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521A -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 Google Patents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521A
KR20210100521A KR1020200156169A KR20200156169A KR20210100521A KR 20210100521 A KR20210100521 A KR 20210100521A KR 1020200156169 A KR1020200156169 A KR 1020200156169A KR 20200156169 A KR20200156169 A KR 20200156169A KR 20210100521 A KR20210100521 A KR 20210100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le
mixture
mold
graphene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황기병
신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랩엠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랩엠제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랩엠제로
Priority to KR1020210048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24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521A/ko
Priority to PCT/KR2021/014155 priority patent/WO20221081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zinc, cadmium or mercury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중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래핀(graphene), 이산화티타늄(TiO2), 바인더 등의 혼합물을 고온 압착하여 다양한 형태의 가시광촉매 물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METHOD FOR MANUFACTURING VISIBLE-LIGHT PHOTOCATALYST AND VISIBLE-LIGHT PHOTOCATALYST MANUFACTURED BY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중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래핀(graphene), 이산화티타늄(TiO2), 바인더 등의 혼합물을 열 압착시켜 공기 중의 오염 물질 휘발성 유기화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질소산화물(nitrogen oxide), 박테리아(bacteria), 곰팡이(mold),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도시 집중화로 인하여, 도시의 공기는 매연과 유해 가스로 오염되고 있다. 최근 보고에 따르면 이러한 공기중의 오염 물질은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에 악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은 하루의 8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노출되고 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따르면 실내공기 오염물질이 실외공기 오염물질 보다 인체의 폐에 전달될 확률이 1000배 높으며, 실내외공기 오염증가가 다양한 환경성질환들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실내외공기질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등의 광촉매 물질을 공기필터, 유리, 보도블럭 등의 표면에 코팅 또는 도포하여 실내 공기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 대부분은 자외선에 반응하는 광촉매 물질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가시광선에서는 그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실내 다중이용시설, 대중교통 및 가정내에 사용되는 조명들은 가시광선을 방사하기 때문에 실내환경에 기존 광촉매 기술을 적용했을 때 그 효과는 매우 떨어진다.
또한 실외의 경우, 기존의 광촉매 물질은 야간에 그 반응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공기오염물질 제거효율이 매우 떨어 진다. 따라서 효과적인 실내외 공기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 가시광선에 반응하는 광촉매 물질개발이 요구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온 압착 방식을 이용하여 그래핀(graphene), 이산화티타늄(TiO2), 바인더 등의 혼합물을 고온 압착시켜, 공기 중 유해물질인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질소산화물(nitrogen oxide), 박테리아(bacteria), 곰팡이(mold) 등을 제거하는 다양한 형태의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의 제조 방법은, 바인더, 그래핀(graphene) 및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 단계; 상기 혼합물을 주형물에 담는 주형 단계; 및 상기 주형물을 200-250도에서 압착하는 고온 압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의 제조 방법은, 바인더, 그래핀(graphene) 및 산화아연(ZnO)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 단계; 상기 혼합물을 주형물에 담는 주형 단계; 및 상기 주형물을 200-250도에서 압착하는 고온 압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의 제조 방법은, 금 또는 은 중 어느 하나의 나노입자, 바인더 및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 단계; 상기 혼합물을 주형물에 담는 주형 단계; 및 상기 주형물을 200-250도에서 압착하는 고온 압착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러타일(rutile), 아나타제 (anatase), 브루킷(brookite) 및 P-25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핀은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49.5~75wt%, 상기 그래핀은 0.1~1 wt%,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24.9~49.95 wt%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는, 앞서 상술한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가시광촉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자외선에만 반응하는 이산화티타늄(TiO2) 광촉매 물질에 그래핀(graphene)을 결합하여 가시광선에도 광촉매 반응이 일어날 수 있게 함에 따라, 공기중의 유해물질인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질소산화물(nitrogen oxide), 박테리아(bacteria), 곰팡이(mold) 그리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주형을 제작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시광촉매 물질이 제작이 가능하며, 실내외 건축자재, 조형물, 대중 교통시설 (자동차, 기차 비행기), 보도블럭 등 다양한 시설에 맞추어 쉽게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된 주형물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제 가시광촉매 물질들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과 라미네이트 공정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필름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물질의 유기물 분해시험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물질을 실내 가구에 적용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고온 압착방식을 이용하여 가시광촉매 물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실내외 시설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시광촉매 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은 혼합물 제조 단계(110), 혼합물을 주형물에 담는 단계(130), 주형물에 담긴 혼합물을 고온 압착하는 단계(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서는 이산화티타늄(TiO2), 바인더, 그래핀(graphene)을 소정 비율로 혼합한 뒤, 혼합물의 균일한 분포를 위해 블렌더를 이용하여 30-60분이상 혼합해 준다.
상기 혼합물 중 바인더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이 사용 가능하며, 상기 혼합물에서 상기 바인더가 차지하는 비율은 49.5~75 wt% 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 중 이산화티타늄(TiO2)은 러타일(rutile), 아나타제 (anatase), 브루킷(brookite) 및 P-25 중 어느 하나로 사용 가능하며, 대체 물질로는 아연산화물(ZnO)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혼합물에서 상기 이산화티타늄이 차지하는 비율은 24.9~49.95 wt% 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 중 그래핀은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일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에서 상기 그래핀이 차치하는 비율은 0.1~1wt% 일 수 있다. 고온 압착 단계(150)에서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은 고온의 열에 노출되어 산소분자를 잃게 됨에 따라 그래핀(graphene)으로 환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을 주형물에 담는 단계(130)는 혼합물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그 용도에 따라 주형의 형태는 다양하게 제조가 가능하다. 고온 압착 이후 가시광촉매 물질이 주형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혼합물을 주형물에 담기 전에 몰드 릴리즈 물질을 뿌려줄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된 주형물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주형물은 주형 상, 주형 하 및 주형 측 등의 3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형물의 소재로는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서, 고온 압착 단계(150)는 200-250도 온도에서 혼합물이 든 주형물을 고온 압착 장비에 놓아 상하에서 2톤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압착해 준다.
고온 압착된 상태는 15분 동안 유지되며, 이 과정에 바인딩 물질이 녹아 그래핀과 광촉매 물질과 결합을 한다. 15분뒤 주형을 제거한 뒤 가시광촉매 물질을 상온에서 식혀준다.
상기 온도 조건은 바인더 물질이 녹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이며, 2톤의 압력은 주형물 내 혼합물의 형태 및 밀도를 강화시키는데 요구되어진다. 또한, 15분의 압착시간은 혼합물이 서로 결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다. 장시간의 압착의 경우 혼합물에 있는 바인더 물질이 이산화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있어서 혼합 비율에 따라 가시광촉매의 물성치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물 중 바인더 물질의 비율이 증가하면, 혼합물 물질의 강성이 증가하며, 그래핀(graphene)및 이산화티타늄(TiO2) 비율이 증가하면 광촉매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제 가시광촉매 물질들의 사진이다.
도 3의 좌측 사진과 우측 사진을 참조하면, 주형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과 라미네이트 공정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필름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평평한 주형물을 이용하여 대상 표면에 고온 압착을 가하면 가시광촉매 물질이 대상 표면에 얇게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표면은 나무, 유리, 금속 등 다양한 고체표면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물질의 유기물 분해시험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시광촉매 물질의 유기물 분해시험 방법은, 메틸린 블루(methylene blue)라는 유기물 염색용액 한방울을 가시광촉매 물질의 표면에 떨어뜨린 후 백열등에 노출시켜 유기물 염색용액의 색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이때, 유기물 염색용액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상기 백열등 조사 12시간 후, 파란색을 띠는 염색용액의 색깔이 투명하게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물질이 실내조명에서도 광반응을 하며 오염물질을 제거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물질을 실내 가구에 적용한 사진이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물질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물질제조가 가능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실험예 : 광촉매 특성 평가
실험 방법은 가스백 A법을 이용하여 섭씨 24 ± 2도 및 35 ± 2%의 습도로 수행되었으며, 실험 결과는 표 1에 표시되었다.
[표 1]
Figure pat00001
2. 비교예: 광촉매 특성 평가 (에어텍 사 에어월)
실험 방법은 가스백 A법을 이용하여 섭씨 24 ± 2도 및 35 ± 2%의 습도로 수행되었으며, 실험 결과는 표 2에 표시되었다.
[표 2]
Figure pat00002
3. 광촉매 특성 평가- 포름알데히드 제거 시 농도 변화
실험 방법은 가스백 A법을 이용하여 섭씨 24 ± 2도 및 35 ± 2%의 습도로 수행되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와, 기존 발명(에어텍사의 에어월)을 동일 조건에서 함께 분석하였다. 이때, 포름알데히드 제거능을 확인하기 위해 포름알데이드 농도변화를 명조건과 암조건 하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표 3에 표시되었다.
[표 3]
Figure pat00003
3. 광촉매 특성 평가- 포름알데히드 제거 속도
실험 방법은 가스백 A법을 이용하여 섭씨 24 ± 2도 및 35 ± 2%의 습도로 수행되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촉매와, 기존 발명(에어텍사의 에어월)을 동일 조건에서 함께 분석하였다. 이때, 포름알데히드 제거능을 확인하기 위해 포름알데이드 농도변화를 명조건과 암조건 하에서 각각 측정하였으며, 이때의 포름 알데이드 제거 속도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표시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4

Claims (8)

  1. 바인더, 그래핀(graphene) 및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 단계;
    상기 혼합물을 주형물에 담는 주형 단계; 및
    상기 주형물을 200-250도에서 압착하는 고온 압착 단계;
    를 포함하는,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2. 바인더, 그래핀(graphene) 및 산화아연(ZnO)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 단계;
    상기 혼합물을 주형물에 담는 주형 단계; 및
    상기 주형물을 200-250도에서 압착하는 고온 압착 단계;
    를 포함하는,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3. 금 또는 은 중 어느 하나의 나노입자, 바인더 및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 단계;
    상기 혼합물을 주형물에 담는 주형 단계; 및
    상기 주형물을 200-250도에서 압착하는 고온 압착 단계;
    를 포함하는,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러타일(rutile), 아나타제 (anatase), 브루킷(brookite) 및 P-25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49.5~75wt%, 상기 그래핀은 0.1~1 wt%,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24.9~49.95 wt% 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촉매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가시광촉매.
KR1020200156169A 2020-02-06 2020-11-20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KR20210100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99A KR102322246B1 (ko) 2020-02-06 2021-04-14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PCT/KR2021/014155 WO2022108119A1 (ko) 2020-02-06 2021-10-14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43 2020-02-06
KR20200014243 2020-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521A true KR20210100521A (ko) 2021-08-17

Family

ID=774663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169A KR20210100521A (ko) 2020-02-06 2020-11-20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KR1020210048799A KR102322246B1 (ko) 2020-02-06 2021-04-14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799A KR102322246B1 (ko) 2020-02-06 2021-04-14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10100521A (ko)
WO (1) WO20221081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19A1 (ko) * 2020-02-06 2022-05-27 주식회사 랩엠제로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3484A1 (de) * 1995-09-12 1997-03-13 Basf Ag Monomodale und polymodale Katalysatorträger und Katalysatoren mit engen Porengrößenverteilungen und deren Herstellverfahren
KR101297415B1 (ko) * 2012-09-28 2013-08-19 (주) 뉴웰 프레스 장치를 이용한 펠렛 형태의 촉매 또는 세라믹 성형 방법
KR101440485B1 (ko) * 2013-02-14 2014-09-18 한국기계연구원 그래핀―TiO2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6531B1 (ko) * 2015-07-17 2018-01-0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촉매 복합체 및 그를 이용한 폐수처리 방법
CA2916078C (en) * 2015-12-22 2016-10-11 Envision Sq Inc. Photocatalytic composite material for the decomposition of air pollutants
KR20210100521A (ko) * 2020-02-06 2021-08-17 주식회사 랩엠제로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19A1 (ko) * 2020-02-06 2022-05-27 주식회사 랩엠제로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246B1 (ko) 2021-11-05
WO2022108119A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1344B (zh) 用于标记玻璃和陶瓷表面的油墨组合物
KR100350256B1 (ko) 광촉매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00521A (ko) 가시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시광촉매
DE502004011071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roesem, kohlenstoffbasiertem material
Yu et al. Photocatalytic oxidation for maintenance of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Zanoletti et al. The first sustainable material designed for air particulate matter capture: An introduction to Azure Chemistry
CN106116392A (zh) 室内内墙无机硅藻贝壳粉功能性涂覆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252699B (zh) 一种室内空气净化储光光触媒微球及制备方法
CN108744844B (zh) 一种具有抑菌除甲醛功能的凝胶珠及其制备方法
CN207499278U (zh) 一种可视型除醛壁纸
TWI304085B (en) Nano composite photocatalytic coating
CN103586011A (zh) 超高比表面积mil-101材料的免烧结成型包膜方法
Ghosh et al. Developing scenario of titania-based building materials for environmental remediation
CN105174893B (zh) 一种装饰板及其制备方法
KR102120253B1 (ko) 가시광 활성 광촉매를 포함하는 도료용 조성물
JP2007063083A (ja) ゼオライト固化体及び固化方法
AU2008353902B2 (en) Use of photocatalytically coated particles for decomposition of air pollutants
JP2007056608A (ja) 壁材原料、壁材および壁材原料の製造方法
JP2004188325A (ja) 中空多孔質マイクロカプセル、光触媒マイクロカプセル、アンモニア分解用光触媒マイクロカプセル、光触媒マイクロカプセル含有コーティング組成物、静電塗装用光触媒マイクロカプセル含有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光触媒マイクロカプセル含有皮膜構造体
CN106495556B (zh) 一种改性粘土质湖泥建材及制备方法
JP4088685B2 (ja) 光触媒機能を有する水硬性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259251B2 (ja) 板状通気体及び積層体
WO2017157328A1 (zh) 线性钛氧聚合物、二氧化钛涂层、光催化剂涂层及其制备方法
KR102130373B1 (ko) 광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131842A (ja) 光触媒作用を有する部材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