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539A -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539A
KR20210100539A KR1020210012068A KR20210012068A KR20210100539A KR 20210100539 A KR20210100539 A KR 20210100539A KR 1020210012068 A KR1020210012068 A KR 1020210012068A KR 20210012068 A KR20210012068 A KR 20210012068A KR 20210100539 A KR20210100539 A KR 20210100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ells
ampk
activator
immune check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413B1 (ko
Inventor
장재훈
김종오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0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CD28 or CD15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61K2039/507Compris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parate antibo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흑색종 마우스 동물 모델에 면역체크 포인트 억제제인 항-PD-1 항체 및 항-CTLA-4 항체를 AMPK 활성화제와 병용처리한 결과, AMPK 활성화제가 단독 투여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면역체크 포인트 억제제인 항-PD-1 항체 또는 항-CTLA-4 항체와 AMPK 활성화제가 병용처리된 실험군의 종양 감소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면역체크 포인트 억제제 및 AMPK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면역항암제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disease comprising immune checkpoint blockade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or}
본 발명은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다.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면역계 공격에 대한 암의 방어를 극복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면역계 T 세포는 질병이나 감염의 징후가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몸을 순찰하다 다른 세포를 만날 경우 세포의 정체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작용하는 특정 단백질을 표면에서 탐침하고 단백질이 세포가 감염되었거나 암이 있다는 것을 나타낼 경우 T 세포는 그 세포를 공격한다.
T 세포의 공격이 시작되면, 면역 체계는 공격으로 인하여 신체의 정상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련의 추가 분자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분자를 면역 체크 포인트라 한다. 종양 세포는 암 본성을 나타내는 형태의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암세포는 종종 면역 체계를 억제하고 회피하기 위해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단백질을 암세포 표면에 나타내어 T 세포의 공격을 회피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졌다.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를 제거하거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에 있는 정상 단백질 또는 이들에 반응하는 T 세포상의 단백질을 차단하여 T 세포가 세포를 암으로 인식하고 면역 체계로 하여금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필리무맙(ipilimumab(Yervoy®)), 펨브로리쥬맙(pembrolizumab(Keytruda®)) 및 니볼루맙(nivolumab(Opdivo®))을 포함하는 3개의 체크 포인트 억제제는 암에 대해 미국 FDA으로부터 신속 허가(rapid approval)를 받았다. 이들 및 기타 면역 체크 포인트 요법은 오늘날 암 치료에서 가장 유망한 분야 중 하나다.
그러나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위장관, 내분비선, 피부 및 간을 해치는 면역 관련 부작용이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대부분 활성화된 T 림프구에 의한 결과로 면역체계의 이상반응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는 소수의 환자에게만 효과적이다. 대부분의 진행된 암에서 항 PD-1/PD-L1 단일 요법의 반응률은 약 20 %이며, 항 CTLA-4의 반응률은 약 12 %로 보고되어 졌으며, 이러한 낮은 효능은 기존의 종양 관련 T 세포 면역이 결핍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7576호 (2018.03.14. 공개)
본 발명은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인 PD-1 또는 CTLA4 억제제와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항암치료제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항암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흑색종 마우스 동물 모델에 면역체크 포인트 억제제인 항-PD-1 항체 및 항-CTLA-4 항체를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와 병용처리한 결과, AMPK 활성화제가 단독 투여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면역체크 포인트 억제제인 항-PD-1 항체 또는 항-CTLA-4 항체와 AMPK 활성화제가 병용처리된 실험군의 종양 감소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면역체크 포인트 억제제 및 AMPK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면역항암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AMPK 활성화제와 AMPK 억제제의 PD-1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도 1a는 AMPK 억제제 (compound C) 투여군에서 PD-1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1b는 AMPK 활성화제(AICAR) 투여군에서 PD-1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1c는 AMPK 활성화제와 억제제에 의해 시간대별로 PD-1 발현의 변화를 확인하면서 자극후 24시간 이후에 급격한 변화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AMPK 활성화제와 항-PD-1 항체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 흑색종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효과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로, 도 2a는 G1 (PBS control), G2 (AMPK 활성화제), G3 (PD-1 항체) 및 G4 (PD-1 항체 + AMPK 활성화제) 처리군에서 종양 이식후 종양 부피를 날짜별로 확인한 결과이며, 도 2b는 종양 무게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 2c는 CD4 T 세포, CD8 T 세포 및 조절 T 세포(T reg)에 대한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2d는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랜자임 (Granzyme) B와 IFNγ (Interferon-gamma)를 분비하는 CD8 세포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2e는 조절 T 세포(T reg)내 PD-1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2f는 T 세포가 결핍되어 있는 RAG1 KO 마우스에서 암세포를 이식한 후 암세포에 대한 AMPK 활성화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AMPK 활성화제와 항-CTLA-4 항체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 흑색종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효과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로, 도 3a는 종양 부피를 암세포 이식후 날짜별로 확인한 결과이며, 도 3b는 종양 무게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 3c는 CD4 T 세포 및 CD8 T 세포에 대한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3d는 조절 T 세포(T reg) 내 PD-1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AMPK 활성화제와 스타틴의 병용처리에 따른 항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 흑색종 이식 마우스에서 항암효과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로, 도 4a는 종양 부피를 암세포 이식후 날짜별로 확인한 결과이며, 도 4b는 종양 무게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 4c는 CD4 T 세포, CD8 T 세포 및 조절 T 세포(T reg)에 대한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4d는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랜자임 B와 IFNγ를 분비하는 CD8 세포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4e는 조절 T 세포(T reg)내 PD-1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4f는 T 세포가 결핍되어 있는 RAG1 KO 마우스에서 암세포를 이식한 후 암세포에 대한 AMPK 활성화제와 스타틴의 병용처리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면역체크 포인트 억제제인 항-PD-1 항체 또는 항-CTLA-4 항체와 AMPK 활성화제가 병용처리된 경우, 종양 감소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면역체크 포인트 억제제 및 AMPK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면역항암제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항-PD-1 항체, 항-CTLA4 항체, 항-PD-L1 항체 및 스타틴 계열 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타틴 계열 약물은 아토르바스타틴 (Atorvastatin), 로수바스타틴 (Rosuvastatin), 피타바스타틴 (Pitavastatin), 프라바스타틴 (Pravastatin), 심바스타틴 (Simvastatin) 및 플루바스타틴 (Fluvastat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AMPK 활성제는 AICAR (5-Aminoimidazole-4-carboxamide ribonucleotide), 부포르민(buformin), 티에노피리돈(thienopyridones),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누트카톤(nootkatone), 티아졸(thiazole), 아디포넥틴(adiponectin), 2-데옥시글루코오스(2-deoxyglucose), AAPDs(atypical antipsychotic drugs), 아디포넥틴 이형 폴리펩타이드, 카테친(catechins), 트랜스-10 또는 시스-12 컨쥬게이션된 리놀레산, 코리달린(corydaline), 디티올에티온(dithiolethiones), DNA-PKcs(DNA-dependent protein kinase catalytic subunit)의 억제제 또는 안타고니스트, 피브레이트(fibrates), GW2974 (N4-(1-benzyl-1H-indazol-5-yl)-N6,N6-dimethyl-pyrido-[3,4-d]-pyrimidine-4,6-diamine), 호노키올(honokiol), 렙틴(leptin), LKB1(serine/threonine kinase 11), 오보바톨(obovatol, 4′,5-diallyl-2,3-dihydroxybiphenyl ether) 및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암질환은 비소세포성 폐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암, 췌장암, 폐암, 위암, 간암, 대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뇌암, 후두암, 전립선암, 방광암, 식도암, 갑상선암, 신장암 및 직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면역체크포인트 및 조절 T 세포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CD4 T 및 CD8 T 세포의 발현을 증가시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항암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MPK 활성제와 항-PD-1 항체의 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에 2×105 B16F10 흑색종 (melanoma) 세포를 이식한 후 8일, 11일 및 14일에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항-PD-1 항체 (200 μg/mouse)를 주입하였으며, AMPK 활성화제는 500 mg/kg으로 8일 이후 매일 복강투여한 결과, 도 2a 및 도 2b와 같이 AMPK 활성화제와 항-PD-1 항체를 병용투여한 경우, 암 세포의 성장이 매우 저해되어 성장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암덩어리의 무게도 매우 낮게 확인되었다.
또한, 암세포 덩어리 안에 있는 면역세포를 분석한 결과,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AMPK 활성화제만 투여한 그룹에서도 암 세포 성장 및 무게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CD4 T 세포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도 2c와 같이 병용 투여한 실험군의 암세포 덩어리내에서 면역세포 (CD4 T 및 CD8 T)가 매우 많이 증가되었고 조절 T 세포는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도 2d와 같이 암세포를 직접 죽일 수 있는 그랜자임 (Granzyme) B와 IFNγ (Interferon-gamma)를 분비하는 CD8 T 세포가 병용 투여군에서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2e와 같이 병용투여그룹에서 PD-1 발현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항암 효과가 면역세포에 의해 작용하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T 세포가 없는 RAG-KO 마우스에 동일하게 B16F10 흑색종 (melanoma) 세포를 2×105 세포로 이식한 후 AMPK 활성화제 500 mg/kg을 8일 이후 매일 i.p.주입한 결과, 도 2f와 같이 T 세포가 없는 마우스에서는 AMPK 활성화제의 항암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AMPK 활성화제에 의한 항암효과는 T 세포를 통한 항암효과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AMPK 활성제 및 면역세포 PD-1 억제제를 이용한 항암 활성 효과 확인
정상 C57BL/6 마우스에 AMPK 활성제 (AICAR, 5-Aminoimidazole-4-carboxamide ribonucleotide, 500mg/kg) 또는 억제제 (Compound C, 2.5mg/kg)를 복강으로 투여하고 24시간 후 비장과 림프절에 있는 조절 T 세포 (Treg 세포)에서 PD-1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AMPK 활성화제가 투여된 실험군에서는 AMPK 활성화제 투여 24시간 후 PD-1의 발현이 Treg 세포내에서 감소된 반면, AMPK 억제제가 투여된 실험군에서는 AMPK 억제제에 의해서는 PD-1의 발현이 Treg 세포에서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활성화제에 의해 AMPK 분자가 활성화되면 PD-1 발현이 24시간 이내에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다른 분자들은 (ICOS, Nrp1)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FACS sorter로 Treg 세포를 B6 마우스 비장으로부터 분리하여 1×106 세포를 시험관 배양 후 AMPK 활성화제 또는 억제제를 처리하여 PD-1의 발현을 시간대별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in vivo 실험과 동일하게 in vitro에서도 AMPK 조절인자에 의해 PD-1 발현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AMPK 활성제와 항-PD1 항체의 병용효과 확인
AMPK 활성제와 항-PD-1 항체의 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에 2×105 B16F10 흑색종 (melanoma) 세포를 이식한 후 8일, 11일 및 14일에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항-PD-1 항체 (200 μg/mouse)를 주입하였으며, AMPK 활성화제는 500 mg/kg으로 8일 이후 매일 복강투여하였다.
그 결과, 도 2a 및 도 2b와 같이 AMPK 활성화제와 항-PD-1 항체를 병용투여한 경우, 암 세포의 성장이 매우 저해되어 성장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암덩어리의 무게도 매우 낮게 확인되었다.
또한, 암세포 덩어리 안에 있는 면역세포를 분석한 결과,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AMPK 활성화제만 투여한 그룹에서도 암 세포 성장 및 무게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CD4 T 세포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도 2c와 같이 병용 투여한 실험군의 암세포 덩어리내에서 면역세포 (CD4 T 및 CD8 T)가 매우 많이 증가되었고 조절 T 세포는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도 2d와 같이 암세포를 직접 죽일 수 있는 그랜자임 (Granzyme) B와 IFNγ (Interferon-gamma)를 분비하는 CD8 T 세포가 병용 투여군에서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2e와 같이 병용투여그룹에서 PD-1 발현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항암 효과가 면역세포에 의해 작용하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T 세포가 없는 RAG-KO 마우스에 동일하게 B16F10 흑색종 (melanoma) 세포를 2×105 세포로 이식한 후 AMPK 활성화제 500 mg/kg을 8일 이후 매일 i.p.주입하였다.
그 결과, 도 2f와 같이 T 세포가 없는 마우스에서는 AMPK 활성화제의 항암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AMPK 활성화제에 의한 항암효과는 T 세포를 통한 항암효과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AMPK 활성제와 항-CTLA-4 항체의 병용효과 확인
AMPK 활성제와 항-CTLA-4 항체의 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에 B16F10 흑색종 (melanoma) 세포를 2×105 세포로 이식한 후 8일, 11일 및 14일에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로 항-CTLA-4 항체 (100 μg/mouse)를 주입하였으며, AMPK 활성화제를 500 mg/kg으로 8일 이후 매일 i.p.주입하였다.
그 결과, 도 3a 및 도 3b와 같이 항-PD-1 항체를 투여하였을 때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병용투여했을 경우, 암세포의 성장도 더디고 무게도 가장 낮게 확인되었다. 또한, 도 3c와 같이 암세포 덩어리내에서 CD4 T 세포와 CD8 T 세포가 매우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3d와 같이 항-CTLA-4 항체 단독투여 그룹보다 AMPK 활성화제와 병용투여한 실험군의 암세포 덩어리 내 Treg 세포에서 PD-1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도 1의 결과와 동일하게 AMPK 활성화제와 항-CTLA-4 항체를 병용투여했을 경우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AMPK 활성제와 스타틴(statin)의 병용효과 확인
기전 규명 과정에서 콜레스테롤을 만드는 메발론산 경로(mevalonate pathway)가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고, 고지혈증 약물인 스타틴(statin)이 PD-1 발현을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AMPK 활성화제와 스타틴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C57BL/6J 마우스에 B16F10 흑색종 세포를 2×105 세포로 이식하고 8일 후 심바스타틴(simvastatin) 15mg/kg 및 AMPK 활성화제 AICAR 500mg/kg을 매일 병용 또는 단독 투여하였다.
그 결과, 도 4a와 같이 AMPK 활성화제 (500mg/kg)와 스타틴 (15mg/kg) 병용 투여 실험군에서 암의 성장 속도가 가장 느렸고, 도 4b와 같이 종양 무게도 가장 낮게 확인되었다. 또한, 도 4c와 같이 병용 투여 실험군의 암세포 덩어리내 면역 세포 (CD4 T 및 CD8 T)가 매우 많이 증가된 반면, 조절 T 세포는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도 4d와 같이 암세포를 직접 죽일 수 있는 그랜자임 B와 IFNγ를 분비하는 CD8 T 세포가 병용 투여군에서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4e와 같이 병용투여그룹에서 PD-1 발현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항암 효과가 면역세포에 의해 작용하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T 세포가 없는 RAG-KO 마우스에 동일하게 B16F10 흑색종 (melanoma) 세포를 2×105 세포로 이식한 후 AMPK 활성화제 500 mg/kg 및 스타틴 15mg/kg을 8일 이후 매일 복강투여하였다.
그 결과, 도 4f와 같이 T 세포가 없는 마우스에서는 병용투여에 의한 항암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통해 AMPK 활성화제와 스타틴에 의한 항암효과는 T 세포를 통한 항암효과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항-PD-1 항체, 항-CTLA4 항체, 항-PD-L1 항체 및 스타틴 계열 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타틴 계열 약물은 아토르바스타틴 (Atorvastatin), 로수바스타틴 (Rosuvastatin), 피타바스타틴 (Pitavastatin), 프라바스타틴 (Pravastatin), 심바스타틴 (Simvastatin) 및 플루바스타틴 (Fluvastat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MPK 활성제는 AICAR (5-Aminoimidazole-4-carboxamide ribonucleotide), 부포르민(buformin), 티에노피리돈(thienopyridones),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누트카톤(nootkatone), 티아졸(thiazole), 아디포넥틴(adiponectin), 2-데옥시글루코오스(2-deoxyglucose), AAPDs(atypical antipsychotic drugs), 아디포넥틴 이형 폴리펩타이드, 카테친(catechins), 트랜스-10 또는 시스-12 컨쥬게이션된 리놀레산, 코리달린(corydaline), 디티올에티온(dithiolethiones), DNA-PKcs(DNA-dependent protein kinase catalytic subunit)의 억제제 또는 안타고니스트, 피브레이트(fibrates), GW2974 (N4-(1-benzyl-1H-indazol-5-yl)-N6,N6-dimethyl-pyrido-[3,4-d]-pyrimidine-4,6-diamine), 호노키올(honokiol), 렙틴(leptin), LKB1(serine/threonine kinase 11), 오보바톨(obovatol, 4′,5-diallyl-2,3-dihydroxybiphenyl ether) 및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질환은 비소세포성 폐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암, 췌장암, 폐암, 위암, 간암, 대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뇌암, 후두암, 전립선암, 방광암, 식도암, 갑상선암, 신장암 및 직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면역체크포인트 및 조절 T 세포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CD4 T 및 CD8 T 세포의 발현을 증가시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7.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항암제.
KR1020210012068A 2020-02-06 2021-01-28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1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29 2020-02-06
KR20200014229 2020-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539A true KR20210100539A (ko) 2021-08-17
KR102541413B1 KR102541413B1 (ko) 2023-06-12

Family

ID=7746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068A KR102541413B1 (ko) 2020-02-06 2021-01-28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5228A (zh) * 2022-06-20 2022-09-09 西南交通大学 具有协同治疗作用的抗肿瘤纳米颗粒、制备方法及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982B2 (en) * 2013-01-14 2017-04-18 Health Clinics Limited Cancer drug and uses
WO2017123911A1 (en) * 2016-01-15 2017-07-20 The Wistar Institute Of Anatomy And Biolog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KR20180027576A (ko) 2015-07-14 2018-03-14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사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
WO2018071824A1 (en) * 2016-10-13 2018-04-19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dicting response and resistance to ctla4 blockade in melanoma using a gene expression signa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982B2 (en) * 2013-01-14 2017-04-18 Health Clinics Limited Cancer drug and uses
KR20180027576A (ko) 2015-07-14 2018-03-14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를 사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
WO2017123911A1 (en) * 2016-01-15 2017-07-20 The Wistar Institute Of Anatomy And Biolog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WO2018071824A1 (en) * 2016-10-13 2018-04-19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dicting response and resistance to ctla4 blockade in melanoma using a gene expression signatur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irculation, Vol. 114, No. 24, pp. 2655-2662 (2006)* *
PNAS, Vol. 114, No. 5, pp. E761-E770 (201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5228A (zh) * 2022-06-20 2022-09-09 西南交通大学 具有协同治疗作用的抗肿瘤纳米颗粒、制备方法及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413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49558B1 (en) Thiocarbamate derivatives as a2a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combinations with anticancer agents
US11446309B2 (en) Combination therapy for cancer using bromodomain and extra-terminal (BET) protein inhibitors
US10335494B2 (en) Combination of aurora kinase inhibitors and anti-CD30 antibodies
US20210030759A1 (en) Method for treating cancer using hsp90 inhibitors
RU2738934C2 (ru)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ра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пилимода
US10413558B2 (en) Multi-ingredi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cancer therapy
KR20180018695A (ko) 항암제
KR20160126984A (ko) 아필리모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WO2010044893A1 (en) Combination therapy
US2019017562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Pathologic Calcification
KR102541413B1 (ko)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ampk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389424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hemotherapy-induced diarrhea
KR101588949B1 (ko) 플루나리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에 대한 항암 활성 보조제
AU2013235275A1 (en) Methods of treating cancer using aurora kinase inhibitors
WO2008036254A2 (en) Autophagic compounds and tyrosine kinase inhibitors for treating cancer
KR20060092428A (ko) 스타틴을 포함하는 백혈병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8613A (ko) 메티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용투여를 위한 면역항암용 약학조성물
US11376255B2 (en) Thiocarbamate derivatives as A2A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combinations with anticancer agents
JP2018090523A (ja) 抗癌剤
Wong et al. First-generation tyrosine kinase inhibitors: clinical results
NZ722491B2 (en) 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