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699A -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699A
KR20210104699A KR1020217017807A KR20217017807A KR20210104699A KR 20210104699 A KR20210104699 A KR 20210104699A KR 1020217017807 A KR1020217017807 A KR 1020217017807A KR 20217017807 A KR20217017807 A KR 20217017807A KR 20210104699 A KR20210104699 A KR 20210104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image
light
projec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세이이치로 진타
마사후미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6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기술의 일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생성부와 투사 광학계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 생성부는 제1 화소 영역과 제2 화소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화소 광과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2 화소 광을 포함하는 화상 광을 생성한다.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1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가, 상기 제2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한다.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an image generating unit and a projection optical system. The image generator has a first pixel area and a second pixel area, and generates image light including first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pixel area and second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pixel area do.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projects the image light so that an image state of a first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first pixel light is different from an image state of a second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second pixel light.

Figure P1020217017807
Figure P1020217017807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기술은 프로젝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projector.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이, 중앙 표시 영역과 주변 표시 영역과 프레임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표시 패널의 주변 표시 영역에 투광성 커버의 렌즈부가 겹쳐지도록, 표시 패널에 대해 투광성 커버가 배치된다. 주변 표시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이, 투광성 커버의 렌즈부에 의해 확대됨으로써, 프레임 영역 상에 허상이 투사된다. 이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이 마치 프레임 상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어, 프레임 영역이 잘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도모되고 있다(특허문헌 1의 명세서 단락[0012], [0016], 도 1, 도 2 등).In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display panel is divided into a central display region, a peripheral display region, and a frame region. The light-transmitting cover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lens portion of the light-transmitting cover overlaps the peripheral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The image generated by the peripheral display area is enlarged by the lens portion of the translucent cover, so that the virtual image is projected on the frame area. Thereby, it is possible to make the displayed image appear as if it is on a frame, and it is intended to make the frame area difficult to see (paragraphs [0012], [0016], Figs. 1, 2, etc. of Patent Document 1). ).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15-17266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5-172661

프로젝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하여, 고품질의 화상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DESCRIPTION OF RELATED ART Regarding image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projector, the technique which can implement|achieve high-quality image display is calculated|required.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기술의 목적은, 고품질의 화상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high-quality image displ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기술의 일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생성부와 투사 광학계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an image generating unit and a projection optical system.

상기 화상 생성부는 제1 화소 영역과 제2 화소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화소 광과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2 화소 광을 포함하는 화상 광을 생성한다.The image generator has a first pixel area and a second pixel area, and generates image light including first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pixel area and second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pixel area do.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1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가, 상기 제2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한다.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projects the image light so that an image state of a first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first pixel light is different from an image state of a second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second pixel light.

이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제1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화소 광과, 제2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2 화소 광을 포함하는 화상 광이 생성된다. 그리고 제1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와, 제2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가 서로 다르도록, 화상 광이 투사된다. 이에 의해, 고품질의 화상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image display device, image light including the first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pixel area and the second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pixel area is generated. Then, the image light is projected so that the image state of the first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first pixel light and the image state of the second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second pixel ligh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high-quality image display.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화상 생성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이어도 된다.The first pixel region may be a central reg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In this case, the second pixel region may be a peripheral regio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region.

상기 화상 상태는 화상의 해상도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1 부분 화상의 해상도가 상기 제2 부분 화상의 해상도와 다르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해도 된다.The image state may include the resolution of the image. In this case,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may project the image light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first partial image is different from the resolution of the second partial image.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2 부분 화상의 해상도가 상기 제1 부분 화상의 해상도보다 낮게 되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해도 된다.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may project the image light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second partial image is low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first partial image.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는,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와 달라도 된다.The pixel pitch of the first pixel reg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pixel pitch of the second pixel region.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는,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보다 커도 된다.The pixel pitch of the second pixel region may be larger than the pixel pitch of the first pixel region.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는,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와 동등해도 된다.The pixel pitch of the first pixel region may be equal to the pixel pitch of the second pixel region.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1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1 투사부와, 상기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2 투사부를 가져도 된다.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may have a first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the first pixel light and a second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the second pixel light.

상기 제1 투사부는, 소정의 확대율로, 상기 제1 화소 광을 투사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투사부는, 상기 제1 투사부보다 큰 확대율로, 상기 제2 화소 광을 투사해도 된다.The first projection unit may project the first pixel light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In this case, the second projection unit may project the second pixel light at a larger magnification than the first projection unit.

상기 제1 투사부는, 소정의 확대율로, 상기 제1 화소 광을 투사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투사부는, 상기 제1 투사부와 동등한 확대율로, 상기 제2 화소 광을 투사해도 된다.The first projection unit may project the first pixel light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In this case, the second projection unit may project the second pixel light at the same magnification as that of the first projection unit.

상기 투사 광학계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입사하는 상기 화상 광을, 소정의 광축 방향을 따라 투사하는 투사 렌즈부를 가져도 된다.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may have a projection lens unit that projects the image light incident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a predetermined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2 화소 광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시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부를 가져도 된다.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may have a magnifying lens unit that magnifie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ixel light and makes it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alo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화상 생성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확대 렌즈부는, 상기 제2 화소 광 중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상기 중앙 영역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 광을 확대시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켜도 된다.The first pixel region may be a central reg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In this case, the second pixel region may be a peripheral regio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region. In this case, the magnifying lens unit magnifies the pixel light generated by an outer region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pixel region among the second pixel lights to extend the projection lens unit alo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may be employed in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2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를 가져도 된다.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may include a magnifying lens that make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image light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화상 생성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확대 렌즈부는, 상기 제2 화소 광 중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상기 중앙 영역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 광을 상기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켜도 된다.The first pixel area may be a central area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In this case, the second pixel region may be a peripheral regio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region. In this case, the magnifying lens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ject the pixel light generated by an outer area of the second pixel area opposite to the central area of the second pixel light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You may make it incident on a lens part.

상기 확대 렌즈부는,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의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를 가져도 된다.The magnifying lens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lenses disposed in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second pixel region.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각각은, 배치되는 화소의 위치에 따른 곡률을 가져도 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may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ranged pixel.

상기 화상 생성부는,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사이에, 화소 광이 생성되지 않는 비생성 영역을 가져도 된다.The imag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non-generation region in which pixel light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first pixel region and the second pixel region.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투사되는 투사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LCD의 화소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투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LCD에 의해 생성된 화상 광의 투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유효 화상 및 확장 화상의 투사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유효 화상 및 확장 화상의 투사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유효 화상 및 확장 화상의 투사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유효 화상 및 확장 화상의 투사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LCD의 화소 영역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LCD의 화소 영역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LCD의 화소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LCD의 화소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LCD의 화소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LCD의 화소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반사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3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7은 자발광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3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8은 투과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1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9는 컬러 필터를 내장한 투과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1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0은 자발광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1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 모식도이다.
도 21은 투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가 RGB 3화소인 경우의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투사 화상의 블렌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ojection image projected by an image display devic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pixel configuration of an LCD.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ixel circuit for displaying a projected image.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jection of image light generated by the LCD.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projecting an effective image and an extended imag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projecting an effective image and an extended imag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projecting an effective image and an extended image.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projection method of an effective image and an extended imag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ixel region of an LC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ixel region of an LC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ixel configuration of an LCD.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ixel configuration of an LCD.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ixel configuration of an LCD.
1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ixel configuration of an LCD.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ree-plate system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reflective display panel.
Fig. 1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ree-plate type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1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display device of a single-pane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display panel.
19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of a single-pane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display panel having a built-in color filter.
Fig. 2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display device of a one-plate system using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Fig. 2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in the case where the pixels for displaying the projected image are RGB 3 pixels.
2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blending of a projected image.

이하, 본 기술에 따른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technology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화상 표시 장치(500)는, 예를 들면 프레젠테이션용 또는 디지털 시네마용의 프로젝터로서 사용된다. 그 밖의 용도에 사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도, 이하에 설명하는 본 기술은 적용 가능하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technology.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is used as a projector for presentations or digital cinema, for example. The present technology described below is applicable also to an image display device used for other uses.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과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3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500)가 사용된다. 이후에도 설명하지만, 다른 다양한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 본 기술은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of the three-plate system using the transmissive display panel is used. Although described later, the present technology is applicable to other various types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500)는, 광원 장치(100)와, 화상 생성 시스템(200)과, 투사 시스템(400)을 갖는다.As shown in FIG. 1 ,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includes a light source device 100 , an image generation system 200 , and a projection system 400 .

광원 장치(100)는 백색 광(W1)을 화상 생성 시스템(200)에 출사한다. 광원 장치(100)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나 LD(Laser Diode) 등의 고체 광원, 또는 수은 램프나 크세논 램프 등이 배치된다.The light source device 100 emits the white light W1 to the image generating system 200 . Solid light sources, such as LED (Light Emitting Diode) and LD (Laser Diode), or a mercury lamp, a xenon lamp, etc. are arrange|positioned in the light source device 100 .

예를 들면, RGB의 각 색의 광을 각각 출사 가능한 RGB용의 고체 광원이 사용되고, 이들 출사광이 합성되어 백색 광(W1)이 생성되어도 된다. 또는 청색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고체 광원과, 청색 광에 의해 여기되어 황색의 형광을 발하는 형광체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청색 광과 황색 광이 합성되어 백색 광(W1)이 출사된다. 그 밖에, 백색 광(W1)을 생성하여 출사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이나 임의의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For example, a solid-state light source for RGB capable of emitting light of each color of RGB may be used, and these emitted lights may be synthesized to generate white light W1. Alternatively, a solid-state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in a blue wavelength band and a phosphor that is excited by blue light and emits yellow fluorescence may be arranged. In this case, blue light and yellow light are combined to emit white light W1 . In addition, any method or any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nd emitting the white light W1 may be employed.

화상 생성 시스템(200)은 인테그레이터 광학계(210)와 조명 광학계(220)를 갖는다. 인테그레이터 광학계(210)는, 인테그레이터 소자(211)와, 편광 변환 소자(212)와, 집광 렌즈(213)를 갖는다.The image generating system 200 has an integrator optical system 210 and a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220 . The integrator optical system 210 includes an integrator element 211 , a polarization conversion element 212 , and a condensing lens 213 .

인테그레이터 소자(211)는,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를 갖는 제1 플라이아이 렌즈(211a)와, 그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에 하나씩 대응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를 갖는 제2 플라이아이 렌즈(21lb)를 갖는다.The integrator element 211 is a first fly's eye lens 211a having a plurality of microlenses arranged in two dimensions, and a second fly having a plurality of microlenses arranged to correspond one by one to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It has an eye lens 21lb.

인테그레이터 소자(211)에 입사한 백색 광(W1)은, 제1 플라이아이 렌즈(211a)의 마이크로렌즈에 의해 복수의 광속으로 분할되어, 제2 플라이아이 렌즈(21lb)에 설치된 대응하는 마이크로렌즈에 각각 결상된다. 제2 플라이아이 렌즈(21lb)의 마이크로렌즈의 각각이 2차 광원으로서 기능하고, 휘도가 균일한 복수의 평행광을, 후단의 편광 변환 소자(212)에 출사한다.The white light W1 incident on the integrator element 21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ight beams by the microlens of the first fly's eye lens 211a, and the corresponding microlens installed on the second fly's eye lens 211b. Each image is formed on each lens. Each of the microlenses of the second fly's eye lens 21lb functions as a secondary light source, and a plurality of parallel lights with uniform luminance are emitted to the polarization conversion element 212 at the rear stage.

편광 변환 소자(212)는, 인테그레이터 소자(211)를 통해 입사하는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일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편광 변환 소자(212)를 통과한 광은, 집광 렌즈(213)를 통해 조명 광학계(220)에 출사된다.The polarization conversion element 212 has a function of matching the polarization state of the incident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tegrator element 211 .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ation conversion element 212 is emitted to th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220 through the condensing lens 213 .

인테그레이터 광학계(210)는, 전체적으로, 조명 광학계(220)로 향하는 백색 광(W1)을 균일한 휘도 분포로 조절하고, 편광 상태가 일치한 광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인테그레이터 광학계(210)의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As a whole, the integrator optical system 210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white light W1 directed to th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220 to a uniform luminance distribution and adjusting the polarization state to be the same.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or optical system 210 is not limited.

조명 광학계(220)는, 다이크로익 미러(230 및 240), 미러(250, 260 및 270), 필드 렌즈(280R, 280G 및 280B), 릴레이 렌즈(290 및 300), 화상 생성 소자로서의 LCD(Liquid crystal display)(310R, 310G 및 310B), 다이크로익 프리즘(320)을 포함하고 있다. LCD(310R, 310G 및 310B)는 투과형 표시 패널로서 기능한다.Th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220 includes dichroic mirrors 230 and 240, mirrors 250, 260 and 270, field lenses 280R, 280G and 280B, relay lenses 290 and 300, and an LCD as an image generating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310R, 310G and 310B, and a dichroic prism 320 . The LCDs 310R, 310G, and 310B function as transmissive display panels.

다이크로익 미러(230 및 240)는, 소정의 파장 영역의 색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고, 그 이외의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다이크로익 미러(230)는, 백색 광(W1)에 포함되는 녹색 광(G1) 및 청색 광(B1)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고, 백색 광(W1)에 포함되는 적색 광(R1)을 투과시킨다. 다이크로익 미러(240)는, 다이크로익 미러(230)에 의해 반사된 녹색 광(G1)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고, 청색 광(B1)을 투과시킨다. 이에 의해, 다른 색 광은 각각 다른 광로로 분리된다. 또한, RGB의 각 색 광을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나, 사용되는 디바이스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The dichroic mirrors 230 and 240 have a property of selectively reflecting color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range and transmitting light of other wavelength ranges. The dichroic mirror 230 selectively reflects the green light G1 and the blue light B1 included in the white light W1, and transmits the red light R1 included in the white light W1. . The dichroic mirror 240 selectively reflects the green light G1 reflected by the dichroic mirror 230 and transmits the blue light B1. Thereby, light of different colors is separated into different optical path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tructure for separating each color light of RGB, the device used, etc. are not limited.

분리된 적색 광(R1)은 미러(250)에 의해 반사되고, 필드 렌즈(280R)에 의해 평행화된 후, 적색 광의 변조용 LCD(310R)에 입사한다. 녹색 광(G1)은 필드 렌즈(280G)에 의해 평행화된 후, 녹색 광의 변조용 LCD(310G)에 입사한다. 청색 광(B1)은 릴레이 렌즈(290)를 통과해 미러(260)에 의해 반사되고, 나아가 렌즈(300)를 통과해 미러(270)에 의해 반사된다. 미러(270)에 의해 반사된 청색 광(B1)은, 필드 렌즈(280B)에 의해 평행화된 후, 청색 광의 변조용 LCD(310B)에 입사한다.The separated red light R1 is reflected by the mirror 250 , is collimated by the field lens 280R, and is incident on the red light modulation LCD 310R. The green light G1 is collimated by the field lens 280G, and then is incident on the green light modulation LCD 310G. The blue light B1 passes through the relay lens 290 and is reflected by the mirror 260 , and further passes through the lens 300 and is reflected by the mirror 270 . The blue light B1 reflected by the mirror 270 is collimated by the field lens 280B, and then is incident on the blue light modulation LCD 310B.

LCD(310R, 310G 및 310B)는, 화상 정보를 포함한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신호원(예를 들면, PC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LCD(310R, 310G 및 310B)는, 공급되는 각 색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입사광을 화소마다 변조하고, 각각 적색의 화상 광(R2), 녹색의 화상 광(G2) 및 청색의 화상 광(B2)을 생성한다. 한편, 화상 광은 화상을 구성하는 광에 상당한다.The LCDs 310R, 310G, and 310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ignal source not shown (for example, a PC or the like) that supplies an image signal including image information. The LCDs 310R, 310G, and 310B modulate incident light for each pixel based on the supplied image signal of each color, and respectively, a red image light R2, a green image light G2, and a blue image light B2. ) is created. On the other hand, image light corresponds to light constituting an image.

생성된 RGB의 각 색의 화상 광(R2, G2 및 B2)은, 다이크로익 프리즘(320)에 입사하여 합성된다. 다이크로익 프리즘(320)은, 3개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각 색의 화상 광(R2, G2 및 B2)을 동축 상에 겹쳐서 합성하여, 화상 광(W2)을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광(W2)은, 소정의 방향을 따라 투사 시스템(400)을 향해 출사된다.The generated image lights R2, G2, and B2 of each color of RGB enter the dichroic prism 320 and are combined. The dichroic prism 320 superimposes and synthesizes image lights R2, G2, and B2 of each color incident from three directions on the same axis to generate image light W2. The generated image light W2 is emitted toward the projection system 400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투사 시스템(400)은, 화상 생성 시스템(200)에 의해 생성된 화상 광(W2)을 투사한다. 투사 시스템(400)은 복수의 렌즈(410) 등을 가지며, 다이크로익 프리즘(320)에 의해 합성되어 출사된 화상 광(W2)을 도시하지 않은 스크린 등의 피투사물에 투사한다. 이에 의해 피투사물 상에 풀 컬러의 화상이 표시된다. 투사 시스템(4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The projection system 400 projects the image light W2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ng system 200 . The projection system 400 has a plurality of lenses 410 and the like, and projects the image light W2 synthesized and emitted by the dichroic prism 320 onto a projection object such as a screen (not shown). Thereby, a full-color image is displayed on the to-be-projected objec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ojection system 400 is not limited.

[투사 화상][Projection image]

도 2는 화상 표시 장치(500)에 의해 투사되는 투사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화상 표시 장치(500)로부터 출사된 화상 광(W2)이 스크린 등의 피투사물에 투사되면, 투사 화상(30)이 표시된다. 투사 화상(30)은 화상 광(W2)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에 상당한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ojection image project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 When the image light W2 e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is projected onto a target object such as a screen, the projected image 30 is displayed. The projection image 30 corresponds to an image constituted by the image light W2.

또한, 피투사물로서는, 스크린, 벽, 차체 등의 임의의 물체가 사용되어도 된다. 화상 광(W2)이 투사되는 투사면, 즉, 투사 화상(30)이 표시되는 표시면의 형상도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평면 형상의 스크린이나, 만곡한 스크린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화상을 시청하는 사용자를 둘러싸도록 만곡한 스크린이 사용됨으로써, 화상에의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고품질의 시청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ny object, such as a screen, a wall, and a vehicle body, may be used as a to-be-projected object. The shape of the projection surface on which the image light W2 is projected, that is, the display surface on which the projection image 30 is displayed, is also not limited. For example, a flat screen, a curved screen, etc. may be used. For example, by using a screen curved to surround a user viewing an image,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feeling of immersion in the image, and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viewing experience.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사 화상(30)으로서,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을 포함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투사 화상(30)으로서, 산, 바다 및 민가 등의 풍경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된다. 물론, 투사 화상(30)의 구체적인 내용(콘텐츠)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As shown in FIG. 2 ,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mage including an effective image 10 and an extended image 20 is displayed as the projected image 30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 as the projection image 30 , an image representing scenery such as a mountain, the sea, and a private house is displayed. Of course, the specific content (content) of the projection image 30 is not limited, and various images may be displayed.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화상은, 정지화상 및 동화상의 양쪽을 포함한다.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화상을, 복수의 정지화상으로 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진 등의 임의의 정지화상, 영화나 게임 영상 등의 임의의 동화상에 대해, 본 기술은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disclosure, an image includes both a still image and a moving image. It is also possible to assume that a plurality of frame images constituting a moving image are a plurality of still images. For example, the present technology is applicable to an arbitrary still image such as a photograph, and an arbitrary moving image such as a movie or game video.

유효 화상(10)은, 투사 화상(30)의 중앙 영역(11)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투사 화상(30)에 대해 정면을 향하는 사용자의 중심 시야(사용자가 초점을 맞추고 있는 영역)와, 안정 주시야(안정된 상태로 정보를 주시할 수 있는 영역)를 커버하도록, 유효 화상(10)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effective image 10 is displayed in the central area 11 of the projection image 30 . Thereby, for example, the central field of view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projection image 30 (the area the user is focusing on) and the stable main field of view (the area where information can be viewed in a stable state) are covered. ,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the effective image 10 .

확장 화상(20)은, 투사 화상(30)의 중앙 영역(11)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21)에 표시된다. 즉, 확장 화상(20)은 유효 화상(1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표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투사 화상(30)에 대해 정면을 향하는 사용자의 주변 시야(제1 인상이나 전체적 뷰를 파악하는 영역)에, 확장 화상(20)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유효 화상(10)에 더하여, 유효 화상(10)의 주변에 확장 화상(20)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화상에 둘러싸이는 것 같은 현장감이 있는 시청 체험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실현된다.The expanded image 20 is displayed in the peripheral region 21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region 11 of the projection image 30 . That is, the extended image 20 is display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effective image 10 . Thereby, for example,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the expanded image 20 in the peripheral field of view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projection image 30 (the area|region which grasps a 1st impression or an overall view). In addition to the effective image 10 in this way, the extended image 20 is displayed around the effective image 10 . Thereby, it becomes possible for the user to obtain a viewing experience with a sense of realism as being surrounded by an image. As a result, high-quality image display is realized.

예를 들면, 유효 화상(10)으로서, 종횡비(aspect ratio)가 16:9이며, 횡 1920화소×종 1080화소의 풀 HD 상당의 화상이 표시된다. 그 주변에, 현장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확장 화상(20)이 표시된다. 물론, 이러한 투사 화상(3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as the effective image 10, an image corresponding to Full HD with an aspect ratio of 16:9 and 1920 horizontal pixels x 1080 vertical pixels is displayed. In the vicinity thereof, an expanded image 20 to improve the sense of presence is displayed.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ojection image 30 .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효 화상(10)의 해상도가, 확장 화상(20)의 해상도와 다르도록, 화상 광(W2)이 투사되어 투사 화상(30)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확장 화상(20)의 해상도가 유효 화상(10)의 해상도보다 낮아지도록, 화상 광(W2)이 투사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light W2 is projected and the projected image 30 is displayed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effective image 10 is different from the resolution of the extended image 20 . Specifically, the image light W2 is projected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extended image 20 is low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effective image 10 .

예를 들면, 사용자의 안정 주시야에 표시되는 유효 화상(10)으로서 고해상도의 매우 세밀한(고정세)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주변 시야에 표시되는 확장 화상(20)으로서, 저해상도의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이 주변 시야의 화상은 포커스가 어긋난 핀트 흐려진 화상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현장감을 느끼면서 유효 화상(10)에 의식을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확장 화상(20)에 의해 주의가 산만하게 되어버리는 것 같은 상태를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매우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실현된다.For example, as the effective image 10 displayed in the user's stable main field of view, a high-resolution, very fine (fixed-definition) image is displayed. Then, as the expanded image 20 displayed in the user's peripheral field of view, a low-resolution image is displayed.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f this peripheral field of view may be a defocused image out of focus.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concentrate consciousness on the effective image 10 while feeling a sense of presence. That is, it become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vent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distracted by the expanded image 20, and a very high-quality image display is realized.

한편, 유효 화상(10)의 해상도 및 확장 화상(20)의 해상도는, 유효 화상(10)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의 밀도 및 확장 화상(20)에 포함되는 확장 화소의 밀도에 따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solution of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resolution of the extended image 20 can be defined according to the density of effective pixels included in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density of expanded pixels included in the extended image 20 . do.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투사물에 표시되는 화상의 해상도는, 피투사물에 표시되는 화상 상태에 포함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효 화상의 화상 상태가, 확장 화상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화상 광(W2)이 투사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projected object is included in the image state displayed on the projected object.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light W2 is projected so that 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is different from the image state of the extended image.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화상 상태란, 피투사물에 화상이 어떻게 표시될지에 관련되는 다양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화상 광(W2)에 대한 확대율이나, 화소 사이즈 등도, 화상 상태에 포함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image state includes various parameters related to how an image is displayed on a projected object. For example, the magnification ratio for the image light W2, the pixel size, and the like may also be included in the image state.

유효 화상(10)을 표시하기 위한 유효 화상 데이터, 및 확장 화상(20)을 표시하기 위한 확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마다, 유효 화상 데이터 및 확장 화상 데이터가 미리 준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전체에 표시되는 메인 콘텐츠의 화상 데이터를 유효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한다. 그리고, 유효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확장 화상 데이터가 적절히 생성되어도 된다.The method of generating the effective image data for displaying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tended image data for displaying the extended image 20 is not limited. For example, effective image data and extended image data may be prepared in advance for each content. Alternatively, image data of the main content displayed on the entire conventional display is used as effective image data. Incidentally, the extended image data may be appropriately generated based on the effective image data.

예를 들면, 유효 화상(10)의 가장자리 부근의 화상 데이터가, 그대로 확장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는, 유효 화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유효 화상(10)의 주변의 화상을 검출하여, 확장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어도 된다. 또는, 영상 콘텐츠 등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전후의 프레임 화상의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확장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어도 된다.For example, image data near the edge of the effective image 10 may be used as extended image data as it is. Alternatively, by analyzing the effective image data, images around the effective image 10 may be detected, and extended image data may be generated. Alternatively, when video content or the like is displayed, extended image data may be generate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of the frame images before and after.

도 3은 LCD(310)의 화소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LCD(310R, 310G 및 310B)는, 서로 동등한 화소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LCD(310R, 310G 및 310B)를 구별하지 않고, LCD(310)로서 설명을 행한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pixel configuration of the LCD 310 . The LCDs 310R, 310G, and 310B shown in Fig. 1 have pixel structures equivalent to each other. Therefore, the LCDs 310R, 310G, and 310B are not distinguished, and the description is given as the LCD 310 .

또한, LCD(310R, 310G 및 310B)에 의해 생성되는 적색의 화상 광(R2), 녹색의 화상 광(G2) 및 청색의 화상 광(B2)의 합성에 대한 기재를 생략하고, LCD(310)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광을,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광(W2)으로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description of the synthesis of the red image light R2, green image light G2, and blue image light B2 generated by the LCDs 310R, 310G, and 310B is omitted, and the LCD 310 In some cases, the image light generated by ? is described as the image light W2 shown in FIG. 1 .

LCD(310)의 화소가 배치되는 화소 영역은, 유효 화소 영역(15)과, 확장 화소 영역(25)으로 구분된다. 유효 화소 영역(15)은, 화소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11)에 설정된다. 유효 화소 영역(15)에 의해, 유효 화소 광이 생성된다. 즉, 유효 화소 영역(15)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16)로부터 출사되는 화소 광에 의해, 유효 화소 광이 구성된다.A pixel area in which pixels of the LCD 310 are disposed is divided into an effective pixel area 15 and an extended pixel area 25 . The effective pixel area 15 is set in the central area 11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ixel area. By the effective pixel area 15, effective pixel light is generated. That is, the effective pixel light is constituted by the pixel light emitted from the effective pixel 16 included in the effective pixel area 15 .

확장 화소 영역(25)은, 화소 영역의 중앙 영역(11)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21)에 설정된다. 즉, 확장 화소 영역(25)은, 유효 화소 영역(15)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정된다. 확장 화소 영역(25)에 의해, 확장 화소 광이 생성된다. 즉, 확장 화소 영역(25)에 포함되는 확장 화소(26)로부터 출사되는 화소 광에 의해, 확장 화소 광이 구성된다.The expanded pixel region 25 is set in the peripheral region 21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region 11 of the pixel region. That is, the extended pixel region 25 is set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effective pixel region 15 . By the expanded pixel region 25, expanded pixel light is generated. That is, the expanded pixel light is constituted by the pixel light emitted from the expanded pixel 26 included in the expanded pixel area 25 .

본 실시형태에서는, LCD(310)에 의해, 유효 화소 광 및 확장 화소 광을 포함하는 화상 광(W2)이 생성된다. 한편, RGB의 합성에 대해 설명하면, 화상 광(W2)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 광은, RGB의 각 색의 유효 화소 광이 합성된 풀 컬러의 유효 화소 광에 상당한다. 또한, 화상 광(W2)에 포함되는 확장 화소 광은, RGB의 각 색의 확장 화소 광이 합성된 풀 컬러의 확장 화소 광에 상당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mage light W2 including effective pixel light and extended pixel light is generated by the LCD 31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RGB synthesis is described, the effective pixel light included in the image light W2 corresponds to the full-color effective pixel light in which the effective pixel light of each color of RGB is synthesized. In addition, the extended pixel light included in the image light W2 corresponds to the full color extended pixel light in which the extended pixel light of each color of RGB is synthesize|combined.

피투사물에 화상 광(W2)이 투사되면, 화상 광(W2)에 포함되는 유효 화소 광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유효 화상(10)이 구성된다. 또한, 화상 광(W2)에 포함되는 확장 화소 광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확장 화상(20)이 구성된다. 즉, 화상 표시 장치(500)는, 유효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10)의 화상 상태가, 확장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20)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화상 광(W2)을 투사한다.When the image light W2 is projected onto the projected object, the effective image 10 shown in FIG. 2 is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included in the image light W2. In addition, the expanded image 20 shown in FIG. 2 is comprised by the expanded pixel light contained in the image light W2. That is,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sets the image light W2 so that 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10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is different from the image state of the extended image 20 constituted by the expanded pixel light. ) is projected.

예를 들면, 유효 화소 영역(15)으로서, 종횡비가 16:9이며, 횡 1920화소×종 1080화소의 풀 HD 상당의 화소 구성을 포함하는 영역이 설정된다. 그 주변에, 현장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확장 화소 영역이 설정된다. 물론, 이러한 투사 화상(30)의 화소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as the effective pixel area 15, an area having an aspect ratio of 16:9 and including a pixel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Full HD of 1920 horizontal pixels x 1080 vertical pixels is set. In its periphery, an expanded pixel area is set to improve the sense of presence.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such a pixel configuration of the projected image 30 .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효 화소 영역(15)의 화소 피치가, 확장 화소 영역(25)의 화소 피치와 다르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확장 화소 영역(25)의 화소 피치가, 유효 화소 영역(15)의 화소 피치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 화소 영역(25)의 화소의 밀도가, 유효 화소 영역(15)의 화소의 밀도보다 크게 되어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region 15 is set to be different from the pixel pitch of the extended pixel region 25 . Specifically, the pixel pitch of the extended pixel region 25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region 15 . Also, as shown in FIG. 3 , it can be said that the density of pixels in the extended pixel region 25 is greater than the density of pixels in the effective pixel region 15 .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효 화소 영역(15) 및 유효 화소 광은 제1 화소 영역 및 제1 화소 광에 상당한다. 확장 화소 영역(25) 및 확장 화소 광은 제2 화소 영역 및 제2 화소 광에 상당한다. LCD(310)는, 제1 화소 영역과 제2 화소 영역을 가지며, 제1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화소 광과 제2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2 화소 광을 포함하는 화상 광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에 상당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ffective pixel area 15 and the effective pixel light correspond to the first pixel area and the first pixel light. The expanded pixel area 25 and the expanded pixel light correspond to the second pixel area and the second pixel light. The LCD 310 has a first pixel area and a second pixel area, and generates image light including first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pixel area and second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pixel area It corresponds to the image generating unit that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효 화상(10)은, 제1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부분 화상에 상당한다. 확장 화상(20)은, 제2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부분 화상에 상당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effective image 10 corresponds to the 1st partial image comprised by the 1st pixel light. The expanded image 20 corresponds to a second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second pixel light.

도 4는 LCD(310)의 화소 영역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서는, 도시를 간소화하기 위해, 유효 화소(16) 및 확장 화소(26)의 수가 적게 도시되어 있다. 물론, 유효 화소 및 확장 화소의 수는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되어도 된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ixel region of the LCD 310 . In Fig. 4, the number of effective pixels 16 and expansion pixels 26 is shown to be small in order to simplify the illustration. Of course, the number of effective pixels and expansion pixels is not limited and may be set arbitrarily.

LCD(310)는, 복수의 유효 화소(16)와, 복수의 확장 화소(26)와, 게이트 드라이버(311)와, 소스 드라이버(315)와, 복수의 게이트선(312)과, 복수의 소스선(316)을 갖는다. 한편, 도면 중에서는, 게이트선(312)은 「Gate()」로 도시되고, 소스선(316)은 「Sig()」로 도시되어 있다.The LCD 310 includes a plurality of effective pixels 16 , a plurality of expansion pixels 26 , a gate driver 311 , a source driver 315 , a plurality of gate lines 312 , and a plurality of sources. line 316 .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gate line 312 is illustrated as "Gate()", and the source line 316 is illustrated as "Sig()".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6×6의 합계 36개의 유효 화소(16)가 배치된다. 이 36개의 유효 화소(16)가 배치되는 영역이, 유효 화소 영역(15)이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 total of 36 effective pixels 16 of 6x6 are arrange|positioned. The area in which the 36 effective pixels 16 are arranged becomes the effective pixel area 15 .

확장 화소(26)는, 3×3의 합계 9개의 유효 화소(16)분의 사이즈를 갖는다. 즉, 확장 화소(26)의 화소 사이즈는, 유효 화소(16)의 화소 사이즈의 9배가 된다. 또한, 확장 화소(26)의 화소 피치는 유효 화소(16)의 화소 피치의 3배가 된다.The expansion pixel 26 has a size corresponding to a total of 9 effective pixels 16 of 3×3. That is, the pixel size of the expansion pixel 26 is 9 times the pixel size of the effective pixel 16 . Further, the pixel pitch of the expansion pixel 26 is three times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16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효 화소 영역(15)의 상하에, 좌우로 늘어서는 확장 화소(26)가 2개씩 배치된다. 또한, 유효 화소 영역(15)의 좌우에 2×2의 합계 4개의 확장 화소(26)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LCD(310)의 4 코너부에는, 좌우로 늘어서는 확장 화소(26)가 2개씩 배치된다. 이들 합계 20개의 확장 화소(26)가 배치되는 영역이, 확장 화소 영역(25)이 된다.As shown in FIG. 4 ,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expansion pixels 26 arranged left and right are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effective pixel area 15 . In addition, a total of four expansion pixels 26 of 2x2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effective pixel area 15, respectively. In addition, in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LCD 310, two expansion pixels 26 arranged left and right are arranged. The area in which the total of 20 expanded pixels 26 are arranged becomes the expanded pixel area 25 .

36개의 유효 화소(16)에 대응하여, 게이트선1∼6 및 소스선1∼6이 각각 배치된다. LCD(310)의 최상부에 좌우로 늘어서는 확장 화소(26)에 대해 게이트선 T1이 배치된다. LCD(310)의 최하부에 좌우로 늘어서는 확장 화소(26)에 대해 게이트선 B1이 배치된다. 또한, LCD(310)의 좌단부로부터 상하로 늘어서는 2열의 확장 화소(26)에 대해, 소스선 L1 및 L2이 배치된다. LCD(310)의 우단부로부터 상하로 늘어서는 2열의 확장 화소(26)에 대해, 소스선 R1 및 R2이 배치된다.Corresponding to the 36 effective pixels 16, gate lines 1 to 6 and source lines 1 to 6 are respectively arranged. A gate line T1 is arranged for the extended pixels 26 lining up left and right on top of the LCD 310 . A gate line B1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extended pixels 26 lined up left and right in the lowermost part of the LCD 310 . In addition, source lines L1 and L2 ar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two columns of extended pixels 26 arranged vertically from the left end of the LCD 310 . Source lines R1 and R2 are arranged for two columns of extended pixels 26 arranged vertically from the right end of the LCD 310 .

LCD(310)의 최상부로부터 2행째의 좌우로 늘어서는 확장 화소(26)에 대해서는, 게이트선 1∼3 중 임의의 하나를 게이트선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LCD(310)의 최하부로부터 2행째의 좌우로 늘어서는 확장 화소(26)에 대해서는, 게이트선 4∼6 중 임의의 하나를 게이트선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the extended pixels 26 arranged left and right in the second row from the top of the LCD 310, any one of the gate lines 1 to 3 can be used as the gate line. For the extended pixels 26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second row from the bottom of the LCD 310, any one of the gate lines 4 to 6 can be used as the gate line.

LCD(310)의 좌단부로부터 3행째의 상하에 1개씩 배치되는 확장 화소(26)에 대해서는, 소스선 1∼3 중 임의의 하나를 소스선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LCD(310)의 우단부로부터 3행째의 상하에 1개씩 배치되는 확장 화소(26)에 대해서는, 소스선 4∼6 중 임의의 하나를 소스선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the extended pixels 26 arranged one at a time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third row from the left end of the LCD 310, any one of the source lines 1 to 3 can be used as the source line. For the extended pixels 26 arranged one at a time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third row from the right end of the LCD 310, any one of the source lines 4 to 6 can be used as the source line.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확장 화소(26)의 화소 피치가, 유효 화소(16)의 화소 피치의 정수배가 되도록 설계한다. 이에 의해, 회로 구성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유효 화소(16)와 확장 화소(26)에서 게이트선(312)이나 소스선(316)을 공유시키는 것도 가능해져, 회로 구성 및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the pixel pitch of the expansion pixel 26 is designed to be an integer multiple of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16 . Thereby, the design of a circuit structure becomes easy. For example, it becomes possible to share the gate line 312 and the source line 316 in the effective pixel 16 and the expansion pixel 26, and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the simplification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물론, 유효 화소(16) 및 확장 화소(26)의 수, 형상, 및 사이즈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LCD(310)의 형상이나 크기에 맞추어 임의로 유효 화소(16) 및 확장 화소(26)의 수, 형상, 및 사이즈가 설정되어도 된다.Of course, the number, shape, and size of the effective pixel 16 and the expansion pixel 26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number, shape, and size of the effective pixel 16 and the expansion pixel 26 may be arbitrarily set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LCD 310 .

도 5는 LCD(310)에 의해 생성된 화상 광의 투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상기에서도 기재하였지만, LCD(310)에 의해 생성된 화상 광을,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광(W2)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면 중의 투사 렌즈부(50)는, 도 1에 나타내는 투사 시스템(400) 내의 복수의 투사 렌즈(410)를 포함하는 렌즈 광학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jection of image light generated by the LCD 310. As shown in FIG. Although described above, the image light generated by the LCD 310 will be described as the image light W2 shown in FIG. 1 . The projection lens unit 50 in the drawing schematically shows a lens optical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 lenses 410 in the projection system 400 shown in FIG. 1 .

LCD(310)는, 복수의 유효 화소(16), 복수의 확장 화소(26), 및 프레임(36)을 갖는다. 프레임(36)은 확장 화소(26)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LCD(310)를 기능시키기 위한 주변 회로를 내장한다.The LCD 310 has a plurality of effective pixels 16 , a plurality of expansion pixels 26 , and a frame 36 . The frame 36 is arrang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expansion pixel 26 , and contains peripheral circuitry for functioning the LCD 310 .

LCD(310)에 의해 생성된 화상 광(W2)은, 소정의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를 향해 출사된다. 투사 렌즈부(50)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입사하는 화상 광(W2)을, 소정의 광축 방향을 따라 스크린(60)에 투사한다.The image light W2 generated by the LCD 310 is emitted toward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projects the image light W2 incident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on the screen 60 along a predetermined optical axis direction.

전형적으로는, 소정의 방향은 투사 렌즈부(50)(투사 렌즈 광학계)의 광축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소정의 광축 방향은, 화상 표시 장치(500)의 광축 방향이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사 렌즈부(50)는, 입사하는 화상 광(W2)에 대해, 상하 좌우가 반전된 화상을, 스크린(60)에 투사한다. 한편, 이러한 투사 광학계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ypically, the predetermined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projection lens unit 50 (projection lens optical system).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optical axis direction becomes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 Further, as shown in FIG. 5 , the projection lens unit 50 projects an image inver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the screen 60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image light W2 . On the other hand, it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such a projection optical system.

또한, 실제로는, 투사 렌즈부(50)에 의해, LCD(310)에 의해 생성된 화상 광(W2)이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되어 스크린(60)에 투사된다. 스크린(60)에 표시되는 투사 화상(30)의 화상 사이즈는, 투사 렌즈부(50)의 확대율, 및 스크린(60)과 화상 표시 장치(500)의 거리 등에 의해 정해진다.Also, in reality, by the projection lens unit 50 , the image light W2 generated by the LCD 310 is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nd projected on the screen 60 . The image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30 displayed on the screen 60 is determined by the magnification of the projection lens unit 50 ,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6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 and the like.

이후에, 화상 광(W2)에 대한 투사 화상(30)의 확대율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그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 5에서는, LCD(310)에 의해 생성된 화상 광(W2)이 확대되지 않고, 스크린(60)에 투사되는 도면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화상 광(W2)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확대율로 확대되어 스크린(60)에 투사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라고 말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enlargement ratio of the projection image 30 with respect to the image light W2 will be explained. In order to make the explanation easy to understand, in Fig. 5, a diagram in which the image light W2 generated by the LCD 310 is not magnified and projected on the screen 60 is schematically shown. This figure can be said to be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tate in which the image light W2 is expanded at the same magnification as a whole and projected on the screen 60. As shown in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LCD(310)의 확장 화소 영역(25)의 화소 피치가, 유효 화소 영역(15)의 화소 피치보다 크게 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CD(310)에 의해 생성된 화상 광(W2)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확대율로 확대되어 스크린(60)에 투사된다(도 5의 예에서는 등배율).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the pixel pitch of the extended pixel region 25 of the LCD 310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region 15 . Then, as shown in Fig. 5, the image light W2 generated by the LCD 310 is expanded at the same magnification as a whole and projected on the screen 60 (in the example of Fig. 5, equal magnification).

따라서, 확장 화소 광(27)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의 해상도가, 유효 화소 광(17)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10)의 해상도보다 낮게 되도록, 화상 광(W2)이 투사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예시한 것처럼, 중앙이 고해상이며, 그 주변이 저해상이 되는 투사 화상(30)을 투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고품질의 화상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ly, the image light W2 is projected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expanded image constituted by the expanded pixel light 27 is low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effective image 10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17 . Thereby, as illustrated in FIG. 2, it becomes possible to project the projection image 30 whose center is high resolution and the periphery is low resolution.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high-quality image display.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사 렌즈부(50)는, 제1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가, 제2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화상 광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로서 기능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jection lens unit 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mage state of the first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first pixel light is different from the image state of the second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second pixel light; It functions as a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projecting image light.

또한, 투사 렌즈부(50)는, 유효 화소 광(17)(제1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1 투사부, 및 확장 화소 광(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2 투사부로서도 기능한다. 한편, 투사 렌즈부(50)의, 유효 화소 광(17)에 대해 광학적인 작용을 미치는 부분을 제1 투사부로서 간주하고, 확장 화소 광(27)에 대해 광학적인 작용을 미치는 부분을 제2 투사부로서 간주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so functions as a first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the effective pixel light 17 (first pixel light) and as a second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the expanded pixel light (second pixel light). . On the other hand, the portion of the projection lens unit 50 that has an optical action on the effective pixel light 17 is regarded as the first projection section, and the portion that has an optical action on the expanded pixel light 27 is the second It is also possible to regard it as a projection unit.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다음의 사항이 성립한다. 즉, 제1 투사부는 소정의 확대율로 유효 화소 광을 투사하고, 제2 투사부는 제1 투사부와 동등한 확대율로 확장 화소 광을 투사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following matters are established. That is, the first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effective pixel light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expanded pixel light at the same magnification as the first projection unit.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도 9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도 9는, 유효 화상 및 확장 화상의 투사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도 9에 예시하는 구성에서는, 투사 화상(30)의 확장 화상(20)의 면적을 보다 크게 하기 위해, 마이크로렌즈가 추가된다. 한편, 확장 화상의 면적이 커지면, 확장 화상의 해상도는 더욱 낮아진다.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 6 to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projecting an effective image and an extended image. In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S. 6 to 9 , a microlens is added to further increase the area of the extended image 20 of the projected image 30 . On the other hand, as the area of the extended image increases, the resolution of the extended image becomes lower.

마이크로렌즈는, LCD(310)와는 별개로 구성되어도 되고, LCD(310)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마이크로렌즈의 구체적인 구성도 한정되지 않고, 프레넬 렌즈나 회절 렌즈 등의 임의의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그 밖에, 마이크로렌즈를 실현하기 위한 임의의 기술이 사용되어도 된다.The microlens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LCD 310 or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LCD 310 . In addition, the specific structure of a microlens is not limited, either, Arbitrary structures, such as a Fresnel lens and a diffractive lens, may be employ|adopted. In addition, any technique for realizing a microlens may be used.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확장 화소 영역(25)을 덮도록, 제1 마이크로렌즈(51) 및 제2 마이크로렌즈(52)가 배치된다. 즉, 확장 화소(26)로부터 출사되는 확장 화소 광(27)의 광로 상에, 제1 마이크로렌즈(51) 및 제2 마이크로렌즈(52)가 배치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1st microlens 51 and the 2nd microlens 52 are arrange|positioned so that the expanded pixel area|region 25 may be covered. That is, the first microlens 51 and the second microlens 52 are disposed on the optical path of the expansion pixel light 27 emitted from the expansion pixel 26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마이크로렌즈(51) 및 제2 마이크로렌즈(52)는, 확장 화소 광(27)을 확대시켜, 소정의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에 입사시킨다. 이에 의해, 확장 화상(20)이 더욱 확대된 투사 화상(30)을 스크린(60)에 투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더욱 현장감이 있는 화상 표시가 실현되어, 고품질의 시청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LCD(310)를 대형화시키지 않고, 투사 화상(30)의 확장 화상(20)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장치의 소형화에 매우 유리하다.As shown in FIG. 6 , the first microlens 51 and the second microlens 52 enlarge the expanded pixel light 27 and make it enter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ject the projected image 30 in which the expanded image 20 is further enlarged on the screen 60 . As a result, a more realistic image display is realiz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viewing experience. Further, it becomes possible to enlarge the expanded image 20 of the projected image 30 without enlarging the LCD 310, which is very advantageous for downsizing the device.

또한, 도 6에서는, 확장 화소 광(27)은, 제1 마이크로렌즈(51) 및 제2 마이크로렌즈(52)에 의해 프레임(36) 방향으로 퍼지도록 스크린(60)에 투사된다. 그 결과, 확장 화소 영역(25)의 면적에 대해, 보다 넓게 확장 화상(20)을 스크린(60)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프레임(36)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활용함으로써 협프레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in FIG. 6 , the expanded pixel light 27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60 so as to spread in the frame 36 direction by the first microlens 51 and the second microlens 52 .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the expanded image 20 on the screen 60 more widely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expanded pixel region 25 .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narrow the frame by utilizing the area|region in which the frame 36 is arrange|positioned.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 제1 마이크로렌즈(51) 및 제2 마이크로렌즈(52)는, 제1 투사부보다 큰 확대율로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2 투사부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마이크로렌즈(51) 및 제2 마이크로렌즈(52)는, 확장 화소 광(27)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시켜, 소정의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부로서 기능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 the first microlens 51 and the second microlens 52 function as a part of the second projection unit that projects the second pixel light at a larger magnification than the first projection unit. In addition, the first microlens 51 and the second microlens 52 are magnifying lens units that magnify at least a part of the expanded pixel light 27 and make it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function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확장 화소 영역(25)을 덮도록, 제3 마이크로렌즈(53)가 배치된다. 즉, 확장 화소(26)로부터 출사되는 확장 화소 광(27)의 광로 상에, 제3 마이크로렌즈(53)가 배치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3rd microlens 53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the expanded pixel area|region 25 may be covered. That is, the third microlens 53 is disposed on the optical path of the expansion pixel light 27 emitted from the expansion pixel 26 .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마이크로렌즈(53)는, 확장 화소 광(27)을,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에 입사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사 렌즈부(50)의 앞단측에서, 확장 화소 광이 교차하도록, 확장 화소 광(27)이 투사 렌즈부(50)에 입사된다.As shown in FIG. 7 , the third microlens 53 makes the expanded pixel light 27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projection lens unit 50 , the extended pixel light 27 is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so that the extended pixel light intersects.

이에 의해, 확장 화상(20)이 더욱 확대된 투사 화상(30)을 스크린(60)에 투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더욱 현장감이 있는 화상 표시가 실현되어, 고품질의 시청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LCD(310)를 대형화시키지 않고, 투사 화상(30)의 확장 화상(20)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장치의 소형화에 매우 유리하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oject the projected image 30 in which the expanded image 20 is further enlarged on the screen 60 . As a result, a more realistic image display is realiz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viewing experience. Further, it becomes possible to enlarge the expanded image 20 of the projected image 30 without enlarging the LCD 310, which is very advantageous for downsizing the device.

도 6에 나타내는 예와의 차이로서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확장 화소 영역(25)을 확대시켰을 경우, 투사 렌즈부(50)에 수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확장 화소 영역(25)의 면적에 맞추어 투사 렌즈부(50)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As a difference from the example shown in FIG. 6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 when the expanded pixel area 25 is enlarged, it enters the projection lens unit 50 perpendicularly, so that the projection fits the area of the expanded pixel area 25 .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lens unit 50 .

그러나,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확장 화소 영역(25)을 확대시켰을 경우에도, 제3 마이크로렌즈(53)의 곡률 등을 조정함으로써 투사 렌즈부(50)의 사이즈를 바꿀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이미 정해진 사이즈의 투사 렌즈 그대로 확장 화상(20)을 크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Howev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 even when the expanded pixel area 25 is enlarged,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size of the projection lens unit 50 by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third microlens 53 or the like.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the expanded image 20 large as it is with a projection lens of a predetermined size.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마이크로렌즈(52)에 의해 확장 화소 광이 투사 렌즈에 대해 유효 화소 광과 동일한 방향으로 입사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이 광학계의 설계상의 편차로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의 일부분이 겹쳐지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since the expanded pixel light is not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ffective pixel light by the second microlens 52,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panded image 20 are Due to variations in the design of this optical system, a part of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tended image 20 may overlap.

이 경우,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의 겹침을 방지하는 방법의 예로서, 겹쳐진 부분의 유효 화소(16) 또는 확장 화소(26)를 흑색 표시로 하는 방법, 및 LCD(310) 상에서 유효 화소(16)와 확장 화소(26)의 사이를 비우는 방법을 들 수 있다.In this case, as an example of a method of preventing the overlapping of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tended image 20, the effective pixel 16 or the extended pixel 26 of the overlapping portion is displayed in black, and the LCD 310 A method of emptying the space between the effective pixel 16 and the expansion pixel 26 is exemplified.

이에 의해,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의 겹침이 방지되어,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가능해진다.Thereby, the overlapping of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tended image 20 is prevented, and high-quality image display becomes possible.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 제3 마이크로렌즈(53)는, 제1 투사부보다 큰 확대율로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2 투사부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3 마이크로렌즈(53)는, 확장 화소 광(27)의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부로서 기능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 the third microlens 53 functions as a part of the second projection unit that projects the second pixel light at a larger magnification than the first projection unit. In addition, the third microlens 53 functions as a magnifying lens unit for making at least a part of the expanded pixel light 27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확장 화소 영역(25)의 일부를 덮도록, 제4 마이크로렌즈(54)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유효 화소 영역(15)의 중앙 영역(18)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28)을 덮도록, 제4 마이크로렌즈(54)가 배치된다. 외측 영역(28)은, 확장 화소 영역(25)의 가장자리측 영역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제4 마이크로렌즈(54)는, 외측 영역(28)에 포함되는 확장 화소(26)로부터 출사되는 확장 화소 광(27)의 광로 상에 배치되게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4th microlens 54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a part of the expanded pixel area|region 25 may be covered. Specifically, the fourth microlens 54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outer region 28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entral region 18 of the effective pixel region 15 . The outer region 28 can also be referred to as an edge-side region of the expanded pixel region 25 . The fourth microlens 54 is disposed on the optical path of the expanded pixel light 27 emitted from the expanded pixel 26 included in the outer region 28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마이크로렌즈(54)는, 외측 영역(28)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화소 광(27)을,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에 입사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사 렌즈부(50)의 앞단측에서, 확장 화소 광(27)이 교차하도록, 확장 화소 광(27)이 투사 렌즈부(50)에 입사된다.As shown in FIG. 8 , the fourth microlens 54 makes the expanded pixel light 27 generated by the outer region 28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make it In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projection lens unit 50 , the expanded pixel light 27 is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so that the expanded pixel light 27 intersects.

이에 의해, 외측 영역(28)에 대응하는 확장 화상(20)이 더욱 확대된 투사 화상(30)을 스크린(60)에 투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더욱 현장감이 있는 화상 표시가 실현되어, 고품질의 시청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LCD(310)를 대형화시키지 않고, 투사 화상(30)의 확장 화상(20)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장치의 소형화에 매우 유리하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oject the projected image 30 in which the expanded image 20 corresponding to the outer region 28 is further enlarged on the screen 60 . As a result, a more realistic image display is realiz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high-quality viewing experience. Further, it becomes possible to enlarge the expanded image 20 of the projected image 30 without enlarging the LCD 310, which is very advantageous for downsizing the device.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유효 화소(16)와 인접하는 확장 화소(26)로부터 출사되는 확장 화소 광이 스크린에 수직으로 입사하기 때문에, 유효 화소 광과 확장 화소 광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since the expansion pixel light emitted from the expansion pixel 26 adjacent to the effective pixel 16 is vertically incident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ffective pixel light and the expansion pixel light from overlapping. becomes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 제4 마이크로렌즈(54)는, 제1 투사부보다 큰 확대율로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2 투사부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4 마이크로렌즈(54)는, 확장 화소 광(27)의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부로서 기능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fourth microlens 54 functions as a part of the second projection unit that projects the second pixel light at a larger magnification than the first projection unit. In addition, the fourth microlens 54 functions as a magnifying lens unit for making at least a part of the expanded pixel light 27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한편, 도 6에 예시하는 제1 마이크로렌즈(51) 및 제2 마이크로렌즈(52)를, 외측 영역(28)만을 덮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마이크로렌즈(51) 및 제2 마이크로렌즈(52)는, 외측 영역(28)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화소 광(27)을 확대시켜, 소정의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에 입사시킨다. 이에 의해, 외측 영역(28)에 대응하는 확장 화상(20)이 더욱 확대된 투사 화상(30)을 스크린(60)에 투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first microlens 51 and the second microlens 52 illustrated in FIG. 6 so as to cover only the outer region 28 . In this case, the first microlens 51 and the second microlens 52 enlarge the expanded pixel light 27 generated by the outer region 28, and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enter into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ject the projected image 30 in which the expanded image 20 corresponding to the outer region 28 is further enlarged on the screen 60 .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확장 화소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확장 화소(26)의 각각에 제5 마이크로렌즈(55)가 배치된다. 즉, 하나의 확장 화소(26)에 대해, 하나의 제5 마이크로렌즈(55)가 배치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the 5th microlens 55 is arrange|positioned in each of the some expansion pixel 26 included in the expansion pixel area|region. That is, for one expansion pixel 26 , one fifth microlens 55 is disposed.

복수의 제5 마이크로렌즈(55)는, 각각의 확장 화소(26)로부터 출사되는 확장 화소 광(27)을,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에 입사시킨다. 이에 의해, 확장 화상(20)이 더욱 확대된 투사 화상(30)을 스크린(60)에 투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5 마이크로렌즈(54)의 각각은, 배치되는 확장 화소(26)의 위치에 따른 곡률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확장 화상(20)의 면적 등을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져,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실현된다.The plurality of fifth microlenses 55 make the expanded pixel light 27 emitted from each expanded pixel 26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ject the projected image 30 in which the expanded image 20 is further enlarged on the screen 60 .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fifth microlenses 54 may be designed to have a curvat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ranged expansion pixel 26 .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finely control the area of the expanded image 20, etc., and high-quality image display is implement|achieved.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예의 차이로서는, 확장 화소(26)의 각각에 제5 마이크로렌즈(55)가 사용됨으로써, 확장 화소(26)마다 제5 마이크로렌즈(55)의 곡률을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스크린(60)에 표시되는 확장 화상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As a difference between the example shown in FIG. 9 and the example shown in FIGS. 7 and 8 , since the fifth microlens 55 is used for each of the expansion pixels 26 , the fifth microlens 55 is applied for each expansion pixel 26 . It becomes possible to change the curvature. Thereby, the position of the extended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60 can be controlled.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광학계의 설계상의 편차로 겹쳐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확장 화소 광이 투사되는 위치를 각각의 제5 마이크로렌즈(55)에 의해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유효 화소 광(17)과 확장 화소 광(27)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similarly to the example shown in FIG. 7, it may overlap due to the design deviation of an optical system. In this case, since the position at which the extended pixel light is projected can be controlled by each of the fifth microlenses 55 , the effective pixel light 17 and the extended pixel light 27 can be prevented from overlapping.

또한, 확장 화소 광(27)이 투사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500)와 스크린(60)의 거리에 따라, 겹쳐진 부분의 유효 화소(16) 또는 확장 화소(26)를 제어함으로써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jected position of the extended pixel light 27 can be controlled, the effective pixel 16 or the extended pixel 26 in the overlapping por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and the screen 60 . Overlapping can be prevented by controlling.

한편, 제1 마이크로렌즈(51), 제2 마이크로렌즈(52), 제3 마이크로렌즈(53), 제4 마이크로렌즈(54), 및 제5 마이크로렌즈에 사용되는 렌즈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및 액정 렌즈 등의 임의의 렌즈가 사용되어도 된다.Meanwhile, the types of lenses used for the first microlens 51 , the second microlens 52 , the third microlens 53 , the fourth microlens 54 , and the fifth microlens are not limited. For example, any lens such as a convex lens, a concave lens, and a liquid crystal lens may be used.

또한 제1 마이크로렌즈(51), 제2 마이크로렌즈(52), 제3 마이크로렌즈(53), 제4 마이크로렌즈(54), 및 제5 마이크로렌즈가 배치되는 위치도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LCD(310)의 각 화소에 내장되거나, LCD(310)의 각 화소에 부착되어도 된다.Also, the positions of the first microlens 51 , the second microlens 52 , the third microlens 53 , the fourth microlens 54 , and the fifth microlens are not limited. For example, it may be embedded in each pixel of the LCD 310 or attached to each pixel of the LCD 310 .

즉, 제1 마이크로렌즈(51), 제2 마이크로렌즈(52), 제3 마이크로렌즈(53), 제4 마이크로렌즈(54), 및 제5 마이크로렌즈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효 화상(10) 및 확장 화상(20)이 피투사물에 대해 서로 다른 화상 상태가 되게 투사되도록 임의의 종류나 곡률로 구성되어도 된다.That is, the first microlens 51, the second microlens 52, the third microlens 53, the fourth microlens 54, and the fifth microlens are the effective images ( 10) and the extended image 20 may be configured to be of any kind or curvature so as to be projected on the object in different image states.

제조 공정을 고려한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마이크로렌즈(51)를 LCD(310)의 각 화소에 부착하고, 제2 마이크로렌즈(52)를 떼어서 배치하면 만들기 쉽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3 마이크로렌즈(53)를 LCD(310)에 부착하면 만들기 쉽다. 나아가,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4 마이크로렌즈(54) 및 제5 마이크로렌즈(55)를 LCD(310)에 내장하면 만들기 쉽다.Whe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nsider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it is easy to manufacture if the 1st microlens 51 is attached to each pixel of the LCD 310, and the 2nd microlens 52 is detached and arrange|positioned.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if the 3rd microlens 53 is attached to the LCD 310, it is easy to make. Furthermore,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8 and 9, it is easy to manufacture if the fourth microlens 54 and the fifth microlens 55 are incorporated in the LCD 310. As shown in Figs.

LCD(310)에 제1 마이크로렌즈(51), 제2 마이크로렌즈(52), 제3 마이크로렌즈(53), 제4 마이크로렌즈(54), 및 제5 마이크로렌즈가 내장되는 경우, 사용되는 렌즈는, 비구면 볼록 렌즈, 오목 렌즈를 기초로 한 프레넬 렌즈, 또는 회절 렌즈를 들 수 있다. 이들 렌즈의 경우, 용이하게 화상 표시 장치(500)를 제조 가능해진다.A lens used when the first microlens 51, the second microlens 52, the third microlens 53, the fourth microlens 54, and the fifth microlens are embedded in the LCD 310 is an aspherical convex lens, a Fresnel lens based on a concave lens, or a diffractive lens. In the case of these lenses,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can be easily manufactured.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 제5 마이크로렌즈(55)는, 제1 투사부보다 큰 확대율로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2 투사부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5 마이크로렌즈(55)는, 확장 화소 광(27)의 적어도 일부를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투사 렌즈부(50)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부로서 기능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 the fifth microlens 55 functions as a part of the second projection unit that projects the second pixel light at a larger magnification than the first projection unit. Further, the fifth microlens 55 functions as a magnifying lens unit for making at least a part of the expanded pixel light 27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50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a predetermined direction.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500)에서는, 유효 화소 영역(15)에 의해 생성되는 유효 화소 광(17)과, 확장 화소 영역(25)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화소 광(27)을 포함하는 화상 광(W2)이 생성된다. 그리고 유효 화소 광(17)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10)의 화상 상태가, 확장 화소 광(27)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20)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화상 광(W2)이 투사된다. 이에 의해,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ffective pixel light 17 generated by the effective pixel area 15 and the expanded pixel light 27 generated by the expanded pixel area 25 are separated. The containing image light W2 is generated. Then, the image light W2 is projected so that 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10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17 is different from the image state of the expanded image 20 constituted by the expanded pixel light 27 . do. Thereby, high-quality image display becomes possible.

현장감이 있는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복수 대의 프로젝터의 블렌딩으로 대화면이며 고해상도로, 또는 1대의 프로젝터의 특수 설계의 렌즈를 사용하여 중앙은 중간 해상도, 주변일수록 저해상도로 표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복수 대의 프로젝터나 특수 설계의 렌즈를 사용한 프로젝터에서는 비용이 증가되어 버린다.In the case of performing image display with a sense of reality, for example, a large screen and high resolution by blending multiple projectors, or using a specially designed lens for one projector to display at medium resolution at the center and low resolution at the periphery hav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rojector using a plurality of projectors or specially designed lenses, the cost increases.

이에, 본 기술에서는, 1대의 프로젝터의 표시 패널의 유효 화소 영역에 저해상도의 주변 화소를 추가한다. 추가된 주변 화소는, 유효 화소의 화소 사이즈와 동등 이하로 저해상도로 한다. 또한, 주변 화소는, 외주로 퍼지도록 마이크로렌즈의 설계를 행해도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technology, low-resolution peripheral pixels are added to the effective pixel area of the display panel of one projector. The added peripheral pixels are set to have a lower resolution equal to or less than the pixel size of the effective pixel. In addition, you may design a microlens so that the peripheral pixel may spread to the outer periphery.

즉, 스크린에 투사되는 투사 화상은, 확장 화소에 의해 중앙에 표시되는 유효 화상이 넓게 확장되어, 사용자의 시야가 화상으로 채워진다. 그 결과, 1대의 프로젝터로 중앙은 고해상도, 주변은 저해상도가 되는 투사 화상을 기존의 렌즈를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가능해진다.That is, in the projection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the effective image displayed in the center is widened by the expansion pixel, and the user's field of view is filled with the image.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a projection image with a high resolution in the center and low resolution in the periphery with a single projector using an existing lens at low cost. Thereby, high-quality image display becomes possible.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PNL) 내의 표시 영역(AA)이 가지는 주변 표시 영역(PA)이, 프레임 영역(PF) 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고정세화된다. 즉, 주변 표시 영역(PA)은, 중앙 표시 영역(C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화소 밀도가 커진다.In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described above, the peripheral display area PA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AA in the display panel PNL becomes higher in definition as it approaches the frame area PF direction. That is, the pixel density of the peripheral display area PA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display area CA increases.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PNL) 상에 사각 형상의 투광성 커버(TC)가 배치된다. 투광성 커버(TC)는, 평판부(TCF)와 투광성 커버(TC)의 4변에 설치된 렌즈부(TCL)를 갖는다. 렌즈부(TCL)는, 주변 표시 영역(PA)의 고정세 화상 광을 프레임 영역(PF) 측으로 굴절시켜, 프레임 상에 허상을 표시시킨다.Moreover, in the display device of patent document 1, the transparent cover TC of a rectangular shape is arrange|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PNL. The translucent cover TC has a flat plate part TCF and a lens part TCL provided on four sides of the translucent cover TC. The lens unit TCL refracts the high-definition image light of the peripheral display area PA toward the frame area PF to display a virtual image on the frame.

프레임 상에 표시되는 주변 표시 영역(PA)의 화소 밀도가 중앙 표시 영역(CA)에 표시되는 화소 밀도에 비해, 렌즈에 의해 확대됨으로써 영상의 화질 저하가 일어난다. 특허문헌 1에서는, 이를 보정하기 위해 주변 표시 영역(PA)의 화소 밀도를 프레임 영역(PF) 방향에 가까워질수록 고밀도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서는, 중앙 표시 영역(CA)에 표시되는 영상과 프레임 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을 균일하게 하는 것을 중요한 목적으로 하여, 기술의 개시가 이루어져 있다.As the pixel density of the peripheral display area PA displayed on the frame is enlarged by the lens compared to the pixel density displayed on the central display area CA, the image quality deteriorates. 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correct this, the pixel density of the peripheral display area PA is made to be higher as it approaches the frame area PF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Patent Document 1, a technique is disclosed for the important purpose of making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central display area CA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frame uniform.

즉, 특허문헌 1에는, 본 기술에 따른 「제1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가, 제2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화상 광을 투사한다」라고 하는 기술 사상에 대해서는 기재나 시사는 없고, 특허문헌 1에 기초하여 본 기술을 용이하게 생각해내는 것 등도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된다.That is, in Patent Docume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image light such that the image state of the first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first pixel light is different from the image state of the second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second pixel light. There is no description or suggestion about the technical idea of "projecting a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본 기술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이후의 설명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화상 표시 장치(500)에서의 구성 및 작용과 마찬가지의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An image display apparatus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after this, the description is omitted or simplified about the same parts a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도 10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LCD(318)의 화소 영역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에서는, 도시를 간소화하기 위해, 유효 화소(66) 및 확장 화소(76)의 수가 적게 도시되어 있다. 물론, 유효 화소 및 확장 화소의 수는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되어도 된다.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ixel region of an LCD 318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In Fig. 10, the number of effective pixels 66 and expansion pixels 76 is shown to be small in order to simplify the illustration. Of course, the number of effective pixels and expansion pixels is not limited and may be set arbitrarily.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장 화소(76)의 화소 피치는, 유효 화소(66)의 화소 피치와 동등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유효 화소(66) 및 확장 화소(76)의 화소 피치가 서로 동등한 경우, 게이트선(312)이나 소스선(316) 등의 배선을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조 가능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pixel pitch of the expansion pixel 76 is designed to be equal to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66 . When the pixel pitches of the effective pixel 66 and the extended pixel 76 are equal to each other, the wiring such as the gate line 312 and the source line 316 can have a simpl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사 렌즈부(50)나, 마이크로렌즈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배치함으로써, 유효 화소 광(17)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10)의 화상 상태가, 확장 화소 광(27)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20)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화상 광(W2)을 투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도 9에 예시한 구성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다른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y appropriately designing and arranging the projection lens unit 50 , microlens, or the like, 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10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17 is changed to the expanded pixel light 27 . It is possible to project the image light W2 so as to be different from the image state of the extended image 20 constituted b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mploy|adopt the structure etc. illustrated in FIGS. 6-9.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may be employed.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11은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LCD(319)의 화소 영역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에서는, 도시를 간소화하기 위해, 유효 화소(67) 및 확장 화소(86)의 수가 적게 도시되어 있다. 물론, 유효 화소(67) 및 확장 화소(86)의 수는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되어도 된다.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ixel region of an LCD 319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technology. In Fig. 11, the number of effective pixels 67 and expansion pixels 86 is shown to be small in order to simplify the illustration. Of course, the number of effective pixels 67 and expansion pixels 86 is not limited and may be set arbitrarily.

LCD(319)는, 복수의 유효 화소(67)와, 복수의 확장 화소(86)와, 게이트 드라이버(311L)와, 게이트 드라이버(311R)와, 소스 드라이버(315T)와, 소스 드라이버(315B)와, 복수의 게이트선(312)과, 복수의 소스선(316)을 갖는다.The LCD 319 includes a plurality of effective pixels 67, a plurality of expansion pixels 86, a gate driver 311L, a gate driver 311R, a source driver 315T, and a source driver 315B.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312 and a plurality of source lines 316 .

각 유효 화소(67) 및 각 확장 화소(86)에 대응하여, 게이트선 및 소스선이 배치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유효 화소(67) 및 유효 화소(67)와 동일한 게이트선 및 소스선에 늘어서는 확장 화소(86)에 대해, 게이트선 1a 및 1b∼6a 및 6b와 소스선 1a 및 1b∼6a 및 6b 중 임의의 하나의 게이트선 및 소스선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Corresponding to each effective pixel 67 and each expansion pixel 86, a gate line and a source line are arrang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with respect to the effective pixel 67 and the extended pixels 86 arranged on the same gate line and source line as the effective pixel 67, the gate lines 1a and 1b to 6a and 6b, the source lines 1a and It is possible to use any one of 1b to 6a and 6b as the gate line and the source line.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LCD(319)의 4 코너부에 배치되는 확장 화소(86)에 대해, 게이트선 T1∼T4 및 게이트선 B1∼B4 중 임의의 하나를, 게이트선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LCD(319)의 4 코너부에 배치되는 확장 화소(86)에 대해, 소스선 L1∼L4 및 소스선 R1∼R4 중 임의의 하나를, 소스선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any one of the gate lines T1 to T4 and the gate lines B1 to B4 is used as the gate line for the expansion pixel 86 arrang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LCD 319. it is possible Further, for the expansion pixel 86 arrang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LCD 319, it is possible to use any one of the source lines L1 to L4 and the source lines R1 to R4 as the source line.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장 화소(76)의 화소 피치는 유효 화소(67)의 화소 피치보다 작게 되도록 설계된다. 즉, 확장 화소 영역(25)에 배치되는 화소의 밀도를 크게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ixel pitch of the expansion pixel 76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67 . That is, the density of pixels arranged in the expanded pixel region 25 is increased.

이에 의해, 확장 화소(86)의 화소 피치가 좁게 배치됨으로써, LCD(319) 전체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화상 표시 장치(500)를 제조할 때의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As a result, the pixel pitch of the expansion pixels 86 is arranged narrow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LCD 319 . That is, the cost reduction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becomes possible.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사 렌즈부(50)나, 마이크로렌즈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배치함으로써, 유효 화소 광(17)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10)의 화상 상태가, 확장 화소 광(27)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20)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화상 광(W2)을 투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도 9에 예시한 구성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다른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y appropriately designing and arranging the projection lens unit 50 , microlens, or the like, 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10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17 is changed to the expanded pixel light 27 . It is possible to project the image light W2 so as to be different from the image state of the extended image 20 constituted b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mploy the configuration or the like illustrated in Figs. 6 to 9 .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may be employed.

LCD(319)가 화상 표시 장치(500)에 사용된 경우, 투사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6∼도 9에 나타내는 예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이에 의해, 투사되는 확장 화상의 해상도는 유효 화상의 해상도보다 낮아진다.When the LCD 319 is us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any one of the examples shown in Figs. 6 to 9 is used as the projection method. Thereby, the resolution of the projected extended image becomes low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effective image.

본 기술에서는, 확장 화소(86)로부터 출사되는 확장 화상(20)의 해상도는, 사용자의 주변 시야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정되고 있기 때문에 중앙에 표시되는 유효 화상(10)보다 해상도가 낮아도 된다. 즉, 확장 화상(20)은 핀트가 맞지 않아 흐려져 있는 것 같은 저해상도라 하더라도, 사용자는 충분히 영상에 둘러싸인 것 같은 현장감을 체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technology, the resolution of the expanded image 20 emitted from the expanded pixel 86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effective image 10 displayed in the center because it is assumed to be included in the user's peripheral field of view. That is, even if the extended image 20 has a low resolution that is blurred due to out-of-focus, the user can sufficiently experience a sense of presence as if surrounded by the image.

또한, 본 기술에 있어서, 확장 화소(86)의 화소 피치가, 중앙에 배치되는 유효 화소(67)의 화소 피치보다 좁게 되도록 배치되는 이유는, 확장 화소(86)의 화소 피치가 좁을수록 출사되는 확장 화소 광의 스크린(60)에 투사되는 위치의 제어를 미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technology, the reason that the pixel pitch of the expansion pixel 86 is arranged to be narrower than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67 arranged at the center is that the narrower the pixel pitch of the expansion pixel 86, the more light is emitted. One in which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extended pixel light projected on the screen 60 can be performed finely is mentioned.

즉, 본 기술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확장 화소 광이 투사되는 위치를 제어하여,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이 겹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확장 화소(86)의 화소 피치가 유효 화소(67)의 화소 피치보다 좁게 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현장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고품질의 화상 표시가 가능해진다.That is, in the present technology,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 the pixel of the expansion pixel 86 is controlled a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pansion image 20 from overlapping by controll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expanded pixel light is projected. They are arranged so that the pitch is narrower than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s 67 .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a high-quality image which does not impair the user's sense of presence.

한편, 전형적으로는, 확장 화상의 해상도가 유효 화상의 해상도보다 낮은 투사 화상(30)이 표시된다. 이로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따라서는, 확장 화상의 해상도가 유효 화상의 해상도보다 높은 투사 화상(30)이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에 예시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On the other hand, typically, the projection image 30 is displayed in which the resolution of the extended image is low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effective image.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ojection image 30 whose resolution of an extended image is higher than the resolution of an effective image may be displayed depending on a use etc.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5 may be employ|adopted.

[화소 구성의 다른 예][Another example of pixel configuration]

도 12∼도 15는 LCD(310)의 화소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12 to 15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ixel configuration of the LCD 310 .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유효 화소 영역(131) 내에, 균등한 화소 피치로 복수의 유효 화소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유효 화소(130)는, WUXGA(Wide Ultra Extended Graphics Array), WQXGA(Wide Quad Extended Graphics Array), 및 4k 등의 임의의 화소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2 to 14 , in the effective pixel area 131 , a plurality of effective pixels are arranged at equal pixel pitches. For example, the effective pixel 130 may have arbitrary pixel structures, such as WUXGA (Wide Ultra Extended Graphics Array), WQXGA (Wide Quad Extended Graphics Array), and 4k.

유효 화소 영역(131) 주변의 확장 화소 영역(141)에는, 화소 사이즈가 다른 복수의 종류의 확장 화소(140)가 배치된다. 한편, 확장 화소(140)의 화소 사이즈는, 유효 화소(130)의 화소 사이즈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다. 이에 의해, 회로 구성 및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A plurality of types of expansion pixels 140 having different pixel sizes are disposed in the expansion pixel area 141 around the effective pixel area 131 . Meanwhile, the pixel size of the expansion pixel 140 is set based on the pixel size of the effective pixel 130 . Thereby, it is possible to aim at the simplification of a circuit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process.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LCD(310)의 화소 영역이, 유효 화소 영역(131)의 4변을 연장한 직선(132∼135)에 의해 구분된다. 나아가, 유효 화소 영역(131)을 4×4의 합계 16개의 유효 화소(130)를 하나의 단위로서 구분하는 직선(132∼135)에 의해, LCD(310)의 화소 영역이 구분된다. 이들 직선(132∼135)에 의해 구분된 영역에 상당하는 화소 사이즈의 확장 화소(142)가 각각 배치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 the pixel regions of the LCD 310 are divided by straight lines 132 to 135 extending four sides of the effective pixel region 131 . Furthermore, the pixel area of the LCD 310 is divided by straight lines 132 to 135 that divide the effective pixel area 131 into a total of 16 effective pixels 130 of 4x4 as one unit. Expansion pixels 142 having a pixel size corresponding to the regions divided by these straight lines 132 to 135 are respectively arranged.

도 12에 나타내는 화소 구성에 의하면, 유효 화상(10)의 상하 좌우로 인접하는 영역에서는, 유효 화상(10)보다 낮은 해상도로 확장 화상(20)이 표시된다. 그리고, 투사 화상(30)의 4 코너부에서, 가장 해상도가 낮은 확장 화상(20)이 표시된다.According to the pixel configuration shown in FIG. 12 , the extended image 20 is displayed at a resolution lower than that of the effective image 10 in the regions adjacent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effective image 10 . Then, in the four corners of the projected image 30, the extended image 20 with the lowest resolution is displayed.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확장 화소(145)의 화소 사이즈는, 유효 화소 영역(13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즉, 확장 화소(145)는, 유효 화소 영역(131)과 인접하는 위치가 가장 미세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유효 화소 영역(131)과 인접하는 확장 화소(145)의 제어를 미세하게 행할 수 있어,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 the pixel size of the expansion pixel 145 may be arranged so as to increase furthe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effective pixel region 131 . That is, in the extended pixel 145 ,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effective pixel area 131 is the most minutely arranged. This makes it possible to finely control the effective pixel region 131 and the adjacent extended pixel 145, and prevent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tended image 20 from overlapping.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유효 화상(10)의 인접하는 부분에서는 해상도가 비교적 높은 확장 화상(20)이 표시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 화상(20)의 해상도가 낮게 되도록 표시된다.Moreov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the extended image 20 with a comparatively high resolution is displayed in the part adjacent to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resolution of the extended image 20 is displayed so that it may become low toward the outside.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예보다 더욱 유효 화소 영역(15)의 근처에서 더 미세하게 나누어진다. 유효 화상(10)의 인접하는 부분에서는 해상도가 비교적 높은 확장 화상(20)이 표시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해상도가 낮게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division is more finely di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ffective pixel area 15 tha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An extended image 20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lution is displayed in an adjacent portion of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resolution becomes lower toward the outside.

이와 같이 화소 사이즈가 다른 복수의 종류의 확장 화소(140)가 배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확장 화소 영역(141)의 화소 피치는,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하는 화소간의 화소 피치의 평균값에 의해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효 화소(130)의 화소 피치에 비해, 확장 화소 영역(141)의 화소 피치의 평균이 작은 경우, 확장 화소(140)의 화소 피치가 유효 화소(130)의 화소 피치보다 작다고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화소 피치가 규정되어도 된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types of expansion pixels 140 having different pixel sizes may be disposed. In this configuration, the pixel pitch of the extended pixel region 141 can be defined by, 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f the pixel pitch between pixels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average of the pixel pitch of the extended pixel region 141 is small compared to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130 , it is said that the pixel pitch of the extended pixel 140 is smaller than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 130 . It is also possible Of course, the pixel pitch may be defined by other parameters.

한편, 도 12∼도 14에 예시하는 화소 구성에서는, 표시되는 확장 화상(20)의 해상도는, 확장 화상 전체에서 균일하게는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에도, 예를 들면, 확장 화소 영역(141)에 포함되는 확장 화소(140)의 밀도에 기초하여, 확장 화상(20)의 해상도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화상의 해상도가 규정되어도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ixel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S. 12 to 14 ,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ed extended image 20 is highly likely not to become uniform throughout the extended image. Even in this cas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resolution of the expanded image 20 based on the density of the expanded pixels 140 included in the expanded pixel area 141 . Of course, the resolution of the image may be defined by other parameters.

유효 화소(130)의 화소 피치가 균등하지 않은 경우나, 유효 화상(10)의 해상도가 화상 전체에서 균일하게 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화소 피치의 평균이나 화소의 밀도 등을 사용하여, 화소 피치나 해상도 등을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 may be cases in which the pixel pitch of the effective pixels 130 is not uniform or the resolution of the effective image 10 is not uniform throughout the image. Even in such a case, it is possible to define a pixel pitch, a resolution, etc. using the average of pixel pitch, the density of a pixel, etc.

도 15에 나타내는 예는, 투사 화상(30)의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의 일례이다.The example shown in FIG. 15 is an example of the method of preventing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tended image 20 of the projection image 30 from overlapping.

공간(150)은, 회로도를 구성하기 위한 배선이 지나가고, 광을 차광하는 영역이다. 유효 화소(130) 및 확장 화소(145)로부터 출사되는 각 화소 광은, 투사 렌즈부(50)나 제1 마이크로렌즈(51) 등에 의해,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의 사이가 비어 있지 않도록 투사한다.The space 150 is a region through which wiring for constituting the circuit diagram passes and light is blocked. Each pixel light emitted from the effective pixel 130 and the extended pixel 145 is separated from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tended image 20 by the projection lens unit 50 or the first microlens 51 or the like. Project so that it is not empty.

이와 같이, 유효 화상(10)과 확장 화상(20)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의 예는, 유효 화소와 인접하는 확장 화소를 미세하게 배치하는 것 이외에, 유효 화소 영역(131)과 확장 화소(145)의 사이에 공간(150)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method of preventing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tended image 20 from overlapping in this way, the effective pixel area 131 and the extended pixel ( For example, forming the space 150 between the 145 .

한편, 유효 화소(130) 및 확장 화상(145)의 화소 사이즈 및 화소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효 화소(130)의 화소 사이즈는, 확장 화소(145)의 화소 사이즈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사이즈이어도 된다. 이 경우, 확장 화소(145)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xel size and the number of pixels of the effective pixel 130 and the extended image 145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pixel size of the effective pixel 130 may be a size not divisible by the pixel size of the expansion pixel 145 . In this case, the expansion pixel 145 is arranged at an arbitrary position.

또한, 공간(150)은 흑색 표시의 화소가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유효 화소(130) 또는 확장 화소(145)로서, 공간(150)에 해당하는 영역에 소정의 화소 수로 흑색 표시를 행하는 화소가 배치되어도 된다.In addition, for the space 150, black display pixels may be used. For example, as the effective pixel 130 or the expansion pixel 145 , a pixel for performing black display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s may be arrang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pace 150 .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간(150)은, 제1 화소 영역과 제2 화소 영역의 사이에, 화소 광이 생성되지 않는 비생성 영역에 상당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ce 150 corresponds to a non-generation region in which pixel light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first pixel region and the second pixel region.

<그 밖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본 기술은,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실시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The present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other various embodiments can be realized.

도 16∼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반사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3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900)의 모식도이다. 광원 장치(600)로부터 출사된 백색 광(W1)이 RGB의 각 광으로 분리되어, RGB용의 반사형 표시 패널(701R, 701G, 및 701B)에 입사된다.16 to 20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display device 900 of a three-plate system using a reflective display panel. The white light W1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device 600 is separated into each light of RGB, and is incident on the reflective display panels 701R, 701G, and 701B for RGB.

반사형 표시 패널(701)에 의해 생성된 적색의 화상 광(R1), 녹색의 화상 광(G1), 및 청색의 화상 광(B1)은 합성되어, 풀 컬러의 화상 광(W2)으로서, 투사 시스템(800)에 의해 투사된다. 반사형 표시 패널(701)로서는, 예를 들면 반사형 LCD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DMD)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The red image light R1, green image light G1, and blue image light B1 generated by the reflective display panel 701 are synthesized and projected as full-color image light W2. projected by system 800 . As the reflective display panel 701, for example, a reflective LCD,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or the like may be used.

이러한 반사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3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900)에 대해,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RGB용의 반사형 표시 패널(701R, 701G, 및 701B)을 본 기술에 따른 화상 생성부로 하여, 유효 화소 영역 및 확장 화소 영역을 각각 설정한다. 그리고, 유효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의 화상 상태와, 확장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의 화상 상태가 다르도록, 화상 광(W2)이 투사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화소 구성이나, 마이크로렌즈 등이 적절히 사용되어도 된다.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technology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900 of the three-plate system using such a reflective display panel. For example, by using the RGB reflective display panels 701R, 701G, and 701B as the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an effective pixel area and an extended pixel area are respectively set. Then, the image light W2 is projected so that 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is different from the image state of the extended image constituted by the expanded pixel light. Of course, the various pixel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microlenses, and the like may be suitably used.

도 17은 자발광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3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950)의 모식도이다. RGB용의 자발광형 표시 패널(911R, 911G, 및 911B)에 의해, 적색의 화상 광(R1), 녹색의 화상 광(G1), 및 청색의 화상 광(B1)이 생성된다. RGB 각 색의 화상이 광 합성되어, 풀 컬러의 화상 광(W2)으로서, 투사 시스템(930)에 의해 투사된다. 자발광형 표시 패널(911)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EL(Organic Electro Luminescence) 패널 등이 사용된다.17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display device 950 of a three-plate system using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A red image light R1, a green image light G1, and a blue image light B1 are generated by the RGB self-luminous display panels 911R, 911G, and 911B. Images of RGB colors are optically synthesized and projected by the projection system 930 as full-color image light W2. As the self-luminous display panel 911 , for example, an organic EL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panel or the like is used.

이러한 자발광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3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950)에 대해,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RGB용의 자발광형 표시 패널(911R, 911G, 및 911B)을 본 기술에 따른 화상 생성부로 하여, 유효 화소 영역 및 확장 화소 영역을 각각 설정한다. 그리고, 유효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의 화상 상태와, 확장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의 화상 상태가 다르도록, 화상 광(W2)이 투사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화소 구성이나, 마이크로렌즈 등이 적절히 사용되어도 된다.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technology to the image display device 950 of the three-plate system using such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For example, by using the self-luminous display panels 911R, 911G, and 911B for RGB as the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an effective pixel area and an extended pixel area are respectively set. Then, the image light W2 is projected so that 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is different from the image state of the extended image constituted by the expanded pixel light. Of course, the various pixel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microlenses, and the like may be suitably used.

도 18은 투과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1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의 모식도이다. 화상 표시 장치(1000)에서는, 컬러 휠(1020)을 사용하여 색을 표현하는 투사 광학계를 가지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1000)에서는, 적색의 화상 광(R1), 녹색의 화상 광(G1), 및 청색의 화상 광(B1)이 시분할로 투사 시스템(930)에 의해 투사된다.1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display device of a single-pane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display pane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0 has a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expressing colors using a color wheel 1020 .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0 , the red image light R1 , the green image light G1 , and the blue image light B1 are projected by the projection system 930 in a time division manner.

이러한 반사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1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1000)에 대해,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사형 표시 패널을 본 기술에 따른 화상 생성부로 하여, 유효 화소 영역 및 확장 화소 영역을 각각 설정한다. 그리고, 유효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의 화상 상태와, 확장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의 화상 상태가 다르도록, 시분할로, RGB의 각 색의 화상 광이 투사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화소 구성이나, 마이크로렌즈 등이 적절히 사용되어도 된다.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technology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0 of the one-plate system using such a reflective display panel. For example, using the reflective display panel as the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an effective pixel area and an extended pixel area are respectively set. Then, the image light of each color of RGB is projected in a time division manner so that 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and the image state of the extended image constituted by the extended pixel light are different. Of course, the various pixel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microlenses, and the like may be suitably used.

도 19는 컬러 필터를 내장한 투과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1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의 모식도이다. 표시 패널(1031)에는 백색 광(W1)이 입사된다. 표시 패널(1031)의 하나의 화소에 대해, RGB의 서브 화소가 구성되어 있다. RGB의 서브 화소에서 컬러 필터를 통과한 RGB의 각 색 광이 변조되어, 풀 컬러의 화상 광(W2)이 투사 시스템(930)에 의해 투사된다.19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of a single-pane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display panel having a built-in color filter. White light W1 is incident on the display panel 1031 . For one pixel of the display panel 1031, RGB sub-pixels are configured. Light of each color of RGB passing through the color filter in the sub-pixel of RGB is modulated, and the full-color image light W2 is projected by the projection system 930 .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1030)에 대해,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RGB의 서브 화소가 구성되어 있는 투과형 표시 패널을 본 기술에 따른 화상 생성부로 하여, 유효 화소 영역 및 확장 화소 영역을 각각 설정한다. 이 때에는, RGB의 서브 화소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유효 화소 영역 및 확장 화소 영역이 설정된다.For such an image display device 1030,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technology. For example, using a transmissive display panel including RGB sub-pixels as the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an effective pixel area and an extended pixel area are respectively set. In this case, an effective pixel area and an extended pixel area are set with one pixel constituted by RGB sub-pixels as a unit.

유효 화소 광(유효 화소의 RGB의 서브 화소에 의해 생성되는 광)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의 화상 상태와, 확장 화소 광(확장 화소의 RGB의 서브 화소에 의해 생성되는 광)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의 화상 상태가 다르도록, 풀 컬러의 화상 광이 투사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화소 구성이나, 마이크로렌즈 등이 적절히 사용되어도 된다.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light generated by the RGB sub-pixels of the effective pixel) and the expansion constituted by the expanded pixel light (the light generated by the RGB sub-pixels of the expanded pixel) Full-color image light is projected so that the image state of the image is different. Of course, the various pixel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microlenses, and the like may be suitably used.

한편,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화소의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RGB에 더하여, W의 서브 화소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같은 색의 서브 화소가 복수 개 설치되어도 된다. 어느 쪽이든, 서브 화소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ub-pixels constituting one pixel is not limited. In addition to RGB, sub-pixels of W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b-pixels of the same color may be provided. In either cas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technology to one pixel constituted by sub-pixels as a unit.

도 20은 자발광형 표시 패널을 사용한 1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의 모식도이다. 표시 패널(1041)의 하나의 화소에 대해, RGB의 서브 화소가 구성되어 있다. RGB의 서브 화소에 의해 RGB의 각 색의 화상 광이 생성되어, 풀 컬러의 화상 광(W2)이 투사 시스템(930)에 의해 투사된다. RGB의 각 색의 화상 광을 출사 가능한 구성이 사용되어도 되고, 컬러 필터를 통해 RGB의 각 색의 화상 광이 생성되어도 된다.Fig. 2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of a single-plate system using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For one pixel of the display panel 1041, RGB sub-pixels are configured. Image light of each color of RGB is generated by the sub-pixels of RGB, and full-color image light W2 is projected by the projection system 930 . A configuration capable of emitting image light of each color of RGB may be used, or image light of each color of RGB may be generated through a color filter.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1040)에 대해,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RGB의 서브 화소가 구성되어 있는 자발광형 표시 패널을 본 기술에 따른 화상 생성부로 하여, 유효 화소 영역 및 확장 화소 영역을 각각 설정한다. 이 때에는, RGB의 서브 화소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유효 화소 영역 및 확장 화소 영역이 설정된다.For such an image display device 1040,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technology. For example, an effective pixel area and an extended pixel area are respectively set by using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including RGB sub-pixels as the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In this case, an effective pixel area and an extended pixel area are set with one pixel constituted by RGB sub-pixels as a unit.

유효 화소 광(유효 화소의 RGB의 서브 화소에 의해 생성되는 광)에 의해 구성되는 유효 화상의 화상 상태와, 확장 화소 광(확장 화소의 RGB의 서브 화소에 의해 생성되는 광)에 의해 구성되는 확장 화상의 화상 상태가 다르도록, 풀 컬러의 화상 광이 투사된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화소 구성이나, 마이크로렌즈 등이 적절히 사용되어도 된다.The image state of the effective image constituted by the effective pixel light (light generated by the RGB sub-pixels of the effective pixel) and the expansion constituted by the expanded pixel light (the light generated by the RGB sub-pixels of the expanded pixel) Full-color image light is projected so that the image state of the image is different. Of course, the various pixel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microlenses, and the like may be suitably used.

도 21은 투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가 RGB 3화소인 경우의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LCD(1050)는 LCD(1031)나 LCD(1041)의 일례이다.Fig. 2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in the case where the pixels for displaying the projected image are RGB 3 pixels. The LCD 1050 is an example of the LCD 1031 or the LCD 1041 .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CD(1050)는 복수의 유효 화소(1060) 및 복수의 확장 화소(1070)를 갖는다. 복수의 확장 화소(1070)는, 도 4의 LCD(310)와 마찬가지로, 유효 화소(1060)보다 화소 피치가 넓게 되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1 , the LCD 1050 has a plurality of effective pixels 1060 and a plurality of expansion pixels 1070 . The plurality of expansion pixels 1070 are arranged such that the pixel pitch is wider than that of the effective pixels 1060 , similarly to the LCD 310 of FIG. 4 .

복수의 유효 화소(1060)는, 적색 광을 출사 가능한 R 유효 화소, 녹색 광을 출사 가능한 G 유효 화소, 및 청색 광을 출사 가능한 B 유효 화소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유효 화소(1060)는 R 유효 화소, G 유효 화소, 및 B 유효 화소의 순으로 H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각각의 색의 유효 화소는 V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effective pixels 1060 includes an R effective pixel capable of emitting red light, a G effective pixel capable of emitting green light, and a B effective pixel capable of emitting blue light. Further, the plurality of effective pixels 1060 are arranged along the H direction in the order of R effective pixels, G effective pixels, and B effective pixels. Effective pixels of each color are arranged along the V direction.

또한, 마찬가지로, 복수의 확장 화소(1070)는, 적색 광을 출사 가능한 R 확장 화소(1071), 녹색 광을 출사 가능한 G 확장 화소(1072), 및 청색 광을 출사 가능한 B 확장 화소(1073)를 갖는다. R 확장 화소(1071), G 확장 화소(1072), 및 B 확장 화소(1073)는 H 방향을 따라 RGB의 순으로 늘어서 있고, V 방향을 따라 각 확장 화소마다 배치된다.Similarly, the plurality of expansion pixels 1070 include an R expansion pixel 1071 capable of emitting red light, a G expansion pixel 1072 capable of emitting green light, and a B expansion pixel 1073 capable of emitting blue light. have The R expansion pixel 1071 , the G expansion pixel 1072 , and the B expansion pixel 1073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RGB along the H direction, and are arranged for each expansion pixel along the V direction.

피투사물에 투사되는 유효 화상 및 확장 화상은, 각 색의 유효 화소 및 확장 화소에 의해 다양한 색의 화상을 출사한다. 그 결과, 피투사물에 풀 컬러의 투사 화상이 투사된다.The effective image and the extended image projected on the to-be-projected object emit images of various colors by the effective pixel and extended pixel of each color. As a result, a full-color projection image is projected on the target object.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색의 유효 화소 및 확장 화소는, 색도 조정의 용이함으로부터 화소의 사이즈 비율이 동일하다. 물론, 이로 한정되지 않고, 휘도를 우선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녹색 광을 출사 가능한 G 유효 화소 및 B 확장 화소(1073)의 화소 사이즈를 크게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색도를 우선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강조하고 싶은 색도에 맞춘 각 색의 화소의 사이즈 비율로 해도 된다. 나아가, 예를 들면, 밝기를 우선시하는 경우에는, RGB에 백색(W) 광이 추가된 RGBW 4화소가 사용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ffective pixel and the extended pixel of each color have the same pixel size ratio for ease of chromaticity adjustmen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it is desired to give priority to luminance, the pixel sizes of the G effective pixel and the B expansion pixel 1073 capable of emitting green light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give priority to chromaticity, it is good also as a size ratio of the pixel of each color matched with the chromaticity to be emphasized. Further, for example, when the brightness is given priority, RGBW 4 pixels in which white (W) light is added to RGB may be used.

RGB 3화소의 LCD(1050)에서도, 도 5∼도 9에 나타내는 예를 사용함으로써, 투사 화상(30)이 투사된다. 즉, 유효 화소(1060)에 의해 생성되는 유효 화소 광과 확장 화소(1070)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화소 광을 포함하는 화상 광이 생성되어, 스크린에 유효 화상 및 확장 화상의 해상도가 다르게 투사된다.Also in the RGB 3-pixel LCD 1050, the projected image 30 is projected by using the examples shown in Figs. That is, image light including the effective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effective pixel 1060 and the expanded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expansion pixel 1070 is generated, and the effective image and the expanded image are projected on a screen with different resolutions.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대의 화상 표시 장치(500)에 의해 투사 화상(30)이 생성 및 투사되었다. 이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대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투사 화상이 생성 및 투사되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ojection image 30 was generated and projected by one image display device 500 .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ojection image may be generated and projected by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도 22는 투사 화상의 블렌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H 방향 및 V 방향을 나타내는 축(점선)이 기재되어 있다. 화살표 방향을 정(正)의 방향이라고 하고, H축과 V축의 교점이 원점이다.2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blending of a projected image. In FIG. 22 , axes (dotted lines) indicating the H direction and the V direction ar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called the positive direction, and the intersection of the H-axis and the V-axis is the origin.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대의 화상 표시 장치(500a, 500b, 500c, 및 500d)는, 사각 형상의 투사 화상(1300)의 4 코너 중 하나를 포함하는 투사 화상(1250a, 1250b, 1250c, 및 1250d)을 도시하지 않은 스크린에 투사한다. 또한, 각 투사 화상(1250a, 1250b, 1250c, 및 1250d)의 2변은 H축 및 V축에 접하고 있다. 즉, 투사 화상(1250a, 1250b, 1250c, 및 1250d)이 스크린에 투사됨으로써, 1매의 화상을 나타내는 투사 화상(1300)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22, the four image display apparatuses 500a, 500b, 500c, and 500d include projection images 1250a, 1250b, 1250c, and 1250d) is projected on a screen (not shown). In addition, two sides of each of the projection images 1250a, 1250b, 1250c, and 1250d are in contact with the H-axis and the V-axis. That is, the projection images 1250a, 1250b, 1250c, and 1250d are projected on the screen, whereby the projection image 1300 representing one image is displayed.

투사 화상(1250a)은 H축 방향 부(負)의 방향과 V축 방향 정의 방향과의 영역에 배치된다. 투사 화상(1250a)은, 원점을 포함하는 위치에 투사되는 유효 화상(1100a)과, 유효 화상(1100a)의 H축 방향 부의 방향과 V축 방향 정의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확장 화상(1200a)을 갖는다.The projected image 1250a is arranged in a region betwee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H-axis and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V-axis. The projected image 1250a includes an effective image 1100a projected to a position including the origin, and an expanded image 1200a disposed adjacent to the negative H-axis direction and the positive V-axis direction of the effective image 1100a. have

확장 화상(1200a)은 유효 화상(1100a)을 H축 방향 부의 방향과 V축 방향 정의 방향으로 확대한 화상이다. 즉, 확장 화상(1200a)의 해상도는 유효 화상(1100a)의 해상도보다 낮게 되도록 투사된다.The expanded image 1200a is an image in which the effective image 1100a is enlarged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H-axis direction and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V-axis direction. That is, the resolution of the extended image 1200a is projected to be low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effective image 1100a.

마찬가지로, 투사 화상(1250b)은, H축 방향 부의 방향과 V축 방향 부의 방향과의 영역에 배치된다. 투사 화상(1250b)은, 원점을 포함하는 위치에 투사되는 유효 화상(1100b)과, 유효 화상(1100b)의 H축 방향 부의 방향과 V축 방향 부의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확장 화상(1200b)을 갖는다.Similarly, the projected image 1250b is arranged in a region of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H-axis direction and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V-axis direction. The projected image 1250b includes an effective image 1100b projected at a position including the origin, and an extended image 1200b disposed adjacent to the negative H-axis direction and the negative V-axis direction of the effective image 1100b. have

투사 화상(1250c)은, H축 방향 정의 방향과 V축 방향 부의 방향과의 영역에 배치된다. 투사 화상(1250c)은, 원점을 포함하는 위치에 투사되는 유효 화상(1100c)과, 유효 화상(1100c)의 H축 방향 정의 방향과 V축 방향 부의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확장 화상(1200c)을 갖는다.The projected image 1250c is arranged in a region betwee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H-axis direction and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V-axis direction. The projected image 1250c includes an effective image 1100c projected to a position including the origin, and an extended image 1200c disposed adjacent to the positive H-axis direction and the negative V-axis direction of the effective image 1100c. have

투사 화상(1250d)은, H축 방향 정의 방향과 V축 방향 정의 방향과의 영역에 배치된다. 투사 화상(1250d)은, 원점을 포함하는 위치에 투사되는 유효 화상(1100d)과, 유효 화상(1100d)의 H축 방향 정의 방향과 V축 방향 정의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확장 화상(1200d)을 갖는다.The projected image 1250d is arranged in a region between the H-axis direction positive direction and the V-axis direction positive direction. The projected image 1250d includes an effective image 1100d projected to a position including the origin, and an extended image 1200d disposed adjacent to the H-axis direction and V-axis direction positive directions of the effective image 1100d. have

4대의 화상 표시 장치(500a, 500b, 500c, 및 500d)는, 투사 화상(1250a, 1250b, 1250c, 및 1250d)의 H축 및 V축에 접하고 있는 영역에서 블렌딩을 행한다. 블렌딩은, 복수의 화상의 각 화상의 접하는 영역 또는 겹쳐지는 영역의 이음매가 두드러지지 않도록 보정하는 기술이다. 그 결과, 투사 화상(1250a, 1250b, 1250c, 및 1250d)이 하나의 화상인 투사 화상(1300)으로서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이에 의해, 보다 큰 화상이 스크린에 투사됨으로써 영상에 둘러싸인 것 같은 현장감을 체험할 수 있다.The four image display devices 500a, 500b, 500c, and 500d perform blending in areas in contact with the H-axis and V-axis of the projected images 1250a, 1250b, 1250c, and 1250d. Blending is a technique of correcting so that the seams of the areas in contact with each image or the overlapping areas of the plurality of images are not conspicuous. As a result, the projection images 1250a, 1250b, 1250c, and 1250d are recognized by the user as the projection image 1300 which is one image. Thereby, a larger image is projected on the screen, and a sense of presence as if surrounded by an image can be experienced.

즉,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4개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해, 중앙이 고정세이고 주변이 저해상도인 투사 화상(1300)이 투사된다. 이 경우, LCD의 유효 화소 영역 및 확장 화소 영역도 설정된다.That i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2, the projection image 1300 of which the center is high definition and the periphery is low resolution is projected by four image display apparatuses. In this case, an effective pixel area and an extended pixel area of the LCD are also set.

한편, 화상 표시 장치(500)가 행하는 투사 화상의 보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투사 화상(1250a, 1250b, 1250c, 및 1250d)의 휘도나 색조를 보정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돔형이나 다면형과 같은 만곡한 스크린의 경우, 표시되는 영역에 따라 투사 화상(1250a, 1250b, 1250c, 및 1250d)의 왜곡 등이 보정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correction of the projection image performed b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luminance or color tone of the projected images 1250a, 1250b, 1250c, and 1250d may be corrected. Fur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urved screen such as a dome-shaped or multi-faceted screen, the distortion of the projected images 1250a, 1250b, 1250c, and 1250d may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displayed are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확장 화상(20)은, 유효 화상(10)을 확대한 화상이 사용되었다. 이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화상이 확장 화상(20)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영상에 원래 확장 화상(20)이 준비된 화상 데이터가 사용되어도 된다. 즉, 화상 표시 장치(500)의 기능을 갖지 않는 텔레비전 등에서는, 디스플레이에 유효 화상(10)만이 표시되고, 화상 표시 장치(500)의 기능을 갖는 프로젝터에서는, 유효 화상(10) 및 확장 화상(20)이 투사되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as the expanded image 20, an enlarged image of the effective image 10 was used.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images may be used as the extended image 2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image data in which the expanded image 20 was originally prepared for the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may be used. That is, in a television etc. which do not have the func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only the effective image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in the projector which has the func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the effective image 10 and the extended image ( 20) may be projected.

이외에도, 투사되는 특정 시간의 영상의 전후가 화상 분석됨으로써 확장 화상(20)이 생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캐릭터가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달리고 있는 영상 등의 경우, 화면 우측의 확장 화상은 캐릭터가 현재 달리고 있는 영상보다 과거의 영상의 배경이 사용되어도 된다. 즉, 좌측의 확장 화상은, 캐릭터가 앞으로 달려서 빠져나갈 장소의 배경 영상(미래의 영상)이 사용되고, 우측의 확장 화상은, 캐릭터가 달려서 빠져나간 장소의 배경 영상이 사용된다.In addition, the extended image 20 may be generated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projected image of a specific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mage in which the character is running from right to left, the background of the image in the past may be used as the extended image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rather than the image in which the character is currently running. That is, for the left extended image, a background image (future image) of a place where the character runs forward and exits is used, and for the right extended image, a background image of a place where the character runs and exits is used.

상기 도 1, 도 16 및 도 17에 기재된 투사 광학계에서는, 3매의 LCD가 사용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로 한정되지 않고, LCD 대신에 DMD(Digital Mirror Device)가 사용되어도 된다. DMD는, LCD에 비해 경년열화가 적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고, 장기간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500)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해진다.In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described in Figs. 1, 16 and 17, a method in which three LCDs are used was used.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DMD (Digital Mirror Device) may be used instead of an LCD. Since DMD has little aging deterioration compared with LCD, reliability is high, and long-term use becomes possible. Moreover, since the number of components which compris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can be suppressed, weight reduction and size reduction are attain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LCD 이외에도,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LCD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보다 고정세 투사 화상을 투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o the LCD used in the above embodiment, 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may be used.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project a high-definition projection image rather than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an LC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500)는, 스크린(60)의 바로 정면에 배치되어 있었다. 즉, 화상 표시 장치(500)는, 투사되는 투사 화상(30)이 스크린(60)에 대해 수직으로 입사하도록 배치되었다. 이로 한정되지 않고, 화상 표시 장치(500)는, 스크린(60)에 투사 화상(30)을 투사 가능한 위치라면 임의로 배치되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is disposed directly in front of the screen 60 . That i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is arranged so that the projected image 30 to be projected is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screen 60 .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may be arrange|positioned arbitrarily as long as it is a position where the projection image 30 can be projected on the screen 60. As shown in FIG.

이 경우, 화상 표시 장치(500)는, 피투사물에 대해 배치된 위치나 방향에 기초하여 다양한 보정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투사 화상(30)이 스크린(60)에 대해 비스듬히 입사될 때, 화상 표시 장치(500)는, 유효 화상(10)의 종이나 횡의 사다리꼴 왜곡을 보정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500)는, 확장 화상(20)의 해상도가 낮아도 되기 때문에, 확장 화상(20)의 사다리꼴 왜곡을 보정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확장 화상(20)의 사다리꼴 왜곡을 보정해도 된다.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may perform various corrections based on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to-be-projected object. For example, when the projected image 30 is incident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screen 60 ,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may correct the paper or lateral trapezoidal distortion of the effective image 10 . In addition, sinc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may have a low resolution of the extended image 20, it is not necessary to correct the trapezoidal distortion of the extended image 20.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trapezoidal distortion of the expanded image 20 may be corrected.

이외에도, 화상 표시 장치(500)는, 유효 화상(10)의 포커스가 맞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500)는, 투사 화상(30)에 적합한 화면 종횡비로 투사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500)는, 스크린(60)의 사이즈(면적)에 기초하여, 투사 화상(30)이 투사될 때의 면적을 제어해도 된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may automatically control the effective image 10 to be in focus. Further, the image display device 500 may be controlled so as to project at a screen aspect ratio suitable for the projected image 30 .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500 may control the area when the projection image 30 is projected based on the size (area) of the screen 60 .

본 개시에 있어서, 「동등하다」, 「동일」, 「균일」, 「중심」, 「중앙」, 「수직」, 「평행」 등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실질적으로 동일」, 「실질적으로 균일」, 「실질적으로 중심」, 「실질적으로 중앙」, 「실질적으로 수직」, 「실질적으로 평행」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equal", "same", "uniform", "center", "center", "vertical", "parallel", etc.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substantially the same", " A concept including "substantially uniform", "substantially centered", "substantially central", "substantially perpendicular", "substantially parallel", and the like.

예를 들면, 「완전히 동등한」, 「완전히 동일」, 「완전히 균일」, 「완전히 중심」, 「완전히 중앙」, 「완전히 수직」, 「완전히 평행」 등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10%의 범위)에 포함되는 상태도 포함된다. 따라서, 「대략 동등하다」 등과 같은 개념도 「동등하다」 등에 포함되는 개념이 된다.For example, "completely equal", "completely identical", "perfectly uniform", "perfectly centered", "perfectly centered", "perfectly perpendicular", "perfectly parallel", etc. , within the range of ±10%) is also included. Accordingly, a concept such as "approximately equal" becomes a concept included in "equal to" and the like.

한편, 본 개시 중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효과의 기재는, 그들의 효과가 반드시 동시에 발휘된다고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조건 등에 따라, 적어도 상기한 효과 중 어느 하나가 얻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물론, 본 개시 중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가 발휘될 가능성도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described in this indication is an illustration to the last, It is not limited, Another effect may exist. The description of the plurality of effects does not mean that those effects are necessarily exhibited at the same time. It means that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effects is obtained depending on conditions and the like, of cour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ffect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xhibited.

이상 설명한 각 형태의 특징 부분 중, 적어도 2개의 특징 부분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다양한 특징 부분은, 각 실시형태의 구별 없이, 임의로 조합되어도 된다.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at least two characteristic parts among the characteristic parts of each aspect demonstrated above. That is, the various characteristic parts demonstrat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rbitrarily, without distinction of each embodiment.

한편,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technology can also tak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1) 제1 화소 영역과 제2 화소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화소 광과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2 화소 광을 포함하는 화상 광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와,(1) generating image light having a first pixel area and a second pixel area, the image light including first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pixel area and second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pixel area; an image generator;

상기 제1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가, 상기 제2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including a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projecting the image light such that an image state of a first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first pixel light is different from an image state of a second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second pixel light; display device.

(2)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2)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1), comprising: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화상 생성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이며,The first pixel area is a central are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인 화상 표시 장치.The second pixel area is a peripheral area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area.

(3)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3)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1) or (2),

상기 화상 상태는 화상의 해상도를 포함하고,The image state include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1 부분 화상의 해상도가 상기 제2 부분 화상의 해상도와 다르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projects the image light so that a resolution of the first partial image is different from a resolution of the second partial image.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4)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2 부분 화상의 해상도가 상기 제1 부분 화상의 해상도보다 낮게 되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projects the image light so that a resolution of the second partial image is lower than a resolution of the first partial image.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5)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는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와 다른, 화상 표시 장치.and a pixel pitch of the first pixel region is different from a pixel pitch of the second pixel region.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6)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는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보다 큰 화상 표시 장치.A pixel pitch of the second pixel area is greater than a pixel pitch of the first pixel area.

(7)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7)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는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와 동등한, 화상 표시 장치.and a pixel pitch of the first pixel region is equal to a pixel pitch of the second pixel region.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8)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1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1 투사부와, 상기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2 투사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includes a first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the first pixel light and a second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the second pixel light.

(9) (8)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9)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8), comprising:

상기 제1 투사부는, 소정의 확대율로, 상기 제1 화소 광을 투사하고,The first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first pixel light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상기 제2 투사부는, 상기 제1 투사부보다 큰 확대율로, 상기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The second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second pixel light with a larger magnification than the first projection unit.

(10) (8)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10)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8), comprising:

상기 제1 투사부는, 소정의 확대율로, 상기 제1 화소 광을 투사하고,The first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first pixel light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상기 제2 투사부는, 상기 제1 투사부와 동등한 확대율로, 상기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The second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second pixel light at the same magnification as that of the first projection unit.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11)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상기 투사 광학계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입사하는 상기 화상 광을, 소정의 광축 방향을 따라 투사하는 투사 렌즈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includes a projection lens unit for projecting the image light incident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a predetermined optical axis direction.

(12) (1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12)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11),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2 화소 광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시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has a magnifying lens unit for magnif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ixel light and making it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alo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13) (1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13)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12), comprising: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화상 생성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이며,The first pixel area is a central are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이며,the second pixel region is a peripheral regio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region;

상기 확대 렌즈부는, 상기 제2 화소 광 중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상기 중앙 영역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 광을 확대시켜 상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The magnifying lens unit magnifies the pixel light generated by an outer region positioned opposite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pixel region among the second pixel lights to be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alo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 an image display device.

(14) (1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14)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11), comprising: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2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includes a magnifying lens unit for mak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image light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15) (14)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15)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14),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화상 생성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이며,The first pixel area is a central are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이며,the second pixel region is a peripheral regio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region;

상기 확대 렌즈부는, 상기 제2 화소 광 중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상기 중앙 영역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 광을 상기 소정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The magnifying lens unit may include the projection lens uni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the pixel light generated by an outer region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pixel region among the second pixel lights. An image display device to be incident.

(16) (1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16)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2) to (15),

상기 확대 렌즈부는,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의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The magnifying lens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lenses disposed in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second pixel area.

(17) (16)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17)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16),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각각은, 배치되는 화소의 위치에 따른 곡률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has a curvature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arranged pixel.

(18)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로서,(18)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7),

상기 화상 생성부는,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사이에, 화소 광이 생성되지 않는 비생성 영역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The image generating unit includes a non-generation region in which pixel light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first pixel region and the second pixel region.

 10: 유효 화상
 15: 유효 화소 영역
 20: 확장 화상
 25: 확장 화소 영역
 30: 투사 화상
 50: 투사 렌즈부
 51: 제1 마이크로렌즈
 52: 제2 마이크로렌즈
 53: 제3 마이크로렌즈
 54: 제4 마이크로렌즈
 55: 제5 마이크로렌즈
 150: 공간
 310: LCD
 400: 투사 시스템
 500: 화상 표시 장치
10: Effective image
15: effective pixel area
20: Extended image
25: expanded pixel area
30: Projection image
50: projection lens unit
51: first microlens
52: second microlens
53: third microlens
54: fourth microlens
55: fifth microlens
150: space
310: LCD
400: projection system
500: image display device

Claims (18)

제1 화소 영역과 제2 화소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화소 광과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2 화소 광을 포함하는 화상 광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와,
상기 제1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가, 상기 제2 화소 광에 의해 구성되는 제2 부분 화상의 화상 상태와 다르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An image generating unit having a first pixel area and a second pixel area and generating image light including first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pixel area and second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pixel area Wow,
a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projecting the image light so that an image state of a first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first pixel light is different from an image state of a second partial image constituted by the second pixel light;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화상 생성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이며,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인,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ixel area is a central are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and the second pixel area is a peripheral area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상태는 화상의 해상도를 포함하고,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1 부분 화상의 해상도가 상기 제2 부분 화상의 해상도와 다르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state include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projects the image light so that a resolution of the first partial image is different from a resolution of the second partial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2 부분 화상의 해상도가 상기 제1 부분 화상의 해상도보다 낮게 되도록 상기 화상 광을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projects the image light so that a resolution of the second partial image is lower than a resolution of the first partial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는,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와 다른,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pixel pitch of the first pixel region is different from a pixel pitch of the second pixe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는,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보다 큰,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pixel pitch of the second pixel region is larger than a pixel pitch of the first pixe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는,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화소 피치와 동등한,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pixel pitch of the first pixel region is equal to a pixel pitch of the second pixe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1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1 투사부와, 상기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제2 투사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has a first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the first pixel light and a second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the second pixel ligh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사부는, 미리 정해진 확대율로, 상기 제1 화소 광을 투사하고,
상기 제2 투사부는, 상기 제1 투사부보다 큰 확대율로, 상기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first pixel light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second pixel light with a larger magnification than the first projection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사부는, 미리 정해진 확대율로, 상기 제1 화소 광을 투사하고,
상기 제2 투사부는, 상기 제1 투사부와 동등한 확대율로, 상기 제2 화소 광을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first pixel light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unit projects the second pixel light with a magnification equal to that of the first proj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광학계는,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입사하는 상기 화상 광을, 미리 정해진 광축 방향을 따라 투사하는 투사 렌즈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has a projection lens unit that projects the image light incident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a predetermined optical axis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2 화소 광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시켜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has a magnifying lens unit for magnify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ixel light and making it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alo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화상 생성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이며,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이며,
상기 확대 렌즈부는, 상기 제2 화소 광 중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상기 중앙 영역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 광을 확대시켜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pixel area is a central are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the second pixel region is a peripheral regio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region;
The magnifying lens unit magnifies the pixel light generated by the outer reg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pixel region among the second pixel lights to be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alo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 an image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광학계는, 상기 제2 화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확대 렌즈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has a magnifying lens unit for mak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image light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predetermined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화상 생성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이며,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이며,
상기 확대 렌즈부는, 상기 제2 화소 광 중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상기 중앙 영역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영역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 광을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투사 렌즈부에 입사시키는, 화상 표시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pixel area is a central are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the second pixel region is a peripheral region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region;
The magnifying lens unit may include the projection lens unit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the pixel light generated by an outer region positioned opposite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pixel region among the second pixel lights.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makes it incide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렌즈부는,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의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magnifying lens unit has a plurality of microlenses disposed in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second pixel reg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의 각각은, 배치되는 화소의 위치에 따른 곡률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has a curvature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arranged pix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생성부는,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사이에, 화소 광이 생성되지 않는 비생성 영역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mage generating unit includes a non-generation region in which pixel light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first pixel region and the second pixel region.
KR1020217017807A 2018-12-18 2019-12-05 image display device KR2021010469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36510A JP2020098273A (en) 2018-12-18 2018-12-18 Image display device
JPJP-P-2018-236510 2018-12-18
PCT/JP2019/047597 WO2020129673A1 (en) 2018-12-18 2019-12-05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699A true KR20210104699A (en) 2021-08-25

Family

ID=7110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807A KR20210104699A (en) 2018-12-18 2019-12-05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098273A (en)
KR (1) KR20210104699A (en)
CN (1) CN113168080B (en)
WO (1) WO202012967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8227B2 (en) * 2020-07-30 2024-04-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Virtual Image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2661A (en) 2014-03-12 2015-10-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5238B2 (en) * 1996-06-18 2001-08-06 シャープ株式会社 Projection type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GB9930529D0 (en) * 1999-12-23 2000-02-16 Screen Tech Ltd Optical arrangement for flat-panel displays
JP2001264750A (en) * 2000-03-23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ethod for driving the same, image display device,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view finder, light receiving method and light transmitter device
JP2001324763A (en) * 2000-05-17 2001-11-22 Toshiba Corp Display device
US7283289B2 (en) * 2005-07-30 2007-10-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ion system modulator reducing distortion and field curvature effects of projection system lens
JP2007140014A (en) * 2005-11-17 2007-06-07 Seiko Epson Corp Optical low-pass filter, image display device, and projector
JP2008275817A (en) * 2007-04-27 2008-11-13 Fujitsu Ltd Hologram recording device
JP5217497B2 (en) * 2008-02-26 2013-06-19 ソニー株式会社 Image projec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image projec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20223885A1 (en) * 2011-03-02 2012-09-06 Microsoft Corporation Immersive display experience
US9316834B2 (en) * 2011-11-24 2016-04-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with foveated pixels
CN108810504A (en) * 2018-08-29 2018-11-13 歌尔股份有限公司 Image processing method, projecting method and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2661A (en) 2014-03-12 2015-10-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8080B (en) 2023-09-22
WO2020129673A1 (en) 2020-06-25
CN113168080A (en) 2021-07-23
JP2020098273A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3004B2 (en) projector
JP5320574B2 (en) In-pixel lighting system and method
JP4301304B2 (en) Image display device
JP4462288B2 (en) Video display device and three-dimensional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841725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projector
US20020159036A1 (en)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80304016A1 (en) Projector,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ixel value in projector
JP2009156898A (en) Display device
JP4966801B2 (en) Video display device
JPH10260375A (en) Liquid crystal projector and its driving method
WO2015075945A1 (en) Display device
KR20210104699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6251232A (en) Picture display device and projector
JP5707984B2 (en) projector
JP4736350B2 (en) Projector and display device
US2009012208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JPWO2018025506A1 (en) Projection display
US20070030403A1 (en) Reduced &#34;chin&#34; height projection TV
JPH11295652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6053205A (en) Multi-projection display, projector unit, and electrooptical modulator
JP4697104B2 (en) projector
JP2006330058A (en) Projector
JP4568533B2 (en) Rear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JP4653416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9204693A (en) Proj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