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079A - 사료 자동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자동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079A
KR20210101079A KR1020200015252A KR20200015252A KR20210101079A KR 20210101079 A KR20210101079 A KR 20210101079A KR 1020200015252 A KR1020200015252 A KR 1020200015252A KR 20200015252 A KR20200015252 A KR 20200015252A KR 20210101079 A KR20210101079 A KR 20210101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outlet
feeding device
main body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현
김현민
오동길
Original Assignee
민병현
김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현, 김현민 filed Critical 민병현
Priority to KR102020001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079A/ko
Publication of KR2021010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한 시간마다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해줄 수 있으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는 사료를 소정의 온도와 진공 환경에서 보관해줌으로써 사료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료 자동 공급 장치{FEED AUTOMATIC FEEDER}
본 발명은 자동 급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해줄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 보관된 사료가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을 집에 두고 외출하거나 여행 등을 떠나는 경우, 반려동물에게 설정된 시간마다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사료 공급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료 공급 장치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6970호(공고일: 2004.01.03.)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료 공급 장치는 내부에 수납 보관되는 사료가 공기와 접촉되는 구조이다. 즉 사료 공급 장치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납 보관되는 사료는 공기와의 접촉이나 온도와 습도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산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료가 돌처럼 딱딱하게 변질되어 반려동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으며, 사료의 유통기한이 줄어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설정한 시간마다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해줄 수 있으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는 사료를 소정의 온도와 진공 환경에서 보관해줌으로써 사료가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사료가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측이 개구되며, 하측에 계량배출구가 구비되는 사료수납부; 상기 계량배출구와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이중 개폐 방식의 밀폐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계량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정량의 사료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사료공급부; 상기 사료수납부 내에 수납된 사료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켜주는 냉각부; 상기 사료수납부에 수납된 사료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상태로 설정해주는 진공펌프가 구비되는 진공설정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된 상기 제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 내의 온도와 습도, 진공을 포함한 각종 조건을 설정해줌과 아울러, 기설정된 시간마다 소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료공급부는, 상기 계량배출구에 제1모터를 매개로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계량배출구를 개폐시켜주는 제1밀폐도어; 상기 계량배출구와 배출구 사이에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계량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켜주는 연결관; 및 상기 제1밀폐도어와 순차적으로 작동되며, 상기 배출구에 제2모터를 매개로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켜주는 제2밀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수납부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사료가 저장되는 상광하협(上廣下夾) 형상의 제1저장공간; 및 상기 제1저장공간의 하부에 회전체를 매개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소정량의 사료가 상기 계량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 임시 저장되는 제2저장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일측 외주면에는 소정각도 회전 시 상기 제1, 2저장공간과 순차적으로 연통되는 투입공이 구비된 속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모듈;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환기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소자 모듈을 냉각시켜주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는, 커버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습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습도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을 환기시켜줄 수 있도록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환기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습기를 제거해줄 수 있도록 제습제가 수납되는 제습제 수납통;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 내에는, 상기 사료공급부를 통한 사료 공급 시 사전에 녹음된 복수의 멘트 중 어느 하나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해주는 멘트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는, 반려동물에게 설정한 시간마다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해줄 수 있으며, 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사료를 소정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진공 환경에서 보관해줌으로써 사료가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수납부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저면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부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상세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100)는, 본체부(110), 사료수납부(120), 사료공급부(130), 냉각부(140), 진공설정부(15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110)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100)의 주된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이 경우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사료(1)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1)가 구비되고, 본체부(110)의 일면에는 배출구(113)(도 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111)는 커버(115)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커버(115)가 구비됨에 따라 본체부(110) 내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원통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10)가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료수납부(120)는 수용공간의 상부에 결합되며,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사료(1)를 내부에 수납 저장해줄 수 있도록 적어도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사료수납부(120)의 하측에는 수납된 사료를 한 번에 소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계량배출구(1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사료수납부(120)는 상광하협(上廣下夾)의 호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료수납부(120)는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사료(1)가 저장되는 제1저장공간(S1)과, 제1저장공간(S1)의 하부에 회전체(121)를 매개로 구획 형성되며 회전체(121)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소정량의 사료(1)가 계량배출구(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 임시 저장되는 제2저장공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체(121)는 속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122)의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체(121)의 회전중심축(C)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21)의 일측 외주면에는 모터의 작동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 시 제1, 2저장공간(S1)(S2)과 순차적으로 연통되는 투입공(121a)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회전체(121)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회전체(121)는 제1저장공간(S1)에서 투입공(121a)을 통해 내부에 사료(1)를 소정량 수납하게 된다(도 6 참조).
그런 후, 모터(122)의 작동에 의해 회전체(121)가 중심축선(C)을 기준으로 대략 180°회전되면서 투입공(121a) 내부에 수납된 사료(1)가 제2저장공간(S2)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7 참조).
도 8을 참조하면, 사료공급부(130)는 계량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는 소정량의 사료(1)를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줄 수 있다. 이러한 사료공급부(130)는 계량배출구(123)와 배출구(113)에 각각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이중 개폐 방식의 밀폐도어(131, 1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료공급부(130)는 계량배출구(123)에 제1모터(131a)를 매개로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계량배출구(123)를 개폐시켜주는 제1밀폐도어(131)와, 상기 계량배출구(123)와 배출구(113) 사이에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계량배출구(123)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1)를 배출구(113) 측으로 이동시켜주는 연결관(133)과, 상기 배출구(113)에 제2모터(135a)를 매개로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출구(113)를 개폐시켜주는 제2밀폐도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밀폐도어(131)와 제2밀폐도어(135)는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사료 공급 시 제2밀폐도어(135)를 통해 제1밀폐도어(13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상기 사료공급부(130)는, 사료수납부(120)의 계량배출구(123)에 설치된 제1밀폐도어(131)가 먼저 개방되면서 제2저장공간(S2)에 임시로 수납된 소정량의 사료(1)를 연결관(133)에 수납해주게 된다(도 8 참조).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밀폐도어(131)가 닫힘과 동시에 배출구(113)에 설치된 제2밀폐도어(135)가 개방되면서 연결관(133) 내에 수납된 소정량의 사료(1)가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사료공급부(130)가 이중 밀폐 도어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사료수납부(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냉각부(140)는 사료수납부(120) 내에 수납된 사료(1)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켜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각부(140)는 본체부(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모듈(141)과, 열전소자 모듈(1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전소자 모듈(141)을 냉각시켜주는 냉각팬(1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소자 모듈(141)은 펠티어(Peltier) 소자를 이용한 방식으로, 펠티어 소자에 전류를 흘리면 양측에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고온 측에 발생한 열을 물 등의 매개체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켜주면 저온 측 온도를 대략 -25도 정도로 낮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펠티어 소자의 일면에 맞닿은 냉각판(142a)이 저온부가 되고, 펠티어 소자의 타면과 맞닿은 방열판(142b)이 고온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고온부에 의해 열전소자 모듈(141)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방열판(142b)의 일측에 냉각팬(143)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팬(143)은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기공(117)을 사이에 두고 방열판(142b)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기공(117)은 본체부(110)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통되지 않고 본체부(110)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이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진공설정부(150)는 사료수납부(120)에 수납된 사료(1)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상태로 설정해주는 진공펌프(15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설정부(150)는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 중 기체를 제거해줌으로써 진공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진공설정부(150)를 통해 사료수납부(120)에 수납된 사료(1)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료(1)의 산화를 방지하여 사료가 딱딱하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사료(1)의 유통기한을 늘릴 수 있다.
제어부는 본체부(110) 내에 구비된 제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본체부(110) 내의 온도와 습도, 진공을 포함한 각종 조건을 설정해줌과 아울러, 기설정된 시간마다 소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수용공간의 습도를 조절해줄 수 있도록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환기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 내에 구비된 습도측정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습도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에서는 환기창을 개폐 작동시켜 본체부(110) 내의 수용공간을 환기시켜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 내 습기를 제거해줄 수 있도록 제습제가 수납되는 제습제 수납통(170)(도 3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제습제는 실리카겔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공간 내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해줄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에는 수용공간 내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창(180)(도 1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사료공급부(130)를 통한 사료 공급 시 사전에 녹음된 복수의 멘트 중 어느 하나를 스피커(191)를 통해 출력해주는 멘트발생부(190)(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멘트발생부(190)를 통해 출력되는 멘트는 반려동물의 주인 목소리일 수 있다. 출력되는 멘트는 "○○야 밥 먹자!" 등의 내용일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멘트는 멘트발생부(190)의 녹음 기능을 통해 간편하게 녹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자동 공급 장치(100)는, 반려동물에게 설정한 시간마다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특히, 사료수납부(120) 내부에 수납되는 사료를 소정의 온도와 습도, 그리고 진공 환경에서 보관해줌으로써 사료(1)가 단시간 내에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사료 100 : 사료 자동 공급 장치
111 : 투입구 113 : 배출구
115 : 커버 117 : 환기공
120 : 사료수납부 S1 : 제1저장공간
S2 : 제2저장공간 121 : 회전체
121a : 투입공 130 : 사료공급부
131 : 제1밀폐도어 131a : 제1모터
133 : 연결관 135 : 제2밀폐도어
135a : 제2모터 140 : 냉각부
141 : 열전소자 모듈 142a : 냉각판
142b : 방열판 143 : 냉각팬
150 : 진공설정부 151 : 진공펌프
170 : 제습제 수납통 180 : 디스플레이창
190 : 멘트발생부 191 : 스피커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사료가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측이 개구되며, 하측에 계량배출구가 구비되는 사료수납부;
    상기 계량배출구와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이중 개폐 방식의 밀폐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계량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정량의 사료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사료공급부;
    상기 사료수납부 내에 수납된 사료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켜주는 냉각부;
    상기 사료수납부에 수납된 사료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상태로 설정해주는 진공펌프가 구비되는 진공설정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된 상기 제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 내의 온도와 습도, 진공을 포함한 각종 조건을 설정해줌과 아울러, 기설정된 시간마다 소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부는,
    상기 계량배출구에 제1모터를 매개로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계량배출구를 개폐시켜주는 제1밀폐도어;
    상기 계량배출구와 배출구 사이에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계량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켜주는 연결관; 및
    상기 제1밀폐도어와 순차적으로 작동되며, 상기 배출구에 제2모터를 매개로 소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켜주는 제2밀폐도어;를 포함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수납부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사료가 저장되는 상광하협(上廣下夾) 형상의 제1저장공간; 및
    상기 제1저장공간의 하부에 회전체를 매개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소정량의 사료가 상기 계량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 임시 저장되는 제2저장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의 회전중심축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일측 외주면에는 소정각도 회전 시 상기 제1, 2저장공간과 순차적으로 연통되는 투입공이 구비된 속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사료 자동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모듈;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환기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소자 모듈을 냉각시켜주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커버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포함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습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습도 측정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을 환기시켜줄 수 있도록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환기창;을 더 포함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습기를 제거해줄 수 있도록 제습제가 수납되는 제습제 수납통;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료공급부를 통한 사료 공급 시 사전에 녹음된 복수의 멘트 중 어느 하나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해주는 멘트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사료 자동 공급 장치.
KR1020200015252A 2020-02-07 2020-02-07 사료 자동 공급 장치 KR20210101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252A KR20210101079A (ko) 2020-02-07 2020-02-07 사료 자동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252A KR20210101079A (ko) 2020-02-07 2020-02-07 사료 자동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79A true KR20210101079A (ko) 2021-08-18

Family

ID=7746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252A KR20210101079A (ko) 2020-02-07 2020-02-07 사료 자동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0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8865A (zh) * 2021-12-21 2022-04-01 浙江硕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自动储粮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8865A (zh) * 2021-12-21 2022-04-01 浙江硕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真空自动储粮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92456T3 (es) Sistema de incubación con cierre de baja temperatura
JP2001077188A5 (ko)
KR20210101079A (ko) 사료 자동 공급 장치
ES2290404T3 (es) Contenedor para enfriar productos perecederos.
JPH08285839A (ja) 病理検体等運搬用容器
KR20120086528A (ko) 부화기
KR200191864Y1 (ko) 부화기
JP2007155146A (ja) ダンパ装置および冷蔵庫
JPH11201633A (ja) 保冷庫の温度制御用疑似負荷容器および疑似負荷容器を保冷庫に配設する方法
KR101397430B1 (ko) 가스유입조절수단이 구비된 세포배양 인큐베이터
KR20160096896A (ko) 냉장고의 밀폐룸
JP2007334518A (ja) 飲料生成装置
KR102336831B1 (ko) 진공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JPS6132939B2 (ko)
CN220701737U (zh) 一种免疫组化抗体试剂用低温槽
JP3660325B2 (ja) 給水器
CN217049855U (zh) 置入在均质分配器中控制保温箱的通风和环境温度的装置
KR200162650Y1 (ko) 김치저장고
CN212374066U (zh) 一种血浆蛋白粉存储装置
US456444A (en) Air-cooling apparatus
CN214731052U (zh) 恒温实验用保鲜箱
CN215809673U (zh) 一种风道控温储米装置
JP3027810B2 (ja) 貯蔵庫
JPS6113902Y2 (ko)
US201701563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uit degre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