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331A - 초음파 세척기 - Google Patents

초음파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331A
KR20210104331A KR1020200018941A KR20200018941A KR20210104331A KR 20210104331 A KR20210104331 A KR 20210104331A KR 1020200018941 A KR1020200018941 A KR 1020200018941A KR 20200018941 A KR20200018941 A KR 20200018941A KR 20210104331 A KR20210104331 A KR 20210104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ltrasonic
washing tub
fixing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232B1 (ko
Inventor
한별
Original Assignee
한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별 filed Critical 한별
Priority to KR102020001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Landscapes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나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가 채워진 세척통에 진동파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공하여 세척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상승될 수 있는 초음파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통(100)과, 세척통(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세척물이 올려져서 거치되는 거치부재(200)와,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초음파를 발생시켜서 세척수에 제공하여 세척물에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복수의 초음파부재(300)와, 초음파부재(300)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세척기{Ultrasonic cleaner}
본 발명은 식기나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가 채워진 세척통에 진동파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공하여 세척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상승될 수 있는 초음파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세척기는 압전현상을 이용한 초음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유체 속에서 강력한 진동의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때 나타나는 유체 내의 공동현상과 이에 의한 기포의 생성과 그 진동과 성장과 폭발과 순간 고온화의 제 과정을 통하여 유체 내의 세척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미크론 단위의 미세한 불순물을 분해 또는 산화하여 세척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세척수를 절약하면서도 맑은 세척수에서 세척하는 것과 같이 동일하게 과일, 야채, 식기와 같은 세척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초음파 세척기는, 세척액이 담긴 세척조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여, 이 초음파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세척물의 표면에 닿아, 세척물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초음파 세척기는 세척조의 일측에 초음파가 제공되므로 세척물에서 이물질이나 불순물이 제거되는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에 공개특허공보 10-2006-0024752호(2006.03.17)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기나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가 채워진 세척통에 진동파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공하여 세척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상승될 수 있는 초음파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는,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통(100)과, 세척통(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세척물이 올려져서 거치되는 거치부재(200)와,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초음파를 발생시켜서 세척수에 제공하여 세척물에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복수의 초음파부재(300)와, 초음파부재(300)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척통(100)은 상부에서 마주되게 내향턱(110)이 형성되고, 거치부재(200)는 세척통(100)의 내향턱(110)에 걸리도록 양단에 걸림턱(210)이 형성되며, 걸림턱(210)이 형성되지 않은 양측 폭이 세척통(100)의 양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척통(100)은 상부에서 양측에 안내홈(150)이 형성되고, 거치부재(200)는 세척통(100)의 안내홈(150)에 양단이 걸려서 고정되는 다수의 거치판(230)과, 거치판(230)들의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척통(100)의 상부에서 일측에 거치부재(200)가 수용되어서 보관되는 보관케이스(160)가 마련되고, 보관케이스(160)는 안내홈(150)에 연이어지는 개방구(161)가 형성되어, 안내홈(15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치판(230)들이 개방구(161)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거치부재(200)는 다수의 판들과 판들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로 으로 이루어지고,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세척통(100)에 거치되는 거치부재(20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800)를 포함하고, 구속부재(800)는 세척통(100)의 양측에 고정되는 베이스(810)와, 베이스(810)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거치부재(200)의 외측을 구속하는 좌우구속부(820)와, 좌우구속부(820)가 거치부재(200)를 구속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좌우구속부(820)를 베이스(810)에 고정시키는 좌우고정부(830)를 포함하며, 좌우고정부(830)는 베이스(810) 및 좌우구속부(820)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기 및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거치부재(200)는 다수의 판들과 판들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로 으로 이루어지고,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세척통(100)에 거치되는 거치부재(20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800)를 포함하고, 구속부재(800)는 세척통(100)의 양측에 고정되는 베이스(810)와, 베이스(810)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거치부재(200)의 외측을 구속하는 상하구속부(840)와, 상하구속부(840)가 거치부재(200)를 구속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하구속부(840)를 베이스(810)에 고정시키는 상하고정부(850)를 포함하며, 상하고정부(850)는 베이스(810)의 전면 및 상하구속부(840)의 배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기 및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척통(100)에는 거치부재(2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00)로 전송하는 감지센서(170) 및 세척수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00)로 전송하는 세척수감지부(180)가 설치되고, 본 발명은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으로 헹굼수를 분사하는 헹굼수분사부(600)와, 세척통(100)에서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700)를 포함하고, 컨트롤러(400)는 세척수감지부(180)가 세척수를 감지하지 못하고 감지센서(170)가 거치부재(200)에 의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폐쇄됨을 감지하면 헹굼수분사부(600)를 작동시키고, 세척수감지부(180)가 세척수를 감지하지 못하고 감지센서(170)가 거치부재(200)에 의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개방됨을 감지하면 공기분사부(7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공기분사부(700)는 세척통(100)의 하부에 연통되는 하부관체(710)와, 하부관체(710)의 상부에 연통되는 중간관체(720)와, 중간관체(720)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서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된 상태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730)과, 중간관체(720)의 상부에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공급가 유입되는 상부관체(740)와, 중간관체(720)에 내장되어 하부관체(710) 및 중간관체(720)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 부유되어서 상부관체(740)를 폐쇄하고, 상부관체(7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부관체(740)를 개방하는 부유체(750)를 포함하고, 중간관체(720)는 하부관체(710) 및 상부관체(740)의 직경보다 크고, 부유체(750)는 중간관체(720)의 직경보다 작고, 하부관체(710) 및 상부관체(740)의 직경보다 크면서, 중간관체(720)의 하부에서 분사관체(730)까지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척통(100)은 양측 및 하부에 초음파부재(300)가 연결되는 연결부(120)가 형성되고, 연결부(120)는 세척통(100)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관(121)과, 연통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22)를 포함하며, 초음파부재(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에 상응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310)와, 고주파발생부(310)가 고정되는 초음파고정부(320)와, 초음파고정부(320)를 세척통(100)에 체결시키는 초음파체결부(330)를 포함하고, 초음파고정부(320)는 고주파발생부(310)가 고정된 상태로 세척통(100)의 연결플랜지(122)에 결합되는 고주파결합부(321)와, 고주파결합부(321) 및 연결플랜지(122)의 사이에 위치되어 세척수의 유실을 방지하는 유실방지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고주파결합부(321)는 고주파발생부(310)가 삽입되어서 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연결부(120)의 연통관(121)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는 고정캡(323)과, 고정캡(323)에 형성되어 연결부(120)의 연결플랜지(122)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324)를 포함하고, 유실방지부(322)는 세척통(100)의 연통관(121) 및 고정캡(323)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관(325)과, 밀폐관(325)에 형성되어 세척통(100)의 연결플랜지(122) 및 고정플랜지(324)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판(3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세척통(100)은 양측 및 하부에 초음파부재(300)가 연결되는 연결부(120)가 형성되고, 연결부(120)는 세척통(100)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관(121)과, 연통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22)를 포함하며, 세척통(100)에 초음파부재(300)를 체결시키기 위한 초음파체결수단(500)을 포함하고, 초음파체결수단(500)은 초음파부재(300)가 고정된 상태로 세척통(100)의 연통부(120)에 체결되어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세척통(100)의 세척수에 전달하는 전달판(510)과, 전달판(510) 및 세척통(100)의 연통부(120)의 사이를 실링하여 세척수의 유실을 방지하는 실링부(520)와, 세척통(100)의 연통부(120)에 전달판(510)을 체결시키는 체결부(530)와,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전달판(510)을 보호하기 위해 구조를 보강하는 구조보강부(540)와, 전달판(510)에 초음파부재(300)를 픽싱하는 초음파픽싱부(550)와, 초음파부재(300) 및 세척통(100)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구조보강부(540)는 전달판(510)에 밀착되어서 인장력을 제공하는 망체(541)와, 망체(541)를 감싸는 상태로 전달판(510)에 고정되는 고정수지(5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초음파픽싱부(550)는 나사축으로 구성되어 초음파부재(300)에 형성되는 나사탭에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전달판(510)에 형성되는 나사탭에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기나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가 채워진 세척통에 진동파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공하여 세척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상승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척통에서 거치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세척통에 초음파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세척통에 초음파부재들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세척통에 초음파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통에서 초음파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세척통에 초음파부재들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들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 및 거치부재를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12(a)(b)는 본 발명의 구속부재가 좌우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거치부재가 구속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거치부재가 구속부재에 구속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구속부재에 구속된 거치부재의 일부가 접혀져서 세척통의 내부공간을 일부만 개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구속부재에 구속된 거치부재가 완전히 접혀져서 세척통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2의 구속부재에 구속된 거치부재가 완전히 펼쳐져서 세척통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폐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 및 거치부재를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19(a)(b)는 본 발명의 구속부재가 상하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구속부재에 구속된 거치부재가 완전히 펼쳐져서 세척통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폐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거치부재가 보관케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거치부재가 보관케이스에서 약간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거치부재가 보관케이스에서 배출되어 세척통을 폐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거치부재가 겹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거치부재가 보관케이스의 상부로 걸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헹굼수분사부 및 공기분사부가 컨트롤러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블록도.
도 27은 본 발명의 세척통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세척통에 세척수가 채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헹굼수분사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공기분사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통(100)과, 세척통(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세척물이 올려져서 거치되는 거치부재(200)와,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초음파를 발생시켜서 세척수에 제공하여 세척물에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복수의 초음파부재(300)와, 초음파부재(300)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먼저, 세척물은 과일, 야채, 식기 등 일 수 있고, 세척수는 물일 수 있다. 이때, 세척물을 더욱 깨끗하게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세척수에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세척통(100)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므로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에는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척통(100)은 상부에서 마주되게 내향턱(110)이 형성되고, 양측 및 하부에 초음파부재(300)가 연결되는 연결부(120)가 형성된다.
연결부(120)는 세척통(100)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관(121)과, 연통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22)를 포함한다. 연통관(121)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플랜지(122)는 볼트들이 관통되는 홀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플랜지(122)에 초음파부재(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연통관(121)을 통해 세척통(100)에 제공된다.
그리고, 연결부(120)가 세척통(100)의 양측 및 하부에 형성되면 연결부(120)에 연결되는 초음파부재(300)의 초음파가 세척통(100)의 양측 및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통(100)의 양측에서 수평으로 초음파가 제공되면서 하부에서도 수직으로 초음파가 제공되므로 세척물의 세척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더욱이, 연결부(120)가 복수로 구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면 다수의 초음파부재(300)들이 각각 연결되므로 세척통(100)에 많은 양의 초음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0)의 연결플랜지(122)가 세척통(100)에서 이격되므로 연결플랜지(122)와 세척통(100)의 사이에 스펀지와 같은 흡음재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흡음재에 의해 감쇄되어서 완화될 수 있다.
거치부재(200)는 세척통(100)의 내향턱(110)들에 걸리도록 양단에 걸림턱(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부재(200)의 걸림턱(210)이 세척통(100)의 내향턱(110)에 걸리게 되므로, 거치부재(200)가 세척통(100)의 내부로 낙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척통(100)의 상부에서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재(200)는 걸림턱(210)이 형성되지 않은 양측의 폭이 세척통(100)의 양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거치부재(200)이 세척통(100)의 상부에서 일측에 위치되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타측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거치부재(200)이 세척통(100)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세척통(100)에서 세척물을 꺼내어 거치부재(200)에 올려놓을 수 있다. 물론, 세척통(100)에서 거치부재(200)를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200)는 세척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세척물에서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모이지 않고 흘러내리도록 요철(220)이 형성된다.
초음파부재(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에 상응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310)와, 고주파발생부(310)가 고정되는 초음파고정부(320)와, 초음파고정부(320)를 세척통(100)에 체결시키는 초음파체결부(330)를 포함한다.
고주파발생부(310)는 대략 28khz ~ 40k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데, 입력되는 높거나 낮은 전류신호에 따라 약 40khz로 높거나 약 28khz로 낮은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주파발생부(310)는 후술되는 초음파고정부(320)의 고정캡(323)에 수용되어서 밀착된 상태로 용접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발생부(31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초음파고정부(320)를 통해 세척통(100)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초음파고정부(320)는 고주파발생부(310)가 고정된 상태로 세척통(100)의 연결플랜지(122)에 결합되는 고주파결합부(321)와, 고주파결합부(321) 및 연결플랜지(122)의 사이에 위치되어 세척수의 유실을 방지하는 유실방지부(322)를 포함한다.
고주파결합부(321)는 고주파발생부(310)가 삽입되어서 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연결부(120)의 연통관(121)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는 고정캡(323)과, 고정캡(323)에 형성되어 연결부(120)의 연결플랜지(122)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324)를 포함한다.
유실방지부(322)는 세척통(100)의 연통관(121) 및 고정캡(323)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관(325)과, 밀폐관(325)에 형성되어 세척통(100)의 연결플랜지(122) 및 고정플랜지(324)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판(3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실방지부(322)는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뿐만 아니라 세척수가 유실됨을 방지할 수 있다.
초음파체결부(330)는 고정플랜지(324), 밀폐판(326), 연결플랜지(122)를 관통하는 볼트 및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컨트롤러(400)는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진폭 및 주파수를 변환시키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컨트롤러(400)에 의해 초음파부재(300)가 제어됨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세척통(100)에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00)로 전송하는 수위감지부재(130)와,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부재(130)는 세척통(100)에 양단이 상하로 연결되어 세척수가 관류되는 수위감지관(131)과, 수위감지관(131)에 내장된 상태로 관류되는 세척수를 센싱하는 수위센서(132)를 포함한다.
수위감지관(131)은 세척통(100)의 외부에서 위치된 상태로 양단이 세척통(100)에 연통되어 세척통(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수위감지관(131)은 상단이 세척통(100)의 상부에 연통되고 하단이 세척통(100)의 중부나 하부에 연통된다.
수위센서(132)는 수위감지관(131)에서 상부에 내장된다.
따라서, 세척수가 세척통(100)에 채워지면서 세척통(100)에 연통되는 수위감지관(131)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게 되면서 수위센서(132)에 접촉된다.
세제공급부재(140)는 세척통(100)으로 세정액을 토출하는 세정액분사노즐(141)과, 세정액분사노즐(141)이 연통되게 설치되면서 세정액이 채워지는 세정액공급통(142)과, 세정액공급통(142)의 세정액을 세정액분사노즐(141)로 펌핑하는 세정액공급펌프(143)를 포함한다. 세정액은 액체세제일 수 있다. 세정액공급펌프(143)는 컨트롤러(400)에 의해 컨트롤되어 미리 설정된 양만큼으로 세정액을 펌핑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00)는 수위감지부재(130)가 수위를 감지함을 인식하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에 세제가 공급되도록 세제공급부재(140)를 컨트롤한다.
따라서,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통(100)에 세척수가 채워지면 세척제가 자동으로 공급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세척통(100)은 양측 및 하부에 초음파부재(300)가 연결되는 연결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통부(120)는 세척통(100)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관(121)과, 연통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22)를 포함한다. 연통관(121)은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플랜지(122)도 사각통의 둘레를 따라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세척통(100)에 초음파부재(300)를 체결시키기 위한 초음파체결수단(500)을 포함한다.
초음파체결수단(500)은 초음파부재(300)가 고정된 상태로 세척통(100)의 연통부(120)에 체결되어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세척통(100)의 세척수에 전달하는 전달판(510)과, 전달판(510) 및 세척통(100)의 연통부(120)의 사이를 실링하여 세척수의 유실을 방지하는 실링부(520)와, 세척통(100)의 연통부(120)에 전달판(510)을 체결시키는 체결부(530)와,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전달판(510)을 보호하기 위해 구조를 보강하는 구조보강부(540)와, 전달판(510)에 초음파부재(300)를 픽싱하는 초음파픽싱부(550)와, 초음파부재(300) 및 세척통(100)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560)를 포함한다.
전달판(510)은 사각형태로 형성되면서 연통부(120)의 연결플랜지(122)에 볼트로 고정되는 외측에 고정턱(511)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턱(511)이 연결플랜지(122)에 결합되면 전달판(510)이 연통부(120)를 폐쇄하게 된다.
실링부(520)는 고무재로 구성되어 결합되는 고정턱(511) 및 연결플랜지(122)의 사이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체결부(530)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구조보강부(540)는 전달판(510)에 밀착되어서 인장력을 제공하는 망체(541)와, 망체(541)를 감싸는 상태로 전달판(510)에 고정되는 고정수지(542)를 포함한다.
망체(541)는 섬유망이나 금속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수지(542)는 연성화된 상태에서 망체(541)와 함께 전달판(510)에 밀착된 상태에서 경화된다. 따라서, 망체(541)와 함께 고정수지(542)가 경화됨에 따라 전달판(510)의 구조가 강화되므로 초음파 발생에 따른 진동이 전달판(510)에 장기간동안 전달되어도 전달판(510)의 구조가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구조보강부(540)에 의해 전달판(510)에서 진동이 완화되어서 세척통(100)에도 전달됨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구조보강부(540)는 초음파부재(300)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초음파부재(30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전달판(510)에 정확하게 부착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초음파픽싱부(550)는 나사축으로 구성되어 초음파부재(300)에 형성되는 나사탭에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전달판(510)에 형성되는 나사탭에 타단이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초음파픽싱부(550)인 하나의 나사축을 이용하여 초음파부재(300)가 전달판(510)에 밀착되어서 픽싱될 수 있다.
밀폐부(560)는 전달판(510)에 고정된 초음파부재(300)의 둘레에 주사된 상태로 경화되어서 고정되는 실리콘이나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부재(300)의 둘레가 전달판(510)에서 들뜨지 않으면서 밀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초음파부재(300)가 고정된 전달판(510)이 세척통(100)에 설치되므로 초음파부재(300)들을 설치하는 과정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한편,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세척통(100)에 거치되는 거치부재(20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부재(200)는 다수의 판들과 판들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로 으로 이루어진다. 판들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판들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지그재그로 접혀져서 겹쳐질 수 있다.
구속부재(800)는 세척통(100)의 양측에 고정되는 베이스(810)와, 베이스(810)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거치부재(200)의 외측을 구속하는 좌우구속부(820)와, 좌우구속부(820)가 거치부재(200)를 구속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좌우구속부(820)를 베이스(810)에 고정시키는 좌우고정부(830)를 포함한다.
베이스(810)은 세척통(100)의 상부에서 양측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좌우구속부(820)는 단면의 형상이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부재(200)가 삽입되어 거치부재(200)의 상하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좌우구속부(820)는 힌지를 통해 베이스(810)에서 측방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세척통(100)의 외측에 위치되거나 세척통(1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세척통(100)의 일측에 위치되는 좌우구속부(820)는 '⊂'이고 세척통(100)의 타측에 위치되는 좌우구속부(820)는 '⊃'이다. 따라서, 좌우구속부(820)들이 세척통(100)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 거치부재(200)의 양측을 구속한다.
좌우고정부(830)는 베이스(810) 및 좌우구속부(820)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기 및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구속부(820)가 회전되어서 베이스(810)에 접촉되면 돌기가 홈에 삽입되므로 좌우구속부(820)가 베이스(81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고정부(830)에 의해 좌우구속부(820)가 베이스(810)에 고정되면 거치부재(200)가 좌우고정부(830)에 구속되어 상방으로 들뜨지 않으면서 구속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통(100)의 양측에서 좌우구속부(820)들이 세척통(100)의 외측으로 회전되면 거치부재(200)가 좌우구속부(8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물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구속부(820)들이 각각 역회전되어서 세척통(100)의 내측으로 회전되면 거치부재(200)의 양측이 구속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200)의 후방에 위치되는 판이 구속부재(800)에 구속된 상태에서 거치부재(200)의 전방에 위치되는 판들이 겹쳐지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일부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200)이 구속부재(800)에 구속된 상태에서 거치부재(200)의 판들이 모두 겹쳐지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재(800)에 구속된 거치부재(200)의 판들이 모두 펴지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또 한편,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세척통(100)에 거치되는 거치부재(20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800)를 포함한다.
구속부재(800)는 세척통(100)의 양측에 고정되는 베이스(810)와, 베이스(810)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거치부재(200)의 외측을 구속하는 상하구속부(840)와, 상하구속부(840)가 거치부재(200)를 구속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하구속부(840)를 베이스(810)에 고정시키는 상하고정부(850)를 포함한다.
베이스(810)은 세척통(100)의 상부에서 양측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상하구속부(840)는 단면의 형상이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부재(200)의 상부 및 외측이 지지되어서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하구속부(840)는 힌지를 통해 베이스(810)에서 상하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베이스(810)에서 하방으로 회전되면 거치부재(200)를 구속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통(100)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하구속부(840)는 '??'이고 세척통(100)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하구속부(840)는 '??'이다. 따라서, 상하고정부(850)들이 각각의 힌지를 축으로 하부로 회전되어서 거치부재(200)의 양측에 지지되면 상하고정부(850)들이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거치부재(200)가 좌우방향으로 벗어나지 못하면서 구속된다.
상하고정부(850)는 베이스(810)의 전면 및 상하구속부(840)의 배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기 및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구속부(840)가 상부로 회전되어 베이스(810)에 밀착되면 상하고정부(850)인 돌기가 상하고정부(850)인 홈에 삽입되어서 고정되므로, 상하구속부(840)가 베이스(810)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재(200)는 상하구속부(84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 한편,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통(100)은 상부에서 양측에 안내홈(150)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150)의 단면이 'L'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재(200)는 세척통(100)의 안내홈(150)에 양단이 걸려서 고정되는 다수의 거치판(230)과, 거치판(230)들의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부(240)에 의해 연결되는 거치판(230)들이 힌지부(240)를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으므로 거치판(230)들이 말아지거나 지그재그형태로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거치판(230)들이 말아지거나 접혀져서 넓이가 최소화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통(100)의 상부에서 일측에 거치부재(200)가 수용되어서 보관되는 보관케이스(160)가 마련되고, 보관케이스(160)는 안내홈(150)에 연이어지는 개방구(1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안내홈(15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치판(230)들이 개방구(161)를 통과되어서 보관케이스(160)의 내부로 수용 및 보관될 수 있다. 이때, 보관케이스(160)의 내부로 수용되는 거치판(230)들은 힌지부(240)를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말아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물론, 보관케이스(160)에서 거치판(230)들을 일부만 배출시켜서 세척통(100)의 상부를 일부만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거치판(230)들은 일부만 접혀지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일부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거치판(230)들이 펼쳐져서 전체적인 넓이가 확장된 상태로 세척통(100)의 상부에 걸려서 고정되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폐쇄될 수 있다.
한편, 거치판(230)들을 보관케이스(160)의 내부로 수용시키지 않고 보관케이스(160)의 상부에 걸쳐서 임시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6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케이스(160)에는 거치부재(200)를 회수하는 회수릴(162)과,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되어 회수릴(162)을 회전시키는 회수모터(163)와, 회수릴(162)에 회수되는 거치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롤러(164)가 구비된다. 회수릴(162)에는 거치판(230)들에서 마지막에 위치되는 거치판(230)이 연결된다. 회수모터(163)는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되면 회수릴(162)을 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거치판(230)들이 자동으로 보관케이스(160)에 수용되거나 보관케이스(160)에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회수모터(163)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역회전될 수 있다. 지지롤러(164)는 복수로 구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거치부재(200)를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모터(163)가 회수릴(162)을 회전시키면 거치부재(200)의 거치판(230)들이 감겨서 회수되므로, 거치판(230)들이 자동으로 보관케이스(160)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수모터(163)가 역회전되면 거치판(230)들이 자동으로 보관케이스(160)에서 배출되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물론, 회수모터(163)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첫 번째 거치판(230)을 당기면 회수릴(162)이 역회전되므로 거치판(230)들이 보관케이스(160)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통(100)에는 거치부재(2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00)로 전송하는 감지센서(170) 및 세척수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00)로 전송하는 세척수감지부(180)가 설치된다. 감지센서(170)는 적외선센서나 접촉센서로 구성되어 거치부재(200)가 세척통(100)을 개방하였는지 폐쇄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170)는 거치부재(200)가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폐쇄하였는지 감지하도록 세척통(100)의 상부에서 단부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세척수감지부(180)는 세척통(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수위감지부재(130)의 수위센서(13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으로 헹굼수를 분사하는 헹굼수분사부(600)와, 세척통(100)에서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700)를 포함한다.
헹굼수분사부(600)는 수도에 연결되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상태로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되어 헹굼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분사부(700)는 에어콤프레셔에 연결되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상태로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분사부(700)는 세척통(100)의 하부에 연통되는 하부관체(710)와, 하부관체(710)의 상부에 연통되는 중간관체(720)와, 중간관체(720)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서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된 상태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관체(730)와, 중간관체(720)의 상부에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공급가 유입되는 상부관체(740)와, 중간관체(720)에 내장되어 하부관체(710) 및 중간관체(720)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 부유되어서 상부관체(740)를 폐쇄하고, 상부관체(7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부관체(740)를 개방하는 부유체(750)를 포함한다.
하부관체(710)는 하단이 세척통(100)의 하부에 연통되고 상단이 중간관체(720)의 하부에 연통된다.
중간관체(720)는 하부관체(710) 및 상부관체(740)의 직경보다 크다.
분사관체(730)는 일단이 세척통(100)의 내부에 연통되고 타단이 중간관체(720)에 연통된다.
상부관체(740)는 하단이 중간관체(720)의 상부에 연통되고 상단이 외부의 에어콤프레셔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관체(740)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세척통(100)의 내부에 뜨거운 공기가 공급되면 세척물인 식기 등이 살균처리될 수 있다.
부유체(750)는 코르크나 고무로 구성되면서 중간관체(720)의 직경보다 작고, 하부관체(710) 및 상부관체(7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부유체(750)가 하부관체(710)의 상단에 지지되어서 고정되고 상부관체(740)의 하단에 걸려서 상부관체(740)를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부유체(750)는 중간관체(720)의 하부에서 분사관체(730)까지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부유체(750)가 하부관체(710)에 위치되면 분사관체(730)가 개방된다.
그리고, 공기분사부(700)는 부유체(750)에 설치되는 웨이트(760)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부관체(710)에서 물이 배출되면 웨이트(760)의 하중에 의해 부유체(750)가 신속하게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세척수가 하부관체(710) 및 분사관체(730)를 통해 유입되면 부유체(750)가 부유되어서 상부관체(740)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상부관체(740)를 통해 세척수의 침투됨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에서 세척수가 배출된 상태에서 상부관체(74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부유체(750)가 하강되어서 중간관체(720)의 하부에 위치되어 분사관체(730)가 개방되므로 분사관체(7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관체(730)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세척물이 건조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세척수감지부(180)가 세척수를 감지하지 못하고 감지센서(170)가 거치부재(200)에 의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폐쇄됨을 감지하면 헹굼수분사부(60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세척통(100)이 폐쇄된 상태로 헹굼수분사부(600)를 통해 분사되는 헹굼수가 세척물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척통(100)의 외부로 유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00)는 세척수감지부(180)가 세척수를 감지하지 못하고 감지센서(170)가 거치부재(200)에 의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개방됨을 감지하면 공기분사부(70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세척통(100)이 개방된 상태로 공기분사부(700)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세척물을 건조시키면서 세척통(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세척물을 건조시킨 공기가 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므로 세척물의 건조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식기나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가 채워진 세척통에 진동파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공하여 세척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초음파 세척기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세척통 110 : 내향턱
120 : 연결부 121 : 연통관
122 : 연결플랜지 130 : 수위감지부재
131 : 수위감지관 132 : 수위센서
140 : 세제공급부재 141 : 세정액분사노즐
142 : 세정액공급통 143 : 세정액공급펌프
150 : 안내홈 160 : 보관케이스
161 : 개방구 16 : 회수릴
163 : 회수모터 164 : 지지롤러
170 : 도어센서 180 : 세척수감지부
200 : 거치부재
210 : 걸림턱 220 : 요철
230 : 거치판 240 : 힌지부
300 : 초음파부재 310 : 고주파발생부
320 : 초음파고정부 321 : 고주파결합부
322 : 유실방지부 323 : 고정캡
324 : 고정플랜지 325 : 밀폐관
326 : 밀폐판 330 : 초음파체결부
400 : 컨트롤러 500 : 초음파체결수단
510 : 전달판 520 : 실링부
530 : 체결부 540 : 구조보강부
550 : 초음파픽싱부 560 : 밀폐부
600 : 헹굼수분사부 700 : 공기분사부
710 : 하부관체 720 : 중간관체
730 : 공기노즐 740 : 상부관체
750 : 부유체 760 : 웨이트
800 : 구속부재 810 : 베이스
820 : 좌우구속부 830 : 좌우고정부
840 : 상하구속부 850 : 상하고정부

Claims (13)

  1. 세척물 및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통(100)과,
    세척통(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세척물이 올려져서 거치되는 거치부재(200)와,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초음파를 발생시켜서 세척수에 제공하여 세척물에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복수의 초음파부재(300)와,
    초음파부재(300)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통(100)은 상부에서 마주되게 내향턱(110)이 형성되고,
    거치부재(200)는 세척통(100)의 내향턱(110)에 걸리도록 양단에 걸림턱(210)이 형성되며, 걸림턱(210)이 형성되지 않은 양측 폭이 세척통(100)의 양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통(100)은 상부에서 양측에 안내홈(150)이 형성되고,
    거치부재(200)는
    세척통(100)의 안내홈(150)에 양단이 걸려서 고정되는 다수의 거치판(230)과,
    거치판(230)들의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세척통(100)의 상부에서 일측에 거치부재(200)가 수용되어서 보관되는 보관케이스(160)가 마련되고,
    보관케이스(160)는 안내홈(150)에 연이어지는 개방구(161)가 형성되어, 안내홈(15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치판(230)들이 개방구(161)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거치부재(200)는 다수의 판들과 판들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로 으로 이루어지고,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세척통(100)에 거치되는 거치부재(20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800)를 포함하고,
    구속부재(800)는
    세척통(100)의 양측에 고정되는 베이스(810)와,
    베이스(810)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거치부재(200)의 외측을 구속하는 좌우구속부(820)와,
    좌우구속부(820)가 거치부재(200)를 구속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좌우구속부(820)를 베이스(810)에 고정시키는 좌우고정부(830)를 포함하며,
    좌우고정부(830)는 베이스(810) 및 좌우구속부(820)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기 및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거치부재(200)는 다수의 판들과 판들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로 으로 이루어지고,
    세척통(100)에 구비된 상태로 세척통(100)에 거치되는 거치부재(200)를 구속하는 구속부재(800)를 포함하고,
    구속부재(800)는
    세척통(100)의 양측에 고정되는 베이스(810)와,
    베이스(810)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거치부재(200)의 외측을 구속하는 상하구속부(840)와,
    상하구속부(840)가 거치부재(200)를 구속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하구속부(840)를 베이스(810)에 고정시키는 상하고정부(850)를 포함하며,
    상하고정부(850)는 베이스(810)의 전면 및 상하구속부(840)의 배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기 및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통(100)에는 거치부재(20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00)로 전송하는 감지센서(170) 및 세척수를 감지하여 컨트롤러(400)로 전송하는 세척수감지부(180)가 설치되고,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으로 헹굼수를 분사하는 헹굼수분사부(600)와,
    세척통(100)에서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700)를 포함하고,
    컨트롤러(400)는 세척수감지부(180)가 세척수를 감지하지 못하고 감지센서(170)가 거치부재(200)에 의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폐쇄됨을 감지하면 헹굼수분사부(600)를 작동시키고, 세척수감지부(180)가 세척수를 감지하지 못하고 감지센서(170)가 거치부재(200)에 의해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이 개방됨을 감지하면 공기분사부(7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공기분사부(700)는
    세척통(100)의 하부에 연통되는 하부관체(710)와,
    하부관체(710)의 상부에 연통되는 중간관체(720)와,
    중간관체(720)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서 세척통(100)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된 상태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730)과,
    중간관체(720)의 상부에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공급가 유입되는 상부관체(740)와,
    중간관체(720)에 내장되어 하부관체(710) 및 중간관체(720)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 부유되어서 상부관체(740)를 폐쇄하고, 상부관체(7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부관체(740)를 개방하는 부유체(750)를 포함하고,
    중간관체(720)는 하부관체(710) 및 상부관체(740)의 직경보다 크고,
    부유체(750)는 중간관체(720)의 직경보다 작고, 하부관체(710) 및 상부관체(740)의 직경보다 크면서, 중간관체(720)의 하부에서 분사관체(730)까지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통(100)은 양측 및 하부에 초음파부재(300)가 연결되는 연결부(120)가 형성되고,
    연결부(120)는
    세척통(100)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관(121)과,
    연통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22)를 포함하며,
    초음파부재(3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에 상응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생부(310)와,
    고주파발생부(310)가 고정되는 초음파고정부(320)와,
    초음파고정부(320)를 세척통(100)에 체결시키는 초음파체결부(330)를 포함하고,
    초음파고정부(320)는
    고주파발생부(310)가 고정된 상태로 세척통(100)의 연결플랜지(122)에 결합되는 고주파결합부(321)와,
    고주파결합부(321) 및 연결플랜지(122)의 사이에 위치되어 세척수의 유실을 방지하는 유실방지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고주파결합부(321)는
    고주파발생부(310)가 삽입되어서 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연결부(120)의 연통관(121)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는 고정캡(323)과,
    고정캡(323)에 형성되어 연결부(120)의 연결플랜지(122)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324)를 포함하고,
    유실방지부(322)는
    세척통(100)의 연통관(121) 및 고정캡(323)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관(325)과,
    밀폐관(325)에 형성되어 세척통(100)의 연결플랜지(122) 및 고정플랜지(324)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판(3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통(100)은 양측 및 하부에 초음파부재(300)가 연결되는 연결부(120)가 형성되고,
    연결부(120)는
    세척통(100)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관(121)과,
    연통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22)를 포함하며,
    세척통(100)에 초음파부재(300)를 체결시키기 위한 초음파체결수단(500)을 포함하고,
    초음파체결수단(500)은
    초음파부재(300)가 고정된 상태로 세척통(100)의 연통부(120)에 체결되어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세척통(100)의 세척수에 전달하는 전달판(510)과,
    전달판(510) 및 세척통(100)의 연통부(120)의 사이를 실링하여 세척수의 유실을 방지하는 실링부(520)와,
    세척통(100)의 연통부(120)에 전달판(510)을 체결시키는 체결부(530)와,
    초음파부재(3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전달판(510)을 보호하기 위해 구조를 보강하는 구조보강부(540)와,
    전달판(510)에 초음파부재(300)를 픽싱하는 초음파픽싱부(550)와,
    초음파부재(300) 및 세척통(100)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구조보강부(540)는
    전달판(510)에 밀착되어서 인장력을 제공하는 망체(541)와,
    망체(541)를 감싸는 상태로 전달판(510)에 고정되는 고정수지(5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초음파픽싱부(550)는 나사축으로 구성되어 초음파부재(300)에 형성되는 나사탭에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전달판(510)에 형성되는 나사탭에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
KR1020200018941A 2020-02-17 2020-02-17 초음파 세척기 KR10236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941A KR102369232B1 (ko) 2020-02-17 2020-02-17 초음파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941A KR102369232B1 (ko) 2020-02-17 2020-02-17 초음파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31A true KR20210104331A (ko) 2021-08-25
KR102369232B1 KR102369232B1 (ko) 2022-02-28

Family

ID=7749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941A KR102369232B1 (ko) 2020-02-17 2020-02-17 초음파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82346A (zh) * 2022-10-19 2023-01-10 广东洁泰超声设备有限公司 一种可自动回篮的清洗烘干系统
CN117380638A (zh) * 2023-09-12 2024-01-12 久兴隆工程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自清洁式自动液位控制水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281A (ja) * 1999-05-24 2000-11-28 Mastec Ltd 流し台ユニット
KR20060024752A (ko) * 2004-09-14 2006-03-17 강명도 초음파세척기용 초음파 발생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281A (ja) * 1999-05-24 2000-11-28 Mastec Ltd 流し台ユニット
KR20060024752A (ko) * 2004-09-14 2006-03-17 강명도 초음파세척기용 초음파 발생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82346A (zh) * 2022-10-19 2023-01-10 广东洁泰超声设备有限公司 一种可自动回篮的清洗烘干系统
CN117380638A (zh) * 2023-09-12 2024-01-12 久兴隆工程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自清洁式自动液位控制水洗装置
CN117380638B (zh) * 2023-09-12 2024-06-07 融科精密制造(广东)有限公司 一种自清洁式自动液位控制水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232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232B1 (ko) 초음파 세척기
KR101389238B1 (ko) 드럼식 세탁기
US20070137265A1 (en) Drain system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160267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712220B1 (ko) 슬러지 부상배출 초음파 세척기 및 그 세척방법.
KR102038840B1 (ko) 급수수단이 포함된 브러시를 이용한 솔라패널 세척장치
JP3170160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206064925U (zh) 全自动超声波清洗机
KR20060004501A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90022733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70083137A (ko) 초음파 세척기
KR101122791B1 (ko) 식기 세척기의 식기랙 보호 구조
KR102129839B1 (ko) 초음파 식기 세척장치
KR200481146Y1 (ko) 대걸레 세척기
KR20050048741A (ko) 음식물 세척기
KR20050041522A (ko) 드럼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법
JP4347232B2 (ja) 食器洗浄機
KR0129480B1 (ko) 자동 쌀세척기
CN114411364B (zh) 一种自洁抗菌复合纤维面料自主洗涤设备
CN110331562B (zh) 一种洗衣机的消泡方法及洗衣机
CN220836995U (zh) 一种音响网清洗装置
CN216574729U (zh) 一种瓶子冲洗装置
KR100267931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JP4356522B2 (ja) 食器洗い機
KR101263315B1 (ko) 드럼세탁기의 샤워 헹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