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424A -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424A
KR20210104424A KR1020200019141A KR20200019141A KR20210104424A KR 20210104424 A KR20210104424 A KR 20210104424A KR 1020200019141 A KR1020200019141 A KR 1020200019141A KR 20200019141 A KR20200019141 A KR 20200019141A KR 20210104424 A KR20210104424 A KR 20210104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diagnostic kit
fixing memb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269B1 (ko
Inventor
김인범
김이석
이우영
김상현
조성훈
김준호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26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for parallel transport of multiple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7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icrofluidic devices, e.g. used for lab-on-a-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35/0006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whereby the sample substrate is of the bio-disk type, i.e. having the format of an optical di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3Disc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08Test strips, e.g. paper
    • G01N2035/00118Test strips, e.g. paper for multiple tests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의 중앙부가 관통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우징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부 내부공간 및 하부 내부공간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 하우징부와 인접한 스트립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 및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는 서로 다른 항원을 포함하며, 중앙부로 전혈이 투입되고 동력전달부로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전달부는 하우징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전혈을 혈구 및 혈장으로 원심분리하고,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는 상부 내부공간으로 이동한 혈장의 항체와 반응하여 발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A radiation type diagnostic kit of rotary}
본 발명은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하는 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 및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를 통하여 신속하면서도 동시에 여러 종류의 질병에 대한 진단결과를 확인할 수 에 관한 것이다.
생로병사는 당연한 자연의 흐름이고 늘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면적인 생명의 탄생과 죽음은 함께 수반되고 그로 인한 축복과 애도의 물결 또한 지속적으로 나타나지만 항상 죽음은 어둡고 그늘진 이미지에 고착되어 여전히 죽음과 시신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들은 인구에 회자되는 경우가 적다.
또한, 다양한 직업의 종사자들의 작업환경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특히 의료계 종사자들의 감염관리가 점진적으로 증대되고 있지만 시신을 다루는 많은 종사자들이 시신으로부터의 감염에 대한 인식의 개선과 관리는 여전히 부족하며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신체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통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은 계속 발달하고 있다. 일반적인 생체 측정 방법으로서 소변을 시료로 이용한 소변 진단 스트립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소변 진단 스트립은 시약에 대한 소변의 반응 결과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특정 질병에 대해 양성 또는 음성인지를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병, 폐렴, 결핵 등의 감염성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소변 진단 스트립과 같은 자가 진단이 가능한 측정 방법이 아닌 소변 검사와 혈청 검사를 병행하여 사용되고 있다. 소변 검사의 경우에는 백혈구의 개체수를 조사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혈청 검사의 경우에는 각각의 병원균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해 병의 종류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진단 방법은 보건소, 병원 등의 기관에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성병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시점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소변 또는 혈액을 시료로 한 진단 스트립이 성병 등의 감염성 질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한 스트립으로 하나의 질병만을 측정할 수 있거나, 하나의 스트립으로 복수의 질병의 측정이 가능하더라도 다양한 발색이 불가능하여 질병을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시신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장례식장, 국과수, 해부학교실 등에서는 사망 전 환자의 의료정보가 없거나 수취 불가능 할 경우가 대다수이며, 상기한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종사자들은 시신에 대한 감염성 질환 및 사망 후에 발생 가능한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진단키드는 일정량 이상의 혈액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이를 원심분리한 혈구, 혈청, 혈장 등을 이용하여 질병의 감염여부를 측정하므로 사망하기 전의 신체에서만 혈액을 채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망 이후의 시신에서 채취한 적은 양의 혈액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고, 관련 종사자들의 시신 처리 전에 수행하는 단계로 시신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 수행을 위하여 신속하게 진단결과를 알 수 있으며, 혈청, 혈장 등 원심분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혈액 내 구성 물질이 아닌 전혈로 진단 가능하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515438호(2015.05.06.)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920961호(2018.11.15.)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부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스트립부 및 스트립부에 형성되는 검출부를 통하여 시신에서 채취한 적은 양의 전혈만으로도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가 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가 서로 다른 항원을 포함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질병에 대한 진단결과를 신속하면서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면의 중앙부가 관통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부 내부공간 및 하부 내부공간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 상기 하우징부와 인접한 상기 스트립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는 서로 다른 항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로 전혈이 투입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전혈을 혈구 및 혈장으로 원심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는 상기 상부 내부공간으로 이동한 상기 혈장의 항체와 반응하여 발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부는, 상기 전혈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관형상을 가지는 검출관; 상기 검출관의 일측에서 상기 검출관의 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상부 내부공간과 상기 하부 내부공간으로 구획하는 평판형상의 구획부재; 상기 검출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혈이 유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검출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기 검출관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투입구; 및 상기 검출관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투입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투입구는 상기 하부투입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투입구와 대향하는 상기 검출관의 타면 상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혈장보다 비중이 높은 상기 혈구를 상기 하부 내부공간으로 원심분리시키고 상기 혈구보다 비중이 낮은 상기 혈장을 상기 상부 내부공간으로 원심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온오프(on/off),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 중앙부를 관통하는 투입홀을 포함하는 상부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홀로 상기 전혈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하우징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하우징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하우징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원통형상의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중심에 인접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패턴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열호 또는 우호의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는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로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부의 일측부는 상기 유로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트립부의 타측부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이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개방된 일측은 상기 유로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유전자재조합 항원이 코팅된 발색물질인 골드 콘쥬게이트에 접합되어 있는 프로테인 A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하우징부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스트립부 및 스트립부에 형성되는 검출부를 통하여 시신에서 채취한 적은 양의 전혈만으로도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가 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가 서로 다른 항원을 포함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질병에 대한 진단결과를 신속하면서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하우징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의 스트립부 및 검출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의 스트립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L-L'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K-K'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혈구 및 혈장이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100)는 상부하우징부(110)와 하부하우징부(120)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스트립부(130), 검출부(140), 동력전달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는 상면의 중앙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부하우징부(11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상부하우징부(110)는 상부하우징부(110)는 상부하우징(111), 투입홀(112) 및 상부하우징홀(113)을 포함한다.
상부하우징(111)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상부하우징(111)은 별,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상부하우징(111)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121)도 상부하우징(111)과 상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부하우징(111)의 중앙부에는 투입홀(112)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부하우징(111)에는 투입홀(112)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상부하우징(1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하우징홀(113)이 형성된다.
투입홀(112)은 상부하우징(111)의 상면 중앙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투입홀(112)로 전혈이 투입된다. 투입홀(112)의 크기는 최소한 전혈이 투입되기 충분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스포이드와 같은 전혈투입기기를 사용하여 투입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홀(113)은 상부하우징(111)의 상면을 관통하며, 도 2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 2 및 도 3에는 5개의 상부하우징홀(113)을 도시하였으나, 상부하우징홀(11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하우징홀(113)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130)와 대응하도록 하우징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하우징홀(113)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130)가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할 경우, 작업자가 검출부(140)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하우하우징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하부하우징부(120)는 상부하우징(111)과 결합한다. 이러한 하부하우징부(120)는 하부하우징(121), 제1 고정부재(122) 및 제2 고정부재(123)를 포함한다.
하부하우징(121)은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하우징(111)과 상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부하우징(111)과 결합한다. 이러한 하부하우징(121)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122)가 형성되고, 하부하우징(121)의 상면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재(123)가 형성된다.
제1 고정부재(122)는 하부하우징(121)의 중심에 인접한 하부하우징(121)의 내부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스트립부(130)의 일측부를 고정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4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122)는 하부하우징(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패턴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1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22)는 열호 또는 우호의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122)는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형성된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121)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고정부재(121) 사이에 형성되어 스트립부(130)의 일측부를 고정시킨다.
제2 고정부재(123)는 하부하우징(121)의 상면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유로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2 고정부재(123)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고정부재(123)의 개방된 일측은 유로와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스트립부(130)의 일측부는 이웃하는 제1 고정부재(121)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고정되고, 스트립부(130)의 타측부는 제2 고정부재(123)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의 스트립부 및 검출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의 스트립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스트립부(130)는 유체를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종이일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립부(130)는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우징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부 내부공간 및 하부 내부공간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하우징홀(113)의 하부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스트립부(130)의 일측부는 유로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스트립부(130)의 타측부는 제2 고정부재(12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스트립부(130)는 하부하우징(121)의 상면에 안착되되, 하부하우징(12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면서 제1 고정부재(121) 및 제2 고정부재(122)에 의해 고정된다.
도 8은 도 6의 L-L'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스트립부(130)는 전혈을 흡수하여 혈장 및 혈구로 분리시킨 후 혈장만 검출부(140)로 이동시키며, 검출부(140)가 혈장의 항체와 반응했을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130)는 탈착 가능함에 따라 서로 다른 항원을 포함하는 검출부(140)가 각각 적용되어야 할 경우,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스트립부(130)는 검출관(131), 구획부재(132), 투입구(133) 및 배출구(134)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검출관(131)은 전혈이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관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관(131)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검출관(131)의 일측은 투입구(133)가 형성되어 완전히 개방되고, 검출관(131)의 타측은 개방된 배출구(134)를 제외하고 막혀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검출관(131)의 너비(w) 및 높이(6h)는 혈구 및 혈장의 크기에 관계없이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구획부재(132)는 검출관(131)의 일측에서 검출관(131)의 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부공간을 상부 내부공간과 하부 내부공간으로 구획하는 평판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획부재(132)는 투입구(133)에서 배출구(134)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구획부재(132)는 검출관(131)의 상면 및 하면과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구획부재(132)는 다량의 검출관(131)을 사용할 경우, 다량의 검출관(131)에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재(132)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원심분리되는 속도를 조절하거나 전혈이 손상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획부재(132)는 검축관(131)의 내부공간을 상부 내부공간 및 하부 내부공간으로 구획함에 따라 전혈의 혈장 및 혈구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부(150)가 회전하면, 하우징부가 회전하면서 스트립부(130)의 검출관(131)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혈장의 비중은 혈구의 비중보다 낮기 때문에 혈장이 혈구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라 검출부(140)는 혈장과 접촉하여 반응할 경우 발색하여 작업자에게 진단결과를 알린다.
투입구(133)는 검출관(131)의 일측에 형성되고 구획부재(13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혈이 유입되는 입구이다.
투입구(133)는 전술한 구획부재(132)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상부투입구(133a) 및 하부투입구(133b)가 형성된다.
상부투입구(133a)는 검출관(131)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투입구(133a) 중 상부에 검출부(140)가 형성된다.
하부투입구(133b)는 검출관(131)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투입구(133a)의 하부에 형성된다.
전술한 상부투입구(133a)는 하부투입구(133b)보다 작게 형성된다.
배출구(134)는 검출관(131)의 타측에 형성되고 투입구(133)와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배출구(134)는 투입구(133)와 대향하는 검출관(131)의 타면 상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검출부(140)는 배출구(134)에 삽입되어 혈장과 반응할 수 있다.
검출부(140)는 하우징부와 인접한 스트립부(130)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140)는 상부 내부공간으로 이동한 혈장의 항체와 반응하여 발색한다.
또한, 검출부(140)는 검출관(131)의 상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134)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4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와 인접한 스트립부(130)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140)는 서로 다른 항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검출부(140)가 있다고 하면, 제1 검출부에서는 A형 간염을 진단하기 위한 항원을 포함하고, 제2 검출부에서는 B형 간염을 진단하기 위한 항원을 포함하며, 제3 검출부에서는 C형 간염을 진단하기 위한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 이외에도 검출부(140)는 다른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항원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검출부(140)는 서로 다른 항원을 포함하도록 다수로 형성되어 교체 가능함에 따라 한번에 여러 종류의 질병을 동시에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다.
상기한 중앙부로 전혈이 투입되면,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140)는 스트립부(130)를 따라 이동하는 전혈의 항체와 반응하여 발색한다. 이를 위한 검출부(140)는 유전자재조합 항원이 코팅된 발색물질인 골드 콘쥬게이트에 접합되어 있는 프로테인 A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부(140)는 전혈에 특정항체가 있을 경우, 특정항체와 반응하여 발색함에 따라 작업자가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발색 여부를 확인하여 여러 종류의 질병을 직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150)는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부(150)는 상부하우징부(110) 또는 하부하우징부(1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연결되어 하우징부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투입홀(112)로 전혈이 투입되는 것을 감안하여 동력전달부(150)는 하부하우징부(120)의 중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부로 전혈이 투입되고 동력전달부(150)로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전달부(150)는 하우징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전혈을 혈구 및 혈장으로 원심분리한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부(150)는 회전함에 따라 혈장보다 비중이 높은 혈구를 하부 내부공간으로 원심분리시키고 혈구보다 비중이 낮은 혈장을 상부 내부공간으로 원심분리시킨다.
제어부(160)는 동력전달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동력전달부(150)의 온오프(on/off),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K-K'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혈구 및 혈장이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최초 작업자가 스포이드(10)를 통하여 전혈을 투입홀(112)로 투입한다. 도 9에는 여러 방울의 전혈이 도시되어 있으나, 단 한방울의 전혈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하우징(121)의 상면에 도달한 전혈은 하부하우징(12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130)에 흡수된 후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130)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140)로 이동한다. 이때, 전혈 중 혈구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13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140)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전혈 중 혈장만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130)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140)로 이동한다.
다음,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140)에 도착한 혈장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140)에 포함된 항체와 반응하거나 미반응할 수 있다. 만약, 혈장에 질병을 포함하는 항체가 있으면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140)는 혈장의 항체와 반응하여 발색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작업자는 여러 종류의 질병을 신속하고 동시에 진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110: 상부하우징부
111: 상부하우징
112: 투입홀
113: 상부하우징홀
120: 하부하우징부
121: 하부하우징
122: 제1 고정부재
123: 제2 고정부재
130: 스트립부
131: 검출관
132: 구획부재
133: 투입구
133a: 상부투입구
133b: 하부투입구
134: 배출구
140: 검출부
150: 동력전달부
160: 제어부

Claims (15)

  1. 상면의 중앙부가 관통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부 내부공간 및 하부 내부공간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
    상기 하우징부와 인접한 상기 스트립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는 서로 다른 항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로 전혈이 투입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전혈을 혈구 및 혈장으로 원심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는 상기 상부 내부공간으로 이동한 상기 혈장의 항체와 반응하여 발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부는,
    상기 전혈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관형상을 가지는 검출관;
    상기 검출관의 일측에서 상기 검출관의 타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기 상부 내부공간과 상기 하부 내부공간으로 구획하는 평판형상의 구획부재;
    상기 검출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혈이 유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검출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기 검출관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투입구; 및
    상기 검출관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투입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투입구는 상기 하부투입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투입구와 대향하는 상기 검출관의 타면 상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혈장보다 비중이 높은 상기 혈구를 상기 하부 내부공간으로 원심분리시키고 상기 혈구보다 비중이 낮은 상기 혈장을 상기 상부 내부공간으로 원심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온오프(on/off),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 중앙부를 관통하는 투입홀을 포함하는 상부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홀로 상기 전혈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하우징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하우징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하우징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원통형상의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중심에 인접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하는 하부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패턴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열호 또는 우호의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는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재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로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립부의 일측부는 상기 유로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트립부의 타측부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이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개방된 일측은 상기 유로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유전자재조합 항원이 코팅된 발색물질인 골드 콘쥬게이트에 접합되어 있는 프로테인 A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KR1020200019141A 2020-02-17 2020-02-17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KR10237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41A KR102378269B1 (ko) 2020-02-17 2020-02-17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41A KR102378269B1 (ko) 2020-02-17 2020-02-17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24A true KR20210104424A (ko) 2021-08-25
KR102378269B1 KR102378269B1 (ko) 2022-03-24

Family

ID=7749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141A KR102378269B1 (ko) 2020-02-17 2020-02-17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2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09A (ko) * 1995-05-12 1999-02-25 한스루돌프하우스 센서 플랫폼 및 감쇠 여기된 발광을 이용한 복수 분석물의병렬 검출 방법
KR20120083179A (ko) * 2011-01-17 2012-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적 항원 검출용 카트리지, 표적 항원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 내에 존재하는 표적 항원을 검출하는 방법
JP2019507887A (ja) * 2016-03-14 2019-03-22 北京康華源科技発展有限公司 遠心分離検出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09A (ko) * 1995-05-12 1999-02-25 한스루돌프하우스 센서 플랫폼 및 감쇠 여기된 발광을 이용한 복수 분석물의병렬 검출 방법
KR20120083179A (ko) * 2011-01-17 2012-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적 항원 검출용 카트리지, 표적 항원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시료 내에 존재하는 표적 항원을 검출하는 방법
JP2019507887A (ja) * 2016-03-14 2019-03-22 北京康華源科技発展有限公司 遠心分離検出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269B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6611B2 (en) Rotatable disk-shaped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EP1751268B1 (en) Microfluidic device and leucocyte antigen mediated microfluidic assay
JP5431732B2 (ja) マイクロ流体フォーマットにおけるアッセイ実装
JP5033791B2 (ja) 二段階側流分析法および装置
TWI335430B (en) Directed-flow assay device
US7244393B2 (en) Diagnostic device and system
CN106413895B (zh) 具有可旋转盖的筒
US11224874B2 (en) Apparatus for automatic sampling of biological species employing disk microfluidics system
US2003010448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quantifying lymphocytes with optical biodiscs
US982317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alytes
JPH09506177A (ja) 流路中断方式による分析装置
CN104126120A (zh) 纸基诊断测试
RU2397178C1 (ru) Диагностическая тест-система в формате иммуночипа и способ серологической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сифилиса
JP2007526993A (ja) 粒子凝集検出方法および装置
ES2807557T3 (es) Medición de un analito con un cartucho
KR102378269B1 (ko) 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US9784733B1 (en) Rapid diagnostic test device by driven flow technology
KR102378277B1 (ko) 비회전식의 방사형 다중 진단키트
JP5986089B2 (ja) 白血球測定デバイス及び試薬キット
BRPI1004526A2 (pt) dispositivo semi-quantitativo de immunochromatographico e método para a determinação de hiv/aids via medida de solúvel cd40 ligand/cd154, um cd4+ equivalente de célula de t e a detecção simultánea de infecção de hiv via detecção de anticorpo de hiv
KR102117232B1 (ko) 항원의 정량 분석용 마이크로 칩 및 항원의 정량 분석용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항원의 정량 분석 방법
US20090258343A1 (en) Semi-quantitative immunochromatographic device an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HIV/AIDS immune-status via measurement of soluble CD40 Ligand/CD154, A CD4+ T cell equivalent and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HIV infection via HIV antibody detection
KR102416982B1 (ko) 중간 벤트홀을 가지는 미세유체소자를 포함하는 레피드 키트
CN113295859B (zh) 包含陀螺样本微量离心装置的纸基微流体芯片检测系统及其应用
CN212904935U (zh) 用于免疫层析法检测的设备和检测试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