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245A -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245A
KR20210099245A KR1020200012768A KR20200012768A KR20210099245A KR 20210099245 A KR20210099245 A KR 20210099245A KR 1020200012768 A KR1020200012768 A KR 1020200012768A KR 20200012768 A KR20200012768 A KR 20200012768A KR 20210099245 A KR20210099245 A KR 20210099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isfaction
attribute
image
motion
spec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661B1 (ko
Inventor
한승수
김영군
이승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
Priority to KR102020001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661B1/ko
Priority to KR1020200077994A priority patent/KR20210099496A/ko
Priority to CN202010652481.XA priority patent/CN113205356B/zh
Priority to EP20184754.8A priority patent/EP3859600B1/en
Publication of KR2021009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K9/00221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06V10/443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 G06V10/449Biologically inspired filters, e.g. difference of Gaussians [DoG] or Gabor filters
    • G06V10/451Biologically inspired filters, e.g. difference of Gaussians [DoG] or Gabor filters with interaction between the filter responses, e.g. cortical complex cells
    • G06V10/454Integrating the filters into a hierarchical structure, e.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1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7Static hand or arm
    • G06V40/117Biometrics derived from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K2009/0039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8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estimating age from face image; using age information for improving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mage Analysi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관광지, 전시장 등 관람 현장 공간에서 퇴장하는 관람인이 출구 앞에서 수신호, 몸짓 등 동작으로 평가를 표현하면, 해당 동작을 화상 카메라로 촬영하고 인식하여, 관람인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영된 관람인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관람인 영상의 촬영 정보를 함께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관람인 영상에서 관람인의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작 신호에 대응되는 만족도를 추출하는 만족도 추출부; 상기 관람인 영상 또는 상기 관람인 영상의 촬영 정보로부터 속성 값을 추출하여 추출된 속성 값으로 해당 만족도의 속성을 설정하는 속성 추출부; 및, 상기 만족도의 데이터들을 통계 분석하여 통계치를 산출하되, 속성을 조합하여 속성 조합별로 통계치를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출구에서 관람인이 간단한 몸 동작으로 만족도를 표시하고 이를 인식하여 분석함으로써, 만족도 조사로 인한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하고 관람인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 A satisfaction survey system through motion recognition in field space }
본 발명은 관광지, 전시장 등 관람 현장 공간에서 퇴장하는 관람인이 출구 앞에서 수신호, 몸짓 등 동작으로 평가를 표현하면, 해당 동작을 화상 카메라로 촬영하고 인식하여, 관람인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실시간으로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관람인의 외모 이미지를 분석하여, 성별, 나이 등 관람인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으로 관람인을 그룹화 하여, 그룹별 만족도를 조사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각종 공연이나 전시, 박람회 등의 개최 횟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관람객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통상 관람객은 공연이나 전시회를 선택할 시, 먼저 관람을 마친 사람들의 입소문이나 후기를 통해 관람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공연의 주최측에서는 추가 관객을 유치하기 위해, 그리고 향후 개선점을 찾기 위해 관람객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 즉, 관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조사는 서비스 제공자(기업, 조직, 개인, 공공기관 등)가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관람 서비스에 대한 혁신 혹은 개선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종전에는 관람을 마친 관람객에게 설문 조사를 하여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관람객의 참여가 저조하여 만족도 결과를 수치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례로서, 관람 현장에서 설문지를 비치하고, 관람객에게 설문 작성을 요청한다. 이 경우, 수작업에 의한 설문 작성으로 인해 시간 낭비 등의 이유로, 조사에 대한 관람객의 참여율이 상당히 저조하다. 따라서 종이 등 수작업에 의한 만족도 조사는 전수 조사가 어렵다.
또한, 만족도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조사 대상 서비스들에 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조사 항목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다. 특히, 직접 조사 요원을 고용하여 직접 관람객을 대면하여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기관을 활용하는 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에도 비용으로 인해 전수 조사는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만족도 조사는 실시간으로 결과를 수집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없다. 즉, 설문지에 의한 조사 결과나 조사원의 조사 결과를 별도의 절차에 따라 컴퓨터에 입력하고, 입력된 자료를 취합하여 만족도를 분석하는 등 번거로운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만 최종적인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온라인 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히, 만족도 조사에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동기를 부여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고객이 직접 온라인에 접속하여 설문을 작성해야 하므로, 관광지, 전시장 등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관람객의 얼굴 표정을 통해 관람 만족도를 조사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 그러나 사람마다 얼굴 표정이 다양하고, 사람의 개인적 성향에 따라 얼굴 표정과 만족도의 크기를 일치시킬 수 없는 경우가 더 많다. 즉, 얼굴 표정만으로 만족도를 분석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8149호(2012.09.05.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604호(2015.10.13.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3173호(2015.04.01.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8579호(2017.06.19.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5253호(2018.05.31.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람 현장 공간에서 퇴장하는 관람인이 출구 앞에서 수신호, 몸짓 등 동작으로 평가를 표현하면, 해당 동작을 화상 카메라로 촬영하고 인식하여, 관람인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관람인의 외모 이미지를 분석하여, 성별, 나이 등 관람인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으로 관람인을 그룹화 하여, 그룹별 만족도를 조사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람 공간의 출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 및 표시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영된 관람인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관람인 영상의 촬영 정보를 함께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관람인 영상에서 관람인의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작 신호에 대응되는 만족도를 추출하는 만족도 추출부; 상기 관람인 영상 또는 상기 관람인 영상의 촬영 정보로부터 속성 값을 추출하여 추출된 속성 값으로 해당 만족도의 속성을 설정하는 속성 추출부; 및, 상기 만족도의 데이터들을 통계 분석하여 통계치를 산출하되, 속성을 조합하여 속성 조합별로 통계치를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람 영역은 다수의 구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전체 관람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 각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촬영 정보는 구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 추출부는 구역 정보를 속성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람인의 동작은 손가락에 의한 수신호이고, 펼쳐진 손가락의 개수에 의해 동작 신호가 구별되고, 펼쳐진 손가락 개수로 만족도의 정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속성 추출부는 상기 관람인 영상에서 관람인의 얼굴을 추출하고, 관람인 얼굴의 이미지로부터 관람인의 나이 및 성별을 추출하고, 추출된 나이와 성별의 속성값을 상기 만족도의 나이 속성 및 성별 속성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속성 추출부는 동일한 구역 내에서 시간대에 따라 서로 다른 행사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 촬영 정보의 촬영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만족도의 행사 속성을 설정하되, 촬영 시간이 해당 행사의 시간대에 속하면 해당 행사를 행사 속성의 속성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속성을 조합하여 조합된 속성별로 만족도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새로운 만족도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통계치를 다시 산출하여, 실시간의 통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산출된 만족도 통계치의 수치 데이터, 표, 또는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계치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결과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동작 신호로 만족도를 나타내는 안내 영상을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와 연동하여 관람인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안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의하면, 출구에서 관람인이 간단한 몸 동작으로 만족도를 표시하고 이를 인식하여 분석함으로써, 만족도 조사로 인한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하고 관람인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의하면, 화상 카메라로 획득된 관람인의 외모 이미지로부터 성별 나이 등 외모 특징으로 그룹화 함으로써, 추가적인 인적 사항 등 질문 없이 만족도를 그룹별로 세분화하여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와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부 구역으로 구성된 관람 공간에서의 통과대에 설치된 카메라의 그룹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의한 수신호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호의 동작 신호와 만족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 시간에 따른 행사 속성을 매칭시키는 대응관계를 나타낸 표.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 영상에 대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화상 카메라로 구성된 카메라 장치(10), 모니터 등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표시 장치(20), 및, 카메라 장치(10)로부터 관람인 이미지를 수신하여 만족도를 조사하는 분석 서버(30)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 또는, 관리자 또는 관람인 등이 사용하는 스마트 단말(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60) 및 분석 서버(30)는 네트워크(8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먼저, 관람 공간(1)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대(2)가 형성되고, 카메라 장치(10)와 표시 장치(20)는 각 통과대(2)에 설치된다.
관람 공간(1)은 전시장, 박람회장, 행사장, 축제장, 놀이 공원, 카페, 음식점 등 일정한 영역으로 설정된 공간이고, 통과대(2)는 관람 공간(1)에서 다수의 출입구, 출구, 통로, 구역간 연결로 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전시장 등 관람 공간(1)은 관람인이 퇴장하는 출구 또는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출구 또는 출입구가 통과대(2)를 형성한다. 또한, 전시장의 관람 공간(1)은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은 일정한 영역이 할당되고, 하나의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이동할 때, 이들 구역 간을 이동하는 연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통로도 통과대(2)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장치(10)는 관람인(70)을 촬상하기 위한 화상 카메라로 구성되어, 관람 공간(1)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장치(10)는 출입문, 통로, 구역 간 연결로 등 통과대(2)의 상단에 설치되어, 통과대(2)에 접근하는 사람 또는 관람인들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또한, 카메라 장치(10)는 조사 서버(30)와 네트워크(미도시)로 연결되어, 획득된 관람인 이미지를 조사 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장치(10)는 촬상된 시간이나 장소(구역) 등에 대한 데이터도 함께 전송한다.
또한, 카메라 장치(10)는 인체 감지 센서나 촬영 영상 분석 등으로 관람인을 감지하고, 관람인이 감지되는 경우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0)는 인체 감지 센서(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관람인(70)이 표시 구간(A) 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고,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 관람인이 감지된 경우(즉, 표시 구간 내)에만 화상 카메라를 구동하여 관람인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장치(10)는 화상 카메라를 표시 구간(A) 내를 촬영하도록 고정되고, 화상 카메라로 지속적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움직임이 포착되는 경우에만, 해당 영상을 조사 서버(3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20)는 모니터 등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만족도 조사 안내 정보나 조사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또한, 표시 장치(20)도 조사 서버(30)와 네트워크(미도시)로 연결되어, 조사 서버(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표시 장치(20)는 조사 서버(30)의 제어를 받고, 조사 서버(30)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장치(20)는 조사 서버(30)로부터 만족도 조사 방법의 안내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안내 영상을 출력 또는 반복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표시 장치(20)는 카메라 장치(10)와 연동하여 관람인이 감지된 경우 안내 영상을 출력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장치(10)와 표시 장치(20)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동일한 통과대(2)에 설치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10)와 표시 장치(20)는 동일한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조사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미도시)는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관람 공간(1)이 출구가 다수이거나 다수의 구역으로 구분되는 경우, 카메라 장치(10)와 표시 장치(20)의 세트 구성은 관람 공간(1)의 다수 위치(또는 통과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사 서버(30)는 관람 공간(1)의 내부 또는 외부 등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관리자가 전체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서버 장치 등 컴퓨팅 처리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카메라 장치(10)와 표시 장치(2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특히, 조사 서버(60)는 중앙관제실이나 중앙 통제실 등에 설치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카메라 장치(10)로부터 촬영된 관람인의 영상을 수신하여 수집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카메라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표시 장치(10)에 표시 정보 또는 표시 정보 영상을 전송하여, 표시 장치(10)로 하여금 표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사 서버(30)는 제어 명령과,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1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조사 서버(30)는 관람인의 영상으로부터 관람인의 수신호, 손 동작, 팔 동작 등 동작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작 신호에 대응되는 만족도(또는 만족도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관람인의 영상으로부터 관람인의 성별, 나이 등 관람인의 특징(또는 속성)을 추정하고, 추정된 특징에 따라 해당 만족도(만족도 데이터)를 그룹핑 하여 관람인 속성(만족도의 관람인 속성)을 설정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관람인의 영상이 촬영된 시간과 장소(위치)에 따라 해당 만족도를 그룹핑 하여, 해당 만족도의 측정 속성을 설정한다. 즉, 만족도의 측정 속성은 시간대, 구역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만족도 데이터 및, 해당 만족도의 속성 등을 이용하여, 만족도를 분석한다.
또한, 조사 서버(30)는 만족도의 분석 결과를 표시 장치(20) 또는 스마트 단말(6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단말(60)은 관리자 또는 관람인이 이용하는 이동 단말로서,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이다.
스마트 단말(60)은 조사 서버(30)에 접속하여, 조사 서버(30)가 제공하는 만족도 분석 서비스를 이용한다. 만족도 분석 서비스는 전체 만족도나 속성별 그룹핑된 만족도 등의 통계 정보를 열람하는 서비스이다. 이때, 사용자는 속성별 만족도를 선택적으로 열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개별적인 만족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조사데이터DB(41), 조사된 만족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저장하는 분석결과DB(4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족도 조사 시스템은 앞서 조사 서버(30)와 같이, 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30)은 카메라로 촬영된 관람인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31), 영상에서 만족도를 추출하는 만족도 추출부(32), 만족도 데이터의 속성을 추출하는 속성 추출부(33), 및, 만족도 데이터들을 통계 분석하는 통계 분석부(34)로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35), 또는, 만족도 조사에 대한 안내 영상을 출력하는 안내부(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영상 획득부(31)는 카메라 장치(10)에 의해 촬영된 관람인 영상을 수신하여 획득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획득된 영상의 촬영 시간 및 촬영 장소(또는 구역 정보)에 관한 촬영 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카메라 장치(10)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카메라는 구역에 따라 그룹핑 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구역에서 다수의 출구 또는 통과대(2)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동일한 구역의 통과대(2)이면 각 위치의 카메라들은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한다.
도 5의 예에서, 전체 구역을 A0라 하고, 전체 구역 A0에서 각 세부 구역 A1, A2, A3, A4로 구분된다. 이때, 전체 구역 A0에 해당하는 만족도 조사는 출구 G1과 G2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세부 구역 A1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출구 G3, G4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세부 구역 A3는 출구 G5, G6, G7에서, 세부 구역 A4는 G2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이웃하는 2개 세부 구역 사이에 형성된 출구 또는 통과대(2)에는 양쪽으로 각각 카메라 장치(10)가 2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출구 G4와 G5는 각각 양쪽 방향으로 모두 2대의 카메라 장치(1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만족도 추출부(32)는 관람인 영상으로부터 관람인의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작 신호에 대응되는 만족도를 추출한다.
관람인의 동작은 손가락에 의한 수신호, 손의 특정한 동작, 팔 동작, 입술 동작 등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람인의 동작은 손가락에 의한 수신호이다. 이하 수신호에 의한 동작 신호로 설명한다.
관람인 영상에서 수신호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특허문헌 4]을 적용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호 동작은 펼쳐진 손가락의 개수에 의해 동작 신호(1~5)가 설정된다. 수신호 동작(또는 동작 신호)과, 이에 대응되는 만족도의 대응 관계는 사전에 설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펼쳐진 손가락의 개수로 만족도의 정도를 표시한다.
수신호와 만족도의 대응 관계는 도 7에 예시하고 있다. 즉, 손가락이 1개 펼쳐지면 만족도가 "매우 불만족"인 것이고, 펼친 손가락이 2개이면 만족도가 "불만족"이다. 또한, 손가락 4개와 5개는 각각 "만족"과 "매우 만족"의 만족도와 대응된다.
다음으로, 속성 추출부(33)는 관람인 영상 또는 관람인 영상의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속성 값(또는 속성)을 추출하고, 해당 관람인 영상의 만족도 데이터의 속성을 해당 속성 값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속성 추출부(33)는 관람인 영상에서 관람인의 얼굴을 추출하고, 관람인 얼굴의 이미지로부터 관람인의 나이 및 성별을 추출한다. 얼굴 이미지에서 관람인의 나이와 성별을 추출하는 방법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다[특허문헌 5].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나이와 성별 등 추출된 속성값을 만족도 데이터의 속성으로 설정된다. 즉, 해당 관람인 영상에서 추출된 나이와 성별(속성값)을, 동일한 영상에서 추출한 만족도의 데이터에 대한 속성으로 설정한다. 이때, 나이는 사전에 정해진 나이 대에 의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 그룹을 어린이, 청소년, 어른, 노인 등으로 분류된 속성으로 정할 수 있다. 각각의 속성을 만족도의 나이 속성, 성별 속성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속성 추출부(33)는 해당 관람인 영상의 촬영 시간과, 촬영 위치(또는 구역 정보)에 따라, 만족도 데이터의 측정 속성을 설정한다. 즉, 해당 관람인 영상의 촬영 시간 및 구역을, 동일한 영상에서 추출한 만족도의 데이터에 대한 속성으로 설정한다. 각각의 속성을 만족도의 시간 속성, 구역 속성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속성 추출부(33)는 시간 속성을 이용하여 행사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동일한 구역 내에서 특정한 행사가 진행된다면, 해당 행사가 진행되는 시간대에 행사를 속성으로 정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시간대에 특정한 행사가 진행된다면, 촬영 시간을 이용하여 행사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장소 또는 구역 내에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면, 그 시간대에서의 만족도 조사는 해당 행사에 대한 만족도로 세분화할 수 있다. 특별한 행사가 없다면, 그 장소에 비치해둔 놀이 기구에 의한 행사 속성을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계 분석부(34)는 추출된 만족도 데이터들에 대하여 합산 또는 평균 등 통계치를 산출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속성 별로 통계치를 산출한다.
또한, 통계 분석부(34)는 통계치를 표 또는 그래프로 산출한다.
예를 들어, 구역별 만족도 평균, 성별 만족도 평균, 나이 그룹별 만족도 평균, 시간대별 만족도 평균, 구역과 성별 만족도 평균, 구역과 성별과 나이 그룹별 만족도 평균 등 속성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만족도(또는 만족도 평균)에 대한 통계 데이터 또는 해당 통계 데이터의 표와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계 분석부(34)는 새로운 만족도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통계치를 산출하여, 실시간의 통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결과 출력부(35)는 산출된 만족도 통계치의 수치 데이터 또는, 표 또는 그래프 데이터(이하 통계치 데이터)를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또는 결과 출력부(35)는 만족도 통계치 데이터를 웹페이지, 또는 모바일 페이지 형태로 생성하고, 스마트 단말(60)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페이지를 전송한다.
특히, 결과 출력부(35)는 실시간의 통계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각 관람인은 만족도가 높은 구역이나 행사 등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인기 있는 구역을 방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람인은 나이나 성별 등에 의해 자신과 동일한 그룹이 좋아하는 구역을 방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안내부(36)는 동작 신호에 대한 내용 등 만족도 조사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내 영상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안내 영상의 일례가 도 9에 예시되고 있다. 안내 영상은 안내원이 직접 시범을 보여주는 동영상으로 작성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20)는 안내 영상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출력하거나, 카메라 장치(10)와 연동하여 관람인이 감지되는 경우 안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카메라 장치 20 : 표시 장치
30 : 조사 서버 31 : 영상 획득부
32 : 만족도 추출부 33 : 속성 추출부
34 : 통계 분석부 35 : 결과 출력부
36 : 안내부
40 : 데이터베이스
60 : 스마트 단말 80 : 네트워크

Claims (9)

  1. 관람 공간의 출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 및 표시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로 촬영된 관람인 영상을 획득하되, 상기 관람인 영상의 촬영 정보를 함께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관람인 영상에서 관람인의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작 신호에 대응되는 만족도를 추출하는 만족도 추출부;
    상기 관람인 영상 또는 상기 관람인 영상의 촬영 정보로부터 속성 값을 추출하여 추출된 속성 값으로 해당 만족도의 속성을 설정하는 속성 추출부; 및,
    상기 만족도의 데이터들을 통계 분석하여 통계치를 산출하되, 속성을 조합하여 속성 조합별로 통계치를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영역은 다수의 구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전체 관람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및, 각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촬영 정보는 구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 추출부는 구역 정보를 속성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인의 동작은 손가락에 의한 수신호이고, 펼쳐진 손가락의 개수에 의해 동작 신호가 구별되고, 펼쳐진 손가락 개수로 만족도의 정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추출부는 상기 관람인 영상에서 관람인의 얼굴을 추출하고, 관람인 얼굴의 이미지로부터 관람인의 나이 및 성별을 추출하고, 추출된 나이와 성별의 속성값을 상기 만족도의 나이 속성 및 성별 속성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추출부는 동일한 구역 내에서 시간대에 따라 서로 다른 행사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 촬영 정보의 촬영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만족도의 행사 속성을 설정하되, 촬영 시간이 해당 행사의 시간대에 속하면 해당 행사를 행사 속성의 속성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속성을 조합하여 조합된 속성별로 만족도의 통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새로운 만족도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통계치를 다시 산출하여, 실시간의 통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산출된 만족도 통계치의 수치 데이터, 표, 또는 그래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계치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결과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동작 신호로 만족도를 나타내는 안내 영상을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카메라 장치와 연동하여 관람인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안내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KR1020200012768A 2020-02-03 2020-02-03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KR10231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68A KR102318661B1 (ko) 2020-02-03 2020-02-03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KR1020200077994A KR20210099496A (ko) 2020-02-03 2020-06-25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CN202010652481.XA CN113205356B (zh) 2020-02-03 2020-07-08 以现场空间中的动作识别为基础的满意度调查系统
EP20184754.8A EP3859600B1 (en) 2020-02-03 2020-07-08 System for surveying satisfaction through motion recognition in field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68A KR102318661B1 (ko) 2020-02-03 2020-02-03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994A Division KR20210099496A (ko) 2020-02-03 2020-06-25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245A true KR20210099245A (ko) 2021-08-12
KR102318661B1 KR102318661B1 (ko) 2021-11-03

Family

ID=715276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768A KR102318661B1 (ko) 2020-02-03 2020-02-03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KR1020200077994A KR20210099496A (ko) 2020-02-03 2020-06-25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994A KR20210099496A (ko) 2020-02-03 2020-06-25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859600B1 (ko)
KR (2) KR102318661B1 (ko)
CN (1) CN1132053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8541A4 (en) * 2019-09-19 2023-06-28 Arctan Analytics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customer satisfaction from a physical gesture of a custom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232A (ko) * 2001-10-09 2003-04-18 한국과학기술원 컴퓨터 시각을 기반한 연속적인 수화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98149A (ko) 2011-02-28 2012-09-05 최천규 온라인 고객만족도조사 및 실시간 고객만족도지수 제공 시스템
KR20150033173A (ko) 2013-09-23 2015-04-01 (주)이노지움 안면인식을 통한 관객 만족도 조사 시스템
KR20150114604A (ko) 2014-04-01 2015-10-13 이강석 고객 보상 서비스를 적용한 설문 조사 시스템
KR101748579B1 (ko) 2016-05-03 2017-06-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스처 인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760898B1 (ko) * 2015-08-27 2017-07-24 허철균 상황 인지 기반 양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65253B1 (ko) 2016-10-04 2018-06-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Region-sift와 discriminant svm 분류기를 이용한 나이 및 성별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8858B1 (ko) * 2019-03-21 2019-11-14 민광석 통합 전시회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9506A (ja) * 2017-03-30 2018-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会話満足度推定装置、音声処理装置および会話満足度推定方法
WO2019103484A1 (ko) * 2017-11-24 2019-05-31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인공지능을 이용한 멀티모달 감성인식 장치, 방법 및 저장매체
CN109801096A (zh) * 2018-12-14 2019-05-24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多模态客户满意度综合评价系统、方法
CN110503457A (zh) * 2019-07-11 2019-11-26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用户满意度的分析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232A (ko) * 2001-10-09 2003-04-18 한국과학기술원 컴퓨터 시각을 기반한 연속적인 수화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98149A (ko) 2011-02-28 2012-09-05 최천규 온라인 고객만족도조사 및 실시간 고객만족도지수 제공 시스템
KR20150033173A (ko) 2013-09-23 2015-04-01 (주)이노지움 안면인식을 통한 관객 만족도 조사 시스템
KR20150114604A (ko) 2014-04-01 2015-10-13 이강석 고객 보상 서비스를 적용한 설문 조사 시스템
KR101760898B1 (ko) * 2015-08-27 2017-07-24 허철균 상황 인지 기반 양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48579B1 (ko) 2016-05-03 2017-06-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스처 인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865253B1 (ko) 2016-10-04 2018-06-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Region-sift와 discriminant svm 분류기를 이용한 나이 및 성별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8858B1 (ko) * 2019-03-21 2019-11-14 민광석 통합 전시회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496A (ko) 2021-08-12
EP3859600A1 (en) 2021-08-04
CN113205356B (zh) 2024-02-20
KR102318661B1 (ko) 2021-11-03
EP3859600B1 (en) 2023-12-06
CN113205356A (zh)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4357B2 (ja) 視認対象効果度測定装置
JP599439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48142B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US20180189688A1 (en) Method for using the capacity of facilites in a ski area, a trade fair, an amusement park, or a stadium
JP2004348618A (ja) 顧客情報収集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WO2018097177A1 (ja) エンゲージメント測定システム
JP2008152810A (ja) 顧客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
CN104599083A (zh) 科学健身示范园区及基于这种园区的运动健身管理方法
JP4742531B2 (ja) 情報表示装置
KR101888922B1 (ko) 매장용 고객 관리 및 고객 행동 분석 시스템
CN111062752A (zh) 基于受众群体的电梯场景广告投放方法及投放系统
KR102318661B1 (ko) 현장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을 통한 만족도 조사 시스템
JP6738655B2 (ja) 案内表示システム、案内表示方法及び案内表示プログラム
JP2018151840A (ja) 照合システム、照合方法および照合プログラム
CN113591663A (zh) 一种展会数据可视化的信息分析系统及分析方法
KR20150033173A (ko) 안면인식을 통한 관객 만족도 조사 시스템
KR102478558B1 (ko) 고객 만족도 조사 수행 시스템
JP2005227522A (ja) 情報表示装置
WO2015109378A1 (pt) Processo integrado e automatizado de obtenção, gerenciamento e disponibilização de informações multidimensionais para pesquisas de percepção e opinião pública e equipamento para sua realização
WO202106031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CN112435383A (zh) 一种多功能闸机控制系统
KR102664707B1 (ko)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의 설문 조사 시스템
WO2022163285A1 (ja) 興味度判定システム、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興味度判定方法
KR20140110557A (ko) 영상피드백을 활용한 이러닝 시스템
Camurri et al. Active experience of audiovisual cultural content: the virtual binocula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