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315A -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315A
KR20210103315A KR1020200017911A KR20200017911A KR20210103315A KR 20210103315 A KR20210103315 A KR 20210103315A KR 1020200017911 A KR1020200017911 A KR 1020200017911A KR 20200017911 A KR20200017911 A KR 20200017911A KR 20210103315 A KR20210103315 A KR 2021010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sumer
company
terminal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명
Original Assignee
조남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명 filed Critical 조남명
Priority to KR102020001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3315A/ko
Publication of KR2021010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은,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가정 및 사무실을 포함하는 집의 수리를 위한 용역업체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용역업체에 집수리를 원하는 소비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생활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Intermediary system for living convenience service}
본 발명은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모든 산업이 정밀, 첨단, 고집적화되면서 가정, 빌딩, 아파트, 공장, 근린생활 시설내 건축, 기계설비, 전기, 통신 등이 정밀, 첨단 고집적화 되면서, 이에 맞는 기술을 보유한 기술자 또는 기술 유경험자를 찾기가 어려워지며, 정밀, 첨단, 고집적화 되면서 기술 또한 세분화됨에 따라 단순 기술도 필요하지만 기술을 가진 유경험 기술자가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현재는 소비자(개인, 가정 산업체)가 집수리 등의 기술 서비스를 받으려면, 지인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용역업체 또는 개인 기술자에게 견적을 받고 소비자가 원하는 기술 서비스를 받고 있으나, 막상 계약 후 기술 서비스를 수행할 때에, 일하는 기술자는 하청에 재하청을 몇번을 거쳐서 하며, 또한 규격화된 서비스 가격이 없어서 제대로 된 서비스 기술과 서비스 가격에 합당한 기술 서비스를 소비자가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단순한 집수리를 위해 방문 출장을 할 때에,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 방문이 어려운 경우도 있으며, 거리가 가깝더라도 그 기술자의 시간에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집수리 등에 소요되는 규격화된 서비스 비용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업체마다 서비스 비용이 상이하며, 기술자의 전문 분야가 아니라서 그냥 돌아가거나, 막상 그 기술 서비스에 맞는 기술자가 방문하더라도 기술이 부족하여 제대로 수리하지 못하고 비용만 발생되는 경우도 있었다.
아울러, 숙련된 기술자가 방문하여 집수리 등의 기술 서비스를 잘 수행하여도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폐단을 없애고자, 집수리 등의 기술 서비스가 필요한 소비자가 기술자가 소속된 용역업체 또는 기술자를 손쉽게 검색하고 생활편의를 위한 기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수단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42043호(공고일자 2019.1.24.)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가정 및 사무실을 포함하는 집의 수리를 위한 용역업체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용역업체에 집수리를 원하는 소비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생활편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 및 기술 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은,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가정 및 사무실을 포함하는 집의 수리를 위한 용역업체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용역업체에 집수리를 원하는 소비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생활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 및 용역업체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집수리가 가능한 용역업체의 정보를 제공하고,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중개서버;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를 통해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하길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하고,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 및 용역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를 통해 소비자의 위치정보, 소비자가 방문하길 원하는 방문 날짜 및 시간을 제공받아 집수리를 수행하기 위한 용역업체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를 통해 소비자와 용역업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는 소비자가 직접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집수리의 종목에 적합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자재 구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는, 기 저장된 용역업체 중에서 상기 소비자 단말에 입력된 집수리의 종목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면서,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용역업체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나열하는 업체정보 제공부; 소비자가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선정된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해주길 원하는 날짜 및 시간 범위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용역업체 단말에 제공하는 방문시간 제공부; 소비자가 원하는 방문 날짜 및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용역업체 단말을 통해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이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이 입력되면, 소비자와 용역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서비스부; 및 상기 중개 서비스부를 통해 소비자와 용역업체 간의 중개가 완료되면, 상기 용역업체 단말에 소비자 단말의 위치 및 소비자의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는 소비자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은, 상기 업체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된 용역업체 정보를 기반으로 원하는 집수리 용역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용역업체 선정부; 및 상기 용역업체 선정부를 통해 용역업체에 대한 선정이 완료되면, 용역업체의 방문 시간 이전까지 소비자가 용역업체의 출장비를 선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결제 서비스부; 및 집수리 용역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거나, 상기 자재 구매부를 통해 구매된 자재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역업체 단말은 집수리의 예약 건수, 진행 건수, 완료 건수, 결제 건수 및 취소 건수에 대하여 집계된 실시간 현황을 일별, 월별 및 연별로 표시하는 현황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집수리를 진행하고자 할 때에, 소비자가 원하는 용역업체에 대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가 부담하게 되는 집수리의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용역업체를 검색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집수리를 위한 용역업체의 현장 방문이 용이함은 물론, 지속적인 영업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비자와 용역업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개 서비스 제공자는 중개 수수료에 대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용역업체 단말을 통해 집수리 현황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용역업체에서 집수리 현황에 대한 관리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의 소비자 단말 및 용역업체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의 방문시간 제공부를 나타낸 어플리케이션 화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의 현황 표시부를 나타낸 웹 화면이다.
이하,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의 소비자 단말 및 용역업체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의 방문시간 제공부를 나타낸 어플리케이션 화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의 현황 표시부를 나타낸 웹 화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은,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가정 및 사무실을 포함하는 집의 수리를 위한 용역업체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용역업체에 집수리를 원하는 소비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생활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 및 용역업체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집수리가 가능한 용역업체의 정보를 제공하고,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중개서버(10);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10)를 통해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하길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하고,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 및 용역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소비자 단말(20);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10)를 통해 소비자의 위치정보, 소비자가 방문하길 원하는 방문 날짜 및 시간을 제공받아 집수리를 수행하기 위한 용역업체 단말(30); 및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10)를 통해 소비자와 용역업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40);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10)는 소비자가 직접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된 집수리의 종목에 적합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자재 구매부(11);를 포함한다.
서비스 중개서버(10)는 소비자의 생활편의를 위해 집수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소비자 및 용역업체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소비자와 용역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서비스 중개서버(10)에서는 소비자에게 집수리가 가능한 용역업체의 정보를 제공하고,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20)은 서비스 중개서버(10)를 통해 용역업체의 기술자(수리기사)가 방문하길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하고,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 및 용역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용역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하길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함으로써 그 해당 시간에 집수리를 의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 단말(20)은 용역업체를 통해 용역만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는 서비스 중개서버(10)에서 제공되는 자재 정보를 이용하여 자재를 구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재 구매부(11)는 소비자가 직접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할 수 있도록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판매하는 업체와 소비자 간의 중개를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자재 구매부(11)는 기 저장된 여러 자재 판매 업체의 자재 중에서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된 집수리 종목에 적합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자재를 직접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용역업체 단말(30)은 서비스 중개서버(10)를 통해 소비자의 위치정보, 소비자가 방문하길 원하는 방문 날짜 및 시간을 제공받아 집수리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용역업체 단말(30)은 소비자가 원하는 방문 날짜 및 시간에 방문이 가능할 경우에, 소비자의 위치정보 및 연락처를 제공받음으로써 집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서비스 중개서버(10)에 가입 신청할 경우에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용역업체도 역시 용역업체 단말(30)을 통해 서비스 중개서버(10)에 가입신청을 하여 가입승인이 완료될 경우에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은 서비스 중개서버(10)를 통해 소비자와 용역업체 간의 원활한 서비스 중개가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관리자 단말(40)은 리스트화된 용역업체의 정보를 서비스 중개서버(10)를 통해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으며, 집수리의 예약 건수, 진행 건수 및 취소 건수 등이 집계된 실시한 현황을 일별, 월별 및 연별로 확인하여 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소비자 단말(20), 용역업체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4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 (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20), 용역업체 단말(30) 및 관리자 단말(40)은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도록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비스 중개서버(10)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10)는, 기 저장된 용역업체 중에서 상기 소비자 단말(20)에 입력된 집수리의 종목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면서,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용역업체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나열하는 업체정보 제공부(12); 소비자가 상기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선정된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해주길 원하는 날짜 및 시간 범위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용역업체 단말(30)에 제공하는 방문시간 제공부(13); 소비자가 원하는 방문 날짜 및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용역업체 단말(30)을 통해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이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이 입력되면, 소비자와 용역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서비스부(14); 및 상기 중개 서비스부(14)를 통해 소비자와 용역업체 간의 중개가 완료되면, 상기 용역업체 단말(30)에 소비자 단말(20)의 위치 및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는 소비자정보 제공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업체정보 제공부(12)는 소비자 단말(20)에 업체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아래와 같이 업체 정보를 나열할 수 있다.
먼저, 업체정보 제공부(12)는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서비스 받고자하는 집수리의 종목(종류)을 입력하면, 기 저장된 용역업체 리스트 중에서 해당 종목에 대한 집수리가 가능한 용역업체 중에서 소비자 단말(20)의 위치를 기반으로 소비자 단말(20)과 가장 근접한 거리의 용역업체를 순차적으로 나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업체정보 제공부(12)는 실시하기에 따라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서비스 받고자하는 집수리의 종목(종류)을 입력하면, 기 저장된 용역업체 리스트 중에서 해당 종목에 대한 집수리가 가능한 용역업체 중에서 용역비용(기술 서비스 비용)이 가장 저렴한 용역업체를 순차적으로 나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업체정보 제공부(12)는 실시하기에 따라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서비스 받고자하는 집수리의 종목(종류)을 입력하면, 기 저장된 용역업체 리스트 중에서 해당 종목에 대한 집수리가 가능한 용역업체 중에서 소비자 단말(20)의 위치와 가장 근접하면서, 용역비용이 가장 저렴한 용역업체를 순차적으로 나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전술한 용역업체 리스트 중에서 거리 및 용역비용 모두를 고려한 용역업체를 편리하게 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문시간 제공부(13)는 도3을 참조하면, 소비자가 상기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입력한 원하는 날짜 및 시간 범위가 출력됨으로써, 출력된 날짜 및 시간 범위 중에서 용역업체가 소비자의 가정 또는 사무실에 방문할 수 있는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출장 일정을 효율적으로 계획하기 매우 용이하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중개서버(10)에는 용역업체의 집수리가 완료된 뒤에, 후기 작성 및 댓글 작성을 위한 피드백 제공부(16)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소비자 단말(20)을 통해 소비자가 용역업체에 대한 평가나 문의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역업체 단말(30)을 통해 용역업체 담당자가 소비자의 평가나 문의에 따른 답변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피드백 제공부(16)를 통해 용역업체와 소비자 간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소비자가 작성된 후기 및 댓글 등을 활용하여 용역업체를 선정할 때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20)은, 상기 업체정보 제공부(12)를 통해 제공된 용역업체 정보를 기반으로 원하는 집수리 용역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용역업체 선정부(21); 및 상기 용역업체 선정부(21)를 통해 용역업체에 대한 선정이 완료되면, 용역업체의 방문 시간 이전까지 소비자가 용역업체의 출장비를 선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결제 서비스부(22); 및 집수리 용역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거나, 상기 자재 구매부(11)를 통해 구매된 자재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선결제 서비스부(22)는 용역업체에서 기술자 가정 또는 사무실에 방문하기 전에 기술자의 출장비(예를 들어, 1만원)를 선결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선결제 서비스부(22)를 통해 출장비에 대한 선결제가 이루어질 경우에만 용역업체에서 기술자 가정 또는 사무실에 방문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용역업체와 소비자 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제 서비스부(23)는 선결제 서비스부(22)를 통해 결제된 출장비를 제외하고, 집수리를 수행한 용역비용과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하여 발생된 자재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소비자가 용역비용과 자재비용 모두를 용역업체에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용역업체에 용역비용만을 지불할 수 있게 되고, 자재비용은 자재를 판매하는 업체에 지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용역업체에서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또는 부품 등)비용을 부당한 가격으로 높게 책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비자가 집수리를 진행하고자 할 때에, 소비자가 원하는 용역업체에 대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가 부담하게 되는 집수리의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 단말(20)의 위치를 기반으로 용역업체를 검색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집수리를 위한 용역업체의 현장 방문이 용이함은 물론, 지속적인 영업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소비자와 용역업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개 서비스 제공자는 중개 수수료에 대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역업체 단말(30)은 집수리의 예약 건수, 진행 건수, 완료 건수, 결제 건수 및 취소 건수에 대하여 집계된 실시간 현황을 일별, 월별 및 연별로 표시하는 현황 표시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황 표시부(31)는 소비자 단말(20)의 용역업체 선정부(21)를 통해 소비자가 용역업체에 대한 선정이 완료되면, 서비스 중개서버(10)에 예약 건수로 등록됨으로써 예약 건수로 집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현황 표시부(31)는 소비자 단말(20)의 선결제 서비스부(22)를 통해 소비자가 용역업체 기술자의 출장비를 선결제할 경우, 서비스 중개서버(10)에 진행 건수로 등록됨으로써 진행 건수로 집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현황 표시부(31)는 소비자 단말(20)의 결제 서비스부(23)를 통해 소비자가 집수리 용역비용을 결제할 경우, 서비스 중개서버(10)에 결제 건수로 등록됨으로써 결제 건수로 집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황 표시부(31)를 통해 용역업체에서 집수리에 대한 진행 상황 또는 현황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용역업체가 집수리 현황에 대한 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서비스 중개서버
11 : 자재 구매부
12 : 업체정보 제공부
13 : 방문시간 제공부
14 : 중개 서비스부
15 : 소비자정보 제공부
16 : 피드백 제공부
20 : 소비자 단말
21 : 용역업체 선정부
22 : 선결제 서비스부
23 : 결제 서비스부
30 : 용역업체 단말
31 : 현황 표시부
40 : 관리자 단말

Claims (4)

  1.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가정 및 사무실을 포함하는 집의 수리를 위한 용역업체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용역업체에 집수리를 원하는 소비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생활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 및 용역업체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집수리가 가능한 용역업체의 정보를 제공하고,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중개서버;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를 통해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하길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하고,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 및 용역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를 통해 소비자의 위치정보, 소비자가 방문하길 원하는 방문 날짜 및 시간을 제공받아 집수리를 수행하기 위한 용역업체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를 통해 소비자와 용역업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는 소비자가 직접 집수리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집수리의 종목에 적합한 자재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자재 구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중개서버는,
    기 저장된 용역업체 중에서 상기 소비자 단말에 입력된 집수리의 종목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면서,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용역업체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나열하는 업체정보 제공부;
    소비자가 상기 소비자 단말을 통해 선정된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해주길 원하는 날짜 및 시간 범위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용역업체 단말에 제공하는 방문시간 제공부;
    소비자가 원하는 방문 날짜 및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용역업체 단말을 통해 용역업체의 기술자가 방문이 가능한 날짜 및 시간이 입력되면, 소비자와 용역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서비스부; 및
    상기 중개 서비스부를 통해 소비자와 용역업체 간의 중개가 완료되면, 상기 용역업체 단말에 소비자 단말의 위치 및 소비자의 연락처 정보를 제공하는 소비자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은,
    상기 업체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된 용역업체 정보를 기반으로 원하는 집수리 용역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용역업체 선정부; 및
    상기 용역업체 선정부를 통해 용역업체에 대한 선정이 완료되면, 용역업체의 방문 시간 이전까지 소비자가 용역업체의 출장비를 선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결제 서비스부; 및
    집수리 용역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거나, 상기 자재 구매부를 통해 구매된 자재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역업체 단말은 집수리의 예약 건수, 진행 건수, 완료 건수, 결제 건수 및 취소 건수에 대하여 집계된 실시간 현황을 일별, 월별 및 연별로 표시하는 현황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KR1020200017911A 2020-02-13 2020-02-13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KR20210103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911A KR20210103315A (ko) 2020-02-13 2020-02-13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911A KR20210103315A (ko) 2020-02-13 2020-02-13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315A true KR20210103315A (ko) 2021-08-23

Family

ID=7749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911A KR20210103315A (ko) 2020-02-13 2020-02-13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3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115A (ko) 2022-05-18 2023-11-27 박성근 생활수리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43B1 (ko) 2018-07-23 2019-01-24 박명수 인력 및 건설 공사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43B1 (ko) 2018-07-23 2019-01-24 박명수 인력 및 건설 공사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115A (ko) 2022-05-18 2023-11-27 박성근 생활수리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8508C (en) An online marketplace for moving and relocation services
US20120203586A1 (en) Field Service Networking Platform
US20150149286A1 (en) Mobile provider advertising and scheduling platform
US20100262475A1 (en) System and Method of Organizing a Distributed Online Marketplace for Goods and/or Services
WO2011072106A1 (en) Capturing and tracking energy data for estimating energy consumption, facilitating its reduction and offsetting its associated emissions
US20130282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scheduling, and purchasing project services
US20190213559A1 (en) Web-based appointment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JP2018520423A (ja) アセット通信ハブ
US20180300783A1 (en) Service area and rate tool for online marketplace
JP2013175114A (ja) 出店支援システム及び出店支援方法
Kumar et al. Organizing the unorganized-employing IT to empower the under-privileged
KR20200009973A (ko) 쓰레기 간편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49652A (ko) 클라우드 기반 가전제품 거래 o2o 설치 중개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2101796B1 (ko) 오프라인 광고 매체 커머스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에스크로 거래 방법
KR20210103315A (ko)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KR20210042069A (ko) 쓰레기 간편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6461B1 (ko) 주거 생활 서비스 시스템 및 부가 서비스 중개 방법
US201902792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hiring service providers
KR101106159B1 (ko) 상품 판매 종합 운영 시스템
KR20200064537A (ko) 통신상품 중개 관리 시스템
KR20190020204A (ko) 클라이언트 서비스 지원 양방향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240502B1 (ko) 다수의 광고주가 상품판매시 광고운용사의 통합포인트를 자율적으로 지급할 수 있는 광고운용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5501A (ko)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신용카드 사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0012B1 (ko) 생활 심부름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그 거래 중개 방법
KR20240016610A (ko) 생활편의 서비스 중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