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815A -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815A
KR20210100815A KR1020200014619A KR20200014619A KR20210100815A KR 20210100815 A KR20210100815 A KR 20210100815A KR 1020200014619 A KR1020200014619 A KR 1020200014619A KR 20200014619 A KR20200014619 A KR 20200014619A KR 20210100815 A KR20210100815 A KR 20210100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joint member
frame
insertion groov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후연
Original Assignee
김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후연 filed Critical 김후연
Priority to KR102020001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815A/ko
Publication of KR2021010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식 개폐문을 구성하는 장식패널, 프레임, 조인트부재, 휠 브래킷 및 이들 상호 간의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부를 단순화하여 이들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조인트부재는, 후면 중 변에서 끼움부 부위까지 이르는 길이와 폭과 깊이를 갖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의 길이 방향 중간 부위를 폭 방향 외측으로 확장한 형상으로 제1걸림턱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휠 브래킷은, 전방 일부가 삽입홈 주연의 후면을 덮고, 단부가 끼움부와 함께 중공에 끼우도록 하며, 중간 부위에 정렬홈 또는 정렬홀을 형성한 앵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결속부는, 조인트부재의 변에서 삽입홈으로 삽입 가능한 헤드부와; 헤드부 타측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서 타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헤드부 폭의 중심 방향으로 탄력적인 휨이 가능하고, 외측 부위에 제1걸림턱에 대응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한 제1핑거부; 및 제1핑거부와 간격을 둔 헤드부의 타측에서 연장 돌출하여 전방으로 탄력적인 휨이 가능하며, 후면에 상기 정렬홈 또는 정렬홀에 대응하는 끼워지는 제3걸림턱을 형성한 제2핑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ASSEMBLED DOOR OF SLIDING TYPE}
본 발명은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개폐문을 구성하는 장식패널, 프레임, 조인트부재, 휠 브래킷 및 이들 상호 간의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부(結束部)를 단순화하여 이들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 창문, 각종 수납장을 개폐(開閉)하기 위한 도어는, 작동 방식에 따라 여닫이식과 미닫이식으로 구분한다.
여기서는 미닫이식 도어에 대하여 살펴보겠으며, 특히 욕실장과 같은 수납장을 개폐하는 미닫이식 도어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수납장용 미닫이 도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문이나 창문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장 본체(1)의 전면 부위 중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에 가로로 배치한 가이드레일(2, 2')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수납장 본체(1)의 전면 부위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대체로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에 얹혀지거나, 가이드레일(2)에 얹혀짐과 동시에 매달린 상태로 있으므로, 이동 및 설치 상태의 안정을 위해 경량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간편한 조립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의 구성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 거울을 포함한 장식패널(12)과, 장식패널(12)의 각 변 가장자리의 측면 및 후면을 지지하는 프레임(14)과, 프레임(14)들을 연결하는 조인트부재(16)와, 가이드레일(2, 2')의 안내를 받기 위한 휠 브래킷(18, 18') 및 이들 각 구성의 결합을 위한 결속부로서 체결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프레임(14)은, 설계에 따른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며, 폭 방향 일측에는 장식패널(12)의 가장자리 측면에 대응하여 덮도록 전면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의 베젤부(14a)를 마련하고, 베젤부(14a)에 연이은 전면이 장식패널(12)의 가장자리 후면을 받쳐 지지하는 밀착면(14b)을 이루며, 길이 방향 양단 부위에 조인트부재(16)와 연결을 위한 결합부(14c)를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부(14c)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4)이 내부의 중공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의 압출 성형으로 제작한 경우에, 길이 방향 양단을 통해 개방이 이루어지는 중공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의 개방 부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조인트부재(16)는, 장식패널(12)의 모서리 부위에 대응하는 몸체부(16a)와 장식패널(12)의 모서리 부위에서 서로 인접하는 양 프레임(14)의 결합부(14c)에 각각 대응하는 끼움부(16b)를 마련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조인트부재(16)의 끼움부(16b)는, 프레임(14)의 길이 방향 단부에 개방된 중공 형태의 결합부(14c)에 설정한 깊이로 끼우도록 한 것으로, 이를 통해 설정 길이로 재단한 프레임(14)들의 배치를 결정함과 동시에 지지한다.
또한, 조인트부재(16)는, 상술한 프레임(14)의 베젤부(14a)와 마찬가지로 장식패널(12)의 모서리 측면을 지지하는 베젤부(16c)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인트부재(16)는 장식패널(12)의 모서리 부위의 후면과 측면을 지지하고, 프레임(14)들과 함께 장식패널(12)의 측면과 후면 가장자리 부위를 지지하는 테두리 형태를 이룬다.
한편, 상술한 휠 브래킷(18, 18')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성 재질로 일 회 이상 구부린 형상을 이루는 앵글(18a, 18a')과 앵글(18a, 18a')의 설정 위치에 장착이 이루어져 가이드레일(2, 2')의 안내를 받아 구르도록 한 휠(18b, 18b')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프레임(14)들과 조인트부재(16)들 및 휠 브래킷(18, 18')들은, 설계에 따른 배치의 조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구(3)로 고정함으로써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는, 수납장 본체(1)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의 우려가 있다.
하지만,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는, 조립 구성 중 휠 브래킷(18, 18')이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수납장 본체(1)의 전면 상부와 전면 하부를 각각 감싸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수납장 본체(1)의 전방인 화살표 "F" 방향으로 분리가 어렵고, 또 화살표 "R" 방향으로의 설치도 어렵다.
즉, 수납장 본체(1)의 전방으로부터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를 설치하거나 그 방향으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납장 본체(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2 or 2')을 함께 설치하거나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의 분리 또는 조립의 다른 방법은, 수납장 본체(1)의 측벽(1a) 중 적어도 하나를 화살표 "S" 방향으로 분리한 후 가이드레일(2, 2')의 안내 방향을 따라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를 분리 또는 설치하고,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10)의 설치 후 수납장 본체(1)의 측벽(1a)을 앞서 설명한 화살표 "S" 방향의 역순으로 재조립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수납장 본체(1)의 측벽(1a) 중 하나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과정 또한 작업의 번거로움을 포함한 어려움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2256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624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92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과 필요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닫이식 도어의 손상 내지 파손에 대응하여 각 구성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미닫이식 도어를 이루는 각 구성 중 부분적 손상 대지 파손에 대응하여 부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의 특징적인 구성은, 길이 방향 단부로 중공을 개방한 프레임과; 프레임의 중공에 끼우기 위한 끼움부를 정해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조인트부재와; 강성 재질로 굴곡지고, 전방 일부가 프레임과 조인트부재에 대응하고, 후방에 휠을 설치한 휠 브래킷과; 프레임과 조인트부재 및 휠 브래킷을 고정하는 결속부;로 이루어진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는, 후면 중 변에서 끼움부 부위까지 이르는 길이와 폭과 깊이를 갖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의 길이 방향 중간 부위를 폭 방향 외측으로 확장한 형상으로 제1걸림턱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브래킷은, 전방 일부가 삽입홈 주연의 후면을 덮고, 단부가 끼움부와 함께 중공에 끼우도록 하며, 중간 부위에 정렬홈 또는 정렬홀을 형성한 앵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는, 조인트부재의 변에서 삽입홈으로 삽입 가능한 헤드부와; 헤드부 타측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서 타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헤드부 폭의 중심 방향으로 탄력적인 휨이 가능하고, 외측 부위에 제1걸림턱에 대응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한 제1핑거부; 및 제1핑거부와 간격을 둔 헤드부의 타측에서 연장 돌출하여 전방으로 탄력적인 휨이 가능하며, 후면에 상기 정렬홈 또는 정렬홀에 대응하는 끼워지는 제3걸림턱을 형성한 제2핑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인트부재는, 삽입홈 측부에서 끼움부의 폭 방향 측부로 가로지르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에 인접하는 부위에 이미 설계에 따른 설치홈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홈과 가이드홈에는, 설치홈과 가이드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이와 굴곡 형상을 이룬 핀 형상으로 일단이 첨예하고 가이드홈의 안내를 받아 끼움부의 측부로 돌출 가능한 상태에 놓이고, 중간 부위의 일부가 삽입홈의 내측으로 돌출하며, 타단이 설치홈 내의 지지를 받도록 한 스토퍼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중간 부위 일부가 삽입이 이루어지는 결속부의 측부에 의해 탄력적으로 눌려져 일단 부위가 끼움부의 폭 방향 측부 외측으로 돌출하며 대응하는 프레임의 내벽을 가압하고, 결속부의 인출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위치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삽입홈 중 제2핑거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제2핑거부의 전면 방향으로 휨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도피홈을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브래킷은, 상기 프레임의 중공에 대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정렬돌부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걸림턱은, 프레임의 중공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도드라진 형상을 이루고, 그 반대 방향에 대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끼움부의 삽입홈에 대응하여 상기 결속부의 헤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보조 결속부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결속부는 헤드부 부위와 헤드부의 타측에 위치한 제1, 2핑거부 부위를 포함한 부위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미닫이식 도어를 구성하는 장식패널, 프레임, 조인트부재, 휠 브래킷 및 결속부의 상호 간의 조립 및 분리가 결속부의 설치 여부에 의해 결정이 이루어지며, 이들 구성들 중 부분적인 손상 내지 파손이 있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구성에 대한 결속부의 분리를 및 설치로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Ⅱ 선을 기준으로 미닫이식 도어의 설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의 구성 및 구성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부분 절취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의 구성 및 이들 구성들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취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프레임과 조인트부재와 결속부 및 이들에 대한 휠 브래킷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결속부에 의한 휠 브래킷의 고정 및 분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프레임과 조인트부재 및 휠 브래킷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조인트부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에 해당하는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방 또는 전면의 표현은 미닫이 도어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수납장을 그 일 예로 할 때에, 수납장의 내측에서 미닫이 도어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구성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후방 또는 후면의 표현은 전방의 표현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구성 부위를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패널(22)의 후면 중 각 변에 대응하는 프레임(24, 24')과, 이웃하는 프레임(24, 24')들의 단부로 개방된 중공을 통해 끼우도록 끼움부(26b)를 돌출 형성한 조인트부재(26)와, 강성 재질로 굴곡진 형상을 이루며, 굴곡에 따른 일부는 프레임(24, 24')과 조인트부재(26)에 대응하고, 다른 일부에 휠(18b, 18b')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휠 브래킷(28) 및 프레임(24, 24')과 조인트부재(26)와 휠 브래킷(28)을 고정하는 결속부(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술한 프레임(24, 24')은, 도 4의 "A"로 표시한 형상과 같이, 길이 방향 양쪽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의 깊이를 갖는 홈 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의 개구가 있도록 한 압출 성형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의 "B"로 표현한 다른 유형의 프레임(24')은, 압출 성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A" 유형의 프레임(24)과 달리 중공 부위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한 부위를 갖는 형상의 것으로 제작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7에서 "C"로 표현한 또 다른 유형의 프레임(24")은, "A" 유형 프레임(24)의 단면에 따른 중공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중공의 단면 형상은, 후술하는 조인트부재(26, 26', 26")의 끼움부(26b)와 휠 브래킷(28, 28')의 전방 부위 앵글(28a, 28a')이 프레임(24, 24', 24")의 중공에 대응하여 끼워짐에 있어 헐겁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계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A"형과 "B"형의 중공을 갖는 프레임(24, 24')에는,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재(26, 26', 26")의 끼움부(26b)의 폭이 함께 중공에 끼워지는 휠 브래킷(28, 28')의 앵글(28a, 28a')의 폭보다 빗금(S/L: slash line)으로 표시한 부위만큼 넓고, "C"형의 중공을 갖는 프레임(24")에는 개방된 중공에 대하여 함께 끼워지는 조인트부재(26, 26', 26")의 끼움부(26b)의 폭과 휠 브래킷(28, 28')의 앵글(28a, 28a')의 폭이 같거나, 위의 빗금(S/L) 부위를 테두리(26j)로 메우도록 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밖에 프레임은, 도면에 표현하지 않았으나, 조인트부재(26, 26')의 끼움부(26b)와 앵글(28a, 28a')을 끼울 수 있도록 깊이를 갖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한 다른 부재를 막대 형상의 부재 양단에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밝힌 각 프레임(24, 24', 24")들은, 길이 방향 단부로 개방된 중공 부위를 갖는다.
여기서 지시하는 '개구를 포함한 중공'은, 결국 프레임(24, 24', 24")에 있어, 조인트부재(26, 26')의 끼움부(26b)와 앵글(28a, 28a')을 끼울 수 있도록 한 결합부(24c)인 것으로 총칭하여 말하기로 한다.
그리고, 프레임(24, 24', 24")은, 대응하는 장식패널(22)의 가장자리 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베젤부(24a)와 장식패널(22)의 가장자리 후면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밀착면(24b)을 갖는다.
여기서, 베젤부(24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식패널(22)의 가장자리 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8a과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부재(26")가 장식패널(22)의 후면 중심 부위에 배치할 경우에 대하여는 생략한 것으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인트부재(26, 26')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패널(22)의 후면 중 모서리 부위에 대응하는 몸체부(26a)를 이루고, 몸체부(26a)의 측부에 장식패널(22)의 변을 따라 배치한 프레임(24, 24', 24")들의 각 결합부(24c)에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한 끼움부(26b)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도 8a에 도시한 조인트부재(26")의 경우는, 장식패널(22) 후면 중 모서리가 아닌 장식패널(22)의 변에 몸체부(26a')를 위치하게 한 것으로, 장식패널(22)의 변을 따라 배치한 양측 프레임(24)들과 더불어 장식패널(22)의 후면 중간 부위를 가로지르는 프레임(24)을 연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24)들 배치에 대응하도록 끼움부(26b')를 더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도 8a에 도시한 조인트부재(26")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의 상측 변 부위에 대하여도 휠 브래킷(28)을 더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의 하중을 다수의 휠 브래킷(28)을 통해 분산하기 위함과 장식패널(22)의 후면 중간 부위에 대하여 휨과 충격으로부터 프레임(24)을 더 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프레임(24, 24', 24")의 중공 부위에 대한 끼움부(26b, 26b')의 삽입 깊이는, 프레임(24, 24', 24")의 단부가 끼움부(26b, 26b')와 몸체부(26a, 26a')의 경계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24, 24', 24")의 중공 부위에 대하여 삽입이 이루어지는 조인트부재(26, 26', 26")의 부위는 온전히 끼움부(26b, 26b')에 한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를 이루는 각 구성 조립의 정형화 즉,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가 설계 치수로 제작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인트부재(26, 26', 26")에 있어, 몸체부(26a, 26a')와 끼움부(26b, 26b')의 후면은, 끼움부(26b, 26b')의 폭 방향 중심 부위를 포함한 일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이는 후술하는 휠 브래킷(28)의 앵글(28a)에 대응하여 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몸체부(26a, 26a')와 끼움부(26b, 26b')의 후면 일부를 동일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은, 휠 브래킷(28)을 구성하는 앵글(28a) 형상을 단순화하기 위함이고, 결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조인트부재(26, 26', 26")는, 전면 가장자리 부위 중 장식패널(22)의 측부에 대응하여 베젤부(26c)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조인트부재(26, 26', 26")는, 도 4 내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에 몸체부(26a, 26a')의 각 변 중 끼움부(26b, 26b')와 마주보는 변의 가장자리에서 끼움부(26b, 26b') 부위까지 길이를 갖는 삽입홈(26d)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삽입홈(26d)은, 그 길이 방향이 끼움부(26b, 26b')의 돌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에 있도록 하고, 또 전방으로의 삽입홈(26d) 깊이가 후술하는 결속부(3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하며, 삽입홈(26d)의 폭 또한 결속부(30)의 폭에 대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삽입홈(26d)은, 몸체부(26a, 26a')의 변으로부터 끼움부(26b, 26b') 방향으로 결속부(3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이룬다.
또한, 삽입홈(26d)의 폭 방향 측부는, 그 길이 방향 중간 부위에 폭 방향의 외측으로 더 확장한 형상을 이루어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부(30)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대하여 걸림 작용이 있도록 한 제1걸림턱(26e)을 이룬다.
그리고 삽입홈(26d) 부위에는, 깊이 방향 즉, 결속부(30)의 두께 방향이면서 전방으로 깊이를 갖는 도피홈(26f)을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도피홈(26f)은 후술하는 결속부(30)의 제3걸림턱(30e)이 앵글(28a)에 형성한 정렬홈 또는 정렬홀(28b)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핑거부(30f)가 전방으로 휘어짐에 의해 정렬홈 또는 정렬홀(28b)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핑거부(30f)의 휨 변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제2핑거부(30f)가 삽입홈(26d) 내에서 휘어지는 것으로 제3걸림턱(30e)이 정렬홈 또는 정렬홀(28b)에 대하여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면, 상술한 도피홈(26f)은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피홈(26f)은, 제2핑거부(30f)가 전방으로 충분히 후퇴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몸체부(26a)의 변에서 개구 형상을 이루는 삽입홈(26d)의 단부 주연 부위는, 그 폭과 깊이 방향으로 더 확장한 형상의 노출홈(26g)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출홈(26g)은 작업자가 후술하는 제1핑거부(30d)를 삽입홈(26d)의 폭 방향 중심으로 휨 변형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조인트부재(26, 26', 26")는, 삽입홈(26d)의 형성 부위 중 끼움부(26b)의 측부로 가로질러 연통(連通)하는 가이드홈(26h)을 형성하고, 가이드홈(26h)에 인접하는 부위에 이미 설계에 따른 설치홈(26i)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한 설치홈(26i)과 가이드홈(26h)에는, 설치홈(26i)과 가이드홈(26h)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이와 굴곡 형상을 이룬 핀 형상 부위를 갖는 스토퍼(32)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토퍼(32)는, 가이드홈(26h)에 위치하여 끼움부(26b, 26b')의 폭 방향 측부로 향하는 일단이 첨예한 핀 형상을 이루며 가이드홈(26h)의 안내를 받아 끼움부(26b, 26b')의 측부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상태에 놓이고, 중간 부위의 일부가 삽입홈(26d) 내측으로 돌출하여 놓이며, 타단 부위가 설치홈(26i) 내의 지지를 받도록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설치한 스토퍼(32)는, 자연 상태 즉,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중간 부위의 일부가 삽입홈(26d)의 측부에서 폭의 중심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돌출한 상태로 놓이고, 이때 스토퍼(32)의 일단 부위는 끼움부(26b, 26b')의 측부 외측로 돌출하지 않고 가이드홈(26h)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스토퍼(32)는, 삽입홈(26d) 내에 결속부(30)의 삽입이 이루어짐으로부터 삽입홈(26d)의 측부로 돌출한 상태의 중간 부위가 결속부(30)의 측부에 의해 폭 방향 외측으로 눌려진다.
이에 따라 스토퍼(32)의 첨예한 일단 부위는 끼움부(26b, 26b')의 측부 외측으로 돌출하여 대응하는 프레임(24, 24', 24")의 내벽에 박히는 형태로 가압하고, 이로 인해 프레임(24, 24', 24")과 조인트부재(26, 26')는 서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삽입홈(26d)으로부터 결속부(30)를 인출할 때에, 스토퍼(32)는 설치홈(26i)의 지지를 받아 탄력적으로 위치 복원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프레임(24, 24', 24")을 가압하던 스토퍼(32)의 일단 부위는 끼움부(26b, 26b')의 폭 중심 방향으로 위치 이동함으로써 프레임(24, 24', 24")과 조인트부재(26, 26') 간의 결합 및 그 해제가 자유로운 상태를 이룬다.
결국, 스토퍼(32)는, 삽입홈(26d)에 대한 결속부(30)의 인입에 의해 눌려져 프레임(24, 24', 24")과 조인트부재(26, 26')를 결속하고, 결속부(30)의 인출로부터 눌림의 해제로 프레임(24, 24', 24")과 조인트부재(26, 26') 상호 간의 결속을 해제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 하나의 조인트부재(26, 26', 26")에는, 도 4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속부(30)가 조인트부재(26, 26', 26")의 어느 한 변에 위치하게 한 제1핑거부(30d)의 단부에서 끼움부(26b, 26b')의 중간 부위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한 개의 결속부(30)만을 설치할 수밖에 없다.
이때, 이미 설치를 결정한 결속부(30)의 길이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향한 끼움부(26b, 26b')에 대한 프레임(24, 24', 24")의 고정은,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미 설치를 결정한 결속부(30)와 간섭이 없는 범위에서 결속부(30)의 헤드부(30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 결속부(34)를 삽입홈(26d)에 끼워 상술한 스토퍼(32)를 누르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보조 결속부(34)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부재(26")가 장식패널(22)의 후면 중앙에 위치할 경우에, 각 방향에 있는 각각의 끼움부(26b, 26b')에 형성한 각 삽입홈(26d)에 대응하여 설치토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결속부(30)는, 조인트부재(26, 26', 26")의 한 변에서 몸체부(26a)를 가로질러 상대측 방향으로 돌출한 끼움부(26b, 26b') 중간 부위에 이르는 삽입홈(26d)의 길이에 대응하며 조인트부재(26, 26', 26")의 한 변으로부터 삽입 가능하도록 한 헤드부(30a)를 갖는다.
여기서, 헤드부(30a)는, 측부에 상술한 삽입 방향의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경사면(30b)을 이루며, 이러한 경사면(30b)은 삽입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상술한 삽입홈(26d)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32)의 중간 부위를 그 삽입 진행과 함께 누르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사면(30b)의 형상은, 보조 결속부(34)에 있어서도 동일한 형상으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속부(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에 있는 헤드부(30a)의 타측 부위 즉, 결속부(30)의 인출 방향에 있는 헤드부(30a) 부위에서 헤드부(30a)의 폭 방향 가장자리로부터 타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헤드부(30a) 폭의 중심 방향으로 탄력적인 휨 변형이 가능하고, 폭 방향 외측 부위에 제1걸림턱(26e)에 대응하는 걸림 작용이 있도록 한 제2걸림턱(30c)을 형성한 제1핑거부(30d)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술한 제2걸림턱(30c)의 측면은, 상술한 삽입 방향에 대하여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경사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십입홈(26d)에 대하여 결속부(3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결속부(30)는, 헤드부(30a)의 타측 중 제1핑거부(30d)와 간격을 둔 헤드부(30a)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전방으로 탄력적으로 휨 변형이 가능하며, 후면에 후술하는 앵글(28a)의 정렬홈 또는 정렬홀(28b)에 대응하는 끼워져 인출 방향에 대하여 앵글(28a)의 걸림이 있도록 하는 제3걸림턱(30e)을 형성한 제2핑거부(30f)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제3걸림턱(30e)은, 후면이 결속부(30)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의 경사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경사는 결속부(30)의 인출시와 앵글(28a)을 상술한 결합부(24c)에 끼우도록 할 때에 제2핑거부(30f)가 전방으로 휨 변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술한 결속부(30)는, 헤드부(30a)와 헤드부(30a) 타측의 제1, 2핑거부(30d, 30f)가 일체로 제작된 것을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표현한 바와 같이, 헤드부(30a)와 제1, 2핑거부(30d, 30f) 사이의 구간에 길이 방향 양측을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절단부(30g)을 형성한 것이거나, 이미 절단한 형태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부(30g)를 기준으로 헤드부(30a)와 제1, 2핑거부(30d, 30f)를 갖는 부위를 절단한 형태의 것은, 헤드부(30a)는 앞서 언급한 보조 결속부(34)인 것이고, 제1, 2핑거부(30d, 30f)를 갖는 구성을 별도로 제작한 것과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절단부(30g)에 의해 절단 가능한 헤드부(30a)와 이에 대응하는 보조 결속부(34)의 후면에는 작업자가 손톱 또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삽입홈(26d)으로부터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걸이홈(30h)를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휠 브래킷(28)은, 철재 등의 강성 재질로 한 번 이상 굽은 굴곡진 형상의 앵글(28a)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앵글(28a)은, 설계에 따른 굵기와 강성 재질의 판재를 절단 및 벤딩(bending) 가공한 것으로 이루어지거나, 다이캐스팅을 포함한 주조의 형식으로 성형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앵글(28a)은,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굽은 형상 중 전방에 위치하는 부위가 삽입홈(26d)을 포함한 그 주연의 조인트부재(26, 26', 26")의 후면을 덮는 형상을 이루고, 단부 부위가 끼움부(26b)와 함께 프레임(24, 24', 24")의 결합부(24c)를 통해 끼워질 수 있도록 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앵글(28a)은, 전방 부위 중 설계에 따른 상하 길이 방향 중간 부위에 전면에서 후방으로 깊이를 갖는 정렬홈(도시 안됨) 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정렬홀(28b)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앵글(28a)은, 프레임(24, 24', 24")의 결합부(24c)를 통해 끼워지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측변 부위 또는 프레임(24, 24', 24")의 결합부(24c) 단부에 대응하는 후면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형상의 정렬돌부(28c, 28c')를 형성하고 있다.
더불어, 휠 브래킷(28)은,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한 후방의 앵글(28a) 중 설계에 따른 부위에 설계에 따른 휠(18b, 18b')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휠 브래킷(28)은, 장식패널(22)의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한 프레임(24, 24', 24")의 결합부(24c)에 대하여 전방 부위 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끼우는 형식으로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휠 브래킷(28)은 조인트부재(26, 26', 26")에 대응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나의 장식패널(22)의 상하측 부위 중 양측 모서리 부위뿐 아니라, 그 사이의 변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개수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각각의 프레임(24, 24', 24")들은 조인트부재(26, 26', 26")의 끼움부(26b)가 결합부(24c)에 끼워지는 것으로 장식패널(22)의 후면 가장자리 또는 후면 가장자리와 후면 중간 부위에 대하여 배치를 이룬다.
이때, 각각의 프레임(24, 24', 24")들과 조인트부재(26, 26', 26")는, 삽입홈(26d)에 대하여 결속부(30) 또는 보조 결속부(34)의 설치와 그에 따른 스토퍼(32)의 눌려짐에 의해 서로 간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휠 브래킷(28)은 전방에 위치한 단부 부위가 대응하는 프레임(24, 24', 24")의 단부 위치에 대응하여 정렬돌부(28c, 28c')가 걸쳐치는 등의 관계로 프레임(24, 24', 24")의 결합부(24c) 내에 이미 설정한 상하 높이에 대하여 그 삽입 깊이가 결정된다.
이러한 휠 브래킷(28)의 설치과정에서, 휠 브래킷(28)은 상술한 정렬돌부(28c, 28c')가 도 5의 'P1' 위치인 프레임(24, 24', 24")의 단부 또는 조인트부재(26, 26', 26")의 테두리(26j) 부위 등에 걸쳐짐으로써 프레임(24, 24', 24")의 결합부(24c) 내의 삽입 깊이 방향과 양측 방향에 대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정렬을 이룬다.
이와 더불어 삽입홈(26d)을 통해 결합부(24c) 내로 일부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결속부(30)는, 도 5의 'P2' 위치에서 제1걸림턱(26e)에 대하여 제2걸림턱(30c)이 걸쳐지는 것으로 삽입홈(26d)으로부터 인출하는 방향(I/P:insert or pull out)에 대하여 걸림과 지지를 받는다.
이때, 도 5의 'P3' 위치인 제3걸림턱(30e)에 대하여 정렬홈 또는 정렬홀(28b)에 걸림으로써 휠 브래킷(28)은, 결합부(24c)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에 대하여 제약을 받는다.
즉, 휠 브래킷(28)은, 결합부(24c)에 끼워지는 일부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흔들림이 없고, 또 도 5의 'P1' 위치와 'P3' 위치의 구간은, 휠 브래킷(28)의 상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정렬 구간(AL)을 이룬다.
여기서, 상술한 'P1, P2, P3' 부위에 대한 제1, 2, 3걸림턱(26e, 30c, 30e) 및 정렬돌부(28c)는 프레임(24, 24', 24")과 조인트부재(26, 26', 26") 및 휠 브래킷(28) 상호 간의 조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조립공차를 갖도록 함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의 분해하는 과정은, 상부 또는 하부의 조인트부재(26, 26', 26") 중 노출홈(26g)을 통해 노출되는 결속부(30)의 제1핑거부(30d)를 삽입홈(26d)의 폭 방향 중심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것으로 제1걸림턱(26e)에 대한 제2걸림턱(30c)의 걸림이 해제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태는 결속부(30)를 삽입홈(26d)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결속부(30)를 삽입홈(26d)으로부터 인출을 시도하면, 상술한 제3걸림턱(30e)은 경사를 이루는 면이 정렬홈 또는 정렬홀(28b) 주연에 닿아 그 인출 방향에 대하여 눌려짐으로써 제2핑거부(30f)를 전방으로 휘어지게 하여 인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휠 브래킷(28)은, 상술한 프레임(24, 24', 24")의 결합부(24c)로부터 인출할 수 있으며, 휠 브래킷(28)의 분리 이후 각 방향의 삽입홈(26d)에 대하여 결속부(30)의 헤드부(30a) 또는 보조 결속부(34)를 분리하는 것으로 프레임(24, 24', 24")과 조인트부재(26, 26', 26") 간의 결합도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분해 과정은,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의 설치 상태로부터 하측에 있는 휠 브래킷(28)을 먼저 분리하고, 분리한 휠 브래킷(28)에 결속부(30)를 이용하여 프레임(24, 24', 24")과 조인트부재(26, 26', 26")를 결속하고, 이러한 과정을 하측 휠 브래킷(28)들을 순차적으로 분리한 후에 수납장 본체(1)로부터 나머지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를 들어올리며 분리토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부분 교체 후 다시 설치할 경우에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의 하측에 대한 휠 브래킷(28)만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20)를 들어올려 걸쳐지게 한 후 하측의 휠 브래킷(28)을 순차적으로 끼우는 것으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1: 수납장 본체 2, 2': 가이드레일
3: 체결구 10, 20: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12, 22: 장식패널 14, 24, 24', 24": 프레임
14a, 24a: 베젤부 14b, 24b: 밀착면
14c, 24c: 결합부 16, 26, 26', 26": 조인트부재
16a, 26a: 몸체부 16b, 26b: 끼움부
16c, 26c: 베젤부 18, 18', 28: 휠 브래킷
18a, 18a', 28a: 앵글 18b, 18b': 휠
26d: 삽입홈 26e: 제1걸림턱
26f: 도피홈 26g: 노출홈
26h: 가이드홈 26i: 설치홈
26j: 테두리 28b: 정렬홈 또는 정렬홀
28c: 정렬돌부 30: 결속부
30a: 헤드부 30b: 경사면
30c: 제2걸림턱 30d: 제1핑거부
30e: 제3걸림턱 30f: 제2핑거부
30g: 절단부 30h: 걸이홈
32: 스토퍼 34: 보조 결속부

Claims (5)

  1. 길이 방향 단부로 중공을 개방한 프레임과; 프레임의 중공에 끼우기 위한 끼움부를 정해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조인트부재와; 강성 재질로 굴곡지고, 전방 일부가 프레임과 조인트부재에 대응하고, 후방에 휠을 설치한 휠 브래킷과; 프레임과 조인트부재 및 휠 브래킷을 고정하는 결속부;로 이루어진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는, 후면 중 변에서 끼움부 부위까지 이르는 길이와 폭과 깊이를 갖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삽입홈의 길이 방향 중간 부위를 폭 방향 외측으로 확장한 형상으로 제1걸림턱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브래킷은, 전방 일부가 삽입홈 주연의 후면을 덮고, 단부가 끼움부와 함께 중공에 끼우도록 하며, 중간 부위에 정렬홈 또는 정렬홀을 형성한 앵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는, 조인트부재의 변에서 삽입홈으로 삽입 가능한 헤드부와; 헤드부 타측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서 타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헤드부 폭의 중심 방향으로 탄력적인 휨이 가능하고, 외측 부위에 제1걸림턱에 대응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한 제1핑거부; 및 제1핑거부와 간격을 둔 헤드부의 타측에서 연장 돌출하여 전방으로 탄력적인 휨이 가능하며, 후면에 상기 정렬홈 또는 정렬홀에 대응하는 끼워지는 제3걸림턱을 형성한 제2핑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는, 삽입홈 측부에서 끼움부의 폭 방향 측부로 가로지르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에 인접하는 부위에 이미 설계에 따른 설치홈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홈과 가이드홈에는, 설치홈과 가이드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이와 굴곡 형상을 이룬 핀 형상으로 일단이 첨예하고 가이드홈의 안내를 받아 끼움부의 측부로 돌출 가능한 상태에 놓이고, 중간 부위의 일부가 삽입홈의 내측으로 돌출하며, 타단이 설치홈 내의 지지를 받도록 한 스토퍼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중간 부위 일부가 삽입이 이루어지는 결속부의 측부에 의해 탄력적으로 눌려져 일단 부위가 끼움부의 폭 방향 측부 외측으로 돌출하며 대응하는 프레임의 내벽을 가압하고, 결속부의 인출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위치 복원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는, 상기 삽입홈 중 제2핑거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제2핑거부의 전면 방향으로 휨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도피홈을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브래킷은, 상기 프레임의 중공에 대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정렬돌부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걸림턱은, 프레임의 중공에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도드라진 형상을 이루고, 그 반대 방향에 대하여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삽입홈에 대응하여 상기 결속부의 헤드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보조 결속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헤드부 부위와 헤드부의 타측에 위치한 제1, 2핑거부 부위를 포함한 부위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KR1020200014619A 2020-02-07 2020-02-07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KR20210100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19A KR20210100815A (ko) 2020-02-07 2020-02-07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19A KR20210100815A (ko) 2020-02-07 2020-02-07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15A true KR20210100815A (ko) 2021-08-18

Family

ID=7746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619A KR20210100815A (ko) 2020-02-07 2020-02-07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081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923Y1 (ko) 2002-08-28 2003-04-18 이성원 사무용 칸막이의 유리틀 결합구조
KR20180136246A (ko) 2017-06-14 2018-12-24 신칠호 욕실장의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어셈블리
KR20190002256U (ko) 2019-08-28 2019-09-06 (주)골드밀러 욕실장 미닫이식 개폐문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923Y1 (ko) 2002-08-28 2003-04-18 이성원 사무용 칸막이의 유리틀 결합구조
KR20180136246A (ko) 2017-06-14 2018-12-24 신칠호 욕실장의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어셈블리
KR20190002256U (ko) 2019-08-28 2019-09-06 (주)골드밀러 욕실장 미닫이식 개폐문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11607A (ja) 仕上げパネル固定装置
US20060005502A1 (en) Double-wall frame member
CN102724898B (zh) 抽屉容器
ITPD20130335A1 (it) Sistema di fissaggio per mobili
CN105041116B (zh) 一种具有组装式卷帘轨道的一体化窗
KR20210100815A (ko) 미닫이식 도어 조립체
CN107842539B (zh) 一种晾衣机主机面板的扣合结构
KR102247472B1 (ko) 칸막이용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oa 칸막이
EP3281554B1 (en) Concealable joining system for panels of a piece of furniture or the like
KR101161138B1 (ko) 가구용 문짝 구조
JP2000045639A (ja) 引 戸
JP5479403B2 (ja) アウトセット用吊り引戸のレール取付ブラケット
JP6599611B2 (ja) 組立式収納家具
KR101500707B1 (ko) 건물용 외장패널
CN202595959U (zh) 新型幕墙立柱
CN204920633U (zh) 一种具有组装式卷帘轨道的一体化窗
KR200360249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KR101804929B1 (ko)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
CN105064899B (zh) 一种具有组装式卷帘抗风轨道的一体化窗
KR200395376Y1 (ko) 환기구 마감재
KR200253758Y1 (ko) 조립식 칸막이
EP4339409A1 (en) Structure for sliding doors and related kit for assembly
KR200289187Y1 (ko) 안내표지판
KR200320029Y1 (ko) 안치단 프레임의 조립구조
CN218918385U (zh) 一种用于加工灯箱的型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