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752A - 차량용 스마트키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752A
KR20210101752A KR1020200016082A KR20200016082A KR20210101752A KR 20210101752 A KR20210101752 A KR 20210101752A KR 1020200016082 A KR1020200016082 A KR 1020200016082A KR 20200016082 A KR20200016082 A KR 20200016082A KR 20210101752 A KR20210101752 A KR 20210101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fastening
vehicle
smart ke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학
최태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752A/ko
Publication of KR2021010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6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30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starting i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 G07C2009/00587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by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엔진의 시동을 거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밀폐되며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는 팝업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팝업부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체결버튼;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고, 차량과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각종 회로소자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키{SMARTKE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과 무선으로 통신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엔진의 시동을 거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은 사용자가 소지하여 휴대하는 스마트키에 무선 송수신기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마트키에 장착된 상기 송수신기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어 사용자가 차량으로 들어갈 때 차량에 배치된 통제부와 통신한다.
이러한 상기 스마트키는 사용자가 단지 소지하고만 있더라도, 송수신기에 의해 차량의 도어를 잠금 해제하여 엔진을 시동하거나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키는, 인쇄회로기판과, 전원으로서의 배터리가 장착되어 이루어 지고, 더 많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는 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히 소지할 수 있도록 박형 및 소형화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스마트키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는 수명이 제한되어 있어 소비자가 사용 중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배터리를 교체할 때 종래의 스마트키는 하부 케이스를 완전히 분리하여 회로에 접속된 배터리를 직접 교환해야 한다.
그런데, 스마트키는 방수성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케이스가 일정 이하의 힘을 받았을 때 열리지 않도록 단단히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교환을 위해 제품을 분리할 때 케이스에 특정 국소부위에 드라이버 등 별도의 Tool을 이용하여 힘을 집중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분리과정에서 제품 외관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완전히 노출된 인쇄회로기판도 손상 위험이 있고, 사용자가 교체 방법을 직관적으로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한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배터리 교환을 위해 제품을 분리할 때 별도의 Tool을 이용하지 않고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제품 외관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배터리 교환을 위해 제품을 분리할 때 별도의 Tool을 이용하지 않고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제품 외관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마트키는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밀폐되며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는 팝업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팝업부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체결버튼;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고, 차량과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각종 회로소자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체결버튼이 수용되고, 일단에 상기 팝업부가 체결되는 팝업체결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기판안착부; 및 상기 팝업체결부와 상기 기판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팝업체결부와 상기 기판안착부의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스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하는 제2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에서 상기 팝업체결부가 형성된 영역에 상기 체결버튼이 돌출되는 버튼홈이 형성된다.
상기 팝업부는, 상기 팝업체결부를 밀폐시키는 기구부; 및 상기 기구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되어 상기 기구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구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 접하여 상기 팝업체결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로부터 상기 팝업체결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버튼에 체결되는 제1팝업후크; 상기 밀폐부로부터 상기 팝업체결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팝업체결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서 팝업체결부 방향 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팝업체결부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상기 팝업체결부 방향에 형성된 제2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제2몸체부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접하여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의 두께는 상기 제2몸체부의 두께보다 두껍다.
상기 제2몸체부는, 하부양단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구부의 하면에 접하는 걸림턱; 및 하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버튼에 체결되는 제2팝업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버튼은, 상기 버튼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는 가압부;
일단이 상기 가압부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1케이스에 접하여 상기 가압부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가압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팝업후크와 상호 체결되는 버튼후크; 및 상기 가압부 일면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기구부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절곡부로 이루어진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팝업후크와 체결되어 상기 팝업부가 상기 팝업체결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팝업체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몸체부의 외주면에 접한다.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팝업체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후크가 상기 제2팝업후크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에 반발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기구부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기구부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에 접한다.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기구부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팝업후크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팝업부가 상기 팝업체결부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배터리 교환을 위해 제품을 분리할 때 별도의 Tool을 이용하지 않고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제품 외관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제2케이스가 제1케이스로부터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팝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손잡이부가 본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제2팝업후크와 버튼후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손잡이부가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제1팝업후크와 삽입홈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팝업부 및 체결버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체결버튼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손잡이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손잡이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제2몸체부에 절곡부가 접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팝업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제2케이스가 제1케이스로부터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팝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손잡이부가 본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제2팝업후크와 버튼후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손잡이부가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제1팝업후크와 삽입홈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 받는 다수의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00)을 수용하는 차량용 스마트키는 인쇄회로기판(100)과, 본체(200)와 팝업부(300) 및 체결버튼(400)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서, 차량과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각종 회로소자가 탑재된다.
본체(200)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고 타단이 밀폐되며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00) 등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외력 및 이물질들로부터 내부의 각종 부품들을 보호한다.
이러한 본체(200)의 일단 방향에는 팝업부(300)가 삽입 또는 분리된다.
그리고 본체(2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써,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외주면에 차량의 엠블럼(EMBLEM) 등 각종 장식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200)는 팝업체결부(220)와, 기판안착부(210) 및 구획부(230)를 포함한다.
팝업체결부(220)는 본체(200)의 일단 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체결버튼(400)이 수용되고, 일단에 팝업부(300)가 체결된다.
즉, 팝업체결부(220)는 체결버튼(400) 및 팝업부(3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다.
기판안착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0)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100)의 두께보다 높은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기판안착부(210)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00)이 안착될 때, 인쇄회로기판(100)의 둘레를 감쌈으로써, 인쇄회로기판(1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구획부(230)는 본체(200)의 내부에서 팝업체결부(220)와 기판안착부(210) 사이에 형성되어 팝업체결부(220)와 기판안착부(210)의 영역을 구획한다.
따라서, 구획부(23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부(210)와 팝업부(300)가 삽입되는 팝업체결부(220)의 영역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인쇄회로기판(100)과 팝업부(300)가 상호 간섭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기판안착부(210)와 팝업체결부(220) 및 구획부(230)를 포함하는 본체(200)는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로 이루어진다.
즉, 기판안착부(210)와 팝업체결부(220) 및 구획부(230)는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에 각각 형성되며,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에서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240)는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00)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엠블렘과 같은 장식부재가 장착될 수 있고, 차량의 시동,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버튼들이 장착될 수 있다.
제2케이스(250)는 제1케이스(24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제1케이스(240)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한다.
이를 위해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의 타단은 상호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2케이스(250)가 제1케이스(240)를 밀폐 또는 개방한다.
한편, 제2케이스(250)의 외주면에서 팝업체결부(220)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체결버튼(400)이 돌출되는 버튼홈(251)이 형성된다.
즉, 체결버튼(400)은 버튼홈(25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압될 수 있다.
팝업부(300)는 본체(200) 즉,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 또는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평소에는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가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본체(200) 내부 부품을 수리해야 하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200)를 개방해야 하는 경우,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팝업부(300)는 기구부(310) 및 손잡이부(320)를 포함한다.
기구부(310)는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의 일단에 형성된 팝업체결부(220)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기구부(310)는 밀폐부(311)와 제1팝업후크(313) 및 가이드부(314)를 포함한다.
밀폐부(311)는 본체(200) 즉,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의 일단에 직접 접하여 팝업체결부(220)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밀폐부(311)는 일면과 타면에 손잡이부(320)가 관통되는 관통공(312)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손잡이부(320)는 밀폐부(311)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팝업후크(313)는 밀폐부(311)에서 관통공(312)과 겹치지 않는 영역으로부터 팝업체결부(220)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된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체결버튼(400)에 체결된다.
즉, 제1팝업후크(313)는 체결버튼(400)과 체결될 수 있도록 밀폐부(311)에서 체결버튼(400) 및 버튼홈(251)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로 인해, 제1팝업후크(31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체결버튼(400)에 견고하게 체결되거나, 또는 체결버튼(4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팝업부(300)는 본체(200)에 체결 또는 본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가이드부(314)는 팝업부(300)가 팝업체결부(22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될 때, 팝업부(30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밀폐부(311)의 관통공(312)과 제1팝업후크(313)가 형성된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서 밀폐부(311)로부터 팝업체결부(2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팝업체결부(220)의 내측면에 접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부(314)는 팝업부(300)의 분리 또는 삽입 경로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고, 특히, 팝업부(300)를 팝업체결부(220)에 삽입 시, 오조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315)는 가이드부(314)에서 팝업체결부(220) 방향 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후술할 제2몸체부(323)와 함께 제1탄성부재(326)를 탄성지지한다.
손잡이부(320)는 기구부(310), 구체적으로 기구부(310)에 형성된 관통공(312)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어 팝업체결부(220)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팝업체결부(220)로부터 기구부(310)의 외부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320)는 평소에는 팝업체결부(220)의 내부에 수용되어 기구부(3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가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본체(200) 내부 부품을 수리해야 하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200)를 개방해야 하는 경우, 팝업체결부(220)에 수용된 체결버튼(400)과의 결합을 해지하여 기구부(310)의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손잡이부(320)는 체결버튼(400)의 누름 깊이를 제한하여 기구부(310)가 본체(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제어한다.
이러한 손잡이부(320)는 제1몸체부(321)와, 제2몸체부(323) 및 제1탄성부재(326)를 포함한다.
제1몸체부(321)는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거치홈(322)이 형성된 것으로서 평소에는 팝업체결부(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200)를 개방해야 하는 경우, 기구부(310)를 관통하여 팝업체결부(220)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제1몸체부(321)는 팝업체결부(22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제2몸체부(323)는 제1몸체부(321)로부터 지지부(315)가 형성된 방향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몸체부(323)는 제1몸체부(321)가 팝업체결부(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평소와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에서도 팝업체결부(220)에 수용되어 있다.
즉, 제2몸체부(323)는 팝업부(300)가 본체(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전까지는 팝업체결부(2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제2몸체부(323)는 걸림턱(324) 및 제2팝업후크(325)를 포함한다.
걸림턱(324)은 제2몸체부(323)의 하부양단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제1몸체부(321)가 팝업체결부(22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면 기구부(310)의 하면에 접한다.
즉, 걸림턱(324)은 제2몸체부(323) 기구부(3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몸체부(323)와 기구부(310)가 상호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팝업후크(325)는 제2몸체부(323)의 하면으로부터 지지부(315)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체결버튼(40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팝업후크(325)는 제1몸체부(321)가 팝업체결부(220)에 수용된 상태일 때 체결버튼(400)과 상호 결합되고, 제1몸체부(321)가 팝업체결부(220)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상태일 때 제2팝업후크(325)도 본체(200)의 외부 방향으로 함께 이동함으로써 체결버튼(400)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즉, 제2팝업후크(325)는 체결버튼(400)과의 결합여부에 따라 제1몸체부(321)가 팝업체결부(220)에 삽입 또는 팝업체결부(220)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제어한다.
제1탄성부재(326)는 일단이 제2몸체부(323)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지지부(315)에 접한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326)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팝업체결부(220)에 수용된 제1몸체부(321) 및 제2몸체부(323)를 탄성지지한다.
즉, 제1탄성부재(326)는 제1몸체부(321) 및 제2몸체부(323)가 팝업체결부(2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버튼(400)과 기구부(310)의 제1팝업후크(313)의 체결이 해제되어 제1몸체부(321)가 기구부(310)의 외부로 돌출될 때, 지지부(315)에 지지되는 반발력에 의해 제1몸체부(321)가 기구부(310)의 외부로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버튼(400)은 본체(200), 더욱 구체적으로 제1케이스(240)에 형성된 버튼홈(25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고정되고, 팝업부(300)를 본체(200)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체결버튼(400)은 가압부(410)와 제2탄성부재(420)와 버튼후크(430) 및 삽입홈(440)을 포함한다.
가압부(410)는 제1케이스(240)의 버튼홈(251)으로부터 노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버튼홈(25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된다.
제2탄성부재(42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단이 가압부(410)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제1케이스(240)에 접하여 가압부(410)가 버튼홈(251)을 통해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한다.
버튼후크(430)는 가압부(41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손잡이부(320)의 제1몸체부(321)가 팝업체결부(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320)의 제2몸체부(323)에 형성된 제2팝업후크(325)와 상호 체결된다.
즉, 버튼후크(430)는 제2팝업후크(325)와 상호 체결되어 손잡이부(320)의 제1몸체부(321)가 기구부(310)의 관통공(312)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팝업후크(325)는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버튼후크(430)가 제2팝업후크(325)에 하방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탄성부재(420)에 의해 탄성지지된 가압부(410)를 가압하면 버튼후크(43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팝업후크(325)와 상호 체결이 해지된다.
삽입홈(440)은 기구부(310)의 제1팝업후크(313)가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팝업부(300)가 상기 팝업체결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삽입홈(440)은 가압부(410) 일면의 양단으로부터 기구부(310)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41)와, 가압부(410)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연장부(441)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절곡부(442)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삽입홈(440)에 체결되는 제1팝업후크(313)는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홈(440)은 제1팝업후크(313)에 하방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체결된다.
즉, 사용자가 제1탄성부재(326)에 의해 탄성지지된 가압부(410)를 가압하면 삽입홈(44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팝업후크(313)와 상호 체결이 해지된다.
한편, 손잡이부(320)를 이루는 제1몸체부(321)의 두께는 제1몸체부(321)로부터 지지부(315)가 배치된 방향에 형성된 제2몸체부(323)의 두께보다 두껍다.
즉, 제1몸체부(321) 및 제2몸체부(323)의 두께에 의해 제1몸체부(321) 및 제2몸체부(323)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442)는 연장부(441)의 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하방향으로 절곡된 단부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몸체부(321)의 거치홈(322)에 삽입되거나, 제2몸체부(323)의 외주면에 접한다.
구체적으로 제1몸체부(321)가 팝업체결부(220)에 삽입된 상태, 즉 삽입홈(440)에 제1팝업후크(313)가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체결버튼(400)을 누르면 절곡부(442)는 제1몸체부(321)의 거치홈(322)에 삽입된다.
이때, 연장부(441)는 제1몸체부(321)의 외주면에 접한다.
즉, 연장부(441)가 제1몸체부(321)의 외두면에 접함으로써, 거치홈(322)에 삽입된 절곡부(442)가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몸체부(321)가 팝업체결부(220)로부터 돌출된 상태, 즉 삽입홈(440)에 제1팝업후크(313)가 체결 해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체결버튼(400)을 누르면 절곡부(442)는 제2몸체부(323)의 외주면에 접한다.
따라서, 절곡부(442)는 제1몸체부(321) 및 제2몸체부(323)의 두께 차이로 인해 절곡부(442)가 배치되는 영역이 달라져 손잡이부(320)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팝업부 및 체결버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체결버튼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손잡이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손잡이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제2몸체부에 절곡부가 접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팝업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체결버튼(400)을 한번만 누르면 손잡이부(320)의 제1몸체부(321)가 팝업체결부(220)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버튼(400)을 한번 더 누르면 팝업부(300)가 본체(200)로부터 분리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1케이스(240) 및 제2케이스(250)로 이루어진 본체(200)의 일단에 팝업부(300)가 결합되어 있고, 일단이 가압부(410)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제1케이스(240)에 접하는 제2탄성부재(420)에 의해 체결버튼(400)의 가압부(410)가 제1케이스(240)의 버튼홈(251)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는 팝업부(300)의 기구부(310)에 형성된 제1팝업후크(313)가 체결버튼(400)에서 절곡부(442) 및 연장부(441)에 의해 형성된 삽입홈(440)에 체결되어 있고, 팝업부(300)의 손잡이부(320)에 형성된 제2팝업후크(325)가 체결버튼(400)의 버튼후크(430)에 체결되어 있음으로써, 손잡이부(320)가 팝업체결부(220)에 수용된 상태이고, 손잡이부(320)의 제1몸체부(321)가 팝업부(300)의 기구부(310)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배터리를 교환하거나, 본체(200) 내부 부품을 수리해야 하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200)를 개방해야 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홈(251)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 체결버튼(400)의 가압부(410)를 가압한다.
이때, 손잡이부(320)가 팝업체결부(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부(410)를 가압하면, 체결버튼(400)이 하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절곡부(442)의 단부가 손잡이부(320)의 제1몸체부(321)에 형성된 거치홈(322)에 삽입되고 연장부(441)가 제1몸체부(321)의 외주면에 접한다.
즉, 연장부(441)가 제1몸체부(321)의 외주면에 접함으로써, 체결버튼(400)의 이동거리가 제한되어 삽입홈(440)에 삽입된 제1팝업후크(313)가 삽입홈(440)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고, 삽입홈(44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팝업후크(325)에 체결된 버튼후크(430)가 제2팝업후크(325)로부터 분리되고, 팝업체결부(220)에 수용된 제1몸체부(321) 및 제2몸체부(323)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26)의 반발력에 의해 손잡이부(320)가 상기 기구부(310)로부터 돌출된다.
이어서, 손잡이부(320)가 기구부(31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가압부(410)로부터 가압력을 제거하면 제2탄성부재(420)의 반발력에 의해 체결버튼(400)의 가압부(410)가 제1케이스(240)의 버튼홈(251)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20)가 기구부(310)로부터 돌출되고, 버튼홈(251)으로부터 돌출된 가압부(410)를 가압하면, 절곡부(442)의 단부가 제2몸체부(323)의 외주면에 접한다.
이때, 제2몸체부(323)의 두께는 제1몸체부(321)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버튼(400)은 제1팝업후크(313)가 삽입홈(440)으로부터 분리될 정도로 하강한다.
따라서, 손잡이부(320)가 기구부(31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가압부(410)를 가압하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팝업후크(313)가 삽입홈(44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탄성부재(326)의 반발력에 의해 팝업부(300)가 팝업체결부(220)로부터 분리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팝업부(300)가 분리된 본체(200)의 팝업체결부(220)를 통하여 제1케이스(240)를 제2케이스(250)로부터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제2케이스(250)에 장착된 배터리를 분리하여 새로운 배터리로 교환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스마트키는 배터리 교환을 위해 제품을 분리할 때 별도의 Tool을 이용하지 않고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제품 외관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인쇄회로기판 200: 본체
210: 기판안착부 220: 팝업체결부
230: 구획부 240: 제1케이스
250: 제2케이스 251: 버튼홈300: 팝업부
310: 기구부 311: 밀폐부
312: 관통공 313: 제1팝업후크
314: 가이드부 315: 지지부
320: 손잡이부 321: 제1몸체부
322: 거치홈 323: 제2몸체부
324: 걸림턱 325: 제2팝업후크
326: 제1탄성부재 400: 체결버튼
410: 가압부 420: 제2탄성부재
430: 버튼후크 440: 삽입홈
441: 연장부 442: 절곡부

Claims (13)

  1.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 받는 다수의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차량용 스마트키에 있어서,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밀폐되며 내부에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는 팝업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팝업부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체결버튼; 및
    상기 본체에 수용되고, 차량과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각종 회로소자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체결버튼이 수용되고, 일단에 상기 팝업부가 체결되는 팝업체결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기판안착부; 및
    상기 팝업체결부와 상기 기판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팝업체결부와 상기 기판안착부의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스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하는 제2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스에서 상기 팝업체결부가 형성된 영역에 상기 체결버튼이 돌출되는 버튼홈이 형성된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팝업체결부를 밀폐시키는 기구부; 및
    상기 기구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되어 상기 기구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 접하여 상기 팝업체결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로부터 상기 팝업체결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버튼에 체결되는 제1팝업후크;
    상기 밀폐부로부터 상기 팝업체결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팝업체결부의 내측면에 접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서 팝업체결부 방향 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팝업체결부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로부터 상기 팝업체결부 방향에 형성된 제2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제2몸체부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접하여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의 두께는 상기 제2몸체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는,
    하부양단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구부의 하면에 접하는 걸림턱; 및
    하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버튼에 체결되는 제2팝업후크를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버튼은,
    상기 버튼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돌출되는 가압부;
    일단이 상기 가압부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1케이스에 접하여 상기 가압부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가압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팝업후크와 상호 체결되는 버튼후크; 및
    상기 가압부 일면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기구부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절곡부로 이루어진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1팝업후크와 체결되어 상기 팝업부가 상기 팝업체결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팝업체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1몸체부의 외주면에 접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팝업체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후크가 상기 제2팝업후크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에 반발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기구부로부터 돌출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기구부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에 접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기구부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팝업후크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팝업부가 상기 팝업체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것
    인 차량용 스마트키.
KR1020200016082A 2020-02-11 2020-02-11 차량용 스마트키 KR20210101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82A KR20210101752A (ko) 2020-02-11 2020-02-11 차량용 스마트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82A KR20210101752A (ko) 2020-02-11 2020-02-11 차량용 스마트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52A true KR20210101752A (ko) 2021-08-19

Family

ID=7749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082A KR20210101752A (ko) 2020-02-11 2020-02-11 차량용 스마트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7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0980B2 (en) Case for remote control key
US8590351B2 (en) Side-lock device
CN200985684Y (zh) 便携设备及机械钥匙
US7970441B2 (en) Battery and battery locking unit of mobile terminal
EP1564323B1 (en) Door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JP4048303B2 (ja) 携帯端末機のバッテリカバーロッキング装置
JP2008231798A (ja) 携帯機
WO2015064034A1 (ja) 携帯型無線キー
CN106703563B (zh) 车辆用外把手装置
JP4087655B2 (ja) メカキーを収容した携帯機
KR101594334B1 (ko) 차량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어셈블리
KR20210101752A (ko) 차량용 스마트키
KR102042029B1 (ko) 차량의 포브 키
US11920373B2 (en) Door outside handle assembly having sliding type door lock cap
JP4501765B2 (ja) 可動式収納ポケット
US11772856B2 (en) Storage case
WO2017212847A1 (ja) 携帯機
JP2008270943A (ja) 携帯機
CN220307576U (zh) 保护盖结构和电子设备
WO2013129601A1 (ja) キーユニット
KR20200142334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CN112065171B (zh) 智能门锁及门
KR20210096516A (ko) 차량용 스마트키
KR20050088000A (ko) 전자기기의 단자 홀 커버유닛
CN217841192U (zh) 智能钥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