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473A - 이동 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473A
KR20210100473A KR1020200014505A KR20200014505A KR20210100473A KR 20210100473 A KR20210100473 A KR 20210100473A KR 1020200014505 A KR1020200014505 A KR 1020200014505A KR 20200014505 A KR20200014505 A KR 20200014505A KR 20210100473 A KR20210100473 A KR 20210100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member
camera module
len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517B1 (ko
Inventor
이솔미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주) 코코리색채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코리색채연구소 filed Critical (주) 코코리색채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14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51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광 가이드 부재를 두어서 카메라 촬영시 카메라 모듈 주위에 빛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면서도, 광가이드 부재가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동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필요한 경우에는 광가이드 부재를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로 이동시켜서 광 분산 및 광 경로 변경을 유발하고, 필요없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휴대용 단말기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단말기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이 노출될 수 있게 마련되는 개구부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을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또는 가리지 않도록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을 덮는 제1위치와,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을 덮지 않는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을 가린 경우, 조명 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켜 카메라 모듈 주위로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A portable terminal case comprising movable light guide member }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렌즈 주변에 및 피사체 주변에 조명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폰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 옆에 LED 등으로 구성되는 조명 모듈을 구비한다. 다만, 조명 모듈이 카메라 모듈을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고, 조명모듈에서 나오는 빛의 직진성 등으로 인하여, 조명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이 피사체 및 카메라 모듈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덜 집중되는 광이 불균등 분포가 일어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한국 공개 특허 10-2018-0052374에서는 광 가이드 부재를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하는 사례가 있으나, 이를 휴대용 단말기 표면에 설치하거나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한국 등록 특허 10-1517111호에서는 확산판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플래시의 빛을 확산시켜서 조명의 유효 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을 감싸면서, 카메라 렌즈를 가리지 않도록 개방된 렌즈홀 및 플래시를 가리지 않도록 개방되면서 플래시 소자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굴절시키는 확산장치를 구비하는 배면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개시한다.
다만, 이는 카메라 및 케이스와 일정거리 떨어진 피사체에 조명을 적용할때 사용되는 것이며, 내부 전반사를 이용한 일정 방향의 편향원리를 사용하지 않고, 확대용 광학 렌즈가 포함되지 않는다. 즉,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 피사체에 케이스를 밀착시켜 촬영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 10-2016-0116559 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여기서는 단말기 바디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부가 마련되어 있고, 커버부는 카메라부가 바라보는 대상체에서 반사되는 빛이 카메라부로 입광되도록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빛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메인 렌즈부를 구비하고, 카메라부는 입광되는 빛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기준으로 변화하는 단말기 바디의 이동 정보를 감지한다.
즉, 스마트폰의 플래시 조명 및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 구현을 위한 케이스 및 커버 구성을 주된 주제로 하고 있는데, 위 기술의 경우, 스마트폰 뒷면의 카메라와 일정 거리 떨어진 피사체에 조명을 적용하여 이미지 촬영으로 위치를 판정하며 조명을 비추는 방식이 외부로 굴절 편향을 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피사체에 케이스를 밀착시켜 조명을 비추지 못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15-114659 에서는 판자형 부품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렌즈부와, 렌즈부 이외의 영역에 설치되는 평탄부와, 평탄부 및 측단부의 적어도 어느 부위에 설치되고, 내부에서의 광의 전체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 억제 구조를 갖추는 조명 렌즈 및 촬상 모듈 및 전자 기기가 나타난다.
여기서는 플래시의 방황광 억제를 위해서 리어 커버를 활용하는 조명구조에 대한 내용이 나타난다. 그런데, 위 선행문헌의 경우, 외부 케이스에 적용되는 상황이 아니라, 스마트폰 리어 커버에 적용되어 스마트폰 내부에서의 외란 및 빛이 카메라로 입사되지 않도록 최소화하는 의도로 마련된 것으로서, 플래시 잡광을 잡기 위한 반사/흡수 구성 부품이 별도로 존재한다.
또한, 피사체를 확대하기 위한 확대용 광학 렌즈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편향 패턴이 플래시 광원의 중심에 축 대칭으로 위치하지 않는다. 위 기술에서도 외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피사체에 케이스를 밀착시켜서 촬영을 하는 경우,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 특허 10-2018-0052374 (2018. 5. 18 공개) 한국 등록 특허 10-1517111호 (2015. 5. 4 공고) 한국 공개 특허 10-2016-0116559 (2016. 10. 10 공개) 일본 특허 공개 2015-114659 (2016. 6. 23 공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되, 외부의 빛이나 외란이 유입되어 방해받지 않도록 피사체에 완전히 밀착시켜서 촬영을 하는데 있어서, 광 가이드 부재를 두어서, 카메라 촬영시 카메라 모듈 주위에 빛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여, 피사체와 밀착상태에서도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광가이드 부재가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동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필요한 경우에는 광가이드 부재를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로 이동시켜서 광 분산 및 광 경로 변경을 유발하고, 필요없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단말기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또는 조명 모듈이 한꺼번에 노출되거나 각각 노출될 수 있게 마련되는 개구부와;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조명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을 경로를 변화시켜서 카메라 모듈 주위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광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광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또는 가리지 않도록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덮는 제1위치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덮지 않는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가린 경우, 광가이드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조명 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켜 카메라 모듈 주위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 주위에는 상기 광 가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안내 경로부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 경로부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인접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해서 홈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안내 경로부 내부에 광 가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 경로부의 내측벽과 광 가이드 부재의 외측벽에는 각각 가이드부와 이와 맞물리는 대응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광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광 가이드 부재에는 렌즈 및 렌즈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가이드 부재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렌즈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복수의 요철부가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철부의 배치는 상기 렌즈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가이드 부재는 상기 관통공 옆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회동 운동에 의하여 상기 광 가이드 부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관통공을 덮어서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덮거나 또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덮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가이드 부재에는 렌즈 및 렌즈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광 가이드 부재와 단말기 케이스의 몸체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주위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철부의 배치는 상기 렌즈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렌즈를 가진 광 가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동 이동 가능하게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장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떼었다 붙였다 하는 불편함이 근절되었다.
또한, 전면과 후면에 요철부가 모두 마련됨으로써, 광이 광 가이드 부재 모든 영역으로 퍼질 수 있고, 렌즈 주위에 균일하게 퍼짐으로써, 전체적으로 밝고 균일한 조도가 확보되어 접사된 촬영물의 품질이 개선된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되, 외부의 빛이나 외란이 유입되어 방해받지 않도록 피사체에 완전히 밀착시켜서 촬영을 하는데 있어서, 광 가이드 부재를 두어서, 카메라 촬영시 카메라 모듈 주위에 빛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여, 피사체와 밀착상태에서도 피사체에 대한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광 가이드 부재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광 가이드 부재가 카메라 모듈과 조명 모듈을 가리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광 가이드 부재가 카메라 모듈과 조명 모듈을 가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6(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광 가이드 부재가 카메라 모듈과 조명 모듈을 가리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광 가이드 부재가 카메라 모듈과 조명 모듈을 가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도11(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광 가이드 부재가 카메라 모듈과 조명 모듈을 가리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1(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광 가이드 부재가 카메라 모듈과 조명 모듈을 가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이하, 케이스라 한다)(30)에는 카메라 모듈(10)과 조명 모듈(20)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예, 스마트폰)(1)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케이스(30)에는 이러한 카메라 모듈(10)과 조명 모듈(20)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구부(40)가 마련된다. 개구부(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될 수 있으나, 통상 카메라 모듈(10)과 조명 모듈(20)이 휴대용 단말기(1)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배치를 고려하여, 개구부(40)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구부(40)는 하나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10)과 조명모듈(20)이 한꺼번에 노출되게 하거나, 또는 분리되어 복수개로 마련되어 카메라 모듈(10)과 조명모듈(20)이 각각 노출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40)는 다시 홈 형태의 안내 경로부(50)에 의하여 둘러싸이는데, 안내 경로부(50)의 높이와 폭은 개구부(40)에 비해서 크게 형성되며, 안내 경로부(50)에는 광 가이드 부재(1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안내 경로부(50)에 의하여 광 가이드 부재(100)는 카메라 모듈(10)과 조명 모듈(20)을 덮거나(제1 위치) 또는 덮지 않도록(제2위치)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 가이드 부재(100)는 카메라 모듈(10)만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가리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조명 모듈(20)은 광 가이드 부재(100)에 의하여 항상 가려져 있거나 아니면 부분적으로 가려져 있을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조명 모듈(20)에서 출사되는 빛의 경로를 변화시켜서 카메라 모듈(10) 근처로 광을 분산시켜서 카메라 모듈(10)로 빛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입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광 가이드 부재(100)가 카메라 모듈(10)을 덮도록 한다(제1위치). 이 상태에서 조명 모듈(20)은 가려져 있을 수도 있고 그러지 않을 수도 있다.
그 상태에서, 그러한 동작이 필요없는 경우(주위 환경이 매우 밝아서 조명 모듈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광 가이드 부재(100)를 움직여서 카메라 모듈(10)과 조명 모듈(20) 옆으로 이동시킨다(제2위치).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개구부(40) 및 안내 경로부(50)는 케이스의(30) 일측(상부측) 표면에 치우쳐지게 형성된다. 안내 경로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홈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안내 경로부(50) 내부에는 개구부(40)가 일측(도2에서는 좌측)으로 치우쳐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40)의 옆에는 막혀 있는 지지면(60)이 마련되어 있다.
안내 경로부(50)의 내측벽(51)은 개구부(40) 및 지지면(60)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안내 경로부(50) 내부에는 광 가이드 부재(1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 경로부(50)를 따라서 개구부(40)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40)를 덮어서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10)(및 조명 모듈(20))을 덮거나 또는 지지면(60)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40)를 개방시키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10) (및 조명 모듈(20))을 덮지 않는 배치가 가능해진다.
한편, 광 가이드 부재(100)의 측면에는 가이드부(예, 레일, 또는 슬라이드 홈)(104)가 마련되고, 내측벽(51)에는 가이드부(104)와 맞물려서 광 가이드 부재(1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대응 가이드부(예, 레일이 끼워지는 홈, 또는 슬라이드 홈에 끼워지는 레일)(52)가 마련된다.
한편, 내측벽(51)이나 지지면(61)에는 광 가이드 부재(100)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단턱부와 같은 고정부(6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케이스(30)가 움직이거나 흔들리면, 광 가이드 부재(100)가 의도와 다르게 움직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광 가이드 부재(100)가 카메라 모듈(10)(및 조명 모듈(20))을 가린 상태에서 이를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또는 광 가이드 부재(100)가 카메라 모듈(10)(및 조명 모듈(20))을 가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를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안내 경로부(50) 내부에 있는 내측벽(51)이나 또는 지지면(60)에는 돌출된 단턱 또는 돌기 형태의 고정부(61)가 마련되어 일정 외력 이상으로 힘을 가하여 광 가이드 부재(100)를 움직이지 않는 이상, 광 가이드 부재(100)가 고정부(61)에 의하여 현재 있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일종의 트럭이나 자동차에서 고임목과 같은 역할과 유사하다).
도면에서는 고정부(61)가 지지면(60)에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내측벽(51)에도 설치 가능하며, 단턱이나 돌기 형태로 가능하다.
상기 광 가이드 부재(100)는 블록 구조로 마련되며, 그 표면에는 카메라 모듈(10)에 매칭되는 렌즈(미도시) 및 렌즈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미도시)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03)이 마련된다.
보호 부재는 수용 공간의 최외면에 배치되고, 보호 부재 안쪽에는 렌즈가 설치된다.
한편, 수용 공간(또는 보호부재, 렌즈)(103)의 주변에는 조명 모듈(20)에서 출사되는 빛의 경로를 변화(굴절, 반사 등) 시켜서 렌즈 주위를 밝게 하는 요철부(110, 120)가 마련된다.
한편, 안내 경로부(50)의 테두리에도 슬롯 같은 부분이 형성되고, 광 가이드 부재(100)의 측면 테두리에는 슬롯에 끼워지는 테두리 돌출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03)은 광 가이드 부재(100)에 약간 치우쳐지게 마련된다. 다만, 이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모듈(10)과 조명 모듈(20)의 배치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므로, 그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철부(110, 120)는 수용공간(103)(또는 보호부재, 렌즈)를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상호 이격된 형태로 복수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요철부(110,120)의 단면은 수용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가 상호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3과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장소가 어두우면서 접사 촬영이 필요한 경우 또는 피사체에 완전하게 밀착시켜서 촬영하는 경우(예, 피부 표면 촬영 등) 광 가이드 부재(100)를 개구부(4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광 가이드 부재(100)에 마련되는 수용 공간(103) 및 렌즈가 카메라 모듈(10)을 덮도록 하고, 광 가이드 부재(100)의 표면에 있는 요철부(110)가 조명 모듈을 덮도록 한다.
광 가이드 부재(100)를 개구부(40)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시키면, 광 가이드 부재(100)를 고정부(61)가 지지하여,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광 가이드 부재(100)가 원위치(광 가이드 부재(100)가 지지면(60)에 있었던 위치)로 돌아가지 않는다.
피사체에 완전히 밀착시켜서 촬영하는 경우에는 광 가이드 부재(100)의 외부 표면이 피사체에 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명 모듈(20)을 on 시키면 조명 모듈(20)에서 출사되는 빛이 요철부(110)에 입사되면서 반사되거나, 굴절되고, 더 나아가 광 가이드 부재(100) 내부에서 무수한 난반사 및 굴절이 일어나면서, 수용 공간(103) 주위, 즉, 렌즈 주위를 균등하게 밝게 한다.
그리고, 촬영 장소가 밝아져서 굳이 광 가이드 부재(100)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광 가이드 부재(100)를 지지면(60) 쪽으로 이동시켜서 카메라 모듈(10)과 조명 모듈(20)을 덮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도 광 가이드 부재(100)가 고정부(61)에 걸리게 함으로써, 고정부(61)에 의하여 광 가이드 부재(100)가 예기치 않게 개구부(4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가이드 부재(100)가 개구부(40) 앞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카메라 모듈(10)의 앞에 수용 공간(103)에 있는 렌즈(140)가 위치하고, 조명 모듈(20) 앞에 요철부(110)가 위치한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10)은 내장 렌즈(11)와, 이미지 센서(12)를 포함하고 있으며, 조명 모듈(20)은 LED와 같은 광원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10)은 단말기 내부에 설치된 영상 처리부(2) 및 제어부(3)와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되고, 영상이 처리되도록 한다. 또한, 조명 모듈(20)도 제어부(3)와 연결되어 제어부(3)의 제어에 의하여 on/off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 공간(103)의 내부에는 렌즈(140) 후방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130)가 마련되어 있으며, 렌즈(130)의 전방에도 렌즈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140)가 마련되어 있다. 제1지지부재(130)와 제2지지부재(150)는 상호 결합(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지지부재(130)의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여 수용공간(103)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나사결합이 되어서 렌즈(1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재(150)의 가운데에는 제1관통홀(151)이 형성되어 있고, 제1지지부재(130)의 가운데에는 제2관통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빛은 피사체(P)- 제1관통홀(151) - 렌즈(140) - 제2관통홀(131)의 순으로 들어와서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10)로 들어간다.
피사체(P)는 광 가이드 부재(100)에 밀착되게 촬영한다. 여기서 피사체(P)는 사람의 피부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으며, 이를 근접 촬영 하기 위해서 피사체(P)를 광가이드 부재(100)에 밀착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사체(P)와 광 가이드 부재(100)가 밀착되면, 그 틈(간격)이 없어지므로 외부의 빛이나 노이즈가 차단되어 유입될 여지가 없어진다. 본 발명은 피사체와 광 가이드부재가 이격되어 촬영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고, 피사체를 밀착시켜서 촬영함으로써 피부 등의 색채나 상태를 촬영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여기서 제1관통홀(151)의 크기는 제2관통홀(131)의 크기에 비해서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카메라 모듈(10)과 렌즈(140)에 의하여 결정되는 화각(angle of view)에 의하여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130)는 수용 공간(103) 내부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제2관통홀(131)과 연통되며 렌즈(140)가 배치되도록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렌즈 지지부(132)와, 렌즈 지지부(132)의 앞쪽에 배치되어 보호 부재(150)가 장착되는 단차진 형태의 장착부(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13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벽에도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이들간에 나사 결합에 의하여 제1지지부재(130)와 수용공간 내벽간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렌즈(140)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지지부재(130)와 제2지지부재(150)간에도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지지부재(150)의 외주면과, 제1지지부재(130) 내주면에도 각각 상호 맞물림이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150)는 몸체부와, 렌즈(140)의 테두리를 둘러싸서 렌즈(140)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152)와, 몸체부의 정중앙에 마련되는 안쪽 표면이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는 제1관통홀(151)을 포함한다.
한편, 제2지지부(150)의 앞에는 투명한 판과 같은 보호부재(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요철부(110,120)는 광 가이드 부재(100)의 전면 표면(바깥쪽)과, 후면 표면(안쪽, 조명 모듈와 인접한 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10)를 편의상 제1요철부(110)라고 하고, 전면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20)를 편의상 제2요철부(120)라고 하자. 제1요철부(110)는 산과 골이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배치되되, 산 및 골을 형성하는 경사면(111,112)은 모두 좌우 대칭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조명 모듈(20)로부터 입사된 광을 고르게 굴절시키기 위함이며, 광 가이드 부재(100) 내부 전체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제2요철부(120)는 렌즈(140) 방향으로는 수직면(122)이 형성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경사면(121)이 형성되는데, 이는 경사면(121)으로 입사되는 빛이 경사면(121)을 맞고 반사되어 렌즈(140) 주위로 이동하여 렌즈(140)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제1요철부(110)와 제2요철부(120)는 위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요철부(110, 120)가 모두 양쪽에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가능할 수도 있고, 또는 한쪽은 수직면, 한쪽은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가능할 수도 있다.
도5에서는 조명 모듈(20)이 카메라 모듈(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조명 모듈(20)에서 나온 빛들이 광 가이드 부재(100)내부에서 경로가 다양한 방향으로 변하고, 그 광 중의 일부는 카메라 모듈(10)의 타측방향까지 전달되어 카메라 모듈(10) 근처 주위를 전반적으로 밝게 할 수 있다.
도6 내지 도 7은 광 가이드 부재(110')의 슬라이드 동작이 케이스(30')에서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개구부(4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안내 경로부(50)도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개구부(40') 및 안내 경로부(5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예, 고정부(61'), 안내부(101'), 대응 안내부(52'), 지지면(60'), 광 가이드 부재(100'))은 도1 내지 도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가이드 부재(100')에 의한 광 분산 및 근접 촬영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광 가이드 부재(100')를 아래로 내려서 광 가이드 부재(100')가 카메라 모듈(10) 및 조명 모듈(20)을 가리지 않게 하고(제2위치), 광 분산 및 근접 촬영이 필요한 경우에는 광 가이드 부재(100')를 위로 올려서 광 가이드 부재(100')가 카메라 모듈(10) 및 조명 모듈(20)을 가리게 한다.
도8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가이드 부재(2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회동 운동을 한다.
이를 위해서 광 가이드 부재(200)는 개구부(40") 옆에 회동 할 수 있도록 회동 지지된다.
도9와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가이드 부재(200)는 두 개로 분리되는 몸체부(201;201a, 201b)를 포함하며, 몸체부(201)의 후면에는 제1요철부(210)가 마련되고, 몸체부(201)의 전면에는 제2요철부(220)가 마련된다.
그리고 몸체부(220)에는 수용공간(203)이 마련되고, 수용 공간(203) 내부에는 렌즈(240), 렌즈 지지부(230), 보호 부재(250)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수용 공간(2030) 내부의 렌즈(240), 제1지지부재(230), 제2지지부재(250)의 위치 및 결합상태는 도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제1,2요철부(210, 220)는 수용 공간(203)을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부(201)의 일측에는 광 가이드 부재(200)와 케이스(3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204, 205)가 마련된다. 한편, 케이스(30")에는 연결부재(204, 205)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70)이 마련되고, 광 가이드 부재(200)의 일측에는 제2삽입공(202)이 마련된다. 제1삽입공(70)의 주위에는 돌출 테두리부(71)가 마련되어 광 가이드 부재의 제2삽입공(202)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삽입공(70) 주위(돌출 테두리부(71) 주위)에는 돌기 형태의 고정부(80)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2삽입공(202) 주변에는 고정부(80)가 삽입되는 고정홈(미도시)이 마련된다.
여기서 고정홈과 고정부(80)의 배치 위상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부(80)가 고정홈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광 가이드 부재(100)의 위치가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고, 일정 외력 이상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다.
한편, 연결부재(204, 205)는 케이스(30") 내부에서 케이스(30") 바깥으로 끼워져서 제1삽입공(70)을 통과하고 제2삽입공(202)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1연결부재(수나사 형태)(204)와, 제2삽입공(202) 방향에서 제1삽입공(70) 방향으로 끼워져면서 제1연결부재(204, 20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연결부재(암나사 형태)(205)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연결부재(204)와 제2연결부재(205) 사이에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206)가 마련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06)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 형태의 고정부(80)가 고정홈 이외의 자리에 있다가, 고정홈과 매칭되는 위치가 되면, 탄성 부재(206)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고정홈에 고정부(80)가 딱 끼워질 수 있고, 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고정부(80)가 고정홈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10에서 광가이드 부재(200)가 카메라 모듈 및 조명 모듈을 가린 상태로 빛을 카메라 모듈로 보내서 그 주위를 균일하게 밝히는 것은 도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구체적인 설명은 도5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하겠다.
밝은 환경에 있는 경우, 광 가이드 부재(200)에 의한 광 분산 및 광 경로 변경이 필요 없으므로, 도11(a) 처럼, 광 가이드 부재(200)의 위치가 개구부(40")에서 이격되어 있어서, 광 가이드 부재(200)가 카메라 모듈(10) 및 조명 모듈(20)을 가리지 않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고정부(80)와 고정홈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그 위치가 고정된다(제2위치).
한편, 어두운 환경에서 접사촬영이 필요한 경우 또는 피사체에 광가이드 부(200)를 완전히 밀착시켜서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광 가이드 부재(200)를 회전시켜서 도11(b)와 같은 상태로 그 위치를 변경시킨다.
도10 및 11(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광 가이드 부재(200)가 개구부(40") 앞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카메라 모듈(10)의 앞에 수용 공간(203)에 있는 렌즈(240)가 위치하고, 조명 모듈 (20)앞에 요철부(210)가 위치한다.
상기 수용 공간(203)의 내부에는 렌즈(240)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제1 지지부재(230)가 마련되어 있으며, 렌즈(240)의 전방에도 렌즈(240)를 지지하는 제2지지 부재(250)가 마련되어 있다. 제1지지부재(230)와 렌즈(240)와 제2지지부재(250)는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결합상태는 도5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재(250)의 가운데에는 제1관통홀(251)이 형성되어 있고, 제1지지부재(230)의 가운데에는 제2관통홀(2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빛은 피사체-제1관통홀(251) - 렌즈(240) - 제2관통홀(231)의 순으로 들어와서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10)로 들어간다.
한편, 여기서 제1관통홀(251)의 크기는 제2관통홀(231)의 크기에 비해서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카메라 모듈(10)과 렌즈(20)에 의하여 결정되는 화각(angle of view)에 의하여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230)는 수용 공간 내부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고 제2관통홀(231)과 연통되며 렌즈(240)가 배치되도록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렌즈 지지부(232)와, 렌즈 지지부(232)의 앞쪽에 배치되어 제2지지 부재(250)가 장착되는 단차진 형태의 장착부(2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250)는 몸체부와, 렌즈(240)의 테두리를 둘러싸서 렌즈(240)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252)와, 몸체부의 정중앙에 마련되는 안쪽 표면이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는 제1관통홀(25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지지부재(250) 앞에는 투명한 재질의 판 형태의 보호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요철부(210,220)는 광 가이드 부재의 전면 표면(바깥쪽)과, 후면 표면(안쪽, 조명 모듈과 인접한 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요철부(210)는 산과 골이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배치되되, 산 및 골을 형성하는 경사면(211,212)은 모두 좌우 대칭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조명 모듈(20)로부터 입사된 광을 고르게 굴절시키기 위함이며, 광 가이드 부재(200) 내부 전체로 광을 확산 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제2요철부(220)는 렌즈 방향으로는 수직면(222)이 형성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경사면(221)이 형성되는데, 이는 경사면(221)으로 입사되는 빛이 경사면을 맞고 반사되어 렌즈(240) 주위로 이동하여 렌즈(240)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제1요철부(210)와 제2요철부(220)는 위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요철부(210,220)가 모두 양쪽에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가능할 수도 있고, 또는 한쪽은 수직면, 한쪽은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가능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100', 200: 광 가이드 부재 110, 210: 제1요철부
120, 220: 제2요철부 130, 230: 제1지지 부재
140, 240: 렌즈 150, 250: 제2지지부재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단말기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또는 조명 모듈이 한꺼번에 노출되거나 각각 노출될 수 있게 마련되는 개구부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조명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을 경로를 변화시켜서 카메라 모듈 주위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광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또는 가리지 않도록 움직일 수 있게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덮는 제1위치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덮지 않는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가린 경우, 광가이드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조명 모듈에서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켜 카메라 모듈 주위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주위에는 상기 광 가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안내 경로부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 경로부는 개구부 및 개구부의 인접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해서 홈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안내 경로부 내부에 광 가이드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로부의 내측벽과 광 가이드 부재의 외측벽에는 각각 가이드부와 이와 맞물리는 대응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광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광 가이드 부재에는 렌즈 및 렌즈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부재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렌즈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복수의 요철부가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배치는 상기 렌즈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부재는 상기 관통공 옆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회동 운동에 의하여 상기 광 가이드 부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관통공을 덮어서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덮거나 또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덮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 부재에는 렌즈 및 렌즈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광 가이드 부재와 단말기 케이스의 몸체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주위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배치는 상기 렌즈 및 지지부재를 둘러싸는 동심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20200014505A 2020-02-06 2020-02-06 이동 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2319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05A KR102319517B1 (ko) 2020-02-06 2020-02-06 이동 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05A KR102319517B1 (ko) 2020-02-06 2020-02-06 이동 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473A true KR20210100473A (ko) 2021-08-17
KR102319517B1 KR102319517B1 (ko) 2021-10-29

Family

ID=7746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505A KR102319517B1 (ko) 2020-02-06 2020-02-06 이동 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51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2031A1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KR200466864Y1 (ko) * 2013-02-01 2013-05-16 박근영 플래시 광량 조절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40022224A (ko) * 2012-08-13 2014-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KR101517111B1 (ko) 2014-01-07 2015-05-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산판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JP2015114659A (ja) 2013-12-13 2015-06-22 ヒ ハン、ドン パネル取り付けユニットと、これを有するパネル取り付け装置及びパネル取り付け方法
KR20160116559A (ko) 2015-03-30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07861B1 (ko) * 2015-09-21 2017-02-17 신요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근접촬영장치 및 그 근접촬영용 외장 광학모듈
KR20180052374A (ko) 2016-11-10 2018-05-18 주식회사 소너리티 휴대단말기용 반려동물 피부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2031A1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KR20140022224A (ko) * 2012-08-13 2014-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KR200466864Y1 (ko) * 2013-02-01 2013-05-16 박근영 플래시 광량 조절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JP2015114659A (ja) 2013-12-13 2015-06-22 ヒ ハン、ドン パネル取り付けユニットと、これを有するパネル取り付け装置及びパネル取り付け方法
KR101517111B1 (ko) 2014-01-07 2015-05-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산판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160116559A (ko) 2015-03-30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07861B1 (ko) * 2015-09-21 2017-02-17 신요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근접촬영장치 및 그 근접촬영용 외장 광학모듈
KR20180052374A (ko) 2016-11-10 2018-05-18 주식회사 소너리티 휴대단말기용 반려동물 피부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517B1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861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근접촬영장치 및 그 근접촬영용 외장 광학모듈
US10139712B2 (en) Magnification-purpose external optical module external to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and magnification image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422353B2 (en) Light-emitting device for image taking and image-taking apparatus having same
US7424216B2 (en) Camera flash diffuser for macro photography
US20140226300A1 (en) Accessori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1377643B1 (ko) 휴대폰용 마이크로스코프
US20070057164A1 (en) Scheimpflug normalizer
US8913886B2 (en) Photographic device
JPWO2018055722A1 (ja) 映像投射照明装置
US20230075148A1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102319517B1 (ko) 이동 가능한 광 가이드 부재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9989833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9313378A (zh) 摄像装置
JP2002199253A (ja) 書画カメラの原稿照明装置
JP2553941Y2 (ja) 近接撮影用アダプタ装置
KR20120105229A (ko) 보호덮개를 구비한 씨씨티비 카메라
JP6685748B2 (ja) 光学機器
JP2009219019A (ja) 撮像装置及びアダプタ
JP6674277B2 (ja) 照明用アダプタ
KR200389293Y1 (ko) 적외선 엘이디가 장착되는 돔형 감시카메라
JP6674276B2 (ja) 照明用アダプタ
TWI622847B (zh) 廣角照明裝置
JP2021189262A (ja) レンズユニット
JP2005062677A (ja) ファインダー内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20074049A (ja) 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