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29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298A
KR20210100298A KR1020200014089A KR20200014089A KR20210100298A KR 20210100298 A KR20210100298 A KR 20210100298A KR 1020200014089 A KR1020200014089 A KR 1020200014089A KR 20200014089 A KR20200014089 A KR 20200014089A KR 20210100298 A KR20210100298 A KR 2021010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device
signal
acceleration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석
양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298A/ko
Priority to US17/073,681 priority patent/US20210249980A1/en
Priority to PCT/KR2020/016337 priority patent/WO2021157823A1/en
Publication of KR2021010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891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with indication of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7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터, 센서 및 모터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동안 센서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전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가로 상태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세로 상태로 회전하거나, 세로 상태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가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의 회전 반경 내에 사람이나 물건이 위치하는 동안 디스플레이가 회전할 경우, 디스플레이는 사람이나 물건과 충돌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 충돌 후에도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를 회전한다면, 디스플레이와 충돌한 사용자는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고,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와 충돌한 물건은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경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터, 센서 및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축의 복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가속도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며, 상기 필터링 된 신호의 출력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차단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과 관계 없는 충격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짐에 따라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생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기 임계 값은, 상기 필터링 된 신호의 최대 출력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동안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신호의 출력 값 변화에 기초하여 차분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차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디부에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물체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바디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 상태로 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UI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계속 회전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각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 크기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모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동안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축의 복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가속도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며, 상기 필터링 된 신호의 출력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차단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과 관계 없는 충격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짐에 따라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생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기 임계 값은, 상기 필터링 된 신호의 최대 출력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동안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신호의 출력 값 변화에 기초하여 차분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차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디부에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물체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바디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 상태로 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UI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계속 회전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제어 방법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각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 크기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체에 충돌하는 경우 회전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충돌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및 물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랜드스케이프(landscape) 자세(또는, 가로 방향 자세)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트레이트(portrait) 자세(또는, 세로 방향 자세)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에 의해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계 값에 기초하여, 충돌 시점을 판단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분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된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된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시점을 판단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에 의해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분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된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된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시점을 판단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충돌 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충돌 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충돌 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충돌 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충돌 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스마트 TV, 모니터, 전자 액자, 전자 칠판, 전자 테이블, 노트북, LFD(Large Format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벤트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할 영상의 해상도가 변경되는 경우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110) 및 디스플레이(110)와 결합되는 바디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10)는 회전 중심(1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0)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 자세(또는 가로 방향 자세) 또는 포트레이트(portrait) 자세(또는 세로 방향 자세)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랜드스케이프 자세는 디스플레이(110)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형태로 배치된 자세이고, 포트레이트 자세는 디스플레이(110)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긴 형태로 배치된 자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가 도 1a와 같이 랜드스케이프 자세로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도 1b와 같은 자세를 거쳐 도 1c에 도시된 포트레이트 자세가 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가 도 1c와 같이 포트레이트 자세로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는(1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도 1b와 같은 자세를 거쳐 도 1a에 도시된 랜드스케이프 자세가 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실시 예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디스플레이(110)는 랜드스케이프 자세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포트레이트 자세가 되거나, 포트레이트 자세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랜드스케이프 자세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1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포트레이트 자세 또는 랜드스케이프 자세가 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디스플레이(110)는 포트레이트 자세에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랜드스케이프 자세가 되고, 랜드스케이프 자세에서 같은 방향으로 90도 더 회전하여 포트레이트 자세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반경 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물체와 충돌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체는 사람 또는 물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 충돌 후에도 계속해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한다면, 디스플레이(110)와 충돌한 사용자는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고, 디스플레이(110) 또는 디스플레이(110)와 충돌한 물건은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물체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모터(120), 센서(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디스플레이(110)는 방송 컨텐츠, 멀티 미디어 컨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UI) 및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모터(12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0)는 전면이 일정한 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 중심(1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중심(10)은 디스플레이(110)의 기하학적 중심 위치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10)의 다른 위치가 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0)는 제1 자세 및 제1 자세와 수직한 제2 자세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10)는 제1 자세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자세가 될 수 있고, 제2 자세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자세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자세는 포트레이트 자세 및 랜드스케이프 자세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제2 자세는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즉, 제1 자세는 제2 자세와 수직인 자세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하나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자세는 포트레이트 자세이고, 제2 자세는 랜드스케이프 자세이며,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터(120)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도면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이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로써, 모터(120), 센서(130) 및 프로세서(140)의 배열 위치, 배열 형태 및 연결 구조는 실시 예에 따라 도 3과 상이할 수 있다.
모터(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모터(120)는 디스플레이(110)와 결합된 기어(30)(예를 들어, 원형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기어(30)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기어(30)의 회전을 중단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모터(120) 및 기어(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바디부(20)에 포함되고, 기어(30)는 회전 중심(10)에서 디스플레이(1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모터(1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다양한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모터(120)는 스텝 모터, AC 모터, DC 모터 등이 될 수 있다.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13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즉 단위 시간당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속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130)는 x축, y축 및 z축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3축 가속도 센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30)는 x축, y축 및 z축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하고,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를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3축 가속도 센서는 일 실시 예로서,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고 볼 것이다.
이와 같은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바디부(20)에 포함되고,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또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바디부(2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x축, y축 및 z축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130)는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x축, y축 및 z축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4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4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모터(120)와 연결되어 모터(12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또는 센서(130)와 연결되어 센서(13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를 회전하도록 모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 이벤트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는 이벤트, 디스플레이할 영상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110)의 자세가 대응되지 않는 이벤트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개시의 회전 이벤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이나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 된 메뉴를 선택하는 명령 또는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된 메뉴를 선택하는 명령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리모컨에 구비된 마이크에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하도록 모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의 자세가 변경될 시간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설정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디스플레이(110)를 회전하도록 모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할 영상의 해상도와 현재 디스플레이 (110)의 자세에 대응되는 해상도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해상도의 영상은 랜드스케이프 자세에 대응되고,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긴 해상도의 영상은 포트레이트 자세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포트레이트 자세로 있는 상태에서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자세에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110)을 랜드스케이프 자세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110)가 랜드스케이프 자세로 있는 상태에서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긴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영상이 디스플레이(110)의 자세에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110)를 포트레이트 자세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모터(120)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1 자세의 디스플레이(110)를 제2 자세로 회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모터(12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 신호는 펄스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1 자세의 디스플레이(110)를 제2 자세로 회전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110)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를 순차적으로 모터(1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20)가 40번 회전하면 디스플레이(110)가 1/4만큼(즉, 90도만큼) 회전하고, 모터(120)가 1펄스 당 1.8도 회전하는 경우이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90도 회전시키기 위해, 8000개의 펄스가 카운트될 때까지 펄스 신호를 순차적으로 모터(12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동안,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물체에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130)는 x축, y축 및 z축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하고,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를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센서(130)는 x축을 기준으로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x(t) 신호(411), y축을 기준으로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y(t) 신호(412) 및 z축을 기준으로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z(t) 신호(413)를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411, 412, 413)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각 축에 대응되는 신호(411, 412, 413)의 크기에 기초하여 산출한 Norm 값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Norm 값은 root(x(t)^2 + y(t)^2 + z(t)^2)과 같은 수학식의 연산에 의해 획득 될 수 있다. 일 예로, 시간 1[msec]에서의 Norm 값 Norm(1msec)는 root(x(1msec)^2 + y(1msec)^2 + z(1msec)^2) 연산에 의해 획득되고, 시간 N[msec]에서의 Norm 값 Norm(Nmsec)는 root(x(Nmsec)^2 + y(Nmsec)^2 + z(Nmsec)^2) 연산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도 4a와 같은 신호가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술한 연산을 통해 도 4b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420)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물체에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임계 값이 3.2 [m/sec^2]으로 설정된 경우, 도 4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가 3.2 [m/sec^2]인 시점인 2.915 [sec]에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임계 값 설정과 관련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차분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센서(130)로부터 도 4a와 같은,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411, 412, 413)가 수신되면, 도 5a와 같은,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차분 신호(511, 512, 513)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분 신호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서 오프셋을 제거한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3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즉 단위 시간당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하고, 상술한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411, 412, 413)를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즉 단위 시간 별로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411, 412, 413)의 출력 값 변화를 판단하고, 출력 값 변화에 기초하여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차분 신호(511, 512, 513)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기설정된 시간 간격이 1 [msec]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1 [msec] 간격으로 센서(130)로부터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t [mesc]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는 0.2[m/sec^2]이고, 시간 t-10 [msec]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는 0.5 [m/sec^2]라고 판단되면, 시간 t에서 0.3 [m/sec^2]의 출력 값을 갖는 차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기설정된 시간이 a인 경우, x(t)-x(t-a) 연산에 기초하여 x축에 대응되는 제1 차분 신호를 생성하고, y(t)-y(t-a) 연산에 기초하여 y축에 대응되는 제2 차분 신호를 생성하며, z(t)-z(t-a) 연산에 기초하여 z축에 대응되는 제3 차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a에서 제1 차분 신호(511)는 도 4a의 x축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411)의 차분 신호이고, 제2 차분 신호(512)는 도 4a의 y축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412)의 차분 신호이며, 제3 차분 신호(513)는 도 4a의 z축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413)의 차분 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차분 신호의 생성 방법은 일 실시 예로서, 프로세서(14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차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서, 출력 값 변화가 없는 구간(가령, 도 4a의 0 내지 0.7 [sec] 구간)의 출력 평균 값을 산출하고,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출력 값과 상술한 출력 평균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차분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차분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각 축에 대응되는 차분 신호(511, 512, 513)에 기초하여 산출한 Norm 값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Norm 값은 root((x(t)-x(t-a))^2 + (y(t)-y(t-a))^2 + (z(t)-z(t-a))^2)과 같은 수학식의 연산에 의해 획득 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a와 같은 제1 내지 제3 차분 신호(511, 512, 513)가 생성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연산을 통해 도 5b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520)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 및 임계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물체에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420, 520)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과 관계 없는 충격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짐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서 사용자가 이동한다거나 점프를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배치된 바닥이 진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과 관계 없는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30)는 회전 중인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하지 않았음에도, 큰 가속도 크기를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420, 520) 중에서, 디스플레이(110)의 회전과 관계 없는 충격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짐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는 필터링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터는 차단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차단하는 로우 패스 필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420, 520)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분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520)의 필터링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필터링의 대상은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420)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520)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 중에서, 디스플레이(110)의 회전과 관계 없는 충격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짐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 주파수는 제품 제조 단계에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 프로세서(140)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센서(130)로부터 도 6a와 같은,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신호(611, 612, 613)가 센서(13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도 6b와 같은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차분 신호(621, 622, 623)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각 축의 가속도에 대응되는 차분 신호(621, 622, 623)의 크기에 기초하여, 도 6c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63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630)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큰 주파수를 가진 신호의 주파수를 필터의 차단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630)에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시간에 대한 신호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630)의 주파수 성분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임계 값 역시 제품 제조 단계에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 프로세서(14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도 6c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630)가 생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630)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함으로써, 도 6d와 같은 필터링 된 신호(640)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필터링 된 신호(640)의 최대 출력 값보다 큰 값으로 임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도 6d와 같은 필터링 된 신호(640)가 획득된 경우, 최대 출력 값인 0.52 [m/sec^2]보다 큰 값으로 임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필터링 된 신호(640)의 최대 출력 값보다 기설정된 값이 더 큰 값, 가령 기설정된 값이 0.28 [m/sec^2]이면 0.8 [m/sec^2]을 임계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과 관계 없는 충격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진 경우에는, 회전 중인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5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520)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함으로써, 필터의 차단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가진 신호는 차단된, 필터링 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520) 중에서, 회전 중인 디스플레이(110)의 충돌과 관계 없는 출력은 차단 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도 5b와 같은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520)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함으로써, 도 5c와 같은 필터링 된 신호(540)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필터링 된 신호(54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물체에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필터링 된 신호(540)의 출력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임계 값이 0.8 [m/sec^2]으로 설정된 경우, 도 5d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가 0.8 [m/sec^2]인 시점인 2.915 [sec]에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하고, 물체와의 충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하고, 디스플레이(11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물체에 충돌했습니다. 원 상태로 복귀합니다.”와 같은 메시지(710)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11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원 상태로 복귀시킨 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완료”와 같은 메시지(72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로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11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120)를 제어하며, 모터(120)의 회전이 중단되면(즉, 디스플레이(110)가 원 상태로 복귀되면), 물체와의 충돌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된 후 원상태로 복귀되면, '충돌이 감지되어 디스플레이를 원 상태로 복귀하였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0) 및 물체 간의 충돌에 의해 디스플레이(110)가 원 상태로 복귀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나 주변의 물체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하고, 자동으로 디스플레이(110)를 역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110)를 계속 회전할 것인지 또는 디스플레이(110)를 역방향으로 회전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이 감지되었습니다. 원 상태로 복귀하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 원상 복귀를 위한 제1 UI(811) 및 계속 회전을 위한 제2 UI(812)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원상 복귀를 위한 제1 UI(811)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상태로 복귀시키고, 계속 회전을 위한 제2 UI(812)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를 계속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하고, “충돌이 감지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 원상 복귀를 위한 제1 UI(811), 계속 회전을 위한 제2 UI(812) 및 현재 상태 유지를 위한 제3 UI(813)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현재 상태 유지를 위한 제3 UI(813)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회전이 중단되기 전에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고 있던 영상을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시킨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일 예로, 카메라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면 의도적으로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뒤,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다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물체와의 충돌이 감지되면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의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하고, 2초 뒤 다시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가 회전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자세로 디스플레이(110)를 계속 회전하고, 디스플레이(110)가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술한 제1, 제2 또는 제3 UI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110) 주변으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와 사용자간의 충돌이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c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0) 주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회전하는 동안 사용자와 충돌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은 중단되고, 충돌을 느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0)의 주변을 벗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개시는 추가적인 사용자 명령 없이도 디스플레이(110)를 다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축약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모터(120), 센서(130), 스위치(150), 메모리(160), 통신부(170), 비디오 처리부(180), 오디오 처리부(190), 사용자 입력부(195)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로서,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자이로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에 기초하여 측정된 코리올리의 힘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일 예로 자이로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3축 자이로 센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이로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를 감지하고, 각 축의 각속도에 대응되는 신호를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3축 자이로 센서는 일 실시 예로서,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고 볼 것이다.
이와 같은 자이로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바디부(20)에 포함되고, 디스플레이(110)의 회전 또는 디스플레이(110)와 물체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바디부(2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동안,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물체에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이로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를 감지하고, 각 축의 각속도에 대응되는 신호를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는 x축을 기준으로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x(t) 신호, y축을 기준으로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y(t) 신호 및 z축을 기준으로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z(t) 신호(413)를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각 축의 각속도에 대응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root(x(t)^2 + y(t)^2 + z(t)^2)과 같은 수학식의 연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물체에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임계 값이 3.0 [°/sec]으로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 크기가 3.0 [°/sec]인 시점 t1 [sec]에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자이로 센서는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이로 센서는 디스플레이(11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각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동안,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물체에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이로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를 감지하고, 각 축의 각속도에 대응되는 신호를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각 축의 각속도에 대응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각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10)가 회전하는 동안, 즉 제1 자세의 디스플레이(110)가 제2 자세로 회전 완료되기 전(또는, 그 역의 경우)에 디스플레이(110)의 각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임계 값이 10 [°/sec]으로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18[°/sec]의 각속도 크기로 회전하던 디스플레이(110)의 각속도 크기가 t1 시점에 10 [°/sec]로 변경되면, t1 시점에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가속도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체에의 충돌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차분 신호를 생성하고, 차분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체에의 충돌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한 뒤, 필터링 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체에의 충돌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가속도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체에의 충돌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유사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각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디스플레이(110)의 물체에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이거나, 바디부(20)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자이로 센서가 디스플레이(110)에 포함된 경우이면, 프로세서(14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이거나,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한 디스플레이(110)의 각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위치(150)는 제1 스위치(151) 및 제2 스위치(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스위치(151)의 바(bar)는 디스플레이(110)가 제1 자세인 동안, 원형 기어(30)에 포함된 바에 의해 기설정된 제1 각도만큼 눌려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스위치(152)의 바는 디스플레이(110)가 제2 자세인 동안, 원형 기어(30)에 포함된 바에 의해 기설정된 제2 각도만큼 눌려질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제1 및 제2 각도는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제1 스위치(151)가 눌려진 이후부터(즉, 제1 스위치(151)가 온(On)된 이후부터) 제1 자세까지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제2 스위치(152)가 눌려진 이후부터(즉, 제2 스위치(152)가 온(On)된 이후부터) 제2 자세까지 디스플레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신호에 관한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구동 신호에 관한 정보는 제1 스위치(151)를 기설정된 제1 각도만큼 눌리기 위해 필요한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구동 신호에 관한 정보는 제2 스위치(152)를 기설정된 제2 각도만큼 눌리기 위해 필요한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2 자세의 디스플레이(110)를 제1 자세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스위치(151)가 눌려지면, 제1 스위치(151)가 눌려진 이후부터는 기저장된 제1 구동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를 제1 자세로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40)는 제1 자세의 디스플레이(110)를 제2 자세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스위치(152)가 눌려지면, 제2 스위치(152)가 눌려진 이후부터는 기저장된 제2 구동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를 제2 자세로 회전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다양한 명령 또는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60)는 제1 스위치(151)가 눌려진 이후부터 디스플레이(110)를 제1 자세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에 관한 정보 및 제2 스위치(152)가 눌려진 이후부터 디스플레이(110)를 제2 자세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디스플레이(110)의 물체에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7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및 무선 랜 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근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써,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랜 통신 모듈(미도시)은 와이파이(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통신부(170)는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tronics Engineers) 1394, RS-232 등의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고, TV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통신부(170)는 스마트 폰 등의 전자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통신부(160)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70)를 통해 각종 방송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고, 주변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과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운드 바 등의 미디어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0)에서는 영상 신호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된 영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90)는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90)에서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9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는 오디오 처리부(19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신호,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는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되면, 충돌을 알리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9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195)는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195)는 각종 버튼 또는 터치 센서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은 외부의 리모컨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는 바, 사용자 입력부(195)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터(120)에 의해 디스플레이(110)가 회전되는 동안 센서(13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S1010)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130)는 3축 가속도 센서로 구현되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다른 축의 복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센서(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S1020)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다른 축의 복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경우, 복수의 가속도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모터(120)를 제어(S103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130)로부터 수신한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며, 필터링 된 신호의 출력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110)의 회전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110)를 원 상태로 회전하도록 모터(120)를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110)를 원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UI 및 디스플레이(110)를 계속 회전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모터
130: 센서
140: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터;
    센서; 및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축의 복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가속도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며, 상기 필터링 된 신호의 출력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차단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과 관계 없는 충격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짐에 따라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생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기 임계 값은,
    상기 필터링 된 신호의 최대 출력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동안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신호의 출력 값 변화에 기초하여 차분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차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디부에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물체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바디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 상태로 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UI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계속 회전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각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 크기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동안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축의 복수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가속도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가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필터링 하며, 상기 필터링 된 신호의 출력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차단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차단 주파수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과 관계 없는 충격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짐에 따라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 생성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고,
    상기 임계 값은,
    상기 필터링 된 신호의 최대 출력 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동안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신호의 출력 값 변화에 기초하여 차분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차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크기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디부에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물체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바디부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 상태로 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UI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계속 회전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각속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 크기를 판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물체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중단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14089A 2020-02-06 2020-02-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00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089A KR20210100298A (ko) 2020-02-06 2020-02-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073,681 US20210249980A1 (en) 2020-02-06 2020-10-1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0/016337 WO2021157823A1 (en) 2020-02-06 2020-11-1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089A KR20210100298A (ko) 2020-02-06 2020-02-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298A true KR20210100298A (ko) 2021-08-17

Family

ID=7717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089A KR20210100298A (ko) 2020-02-06 2020-02-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49980A1 (ko)
KR (1) KR20210100298A (ko)
WO (1) WO20211578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1615B2 (en) 2019-04-26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58918A1 (ko) * 2021-10-06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34240A (zh) * 2020-03-13 2023-08-2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的界面切换方法及显示设备
CN114352899A (zh) * 2021-12-14 2022-04-15 深圳市惠康电机制造有限公司 多媒体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904680C1 (pt) * 1999-10-21 2001-08-14 Marco Antonio Becker Destravador automático do cinto de segurança
US9317108B2 (en) * 2004-11-02 2016-04-19 Pierre A. Touma Hand-held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accelerometer for interacting with a display
JP5604951B2 (ja) * 2010-04-15 2014-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開閉システム
US9035742B2 (en) * 2011-12-06 2015-05-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nic compensated pivot control
WO2016059470A1 (en) * 2014-10-17 2016-04-21 Panono Gmbh Camera system for capturing images and methods thereof
EP3017920B1 (en) * 2014-11-07 2017-08-23 Comau S.p.A. An industrial robo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dustrial robot
US10083551B1 (en) * 2015-04-13 2018-09-25 Allstate Insurance Company Automatic crash detection
US10627854B2 (en) * 2018-04-13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1615B2 (en) 2019-04-26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58918A1 (ko) * 2021-10-06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9980A1 (en) 2021-08-12
WO2021157823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0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0029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8042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28063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pplications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611290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画面スクロール方法及びその装置
JP5937076B2 (ja) 移動デバイスにおけるジェスチャーベースのユーザ入力の検出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80091898A1 (en) Electronic device, peripheral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70174416A1 (en) Spatially articulable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cation framework
KR101958255B1 (ko) 전자장치에서 상황인식에 따라 진동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816492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
KR1024099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101178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575518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191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435393B1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3167164A (zh) 用于警告便携式终端的状态的设备和方法
JP620713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20092399A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2300494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70925B1 (ko) 팬, 틸트, 줌 제어장치
EP2466897A2 (en) Projection control
KR202200437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4767A (ko) 재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5439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