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472A - 직물조직과 경위사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조직과 경위사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472A
KR20210101472A KR1020200015504A KR20200015504A KR20210101472A KR 20210101472 A KR20210101472 A KR 20210101472A KR 1020200015504 A KR1020200015504 A KR 1020200015504A KR 20200015504 A KR20200015504 A KR 20200015504A KR 20210101472 A KR20210101472 A KR 2021010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yarn
warp
variable pattern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500B1 (ko
Inventor
황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섬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섬유
Priority to KR102020001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50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differing diame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직된 직물에 배시된 무늬가 보는 각도에 따라 가변되게 한 가변무늬직물을 얻고, 상기 가변무늬직물을 이용하여 여러제품에 적용토록 함으로서, 새로운 디자인의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케 할 뿐 아니라,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경사빔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사를, 종광을 통하여 직물조직에 맞게 개구되게 한 다음, 위사를 위입시켜 직물을 제직하되, 위입되는 위사의 굵기(데니어)와 색상을 달리함과 동시에, 각 위사별로경사와 교직되는 조직을 달리하여, 특정한 일부위사가 일부위사로부터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은폐되게 하거나 노출되게 제직함으로서, 특정한 일부위사의 은폐 및 노출위치에 따라 무늬가 가변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물조직과 경위사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및 그에 의해 제직된 가변무늬직물{Weaving method of variable pattern textiles using fabric tissue and selection of warp/weft yarn, and its variable pattern textiles}
본 발명은 직물조직과 경위사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및 그에 의해 제직된 가변무늬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직된 직물을 보는 방향에 따라 직물에 배시된 무늬가 가변되게 하여 다양한 디자인이 표현되게 하고, 상기 직물을 이용하여 신발갑피나, 커튼, 의류 등 여러제품에 적용토록 함으로서, 새로운 디자인의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케 할 뿐 아니라, 제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개구된 경사 사이(개구운동)에 위사가 위입(위입운동)되고, 위입된 위사를 직전(직물이 시작되는 지점)까지 밀어넣는(바디침운동) 과정의 연속반복으로 직물이 제직된다.
상기 제직과정에서 제직된 직물에 다양한 디자인의 문양을 표현하기 위하여서는 경위사의 색상배열이나 직물의 조직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직물 표면에 배시되는 문양은, 위사 위로 상승한 경사와, 경사 위로 상승한 위사의 조합을 통하여 문양이 표현되기 때문에, 직물에 배시된 문양은 어느방향에서나 동일한 문양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직물의 특성 때문에 새롭고,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게 된다.
경사와 위사가 교직하여 제직되는 직물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특허 제10-1607171호 "멜란지효과가 우수한 입체무늬직물 및 그 제조방법"(특허문헌 1)과, 특허 제10-1810606호 "다양한 통기공 형태 구현이 가능한 꼬임조직형 직물, 신발갑피 및 이의 제직방법"(특허문헌 2)과, 특허공개번호 10-2019-0089341호 "야간시인성이 우수한 신발용 갑피"(특허문헌 3) 등이 제시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요을 검토하여 보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500~700 TM 으로 꼬임을 준 후 200~400d/216필라의 폴리에스테르 인터레이스사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주위에 500~600 TM으로 커버링한 태섬도커버링사와 폴리에스테르 DTY사에 스판덱스사를 커버링한 스판덱스커버링사를 가닥수 1:1~1:3으로 교호로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공급하여 제직한 멜란지효과가 우수한 입체무늬직물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다양한 통기공 형태 구현이 가능한 꼬임조직형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경사부를 제1 위사 내지 제4 위사를 포함하는 위사부와 경사방향으로 제직하는 방법으로서, 제1 후레이종광의 우종광을 상승시켜 상기 경사부의 꼬임 조직을 형성하는 제1 꼬임경사 및 제2 꼬임경사를 각각 우상단 및 좌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위사를 인입시키는 제1 제직단계; 상기 제1 후레이종광의 우종광을 하강시키고 동시에 제2 후레이종광의 좌종광을 상승시켜 상기 제1 꼬임경사 및 제2 꼬임경사를 각각 하단 및 상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위사를 인입시키는 제2 제직단계; 제1 후레이종광의 좌종광을 상승시켜 상기 제1 꼬임경사 및 제2 꼬임경사를 각각 좌상단 및 우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3 위사를 인입시키는 제3 제직단계; 및 상기 제1 후레이종광의 좌종을 하강시키고 동시에 제2 후레이종광의 우종광을 상승시켜 상기 제1 꼬임경사 및 제2 꼬임경사를 각각 하단 및 상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4 위사를 인입시키는 제4 제직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되, 상기 제1 제직단계 내지 제4 제직단계에서 제3 후레이종광을 일정한 주기로 상승 및 하강시켜 상기 제1, 2 꼬임경사와 같은 방향으로 투입되는 보조경사를 상기 제1 위사 내지 제4 위사와 교호적으로 제직하는 바닥조직 사이클과, 제1 후레이종광의 우종광을 상승시켜 상기 제1 꼬임경사 및 제2꼬임경사를 각각 우상단 및 좌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위사를 인입시킨 다음 상기 제1 후레이종광의 우종광을 하강시키는 제5 제직단계; 및 제1 후레이종광의 좌종광을 상승시켜 상기 제1 꼬임경사 및 제2 꼬임경사를 각각 좌상단 및 우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위사를 인입시킨 다음 상기 제1 후레이종광의 좌종광을 하강시키는 제6 제직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구멍조직 사이클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조직 및 구멍조직 사이클은, 상기 바닥조직과 구멍조직이 경사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제직되도록 시계열적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신발용 갑피는 재귀반사 시트를 슬리팅하여 제조된 재귀반사 슬리팅사에 일반 섬유사가 권취된 재귀반사 복합사 및 일반 섬유사가 꼬임 가공되어 제조된 일반 복합사를 위사 및 경사로 하여 제직된 립스탑형 원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귀반사 슬리팅사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코팅액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코팅액은,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 코팅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고형분 10 중량부와, 카르보디이미드 경화제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경우 직물 상에 멜란지효과를 갖는 입체무늬를 발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고, 특허문헌 2의 경우 신발갑피로 사용되는 직물에 다양한 형태의 통기공이 형성되게 한다는 것이고, 특허문헌 3의 경우 재귀반사 슬리팅사를 이용하여 야간시인성이 우수한 신발용 갑피를 제공한다는 것으로서, 직물에 배시된 무늬의 변화가 없는 단순한 형태로서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가변무늬직물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특허 제10-1607171호 "멜란지효과가 우수한 입체무늬직물 및 그 제조방법" 특허 제10-1810606호 "다양한 통기공 형태 구현이 가능한 꼬임조직형 직물, 신발갑피 및 이의 제직방법" 특허공개번호 10-2019-0089341호 "야간시인성이 우수한 신발용 갑피"
본 발명은 제직된 직물에 배시된 무늬가 보는 각도에 따라 가변되게 하되, 상기 직물을 이용하여 여러제품에 적용토록 함으로서, 새로운 디자인의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케 할 뿐 아니라,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경사빔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사를, 종광을 통하여 직물조직에 맞게 개구되게 한 다음, 위사를 위입시켜 직물을 제직하되, 위입되는 위사의 굵기(데니어)와 색상을 달리함과 동시에, 각 위사별로경사와 교직되는 조직을 달리하여, 특정한 일부위사가 일부위사로부터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은폐되게 하거나 노출되게 제직함으로서, 특정한 일부위사의 은폐 및 노출위치에 따라 무늬가 가변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빔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사를, 종광을 통하여 직물조직에 맞게 개구되게 한 다음, 위사를 위입시켜 직물을 제직하되, 위입되는 위사의 굵기(데니어)와 색상을 달리함과 동시에, 각 위사별로 경사와 교직되는 조직을 달리하여 특정한 일부위사가, 일부위사로부터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은폐되게 하거나 노출되게 제직함으로서, 특정한 일부위사의 은폐 및 노출위치에 따라 무늬가 가변되게 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케 할 뿐 아니라,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가변무늬직물의 전방가변무늬부분의 조직도
도 2 : 도 1의 조직도에서 일순환형태의 일부조직도
도 3 : 본 발명 가변무늬직물의 후방가변무늬부분의 조직도
도 4 : 도 3의 조직도에서 일순환형태의 일부조직도
도 5 : 본 발명 가변무늬직물에서 무늬가 없는 부분의 조직도
도 6 : 도 5의 조직도에서 일순환형태의 일부조직도
도 7 : 본 발명 가변무늬직물의 평면상태 사진
도 8 : 본 발명의 가변무늬직물을 앞쪽측방향에서 보아 전방가변무늬가 표현된 상태 사진
도 9 : 도 8의 반대방향(뒷쪽 측방향)에서 보아 후방가변무늬가 표현된 상태 사진
도 10 : 본 발명 가변무늬직물의 일부확대사진
도 11 : 본 발명 가변무늬직물의 경사와 각 위사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2 : 본 발명에 적용된 3종류 위사의 견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가변무늬직물(10) 제직을 위한 조직도 및 확대도로서, 도 1은 전방가변무늬(A)부분의 전방가변무늬조직도(20)이고, 도 3은 후방가변무늬(B)부분의 후방가변무늬조직도(30)이고, 도 5는 무늬가 없는 무무늬(C)의 무무늬조직도(40)이다.
본 발명의 가변무늬직물(10)은 동일한 굵기 10가닥의 경사(wp)와, 서로 다른 굵기의 7가닥의 위사(wt)가 순환형태로 반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경사(wp)는 100데니어(d) 투명한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였고, 위사(wt)는 3가지 종류 굵기의 위사를 사용하여 자카드직기로 제직하였다.
즉, 세사(가는 굵기의 원사)로 된 100데니어(d) 투명모노필라멘트사를 1번위사(wt-1)와 2번위사(wt-2)로 하고, 중사(중간 굵기의 원사)로 된 300데니어(d) 유색의 3번위사(wt-3)와, 3번위사와 다른 색상의 태사(굵은 원사)로 된 600데니어(d) 4번위사(wt-4), 5번위사(wt-5), 6번위사(wt-6)와, 중사로 된 300데니어(d) 유색의 7번위사(wt-7)의 순서로 연속반복되게 위입한다.
상기에서 100데니어 투명모노필라멘트사로 된 1번, 2번위사(wt-1)(wt-2)는 간격유지사(가) 기능을 하여 가변무늬직물(10) 상에 간격(22)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고, 유색의 300데니어로 된 3번, 7번위사(wt-3)(wt-7)는 무늬사(나) 기능을 하고, 무늬사(나)와 색상이 다른 600데니어로 된 4번, 5번, 6번위사(wt-4)(wt-5)(wt-6)는 커버사(다) 기능을 한다.
상기에서 적용된 위사의 데니어, 즉 굵기는 조정될 수 있으며, 다만 굵기가 서로 다른 3가지 종류의 위사(wt)를 사용하되, 유색의 3번위사(wt-3)와 7번위사(wt-7)가 태사로 된 4번위사(wt-4)와 6번위사(wt-6)에 의해 선택적으로 은폐되게 하거나 노출되게 하는 것이며, 이는 직물조직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에서 3번, 7번위사(wt-3)(wt-7)와, 4번, 5번, 6번위사(wt-4)(wt-5)(wt-6)는 서로 다른 색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가변무늬(A)의 제직은 도 1에서와 같은 전방가변무늬조직도(20)로 제직된다.
전방가변무늬(A)는, 전방가변무늬조직도(20)에서와 같이 제1전방가변무늬조직도(20-1)와, 제2전방가변무늬조직도(20-2), 제3전방가변무늬조직도(20-3), 제4전방가변무늬조직도(20-4), 제5전방가변무늬조직도(20-5), 제6전방가변무늬조직도(20-6), 제7전방가변무늬조직도(20-7), 제8전방가변무늬조직도(20-8), 제9전방가변무늬조직도(20-9), 제10전방가변무늬조직도(20-10)로 구성된다.
상기 각 전방가변무늬조직도의 선택적인 사용을 통하여 전방가변무늬(A)가 제직되며, 상기 각 전방가변무늬조직도, 즉 제1전방가변무늬조직도(20-1)~제10전방가변무늬조직도(20-10)에서, 10가닥경사와 7가닥위사의 부침비율 공통점은 아래와 같다.
즉 100데니어(d)로 된 1번위사(wt-1) 및 2번위사(wt-2), 즉 간격유지사(가)는 경사와 위사의 부침비율이 5:5로서 경사와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이 동일하고, 300데니어(d)로 된 3번위사(wt-3), 즉 무늬사(4)는 경사와 위사의 부침비율이 2:8로 위사가 경사보다 표면노출비율이 높고, 600데니어(d)로 된 4번위사(wt-4), 5번위사(wt-5), 6번위사(wt-6), 즉 커버사(다)는 경사와 위사의 부침비율이 1:9로 위사가 경사보다 표면노출이 높다.
300데니어로 된 7번위사(wt-7), 즉 무늬사(나)는 경사와 위사의 부침비율이 5:5로서 경사와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이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간격유지사(가)인 1번 및 2번위사(wt-1)(wt-2)는 투명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였고, 무늬사(나)인 3번 및 7번위사(wt-3)(wt-7)는 선염한 검정색의 DTY사를 사용하였고, 커버사(다)인 4, 5, 6번위사(wt-4)(wt-5)(wt-6)는 흰색의 DTY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에서 색상 및 굵기(데니어)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이 없으며, 다만 1, 2번위사(wt-1)(wt-2)보다 3, 7번위사(wt-3)(wt-7)가 굵고, 3, 7번위사(wt-3)(wt-7)보다 4, 5, 6번위사(wt-4)(wt-5)(wt-6)가 굵으면 만족한다.
또한 3~7번위사(wt-3)~(wt-7)는 벌키성이 양호한 DTY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방가변무늬(A)의 제직과정을, 제1전방가변무늬조직도(20-1)를 통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번위사(wt-1)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번경사(wp-1), 3번경사(wp-3), 5번경사(wp-5), 7번경사(wp-7), 9번경사(wp-9)는 상승시키고, 2번경사(wp-2), 4번경사(wp-4), 6번경사(wp-6), 8번경사(wp-8), 10번경사(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100데니어 모노필라멘트사로 된 1번위사(wt-1)를 위입시킨 다음, 바디침하여 제직한다.
2번위사(wt-2)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2번경사(wp-2), 4번경사(wp-4), 6번경사(wp-6), 8번경사(wp-8), 10번경사(wp-10)는 상승시키고, 1번경사(wp-1), 3번경사(wp-3), 5번경사(wp-5), 7번경사(wp-7), 9번경사(wp-9)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2번위사(wp-2)를 위입시킨 다음, 바디침하여 제직한다.
이때 100데니어(d) 모노필라멘트사로 된 1, 2번위사(wt-1)(wt-2)는 100데니어(d) 모노필라멘트사로 된 1~10번경사(wp-1)~(wp-10)와 1/1평직형태로 제직되면서, 각 전방가변무늬조지도 사이에 일정한 간격(22)을 유지시켜 3~7번위사(wt-3)~(wt-7)에 의해 표현되는 전방가변무늬(A)가, 앞쪽(Fr) 방향에서 볼때보다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3번위사(wt-3)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번경사(wp-1)와 5번경사(wp-5)는 상승시키고, 2, 3, 4번경사(wp-2)(wp-3)(wp-4) 및 6, 7, 8, 9, 10번경사((wp-6)(wp-7)(wp-8)(wp-9)(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3번위사(wt-3)를 위입시킨 다음. 바디침하여 제직한다.
이때 위입된 300데니어 3번위사(wt-3)는 1번경사(wp-1)와 5번경사(wp-5)와 교직되고, 나머지 경사, 즉 2, 3, 4, 6, 7, 8, 9, 10번경사(wp-2)(wp-3)(wp-4)(wp-6)(wp-7)(wp-8)(wp-9)(wp-10)와 교직되지 않고, 표면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4번위사(wt-4)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번경사(wp-1)만 상승시키고, 나머지 2번경사~10번경사(wp-2)(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4번위사(wt-4)를 위입시킨 다음, 바디침하여 제직한다.
이때 위입된 600데니어 4번위사(wt-4)는 1번경사(wp-1)와 교직되고 나머지 경사, 즉 2~10번경사(wp-2)~(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표면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1번경사(wp-1)의 경우, 검은색 300데니어 DTY사로 된 3번위사(wt-3)와 흰색 600데니어 DTY사로 된 4번위사(wt-4)를 동시에 교직하게 되므로, 1번경사(wp-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검은색 300데니어 DTY사로 된 3번위사(wt-3)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방가변무늬(A)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5번위사(wt-5)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8번경사(wp-8)만 상승시키고, 나머지 경사, 즉 1~7번경사(wp-1)~(wp-7) 및 9, 10번경사(wp-9)(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5번위사(wt-5)를 위입시킨 다음, 바디침하여 제직한다.
이때 위입된 600데니어 5번위사(wt-5)는 8번경사(wp-8)와 교직되고, 나머지 1~7번경사(wp-1)~(wp-7) 및 9, 10번경사(wp-9)(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앞쪽(Fr) 방향에서 전방가변무늬(A)를 바라보았을 때에는 검은색 3번위사(wt-3)가 외부로 일부노출되나, 뒷쪽(Ba) 측방향에서 전방가변무늬(A)를 바라보았을 때에는 600데니어 4번, 5번위사(wt-4)(wt-5)에 가려져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6번위사(wt-6)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5번경사(wp-5)는 상승시키고, 나머지 경사, 즉 1~4번경사(wp-1)~(wp-4)와 6~10번경사(wp-6)~(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6번위사(wt-6)를 위입시킨 다음, 바디침하여 제직한다.
이때 위입된 600데니어 6번위사(wt-6)는, 5번경사(wp-5)와 교직되고, 나머지 경사, 즉 1~4번경사(wp-1)~(wp-4) 및 6~10번경사(wp-6)~(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표면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7번위사(wt-7)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 3, 5, 7, 9번경사(wp-1)(wp-3)(wp-5)(wp-7)(wp-9)는 상승시키고 2, 4, 6, 8, 10번경사(wp-2)(wp-4)(wp-6)(wp-8)(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7번위사(wt-7)를 위입시킨 다음, 바디침하여 제직한다.
이때 위입된 검은색의 300데니어 7번위사(wt-7)는, 1, 3, 5, 7, 9번경사(wp-1)(wp-3)(wp-5)(wp-7)(wp-9)와 2, 4, 6, 8, 10번경사(wp-2)(wp-4)(wp-6)(wp-8)(wp-10)가 1/1평직형태로 교직되어 위치의 변동이 거의 없으나, 600데니어 6번위사(wt-6)가 600데니어 5번위사(wt-5)에 밀려나면서 평직형태로 교직된 7번위사(wt-7)를 커버하여 은폐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제1전방가변무늬조직도(20-1) 부분을 제직하고,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나머지 제2전방가변무늬조직도(20-2)~제10전방가변무늬조직도(20-10)를 선별적으로 선택, 제직하여 전방가변무늬(A)를 제직하게 된다.
가변무늬직물(10)을 구성하는 전방가변무늬(A)를 앞쪽(Fr) 방향에서 바라보았을때 도 8에서와 같이 전방가변무늬(A)가 표현되고, 평면에서 바라보았을때 전방가변무늬(A)가 흐릿하게 표현되는 것은, 검은색의 3번위사(wt-3)가 10가닥의 경사 중 2가닥과 교직되게 하고, 나머지 8가닥의 경사와는 교직되지 않고, 표면으로 노출되게 하되, 두가닥의 경사 중 한가닥의 경사는 600데니어 4번위사(wt-4)와 동시에 교직되게 함으로서, 동시에 교직된 검은색 3번위사(wt-3)의 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3번위사(wt-3)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방가변무늬(A)의 일부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변무늬직물(10)을 뒷쪽(Ba)에서 측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에는, 노출되어 있던 3번위사(wt-3)는 600데니어로 된 4, 5, 6번위사(wt-4)(wt-5)(wt-6)에 의해 차단되어 보이지 않게 되므로 도 9에서와 같이 전방가변무늬(A)는 보이지 않게 된다.
후방가변무늬(B)의 제직은 도 3에서와 같은 후방가변무늬조직도(30)로 제직된다.
후방가변무늬(B)는 도 3의 후방가변무늬조직도(30)에서와 같이, 제1후방가변무늬조직도(30-1)와, 제2후방가변무늬조직도(30-2), 제3후방가변무늬조직도(30-3), 제4후방가변무늬조직도(30-4), 제5후방가변무늬조직도(30-5), 제6후방가변무늬조직도(30-6), 제7후방가변무늬조직도(30-7), 제8후방가변무늬조직도(30-8), 제9후방가변무늬조직도(30-9), 제10후방가변무늬조직도(30-10)로 구성된다.
상기 각 후방가변무늬조직도의 선택적인 사용을 통하여 후방가변무늬(B)가 제직되며, 상기 각 후방가변무늬조직도, 즉 제1후방가변무늬조직도(30-1)~제10후방가변무늬조직도(30-10)에서 10가닥경사과 7가닥위사의 부침비율 공통점은 아래와 같다.
즉 100데니어(d)로 된 1번위사(wt-1) 및 2번위사(wt-2)는 경사와 위사의 부침비율이 5:5로서 경사와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이 동일하고, 300데니어(d)로 된 3번위사(wt-3)는 경사와 위사의 부침비율이 5:5로 위사와 경사의 표면노출비율이 동일하고, 600데니어(d)로 된 4번위사(wt-4), 5번위사(wt-5), 6번위사(wt-6)는 경사와 위사의 부침비율이 1:9로 위사가 경사보다 표면노출이 높다.
300데니어로 된 7번위사(wt-7)는 경사와 위사의 부침비율이 2:8로서 위사가 경사보다 표면노출비율이 높다.
상기 실시예에서, 간격유지사(가)인 1번 및 2번위사(wt-1)(wt-2)는 투명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였고, 무늬사(나)인 3번 및 7번위사(wt-3)(wt-7)는 선염한 검정색의 DTY사를 사용하였고, 커버사(다)인 4, 5, 6번위사(wt-4)(wt-5)(wt-6)는 흰색의 DTY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에서 색상 및 굵기(데니어)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이 없으며, 다만 간격유지사(가)인 1, 2번위사(wt-1)(wt-2)보다 커버사(나)인 3, 7번위사(wt-3)(wt-7)가 굵고, 3, 7번위사(wt-3)(wt-7)보다 커버사(다)인 4, 5, 6번위사(wt-4)(wt-5)(wt-6)가 굵으면 만족한다.
또한 3~7번위사(wt-3)~(wt-7)는 벌키성이 양호한 DTY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후방가변무늬(B)의 제직과정을, 제1후방가변무늬조직도(30-1)를 통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번위사(wt-1)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번경사(wp-1), 3번경사(wp-3), 5번경사(wp-5), 7번경사(wp-7), 9번경사(wp-9)는 상승시키고, 2번경사(wp-2), 4번경사(wp-4), 6번경사(wp-6), 8번경사(wp-8), 10번경사(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100데니어 모노필라멘트사로 된 1번위사(wt-1)를 위입시킨다.
2번위사(wt-2)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2번경사(wp-2), 4번경사(wp-4), 6번경사(wp-6), 8번경사(wp-8), 10번경사(wp-10)는 상승시키고, 1번경사(wp-1), 3번경사(wp-3), 5번경사(wp-5), 7번경사(wp-7), 9번경사(wp-9)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2번위사(wp-2)를 위입한다.
이때 100데니어(d) 모노필라멘트사로 된 1, 2번위사(wt-1)(wt-2)는 100데니어(d) 모노필라멘트사로 된 1~10번경사(wp-1)~(wp-10)와 1/1평직형태로 제직되면서, 각 후방가변무늬조직도 사이에 일정한 간격(22)을 유지시켜 3~7번위사(wt-3)~(wt-7)에 의해 표현되는 후방가변무늬(B)가 뒷쪽(Ba) 방향에서 볼때 보다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3번위사(wt-3)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 3, 5, 7, 9번경사(wp-1)(wp-3)(wp-5)(wp-7)(wp-9)는 상승시키고, 2, 4, 6, 8, 10번경사((wp-2)(wp-4)(wp-6)(wp-8)(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3번위사(wt-3)를 위입한다.
이때 위입된 300데니어 3번위사(wt-3)는 1~10번경사(wp-1)~(wp-10)와 1/1평직형태로 제직된다.
4번위사(wt-4)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번경사(wp-1)만 상승시키고, 나머지 2번경사~10번경사(wp-2)(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4번위사(wt-4)를 위입시킨다.
이때 위입된 600데니어 4번위사(wt-4)는 1번경사(wp-1)와 교직되고 나머지 경사, 즉 2~10번경사(wp-2)~(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표면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위입된 4번위사(wt-4)는 벌키성이 우수한 600데니어 DTY사로 구성되면서, 1번경사(wp-1)를 제외한 나머지 경사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표면에 노출되어 있어, 위입된 검은색 3번위사(wt-3)쪽으로 밀려나면서, 3번위사(wt-3)를 커버하여 은폐하게 된다.
5번위사(wt-5)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8번경사(wp-8)만 상승시키고, 나머지 경사, 즉 1~7번경사(wp-1)~(wp-7) 및 9, 10번경사(wp-9)(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5번위사(wt-5)를 위입시키게 된다.
이때 위입된 600데니어 5번위사(wt-5)는 8번경사(wp-8)와 교직되고, 나머지 1~7번경사(wp-1)~(wp-7) 및 9, 10번경사(wp-9)(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6번위사(wt-6)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5번경사(wp-5)는 상승시키고, 나머지 경사, 즉 1~4번경사(wp-1)~(wp-4)와 6~10번경사(wp-6)~(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6번위사(wt-6)를 위입시킨다.
이때 위입된 600데니어 6번위사(wt-6)는 5번경사(wp-5)와 교직되고, 나머지 경사, 즉 1~4번경사(wp-1)~(wp-4) 및 6~10번경사(wp-6)~(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표면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7번위사(wt-7)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 5번경사(wp-1)(wp-5)는 상승시키고 2, 3, 4, 6, 7, 8, 9, 10번경사(wp-2)(wp-3)(wp-4)(wp-6)(wp-7)(wp-8)(wp-9)(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7번위사(wt-7)를 위입시킨다.
이때 위입된 300데니어 7번위사(wt-7)는 1번경사(wp-1)와 5번경사(wp-5)와 교직되고, 나머지 경사, 즉 2, 3, 4, 6, 7, 8, 9, 10번경사(wp-2)(wp-3)(wp-4)(wp-6)(wp-7)(wp-8)(wp-9)(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표면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5번경사(wp-5)의 경우, 7번위사(wt-7)와 600데니어 DTY사로 된 6번위사(wt-6)를 동시에 교직하게 되므로, 5번경사(wp-5)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검은색 300데니어 DTY사로 된 7번위사(wt-7)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후방가변무늬(B)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이 뒷쪽(Ba) 방향에서 후방가변무늬(B)를 바라보았을 때에는 검은색 7번위사(wt-7)가 외부로 노출되나, 앞쪽(Fr) 측방향에서 후방가변무늬(B)를 바라보았을 때에는 600데니어 DTY사로 된 5번 및 6번위사(wt-5)(wt-6)에 가려져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제1후방가변무늬조직도(30-1) 부분을 제직하고,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나머지 제2후방가변무늬조직도(30-2)~제10후방가변무늬조직도(30-10)를 선별적으로 선택, 제직하여 후방가변무늬(B)를 제직하게 된다.
가변무늬직물(10)을 구성하는 후방가변무늬(B)가, 뒷쪽(Ba)에서 바라보았을때 후방가변무늬(B)가 표현되고, 도 8에서와 같이 앞쪽(Fr) 측방향에서 바라보았을때 후방가변무늬(B)가 표현되지 않는 것은, 검은색의 7번위사(wt-7)가 10가닥의 경사 중 2가닥과 교직되게 하고, 나머지 8가닥의 경사와는 교직되지 않고, 표면으로 노출되게 하되, 두가닥의 경사 중 한가닥의 경사는 600데니어 6번위사(wt-6)와 동시에 교직되게 함으로서, 동시에 교직된 검은색 7번위사(wt-7)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7번위사(wt-7)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후방가변무늬(B)의 일부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변무늬직물(10)을 앞쪽(Fr)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노출되어 있던 7번위사(wt-7)는 600데니어로 된 4, 5, 6번위사(wt-4)(wt-5)(wt-6)에 의해 차단되어 보이지 않게 되므로 도 8에서와 같이 후방가변무늬(B)는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가변무늬(A)와, 후방가변무늬(B)의 선택은 3번위사(wt-3)와, 7번위사(wt-7)가 경사(wp)가 교직되는 부침비율로 결정이 된다.
즉 전방가변무늬(A)의 경우, 3번위사(wt-3)와 경사의 부침비율이 8:2로서 위사의 노출비율이 높고, 7번위사(wt-7)와 경사의 부침비율은 5:5로서 동일하게 하였으며, 후방가변무늬(B)의 경우, 3번위사(wt-3)와 경사의 부침비율이 5:5로서 동일하고, 7번위사(wt-7)와 경사의 부침비율은 8:2로서 위사의 노출비율을 높게 하여, 보는 방향에 따라 각 가변무늬가 달리 표현되게 하였다.
무늬가 없는 무무늬(C)의 제직은 도 5에서와 같은 무무늬조직도(40)로 제직된다.
무무늬(C)는 무무늬조직도(40)에서와 같이 제1무무늬조직도(40-1)와, 제2무무늬조직도(40-2), 제3무무늬조직도(40-4), 제4무무늬조직도(40-4), 제5무무늬조직도(40-5), 제6무무늬조직도(40-6), 제7무무늬조직도(40-7), 제8무무늬조직도(40-8), 제9무무늬조직도(40-9), 제10무무늬조직도(40-10)로 구성된다.
상기 각 무무늬조직도의 선택적인 사용을 통하여 무무늬(C)가 제직되며, 상기 무무늬조직도, 즉 제1무무늬조직도(40-1)~제10무무늬조직도(40-10)에서, 10가닥의 경사와 7가닥의 위사의 부침비율 공통점은 아래와 같다.
즉 100데니어로 된 1번위사(wt-1), 2번위사(wt-2) 및 300데니어 검은색 DTY사로 된 3번위사(wt-3), 7번위사(wt-7)는, 경사(wp)와 위사(wt)의 부침비율이 5:5로서 경사와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이 동일하고, 600데니어 흰색 DTY사로 된 4, 5, 6번위사(wt-4)(wt-5)(wt-6)는 경사와 위사의 부침비율이 1:9로, 위사가 경사보다 표면노출이 높다.
상기 실시에에서, 1번 및 2번위사(wt-1)(wt-2)는 투명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였고, 3번 및 7번위사(wt-3)(wt-7)는 선염한 검정색의 DTY사를 사용하였고, 4, 5, 6번위사(wt-4)(wt-5)(wt-6)는 흰색의 DTY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에서 색상 및 굵기(데니어)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이 없으며, 다만 1, 2번위사(wt-1)(wt-2)보다 3, 7번위사(wt-3)(wt-7)가 굵고, 3, 7번위사(wt-3)(wt-7)보다 4, 5, 6번위사(wt-4)(wt-5)(wt-6)가 굵으면 만족한다.
또한 3~7번위사(wt-3)~(wt-7)는 벌키성이 양호한 DTY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무무늬(C)의 제직과정을, 제1무무늬조직도(40-1)를 통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번위사(wt-1)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번경사(wp-1), 3번경사(wp-3), 5번경사(wp-5), 7번경사(wp-7), 9번경사(wp-9)는 상승시키고, 2번경사(wp-2), 4번경사(wp-4), 6번경사(wp-6), 8번경사(wp-8), 10번경사(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100데니어 모노필라멘트사로 된 1번위사(wt-1)를 위입시킨다.
2번위사(wt-2)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2번경사(wp-2), 4번경사(wp-4), 6번경사(wp-6), 8번경사(wp-8), 10번경사(wp-10)는 상승시키고, 1번경사(wp-1), 3번경사(wp-3), 5번경사(wp-5), 7번경사(wp-7), 9번경사(wp-9)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2번위사(wt-2)를 위입한다.
3번위사(wt-3)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 3, 5, 7, 9번경사(wp-1)(wp-3)(wp-5)(wp-7)(wp-9)는 상승시키고, 2, 4, 6, 8, 10번경사((wp-2)(wp-4)(wp-6)(wp-8)(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3번위사(wt-3)를 위입시켜, 1/1평직형태로 각 경사와 견고한 교직상태를 유지시킨다.
4번위사(wt-4)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번경사(wp-1)만 상승시키고, 나머지 2번경사~10번경사(wp-2)(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4번위사(wt-4)를 위입시킨다.
이때 위입된 600데니어 4번위사(wt-4)는 1번경사(wp-1)와 교직되고 나머지 경사, 즉 2~10번경사(wp-2)~(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표면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벌키성있는 600데니어 DTY사의 특성으로 검은색의 3번위사(wt-3)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무무늬(C)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5번위사(wt-5)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8번경사(wp-8)만 상승시키고, 나머지 경사, 즉 1~7번경사(wp-1)~(wp-7) 및 9, 10번경사(wp-9)(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5번위사(wt-5)를 위입시키게 된다.
이때 위입된 600데니어 5번위사(wt-5)는 8번경사(wp-8)와 교직되고, 나머지 1~7번경사(wp-1)~(wp-7) 및 9, 10번경사(wp-9)(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6번위사(wt-6)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5번경사(wp-5)는 상승시키고, 나머지 경사, 즉 1~4번경사(wp-1)~(wp-4)와 6~10번경사(wp-6)~(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6번위사(wt-6)를 위입시킨다.
이때 위입된 600데니어 6번위사(wt-6)는 5번경사(wp-5)와 교직되고, 나머지 경사, 즉 1~4번경사(wp-1)~(wp-4) 및 6~10번경사(wp-6)~(wp-10)와는 교직이 되지 않고 표면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노출된 6번위사(wt-6)는 7번위사(wt-7) 쪽으로 밀리게 된다.
7번위사(wt-7) 위입을 위한 경사(wp)의 개구조건은, 1, 3, 5, 7, 9번경사(wp-1)(wp-3)(wp-5)(wp-7)(wp-9)는 상승시키고 2, 4, 6, 8, 10번경사(wp-2)(wp-4)(wp-6)(wp-8)(wp-10)는 하강시켜 경사(wp)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상태에서 7번위사(wt-7)를 위입시킨다.
이때 위입된 검은색의 300데니어 7번위사(wt-7)는, 1, 3, 5, 7, 9번경사(wp-1)(wp-3)(wp-5)(wp-7)(wp-9)와, 2, 4, 6, 8, 10번경사(wp-2)(wp-4)(wp-6)(wp-8)(wp-10)가, 1/1평직형태로 교직되어 위치의 변동이 거의 없으나, 600데니어 굵기의 6번위사(wt-6)가 600데니어 굵기의 5번위사(wt-5)에 밀려나면서 평직형태로 교직된 7번위사(wt-7)를 커버하여 은폐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제1무무늬조직도(40-1) 부분을 제직하고,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나머지 제2무무늬조직도(40-2)~제10무무늬조직도(40-10)를 선별적으로 선택, 제직하여 무무늬(C)를 제직하게 된다.
가변무늬직물(10)을 구성하는 무무늬(C)가, 앞쪽(Fr) 혹은 뒷쪽(Ba) 측방향에서 아무런 문양이 없는 무무늬 형태로 표현되는 것은, 검은색의 3번, 7번위사(wt-3)(wt-7)가 경사와 1/1평직형태로 제직되고, 600데니어 DTY사로 된 4번, 6번위사(wt-4)(wt-6)가 10가닥의 경사중 1가닥의 경사와 교직되고, 나머지는 표면으로 노출되게 하여, 검은색의 3번, 7번위사(wt-3)(wt-7)를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가변무늬직물(10)은 전방가변무늬조직도(20)와, 후방가변무늬조직도(30)와, 무무늬조직도(40)로 제직하되, 가는 실, 즉 세사(간격유지사(가))로 1, 2번위사(wt-1)(wt-2)로 하고, 중간굵기의 실, 즉 중사(무늬사(나))로 3, 7번위사(wt-3)(wt-7)로 하고, 굵은 실, 즉 태사(커버사(다))로 4, 5, 6번위사(wt-4)(wt-5)(wt-6)로 하여 제직토록 함으로서, 각 직물조직에 의해 검은색 중간굵기의 커버사(나), 즉 3, 7번위사(wt-3)(wt-7)가 앞쪽(Fr), 혹은 뒷쪽(Ba) 방향에서만 선택적으로 무늬가 표현되게 함으로서, 제직된 직물을 보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무늬가 표현되게 함으로서,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가변무늬직물(1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얻어진 가변무늬직물(10)은 의류나 커튼지, 신발갑피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전방가변무늬조직도 (B)--후방가변무늬조직도
(C)--무무늬조직도 (Fr)--앞쪽
(Ba)--뒷쪽 (wp)--경사
(wt)--위사 (10)--가변무늬직물
(20)--전방가변무늬조직도
(20-1)~(20-10)--제1전방가변무늬 조직도~제10전방가변무늬조직도
(30)--후방가변무늬조직도
(30-1)~(30-10)--제1후방가변무늬 조직도~제10후방가변무늬조직도
(40)--무무늬조직도
(30-1)~(30-10)--제1무무늬 조직도~제10무무늬조직도

Claims (7)

  1. 경사빔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사를 종광을 통하여 직물 조직에 맞게 개구되게 한 다음, 위사를 위입시키고, 바디침하여 직물을 제직함에 있어서, 위입되는 위사(wt)는 가는 굵기(데니어)의 세사로 된 간격유지사(가)와, 중간 굵기(데니어)의 중사로 된 무늬사(나)와, 굵은 굵기(데니어)의 태사를 커버사(다)로 하되, 각 위사의 굵기(데니어)와 색상을 달리한 3종류의 위사를 준비하고, 상기 3종류의 위사를 개구된 경사(wp) 사이로 위입하되, 가는 굵기의 간격유지사(가), 중간 굵기의 무늬사(나), 굵은 굵기의 커버사(다), 중간 굵기의 무늬사(나)를 순차적으로 위입하여 보는 방향에 따라 무늬가 변하는 가변무늬와, 무늬의 변화가 없는 무무늬로 구분되게 한 가변무늬직물(10)을 제직하고, 상기 가변무늬직물(10)은 경사와 교직된 간격유지사(가)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게 하고, 중간 굵기의 무늬사(나)는, 굵은 굵기의 커버사(다)에 의해 부분적으로 노출되거나 은폐되게 하여 보는 방향에 따라 무늬가 변하는 전방가변무늬(A)와, 후방가변무늬(B) 및 보는 방향에 관계없이 무늬가 변하지 않는 무무늬(C)로 구분되게 제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조직과 경위사 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개구된 경사 사이로 위입되는 위사(wt)를 7가닥으로 하되, 가는 굵기의 간격유지사(가)는 1번위사(wt-1), 2번위사(wt-2) 2가닥이고, 중간 굵기의 무늬사(나)는 3번위사(wt-3) 및 7번위사(wt-7) 2가닥이고, 굵은 굵기의 커버사(다)는 4번위사(wt-4), 5번위사(wt-5), 6번위사(wt-6) 3가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조직과 경위사 선택을 위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7가닥의 위사(wt)와 1순환형태로 제직되는 경사(wp)는 10가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조직과 경위사 선택을 위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사(wp) 및 간격유지사인 1번위사(wt-1), 2번위사(wt-2)는 100데니어 모노필라멘트사이고, 무늬사인 3번위사(wt-3), 7번위사(wt-7)는 300데니어 DTY사이고, 커버사인 4번위사(wt-4), 5번위사(wt-5), 6번위사(wt-6)는 600데니어 DTY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조직과 경위사 선택을 위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변무늬직물(10)을 구성하는 전방가변무늬(A)에서 간격유지사(가)인 1번위사(wt-1)와 2번위사(wt-2)는 경사와 1/1평직으로 제직하여 경사 및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이 동일하게 하고, 무늬사(나)인 3번위사(wt-3)는 경사보다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을 높게 하고, 7번위사(wt-7)는 경사와 1/1평직으로 제직하여 경사 및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을 동일하게 하고, 커버사(다)인 4번위사(wt-4), 5번위사(wt-5), 6번위사(wt-6)는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을 높게 하여, 무늬사(나)인 3, 7번위사(wt-3)(wt-7)가 커버사(다)인 4, 5, 6번위사(wt-4)(wt-5)(wt-6)에 의해 가려져 은폐되게 하거나 노출되게 하여, 전방가변무늬(A)가 제직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조직과 경위사 선택을 위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변무늬직물(10)을 구성하는 후방가변무늬(B)에서 간격유지사(가)인 1번위사(wt-1)와 2번위사(wt-2)는 경사와 1/1평직으로 제직하여 경사 및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이 동일하게 하고, 무늬사(나)인 3번위사(wt-3)는 경사와 1/1평직으로 제직하여, 경사 및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을 동일하게 하고, 7번위사(wt-7)는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을 높게 하고, 커버사인 4번위사(wt-4), 5번위사(wt-5), 6번위사(wt-6)는 위사의 표면노출비율을 높게 하여, 무늬사인 3, 7번위사(wt-3)(wt-7)가 커버사인 4, 5, 6번위사(wt-4)(wt-5)(wt-6)에 의해 가려져 은폐되게 하거나 노출되게 하여, 후방가변무늬(B)가 제직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조직과 경위사 선택을 위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7. 제1항의 직물조직과 경위사 선택을 위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으로 제직된 가변무늬직물.
KR1020200015504A 2020-02-10 2020-02-10 직물조직과 경위사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KR10235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504A KR102350500B1 (ko) 2020-02-10 2020-02-10 직물조직과 경위사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504A KR102350500B1 (ko) 2020-02-10 2020-02-10 직물조직과 경위사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472A true KR20210101472A (ko) 2021-08-19
KR102350500B1 KR102350500B1 (ko) 2022-01-12

Family

ID=7749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504A KR102350500B1 (ko) 2020-02-10 2020-02-10 직물조직과 경위사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802B1 (ko) * 2021-10-08 2022-05-31 송월 주식회사 양면에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된 가제직물의 제직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859B1 (ko) * 2006-09-30 2012-03-19 민 산 후앙 시각적 컬러변화를 갖는 직물
KR101607171B1 (ko) 2015-06-01 2016-03-29 주식회사 덕우실업 멜란지효과가 우수한 입체무늬직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60230451A1 (en) * 2013-10-16 2016-08-11 Ettlin Aktiengesellschaft Light-directing system
KR101810606B1 (ko) 2017-08-14 2017-12-20 정봉근 다양한 통기공 형태 구현이 가능한 꼬임조직형 직물, 신발갑피 및 이의 제직방법
KR20190089341A (ko) 2018-01-22 2019-07-3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신발용 갑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859B1 (ko) * 2006-09-30 2012-03-19 민 산 후앙 시각적 컬러변화를 갖는 직물
US20160230451A1 (en) * 2013-10-16 2016-08-11 Ettlin Aktiengesellschaft Light-directing system
KR101607171B1 (ko) 2015-06-01 2016-03-29 주식회사 덕우실업 멜란지효과가 우수한 입체무늬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606B1 (ko) 2017-08-14 2017-12-20 정봉근 다양한 통기공 형태 구현이 가능한 꼬임조직형 직물, 신발갑피 및 이의 제직방법
KR20190089341A (ko) 2018-01-22 2019-07-3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신발용 갑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802B1 (ko) * 2021-10-08 2022-05-31 송월 주식회사 양면에 서로 다른 문양이 형성된 가제직물의 제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500B1 (ko)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00463B (zh) 织造织物的工艺及起毛织物
JP3857541B2 (ja) 帯体
CN102168337B (zh) 具有透叠效果的双层提花印花家纺面料及其加工方法
KR102332697B1 (ko) 통기성 직물 및 그 제직방법
CN108642639B (zh) 一种具有光变叠影功能的弹性织带及其制备方法
CN107313171A (zh) 具有视觉三维效果的单层经编网布织造方法
US7131466B2 (en) Patterned scarf, method and loom for producing the same
CN106367865A (zh) 一种涤纶纤维/粘胶纤维双层垫纱面料织物的生产工艺
KR102350500B1 (ko) 직물조직과 경위사선택을 이용한 가변무늬직물의 제직방법
CN216585469U (zh) 具有分段效果的面料及其鞋面
CN109680385B (zh) 一种一次成型织物及其生产方法
CN113265758B (zh) 一种地梳空针配贾卡对拉提花织物及其制作方法
CN212270342U (zh) 一种立体正反双风格梭织面料
CN215163479U (zh) 双面异形色纺面料
CN113235216A (zh) 具有立体镂雕提花的三明治网布及其制作方法
CN213172771U (zh) 一种弹性梭织面料
CN111705410A (zh) 一种贾卡飞线织物
CN216838434U (zh) 具有立体镂雕提花的三明治网布
CN217351690U (zh) 一种色织条格底牛仔面料
CN212640783U (zh) 一种贾卡飞线织物
CN218812466U (zh) 一种悬浮炫光贾卡面料
CN217757841U (zh) 一种点状混合提花的针织面料及鞋面
CN217579229U (zh) 一种双面穿四面弹牛仔面料
JPH0949178A (ja) ぼかし調の意匠布帛
CN215668379U (zh) 梭织弹性织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