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007A -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007A
KR20210103007A KR1020200016787A KR20200016787A KR20210103007A KR 20210103007 A KR20210103007 A KR 20210103007A KR 1020200016787 A KR1020200016787 A KR 1020200016787A KR 20200016787 A KR20200016787 A KR 20200016787A KR 20210103007 A KR20210103007 A KR 20210103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unit
color
reading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412B1 (ko
Inventor
송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챔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챔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챔버
Priority to KR102020001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4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6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the degree of sterilis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멸균 지시제를 자동으로 판독하고, 병원 내에 사용되는 기구 장치들의 멸균 이력을 추적 관리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병원에서 사용되는 멸균기, 소독 플레이트, 개별 소독 대상체, 및 멸균 지시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식 대상체를 인식하는 인식 모듈부, 인식 모듈부로부터 전송된 인식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식 대상체별로 분류 관리하고, 인식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식모듈 관리부, 인식모듈 관리부에서 생성한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를 판독하도록 하는 복수의 판독 제어신호를 각 멸균 지시제에 상응하도록 생성하는 판독모듈 제어부, 및 인식모듈 관리부에서 생성한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인식 대상체의 추적 관리와 멸균 상태 이력을 관리하는 소독물 관리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Sterilizer integration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멸균 지시제를 자동으로 판독하고, 병원 내에 사용되는 기구 장치들의 멸균 이력을 추적 관리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 특허문헌인 KR 10-2019-0102134(발명의 명칭 :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 판독 모듈)에는 컬러센서를 이용하여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의 색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멸균기를 열어서 육안으로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를 확인하지 않고도 쉽고 빠르게 멸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판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 특허문헌은 컬러센서를 사용하기는 하나 검출된 색상 값 자체를 정규화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에 불과하여 색상 값에 따른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에 대한 별도의 판독 시스템이 더 필요하거나 전송된 색상값에 따른 합격 여부를 사용자가 판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더 나아가 본원발명과 같이 무늬 띄로 이루어진 멸균 지시제의 경우에는 판독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선행 특허문헌은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 정도를 컬러센서를 통해 어떻게 세부적으로 판단하는지에 대한 기술 내용 보다는 "집게형 타입"으로 이루어진판독 모듈의 세부 구성 및 배치에 대한 기술이 대부분 개시되어 있어 본원발명과 같이 무늬 띄로 이루어진 멸균 지시제를 판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스캔 타입의 본원발명과 그 구성도 차이점이 있다.
한편, 선행 특허문헌인 KR 10-2019-0135911(발명의 명칭 : 멸균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는 멸균기의 고장 여부를 원격으로 진단 판단하여 수리 또는 교체하도록 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을 뿐 병원 내에서 사용되는 기구 또는 장치의 멸균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아 소독물의 멸균 상태를 추적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9-0102134(발명의 명칭 :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 판독 모듈) KR 10-2019-0135911(발명의 명칭 : 멸균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캔 타입으로서 멸균 지시제를 순차적으로 편리하게 투입 가능하며 무늬 띄로 형성된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를 자동으로 판독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Cds 센서(또는 조도센서)이외에 CCD(Charge-Coupled Device)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통해 멸균 지시제를 촬영한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촬영신호를 통해 소독 대상체의 멸균 상태(합격 또는 불합격)를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멸균 지시제의 촬영 영상을 보관할 수 있어 증거자료로서의 효용 가치를 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 내에 사용되는 소독물 또는 멸균기의 멸균 상태 및 이력을 실시간으로 추적관리할 수 있으며, 멸균 물품의 재고 및 투입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 내에 사용되는 소독물 또는 멸균기의 멸균 품질을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멸균 상태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하기 위해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색상 판독 센서부, 색상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색상 판별이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 색상 감지신호를 획득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획득된 색상 감지신호의 레벨을 분석하여 멸균 상태를 판독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판독 결과를 표시하는 판독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멸균기에서 소독 대상체와 함께 투입된 멸균 지시제를 피딩받는 멸균 지시제 피딩부, 멸균 지시제의 피딩에 연동하여 멸균 지시제를 이동시키도록 제어부의 이동속도 조절신호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어 동작되는 멸균 지시제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멸균 지시제 구동부는 멸균 지시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롤러부, 이동속도 조절신호에 상응하도록 롤러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멸균 지시제의 수평방향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모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색상 판독 센서부는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에 대한 반사광 신호에 의해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을 촬영한 영상신호에 의해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색상 판독 센서부는 지시패턴의 길이 및 이동속도에 따라 제어부에서 설정한 센싱 간격 신호에 상응하게 지시패턴에 대한 반사광 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함으로써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는 색상 판독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연속된 색상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색상값 입력부, 연속된 색상 감지신호를 기 설정된 구간에 따라 각각 구분하고 정렬하는 색상값 정렬부, 각각의 색상감지 레벨 값과 기준 레벨 값을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멸균 상태에 따라 변화된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함에 따라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와 멸균기의 상태를 판독하는 색상 레벨 분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색상 판독 센서부는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이 양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제1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하기 위해 제1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색상 판독 센서부, 제1 지시패턴과 반대되는 면에 인쇄된 제2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하기 위해 제1 색상 판독 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2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색상 판독 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색상 판독 센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색상감지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 제어부, 제2 색상 판독 센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색상감지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 제어부, 지시패턴의 길이 및 이동속도에 따라 설정된 센싱 간격신호를 생성하고, 제1,2 색상 판독 센서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반사광 신호의 간섭을 서로 피하기 위해 제1 색상 판독 센서부를 동작시켜 제1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한 후에 제2 색상 판독 센서부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1,2 색상감지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타이밍 설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멸균기, 소독 플레이트, 개별 소독 대상체, 및 멸균 지시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식 대상체를 인식하는 인식 모듈부, 인식 모듈부로부터 전송된 인식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식 대상체별로 분류 관리하고, 인식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식모듈 관리부, 인식모듈 관리부에서 생성한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를 판독하도록 하는 복수의 판독 제어신호를 각 멸균 지시제에 상응하도록 생성하는 판독모듈 제어부, 및 인식모듈 관리부에서 생성한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인식 대상체의 추적 관리와 멸균 상태 이력을 관리하는 소독물 관리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판독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연동되어 서로 다른 멸균 지시제의 멸균상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판독하며, 판독 데이터를 소독물 관리 모듈부로 전송하는 판독 모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인식모듈 관리부는 멸균 지시제가 인식된 경우에 소독물 관리 모듈부를 통해 멸균 지시제가 멸균기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체크부, 체크부의 체크 결과에 따라 멸균기를 통과한 멸균 지시제의 경우에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멸균 판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멸균 판독신호 생성부, 체크부의 체크 결과에 따라 멸균기를 통과하지 않은 멸균 지시제의 경우에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멸균 지시제의 이력이 관리되도록 하는 멸균 이력관리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판독 모듈부는 제1 판독 제어신호에 따라 연동되어 생물학적 멸균 지시제의 멸균상태를 판독하는 BI 멸균 판독부, 및 제2 판독 제어신호에 따라 연동되어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멸균상태를 판독하는 CI 멸균 판독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캔 타입으로서 멸균 지시제를 순차적으로 편리하게 투입 가능하며 무늬 띄로 형성된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를 자동으로 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 내에 사용되는 소독물 또는 멸균기의 멸균 상태 및 이력을 실시간으로 추적관리할 수 있으며, 멸균 물품의 재고 및 투입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 내에 사용되는 소독물 또는 멸균기의 멸균 품질을 실시간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늬 띄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멸균 지시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늬 띄가 없는 멸균 지시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면 멸균 지시제의 각각의 지시패턴의 색상변화 감지신호 또는 색상 감지신호를 반사광 간섭없이 획득하기 위한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시패턴이 7개로 이루어진 멸균 지시제의 색상감지 레벨 값 또는 색상변화 레벨 값과 기준 레벨 값을 서로 비교하여 멸균 상태를 판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멸균 통합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를 이용한 각 화소점의 레벨 값을 도출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의 구성 및 기능)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일예로서 도시된 화학적 멸균 지시제(100, chemical indicator)의 멸균 상태를 자동으로 판독하는 장치이다.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는 휴대용 또는 탁상으로 소형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멸균 지시제(100)는 멸균기(도면 미도시)에 소독 대상체와 함께 삽입되며, 멸균기에서 소독이 완료된 경우에 멸균 지시제(100)에 인쇄된 지시패턴(111,121)의 색상이 변화게 된다. 지시패턴(111,121)의 색상 변화 정도를 판독하여 소독 대상체의 멸균 상태(합격 또는 불합격)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며, 더 나아가 색상 변화 정도에 따라 현재 멸균기의 상태를 체크(멸균기의 온도 부족 또는 멸균기의 리크에 따른 멸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할 수 있다.
화학적 멸균 지시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타입으로서 양면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부면의 상부 멸균 지시제(110)와 하부면의 하부 멸균 지시제(120)로 구성될 수 있고, 단면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부 멸균 지시제(110)에는 상부 색상 지시패턴(111)이 인쇄되며, 하부 멸균 지시제(120)에는 하부 색상 지시패턴(121)이 인쇄된다.
지시패턴(111)은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동일한 무늬의 패턴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지시패턴(111)은 도 3과 같이 무늬의 패턴이 없이 연속하여 인쇄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와 같은 지시패턴(111)은 색상 판독 센서부에 의해 도 7과 같이 각각 7개의 색상감지 레벨 값이 각각의 무늬 패턴에 대응되어 도출된다. 도 3과 같은 지시패턴(111)은 무늬 패턴 없이 연속하여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임의로 설정한 기 설정된 구간마다(t11~t17) 색상의 변화를 감지한 색상감지 레벨 값이 도출된다.
도 1에 도시된 지시패턴(111,121)은 각각 무늬 패턴이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무늬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멸균 지시제(100)가 양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멸균 지시제(110,120)에 대응되는 상부 색상 감지신호와 하부 색상 감지신호를 획득하는 상부 색상 판독 센서부(211)와 하부 색상 판독 센서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경우에 상부 색상 감지신호에 의해 획득된 7개의 색상감지 레벨 값과 하부 색상 감지신호에 의해 획득된 7개의 색상감지 레벨 값을 합한 총 14개의 색상감지 레벨 값이 도출될 수 있다. 총 14개의 색상감지 레벨 값을 기준 레벨 값과 비교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설정 기준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소독 대상체가 제대로 소독되었는지에 대한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지시패턴이 단면에만 인쇄된 경우에는 7개의 색상감지 레벨 값을 기준 레벨 값과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설정 기준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면 또는 양면으로 지시패턴이 인쇄된 경우에도 획득된 색상감지 레벨 값이 충분치 않을 수 있다. 즉, 소독 대상체의 멸균 상태 정도와 멸균기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패턴(111)의 중앙을 중심으로 제1,2 지시패턴(111a,111b)으로 영역을 구분하고, 제1,2 지시패턴(111a,111b) 각각의 색상감지 레벨 값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부면에 대해 14개의 레벨 값이 도출되며, 동일한 원리로 하부면에 대해 14개의 레벨 값이 도출되어 총 28개의 레벨 값이 도출된다. 따라서 좀 더 정확한 멸균 상태를 알 수 있다.
상부면의 제1,2 지시패턴(111a,111b)의 각각을 영역 구분하여 색상감지 레벨 값을 도출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색상 판독 센서부도 이에 상응하도록 제1 지시패턴(111a)의 색상 감지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하는 센서부와 제2 지시패턴(111b)의 색상 감지신호를 별도로 연속하여 획득하는 센서부를 서로 독립적으로 2채널로 갖출 필요가 있다. 동일한 원리로 하부면의 제1,2 지시패턴(121a,121b)의 색상감지 레벨 값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색상 판독 센서부가 2채널이 필요하며, 색상 판독 센서부는 총 4채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는 대략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멸균 지시제 피딩부(231)는 멸균기에서 소독이 끝난 멸균 지시제(100)를 투입받는다.
멸균 지시제 구동부(232)는 멸균 지시제의 피딩에 연동하여 멸균 지시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부(240)의 이동속도 조절신호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어 동작된다. 멸균 지시제 구동부(232)는 도 6에 간략히 도시된 바와 같이 멸균 지시제(1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롤러부(232)와 제어부(240)에서 전송된 이동속도 조절신호에 상응하도록 롤러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멸균 지시제의 수평방향의 이동속도(v)를 조절하는 모터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멸균 지시제(100)의 수평방향의 이동속도(v)는 지시패턴(111,121)의 길이에 따른 센싱 간격신호(t1,t2)와 서로 상관관계 되어 설정되며, 이동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느리면 센싱 간격신호에 따라 획득된 색상 감지신호가 각 무늬 패턴별로 정확하게 획득되지 않을 수 있다.
색상 판독 센서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센서부와 영상 센서부로 구체화될 수 있다. 즉, 색상 판독 센서부(210)는 영상 센서로서 CCD센서 또는 CMOS 센서(이하에서는 영상신호 획득부라 함)에 의해 구현되거나 반사광을 이용하는 조도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조도 센서부는 멸균 상태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멸균 지시제(100)의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하기 위해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색상 판독 센서부(210)는 영상신호 획득부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반사광을 이용하는 조도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조도센서는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에 빛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반사광 신호에 의해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영상신호 획득부는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을 촬영한 영상신호에 의해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조도센서의 경우에 신호처리부(220)는 특정대역의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조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신호 획득부의 경우에 신호처리부(220)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도센서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영상신호 획득부에 대해서는 조도센서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보충적인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도 6은 멸균 지시제(100)가 양면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색상 판독 센서부(210)는 지시패턴의 길이 및 이동속도에 따라 제어부에서 설정한 센싱 간격신호(t1,t2)에 상응하게 지시패턴에 대한 반사광 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함으로써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다만, 멸균 지시제(100)가 단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t1 센싱 간격신호에 의해 상부면에 인쇄된 상부 색상 지시패턴(111)의 반사광 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하면 된다. 색상 판독 센서부(21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며, 발광부에서 조사한 빛이 지시패턴에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됨으로써 색상 감지신호가 생성된다.
멸균 지시제(100)가 양면인 경우에는 제1 색상 판독 센서부(211)는 상부면에 인쇄된 상부 색상 지시패턴(111)을 판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색상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제2 색상 판독 센서부(212)는 하부면에 인쇄된 하부 색상 지시패턴(121)을 판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색상 판독 센서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하부 색상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양면인 경우에는 색상 판독 센서부가 2채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좀 더 정확한 멸균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4채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멸균 지시제(100)가 단면인 경우에는 1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2채널 또는 4채널로 이루어진 경우에 제1,2 색상 판독 센서부(211,212)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반사광 신호의 간섭을 서로 피하기 위해 제1 색상 판독 센서부(211)를 먼저 동작시켜 상부 색상 지시패턴(111)의 색상 감지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한 후에 제2 색상 판독 센서부(212)를 동작시켜 하부 색상 지시패턴(121)의 색상 감지신호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상 판독 센서부(211)는 멸균 지시제 피딩부(231)로 투입된 멸균 지시제(100)의 상부 색상 지시패턴(111)의 멸균 상태를 판독하기 위해 피딩부(231)와 가깝게 배치되고, 제2 색상 판독 센서부(212)는 제1 색상 판독 센서부(211)와 수평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 색상 판독 센서부(211)가 먼저 동작되어 판독이 완료된 후에 제2 색상 판독 센서부(212)가 동작된다.
영상신호 획득부는 CCD센서 또는 CMOS 센서를 사용하여 멸균 지시제를 촬영한 영상신호를 화소 단위로 얻는다. 일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각형을 하나의 화소로 볼 수 있다. 영상신호 획득부는 CCD센서 또는 CMOS 센서를 통해멸균 지시제(110)의 각 화소점의 레벨 값을 센싱한 신호를 생성한다. 영상신호 획득부 또는 신호 처리부(210)는 멸균 지시제(110)의 색상 지시패턴(111)이 있는 화소점(도 9의 마킹 점 8개 참조)의 화소 신호를 다른 화소점의 화소신호와 구분 분류하고, 각 화소점의 레벨 값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 적절한 신호처리를 거쳐 색상 지시패턴(111)이 있는 화소점의 신호처리된 화소 신호를 제어부(24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멸균 지시제(110)의 증거영상을 확보하기 위해 촬영한 멸균 지시제(110)의 영상신호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멸균 지시제(110)의 촬영 영상 저장에 따라 병원 등에서 멸균 통합 관리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색상 지시패턴(111)이 있는 화소점의 신호처리된 화소 신호를 이용하여 각 화소점의 신호 레벨 값을 획득한다. 즉, 도 9에서 도시된 마킹 점 8개에 대한 각각의 화소점의 신호 레벨 값을 산출한다. 8개의 신호 레벨 값을 평균화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소독 대상체의 멸균 상태 여부를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평균 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는 다양한 방법으로 기 설정된 조건에 맞는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기준 값과 비교를 통해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색상 지시제(111)의 제1 지시패턴(111a) 영역과 제2 지시패턴(111b) 영역의 화소 구간을 서로 구분 구획하고, 제1,2 지시패턴(111a,111b) 각각의 화소점의 레벨 값을 구분하여 레벨 값을 산출함으로써 제1 지시패턴(111a) 각각의 영역의 멸균 상태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영상신호 획득부(210), 신호 처리부(220), 및 제어부(240)는 서로 그 기능이 통합되어 어느 한 구성요소에서 기능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기능이 분리되어 기능 처리가 수반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색상 감지신호를 획득하도록 색상 판독 센서부(210)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획득된 색상 감지신호의 레벨을 분석하여 멸균 상태를 판독한다. 판독한 멸균 상태에 따라 멸균기의 현재 온도 상태 또는 리크 여부를 알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소독 대상체가 제대로 멸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색상값 입력부(241)는 색상 판독 센서부(210)로부터 생성된 연속된 색상 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 색상 판독 센서부(210)가 2채널(211,212)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 색상 판독 센서부(211)의 색상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상부 색상값 입력부와 제2 색상 판독 센서부(212)의 색상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하부 색상값 입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색상값 정렬부(242)는 연속된 색상 감지신호를 기 설정된 구간에 따라 각각 구분하고 정렬한다. 여기서 연속된 색상 감지신호는 도 7에 도시된 t1 시간 동안 멸균 지시제(100)의 어느 한 면의 색상 지시패턴의 색상 변화를 감지한 신호이다. 만약 상술한 바와 같이 색상 판독 센서부(210)가 2채널 또는 4채널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채널별로 입력된 색상 감지신호를 구분하고 정렬한다. 또한, 기설정된 구간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무늬 패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 무늬 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구별할 수 있는 구간을 의미하고, 도 3과 같이 무늬 패턴이 없는 경우에는 임의로 설정된 구간을 의미한다. 도 3의 경우에도 기 설정된 구간을 7개로 나누면 총 7개의 색상 감지신호가 도 7과 같이 나올 수 있다.
색상 레벨 분석부(243)는 색상값 정렬부(242)에서 입력된 정렬된 색상 감지신호를 도 7과 같이 색상감지 레벨 값으로 변환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색상 감지 레벨 값과 룩업 테이블부(244)에 저장된 기준 레벨 값을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멸균 상태에 따라 변화된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함에 따라 멸균 지시제(100)의 멸균 상태와 멸균기의 상태를 판독한다. 도 7은 일예로서 상부 색상 지시패턴(111)의 색상감지 레벨 값과 기준 레벨 값을 비교한 도면이다. 기준 레벨 값보다 높으면 합격이고 기준 레벨 값보다 낮으면 불합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도 7의 일예를 보면 총 7개의 지시패턴(111) 중에 5개가 '합격' 레벨이고, 2개가 '불합격' 레벨이다. 이러한 경우에 기 설정된 판단기준에 따라 전체적으로 멸균 상태가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멸균기 상태 판단부(247)는 색상 레벨 분석부(243)로부터 각 색상감지 레벨 값을 입력받으며, 도 7에 도시된 각 색상감지 레벨 값으로부터 멸균기의 온도 상태나 리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소독 대상체를 살균하는 멸균기(또는 멸균 챔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245)는 색상 판독 센서부(210)의 센싱 간격신호 및 동작 타이밍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센서 제어부는 제1 색상 판독 센서부(2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색상감지 동작신호를 생성한다. 하부 센서 제어부는 제2 색상 판독 센서부(2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색상감지 동작신호를 생성한다. 센싱 타이밍 설정부는 지시패턴의 길이 및 이동속도에 따라 설정된 센싱 간격신호(t1,t2)를 생성하고, 제1,2 색상 판독 센서부(211,212)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반사광 신호의 간섭을 서로 피하기 위해 제1 색상 판독 센서부(211)를 동작시켜 상부 색상 지시패턴(111)의 색상 감지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한 후에 제2 색상 판독 센서부(212)를 동작시켜 하부 색상 지시패턴(121)의 색상 감지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하도록 하는 제1,2 색상감지 동작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롤러 속도 제어부(24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멸균 지시제(100)의 수평방향의 이동속도(v)를 조절한다.
멸균 통합관리부(300)는 각각의 소독 대상체의 멸균 상태 여부와 멸균기의 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제어부(240)로부터 입력받아 각 병원의 멸균 기록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멸균 통합 관리장치의 구성 및 기능)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는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를 자동 판독하고 멸균과 관련된 장치의 위치 추적, 재고관리 및 멸균 투입 현황 등의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소독 대상체(530)는 일예로서 병원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수술기구로서 사용 후에 멸균기(510)에서 소독해야 하는 소독 대상체이다. 개별 소독 대상체(530)에는 바코드 또는 QR코드가 부착되어 인식 모듈부(41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멸균 지시제(540)는 화학적 멸균 지시제(CI Indicator)와 생물학적 멸균 지시제(BI Indicator)로 나뉠 수 있으며, 각 멸균 지시제에도 바코드 또는 QR코드가 부착되어 인식 모듈부(41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화학적 멸균 지시제는 상술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또한, 생물학적 멸균 지시제는 형광을 검출하여 멸균 상태를 판독한다. 화학적 멸균 지시제는 후술하는 BI 멸균 판독부(421)에 의해 멸균 상태를 판독하며, 생물학적 멸균 지시제는 CI 멸균 판독부(422)에 의해 멸균 상태를 판독한다. CI 멸균 판독부(422)는 앞서 설명한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소독 플레이트 또는 소독물 통(520)은 sus 재질로 이루어진 통이다. 소독 플레이트(520)에는 개별 소독 대상체나 멸균 지시제 등이 담기며, 소독 플레이트(520)를 멸균기(510) 챔버에 넣어 소독시킨다. 각각의 소독 플레이트(520)에는 개별적으로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가 부착되어 있어 인식 모듈부(410)에 의해 개별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멸균기(510)는 챔버 내의 스팀을 이용하여 소독 대상체를 멸균시킨다. 각각의 멸균기(510)에도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가 부착되어 있어 인식 모듈부(410)에 의해 개별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세척 지시제(550 washing indicator)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기구의 기수 세척기에 삽입되어 세척 정도를 지시하는 지시제이다. 세척 지시제(550)의 지시 정도에 따라 기구 세척이 제대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세척 지시제(550)에도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가 구비되어 있어 인식 모듈부(410)에 의해 개별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술한 멸균기(510), 소독 플레이트(520), 개별 소독 대상체(530), 멸균 지시제(540), 세척 지시제(500)를 인식 대상체라 한다.
인식 모듈부(410)는 QR코드 인식부(411), 바코드 인식부(412), 및 RFID 인식부(413)로 구성될 수 있다. 인식 대상체에 부착된 인식 종류에 맞는 인식부가 선택되어 인식 대상체를 인식한다. 인식 모듈부(410)는 인식 대상체가 멸균기, 소독 플레이트, 개별 소독 대상체 및 멸균 지시제 중 어느 것인지를 개별적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인식모듈 관리부(310)로 전송한다. 각각의 인식 대상체를 인식함으로써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통합 멸균 이력관리를 할 수 있다.
멸균 통합 관리부(300)는 인식모듈 관리부(310), 판독모듈 제어부(320) 및 소독물 관리 모듈부(330)를 대략적으로 포함한다.
인식모듈 관리부(310)는 인식 모듈부(410)로부터 전송된 인식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식 대상체별로 분류 관리하고, 인식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멸균 지시제(540)를 인식한 경우에는 판독모듈 제어부(320)로 전송할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멸균기(510), 소독 플레이트(520), 개별 소독 대상체(530)를 각각 인식한 경우에는 소독물 관리 모듈부(330)로 전송할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인식모듈 관리부(310)는 판독에 필요한 제1 제어신호와 이력 관리에 필요한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판독모듈 제어부(320)는 인식모듈 관리부(310)에서 생성한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를 판독하도록 하는 판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판독 모듈부(420)로 전송한다.
판독 모듈부(420)는 판독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연동되어 멸균 지시제(540) 및 세척 지시제(550)의 멸균상태 및 세척상태를 판독하며, 판독 데이터를 소독물 관리 모듈부로 전송한다. 도 8에 도시된 판독 모듈부(420)는 세척 판별 리더기(720), CI 리더기(740), 및 BI 리더기(750)의 각 상응하는 곳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멸균 지시제(5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학적 멸균 지시제와 생물학적 멸균 지시제 2종류로 나뉜다. 생물학적 멸균 지시제는 BI 멸균 판독부(421)에서 멸균 상태를 판독하며, 화학적 멸균 지시제는 CI 멸균 판독부(422)에서 멸균 상태를 판독한다. 판독모듈 제어부(320)는 판독 제어신호를 생성할 때 생물학적 멸균 지시제의 경우에는 제1 판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BI 멸균 판독부(421)로 전송하고,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경우에는 제2 판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CI 멸균 판독부(422)로 전송하고, 세척 지시제(550)의 경우에는 제3 판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세척 판독부(423)로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판독부(421,422,423)가 서로 다른 제어신호에 따라 각기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한다. BI 멸균 판독부(421), CI 멸균 판독부(422) 및 세척 판독부(423)는 판독에 따른 판독 데이터를 멸균상태 관리부(331)로 전송한다.
한편, CI 멸균 판독부(422)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이에 갈음하기로 한다.
소독물 관리 모듈부(330)는 멸균상태 관리부(331), 멸균기 관리부(332), 소독물 재고 관리부(333), 및 소독물 공정 관리부(334)를 대략적으로 포함하며, 인식모듈 관리부(310)에서 생성한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인식 대상체의 추적 관리와 멸균 상태 이력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멸균상태 관리부(331)는 상술한 멸균기 상태 판단부(247)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색상 레벨 분석부(243)로부터 각 색상감지 레벨 값을 입력받으며, 도 7에 도시된 각 색상감지 레벨 값으로부터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판독 결과에 따른 합격 및 불합격 여부나 멸균기(510)의 온도 상태나 리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에 따라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판독과 멸균기(또는 멸균 챔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세척 판독부(423)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구의 세척 상태를 판단하고 관리할 수 있다.
소독물 재고 관리부(333)는 인식모듈 관리부(3120)에서 전송된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연동되어 인식 대상체의 분류에 맞도록 재고 관리를 갱신한다. 또한, 소독물 공정 관리부(334)는 인식모듈 관리부(3120)에서 전송된 제3 제어신호에 따라 연동되어 인식 대상체의 분류에 맞도록 공정 관리를 갱신한다. 즉, 인식 모듈부(410)에서 인식된 대상체가 멸균기(510)에서 소독이 완료된 소독 플레이트(520)라면 소독물 재고 관리부(333)는 소독이 완료된 소독 플레이트(520)의 속성정보와 함께 전체 소독이 완료된 소독 플레이트의 개수를 갱신시킨다. 또한, 인식 모듈부(410)에서 인식된 대상체가 개별 소독 대상체(530)라면 소독물 공정 관리부(334)는 당해 개별 소독 대상체(530)의 속성정보와 함께 현재 투입된 공정과 관련된 정보를 갱신한다. 공정 관리의 일예로서 소독물 공정 관리부(334)는 개별 소독 대상체(530)가 수술용 가위인 경우에 현재 수술실에서 사용중인지 아니면 멸균기에 투입되고 있는지 등 위치를 기록 관리한다.
인식 모듈부(410)는 각 배치 위치 또는 배치 장소에 따라 자신의 ID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인식 모듈부(410)에서 인식된 소독 플레이트(520) 또는 개별 소독 대상체(530)의 현재 위치 및 이력을 추적 관리할 수 있다. 즉, 일예로서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수술용 도구의 경우에는 수술실에 배치된 인식 모듈부(410)에 의해 인식될 수 있으며, 이때 인식된 수술용 도구는 수술실에 위치하고 있음이 추적 관리된다. 또한, 멸균기(510)에서 멸균 대기 중이거나 또는 멸균이 완료된 수술용 도구의 경우에는 멸균기 실에 배치된 인식 모듈부(410)에 의해 인식됨으로써 이력이 추척 관리된다.
한편, 멸균 지시제(540)의 경우에는 인식 모듈부(410)에서 멸균 지시제를 인식한 후에 멸균 지시제 임을 알리는 데이터를 인식모듈 관리부(310)로 전송한다. 이때, 인식모듈 관리부(310)는 인식된 멸균 지시제를 이력 추적 관리할 것인지 또는 멸균기(510)에서 통과 후에 멸균 판독이 필요한 상태인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인식모듈 관리부(310)는 인식 대상체가 멸균 지시제(540)인 경우에 먼저 소독물 재고 관리부(333) 또는 소독물 공정 관리부(334)를 통해 멸균 지시제(540)의 추적 이력을 먼저 체크한다. 체크 후에 당해 멸균 지시제(540)가 멸균기(510)를 통과한 경우에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판독모듈 제어부(320)로 전송하고, 멸균기(510)를 통과하지 않았으면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소독물 재고 관리부(333) 또는 소독물 공정 관리부(334)로 전송함으로써 멸균 지시제의 이력이 추적 관리되도록 한다.
멸균기 관리부(332)는 인식된 멸균기(510)의 고유 ID를 토대로 당해 멸균기(510)의 현재 동작상태 및 이력을 기록 관리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멸균 통합 관리부(300)의 통신부(340)는 통신 모듈부(800)를 통해 전자식 멸균기(710), 세척 판별 리더기(720), 영상 획득부(730), CI 리더기(740), BI 리더기(75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 모듈부(800)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전자식 멸균기(710)는 등록특허 KR 10-1453627에 공지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세척 판별 리더기(720)는 세척 지시제(550)를 판독하는 장치로서 병원에서 사용하는 기구의 세척 정도를 판별하고 판별정보를 생성한다. 영상 획득부(730)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를 이용하여 멸균 지시제를 촬영한 영상신호를 획득하고, 더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멸균 지시제(540)의 패턴이 있는 곳의 각 화소점에 상응하는 신호 레벨 값을 획득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CI 리더기(740) 및 BI 리더기(750)는 멸균 정도를 지시하는 각각의 화학적 지시제 및 생물학적 지시제의 지시 값을 읽는 장치이다.
병원 통합 서버(600)는 병원 내에 복수 개소에 설치된 멸균 통합 관리부(3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취합 관리함으로써 멸균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어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화학적 멸균 지시제
110 : 상부 멸균 지시제
111 : 상부 색상 지시패턴
111a : 제1 지시패턴
111b : 제2 지시패턴
120 : 하부 멸균 지시제
121 : 하부 색상 지시패턴
121a : 제1 지시패턴
121b : 제2 지시패턴
210 : 색상 판독 센서부
211 상부 색상 판독 센서부
212 하부 색상 판독 센서부
220 : 신호처리부
231 : 멸균 지시제 피딩부
232 : 멸균 지시제 구동부(또는 롤러 및 모터부)
240 : 제어부
241 : 색상값 입력부
242 : 색상값 정렬부
243 : 색상 레벨 분석부
244 : 룩업 테이블부
245 : 센서 제어부
246 : 롤러 속도 제어부
247 : 멸균기 상태 판단부
250 : 판독 결과 표시부
300 : 멸균 통합관리부
310 : 인식모듈 관리부
320 : 판독모듈 제어부
330 : 소독물 관리 모듈부
331 : 멸균상태 관리부
332 : 멸균기 관리부
333 : 소독물 재고 관리부
334 : 소독물 공정 관리부
340 : 통신부
410 : 인식 모듈부
411 : QR코드 인식부
412 : 바코드 인식부
413 : RFID 인식부
420 : 판독 모듈부
421 : BI 멸균 판독부
422 : CI 멸균 판독부
510 : 멸균기
520 : 소독 플레이트
530 : 개별 소독 대상체
540 : 멸균 지시제
550 : 세척 지시제
600 : 병원 통합 서버
710 : 전자식 멸균기
720 : 세척 판별 리더기
730 : 영상 획득부
740 : CI 리더기
750 : BI 리더기
800 : 통신 모듈부

Claims (12)

  1. 병원에서 사용되는 멸균기, 소독 플레이트, 개별 소독 대상체, 멸균 지시제 및 세척 지시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식 대상체를 인식하는 인식 모듈부,
    상기 인식 모듈부로부터 전송된 인식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식 대상체별로 분류 관리하고, 인식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인식모듈 관리부,
    상기 인식모듈 관리부에서 생성한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를 판독하도록 하는 복수의 판독 제어신호를 각 멸균 지시제에 상응하도록 생성하는 판독모듈 제어부, 및
    상기 인식모듈 관리부에서 생성한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식 대상체의 추적 관리와 멸균 상태 이력을 관리하는 소독물 관리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판독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서로 다른 멸균 지시제의 멸균상태 및 상기 세척 지시제의 세척상태를 각각 개별적으로 판독하며, 판독 데이터를 소독물 관리 모듈부로 전송하는 판독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모듈 관리부는,
    상기 멸균 지시제 또는 세척 지시제가 인식된 경우에 상기 소독물 관리 모듈부를 통해 상기 멸균 지시제 또는 세척 지시제가 상기 멸균기 또는 세척기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체크부,
    상기 체크부의 체크 결과에 따라 멸균기 또는 세척기를 통과한 멸균 지시제 또는 세척 지시제의 경우에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멸균 또는 세척판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판독신호 생성부,
    상기 체크부의 체크 결과에 따라 멸균기 또는 세척기를 통과하지 않은 멸균 지시제 또는 세척 지시제의 경우에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멸균 지시제 또는 세척 지시제의 이력이 관리되도록 하는 이력관리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모듈부는,
    제1 판독 제어신호에 따라 연동되어 생물학적 멸균 지시제의 멸균상태를 판독하는 BI 멸균 판독부, 및
    제2 판독 제어신호에 따라 연동되어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멸균상태를 판독하는 CI 멸균 판독부,
    제3 판독 제어신호에 따라 연동되어 세척 지시제의 세척상태를 판독하는 세척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I 멸균 판독부는,
    멸균 상태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하기 위해 상기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색상 판독 센서부,
    상기 색상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색상 판별이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색상 감지신호를 획득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획득된 색상 감지신호의 레벨을 분석하여 멸균 상태를 판독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독 결과를 표시하는 판독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I 멸균 판독부는,
    멸균기에서 소독 대상체와 함께 투입된 상기 화학적 멸균 지시제를 피딩받는 멸균 지시제 피딩부, 및
    상기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피딩에 연동하여 상기 화학적 멸균 지시제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의 이동속도 조절신호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어 동작되는 멸균 지시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지시제 구동부는,
    상기 화학적 멸균 지시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롤러부, 및
    상기 이동속도 조절신호에 상응하도록 롤러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수평방향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판독 센서부는,
    상기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에 대한 반사광 신호에 의해 상기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을 촬영한 영상신호에 의해 상기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판독 센서부는,
    상기 지시패턴의 길이 및 상기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한 센싱 간격 신호에 상응하게 상기 지시패턴에 대한 반사광 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함으로써 상기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기 색상 판독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연속된 색상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색상값 입력부,
    상기 연속된 색상 감지신호를 기 설정된 구간에 따라 각각 구분하고 정렬하는 색상값 정렬부,
    각각의 색상감지 레벨 값과 기준 레벨 값을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멸균 상태에 따라 변화된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함에 따라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멸균 상태와 멸균기의 상태를 판독하는 색상 레벨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판독 센서부는,
    상기 화학적 멸균 지시제의 지시패턴이 양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제1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하기 위해 제1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색상 판독 센서부, 및
    상기 제1 지시패턴과 반대되는 면에 인쇄된 제2 지시패턴의 색상을 판독하기 위해 상기 제1 색상 판독 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색상 판독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색상 판독 센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색상감지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센서 제어부,
    상기 제2 색상 판독 센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색상감지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센서 제어부, 및
    상기 지시패턴의 길이 및 상기 이동속도에 따라 설정된 상기 센싱 간격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2 색상 판독 센서부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반사광 신호의 간섭을 서로 피하기 위해 상기 제1 색상 판독 센서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1 지시패턴의 색상 감지신호를 연속하여 획득한 후에 상기 제2 색상 판독 센서부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상기 제1,2 색상감지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타이밍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KR1020200016787A 2020-02-12 2020-02-12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KR10234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87A KR102342412B1 (ko) 2020-02-12 2020-02-12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87A KR102342412B1 (ko) 2020-02-12 2020-02-12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007A true KR20210103007A (ko) 2021-08-23
KR102342412B1 KR102342412B1 (ko) 2021-12-23

Family

ID=7749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787A KR102342412B1 (ko) 2020-02-12 2020-02-12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4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646A (ja) * 2002-05-16 2003-11-18 Sakura Color Prod Corp 滅菌レベル測定装置及び滅菌レベル測定方法
KR20060105627A (ko) * 2005-03-31 2006-10-11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세척 과정 모니터링
JP2008200126A (ja) * 2007-02-16 2008-09-04 Miura Co Ltd 滅菌管理機能搭載滅菌器
JP2013123627A (ja) * 2011-12-16 2013-06-24 Canon Marketing Japan Inc 滅菌結果確認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KR20190102134A (ko) 2018-02-24 2019-09-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 판독 모듈
KR20190135911A (ko) 2018-05-29 2019-12-09 이정태 멸균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646A (ja) * 2002-05-16 2003-11-18 Sakura Color Prod Corp 滅菌レベル測定装置及び滅菌レベル測定方法
KR20060105627A (ko) * 2005-03-31 2006-10-11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세척 과정 모니터링
JP2008200126A (ja) * 2007-02-16 2008-09-04 Miura Co Ltd 滅菌管理機能搭載滅菌器
JP2013123627A (ja) * 2011-12-16 2013-06-24 Canon Marketing Japan Inc 滅菌結果確認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KR20190102134A (ko) 2018-02-24 2019-09-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 판독 모듈
KR20190135911A (ko) 2018-05-29 2019-12-09 이정태 멸균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412B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5563B2 (en) Intra-operative system for identifying and tracking surgical sharp objects, instruments, and sponges
US20200179549A1 (en)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devices, analyzing biological indicators, and linking medical device sterilization equipment
CN113990060B (zh) 用于连接医疗装置消毒设备的装置和方法
DE60217920T2 (de) Elektronischer leser für sterilisationsüberwachungsgeräte
JP6225185B2 (ja) 複数の手術器具を同時に識別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AU2004290339A1 (en) System for management of processed instruments
CA2588904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for medical devices
US20230225798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perly locating items
CN109389620A (zh) 用于跟踪医疗对象的方法和跟踪系统
EP3226918B1 (de) Aufbereitungssystem zum reinigen und/oder desinfizieren von medizinischen gerät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CN101416878A (zh) 辐射图像捕捉方法、辐射图像捕捉系统和辐射信息系统
US102170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anual sorting of slides
KR102342412B1 (ko) 멸균 판독과 추적 기능을 갖는 멸균 통합 관리장치
KR102342411B1 (ko) 멸균 지시제 자동 판독 장치
JP2009072338A (ja) 医療機器管理システム
EP1868123A1 (en) Patient monitor with subdued alarm in presence of caregivers
JP2018205999A (ja) 医療用器材のデータ登録装置及び医療用器材の自動識別システム
CN207458598U (zh) 急危重症临床数据集成系统
JP4390493B2 (ja) 手術用器材管理システム
KR101789197B1 (ko) 감염예방거점 관리시스템
CN117219248B (zh) 一种用于消毒供应室的医疗器械管理方法
US20240170142A1 (en) Medical device inspection system
US20240074814A1 (en) Optical assembly for use in an object handling station
US20240161918A1 (en) Asset tracking system with medical device inspection system
WO2022265612A1 (en) A system for distinguishing the staff by means of a non- visible beam respo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