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899A - 전송 모드 선택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송 모드 선택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899A
KR20210104899A KR1020217023983A KR20217023983A KR20210104899A KR 20210104899 A KR20210104899 A KR 20210104899A KR 1020217023983 A KR1020217023983 A KR 1020217023983A KR 20217023983 A KR20217023983 A KR 20217023983A KR 20210104899 A KR20210104899 A KR 2021010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dicatio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transmiss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323B1 (ko
Inventor
빈 수
젠젠 카오
빙자오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6Go-back-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5Adaptation of specific ARQ protocol parameters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송 모드 선택 방법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하거나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됨 - 와,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송 모드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PDCP 복제를 위한 복수의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전송 모드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복제에 대한 모드의 신뢰성이 높지 않을 때, 제 1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전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이 최대한 충족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서비스의 전송 품질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전송 모드 선택 방법 및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9년 1월 3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TRANSMISSION MODE SELECTION METHOD AND DEVICE"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910005020.0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중국 출원은 그 전체가 본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 모드 선택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의 복제(duplication) 기능이 5세대 이동 통신 기술(5th generation, 5G) 시스템에 도입되었다. PDCP 계층에서의 복제는 보통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 패킷이 복제되어 두 개의 동일한 패킷(즉, 반복되는 패킷)을 획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에,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은 전송을 위해 두 개의 상이한 라디오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에 별도로 전달된 다음, 다른 논리 채널을 통해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으로 전송된다.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MAC 계층으로 전송되는 원본 데이터 패킷과 복제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U)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없다. 이것은 상이한 MAC PDU가 전송을 위해 사용될 때만, MAC PDU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이 다른 MAC PDU의 데이터 패킷이 손실될 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즉, 신뢰성이 두 배로 된다. 그러므로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은 상이한 논리 채널을 통해 상이한 MAC PDU에 배치되고, 최종적으로 상이한 캐리어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CP 계층에서의 복제는 두 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는 PDCP 계층에서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on, DC) 복제이고, 다른 하나는 PDCP 계층에서의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복제이다.
DC 아키텍처에서,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두 개의 기지국과 통신한다. PDCP에서의 DC 복제 기능이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구성되면, PDCP 계층은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두 개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은 상이한 RLC 엔티티로 전송되어, 상이한 논리 채널을 통해 상이한 MAC 엔티티로 전송된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MAC PDU가 형성되어 상이한 캐리어에서 전송된다.
CA 아키텍처에서,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되며,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를 서비스할 하나를 초과하는 캐리어를 가지고 있다. 라디오 베어러가 CA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 기능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PDCP 계층은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두 개의 복사본을 획득하며,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은 두 개의 RLC 엔티티로 전송된다. MAC 계층에서 패킷 조립 동안,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은 패킷 조립을 위해 상이한 MAC PDU에 배치되고, 최종적으로는 상이한 캐리어에서 전송된다.
현재, 5G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PDCP에서의 CA 복제 또는 PDCP에서의 DC 복제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라디오 채널의 동적 변경으로 인해, 기존의 PDCP에서의 CA 복제 또는 PDCP에서의 DC 복제는 일부 기간 내에 일부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가능한 한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제 1 전송 모드 선택 방법이 제공되고, 여기서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하거나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됨 - 와,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데이터 패킷의 F 개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방법은 제 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방법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구현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는 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송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즉, PDCP 복제를 위한 복수의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전송 모드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복제에 대한 모드의 신뢰성이 높지 않을 때,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전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이 최대한 충족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서비스의 전송 품질을 개선한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표시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전술한 5 개의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복제에 대한 모드의 신뢰성이 높지 않을 때,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를 다른 전송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이 최대한 충족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서비스의 전송 품질을 개선한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제 2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그래서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이 어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시그널링(configuration signaling)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모드로 진입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 또는 다른 방식이 사용되어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split transmission mode)를 사용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여기서 분할 전송 모드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data volume threshold)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이다.
제 5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에서 복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필요가 없지만,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여전히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이 어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될 것인지를 또한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제 5 모드로 진입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 또는 다른 방식이 사용되어 단말 디바이스가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5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논리 채널 또는 복수의 RLC 엔티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 5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패킷을 하나의 논리 채널 또는 하나의 RLC 엔티티만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으며,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제 5 모드로 진입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1 논리 채널이 있을 수 있다. 제 1 논리 채널의 수량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량과 동일하며, 제 1 RLC 엔티티의 수량과도 동일하다. 제 1 표시 정보 또는 다른 방식이 사용되어 단말 디바이스에게,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5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할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가 사용되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택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 또는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데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 2 모드에서,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논리 채널 또는 복수의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모드를 종료하면,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는 전송 모드를 제 2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고, 다른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에서의 복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는 전송 모드를 제 2 모드로부터 제 5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한다. 제 5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논리 채널 또는 하나의 RLC 엔티티만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해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데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해야 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 또는 제 2 표시 정보가 표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데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가 아닐 때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 1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전환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다른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일부에만 송신할 수 있고, 그래서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이 송신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제 1 표시 정보 또는 제 2 표시 정보는 표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으며,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제 2 전송 모드 선택 방법이 제공되고, 여기서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하거나 제 1 표시 정보를 변경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데이터 패킷의 F 개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방법은 제 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2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 또는 방법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구현할 때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는 칩일 수 있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는 단계와,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일 때,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분할 전송 모드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이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후에, 방법은,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은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을 때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상일 때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분할 전송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만 전송해야 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상호 작용을 줄여 주고, 더 많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부하를 줄여 준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상대적으로 크면,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므로,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 패킷은 최대 범위까지 적시에 전송될 수 있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될 때,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논리 채널 및/또는 제 1 무선 링크 제어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결정하는 단계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제 1 표시 정보가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할 때,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결정하는 단계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일 때,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될 때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제 1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제 1 통신 장치이다. 통신 장치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예를 들어, 서로 결합된 처리 모듈과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처리 모듈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하거나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송수신기 모듈은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표시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여기서
분할 전송 모드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이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무선 링크 제어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제 1 표시 정보가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할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제 3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가 아닐 때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제 2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제 2 통신 장치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예를 들어, 서로 결합된 처리 모듈과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송수신기 모듈은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모듈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 및/또는 전송 모드를 변경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모듈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인,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 및 전송 모드를 변경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처리 모듈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일 때, 처리 모듈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거나, 또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분할 전송 모드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이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모듈은 또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한 후에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은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을 때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또는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상일 때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모듈이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할 때, 처리 모듈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논리 채널 및/또는 제 1 무선 링크 제어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제 1 표시 정보가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할 때, 처리 모듈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모듈이,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처리 모듈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모듈이,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일 때, 처리 모듈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될 때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제 3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제 1 통신 장치이다. 통신 장치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이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안테나, 피더, 코덱 등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가 통신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이면, 송수신기는 예를 들어, 칩 내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디바이스 내 라디오 주파수 송수신기 컴포넌트에 연결되어, 라디오 주파수 송수신기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제 4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제 2 통신 장치이다. 통신 장치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이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는 통신 디바이스의 안테나, 코덱 등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가 통신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이면, 송수신기는 예를 들어, 칩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디바이스의 라디오 주파수 송수신기 컴포넌트에 연결되어, 라디오 주파수 송수신기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제 5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 설계에서의 제 1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이다. 통신 장치는, 컴퓨터 실행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제 5 통신 장치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5 통신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송수신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안테나, 피더 및 코덱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대안적으로, 제 5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이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칩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입력/출력 핀일 수 있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제 6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 설계에서의 제 2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이다. 통신 장치는, 컴퓨터 실행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제 6 통신 장치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6 통신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송수신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안테나 및 코덱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대안적으로, 제 6 통신 장치가 단말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이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칩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입력/출력 핀일 수 있다.
제 9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신 시스템은 제 3 양태에 따른 제 1 통신 장치, 제 5 양태에 따른 제 3 통신 장치 또는 제 7 양태에 따른 제 5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제 4 양태에 따른 제 2 통신 장치, 제 6 양태에 따른 제 4 통신 장치 또는 제 8 양태에 따른 제 6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0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1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2 양태에 따르면,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3 양태에 따르면,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송 모드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복제에 대한 모드의 신뢰성이 높지 않을 때,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전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이 최대한 충족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서비스의 전송 품질을 개선한다.
도 1은 DC 시나리오에서 PDCP 계층에서 복제 프로세스의 구현과 관련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2는 CA 시나리오에서 PDCP 계층에서 복제 프로세스의 구현과 관련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 디바이스의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또 다른 개략적 블록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장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에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추가 설명한다.
다음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일부 용어를 설명한다.
(1) 단말 디바이스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무선 연결 기능이 있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하고, RAN과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무선 단말 디바이스, 이동 단말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원격국(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cellular)” 전화로 지칭됨), 이동 단말 디바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또는 휴대용, 포켓 사이즈,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 탑재 이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PCS)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과 같은 디바이스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한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전력 소비가 적은 디바이스, 저장 역량이 제한된 디바이스, 컴퓨팅 역량이 제한된 디바이스 등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정보 감지 디바이스, 예를 들어, 바코드, 라디오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센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또는 레이저 스캐너일 수 있다.
제한이라기 보다는 예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지능형 디바이스, 지능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웨어러블 기술을 적용하여 안경, 장갑, 시계, 의류 및 신발과 같은 데일리 웨어(daily wear)를 지능적으로 설계함으로써 개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몸에 직접 착용하거나 사용자의 의류 또는 액세서리에 통합된 휴대용 디바이스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일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지원, 데이터 교환 및 클라우드 상호 작용을 통해 강력한 기능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넓은 의미에서, 웨어러블 지능형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또는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능을 갖춘 대형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안경, 및 한 가지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고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면, 물리적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스마트 밴드, 스마트 헬멧 또는 스마트 보석과 함께 작업해야 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AN)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를 들어, 기지국(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거쳐 하나 이상의 셀을 통해 무선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되는 무선 프레임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패킷을 상호 변환하고, 단말 디바이스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서 라우터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은 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또는 LTE 어드밴스드(LTE-Advanced, LTE-A) 시스템의 진화된 NodeB(NodeB, eNB 또는 e-NodeB, 진화형(evolutional) NodeB)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5세대 이동 통신 기술(the fifth generation, 5G)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의 차세대 NodeB(next generation nodeB, gNB)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클라우드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RAN) 시스템의 중앙 집중식 유닛(centralized unit, CU) 및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3)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DC)은 단말 디바이스가 두 개의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두 개의 기지국은 동일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의 기지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다 LTE 시스템의 기지국이거나 또는 둘 다 NR 시스템의 기지국이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두 기지국은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의 기지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는 LTE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다른 하나는 NR 시스템의 기지국이다.
(4)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CA 기술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가 집성되어, 더 큰 전송 대역폭을 실현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레이트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5)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에서 복제는 PDCP 엔티티가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별도로 상이한 RLC 엔티티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다음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은 논리 채널을 통해 RLC 계층으로부터 MAC 계층으로 전송된다.
(6)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복수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 간의 연관 관계를 서술하며 세 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 A와 B 둘 모두 존재, B만 존재하며, 여기서 A와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문자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객체 간의 "또는"이라는 관계를 나타낸다.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조각)" 또는 이것의 유사한 표현은 단일 항목(조각) 또는 복수의 항목(조각)의 조합을 비롯한 이러한 항목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조각)은, a, b, c, a-b, a-c, b-c 또는 a-b-c를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a, b, c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와 같은 서수는 복수의 객체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지만, 복수의 객체의 순서, 시간 순서,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 및 제 2 표시 정보는 단지 상이한 표시 정보 사이를 구별하려 의도될 뿐이지, 두 개의 유형의 표시 정보가 우선순위, 송신 순서, 중요도 등이 상이하다는 것을 표시하지는 않는다.
전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부 개념을 설명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PDCP 계층에서의 복제는 보통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 패킷이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복수의 동일한 패킷(즉, 반복되는 패킷)을 획득하거나, 또는 복제되어 복수의 복사본을 획득하는 것을 말하며, 그런 다음, 복수의 데이터 패킷은 전송을 위해 별도로 복수의 상이한 RLC 엔티티로 전달되고, 그 다음에 복수의 데이터 패킷은 상이한 논리 채널을 통해 MAC 계층으로 전송된다. 논리 채널은 RLC 계층과 MAC 계층 사이의 채널이다. 재전송(retransmission)은 일반적으로 전송을 다시 수행(재전송)하는 것으로 언급되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복제는 재전송이 아니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재송신(re-sending)은 송신 실패 후에 동일한 데이터 패킷을 다시 보내는 것 또는 동일한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연속 시간 동안 보내는 것을 말한다. 복제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이 복제되어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고,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이 두 개의 논리 채널을 통해 별도로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복제"는 "반복(replication)"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MAC 계층으로 전송되는 원본 패킷 및 복제 패킷은 동일한 MAC PDU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없다. 이것은 전송을 위해 상이한 MAC PDU가 사용될 때만 PDU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이 다른 PDU의 데이터 패킷이 손실될 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즉, 신뢰성이 두 배로 된다.
다음에는 DC 시나리오 및 CA 시나리오에서 각각 DC 아키텍처에서의 PDCP 복제 및 CA 아키텍처에서의 PDCP 복제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DC 시나리오에서 PDCP 계층에서 복제 프로세스의 구현과 관련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기지국의 경우, DC 시나리오에는 마스터 기지국과 보조 기지국이 연루된다.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마스터 기지국 및 보조 기지국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도 1에 도시된다.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터 기지국의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보조 기지국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포함한다, 즉, 라디오 베어러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PDCP 엔티티, 두 개의 RLC 엔티티 및 두 개의 MAC 엔티티를 포함한다. 도 1에서 각각의 보안(security), 복제(duplication), 세그먼트(segment), 자동 반복 요청(automatic repeat-request, ARQ), 멀티플렉싱(multiplexing),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강력한 헤더 압축(robust header compression, ROHC) 등은 PDCP 엔티티, RLC 엔티티 또는 MAC 엔티티를 대표하는 기능이다. PDCP 엔티티와 PDCP 계층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RLC 엔티티와 RLC 계층도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MAC 엔티티와 MAC 계층도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서 원은 상이한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 및/또는 채널을 나타낸다. 인터페이스는 계층 간 인터페이스(inter-layer interface), 예를 들어,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ervice access point, SAP)로 지칭되며, 채널은 예를 들어, 논리 채널이다. 동일한 내용이 아래에 적용되며, 자세한 내용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은 아키텍처의 예일 뿐이고, 도면의 각각의 컴포넌트가 실시예에서 반드시 필수적인 컴포넌트는 아니다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보안 모듈은 생략될 수 있다.
DC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두 개의 기지국, 즉, 마스터 기지국 및 보조 기지국에 연결된다.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PDCP에서의 복제 기능이 구성되면, PDCP 계층에서 복제를 통해 획득된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은 두 개의 상이한 RLC 엔티티로 전송되고, 상이한 논리 채널을 통해 상이한 MAC 엔티티로 전송된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MAC PDU가 형성되어 상이한 캐리어에서 전송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하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기지국의 경우, 마스터 기지국 또는 보조 기지국의 PDCP 엔티티는 두 개의 복제 데이터 패킷을 두 개의 상이한 RLC 엔티티로 전송하고, 두 개의 RLC 엔티티는 각자 마스터 기지국 및 보조 기지국에 위치한다. 그 다음에, 마스터 기지국의 RLC 엔티티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마스터 기지국의 MAC 엔티티로 전송하고, 보조 기지국의 RCL 엔티티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보조 기지국의 MAC 엔티티로 전송한다. 두 개의 MAC 엔티티는 데이터 패킷을 각자의 캐리어에서 전송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경우, 두 개의 RCL 엔티티와 두 개의 MAC 엔티티는 둘 모두 단말 디바이스 내에 위치한다. 다른 프로세스는 동일하다.
도 2는 CA 시나리오에서 PDCP 계층에서 복제 프로세스의 구현과 관련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 CA 시나리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된다.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마스터 기지국 및 보조 기지국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도 2에 도시된다. 다시 말해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기지국과 단말 디바이스는 둘 모두 하나의 PDCP 엔티티, 두 개의 RLC 엔티티, 두 개의 MAC 엔티티를 포함한다. 도 2의 각각의 보안, 복제, 세그먼트, ARQ, 멀티플렉싱, HARQ, ROHC 등은 PDCP 엔티티, RLC 엔티티, MAC 엔티티를 대표하는 기능이다.
CA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되며, 기지국은 단말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하나 초과의 캐리어를 가지고 있다. PDCP에서의 복제 기능이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PDCP 계층에서 복제를 통해 획득된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은 두 개의 상이한 RLC 엔티티로 전송된다. 두 개의 RLC 엔티티는 상이한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을 동일한 MAC 엔티티로 전송한다. 이 경우,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MAC 엔티티로 전송되기 때문에, MAC 엔티티는 전송을 위해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MAC PDU에 배치한다. 그러므로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을 두 개의 MAC PDU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라미터, 예를 들어, 파라미터 A가 논리 채널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파라미터 A의 값은 상이한 캐리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어, 두 개의 데이터 패킷이 최종적으로 상이한 캐리어에서 전송될 두 개의 MAC PDU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A가 논리 채널에 대해 구성되면, 논리 채널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의 데이터는 파라미터 A에 의해 표시되는 캐리어에서만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복제 논리 채널에 대해 구성된 파라미터 A가 상이한 캐리어를 표시하면, 두 개의 복제 데이터 패킷은 최종적으로 상이한 캐리어에서 전송되므로,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현재 5G 시스템에서, CA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 또는 DC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만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CA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의 경우,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최대 두 개의 레그(leg)만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최대 두 개의 논리 채널이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DC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의 경우,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최대 두 개의 레그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CA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 또는 기존 DC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는 일부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기지국과 통신하는 모든 캐리어의 품질이 매우 열악하면,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의 전송 신뢰성은 보장될 수 없다. 대안적으로, DC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두 개의 기지국 중 하나와 통신하는 모든 캐리어의 품질이 매우 열악하면,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의 전송 신뢰성 역시 보장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이 제공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송 모드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PDCP 복제를 위한 복수의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전송 모드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복제에 대한 모드의 신뢰성이 높지 않을 때,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전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이 최대한 충족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전송 서비스 품질을 개선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에서,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2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1은 단말 디바이스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2는 단말 디바이스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은 단말 디바이스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2는 단말 디바이스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둘 모두 기지국이면,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마스터 gNB(master gNB)이고,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보조 gNB(secondary gNB)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1은 진화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지상 라디오 액세스(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시스템에서 작동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2는 NR 시스템에서 작동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 1은 NR 시스템에서 작동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2는 E-UTRA 시스템에서 작동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 1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2는 둘 모두 NR 시스템 또는 E-UTRA 시스템에서 작동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단말 디바이스는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단지 하나의 예로 사용될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세 개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량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시스템에서의 상이한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4세대 이동 통신 기술(the 4th generation, 4G) 시스템의 eNB에 대응할 수 있고, 5G 시스템의 5G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솔루션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다음의 설명 프로세스에서, 방법이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적용되는 예가 사용된다. 또한, 방법은 두 개의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두 개의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제 1 통신 장치 및 제 2 통신 장치이다. 제 1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방법에 요구되는 기능을 구현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 1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방법에 요구되는 기능을 구현할 때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물론 제 1 통신 장치는 대안적으로 다른 통신 장치, 예를 들어, 칩 시스템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방법에 요구되는 기능을 구현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제 2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방법에 요구되는 기능을 구현할 때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물론 제 2 통신 장치는 대안적으로 다른 통신 장치, 예를 들어, 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 장치와 제 2 통신 장치의 구현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 2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제 1 통신 장치와 제 2 통신 장치는 둘 모두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제 1 통신 장치와 제 2 통신 장치는 둘 모두 단말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제 1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 2 통신 장치는 방법에 요구되는 기능을 구현할 때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이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다음에는 방법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예, 즉, 제 1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 2 통신 장치가 단말 디바이스인 예를 사용한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적용되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구현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1일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2일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단말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S4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하거나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S4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S43).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 및/또는 제 1 표시 정보를 변경하도록 결정한다.
(S41)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이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S4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이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표시 정보는 라디오 베어러의 초기 전송 모드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베어러가 구성될 때, 전송 모드는 제 1 포시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되며, 제 1 표시 정보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시그널링에서 반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는 전송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송 모드에 관한 특정 정보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는 대응하는 전송 모드의 식별자(예를 들어, 아이덴티티(ID) 또는 시퀀스 번호)를 반송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로서 프로토콜에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정보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표시 정보는 ID 대신에 대응하는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직접 반송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전송 모드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이전에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어떤 전송 모드도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 1 표시 정보는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 있고, 변경 전에는 어떤 전송 모드도 없다는 것이 간주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표시 정보는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전송 모드가 사용될 때 라디오 베어러의 전송 모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것은 전송 모드를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라디오 베어러가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는 특정 전송 모드로 전송 중이다. 전송 모드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변경되어, 데이터를 다른 전송 모드에서 계속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송 모드에 관한 특정 정보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는 대응하는 전송 모드의 식별자(예를 들어, ID 또는 시퀀스 번호)를 반송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로서 프로토콜에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정보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표시 정보는 ID 대신에 대응하는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직접 반송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전송 모드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의 ID를 라디오 베어러의 현재 전송 모드의 ID와 매칭시킬 수 있거나 또는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를 라디오 베어러의 현재 전송 모드에 관한 정보와 매칭시킬 수 있다. 두 개의 ID 또는 두 조각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가 실제로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 있다는 것, 즉, 단말 디바이스가 전송 모드를 변경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표시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게 된다. 대안적으로, 제 1 표시 정보는 단지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할 수 있지만,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총 두 개의 전송 모드가 있을 때, 이 경우가 더 적합하다. 두 개의 전송 모드 중 하나는 현재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사용되고 있으며, 만일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가 변경되어야 한다고 표시하면, 이것은 전송 모드가 두 개의 전송 모드 중 다른 하나로 변경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는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기 위해 1비트(bit)만 사용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신호 오버헤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대안적으로, 제 1 표시 정보는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모드를 다른 전송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전송 모드가 무엇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방식은 더 명확하다. 전송 모드를 변경하는 것은 또한 상이한 시나리오에서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 및/또는 전송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 1 표시 정보의 표시 방식 및 이름은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는 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에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하나가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상호 작용이 완료된 후에, 단말 디바이스가 전송 모드로 진입해야 하는 것이 결정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하나가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에 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으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적어도 두 개가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로 상호 작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별도로 결정을 내린다.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적어도 두 개가 단말 디바이스가 전송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두 조각의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로 상호 작용하지는 않지만,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결정 결과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적어도 두 개는 둘 모두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모드로 진입할 것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 조각의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는 하지만, 혼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분명, 단말 디바이스가 복수 조각의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이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가 상이하다면, 예를 들어, 한 조각의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이고, 다른 조각의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는 제 2 모드이면,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지 않도록 선택하거나 또는 최근에 수신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또는 사전에 명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시 정보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절차, 작동 모드 등이라고도 하는, 복수의 전송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방식, 단계 또는 절차를 설명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방식, 단계, 또는 절차는 반드시 명명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상이한 전송 절차에 의해서만 구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는 복수의 전송 모드를 제공한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등으로 명명된다. 전송 모드는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전송 모드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복제에 대한 모드의 신뢰성이 높지 않을 때,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전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이 최대한 충족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전송 서비스 품질을 개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송 모드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드: 데이터 패킷이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이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며,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제 2 모드: 데이터 패킷이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이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이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며,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다.
제 3 모드: 데이터 패킷이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이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이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이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며,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다.
제 4 모드: 데이터 패킷이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이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다.
제 5 모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가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할 때, 표시 방식에서, 제 1 표시 정보는 제 6 모드가 제 7 모드로 변경되고 변경된 모드가 제 7 모드라는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 제 6 모드는 전술한 5 개의 전송 모드 중 하나일 수 있고, 제 7 모드는 전술한 5 개의 전송 모드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제 6 모드는 제 7 모드와 상이하다. 대안적으로, 제 6 모드는 전술한 5 개의 전송 모드 중 하나이고, 제 7 모드는 전술한 5 개의 전송 모드에 속하지 않는 다른 전송 모드이다. 대안적으로, 제 6 모드는 전술한 5 개의 전송 모드에 속하지 않는 다른 전송 모드이고, 제 7 모드는 전술한 5 개의 전송 모드 중 하나이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송 모드는 비교적 유연하게 변경되고, 전술한 5 개의 전송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5 개의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와 다른 가능한 전송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표시 정보가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할 때, 다른 표시 방식에서, 제 1 표시 정보는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표시한다. 이 경우, 변경 전의 전송 모드(또는 현재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일 수 있거나 또는 5 개의 전송 모드에 속하지 않는 다른 전송 모드일 수 있다.
제 1 모드는 다중 연결성(multi-connectivity, MC) 복제 모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송되며,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DC 복제 모드는 MC 복제 모드의 특수한 경우이다. DC 복제 모드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가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송되며,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일부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는 3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3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 1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PDCP 계층에서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3 개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3 개의 복사본을 3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의 복사본을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3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 1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PDCP 계층에서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두 개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두 개의 복사본을 3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의 복사본을 전송한다. 3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나머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제 1 모드가 사용되어야 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되어 있고 제 1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거나 또는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지할 수 있다. 이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MC 복제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PDCP 복제는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PDCP 복제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복수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의 경우, 복수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또는 복수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이 경우,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에서 주 경로(primary path) 또는 주 논리 채널(또는 주 레그(primary leg))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사용될 주 논리 채널 또는 주 RLC 엔티티를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논리 채널 중 임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RLC 엔티티의 주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송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RLC 엔티티 중 임의의 엔티티를 사용하여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송에 사용되는 논리 채널(또는 RLC 엔티티)은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의,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에 대응하는, 주 논리 채널 또는 주 RLC 엔티티가 전송에 사용된다는 것이 명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표시 정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구성한다고 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을 위해, 제 2 표시 정보에서 구성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사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 2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는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주 논리 채널 또는 주 RLC 엔티티일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논리 채널(또는 RLC 엔티티)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 및 데이터 패킷이 전송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단말 디바이스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패킷이 하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될 때, 논리 채널은 단말 디바이스의 임의의 가용 캐리어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제 1 모드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각기 채널 품질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캐리어를 갖는 경우에 비교적 적합하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이다. 대안적으로,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만을 포함하고, 현재 송신 모드는 제 2 모드이다.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것은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1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 또는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2 모드로부터 제 1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 네트워크 디바이스 2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3 모두에 연결되고, 제 1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2를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은 제 1 모드가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단말 디바이스의 구현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는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여기서 하나는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다른 하나는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이한 MAC 계층을 가질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MAC 계층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별도로 전송한다. 도 5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는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의 MAC 계층인,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MAC 계층은 도 5에서 MAC 1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면, 데이터 패킷은 MAC 1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MAC 계층은 도 5에서 MAC 2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면, 데이터 패킷은 MAC 2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PDCP 계층에서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두 개의 복사본을 획득할 수 있고, 두 개의 복사본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복사본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그러나,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각각은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또는 복수의 RLC 엔티티)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또는 복수의 RLC 엔티티)을 별도로 포함한다.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도 5에서 RLC 1 및 RLC 2로서 도시된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두 개의 논리 채널(또는 두 개의 RLC 엔티티)을 가지며, 단말 디바이스는 도 5에서 RLC 3 및 RLC 4로 도시된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두 개의 논리 채널(또는 두 개의 RLC 엔티티)을 갖는다. RLC 1은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주 경로이고, RLC 3은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주 경로이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는 특정 논리 채널에 대한 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또는 특정 RLC 엔티티에 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RLC 1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표시하고, RLC 3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는 표시를 위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논리 채널(또는 RLC 엔티티)은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고, 제 1 표시 정보는 표시를 위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제 1 표시 정보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현재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이고,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제 1 표시 정보는 다른 전송 모드로 변경하도록 표시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변경된 전송 모드에서 MC 복제를 수행하지 않는다.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외에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면, 제 1 표시 정보는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P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4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P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하나 이상의 제 4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라디오 베어러의 MC 복제 모드가 비활성화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를 수행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가 아닐 때 또는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전환될 때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모드가 다른 모드로 변경되어야 하면,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를 사용하여, 제 1 모드가 다른 모드로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이 전송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상이면, 데이터 패킷은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많은 수량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송에 사용된다.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하이면, 데이터 패킷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만 전송에 사용된다.
제 2 모드는 단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CA 복제 모드, 즉,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모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라디오 베어러가 제 2 모드에 있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있으면,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은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제 2 모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고정적으로 전송한다는 것을 명시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모드로 진입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변경된 전송 모드는 제 2 모드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스스로 결정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보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캐리어 품질에 기초하여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최상의 캐리어 품질을 갖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 전송 성공률(data packet transmission success rate)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캐리어 품질을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캐리어 품질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다.
제 2 모드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채널 품질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캐리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비교적 적합하다.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복수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경우, 복수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복수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베어러의 제 2 모드는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F 개의 논리 채널을 갖는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에서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논리 채널은 데이터 패킷의 하나의 복사본을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다시 말해서,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송신되며, 여기서 각각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패킷의 하나의 복사본은 하나의 데이터 패킷이다. 또한,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2 표시 정보는 일부 모드에서 통신을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로 변경될 때, 제 2 모드에서 선택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라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제 2 표시 정보는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CA 복제를 수행할 때 데이터 패킷을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또한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변경된 전송 모드는 제 2 모드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는 제 2 모드이다. 대안적으로, 전송 모드는 제 3 모드 및 제 2 모드만을 포함하며, 현재 송신 모드는 제 3 모드이다.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것은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2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 또는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3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2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는 총 하나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하나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제 1 표시 정보는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여, 제 2 모드가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두 개의 논리 채널(또는 두 개의 RLC 엔티티), 즉, 도 5에서 RLC 1 및 RLC 2로 도시된 두 개의 논리 채널을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PDCP 계층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두 개의 복사본을 획득할 수 있고,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두 개의 복사본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의 각각의 복사본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또한,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이면,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전송 모드가 다른 전송 모드로 변경되고, 다른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가 아니라고 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변경된 전송 모드에서 CA 복제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고 표시한다. 이 경우, 전송 모드가 다른 전송 모드로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이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되어야 하면,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더 이상 CA 복제를 수행하지 않지만, 단말 디바이스는 여전히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야 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는 대응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전송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CA 복제 모드가 비활성화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거나, 또는 라디오 베어러가 구성될 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하며, 제 2 표시 정보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제 2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제 2 논리 채널은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주 논리 채널 또는 다른 논리 채널일 수 있거나, 또는 제 2 RLC 엔티티는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주 RLC 엔티티 또는 다른 RLC 엔티티일 수 있다.
제 3 모드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CA 복제 모드, 즉,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모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다시 말해서,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CA 복제를 별도로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일부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3 모드에 있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에서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할 수 있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에서 다른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유추하여, 복수의 데이터 패킷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전송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외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CA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시그널링에서 반송된 제 2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를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3 모드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지할 수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복수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경우, 복수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복수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이 경우,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다시 말해서,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송신되며, 여기서 각각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시그널링에서 반송된 제 2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를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3 모드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이것을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는 제 3 모드이다. 대안적으로, 전송 모드는 제 3 모드 및 제 1 모드만을 포함하고, 현재 송신 모드는 제 1 모드이다.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것은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1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 또는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1 모드로부터 제 3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3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는 총 하나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하나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제 1 표시 정보는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여, 제 3 모드가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두 개의 논리 채널(또는 두 개의 RLC 엔티티), 즉, 도 5에서 RLC 1 및 RLC 2로 도시된 두 개의 논리 채널을 포함한다.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두 개의 논리 채널(또는 두 개의 RLC 엔티티), 즉, 도 5에서 RLC 3 및 RLC 4로 도시된 두 개의 논리 채널을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PDCP 계층을 사용하여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두 개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두 개의 복사본을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두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의 PDCP 계층을 사용하여 라디오 베어러의 다른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두 개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두 개의 복사본을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두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패킷의 각각의 복사본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물론,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가 총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면, 제3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표시될 필요가 없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작동 모드를 선택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데이터 볼륨 임계치를 사용하여 제 2 모드 및 제3 모드로부터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볼륨 임계치는 제 2 데이터 볼륨 임계치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제 2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상이라고 결정하면, 제3 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전송은 비교적 많은 수량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제 2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하라고 결정하면, 제 2 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전송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만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4 모드는 MC 복제 모드와 CA 복제 모드의 조합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4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MC 복제를 수행할 수 있고,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각각 CA 복제를 수행할 수 있다.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일부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여기서 H는 2 이상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할 수 있다.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M 개의 논리 채널(또는 M 개의 RLC 엔티티)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M의 값은 프로토콜에서 명시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M의 값을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M의 값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시그널링에서 반송된 제 2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M의 값을 표시한다. 제 4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4 모드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지할 수 있다. 제 4 모드에서, CA 복제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한 프로토콜에서 명시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4 모드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CA 복제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지할 수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복수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경우, 복수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복수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4 모드에서 CA 복제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면,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논리 채널은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다시 말해서,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송신되며, 여기서 각각의 RLC 엔티티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4 모드에서 CA 복제를 수행하지 않고 DC 복제에만 참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면,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논리 채널 중 주 논리 채널(또는 주 레그)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논리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RLC 엔티티 중 주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또는 복수의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4 모드에서, CA 복제를 수행하지 않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4 모드일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CA 복제를 수행하지 않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의 단말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또한,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CA 복제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CA 복제를 수행하지 않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하며, 여기서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하고,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게,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CA 복제를 수행하지 않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제 1 논리 채널은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주 논리 채널 또는 다른 논리 채널일 수 있거나, 또는 제 1 RLC 엔티티는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주 RLC 엔티티 또는 다른 RLC 엔티티일 수 있다. 또한, 제 4 모드에서, CA 복제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CA 복제를 수행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을 구성한다. 대안적으로, 변경된 전송 모드는 제 4 모드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게 데이터 패킷을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를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는 제 4 모드이다. 대안적으로, 전송 모드는 제 4 모드 및 제 2 모드만을 포함하며, 현재 송신 모드는 제 2 모드이다.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것은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4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 또는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2 모드로부터 제 4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4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는 총 하나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하나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제 1 표시 정보는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여, 제 4 모드가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가 총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면, 제 4 모드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필요가 없으며(그리고 프로토콜에서 명시할 필요도 없으며), 제 4 모드는 기본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이것을 사용하여 CA 복제가 수행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는 CA 복제가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고 표시한다.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두 개의 논리 채널(또는 두 개의 RLC 엔티티), 즉, 도 5에서 RLC 1 및 RLC 2로 도시된 두 개의 논리 채널을 포함한다.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두 개의 논리 채널(또는 두 개의 RLC 엔티티), 즉, 도 5에서 RLC 3 및 RLC 4로 도시된 두 개의 논리 채널을 포함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PDCP 계층을 사용하여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4 개의 복사본을 획득할 수 있고, 4 개의 복사본을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두 개의 논리 채널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두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의 각각의 복사본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제 4 모드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일부가 CA 복제를 수행하지 않는다면, CA 복제를 수행하지 않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는 또한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가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CA 복제를 수행하도록 표시하고, RLC 3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PDCP 계층을 사용하여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복제하여 3 개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두 개의 논리 채널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LC 3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3개의 복사본을 전송하며,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또한, 제 4 모드에서 구성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PDCP 구성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구성 정보는 라디오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RLC 엔티티의 구성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RLC 엔티티의 구성 정보는 PDCP의 것과 동일한 라디오 베어러의 ID를 반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의 ID를 사용하여 PDCP를 상이한 RLC 엔티티와 연관시켜, PDCP 계층에서의 복제의 아키텍처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RLC 엔티티는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RLC 엔티티 중 적어도 두 개는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CA 기반 PDCP 복제 기능과 MC 기반 PDCP 복제 기능은 둘 다 이 모드에서 존재한다.
제 5 모드는 모든 복제가 비활성화되는 모드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가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라고 표시하는 데 사용되면, 또는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면(그리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라고 암시적으로 표시하면), 제 1 표시 정보는 라디오 베어러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그널링에서 반송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표시 정보는 대안적으로 전용 시그널링에서 반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라고 표시하는 데 사용되면 (즉, 현재 전송 모드를 제 5 모드로부터 다른 전송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면) 또는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 - 여기서 현재 전송 모드는 제 5 모드임 - 하면, 제 1 표시 정보는 라디오 베어러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그널링에서 반송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표시 정보는 전용 시그널링에서 반송될 수 있다. 라디오 베어러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그널링은 구체적으로 전체 라디오 베어러를 활성화하거나, 논리 채널을 활성화하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CA 복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 등일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가 제 5 모드가 다른 모드로 변경된다는 것을 표시하면, 또는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가 아니고 현재 모드가 제 5 모드라고 표시하는 경우, 모드가 제 1 모드로 변경되면, 제 1 표시 정보는 제 1 모드의 구현에 참여하는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또한 표시할 수 있다. 모드가 제 2 모드로 변경되면,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가 표시될 수 있다. 모드가 제3 모드로 변경되면,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또한 표시할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또한 표시할 수 있다. 모드가 제 4 모드로 변경되면,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고, CA 복제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고, 데이터 패킷을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논리 채널(RLC 엔티티)를 표시할 수 있다.
제 5 모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PDCP 계층에서 데이터 패킷을 복제할 필요가 없고, 데이터 패킷을 정상적으로 전송하기만 하면 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전송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분할 동작(split operation))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한다(전송 모드가 변경되는 것은 현재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로 변경되는 것이지만, 현재 전송 모드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에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는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단말 디바이스가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에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표시하지 않는다면, 전송 모드가 변경 후에 단말 디바이스가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는 것이 프로토콜에서 명시된다. 대안적으로, 전송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하고,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5 모드로 진입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변경된 전송 모드는 제 5 모드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에게 데이터 패킷이 전송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지할 수 있다.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5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제 5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전송 모드는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이며, 데이터 볼륨 임계치는, 예를 들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제 5 모드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데이터 볼륨 임계치를 사용하여, 제 5 모드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제 3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상이면, 제 5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전송을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량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선택된다. 이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제 3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하이면, 제 5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고,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만 전송에 사용된다. 이 경우,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제 2 데이터 볼륨 임계치 및 제3 데이터 볼륨 임계치는 동일할 수도 있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를 사용하여, 제 5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상이면, 제 5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전송을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량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사용된다.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하이면, 제 5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즉,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만 전송에 사용된다.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및 제 3 데이터 볼륨 임계치는 동일할 수도 있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전송 모드는 제 5 모드이다. 대안적으로, 전송 모드는 제 3 모드 및 제 5 모드만을 포함하며, 현재 송신 모드는 제 3 모드이다.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것은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5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 또는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제 3 모드로부터 제 5 모드로 전환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표시하면, 제 1 표시 정보 또는 제 2 표시 정보는 또한 제 5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패킷을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는 프로토콜에서 명시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할 때 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시그널링을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구성한다. 구성 시그널링은 제 2 표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으며, 제 2 표시 정보는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주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논리 채널의 수량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량과 동일하다(또는 제 1 RLC 엔티티의 수량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량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주 논리 채널 또는 주 RLC 엔티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주 논리 채널 또는 주 RLC 엔티티는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변경된 전송 모드는 제 5 모드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단말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1 논리 채널이 있을 수 있고, 제 1 논리 채널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고, 이것은 RLC 엔티티에 대해서 동일하다.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라디오 베어러는 총 하나의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하나의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제 1 표시 정보는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여, 제 5 모드가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두 개의 논리 채널(또는 두 개의 RLC 엔티티), 즉, 도 5에서 RLC 1 및 RLC 2로 도시된 두 개의 논리 채널을 포함한다.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두 개의 논리 채널(또는 두 개의 RLC 엔티티), 즉, 도 5에서 RLC 3 및 RLC 4로 도시된 두 개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데이터 패킷이 RLC 1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데이터 패킷이 RLC 3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보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PDCP 계층을 사용하여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 패킷을 복제하여 두 개의 복사본을 획득할 수 있고, 두 개의 복사본을 RLC 1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및 RLC 3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마스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의 각각의 복사본은 하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제 1 표시 정보가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하면,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5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5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제 5 모드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제 1 표시 정보가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하면,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가 구성 시그널링에서 반송된 제 2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사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면, 제 1 표시 정보는 대응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할 필요가 없다. 제 5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5 모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사용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면, 제 2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는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주 논리 채널 또는 주 RLC 엔티티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PDCP 계층에서 복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송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즉, PDCP 복제를 위한 복수의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전송 모드는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복제에 대한 모드의 신뢰성이 높지 않을 때, 제 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전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상이한 전송 모드가 상황에 따라 고정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의 신뢰성 요구 사항이 최대한 충족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서비스의 전송 품질을 개선한다.
다음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설명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내용은 모두 후속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6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통신 디바이스(6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600)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600)는,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620) - 제 1 표시 정보는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하거나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됨 - 과,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모듈(610) -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61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61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여기서 분할 전송 모드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61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제 1 표시 정보가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할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61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일 때,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61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가 아닐 때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620)은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관련 회로 컴포넌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송수신기 모듈(610)은 송수신기 또는 송수신기 관련 회로 컴포넌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통신 디바이스(700)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700)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700)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및 송수신기(730)를 포함한다. 메모리(720)는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 저장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720)에 저장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프로세서(7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62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송수신기(7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모듈(61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600)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600)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700) 내 모듈의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절차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로 사용된다. 간결성을 위해,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8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통신 디바이스(800)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이다. 단말 디바이스(800)는,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모듈(820)과,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 및/또는 전송 모드를 변경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데이터 패킷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처리 모듈(810)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ㅇ은 방식인,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방법은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82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5 모드일 때, 처리 모듈(810)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거나, 또는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82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분할 전송 모드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이다.
선택적 구현에서, 처리 모듈(810)은 또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한 후에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은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모듈(810)이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다고 결정할 때, 송수신기 모듈(820)은 또한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처리 모듈(810)이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상이라고 결정할 때, 송수신기 모듈(820)은 또한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처리 모듈(810)이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할 때, 처리 모듈(810)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무선 링크 제어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제 1 표시 정보가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표시할 때, 처리 모듈(810)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82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데이터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논리 채널 또는 RLC 엔티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처리 모듈(810)이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2 모드일 때, 처리 모듈(810)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82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처리 모듈(810)이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일 때, 처리 모듈(810)은 또한,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송수신기 모듈(820)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가 아닌 것으로 결정될 때 데이터 패킷을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810)은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관련 회로 컴포넌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송수신기 모듈(820)은 송수신기 또는 송수신기 관련 회로 컴포넌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통신 디바이스(900)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900)는,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900)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900)는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및 송수신기(930)를 포함한다. 메모리(920)는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에 저장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920)에 저장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프로세서(9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81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송수신기(9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모듈(82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800)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900)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800)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900) 내 모듈의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절차를 구현하기 위해 별도로 사용된다. 간결성을 위해,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회로일 수 있다. 통신 장치(900)는 도 4에 도시된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행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가 단말 디바이스일 때, 도 10은 단말 디바이스의 간략화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면 예시의 용이한 이해와 편의를 위해, 도 10에서는 단말 디바이스가 이동 전화인 예가 사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메모리, 라디오 주파수 회로, 안테나 및 입력/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단말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라디오 주파수 회로는 주로, 베이스밴드 신호와 라디오 주파수 신호 간의 변환을 수행하고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는 주로 전자파 형태의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출력 장치는 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유형의 단말 디바이스에는 입력/출력 장치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데이터가 송신되어야 할 때, 프로세서는 송신될 데이터에 대해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하고, 베이스밴드 신호를 라디오 주파수 회로에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라디오 주파수 처리를 수행한 후에, 라디오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를 통해 전자파 형태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한다. 데이터가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될 때, 라디오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를 통해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베이스밴드 신호를 프로세서로 출력한다.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10은 하나의 메모리와 하나의 프로세서만을 도시한다. 실제 단말 디바이스 제품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있을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저장 매체, 저장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신 및 송신 기능을 갖는 안테나 및 라디오 주파수 회로는 단말 디바이스의 송수신기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고, 처리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는 단말 디바이스의 처리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송수신기 유닛(1010) 및 처리 유닛(1020)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유닛은 또한 송수신기, 송수신기 머신, 송수신기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또한 프로세서, 처리 보드, 처리 모듈, 처리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1010)에서 수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컴포넌트는 수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고, 송수신기 유닛(1010)에서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컴포넌트는 송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송수신기 유닛(1010)은 수신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유닛은 또한 때때로 송수신기 머신, 송수신기, 송수신기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수신 유닛은 또한 때때로 수신 머신, 수신기, 수신기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송신 유닛은 또한 때때로 송신 머신, 송신기, 송신기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1010)은 도 4에 도시된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 측에서 송신 동작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1020)은 도 4에 도시된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동작 및 송신 동작을 제외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구현 시, 처리 유닛(1010)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S42)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1020)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S43)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처리 유닛(1020)은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 측에서 다른 처리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가 칩일 때, 칩은 송수신기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유닛은 입력/출력 회로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칩에 집적된 집적 회로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의 통신 장치가 단말 디바이스일 때 도 11에 도시된 장치를 참조한다. 예에서, 디바이스는 도 9의 프로세서(910)와 유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에서, 디바이스는 프로세서(1110), 데이터 송신 프로세서(1120) 및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1130)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810)은 도 11의 프로세서(1110)일 수 있고,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모듈(820)은 도 11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서(1120) 및/또는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1130)일 수 있다.
도 11은 채널 인코더 및 채널 디코더를 도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모듈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도 12는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처리 장치(1200)는 변조 서브시스템, 중앙 처리 서브시스템, 및 주변 서브시스템과 같은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예의 통신 장치는 처리 장치의 변조 서브시스템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조 서브시스템은 프로세서(1203) 및 인터페이스(1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3)는 처리 모듈(810)의 기능을 구현하고, 인터페이스(1204)는 송수신기 모듈(820)의 기능을 구현한다. 다른 변형에서, 변조 서브시스템은 메모리(1206), 프로세서(1203), 및 메모리(1206)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프로세서(1203)는 도 4에 도시된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 측에서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206)는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메모리(1206)가 프로세서(1203)에 연결될 수 있는 한, 메모리(1206)는 변조 서브시스템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처리 장치(1200)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제공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련된 절차가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제공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된 절차가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명령어가 실행될 때, 도 4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 측에서 방법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명령어가 실행될 때, 도 4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에서 방법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일 수 있고, 또한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외부 캐시로서 사용된다. 제한 대신 예시로서 사용된 설명에 따르면, 많은 형태의 RAM,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싱크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가 사용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또는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때, 메모리(저장 모듈)는 프로세서에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적합한 유형의 임의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프로세스의 순서 번호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실행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로직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임의의 제한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예에서 유닛, 알고리즘 및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기술적 솔루션의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간주해서는 안 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한다는 것이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으로의 분할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이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 기계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전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은 실제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선택되어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유닛의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기능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 또는 현재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퍼스널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특정 구현일 뿐이지,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Claims (30)

  1. 전송 모드 선택 방법으로서,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하거나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됨 - 와,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이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상기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2 모드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전송 모드 선택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5 모드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split transmission mode)를 사용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분할 전송 모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data volume threshold)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인
    전송 모드 선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라디오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또는 상기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현재 전송 모드가 상기 제 2 모드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논리 채널 또는 상기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현재 전송 모드가 상기 제 1 모드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상기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8. 전송 모드 선택 방법으로서,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 및/또는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이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상기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 및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는 단계와,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1 모드, 상기 제 2 모드, 상기 제 3 모드, 상기 제 4 모드 또는 상기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2 모드일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전송 모드 선택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5 모드일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 전송 모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인
    전송 모드 선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 상기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은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을 때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상기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상일 때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될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논리 채널 및/또는 제 1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논리 채널 또는 상기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되고, 상기 현재 전송 모드가 상기 제 2 모드일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방법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논리 채널 또는 상기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15.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되고, 상기 현재 전송 모드가 상기 제 1 모드일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상기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모드 선택 방법.
  16.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 1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하거나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됨 - 과,
    상기 제 1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모듈 - 상기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이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상기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통신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변경된 전송 모드를 표시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2 모드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통신 디바이스.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5 모드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split transmission mode)를 사용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분할 전송 모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인
    통신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할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라디오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상기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 또는 상기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 디바이스.
  21.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현재 전송 모드가 상기 제 2 모드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논리 채널 또는 상기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 디바이스.
  22.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가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현재 전송 모드가 상기 제 1 모드일 때,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또한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상기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통신 디바이스.
  23.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모듈과,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 및/또는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모드는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제 4 모드 또는 제 5 모드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N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3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F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F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K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K 개의 논리 채널을 사용하여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고, 여기서 F 및 K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 4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어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을 획득하고, 상기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H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각각은 M 개의 데이터 패킷의 복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여기서 M 및 H는 둘 다 2 이상의 정수이고, H는 M보다 작고;
    상기 제 5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은 PDCP 계층에서 복제되지 않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통신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인,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1 모드, 상기 제 2 모드, 상기 제 3 모드, 상기 제 4 모드 또는 상기 제 5 모드 중 하나라고 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전송 모드를 변경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2 모드일 때,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통신 디바이스.
  26.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변경된 전송 모드가 상기 제 5 모드일 때,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할 전송 모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모드인
    통신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 상기 분할 전송 모드를 사용하도록 결정한 후에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은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상기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보다 적을 때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양이 상기 제 1 데이터 볼륨 임계치 이상일 때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결정할 때,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무선 링크 제어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상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논리 채널 또는 제 1 RLC 엔티티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논리 채널 또는 상기 제 1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9.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현재 전송 모드가 상기 제 2 모드일 때,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논리 채널 또는 제 2 RLC 엔티티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논리 채널 또는 상기 제 2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0.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전송 모드를 변경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현재 전송 모드가 상기 제 1 모드일 때,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모드가 변경된 후에 데이터 패킷을 상기 N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KR1020217023983A 2019-01-03 2019-12-27 전송 모드 선택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17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05020.0A CN111404633B (zh) 2019-01-03 2019-01-03 一种选择传输模式的方法及设备
CN201910005020.0 2019-01-03
PCT/CN2019/129299 WO2020140844A1 (zh) 2019-01-03 2019-12-27 一种选择传输模式的方法及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899A true KR20210104899A (ko) 2021-08-25
KR102617323B1 KR102617323B1 (ko) 2023-12-21

Family

ID=7140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983A KR102617323B1 (ko) 2019-01-03 2019-12-27 전송 모드 선택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36717A1 (ko)
EP (1) EP3896877A4 (ko)
KR (1) KR102617323B1 (ko)
CN (1) CN111404633B (ko)
AU (1) AU2019419653B2 (ko)
WO (1) WO202014084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2927A1 (en) * 2016-04-19 2017-10-26 Nokia Technologies Oy Split bearer dual/multiple connectivity retransmission diversity
KR20180103717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케이티 버퍼 상태 리포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20180310202A1 (en) * 2017-04-24 2018-10-25 Motorola Mobility Llc Switching Between Packet Duplication Operating Mod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997A (ko) * 2010-12-15 2012-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멀티셀 전송을 위한 효율적인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CN105578513B (zh) * 2014-10-11 2019-0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通信方法、设备及系统
PL3917047T3 (pl) * 2015-08-26 2023-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gnalizacja łącza wstępującego dla podwójnej dołączalności
CN107733577B (zh) * 2016-08-11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进行重传处理的方法和装置
CN108924948B (zh) * 2017-03-23 2021-06-22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和基站处执行的方法及相应的设备
EP3592039B1 (en) * 2017-03-23 2021-09-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0536878B2 (en) * 2017-03-24 2020-01-14 Mediatek Inc.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PDCP duplication in 5G RAN
CN108737045B (zh) * 2017-04-19 202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重复传输的方法及装置
AU2017418642A1 (en) * 2017-06-16 2020-01-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09151903B (zh) * 2017-06-16 2022-07-1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处理分组的方法和装置
CN111034294A (zh) * 2017-08-08 2020-04-17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通信终端装置及基站装置
CN111034343A (zh) * 2017-08-14 2020-04-17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处理rb的分组重复和恢复的方法和系统
CN108401484B (zh) * 2017-08-21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9560899B (zh) * 2017-09-27 2021-10-1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进行重复传输的方法和设备
CN110351024B (zh) * 2018-04-04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
WO2019245339A1 (ko) * 2018-06-21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노드 간 패킷 복제 동작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11051309B2 (en) * 2018-09-21 2021-06-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duplication modes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20088771A1 (en) * 2018-11-01 2020-05-07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3860153A1 (en) * 2020-01-31 2021-08-04 Oticon A/s Hearing aid including induction coi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2927A1 (en) * 2016-04-19 2017-10-26 Nokia Technologies Oy Split bearer dual/multiple connectivity retransmission diversity
KR20180103717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케이티 버퍼 상태 리포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20180310202A1 (en) * 2017-04-24 2018-10-25 Motorola Mobility Llc Switching Between Packet Duplication Operating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04633A (zh) 2020-07-10
WO2020140844A1 (zh) 2020-07-09
CN111404633B (zh) 2021-10-26
EP3896877A1 (en) 2021-10-20
AU2019419653B2 (en) 2022-11-24
KR102617323B1 (ko) 2023-12-21
EP3896877A4 (en) 2022-02-16
US20210336717A1 (en) 2021-10-28
AU2019419653A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9513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1098568A1 (zh) 一种能力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US11937254B2 (en) Wireless commun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8771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1294171B (zh) 一种配置逻辑信道的方法及设备
EP3820070A1 (en) Reference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device, and apparatus
CN113271178A (zh) 用户设备能力传输方法、信息传输方法及相关产品
US11991785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use with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duplicate transmission function
CN113039832B (zh) 一种异系统切换方法及装置
US2022027961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2617323B1 (ko) 전송 모드 선택 방법 및 디바이스
CN110933746A (zh) 一种能力信息发送、接收方法及设备
WO2021134763A1 (zh) 一种恢复传输的方法、装置及设备
WO2021097689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设备
CN110831169B (zh) 一种配置载波的方法及设备
EP410287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413848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403383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CN117596631A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