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428A - 비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428A
KR20210104428A KR1020200019153A KR20200019153A KR20210104428A KR 20210104428 A KR20210104428 A KR 20210104428A KR 1020200019153 A KR1020200019153 A KR 1020200019153A KR 20200019153 A KR20200019153 A KR 20200019153A KR 20210104428 A KR20210104428 A KR 20210104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damper
rim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705B1 (ko
Inventor
강현욱
최석주
김정헌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7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5Magnets integrated within the tyr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형상의 림부, 림부와 이격되면서 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트레드부, 트레드부의 내주면 및 측면과 결합하는 제1 지지부 및 제1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및 제1 지지부를 관통하여 트레드부와 결합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댐퍼의 내부로 삽입되는 댐퍼 로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를 포함하고, 트레드부로 하중이 가해지면, 댐퍼 로드는 댐퍼의 내부로 직선왕복 운동하면서 하중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공기입 타이어{A non-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림부와 트레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완충부의 댐핑 구조를 통하여 주행 시 스포크 파손에 따른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킴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공기압의 주입 여부에 따라, 공기압 타이어, 비공기입 타이어, 그리고 솔리드 타이어로 분류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공기압 타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압 타이어는 오랜 기간의 연구 개발을 통해 구조가 최적화되어 있고, 제조 비용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으나, 밀폐시킨 공기에 의해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로 인해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할 경우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주행 중 외부 물질에 의한 충격, 관통이 발생할 경우 공기가 빠지면서 타이어가 내려앉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솔리드 타이어는 타이어에 공기가 충전되지 않고 전체가 고무로된 타이어로, 공기 누출에 의한 문제는 없으나 진동 흡수 측면에서 불리하여 중장비나 특수 차량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비공기입 타이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비공기입 타이어는 압축된 공기 대신에 구조물을 통해 타이어를 지탱하므로 공기 누출이나 타어어 펑크에 의한 사고에 안전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비공기입 타이어의 예로 무공압 타이어(10-0810935 B1)가 있다. 이 특허는 환형 밴드와, 다수의 웹 스포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환형 밴드 및 웹 스포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특허는 금속 재질의 휠에 고무 재질의 타이어가 장착되는 구조로서, 타이어와 휠의 접합면에서의 파괴 및 분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외 승차감, 타이어 성능, 내구성 측면의 개선을 위해 여러 형태의 비공기입 타이어가 연구되고 있다. 한 예로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 10-1147859 B1에서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트레드, 측면을 보강한 사이드부, 내부 휠, 그리고 고분자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 구조가 제안되었다. 또 특허 10-1339821 B1에서는 진동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면 접지부의 압축하중을 분산시킨 구조의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안하였다. 그외 비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조성물에 관한 특허 10-1457863 B1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비공기입 타이어 기술은 주로 트레드, 스포크, 휠 구조 하에 트레드 및 스포크의 재질, 구조적인 개선에 관한 것으로, 비공기입 타이어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측면에서 유효하나 공기압 타이어 대비 만족할만한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예를 들어 비공기입 타이어는 공기압 타이어 대비 타이어가 딱딱하고, 수축 변형이 적을 수 밖에 없어 접지면적에 제약이 있고, 이 때문에 코너링이나 조향 성능 측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스포크 재질의 강성 측면에서 유연성이 부족하여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스포크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비공기입 타이어의 보편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일반 공기압 타이어의 성능과 유사한 수준으로 성능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특허 10-1190822와 같이 고강성 스포크를 갖춘 전기유변형 타이어에 대한 발명도 제시되어 있다. 이 특허는 타이어 트레드 내에 전기유변형 미립자와 절연성 탄성 결합체를 넣어 타이어 강성을 필요에 따라 조정하고자 한 바 있다. 그러나, 이 타이어를 실제 구현함에 있어서는 전기유변 유체의 비용, 타이어 제조의 어려움 등 상용화를 위한 난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810935호(2008.02.29.)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1147859호(2012.05.14.)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림부와 트레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완충부의 댐핑 구조를 도입하고 완충부 내부의 유변입자의 배향을 조절하여 유변 유체의 점탄성 또는 강성을 제어함으로써 주행 시 스포크 파손에 따른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킴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지지부와 탈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를 통하여 개별적 교체가 가능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링형상의 림부; 상기 림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내주면 및 측면과 결합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트레드부와 결합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댐퍼의 내부로 삽입되는 댐퍼 로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부로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댐퍼 로드는 상기 댐퍼의 내부로 직선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하중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링형상의 림부; 상기 림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림부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의 내주면 및 측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와 결합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댐퍼의 내부로 삽입되는 댐퍼 로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로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댐퍼 로드는 상기 댐퍼의 내부로 직선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하중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는 상기 림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 중 서로 이웃하는 완충부는 상기 림부의 중심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부가 개방되는 댐퍼 케이스;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실링 케이스; 상기 실링 케이스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댐퍼 케이스와 상기 실링 케이스 사이에 밀착되는 전극;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유변 유체; 및 상기 유변 유체 내에서 유동하는 유변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전기장 및 자기장 중 어느 하나의 세기에 따라 상기 유변입자를 배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는 상기 림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댐퍼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신호 전송부; 및 상기 전기신호 전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기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유변입자를 배향시켜 상기 유변 유체의 점탄성 또는 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는 제1 트레드, 제2 트레드 및 제3 트레드이고, 상기 제2 트레드는 상기 제1 트레드와 상기 제3 트레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는 좌측 지지부, 중앙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이고, 상기 중앙 지지부는 상기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림부와 트레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완충부의 댐핑 구조를 도입하고 완충부 내부의 유변입자의 배향을 조절하여 유변 유체의 점탄성 또는 강성을 제어함으로써 주행 시 스포크 파손에 따른 사고 위험성을 감소시킴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제1 지지부와 탈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를 통하여 개별적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의 (a), (b),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전기신호에 따라 댐퍼 내부에 있는 유변입자의 배향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비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가 경사진 노면과 접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의 (a), (b), (c), (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와 완충부를 미부착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비교한 비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가 경사진 노면과 접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6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600)는 림부(100), 트레드부(200), 지지부(300), 완충부(400) 및 전기신호 전송부(5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림부(100)는 소정의 너비를 가진 링형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림부(100)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림(rim)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림부(100)의 내주면에는 지지부(300)가 결합된다.
트레드부(200)는 림부(100)와 이격되면서 림부(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트레드부(200)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형태가 패턴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레드부(200)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이어의 트레드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트레드부(200)의 내주면 및 트레드부(20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지지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다.
지지부(300)는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310)는 트레드부(200)의 내주면 및 측면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310)는 트레드부(200)의 내주면 및 트레드부(20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트레드부(200)를 지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지지부(320)는 제1 지지부(310)와 대향하면서 림부(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320)는 림부(100)를 지지함에 따라 림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받는다. 이러한 제2 지지부(320)의 외주면에는 완충부(400)의 일측이 결합된다.
도 3의 (a), (b),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에서 전기신호에 따라 댐퍼 내부에 있는 유변입자의 배향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비교도이다.
완충부(400)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400)는 림부(1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위치한다. 더욱 상세하게 도 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400) 중 서로 이웃하는 완충부(400)는 림부(100)의 중심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완충부(400)는 댐퍼(410), 댐퍼 케이스(411), 실링 케이스(412), 전극(413), 유변 유체(414) 및 유변입자(415)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댐퍼(410)는 제2 지지부(320)의 외주면과 결합하며,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이러한 댐퍼(410)는 댐퍼 케이스(411), 실링 케이스(412), 전극(413), 유변 유체(414) 및 유변입자(415)를 포함한다.
댐퍼 케이스(411)는 상부가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댐퍼 케이스(4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케이스(411)의 상단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함몰될 수 있고, 상기한 함몰된 부분으로 댐퍼 로드(420)가 삽입된다.
실링 케이스(412)는 상부가 개방되고 댐퍼 케이스(411)의 내부에 위치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실링 케이스(412)는 실링 케이스(412)의 상단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함몰될 수 있다. 실링 케이스(412)의 함몰된 형상 및 댐퍼 케이스(411)의 함몰된 형상은 서로 상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댐퍼 로드(420)가 삽입된다.
전극(413)은 실링 케이스(41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댐퍼 케이스(411)와 실링 케이스(412) 사이에 밀착된다. 이러한 전극(413)은 전극(413)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전기장 및 자기장 중 어느 하나의 세기에 따라 유변입자(415)를 배향시킨다.
유변 유체(414)는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유체로서, 전기 유변 유체 및 자기 유변 유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유변 유체(414)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주어지면 유변입자(415)가 특정한 방향으로 배향됨에 따라 점탄성이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다.
유변입자(415)는 유변 유체(414) 내에서 유동하는 미립자로서, 전기장 및 자기장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여기서, 미립자는 예시적으로 폴리아닐린, 전도성 고분자 입자, 전도성 고분자(PEDOT:PSS 등) 및 클래이 복합체(Cla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변입자(415)는 유변 유체(414)의 점탄성 또는 강성을 변화시킨다.
댐퍼 로드(420)는 제1 지지부(310)를 관통하여 트레드부(200)와 결합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댐퍼(410)의 내부로 삽입된다.
트레드부(200)로 하중이 가해지면, 댐퍼 로드(420)는 댐퍼(410))의 내부로 직선왕복 운동하면서 하중을 감쇄시킨다.
전기신호 전송부(500)는 림부(100)와 제2 지지부(320) 사이에 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댐퍼(410)로 전기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전기신호의 전송 여부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전송된다. 이러한 전기신호 전송부(50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결정된 세기로 적어도 하나의 댐퍼(410)에 전기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600)는 전기신호 전송부(5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기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전기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유변입자(415)를 배향시켜 유변 유체(414)의 점탄성 또는 강성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가 경사진 노면과 접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에는 경사진 노면에 접지된 본원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부(200)는 경사진 노면과 평행하면서 완전히 접촉된다. 이를 위한 댐퍼 로드(420)는 도 4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댐퍼(410)의 내부로 더 삽입되면서 하중을 완충시킨다.
도 5의 (a), (b), (c), (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와 완충부를 미부착한 비공기입 타이어를 비교한 비교도이다.
도 5의 (a)에서는 타이어의 위치에 따른 노면 높이를 나타내고 있고, 도 5의 (b)는 완충부가 미부착된 비공기입 타이어의 위치에 따른 노면과의 접지 형상을 나타내고, 도 5의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위치에 따른 댐퍼(damper) 저항을 나타내며, 도 5의 (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위치에 따른 노면과의 접지 형상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600)가 완충부가 미부착된 비공기입 타이어보다 접지 형상이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비공기입 타이어보다 경사진 노면에 더 많이 밀착될 수 있어 코너링 시에도 차량의 쏠림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운전자가 원활하게 조향할 수 있다.
2.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가 경사진 노면과 접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600)를 설명하되,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600)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비교하였을 때, 트레드부(200) 및 제1 지지부(310)가 각각 분할되어 다수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600)는 링형상의 림부(100), 림부(100)와 이격되면서 림부(100)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200),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200)의 내주면 및 측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3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310)와 대향하면서 림부(10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 지지부(320)를 포함하는 지지부(300), 제2 지지부(320)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4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310)를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200)와 결합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댐퍼(4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댐퍼 로드(42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400), 림부(100)와 제2 지지부(320) 사이에 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댐퍼(410)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신호 전송부(500) 및 전기신호 전송부(5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기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200)로 하중이 가해지면, 댐퍼 로드(420)는 댐퍼(410)의 내부로 직선왕복 운동하면서 하중을 감쇄시킨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200)는 제1 트레드(210), 제2 트레드(220) 및 제3 트레드(230)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많거나 더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트레드(220)는 제1 트레드(210)와 제3 트레드(23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제1 트레드(210), 제2 트레드(220) 및 제3 트레드(230)는 도 7과 같이 경사진 노면에서 주행 시에도 노면 상황에 맞게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310)는 좌측 지지부, 중앙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레드부(200)와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중앙 지지부는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600)는 트레드부(200) 및 제1 지지부(310)가 다수로 분할되어 형성됨에 따라 경사진 노면뿐만 아니라 굴곡이 심한 오프로드 노면에서도 유연하게 댐핑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림부
200: 트레드부
210: 제1 트레드
220: 제2 트레드
230: 제3 트레드
300: 지지부
310: 제1 지지부
320: 제2 지지부
400: 완충부
410: 댐퍼
411: 댐퍼 케이스
412: 실링 케이스
413: 전극
414: 유변 유체
415: 유변입자
420: 댐퍼 로드
500: 전기신호 전송부
600: 비공기입 타이어

Claims (8)

  1. 링형상의 림부;
    상기 림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내주면 및 측면과 결합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트레드부와 결합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댐퍼의 내부로 삽입되는 댐퍼 로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부로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댐퍼 로드는 상기 댐퍼의 내부로 직선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하중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2. 링형상의 림부;
    상기 림부와 이격되면서 상기 림부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의 내주면 및 측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와 결합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댐퍼의 내부로 삽입되는 댐퍼 로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로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댐퍼 로드는 상기 댐퍼의 내부로 직선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하중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는 상기 림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 중 서로 이웃하는 완충부는 상기 림부의 중심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부가 개방되는 댐퍼 케이스;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실링 케이스;
    상기 실링 케이스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댐퍼 케이스와 상기 실링 케이스 사이에 밀착되는 전극;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유변 유체; 및
    상기 유변 유체 내에서 유동하는 유변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전기장 및 자기장 중 어느 하나의 세기에 따라 상기 유변입자를 배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기입 타이어는 상기 림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댐퍼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신호 전송부; 및
    상기 전기신호 전송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기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유변입자를 배향시켜 상기 유변 유체의 점탄성 또는 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는 제1 트레드, 제2 트레드 및 제3 트레드이고,
    상기 제2 트레드는 상기 제1 트레드와 상기 제3 트레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는 좌측 지지부, 중앙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이고,
    상기 중앙 지지부는 상기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1020200019153A 2020-02-17 2020-02-17 비공기입 타이어 KR102327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53A KR102327705B1 (ko) 2020-02-17 2020-02-17 비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53A KR102327705B1 (ko) 2020-02-17 2020-02-17 비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28A true KR20210104428A (ko) 2021-08-25
KR102327705B1 KR102327705B1 (ko) 2021-11-19

Family

ID=7749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153A KR102327705B1 (ko) 2020-02-17 2020-02-17 비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9031A (zh) * 2018-12-31 2021-09-24 Gacw股份有限公司 包括内外轮辋联接的液压阻尼器的车轮组件以及相关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576A (ko) * 2016-05-24 2018-11-27 포-캉 린 변형가능한 타이어
KR20190103851A (ko) * 2018-02-28 2019-09-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륙양용보트의 실린더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576A (ko) * 2016-05-24 2018-11-27 포-캉 린 변형가능한 타이어
KR20190103851A (ko) * 2018-02-28 2019-09-0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륙양용보트의 실린더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9031A (zh) * 2018-12-31 2021-09-24 Gacw股份有限公司 包括内外轮辋联接的液压阻尼器的车轮组件以及相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705B1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593B1 (ko) 차량의 소음저감용 휠
CN204472454U (zh) 一种非充气轮胎
CN104669944A (zh) 一种非充气轮胎
KR101053915B1 (ko) 비공기식 자동차용 타이어
KR102327705B1 (ko) 비공기입 타이어
US8967598B2 (en) Bushing
KR102183211B1 (ko) 비공기압 타이어
CN1282687A (zh) 减震支柱支承座
KR20130037808A (ko) 차량용 비공기압 타이어
JP5552910B2 (ja) タイヤ/ホイールシステム
CN112339499B (zh) 非充气轮胎
EP0470796B1 (en) Wheels for vehicles
KR101689466B1 (ko) 자기유변유체와 압전소자를 이용한 가변 탄성비 공기입 타이어
US10882371B2 (en) Single-tube vibration damper and dome bearing for motor vehicles
KR101663293B1 (ko) 에어튜브와 스프링이 결합된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2519881B1 (ko) 차량용 비공기입 타이어
KR102415200B1 (ko) 비공기입 타이어
KR101586365B1 (ko) 런플렛 타이어
CN216069491U (zh) 一种免充气防爆防戳轮胎
KR20190103853A (ko) 차량용 가변휠 장치
US20240093722A1 (en) Bearing bush for vibration isolation between two vehicle components of a motor vehicle
KR20230156227A (ko) 교차 부재가 포함된 스포크를 구비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20170009508A (ko) 비공기 타이어
KR102486288B1 (ko) 에어 스프링 장치
KR20230126278A (ko) 시어 밴드를 구비한 비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