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272A -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272A
KR20210100272A KR1020200014025A KR20200014025A KR20210100272A KR 20210100272 A KR20210100272 A KR 20210100272A KR 1020200014025 A KR1020200014025 A KR 1020200014025A KR 20200014025 A KR20200014025 A KR 20200014025A KR 20210100272 A KR20210100272 A KR 20210100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health care
machine learning
care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산
Original Assignee
(주)높은소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높은소나무 filed Critical (주)높은소나무
Priority to KR102020001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272A/ko
Publication of KR2021010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요양기관의 회계 전문성과 정확성을 높여 사용자 편의 중심의 요양기관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합관리서버(106)와 회계서버(134) 사이에 연결되되,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제공되는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의 재무회계정보를 자동으로 회계서버(134)에 구축해 줌과 아울러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재무회계정보 요구시,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핵심어 또는 색인어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핵심어 또는 색인어에 맞는 임금, 각종 법정 수당, 퇴직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회계정보를 요양기관단말기(102)로 보내는 머신러닝부(13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ursing Institution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본 발명은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머신러닝(또는 인공지능 AI) 기술을 활용하여 요양기관의 회계 전문성과 정확성을 높여 사용자 편의 중심의 요양기관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인구가 점차로 증가하면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노인층을 위해 마련된 요양기관을 찾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층을 보호 및 관리하기 위한 요양기관이 여기저기 세워지고 있다.
상기 요양기관은 거동을 마음대로 하지 못하거나 치매와 같이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노인들을 수용하기 위한 곳으로, 자연환경이 쾌적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요양기관들은 제각각 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소규모의 요양기관은 시스템 관리가 미흡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런 다수의 요양기관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없고 공통된 서식이 없는 실정이며, 요양자가 타 요양원으로 옮기는 경우에도 이전에 있던 요양기관에서의 정보를 공유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요양기관의 간호사 및 요양보호사가 매일 요양자의 상태를 기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없다.
더욱이, 현재 요양기관 별로 구축된 시스템에는 요양자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요양자들의 갑작스런 상황 발생 시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를 현재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얻을 수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4878호의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건강관리 웹사이트에 접속한 회원들에게 심혈관계 질환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비만, 당뇨 수치, 당뇨 관련 유전자 정보 및 회원의 기본 사항 등을 근거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된 유사한 예를 검색하여 해당 회원에게 다양한 처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 기술은 가계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유전적인 질병을 관리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치료를 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1년 11월 18일자 출원번호 제10-2011-0120951호(발명의 명칭 :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로 출원된 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하나 이상의 요양기관 서버와, 상기 요양기관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요양기관에 입소하고 있는 대상자(요양자)의 개인정보를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관리 서버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요양기관 서버로부터 회원가입 신청을 받아 요양기관 이름을 입력받고, 각 기관별 요양기관 코드를 부여하여 요양기관의 회원가입을 승인하며, 회원가입이 승인된 요양기관에 대해 요양기관별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관회원 관리서버; 상기 요양기관의 관리자를 통해 해당 요양기관에 입소하고 있는 대상자의 건강정보, 보호자 정보를 포함한 가계도, 입소계약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대상자 관리부; 상기 대상자의 욕창존재여부와, 욕창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욕창위험영역을 신체의 부위별로 표시할 수 있는 욕창표시수단과 욕창의 정도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욕창 진행정도 표시수단을 제공하는 대상자 건강상태 관리부; 및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상자에 대한 정보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대상자에 대한 지정된 정보를 입력받고 대상자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대상자에 대한 정보 중 공개허가된 정보를 출력하는 대상자 건강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자 건강상태 관리부는 상기 욕창 진행정도 표시수단의 욕창 수위를 색깔로 구분하며, 상기 욕창 진행정도 표시수단에 표시된 욕창진행정도가 지정된 정도 이상인 대상자를 별도로 구분하여 '욕창관리 대상자'로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또는 관계자의 로그인 시 상기 '욕창관리 대상자'를 매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진료에 관계된 부분은 관리되고 있지만 요양기관 즉, 요양시설(노인요양시설, 공동생활가정)과 재가기관(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복지용구용품)의 회계처리부분은 관리되고 있지 않아 회계처리부분은 전문성 없이 처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머신러닝(또는 인공지능 AI) 기술을 활용하여 요양기관의 회계 전문성과 정확성을 높여 사용자 편의 중심의 요양기관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은,
통합관리서버(106)와 회계서버(134) 사이에 연결되되,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제공되는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의 재무회계정보를 자동으로 회계서버(134)에 구축해 줌과 아울러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재무회계정보 요구시,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핵심어 또는 색인어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핵심어 또는 색인어에 맞는 임금, 각종 법정 수당, 퇴직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회계정보를 요양기관단말기(102)로 보내는 머신러닝부(132)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요양기관의 회계 전문성과 정확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 편의 중심의 요양기관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전문성이 결여된 기관장들에게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는 요양기관의 현실적 어려움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요양기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통합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회계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클라우드컴퓨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양기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통합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회계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클라우드컴퓨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100)은,
요양기관단말기(102), 네트워크(104), 통합관리서버(106), 머신러닝부(132), 회계서버(134), 클라우드컴퓨터(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요양기관단말기는 요양기관인 요양시설(노인요양시설, 공동생활가정)에서 사용하는 단말기이거나 재가기관(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복지용구용품)에서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상기 요양기관단말기(102)는 통합관리서버(106)로부터 제공되는 요양기관 내의 업무와 관련된 각종 메뉴를 활용하고, 해당 레벨에 따른 결재를 수행하며, 수입과 지출에 따른 차대변을 기재함과 동시에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를 업로드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요양기관단말기(102)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통합관리서버(106)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14), 사용자로부터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키워드, 아이디와 패스워드, 해당 사용자가 자필 서명한 사인(sign) 이미지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116), 통합관리서버(106)로부터 제공되는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회계정보, 사규집, 회의록, 업무일지 및 결재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그 결과물을 출력하는 출력부(118), 요양기관단말기(102)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와 각종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20) 및 각 부(114, 116, 118, 1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14)는 요양기관단말기(102)와 통합관리서버(106) 간에 데이터 송수신시 요구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함과 동시에 IP 패킷과 이더넷 패킷 상호간의 패킷 변환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통합관리서버(106)의 인터페이스부(124)도 동일하다.
그리고, 입력부(116)는 키보드, 마우스 및 스캐너 등을 포함하고, 출력부(118)는 프린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통합관리서버(106)의 입력부(126) 및 출력부(128)도 동일하다.
상기 네트워크(104)는 통신 가능한 각종 기기를 통하여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등의 무선 인터넷망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통합관리서버(106)는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요청에 따라 요양기관 내의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등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네트워크(104)를 통해 요양기관단말기(10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24),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의 요청 신호 및 통합관리서버(106)의 요양기관 내 업무와 관련된 업데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26), 각종 업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화면 및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128), 통합관리서버(106)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 및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30) 및 각 부(124, 126, 128 및 130)의 기능을 제어하여, 각종 업무 관련 정보와 결재 승인 정보를 요양기관단말기(102)에 제공함과 아울러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수입과 지출에 따른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를 AI부(이하, "머신러닝부"라고 함)(132)를 통해 회계서버(134)로 전송하게 하는 제어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회계서버(134)는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제공되는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를 접수한 후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머신러닝부(132)의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계서버(134)는 계정조정부(138), 재무회계분석부(140), 의사결정부(14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계정조정부(138)는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재무회계의 품목을 계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재무회계분석부(140)는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요양기관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재무회계를 분석한다.
의사결정부(142)는 재무회계분석부(140)에서 분석된 재무회계를 바탕으로 하여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재무회계에 대한 의사 표시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컴퓨터(136)는 통합관리서버(106)를 통해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회계정보, 사규집, 회의록, 업무일지, 결재 서류, 사인 이미지 및 영수증과 같은 회계 증빙서류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자 DB(144), 레벨 DB(146), 사인(sign) DB(148), 영수증 DB(150) 및 매칭 DB(15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머신러닝부(132)는 통합관리서버(106)와 회계서버(134) 사이에 연결되되,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제공되는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의 재무회계정보를 자동으로 회계서버(134)에 구축해 줌과 아울러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재무회계정보 요구시,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핵심어 또는 색인어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핵심어 또는 색인어에 맞는 임금, 각종 법정 수당, 퇴직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회계정보를 요양기관단말기(102)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요양기관단말기(102) 및 통합관리서버(106)는 통신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고,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하며, 최소한 window98 이상의 운영체제, pentium 급 이상의 CPU, 64Mb 이상의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양기관단말기(102)는 컴퓨터 장치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통합관리서버(106)로부터 제공되는 요양기관 내 업무관련 홈페이지를 활용하고 해당 담당자의 사인을 통해 결재를 확인시킬 수 있기만 하면,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전화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DB(144)는 요양기관단말기(102)를 사용하는 해당 담당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인적사항, 전화번호와 E-mail 등의 연락처, 직책,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 등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레벨 DB(146)는 요양기관단말기(102)를 사용하는 담당자의 직책에 따른 레벨과, 각종 메뉴에 대하여 검색, 수정 및 결재 서류를 올릴 수 있는 등급을 세팅한 후 분류하여 저장한다.
상기 사인(sign) DB(148)는 요양기관단말기(102)를 사용하는 직원들 각자가 자필 서명한 사인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해당 결재 서류의 상단에 있는 "결재"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담당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응되는 사인이 자동으로 첨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영수증 DB(150)는 요양기관의 업무와 관련된 지출과 수입의 발생에 따른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가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업로드되면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스캐너를 통해 스캔한 영수증을 첨부파일 업로드(Upload)를 통해 일자별로 정리하여 저장한 후 회계서버(134)에 차대변 데이터와 함께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매칭 DB(152)는 해당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사인, 전화번호 및 E-mail을 매칭시킴과 동시에, 결재 서류의 "결재" 란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해당 담당자의 사인이 자동으로 첨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합관리서버(106)는 요양기관 내 업무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들을 직급 레벨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메뉴별 홈페이지를 구축한다 한 후,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인
적사항, 전화번호와 E-mail 등의 연락처, 직책, 아이디(ID), 패스워드(PW) 및 사인 이미지 등의 사용자 정보를 접수하고, 직급에 따라 각 메뉴별 사용자를 분류한 후 등록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관리서버(106)는 매칭 DB(152)를 통해 요양기관단말기(102) 사용자의 직급, 아이디 및 패스워드, 사인
이미지, 전화번호 및 E-mail을 매칭시킴으로써, 해당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한 로그인 후 결재, SMS 또는 E-mail 전송시 해당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106)는 요양기관단말기(102)의 레벨에 따른 로그인 시, 레벨에 따른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각 레벨에 따른 메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106)는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결재 사항 또는 회계 사항에 대한 입력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결재 사항에 대한 입력신호가 있으면, 통합관리서버(306)는 사인 DB(148) 및 매칭 DB(152)를 통해 해당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대응되는 사인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결재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결재 요청 단계와 동시에 통합관리서버(106)는 결재 요청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결재자의 전화번호 또는 E-mail로 결재자의 결재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회계 사항에 대한 입력신호이면, 통합관리서버(106)는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지출과 수입의 발생에 따른 차대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는다.
또한, 통합관리서버(106)는 지출과 수입의 발생에 따른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를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접수한 후 영수증 DB(150)에 저장한다.
이후, 통합관리서버(106)는 입력받은 차대변 정보와 접수한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를 머신러닝부(132)를 통해 회계서버(134)에 전송하여 재무회계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회계서버(134)는 계정조정부(138), 재무회계분석부(140), 의사결정부(142) 등을 포함하는바,
상기 계정조정부(138)는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재무회계의 품목을 계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재무회계분석부(140)는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요양기관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재무회계를 분석한다.
상기 의사결정부(142)는 재무회계분석부(140)에서 분석된 재무회계를 바탕으로 하여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재무회계에 대한 의사 표시를 결정한다,
한편, 통합관리서버(106)는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재무회계정보 요구신호를 받을 경우, 머신러닝부(132)로 재무회계정보 요구신호를 보낸다.
상기 머신러닝부(132)는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핵심어 또는 색인어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핵심어 또는 색인어에 맞는 임금, 각종 법정 수당, 퇴직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회계정보를 요양기관단말기(102)로 보낸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102 : 요양기관단말기
104 : 네트워크
106 : 통합관리서버
132 : 머신러닝부
134 : 회계서버
136 : 클라우드컴퓨터

Claims (3)

  1. 통합관리서버(106)와 회계서버(134) 사이에 연결되되,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제공되는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의 재무회계정보를 자동으로 회계서버(134)에 구축해 줌과 아울러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재무회계정보 요구시,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핵심어 또는 색인어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핵심어 또는 색인어에 맞는 임금, 각종 법정 수당, 퇴직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회계정보를 요양기관단말기(102)로 보내는 머신러닝부(1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2. 네트워크(104)를 통해 통합관리서버(106)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14), 사용자로부터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키워드, 아이디와 패스워드, 해당 사용자가 자필 서명한 사인(sign) 이미지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116), 통합관리서버(106)로부터 제공되는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회계정보, 사규집, 회의록, 업무일지 및 결재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그 결과물을 출력하는 출력부(118), 요양기관단말기(102)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와 각종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20) 및 각 부(114, 116, 118, 1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22)를 포함한 요양기관단말기(102)와;
    상기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요청에 따라 요양기관 내의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등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네트워크(104)를 통해 요양기관단말기(10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24),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의 요청 신호 및 통합관리서버(106)의 요양기관 내 업무와 관련된 업데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26), 각종 업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화면 및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128), 통합관리서버(106)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 및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30) 및 각 부(124, 126, 128 및 130)의 기능을 제어하여, 각종 업무 관련 정보와 결재 승인 정보를 요양기관단말기(102)에 제공함과 아울러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수입과 지출에 따른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를 머신러닝부(132)를 통해 회계서버(134)로 전송하게 하는 제어부(136)를 포함한 통합관리서버(106)를 포함하되,
    상기 회계서버(134)는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제공되는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를 접수한 후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머신러닝부(132)의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축될 수 있고,
    상기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재무회계의 품목을 계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계정조정부(138)와;
    상기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요양기관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재무회계를 분석하는 재무회계분석부(140)와;
    상기 재무회계분석부(140)에서 분석된 재무회계를 바탕으로 하여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재무회계에 대한 의사 표시를 결정하는 의사결정부(14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3. 네트워크(104)를 통해 통합관리서버(106)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14), 사용자로부터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키워드, 아이디와 패스워드, 해당 사용자가 자필 서명한 사인(sign) 이미지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116), 통합관리서버(106)로부터 제공되는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회계정보, 사규집, 회의록, 업무일지 및 결재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그 결과물을 출력하는 출력부(118), 요양기관단말기(102)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와 각종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20) 및 각 부(114, 116, 118, 1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22)를 포함한 요양기관단말기(102)와;
    상기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요청에 따라 요양기관 내의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등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네트워크(104)를 통해 요양기관단말기(10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24),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의 요청 신호 및 통합관리서버(106)의 요양기관 내 업무와 관련된 업데이트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26), 각종 업무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화면 및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128), 통합관리서버(106)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 및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30) 및 각 부(124, 126, 128 및 130)의 기능을 제어하여, 각종 업무 관련 정보와 결재 승인 정보를 요양기관단말기(102)에 제공함과 아울러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수입과 지출에 따른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를 머신러닝부(132)를 통해 회계서버(134)로 전송하게 하는 제어부(136)를 포함한 통합관리서버(106)를 포함하되,
    상기 회계서버(134)는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제공되는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를 접수한 후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머신러닝부(132)의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축될 수 있고,
    상기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재무회계의 품목을 계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계정조정부(138)와;
    상기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요양기관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재무회계를 분석하는 재무회계분석부(140)와;
    상기 재무회계분석부(140)에서 분석된 재무회계를 바탕으로 하여 머신러닝부(132)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재무회계에 대한 의사 표시를 결정하는 의사결정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106)와 회계서버(134) 사이에 연결되되, 요양기관단말기(102)를 통해 제공되는 차대변 정보 및 영수증과 같은 증빙서류의 재무회계정보를 자동으로 회계서버(134)에 구축해 줌과 아울러 요양기관단말기(102)의 재무회계정보 요구시, 요양기관단말기(102)로부터 입력되는 핵심어 또는 색인어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핵심어 또는 색인어에 맞는 임금, 각종 법정 수당, 퇴직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무회계정보를 요양기관단말기(102)로 보내는 머신러닝부(1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KR1020200014025A 2020-02-06 2020-02-06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KR20210100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025A KR20210100272A (ko) 2020-02-06 2020-02-06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025A KR20210100272A (ko) 2020-02-06 2020-02-06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272A true KR20210100272A (ko) 2021-08-17

Family

ID=7746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025A KR20210100272A (ko) 2020-02-06 2020-02-06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02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124B2 (en) Device-driven non-intermediated blockchain system over a social integrity network
US8990834B2 (en) Managing healthcare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US10755369B2 (en) Client management tool system and method
US20040204963A1 (en) Healthcare payer organization and provider organization information exchange system
EP3910648A1 (en) Client management tool system and method
JP6813954B2 (ja) 資産管理装置、資産管理方法および資産管理プログラム
US10296716B1 (en) System of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advance care planning and directives documentation
JP2024001303A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WO2009132434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atient-driven electronic health records
KR20210066252A (ko) 입력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21022341A (ja) 医療関係者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20210100272A (ko)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요양기관 통합 운영 관리시스템
US91527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KR20220160342A (ko) 돌봄 매칭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3883A (ko) 개인화된 영양소 추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기록매체
US20190251519A1 (en) Advanced care planning process
KR20210066251A (ko) 입력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데이터 처리 장치
WO2021199276A1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7386464B2 (ja) 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20230001848A (ko) 이중 루트 기반의 보험정보 획득 방법
Gyebi A universal platform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for low resource hospitals
Gawade et al. Trusty Medicare: An Online Virtual Care System
KR20210153871A (ko) 건강 위험도 예측에 기반한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53885A (ko) 건강 위험도 예측에 기반한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KR20210153886A (ko) 건강 위험도 예측에 기반한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