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937A -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937A
KR20240019937A KR1020220097757A KR20220097757A KR20240019937A KR 20240019937 A KR20240019937 A KR 20240019937A KR 1020220097757 A KR1020220097757 A KR 1020220097757A KR 20220097757 A KR20220097757 A KR 20220097757A KR 20240019937 A KR20240019937 A KR 20240019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room
terminal
user
accommo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구
한경완
최성락
이봉희
김지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9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937A/ko
Publication of KR2024001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객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락에 대한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객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모듈과, 상기 인증모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별될 경우, 해당 사용자를 숙박권한자로 설정하고, 해당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도어락이 작동되도록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은 객실을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도어락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작동시키므로 사용자가 객실의 도어락을 작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카드키 또는 비밀번호가 요구되지 않아 보다 용이하게 객실들의 도어락을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Room door lock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키 대신에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예약된 객실의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숙박시설은 복수의 객실을 갖추고 있고, 객실별로 대응되는 도어락을 갖는다. 투숙객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객실 거주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호텔 객실의 도어락에 대해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종래에 숙박 시설은 카드키에 의해 객실마다 설치되는 도어락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한다. 객실별로 적어도 한 장의 카드키를 갖추고, 카드키에는, 그 대응되는 객실의 ID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카드키를 객실 도어락의 자기 카드 센싱 구역에 놓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카드키 내의 ID 정보를 도어락으로 전송하고, 도어락이 해당 ID 정보에 대해 검증을 진행하고, 검증을 통과하면, 해당 객실의 도어락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카드키를 이용하지 않고 새로운 투숙객이 올 때마다 투숙객이 사용할 객실 도어락 출입 비밀번호를 신규로 생성하여 투숙객에게 전달해주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관리자는 새로운 출입 비밀번호가 필요한 객실 도어락에 접근하여 도어락 설정 모드를 이용해 새로 사용할 출입 비밀 번호를 등록한다. 그리고 비밀번호 등록 후 도어락의 설정 모드에 진입하여 새로운 출입 비밀 번호를 등록해야 하며 도어락에 직접설정 변경을 진행해야 하므로 설정을 위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다수의 도어락을 보유한 숙박 시설의 경우에 관리자가 일일이 방마다 직접 다니며 도어락에 접근하여 수동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3532호: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무인 숙박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객실을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도어락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작동시킬 수 있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은 객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락에 대한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객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모듈과, 상기 인증모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별될 경우, 해당 사용자를 숙박권한자로 설정하고, 해당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도어락이 작동되도록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객실의 숙박 권한을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에 대한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공유정보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인증모듈에서 인증정보가 수신된 단말기들 중 상기 공유정보 수신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공유자에 대한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된 단말기를 공유자 기기로 설정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해당 공유자 기기에서 수신된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해당 도어락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를 해제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유예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객실의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상기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객실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상기 신호 수신부로 전송되기 위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와 신호 수신부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를 해제한 시점 이후에,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뎀과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객실의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상기 도어락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뎀은 단말기의 연결 가능 범위가 상기 객실이 포함된 소정의 영역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객실에 숙박하고자 예약한 예약자의 인증정보 및 해당 예약자의 숙박 예약 기간에 대한 예약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전송된 인증정보가 상기 예약자의 인증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작동신호가 수신된 시점이 상기 예약자의 숙박 예약 기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인증모듈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숙박 가능한 객실 및 해당 객실의 숙박 가능 기간에 대한 숙박 정보를 전송하는 숙박정보 전송부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예약하고자 하는 객실 및 해당 객실에 숙박하고자 하는 숙박 예약 기간에 대한 예약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 입력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예약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예약 설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객실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상기 신호 수신부로 전송되기 위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공유자 기기와 신호 수신부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통신모뎀과 연결되되, 해당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통신모뎀과 미연결된 상태인 경우, 해당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 중 나머지 하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동신호는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가 상기 통신모뎀과 미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또는 공유자 기기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통신모뎀이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도어락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뎀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로부터 작동신호를 최초로 수신한 시점 이후에, 상기 통신모뎀에 대한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의 연결상태가 해제된 다음, 해당 통신모뎀에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가 재연결될 경우, 해당 숙박권한자가 외출 후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객실의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락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은 객실을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도어락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작동시키므로 사용자가 객실의 도어락을 작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카드키 또는 비밀번호가 요구되지 않아 보다 용이하게 객실들의 도어락을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100)은 객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해당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락(11)에 대한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10)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객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모듈(120)과, 상기 인증모듈(120)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별될 경우, 해당 사용자를 숙박권한자로 설정하고, 해당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도어락(11)이 작동되도록 상기 도어락(11)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모듈(140)과,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로부터 해당 객실의 숙박 권한을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에 대한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공유정보 수신부(130)와, 사용자에게 숙박 정보를 전송하는 숙박정보 전송부(150)와, 사용자가 예약하고자 하는 예약 입력정보를 저장하는 예약 설정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락(11)은 객실의 도어에 설치되어 해당 객실의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잠금장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15)에는 사용자로부터 인증정보 또는 도어락 작동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인증정보 또는 도어락 작동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입력모듈(12)이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인증모듈(12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5)가 접속하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5)로 인증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설치된 입력모듈(12)은 해당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인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로그인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로그인 메뉴에 작성한 인증정보를 인증모듈(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기등록된 아이디, 비밀번호, 사용자의 단말기(15)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등이 포함된다. 해당 인증모듈(120)은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정보가 기등록된 회원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인증모듈(120)은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인증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대신에,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5)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경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 중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5)에 기설정된 고유 정보 즉, 전화번호 등과 같은 인증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모듈(120)은 해당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객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인증모듈(120)은 사용자의 단말기(15)로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객실의 식별정보 즉, 객실의 호실 번호 등을 요청하고, 수신된 객실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객실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모듈(120)은 해당 객실에 숙박하고자 예약한 예약자의 인증정보 및 해당 예약자의 숙박 예약 기간에 대한 예약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여 해당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객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별한다. 즉, 인증모듈(120)은 사용자의 단말기(15)에서 전송된 인증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객실에 대한 예약자의 인증정보에 대응되고, 신호 수신부(110)에서 작동신호가 수신된 시점 또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5)가 인증모듈(120)에 접속된 시점이 상기 예약자의 숙박 예약 기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객실을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별한다. 인증모듈(120)은 판별정보를 도어락 제어모듈(140)에 전송한다.
한편, 인증모듈(120)은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회원 가입에 필요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인증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요청하고,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신호 수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도어락(11)의 작동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객실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도어락(11)의 작동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입력한다. 사용자의 단말기(15)의 입력모듈(12)은 해당 식별정보 및 작동신호를 신호 수신부(110)에 전송한다. 해당 신호 수신부(110)는 상기 식별정보 및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 제어모듈(140)에 전송한다.
상기 공유정보 수신부(130)는 인증모듈(120)에서 사용자가 해당 객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어 숙박권한자로 설정되면, 해당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로부터 해당 객실의 숙박 권한을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의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15)에 해당 공유자의 단말기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아이디 등의 인증정보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의 단말기(15)는 해당 공유자의 인증정보를 공유정보 수신부(130)에 전송한다. 상기 공유정보 수신부(130)는 수신된 공유자의 인증정보를 등록하고, 도어락 제어모듈(140)에 전송한다.
숙박정보 전송부(150)는 인증모듈(120)에서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5)로 숙박 가능한 객실 및 해당 객실의 숙박 가능 기간에 대한 숙박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숙박정보는 측정대상 객실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데, 객실의 숙박 가능 기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분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류되어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15)는 숙박정보 전송부(150)에서 전송된 숙박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예약 설정부(160)는 인증모듈(120)에 접속된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사용자가 예약하고자 하는 객실 및 해당 객실에 숙박하고자 하는 숙박 예약기간에 대한 예약 입력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15)에서 표시된 숙박정보를 보고, 예약하고자 하는 객실과 숙박 예약기간에 대한 예약 입력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입력한다. 사용자의 단말기(15)는 해당 예약 입력정보를 예약 설정부(160)에 전송하고, 예약 설정부(160)는 사용자의 단말기(15)에서 전송된 예약 입력정보를 수신한다.
다음, 예약 설정부(160)는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수신된 예약 입력정보와,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가 포함되도록 예약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예약자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관리대상 객실들의 도어락(11)에 연결되어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에서 수신된 도어락(11)의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해당 도어락(11)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인증모듈(120)에서 사용자가 해당 객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사용자를 숙박권한자로 설정하고,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 및 객실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인증 키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상기 숙박권한자로 설정된 사용자의 단말기(15)에서 신호 수신부(110)로 수신된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도어락(11)이 작동되도록 해당 도어락(11)을 제어한다. 즉, 신호 수신부(110)에서,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로부터 객실의 도어락(11)의 잠금 해제에 대한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해당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해당 객실의 도어락(11)을 잠금 해제 상태로 작동시킨다. 또한, 신호 수신부(110)에서,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로부터 객실의 도어락(11)의 잠금에 대한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해당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해당 객실의 도어락(11)을 잠금 상태로 작동시킨다.
또한,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상기 인증모듈(120)에서 인증정보가 수신된 단말기들 중 상기 공유정보 수신부(130)에서 제공되는 상기 공유자에 대한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된 단말기를 공유자 기기로 설정하고, 해당 객실에 대한 인증 키 정보에 상기 공유자의 인증정보를 추가한다. 그리고,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신호 수신부(110)를 통해 해당 공유자 기기에서 수신된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해당 객실의 도어락(11)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숙박하고자 하는 객실에 도착한 다음, 사용자의 단말기(15)를 이용하여 인증모듈(120)에 접속한다. 해당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객실의 식별정보 및 자신의 인증정보와 함께 해당 객실의 도어락(11)에 대한 작동신호 즉,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명령이 포함된 도어락(11)의 작동신호를 입력한다. 사용자의 단말기(15)는 입력된 객실의 식별정보, 인증정보 및 도어락(11)의 작동신호를 인증모듈(120) 및 신호 수신부(110)에 전송한다.
인증모듈(120)은 해당 인증정보 및 해당 인정정보 또는 작동신호의 입력 시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예약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객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정보를 도어락 제어모듈(140)에 전송한다.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인증모듈(120)에서 사용자가 해당 객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사용자를 숙박권한자로 설정하고, 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도어락(11)이 작동되도록 해당 도어락(11)을 제어한다. 즉, 해당 객실의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해당 객실의 도어락(11)을 제어하고, 이후에, 해당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에서 신호 수신부(110)로 전송된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작동되도록 해당 객실의 도어락(11)을 작동시킨다.
한편, 숙박권한자가 해당 객실의 숙박 권한을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의 인증정보를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에 입력할 경우, 해당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는 상기 공유자의 인증정보를 공유정보 수신부(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해당 공유자의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입력된 단말기를 공유자 기기로 설정하고, 공유자 기기에서 신호 수신부(110)로 전송된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작동되도록 해당 객실의 도어락(11)을 제어한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100)은 객실을 예약한 사용자의 단말기(15)로부터 도어락(1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도어락(11)을 작동시키므로 사용자가 객실의 도어락(11)을 작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카드키 또는 비밀번호가 요구되지 않아 보다 용이하게 객실들의 도어락(11)을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상기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를 해제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유예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객실의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상기 도어락(11)을 제어할 수 있다. 해당 유예시간은 10초 내지 30초가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객실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숙박권한자가 도어락(11)의 잠금을 위한 잠금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해당 도어락(11)을 잠금 상태로 작동시키므로 도난과 같은 범죄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의 통신망 접속상태에 따라 도어락(11)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객실들이 마련된 건축물에,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와 신호 수신부(110), 인증모듈(120)과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통신모뎀(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신모뎀은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각 객실들에 인접된 위치의 건축물 내부에 마련된다. 여기서, 통신모뎀은 단말기의 연결 가능 범위가 상기 객실이 포함된 소정의 영역으로 제한되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숙박권한자와 통신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모뎀은 숙박권한자에 의해 설정된 공유자 기기와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15) 즉,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 및 공유자 기기는 통신모뎀의 단말기의 연결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할 경우, 해당 통신모델을 통해 인증모듈(120) 및 신호 수신부(110)와 통신하도록 해당 통신모뎀에 우선적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상기 통신모뎀으로부터 통신모뎀에 대한 단말기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상기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를 해제한 이후에,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가 해당 통신모뎀과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면 숙박권한자가 객실에서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객실의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도어락(11)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통신모뎀에 대한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의 통신 연결 상태를 토대로 도어락(11)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숙박권한자가 도어를 잠그지 않고 외출하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도어락(11)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 및 공유자 기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통신모뎀과 연결되되, 해당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 및 공유자 기기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통신모뎀과 미연결된 상태인 경우, 해당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 및 공유자 기기 중 나머지 하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동신호는 무시할 수 있다. 일예로,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는 통신모뎀에 연결되되, 공유자 기기가 통신모뎀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숙박권한자가 객실에 입실한 상태이고, 공유자는 외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외출한 공유자의 공유자 기기에서 전송된 작동신호를 무시하고, 객실에 입실한 상태인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에서 전송된 작동신호를 따라 해당 객실의 도어락(11)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객실에 입실한 상태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동신호에 따라 도어의 도어락(11)을 작동시키므로 외출한 사용자의 단말기(15)의 오작동으로 입력된 작동신호에 따라 도어락(11)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 및 공유자 기기가 모두 통신모뎀과 미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 수신부(110)를 통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 또는 공유자 기기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통신모뎀이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통신모뎀이 고장 상태로 판별될 경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 또는 공유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도어락(11)을 작동시키고, 관리자의 단말기로 해당 객실에 설치된 통신모뎀의 고장 상태에 대한 수리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가 상기 통신모뎀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신호 수신부(110)를 통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로부터 작동신호를 최초로 수신한 시점 이후에, 상기 통신모뎀에 대한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의 연결상태가 해제된 다음, 해당 통신모뎀에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가 재연결될 경우, 해당 숙박권한자가 외출 후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객실의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락(1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숙박권한자는 예약한 객실에 최초로 입실하는 경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가 통신모뎀에 연결된 상태로 신호 수신부(110)에 작동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숙박권한자가 외출하면,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는 통신모뎀의 통신 연결 가능 범위를 벗어나므로 통신모뎀과의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다음, 숙박권한자가 객실로 복귀하면,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는 통신모뎀의 통신 연결 가능 범위에 진입하여 통신모뎀과 연결된다.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상기 통신모뎀에 대한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의 연결상태가 해제된 다음, 해당 통신모뎀에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가 재연결될 경우, 해당 숙박권한자가 외출 후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객실의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락(1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통신모뎀에 대한 숙박권한자의 단말기(15)의 연결상태를 토대로 외출 후 복귀하는 상황을 판별하여 자동으로 객실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도어락(11)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신호 수신부(110)를 통해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또는 공유자 기기로부터 잠금 작동 또는 해제 작동 중 어느 한 작동에 대한 작동신호가 기설정된 단위시간동안 기준횟수 이상으로 수신되면, 해당 도어락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객실의 식별번호와 함께 오작동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또는 공유자 기기는 해당 객실에 마련된 통신모뎀에 연결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위시간 및 기준횟수는 객실의 종류, 크기 및 도어락의 모델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숙박권한자가 외출 후 복귀시 객실의 도어 앞에서 단말기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에 대한 작동 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숙박권한자의 단말기는 통신모뎀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신호 수신부(110)를 통해 동일한 작동신호가 단위시간동안 기준횟수 이상으로 입력되면, 숙박권한자가 도어락을 작동시켜려고 하지만 숙박권한자의 의도와 다르게 해당 도어락이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의 단말기로 오작동 정보를 전송한다. 상술된 도어락 제어모듈(140)은 숙박권한자의 작동 신호 입력에 따라 도어락의 고장발생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도어락의 고장에 대해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110: 신호 수신부
120: 인증모듈
130: 공유정보 수신부
140: 도어락 제어모듈
150: 숙박정보 전송부
160: 예약 설정부
170: 통신모뎀

Claims (10)

  1. 객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락에 대한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객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인증모듈; 및
    상기 인증모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별될 경우, 해당 사용자를 숙박권한자로 설정하고, 해당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도어락이 작동되도록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객실의 숙박 권한을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에 대한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공유정보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인증모듈에서 인증정보가 수신된 단말기들 중 상기 공유정보 수신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공유자에 대한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된 단말기를 공유자 기기로 설정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해당 공유자 기기에서 수신된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해당 도어락의 작동을 제어하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를 해제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유예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객실의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객실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상기 신호 수신부로 전송되기 위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와 신호 수신부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객실의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를 해제한 시점 이후에,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뎀과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객실의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뎀은 단말기의 연결 가능 범위가 상기 객실이 포함된 소정의 영역으로 제한된,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에 숙박하고자 예약한 예약자의 인증정보 및 해당 예약자의 숙박 예약 기간에 대한 예약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전송된 인증정보가 상기 예약자의 인증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상기 작동신호가 수신된 시점이 상기 예약자의 숙박 예약 기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객실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별하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숙박 가능한 객실 및 해당 객실의 숙박 가능 기간에 대한 숙박 정보를 전송하는 숙박정보 전송부;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예약하고자 하는 객실 및 해당 객실에 숙박하고자 하는 숙박 예약 기간에 대한 예약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 입력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예약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예약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객실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로부터 상기 작동신호가 상기 신호 수신부로 전송되기 위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공유자 기기와 신호 수신부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통신모뎀과 연결되되, 해당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통신모뎀과 미연결된 상태인 경우, 해당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 중 나머지 하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동신호는 무시하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및 공유자 기기가 상기 통신모뎀과 미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 또는 공유자 기기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통신모뎀이 고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작동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도어락을 작동시키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모듈은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뎀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로부터 작동신호를 최초로 수신한 시점 이후에, 상기 통신모뎀에 대한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의 연결상태가 해제된 다음, 해당 통신모뎀에 상기 숙박권한자의 단말기가 재연결될 경우, 해당 숙박권한자가 외출 후 복귀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객실의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락을 작동시키는,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KR1020220097757A 2022-08-05 2022-08-05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KR20240019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757A KR20240019937A (ko) 2022-08-05 2022-08-05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757A KR20240019937A (ko) 2022-08-05 2022-08-05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937A true KR20240019937A (ko) 2024-02-14

Family

ID=8989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757A KR20240019937A (ko) 2022-08-05 2022-08-05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9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532A (ko) 2012-05-29 2013-12-09 김철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무인 숙박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532A (ko) 2012-05-29 2013-12-09 김철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무인 숙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17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a mobile device
US93366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mitting secure access to a structure
JP602193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中央管理装置
US10332325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EP27218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structure using directional antennas and a wireless token
US9367975B2 (en) System for permitting secure access to a restricted area
KR102085975B1 (ko) 도어락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U2015245889B2 (en) Temporarily pairing a mobile device with a peripheral device
US10202256B2 (en) Interfacing destination entry system with building security using switches
TWI466528B (zh) 認證系統
KR102088918B1 (ko) 공유기를 이용한 공유공간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WO2012077792A1 (ja) 集合住宅システム
KR20240019937A (ko) 객실 도어락 관리 시스템
US202201301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mises access control
TWI804975B (zh) 電子式鎖具的管理方法
KR102344137B1 (ko)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352669B2 (ja) オートロック解錠システムと携帯端末と携帯端末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139263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場管理装置
JP2010065458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
KR20070042368A (ko) Id카드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차량의 원격시동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