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870A -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870A
KR20210103870A KR1020200018585A KR20200018585A KR20210103870A KR 20210103870 A KR20210103870 A KR 20210103870A KR 1020200018585 A KR1020200018585 A KR 1020200018585A KR 20200018585 A KR20200018585 A KR 20200018585A KR 20210103870 A KR20210103870 A KR 2021010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module
security
household
terminal
househol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to KR102020001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3870A/ko
Publication of KR2021010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870A/ko
Priority to KR1020220041783A priority patent/KR10239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성보안키를 생성, 전송 및 인증하는 보안모듈을 이용한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으로서, 개별세대에 구비되며, 제1보안모듈(110)을 통해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접속되는, 세대단말기(100); 및 일회성보안키에 대한 정보를 제1보안모듈(110)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 제2보안모듈(210)이 구비되며, 제2보안모듈(210)을 통해 세대단말기(100)에 접속되는,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 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A Smart home security reinforcement system centering on gener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으로서, 일회성보안키 방식을 이용하여 세대디바이스 및 공동디바이스의 제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에서, 조명, 냉난방, 가스 등 세대 내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월패드와 같은 세대단말기와 홈 네트워킹 서버를 이용하여 통합 관리되는 스마트홈(smart home)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이는 전문적 지식이나 숙련도 없이도 입주자가 편리하게 세대 내 다양한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게 하며, 건축물의 시공자 또는 관리자 입장에서도 원격으로 각 세대 내 다양한 상황을 확인하게 하고 이상 상황시, 신속히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세대단말기는 보안 상 취약점을 나타낸다. 세대단말기 역시 PC와 같은 정보 처리 기기이기에 해킹에 노출될 수 있다. 악의를 갖는 누군가가 입주자 동의 없이 세대단말기에 접속하여 전기를 차단하거나 냉난방 설정을 바꾸는 등 다양한 문제들이 보고된다.
이는 비단 개별세대 내에 위치된 세대디바이스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공동단지에는 입주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공동디바이스가 구비된다. 대표적으로, 엘리베이터, 공동현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공동디바이스의 제어는 단순히 한 세대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 다수의 세대와 관련된 디바이스이며, 이들 중 대부분은 입주민들의 안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바, 이들의 보안 취약은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등록특허 제10-1977175호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완공 후 입주 전 점검시 활용되는 통합 관리서버를 제공한다. 관리서버는 세대 출입용 가상키를 생성하여 출입 허가 조건을 만족할 경우 작업자 단말기에 이를 전송하여 작업자가 출입하게 한다. 다만, 본 종래기술은 작업자 인증 절차가 없기에 작업자를 참칭하여 가상키를 생성하거나, 시공이 종료된 이후 작업자가 세대에 출입하거나, 세대별로 동일한 규칙의 비밀번호가 생성되는 등 다양한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종래기술은 세대디바이스와 공동디바이스의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에 대한 개시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위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세대디바이스와 세대디바이스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신규한 보안 강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977175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629845호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564709호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01090호
(특허문헌 5) 한국등록특허 제10-05658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세대를 포함하는 아파트 또는 아파트 단지와 같은 건물에서, 개별 세대에 구비된 세대단말기를 통해, 보다 간편하게 세대디바이스와 공동디바이스를 제어함과 동시에, 이들의 보안을 강화함으로써, 입주민의 거주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증대시킨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대단말기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의 접속 인증과 사용 제어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회성보안키를 생성, 전송 및 인증하는 보안모듈을 이용한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으로서, 개별세대에 구비되며, 제1보안모듈(110)을 통해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접속되는, 세대단말기(100); 및 일회성보안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보안모듈(110)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 제2보안모듈(210)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보안모듈(210)을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100)에 접속되는,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 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별세대 내에 구비되며, 상기 세대단말기(1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세대디바이스로서, 장착된 제3보안모듈(310)을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100)에 상태값을 전송하되, 상기 세대단말기(310)에 의해 상기 상태값이 상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됨으로써, 이상 유무가 판단되는, 세대디바이스(3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상기 제2보안모듈(210)이 일회성보안키를 생성한 후, 상기 제1보안모듈(110)로 전송하여 상기 제1보안모듈(110)에 의해 인증되며, 상기 제1보안모듈(110)은, 인증정보를 상기 제2보안모듈(2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가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대단말기(100)는, 상기 제1보안모듈(210)이 일회성보안키를 생성한 후, 상기 제2보안모듈(210)로 전송하여 상기 제2보안모듈(210)에 의해 인증되며, 상기 제2보안모듈(210)은, 인증정보를 상기 제1보안모듈(1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가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대단말기(100)는, 상기 제1보안모듈(110)을 통해, 상기 제3보안모듈(310)에 상태값을 요청하며, 상기 세대디바이스(300)는, 상기 제3보안모듈(310)을 통해, 상기 제1보안모듈(110)로 상태값을 전송하고, 상기 제1보안모듈(110)은, 상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수신된 상기 상태값을 전송하여 상기 세대디바이스(30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세대디바이스(300) 각각은, 고유의 세대단말기 제1보안모듈(110) 및 제3보안모듈(310)을 갖고,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세대디바이스(300)가 상기 제1보안모듈(110) 및 제3보안모듈(310)을 통해, 동일 세대로 판별되면, 상기 세대디바이스(300)는, 상기 동일 세대의 세대단말기의 제1보안모듈(110) 이외의 다른 세대단말기 제1보안모듈의 접속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4보안모듈(410)이 장착되며, 개별세대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된 도어락(40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대단말기(100)의 제1보안모듈(110)은, 일회성보안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4보안모듈(410)로 전송하고, 상기 제4보안모듈(410)에 의해, 보안이 인증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도어락(400)이 상호 접속되어 상기 세대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도어락(4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상기 제2보안모듈(210)을 통해, 상기 제1보안모듈(110)에 상태값을 요청하며, 상기 세대단말기(100)는, 상기 제1보안모듈(210)에 의해, 상기 제2보안모듈(210)로 상태값을 전송하며, 상기 제2보안모듈(210)은, 수신된 상기 상태값을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10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별세대 외부에 위치되는 공동디바이스(5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디바이스(500)는, 제5보안모듈(510)이 장착된 개별제어서버(501)를 구비하며, 상기 제5보안모듈(510)을 통해, 상기 공동디바이스(500)의 접속을 인증함으로써, 상기 공동디바이스(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보안모듈(510)은, 상기 제1보안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일회성보안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일회성보안키가 인증되면, 상기 세대디바이스(300) 및 공동디바이스(500)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안모듈(210)은 상기 제5보안모듈(510)과 접속되며, 상기 제1보안모듈(110)은, 상기 제2보안모듈(210)로 일회성보안키를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일회성보안키가 상기 제2보안모듈(210)에 의해 인증되면, 상기 세대디바이스(300) 및 공동디바이스(500)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개별세대의 구성원이 가지고 있으며, 미리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100)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는 상기 구성원정보가 저장된, 구성원단말기(6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원단말기(600) 및 세대단말기(100)는, (a) 상기 세대단말기(100)에 저장된 구성원정보 및 상기 구성원단말기(6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구성원정보를 매칭시키는 방식; 또는 (b)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구성원단말기(600)에 구비된 제6보안모듈을 통해, 일회성보안키가 생성되며, 상기 일회성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세대단말기(100)로부터 인증받는 방식; 으로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다수의 세대를 포함하는 아파트 또는 아파트 단지와 같은 건물에서, 개별 세대에 구비된 세대단말기를 통해, 보다 간편하게 세대디바이스와 공동디바이스를 제어함과 동시에, 이들의 보안을 강화함으로써, 입주민의 거주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대단말기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의 접속 인증과 사용 제어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세대단말기와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가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세대단말기와 세대디바이스가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세대단말기와 도어락이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세대단말기가 공동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세대단말기가 공동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스마트홈(smart home)"은 각 세대에 구비된 세대단말기(예를 들어, 월패드 등)를 중심으로 세대 내 다양한 장치들이 디지털화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축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세대"는 생활을 같이하는 1인 또는 다수의 사람이 공통 거주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주거, 상업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에 거주하는 다수의 세대 각각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업 시설에서 개별적으로 입주한 사무실 단위를 지칭할 수도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은 아파트 각 세대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 상업 시설 각 사무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주동"은 앞서 설명한 다수의 세대가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건물을 이루는 경우 해당 건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세대디바이스"는 각 세대에 구비된 세대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세대 내 조명 시설, 난방 시설, 냉방 시설, 가스 밸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공동사용 시설장치'는 공동현관 이외에도 주거용 건물 단지 내의 커뮤니티 시설(예로, 피트니스센터, 커피숍 등), 커뮤니티 시설 내에 구비된 설비(예로, 러닝머신, 스크린 골프 연습장 등)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주거용 건물 단지에서 거주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모든 시설장치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공동현관'은 다수의 세대에 출입하기 위한 문 중 하나로서 다수의 세대에서 공동으로 관리되는 현관을 의미하되 출입 단속 내지 잠금이 가능한 도어락과 같은 전자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공동현관은 주로 지하층이나 1층 등 저층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주동에 1개의 공동현관이 위치하거나 또는 하나의 주동에 다수의 공동현관이 위치할 수 있다. 주동이 계단식 아파트인 경우 끝자리 1-2호 세대에서 1개의 공동현관을 사용하고 3-4호 세대에서 1개의 공동현관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회성보안키의 설명
본 발명은 보안 강화를 위해 일회성보안키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일회성보안키는 세대단말기 일회성보안키, 도어락 일회성보안키, 공동사용 시설장치 일회성보안키, CCTV 일회성보안키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공통된 특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일회성보안키는 일회성이고, 유효기간이 설정되어 있으며,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무작위(random)로 생성되는 보안 정보이다. OTP(One Time Password) 토큰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외에도 앞서 언급한 조건을 만족하는 다른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
입주민이 구성원단말기(600)에 설치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세대단말기나, CCTV 서버에 접속하거나 또는 공동현관이나 특정 세대에 출입하기 위해 일회성보안키를 인증서버(미도시)에 요청하면, 인증서버는 사용자 인증 이후, 일회성보안키를 생성하여 구성원단말기(600)에 전송한다.
사용자는 구성원단말기(600)에 전송된 일회성보안키를 해당 세대단말기(100),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 CCTV 서버 등에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전송시킴으로써 해당 세대단말기(100),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 CCTV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구성원단말기(600)가 일회성보안키를 이용하여 각 세대의 도어락(400)이나 공동현관에 무선 연결할 수 있다. 도어락(400)과 공동현관에는 보안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안모듈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무선 연결된 구성원단말기(600)에서 전송된 일회성보안키가 당해 보안모듈에 상응하는 일회성보안키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증되면 잠금장치를 동작시켜 잠금을 해제하고 문을 개방하여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성보안키에는 유효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기간이 넘은 일회성보안키를 이용하여 도어락(400) 잠금을 해제하거나 세대단말기(100)에 접속할 수 없다. 따라서, 이전 거주자(즉, 과거에 권한이 있었지만 현재 권한이 없는 자)가 세대에 진입하거나 세대단말기에 접속하는 것이 방지되고, 구성원단말기(600) 분실시 유효기간을 재설정함으로써 타인의 세대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락(400), 공동현관, 세대단말기(100) 등이 반드시 통신 상태일 필요는 없다. 도어락(400) 공동현관, 세대단말기(100) 등은 구성원단말기(600)와 블루투스 등으로 무선 연결되어 있으면 족하다. 따라서,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오류, 아파트 단지 내 유선 통신 설비의 고장 시에도 적법한 사용자를 위해 문이 개방되거나 단말기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한 시스템 및 실행 방법은 후술한다.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의 설명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은, 세대단말기(100),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 세대디바이스(300), 도어락(400), 공동디바이스(500) 및 구성원단말기(600)를 포함한다.
세대단말기(100)는 개별세대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로서, 벽에 부착되는 월패드 또는 세대 게이트웨이와 같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세대단말기(100)를 통해, 개별세대의 입주자는 세대디바이스(300)('스마트 디바이스'라 칭하기도 함), 도어락(400), 난방온도조절기, 침입감지장치 등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터치패널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대단말기(100)는 제1보안모듈(110)이 내장되어 있다.
제1보안모듈(110)은 일회성보안키를 생성, 전송 및 인증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해, 보안모듈에는 통신부(미도시)가 내장되며, 통신부를 통해 일회성보안키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후술하는 제2보안모듈(210) 내지 제5보안모듈(510) 역시 모두 동일한 바, 해당 부분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보안모듈(110)은 H/W타입과 S/W타입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면, 세대단말기(100)에는 H/W타입으로 구성되면서, 홈네트워크 서버(200)에는 S/W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다수의 주동을 통합 관리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다수의 아파트 건물이 단지로서 구축될 경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단지 내 설치되어 각 세대가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세대단말기(100)는 홈넷 LAN을 통해 유선으로 여기에 연결될 수 있다.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각 세대단말기(100)와 연결되기에, 사용자는 작업자 단말기(150)를 이용해 세대단말기(100)의 고장 등을 수리할 수도 있지만,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직접 접속하여 세대단말기(100)의 고장 등을 수리할 수도 있다.
또한,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각 세대단말기(100)에 상태값을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각 세대단말기(1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세대단말기(100) 및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대한 접속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접속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도어락(400), 공동현관의 출입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출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세대디바이스(300)는 개별세대 내에 구비되어 입주민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입주민의 편의는 냉방, 난방, 공기정화 등 입주민의 편의와 관련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모두 포함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각 실의 조명, 난방밸브제어기, 가스밸브, 차단콘센트, 감지기류, 욕실폰, 주방TV폰, 일괄소등버튼, 공기청정환기, 시스템에어컨, 공기질센서 등을 포함한다. 또한, 개별세대의 보안과 관련된 침입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대디바이스(300)의 제3보안모듈(310)은 H/W타입으로 구성될 있는 바, H/W타입의 제3보안모듈(310)을 통해 세대단말기(100)에 상태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제3보안모듈(310)이 S/W타입 보안모듈을 경우, 보안모듈과 결합된 상태로 센싱 S/W에 의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락(400)은 전술한 세대디바이스(300)의 일부라고 볼 수도 있으나, 도어락(400)의 특수성 때문에 별도로 설명한다. 도어락(400)은 각 세대에 적어도 1개 구비된다. 도어락(400)은 일반적으로 무선연결부, 송수신부, 보안모듈(제4보안모듈을 의미함) 및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잠금장치는 도어락(400)의 도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적 부재이다. 잠금장치가 동작하여 도어가 잠금되거나 해제된다. 무선연결부는 세대단말기(100) 및/또는 구성원단말기(600)와 무선연결된다. 제4보안모듈(410)은 도어락(400)에 별도 구비되는 것으로 칩 형태일 수 있으며, 세대단말기(100) 및/또는 구성원단말기(600)가 갖는 일회성보안키를 복호화하여 도어락(400)에 상응하는 것인지 판단함으로써 인증하며, 인증된 경우 잠금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공동디바이스(500)는 전술한 세대디바이스(300)와는 달리, 입주민 공동의 생활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공동사용 시설장치는 입주민의 안전을 위해 구비되는 장치 이외에도 입주민의 편의를 위한 장치(예로, 피트니스 장치) 역시 모두 포함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동현관, 엘리베이터, CCTV, 주차관제, 원패스카드 등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미리 명시하는 바이다.
구성원단말기(600)는 개별세대 내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스마트테블릿 또는 스마트폰을 의미한다. 세대 구성원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술한 세대단말기(100)의 기능을 일부 및/또는 전부 사용할 수 있다. 세대 구성원이 사용하는 홈네트웍(스마트홈)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스마트폰, 테블릿 등)이 있으며, 모바일 APP은 세대 단말기에 최초 무선 연결 시, 세대 단말기에 등록되어 있는 세대 구성원정보와 비교하여 인증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세대단말기(100) 간에는 보안모듈에 의한 일회성보안키로 자동 인증될 수도 있고 세대단말기(100)에 표시된 일회성보안키 값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여 인증될 수도 있다. 세대 구성원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세대단말기(100) 자체의 기능과 세대 내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실시예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입주자는 구성원단말기(600)를 통해 세대단말기(100)에 접속하여 세대디바이스(300), 도어락(400),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 및 공동디바이스(500)에 모두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구성원단말기(600)를 통한 이들의 접속/제어 설명은 생략하며, 세대단말기(100)를 통한 접속/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시스템 이용방법의 제1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이용방법 중 세대단말기(100)와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가 접속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세대단말기(100)에는 제1보안모듈(110)이 내장되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는 제2보안모듈(210)이 내장된다. 도 2에서는 세대단말기(100)가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일회성보안키를 전송하는 것을 도시하나, 이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도 2는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가 세대단말기(100)로 접근하는 실시예이다.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제2보안모듈(210)에 의해, 세대단말기 일회성보안키 전송이 세대단말기(100)로 요청된다. 세대단말기(100)에서는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서의 요청 신호의 매칭을 통해 인증한다. 예를 들어, 세대단말기(100)의 제1보안모듈(110)에 의해, 일회성보안키를 생성되고, 생성된 일회성보안키를 제2보안모듈(210)과 주고 받는 과정에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접속을 개시한다. 또한, 일회성보안키는 추가적으로 유효기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정보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다르게 세팅될 수 있다.
세대단말기(100)에서 인증되면, 세대단말기(100)의 제1보안모듈(110)에서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제2보안모듈(210)로 세대단말기 일회성보안키를 전송한다. 제2보안모듈(210)는, 수신된 세대단말기 일회성보안키가 일치하면, 세대단말기(100) 및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상호 접속된다. 도 2에서는 세대단말기(100) 및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상호 접속까지만 설명하고, 나머지 내용은 도 5에서 설명한다.
시스템 이용방법의 제2실시예
도 3을 참조하여,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 세대디바이스(30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세대단말기(100)로 세대디바이스 상태값을 요청한다.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가 세대디바이스(300)로 직접 상태값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큰 로드가 걸리는 바, 세대단말기(200)로 일단은 상태값을 요청한다. 상태값 전송을 요청받은 세대단말기(100)는 해당 세대 내에 있는 세대디바이스(300)에 상태값을 요청한다. 이 때, 세대단말기(100)로부터 상태값을 전송을 요청받은 세대디바이스(300)는 동일 세대인지를 판단하고, 상태값 전송 요청 신호가 유효한지 기설정된 기준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상태값 전송 요청 신호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제3보안모듈(310)에 의해), 이를 인증하고, 세대단말기(100)로 세대디바이스의 상태값을 전송한다. 그 후, 세대단말기(100)는 세대디바이스 상태값을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하여 이들은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서 관리된다. 도 3에서는 세대디바이스(300)의 상태값을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서 전송받았으나, 변형예로 세대단말기(100)의 상태값 역시 전송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대디바이스(300)의 이상유무와 함께 세대단말기(100)의 이상유무 역시 함께 관리할 수 있는 바, 자가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세대단말기(100)가 전송 및 인증하는 일회성 보안키는 동일한 보안모듈을 장착한 세대디바이스(300)(도어락, 난방 온도조절기 등)와 세대단말기(100)가 최초 연결시, 동일 세대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로 인증된 이후에, 인접 세대에서의 접근이나 외부의 접근으로부터 유일성 갖고 보안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대단말기(100) 및 세대디바이스(300) 각각은, 고유의 세대단말기 제1보안모듈(110) 및 제3보안모듈(310)을 갖고, 세대단말기(100) 및 세대디바이스(300)가 제1보안모듈(110) 및 제3보안모듈(310)을 통해, 동일 세대로 판별되면, 세대디바이스(300)는, 동일 세대의 세대단말기 제1보안모듈(110) 이외의 다른 세대단말기의 제1보안모듈(110)이 접속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 이용방법의 제3실시예
도 4를 참조하여, 세대단말기(100)가 도어락(400)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세대단말기(100)는 세대 현관문의 도어락(400)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하여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고, 현관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세대단말기(100) 및 도어락(400) 사이는 일회성보안키로 보안이 확보된다. 또한, 입주자의 안전을 위해, 세대단말기(100)에는 도어락(400) 접속정보가 모두 자동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템 이용방법의 제4실시예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세대단말기(100)를 통해 공동디바이스(500)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공동디바이스(500) 접속을 위해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접속을 거치는 과정이며, 도 6은 이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공동디바이스(500)에 접속하는 과정이다.
세대단말기(100)는 보안모듈을 내장한 공동 현관 로비폰과 연결되어 세대 방문을 원하는 방문자를 확인하거나 공동현관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세대단말기(100)는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 보안모듈을 내장한 단지 내 다른 관리 서버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제어서버, CCTV 제어서버, 주차관제 제어서버 및 원패스카드 제어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대단말기(100)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단지 내의 CCTV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차관제 제어서버와 원패스 제어서버를 통해 세대에 속한 차량의 단지 입출입과 세대 구성원의 입출입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세대단말기
110: 제1보안모듈
200: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
210: 제2보안모듈
300: 세대디바이스
310: 제3보안모듈
400: 도어락
410: 제4보안모듈
500: 공동디바이스
600: 구성원단말기

Claims (12)

  1. 일회성보안키를 생성, 전송 및 인증하는 보안모듈을 이용한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으로서,
    개별세대에 구비되며, 제1보안모듈(110)을 통해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접속되는, 세대단말기(100); 및
    일회성보안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보안모듈(110)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 제2보안모듈(210)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보안모듈(210)을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100)에 접속되는,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 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세대 내에 구비되며, 상기 세대단말기(1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세대디바이스로서, 장착된 제3보안모듈(310)을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100)에 상태값을 전송하되,
    상기 세대단말기(310)에 의해 상기 상태값이 상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됨으로써, 이상 유무가 판단되는, 세대디바이스(300);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상기 제2보안모듈(210)이 일회성보안키를 생성한 후, 상기 제1보안모듈(110)로 전송하여 상기 제1보안모듈(110)에 의해 인증되며,
    상기 제1보안모듈(110)은,
    인증정보를 상기 제2보안모듈(2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가 상호 접속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단말기(100)는,
    상기 제1보안모듈(210)이 일회성보안키를 생성한 후, 상기 제2보안모듈(210)로 전송하여 상기 제2보안모듈(210)에 의해 인증되며,
    상기 제2보안모듈(210)은,
    인증정보를 상기 제1보안모듈(11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가 상호 접속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단말기(100)는,
    상기 제1보안모듈(110)을 통해, 상기 제3보안모듈(310)에 상태값을 요청하며,
    상기 세대디바이스(300)는,
    상기 제3보안모듈(310)을 통해, 상기 제1보안모듈(110)로 상태값을 전송하고,
    상기 제1보안모듈(110)은,
    상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수신된 상기 상태값을 전송하여 상기 세대디바이스(30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세대디바이스(300) 각각은,
    고유의 세대단말기 제1보안모듈(110) 및 제3보안모듈(310)을 갖고,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세대디바이스(300)가 상기 제1보안모듈(110) 및 제3보안모듈(310)을 통해, 동일 세대로 판별되면,
    상기 세대디바이스(300)는,
    상기 동일 세대의 세대단말기의 제1보안모듈(110) 이외의 세대단말기 제1보안모듈의 접속이 차단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제4보안모듈(410)이 장착되며, 개별세대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된 도어락(40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대단말기(100)의 제1보안모듈(110)은, 일회성보안키를 생성하여 상기 제4보안모듈(410)로 전송하고,
    상기 제4보안모듈(410)에 의해, 보안이 인증되면,
    상기 세대단말기(100) 및 도어락(400)이 상호 접속되어 상기 세대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도어락(400)의 동작이 제어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단지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상기 제2보안모듈(210)을 통해, 상기 제1보안모듈(110)에 상태값을 요청하며,
    상기 세대단말기(100)는,
    상기 제1보안모듈(210)에 의해, 상기 제2보안모듈(210)로 상태값을 전송하며,
    상기 제2보안모듈(210)은, 수신된 상기 상태값을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10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세대 외부에 위치되는 공동디바이스(5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디바이스(500)는,
    제5보안모듈(510)이 장착된 개별제어서버(501)를 구비하며,
    상기 제5보안모듈(510)을 통해, 상기 공동디바이스(500)의 접속을 인증함으로써, 상기 공동디바이스(500)를 제어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보안모듈(510)은,
    상기 제1보안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일회성보안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일회성보안키가 인증되면, 상기 세대디바이스(300) 및 공동디바이스(500)가 접속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안모듈(210)은 상기 제5보안모듈(510)과 접속되며,
    상기 제1보안모듈(110)은,
    상기 제2보안모듈(210)로 일회성보안키를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일회성보안키가 상기 제2보안모듈(210)에 의해 인증되면, 상기 세대디바이스(300) 및 공동디바이스(500)가 접속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개별세대의 구성원이 가지고 있으며, 미리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100)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는 상기 구성원정보가 저장된, 구성원단말기(6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원단말기(600) 및 세대단말기(100)는,
    (a) 상기 세대단말기(100)에 저장된 구성원정보 및 상기 구성원단말기(6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구성원정보를 매칭시키는 방식; 또는
    (b)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구성원단말기(600)에 구비된 제6보안모듈을 통해, 일회성보안키가 생성되며, 상기 일회성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세대단말기(100)로부터 인증받는 방식; 으로 상호 접속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KR1020200018585A 2020-02-14 2020-02-14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KR20210103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85A KR20210103870A (ko) 2020-02-14 2020-02-14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KR1020220041783A KR102395240B1 (ko) 2020-02-14 2022-04-04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85A KR20210103870A (ko) 2020-02-14 2020-02-14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783A Division KR102395240B1 (ko) 2020-02-14 2022-04-04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870A true KR20210103870A (ko) 2021-08-24

Family

ID=775071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585A KR20210103870A (ko) 2020-02-14 2020-02-14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KR1020220041783A KR102395240B1 (ko) 2020-02-14 2022-04-04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783A KR102395240B1 (ko) 2020-02-14 2022-04-04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038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636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산들정보통신 스마트 홈 통합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1793A (ko) 2022-01-19 2023-07-26 고인구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지능형 개인화 통합 위협 관리의 보안성 강화 시스템
KR20230111792A (ko) 2022-01-19 2023-07-26 고인구 스마트홈 보안을 위한 지능형 개인화 통합 위협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080B1 (ko) * 2022-05-25 2023-02-16 오선화 공동 주택 단지에서의 앱 보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25936B1 (ko) * 2022-11-29 2023-05-02 예주산업(주) 스마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598A (ko) * 2014-04-16 2015-10-26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소프트 사물인터넷 보안시스템 및 방법
KR101810150B1 (ko) * 2015-04-09 2018-01-26 (주)아이씨엔캐스트 모바일 단말과 IoT기기간 제3자 보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111B1 (ko) * 2015-07-01 2015-11-27 주식회사 이노스코리아 랜덤하면서 유일한 코드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772936B1 (ko) * 2015-12-10 2017-08-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일회성 패스워드를 이용한 ami 보안시스템 및 방법
KR101898342B1 (ko) * 2016-10-31 2018-10-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그비 기반의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그비 기반의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876183B1 (ko) * 2017-11-20 2018-08-02 수상에스티(주) IoT 기반의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
KR101977175B1 (ko) * 2018-02-22 2019-05-10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공동주택 시설물 통합 관리 방법, 세대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서버
KR20190130206A (ko) * 2018-04-23 2019-11-22 (주)아이씨엔캐스트 분실 보안이 강화된 IoT기기 제3자 보안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636A (ko)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산들정보통신 스마트 홈 통합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1793A (ko) 2022-01-19 2023-07-26 고인구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지능형 개인화 통합 위협 관리의 보안성 강화 시스템
KR20230111792A (ko) 2022-01-19 2023-07-26 고인구 스마트홈 보안을 위한 지능형 개인화 통합 위협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497A (ko) 2022-04-21
KR102395240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240B1 (ko) 세대단말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EP3992931A1 (en) Smart building integration and device hub
JP6552195B2 (ja) 指向性アンテナおよび無線トークンを用いて構造物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203516A (ja)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US20190325677A1 (en) Home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authorization functionality
KR100969906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2262485B1 (ko) 일회성 보안키를 이용한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KR20200022950A (ko) 공유기를 이용한 공유공간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KR20240062231A (ko) 스마트 홈 보안 강화 시스템
US202200700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ntrol system for managing smart devices in a multiple unit property environment
KR20030073807A (ko) 홈 네트워크를 위한 인증/인가 시스템
KR102344137B1 (ko)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44754B1 (ko) 일회성 보안키를 이용한 도어락 보안 강화 시스템
TWI729657B (zh) 保全系統
WO2022096870A1 (en) Augmented access control system
WO2022033882A1 (en) Building system with elevator call entry via offline qr code credential
TWI715391B (zh) 保全系統
EP1732050A1 (en) Apparatus control system
TWI735121B (zh) 保全系統
JP2006188294A (ja) エレベータ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提供方法
JP4915669B2 (ja) 防犯用照明システム
EP3561789A1 (en) Improved home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authorization functionality
US202400961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1182346A1 (ja) 施設防犯機器の遠隔操作管理装置および遠隔操作管理方法
KR20220064239A (ko)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