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578A - 무기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포탑 - Google Patents

무기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포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578A
KR20210099578A KR1020217017393A KR20217017393A KR20210099578A KR 20210099578 A KR20210099578 A KR 20210099578A KR 1020217017393 A KR1020217017393 A KR 1020217017393A KR 20217017393 A KR20217017393 A KR 20217017393A KR 20210099578 A KR20210099578 A KR 2021009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pon
turret
assembly
trunnion
counter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비에 데스카토아르
Original Assignee
넥스터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터 시스템즈 filed Critical 넥스터 시스템즈
Publication of KR2021009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4Turret gu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30Stabilisation or compensation systems, e.g. compensating for barrel weight or wind force on the bar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 조립체(1)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포탑(100)에 관한 것이고, 상기 조립체는 마운트(3)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피벗하는 진동 운동부 및 포탑(100)과 인터페이스하도록 의도된 저널(2)을 포함하는 진동 운동부를 포함한다. 진동 운동부는 발사 동안 저널(2)에 대해 병진 이동하는 주퇴 운동부를 포함한다. 무기 조립체(1)는, 저널(2)은 주퇴 운동부의 무게 중심 뒤에 위치되고 카운터웨이트(7)는 저널(2)에서 진동 운동부(10)의 무게 중심을 위치시키도록 정지 시에 주퇴 운동부(5)의 중량을 길이방향으로 중심을 잡도록 의도되게 되어 있다. 상기 무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저널(2)이 진동 운동부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아암(6)의 제 1 단부에 단단하게 연결되고, 아암(6)은 그 제 2 단부에 카운터웨이트(7)를 포함하고, 카운터웨이트(7)는 적어도 하나의 탄도 방탄판(7a) 및/또는 조준기(7b) 및/또는 보조 무기(7e)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기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포탑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군용 차량용 무기 조립체 및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포탑에 관한 것이다.
탱크 포탑 상의 기존 무기 조립체는 무기에 대한 높이 방향으로 피벗 포인트 역할을 하는 트러니언을 포함한다. 높이 방향으로 무기를 조준하는 힘을 제한하기 위해, 트러니언을 무기의 진동 운동부의 무게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포탑 상의 이러한 조립체는, 발사 중에, 포탑 베어링의 회전면 아래에 위치된 포탑의 중심부의 간격(clearance)을 가져야 하므로, 무기의 조준과 주퇴가 간섭 없이 이 평면까지 발생할 수 있다. 이 간격은 특허 US4838144에 표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차량의 섀시를 관통하는 포탑 웰(turret well)에 의해 형성된다.
이 유형의 포탑 웰은 번거롭고 차량의 취약 영역을 구성하며, 포탑 바스켓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섀시에 중요한 개구부를 구성해야 한다.
진동 운동부가 주퇴 운동부의 가이딩을 보장하고 그 단부에서 가장 높은 조준 동안 배럴의 운동부의 균형을 잡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소지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야전 포(field artillery) 유형의 무기 시스템이 특허 FR390931에서 또한 알려진다. 이 장치는 포탑의 무기 조립체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대량 및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무기의 브리치(breech)의 존재에 의해 어렵게 된 포탑을 통한 상부 구조의 접근성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준을 허용하도록 캐리지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피벗하고, 탱크 포탑과 인터페이스 하도록 의도된 트러니언(trunnion)을 포함하는 진동 운동부(oscillating mass)를 포함하는 무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상기 진동 운동부는 발사 동안 상기 트러니언에 대해 병진 이동하는 주퇴 운동부(recoiling mass)를 포함하고, 상기 주퇴 운동부는 특히 무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조립체에서, 상기 트러니언은 주퇴 운동부의 무게 중심 뒤에 위치하여, 카운터웨이트가 정지 상태의 상기 주퇴 운동부의 무게를 길이 방향으로 균형 잡아서, 상기 트러니언에서의 상기 진동 운동부의 무게 중심을 위치시키도록 의도되고, 상기 무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트러니언이 아암의 제 1 단부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진동 운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아암은 자신의 제 2 단부에 카운터웨이트를 소지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탄도 방탄판 및/또는 조준기(sight) 및/또는 보조 무기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조립체는 진동 운동부의 양 측에 위치한 2개의 아암을 포함하고, 각 아암은 카운터웨이트를 소지한다.
특정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무기는 유탄 발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무기는 중구경 기관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군용 차량용 포탑에 관한 것이며, 상기 포탑은 상기 군용 차량으로부터 상기 포탑을 분리하고 장착 평면을 규정하는 롤 베어링(rolling bearing) 주위로 상대적으로 피봇할 수 있고, 상기 포탑은 선행하는 특징들 중 하나에 기재된 무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조립체에서, 장착 평면의 주어진 높이에 대한 상기 트러니언과 상기 주퇴 운동부의 무게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진동 운동부가 자신의 최대 고도에 있고 상기 주퇴 운동부가 자신의 최대 주퇴 상태일 때, 상기 주퇴 운동부는 상기 장착 평면 위에 위치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비추어 다음 설명을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탑의 3/4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기 조립체의 3/4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고 제 1 조준 구성에 따른 포탑 및 무기 조립체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고 제 2 조준 구성에 따른 포탑 및 무기 조립체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5는 인원이 탑승한 본 발명에 따른 포탑의 3/4 정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탱크 포탑(100)은 무기 조립체(1)를 포함한다. 무기 조립체(1)는 포탑(100)의 포탄(shell)(4)에 고정된 캐리지(3)에서 포탑(100)에 고정된 트러니언(2)(도 2에서 더 잘 도시됨)을 포함한다.
무기 조립체(1)는 무기(5a)를 소지하는 진동 운동부(10)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피벗하기 위한 축(2)을 구성하는, 트러니언에서의 조립체(1)에 고정된 대구경 무기(5a)(구경 40mm 초과)를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식에서, 진동 운동부(10)는 트러니언(2)을 중심으로 높이 방향으로 피벗하는 무기 조립체(1)의 모든 요소를 지칭한다.
주퇴 운동부(5)는 발사 중에 주퇴하는 무기 조립체(1)의 모든 요소를 지칭한다.
더 구체적으로, 진동 운동부(10)는 특히 주퇴 운동부(5) 및 주퇴 동안 주퇴 운동부를 수용하고 가이드하는 크래들을 포함한다.
특히 주퇴 운동부(5)는 배럴 및 그 브리치(8)와 함께 무기(5a) 자체 및 주퇴를 수반하는 주퇴 브레이크(미도시)의 일부(브레이크의 고정부는 크래들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됨)를 포함한다.
각각의 트러니언(2)은 진동 운동부(10)의 양측에 위치한 아암(6)의 제 1 단부에 고정된다. 각각의 아암(6)의 제 2 단부는 카운터웨이트(7)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카운터웨이트(7)는 이들 플레이트(7a) 뒤에 위치하는 포탑(100)의 부분들을 탄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무기(5a)의 주퇴 운동부(5)의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탄판(7a)을 포함한다. 카운터웨이트는 유리하게는 포탑의 기능적 수단, 즉 카운터웨이트 이외의 작동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 예를 들어 표적 획득 장비(조준기(sight), 지정자) 또는 방어 장비(보조 무기, 소형 포탑, 근접 방어 시스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퇴 운동부(5)의 우측에 위치한 제 1 카운터웨이트(7)는 조준기(7b)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카운터웨이트(7)는 유탄 발사기(7c) 및 중구경 기관총(7d)을 포함하는 보조 무기(7e)를 포함한다. 무기(5a)의 주퇴 운동부(5) 및 그 카운터웨이트(7)를 갖는 무기 조립체(1)만 도 2에서 더 잘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탄판과 다양한 장비 항목에 의해 형성된 카운터웨이트(7)는 무게 중심(T)의 위치로 인해, 트러니언(2)에 무기 조립체(1)의 진동 운동부(10)의 무게 중심(I)을 배치함으로써, 무게 중심(G)에서 가해지는 주퇴 운동부(5)의 무게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기(5)를 높이 방향으로 조준하기 위한 힘은 최소화된다.
카운터웨이트(7)와 트러니언에 대한 거리의 치수를 지정하기 위해, 당업자는 트러니언(2)에 대한 주퇴 운동부(5)의 무게 중심(G)의 거리(D)를 알아야 한다.
이 평가는 오늘날 일반적으로 컴퓨터 지원 설계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퇴 운동부의 무게 중심(G)의 위치는 트러니언(2)의 앞에 위치하며 트러니언(2)에 대한 진동 운동부(10)의 피벗으로 이어지는 불균형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주퇴 운동부(5)를 포함하지 않는 진동 운동부(10)의 부분의 무게 중심은 고정된 위치를 가지며 특히 카운터웨이트(7)에 의해 형성된 불균형의 중요성에 의존한다.
컴퓨터 지원 설계에 의해 트러니언(2)의 축에 대한 주퇴 운동부(5)의 무게 중심의 주어진 전진(G)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위치될 카운터웨이트의 크기(카운터웨이트(7)의 질량 및 아암(6)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퇴 운동부(5)가 장착 평면(101) 아래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퇴 운동부(5)의 무게 중심(G)은 먼저 다음과 같이 진행하여 전진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장착 평면(101)에 대한 트러니언(2)의 주어진 높이(H)에 대해, 당업자는 무기(5a)의 주퇴 운동부(5)를 최대 주퇴 상태(R)에 배치하고 또한 진동 운동부(10)를 최대 고도(α)에 배향하여 브리치(8)가 무기 조립체(1)의 장착 평면(101) 위에 위치된다.
무기가 배터리 내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업자는 정지 상태에서 주퇴 운동부(5)의 무게 중심(G)의 위치가 트러니언(2)에 상대적이어야 하는 것을 얻는다.
트러니언(2)에 대한 이러한 전방 위치는, 최대 파워로 발사하는 동안, 주퇴 운동부(5)의 최대 주퇴는 인해 브리치(8)의 이동의 단부를 상당히 더 멀리 그리고 선행 기술에 따른 무기에 비해 트러니언(2)에 가깝게 위치시키며, 주퇴 운동부(5)의 무게 중심은 그것이 정지될 때 트러니언(2)과 일치한다.
무기의 주퇴 운동부(5)의 무게 중심(G)이 전방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포탑에 포탑 웰을 장착하지 않고 차량 섀시에 취약한 개구부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트러니언(2)과 관련하여 선택하게 될 주퇴 운동부(5)의 무게 중심(G)의 위치를 기반으로, 기술 전문가는 또한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중심을 배치하고 그 운동부를 선택하여, 주퇴 운동부(5)에 의해 생성된 불균형을 상쇄하여 트러니언(2)에서 진동 운동부(10)의 무게 중심을 위치시킨다. 작동 모드는 이전에 설명되었으며 컴퓨터 지원 설계 도구를 포함할 것이다.
트러니언(2)에서 진동 운동부(10)의 무게 중심의 이러한 위치는 물론 주퇴 운동부(5)가 정지할 때 효과적이다.
유리하게는, 주퇴 운동부(5)를 전방 방향(AV)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지 보수 작업 동안 탑승자(102)의 통과 또는 차량의 대피에 유리한 블리치(8) 뒤에 공간을 만든다.
카운터웨이트(7)는 보조 무기(7d)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적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음이 도시되었다. 이 무기는 주퇴 운동부(5)와 다른 배향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높이 방향으로 조준하는 자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수단이 조준기(7b)로 구성될 때, 그것은 또한 주퇴 운동부(5)의 배향과는 독립적으로 조준기의 배향을 허용하는 수단과 연관될 수 있다.

Claims (5)

  1. 조준을 허용하도록 캐리지(3)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피벗하고, 탱크 포탑(100)과 인터페이스 하도록 의도된 트러니언(trunnion)(2)을 포함하는 진동 운동부(oscillating mass)(10)를 포함하는 무기 조립체(1)로서, 상기 진동 운동부(10)는 발사 동안 상기 트러니언(2)에 대해 병진 이동하는 주퇴 운동부(recoiling mass)(5)를 또한 통합하고, 상기 주퇴 운동부(5)는 특히 무기(5a)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조립체(1)에서, 상기 트러니언(2)은 주퇴 운동부(5)의 무게 중심(G) 뒤에 위치하여, 카운터웨이트(7)가 정지 상태의 상기 주퇴 운동부(5)의 무게를 길이 방향으로 균형 잡아서, 상기 트러니언(2)에서의 상기 진동 운동부(10)의 무게 중심을 위치시키도록 의도되고, 상기 무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트러니언(2)이 아암(6)의 제 1 단부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진동 운동부(10)에 고정되고, 상기 아암(6)은 자신의 제 2 단부에 상기 카운터웨이트(7)를 소지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7)는 적어도 하나의 탄도 방탄판(7a) 및/또는 조준기(sight)(7b) 및/또는 보조 무기(7e)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조립체(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진동 운동부(10)의 양 측에 위치한 2개의 아암(6)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암(6)은 카운터웨이트(7)를 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조립체(1).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무기(7e)는 유탄 발사기(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조립체(1).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무기(7e)는 중구경 기관총(7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조립체(1).
  5. 군용 차량용 포탑(100)으로서, 상기 군용 차량으로부터 상기 포탑(100)을 분리하고 장착 평면(101)을 규정하는 롤 베어링(rolling bearing) 주위로 상대적으로 피봇할 수 있고, 상기 포탑(100)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기 조립체(1)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조립체(1)에서, 상기 장착 평면(101)의 주어진 높이(H)에 대한 상기 트러니언(2)과 상기 주퇴 운동부(5)의 무게 중심(G) 사이의 거리(D)는, 상기 진동 운동부(10)가 자신의 최대 고도에 있고 상기 주퇴 운동부(5)가 자신의 최대 주퇴 상태일 때, 상기 주퇴 운동부(5)가 상기 장착 평면(101) 위에 위치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탑(100).
KR1020217017393A 2018-11-08 2019-11-06 무기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포탑 KR202100995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01168 2018-11-08
FR1801168A FR3088419B1 (fr) 2018-11-08 2018-11-08 Montage d'arme et tourelle comportant un tel montage
PCT/IB2019/059539 WO2020095229A1 (fr) 2018-11-08 2019-11-06 Montage d'arme et tourelle comportant un tel mont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578A true KR20210099578A (ko) 2021-08-12

Family

ID=6586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393A KR20210099578A (ko) 2018-11-08 2019-11-06 무기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포탑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877718B1 (ko)
KR (1) KR20210099578A (ko)
AU (1) AU2019375544A1 (ko)
ES (1) ES2934475T3 (ko)
FI (1) FI3877718T3 (ko)
FR (1) FR3088419B1 (ko)
HU (1) HUE061205T2 (ko)
IL (1) IL282709A (ko)
PL (1) PL3877718T3 (ko)
WO (1) WO20200952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03C (ko) *
DE3717857A1 (de) 1987-05-27 1988-12-15 Rheinmetall Gmbh Automatische ladeeinrichtung fuer eine rohrwaffe
FR2824896B1 (fr) * 2001-05-17 2003-08-15 Giat Ind Sa Systeme de pointage d'une ar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82709A (en) 2021-06-30
AU2019375544A1 (en) 2021-05-27
EP3877718A1 (fr) 2021-09-15
FI3877718T3 (fi) 2023-02-28
WO2020095229A1 (fr) 2020-05-14
EP3877718B1 (fr) 2022-11-02
PL3877718T3 (pl) 2023-01-09
HUE061205T2 (hu) 2023-05-28
ES2934475T3 (es) 2023-02-22
FR3088419B1 (fr) 2022-04-01
FR3088419A1 (fr)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0208C2 (ru)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боевой машины и стабилизатор вооружения
US4524674A (en) Military vehicles
US4669357A (en) Weapon system with barreled weapon in an armored vehicle
RU142907U1 (ru) Боевое отделение бронетранспортера
US5105715A (en) Tank turret with increased recoil mass
KR20210099578A (ko) 무기 조립체 및 이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포탑
RU2569068C1 (ru) Одноместный боевой модуль
IL223461A (en) A weapon-based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s
RU2542681C1 (ru) Боевое отделение бронеобъекта
KR100672806B1 (ko) 함선 상에 대구경 포를 통합하는 방법
US11719515B2 (en) Tactical turret
US4324169A (en) Main battletank turret
RU2370723C1 (ru) Боевое отделение бронеобъекта
EP2354749B1 (en) Vehicle provided with revolving turret
RU2590843C2 (ru) Защищенная амбразура и бронемашина с указанной амбразурой
RU2816418C1 (ru)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танка
RU2218543C2 (ru) Танк
RU2818147C1 (ru)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танка
RU211989U1 (ru) Боевой модуль
RU199427U1 (ru) Танк
RU2274819C1 (ru) Объект бронетехники
RU221963U1 (ru) Боевая машина тяжелой огнеметной системы на шасси базового танка
RU2816100C1 (ru) Боевой модуль со стабилизацией линии прицеливания вооружения
US20230341209A1 (en) Tactical turret with integrated tracking
RU206960U1 (ru) Боевая машина тяжелой огнеметной систем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