 6.40 (m, 1H), 6.24 - 6.11 (m, 3H), 5.60 (dd, J = 14.1, 8.7 Hz, 1H), 5.06 - 5.01 (m, 1H), 4.95 (d, J = 9.7 Hz, 1H), 4.70 - 4.63 (m, 1H), 4.04 - 3.98 (m, 1H), 3.98 - 3.92 (m, 1H), 3.69 - 3.61 (m, 2H), 3.57 (d, J = 6.8 Hz, 1H), 3.31 (s, 3H), 3.27 - 3.21 (m, 1H), 3.20 - 3.16 (m, 1H), 3.15 (s, 3H), 2.82 (ddd, J = 11.2, 8.7, 4.4 Hz, 1H), 2.76 - 2.67 (m, 1H), 2.29 - 2.20 (m, 1H), 2.19 - 2.13 (m, 1H), 2.12 - 2.01 (m, 2H), 1.95 - 1.89 (m, 1H), 1.85 - 1.80 (m, 3H), 1.78 - 1.71 (m, 3H), 1.68 - 1.55 (m, 5H), 1.55 - 1.49 (m, 6H), 1.49 - 1.46 (m, 2H), 1.45 - 1.38 (m, 2H), 1.33 - 1.10 (m, 7H), 1.02 - 0.97 (m, 4H), 0.92 - 0.85 (m, 5H), 0.84 - 0.79 (m, 6H), 0.74 (d, J = 6.7 Hz, 3H), 0.57 (q, J = 11.8 Hz, 1H).
화합물 29에서 C16 치환체의 절대 입체배치를 FKBP12를 이용하는 X-선 결정학 공결정에 의해 결정하였다. X-선 공결정 구조에 기반하여, 화합물 29에서 C16 치환체는 (R)-입체배치이다. 결정 구조를 도 2에 도시한다.
실시예 17. 화합물 30 및 화합물 31의 합성
Figure pct00061
DCM(3 ㎖) 중 중간체 1(350 ㎎, 0.389 m㏖) 및 tert-부틸 메틸카바메이트(765 ㎎, 5.83 m㏖)의 혼합물에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74 ㎎, 0.389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함유하는 전체 반응 혼합물을 역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C18; MeCN/H2O 40:60 내지 90:10)에 의해 분리시켰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3) 다음에 분취 HPLC(방법 2)를 이용하여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30(22 ㎎, 5.4%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0: ESIMS [M+NH4]+ 1017.2, [M+FA-H]- 1044.2
1H NMR (400 MHz, DMSO-d 6) δ: 6.61 - 6.51 (m, 1H), 6.50 - 6.45 (m, 1H), 6.24 - 6.15 (m, 2H), 5.99 (d, J = 11.0 Hz, 1H), 5.66 (dd, J = 14.2, 8.4 Hz, 1H), 5.07 (d, J = 4.7 Hz, 1H), 5.04 - 5.00 (m, 1H), 4.89 (d, J = 9.6 Hz, 1H), 4.72 - 4.65 (m, 1H), 4.59 (d, J = 4.4 Hz, 1H), 4.48 - 4.29 (m, 1H), 3.91 (dd, J = 8.6, 4.6 Hz, 1H), 3.73 - 3.61 (m, 1H), 3.54 - 3.42 (m, 2H), 3.34 (d, J = 8.1 Hz, 1H), 3.30 (s, 3H), 3.20 - 3.16 (m, 1H), 3.14 (s, 3H), 2.96 - 2.88 (m, 1H), 2.86 - 2.79 (m, 1H), 2.59 (s, 3H), 2.28 - 2.19 (m, 2H), 2.17 - 2.10 (m, 1H), 2.08 - 2.00 (m, 2H), 1.96 - 1.90 (m, 1H), 1.86 - 1.80 (m, 1H), 1.77 - 1.62 (m, 8H), 1.56 - 1.46 (m, 6H), 1.43 - 1.26 (m, 17H), 1.23 - 1.09 (m, 4H), 1.07 - 1.02 (m, 1H), 1.01 - 0.94 (m, 6H), 0.89 - 0.81 (m, 8H), 0.73 (d, J = 6.7 Hz, 3H), 0.58 (q, J = 11.9 Hz, 1H).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3) 다음에 분취 HPLC(방법 2)를 이용하여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정제하여 화합물 31(45 ㎎, 11.2%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1: ESIMS [M+NH4]+ 1017.2, [M+FA-H]- 1044.3
1H NMR (400 MHz, DMSO-d 6) δ: 6.49 - 6.40 (m, 1H), 6.27 - 6.11 (m, 2H), 5.98 - 5.84 (m, 1H), 5.53 - 5.36 (m, 1H), 5.10 - 5.05 (m, 1H), 5.02 - 4.91 (m, 2H), 4.64 - 4.54 (m, 2H), 4.44 - 4.19 (m, 1H), 4.06 - 3.92 (m, 1H), 3.77 - 3.64 (m, 1H), 3.65 - 3.50 (m, 2H), 3.51 - 3.39 (m, 1H), 3.33 (s, 3H), 3.21 - 3.16 (m, 1H), 3.13 (s, 3H), 2.90 - 2.79 (m, 1H), 2.69 - 2.61 (m, 1H), 2.51 (s, 3H), 2.26 - 2.13 (m, 2H), 2.09 - 2.00 (m, 2H), 1.94 - 1.88 (m, 1H), 1.78 - 1.67 (m, 5H), 1.67 - 1.65 (m, 1H), 1.63 - 1.48 (m, 10H), 1.47 - 1.44 (m, 1H), 1.42 - 1.30 (m, 12H), 1.29 - 1.22 (m, 3H), 1.22 - 1.12 (m, 4H), 1.12 - 1.01 (m, 1H), 1.01 - 0.95 (m, 4H), 0.92 - 0.81 (m, 8H), 0.80 - 0.73 (m, 6H), 0.60 (q, J = 11.9 Hz, 1H).
실시예 18. 화합물 32 및 화합물 33의 합성
Figure pct00062
부분입체이성질체 1: HCl(디옥산 중 4M 용액, 550 ㎕, 2.20 m㏖) 중 화합물 31(44 ㎎, 0.044 m㏖)의 용액을 실온에서 6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직접 냉동 건조시켜 조질의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조질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취 HPLC(방법 2)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32(11.5 ㎎, 27.4%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2: ESIMS [M+H]+ 899.9, [M+FA-H]- 945.2
1H NMR (400 MHz, DMSO-d 6) δ: 9.08 - 8.59 (m, 2H), 6.86 (s, 1H), 6.51 - 6.41 (m, 1H), 6.34 - 6.17 (m, 3H), 5.71 - 5.60 (m, 1H), 5.12 - 5.07 (m, 2H), 4.96 (d, J = 9.5 Hz, 1H), 4.70 - 4.63 (m, 1H), 4.60 (d, J = 4.4 Hz, 1H), 4.14 - 4.03 (m, 1H), 4.02 - 3.90 (m, 2H), 3.76 - 3.65 (m, 1H), 3.54 (d, J = 7.3 Hz, 1H), 3.31 (s, 3H), 3.25 - 3.17 (m, 1H), 3.17 - 3.15 (m, 1H), 3.14 (s, 3H), 2.85 - 2.75 (m, 2H), 2.43 - 2.37 (m, 3H), 2.34 - 2.24 (m, 1H), 2.21 - 2.12 (m, 2H), 2.11 - 1.97 (m, 2H), 1.93 - 1.87 (m, 1H), 1.81 (s, 3H), 1.78 - 1.68 (m, 4H), 1.65 - 1.44 (m, 11H), 1.41 - 1.36 (m, 1H), 1.35 - 1.24 (m, 5H), 1.18 - 1.09 (m, 3H), 1.01 - 0.97 (m, 4H), 0.96 - 0.92 (m, 1H), 0.90 (d, J = 6.4 Hz, 3H), 0.87 - 0.79 (m, 7H), 0.73 (d, J = 6.7 Hz, 3H), 0.56 (q, J = 11.8 Hz, 1H).
부분입체이성질체 2: HCl(메탄올 중 1.25M 용액, 2.9 ㎖, 3.60 m㏖) 중 화합물 30(60 ㎎, 0.060 m㏖)의 용액을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다. 조질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취 HPLC(방법 2)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33(3.6 ㎎, 6.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3: ESIMS [M+H]+ 900.0, [M+FA-H]- 944.0
1H NMR (400 MHz, DMSO-d 6) δ: 9.19 (d, J = 150.7 Hz, 2H), 6.72 (s, 1H), 6.48 (dd, J = 14.3, 11.1 Hz, 1H), 6.31 - 6.16 (m, 3H), 5.56 (dd, J = 14.6, 9.5 Hz, 1H), 5.04 (d, J = 5.0 Hz, 1H), 4.94 (dd, J = 6.4, 1.9 Hz, 1H), 4.81 (d, J = 9.8 Hz, 1H), 4.67 - 4.59 (m, 2H), 4.17 - 4.05 (m, 1H), 3.87 (dd, J = 9.2, 4.9 Hz, 1H), 3.65 - 3.52 (m, 2H), 3.50 - 3.43 (m, 1H), 3.32 (s, 3H), 3.23 (d, J = 9.2 Hz, 1H), 3.20 - 3.16 (m, 1H), 3.12 (s, 3H), 2.91 - 2.82 (m, 2H), 2.29 (s, 3H), 2.23 - 2.10 (m, 3H), 2.09 - 2.03 (m, 1H), 2.00 - 1.90 (m, 3H), 1.86 (s, 3H), 1.80 - 1.63 (m, 5H), 1.56 - 1.50 (m, 3H), 1.47 (s, 3H), 1.44 - 1.35 (m, 4H), 1.33 - 1.25 (m, 1H), 1.24 - 1.09 (m, 6H), 1.04 - 0.94 (m, 8H), 0.90 - 0.87 (m, 1H), 0.84 (d, J = 6.5 Hz, 3H), 0.80 (d, J = 6.7 Hz, 3H), 0.74 (d, J = 6.7 Hz, 3H), 0.72 - 0.66 (m, 1H), 0.65 - 0.54 (m, 1H).
실시예 19. 화합물 34 및 화합물 35의 합성
Figure pct00063
DCM(5 ㎖) 중 중간체 1(150 ㎎, 0.167 m㏖) 및 tert-부틸 하이드록시카바메이트(333 ㎎, 2.50 m㏖)의 혼합물에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9.51 ㎎, 0.0501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전체 반응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MeCN/DCM 0:100 내지 100:0)에 의해 직접 정제하였다. 제2 용리 피크는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다의 생성물 혼합물을 얻었다.
SFC 크로마토그래피(방법 1)에 의해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분리시켰다.
제1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화합물 34(32.4 ㎎, 19.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4 ESIMS [M+NH4]+ 1019.1, [M+FA-H]- 1046.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8 (s, 1H), 6.47 - 6.37 (m, 1H), 6.22 - 6.10 (m, 2H), 5.97 (s, 1H), 5.97 - 5.90 (m, 1H), 5.50 - 5.39 (m, 1H), 5.06 (d, J = 4.7 Hz, 1H), 5.02 - 4.94 (m, 2H), 4.65 - 4.53 (m, 3H), 4.05 - 3.94 (m, 1H), 3.87 - 3.76 (m, 1H), 3.60 (d, J = 6.5 Hz, 1H), 3.58 - 3.51 (m, 1H), 3.39 - 3.34 (m, 1H), 3.32 (s, 3H), 3.23 - 3.16 (m, 1H), 3.14 (s, 3H), 2.84 (ddd, J = 11.2, 8.6, 4.3 Hz, 1H), 2.71 - 2.59 (m, 1H), 2.24 - 2.11 (m, 2H), 2.08 - 2.01 (m, 2H), 1.95 - 1.88 (m, 1H), 1.78 - 1.71 (m, 5H), 1.64 - 1.46 (m, 10H), 1.44 - 1.35 (m, 13H), 1.30 - 1.13 (m, 8H), 1.11 - 1.03 (m, 1H), 1.00 - 0.95 (m, 4H), 0.92 - 0.82 (m, 8H), 0.79 (d, J = 6.8 Hz, 3H), 0.76 (d, J = 6.7 Hz, 3H), 0.58 (q, J = 11.9 Hz, 1H).
제2 용리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화합물 35(17. ㎎, 10.3%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5: ESIMS [M+NH4]+ 1019.1, [M+FA-H]- 1046.1
1H NMR (400 MHz, DMSO-d 6) δ: 9.02 (s, 1H), 6.55 (s, 1H), 6.51 - 6.41 (m, 1H), 6.24 - 6.13 (m, 2H), 5.96 - 5.90 (m, 1H), 5.59 - 5.46 (m, 1H), 5.02 (d, J = 4.7 Hz, 1H), 4.99 - 4.93 (m, 1H), 4.87 - 4.80 (m, 1H), 4.69 - 4.61 (m, 1H), 4.60 (d, J = 4.5 Hz, 1H), 4.45 - 4.36 (m, 1H), 3.87 (dd, J = 9.1, 4.4 Hz, 1H), 3.85 - 3.76 (m, 1H), 3.71 - 3.60 (m, 1H), 3.54 - 3.44 (m, 1H), 3.31 (s, 3H), 3.23 (d, J = 9.2 Hz, 1H), 3.21 - 3.15 (m, 1H), 3.12 (s, 3H), 2.91 - 2.79 (m, 2H), 2.46 - 2.35 (m, 1H), 2.29 - 2.18 (m, 1H), 2.17 - 2.10 (m, 1H), 2.09 - 2.01 (m, 1H), 1.98 - 1.89 (m, 2H), 1.86 (s, 3H), 1.79 - 1.62 (m, 6H), 1.55 - 1.46 (m, 6H), 1.44 - 1.27 (m, 14H), 1.25 - 1.09 (m, 6H), 1.06 - 0.95 (m, 8H), 0.89 - 0.83 (m, 4H), 0.80 (d, J = 6.8 Hz, 3H), 0.72 (d, J = 6.7 Hz, 4H), 0.59 (q, J = 11.8 Hz, 1H).
실시예 20. 화합물 36 및 화합물 37의 합성
Figure pct00064
부분입체이성질체 1: HCl(디옥산 중 4M 용액, 445 ㎕, 1.78 m㏖) 중 화합물 34(29.7 ㎎, 0.030 m㏖)의 용액을 실온에서 13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직접 냉동 건조시켜 조질의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조질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취 HPLC(방법 2)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36(10.5 ㎎, 38.1%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6: ESIMS [M+H]+ 902.0, [M+FA-H]- 946.0
1H NMR (400 MHz, DMSO-d6) δ: 6.81 - 6.74 (m, 1H), 6.54 (s, 1H), 6.48 - 6.39 (m, 1H), 6.17 - 6.08 (m, 2H), 5.96 (d, J = 10.7 Hz, 1H), 5.49 (dd, J = 14.1, 8.9 Hz, 1H), 5.05 (d, J = 4.6 Hz, 1H), 5.03 - 4.98 (m, 2H), 4.71 - 4.63 (m, 1H), 4.60 (d, J = 4.4 Hz, 1H), 4.02 - 3.93 (m, 2H), 3.66 (d, J = 6.0 Hz, 1H), 3.63 - 3.53 (m, 1H), 3.40 - 3.35 (m, 1H), 3.31 (s, 3H), 3.25 - 3.19 (m, 1H), 3.16 - 3.12 (m, 4H), 2.86 - 2.80 (m, 1H), 2.66 - 2.56 (m, 1H), 2.27 - 2.15 (m, 2H), 2.12 - 2.07 (m, 1H), 2.06 - 1.98 (m, 1H), 1.95 - 1.88 (m, 1H), 1.84 - 1.78 (m, 4H), 1.74 - 1.69 (m, 2H), 1.64 - 1.60 (m, 2H), 1.59 - 1.56 (m, 2H), 1.55 - 1.51 (m, 5H), 1.48 - 1.45 (m, 2H), 1.41 - 1.37 (m, 1H), 1.37 - 1.27 (m, 4H), 1.25 - 1.22 (m, 1H), 1.21 - 1.14 (m, 4H), 1.07 - 1.02 (m, 1H), 1.00 - 0.96 (m, 4H), 0.89 - 0.85 (m, 5H), 0.83 (d, J = 6.4 Hz, 3H), 0.79 (d, J = 6.7 Hz, 3H), 0.75 (d, J = 6.8 Hz, 3H), 0.56 (q, J = 11.8 Hz, 1H).
부분입체이성질체 2: HCl(디옥산 중 4M 용액, 392 ㎕, 1.57 m㏖) 중 화합물 35(15.7 ㎎, 0.0157 m㏖)의 용액을 실온에서 13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직접 냉동 건조시켜 조질의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조질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취 HPLC(방법 2)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37(4.0 ㎎, 27.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7: ESIMS [M+H]+ 901.6, [M+FA-H]- 945.6
1H NMR (400 MHz, DMSO-d6) δ: 7.05 - 6.89 (m, 1H), 6.48 (s, 1H), 6.46 - 6.39 (m, 1H), 6.18 - 6.10 (m, 2H), 5.89 (dd, J = 11.1, 1.6 Hz, 1H), 5.45 (dd, J = 14.0, 9.4 Hz, 1H), 5.04 (d, J = 4.7 Hz, 1H), 4.97 - 4.90 (m, 1H), 4.90 - 4.83 (m, 1H), 4.66 - 4.58 (m, 2H), 4.00 - 3.93 (m, 1H), 3.91 (dd, J = 8.9, 3.8 Hz, 1H), 3.63 - 3.54 (m, 1H), 3.48 - 3.39 (m, 1H), 3.36 - 3.26 (m, 5H), 3.20 - 3.16 (m, 1H), 3.12 (s, 3H), 2.88 - 2.80 (m, 2H), 2.26 - 2.19 (m, 1H), 2.17 - 2.10 (m, 1H), 2.07 - 2.00 (m, 1H), 1.97 - 1.85 (m, 3H), 1.80 - 1.72 (m, 5H), 1.70 - 1.61 (m, 4H), 1.54 - 1.47 (m, 6H), 1.43 - 1.27 (m, 5H), 1.23 - 1.11 (m, 6H), 1.03 - 0.94 (m, 8H), 0.88 - 0.83 (m, 4H), 0.79 (d, J = 6.7 Hz, 4H), 0.72 (d, J = 6.8 Hz, 3H), 0.60 (q, J = 11.9 Hz, 1H).
실시예 21. 화합물 38 및 화합물 39의 합성
Figure pct00065
부분입체이성질체 1: DCM(1 ㎖) 중 중간체 5(15.4 ㎎, 0.0160 m㏖)의 용액에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3.0 ㎎, 0.016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취 HPLC(방법 2)에 의해 전체 반응 혼합물을 직접 정제하여 화합물 38(11.3 ㎎, 70.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8: ESIMS [M+H]+ 994.0, [M-H]- 992.1
1H NMR (400 MHz, DMSO-d 6) δ: 8.88 - 8.30 (m, 2H), 6.71 (s, 1H), 6.49 (dd, J = 14.6, 11.0 Hz, 1H), 6.35 - 6.24 (m, 2H), 6.20 (dd, J = 14.8, 10.7 Hz, 1H), 5.57 (dd, J = 14.8, 9.6 Hz, 1H), 5.04 (d, J = 4.8 Hz, 1H), 4.96 - 4.91 (m, 1H), 4.81 (d, J = 9.8 Hz, 1H), 4.66 - 4.61 (m, 1H), 4.60 (d, J = 4.7 Hz, 1H), 4.08 - 3.98 (m, 1H), 3.91 - 3.85 (m, 1H), 3.85 - 3.75 (m, 1H), 3.68 - 3.57 (m, 1H), 3.50 - 3.42 (m, 1H), 3.32 (s, 3H), 3.23 (d, J = 9.2 Hz, 1H), 3.21 - 3.15 (m, 1H), 3.12 (s, 3H), 3.06 - 2.91 (m, 2H), 2.89 - 2.74 (m, 4H), 2.25 - 2.08 (m, 3H), 2.08 - 1.98 (m, 2H), 1.98 - 1.89 (m, 2H), 1.84 (s, 3H), 1.78 - 1.62 (m, 5H), 1.55 - 1.45 (m, 6H), 1.44 - 1.28 (m, 5H), 1.24 - 1.08 (m, 6H), 1.04 - 0.93 (m, 8H), 0.89 - 0.82 (m, 4H), 0.80 (d, J = 6.8 Hz, 3H), 0.75 (d, J = 6.7 Hz, 3H), 0.69 - 0.54 (m, 2H).
부분입체이성질체 2: DCM(1 ㎖) 중 중간체 6(13.7 ㎎, 0.0141 m㏖)의 용액에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2.67 ㎎, 0.0141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취 HPLC(방법 2)에 의해 전체 반응 혼합물을 직접 정제하여 화합물 39(9.1 ㎎, 63.9%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39: ESIMS [M+H]+ 993.9, [M-H]- 991.9
1H NMR (400 MHz, DMSO-d 6) δ: 8.85 - 8.07 (m, 2H), 6.53 - 6.45 (m, 1H), 6.36 (d, J = 10.9 Hz, 1H), 6.30 - 6.20 (m, 2H), 6.17 (s, 1H), 5.74 (dd, J = 14.3, 8.1 Hz, 1H), 5.12 - 5.08 (m, 1H), 5.08 - 5.05 (m, 1H), 4.93 (d, J = 9.5 Hz, 1H), 4.76 - 4.67 (m, 1H), 4.59 (d, J = 4.4 Hz, 1H), 4.10 - 3.98 (m, 2H), 3.94 (dd, J = 7.7, 5.0 Hz, 1H), 3.71 - 3.61 (m, 1H), 3.50 (d, J = 7.7 Hz, 1H), 3.31 (s, 3H), 3.25 - 3.18 (m, 1H), 3.17 - 3.09 (m, 5H), 3.08 - 3.02 (m, 1H), 2.89 - 2.78 (m, 4H), 2.35 - 2.26 (m, 1H), 2.24 - 2.18 (m, 1H), 2.18 - 2.10 (m, 2H), 2.10 - 1.99 (m, 1H), 1.95 - 1.88 (m, 1H), 1.81 (s, 3H), 1.77 - 1.68 (m, 4H), 1.65 - 1.59 (m, 2H), 1.59 - 1.46 (m, 8H), 1.46 - 1.38 (m, 1H), 1.37 - 1.22 (m, 6H), 1.21 - 1.12 (m, 3H), 1.04 - 0.97 (m, 4H), 0.94 - 0.88 (m, 4H), 0.87 - 0.78 (m, 7H), 0.74 (d, J = 6.7 Hz, 3H), 0.56 (q, J = 11.9 Hz, 1H).
실시예 22. 화합물 40 및 화합물 41의 합성
Figure pct00066
부분입체이성질체 1: DCM(1 ㎖) 중 중간체 9(20 ㎎, 0.018 m㏖)의 용액에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5.0 ㎎, 0.026 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취 HPLC(방법 2)에 의해 전체 반응 혼합물을 직접 정제하여 화합물 40(9.6 ㎎, 50.9%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40: ESIMS [M+H]+ 1038.1, [M-H]- 1036.1
1H NMR (400 MHz, DMSO-d 6) δ: 8.85 - 8.39 (m, 2H), 6.71 (s, 1H), 6.53 - 6.43 (m, 1H), 6.37 - 6.24 (m, 2H), 6.23 - 6.14 (m, 1H), 5.57 (dd, J = 15.0, 9.6 Hz, 1H), 5.03 (d, J = 4.9 Hz, 1H), 4.97 - 4.90 (m, 1H), 4.81 (d, J = 9.8 Hz, 1H), 4.67 - 4.54 (m, 1H), 4.45 (t, J = 5.4 Hz, 1H), 4.10 - 3.97 (m, 1H), 3.92 - 3.78 (m, 2H), 3.68 - 3.57 (m, 1H), 3.54 - 3.42 (m, 5H), 3.32 (s, 3H), 3.23 (d, J = 9.1 Hz, 1H), 3.12 (s, 3H), 3.10 - 3.01 (m, 2H), 3.01 - 2.93 (m, 2H), 2.90 - 2.83 (m, 1H), 2.83 - 2.71 (m, 2H), 2.25 - 2.07 (m, 3H), 2.06 - 2.01 (m, 1H), 1.99 - 1.90 (m, 3H), 1.83 (s, 3H), 1.74 - 1.62 (m, 4H), 1.58 - 1.50 (m, 3H), 1.47 (s, 3H), 1.45 - 1.26 (m, 6H), 1.26 - 1.06 (m, 6H), 1.07 - 0.95 (m, 8H), 0.94 - 0.90 (m, 1H), 0.84 (d, J = 6.5 Hz, 3H), 0.80 (d, J = 6.7 Hz, 3H), 0.75 (d, J = 6.7 Hz, 3H), 0.70 - 0.56 (m, 2H).
부분입체이성질체 2: DCM(0.5 ㎖) 중 중간체 10(9 ㎎, 0.008 m㏖)의 용액에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2.3 ㎎, 0.012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취 HPLC(방법 2)에 의해 전체 반응 혼합물을 직접 정제하여 화합물 화합물 41(3.0 ㎎, 35.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화합물 41: ESIMS [M+H]+ 1037.9, [M-H]- 1036.1
1H NMR (400 MHz, DMSO-d 6) δ: 8.90 - 8.13 (m, 2H), 6.52 - 6.44 (m, 1H), 6.34 (d, J = 11.0 Hz, 1H), 6.28 - 6.20 (m, 2H), 6.19 (s, 1H), 5.74 (dd, J = 14.2, 7.9 Hz, 1H), 5.11 - 5.06 (m, 2H), 4.96 - 4.90 (m, 1H), 4.76 - 4.68 (m, 1H), 4.44 (t, J = 5.4 Hz, 1H), 4.11 - 3.97 (m, 2H), 3.94 (dd, J = 7.6, 4.9 Hz, 1H), 3.70 - 3.62 (m, 1H), 3.52 - 3.45 (m, 5H), 3.32 (s, 3H), 3.28 - 3.19 (m, 1H), 3.14 (s, 3H), 3.08 - 2.92 (m, 4H), 2.89 - 2.78 (m, 3H), 2.35 - 2.26 (m, 1H), 2.24 - 2.17 (m, 1H), 2.16 - 2.08 (m, 2H), 1.96 - 1.89 (m, 2H), 1.80 (s, 3H), 1.75 - 1.59 (m, 6H), 1.56 - 1.50 (m, 7H), 1.46 - 1.40 (m, 1H), 1.38 - 1.23 (m, 7H), 1.21 - 1.14 (m, 2H), 1.09 - 1.05 (m, 1H), 1.03 - 0.98 (m, 4H), 0.93 - 0.89 (m, 4H), 0.86 - 0.81 (m, 7H), 0.74 (d, J = 6.7 Hz, 3H), 0.62 (q, J = 11.7 Hz, 1H).
실시예 23: 화합물 42의 합성
Figure pct00067
반응 바이알에서 중간체 1(0.185 g, 0.206 m㏖)을 무수 디클로로메탄(1.0 ㎖)에서 N-메틸 메탄설폰아미드(0.188 ㎖, 2.06 m㏖)와 합쳤다. 바이알의 뚜껑을 덮고, 혼합물을 질소로 2회 진공 퍼지시켰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047 ㎖, 0.62 m㏖)을 20초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NaHCO3을 이용하여 반응을 퀀칭시켰다. 반응 중단시킨 혼합물을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디캔팅시키고 나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실리카겔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0 내지 50% 아세톤-헵탄)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42(0.063 g, 0.061 m㏖, 29.8% 수율)를 밝은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화합물 42: ESIMS [M+NH4]+ 995.8, [M-H]- 976.0
HRMS: C52H84N2O13SNa(나트륨 부가물)에 대한 계산치 999.5592. 실측치 999.5591
1H NMR (600 MHz, 클로로포름-d) δ 6.43 (dd, J = 14.7, 10.9 Hz, 1H), 6.23 (dd, J = 14.7, 10.6 Hz, 1H), 6.12 (dd, J = 14.9, 10.7 Hz, 1H), 5.97 (d, J = 10.9 Hz, 1H), 5.35 (dd, J = 14.9, 9.8 Hz, 1H), 5.19 (d, J = 5.9 Hz, 1H), 5.14 (d, J = 9.9 Hz, 1H), 4.83 (d, J = 12.2 Hz, 1H), 4.70 - 4.65 (m, 1H), 4.18 (d, J = 5.7 Hz, 1H), 3.91 (t, J = 11.2 Hz, 1H), 3.85 (t, J = 8.1 Hz, 1H), 3.63 (d, J = 13.9 Hz, 1H), 3.47 - 3.32 (m, 8H), 3.30 (s, 3H), 3.00 (s, 3H), 2.95 - 2.89 (m, 2H), 2.69 - 2.62 (m, 1H), 2.55 (s, 3H), 2.25 (m, 4H), 2.18 - 2.04 (m, 4H), 1.99 (dd, J = 12.9, 4.3 Hz, 2H), 1.88 - 1.83 (m, 4H), 1.80 - 1.68 (7m, 3H), 1.68 - 1.60 (m, 4H), 1.60 - 1.48 (m, 2H), 1.44 - 1.40 (m, 2H), 1.40 - 1.17 (m, 4H), 1.09-1.03 (m, 4H), 1.02 - 0.96 (m, 4H), 0.96-0.88 (m, 4H), 0.87 - 0.84 (m, 6H), 0.65 (q, J = 12.0 Hz, 1H).
절대 입체배치의 결정
수소 원자 H25 및 H27의 화학적 이동뿐만 아니라 각 HSQC NMR 스펙트럼으로부터의 수소 원자 H6의 상대 이동 Δf2를 이용하여 위치 C16에서 화합물의 입체배치를 부여하였다. Bruker Spectrospin(400 MHz)에 대해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DMSO-d6을 일반적으로 용매로서 사용하였다. H25 및 H27의 상대 화학적 이동은 입체이성질체 (R)-C16 및 (S)-C16에 대한 특징이었다.
Figure pct00068
2개의 C6 수소의 상대적 화학적 이동(Δf2)은 C16 에피머의 절대 입체배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69
화합물 2(절대 입체배치 (S)-C16) 및 화합물 29(절대 입체배치(R)-C16)의 X-선 구조는 입체화학적 부여에 대한 기준으로서 작용하였다.
Figure pct00070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실시예 24: 생물학적 분석 및 데이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활성은 하기 시험관내 및 생체내 방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약학적 특성규명
물질 및 방법
라팔로그 효능 결정을 위한 세포-기반 분석. MEF TSC1-/- 세포 기반 분석을 이용하여 라팔로그 효능을 결정하였다. MEF TSC1-/- 세포는 mTORC1 신호전달을 음성 조절하는 결절성 경화증 단백질인 TSC1이 결핍된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이이며, 따라서 구성적 mTORC1 활성화를 나타내어 하류 분자의 인산화(활성화)를 초래한다. 이런 세포 기반 분석은 라팔로그 또는 다른 mTOR 저해제에 의한 S6 및 4EBP1의 저해(탈인산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MEF TSC1-/- 세포는 폴리-D-리신 코팅된 384 웰 그리에너 투명 바닥 플레이트 상에서 플레이팅하고, 밤새 37℃, 5%CO2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다음날에, 세포는 "심하게 굶긴(Hard starve)" 용액(1 ℓ DPBS + 1 g D - (+) 글루코스 + 10 ㎖의 7.5% 중탄산나트륨 + 20 ㎖의 1M HEPES)으로 8회 세척하고 나서, 동일한 용액에서 추가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세포를 다음에 농도를 감소시키면서(3.16배 희석 시 8점) 화합물로 처리하고, 2시간 동안 37℃, 5% CO2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30분 동안 고정시키고, TBS-EDTA로 5회 세척한 후에 pS6 (Ser240/244)(셀 시그널링 #9468) 및 p4EBP1(Thr 37/46)(셀 시그널링 #5123)에 대해 형광 태그 표지된 항체로 면역 염색하였다. 핵을 훽스트(ThermoFisher Scientific #H3570) 염색으로 시각화시켰다. 각각의 형광 통로를 이용하여 세포를 영상화하고(InCell 600), mTOR 저해제의 효능을 pS6 IC50(nM)에 의해 정하였다.
동물 유지, 화합물에 의한 처리 및 조직 수집. 동물과 관련된 모든 절차를 미국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에 소재한 노바티스 생의학 연구소(Novartis Institutes for Biomedical Research)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에 의해 승인받았다. 성체 스프래그 돌리(Sprague Dawley: SD) 수컷 랫트를 엔비고(Envigo)(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 소재)로부터 구입하였다. 일단 반입되면, 랫트를 온도 및 빛(22℃, 12시간 명/12시간 암 주기: 0600시간 빛/1800시간 빛 차단)이 제어되고 사료와 물에 대한 임의의 접근을 허용하여 특정 병원균이 없는 시설에서 유지시켰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적어도 3일 동안 랫트를 순응시켰다.
화합물 2 및 RAD001을 경구(경구적(per os), p.o.) 투약을 위해 제형화하였다. 블랭크 제형(화합물 2 또는 RAD001이 없음)을 비히클 대조군으로서 제공하였다. 랫트는 화합물 2, RAD001 또는 각각의 비히클 p.o의 단일 용량을 받았다. 처리 후 사전 결정된 시간에, 랫트를 3.5%의 이소플루란으로 마취시키고, 안락사시켰다. 다양한 기관을 수집하고 나서, 액체 질소에서 냉동시켰다. 혈액을 꼬리 정맥 또는 심장천자(말단)를 통해 수집하고 나서, 추가 약물동태학 분석을 위해 냉동시켰다. 분석할 때까지 모든 조직을 -80℃에서 저장하였다.
혈액에서 실시예 2 및 RAD001 농도의 결정. HPLC/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농도를 결정하였다.
단백질 추출 및 면역블롯. 단백질 추출을 위해, 순간 냉동시킨 조직을 MSD 용해 완충제(MSD, 메릴랜드주 락빌에 소재)에 용해시키고, 완전 EDTA 유리 프로테아제 저해제 및 PhosSTOP 포스파타제 저해제 정제(Roche, 독일에 소재한 만하임)로 보충하고, 13,000 g에서 20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시켰다. 면역블로팅을 위해 얻어진 상청액을 사용하였다. BCA 단백질 분석(매사추세츠주에 소재한 써모 사이언티픽(Thermo Scientific))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화하였다. 샘플을 4 내지 20% 크라이티어리언(Criterion)™ TGX™ 프레캐스트 미디 단백질 겔스(Precast Midi Protein gels)(캘리포니아주에 소재한 바이오-래드(Bio-Rad))에 재용해시키고 나서, 트랜스 터보 블롯 시스템(Trans Turbo Blot system)(캘리포니아주에 소재한 바이오-래드)을 이용하여 니트로셀룰로스 막(캘리포니아주에 소재한 바이오-래드)에 옮겼다. 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즈(Cell Signaling Technologies)로부터의 p-S6 및 t-S6에 대한 항체(5% BSA가 있는 TBS-T에서 모두 1:1000)를 이용하여 면역블롯을 수행하였다. 'p' 및 't' 접두사는 각각 '인산화된' 그리고 '총' 형태를 나타낸다. 항-GAPDH 항체(#5174, 매사추세츠주에 소재한 Cell Signaling Technologies)를 이용하여 검출한 글리세르알데히드 3-인산염 탈수소효소(GAPDH)를 단백질 부하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토끼에 대한 HRP-접합 2차 항체(#7074)는 매사추세츠주에 소재한 Cell Signaling Technologies로부터 유래되었다. SuperSignal™ 웨스트 펨토 증강 화학발광 기질(West Femto Enhanced Chemiluminescent Substrate)(#34095, 매사추세츠주에 소재한 써모 사이언티픽) 또는 Western Lightning® 플러스-ECL 증강 화학발광 기질(NEL103001EA, 매사추세츠주에 소재한 Perkin Elmer)을 이용하여 화학발광 신호를 생성하였고, ChemiDoc MP 영상화 시스템(Bio-Rad)을 이용하여 캡처하였다. 얻어진 디지털 영상을 TIFF 형식으로 전환시켰고, ImageJ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FKBP 넉아웃 세포의 생성. Amaxa® 4D-Nucleofector™ X 키트(Lonza, V4XC-2032)를 이용하여 FKBP12(GCCACTACTCACCGTCTCCT, 위치 1392950), FKBP12.6(TGCCCCAAGCTCATCTAGCA, 위치 24063057), FKBP13(GCAGATCGGGGTCAAGAAGC, 위치 64242479), FKBP25(GGTTATAGGCTGTAACCAAG, 위치 45130715), FKBP52(AAGACTCGGTCCCCAATCAT, 위치 2797173) 및 FKBP51(TCATCAAGGCATGGGACATT, 위치 35620248)를 표적화하는 가이드 RNA(gRNA) 서열을 함유하는 리보핵단백질 복합체를 293T 세포에 전달하기 위해 CRISPR/Cas9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항-FKBP-특이적 항체를 이용하는 면역블로팅에 의해 세포 클론을 선별하였다: FKBP12(Novus, NB300-508), FKBP12.6(Abnova, H00002281-M01), FKBP13(R&D Systems, MAB4356), FKBP25(R&D Systems, MAB3955), FKBP52(Cell signaling Technology, #11826) 및 FKBP51(Cell signaling Technology, #12210). 각 FKBP가 결핍된 단일 세포 클론을 선택하였다. 5개의 FKBP 유전자를 순차적으로 넉아웃시킴으로써 5중 FKBP12/12.6/13/52/51 넉아웃 및 FKBP12/12.6/25/52/51 넉아웃 세포를 생성하였다.
RAD001 및 화합물 2를 이용하는 야생형(WT) 및 FKBP 넉아웃 293T 세포의 처리. 10% 소태아 혈청(ThermoFisher, #16140-071)로 보충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ThermoFisher, #11995-065) 내 폴리-D-리신 코팅된 96-웰 플레이트(Corning, #354461)에서 웰당 30,000개 세포의 밀도로 WT, FKBP12 넉아웃, FKBP12/12.6/13/52/51 넉아웃 또는 FKBP12/12.6/25/52/51 넉아웃 293T 세포를 플레이팅하였다. 세포를 대략 80% 컨플루언스에 도달될 때까지, 37℃, 5% CO2에서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2시간 동안 37℃에서 3회 중복하여 1000nM 내지 0.0033 nM 범위의 12점 또는 10점 용량 범위를 이용하여 RAD001 또는 화합물 2로 세포를 처리하였다. 블랭크 디메틸 설폭시드(DMSO)로 보충한 배지를 화합물 둘 다에 대한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샌드위치 ELISA 키트(셀 시그널링, #7063C)에 의해 S6K1(Thr389)의 인산화된 양을 검출하였다.
FK506-결합 단백질(FKBP)에 대한 결합 친화도를 결정하기 위한 SPR 분석.
N-말단의 avi-his6-태그된 FKBP 융합 단백질을 이콜라이(E. coli)에서 발현시키고, 표준 절차를 이용하여 니켈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비오티닐화된 his-avi-FKBP을 Biacore 8K(GE Healthcare)를 이용하여 스트렙타비딘 칩 상에 고정시켰다. FKBP에 대한 라팔로그의 동력학-친화도를 결정하기 위해, 라팔로그를 DMSO에서 50X 작업 용액까지 희석시켰다. 다음에, 3.1 ㎕의 각 라팔로그 용액을 384 딥 웰 플레이트(greiner bio-one/78127) 150 ㎕의 완충제(50 mM 트리스 pH 7.5/150 mM NaCl/0.01% Tween 20/1 mM DTT)에 첨가하고, Biomek FX를 이용하여 혼합쳤다. 이어서, 라팔로그 용액 구배(6 농도/2배 희석, 3.1 내지 100 nM 또는 31 내지 1000 nM 또는 310 내지 10000nM)를 45 ㎕/분으로 120초 동안 주사하고: 접촉 시간 및 해리 시간은 실행 완충제(50 mM 트리스 pH 7.5/150 mM NaCl/0.01% Tween 20/1 mM DTT/2% DMSO)에서 1800초였다. 단일-주기 동력학 데이터를 1:1 결합 모델에 적합화시켜 결합 데이터 ka(1/Ms), 해리 속도 kd(1/s) 및 친화도 KD(M)를 측정하였다. mTOR과 함께 FKBP에 결합된 라팔로그에 대한 삼중 복합체 형성에 대한 겉보기 동력학-친화도를 결정하기 위해, DMSO에서의 최종 농도가 500 μM이 되도록 라팔로그를 DMSO에 희석시켰다. his6-mTOR(아미노산 2019-2112)을 완충제(50 mM 트리스 pH 7.5/150 mM NaCL/0.01% Tween 20/1 mM DTT)에 희석시켜 농도 구배(6가지 농도/2배 희석, 15.6 내지 500 nM)를 제조하였다. 3.1 ㎕의 500 μM 라팔로그 용액을 384 딥 웰 플레이트(greiner bio-one/78127)에서 150 ㎕의 mTOR 샘플에 첨가하고, Biomek FX를 이용하여 혼합쳤다. 이어서, mTOR 용액 구배를 45 ㎕/분으로 120초 동안 주사하고: 접촉 시간 및 해리 시간은 실행 완충제(50 mM 트리스 pH 7.5/150 mM NaCl/0.01% Tween 20/1 mM DTT/2% DMSO)에서 1800초였다. 단일-주기 동력학 데이터를 1:1 결합 모델에 적합화시켜 삼중 복합체 형성에 대한 결합 데이터 ka(1/Ms), 해리 속도 kd(1/s) 및 겉보기 친화도 KD(M)를 측정하였다. 이하의 표 6 및 7을 참조한다.
라팔로그의 차별적 약리학은 1) 이들 세포/조직에서 FKBP 상동체의 상대적 존재비 및 2) 이들 상이한 FKBP 상동체에 대한 결합 특이성(Mol. Cell Biol. (2013) 33:1357-1367 참고)에 따라서 상이한 세포 또는 조직 유형에서 달성될 수 있다.
결과
mTOR 저해제의 생체내 효능을 MEF TSC1-/- 세포에서 pS6 IC50(nM)에 의해 정하였다.
Figure pct00073
Figure pct00074
IC50값을 다회 분석으로부터의 평균으로서 계산한다.
FKBP12, FKBP51 및 FKBP52에 대한 평형 해리상수(KD)를 이하의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75
삼중 복합체 형성에 대한 겉보기 친화도 KD(M)를 이하의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76
랫트에서의 화합물 2의 약물동태학적 프로파일. 랫트에서 화합물 2의 생체이용가능성을 RAD001에 비교하기 위해, 화합물을 용액 제형으로서 제형화시켰다: 화합물 2를 MilliQ Water 중의 15% PEG300, 7.5% 솔루톨, 7.5% 크레모포어 EL에서 제형화시키고, RAD001을 PBS 중의 10% PEG300, 10% 솔루톨 HS15, 10% 크레모포어 EL에서 제형화시켰다. 화합물을 7 내지 9주령(그룹당 N=3)의 랫트에 p.o.로 3㎎/㎏으로, 정맥내로(i.v.) 1㎎/㎏으로 투여하였다(도 3a 및 도 3b). 화합물 2 및 RAD001 각각에 대해, 생체이용 가능성은 16% 및 19%, i.v. 최종 반감기 19h 및 9.5h, 클리어런스 13 ㎖/분/㎏ 및 32 ㎖/분/㎏이었다.
화합물 2는 랫트 간에서 mTORC1 경로를 저해한다. 화합물 2가 생체내에서 mTORC1 경로를 저해하는 능력을 4 내지 6개월령의 랫트에서 결정하였다(도 4a 내지 도 4D). 화합물 2의 1, 3 및 10 ㎎/㎏에서의 단일 투약(맞춤 제조한 마이크로-에멀션 사전농축물로서 제형화, 예를 들어, 문헌[Shavlakadze et al.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73(7): 845-852, 2018] 참조)은 랫트 간(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함)에서 S6의 유의한 탈인산화(비활성화)를 초래하였다(도 4a 및 도 4b).
화합물 2의 저해 효과는 RAD001에 비해 FKBP12에 대해 덜 의존적이다. 초기에, S6K1(Thr389)의 인산화된 양을 화합물 2 또는 RAD001로 처리한 WT 및 FKBP12 넉아웃 293T 세포에서 측정하였다(도 5a 및 도 5b). S6K1은 mTORC1의 하류 표적이며, 이의 라팔로그-민감성 Thr389 부위의 인산화를 mTORC1 활성의 기능성 판독으로서 사용한다(문헌[Lee, C. H., Inoki, K. and Guan, K. L. (2007). mTOR pathway as a target in tissue hypertrophy. Annu. Rev. Pharmacol. Toxicol. 47, 443-467]). WT 293T 세포에서, RAD001과 화합물 2는 둘 다 S6K1(Thr389) 인산화의 대략 80% 저해를 달성하는 데 효능이 있었다(도 5a). FKBP12의 부재 하에, S6K1(Thr389)의 대략 70% 탈인산화는 여전히 화합물 2에 의해 달성되었지만, RAD001에 의해 S6K1(Thr389)의 대략 40% 탈인산화만이 달성되었다(도 5b). 이들 결과는 FKBP12의 부재 하에, 다른 FKBP 상동체(들)는 화합물 2의 효능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S6K1(Thr389)의 인산화된 양을 측정함으로써 5가지 FKBP: FKBP12/12.6/13/52/51을 결여하는 293T 세포에서 화합물 2 및 RAD001의 저해 효과(효능)를 평가하였다(도 5c). 이들 세포에서, RAD001은 이의 효능을 거의 모두 상실하는 한편, 화합물 2는 S6K1(Thr389)을 저해하는 데 효능이 있었고(도 5c): 가장 높은 시험 농도에서, 화합물 2는 S6K1(Thr389)을 대략 90% 만큼 저해하였다(도 5c). 이 결과는 FKBP12/12.6/13/52/51의 부재 하에, 화합물 2의 약학적 효과가 다른 FKBP 상동체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FKBP12/12.6/13/51/52의 부재 하에 화합물 2의 저해 효과를 초래하는 FKBP 상동체를 확인하기 위해, S6K1(Thr389)의 인산화된 양을 측정함으로써 FKBP12/12.6/25/52/51을 결여하는 293T 세포에서의 화합물 2 및 RAD001의 효능을 평가하였다(도 5d). 이들 세포에서, RAD001 또는 화합물 2 중 어느 것도 S6K1(Thr389)을 저해하는 데 효능이 있지 않았다(도 5d). 이 결과는 FKBP25가 다른 FKBP(FKBP 12/12.6/13/51/52) 상동체의 부재 하에서 화합물 2의 저해 효과를 매개하는 데 충분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론에 의해 구속되는 일 없이, FKBP12의 부재 하에, 다른 FKBP는 화합물 2의 저해 효과를 강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합물 2는 저수준의 FKBP12 발현 및 충분한 수준의 다른 FKBP를 갖는 세포 유형을 포함하는 RAD001에 비해 더 다양한 세포 유형을 표적화할 수 있다.
여러 실시형태의 여러 양상을 이렇게 기재하였지만, 다양한 변경, 변화, 및 개선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러한 변경, 변형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일부인 것으로 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Claims (61)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
    Figure pct00077

    [식 중,
    R1은 -ORa 및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ORb,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4는 -OR5, C1-6 알킬, C1-6할로알킬, 헤테로C1-6알킬, C1-6하이드록시알킬,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이고;
    R5는 H 또는 C1-6알킬이며;
    Ra는 H, -P(O)(Rb)2, -C(O)Rc, -C(O)ORc, C1-6알킬 및 C1-6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b는 H 및 C1-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의 Rc는 H, C1-6알킬 및 C1-6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ORa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R1은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하이드록실,
    Figure pct00078
    및 5-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OR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및 -C0-6알킬렌-SO2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하이드록실,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제1항에 있어서,
    R1은 하이드록시,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6알킬, -ORb, -C0-6알킬렌-SO2R4 및 -C(O)OR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4는 -OR5, C1-6알킬, C1-6할로알킬, 헤테로C1-6알킬, C1-6하이드록시알킬 및 C3-8사이클로알킬C0-6알킬이고; 그리고
    R5는 H 또는 C1-6알킬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 I-A 또는 I-B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A]
    Figure pct00081

    [화학식 I-B]
    Figure pct00082
    .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 I-C 또는 I-D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C]
    Figure pct00083

    [화학식 I-D]
    Figure pct00084
    .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 I-E 또는 I-F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E]
    Figure pct00085

    [화학식 I-F]
    Figure pct00086
    .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Figure pct00089

    Figure pct00090

    Figure pct00091

    Figure pct00092

    Figure pct00093

    Figure pct00094

    Figure pct00095

    Figure pct00096

    Figure pct00097

    Figure pct00098

    Figure pct00099

    Figure pct00100

    Figure pct00101
  13.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4.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1종 이상의 치료적 활성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합물.
  15. mTOR 경로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의 이러한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대상체에서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질환 또는 장애의 병리와 연관된 표적 조직, 세포 또는 기관은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한 FKBP12 수준을 갖고, 상기 방법은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에 비해, FKBP12,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에 대해 보다 높은 친화도 결합을 갖는,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mTORC1을 저해하는 데 충분한 FKBP12,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에 대한 높은 친화도 결합을 갖는,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효능은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과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방법.
  20.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한 FKBP12 수준을 갖거나 갖는 것으로 결정된 대상체에서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에 비해, FKBP12, FKBP25, FKBP51 및/또는 FKBP52에 대해 보다 높은 친화도 결합을 갖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mTORC1을 저해하는 데 불충분한 표적 조직, 기관 또는 세포에서 FKBP12 수준을 갖거나, 갖는 것으로 결정된,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효능은 라파마이신 또는 RAD001과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방법.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또는 장애는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II형 당뇨병(당뇨병으로부터 생기는 합병증, 예컨대 신부전, 실명 및 신경병증을 포함함)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5.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는 간 섬유증인, 방법.
  26.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은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 급성 또는 만성 기관 또는 조직 이식 거부;
    - 이식 혈관염;
    - 혈관내막 비후, 혈관 폐색, 폐쇄성 관상동맥 죽상동맥경화증, 재협착증을 야기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 및 이동;
    -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병태;
    - 천식;
    - 다제내성(MDR);
    - 진균 감염;
    - 염증;
    - 감염;
    - 연령-관련 질환;
    - 신경퇴행성 질환;
    - 암;
    - 발작 및 발작 관련 장애; 및
    -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는 섬유증 및/또는 염증 과정을 포함하는 장애인,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는 간 및 신장 장애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간 장애는 말기 간 질환에서 생기는 간 섬유증; 간경변증; 독성으로 인한 간부전; 비알코올-연관 간 지방증 또는 NASH; 및 알코올-연관 지방증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애는 신장 섬유증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섬유증은 급성 신장 손상의 결과로서 생기는,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애는 만성 신장 장애인, 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애는 당뇨병성 신증인, 방법.
  34. 연령-관련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의 이러한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은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II형 당뇨병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5. 암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의 암 치료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PD-1/PDL-1 저해제를 더 포함하는, 암 치료 방법.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신장암, 신세포암종, 결장직장암, 자궁 육종, 자궁내막 자궁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위암, 섬유육종, 췌장암, 간암, 흑색종,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비인두암, 전립선암, 폐암, 교모세포종, 방광암, 중피종, 두부암, 횡문근육종, 육종, 림프종 및 경부암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8.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
  39. mTOR 경로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
  40.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
    - 급성 또는 만성 기관 또는 조직 이식 거부;
    - 이식 혈관염;
    - 혈관내막 비후, 혈관 폐색, 폐쇄성 관상동맥 죽상동맥경화증, 재협착증을 야기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 및 이동;
    -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병태;
    - 천식;
    - 다제내성(MDR);
    - 진균 감염;
    - 염증;
    - 감염;
    - 연령-관련 질환;
    - 신경퇴행성 질환;
    - 암;
    - 발작 및 발작 관련 장애; 및
    -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41. 섬유증 또는 염증 과정을 포함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는 간 및 신장 장애로부터 선택되는, 용도를 위한 화합물.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간 장애는 말기 간 질환에서 생기는 간 섬유증; 간경변증; 독성으로 인한 간부전; 비알코올-연관 간 지방증 또는 NASH; 및 알코올-연관 지방증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를 위한 화합물.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애는 급성 신장 손상의 결과로서 생기는 신장 섬유증인, 용도를 위한 화합물.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애는 만성 신장 장애인, 용도를 위한 화합물.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애는 당뇨병성 신증인, 용도를 위한 화합물.
  47.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II형 당뇨병으로부터 선택되는 연령-관련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
  48. 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
  49. 신장암, 신세포암종, 결장직장암, 자궁 육종, 자궁내막 자궁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위암, 섬유육종, 췌장암, 간암, 흑색종,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비인두암, 전립선암, 폐암, 교모세포종, 방광암, 중피종, 두부암, 횡문근육종, 육종, 림프종 또는 경부암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
  50.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의 용도.
  51. mTOR 경로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의 용도.
  52.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의 용도:
    - 급성 또는 만성 기관 또는 조직 이식 거부;
    - 이식 혈관염;
    - 혈관내막 비후, 혈관 폐색, 폐쇄성 관상동맥 죽상동맥경화증, 재협착증을 야기하는 평활근 세포 증식 및 이동;
    - 자가면역 질환 및 염증성 병태;
    - 천식;
    - 다제내성(MDR);
    - 진균 감염;
    - 염증;
    - 감염;
    - 연령-관련 질환;
    - 신경퇴행성 질환;
    - 암;
    - 발작 및 발작 관련 장애; 및
    - 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및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53. 섬유증 또는 염증 과정을 포함하는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의 용도.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는 간 및 신장 장애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간 장애는 말기 간 질환에서 생기는 간 섬유증; 간경변증; 독성으로 인한 간부전; 비알코올-연관 간 지방증 또는 NASH; 및 알코올-연관 지방증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애는 급성 신장 손상의 결과로서 생기는 신장 섬유증인, 용도.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애는 만성 신장 장애인, 용도.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장애는 당뇨병성 신증인, 용도.
  59. 근육감소증, 피부 위축, 버찌혈관종, 지루각화증, 뇌위축,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폐기종, 골다공증, 골관절염, 고혈압, 발기부전,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뇌졸중, 뇌혈관질환(뇌졸중), 만성 신장병, 당뇨병-연관 신장병, 손상된 간 기능, 간 섬유증, 자가면역 간염, 자궁내막 증식증, 대사기능장애, 신혈관 질환, 청력손실, 운동성 장애, 인지력 감퇴, 힘줄 강직, 심장 기능장애, 예컨대 심비대 및/또는 수축기 및/또는 확장기 기능장애 및/또는 고혈압, 박출률의 감소를 초래하는 심장 기능장애, 면역성 노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암, 면역감시의 감소로 인해 암을 유발하는 면역노화, 면역기능의 감소로 인한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비만, 미각 상실, 후각 상실, 관절염, 및 II형 당뇨병으로부터 선택되는 연령-관련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의 용도.
  60. 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의 용도.
  61. 신장암, 신세포암종, 결장직장암, 자궁 육종, 자궁내막 자궁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위암, 섬유육종, 췌장암, 간암, 흑색종,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비인두암, 전립선암, 폐암, 교모세포종, 방광암, 중피종, 두부암, 횡문근육종, 육종, 림프종 또는 경부암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3항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14항의 약제학적 조합물의 용도.
KR1020217022532A 2018-12-18 2019-12-17 라파마이신 유도체 KR20210105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81242P 2018-12-18 2018-12-18
US62/781,242 2018-12-18
PCT/IB2019/060957 WO2020128861A1 (en) 2018-12-18 2019-12-17 Rapamycin derivati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397A true KR20210105397A (ko) 2021-08-26

Family

ID=6916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532A KR20210105397A (ko) 2018-12-18 2019-12-17 라파마이신 유도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064185A1 (ko)
EP (1) EP3898637A1 (ko)
JP (1) JP2022514254A (ko)
KR (1) KR20210105397A (ko)
CN (1) CN113260619A (ko)
AU (1) AU2019409366B2 (ko)
BR (1) BR112021011325A2 (ko)
CA (1) CA3122922A1 (ko)
MX (1) MX2021007247A (ko)
WO (1) WO2020128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3946B1 (en) 2018-06-15 2024-05-22 Janssen Pharmaceutica NV Rapamycin analogs and uses thereof
BR112021014479A2 (pt) 2019-01-22 2021-10-13 Aeovian Pharmaceuticals, Inc. Moduladores de mtorc e seus usos
BR112022010754A2 (pt) 2019-12-05 2022-08-23 Anakuria Therapeutics Inc Análogos de rapamicina e usos dos mesmos
CN115776907A (zh) 2020-03-27 2023-03-10 艾奥维安制药公司 Mtorc1调节剂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737247B (en) 1972-09-29 1975-04-30 Ayerst Mckenna & Harrison Rapamycin and process of preparation
CA2219080A1 (en) * 1995-06-07 1996-12-27 Ariad Gene Therapeutics, Inc. Rapamycin-based regulation of biological events
CA2257803C (en) * 1996-07-12 2008-12-02 Ariad Pharmaceuticals, Inc. Non immunosuppressive antifungal rapalogs
EP1212331B1 (en) 1999-08-24 2004-04-21 Ariad Gene Therapeutics, Inc. 28-epirapalogs
GB0601406D0 (en) 2006-01-24 2006-03-08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EP2793893A4 (en) 2011-11-23 2015-07-08 Intellikine Llc IMPROVED TREATMENT REGIMES USING MTOR INHIBITORS
US10683308B2 (en) * 2015-09-11 2020-06-16 Navitor Pharmaceuticals, Inc. Rapamycin analog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22922A1 (en) 2020-06-25
AU2019409366B2 (en) 2022-10-27
BR112021011325A2 (pt) 2021-11-16
CN113260619A (zh) 2021-08-13
JP2022514254A (ja) 2022-02-10
MX2021007247A (es) 2021-07-15
EP3898637A1 (en) 2021-10-27
AU2019409366A1 (en) 2021-06-10
WO2020128861A1 (en) 2020-06-25
US20220064185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7999B1 (en) Rapamycin derivatives
AU2019409366B2 (en) Rapamycin derivatives
AU2015337607B2 (en) Substituted dihydropyrrolopyrazole compound
US11603377B2 (en) MTORC1 modulators and uses thereof
EP3947392B1 (en) Isothiazolidine 1,1-dioxide and 1,4-butan sultone containing rapamycin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CN117843659A (zh) 雷帕霉素类似物和其用途
EP4185590A2 (en) Mtorc1 modulators and uses thereof
EP4089102A1 (en) Modulators of sortilin activity
RU2807188C2 (ru) Производные рапамицин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