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239A -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239A
KR20220064239A KR1020200150530A KR20200150530A KR20220064239A KR 20220064239 A KR20220064239 A KR 20220064239A KR 1020200150530 A KR1020200150530 A KR 1020200150530A KR 20200150530 A KR20200150530 A KR 20200150530A KR 20220064239 A KR20220064239 A KR 20220064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ccess control
control device
key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범석
신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패스
Priority to KR102020015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4239A/ko
Publication of KR20220064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출입제어시스템은 출입자 단말기가 일방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수신할 때 출입문이 열리도록 구성되어 출입자는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해 다른 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며, 출입제어장치는 출입자 단말기가 전송하는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인증할 때 외부의 서버와 연동하지 않음으로써 스탠드 얼론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출입제어장치는 온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출입문 외측에 기설정된 감시구역에 출입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Access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Control the Doorlock by Using Key provided through Bluetooth Broadcas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동현관용 출입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가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치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락은 데드볼트(Dead Bolt)를 문에 설치된 홈에 끼우거나 전자석으로 문에 설치된 철판을 잡아당기는 방법 등으로 문을 개폐하는 장치이며, 각종 인증수단에 의해 인증된 경우에 문을 개폐한다. 종래에 인증수단으로 널리 이용되는 것이 비밀번호, 마그네틱 카드, RFID 태그(Tag) 및 지문입력기 등이다. 좀 더 복잡한 시스템의 경우에는 얼굴인증이나 홍채 인증을 수행하는 별도의 출입제어기를 구비하고 출입제어기가 도어락을 제어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아무래도 경제적으로 가격이 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가정의 현관문 등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최근에 지문입력기를 구비한 도어락이 출시되고 있지만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가격부담이 그만큼 커진다.
한편,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무선 통신방식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인 블루투스이다. 블루투스 통신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식별코드를 전달함으로써 간단히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9837(발명의 명칭: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에 의하면 휴대 통신 기기와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통신 기기에서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휴대 통신 기기와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우선 블루투스 접속을 선행하고,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부터 핀코드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핀코드를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 전송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매번 사용자가 핀코드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하여 제안된 발명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17247호는 블루투스 도어락과 달리 별도의 조작 없이 신호강도세기 만을 측정하여 도어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폰의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과 아두이노의 블루투스 모듈이 서로 통신을 하며 수신 신호의 강도를 측정해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락에 얼마나 접근 여부에 따라 RSSI 값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RSSI 값을 바탕으로 현관문을 자동으로 열어주는 방식이다.
한편, 블루투스 방식으로 인증키를 제공하는 방식에서, 블루투스의 감지범위 때문에 출입자가 출입문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지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고, 따라서 불필요하게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관련 기술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9837(발명의 명칭: 휴대 통신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17247호(발명의 명칭: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휴대 단말기가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공동현관 출입문의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공동현관용 출입제어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통신수단을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통신 케이블의 설치, 통신설비의 설치 또는 통신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구현함에도 출입자를 인증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커버리지가 출입자 인증에 상대적으로 넓음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출입문 외측에 출입자가 위치한 경우에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출입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도어락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의 출입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출입제어방법은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장치제어부가 출입자 단말기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브로드캐스팅하는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 아이디와 보안키가 기등록된 것과 동일한 것인지 확인하는 키인증 단계와;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센서부가 상기 출입문 외측 전방에 설정한 감시영역에 출입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키인증이 성공한 때에 상기 감시영역 내에 위치한 출입자가 확인되면, 상기 장치제어부가 상기 도어락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키인증 단계에서, 상기 출입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은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상기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주기적으로 발송하되, 상기 출입문에 출입이 허용된 모든 출입자의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상기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발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키인증 단계와 출입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자 단말기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구역에 적외선을 출사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인체 온도를 검출하면 출입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출입제어방법은 상기 출입문의 개방 이후에, 상기 장치제어부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읽어서 상기 출입자의 온도가 상기 인체 온도 중에서 고온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램프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입문을 개폐하는 도어락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에도 미친다. 본 발명의 출입제어장치는 제2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온도센서, 도어락 구동부 및 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제2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는 출입자 단말기의 제1 블루투스 인터페이스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브로드캐스팅하는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수신하고, 온도센서는 상기 출입문 외측 전방에 설정한 감시영역에 출입자가 있는지 확인한다. 도어락 구동부는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도어락을 제어한다. 장치제어부는 상기 제2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제품 아이디와 보안키가 기등록된 것과 동일한 것인지 확인하는 키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키인증이 성공한 때에 상기 감시영역 내에 인체 온도가 센싱되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출입제어장치는 특정 출입문에 고유하게 설정된 보안키를 블루투스로 발송하는 모든 출입자(출입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게 다른 절차없이 간단히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보안키를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방송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출입자는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해 다른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출입제어장치는 출입자 인증을 위해 본 발명의 관리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한편, 출입제어장치는 온도센서로 전방 감시구역의 온도를 센싱하여 인체 온도가 감지된 경우에만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출입문이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감시구역을 출입문 외측 가까이에 설정함으로써 출입문 내측의 출입자나 멀리 떨어져 있는 출입자를 인식하고 출입문이 개방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현관용 출입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동현관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출입자 단말기와 출입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현관용 출입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현관용 출입제어방법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제어시스템(100)은 출입자를 관리하는 관리서버(110)와, 출입문(30)에 설치된 도어락(10)과, 도어락(10)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150)를 포함한다. 관리서버(110)는 인터넷을 통해 출입자 단말기(130)와 연결된다. 출입제어장치(150)는 출입문(30) 일측에 설치되며 출입자 단말기(130)와 연결되고 관리서버(110)와는 연결되지 않는다. 출입문(30)은 여러 출입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출입문으로서, 예를 들어 공동현관의 출입문이 해당한다.
도어락(10)은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출입문(30)을 개폐한다. 예를 들어, 도어락(10)은 데드볼트(미도시)를 구동하여 출입문(30)을 개방할 수도 있고 출입문(30)에 설치된 전자석을 제어하여 자력으로 출입문(30)을 개방할 수도 있으며, 출입제어장치(150)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어떤 방식의 도어락도 무방하다. 도어락(10)은 본 발명의 출입제어장치(150)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될 수 있지만, 출입문(30)의 한 쪽에 설치된 출입제어기(50)에 의해서도 제어된다.
관리서버(110)는 서비스 중인 복수 개 출입문에 대한 '정보 테이블'을 보유하고 관리한다. 정보 테이블에 등록되는 개별 출입문에 대한 정보는 해당 출입문(또는 공동현관)의 명칭(예컨대, oo 아파트 oo동)과 주소, 해당 출입문에 부여된 '보안키'와 고유한 '인증키', 그리고 해당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제어장치의 제품 식별자(ID)를 포함한다.
제품 식별자는 출입제어장치(150)가 보유한 고유한 코드로서, 출입제어장치(150)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안키는 출입자 단말기(130)가 출입제어장치(150)에게 제공하여 출입문(30)을 개방할 때 사용하는 코드이고, 인증키는 주기적으로 관리서버(110)에 제공하여 출입자 단말기(130)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이다. 보안키와 인증키는 출입문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코드이기 때문에 특정 출입문을 출입하는 모든 출입자(또는 출입자 단말기)는 동일한 보안키와 인증키를 사용한다. 예컨대 제1 출입문의 고유한 보안키를 '1234'라 할 경우에, 제1 출입문을 출입하는 모든 복수의 출입자의 출입자 단말기는 '1234'를 보안키로 사용한다. 보안키는 다양한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처럼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나 RFID 코드를 입력받아 도어락(10)을 제어하여 출입문(30)을 개방하는 별도의 출입제어기(50)가 출입문(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출입제어기(50)에 입력하는 비밀번호를 '보안키'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보안키는 출입자 단말기(130)가 관리서버(110)로부터 인증키와 제품 아이디를 처음 제공받을 때 사용한다. 출입자는 출입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110)에 접속한 다음 출입을 원하는 출입문을 선택하고, 관리자로부터 제공받은 보안키를 출입자 단말기(130)에 입력하여 관리서버(110)에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서버(110)에게 인증키와 제품 아이디를 요청할 수 있다. 관리서버(110)는 선택된 출입문의 보안키를 확인하여 출입자를 인증하고, 정보 테이블을 조회하여 선택된 출입문의 인증키와 제품 아이디를 출입자 단말기(130)에게 제공한다.
인증키는 출입자 단말기(130)가 발송하는 보안키의 유효성 또는 출입자를 관리서버(110)로부터 주기적으로 인증받기 위해 사용된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는 것처럼, 출입자 단말기(130)는 출입제어장치(150)와 쌍방으로 통신하지 않고 출입제어장치(150)에게 일방적으로 인증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출입제어장치(150)는 관리서버(110)에 인증정보를 확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입제어장치(150) 블루투스 이외에 관리서버(11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출입자 단말기(130)가 주기적으로 인증키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하여 출입자 단말기(130) 자신을 인증해야 한다. 인증키는 출입제어장치(150)의 설치 후에 보안키를 검증 한 후에 생성되기 때문에, 관리서버(110)는 특정 출입문의 보안키가 변경되면 새로운 인증키를 등록한다.
출입자 단말기(130)는 출입자가 휴대하는 장치로서, 출입문(30)을 출입하기 위해 출입제어장치(150)에게 인증정보인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제공한다. 출입자 단말기(13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휴대단말기(PDA), 태블릿 컴퓨터(또는 태블릿)와 같이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로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전화 기능, 카메라 기능, 위치 인식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 중 본 발명의 설명에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에 대하여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고 설명하지도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입자 단말기(130)는 표시부(301), 입력부(303), 통신 인터페이스(305), 제1 블루투스 인터페이스(307) 및 단말제어부(310)를 포함한다.
표시부(301)는 엘시디(LCD), 오엘이디(OLED) 등과 같이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고, 입력부(303)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통상, 표시부(301)와 입력부(303)가 하나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신 인터페이스(305)는 관리서버(110)와 연결되기 위한 무선 통신인터페이스로서, 이동통신망, 무선랜(Wireless LAN), 지그비(Zigbee) 등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 해당한다. 제1 블루투스 인터페이스(307)는 출입제어장치(150)에게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수단이다.
단말제어부(310)는 출입자 단말기(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출입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별히 출입인증부(311)를 포함한다. 출입인증부(311)는 스마트 폰 등에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제어장치(150)를 통해 도어락(10)을 개방하기 위한 일련의 출입자 인증절차 중 키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출입인증부(311)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는 출입자 단말기(130)의 동작은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출입제어장치(150)는 공동 출입문(30) 일측에 설치되며, 관리서버(110)와 연결되지 않고 출입자 단말기(130)와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출입제어장치(150)는 제2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01), 온도센서(403), 도어락구동부(405) 및 장치제어부(410)를 포함한다. 이밖에도 출입제어장치(150)는 경고 상황을 표시할 수 있는 램프(미도시)나 스피커(비프음 출력, 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입제어장치(150)는 도어락(10)과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도어락(10)이 설치된 출입문(30)에 부가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하의 설명도 도어락(10)이 별도로 설치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출입제어장치(150)는 출입자 단말기(130)로부터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수신하면, 자신이 보유한 제품 아이디 및 보안키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키인증 절차'를 수행한 다음, 도어락(10)을 제어하여 출입문(30)을 개방한다.
제2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01)는 출입자 단말기(130)의 제1 블루투스 인터페이스(307)가 출입자의 '키인증'을 위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수신하여 장치제어부(410)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출입제어장치(150)는 출입자 단말기(130)가 일방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기 때문에, 키인증 단계에서 출입자 단말기(130)와의 사이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하지 않는다.
이밖에도, 제2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01)는 출입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장치제어부(41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출입문(30) 외측의 신호는 수신하고 출입문(30) 내측의 신호는 수신하지 않도록 한다.
도어락구동부(405)는 도어락(10)과 연결되며, 장치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10)을 제어하여 출입문(30)이 개방되도록 한다. 통상 도어락구동부(405)는 접점 제어 형태로 전기 신호를 도어락(10)에게 보냄으로써 도어락(10)을 제어하게 된다. 출입문(30)에 설치된 도어락(10)은 출입제어장치(150)로부터 접점 신호를 수신하면 출입문(30)을 개방한다.
실시 예에 따라, 출입제어장치(150)는 도어락(10)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출입제어기(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락구동부(405)가 출입문 개방을 위한 전기 신호를 출입제어기(50)에게 제공하면, 출입제어기(50)가 도어락(10)을 제어한다.
출입제어장치(150)는 전방의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며, 출입문(30) 전방에 설정된 감시영역(X)의 출입자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센서라도 센서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적외선 기반의 온도센서(403)를 사용하며, 이하에서도 센서부가 온도센서(403)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온도센서(403)는 전방의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본 발명에서 온도센서(403)는 출입문(30) 전방에 설정된 감시영역(X)에 적외선을 출사하여, 감시영역(X)에 위치한 출입자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작한다.
장치제어부(410)는 출입제어장치(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출입문 개방을 위한 본 발명의 키 인증을 수행한다. 키 인증을 위해, 장치제어부(410)는 고유한 제품 아이디와 보안키를 등록해서 보유한다. 제품 아이디는 자신에게 할당된 고유의 제품 아이디로서, 통상 출입제어장치(150)의 제작과정에서 부여된다. 보안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입문(30)에 고유하게 할당된 것으로서, 장치제어부(410)는 하나의 보안키만을 등록받아 관리한다. 출입제어장치(150)의 출입자 인증은 출입자 개인을 인증하는 것이 아니라 출입권한을 인증하는 것이기 때문에, 출입자 인증에는 하나의 보안키가 사용된다. 따라서 하나의 출입제어장치를 통해 출입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복수의 출입자는 모두 동일한 보안키를 사용한다. 장치제어부(410)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출입문 개방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출입제어장치(150)의 동작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키인증에 기초한 출입문 개방 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한다. 키 인증을 위해서, 먼저 ① 출입제어장치(150)는 보안키를 등록해야 하고, ② 출입자 단말기(130)는 보안키를 입력받고 관리서버(110)로부터 인증키와 제품 아이디를 제공받아야 한다. 위 ①과 ②의 선행 작업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하다.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의 수신: S501>
정상상태에서, 출입자 단말기(130)의 출입인증부(311)는 제1 블루투스 인터페이스(307)를 이용하여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키 인증을 주기적으로 시도한다. 출입인증부(311)의 키인증 시도는 출입제어장치(150)와의 연결이나, 관리서버(110)와의 연결,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방적인 동작이다. 만약 출입인증부(311)가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된 경우라면, 출입인증부(311)는 출입자의 조작이 없더라도 상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출입자가 출입문(30) 개방을 위해 다른 조작이나 조치를 할 필요가 없다.
출입자 단말기(130)가 키 인증을 위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있기 때문에, 출입제어장치(150)가 출입자 단말기(130)의 제1 블루투스 인터페이스(307)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있으면, 브로드캐스팅되고 있는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반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출입문(30)을 출입하기 위해 출입제어장치(150)에 키인증을 시도하는 모든 출입자의 출입자 단말기는 동일한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따라서 출입제어장치(150)는 복수 개의 출입자 단말기로부터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의 쌍을 수신하지만, 브로드캐스팅 중인 복수 개 출입자 단말기를 구분할 수 없다.
<키인증: S503>
출입제어장치(150)의 장치제어부(410)는 출입자 단말기(13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수신하면, 키인증을 수행한다. 키인증은 수신한 보안키가 기등록된 보안키와 동일하고, 수신한 제품 아이디가 출입제어장치(150) 자신의 제품 아이디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것이다. 장치제어부(410)는 출입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가 자신이 보유한 것과 동일하면 키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 중 어느 하나라도 다르면 키인증 실패로 처리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장치제어부(410)는 S501 단계에서 수신한 출입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에 키인증을 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2 블루투스 인터페이스(401)는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장치제어부(4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온도센서를 이용한 출입자 확인: S505>
S503 단계의 키인증이 성공하면, 장치제어부(410)는 센서부를 이용하여 출입문(30) 외측 전방에 설정한 감시영역(X)에 출입자가 있는지 확인한다.
도 4의 예에서, 장치제어부(410)는 온도센서(403)의 측정값을 확인하여 인체 온도가 검출되는지 확인한다. 감시영역(X)내에 인체 온도가 감지되면, 감시영역(X) 내에 출입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인체 온도는 예를 들어 통상의 사람의 체온인 36.5도를 중심으로 일정한 크기의 여유값(예컨대 ±3도)을 더한 온도 범위로 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장치제어부(410)는 S501 단계에서 수신한 출입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에 키인증과 함께 인체 온도가 감지되는지 온도센서(403)의 측정값을 확인할 수도 있다.
<출입문 개방: S507>
S503 단계의 키인증이 성공하고 온도센서(403)가 인체 온도를 검출하면, 장치제어부(410)는 보안키를 보유한 출입자가 출입문(30) 외측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락 구동부(405)로 하여금 출입문(30)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도어락 구동부(405)는 장치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10)을 제어하여 출입문(30)을 개방한다. 온도센서(403)의 인체 온도 감지를 동시에 확인함으로써, 출입문(30) 내측에 위치한 출입자 단말기(130)에 의해 출입문(30)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
도어락(10) 제어에 따른 출입문 개방 이후에, 출입문(30)의 개방 감지, 일정한 시간 이후의 출입문(30)의 재잠금 등을 포함하는 도어락(10) 자체의 일반적인 출입문 개방제어는 종래에 출입문 제어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도어락구동부(405)가 출입문 개방 이후의 출입문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고, 출입제어기(50)에서 출입문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출입제어장치(150)의 출입문 개방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제어장치(150)는 키인증을 포함해 출입문 개방과 관련하여 관리서버(110)와 어떠한 통신을 할 필요가 없다.
실시 예 1
한편, S507 단계에서 출입문이 개방된 이후에, 장치제어부(410)는 온도센서(403)의 측정값을 읽어서 출입문(30)을 통과하는 출입자의 온도를 감시할 수 있다. 만약, 출입자의 온도가 비록 인체 온도 범위에 속하더라도 높은 고온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램프(예컨대, 적색램프. 미도시) 또는 스피커(비프음 출력. 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 2
한편, 출입자 단말기(130)는 주기적으로 인증키와 제품 아이디를 관리서버(110)에게 제공하여, 출입자 단말기(130)의 출입제어장치(150)를 통한 출입을 인증받는 것이 필요하다. 출입자 단말기(130)의 출입인증부(311)는 주기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305)를 통해 관리서버(110)에 접속한 다음, 인증키와 제품 아이디를 관리서버(110)에게 제공함으로써 인증키를 인증받는다. 인증키 인증을 통해, 혹시 출입문(30)의 보안키가 변경(따라서 인증키가 변경)되는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1. 출입문을 개폐하는 도어락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의 출입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장치제어부가 출입자 단말기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브로드캐스팅하는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수신하여, 상기 제품 아이디와 보안키가 기등록된 것과 동일한 것인지 확인하는 키인증 단계;
    상기 출입제어장치의 센서부가 상기 출입문 외측 전방에 설정한 감시영역에 출입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키인증이 성공한 때에 상기 감시영역 내에 위치한 출입자가 확인되면, 상기 장치제어부가 상기 도어락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여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제어장치의 출입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인증 단계에서,
    상기 출입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은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상기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주기적으로 발송하되, 상기 출입문에 출입이 허용된 모든 출입자의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상기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제어장치의 출입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인증 단계와 출입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자 단말기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의 수신세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에 수행되며,
    상기 출입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구역에 적외선을 출사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인체 온도를 검출하면 출입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제어장치의 출입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개방 이후에, 상기 장치제어부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읽어서 상기 출입자의 온도가 상기 인체 온도 중에서 고온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램프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제어장치의 출입제어방법.
  5. 출입문을 개폐하는 도어락을 제어하는 출입제어장치에 있어서,
    출입자 단말기의 제1 블루투스 인터페이스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브로드캐스팅하는 보안키와 제품 아이디를 수신하는 제2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상기 출입문 외측 전방에 설정한 감시영역에 출입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온도센서;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도어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구동부; 및
    상기 제2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제품 아이디와 보안키가 기등록된 것과 동일한 것인지 확인하는 키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키인증이 성공한 때에 상기 감시영역 내에 인체 온도가 센싱되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락 구동부를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제어장치.
KR1020200150530A 2020-11-11 2020-11-11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20220064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30A KR20220064239A (ko) 2020-11-11 2020-11-11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30A KR20220064239A (ko) 2020-11-11 2020-11-11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239A true KR20220064239A (ko) 2022-05-18

Family

ID=8180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530A KR20220064239A (ko) 2020-11-11 2020-11-11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42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8124B (zh) 用于控制访问的远程应用
WO2001052561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WO2019039746A1 (ko) 출입문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그 도어락 장치
KR101872847B1 (ko)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09879A1 (en)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O2014157770A1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623432B1 (ko) 블루투스 연결에 의한 실내에서의 출입인증을 차단할 수 있는 블루투스 출입인증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CN109219682B (zh) 电子锁系统和电子锁装置
KR100894421B1 (ko) 지문 인증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사용자 인증 방법
KR2007008065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어 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4239A (ko) 블루투스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제공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출입제어장치 및 그 개폐방법
JP2007052514A (ja) 対象装置および認証方法
EP1732050A1 (en) Apparatus control system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WO2021132914A2 (ko)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79532B1 (ko) 스마트 도어를 이용한 외부 접속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시스템
JP2019028580A (ja) 監視システム
KR20070075449A (ko)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모드가 자동 변환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2003004247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도어개폐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700975B1 (ko) 휴대폰이 내장된 비상문 개폐장치
TWI715391B (zh) 保全系統
TWI735121B (zh) 保全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