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308A -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308A
KR20210100308A KR1020200014115A KR20200014115A KR20210100308A KR 20210100308 A KR20210100308 A KR 20210100308A KR 1020200014115 A KR1020200014115 A KR 1020200014115A KR 20200014115 A KR20200014115 A KR 20200014115A KR 20210100308 A KR20210100308 A KR 20210100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sleeve
inner space
curved
reinforcing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233B1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이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연 filed Critical 이태연
Priority to KR102020001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2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1본체; 제1본체에 대향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2본체; 제1본체와 제2본체가 맞대어 형성된 내측공간에 일정 높이로 인입 형성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격자가 형성되며 격자내에 배수홀이 배열되어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격벽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원통형의 지지보스가 배열 형성되고, 상단에 재배토가 적층되어 작물이 식재되는 재배트레이; 및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바닥면을 횡방향으로 밀착하여 감싸는 결합리브와, 결합리브에 높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한쌍의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제1본체의 절단된 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제2본체의 절단된 측면에는 체결홈에 인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체결홈 및 체결구의 끼움방식에 의해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상호 결합되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Cultivator for Urban Large Garden Farming}
본 발명은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교한 구조로 제품을 생산하며, 전체 크기를 줄여 물류특성상 보관 및 유통을 쉽도록 할 수 있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시 건물 옥상이나 지상에 설치하여 도시형 작물재배를 수행할 수 있는 재배장치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2015-01033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형 화분을 활용하거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000418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흡수포를 활용하여 작물을 재배한다.
한편, 소규모 텃밭재배를 위해서는 화분이나 흡수포를 통해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나, 대형 또는 대규모 도시형 작물재배를 위해서는 대형 재배장치가 필요한데, 이를 제조하고 운반하고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크기로 인해 정교한 구조로 제품을 제조하기 어렵고 운반과 보관이 쉽지 않고, 또한 내구성 및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이에, 정교한 구조로 제품을 생산하며, 전체 크기를 줄여 물류특성상 보관 및 유통을 쉽도록 할 수 있는 재배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03390호 (무동력 관수 화분)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0004183호 (자동 물공급 새싹 재배기)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교한 구조로 제품을 생산하며, 전체 크기를 줄여 물류특성상 보관 및 유통을 쉽도록 할 수 있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대향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2본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맞대어 형성된 내측공간에 일정 높이로 인입 형성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격자가 형성되며 상기 격자내에 배수홀이 배열되어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격벽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원통형의 지지보스가 배열 형성되고, 상단에 재배토가 적층되어 작물이 식재되는 재배트레이; 및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바닥면을 횡방향으로 밀착하여 감싸는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리브에 높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한쌍의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의 절단된 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의 절단된 측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인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 및 상기 체결구의 끼움방식에 의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상호 결합되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대향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2본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맞대어 형성된 내측공간에 일정 높이로 인입 형성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격자가 형성되며 상기 격자내에 배수홀이 배열되어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격벽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원통형의 지지보스가 배열 형성되고, 상단에 재배토가 적층되어 작물이 식재되는 재배트레이; 및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바닥면을 횡방향으로 밀착하여 감싸는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리브에 높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한쌍의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인서트금형에 사출 성형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를 맞대어 삽입한 후 맞댄 중간영역에 상기 인서트금형을 통해 연결리브를 사출 성형하여, 상기 연결리브를 통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일체형으로 상호 결합시키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의 보강리브는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의 보강리브는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보강리브와 상기 제2본체의 보강리브는 상호 맞대어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의 슬리브는 한쌍으로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슬리브와, 상기 제2본체와 접하는 저면에 형성되는 단수의 중단 슬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본체의 슬리브는 한쌍으로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슬리브와, 상기 제1본체와 접하는 저면에 형성되는 단수의 중단 슬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외측 슬리브 사이 공간과, 상기 제1본체의 중단 슬리브 및 상기 제2본체의 중단 슬리브의 사이 공간과, 상기 제2본체의 외측 슬리브 사이 공간에 해당 결합리브가 인입되어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저면과 각각 나사체결되어 상기 다리부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의 저면에는 회전식 높이조절 노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보스의 저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가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의 양종단은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바닥면과 일부 측면을 부드럽게 감싸는 형상으로 라운드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를 반본체로 분할하여 사출성형한 후 끼움방식에 의해 조립하여 정교한 구조로 제품을 생산하며, 전체 크기를 줄여 물류특성상 보관 및 유통을 쉽도록 하고, 보강리브와 슬리브의 교차형성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를 반본체로 분할하여 사출성형한 후 인서트금형에 의해 연결리브를 이중사출하여 결합시켜서, 정교한 구조로 제품을 생산하며, 지지다리와 트레이 등은 사용 전에 분리된 상태에서 전체 크기를 줄여 물류특성상 보관 및 유통을 쉽도록 하고, 보강리브와 슬리브의 교차형성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본체를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재배트레이를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다리부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적용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9의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9의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다리부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를 구성하는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와 재배트레이(130)와 다리부(140)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본체(110)는 반본체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111)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의 양단(112)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어 결합리브(141)가 밀착되도록 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113)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114)가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의 일측에는 배수홀(1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본체(110)의 보강리브(111)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본체(120)의 보강리브(121)와 상호 맞대어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111)와 슬리브(114)는 상호 직각으로 교차 형성되어서 본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스커트(113)는 운반을 쉽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제2본체(120)는 제1본체(110)에 대향하여 형성된 반본체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121)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의 양단(122)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어 결합리브(141)가 밀착되도록 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123)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124)가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125)(도 2 참조)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본체(120)의 보강리브(121)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본체(110)의 보강리브(111)와 상호 맞대어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121)와 슬리브(124)는 상호 직각으로 교차 형성되어서 본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재배트레이(130)는 상단에 재배토가 적층되어 작물이 식재되는 받침대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맞대어 형성된 내측공간에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인입 형성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격자(131)가 형성되며 격자(131)내에 배수홀(132)이 배열되어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격벽(133)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바닥면을 지지하는 원통형의 지지보스(134)가 배열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의 (b)를 참고하면, 지지보스(134)의 저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134a)가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서 배수홀(132)과 배수통로(134a)를 통해 배수를 유도하고, 보강격벽(133)은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의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된 언저리(A)에 얹혀져서 격자(131)와 보강격벽(133)을 통해 재배토와 작물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 다리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의 바닥면의 슬리브(114,124) 사이 공간을 횡방향으로 밀착하여 감싸는 결합리브(141)와, 결합리브(141)에 높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한쌍의 지지다리(142)로 구성되어서, 건물 옥상(도 8 참조) 또는 지상에 일정 높이로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해충이나 외부오염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고하면, 결합리브(141)의 양종단은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의 바닥면과 일부 측면인 코너영역을 부드럽게 감싸는 형상으로 라운드져 형성되어서,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특성상 외풍에 의한 좌우 미세한 흔들림을 방지하여 작물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다리(142)의 저면에는 회전식 높이조절 노브(143)가 형성되어서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설치환경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10)의 절단된 측면에는 체결홈(116)이 형성되고, 제2본체(120)의 절단된 측면에는 체결홈(116)에 인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구(126)가 형성되어, 체결홈(116) 및 체결구(126)의 끼움방식에 의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가 상호 결합되어서, 재배트레이(130) 안착을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도 3의 (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10)의 슬리브(114)는 한쌍으로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슬리브(114a)와, 제2본체(120)와 접하는 저면에 형성되는 단수의 중단 슬리브(114b)로 구성되고, 제2본체(120)의 슬리브(114)는 한쌍으로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슬리브(124a)와, 제1본체(110)와 접하는 저면에 형성되는 단수의 중단 슬리브(124b)로 구성되고, 제1본체(110)의 외측 슬리브(114a) 사이 공간과, 제1본체(110)의 중단 슬리브(114b) 및 제2본체(120)의 중단 슬리브(114b)의 사이 공간과, 제2본체(120)의 외측 슬리브(124a) 사이 공간에 해당 결합리브(141)가 인입되어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의 저면과 각각 나사체결되어 다리부(140)와 고정되면서, 제1본체(110)의 중단 슬리브(114b) 및 제2본체(120)의 중단 슬리브(114b)의 사이 공간에 결합되는 결합리브(141)에 의해 제1본체(110)와 제2본체(120)의 끼움결합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구성에 의해서, 본체를 반본체로 분할하여 사출성형한 후 끼움방식에 의해 조립하여 정교한 구조로 제품을 생산하며, 전체 크기를 줄여 물류특성상 보관 및 유통을 쉽도록 하고, 보강리브와 슬리브의 교차형성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를 구성하는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와 재배트레이(130)와 다리부(240)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본체(210)는 반본체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211)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의 양단(212)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어 결합리브(241)가 밀착되도록 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213)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214)가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의 일측에는 배수홀(2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본체(210)의 보강리브(211)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본체(220)의 보강리브(221)와 상호 맞대어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211)와 슬리브(214)는 상호 직각으로 교차 형성되어서 본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스커트(213)는 운반을 쉽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제2본체(220)는 제1본체(210)에 대향하여 형성된 반본체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221)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의 양단(222)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어 결합리브(241)가 밀착되도록 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223)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224)가 돌출 형성되고,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2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본체(220)의 보강리브(221)는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본체(210)의 보강리브(211)와 상호 맞대어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221)와 슬리브(224)는 상호 직각으로 교차 형성되어서 본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재배트레이(130)는 상단에 재배토가 적층되어 작물이 식재되는 받침대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재배트레이와 동일한 구조로서, 이를 참조하면,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가 맞대어 형성된 내측공간에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인입 형성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격자(131)가 형성되며 격자(131)내에 배수홀(132)이 배열되어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격벽(133)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바닥면을 지지하는 원통형의 지지보스(134)가 배열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의 (b)를 참고하면, 지지보스(134)의 저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134a)가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서 배수홀(132)과 배수통로(134a)를 통해 배수를 유도하고, 보강격벽(133)은 제1본체(210) 및 제2본체(220)의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된 언저리(A)에 얹혀져서 격자(131)와 보강격벽(133)을 통해 재배토와 작물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 다리부(2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210) 및 제2본체(220)의 바닥면의 슬리브(214,224) 사이 공간을 횡방향으로 밀착하여 감싸는 결합리브(241)와, 결합리브(241)에 높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한쌍의 지지다리(242)로 구성되어서, 건물 옥상 또는 지상에 일정 높이로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해충이나 외부오염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리브(241)의 양종단은 제1본체(210) 및 제2본체(220)의 바닥면과 일부 측면인 코너영역을 부드럽게 감싸는 형상으로 라운드져 형성되어서, 제1본체(210) 및 제2본체(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특성상 외풍에 의한 좌우 미세한 흔들림을 방지하여 작물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다리(242)의 저면에는 회전식 높이조절 노브(243)가 형성되어서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설치환경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금형(250)에 사전에 사출 성형된 제1본체(210) 및 제2본체(220)를 맞대어 삽입한 후 맞대 중간영역에 인서트금형(250)을 통해 연결리브(260)를 맞대어진 제1본체(210) 및 제2본체(220) 외곽에 사출주입공(251)을 통해 사출 성형하여, 연결리브(260)를 통해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를 상호 결합시켜서,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를 재배트레이(130) 안착을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한다.
즉, 도 10의 (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된 연결리브(260)의 인서트홈(261)에 제1본체(210) 및 제2본체(220)가 맞대어져 결합 형성되어서, 별도의 끼움방식이 아닌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210)의 슬리브(214)는 한쌍으로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슬리브(214a)와, 제2본체(220)와 접하는 저면에 형성되는 단수의 중단 슬리브(214b)로 구성되고, 제2본체(220)의 슬리브(214)는 한쌍으로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슬리브(224a)와, 제1본체(210)와 접하는 저면에 형성되는 단수의 중단 슬리브(224b)로 구성되고, 제1본체(210)의 외측 슬리브(214a) 사이 공간과, 제1본체(210)의 중단 슬리브(214b) 및 제2본체(220)의 중단 슬리브(214b)의 사이 공간과, 제2본체(220)의 외측 슬리브(224a) 사이 공간에 해당 결합리브(241)가 인입되어 제1본체(210) 및 제2본체(220)의 저면과 각각 나사체결되어 다리부(240)와 고정되면서, 제1본체(210)의 중단 슬리브(214b) 및 제2본체(220)의 중단 슬리브(214b)의 사이 공간에 결합되는 결합리브(241)에 의해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의 끼움결합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의 구성에 의해서, 본체를 반본체로 분할하여 사출성형한 후 인서트금형에 의해 연결리브를 이중사출하여 결합시켜서, 정교한 구조로 제품을 생산하며, 전체 크기를 줄여 물류특성상 보관 및 유통을 쉽도록 하고, 보강리브와 슬리브의 교차형성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제1본체 111 : 보강리브
112 : 바닥면 양단 113 : 스커트
114 : 슬리브 115 : 배수홀
116 : 체결홈 120 : 제2본체
121 : 보강리브 122 : 바닥면 양단
123 : 스커트 124 : 슬리브
125 : 배수홀 126 : 체결구
130 : 재배트레이 131 : 격자
132 : 배수홀 133 : 보강격벽
134 : 지지보스 140 : 다리부
141 : 결합리브 142 : 지지다리
143 : 높이조절 노브
210 : 제1본체 211 : 보강리브
212 : 바닥면 양단 213 : 스커트
214 : 슬리브 215 : 배수홀
220 : 제2본체 221 : 보강리브
222 : 바닥면 양단 223 : 스커트
224 : 슬리브 225 : 배수홀
240 : 다리부 241 : 결합리브
242 : 지지다리 243 : 높이조절 노브
250 : 인서트금형 251 : 사출주입공
260 : 연결리브 261 : 인서트홈

Claims (7)

  1.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대향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2본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맞대어 형성된 내측공간에 일정 높이로 인입 형성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격자가 형성되며 상기 격자내에 배수홀이 배열되어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격벽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원통형의 지지보스가 배열 형성되고, 상단에 재배토가 적층되어 작물이 식재되는 재배트레이; 및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바닥면을 횡방향으로 밀착하여 감싸는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리브에 높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한쌍의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의 절단된 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의 절단된 측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인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 및 상기 체결구의 끼움방식에 의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상호 결합되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2.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대향하여 형성되며, 절단된 박스형태로 금형사출되며, 내측공간에는 종방향으로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바닥면은 계단형상으로 굴곡져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외측으로 굴곡져 스커트가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슬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배수홀이 형성된 제2본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맞대어 형성된 내측공간에 일정 높이로 인입 형성되며, 매트릭스 형태로 격자가 형성되며 상기 격자내에 배수홀이 배열되어 관통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보강격벽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원통형의 지지보스가 배열 형성되고, 상단에 재배토가 적층되어 작물이 식재되는 재배트레이; 및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바닥면을 횡방향으로 밀착하여 감싸는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리브에 높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한쌍의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인서트금형에 사출 성형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를 맞대어 삽입한 후 맞댄 중간영역에 상기 인서트금형을 통해 연결리브를 사출 성형하여, 상기 연결리브를 통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일체형으로 상호 결합시키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의 보강리브는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의 보강리브는 복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보강리브와 상기 제2본체의 보강리브는 상호 맞대어 이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의 슬리브는 한쌍으로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슬리브와, 상기 제2본체와 접하는 저면에 형성되는 단수의 중단 슬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본체의 슬리브는 한쌍으로 이격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슬리브와, 상기 제1본체와 접하는 저면에 형성되는 단수의 중단 슬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외측 슬리브 사이 공간과, 상기 제1본체의 중단 슬리브 및 상기 제2본체의 중단 슬리브의 사이 공간과, 상기 제2본체의 외측 슬리브 사이 공간에 해당 결합리브가 인입되어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저면과 각각 나사체결되어 상기 다리부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저면에는 회전식 높이조절 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스의 저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가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의 양종단은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바닥면과 일부 측면을 부드럽게 감싸는 형상으로 라운드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KR1020200014115A 2020-02-06 2020-02-06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KR10235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15A KR102359233B1 (ko) 2020-02-06 2020-02-06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15A KR102359233B1 (ko) 2020-02-06 2020-02-06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08A true KR20210100308A (ko) 2021-08-17
KR102359233B1 KR102359233B1 (ko) 2022-02-08

Family

ID=7746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115A KR102359233B1 (ko) 2020-02-06 2020-02-06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2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8945A (ja) * 1996-12-27 1998-07-07 Sekisui Plastics Co Ltd 養液栽培装置
JP2005245264A (ja) * 2004-03-03 2005-09-15 Daiwa Giken Kogyo Kk 養液土耕栽培用プランター
JP2007097530A (ja) * 2005-10-07 2007-04-19 Daiwa Giken Kogyo Kk 養液土耕栽培用プランター
KR20150004183A (ko) 2013-07-02 2015-01-12 주식회사 인포피아 바이오센서용 시약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센서
KR20150061801A (ko) * 2013-11-28 2015-06-05 오동하 육묘 트레이 받침대
KR20150103390A (ko) 2014-03-03 2015-09-11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무동력 관수 화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8945A (ja) * 1996-12-27 1998-07-07 Sekisui Plastics Co Ltd 養液栽培装置
JP2005245264A (ja) * 2004-03-03 2005-09-15 Daiwa Giken Kogyo Kk 養液土耕栽培用プランター
JP2007097530A (ja) * 2005-10-07 2007-04-19 Daiwa Giken Kogyo Kk 養液土耕栽培用プランター
KR20150004183A (ko) 2013-07-02 2015-01-12 주식회사 인포피아 바이오센서용 시약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센서
KR20150061801A (ko) * 2013-11-28 2015-06-05 오동하 육묘 트레이 받침대
KR20150103390A (ko) 2014-03-03 2015-09-11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무동력 관수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233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9018A (en) System forming a self-irrigating, raised bed
US8215059B2 (en) Modular gardening system
US11116146B2 (en) Cultivation assembly
KR102359233B1 (ko) 도시형 대형텃밭재배를 위한 재배장치
US20130042528A1 (en)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KR100686693B1 (ko) 천마재배를 위한 재배용기
KR20210100310A (ko) 도시형 대형텃밭 재배를 위한 인써트사출일체형 재배장치
KR101279800B1 (ko) 지지부가 보강된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TW442256B (en) Cultivation device
KR101247568B1 (ko) 준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KR102184907B1 (ko) 고설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고설재배 베드
CN2935786Y (zh) 支撑装置
KR20210054881A (ko) 조립식 화분체
KR200470118Y1 (ko) 실내 텃밭용 재배용기
US20030046866A1 (en) Planter having multiple cells
JP2980283B2 (ja) 増設可能な段垣
CN111937623A (zh) 模块化种植及养殖箱组件
CN107494012A (zh) 壁面绿化单元和壁面绿化单元的设置方法
JP6913959B2 (ja) 育成用組立体
KR102627852B1 (ko) 고설재배용 지지대와 지주대 고정장치
KR102421256B1 (ko) 원예용 바닥 베드 조립체
TWI714077B (zh) 模組化種植及養殖箱組件
JP3214359U (ja) プール育苗用枠ユニットおよび枠構造物
KR20120002692U (ko) 원예용 바닥 베드 조립체
JPH0974904A (ja) 植生物育成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