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853A -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853A
KR20210100853A KR1020200014727A KR20200014727A KR20210100853A KR 20210100853 A KR20210100853 A KR 20210100853A KR 1020200014727 A KR1020200014727 A KR 1020200014727A KR 20200014727 A KR20200014727 A KR 20200014727A KR 20210100853 A KR20210100853 A KR 20210100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ile
region
interest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수
김창호
류장희
김성환
안병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853A/ko
Priority to PCT/KR2021/000531 priority patent/WO2021157893A1/en
Priority to CN202180013194.7A priority patent/CN115053516A/zh
Priority to EP21750291.3A priority patent/EP4046374A4/en
Priority to US17/149,826 priority patent/US11361402B2/en
Publication of KR2021010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04N1/00172Digital image input directly from a still digital camera or from a storage medium mounted in a still digita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mpressed domain processing techniques other than decoding, e.g. modific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variable length coding [VLC] data or run-length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고, 및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은 상기 이미지가 타일 단위로 압축되어 포함된 파일일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AVING IMAG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와 관련된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카메라를 이용해 얻을 수 있는 화소의 수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고해상도의 이미지나 동영상(예: 4K 또는 8K의 HEVC 동영상, HEIC 이미지)을 이용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배치된 카메라를 이용해 대형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는 고화질의 이미지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최근 전자 장치에서 초고해상도 촬영이 가능해짐에 따라, 초고해상도 이미지의 관심 영역을 추출할 때 디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추출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필요하고, 추가적인 이미지 인코딩이 필요하여 큰 용량의 메모리와 높은 연산량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타일 단위로 인코딩된 이미지라도 관심 영역의 사이즈가 매우 큰 경우에는 부분 디코딩만으로도 여전히 큰 용량의 메모리가 요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시 인코딩하는 과정에서는 높은 연산량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고해상도 및/또는 고용량의 이미지에서 선택된 영역인 관심 영역을 추출 및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고, 및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은 상기 이미지가 타일 단위로 압축되어 포함된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일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를 확인하고,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및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디코딩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은 상기 이미지가 타일 단위로 압축되어 포함된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인코딩 및 디코딩 동작없이 고속으로 이미지의 선택된 영역을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초고해상도의 이미지도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선택된 영역을 추출하고 저장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이미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이미지의 관심 영역을 추출 및 저장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이미지를 편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적외선(IR(infrared ray))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printed circuit board))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파일(200)은 파일 타입(type)(ftyp)(210), 메타 데이터(meta 데이터)(220), mdat 데이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200)에는 압축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 비디오 압축 기술 기반의 HEIF(high efficiency image format) 이미지 압축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HEVC 인코더는 이미지를 복수의 타일로 나눌 수 있고, 타일은 정의된 크기의 사각형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타일은 서로 참조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탐색 및/또는 디코딩될 수 있다. HEIF는 타일 단위로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 및 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일 타입(type)(ftyp)(210)은 이미지 파일 형식의 브랜드 네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 타입(210)이 HEIC(high efficiency image container)이면, 이미지 파일의 코딩 형식은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이고, 이미지 파일(200)에는 시퀀스가 아닌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메타 데이터(220)는 이미지의 헤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이미지의 크기, 타일(tile) 크기, 타일 개수가 헤더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이미지는 이미지 파일이 나타내려는 이미지로, 스크린과 같은 표시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어)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미지 파일에는 메인 이미지 외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썸네일 이미지도 포함될 수 있다.
mdat 데이터(240)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250), 썸네일 이미지(260), 및 메인 이미지(270)를 포함할 수 있다.
EXIF(250)는 이미지와 관련한 부가적인 정보(예: 이미지를 촬영한 카메라 제조사, 이미지 촬영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260)는 이미지 파일(200)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260)는 메인 이미지를 작고 간단하게 나타낸 이미지일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260)는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260)의 위치를 나타내는 오프셋에 관한 정보는 메타 데이터(220)에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이미지(270)는 이미지 파일을 이용해 나타내려는 이미지로, 썸네일 이미지(260)와 마찬가지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메인 이미지는 복수의 타일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미지는 각각의 타일에 대응하는 데이터(28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타일에 대응하는 데이터(280)는 인코딩된 데이터일 수 있다. 각 타일의 오프셋에 관한 정보는 메타 데이터(220)에 포함될 수 있다. 메타 데이터(220)에 포함된 타일의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특정 타일로 임의의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이미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메인 이미지(300)는 복수의 타일(310)을 이용해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일(310)은 블록(block), 그리드(grid), 또는 코딩 유닛(coding unit)으로 표현될 수 있다. 타일(310)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다른 타일을 참조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단위일 수 있다. 타일(310)은 타일간에 종속성이 없어 독립적으로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타일(310)은 모두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서로 다른 크기의 타일(310)이 하나의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경우 타일의 크기에 관한 정보가 헤더 데이터에 더 포함될 수 있다. 타일(310)은 이미지 파일마다 타일의 크기, 타일을 구성하는 해상도가 다를 수 있다. 타일(310)은 인덱스(예: 0, 1, 2)로 표현될 수 있으며, 또는 좌표(예: (0, 0), (0, 1), (1, 0))로도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은 총 48개의 타일(310)로 구성된 메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3에서 인덱스가 20인 타일은 (4, 2)의 좌표값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에 따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기능에 따라 구성된 입력부(410), 표시부(420), 관심 영역 설정부(430), 타일 선택부(440), 헤더 정보 설정부(450) 및 저장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4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하고 다운로드받아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부(41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는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이미지와 구별하기 위해 '원본 이미지' 또는 '원본 이미지 파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420)는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20)는 원본 이미지 및/또는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410)와 표시부(420)는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로도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인 터치 스크린은 입력부(410)이면서 표시부(4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영역 설정부(430)는 표시부(420)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를 관심 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한 특정 동작을 식별하는 경우 관심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표시부(420)에 표시된 이미지가 확대하거나 축소되면 관심 영역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심 영역은 예를 들어,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이용되어 선택될 수도 있고, 뷰어 애플리케이션이 이용되어 선택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관심 영역의 선택은 이하의 도 9에서 자세히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영역 설정부(43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의 좌표값을 확인해 대응하는 타일(예: 도 3의 타일(310))의 인덱스 및/또는 좌표값을 식별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설정부(430)는 타일(310)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심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관심 영역 설정부(430)는 일부 또는 전부가 관심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310)을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일 선택부(44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310)을 선택할 수 있다. 타일 선택부(440)는 관심 영역 설정부(430)에 의해 식별된 타일(310)을 원본 이미지 파일(예: 도 2의 메인 이미지(270))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더 정보 설정부(450)는 관심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헤더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로 타일의 총 개수, 타일의 크기, 타일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된 타일의 해상도가 선택된 관심 영역보다 클 수 있기 때문에 식별된 타일의 해상도도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헤더 정보 설정부(450)는 원본 이미지에 관한 정보 중 관심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헤더 데이터로 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에 관한 정보로는 원본 이미지의 생성 시기, 원본 이미지의 생성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460)는 헤더 정보 설정부(450)에 의해 저장된 헤더 데이터와 타일 선택부(440)에 의해 선택된 타일(310)을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원본 이미지 파일에 직접 접근(access)하여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310)을 선택하고 추출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원본 이미지 파일을 디코딩 및 인코딩 없이 원본 이미지 파일로부터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헤더 정보 설정부(450)에 의해 저장된 헤더 데이터와 함께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6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의 인덱스를 수정하여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460)는 헤더 정보 설정부(450)에 의해 저장된 헤더 데이터를 원본 이미지 파일에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썸네일 이미지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영역을 저장한 이미지 파일은 원본 이미지 파일과 같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동작 51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이미지를 표시부(예: 도 4의 표시부(420))(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은 압축된 파일일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이미지 파일을 표시하기 위해 디코딩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의 일부 영역이 관심 영역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 관심 영역이 선택되기 이전의 이미지는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이미지와 구별하기 위해 '원본 이미지' 또는 '원본 이미지 파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영역은 뷰어 애플리케이션(예: 갤러리)이나 편집 애플리케이션(예: 이미지 에디터)을 이용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뷰어 애플리케이션이나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또는 다양한 기능(예: 뷰어 기능, 편집 기능)을 포함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동작 52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의 좌표값을 확인해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타일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심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타일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심 영역에 포함되면, 해당 타일은 관심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의 인덱스, 타일의 총 개수, 타일의 좌표값, 관심 영역의 크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의 전체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확인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식별된 타일을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의 인덱스 또는 좌표값을 이용해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 즉, 원본 이미지 파일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식별된 타일을 선택하기 위해 원본 이미지 파일로부터 타일의 인덱스 또는 좌표값과 타일의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타일의 오프셋에 관한 정보는 원본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예: 도 2의 meta 데이터(220))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동작 54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선택된 타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헤더 데이터에 포함해, 선택된 타일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원본 이미지 파일의 헤더 데이터의 일부 정보(예: 관심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여 선택된 타일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는 이미지 파일의 공유가 요구되거나 전자 장치의 성능상의 문제가 있는 경우 이미지 파일의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한 일 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510 내지 동작 530은 도 5a와 동일할 수 있어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동작 55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메타 데이터를 추가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식별된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또는 식별된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원본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에는 관심 영역의 크기와 관련된 정보, 관심 영역을 선택한 날짜,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의 인덱스, 타일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추가된 메타 데이터가 있는 경우, 추가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썸네일 이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선택된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 파일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이미지의 관심 영역을 추출 및 저장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6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를 이용해 선택된 이미지(610)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뷰어 애플리케이션외에도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이미지(610)를 선택할 수 있고, 전자 장치(600)는 선택된 이미지(6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동작(예: 줌 인(zoomin), 드레그 동작에 의한 일부 영역 선택 등)에 의해 이미지(610)의 일부 영역이 관심 영역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관심 영역(620)으로 선택된 이미지(610)의 일부 영역을 디스플레이한 전자 장치(600)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동작에 의해 관심 영역(620)이 선택되면, 선택된 관심 영역(620)을 저장할 수 있는 버튼(630)이 활성화될 수 있다. 버튼(630)이 선택되면, 관심 영역(620)은 원본 이미지 파일과는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버튼(630)이 선택되면, 원본 이미지 파일에 관심 영역과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가 대체될 수 있다. 또는, 버튼(630)이 선택되면, 원본 이미지 파일에 관심 영역에 관한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610)에서 선택된 관심 영역(620), 선택된 관심 영역에 대응되는 타일(640)을 나타낸 것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이미지(610)는 예를 들어 총 210(10 x 21)의 타일(650)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영역(620)은 임의의 크기로 선택될 수 있어, 하나의 타일 전체가 관심 영역(62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타일 중 일부만이 관심 영역(62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관심 영역(620)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할 수 있다. 관심 영역(620)에 대응하는 타일은 타일의 적어도 일부가 관심 영역(620)에 포함되면 관심 영역(620)에 대응하는 타일(640)로 식별될 수 있다. 도 6c에서는 총 144(9 x 16)개의 타일(640)이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원본 이미지 파일에서 타일 단위로 선택하기 때문에 타일 일부가 관심 영역(620)에 포함되더라도 해당 타일은 관심 영역(620)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6c에서는, 관심 영역(620)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된 타일의 개수는 총 144개(9 x 16)이기 때문에 144개의 타일이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영역이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는 타일 일부가 관심 영역에 포함되더라도 해당 타일 전체가 저장될 수 있으나,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부분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영역의 픽셀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관심 영역(620)에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된 타일에 관한 정보를 원본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해 썸네일 이미지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동작 71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이미지를 표시부(예: 도 4의 표시부(420))(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은 압축된 파일일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코딩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의 일부 영역이 관심 영역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 관심 영역으로 선택되기 이전의 이미지는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이미지와 구별하기 위해 '원본 이미지' 또는 '원본 이미지 파일'로 표현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의 좌표값을 확인해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타일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심 영역에 포함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타일의 일부 또는 전부가 관심 영역에 포함되면, 해당 타일은 관심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의 인덱스, 타일의 총 개수, 타일의 좌표값, 관심 영역의 크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의 전체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식별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선택된 관심 영역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큰 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영역이 특정 조건(예: 관심 영역의 크기)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 타일 단위로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구성하는 타일의 크기가 큰데 관심 영역이 타일의 극히 일부만을 포함하는 경우, 타일 단위로 저장하는 것은 관심 영역만을 저장하는 것보다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조건으로 관심 영역의 크기를 타일의 크기에 기초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타일의 크기에 따른 임계값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1개의 타일 크기(단위: 픽셀) 임계값(단위: 픽셀)
64 X 64 -
128 X 128 8M
256 X 256 12M
512 X 512 24M
예를 들어, 타일 한 개의 크기가 64X64이면 임계값은 없을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타일 한 개의 크기가 64X64이면 관심 영역의 크기에 관계없이 타일 단위로 관심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타일 한 개의 크기가 128X128이면 임계값은 8M일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타일 한 개의 크기가 128X128이면 관심 영역의 크기가 8M보다 큰지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임계값에 대한 기준으로 타일로 압축되지 않은 이미지의 크기가 더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특정 조건으로 전자 장치의 가용 메모리 또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 메모리가 작은 경우 임계값은 가용 메모리가 큰 경우보다 작아질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의 성능이 고성능인 경우 임계값은 프로세서의 성능이 저성능인 경우보다 커질 수 있다.
동작 74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선택된 관심 영역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디코딩된 이미지를 인코딩(이미지 코덱으로 압축)하여 관심 영역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75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선택된 관심 영역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동작 720에서, 식별된 타일을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의 인덱스 또는 좌표값을 이용해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 즉, 원본 이미지 파일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식별된 타일을 선택하기 위해 원본 이미지 파일로부터 타일의 인덱스 또는 좌표값과 타일의 오프셋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타일의 오프셋에 관한 정보는 원본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예: 도 2의 meta 데이터(220))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동작 760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선택된 타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헤더 데이터에 포함해, 선택된 타일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원본 이미지 파일의 헤더 데이터의 일부 정보를 변경하여 선택된 타일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식별된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또는 식별된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원본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추가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메타 데이터에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추가되거나 업데이트되는 경우 원본 이미지 파일에 썸네일 이미지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원본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와 동일한 정보는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원본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상속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이미지를 편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800)를 편집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영역으로 식별된 타일을 편집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이미지(800)에 포함된 관심 영역(810, 820)을 편집할 수 있다. 편집된 관심 영역은 다시 원본 이미지에서 타일 단위로 교체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이미지(8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편집 애플리케이션이나 편집 기능을 이용해 관심 영역(810, 820)을 임의로 선택하고 편집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관심 영역(810, 820)에 해당하는 타일만을 임의로 추출하여 편집하고 원본 이미지 파일에서 관심 영역(810, 820)에 해당하는 타일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원본 이미지 전체를 메모리에 로드하여 편집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원본 이미지의 일부 영역인 관심 영역만을 메모리에 로드하여 편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d)는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에 따라 메모리에 로드된 이미지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 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900)는 뷰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이미지(9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930)에는 이미지(910)가 인코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900)는 뷰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이미지(910)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선택된 이미지 파일(930)을 디코딩할 수 있다(935). 전자 장치(900)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뷰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이미지 데이터(940)를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930)에 저장된 이미지는 고해상도일 수 있으나, 전자 장치(900)가 작은 경우 뷰어 애플리케이션은 저장된 이미지보다는 낮은 해상도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인 제1 이미지 데이터(940)가 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뷰어 애플리케이션에는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편집 버튼(912)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뷰어 애플리케이션이나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또는 다양한 기능(예: 뷰어 기능, 편집 기능)을 포함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0)는 도 9(b)와 같이 뷰어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동작(예: 줌 인이나 드레그에 의한 관심 영역 선택)을 식별해 관심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뷰어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동작이 식별되어 관심 영역이 선택되면 저장 버튼(914)이 활성화할 수 있다. 저장 버튼(914)이 선택되면, 관심 영역은 도 5a, 도 b 또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00)에서 편집 버튼(912)이 선택되면 도 9(c)와 같이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뷰어 애플리케이션보다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0)는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이미지 데이터(940)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여 제2 이미지 데이터(960)로 변환할 수 있다(945). 또는, 전자 장치(900)는 이미지 파일(930)을 제2 이미지 데이터(960)로 디코딩할 수 있다(950).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이미지 데이터(960)는 제1 이미지 데이터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900)는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모리(130)에 제2 이미지 데이터(960)를 로드할 수 있다. 편집 애플리케이션에서 선택 버튼(924)이 선택되면 관심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도형)가 추가될 수 있다. 추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관심 영역(925)이 선택되면, 저장 버튼(922)을 이용해 관심 영역(925)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버튼(922)이 선택되면, 관심 영역은 도 5a, 도 5b 또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미지 파일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동영상 파일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 파일에서도 관심 영역을 선택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타일과 타일 정보를 추출하고 편집하여, 별도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고, 및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은 상기 이미지가 타일 단위로 압축되어 포함된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메모리는, 타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타일은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로 식별하여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심 영역의 좌상측에 대응하는 타일 인덱스와 우하측에 대응하는 타일 인덱스를 식별하여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추가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타일의 개수, 타일의 인덱스, 및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의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과는 다른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다른 이미지 파일에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심 영역이 편집되면,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업데이트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일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를 확인하고,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및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디코딩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고, 및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은 상기 이미지가 타일 단위로 압축되어 포함된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임계값은 상기 타일의 크기, 가용 메모리의 크기, 상기 프로세서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해 결정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타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타일은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의 좌상측에 대응하는 타일 인덱스와 우하측에 대응하는 타일 인덱스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은 상기 이미지가 타일 단위로 압축되어 포함된 파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는 동작은, 타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타일은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로 식별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관심 영역의 좌상측의 타일 인덱스와 우하측 타일 인덱스를 식별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에서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상기 식별된 타일을 선택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의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타일의 개수, 타일의 인덱스, 및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의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에서 상기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과는 다른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은 상기 관심 영역을 편집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고, 및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은 상기 이미지가 타일 단위로 압축되어 포함된 파일인,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타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타일은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로 식별하여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심 영역의 좌상측에 대응하는 타일 인덱스와 우하측에 대응하는 타일 인덱스를 식별하여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추가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타일의 개수, 타일의 인덱스, 및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의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과는 다른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다른 이미지 파일에 저장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심 영역이 편집되면,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업데이트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일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를 확인하고,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하고, 및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관심 영역에 해당하는 디코딩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고, 및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은 상기 이미지가 타일 단위로 압축되어 포함된 파일인,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타일의 크기, 가용 메모리의 크기, 상기 프로세서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해 결정된 값인, 전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타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타일은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의 좌상측에 대응하는 타일 인덱스와 우하측에 대응하는 타일 인덱스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 더 저장하는, 전자 장치.
  14. 이미지의 관심 영역을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관심 영역으로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은 상기 이미지가 타일 단위로 압축되어 포함된 파일인,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는 동작은,
    타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타일은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로 식별하는 동작인,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식별하는 동작은,
    상기 관심 영역의 좌상측의 타일 인덱스와 우하측 타일 인덱스를 식별하는 동작인,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상기 식별된 타일을 선택하는 동작인,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타일의 개수, 타일의 인덱스, 및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픽셀의 좌표값 중 적어도 하나인,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관심 영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타일을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과는 다른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동작인,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을 편집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파일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을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관심 영역 저장 방법.
KR1020200014727A 2020-02-07 2020-02-07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00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727A KR20210100853A (ko) 2020-02-07 2020-02-07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CT/KR2021/000531 WO2021157893A1 (en) 2020-02-07 2021-01-1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aving image
CN202180013194.7A CN115053516A (zh) 2020-02-07 2021-01-14 存储图像的电子装置和方法
EP21750291.3A EP4046374A4 (en) 2020-02-07 2021-01-1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AGE STORAGE
US17/149,826 US11361402B2 (en) 2020-02-07 2021-01-1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av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727A KR20210100853A (ko) 2020-02-07 2020-02-07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53A true KR20210100853A (ko) 2021-08-18

Family

ID=7717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727A KR20210100853A (ko) 2020-02-07 2020-02-07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61402B2 (ko)
EP (1) EP4046374A4 (ko)
KR (1) KR20210100853A (ko)
CN (1) CN115053516A (ko)
WO (1) WO2021157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24473A1 (en) * 2020-03-04 2023-04-20 Sony Group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24008816A1 (en) * 2022-07-05 2024-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enerating encoded video data and decoded video dat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349B1 (ko) 2005-01-10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지영상 내의 관심영역 지정기반 선택보기 방법과 장치
KR102030754B1 (ko) 2012-03-08 2019-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관심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이미지 편집 장치 및 방법
JP6214235B2 (ja) * 2012-07-02 2017-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イル生成方法、ファイル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141084B2 (ja) * 2013-04-19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200045013A (ko) * 2013-07-15 2020-04-29 소니 주식회사 상호작용성을 위한 모션-구속된 타일 세트들 sei 메시지의 확장들
GB2516826B (en) * 2013-07-23 2016-06-22 Canon Kk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encapsulating partitioned timed media data by creating tracks to be independently encapsulated in at least one media f
GB2524726B (en) 2014-03-25 2018-05-23 Canon Kk Image data encapsulation with tile support
US10397666B2 (en) * 2014-06-27 2019-08-27 Koninklijke Kpn N.V. Determining a region of interest on the basis of a HEVC-tiled video stream
KR102106103B1 (ko) 2015-07-03 2020-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 해상도 영상에서의 영상 추출 장치 및 방법
US10693929B2 (en) 2017-10-23 2020-06-23 Avid Technology, Inc. Modular video blade with separate physical layer module
JP7007160B2 (ja) * 2017-11-10 2022-01-24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送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6374A4 (en) 2022-12-14
WO2021157893A1 (en) 2021-08-12
CN115053516A (zh) 2022-09-13
EP4046374A1 (en) 2022-08-24
US20210248710A1 (en) 2021-08-12
US11361402B2 (en)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66693A1 (en) Encoding A Depth Map Into An Image Using Analysis Of Two Consecutive Captured Frames
CN104869305B (zh) 处理图像数据的方法及其装置
KR20200100918A (ko) 카메라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96748A (ko)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보정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36140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aving image
US1139307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on basis of image transmission state
US1192260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mag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112632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image with external device using image link information
KR20200072727A (ko) 웹 콘텐츠를 ar모드에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38622B2 (en)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3926942B1 (en) Method for processing photographed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90107901A (ko)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US10970587B2 (en) Electronic device for notifying of update of image signal process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20016695A (ko) 딥러닝에 기반한 이미지 분할 장치 및 방법
KR20210079956A (ko)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2396526B1 (ko)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43837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media file
US1138009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and method thereof
US11405521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file including multiple related pieces of data
CN109951676B (zh) 画面传输方法及摄像装置
US20230161807A1 (en)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media file
EP41710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non-destructive editing content
KR20210083840A (ko) 다이나믹 톤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의 편집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4732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90098582A (ko) 피사체와 기준 영역 사이간의 거리에 따라 변경된 프레임 레이트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