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793A - 다기능 컵 - Google Patents

다기능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793A
KR20210102793A KR1020200017275A KR20200017275A KR20210102793A KR 20210102793 A KR20210102793 A KR 20210102793A KR 1020200017275 A KR1020200017275 A KR 1020200017275A KR 20200017275 A KR20200017275 A KR 20200017275A KR 20210102793 A KR20210102793 A KR 2021010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resent
glass liner
protection layer
fir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안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안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안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01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2793A/ko
Publication of KR2021010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라이너, 플라스틱 방화층 및 컵 뚜껑을 포함하는 다기능 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컵은, 유리 라이너는 플라스틱 방화층에 배치되고, 컵 바닥이 방화층에 연결되고, 컵 바닥 내부에 수용공간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컵의 바닥은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첨가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운반이 편리하며, 동시에 유리 라이너에의 수용공간에 냉매를 수용하여 음용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컵 {MULTIFUNCTION CUP}
본 발명은 다기능 컵에 관한 것으로, 컵 하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 가능한 다기능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음용수를 담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로, 기본 유형은 직선형 또는 개방형이며 입구는 개방된 상태로 구현된다.
컵의 종류는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으나, 그 용도에 있어서는 음용수를 보관하거나 사용자가 음용하는데 사용될 뿐 그 외의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등산 및 레저 등의 일반화와, 다양한 형태의 음료를 다양한 환경에서 즐기고자 하는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개량된 음료 컵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아웃도어 특성에 맞춰 잘 깨지지 않으며 세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컵이 제공되고 있고, 살균과 보온의 기능을 구비하는 컵에 대하여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3656호에서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이 가능한 머그컵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783호에서는 내부에 물을 담는 수용공간과, 하부에 상기 수용공간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코일을 구비한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측면에 결합한 칫솔 살균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음용 내용물을 구분하여 별도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음용용기에 대한 기술은 개발되지 않아, 이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20-2011-003656 U (2011. 04. 13.) KR 10-2011-0104783 A (2011. 09. 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컵의 바닥은 알콜 등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고, 운반하는 것이 편리하며, 동시에 유리 라이너의 수용공간에 별도의 액체를 수용시켜 컵 내부 음용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리 라이너, 플라스틱 방화층 및 컵 뚜껑을 포함하고, 유리 라이너는 플라스틱 방화층에 배치되고, 컵 뚜껑은 유리 라이너에 연결되고 플라스틱 방화층은 컵의 바닥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플라스틱 방화층 및 컵 바닥은 스레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방화층은 PP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컵 바닥은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컵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성이 향상되고, 컵의 바닥에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고, 운반하는 것이 편리하며, 동시에 유리 라이너에 냉매를 채워 신속하게 음용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컵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컵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컵은 유리 라이너, 플라스틱 방화층 및 컵 뚜껑을 포함하고, 유리 라이너는 플라스틱 방화층에 배치된다. 유리 라이너가 연결되고 컵 바닥이 플라스틱 방화층 층에 연결되며 컵 바닥 내부에 수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기능 컵은 유리 라이너, 플라스틱 방화층 및 컵 뚜껑을 포함하고, 유리 라이너는 플라스틱 방화층에 배치된다. 라이너가 연결되고, 플라스틱 방화층이 컵 바닥과 연결되고, 컵 바닥 내부에 수용공간이 제공되고, 플라스틱 방화층과 컵 바닥이 스레드로 연결되며, 플라스틱 방화층은 PP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컵의 바닥은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리라이너는, 측면부가 단열 유리로 구성되고, 하단부는 전열 금속재로 구성되어, 컵외측으로는 단열이 유지되되, 컵 내부의 음용공간과 컵 바닥의 수용공간 사이에서는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다기능 컵에 관한 것으로, 컵 하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 가능한 다기능 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성이 향상되고, 컵의 바닥에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고, 운반하는 것이 편리하며, 동시에 유리 라이너에 냉매를 채워 신속하게 음용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컵 뚜껑 2 : 유리 라이너
3 : 플라스틱 방화층 4 : 컵 바닥

Claims (4)

  1. 유리 라이너(2), 플라스틱 방화층(3) 및 컵 뚜껑(1)을 포함하고,
    유리 라이너(2)는 플라스틱 방화층(3)에 배치되고,
    컵 뚜껑은 유리 라이너에 연결되고,
    플라스틱 방화층(3)은,
    컵 바닥(4)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은 컵 바닥(4) 내부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방화층(3)과 컵 바닥(4)은 나사산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방화층(3)은 PP 플라스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컵.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라이너는,
    측면부가 단열 유리로 구성되고;
    하단부는 전열 금속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컵.
KR1020200017275A 2020-02-12 2020-02-12 다기능 컵 KR20210102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275A KR20210102793A (ko) 2020-02-12 2020-02-12 다기능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275A KR20210102793A (ko) 2020-02-12 2020-02-12 다기능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93A true KR20210102793A (ko) 2021-08-20

Family

ID=7746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275A KR20210102793A (ko) 2020-02-12 2020-02-12 다기능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279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656U (ko) 2009-10-07 2011-04-13 김기태 자외선 살균 머그컵
KR20110104783A (ko) 2010-03-17 2011-09-23 강희돈 칫솔 살균기능을 갖는 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656U (ko) 2009-10-07 2011-04-13 김기태 자외선 살균 머그컵
KR20110104783A (ko) 2010-03-17 2011-09-23 강희돈 칫솔 살균기능을 갖는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3028A1 (en) Drinking Vessel For Containing a Liquid and Insulating a Bottle or Can
US11659945B2 (en) Single-serve beverage cup
US20010023595A1 (en) Stay cold beverage vessel
WO2000042368A1 (en) Drinking receptacle with removable chilling liner
US6668579B1 (en) Container with refillable core
JP2014104346A (ja) 食べ物及び飲み物用容器
US20190133358A1 (en) Bottle with insulated chamber and internal storage for cups and accessories
KR20210102793A (ko) 다기능 컵
KR20110004017U (ko) 광고지 삽입이 가능한 휴대용 보온컵
KR200407490Y1 (ko) 다용도 보온컵
JP2004138274A (ja) 飲料・食糧を収納する容器を加熱または冷却するための付加ケース
KR200431622Y1 (ko) 다단식 보온용기
KR20160100625A (ko) 용기 냉각장치
KR102637986B1 (ko) 냉각 특성이 향상된 컵
CN215077314U (zh) 一种双盖保温杯
KR101935833B1 (ko) 냉각 테이블
KR200386827Y1 (ko) 음료병용 항온케이스
KR200171259Y1 (ko) 휴대용 음료용기 보온가방
KR200487369Y1 (ko) 다중 간편식 포장체
KR20230162765A (ko) 보온 보냉의 기능을 가지는 컵홀더
KR200357258Y1 (ko) 기능성 도시락
KR200340429Y1 (ko) 보온 보냉이 가능한 이중용기
KR20190094958A (ko) 주방용기세트
JP2006168825A (ja) カップ、ホルダー兼用の缶ビール保冷ケース
EP0692944A1 (en) Improved container for drinks or bever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